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815B1 - Robot - Google Patents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815B1
KR102645815B1 KR1020170007036A KR20170007036A KR102645815B1 KR 102645815 B1 KR102645815 B1 KR 102645815B1 KR 1020170007036 A KR1020170007036 A KR 1020170007036A KR 20170007036 A KR20170007036 A KR 20170007036A KR 102645815 B1 KR102645815 B1 KR 102645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support
unit
restrain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84242A (en
Inventor
남상준
Original Assignee
한화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로보틱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로보틱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815B1/en
Publication of KR20180084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2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8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5Manipulators for mechanical process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75Means for protecting the manipulator from its environment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91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지면 또는 외부기기 중 하나에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는 센서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부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부의 끝단에 배치되는 워크부와, 인접하는 상기 연결부 사이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워크부 사이에 배치되는 관절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robo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art inserted into either the ground or an external device, a sensor part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at least two or more connection part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and a work part arranged at the end of the at least two or more connection parts. and a joint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connection portions an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work portion.

Description

로봇{Robot}Robot {Robot}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로봇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vices, and more specifically to robots.

로봇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로봇 중 물건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조로봇은 일단이 구속된 상태에서 제조로봇의 끝단이 다양한 운동을 구현함으로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로봇은 외부의 물체에 일단이 구속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로봇은 구속된 일단과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부, 2개 이상의 연결부 중 하나에 연결되는 워크부 및 인접하는 연결부 사이 및 연결부와 워크부 사이를 연결하는 관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로봇은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워크부의 끝단에 설치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에서 측정된 결과값을 근거로 로봇은 워크부에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만 측정할 수 있다. Robots can be used in a variety of fields. In particular, among these robots, manufacturing robots used in the manufacture of objects can perform tasks by implementing various movements at the ends of the manufacturing robot while one end is restrained. In this case, the robot may be installed so that one end is restrained by an external object. Additionally, the robot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connection part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strained end, a work part connected to one of the two or more connection parts, and joint parts connecting adjacent connection parts and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and the work part.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obot may include a sensor installed at the end of the work unit. In this case, the robot can only measure the force applied to the workpiece based on the results measured by the sensor.

상기와 같은 로봇에 연결부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부는 외부 물체에 고정됨으로써 지지부가 외부 물체에 힘을 가하거나 외부 물체로부터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로봇의 경우 로봇의 연결부 내지 관절부 등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의 센서만으로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robot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is fixed to an external object, which may cause the support part to apply force to the external object or break away from the external object.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bove robot,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obot's joints or joints, it is impossible to measure with the above sensor alone.

이러한 로봇은 일본등록특허 제5873799호(발명의 명칭: 개량된 관절식 암, 출원인 : HEXAGON METROLOGY AKTIEBOLAGET)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습니다. Such a robot is specifically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5873799 (Invention Title: Improved Articulated Arm, Applicant: HEXAGON METROLOGY AKTIEBOLAGET).

일본등록특허 제5873799호Japanese Patent No. 5873799

본 발명은 로봇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robo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지면 또는 외부기기 중 하나에 삽입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는 센서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부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부의 끝단에 배치되는 워크부와, 인접하는 상기 연결부 사이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워크부 사이에 배치되는 관절부를 포함하는 로봇을 제공할 수 있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art inserted into one of the ground or an external device, a sensor part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at least two or more connection part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and disposed at the ends of the at least two or more connection par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obot including a work part and joint parts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connection parts and between the connection parts and the work part.

또한, 상기 지면 또는 상기 외부기기 중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지지부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구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restraining unit that is disposed on either the ground or the external device and restrains or releases the support unit based on a result measured by the sensor unit.

또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지면 또는 상기 외부기기 중 하나에 배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traint part may include a driving part disposed on either the ground or the external device, and a contact part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and selectively contacting the support par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art.

또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지면 또는 상기 외부기기 중 하나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straint par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art disposed between the contact part and one of the ground or the external devic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ntact part.

