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958B1 - 동물 복지 수준의 평가 및 진단 방법 - Google Patents

동물 복지 수준의 평가 및 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958B1
KR102644958B1 KR1020210096393A KR20210096393A KR102644958B1 KR 102644958 B1 KR102644958 B1 KR 102644958B1 KR 1020210096393 A KR1020210096393 A KR 1020210096393A KR 20210096393 A KR20210096393 A KR 20210096393A KR 102644958 B1 KR102644958 B1 KR 102644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welfare
comfortable
weight
sub
f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5076A (ko
Inventor
문상호
김성진
김나연
신문선
장세영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96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95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5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5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9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 사육 시설의 동물 복지 수준 평가 및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사전 입력 정보에 따른 평가 항목 구성 및 평가 결과에 대한 점수화를 통하여, 동물 복지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동물 복지 수준 평가에 대한 통일된 기준을 적용하고, 이를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구현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통하여 사육 현장에서 동물 복지 수준에 대한 평가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축 사육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동물 복지 수준의 평가 및 진단 방법 {Method of evaluating of animal welfare level and the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가축 사육 시설의 동물 복지 수준 평가 및 진단 방법과, 상기 동물 복지 수준 평가 및 진단을 위한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동물 복지는 가축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질병에 대한 해결책으로 거론되었으며, 축산물의 품질 및 식품으로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축산 선진국으로부터 시작되어 현재는 여러 국가에서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동물 복지'란, 쾌적한 사육 환경을 제공하고 스트레스와 불필요한 고통을 최소화하는 등 농장 동물의 복지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국제기구의 동물복지정책 강화, 한-EU FTA, EU-칠레 FTA 등 국제협상에서 동물복지 논의, 지구 온난화의 원인 등 동물복지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동물 복지제도와 관련하여, 사육 단계에서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를 실시하여 산란계(2012년), 양돈(2013년), 육계(2014), 젖소, 한육우, 염소(2015), 오리(2016)농장에 대해 인증을 시행하고 있으며, 동물복지 운송 차량과 동물 복지 도축장 지정을 활성화하여 운송 및 도축 단계의 농장 동물 복지 수준을 개선하고, 동물 복지 축산 농장에서 사육되고 동물 복지 운송 및 도축을 거쳐 생산된 축산물에는 ‘동물 복지 축산물’ 표시를 하는 등, 사육 · 운송 · 도축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종합적인 농장동물 복지 체계를 마련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즉, 축산 선진국에서는 축산 시설 및 동물 복지 기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동물 복지와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체계적인 연구와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동물 복지는 일부 축산 선진 국가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에서의 축산 현장에서 대두되고 있는 문제이며, 앞으로 모든 축산 현장에서 필연적인 것으로 인식 및 도입되고 있다.
이렇듯 동물 복지는 전세계적인 관심사이며, 특히 해외 국가와의 축산물 거래 시, 수입국에서 동물 복지에 대한 필요성을 요구할 수 있고, 동물 복지에 대한 기준 또는 가이드라인이 없을 경우 이에 따른 문제점을 제기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들의 동물 복지에 대한 인식 수준 또한 높아지고 있으므로, 동물 복지를 도입하는 것은 중요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동물 복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개별 농장마다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일이므로, 동물 복지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 마련과, 이를 기초로 한 동물 복지 평가 방법의 통일화와 편의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개별 농장 또는 가축 사육 시설에서의 동물 복지 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객관적 지표로서 