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476B1 -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5476B1
KR102645476B1 KR1020230150376A KR20230150376A KR102645476B1 KR 102645476 B1 KR102645476 B1 KR 102645476B1 KR 1020230150376 A KR1020230150376 A KR 1020230150376A KR 20230150376 A KR20230150376 A KR 20230150376A KR 102645476 B1 KR102645476 B1 KR 10264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ment
test
developmental
treatment content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블
Priority to KR102023015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5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5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urs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으로 검사자의 발달 검사를 진행하여 발달 검사에 대한 발달 치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발달 검사 결과에 따른 발달 수준을 분석하여 맞춤형 치료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TREATMENT CONTENT ACCORDING TO DEVELOPMENT LEVEL}
본 발명은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으로 검사자의 발달 검사를 진행하여 발달 검사에 대한 발달 치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운동, 언어, 감각, 인지, 놀이, 미술, 음악, 연극, 독서, 행동치료 등 다양한 분야의 치료사가 발달장애 아동 또는 성인을 대상으로 검사 및 치료를 수행하고 있다. 발달장애 검사에는 한국 아동발달검사(K-CDI),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K-WISC),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등 다양한 검사도구가 있으며, 검사결과에 따라 치료사가 다양한 치료 계획을 수립 후, 치료를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발달장애는 정신, 신체적인 발달에서 나이만큼 발달하지 않은 상태로서 발달 선별 검사에서 해당 연령의 정상 기대치보다 25% 정도 뒤쳐져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발달장애는 지적장애, 뇌성마비, 자폐증, 유전장애, 염색체 장애, 다운 증후군, 전반적 발달장애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발달장애의 공통적인 증상은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사회적 상황의 전반적인 이해와 인간관계 형성에서 어려움을 보이며 특정 사물에 특이하게 집착하고, 일정한 행동 절차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인다.
발달장애의 치료는 전문 기관 및 전문가를 통한 치료가 진행되는 경우 장애우에 대한 전문적인 치료가 가능하고 신뢰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에 비해, 전문가의 부족, 경제적 부담, 이용 접근성의 부족, 이용의 대기 시간과 같은 단점이 있다.
또한, 사설 기관 및 복지 시설을 통한 치료가 진행되는 경우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치료사들의 전문 지식 부족, 시설의 열악함, 전문 기관과의 연계 부족, 이용 대기 시간과 같은 단점이 있다.
더불어, 온라인 프로그램을 이용한 치료는 경제적 부담 감소, 접근성 및 편의성 향상의 장점이 있으나, 전문 기관과의 연계부족, 교육자의 지식 및 경험 부족으로 인한 비전문적 치료라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28354호(2021.03.10,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온라인으로 검사자의 발달 검사를 진행하거나 기존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발달 검사에 대한 발달 치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자의 발달 수준에 따라 필요한 치료 콘텐츠를 인공지능으로 맞춤 생성하여 효과적인 발달 치료를 도모할 수 있는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자의 발달 검사를 통해 발달 수준을 파악하고 발달 수준에 따른 디지털 인지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여 주기적인 발달 수준 파악을 통한 치료, 발달 및 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발달 검사 결과에 따른 발달 수준을 분석하여 맞춤형 치료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사자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사용자 단말에 발달 검사를 위한 발달 검사 문항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발달 검사 문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을 수신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발달 검사 응답을 분석하고 발달 검사 결과를 생성하는 발달 검사부 및 발달 검사 결과에 따라 발달 수준을 결정하고 발달 수준에 대응하는 맞춤형 치료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치료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하고, 치료 콘텐츠 생성부는, 발달 검사 결과에 따라 언어 발달 단계, 인지 발달 단계 및 정서 발달 단계 각각의 발달 수준을 결정하고, 각각의 발달 수준에 따라 어휘, 문법, 상황, 읽기 및 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치료 도구를 포함하는 제1 치료 콘텐츠를 생성하고, 발달 검사 결과에 따라 검사자의 두뇌 수준을 분석하여 두뇌 수준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기반의 제2 치료 콘텐츠를 생성하고, 제2 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치료 결과 피드백을 수신하며, 치료 결과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2 치료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제3 치료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치료 콘텐츠 생성부는, 언어 발달 단계, 인지 발달 단계 및 정서 발달 단계 각각의 발달 수준을 기초로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발달 수준 지수를 산출하고,
[수학식 1]
