KR102645841B1 - Auto loader - Google Patents

Auto loa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841B1
KR102645841B1 KR1020230065874A KR20230065874A KR102645841B1 KR 102645841 B1 KR102645841 B1 KR 102645841B1 KR 1020230065874 A KR1020230065874 A KR 1020230065874A KR 20230065874 A KR20230065874 A KR 20230065874A KR 102645841 B1 KR102645841 B1 KR 102645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discharge nozzle
unit
supply hopper
transpor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58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보경
이원섭
이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인하글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인하글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인하글로텍
Priority to KR1020230065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8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8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6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bunkers or tu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65G2203/044Op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14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downwards
    • B65G2814/0319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downwards through a closable or non-closable outlet opening
    • B65G2814/0323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downwards through a closable or non-closable outlet opening with chutes or plates in or beneath the opening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 로더에 관한 것으로서, 다량의 분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탱크가 마련된 수송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로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진입로 상부의 상기 프레임에, 상기 진입로에 대한 상기 수송차량의 진입방향 또는 해당 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분립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분립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공급호퍼와, 상기 공급호퍼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분립체를, 상기 진입로로 진입한 상기 수송차량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호퍼에 설치되는 배출부재와, 상기 진입로에 진입된 상기 수송차량의 상기 수용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분체 투입구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배출부재의 분립체가 배출되는 부분이 해당 분체 투입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호퍼가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로더는 주차된 수송차량의 분체 투입구를 감지하고, 배출노즐을 자동으로 해당 분체 투입구에 세팅하여 분립체를 해당 수송차량의 수용탱크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분립체 공급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자가 비숙련자이더라도 분립체의 유실없이 분립체의 공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loader, which includes a frame with an access road formed so that a transport vehicle equipped with a storage tank capable of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powder can enter, and the transport vehicle for the access road to the frame on the upper part of the access road. A supply hopper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entry direction or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ntry direction, and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supplied from the powder or granular supply unit, and a driving unit that moves the supply hopper with respect to the frame; , a discharge member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so as to discharge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to the transport vehicle entering the access road, and a powder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tank of the transport vehicle entering the access road. It is equipped with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inle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e unit to move the supply hopper so that the part where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member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powder inlet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or unit. do.
The auto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powder inlet of a parked transport vehicle and automatically set the discharge nozzle to the powder inlet to supply powder to the receiving tank of the transport vehicle, thus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powder supply work. There is an advantage that manpower can be saved, and even if the worker is unskilled, the powder supply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loss of the powder or grain.

Description

오토 로더{Auto loader}Auto loader

본 발명은 오토 로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멘트와 같은 분립체를 수송차량의 수용탱크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오토 로더에 관한 것입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load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utoloader that can automatically supply powders such as cement to a storage tank of a transport vehicle.

벌크 차량이라 함은 시멘트, 사료, 곡물, 화학제품, 식품 등 분립체를 자루에 담지 않고 실물상태로 운반하는 차량이다. 하대는 밀폐형 탱크 구조로서 상부에서 적재하고 스크루식, 공기압송식, 덤프식 또는 이들을 병용하여 탱크에 적재된 분립체를 배출한다. 이 차량은 적재물에 따라 시멘트 수송차, 사료 운반차, 곡물운반차 등으로 부른다. 시멘트 수송차량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사료 수송 차량인데, 식품에서는 밀가루 수송에 사용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 차량들은 물류면에서 보면 포장의 생략, 하역의 기계화라는 관점에서 대단히 합리적인 차량이라고 할 수 있다.Bulk vehicles are vehicles that transport powders such as cement, feed, grains, chemicals, and food in their actual form rather than in bags. The lower part is a closed tank structure that is loaded from the top and discharges the powder loaded in the tank using a screw type, pneumatic feed type, dump type, or a combination of these. These vehicles are called cement transport vehicles, feed transport vehicles, grain transport vehicles, etc. depending on the load. Cement transport vehicles are the largest, followed by feed transport vehicles, and in food, the proportion used to transport flour is increasing. From a logistics perspective, these vehicles can be said to be very reasonable vehicles in terms of omitting packaging and mechanizing unloading.

위와 같은 벌크 차량은 벌크 로리(bulk lorry), 탱크로리(tank lorry)라고도 불린다. 통상의 벌크 탱크는 내부를 다수의 격벽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공간의 상부에는 맨홀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벌크 탱크의 적재용량은 약 15~25톤 내외로서, 오토 로더를 이용하여 분립체를 상부에서 낙하시켜 탱크의 분체 투입구로 분립체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해당 탱크가 채워진다. The above bulk vehicles are also called bulk lorry or tank lorry. The interior of a typical bulk tank is divid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nd a manhole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partitioned space. The loading capacity of such a bulk tank is approximately 15 to 25 tons, and the tank is filled by dropping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from the top using an autoloader and injecting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to the powder inlet of the tank.

그런데, 종래의 오토 로더는 주차된 수송차량의 탱크에 마련된 분체 투입구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해당 분체 투입구 측으로 분립체를 배출하는 배출노즐을 이동시켜 작업하므로 번거럽고, 작업자의 추락사고 등의 위험이 있으며, 작업자가 미숙련자일 경우, 분립체가 탱크로의 공급 작업 중 유실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autoloader requires the worker to visually check the powder inlet provided in the tank of the parked transport vehicle and then move the discharge nozzle that discharges the powder to the powder inlet, which is cumbersome and causes accidents such as falls of the worker. There is a risk, and if the operator is an unskilled pers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wder may be lost during the supply operation to the tank.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0667호: 차량 이동식 하역기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50667: Vehicle mobile unload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주차된 수송차량의 분체 투입구를 감지하고, 배출노즐을 자동으로 해당 분체 투입구에 세팅하여 분립체를 해당 수송차량의 수용탱크에 공급할 수 있는 오토 로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is capable of detecting the powder inlet of a parked transport vehicle and automatically setting the discharge nozzle to the powder inlet to supply powder to the receiving tank of the transport vehicl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utoload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로더는 다량의 분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탱크가 마련된 수송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로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진입로 상부의 상기 프레임에, 상기 진입로에 대한 상기 수송차량의 진입방향 또는 해당 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분립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분립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공급호퍼와, 상기 공급호퍼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분립체를, 상기 진입로로 진입한 상기 수송차량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호퍼에 설치되는 배출부재와, 상기 진입로에 진입된 상기 수송차량의 상기 수용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분체 투입구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배출부재의 분립체가 배출되는 부분이 해당 분체 투입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호퍼가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The auto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rame with an access road formed so that a transport vehicle equipped with a storage tank capable of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powder can enter, the frame at the top of the access road, and the access road. A supply hopper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transport vehicle or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ntry direction, and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powder or granule supplied from the powder or granule supply unit, and the supply hopper with respect to the frame. A driving unit for moving, a discharge member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to discharge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stored in the receiving space to the transport vehicle entering the access road, and the receiving tank of the transport vehicle entering the access road. A sensor uni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powder inlet formed at the top, and controls the drive unit to move the supply hopper so that the part where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member is located at the powder inlet based on the sensing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or unit.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that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급호퍼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레이저빔을 출력하고, 상기 수송차량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빔을 수신하는 레이저 센서와, 상기 레이저 센서의 레이저빔 출력시각과 레이저빔 수신시각을 통해 상기 공급호퍼로부터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모듈과, 상기 진입로에 진입된 상기 수송차량의 수용탱크에 균일하게 상기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공급호퍼가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되, 상기 거리 산출모듈에서 제공되는 산출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공급호퍼로부터의 이격거리가 기설정된 기준범위 이상으로 증가하는 영역을 해당 분체 투입구의 위치로 산출하는 정보 산출모듈을 구비한다. The sensor unit includes a laser sensor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to output a laser beam downward and receive a laser beam reflect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and the supply hopper through the laser beam output time and laser beam reception time of the laser sensor. a distance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vehicle, and a driving unit that operates the supply hopper to move the laser beam so that the laser beam is uniformly applied to the receiving tank of the transport vehicle entering the access road, provided by the distance calculation module. It is equipped with a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the location of the powder inlet as the area where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upply hopper increases beyond a preset reference range based on the calculated information.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공급호퍼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해당 공급호퍼의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로딩슈트와, 상기 로딩슈트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분립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노즐과, 상기 배출노즐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유닛을 구비한다. The discharge member is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has a discharg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has a loading chut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below the supply hopper,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oading chute, and has the separation device at the bottom. It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nozzle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the sieve is discharged, and a lift unit that raises and lowers the discharge nozzle.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진입로 상부의 상기 프레임에, 상기 공급호퍼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과, 외주면이 상기 이동레일에 접하도록 상기 공급호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블링 휠과, 상기 공급호퍼에 설치되어 해당 트레블링 휠을 회전시키는 트레블링 모터를 구비한다. The driv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moving rail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pply hopper on the frame at the upper part of the access road, a traveling wheel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ly hopper so th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moving rail, and A traveling motor is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and rotates the corresponding traveling wheel.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노즐이 상기 분체 투입구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호퍼가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킨 다음, 상기 분체 투입구로 해당 배출노즐의 하단이 인입되게 해당 배출노즐이 하강하도록 상기 리프트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drive unit to move the supply hopper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is located above the powder inlet, and then controls the lift unit to lower the discharge nozzl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nozzle is drawn into the powder inlet. can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로더는 상기 배출노즐의 하단부에, 상기 배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송차량의 수용탱크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다수의 접촉감지센서와, 상기 접촉감지센서에서 상기 수용탱크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배출노즐이 상기 분체 투입구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하고, 해당 분체 투입구로 상기 배출노즐이 인입될 수 있게 해당 배출노즐을 이동시키는 보조이동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uto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 detection sensor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nozz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dge of the discharge port to detect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of the transport vehicle, and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When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charge nozzle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and an auxiliary moving part may be further provided to move the discharge nozzle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can be introduced into the powder inlet. there is.