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동물 복지 수준 평가 및 진단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농장에 대한 사전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동물 복지 수준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를 입력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평가 결과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점수화(등급화) 하는 단계; 및 진단 결과에 따른 동물 복지 수준을 분석 및 결과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복지 수준 평가 및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장에 대한 사전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동물 복지 수준 평가 항목에 대한 평가 결과를 입력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평가 결과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점수화(등급화) 하는 단계; 및 진단 결과에 따른 동물 복지 수준을 분석 및 결과를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복지 수준 평가 및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농장의 사전 정보 및 동물 복지 수준 평가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부(100); 상기 입력부로부터 농장 사전 정보 및 복지 수준 평가 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00);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결과를 점수화하여 계산하는 계산부(300); 및 상기 계산부로부터 계산된 점수를 바탕으로 동물 복지 수준 분석 및 결과를 제시하는 결과 처리부(400)를 포함하는 동물 복지 수준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는 동물 복지 수준 평가 항목을 구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평가 항목들을 저장하고 있는 평가 항목 데이터 베이스(210) 및, 이를 구성하기 위한 평가 항목 처리부(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는 동물 복지 수준 평가 결과로부터, 복지 수준에 대한 참조사항 및 복지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이드라인 등을 매치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결과 처리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결과 처리부에는 복지 수준에 대한 참조사항 및 가이드라인에 대한 래퍼런스 데이터베이스(410)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상기 농장의 사전 정보는 농장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가축 종류를 입력하는 단계; 사육되는 동물 수로 파악되는 농장 규모 및 사육 방식을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농장 정보는 사육하고 있는 한우 또는 젖소와 같은 가축의 종류, 비육 농장, 번식/일괄사육농장과 같은 농장 형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상기 복지 수준 평가를 위한 평가 항목은 크게 식이 조건(좋은 사료와 물), 축사 환경(편한 축사 환경), 가축의 물리 및 생리적 건강상태(양호한 건강 상태) 및 가축의 정신적 건강(적절한 행동) 상태의 4가지 대분류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분류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식이 조건은 신체의 충실도와 같은 충분한 영양 섭취 여부, 음수조 수와 위생상태, 음수 행동과 같은 충분한 물 섭취 여부와 관련된 조건을 의미한다.
축사 환경은 가축의 외형적인 위생 상태와 깔짚의 수분 또는 프리스톨의 상태, 혹서기 및 혹산기의 열 환경 및 환기 상태와 같이 가축이 사육되는데 편한 축사 환경을 제공 하는지와 관련된 조건을 의미한다.
가축의 물리 및 생리적 건강 상태는 양호한 건강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 즉, 질병 및 상해와 관련된 다양한 지표(다리 절음, 외피의 변형, 분비물, 염증 및 설사 등), 질병여부, 해당 관리로 인한 고통의 정도(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는지)로부터 파악되는 것이다.
가축의 정신적 건강 상태는 적절한 행동 패턴을 보이는지 여부(투쟁행동 또는 화합행동과 같은 사회적 행동, 회피 거리에 따른 사람과의 관계)와 관련된 항목을 의미한다. 상기 언급된 항목 이외에도, 4가지의 대분류에 속할 수 있는 내용이면, 평가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지 수준 평가 항목은 가축의 종류와 같은 사전 정보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평가 항목을 구성하는 것은 평가 항목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가 제공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복지 수준 평가 항목은 각 대분류별 하위 항목에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가 부여되며, 이를 통해 상기 평가 항목의 평가 결과를 점수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수는 대분류별로 100점을 만점으로 하며, 그 중 하위 항목에서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설정하여, 이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다. 총 4개의 대분류에 대하여 부여된 점수를 합산하여, 400점을 만점으로 전체 사육장의 동물 복지 수준에 대한 점수가 부여될 수 있다.