또한, 상기 지면 또는 상기 외부기기 중 하나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ush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one of the ground or the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로봇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로봇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로봇의 지지부를 해제하거나 구속함으로써 로봇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apable of detecting external force applied to a robot. Additional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the stability of the robot by releasing or restraining the support portion of the robot depending o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bo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속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봇의 제어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로봇의 제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로봇의 제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straint part of Figure 1.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sequence of the robot shown in FIG. 1.
FIG.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first operation of the robot shown in FIG. 1.
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second operation of the robot shown in FIG. 1.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Meanwhile,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or does not rule out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속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straint part of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로봇(100)은 지지부(110), 센서부(120), 연결부(130), 워크부(140), 관절부(150), 구속부(160), 쿠션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robot 100 includes a support part 110, a sensor part 120, a connection part 130, a work part 140, a joint part 150, a restraint part 160, and a cushion part ( 170) and a control unit 180.

지지부(110)는 지면(B) 또는 외부기기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외부기기는 이동 가능한 장치(예를 들면, 카트, 자동차 등), 별도의 지지프레임, 별도의 제조장치(예를 들면, 공작기계 등) 등 일반적으로 로봇(100)이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로봇(100)이 지면(B)에 배치되어 지면(B)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support unit 110 may be installed either on the ground (B) or on an external device. At this time, the external device is generally a variety of devices on which the robot 100 can be installed, such as a movable device (e.g., a cart, a car, etc.), a separate support frame, and a separate manufacturing device (e.g., a machine tool, etc.). May include devices.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robot 100 is placed on the ground (B) and installed on the ground (B).

지지부(110)는 지면(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0)는 적어도 일부분이 타원의 일부, 반구, 구(sphere) 또는 타원 중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부(110)는 지면(B)에 삽입되어 연결부(130)가 다양한 형태로 움직일 때, 다양하게 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 support portion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ground (B). At this time,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1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one of a portion of an ellipse, a hemisphere, a sphere, or an ellipse. In this case, the support part 11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B and can move in various ways when the connection part 130 moves in various shapes.

상기와 같은 지지부(110)에는 구속부(16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110a)은 구속부(16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지지부(11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An insertion groove 110a into which a part of the restraint part 160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art 110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insertion groove 110a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10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restraint parts 160.

센서부(120)는 지지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120)는 연결부(130), 워크부(140) 및 관절부(150) 중 적어도 하나에 가해지는 힘, 토크 및 변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센서부(120)는 힘-토크 센서(Force-Torque sensor) 또는 변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or unit 120 may be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110.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120 is capable of detecting at least one of force, torque, and displacement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part 130, the work part 140, and the joint part 150.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120 may include a force-torque sensor or a displacement sensor.

연결부(130)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부(130)는 지지부(1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서로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At least two connection parts 130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at least two or more connection parts 130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10 and may be connected to enable relative movement.

연결부(130)는 지지부(110)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0)는 제1 연결부(131)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132), 제2 연결부(132)와 연결되는 제3 연결부(133) 및 제3 연결부(133)와 연결되는 제4 연결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30)의 개수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보다 적게 구비되거나 많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연결부(130)가 제1 연결부(131) 내지 제4 연결부(134)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nection part 13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131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10. 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130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portion 132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31, a third connection portion 133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2, and a fourth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33.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134. At this time, the number of connection parts 1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be provided less or more than the above depending on need.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connection part 130 includes the first connection parts 131 to the fourth connection parts 134.

워크부(14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부(130)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워크부(140)는 제4 연결부(134)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워크부(140)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워크부(140)는 흡착이 가능하도록 패드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써 워크부(140)는 물건을 파지하도록 사람의 손가락과 유사한 구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워크부(140)는 물건을 용접하도록 용접체 또는 레이저발생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워크부(14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행하는 작업에 적합한 형태 및 구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워크부(140)에는 작업에 수행되는 구조물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work par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ends of at least two connection parts 130. Specifically, the work par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connection part 134. At this time, the work unit 140 may have various shapes to enable work to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work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 pad to enable suc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work unit 140 may include a structure similar to a human finger to grip an object. As another embodiment, the work unit 140 may include a welding body or a laser generator to weld an object. At this time, the work unit 14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include any shape and structure suitable for the work being performed.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work unit 140 is not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performing work.