은 발달 수준 지수를 의미하고, 은 언어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은 언어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높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언어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낮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언어 발달 검사를 진행한 전체 검사자의 평균 점수를 의미하고, 는 인지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은 인지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높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인지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낮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인지 발달 검사를 진행한 전체 검사자의 평균 점수를 의미하고, 은 정서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은 정서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높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정서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낮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정서 발달 검사를 진행한 전체 검사자의 평균 점수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온라인으로 검사자의 발달 검사를 진행하거나 기존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발달 검사에 대한 발달 치료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검사자의 발달 수준에 따라 필요한 치료 콘텐츠를 인공지능으로 맞춤 생성하여 효과적인 발달 치료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검사자의 발달 검사를 통해 발달 수준을 파악하고 발달 수준에 따른 디지털 인지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여 주기적인 발달 수준 파악을 통한 치료, 발달 및 학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치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및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노트북(notebook),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발달 검사와 치료를 진행하기 위한 검사자 또는 검사자가 아동인 경우 검사자의 부모가 소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200)와 연결되어 검사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발달 검사 문항을 제공받아 발달 검사 문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을 입력할 수 있으며,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발달 검사 결과와 맞춤형 치료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00)에 발달 검사 문항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발달 검사 문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을 수신하여 발달 검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과 연관된 발달 검사 결과에 따른 발달 수준을 분석하여 맞춤형 치료 콘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맞춤형 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회원가입을 통해 회원으로 등록된 사용자가 입력한 검사자의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검사자의 정보와 발달 검사 결과 및 치료 콘텐츠를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정보 수집부(210), 발달 검사부(220) 및 치료 콘텐츠 생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검사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검사자 정보는 검사자의 성별, 검사자의 생년월일 및 검사자 또는 사용자 단말(100)을 소유한 사용자의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검사자와 사용자는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검사자와 사용자가 동일한 경우는 검사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소유하고 있으면서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접속 가능한 나이를 가진 경우이며, 검사자와 사용자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는 검사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소유하기에 어린 나이인 아동이고 검사자의 보호자인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소유하여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접속 가능한 경우일 수 있다.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된 검사자 정보를 검사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210)는 검사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의 연락처를 기준으로 검사자 정보를 정렬하여 검사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오프라인 발달 검사 문항과 오프라인 발달 검사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라인 발달 검사 문항과 오프라인 발달 검사 응답은 사용자가 타기관에서 수행한 발달 검사로서 종이, 바코드, QR(Quick Response)코드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오프라인 발달 검사 문항과 오프라인 발달 검사 응답을 검사자 정보와 연관하여 검사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검사자의 사진,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검사자의 사진, 영상 및 음성은 발달 검사 결과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수집부(210)는 기준 사진, 기준 영상 및 기준 음성을 사용자 단말(100)에 전송하고, 기준 사진, 기준 영상 및 기준 음성 각각에 대응하는 검사자의 사진, 영상 및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기준 사진은 검사자의 얼굴이 정면을 바라보고 어느 정도의 크기로 촬영된 이미지여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기준 영상은 검사자가 어떤 행동을 할 때 촬영된 영상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기준 음성은 복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음성을 미리 준비하여 검사자가 따라서 말할 수 있도록 한 음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검사자의 정보에 따라 나이를 산출하고, 나이에 따른 발달 검사 문항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발달 검사부(220)는 검사자의 성별 및 생년월일에 따라 검사자의 나이를 산출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2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나이 산출 방식에 따라 검사자의 나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이 산출 방식은 만 나이 계산 방식(태어난 해의 나이를 0살로 하여 매 생일에 1살을 더하는 방식) 또는 세는 나이 계산 방식(태어난 해의 나이를 1살로 삼고 새해 첫날마다 한 살씩 더해서 나이를 세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언어 발달 영역, 인지 발달 영역 및 정서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문항을 생성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검사자의 나이에 따라 각 영역에서 최적화된 발달 검사를 위한 발달 검사 문항을 발달 검사 문항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할 수 있다.