상기 가중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0.01 내지 0.99의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농장 사전 정보 및 가축 정보에 따라, 중요도를 반영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육우 사육 시, 동물 복지 수준은 식이 조건에서 충분한 사료 섭취의 경우 물 섭취보다 중요한 조건으로 파악되어, 각각 0.7, 0.3의 가중치를 점수에 곱하여 점수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결과에 대응하는,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참고사항 또는 가이드라인을 매치하여 평가 보고서를 제공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단말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입력부 및 결과 처리부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단말기, 특히 모바일 기기일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 및 계산부는 별도의 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가축 사육 시설의 동물 복지 수준 평가 및 진단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동물 복지 수준 평가에 대한 통일된 기준을 적용하고, 이를 모바일 기기 등을 통해 구현되도록 하는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육 현장에서 동물 복지 수준에 대한 평가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동물 복지 수준 평가 진단 시스템의 수행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동물 복지 수준 평가 방법에서의 동물 복지 수준 점수화 및 분석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동물 복지 수준 평가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4는 한육우 사육 농장에서의 동물 복지 수준 진단 항목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젖소 사육 농장에서의 동물 복지 수준 진단 항목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농장의 종류에 따른 동물 복지 수준 점수화 프로토콜로서, 비육 농장의 평가 프로토콜에 따른 점수 산출 과정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농장의 종류에 따른 동물 복지 수준 점수화 프로토콜로서, 번식/일괄 사육 농장의 평가 프로토콜에 따른 점수 산출 과정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농장의 종류에 따른 동물 복지 수준 점수화 프로토콜로서, 젖소 농장의 평가 프로토콜에 따른 점수 산출 과정을 예시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명세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명세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 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물 복지 수준 평가 진단 방법의 개요를 설명한 것으로, 특히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되는 구현예를 도시화한 것이다. 동물 복지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농장 규모 및 유형과 같은 농장 정보, 사육중인 가축의 종류 및 두수 등을 포함하는 가축 정보 등의 사전 정보와, 동물 복지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에 대한 평가 내용이 어플리케이션이 구현되는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계산부를 거쳐 점수화하여 결과를 도출한다. 도출된 결과값은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거나, 추가적인 정보로 처리되어 전달된다. 상기 추가 정보는 래퍼런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참고사항 또는 동물 복지 수준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일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산출되는 결과물은 도 2의 순서도에 따른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한 것이다. 동물 복지 수준 평가 항목은 가축의 종류, 농장 규모, 농장 형태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며, 이는 평가 항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별되어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평가 항목 처리부에서는 입력된 사전 정보에 따라 평가 항목을 구성하며, 사전 정보에 따라 평가 항목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 복지 수준 평가 시스템의 구성 요소 및 역할에 대해서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하였다. 도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동물 복지 수준 평가 시스템은 농장의 사전 정보 및 동물 복지 수준 평가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부(100); 상기 입력부로부터 농장 사전 정보 및 복지 수준 평가 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00);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결과를 점수화하여 계산하는 계산부(300); 및 상기 계산부로부터 계산된 점수를 바탕으로 동물 복지 수준 분석 및 결과를 제시하는 결과 처리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에는 동물 복지 수준 평가 항목을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평가 항목들을 저장하고 있는 평가 항목 데이터 베이스(210) 및, 이를 구성하기 위한 평가 항목 처리부(5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에는 동물 복지 수준 평가 결과로부터, 복지 수준에 대한 참조사항 및 복지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이드라인 등을 매치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결과 처리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결과 처리부에는 복지 수준에 대한 참조사항 및 가이드라인에 대한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41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계산부(300)에서는 동물 복지 수준 평가 항목의 입력값에 따라 점수화 알고리즘을 통해 점수화 하며, 이러한 점수 부여의 구체적인 예시는 도 6 내지 8에 기재되어 있다. 도 6은 한육우의 비육 농장 평가 프로토콜에 따른 점수 산출 예시로서, 식이 조건(좋은 사료와 물), 축사 환경(편한 축사 환경), 가축의 물리 및 생리적 건강상태(양호한 건강상태) 및 가축의 정신적 건강 상태(적절한 행동)의 대분류로 평가 항목을 분류하고, 각각의 대분류에 속하는 하위 항목을 구성하였다. 이들 하위 항목에서는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가 부여되는데, 예를 들어, 한육우의 비육 농장인 경우, 식이 조건에서 비교적 중요도가 높은 신체 충실도는 0.7의 가중치를, 수분 섭취의 경우 기준 점수의 0.3의 가중치를 주어 합산하는 방식으로 점수를 계산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하기 표 1과 같은 평가 항목에 따른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점수화 알고리즘을 적용해 보면 아래와 같은 산출 결과(점수)를 확인할 수 있다. 하기 표 1은 도 6의 비육 농장 프로토콜에 따른 항목 평가 결과이며, 이를 바탕으로 동물 복지수준 평가 결과 점수를 도출할 수 있다.