상기 보조이동부는 상기 접촉감지센서에서 상기 수용탱크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배출노즐이 상기 분체 투입구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하는 상태 판별모듈과, 상기 상태 판별모듈에서 상기 배출노즐이 상기 분체 투입구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출노즐이 해당 분체 투입구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수용탱크의 접촉이 감지된 상기 접촉감지센서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해당 배출노즐의 부분이 해당 분체 투입구의 중심 측으로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보조 작동모듈을 구비한다. The auxiliary moving unit includes a state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nozzle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when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is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and the state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nozzle is in the powder inle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charge nozzle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the part of the discharge nozzle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where the contact of the receiving tank is detected is moved to the center of the powder inlet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can be introduced into the powder inlet. It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operation module that operates the driving unit to move it.

한편, 상기 보조이동부는 상기 접촉감지센서에서 상기 수용탱크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배출노즐이 상기 분체 투입구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하는 상태 판별모듈과, 상기 상태 판별모듈에서 상기 배출노즐이 상기 분체 투입구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출노즐이 해당 분체 투입구로 인입될 수 있게 해당 배출노즐을 강제이동시키는 보조 이동유닛을 구비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auxiliary moving unit includes a state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nozzle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when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is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and the state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nozzle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charge nozzle is not inserted into the inlet, an auxiliary movement unit may be provided to forcibly move the discharge nozzle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can be introduced into the powder inlet.

상기 보조 이동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배출구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배출노즐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에어가 주입될 수 있도록 주입공간이 형성되고, 해당 주입공간으로 상기 에어가 주입되면 상기 배출노즐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팽창하되, 상기 수용탱크의 외주면에 간섭되어 상기 배출노즐을 강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타단부가 상기 배출노즐의 하측으로 팽창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팽창튜브와, 상기 팽창튜브들에 상기 에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팽창튜브들에 연결된 가스 주입부와, 상기 배출노즐이 해당 분체 투입구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수용탱크의 접촉이 감지된 상기 접촉감지센서에 인접된 상기 팽창튜브에 상기 에어가 주입되도록 상기 가스 주입부를 제어하는 팽창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The auxiliary moving units ar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nozzle at a position where one end is sp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o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injection space is formed therein so that air can be injected, and the injection space is formed therein.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space, it expands radially based on the center of the discharge nozzle, and the other end expands to the lower side of the discharge nozzle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can be forced to move by interfering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tank. The expansion tube, the gas injection part connected to the expansion tubes to inject the air into the expansion tubes, and the contact where the contact of the receiving tank is detected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rresponding powder inlet. It is provided with an expansion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gas injection unit so that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expansion tube adjacent to the detection sensor.

상기 보조 이동유닛은 상기 배출노즐의 하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해당 배출노즐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간섭블럭과, 상기 간섭블럭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노즐이 상기 수용탱크의 외주면에 접촉될 경우, 해당 수용탱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해당 간섭블럭과 수용탱크의 외주면에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접촉패드와, 상기 간섭블럭들에 설치되어 해당 간섭블럭들을 상호 독립적으로 진퇴시키는 진퇴유닛과, 상기 배출노즐이 해당 분체 투입구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수용탱크의 접촉이 감지된 상기 접촉감지센서에 인접된 상기 간섭블럭이 상기 배출노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진퇴유닛을 제어하는 진퇴 제어모듈을 구비할 수도 있다. The auxiliary mov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ference block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nozz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eating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ischarge nozzle, and a lower portion of the interference block. When the discharge nozzl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tank, a plurality of contact pads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tank and provide a predetermined friction force to the interference block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tank, and the interference blocks. An advance/retract unit is installed to advance and retract the interference block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the interference block adjacent to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detects the contact of the receiving tank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rresponding powder inlet from the discharge nozzle. It may also be provided with an advance/retract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advance/retract unit to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unit.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로더는 주차된 수송차량의 분체 투입구를 감지하고, 배출노즐을 자동으로 해당 분체 투입구에 세팅하여 분립체를 해당 수송차량의 수용탱크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분립체 공급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자가 비숙련자이더라도 분립체의 유실없이 분립체의 공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auto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powder inlet of a parked transport vehicle and automatically set the discharge nozzle to the powder inlet to supply powder to the receiving tank of the transport vehicle, thus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powder supply work.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anpower can be saved, and even if the worker is unskilled, the powder supply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loss of the powder or grai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토 로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의 오토 로더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토 로더에 대한 부분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오토 로더의 배출노즐에 대한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오토 로더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토 로더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토 로더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토 로더에 대한 단면도이다.
1 and 2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n autolo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the autoloader of Figure 1;
4 is a partial side view of an autoloa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view of the discharge nozzle of the autoloader of Figure 4;
Figure 6 is a block diagram of the autoloader of Figure 4,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loa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loa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loa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로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n autolo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ttached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from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로더(100)가 도시되어 있다. 1 to 3 show an autoloa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오토 로더(100)는 다량의 분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탱크(11)가 마련된 수송차량(10)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로(201)가 형성된 프레임(200)과, 상기 진입로(201) 상부의 상기 프레임(200)에, 상기 진입로(201)에 대한 상기 수송차량(10)의 진입방향 또는 해당 진입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분립체 공급부(330)로부터 공급된 상기 분립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공급호퍼(300)와, 상기 공급호퍼(300)를 상기 프레임(200)에 대해 이동시키는 구동부(400)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분립체를, 상기 진입로(201)로 진입한 상기 수송차량(10)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호퍼(300)에 설치되는 배출부재(500)아, 상기 진입로(201)에 진입된 상기 수송차량(10)의 상기 수용탱크(11)의 상부에 형성된 분체 투입구(12)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600)와, 상기 센서부(600)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배출부재(500)의 분립체가 배출되는 부분이 해당 분체 투입구(12)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호퍼(300)가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autoloader 100 includes a frame 200 with an access road 201 formed so that a transport vehicle 10 equipped with a storage tank 11 capable of holding a large amount of powder can enter, It is installed on the frame 200 above the access road 201 to be movable alo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transport vehicle 10 with respect to the access road 201 or the corresponding entry direction, and is supplied from the powder supply unit 330. A supply hopper 300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accommodated, a driving unit 400 that moves the supply hopper 300 with respect to the frame 200, and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is provided in the access road. A discharge member 500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300 to enable discharge to the transport vehicle 10 entering the access road 201, and receiving the transport vehicle 10 entering the access road 201. A sensor unit 600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powder inlet 12 formed at the top of the tank 11, and a portion of the discharge member 500 where the powder is discharged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or unit 600.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700 that controls the driving unit 400 to move the supply hopper 300 to be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wder inlet 12.

상기 프레임(20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골조부재가 상호 고정되어 사각구조물을 이룬다. 여기서, 프레임(200)은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진입로(201)가 형성된다. 수송차량(10)은 해당 진입로(201)의 전방으로 진입하여 수용탱크(11)에 분립체를 수용한 다음, 진입로(201)의 후방으로 진출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rame 200 forms a squar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ing members extending in the up-down, left-right, and front-to-back directions are fixed to each other. Here, an access road 20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rame 200 to penetr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transport vehicle 10 enters the front of the access road 201, receives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in the receiving tank 11, and then advances to the rear of the access road 201.

여기서, 상기 수송차량(10)은 운송 작업자에 의해 운행되는 것으로서, 분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탱크(11)가 연결되어 해당 수용탱크(11)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분립체를 수송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송차량(10)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용탱크(11)는 내부에 분립체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측에 해당 내부공간으로 분립체가 투입되도록 분체 투입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수용탱크(11)는 해당 분체 투입구(12)를 자동을 개폐할 수 있도록 자동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Here, the transport vehicle 10 is operated by a transport worker, and is connected to a receiving tank 11 for accommodating the powder or grain to move the corresponding accommodating tank 11,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to transport the powder or grain. Since the commonly used transport vehicle 10 is applie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receiving tank 11 has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powder or grain is accommodated, and a powder inlet 1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to allow the powder or grain to be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eceiving tank 11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corresponding powder inlet 12.

공급호퍼(300)는 진입로(201) 상측의 프레임(200)에 설치되는데, 하단부가 진입로(201)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급호퍼(300)는 후술되는 구동부(400)의 이동레일(41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공급호퍼(30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진입로(201)에 대한 수송차량(10)의 진입방향의 교차되는 방향, 일예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프레임(2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supply hopper 300 is installed on the frame 200 on the upper side of the access road 201, and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the lower end is exposed to the access road 201. At this time, the supply hopper 300 is installed to be able to slid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long the moving rail 410 of the driving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eanwhile, the supply hopper 300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be installed on the frame 200 so as to be able to slide in a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entry direction of the transport vehicle 10 to the corresponding access road 201, for examp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상술된 공급호퍼(300)는 소정의 좌우 폭을 갖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분립체 공급부(330)에서 공급되는 분립체가 수용공간으로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호퍼(300)는 하단부에 배출부재(500)가 연결되되, 배출부재(500)로 용이하게 분립체가 배출되도록 하부로 갈수록 수용공간의 전후방향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above-mentioned supply hopper 300 has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 extend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has an open top so that the powder or granule supplied from the powder supply unit 330 can be easi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In addition, the supply hopper 300 is connected to a discharge member 500 at the lower end, and is formed so that the width of the receiving spa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decreases toward the bottom so that the powder or grain can be easily discharged into the discharge member 500.

