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696B1 - Magnetic Filter Provided With A Intake Manifold For Cooling - Google Patents

Magnetic Filter Provided With A Intake Manifold For Coo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696B1
KR102644696B1 KR1020230104229A KR20230104229A KR102644696B1 KR 102644696 B1 KR102644696 B1 KR 102644696B1 KR 1020230104229 A KR1020230104229 A KR 1020230104229A KR 20230104229 A KR20230104229 A KR 20230104229A KR 102644696 B1 KR102644696 B1 KR 102644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lets
cooling
oil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42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재생
김형태
박경식
정재기
김윤기
Original Assignee
파인원 주식회사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주식회사 티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인원 주식회사,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주식회사 티마트 filed Critical 파인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4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6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5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 B03C1/031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 B03C1/033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 B03C1/0335Component parts; Auxiliary operation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circuit using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0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cylindrical material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3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에 관한 것으로, 지지 틀체를 이루는 기부(2); 상기 기부(2) 상에 원료를 공급 및 회수하도록 관로의 형태로 배치된 코어부(3); 상기 코어부(3) 둘레에 감겨 전원 인가 시 전자석으로 되는 코일부(4); 및 전원이 인가된 상기 코일부(4)의 전자기력으로 자화되는 복수의 망체에 의해 상기 코어부(3)로 투입되는 상기 원료 중에 포함된 자성체를 걸러내는 필터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부(4)는 내부로 새로운 냉각유를 투입하여 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도록, 측벽(23)에 복수로 형성된 유입구(25)를 하나로 모아 급유원에 연결하는 흡입매니폴드(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흡입매니폴드에 의해 코일부 케이스 안으로 투입되는 냉각유를 케이스 내부에서 고르게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코일 중심 부위에서의 열축적을 해소시키고, 코일부의 온도상승을 막아 코일부의 전자기력 약화를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탈철기의 탈철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n intake manifold for cooling, comprising: a base (2) forming a support frame; A core portion (3) arranged in the form of a pipe to supply and recover raw materials on the base (2); A coil part (4) that is wound around the core part (3) and becomes an electromagnet when power is applied; And a filter unit (5) that filters out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core unit (3) by a plurality of nets magnetiz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coil unit (4) to which power is applied. , the coil unit 4 is an intake manifold 15 that gathers a plurality of inlets 25 formed on the side wall 23 into one and connects them to an oil supply source to suppress internal temperature rise by introducing new cooling oil into the in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d therefore, the cooling oil injected into the coil case by the intake manifold can flow evenly inside the case, thereby eliminating heat accumulation in the center of the coil and prevent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coil part. Some weakening of electromagnetic force can be prevented, and furthermore, the iron removal performance of the iron remover can be maintained stably.

Description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Magnetic Filter Provided With A Intake Manifold For Cooling}{Magnetic Filter Provided With A Intake Manifold For Cooling}

본 발명은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차전지 등의 원료에 포함된 자성체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필터부를 자화시키는 전자석 코일부가 자화로 인해 과열되지 않도록 냉각시키기 위해 코일부 내부에 공급되는 냉각유의 주입 및 배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 suction manifold for cooling, and more specifically, to cooling the electromagnet coil part that magnetizes the filter part to filter out magnetic contaminants contained in raw materials such as secondary batteries so that it does not overheat due to magnetization. It relates to an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 cooling intake manifold to facilitate the injection and discharge of cooling oil supplied inside the coil unit.

일반적으로, 탈철기는 분말 또는 슬러리 형태의 광물이나 폴리머 또는 식품 등에 포함된 철분 등 자성체를 전자기력을 이용해 걸러내 제거하는 장치로서, 최근 들어 2차전지 소재에 포함된 철분이 2차전지의 화재 원인으로 알려지면서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In general, an iron stripper is a device that filters and removes magnetic substances such as iron contained in minerals, polymers, or food in the form of powder or slurry using electromagnetic force. Recently, iron contained in secondary battery materials has become a cause of secondary battery fires. As it becomes known,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이러한 탈철기의 한 예로서 도 1에 도시된 탈철기를 들 수 있다. 이 탈철기(101)는 등록특허 제10-2016875호(2차전지 원료 정제용 자동 탈철시스템)에 개시된 것으로, 전원이 인가된 때 자화되면서 발열되는 코일부(110)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부(150)를 구비한다.An example of such an iron remover is the iron remover shown in FIG. 1. This iron stripper 101 i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2016875 (Automatic iron stripping system for refining secondary battery raw materials), and has a cooling unit to cool the inside of the coil part 110, which is magnetized and generates heat when power is applied. (150) is provided.

이 냉각부(150)는 코일부(110)의 온도가 상승한 때 오일순환펌프(152)를 작동시켜 오일공급관(153)을 통해 코일부(110) 내부로 냉각유를 공급하고, 오일회수관(154)를 통해 코일부(110) 내에서 냉각에 사용된 냉각유를 회수한다. 회수된 냉각유는 오일쿨러(155)를 통해 냉각되어 재차 코일부(110)로 투입된다.This cooling unit 150 operates the oil circulation pump 152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il unit 110 rises to supply cooling oil into the coil unit 110 through the oil supply pipe 153, and the oil return pipe ( The cooling oil used for cooling in the coil unit 110 is recovered through 154). The recovered cooling oil is cooled through the oil cooler 155 and re-injected into the coil unit 110.

그런데, 위와 같이 냉각부(150)에 의해 코일부(110)를 냉각시키는 종래의 탈철기(101)는 오일공급관(153) 하나의 관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부(110) 내부로 투입된 냉각유가 코일부(110) 내에 복수로 적층된 코일의 외주면과 케이스(114) 내주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하게 되므로, 즉, 코일과 코일 사이로 원활하게 유동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코일 축심 부분 중 특히 중간높이 부분에서 냉각유의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냉각유를 공급함에도 불구하고 코일부(110) 중심부분이 과열되어 코일부(110) 내부 온도가 상승하며, 결과적으로 코일에서 만들어지는 자기장의 세기가 고온으로 인해 저하되면서, 탈철성능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iron remover 101, which cools the coil unit 110 by the cooling unit 150 as described above, consists of a single oil supply pipe 153, the cooling oil introduced into the coil unit 110 Since it flows in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s stacked in the coil unit 1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se 114, that is, smooth flow between coils is not achieved, especially the mid-height portion of the coil shaft center portion. The exchange of cooling oil is not carried out smoothly, and therefore, despite the supply of cooling oil, the central part of the coil unit 110 is overheate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il unit 110 increases, and as a result,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created in the coil increases. As deterioration occurred due to high temperatur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ron removal performance also deteriorated.