관절부(150)는 인접하는 연결부(130) 사이 및 연결부(130)와 워크부(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관절부(150)는 인접하는 연결부(130)를 서로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관절부(150)는 연결부(130)와 워크부(140)를 서로 상대 운동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30)는 감속기, 모터 등을 포함하여 각 연결부(130) 및 워크부(140)를 서로 상이한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절부(150)는 제1 연결부(131)와 제2 연결부(132)를 연결시키는 제1 관절부(151), 제2 연결부(132)와 제3 연결부(133)를 연결시키는 제2 관절부(152), 제3 연결부(133)와 제4 연결부(134)를 연결시키는 제3 관절부(153) 및 제4 연결부(134)와 워크부(140)를 연결시키는 제4 관절부(154)를 ?l마할 수 있다. The joint portion 150 may be disposed between adjacent connection portions 130 an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130 and the work portion 140. At this time, the joint portion 150 may connect adjacent connection portions 130 to enable relative movement. Additionally, the joint unit 150 may connect the connection unit 130 and the work unit 140 to allow relative movement. These connection parts 130 include a reducer, a motor, etc., and can cause each connection part 130 and the work part 140 to move differently. The joint portion 15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first joint portion 151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13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2, and a second joint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132 a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33. (152), the third joint portion 153 connecting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33 and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134, and the fourth joint portion 154 connecting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134 and the work portion 140. l can do it.

구속부(160)는 지면(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구속부(160)는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지지부(110)를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속부(160)는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로봇(100)에 외력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면, 지지부(11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반면, 일반적인 경우에는 구속부(160)는 지지부(110)를 구속함으로써 로봇(1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The restraint part 160 may be placed on the ground (B). At this time, the restraining unit 160 may restrain or release the support unit 110 based on the result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20. Specifically,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xternal force has been applied to the robot 100 based on the result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20, the restraint unit 160 may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support unit 110. On the other hand, in a general case, the restraint unit 160 can fix the position of the robot 100 by restraining the support unit 110.

구속부(16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구속부(160)는 지지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구속부(160)는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지지부(110)를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구속부(160)는 각각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구속부(160)가 4개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구속부(160)는 제1 구속부(161), 제2 구속부(162), 제3 구속부(163) 및 제4 구속부(164)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 구속부(161) 내지 제4 구속부(164)는 서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 구속부(161)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 plurality of restraint parts 160 may be provide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restraint parts 160 may be arranged at the same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upport part 110.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restraint units 160 may operate simultaneously to restrain or release the support unit 110. Additionally, it is possible for the plurality of restraint parts 160 to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lurality of restraint parts 160 includes four, and the plurality of restraint parts 160 include the first restraint part 161, the second restraint part 162, and the third restraint part ( 163) and the fourth restraint part 16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since the first to fourth restraint parts 161 to 164 are formed the same or similar to each other, hereinafter, the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first restraint part 161.

제1 구속부(16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제1 구속부(161)는 지지부(110) 또는 지면(B) 중 하나에 배치되는 자석부와 지지부(110) 또는 지면(B)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전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전자석부를 작동시킴으로써 지지부(110)를 구속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자석부는 상기 자석부와 동일한 극성을 형성하거나 서로 상이한 극성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부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구속부(161)는 지지부(110) 또는 지면(B) 중 하나에 배치되는 전자석부와 지지부(110) 또는 지면(B)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자석부는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부(110)를 구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구속부(161)는 제1 구동부(161a), 제1 접촉부(161b) 및 제1 가이드부(16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속부(161)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센서부(120)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지지부(110)를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모든 구조 및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구속부(161)는 제1 구동부(161a), 제1 접촉부(161b) 및 제1 가이드부(161c)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restraint part 16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first restraint part 161 includes a magnet part disposed on one of the support part 110 or the ground B and an electromagnet part disposed on the other one of the support part 110 or the ground B. It can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support unit 110 can be restrained or released by operating the electromagnet unit based on the result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20. In particular, the electromagnet unit can prevent the support unit from moving by forming the same polarity as the magnet unit or forming different polarities from each o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restraint part 161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disposed on one of the support portion 110 or the ground B and a magnetic material disposed on the other one of the support portion 110 or the ground B. do. In this case, the electromagnet unit may restrain the support unit 110 by forming a magnetic field based on the result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20.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restraint part 161 may include a first driving part 161a, a first contact part 161b, and a first guide part 161c. At this time, the first restraint part 16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include all structures and devices that restrain or release the support part 110 based on the results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20.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first restraint part 16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case where it includes the first driving part 161a, the first contact part 161b, and the first guide part 161c. .