또한, 공급호퍼(300)는 하부에, 배출부재(500)가 설치되는 보조호퍼(310)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보조호퍼(310)는 공급호퍼(300)의 수용공간에 연통되는 연통공간이 내부에 마련되며, 공급호퍼(300)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보조호퍼(310)의 하단부에는 배출부재(500)로의 분립체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단속밸브유닛이 설치될 수도 있다. 해당 단속밸브유닛은 호퍼 내부에 수용된 분립체가 배출되는 호퍼의 배출유로를 개폐하기 위해 해당 호퍼에 설치되는 종래의 개폐수단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supply hopper 300 has an auxiliary hopper 310 installed at the bottom, where the discharge member 500 is installed. The auxiliary hopper 310 has a communication space inside 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space of the supply hopper 300,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upply hopper 30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n intermittent valve unit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hopper 310 to control the supply of powder or grain to the discharge member 500. Since the conventional opening and closing means installed in the hopper is applied to the control valve unit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hopper through which the powder contained inside the hopper is discharged, a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한편, 공급호퍼(300)는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커버링 벨트(3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링 벨트(320)는 공급호퍼(300)의 상면에 대응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전후단부가 각각 벨트 텐션 스프링(321)에 의해 공급호퍼(300)에 세팅된다. 해당 벨트 텐션 스프링(321)은 공급호퍼(300)의 전후면에 각각 설치되어 커버링 벨트(320)가 공급호퍼(3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당 커버링 벨트(320)에 장력을 제공한다. 해당 커버링 벨트(320)는 작업자에 의해 설치 및 해체되는데, 분립체 공급부(330)에서 수용공간으로의 분립체 공급이 완료되면 작업자에 의해 설치되어 수용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분립체 공급부(330)에서 공급호퍼(300)로의 분립체가 공급될 경우, 작업자에 의해 공급호퍼(300)로부터 분리되어 공급호퍼(300)의 상부를 개방시킨다. Meanwhile, a covering belt 320 is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300 to cover the open upper part. The covering belt 320 is formed to have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ly hopper 300, and front and rear ends are set to the supply hopper 300 by the belt tension spring 321, respectively. The belt tension spring 321 is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supply hopper 300, respectively, and tensions the covering belt 320 to maintain the covering belt 320 covering the open upper part of the supply hopper 300. provides. The covering belt 320 is installed and dismantled by the worker. When the supply of powder or grain from the powder supply unit 330 to the receiving space is completed, it is installed by the worker to block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receiving space and to block the powder or grain from entering the receiving space. When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330 to the supply hopper 300, it is separated from the supply hopper 300 by an operator and the upper part of the supply hopper 300 is opened.

상기 분립체 공급부(330)는 공급호퍼(300) 상측의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피딩부재(331)와, 다량의 분립체가 수용된 공급 사일로(332)와, 공급 사일로(332) 내의 분립체를 피딩부재(331)에 공급하기 위해 피딩부재(331) 및 공급 사일로(332) 사이에 연결되는 피딩 파이프(333)와, 상기 피딩 파이프(333)를 개폐하기 위해 해당 피딩 파이프(333)에 설치되는 오토매틱 밸브(334)를 구비한다. The powder or grain supply unit 330 includes a feeding member 331 installed on the frame 200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ly hopper 300, a supply silo 332 in which a large amount of powder or grain is accommodated, and the powder or grain in the supply silo 332. A feeding pipe 333 connected between the feeding member 331 and the supply silo 332 to supply to the feeding member 331, and a feeding pipe 333 installed on the feeding pipe 333 to open and close the feeding pipe 333. It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valve (334).

피딩부재(331)는 공급호퍼(300)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200)에 설치된다. 상기 피딩부재(331)는 내부에, 피딩 파이프(333)를 통해 공급된 분립체가 투입되도록 피딩공간이 마련되며, 피딩공간 내의 분립체가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The feeding member 331 is installed on the frame 200 at a position sp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supply hopper 300. The feeding member 331 is provided with a feeding space inside to allow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feeding pipe 333 to be input, and the lower part is formed to be open so that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feeding space is discharged downward.

공급 사일로(332)는 피딩부재(331)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프레임(200)에 지지된다. 해당 공급 사일로(332)는 다량의 분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일로(silo)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upply silo 332 is supported on the frame 200 at a position sp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feeding member 331. The supply silo 332 is for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powder, and since a silo commonly used in the related art is applie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피딩 파이프(333)는 상단이 공급 사일로(332)에 연결되며, 하단은 피딩부재(331)에 연결된다. 해당 피딩 파이프(333)는 공급 사일로(332)의 분립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분체 유동로(미도시)가 마련되어 있고, 하단부는 피딩부재(331)의 피딩공간에 연통되게 연결된다. 공급 사일로(332) 내의 분립체는 피딩 파이프(333)의 분체 유동로를 통해 피딩부재(331) 내부로 공급된다. The upper end of the feeding pipe 333 is connected to the supply silo 332,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to the feeding member 331. The feeding pipe 333 is provided with a powder flow path (not shown) inside so that the powder or grain of the supply silo 332 can flow, and the lower end is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eeding space of the feeding member 331. The powder in the supply silo 332 is supplied into the feeding member 331 through the powder flow path of the feeding pipe 333.

오토매틱 밸브(334)는 피딩 파이프(333)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피딩 파이프(333) 내부의 분체 유동로를 개폐한다. 해당 오토매틱 밸브(334)는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작동신호에 따라 해당 피딩 파이프(333)의 분체 유동로를 개폐시킨다. The automatic valve 334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eeding pipe 333 and opens and closes the powder flow path inside the feeding pipe 333. The automatic valve 334 opens and closes the powder flow path of the feeding pipe 333 according to an operation signal input by the operator.

한편, 공급호퍼(300)에는,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분립체들이 배출부재(500)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해당 분립체들을 보조호퍼(310) 측으로 유동시키는 유동가이드유닛(340)이 설치되어 있다. Meanwhile, the supply hopper 300 is equipped with a flow guide unit 340 that flows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contained in the receiving space toward the auxiliary hopper 310 so that the powder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member 500. .

상기 유동가이드유닛(340)은 공급호퍼(3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된 에어에 의해 분립체를 유동시키는 복수의 에어컨베이어(345)와, 상기 에어컨베이어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341)를 구비한다. The flow guide unit 340 includes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 bays 345 that are installed inside the supply hopper 300 to flow the powder or grain by the supplied air, and an air supply unit 341 that supplies air to the air conditioner bay. is provided.

에어컨베이어(345)는 복수개가 공급호퍼(300)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다. 해당 에어컨베이어(345)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공급된 에어를 이용하여 미세한 입자의 이송대상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에어 컨베이어 장치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된 에어 컨베이어(345)는 2개가 상기 공급호퍼(300) 하부의 완만한 경사면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air conditioner carriers 345 are installed on the floor inside the supply hopper 300. Although the air conditioner conveyor 345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ir conveyor 345 is omitted because an air conveyor device commonly used in the related art is used to transport fine particle objects using supplied air. It is preferable that two air conveyors 345 described above are installed to cover the gently sloping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supply hopper 300.

에어공급부(341)는 일단이 에어컨베이어(345)들에 연결되는 에어라인(342)과, 상기 에어라인(342)의 타단에 연결되어 해당 에어 공급관을 통해 에어컨베이어(345)에 에어를 공급하는 링 블로워(343)를 구비한다. The air supply unit 341 is connected to an airline 342,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er carriers 345, and the other end of the airline 342, to supply air to the air conditioner carrier 345 through the corresponding air supply pipe. A ring blower (343) is provided.

에어라인(342)은 일단부가 분기되어 해당 에어컨베이어(345)들에 각각 연결되며, 내부에 에어가 유동하는 에어 유동로가 형성되어 있다. 링 블로워(343)는 공급호퍼(3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에어라인(342)으로 외기를 주입한다. 상기 링 블로워(343)는 외기를 강제 송풍시기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블로워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된 유동가이드유닛(340)은 에어공급부(341)에서 공급된 에어를 이용하여 공급호퍼(300) 내의 분립체를 보조호퍼(310)로 유동시키므로 분립체가 원활하게 배출부재(500)로 배출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airline 342 is branched and connected to the respective air conditioner carriers 345, and an air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therein. The ring blower 343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supply hopper 300 and injects external air into the air line 342. Since the ring blower 343 is a conventionally used blower to forcibly blow outside ai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above-mentioned flow guide unit 340 uses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unit 341 to flow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n the supply hopper 300 to the auxiliary hopper 310, so that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discharge member 500. You can.

구동부(400)는 상기 진입로(201) 상부의 상기 프레임(200)에, 상기 공급호퍼(3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이동레일(410)과, 외주면이 상기 이동레일(410)에 접하도록 상기 공급호퍼(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트레블링 휠(420)과, 상기 공급호퍼(300)에 설치되어 해당 트레블링 휠(420)을 회전시키는 트레블링 모터(430)를 구비한다. The driving unit 400 is mounted on the frame 200 at the upper part of the access road 201, has a plurality of moving rails 410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pply hopper 300, and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connected to the moving rail 410. A plurality of traveling wheels 420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ly hopper 300 so as to contact each other, and a traveling motor 430 installed on the supply hopper 300 to rotate the corresponding traveling wheels 420. Equipped with

이동레일(410)은 진입로(201) 상측의 프레임(200)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레일(410)은 복수개가, 공급호퍼(300)의 좌우 폭보다 긴 거리만큼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이동레일(410)은 프레임(200)에 2개가 설치되어 있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공급호퍼(300)의 크기에 따라 1개 또는 3개 이상이 설치될 수도 있다. The moving rail 410 is installed on the frame 200 on the upper side of the access road 201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Here, a plurality of moving rails 410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 distance lon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supply hopper 300. 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wo moving rails 410 are shown installed on the frame 200,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one or three or more moving rails 410 are install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supply hopper 300. It could be.