즉, 발달 검사부(220)는 나이별로 언어 발달 영역, 인지 발달 영역 및 정서 발달 영역 각각에 관련된 발달 검사를 위한 복수의 발달 검사 문항을 생성하여 발달 검사 문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발달 검사 문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발달 검사 문항 중 검사자의 나이에 적합한 발달 검사 문항을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발달 검사 문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복수의 발달 검사 문항은 발달 검사 관련 전문 상담사, 전문 의사 및 인공지능 기반으로 학습된 발달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발달 검사 문항은 생성형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기반으로 발달 검사 문항 데이터베이스를 학습하여 생성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발달 검사 문항을 객관식 문항, 주관식 문항, 그림 문항, 오엑스(O, X) 문항 등 다양한 형식으로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발달 검사 문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라 다음 발달 검사 문항을 업데이트 및 생성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발달 검사 문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라 다음 발달 검사 문항을 생성함으로써 검사자의 발달 상태에 맞춤형으로 발달 검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검사자의 발달 검사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발달 검사 문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을 수신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발달 검사 응답을 분석하고 발달 검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발달 검사 문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을 딥러닝으로 학습하고 분석하여 발달 검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발달 검사 결과는 검사자의 나이와 발달 검사 결과에 따른 나이, 언어 발달 영역, 인지 발달 영역 및 정서 발달 영역 각각에 대한 발달 상태, 발달 치료가 필요한지 여부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동일 검사자에 대한 복수의 발달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질병 발생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하여 위험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질병 발생은 발달 지연, 장애 및 특정 질환(ADHD, 자폐스펙트럼장애, 지적장애, 다운증후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동일 검사자의 질병 발생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할 때 사용자 단말(100)에 검사자의 사진이나 영상을 요청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검사자의 사진이나 영상 정보에서 검사자의 얼굴 생김새, 얼굴 크기, 신체 생김새, 신체 크기 등을 분석하여 검사자의 질병 발생에 대한 위험도를 산출하는데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달 검사부(220)는 언어 발달 영역, 인지 발달 영역 및 정서 발달 영역 각각에 대한 발달 검사 문항 수, 발달 검사 문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른 점수 및 검사자의 나이에 따라 위험 지수를 아래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은 위험 지수를 의미하고, 는 검사자의 나이를 의미하고, 은 제1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는 제1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 수를 의미하고, 은 제1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른 점수를 의미하고, 은 제2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는 제2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 수를 의미하고, 은 제2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른 점수를 의미하고, 은 제3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는 제3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 수를 의미하고, 은 제3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른 점수를 의미할 수 있다.
수학식에서 각각의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른 점수는 발달 검사 문항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발달 검사 응답이 기 설정된 발달 검사 응답과 멀어질수록 높은 점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자의 나이가 5이고 제1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문항 수가 5이고 제1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 수가 5이고 제1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른 점수의 합계가 20이고 제2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문항 수가 5이고 제2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 수가 5이고 제2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른 점수의 합계가 15이고 제3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문항 수가 5이고 제3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 수가 5이고 제3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른 점수의 합계가 20일 때, 위험 지수는 3.78일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위험 지수가 높을수록 질병 발생에 대한 위험도가 높아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정보 수집부(210)에서 수집된 오프라인 발달 검사 문항과 오프라인 발달 검사 응답을 인공지능 기반으로 분석하여 오프라인 발달 검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오프라인 발달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질병 발생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하여 위험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지수는 위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달 검사부(220)는 온라인으로 검사자의 발달 상태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여 언제든지 간편하고 빠르게 검사자의 발달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발달 지연, 장애, 특정 질환에 대한 발생 위험도를 산출하여 검사자의 발달 상태를 미리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