제1 구동부(161a)는 제1 접촉부(161b)와 연결되어 제1 접촉부(161b)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1 구동부(161a)는 제1 모터(161a-1) 및 상기 모터와 제1 접촉부(161b)를 연결하는 제1 스크류(161a-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모터(161a-1)의 작동에 따라 제1 스크류(161a-2)가 회전하고, 제1 스크류(161a-2)의 회전에 따라 제1 접촉부(161b)가 선형 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구동부(161a)는 제1 접촉부(161b)와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구동부(161a)는 제1 접촉부(161b)와 지면(B) 사이에 배치되는 리니어 모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1 구동부(161a)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접촉부(161b)와 연결되어 제1 접촉부(161b)를 선형 운동시키는 모든 장치 및 모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구동부(161a)가 제1 모터(161a-1)와 제1 스크류(161a-2)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first driving part 161a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art 161b and can cause the first contact part 161b to move linearly. As an example, the first driving unit 161a may include a first motor 161a-1 and a first screw 161a-2 connecting the motor and the first contact unit 161b. In this case, the first screw 161a-2 rot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161a-1,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may move linearl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screw 161a-2. .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driving part 161a may include a cylinder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art 161b.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driving unit 161a may include a linear motor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ct part 161b and the ground B. At this time, the first driving unit 161a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include any device or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art 161b and causes the first contact part 161b to linearly move.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ase where the first driving unit 161a includes the first motor 161a-1 and the first screw 161a-2.

제1 접촉부(161b)는 제1 구동부(161a)의 작동에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접촉부(161b)는 제1 구동부(161a)의 작동에 따라 지지부(110)와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특히 제1 접촉부(161b)는 지지부(110)의 삽입홈(110a)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부(11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접촉부(161b)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촉부(161b)는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부(161b)는 전자석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제1 접촉부(161b)는 쐐기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제1 접촉부(161b)는 지지부(110)를 중심으로 지지부(110)의 상측에 배치된 제1 접촉부(161b) 부분이 지지부(110)의 하측에 배치된 지지부(110) 부분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촉부(161b)의 접촉시 지지부(110)가 움직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contact part 161b may move linearly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part 161a. At this time, the first contact part 161b may selectively contact the support part 1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part 161a. In particular,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can prevent the support portion 110 from moving by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0a of the support portion 110.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dditionally,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electromagnet.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as described above may have a wedge shape. At this time,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is formed so that the portion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10 protrudes more than the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110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rtion 110. can be fo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upport portion 110 from moving when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is contacted.

제1 가이드부(161c)는 제1 접촉부(161b)와 지면(B)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접촉부(161b)의 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161c)는 제1 구동부(161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가이드부(161c)는 제1 접촉부(161b)와 지면(B)을 연결하는 리니어 모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guide portion 161c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and the ground B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unit 161c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driving unit 161a, or may be formed separately. The first guide portion 161c may include a linear motion guide connecting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and the ground B.

쿠션부(170)는 지지부(110)와 지면(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면(B)에는 지지부(110)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은 지지부(110)의 형상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0)는 상기와 같은 홈의 내면과 지지부(110)의 외면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부(110)의 운동 시 진동, 외력 등을 흡수할 수 있다. The cushion portion 17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110 and the ground (B). At this time,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ground B so that the support part 110 can be inserted. These grooves may be formed the same or similar to the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110. The support part 110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as described abov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10 and can absorb vibration, external force, etc. when the support part 110 moves.

쿠션부(170)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로써 쿠션부(170)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11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쿠션부(170)는 지지부(110)의 외면을 따라 일주함으로써 폐루프(Closed-loop)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쿠션부(170)는 복수개 구비되며, 복수개의 쿠션부(170)는 지지부(110)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개의 쿠션부(170)는 지지부(110)의 외면에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cushion portion 170 may have various shapes.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the cushion part 17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plac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10. At this time, the cushion portion 170 may form a closed loop by travel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110. In another embodiment, a plurality of cushion parts 170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cushion parts 170 may b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1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ushion parts 170 may b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10 at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상기와 같은 쿠션부(170)의 일 실시예는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탄성재질의 금속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부(170)의 다른 실시예는 볼플런저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쿠션부(170)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110)와 지면(B) 사이에 배치되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모든 장치 및 모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쿠션부(170)는 고무 재질의 링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110)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One embodiment of the cushion portion 170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silicone, synthetic resin, or elastic metal. Another embodiment of the cushion portion 17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all plunger. At this time, the cushion portion 17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include any device and any material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110 and the ground B and capable of absorbing energy.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after, the cushion part 17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case where the cushion part 170 is formed in a ring shape made of rubber and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110.