트레블링 휠(420)은 지지브라켓(421)에 의해 공급호퍼(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트레블링 휠(420)은 하측 외주면이 이동레일(410)에 지지되도록 공급호퍼(300)의 전방 좌우측면 및 후방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해당 트레블링 휠(420)은 이동레일(41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트레블링 휠(42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좌우단부에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해당 이탈방지돌기는 트레블링 휠(420)의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트레블링 휠(4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해당 이탈방지돌기는 이동레일(4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간섭되어 해당 트레블링 휠(420)들이 이동레일(4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traveling wheel 42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ly hopper 300 by a support bracket 421. Here, the traveling wheel 420 is install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ly hopper 300, respectively, so that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is supported by the moving rail 410. The traveling wheel 420 is formed to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moving rail 410.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raveling wheel 420 has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s formed on its left and right ends.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protrud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of the traveling wheel 420 expands and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raveling wheel 420.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interferes with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moving rail 410 to prevent the corresponding traveling wheels 4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oving rail 410.

트레블링 모터(430)는 상기 트레블링 휠(420)에 설치되어 해당 트레블링 휠(42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트레블링 모터(430)는 인가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트레블링 휠(420)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트레블링 모터(430)가 트레블링 휠(420)들 중 1개에만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트레블링 휠(4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The traveling motor 430 is installed on the traveling wheel 420 and rotates the traveling wheel 420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he traveling motor 430 is preferably an electric motor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by applied power,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rotation means that can rotate the traveling wheel 420 can be applied. do. Meanwhile,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traveling motor 430 is installed on only one of the traveling wheels 4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installed on multiple traveling wheels 420.

상기 배출부재(500)는 상기 공급호퍼(300)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해당 공급호퍼(300)의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로딩슈트(510)와, 상기 로딩슈트(51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분립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노즐(520)과, 상기 배출노즐(520)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유닛(530)을 구비한다. The discharge member 500 is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300, has a discharg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and includes a loading chute 510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below the supply hopper 300, and It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oading chute 510 and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nozzle 520 formed at the bottom through which the powder or grain is discharged, and a lift unit 530 that raises and lowers the discharge nozzle 520.

로딩슈트(5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단부가 공급호퍼(300)의 보조호퍼(310)에 연결된다. 해당 로딩슈트(510)는 보조호퍼(310)의 내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로딩슈트(510)는 배출노즐(520)이 리프트 유닛(530)에 의해 상승시 접혀지고, 배출노즐(520)이 하강하면 펼쳐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The loading chute 51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ts upper en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hopper 310 of the supply hopper 300. The loading chute 510 is preferably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auxiliary hopper 310. Here, the loading chute 510 is folded when the discharge nozzle 520 is raised by the lift unit 530 and unfolded when the discharge nozzle 520 is lowered.

배출노즐(520)은 로딩슈트(51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로딩슈트(510)의 배출유로에 연통되는 연통유로(미도시)가 마련되고, 하면에, 분립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노즐(520)은 로딩슈트(510)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단부가 용이하게 수용탱크(11)의 분체 투입구(12)에 인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charge nozzle 52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oading chute 510, and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passage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loading chute 510, and has an outlet on the lower surface through which powder or grain is discharged. It is formed. Here, the discharge nozzle 520 extend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loading chute 510, and the lower end is form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decreases downward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12 of the receiving tank 11. desirable.

한편, 배출노즐(520)의 하단부에는, 수용탱크(11)의 수용공간에 충진된 분립체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레벨 스위치(521)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레벨 스위치(521)는 배출노즐(520)의 하단부와 함께 수용탱크(11) 내부로 인입되어 수용탱크(11) 내에 수용된 분립체의 레벨 즉, 높이를 측정한다. 상기 레벨 스위치(521)는 탱크 내부에 충진된 충진물의 수위 또는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레벨 센서가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nozzle 520, a level switch 521 is installed to detect the amount of powder or granular material fill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receiving tank 11. The level switch 521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tank 11 together with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nozzle 520 and measures the level, that is, the height, of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contained in the receiving tank 11. Since the level switch 521 is a level sensor commonly used in the related art to measure the water level or height of the filling inside the tank,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리프트 유닛(53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보조호퍼(3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드럼과, 일단이 해당 권취드럼에 권취되며, 타단은 배출호퍼에 연결되는 견인 와이어와, 상기 권취드럼에 설치되어 해당 견인 와이어가 권취되는 방향 또는 풀리는 방향으로 해당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리프팅 모터(531)를 구비한다. 해당 견인 와이어는 보조호퍼(310)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롤러에 의해 지지되며, 로딩슈트(510)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출호퍼에 연결된다. 한편, 리프트 유닛(530)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배출노즐(520)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ift unit 530 includes a winding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auxiliary hopper 310, a traction wire with one end wound around the winding drum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pper, and A lifting motor 531 is installed on the winding drum and rotates the winding drum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ction wire is wound or unwound. The traction wire is supported by a support roller installed inside the auxiliary hopper 31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loading chute 510, a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pper. Meanwhile, the lift unit 530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lifting means that can raise and lower the discharge nozzle 520 can be applied.

센서부(600)는 상기 공급호퍼(300)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레이저빔을 출력하고, 상기 수송차량(10)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빔을 수신하는 레이저 센서(610)와, 상기 레이저 센서(610)의 레이저빔 출력시각과 레이저빔 수신시각을 통해 상기 공급호퍼(300)로부터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모듈(620)과, 거리 산출모듈(62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분체 투입구(12)의 위치를 산출하는 정보 산출모듈(630)을 구비한다. The sensor unit 600 includes a laser sensor 610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300 to output a laser beam downward and receive a laser beam reflect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10, and the laser sensor 610. A distance calculation module 620 that calculate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upply hopper 300 through the laser beam output time and laser beam reception time, and the powder inlet 12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istance calculation module 620. It is provided with a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that calculates the location of.

상기 레이저 센서(610)는 배출부재(500)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공급호퍼(300)의 하부에 설치된다. 해당 레이저 센서(61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펄스 레이저빔을 공급호퍼(300)의 하방으로 출력하는 레이저 출력모듈과, 레이저 출력모듈에서 출력되어 수송차량(10)의 상부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빔을 수신하는 레이저 수신모듈을 구비한다. 해당 레이저 센서(610)는 이격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레이저빔을 이용하는 종래의 레이저 센싱수단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laser sensor 610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ly hopper 300 spaced forward from the discharge member 50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aser sensor 610 includes a laser output module that outputs a pulsed laser beam downward from the supply hopper 300, and a laser beam output from the laser output module and reflected from the top of the transport vehicle 10. It is equipped with a laser receiving module that receives. Since the laser sensor 610 uses a conventional laser sensing means that uses a laser beam to measure the separation distanc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거리 산출모듈(620)은 레이저 출력모듈에서 레이저빔이 출력된 출력시각과 레이저 수신모듈에서 레이저빔이 수신된 수신시각을 이용하여 해당 공급호퍼(300)로부터 수송차량(10) 사이의 이격거리를 산출한다. 거리 산출모듈(620)은 산출된 정보를 정보 산출모듈(630)에 제공한다. The distance calculation module 620 calculate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upply hopper 300 and the transport vehicle 10 using the output time when the laser beam is output from the laser output module and the reception time when the laser beam is received from the laser reception module. Calculate The distance calculation module 620 provides the calculated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정보 산출모듈(630)은 진입로(201)에 수송차량(10)이 진입하여 정지하면, 진입로(201)에 진입된 상기 수송차량(10)의 수용탱크(11)에 균일하게 상기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공급호퍼(300)가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400)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작업자는 수송차량(10)이 진입로(201)에 정지하면 수용탱크(11)의 분체 투입구(12)를 개방시킨 상태로 해당 정보 산출모듈(630)에 주차 완료 신호를 입력하고, 해당 정보 산출모듈(630)은 상기 주차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레이저 센서(610)를 작동시킨 상태로 구동부(400)를 제어하여 공급호퍼(300)를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다. When the transport vehicle 10 enters the access road 201 and stops,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uniformly irradiates the laser beam to the storage tank 11 of the transport vehicle 10 entering the access road 201. The driving unit 400 is operated to move the supply hopper 300 as much as possible. Here, when the transport vehicle 10 stops at the access road 201, the worker opens the powder inlet 12 of the receiving tank 11, inputs a parking completion signal to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and calculate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When the parking completion signal is input, the module 630 controls the drive unit 400 while operating the laser sensor 610 to reciprocate the supply hopper 3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다음, 정보 산출모듈(630)은 상기 거리 산출모듈(620)에서 제공되는 산출 정보를 토대로 거리 산출모듈(62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토대로 수용탱크(11)의 분체 투입구(12) 위치를 판별한다. 레이저 센서(610)는 공급호퍼(300)에서 하방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고, 작업자에 의해 수용탱크(11)의 분체 투입구(12)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해당 레이저 센서(610)가 분체 투입구(12)상측을 지날 경우, 해당 레이저빔이 분체 투입구(12)를 통해 수용탱크(11)의 바닥면으로 조사되어 반사된다. 따라서, 분체 투입구(12)에선, 레이저 센서(610)의 레이저빔의 출력시각과 수신시각의 차이가 비교적 커진다. 그러므로 정보 산출모듈(630)은 상기 공급호퍼(300)로부터의 이격거리가 기설정된 기준범위 이상으로 증가하는 영역을 해당 분체 투입구(12)의 위치로 산출한다. 여기서, 기준범위는 작업자에 의해 수송차량(10)의 수용탱크(11)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Next,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powder inlet 12 of the receiving tank 11 based on the calcul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istance calculation module 620. . The laser sensor 610 irradiates a laser beam downward from the supply hopper 300, and since the powder inlet 12 of the receiving tank 11 is opened by the operator, the laser sensor 610 is connected to the powder inlet 12. When passing through the upper side,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tank 11 through the powder inlet 12 and reflected. Therefore, at the powder inlet 12,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put time and the reception time of the laser beam of the laser sensor 610 becomes relatively large. Therefore,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calculates the area where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upply hopper 300 increases beyond the preset reference range as the position of the powder inlet 12. Here, the reference range can be set in various ways by the operator depending on the storage tank 11 of the transport vehicle 10.