KR 10-2016875KR 10-201687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탈철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자화 시 고열이 발생되는 코일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코일부 케이스 내부로 투입되는 냉각유가 케이스 내에서 막히는 곳 없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층된 코일의 중심에서도 원활하게 교환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새로 투입된 냉각유가 잘 머물게 함으로써, 자화 시 발열로 인한 코일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자기장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더 나아가 탈철기의 탈철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iron remover as above. In order to cool the coil part where high heat is generated during magnetization, the cooling oil injected into the coil case is smooth and does not become blocked in the case. By allowing it to flow, it can be exchanged smoothly even in the center of the stacked coils, and on the contrary, by allowing the newly introduced cooling oil to stay well, the temperature rise of the coil due to heat generation during magnetization is suppressed and the magnetic field strength is kept constant. Furthermore, the purpose is to maintain stable iron removal performance of the iron remov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 틀체를 이루는 기부; 상기 기부 상에 원료를 공급 및 회수하도록 관로의 형태로 배치된 코어부; 상기 코어부 둘레에 감겨 전원 인가 시 전자석으로 되는 코일부; 및 상기 코어부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적층되되, 전원이 인가된 상기 코일부의 전자기력으로 자화되는 복수의 망체에 의해 상기 코어부로 투입되는 상기 원료 중에 포함된 자성체를 걸러내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부는 내부로 새로운 냉각유를 투입하여 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도록, 측벽에 복수로 형성된 유입구를 하나로 모아 급유원에 연결하는 흡입매니폴드를 포함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를 제공한다.To achieve this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orming a support frame; a core portion arranged in the form of a pipe to supply and recover raw materials on the base; A coil part that is wound around the core part and becomes an electromagnet when power is applied; And a filter unit stacked at intervals inside the core unit and filtering out the magnetic material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core unit by a plurality of nets magnetiz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coil unit to which power is applied. However, the coil unit is equipped with a cooling intake manifold including an intake manifold that brings together a plurality of inlets formed on the side wall and connects to the oil supply source to suppress the internal temperature rise by injecting new cooling oil into the coil part. Provides ironware.

또한, 상기 코일부는, 상기 코어부가 통과하는 공동이 축선을 따라 형성되어 외체를 이루는 케이스; 복수개가 상기 케이스 내에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전원 인가 시 전자석으로 되는 환형의 코일; 및 상기 급유원으로부터 냉각유를 공급 받아 상기 케이스 내부로 투입함으로써 상기 코일을 냉각시키기 위해, 복수의 상기 유입구와 상기 급유원을 하나로 연결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상기 흡입매니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coil unit may include a case in which a cavity through which the core unit passes is formed along an axis to form an outer body; A plurality of ring-shaped coils are stacked at intervals within the case and become electromagnets when power is applied; and the intake manifold installed in the case to connect the plurality of inlets and the oil supply source into one to cool the coil by receiving cooling oil from the oil supply source and injecting it into the case. do.

또한, 상기 케이스의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 사이의 상기 케이스 내주면 상에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 내주면과 상기 코일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흐르는 냉각유에 대해 유동저항을 일으키는 다수의 저항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lurality of resistance protrusions that protrud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between the outlet and the inlet of the case to create flow resistance to the cooling oil flow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il.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측벽의 냉각유 입구측에 복수 개가 가로로 배열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흡입매니폴드는 급유구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의 내주면에 세로로 세워져 부착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주입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is penetrated so that a plurality of inlets are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coolant inlet side of the side wall, and the intake manifold is vertically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so that the oil supply ports contact each of the corresponding inlets. It is preferable to have a plurality of inlet hol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discharge the cooling oil flowing inside through the inlet hole into the inside of the case.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측벽의 냉각유 입구측에 복수 개가 세로로 배열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흡입매니폴드는 급유구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의 내주면에 가로로 누워져 부착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주입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is penetrated so that a plurality of inlets are arranged vertically on the coolant inlet side of the side wall, and the intake manifold is laid horizontally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so that the oil supply ports contact each of the corresponding inlets. It is preferably attached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let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discharge the cooling oil flowing into the inside through the inlet into the inside of the case.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측벽의 냉각유 입구측에 복수 개가 가로로 배열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흡입매니폴드는, 제1 급유구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의 내주면에 세로로 세워져 부착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제1 주입구를 구비하는 복수의 세로주유지관; 및 복수의 제2 주입구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의 외주면에 가로로 부착되며, 제2 급유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주유지관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상기 제2 주입구를 구비하는 가로급유지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is penetrated so that a plurality of inlets are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coolant inlet side of the side wall, and the suction manifold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so that the first oil supply port abuts each of the corresponding inlets. a plurality of vertical main maintenance pipes, which are erected and attached, and which have a plurality of first inlet hol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discharge the cooling oil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inlet into the inside of the case; and a plurality of second inlet ports are horizontal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so as to contact the respective inlets, and are arranged longitudinally to discharge the cooling oil flowing into the inside through the second oil inlet port into the main maintenance pip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horizontal oil supply pip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injection ports penetrated through the oil pipe.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측벽의 냉각유 입구측에 복수 개가 세로로 배열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흡입매니폴드는, 제1 급유구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의 내주면에 가로로 누워져 부착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제1 주입구를 구비하는 복수의 가로주유지관; 및 복수의 제2 주입구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의 외주면에 세로로 부착되며, 제2 급유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주유지관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상기 제2 주입구를 구비하는 세로급유지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is penetrated so that a plurality of inlets are arranged vertically on the coolant inlet side of the side wall, and the suction manifold is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so that the first oil supply port abuts each of the corresponding inlets. A plurality of horizontal oil holding pipes are attached while lying down and have a plurality of first inlet hol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discharge the cooling oil introduced into the inside through the inlet into the inside of the case; and a plurality of second inlet ports are vertical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so as to contact the respective inlets, and are arranged longitudinally to discharge the cooling oil flowing in through the second inlet port into the main maintenance pip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vertical oil supply pipe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injection ports penetrated through the oil tank.

또한, 복수의 상기 주입구와 복수의 상기 제1 주입구는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을 x축으로 하는 가우시안커브 형태를 갖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구배를 상기 중심축과 나란하게 수렴하는 직선 형태로 보정하도록, 각각의 상기 주입구와 상기 제1 주입구에서 토출되는 냉각유의 토출압을 조정하기 위해, 가우스피크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점으로 하여 각각의 상기 주입구와 상기 제1 주입구가 상기 중점에 최근접하는 중간높이에서 가장 큰 직경을 가지게 되며, 상기 중점에서 상하로 멀어질수록 점차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injection ports and the plurality of first injection ports are configured to correct the temperature gradient inside the case, which has a Gaussian curve shap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case as the x-axis, into a straight line converging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respectively. In order to adjust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cooling oil discharged from the inlet and the first inlet, with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Gaussian peak as the midpoint, each of the inlet and the first inlet has the largest height at the mid-height closest to the midpoint. It is desirable to have a diameter that gradually becomes smaller as you move up and down from the midpoint.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와 대향하는 상기 측벽의 출구측에 하나 이상의 유출구가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유출구는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노즐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is formed with one or more outlets penetrating the outlet side of the side wall opposite the inlet, and each outlet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nozzle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case.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각각의 유출구를 하나로 연결하도록 상기 측벽에 설치된 배출매니폴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discharge manifold installed on the side wall to connect each outlet into one.