제어부(180)는 로봇(100)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되어 관절부(150), 워크부(140), 구속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회로기판, 퍼스널 컴퓨터, 휴대폰, 휴대용 단말기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어부(180)는 로봇(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회로기판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trol unit 180 may be placed outside or inside the robot 100 to control the joint unit 150, the work unit 140, and the restraint unit 16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80 may be in various forms such as a circuit board, personal computer, mobile phone, or portable terminal.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troller 1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the case where it is a circuit board placed inside the robot 100.

이하에서는 로봇(100)의 구체적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control method of the robo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봇의 제어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로봇의 제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로봇의 제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도이다.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trol sequence of the robot shown in FIG. 1. FIG. 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first operation of the robot shown in FIG. 1. FIG. 5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second operation of the robot shown in FIG. 1.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로봇(미도시)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로봇은 작동하기 위한 초기 위치로 각 연결부(미도시) 및 워크부(미도시)를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관절부(미도시)를 제어하여 각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워크부의 위치를 기 설정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배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이 작업을 시작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거나 구성요소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S110단계)Referring to FIGS. 3 to 5 , when a robot (not shown) operates, the robot may move each connection part (not shown) and the work unit (not shown) to an initial position for oper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not shown) can control the joint unit (not shown) to arrange the positions of each of the connection units and the work unit to correspond to preset positions. That is,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or activate each component so that the robot can start work (step S110).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로봇을 통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구속부(160)는 지지부(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속부(161)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가 제1 구동부(161a)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면 제1 구동부(161a)가 작동하여 제1 접촉부(161b)를 지지부(110)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제1 구속부(161) 내지 제4 구속부(164)를 제어하여 각 접촉부를 지지부(110)에 접촉시킴으로써 지지부(1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구속부(161) 내지 제4 구속부(164)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지부(110)를 구속할 수 있다.(S120단계)After the above process is completed, work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robot. In this case, the restraint part 160 may fix the support part 110. Looking specifically at the operation of the first restraint part 161, whe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driving part 161a, the first driving part 161a operates to connect the first contact part 161b to the support part 110. can be contacted.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can fix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art 110 by controlling the first to fourth restraint parts 161 to 164 to bring each contact part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 part 110. In this case, the first restraint parts 161 to 4th restraint parts 164 may restrain the support portion 110 as shown in FIG. 4 (step S120).

상기와 같이 지지부(110)를 고정시키고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센서부(미도시)에서는 상기 로봇에 가해지는 외력 등이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While the support unit 110 is fixed and work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unit (not shown) can detect whether there is an external force, etc. applied to the robot.

상기 센서부는 지지부(110)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부에 가해지는 힘, 토크 또는 변위 중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측정된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값과 기 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연결부, 상기 워크부 및 관절부(미도시)에 가해지는 외력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워크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힘, 토크 또는 변위 중 하나의 범위가 기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힘, 토크 또는 변위 중 하나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 상기 워크부 및 상기 관절부 중 적어도 하나에 외력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힘, 토크 또는 변위 중 하나가 기 설정된 범위의 최소값 미만이거나 기 설정된 범위의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연결부, 상기 워크부 및 상기 관절부 중 적어도 하나에 외력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30단계)The sensor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connection part and can measure one of force, torque, or displacement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The sensor unit may transmit the measured results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on unit, the work unit, and the joint unit (not shown) by comparing th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unit with a preset valu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ay have a preset range of one of force, torque, or displacement that may occur when performing work on the work unit. At this time, if one of the force, torque, or displacement measured by the sensor unit is outside a preset range,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an external force has been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unit, the work unit, and the joint unit. For example, when one of the force, torque, or displacement measured by the sensor unit is less than the minimum value of the preset range or exceeds the maximum value of the preset range, the control unit, the connection unit, and the work unit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xternal force has been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joints (step S130).

상기 제어부는 상기의 결과를 근거로 외력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지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상기 로봇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봇은 기 설정된 구동 모션을 실행할 수 있다.(S141단계)If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no external force has occurr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control the robot to continuously perform the task. At this time, the robot can execute a preset driving motion (step S141).