여기서, 정보 산출모듈(630)은 공급호퍼(300)로부터의 이격거리가 기준범위 이상으로 증가하는 초기 시점부터 해당 초기 시점 이후에 공급호퍼(300)로부터의 이격거리가 기준범위 이상으로 감소하는 시점까지의 영역을 해당 분체 투입구(12)로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보 산출모듈(630)은 판별된 분체 투입구(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어부(700)에 제공한다. Here,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is configured from the initial point when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upply hopper 300 increases beyond the standard range to the point when the distance from the supply hopper 300 decreases beyond the standard range after the initial point. It is desirable to determine the area up to the corresponding powder inlet 12.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etermined powder inlet 12 to the control unit 700.

한편, 센서부(6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진입로(201)에 진입한 수송차량(10)을 감지하기 위한 주차감지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해당 주차감지부는 진입로(201)를 촬영하기 위해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분석하여 수송차량(10)의 주차 여부를 판별하는 영상분석부재를 구비한다. 영상분석부재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수송차량(10)을 식별하고, 해당 수송차량(10)이 진입로(201)로 진입한 시점 이후에, 정지하면 주차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정보 산출모듈(630)에 주차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된 주차감지부는 진입로(201)에 진입한 수송차량(10)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정보 산출모듈(630)에 주차 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수송차량(10)의 주차상태를 감시하지 않더라도 센서부(600)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nsor unit 600 may include a parking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transport vehicle 10 entering the access road 201. The parking detection unit includes a camera installed on the frame 200 to photograph the access road 201, and an image analysis member that analyze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to determine whether the transport vehicle 10 is parked. The image analysis member identifies the transport vehicle 10 from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and when the transport vehicle 10 stops after entering the access road 201, it is determined that parking is completed and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 can also transmit a parking completion signal. The parking detection unit described above can detect the transport vehicle 10 entering the access road 201 and automatically transmit a parking completion signal to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so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monitor the parking status of the transport vehicle 10. The sensor unit 600 can be easily operated.

제어부(700)는 정보 산출모듈(630)에서 제공되는 분체 투입구(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토대로 배출노즐(520)이 수송차량(10)의 분체 투입구(12)에 인입되도록 구동부(400)재 및 배출부재(50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정보 산출모듈(630)에서 제공되는 분체 투입구(12)의 위치 정보와, 기저장된 공급호퍼(300)에 대한 배출노즐(52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배출노즐(520)이 상기 분체 투입구(12)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호퍼(300)가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400)를 작동시킨다. 다음, 제어부(700)는 공급호퍼(300)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분체 투입구(12)로 해당 배출노즐(520)의 하단이 인입되게 해당 배출노즐(520)이 하강하도록 상기 리프트 유닛(530)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drive unit 400 to allow the discharge nozzle 520 to enter the powder inlet 12 of the transport vehicle 10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bout the powder inlet 12 provided by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and controls the discharge member 500. That is, the control unit 700 discharges the powder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owder inlet 12 provided by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and the previously stored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discharge nozzle 520 with respect to the supply hopper 300. The driving unit 400 is operated to move the supply hopper 300 so that the nozzle 520 is located above the powder inlet 12. Next, when the movement of the supply hopper 30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lift unit 530 to lower the discharge nozzle 52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nozzle 520 is drawn into the powder inlet 12. ) is controlled.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토 로더(100)의 작동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autoloa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수송차량(10)이 프레임(200)의 진입로(201)에 진입하여 주차를 완료하면, 작업자는 수송차량(10)의 수용탱크(11)에 설치된 자동 개폐장치를 작동시켜 수용탱크(11)의 분체 투입구(12)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정보 산출모듈(630)에 주차 완료 신호를 입력한다. First, when the transport vehicle 10 enters the access road 201 of the frame 200 and completes parking, the worker operates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stalled on the receiving tank 11 of the transport vehicle 10 to open the receiving tank 11. ) Open the powder inlet (12). Then, the worker inputs a parking completion signal into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정보 산출모듈(630)은 주차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레이저 센서(610)를 작동시킨 상태로 구동부(400)를 제어하여 공급호퍼(300)를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킨다. 여기서, 정보 산출모듈(630)은 거리 산출모듈(620)에서 제공되는 산출 정보를 토대로 공급호퍼(300)로부터의 이격거리가 기준범위 이상으로 증가하는 영역을 해당 분체 투입구(12)로 판별하고, 판별된 분체 투입구(12)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어부(700)에 제공한다. When the parking completion signal is input,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controls the drive unit 400 while operating the laser sensor 610 to reciprocate the supply hopper 3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Here,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determines the area where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upply hopper 300 increases beyond the reference range as the powder inlet 12 based on the calcul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istance calculation module 620, Position information about the determined powder inlet 12 is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700.

제어부(700)는 정보 산출모듈(630)에서 제공되는 분체 투입구(12)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배출노즐(520)이 상기 분체 투입구(12)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호퍼(300)가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400)를 작동시키고, 상기 분체 투입구(12)로 해당 배출노즐(520)의 하단이 인입되게 해당 배출노즐(520)이 하강하도록 상기 리프트 유닛(530)을 제어한다. 배출노즐(520)의 하강이 완료되면 제어부(700)는 배출노즐(520)을 통해 수용탱크(11)로 분립체가 주입되도록 분립체 공급부(330)의 오토매틱 밸브(334) 또는 단속밸브유닛을 작동시킨다. 즉, 제어부(700)는 공급 사일로(332)에서 공급호퍼(300)로 공급호퍼(300)의 수용공간으로 분립체가 공급되도록 오토매틱 밸브(334)를 작동시켜 피딩 파이프(333)를 개방시킨다. 피딩 파이프(333)를 통해 공급호퍼(300)로 공급된 분립체들은 배출슈트 및 배출노즐(520)을 통해 수용탱크(11) 내부로 수용된다. The control unit 700 moves the supply hopper 300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is located above the powder inlet 12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wder inlet 12 provided by the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630. The driving unit 400 is operated, and the lift unit 530 is controlled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is lowered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nozzle 520 is drawn into the powder inlet 12. When the lowering of the discharge nozzle 520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700 operates the automatic valve 334 or the control valve unit of the powder supply unit 330 so that the powder is injected into the receiving tank 11 through the discharge nozzle 520. I order it. That is, the control unit 700 opens the feeding pipe 333 by operating the automatic valve 334 so that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supplied from the supply silo 332 to the supply hopper 300 an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supply hopper 300. The powder supplied to the supply hopper 300 through the feeding pipe 333 is received into the receiving tank 11 through the discharge chute and discharge nozzle 520.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토 로더(100)는 주차된 수송차량(10)의 분체 투입구(12)를 감지하고, 배출노즐(520)을 자동으로 해당 분체 투입구(12)에 세팅하여 분립체를 해당 수송차량(10)의 수용탱크(11)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분립체 공급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작업자가 비숙련자이더라도 분립체의 유실없이 분립체의 공급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autoloa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detects the powder inlet 12 of the parked transport vehicle 10 and automatically sets the discharge nozzle 520 to the corresponding powder inlet 12 to separate the powder. Since the sieve can be supplied to the receiving tank 11 of the transport vehicle 10, the time and manpower required for powder supply work can be reduced, and even if the worker is unskilled, the powder supply 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loss of powder or granul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performed.

한편,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토 로더(80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ures 4 to 6 show an autoloader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ose in the previously shown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오토 로더(800)는 상기 배출노즐(520)의 하단부에, 상기 배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송차량(10)의 수용탱크(11)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다수의 접촉감지센서(810)와, 상기 접촉감지센서(810)에서 상기 수용탱크(11)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배출노즐(520)이 상기 분체 투입구(12)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하고, 해당 분체 투입구(12)로 상기 배출노즐(520)이 인입될 수 있게 해당 배출노즐(520)을 이동시키는 보조이동부(820)를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autoloader 80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nozzle 5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dge of the discharge port, and detects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11 of the transport vehicle 10. When contact between the receiving tank 11 is detected by a plurality of contact detection sensors 810 and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12. In addition, an auxiliary moving part 820 is further provided to move the discharge nozzle 520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can be introduced into the powder inlet 12.

상기 접촉감지센서(810)는 다수개가 배출노즐(520)의 하면에, 배출구의 중심으로 환형의 궤도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다. 상기 접촉감지센서(810)는 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촉감지수단이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 plurality of the contact detection sensors 810 are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nozzle 5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n annular orbit centered on the discharge port. Since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uses a conventionally commonly used contact detection means to detect contac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보조이동부(820)는 상기 접촉감지센서(810)에서 상기 수용탱크(11)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배출노즐(520)이 상기 분체 투입구(12)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하는 상태 판별모듈(821)과, 상기 상태 판별모듈(821)의 판단 정보에 따라 구동부(400)를 작동시키는 보조 작동모듈(822)을 구비한다. The auxiliary moving unit 820 is a state determination module ( 821 and an auxiliary operation module 822 that operates the driving unit 400 according to the judgment information of the state determination module 821.

상기 상태 판별모듈(821)은 다수의 접촉감지센서(810)들에 연결되어 접촉감지센서(810)들의 감지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태 판별모듈(821)은 접촉감지센서(810)에서 수용탱크(11)의 접촉이 감지되면, 배출노즐(520)의 하면이 분체 투입구(12)로 인입된 것이 아니라 수용탱크(11)의 상면에 충돌하여 배출노즐(520)이 분체 투입구(12)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한다. The state determination module 821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ontact detection sensors 810 and receives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act detection sensors 810. Here, when the state determination module 821 detects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11 at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nozzle 520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12, but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tank 11.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12 after colliding with the upper surface of .