또한, 복수의 상기 가로주유지관은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을 x축으로 하는 가우시안커브 형태를 갖는 상기 케이스 내부의 온도구배를 상기 중심축과 나란하게 수렴하는 직선 형태로 보정하도록, 각각의 상기 가로주유지관에서 토출되는 냉각유의 양을 조정하기 위해, 가우스피크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점으로 하여 각각의 상기 가로주유지관이 상기 중점에 최근접하는 중간높이에 있을 때 상기 제1 주입구의 개수가 가장 많고, 상기 중점에서 상하로 멀어질수록 상기 제1 주입구의 개수가 점차 적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aintenance pipes are configured to correct the temperature gradient inside the case, which has a Gaussian curve shap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case as the x-axis, into a straight line converging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In order to adjust the amount of cooling oil discharged from the center,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Gaussian peak is the central point, and when each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is at a mid-height closest to the midpoint, the number of the first injection ports is greatest, and the midpoin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first injection holes gradually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top and bottom increases.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측벽의 냉각유 입구측에 복수 개가 가로세로로 배열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흡입매니폴드는 복수의 주입구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의 외주면에 세로로 부착되며, 급유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상기 주입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is penetrated so that a plurality of inlets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the coolant inlet side of the side wall, and the suction manifold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so that the plurality of inlet ports contact the respective inlets. It is preferable to have a plurality of injection port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discharge the cooling oil introduced inside through the oil supply port into the case.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측벽의 냉각유 입구측에 복수 개가 가로세로로 배열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흡입매니폴드는 복수의 주입구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의 외주면에 가로로 부착되며, 급유구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케이스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상기 주입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ase is penetrated so that a plurality of inlets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the coolant inlet side of the side wall, and the suction manifold is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so that the plurality of inlet ports contact each of the corresponding inlets. It is preferable to have a plurality of injection port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discharge the cooling oil introduced inside through the oil supply port into the case.

본 발명의 탈철기에 따르면, 원료 중의 자성체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필터부를 자화시키는 코일부가 전원에 인가되어 전자석으로 된 때 발생하는 열을 코일부 내에 수용된 냉각유로 방열하는 바, 냉각유를 순환시키기 위해 급유원과 코일부를 연결하는 부위에 흡입매니폴드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코일부 케이스 안으로 투입되는 냉각유를 케이스 내부에서 고르게 유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코일 중심 부위에서의 열축적을 해소시킴으로써 코일부의 온도상승을 막아 이로 인한 코일부의 전자기력 약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탈철기의 탈철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iron rem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generated when the coil part that magnetizes the filter part to filter out magnetic foreign substances in the raw material is applied to power and becomes an electromagnet, is radiated to the cooling oil contained in the coil part, and is used to circulate the cooling oil. Since the intake manifold is placed at the area where the oil supply source and the coil unit are connected, the cooling oil injected into the coil unit case can flow evenly inside the case, thereby eliminating heat accumulation at the center of the coil,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the nose. By blocking a portion of the temperature rise, weakening of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coil par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furthermore, the iron removal performance of the iron removal machine can be maintained stably.

또한, 코일과 코일 사이의 공간을 향하는 지점마다 주입구 또는 제1 주입구를 배치할 수 있어, 위 공간으로 냉각유를 보다 강력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되므로, 열축적이 가장 심한 적층 코일의 축선을 따른 중간높이 부분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inlet or first inlet can be placed at each point facing the space between the coils, making it possible to more powerfully inject the cooling oil into the space above, so that it is located in the middle along the axis of the laminated coil where heat accumulation is most severe. The height portion can be cooled effectively.

특히, 코일부 내부의 온도분포가 케이스 중심축을 x축으로 하는 가우시안커브 형태의 온도구배를 가지는 바, 이 형태에 맞추어 주입구 또는 제1 주입구의 직경 또는 개수를 중간높이 부분에서 가장 크게 하고, 상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함으로써, 위 온도구배에 대응하여 온도가 가장 높은 중간높이에서 냉각유의 토출압을 가장 세게 하고, 상하로 갈수록 점차 약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즉, 적층 코일의 온도구배에 맞추어 흡입매니폴드에서 주입되는 냉각유의 토출압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코일부의 냉각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il unit has a temperature gradient in the form of a Gaussian curve with the case center axis as the By making it gradually smaller,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cooling oil can be adjusted to be strongest at the middle height where the temperature is the highest in response to the temperature gradient above, and gradually weakened as it goes up and down, that is, injected from the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gradient of the laminated coil. Since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cooling oil can be adjusted, cooling of the coil portion can be realized more efficiently.

아울러, 케이스 유출구를 노즐 형태로 만들거나, 유출구에 배출매니폴드를 부착함으로써, 냉각유를 케이스로부터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코일부에 대한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making the case outlet in the form of a nozzle or attaching a discharge manifold to the outlet, cooling oil can be discharged more quickly and smoothly from the case, and as a result,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il unit can be further improved. There will be.

또한, 유입구에서 90도 꺾인 케이스 내주면 측방에 저항돌기를 배치함으로써, 케이스 내부로 투입된 냉각유가 해당 부분을 빠르게 지나치지 않도록 유동저항을 일으켜 잡아둘 수 있으므로, 냉각유에 의한 코일의 냉각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탈철기의 탈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placing resistance protrusions on the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that is bent 90 degrees from the inlet, flow resistance can be created to prevent the cooling oil injected into the case from quickly passing through that part,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il by the cooling oil. , As a result, the iron removal performance of the iron removal machine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탈철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철기의 종단정면도.
도 3은 노즐형 유출구가 적용된 도 2의 코일부를 도시한 종단정면도.
도 4는 배출매니폴드가 적용된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코일부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 요부 사시도.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 요부 사시도.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 요부 사시도.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 요부 사시도.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 요부 사시도.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 요부 사시도.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부 요부 사시도.
도 13은 도 5에 도시된 코일부 내부의 온도구배를 나타낸 모식도.
Figure 1 is a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ron stripper.
Figure 2 is a longitudinal front view of an iron stri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ongitudinal front view showing the coil part of Figure 2 to which a nozzle-type outlet is applied.
Figure 4 is a plan view of Figure 3 with the discharge manifold applied.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coil portion shown in Figure 2.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oil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oil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oil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oil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coi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coi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oil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temperature gradient inside the coil unit shown in Figure 5.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n intake manifold for cool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탈철기는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부(2), 코어부(3), 코일부(4), 및 필터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1 in FIG. 2, the iron stri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2), a core portion (3), a coil portion (4), and a filter portion (5).