평가항목 점수 가중치 종합점수 ((점수*가중치)합))
좋은 사료와 물 충분한 영양섭취 기준점수 100 0.7 100
충분한 물섭취 기준점수 100 0.3
편한 축사환경 편안한 휴식 깔짚수분 간이측정점수 20 0.5 60
가축 외형위생 100 0.5
편안한 열환경과 환기 혹서기 100 0.7 100
혹한기 100 0.3
양호한 건강상태 상해의 최소화 100 0.35 92.5
질병의 최소화 100 0.4
해당 관리로 인한 고통의 최소화 70 0.25
적절한 행동 사회적 행동의 표현 100 0.65 79.98
편안한 사람/가축관계 42.8 0.35
진단점수 332.48
도 7 및 도 8의 경우 가축의 종류 및 농장 형태에 따른 평가 항목 구성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동물 복지 수준 평가 항목이 변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것은 상기 설명된 시스템 상에서 구현되는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입력부
110 : 사전정보 입력부
120 : 평가항목 입력부
200 : 데이터베이스
210 : 평가항목 데이터베이스
220 : 평가결과 데이터베이스
300 : 계산부
400 : 결과 처리부
410 :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
500 : 평가항목 처리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가축 종류, 사육되는 가축의 수 및 사육 형태에 대한 정보로서, 비육농장, 번식/일괄 사육농장 또는 젖소농장 중 선택되는 농장의 사전 정보 및 좋은 사료와 물, 편한 축사 환경, 양호한 건강 상태 및 적절한 행동을 포함하는 동물 복지 수준 평가 결과로서, 상기 좋은 사료와 물은 충분한 영양 섭취 및 충분한 물 섭취의 하위 항목; 상기 편한 축사 환경은 편안한 휴식 및 열환경과 환기의 하위 항목; 상기 양호한 건강 상태는 상해의 최소화, 질병의 최소화, 해당 관리로 인한 고통의 최소화의 하위 항목; 적절한 행동은 사회적 행동의 표현, 편안한 사람/가족관계의 하위 항목을 각각 포함하는 항목의 평가 결과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농장 사전 정보 및 복지 수준 평가 결과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결과에, 사전 정보에 따라 각 항목별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점수화하여 계산함에 있어,
    상기 사전 정보가 비육 농장인 경우, 상기 동물 복지 수준 평가 항목 중 좋은 사료와 물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의 가중치는 충분한 영양 섭취에 0.7, 충분한 물섭취에 0.3이 부여되고, 편한 축사환경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의 가중치는 편안한 휴식에 0.5, 편안한 열환경과 환기에 혹서기인 경우 0.7, 혹한기인 경우 0.4이 부여되고, 양호한 건강 상태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의 가중치는 상해의 최소화에 0.35, 질병의 최소화에 0.4,해당 관리로 인한 고통의 최소화에 0.25가 부여되고, 적절한 행동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의 가중치는 사회적 행동의 표현에 0.65, 편안한 사람/가족관계에 0.35가 부여되고;
    상기 사전 정보가 번식/일반사육 농장인 경우, 상기 동물 복지 수준 평가 항목 중 좋은 사료와 물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의 가중치는 충분한 영양 섭취에 0.7, 충분한 물섭취에 0.3이 부여되고, 편한 축사환경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의 가중치는 편안한 휴식에 0.6, 편안한 열환경과 환기에 0.4가 부여되고, 양호한 건강 상태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의 가중치는 상해의 최소화에 0.35, 질병의 최소화에 0.4,해당 관리로 인한 고통의 최소화에 0.25가 부여되고, 적절한 행동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의 가중치는 사회적 행동의 표현에 0.65, 편안한 사람/가족관계에 0.35가 부여되고;
    상기 사전 정보가 젖소 농장인 경우, 상기 동물 복지 수준 평가 항목 중 좋은 사료와 물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의 가중치는 충분한 영양 섭취에 0.65, 충분한 물섭취에 0.35이 부여되고, 편한 축사환경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의 가중치는 편안한 휴식에 0.6, 편안한 열환경과 환기에 0.4가 부여되고, 양호한 건강 상태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의 가중치는 상해의 최소화에 0.35, 질병의 최소화에 0.4,해당 관리로 인한 고통의 최소화에 0.25가 부여되고, 적절한 행동에 해당하는 하위 항목의 가중치는 사회적 행동의 표현에 0.55, 편안한 사람/가족관계에 0.45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산부; 및
    상기 계산부로부터 계산된 점수를 바탕으로 동물 복지 수준 분석 및 결과를 제시하고, 상기 동물 복지 수준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참조 사항 및 가이드라인을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하는 결과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물 복지 수준 평가 항목을 구성하기 위한 평가 항목들을 저장하고 있는 평가 항목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입력된 사전 정보에 따라 동물 복지 평가 항목을 구성하는 평가 항목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동물 복지 수준 평가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모바일 기기상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복지 수준 평가 시스템.