반면, 상기의 결과를 근거로 외력이 상기 로봇에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구속부(160)를 제어하여 지지부(110)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구속부(161)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구동부(161a)가 상기와 반대로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모터(161a-1)의 작동에 따라 제1 스크류(161a-2)가 회전하고, 제1 스크류(161a-2)의 회전에 따라 제1 접촉부(161b)는 제1 가이드부(161c)를 따라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제1 접촉부(161b)는 지지부(110)의 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지지부(11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구속부(162) 내지 제4 구속부(164)도 제1 구속부(161)와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5와 같이 제1 구속부(161) 내지 제4 구속부(164)는 지지부(110)의 구속을 완전히 해제할 수 있다. (S142단계)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xternal force has been applied to the robot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restraint unit 160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support unit 110. Specifically, if we focus on the first restraint unit 161, the first drive unit 161a may oper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n this case, the first screw 161a-2 rotates as the first motor 161a-1 operates, and as the first screw 161a-2 rotates,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portion ( Linear movement can be performed along 161c). At this time, the first contact portion 161b may be pulled out from the groove of the support portion 110 and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ortion 110. The second to fourth restraint parts 162 to 164 may operate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restraint part 161. 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5, the first to fourth restraint parts 161 to 164 can completely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support part 110. (Step S142)

상기와 같이 지지부(110)가 구속되거나 구속이 해제된 경우 쿠션부(미도시)는 지지부(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10)가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워크부의 작업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가 구속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외력에 의하여 지지부(110)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진동 등을 흡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부(110)가 상기와 같이 해제되는 경우 지지부(110)의 외면과 지면(B)의 홈의 내면 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지지부(110)가 지면(B)의 홈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10)가 상기와 같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로봇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로봇이 외력으로 인하여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support portion 110 is restrained or released as described above, the cushion portion (not shown) may absorb the shock applied to the support portion 110. Specifically, while the support part 110 is restrained, it is possible to absorb vibration, shock, etc. that occur according to the work of the work part. 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while the support part 110 is restrained, it is also possible to absorb shock or vibration applied to the support part 110 by the external force. When the support part 110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art 110 can be prevented from moving in the groove on the ground B due to the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roove on the ground B. 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obot while the support unit 110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the robo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ue to the external force.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이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을 서보 오프(Servo off)시킴으로써 외부에서 상기 로봇으로 제어신호가 인가되거나 전류가 인가되는 등을 차단할 수 있다.(S150단계)When the above process is completed, the controller can prevent the robot from operating.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can block the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or current to the robot from the outside by turning off the servo of the robot (step S150).

상기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알람부(미도시)를 통하여 외부로 외력이 가해졌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람부는 이미지 또는 소리 등으로 외부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알람부는 스피커, 전등,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above process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 can notify that an external force has been a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an alarm unit (not shown). At this time, the alarm unit can inform the external user of information through images or sounds. The alarm unit may include a speaker, a light, a display panel, etc.

상기와 같이 상기 알람부에서 정보가 전달되면, 사용자는 육안 또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값을 근거로 상기 로봇에 외력이 가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로봇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할 수 있다.(S160단계) When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alarm uni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determine whether an external force has been applied to the robot based on the value measured with the naked eye or the sensor unit and check whether there is any problem with the robot. (Step S160) )

이 결과에 따라 상기 로봇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로봇을 완전히 정지시키고 상기 로봇을 수리하거나 보정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로봇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위치를 통하여 다시 상기 로봇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로봇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초기 위치(Servo on)로 세팅될 수 있다.(S110단계)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something wrong with the robot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robot can be completely stopped and the robot can be repaired or corrected.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robot, the robot can be operated again through the switch. At this time, the robot can be set to the initial position (Servo on) for performing the task. (Step S110)

따라서 상기 로봇은 상기 연결부, 상기 관절부 및 상기 워크부 중 하나에 가해지는 경우 지지부(110)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지지부(110)와 지면 사이에 과도한 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로봇은 지지부(110)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상기 센서부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로봇 전체에 가해지는 외력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로봇은 상기 쿠션부를 구비함으로써 외력이 상기 로봇에 가해지는 경우 발생하는 충격 또는 진동 등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로봇은 작업 시 지지부(110)를 구속함으로써 작업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obot can prevent excessive stress from occurring between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ground by releasing the restraint on the support part 110 when it is applied to one of the connection part, the joint part, and the work part. The robot can monitor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entire robot by placing the sensor unit between the support unit 110 and the connection unit. By providing the cushion portion, the robot can absorb shock or vibration that occur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obot. The robot can ensure stability during work by restraining the support portion 110 during work.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will includ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s long as they fall withi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로봇
110: 지지부
120: 센서부
130: 연결부
140: 워크부
150: 관절부
160: 구속부
170: 쿠션부
180: 제어부
100: Robot
110: support part
120: sensor unit
130: connection part
140: Work unit
150: Joint part
160: Restraint part
170: Cushion part
180: control unit