치료 콘텐츠 생성부(230)는 발달 검사 결과에 따라 검사자의 발달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검사자의 발달 수준은 검사자의 발달이 정상인지, 평균보다 늦는지 또는 평균보다 빠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 콘텐츠 생성부(230)는 발달 검사 결과에 따라 언어 발달 단계, 인지 발달 단계 및 정서 발달 단계 각각의 발달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어 발달 단계는 발화 단계, 한 낱말 단계, 낱말 조합 단계, 기초 문법 단계 및 고급 문법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지 발달 단계는 반사에 의존하는 행위인 감각 운동기 단계, 자기 중심적인 사고와 사회성이 발달하는 전조작기 단계, 타인 중심적 사고와 도덕성을 가지는 구체적 조작기 단계 및 추상적 사고를 하고 사회인지 능력이 발달하는 형식적 조작기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서 발달 단계는 기본적인 감정을 표현하며 웃음과 울음으로 소통하는 단계, 웃음, 움직임, 소리를 통해 다양한 감정을 표현하며 물체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는 단계, 표정, 몸 움직임, 소리 등을 조합하여 감정 표현이 풍부해지고 복잡한 감정 상태를 인지하는 단계, 감정 표현에 의미를 부여하는 단계, 주변 사람들의 감정을 이해하려고 하고 감정 표현에 의미 있는 행동과 표정을 사용하는 단계, 주변 사람들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감정을 공유하려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치료 콘텐츠 생성부(230)는 언어 발달 단계, 인지 발달 단계 및 정서 발달 단계 각각의 발달 수준을 기초로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발달 수준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은 발달 수준 지수를 의미하고, 은 언어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은 언어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높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언어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낮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언어 발달 검사를 진행한 전체 검사자의 평균 점수를 의미하고, 는 인지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은 인지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높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인지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낮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인지 발달 검사를 진행한 전체 검사자의 평균 점수를 의미하고, 은 정서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은 정서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높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정서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낮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정서 발달 검사를 진행한 전체 검사자의 평균 점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어 발달 검사 문항 수가 10이고 언어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높은 점수가 85이고 언어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낮은 점수가 70이고 언어 발달 검사를 진행한 전체 검사자의 평균 점수가 80이고 인지 발달 검사 문항 수가 10이고 인지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높은 점수가 85이고 인지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낮은 점수가 75이고 인지 발달 검사를 진행한 전체 검사자의 평균 점수가 85이고 정서 발달 검사 문항 수가 10이고 정서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높은 점수가 65이고 정서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낮은 점수가 40이고 정서 발달 검사를 진행한 전체 검사자의 평균 점수가 70일 때, 발달 수준 지수는 66.1일 수 있다.
여기서 발달 수준 지수는 인 경우 1단계, 인 경우 2단계,인 경우 3단계,인 경우 4단계,인 경우 5단계 및 인 경우 6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서 언어 발달 단계, 인지 발달 단계 및 정서 발달 단계 각각에서 몇 개의 세부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지에 따라 발달 수준 지수를 어떻게 설정할지 달라질 수 있다.
치료 콘텐츠 생성부(230)는 언어 발달 단계, 인지 발달 단계 및 정서 발달 단계 각각의 발달 수준에 따라 어휘, 문법, 상황, 읽기 및 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치료 도구를 포함하는 제1 치료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치료 콘텐츠 생성부(230)는 검사자의 언어 발달 단계, 인지 발달 단계 및 정서 발달 단계 각각에 필요한 제1 치료 콘텐츠를 인공지능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제1 치료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가상현실 등 다양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며, 검사자의 부족한 발달에 대한 향상을 위해 어휘, 문법, 상황, 읽기 및 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황 및 이야기를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치료 콘텐츠는 생성형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치료 콘텐츠 생성부(230)는 맞춤형 치료 콘텐츠인 제1 치료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치료 콘텐츠 생성부(230)는 발달 검사 결과에 따라 검사자의 두뇌 수준을 분석하여 두뇌 수준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기반의 제2 치료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검사자의 두뇌 수준은 지능 발달 정보를 나타내는 IQ(Intelligence Quotient)일 수 있다. 제2 치료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가상현실 등 다양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가상 현실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치료 콘텐츠 생성부(230)는 제2 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여 치료 결과 피드백을 수신할 수 있다. 치료 결과 피드백은 제2 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하여 검사자가 제2 치료 콘텐츠와 상호작용하면서 나타나는 결과일 수 있다. 치료 결과 피드백은 제2 치료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출력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 단말(100)에 발달 검사를 위한 발달 검사 문항을 제공하고 발달 검사 문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서 나타나는 결과일 수 있다.