여기에서, 상기 기부(2)는 탈철기(1)의 외부 틀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속이 빈 원통기둥의 형태로 되어 있다.Here, the base 2 is a part of the external frame of the iron stripper 1 and is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rical column, as shown in FIG. 2.

상기 코어부(3)는 털철이 이루어지는 용기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기부(2)의 선반면 중앙을 관통하여 축선 상에 배치되는 바, 중공 원통체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필터부(5)를 수용하는 동시에, 코일부(4)의 축심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코어부(3)는 탈철의 대상이 되는 원료를 공급하도록 입구에서 원료가 투입되며, 필터부(5)를 통해 탈철을 마친 원료를 회수하도록 출구에서 원료가 토출되도록 원통관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료로 습러리가 사용되는 습식 탈철기의 경우 원료가 투입되는 입구가 코어부(3) 하단이 될 수 있다.The core portion 3 is a container portion in which hair is formed, and as shown in FIG. 2, it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helf surface of the base 2 and is disposed on the axis line. It is made of a hollow cylindrical body and is a filter portion 5 to be described later. It is designed to accommodate and at the same time form the axis of the coil portion 4. Accordingly, the core part 3 has the form of a cylindrical tube so that raw materials are input at the inlet to supply the raw materials subject to de-ironization, and the raw materials are discharged at the outlet to recover the de-ferrous materials through the filter part 5. It is desirable. 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wet iron stripper in which wet ferries are used as raw materials, the inlet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s are introduced may be at the bottom of the core portion (3).

상기 코일부(4)는 탈철에 필요한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부(3)의 둘레에 감겨져 형성되는 바, 전원이 인가된 때 전자석으로 되어 전자기력을 발생시켜, 필터부(5)를 자화시킴으로써 자성체 이물질을 걸러낸다.The coil part 4 is a part that generates electromagnetic force necessary for iron removal. As shown in FIG. 2, the coil part 4 is formed by being wound around the core part 3. When power is applied, it becomes an electromagnet and generates electromagnetic force, By magnetizing the filter unit 5, magnetic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out.

이와 같이 전자석으로 된 코일부(4)의 코일(13)은 고열을 발생시키는 바, 발생된 열로 인해 코일부(4) 내부 온도가 1℃ 증가할 때마다 코일부(4)의 자력은 100G(gauss)씩 저하되므로, 코일부(4) 적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코일부(4)는 내부에 냉각유를 투입, 배출함으로써 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하게 되는 바, 케이스(11) 측벽(23)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입구(25)를 통해 급유원으로부터 케이스(11) 내부로 냉각유를 공급하며, 이들 유입구(25)는 흡입매니폴드(15)를 통해 하나로 모아져 급유원으로 연결된다.In this way, the coil 13 of the electromagnet coil unit 4 generates high heat, and wheneve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il unit 4 increases by 1°C due to the generated heat, the magnetic force of the coil unit 4 increases by 100G ( gauss),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the coil unit 4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ccordingly, the coil unit 4 suppresses the internal temperature rise by injecting and discharging cooling oil inside, and the case (11) is supplied from the oil source through one or more inlets 25 formed on the side wall 23 of the case 11) Cooling oil is supplied internally, and these inlets (25) are gathered together through the intake manifold (15) and connected to the oil supply source.

이를 위해, 코일부(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코일(13), 및 흡입매니폴드(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coil unit 4 includes a case 11, a coil 13, and an intake manifold 15, as shown in FIG. 3.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11)는 코일부(4)의 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횡단면이 도우넛 형태인 환형의 원통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케이스(11)는 축선을 따라 원통형으로 형성된 공동(21) 부분에 코어부(3)를 끼워 통과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1)에는 후술하는 흡입매니폴드(15)의 형태에 맞추어 측벽(23)의 냉각유 입구측에 하나 이상의 유입구(25)가 관통되어 형성되고, 그 대향측 즉, 측벽(23)의 냉각유 출구측에 하나 이상의 유출구(27)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Here, the case 11 is a part of the outer body of the coil unit 4, and is made of an annular cylindrical body with a donut-shaped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S. 3 to 5. Accordingly, the case 11 is designed to pass the core portion 3 through the cavity 21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long the axis. Meanwhile, in the case 11, one or more inlets 25 are formed through penetrating the cooling oil inlet side of the side wall 23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intake manifold 1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pposite side, that is, the side wall 23. One or more outlets 27 are formed through the cooling oil outlet side of .

또한, 케이스(11)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유출구(27)가 케이스(11)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노즐 형태로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출구(27)를 통한 냉각유의 배출이 즉, 급유원으로의 귀환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case 11 may be in the form of a nozzle so that each outlet 27 gradually decreases in diameter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 as shown in FIG. 3. In this case, the outlet ( 27) The discharge of cooling oil, that is, the return to the oil source,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또한, 케이스(11)는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3) 내주면의 유출구(27)와 유입구(25) 사이에 예컨대, 주름커튼 형태를 갖는 다수의 저항돌기(30)가 돌출될 수 있는 바, 이 저항돌기(30)를 통해 측벽(23) 내주면과 코일(13)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흐르는 냉각유에 유동저항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새로 투입되어 저항돌기(30)에 의해 유동저항이 발생된 냉각유는 저항돌기(30)가 없는 부분에 비해 유속이 저하되고, 난류화가 더 잘 되므로, 이 구간에 좀 더 머물게 되며, 이는 저항돌기(30)와 인접한 코일(13) 부위에 대한 냉각효율을 더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In addition, the case 11 is another embodiment, and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resistance protrusions 30 having, for example, a pleated curtain shape, are provided between the outlet 27 and the inlet 25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 may protrude, so that flow resistance is generated in the cooling oil flow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il 13 through the resistance protrusion 30. Therefore, the cooling oil that is newly introduced and has flow resistance generated by the resistance protrusions (30) has a lower flow rate and becomes more turbulent compared to the part without the resistance protrusions (30), so it stays in this section for a while longer. This has the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area of the coil 13 adjacent to the resistance protrusion 30.