KR1020210096393A 2021-07-22 2021-07-22 동물 복지 수준의 평가 및 진단 방법 KR102644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393A KR102644958B1 (ko) 2021-07-22 2021-07-22 동물 복지 수준의 평가 및 진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393A KR102644958B1 (ko) 2021-07-22 2021-07-22 동물 복지 수준의 평가 및 진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076A KR20230015076A (ko) 2023-01-31
KR102644958B1 true KR102644958B1 (ko) 2024-03-07

Family

ID=85109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393A KR102644958B1 (ko) 2021-07-22 2021-07-22 동물 복지 수준의 평가 및 진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9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263B1 (ko) * 2021-03-09 2021-07-08 한국축산데이터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가축 건강상태 면역 지표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507A (ko) * 2015-03-19 2016-09-28 주식회사 피엔브이 동물 건강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1725659B1 (ko) * 2015-09-15 2017-04-2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 기반 동물 관리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962308B1 (ko) * 2017-03-21 2019-03-26 함영상 무선 데이터 통신 모듈과 스마트폰을 사용한 반려동물의 건강상태 확인 시스템
KR102238716B1 (ko) * 2019-01-24 2021-04-09 윤수현 생산물 점수 제공 시스템
KR20200133677A (ko) * 2019-05-20 2020-11-30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반려동물 건강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263B1 (ko) * 2021-03-09 2021-07-08 한국축산데이터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가축 건강상태 면역 지표화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조경욱 외 4인. ‘국내 동물원의 동물복지 평가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수의학회지, 제49권 제1호, 2009, pp.91-9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5076A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inhardt et al. Relationship of various incoming cattle traits with feedlot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Council Farm animal welfare in Great Britain: Past, present and future
Krueger et al. Systems for evaluation of welfare on dairy farms
Naspetti et al. Consumer perception of sustainable practices in dairy production
Sant'Anna et al. Genetic associations between temperament and performance traits in Nellore beef cattle
Moorman et al. Associations between the general condition of culled dairy cows and selling price at Ontario auction markets
Prunier Scientific Opinion on the use of animal-based measures to assess welfare in pigs
Thomsen et al. Loser cows in Danish dairy herds: Definition, prevalence and consequences
Adedeji et al. Productivity effects of occupational hazards among poultry farmers and farm workers in Osogbo Local Government Area of Osun State
Dejyong et al. An economic analysis of high milk somatic cell counts in dairy cattle in Chiang Mai, Thailand
Botreau et al. Multicriteria evaluation of animal welfare at farm level: an application of MCDA methodologies
KR102644958B1 (ko) 동물 복지 수준의 평가 및 진단 방법
Čobanović et al. Slaughterline records of various postmortem pathological lesions and their influence on carcass and meat quality in slaughtered pigs
EFSA Panel on Animal Health and Welfare (AHAW) Scientific Opinion on the use of animal‐based measures to assess welfare in pigs
Duniya et al. Measurement of pig production profitability in Zangon Kataf and Jema’a local government areas of Kaduna State, Nigeria
Czycholl et al. How reliable is the multi-criteria evaluation system of the Welfare Quality® protocol for growing pigs?
Herva et al. On-farm welfare and estimated daily carcass gain of slaughtered bulls
Soulat et al. Influence of cattle category and slaughter age on Charolais-breed carcase and meat traits
Ellerbrock et al. Static space requirements of male meat turkeys
Cranston So sue me: How consumer fraud, antitrust litigation, and other kings of litigation can effect change in the treatment of egg-laying hens where legislation fails
Angus et al. The use of conjoint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factors that affect on-farm welfare of the dairy cow
Sundrum Why has animal science not led to improved farm animal health and welfare?
Harvey et al. Report on Animal Welfare of Dairy Cows in Indoor Loose Range Housing: A Systematic Review
Simona et al. Consumer perception of sustainable practices in dairy production
Gottardo et al. The use of animal‐based measures to assess animal welfare in the EU–state of art of the last 10 years of activities and analysis of the gaps. Preparatory 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