보조 작동모듈(822)은 상기 배출노즐(520)이 상기 분체 투입구(12)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출노즐(520)이 해당 분체 투입구(12)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수용탱크(11)의 접촉이 감지된 상기 접촉감지센서(810)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해당 배출노즐(520)의 부분이 해당 분체 투입구(12)의 중심 측으로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400)를 작동시켜 공급호퍼(300)를 이동시킨다. 일예로, 배출호퍼의 후방에 설치된 접촉감지센서(810)들에서 접촉이 감지되면, 보조 작동모듈(822)은 공급호퍼(300)가 전방으로 소정거리 이동되도록 구동부(400)를 작동시킨다. 이때, 보조 작동모듈(822)은 접촉감지센서(810)들 모두가 접촉이 미감지 상태가 될 때까지 해당 구동부(400)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12, the auxiliary operation module 822 operates the receiving tank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can be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12. Supply by operating the drive unit 400 so that the part of the discharge nozzle 520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where the contact of (11) is detected is moved toward the center of the powder inlet 12. Move the hopper 300. For example, when contact is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on sensors 81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ischarge hopper, the auxiliary operation module 822 operates the drive unit 400 so that the supply hopper 300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operation module 822 operates the corresponding drive unit 400 until all of the contact detection sensors 810 are in a non-detected state.

상술된 오토 로더(800)는 보조이동부(820)에 의해 배출노즐(520)이 수용탱크(11)의 상부에 접촉시 해당 배출노즐(520)을 분체 투입구(12)의 중심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해당 배출노즐(520)이 보다 용이하게 분체 투입구(12)가 인입되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autoloader 800 described above moves the discharge nozzle 520 toward the center of the powder inlet 12 when the discharge nozzle 520 contacts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tank 11 by the auxiliary moving part 82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allows the powder inlet 12 to enter more easily, thereby improving work efficiency.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이동부(830)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ure 7 shows an auxiliary moving unit 8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이동부(830)는 보조 작동모듈(822) 대신에, 상기 상태 판별모듈(821)에서 상기 배출노즐(520)이 상기 분체 투입구(12)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출노즐(520)이 해당 분체 투입구(12)로 인입될 수 있게 해당 배출노즐(520)을 강제이동시키는 보조 이동유닛(840)을 더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auxiliary moving unit 830, instead of the auxiliary operation module 822, is operated when the state determination module 821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12. , and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moving unit 840 that forcibly moves the discharge nozzle 520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can be introduced into the powder inlet 12.

보조 이동유닛(840)은 배출노즐(520)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보조휠(841)과, 상기 보조휠(841)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휠 작동부(미도시)와, 상태 판별모듈(821)에서 제공되는 판단정보를 토대로 휠 제어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The auxiliary movement unit 840 includes a plurality of auxiliary wheels 841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nozzle 520, a wheel operating unit (not shown) that independently rotates the auxiliary wheels 841, and a status determination module. A wheel control module (not shown) is provided based on the judgment information provided at 821.

상기 보조휠(841)은 다수개가 각 접촉감지센서(810)에 인접된 배출호퍼의 외주면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보조휠(841)은 배출구의 반경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조휠(841)은 하부 외주면이 접촉감지센서(810)와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출호퍼에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the auxiliary wheels 841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hopper adjacent to each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Here, the auxiliary wheel 841 is installed to rotate around an imaginary center line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utlet. In addition, the auxiliary wheel 841 is preferably set in the discharge hopper so that its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휠 작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보조휠(841)을 회전시키기 위해 해당 보조휠(841)들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회전모터를 구비한다. 이때, 회전모터는 배출구의 중심 측으로 이동력이 발생되는 방향으로 상기 보조휠(841)을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wheel operat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rotation motors installed on each of the auxiliary wheels 841 to rotate the auxiliary wheels 841.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motor rotates the auxiliary wheel 841 in a direction in which a moving force is generated toward the center of the outlet.

휠 제어모듈은 상태 판별모듈(821)에서 배출노즐(520)이 상기 분체 투입구(12)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출노즐(520)이 해당 분체 투입구(12)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수용탱크(11)의 접촉이 감지된 상기 접촉감지센서(810)에 인접된 보조휠(841)이 회전하도록 휠 작동부를 제어한다. 이때, 보조 작동모듈(822)은 접촉감지센서(810)들 모두가 접촉이 미감지 상태가 될 때까지 보조휠(841)이 회전하도록 휠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status determination module 821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12, the wheel control module allows the discharge nozzle 520 to be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12. The wheel operating unit is controlled so that the auxiliary wheel 841 adjacent to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which detects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11, rotate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operation module 822 operates the wheel operation unit so that the auxiliary wheel 841 rotates until all of the contact detection sensors 810 are in a non-detected state.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보조 이동유닛(840)은 배출노즐(520)이 수용탱크(11) 상부에 접촉시 해당 배출노즐(520)에 이동력을 제공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배출노즐(520)이 분체 투입구(12)로 인입될 수 있다. The auxiliary movement unit 8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moving force to the discharge nozzle 520 when the discharge nozzle 520 contacts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tank 11,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can be more stably moved to the powder inlet. It can be introduced into (12).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이동유닛(85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ure 7 shows an auxiliary mobile unit 8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이동유닛(850)은 배출노즐(520)의 외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팽창튜브(851)와, 상기 팽창튜브(851)에 에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팽창튜브(851)들에 연결된 가스 주입부(852)와, 접촉감지센서(810)들의 감지 정보를 토대로 가스 주입부(852)를 제어하는 팽창 제어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auxiliary moving unit 850 includes a plurality of expansion tubes 851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nozzle 520, and expansion tubes 851 to inject air into the expansion tubes 851. It is provided with a gas injection unit 852 connected to and an expansion control module (not shown) that controls the gas injection unit 852 based on detection information from the contact detection sensors 810.

팽창튜브(851)는 일단부가 배출구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배출노즐(52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다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팽창튜브(851)는 내부에 에어가 주입될 수 있도록 주입공간이 형성되고, 해당 주입공간으로 에어가 주입되면, 상기 배출노즐(5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팽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는 팽창시 수용탱크(11)의 상부 외주면에 간섭되어 배출노즐(520)을 강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타단부가 배출노즐(520)의 하측으로 팽창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xpansion tube 851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nozzle 520 with one end spaced upward from the discharge port, and a plurality of expansion tubes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expansion tube 851 has an injection space formed inside it so that air can be injected, and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it is formed to expand radially based on the center of the discharge nozzle 520. . In addition, the air interferes with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tank 11 when expanded, so that the other end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expand downward to the discharge nozzle 520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can be forced to move.

가스 주입부(852)는 팽창튜브(851)의 주입공간으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팽창튜브(851)들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주입관(853)과, 상기 주입관(853)을 개폐할 수 있도록 주입관(853)들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개폐밸브와, 상기 주입관(853)에 연결되며, 주입관(853)으로 외기를 강제 송풍하는 팽창 블로워를 구비한다. 상기 개폐밸브들 및 팽창 블로워는 팽창 제어모듈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한편, 가스 주입부(852)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팽창튜브(851)에 상호 독립적으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는 가스 주입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The gas injection unit 852 can open and close a plurality of injection pipes 853 installed in each of the expansion tubes 851 to inject air into the injection space of the expansion tube 851, and the injection pipe 853.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pening and closing valve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jection pipes 853, and an expansion blower connected to the injection pipe 853 and forcibly blowing outside air into the injection pipe 853. The operation of the opening/closing valves and the expansion blower is controlled by an expansion control module. Meanwhile, the gas injection unit 852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gas injection means that can independently inject air into each expansion tube 851 can be applied.

팽창 제어모듈은 상태 판별모듈(821)에서 배출노즐(520)이 상기 분체 투입구(12)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출노즐(520)이 해당 분체 투입구(12)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수용탱크(11)의 접촉이 감지된 상기 접촉감지센서(810)에 인접된 팽창튜브(851)가 팽창하도록 해당 팽창튜브(851)에 에어가 주입되게 상기 가스 주입부(852)의 개폐밸브 및 팽창 블로워를 작동시킨다. 일예로, 배출호퍼의 후방에 설치된 접촉감지센서(810)들에서 접촉이 감지되면, 팽창 제어모듈은 접촉이 감지된 접촉감지센서(810)에 인접된 팽창튜브(851)만 팽창하도록 해당 팽창튜브(851)에 연결된 주입관(853)의 개폐밸브를 작동시켜 해당 주입관(853)을 개방시킨 다음, 팽창 블로워를 작동시킨다. 이때 개방된 주입관(853)을 통해 에어가 팽창튜브(851)로 주입되어 해당 팽창튜브(851)가 팽창하고, 해당 팽창튜브(851)는 팽창시 수용탱크(11)의 상부에 간섭되어 배출호퍼를 분체 투입구(12) 측으로 이동시킨다. If the state determination module 821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12, the expansion control module allows the discharge nozzle 520 to be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12. An opening/closing valve of the gas injection unit 852 to inject air into the expansion tube 851 so that the expansion tube 851 adjacent to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which detects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11, expands. and operate the expansion blower. For example, when contact is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on sensors 81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ischarge hopper, the expansion control module expands only the expansion tube 851 adjacent to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where the contact was detected. The opening/closing valve of the injection pipe 853 connected to (851) is operated to open the injection pipe 853, and then the expansion blower is operated. At this time, air is injected into the expansion tube 851 through the open injection pipe 853 to expand the expansion tube 851, and when the expansion tube 851 is expanded, it interferes with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tank 11 and is discharged. Move the hopper to the powder inlet (12).