또한, 케이스(11)는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27)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유출구(27)를 하나로 연결하도록 측벽(23)에 배출매니폴드(28)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냉각유는 케이스(11)의 출구측 측벽(23)의 더 많은 위치에서 동시에 배출되므로, 케이스(11) 내부에서 코일(13) 냉각에 이미 사용된 냉각유를 더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코일부(4)의 냉각효율을 더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In addition, the case 11 is another embodiment, and as shown in FIG. 4, when there are multiple outlets 27, a discharge manifold 28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23 to connect each outlet 27 into one. You can also install it. Accordingly, the cooling oil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from more locations on the outlet side wall 23 of the case 11, so that the cooling oil already used for cooling the coil 13 inside the case 11 can be discharged more quickly. This has the effect of further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il unit 4.

상기 코일(13)은 전원 인가 시 직접적으로 전자석이 되는 부분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예컨대, 4 개가 케이스(11) 내에 복수의 예컨대, 8 개의 받침대(29)에 의해 상하로 간격을 두고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바, 각각의 코일(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로 길게 연장된 띠 형태의 코일 부재를 두루마리 형태로 돌돌 말아서, 파인애플 슬라이스와 같은 환형 부재가 되도록 만든다.The coil 13 is a part that directly becomes an electromagnet when power is applied. As shown in FIGS. 3 and 4, a plurality of coils 13, for example, four, are installed on a plurality of, for example, eight pedestals 29 within the case 11. As shown in FIG. 3, each coil 13 is arranged to be stacked at intervals up and down, and each coil 13 is formed by rolling a coil member in the form of a straight, elongated band into a scroll shape, forming an annular member such as a pineapple slice. Make it possible.

상기 흡입매니폴드(15)는 급유원에서 케이스(11)로 공급되는 냉각유를 유입구(25) 직전에서 여러 갈래의 유입관로로 분기시키는 부재로, 급유원과 여러 개의 유입관로를 하나로 연결함으로써 급유원에서 공급되는 냉각유를 여러 갈래로 케이스(11) 내부에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코일(13)에 대한 냉각유의 냉각효율을 높이는 바, 분기 양상에 따라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와 배치를 갖는다.The intake manifold 15 is a member that branches the cooling oil supplied from the oil supply source to the case 11 into several inflow pipes just before the inlet 25, and supplies oil by connecting the oil supply source and several inflow pipes into on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cooling oil for the coil 13 is increased by allowing the cooling oil supplied from the source to be injected into the case 11 through various branches, and as shown in FIGS. 3 to 12 depending on the branching pattern, various It has shape and arrangement.

즉,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케이스(11) 측벽(23)의 냉각유 입구측에 예컨대, 4 개의 유입구(25)가 가로로 나란히 배열되어 관통된다. 또, 측벽(23)의 내주면에는 각각의 유입구(25)와 대응하도록 4 개의 흡입매니폴드(15)가 세로로 세워져 부착된다. 이때, 각각의 유입구(25)는 입구측에 위치하는 받침대(29)와 받침대(29) 사이에 예컨대, 2 개씩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5, for example, four inlets 25 are arranged horizontally and penetrate the cooling oil inlet side of the side wall 23 of the case 11. In addition, four intake manifolds 15 are vertically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to correspond to each inlet 25.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each inlet 25 is evenly arranged, for example, two at a time between the pedestals 29 and the pedestal 29 located on the inlet side.

또한, 흡입매니폴드(15)는 외측면 상에 각각의 유입구(25)와 맞닿도록 급유구(31)가 관통되고, 그 반대쪽 즉, 흡입매니폴드(15)의 내측면 상에는 예컨대, 5 개의 주입구(33)가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다. 이때, 주입구(33)는 케이스(11) 천장과 최상단 코일(13) 사이, 케이스(11) 바닥과 최하단 코일(13) 사이 그리고 코일(13)과 코일(13) 사이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주입구(33)의 개수는 코일(13)의 개수보다 1 개 많으면 된다. 이에 따라, 흡입매니폴드(15)는 유입구(25)에서 급유구(3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복수의 주입구(33)를 통해 케이스(11) 내부로 토출하며, 토출된 냉각유는 케이스(11) 천장과 최상단 코일(13) 사이, 케이스(11) 바닥과 최하단 코일(13) 사이 그리고 코일(13)과 코일(13) 사이를 통해 공동(21) 주위로까지 신속히 보내질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코일부(4) 전체를 흡입매니폴드(15)가 없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uction manifold 15 has an oil supply port 31 penetrated on its outer side so as to contact each inlet 25, and on the opposite side, that is, on the inner side of the suction manifold 15, there are, for example, five inlet ports. (33)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netrates. At this time, the inlet 33 is preferably directed between the ceiling of the case 11 and the uppermost coil 13, between the bottom of the case 11 and the lowermost coil 13, and between the coils 13 and 13, so the inlet The number of coils (33) should be one more than the number of coils (13). Accordingly, the intake manifold 15 discharges the coolant flowing in from the inlet 25 through the oil supply hole 31 into the case 11 through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33, and the discharged coolant can be quickly sent around the cavity (21) between the ceiling of the case (11) and the uppermost coil (13), between the bottom of the case (11) and the lowermost coil (13), and between the coils (13) and the coils (13). , As a result, the entire coil unit 4 can be cooled relatively faster than when the intake manifold 15 is not present.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케이스(11) 측벽(23)의 냉각유 입구측에 예컨대, 5 개의 유입구(25)가 세로로 나란히 배열되어 관통된다. 이때, 각각의 유입구(25)는 케이스(11) 천장과 최상단 코일(13) 사이, 케이스(11) 바닥과 최하단 코일(13) 사이 그리고 코일(13)과 코일(13) 사이를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주입구(33)의 개수는 코일(13)의 개수보다 1 개 많으면 된다. 또, 측벽(23)의 내주면에는 각각의 유입구(25)와 대응하도록 5 개의 흡입매니폴드(15)가 가로로 누워져 부착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for example, five inlets 25 are arranged vertically and pass through the cooling oil inlet side of the side wall 23 of the case 11. At this time, each inlet 25 is preferably directed between the ceiling of the case 11 and the uppermost coil 13, between the bottom of the case 11 and the lowermost coil 13, and between the coils 13 and 13. , the number of injection ports 33 may be one more than the number of coils 13. In addition, five intake manifolds 15 are horizontally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to correspond to each inlet 25.