치료 콘텐츠 생성부(230)는 치료 결과 피드백에 따라 제2 치료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제3 치료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치료 콘텐츠는 치료 결과 피드백에 따라 제2 치료 콘텐츠보다 난이도가 높아지거나 난이도가 낮아진 맞춤형 발달 치료 콘텐츠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료 콘텐츠 생성부(230)는 검사자의 주기적인 두뇌 수준을 파악하여 난이도가 조절된 치료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발달 치료와 학습을 증진시키고, 인공지능 기반으로 치료 콘텐츠의 난이를 조절하고 텍스트, 캐릭터, 상황, 이야기, 학습 콘텐츠 등을 검사자에 맞게 매번 새롭게 생성하여 정형화되지 않고 다양성이 확장된 맞춤형 발달 치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수행되는 치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검사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단계 S310). 검사자 정보는 검사자의 성별, 검사자의 생년월일 및 검사자 또는 사용자 단말(100)을 소유한 사용자의 연락처를 포함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검사자의 정보에 따라 나이를 산출하고, 나이에 따른 발달 검사 문항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20). 발달 검사부(220)는 언어 발달 영역, 인지 발달 영역 및 정서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문항을 생성할 수 있다.
발달 검사부(2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발달 검사 문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을 수신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발달 검사 응답을 분석하고 발달 검사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330).
발달 검사부(220)는 동일 검사자에 대한 복수의 발달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질병 발생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하여 위험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질병 발생은 발달 지연, 장애 및 특정 질환(ADHD, 자폐스펙트럼장애, 지적장애, 다운증후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 콘텐츠 생성부(230)는 발달 검사 결과에 따라 검사자의 발달 수준을 결정하고, 발달 수준에 대응하는 맞춤형 치료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S33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200: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
210: 정보 수집부
220: 발달 검사부
230: 치료 콘텐츠 생성부

Claims (3)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관된 발달 검사 결과에 따른 발달 수준을 분석하여 맞춤형 치료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콘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사자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발달 검사를 위한 발달 검사 문항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발달 검사 문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을 수신하여 인공지능 기반으로 상기 발달 검사 응답을 분석하고 발달 검사 결과를 생성하는 발달 검사부; 및
    상기 발달 검사 결과에 따라 발달 수준을 결정하고 상기 발달 수준에 대응하는 맞춤형 치료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치료 콘텐츠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치료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발달 검사 결과에 따라 언어 발달 단계, 인지 발달 단계 및 정서 발달 단계 각각의 발달 수준을 결정하고, 각각의 발달 수준에 따라 어휘, 문법, 상황, 읽기 및 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치료 도구를 포함하는 제1 치료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발달 검사 결과에 따라 검사자의 두뇌 수준을 분석하여 상기 두뇌 수준에 대응하는 가상 현실 기반의 제2 치료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치료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여 치료 결과 피드백을 수신하며, 상기 치료 결과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2 치료 콘텐츠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제3 치료 콘텐츠를 생성하며,
    상기 발달 검사부는,
    언어 발달 영역, 인지 발달 영역 및 정서 발달 영역 각각에 대한 발달 검사 문항 수, 발달 검사 문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른 점수 및 검사자의 나이에 따라 질병 발생에 대한 위험도와 관련된 위험 지수를 아래의 수학식을 기반으로 산출하고,
    [수학식]

    은 위험 지수를 의미하고, 는 검사자의 나이를 의미하고, 은 제1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는 제1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 수를 의미하고, 은 제1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른 점수를 의미하고, 은 제2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는 제2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 수를 의미하고, 은 제2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른 점수를 의미하고, 은 제3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는 제3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 수를 의미하고, 은 제3 발달 영역에 대한 발달 검사 응답에 따른 점수를 의미하는,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콘텐츠 생성부는,
    상기 언어 발달 단계, 상기 인지 발달 단계 및 상기 정서 발달 단계 각각의 발달 수준을 기초로 아래의 수학식 1에 따라 발달 수준 지수를 산출하고,
    [수학식 1]