한편, 팽창 제어모듈은 접촉감지센서(810)에서 접촉이 미감지되면 분체 투입구(12) 측으로 배출호퍼의 이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팽창튜브(851)를 수축시키기 위해 해당 팽창튜브(851) 내의 에어를 배출시키도록 해당 팽창 블로워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Meanwhile, when no contact is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the expansion control module determines that the movement of the discharge hopper toward the powder inlet 12 has been completed and moves the expansion tube 851 within the expansion tube 851 to shrink the expansion tube 851. The corresponding expansion blower may be activated to expel air.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이동유닛(86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ure 9 shows an auxiliary mobile unit 86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이동유닛(860)은 배출노즐(520)의 외주면에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간섭블럭(861)과, 상기 간섭블럭(861)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접촉패드(862)와, 상기 간섭블럭(861)들에 설치되어 해당 간섭블럭(861)들을 상호 독립적으로 진퇴시키는 진퇴유닛(863)과, 상기 진퇴유닛(863)을 제어하는 진퇴 제어모듈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auxiliary movement unit 860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ference blocks 861 install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nozzle 520, and a plurality of contact pad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interference blocks 861. It is provided with (862), an advance/retract unit 863 installed on the interference blocks 861 to advance/retract the interference blocks 861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an advance/retract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advance/retract unit 863.

간섭블럭(861)은 진퇴유닛(863)에 의해 배출노즐(5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수의 간섭블럭(861)은 배출노즐(520)의 하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세팅된다. 또한, 간섭블럭(861)은 하면이 접촉감지센서(810)에 대응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배출호퍼에 세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terference block 861 is installed to be able to advance and retreat radially based on the center of the discharge nozzle 520 by the advance and retreat unit 863. A plurality of interference blocks 861 are se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nozzle 5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the interference block 861 is preferably set in the discharge hopper so that its lower surface is locat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접촉패드(862)는 간섭블럭(861)의 하면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접촉패드(862)는 상기 배출노즐(520)이 상기 수용탱크(11)의 외주면에 접촉될 경우, 해당 수용탱크(1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해당 간섭블럭(861)과 수용탱크(11)의 외주면에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고무와 같이 소정의 마찰계수를 갖는 소재가 적용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접촉패드(862)는 수용탱크(11)의 외주면과의 미끄럼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부 표면이 거칠게 형성될 수도 있다. The contact pad 862 is formed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ference block 861. Here, the contact pad 862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tank 11 when the discharge nozzle 52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tank 11, thereby forming the interference block 861 and the receiving tank 11. ) A material with a predetermined coefficient of friction, such as rubber, is appli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friction forc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pad 862 may be formed to be rough to prevent slipping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tank 11.

진퇴유닛(863)은 일단이 배출구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배출노즐(52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배출노즐(5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신축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864)와, 액츄에이터(864)들의 타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하부에 간섭블럭(861)이 설치되는 다수의 간섭브라켓(865)을 구비한다. The advance and retreat units 863 ar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nozzle 520 at a position sp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o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expand and contract radially based on the center of the discharge nozzle 520.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ctuators 864 and a plurality of interference brackets 865, each of which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actuators 864, and an interference block 861 is installed at the bottom.

상기 액츄에이터(864)는 간섭블럭(861)들에 대응되는 갯수가 해당 배출노즐(520)에 설치되며, 유압실린더 또는 스크류 잭과 같이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수단이 적용된다. 간섭브라켓(865)은 액츄에이터(864)의 타단에 고정되며, 해당 액츄에이터(864)의 하방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분과, 제1연장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배출호퍼 측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분과, 제2연장부분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하단에 상기 간섭블럭(861)이 고정된 제3연장부분으로 구성된다. The number of actuators 864 corresponding to the interference blocks 861 is installed on the corresponding discharge nozzle 520, and an extension means that extends and contrac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or screw jack, is applied. The interference bracket 865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actuator 864 and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extending downward of the actuator 864, a second extension part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extension towards the discharge hopper, and , It extends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and consists of a third extension part at the bottom of which the interference block 861 is fixed.

진퇴 제어모듈은 상태 판별모듈(821)에서 배출노즐(520)이 상기 분체 투입구(12)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출노즐(520)이 해당 분체 투입구(12)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수용탱크(11)의 접촉이 감지된 상기 접촉감지센서(810)에 인접된 간섭블럭(861)이 배출노즐(5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진퇴유닛(863)을 제어한다. 일예로, 배출호퍼의 후방에 설치된 접촉감지센서(810)에서 접촉이 감지되면, 진퇴 제어모듈은 접촉이 감지된 접촉감지센서(810)에 인접된 간섭블럭(861)만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해당 간섭블럭(861)에 연결된 액츄에이터(864)를 작동시킨다. 해당 간섭블럭(861)은 접촉패드(862)에 의해 수용탱크(11)에 간섭되므로 액츄에이터(864)의 신축에 의해 배출노즐(520)은 분체 투입구(12) 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배출노즐(520)에서 배출되는 분립체는 유실없이 모두 분체 투입구(12)로 투입된다. If the state determination module 821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nozzle 520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12, the advance/retract control module allows the discharge nozzle 520 to be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12. The advance/retract unit 863 is controlled so that the interference block 861 adjacent to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which detects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11,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scharge nozzle 520. For example, when contact is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ischarge hopper, the advance and retreat control module moves the interference block 861 adjacent to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810 where the contact was detected to the rear. Actuator 864 connected to block 861 is operated. Since the interference block 861 interferes with the receiving tank 11 by the contact pad 862, the discharge nozzle 520 moves toward the powder inlet 12 by expanding and contracting the actuator 864. Accordingly, all of the powd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nozzle 520 is input into the powder inlet 12 without loss.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use or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broa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 오터 로더 200: 프레임
300: 공급호퍼 310: 보조호퍼
320: 커버링 벨트 330: 분립체 공급부
331: 피딩부재 332: 공급 사일로
333: 피딩 파이프 334: 오토매틱 밸브
340: 유동가이드유닛 341: 에어공급부
342: 에어라인 343: 링 블로워
400: 구동부 410: 이동레일
420: 트레블링 휠 430: 트레블링 모터
500: 배출부재 510: 로딩슈트
520: 배출노즐 530: 리프트 유닛
600: 센서부 610: 레이저 센서
620: 거리 산출모듈 630: 정보 산출모듈
700: 제어부
100: Otter Loader 200: Frame
300: Supply hopper 310: Auxiliary hopper
320: covering belt 330: powder supply unit
331: Feeding member 332: Supply silo
333: Feeding pipe 334: Automatic valve
340: Flow guide unit 341: Air supply unit
342: Airline 343: Ring blower
400: driving unit 410: moving rail
420: traveling wheel 430: traveling motor
500: discharge member 510: loading chute
520: Discharge nozzle 530: Lift unit
600: Sensor unit 610: Laser sensor
620: Distance calculation module 630: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700: Control unit

Claims (10)