또한, 흡입매니폴드(15)는 외측면 상에 각각의 유입구(25)와 맞닿도록 급유구(31)가 관통되고, 그 반대쪽 즉, 흡입매니폴드(15)의 내측면 상에는 예컨대, 4 개의 주입구(33)가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다. 이때, 주입구(33)는 입구측에 위치하는 받침대(29)와 받침대(29) 사이에 예컨대, 2 개씩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흡입매니폴드(15)는 유입구(25)에서 급유구(3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복수의 주입구(33)를 통해 케이스(11) 내부로 토출하며, 토출된 냉각유는 케이스(11) 천장과 최상단 코일(13) 사이, 케이스(11) 바닥과 최하단 코일(13) 사이 그리고 코일(13)과 코일(13) 사이를 통해 공동(21) 주위로까지 신속히 보내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코일부(4) 전체를 빠르게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take manifold 15 has an oil supply port 31 penetrated on the outer surface so as to contact each inlet 25, and on the opposite side, that i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ake manifold 15, there are, for example, four inlet ports. (33)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netrate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jection ports 33 are evenly disposed, for example, two at a time between the pedestals 29 and the pedestal 29 located on the inlet side. Accordingly, the intake manifold 15 discharges the coolant flowing in from the inlet 25 through the oil supply hole 31 into the case 11 through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33, and the discharged coolant can be quickly sent around the cavity (21) between the ceiling of the case (11) and the uppermost coil (13), between the bottom of the case (11) and the lowermost coil (13), and between the coils (13) and the coils (13). , Likewise, the entire coil part 4 can be cooled quickly.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케이스(11)에 유입구(25)가 관통되고, 케이스(11) 내주면에 4 개의 세로주유지관(35)이 부착된다. 즉, 흡입매니폴드(15)가 복수의 세로주유지관(35)과 가로급유지관(3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세로주유지관(35)은 도 5의 흡입매니폴드(15)와 동일하게 제1 급유구(39)가 대응하는 각각의 유입구(25)와 맞닿도록 측벽(23)의 내주면에 세로로 세워져 부착되며, 유입구(25)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케이스(11) 내부로 토출하도록 복수의 제1 주입구(41)이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the inlet 25 penetrates the case 11 in the same manner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3 to 5, and four vertical maintenance pipes 35 are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11. do. That is, the intake manifold 15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oil maintenance pipes 35 and horizontal oil maintenance pipes 37. Here, the vertical oil maintenance pipe 35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so that the first oil supply port 39 abuts each of the corresponding inlets 25, similar to the suction manifold 15 in FIG. It is erected and attached, and a plurality of first injection holes 41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netrate through to discharge the cooling oil introduced inside through the inlet 25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

상기 가로급유지관(37)은 위 복수의 세로주유지관(35)을 하나로 묶는 지관으로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11)의 측벽(23) 외주면에 부착되는 바, 복수의 제2 주입구(42)가 대응하는 각각의 유입구(25)와 맞닿도록 측벽(23)의 외주면에 가로로 부착된다. 따라서, 가로급유지관(37)은 각각의 유입구(25)에 대응하여 맞닿도록 내측면 상에 예컨대, 4 개의 제2 주입구(42)가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다. 또, 제2 주입구(42) 반대쪽 즉, 가로급유지관(37)의 외측면 상에는 급유원으로 이어진 제2 급유구(44)가 관통된다.The horizontal oil maintenance pipe 37 is a branch pipe that unites the plurality of vertical oil maintenance pipes 35, and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of the case 11, as shown in FIG. 7, and has a plurality of second injection ports. (42) is horizontal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so as to abut each corresponding inlet (25). Accordingly, the horizontal oil holding pipe 37 has, for example, four second inlet ports 42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and abut each inlet port 25. In addi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injection port 42, that i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oil supply pipe 37, a second oil supply port 44 leading to the oil supply source is penetrated.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케이스(11)에 유입구(25)가 관통되고, 케이스(11) 내주면에 4 개의 가로주유지관(45)이 부착된다. 즉, 흡입매니폴드(15)가 복수의 가로주유지관(45)과 세로급유지관(4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가로주유지관(45)은 도 6의 흡입매니폴드(15)와 동일하게 제1 급유구(49)가 대응하는 각각의 유입구(25)와 맞닿도록 측벽(23)의 내주면에 가로로 누워져 부착되며, 유입구(25)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케이스(11) 내부로 토출하도록 복수의 제1 주입구(41)가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the inlet 25 penetrates the case 11 in the same manner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and four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s 45 are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11. That is, the intake manifold 15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oil maintenance pipes 45 and vertical oil maintenance pipes 47. Here, the horizontal oil maintenance pipe 45 is horizontal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so that the first oil supply port 49 abuts each of the corresponding inlet ports 25, similar to the intake manifold 15 in FIG. 6. It is attached while lying down, and a plurality of first inlet ports 41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netrate through it to discharge the cooling oil flowing into the inside through the inlet port 25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

상기 세로급유지관(47)은 위 복수의 가로주유지관(45)을 하나로 묶는 지관으로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11)의 측벽(23) 외주면에 부착되는 바, 복수의 제2 주입구(42)가 대응하는 각각의 유입구(25)와 맞닿도록 측벽(23)의 외주면에 세로로 부착된다. 따라서, 세로급유지관(47)은 각각의 유입구(25)에 대응하여 맞닿도록 내측면 상에 예컨대, 4 개의 제2 주입구(42)가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다. 또, 제2 주입구(42) 반대쪽 즉, 세로급유지관(47)의 외측면 상에는 급유원으로 이어진 제2 급유구(44)가 관통된다.The vertical oil maintenance pipe 47 is a branch pipe that unites the plurality of horizontal oil maintenance pipes 45, and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of the case 11, as shown in FIG. 8, and has a plurality of second injection ports. (42) is vertical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so as to abut each corresponding inlet (25). Accordingly, the vertical oil supply pipe 47 has, for example, four second inlet ports 42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so as to correspond to and abut each inlet port 25. In addi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injection port 42, that i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oil supply pipe 47, a second oil supply port 44 leading to the oil supply source is penetrated.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부분 유사하나, 세로주유지관(35) 내부의 냉각유를 케이스(11)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제1 주입구(41) 중 적층된 코일 중 열축적이 가장 심한 중간높이에 위치하는 제1 주입구(41)의 직경이 가장 크고, 상하단에 위치하는 제1 주입구(41)의 직경이 가장 작으며, 중간에서 상하로 멀어질수록 제1 주입구(41)의 직경은 점차 작아진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mostly similar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but has a plurality of first plurality of first penetrating tub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discharge the cooling oil inside the vertical maintenance pipe 35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 Among the inlet 41, the first inlet 41 located at the middle height where heat accumulation is most severe among the stacked coils has the largest diameter, and the first inlet 41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has the smallest diameter, and in the middle As the vertical distance increases, the diameter of the first injection hole 41 gradually becomes smaller.

다만, 이 같은 제1 주입구(41)의 직경 변화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를 포함하여 모든 실시예의 주입구(33) 및 제1 주입구(41)에 적용 가능하다.However, this change in the diameter of the first injection hole 41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and the injection hole 33 and the first injection hole of all embodiments, including the embodiments of FIGS. 11 and 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pplicable to (41).