    은 발달 수준 지수를 의미하고, 은 언어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은 언어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높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언어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낮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언어 발달 검사를 진행한 전체 검사자의 평균 점수를 의미하고, 는 인지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은 인지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높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인지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낮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인지 발달 검사를 진행한 전체 검사자의 평균 점수를 의미하고, 은 정서 발달 검사 문항 수를 의미하고, 은 정서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높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정서 발달 검사에 따른 가장 낮은 점수를 의미하고, 은 정서 발달 검사를 진행한 전체 검사자의 평균 점수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230150376A 2023-11-02 2023-11-02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645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0376A KR102645476B1 (ko) 2023-11-02 2023-11-02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0376A KR102645476B1 (ko) 2023-11-02 2023-11-02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5476B1 true KR102645476B1 (ko) 2024-03-08

Family

ID=9023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50376A KR102645476B1 (ko) 2023-11-02 2023-11-02 발달 수준에 따른 치료 콘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54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354B1 (ko) 2019-08-14 2021-03-15 박혜경 맞춤형 유아발달검사 및 유아발달지도를 위한 유아발달검사시스템
KR20220004639A (ko) * 2019-03-22 2022-01-11 코그노아, 인크. 개인 맞춤식 디지털 치료 방법 및 디바이스
KR20220094186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맞춤형 인지 훈련 방법 및 장치
KR102518429B1 (ko) * 2022-04-13 2023-04-05 주식회사 위키포키 아동발달진단을 위한 검사 수행과 개인별 맞춤형 교육콘텐츠를 제공하는 아동발달검사 장치 및 방법
KR20230093121A (ko) * 2021-12-17 2023-06-27 (주)마인드허브 Vr 콘텐츠를 이용한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시스템과 언어 재활 치료 공유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639A (ko) * 2019-03-22 2022-01-11 코그노아, 인크. 개인 맞춤식 디지털 치료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228354B1 (ko) 2019-08-14 2021-03-15 박혜경 맞춤형 유아발달검사 및 유아발달지도를 위한 유아발달검사시스템
KR20220094186A (ko) * 2020-12-28 2022-07-05 주식회사 에이티앤씨 맞춤형 인지 훈련 방법 및 장치
KR20230093121A (ko) * 2021-12-17 2023-06-27 (주)마인드허브 Vr 콘텐츠를 이용한 언어 재활 치료 방법 및 시스템과 언어 재활 치료 공유 시스템
KR102518429B1 (ko) * 2022-04-13 2023-04-05 주식회사 위키포키 아동발달진단을 위한 검사 수행과 개인별 맞춤형 교육콘텐츠를 제공하는 아동발달검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Connor et al. The measur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ation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Cuevas et al. A test of two alternative cognitive processing models: Learning styles and dual coding
Stoet PsyToolkit: A novel web-based method for running online questionnaires and reaction-time experiments
Colorafi et al. Qualitative descriptive methods in health science research
Fonteyn et al. A description of think aloud method and protocol analysis
Denham et al. Beyond words: Using nonverbal communication data in research to enhance thick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Scherer Vocal markers of emotion: Comparing induction and acting elicitation
Shire et al. Communication partners supporting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who use AAC: A systematic review
Baragash et al. Augmented reality and functional skills acquisition among individuals with special needs: A meta-analysis of group design studies
Bong et al. Tangible user interface for social interactions for the elderly: a review of literature
Dodd et al. AAC intervention as an immersion model
Lorah Evaluating the iPad Mini® as a speech-generating device in the acquisition of a discriminative mand repertoire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Rizza Digital competences
Lynch et al. Instructional strategies used in direct AAC interventions with children to support graphic symbol learning: A systematic review
Xu et al. The easier the better? Comparing the readability and engagement of online pro-and anti-vaccination articles
Binger et al. Early sentence productions of 5-year-old children who us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aouadji Amina et al. MEDIUS: A serious game for autistic children based on decision system
Johnston Discriminant analysis
Nebeker et al. Applying a digital health checklist and readability tools to improve informed consent for digital health research
Langarika-Rocafort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s for children aged 6–10 in the last decade
Salley et al. Shared book reading intervention for parents of infants and toddlers
Wang et al. Sentence repetition as a clinical marker for Mandarin-speaking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Beccaluva et al. Predicting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speech data analysis tool
Batorowicz et al. Exploring validation of a graphic symbol questionnaire to measur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youth in activity settings
Robles-Bykbaev et al. SPELTRA: a robotic assistant for speech-and-language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