다량의 분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탱크가 마련된 수송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로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진입로 상부의 상기 프레임에, 상기 진입로에 대한 상기 수송차량의 진입방향 또는 해당 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분립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분립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공급호퍼;
상기 공급호퍼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분립체를, 상기 진입로로 진입한 상기 수송차량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호퍼에 설치되는 배출부재;
상기 진입로에 진입된 상기 수송차량의 상기 수용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분체 투입구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배출부재의 분립체가 배출되는 부분이 해당 분체 투입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호퍼가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공급호퍼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레이저빔을 출력하고, 상기 수송차량에서 반사되는 레이저빔을 수신하는 레이저 센서;
상기 레이저 센서의 레이저빔 출력시각과 레이저빔 수신시각을 통해 상기 공급호퍼로부터의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모듈; 및
상기 진입로에 진입된 상기 수송차량의 수용탱크에 균일하게 상기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상기 공급호퍼가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되, 상기 거리 산출모듈에서 제공되는 산출 정보를 토대로 상기 공급호퍼로부터의 이격거리가 기설정된 기준범위 이상으로 증가하는 영역을 해당 분체 투입구의 위치로 산출하는 정보 산출모듈;을 구비하는,
오토 로더.
A frame formed with an access road so that a transport vehicle equipped with a storage tank capable of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powder can enter;
It is installed on the frame at the upper part of the access road to be movable alo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transport vehicle to the access road or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ntry direction, and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supplied from the powder or granular supply unit is accommodated. hopper;
a driving unit that moves the supply hopper relative to the frame;
a discharge member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to discharge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to the transport vehicle entering the access road;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powder inlet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tank of the transport vehicle entering the access road;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e unit to move the supply hopper so that the part where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member is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wder inlet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or unit,
The sensor unit
A laser sensor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to output a laser beam downward and receive a laser beam reflected from the transport vehicle;
a distance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upply hopper through the laser beam output time and laser beam reception time of the laser sensor; and
The driving unit is operated to move the supply hopper so that the laser beam is uniformly irradiated to the receiving tank of the transport vehicle entering the access road,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supply hopper is based on the calcul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distance calculation module. An information calculation module that calculates the area that increases beyond the preset reference range as the location of the powder inlet,
Autoload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는
상기 공급호퍼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연통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고, 해당 공급호퍼의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로딩슈트;
상기 로딩슈트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분립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배출노즐; 및
상기 배출노즐을 승강시키는 리프트 유닛;을 구비하는,
오토 로더.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charge member is
a loading chute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forming a discharg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below the supply hopper;
A discharge nozzl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oading chute and having an discharge port at the bottom through which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discharged; and
Provided with a lift unit that raises and lowers the discharge nozzle,
Autoloader.
다량의 분립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탱크가 마련된 수송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진입로가 형성된 프레임;
상기 진입로 상부의 상기 프레임에, 상기 진입로에 대한 상기 수송차량의 진입방향 또는 해당 진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분립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상기 분립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공급호퍼;
상기 공급호퍼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분립체를, 상기 진입로로 진입한 상기 수송차량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호퍼에 설치되는 배출부재;
상기 진입로에 진입된 상기 수송차량의 상기 수용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분체 투입구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제공되는 감지 정보를 토대로 상기 배출부재의 분립체가 배출되는 부분이 해당 분체 투입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호퍼가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진입로 상부의 상기 프레임에, 상기 공급호퍼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동레일;
외주면이 상기 이동레일에 접하도록 상기 공급호퍼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레블링 휠;
상기 공급호퍼에 설치되어 해당 트레블링 휠을 회전시키는 트레블링 모터;를 구비하는,
오토 로더.
A frame formed with an access road so that a transport vehicle equipped with a storage tank capable of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powder can enter;
It is installed on the frame at the upper part of the access road to be movable along the entry direction of the transport vehicle to the access road or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ntry direction, and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supplied from the powder or granular supply unit is accommodated. hopper;
a driving unit that moves the supply hopper relative to the frame;
a discharge member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to discharge the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to the transport vehicle entering the access road;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the powder inlet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receiving tank of the transport vehicle entering the access road;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drive unit to move the supply hopper so that the part where the powder or granular material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member is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wder inlet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ensor unit,
The driving part
At least one moving rail extending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pply hopper on the frame above the access road;
a traveling wheel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ly hopper so that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moving rail;
Provided with a traveling motor installed in the supply hopper and rotating the corresponding traveling wheel,
Autoload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출노즐이 상기 분체 투입구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공급호퍼가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킨 다음, 상기 분체 투입구로 해당 배출노즐의 하단이 인입되게 해당 배출노즐이 하강하도록 상기 리프트 유닛을 제어하는,
오토 로더.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drive unit to move the supply hopper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is located above the powder inlet, and then controls the lift unit to lower the discharge nozzl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nozzle is drawn into the powder inlet. doing,
Autoload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노즐의 하단부에, 상기 배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수송차량의 수용탱크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다수의 접촉감지센서; 및
상기 접촉감지센서에서 상기 수용탱크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배출노즐이 상기 분체 투입구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하고, 해당 분체 투입구로 상기 배출노즐이 인입될 수 있게 해당 배출노즐을 이동시키는 보조이동부;를 더 구비하는,
오토 로더.
According to clause 5,
A plurality of contact detection sensor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nozz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edge of the discharge port to detect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of the transport vehicle; and
An auxiliary moving part that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nozzle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when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is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and moves the discharge nozzle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can be introduced into the powder inlet; Further comprising,
Autoload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동부는
상기 접촉감지센서에서 상기 수용탱크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배출노즐이 상기 분체 투입구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하는 상태 판별모듈; 및
상기 상태 판별모듈에서 상기 배출노즐이 상기 분체 투입구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출노즐이 해당 분체 투입구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수용탱크의 접촉이 감지된 상기 접촉감지센서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해당 배출노즐의 부분이 해당 분체 투입구의 중심 측으로 이동되게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보조 작동모듈;을 구비하는,
오토 로더.
According to clause 6,
The auxiliary moving part
a state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that the corresponding discharge nozzle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when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detects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and
If the state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nozzle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where the contact of the receiving tank is detected is corresponded to allow the discharge nozzle to be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An auxiliary operating module that operates the driving unit to move the portion of the discharge nozzle toward the center of the powder inlet,
Autoload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이동부는
상기 접촉감지센서에서 상기 수용탱크의 접촉이 감지되면 해당 배출노즐이 상기 분체 투입구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하는 상태 판별모듈; 및
상기 상태 판별모듈에서 상기 배출노즐이 상기 분체 투입구에 미인입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배출노즐이 해당 분체 투입구로 인입될 수 있게 해당 배출노즐을 강제이동시키는 보조 이동유닛;을 구비하는,
오토 로더.
According to clause 6,
The auxiliary moving part
a state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that the corresponding discharge nozzle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when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detects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and
When the state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es that the discharge nozzle is not inserted into the powder inlet, an auxiliary movement unit forcibly moves the discharge nozzle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can be introduced into the powder inlet.
Autoload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이동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배출구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배출노즐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에어가 주입될 수 있도록 주입공간이 형성되고, 해당 주입공간으로 상기 에어가 주입되면 상기 배출노즐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팽창하되, 상기 수용탱크의 외주면에 간섭되어 상기 배출노즐을 강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타단부가 상기 배출노즐의 하측으로 팽창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팽창튜브;
상기 팽창튜브들에 상기 에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팽창튜브들에 연결된 가스 주입부; 및
상기 배출노즐이 해당 분체 투입구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수용탱크의 접촉이 감지된 상기 접촉감지센서에 인접된 상기 팽창튜브에 상기 에어가 주입되도록 상기 가스 주입부를 제어하는 팽창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오토 로더.
According to clause 8,
The auxiliary mobile unit is
One end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charge nozzle at a position spac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o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injection space is formed therein so that air can be injected, and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injection space. A plurality of expansion tubes that, when injected, expand radially based on the center of the discharge nozzle, with the other end expanding downward to the discharge nozzle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can be forcibly moved by interfering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tank;
a gas injection unit connected to the expansion tubes to inject air into the expansion tubes; and
An expansion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gas injection unit to inject the air into the expansion tube adjacent to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that senses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rresponding powder inlet.
Autoload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이동유닛은
상기 배출노즐의 하단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해당 배출노즐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간섭블럭;
상기 간섭블럭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출노즐이 상기 수용탱크의 외주면에 접촉될 경우, 해당 수용탱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해당 간섭블럭과 수용탱크의 외주면에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접촉패드;
상기 간섭블럭들에 설치되어 해당 간섭블럭들을 상호 독립적으로 진퇴시키는 진퇴유닛;
상기 배출노즐이 해당 분체 투입구로 인입될 수 있게 상기 수용탱크의 접촉이 감지된 상기 접촉감지센서에 인접된 상기 간섭블럭이 상기 배출노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상기 진퇴유닛을 제어하는 진퇴 제어모듈;을 구비하는,
오토 로더.
According to clause 8,
The auxiliary mobile unit is
A plurality of interference block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nozz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ut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eating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ischarge nozzle;
It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interference block, and when the discharge nozzle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tank, a plurality of contacts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tank to provide a predetermined friction force between the interference block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ceiving tank. pad;
an advance/retract unit installed on the interference blocks to advance/retract the interference block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 advance/retract control module that controls the advance/retract unit to move the interference block adjacent to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which senses contact with the receiving tank,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scharge nozzle so that the discharge nozzle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rresponding powder inlet; Equipped with,
Autoloader.
KR1020230065874A 2023-05-22 2023-05-22 Auto loader KR1026458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874A KR102645841B1 (en) 2023-05-22 2023-05-22 Auto loa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5874A KR102645841B1 (en) 2023-05-22 2023-05-22 Auto loa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841B1 true KR102645841B1 (en) 2024-03-08

Family

ID=90235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5874A KR102645841B1 (en) 2023-05-22 2023-05-22 Auto loa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84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4466A (en) * 1996-12-27 1998-07-28 Hitachi Metals Ltd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supply device
KR20010108560A (en) * 2000-05-29 2001-12-08 이은정 apparatus for loading dump truck etc with solid by combining hinge and chute
KR200350667Y1 (en) 2004-02-03 2004-05-13 대한시멘트 주식회사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shifting
KR101692206B1 (en) * 2016-07-20 2017-01-04 (주)서흥산업기계 Apparatus for loading automatically grain or feed in transpo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4466A (en) * 1996-12-27 1998-07-28 Hitachi Metals Ltd Powder and granular material supply device
KR20010108560A (en) * 2000-05-29 2001-12-08 이은정 apparatus for loading dump truck etc with solid by combining hinge and chute
KR200350667Y1 (en) 2004-02-03 2004-05-13 대한시멘트 주식회사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for shifting
KR101692206B1 (en) * 2016-07-20 2017-01-04 (주)서흥산업기계 Apparatus for loading automatically grain or feed in transpor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 제10-1692206호(2017.1.4. 공고)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5370C (en) Operating granular material conveyors near capacity
US6203261B1 (en) Adjustable reclaiming device for moving bulk material
US11691831B2 (en) Portable conveyor system including pivotable and extendable feed conveyors for feeding particulate material into an elevating assembly
KR102154171B1 (en) Powder batch processing system
JP6349400B2 (en) Lifting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KR102645841B1 (en) Auto loader
US20070295581A1 (en) Transport discharge material flow regulation device and method
KR102314132B1 (en) Bulkhead structure of vehicle loading box
US6238162B1 (en) Transportable apparatus for unloading material from a dump truck
US4819700A (en) System for loading bulk containers with fluent material from overhead storage bin
CN104816957B (en) Light-duty gate seat bulk goods ship unloaders load hopper with movable environmental protection chemical fertilizer
KR101692206B1 (en) Apparatus for loading automatically grain or feed in transport
KR102159402B1 (en) Cargo box for truck
CN212049634U (en) Aggregate device for loading bulk cargo without landing
JPH02215621A (en) Baglike load loading method in baglike load loader for dolly
US20070297883A1 (en) Bulk material unloading system and method
EP0153032B1 (en) Goods distribution vehicle
EP3514009B1 (en) Transportation vehicle
CN211812431U (en) Direct-unloading direct-loading bulk cargo ship loading device
CN212739912U (en) Swing chute with auxiliary discharging gate
US4909288A (en) System for filling bulk container from an overhead storage bin
CN111232687A (en) Direct-unloading direct-loading bulk cargo ship loading device
EP3737629B1 (en) Top seal for a loading/unloading dock, dock, distribution centre and method therefor
JP2022184306A (en) Adhesion prevention agent spraying device for asphalt mixture transport vehicle
US3372791A (en) Mobile elevator t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