또한,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가로주유지관(45) 내부의 냉각유를 케이스(11)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제1 주입구(41)의 개수가 가로주유지관(45)가 배치되는 층에 따라 달라진다. 즉, 최상단과 최하단에 배치되는 가로주유지관(45)은 제1 주입구(41)의 개수가 가장 적다. 반대로, 중간높이에 배치되는 가로주유지관(45)은 제1 주입구(41)의 개수가 가장 많다. 그리고 나머지 가로주유지관(45)의 제1 주입구(41) 개수는 중앙에서 상하로 멀어질수록 점차 적어진다. 예컨대, 도 10에서 중간높이의 가로주유지관(45)은 6 개의 제1 주입구(41)를 가지며, 이 가로주유지관(45) 상하에 인접한 가로주유지관(45)은 4 개, 최외곽의 가로주유지관(45)은 2 개의 제1 주입구(41)를 가진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0, the number of first injection holes 41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discharge the cooling oil inside the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 is the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 varies depending on the floor on which it is placed. That is, the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s 45 arranged at the top and bottom have the smallest number of first injection holes 41. On the contrary, the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disposed at the middle height has the largest number of first injection ports 41. And the number of first injection ports 41 of the remaining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s 45 gradually decreases as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center increases. For example, in FIG. 10, the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of mid-height has six first inlets 41, and there are four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s 45 adjacent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the outermost horizontal one. The fuel maintenance pipe 45 has two first injection ports 41.

다만, 이 같은 제1 주입구(41)의 개수 변화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도 12의 실시예를 포함하여 모든 가로로 배치된 흡입매니폴드(15)의 주입구(33) 또는 가로주유지관(45)의 제1 주입구(41)에 적용 가능하다.However, this change in the number of first inlet ports 41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and includes the inlet port (15) of all horizontally arranged intake manifolds 15, including the embodiment of FIG. 33) or can be applied to the first injection port 41 of the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는 흡입매니폴드(15)가 케이스(11) 측벽(23)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점, 따라서 케이스(11)의 측벽(23)에 복수 개의 유입구(25)가 가로세로로 배열되는 점을 제외하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도 5 실시예로 대신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the intake manifold 15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of the case 11, and therefore a plurality of inlets 25 are form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the side wall 23 of the case 11. Since it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except that it is arranged in ,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replac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5.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도 흡입매니폴드(15)가 케이스(11) 측벽(23)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점, 따라서 케이스(11)의 측벽(23)에 복수 개의 유입구(25)가 가로세로로 배열되는 점을 제외하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도 6 실시예로 대신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2, the intake manifold 15 is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of the case 11, and therefore, a plurality of inlets 25 are instal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the side wall 23 of the case 11. Since it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except for the arrange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replaced with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상기 필터부(5)는 원료의 탈철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부(3)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적층된 복수의 망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망체는 전자석이 된 코일부(4)의 전자기력에 의해 자화되어, 코어부(3)로 투입된 원료 중에 포함된 철분 등 다양한 종류의 자성체를 원료로부터 걸러낸다.The filter unit 5 is a part where raw materials are removed from the iron, and as shown in Figures 2 and 3, it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meshes stacked at intervals inside the core part 3. Accordingly, the net is magnetiz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coil part 4, which becomes an electromagnet, and filters out various types of magnetic substances, such as iron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core part 3, from the raw material.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ow, the operation of the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 cooling intake manifol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탈철기(1)에 의하면, 코일부(4)에 전류를 인가하여 만든 자기장을 통해 필터부(5)를 자화시킨 다음, 예컨대, 2차전지 음극재 및 양극재로 사용되는 리튬 등의 2차전지용 원료는 물론, 폴리머용, 식품용, 요업용 등의 원료를 코어부(3)로 투입하여 원료 중의 자성체를 제거하는데, 이 과정에서 전류가 인가된 코일부(4)의 발열을 억제하여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코일부(4) 내의 냉각유를 순환시킴으로써 코일(13)을 냉각시켜야 한다.According to the iron remov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5) is magnetized through a magnetic field created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coil unit (4), and then, for example, lithium, which is used as a secondary battery negative and positive electrode material, etc. Raw materials for secondary batteries, as well as raw materials for polymers, food, ceramics, etc., are introduced into the core part (3) to remove the magnetic substances in the raw materials. In this process, the heat generated by the coil part (4) to which the current is applied is reduced. In order to suppress the temperature and maintain the temperature at an appropriate level, the coil 13 must be cooled by circulating cooling oil in the coil unit 4.

이를 위해, 급유원에서 공급되는 냉각유를 다양한 형태의 흡입매니폴드(15)와 유입구(25)를 통해 케이스(11) 내부로 투입하고, 또 투입된 냉각유를 배출매니폴드(28)와 유출구(27)를 통해 급유원으로 귀환시켜야 하는 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흡입매니폴드(15)의 경우에는 급유원으로부터 각각의 유입구(25)를 통해 공급된 냉각유는 케이스(11) 내부에 세워진 흡입매니폴드(15)를 거쳐 각각의 주입구(33)를 통해 케이스(11) 내부로 주입된다.For this purpose, the cooling oil supplied from the oil supply source is introduced into the case 11 through various types of intake manifold 15 and the inlet 25, and the injected cooling oil is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manifold 28 and the outlet (28). 27), the cooling oil supplied from the oil supply source through each inlet 25 in the case of the intake manifold 15 shown in Figures 3 to 5 is inside the case 11. It is injected into the case (11) through each injection port (33) through the suction manifold (15) erected in the.

이때, 각각의 주입구(33)는 케이스(11) 천장과 최상단 코일(13) 사이에, 케이스(11) 바닥과 최하단 코일(13) 사이에 또는 코일(13)과 코일(13) 사이를 향하고 있으므로, 주입된 냉각유는 코일(13)을 고르게 냉각시킨다. 또,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흡입매니폴드(15)는 케이스(11) 입구측의 90도 구간에서 받침대(29) 사이에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또 배출매니폴드(28)는 복수의 유출구(27)를 적정 간격으로 유지하므로, 냉각유를 케이스(11) 내에서 원활하게 투입, 유동,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저항돌기(30)는 냉각유의 유동을 방해하여 머물게 하므로, 유입구(25) 또는 유출구(27)에서 90도 방향인 코일(13) 측방의 냉각도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At this time, each inlet 33 is directed between the ceiling of the case 11 and the uppermost coil 13, between the bottom of the case 11 and the lowermost coil 13, or between the coils 13 and the coils 13. , the injected cooling oil cools the coil 13 evenly.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each intake manifold 15 is disposed at appropriate intervals between the pedestals 29 in a 90-degree section on the inlet side of the case 11, so there are a plurality of discharge manifolds 28. By maintaining the outlet ports 27 at appropriate intervals, the cooling oil can be smoothly injected, flowed, and discharged within the case 11. At this time, the resistance protrusion 30 blocks the flow of cooling oil and causes it to remain, so that the side of the coil 13 oriented 90 degrees from the inlet 25 or the outlet 27 is also smoothly cooled.