Claims (5)

지면 또는 외부기기 중 하나에 삽입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는 센서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연결부의 끝단에 배치되는 워크부;
인접하는 상기 연결부 사이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워크부 사이에 배치되는 관절부; 및
상기 지면 또는 상기 외부기기 중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지지부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구속부;를 포함하는 로봇.
A support part inserted into either the ground or an external device;
A sensor unit disposed on the support unit;
At least two or more connection part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Work portions disposed at ends of the at least two connection portions;
Joint portions disposed between the adjacent connecting portions an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s and the work portion; and
A robot comprising: a restraining unit disposed on one of the ground or the external device and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support unit based on a result measured by the sensor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된 결과를 근거로 상기 연결부, 상기 워크부 및 상기 관절부 중 적어도 하나에 외력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지지부의 구속을 해제하고,
로봇이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지지부를 구속하는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restraint part,
If it is determined that an external force has been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connection part, the work part, and the joint part based on the result measured by the sensor part, the restraint of the support part is released,
A robot that restrains the support while the robot performs a tas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지면 또는 상기 외부기기 중 하나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restraint part,
a driving unit disposed on either the ground or the external device; and
A robot comprising a contact part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and selectively contacting the support par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ar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지면 또는 상기 외부기기 중 하나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촉부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로봇.
According to claim 3,
The restraint part,
A robot further comprising a guide part disposed between the contact part and one of the ground or the external devic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ntact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또는 상기 외부기기 중 하나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부;를 더 포함하는 로봇.
According to claim 1,
A robot further comprising a cushion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one of the ground or the external device.
KR1020170007036A 2017-01-16 2017-01-16 Robot KR1026458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036A KR102645815B1 (en) 2017-01-16 2017-01-16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036A KR102645815B1 (en) 2017-01-16 2017-01-16 Rob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242A KR20180084242A (en) 2018-07-25
KR102645815B1 true KR102645815B1 (en) 2024-03-11

Family

ID=63059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036A KR102645815B1 (en) 2017-01-16 2017-01-16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81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2985A (en) 2003-08-15 2007-02-15 ファロ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mproved portable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JP2013510320A (en) * 2009-11-06 2013-03-21 ヘキサゴン メトロロジー アクチボラゲット Improved articulated ar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3799U (en) 1981-11-11 1983-05-18 近大アルミデザイン株式会社 Aluminum alloy bottle ope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2985A (en) 2003-08-15 2007-02-15 ファロ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Improved portable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JP2013510320A (en) * 2009-11-06 2013-03-21 ヘキサゴン メトロロジー アクチボラゲット Improved articulated a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242A (en)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6827B2 (en) Robot system for performing force control
US10005184B2 (en) Industrial robo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ndustrial robot
JP5820013B1 (en) Robot safety monitoring device that grips and transports workpieces
JP6055014B2 (en) Robot control device having function of detecting contact with object or person
CN106736120B (en) anti-collision sensor and welding robot
JP5942311B2 (en) ROBOT, ROBOT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ROBOT CONTROL PROGRAM
CN105818144A (en) Collaborative robot system and method
CN105082155A (en) System for conveying workpiece having external force monitoring function
JP2006150537A (en) Mobile robot
JP2008188722A (en) Robot controller
JP2007011857A (en) Autonomous mobile robot and control method of autonomous mobile robot
JP6592053B2 (en) Control device for monitor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work tool
EP2019348A1 (en) Travel device for self-propelled device
CN106413996A (en) Human-robot collaboration workstation with a mounting device
TWI531450B (en) Industrial robots
KR102645815B1 (en) Robot
EP0090060B1 (en) Contact sensing device
TW201440943A (en) Laser processing device
JP6678396B2 (en) Collision detection device
KR101579723B1 (en) Mechanism available for six degree of freedom
KR850000488B1 (en) Safety device for industrial robot
Lämmle Development of a new mechanic safety coupling for human robot collaboration using magnetorheological fluids
JP2013198959A (en) Manipulator attitude warning device
JP2017159428A (en) Control device, robot, and robot system
KR201800780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overthrow of the portable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