또한, 도 6에 도시된 흡입매니폴드(15)의 경우에는 급유원으로부터 각각의 유입구(25)를 통해 공급된 냉각유는 케이스(11) 내부에 누워진 흡입매니폴드(15)를 거쳐 각각의 주입구(33)를 통해 케이스(11) 내부로 주입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ntake manifold 15 shown in FIG. 6, the cooling oil supplied from the oil supply source through each inlet 25 passes through the intake manifold 15 lying inside the case 11 to each It is injected into the case 11 through the injection port 33.

이때, 각각의 흡입매니폴드(15)는 케이스(11) 천장과 최상단 코일(13) 사이에, 케이스(11) 바닥과 최하단 코일(13) 사이에 또는 코일(13)과 코일(13) 사이를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주입된 냉각유는 코일(13)을 고르게 냉각시킨다. 또, 각각의 흡입매니폴드(15)에 관통된 주입구(33)는 케이스(11) 입구측의 90도 구간에서 받침대(29) 사이에 적절한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냉각유를 케이스(11) 내에서 원활하게 투입, 유동,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each intake manifold (15) is located between the ceiling of the case (11) and the uppermost coil (13), between the bottom of the case (11) and the lowermost coil (13), or between the coils (13) and the coil (13). Since it is arranged to face the coil 13, the injected cooling oil evenly cools the coil 13. In addition, the injection port 33 penetrating each intake manifold 15 is disposed at appropriate intervals between the pedestals 29 in a 90-degree section on the inlet side of the case 11, so that the cooling oil is discharged within the case 11. It is possible to smoothly inject, flow, and discharge.

또한, 도 7에 도시된 흡입매니폴드(15)의 경우에는 급유원으로부터 일차적으로 제2 급유구(44)를 통해 케이스(11) 외부에 누워진 가로급유지관(37)으로 공급된 냉각유가 각각의 제2 주입구(42)를 통해 이차적으로 대응하는 세로주유지관(35)으로 분기되는데, 제1 급유구(39)를 통해 케이스(11) 내부에 세워진 세로주유지관(35)으로 유입된 냉각유는 각각의 제1 주입구(41)를 통해 케이스(11) 내부로 주입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ntake manifold 15 shown in FIG. 7, the cooling oil supplied from the oil supply source to the horizontal oil supply pipe 37 lying outside the case 11 through the second oil supply port 44 is respectively It branches secondarily to the corresponding vertical maintenance pipe (35) through the second injection port (42), and the cooling oil flows into the vertical maintenance pipe (35) built inside the case (11) through the first oil supply port (39). is injected into the case 11 through each first injection port 41.

또한, 도 8에 도시된 흡입매니폴드(15)의 경우에는 급유원으로부터 일차적으로 제2 급유구(44)를 통해 케이스(11) 외부에 세워진 세로급유지관(47)으로 공급된 냉각유가 각각의 제2 주입구(42)를 통해 이차적으로 대응하는 가로주유지관(45)으로 분기되는데, 제1 급유구(49)를 통해 케이스(11) 내부에 누워진 가로주유지관(45)으로 유입된 냉각유는 각각의 제1 주입구(41)를 통해 케이스(11) 내부로 주입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intake manifold 15 shown in FIG. 8, the cooling oil supplied from the oil supply source to the vertical oil supply pipe 47 erected outside the case 11 through the second oil supply port 44 is supplied to each oil supply. It branches secondarily to the corresponding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through the second injection port 42, and the cooling oil flows into the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lying inside the case 11 through the first oil supply hole 49. is injected into the case 11 through each first injection port 41.

한편, 도 9에 도시된 흡입매니폴드(15)의 경우에는 냉각유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유동 경로를 가진다. 다만, 각각의 세로주유지관(35)에 관통된 제1 주입구(41)의 직경이 높이에 따라 변화된다. 즉, 제1 주입구(41) 중 중간높이에 위치하는 제1 주입구(41)의 직경이 가장 크고, 중간에서 상하로 멀어질수록 제1 주입구(41)의 직경은 점차 작아진다. 이에 따라, 세로주유지관(41) 중간의 제1 주입구(41)에서 가장 많은 양의 냉각유가 주입되고, 상하단의 제1 주입구(41)에서 가장 적은 양의 냉각유가 주입된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intake manifold 15 shown in FIG. 9, the cooling oil has the same flow path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However, the diameter of the first injection port 41 penetrating each vertical maintenance pipe 35 changes depending on the height. That is, among the first injection holes 41, the diameter of the first injection hole 41 located at the middle height is the largest, and the diameter of the first injection hole 41 gradually becomes smaller as it moves up and down from the middle. Accordingly, the largest amount of cooling oil is injected from the first injection port 41 in the middle of the vertical maintenance pipe 41, and the smallest amount of cooling oil is injected from the first injection ports 41 at the upper and lower ends.

그런데, 케이스(11) 내부의 온도구배(T1)는 도 13에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 중간지점에서 온도가 가장 높고, 상하로 갈수록 온도가 점차 낮아져 상하단에서 온도가 가장 낮게 되므로, 케이스(11) 중심축을 x축으로, 케이스(11)의 반경방향을 y축으로 하는 가우시안커브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는 코일(13)과 코일(13) 사이에는 공간이 작고, 받침대(29)가 냉각유의 유동을 방해하므로, 중간지검의 온도가 가장 높을 수밖에 없고, 반대로 케이스(11) 천장 및 바닥과 최상단 및 최하단 코일(13) 사이에는 냉각유의 유동이 원활하므로, 온도가 가장 낮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However, the temperature gradient T1 inside the case 11, as shown in (A) in FIG. 13, has the highest temperature at the midpoin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and the temperature gradually decreases as it goes up and down, so that the temperature is lowest at the top and bottom. , it has the form of a Gaussian curv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case 11 as the x-axis and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ase 11 as the y-axis. This is because the space between the coils 13 is small and the pedestal 29 impedes the flow of cooling oil, so the temperature in the middle zone is inevitably the highest, and conversely,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case 11 and the top and bottom This is because the cooling oil flows smoothly between the coils 13, so the temperature is inevitably the lowest.

따라서, 위와 같은 케이스(11) 내부의 높이에 따른 온도차를 극복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흡입매니폴드(15)는 세로주유지관(41)의 제1 주입구(41) 직경을 중간높이에서 상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게 함으로써, 제1 주입구(41)에서 토출되는 냉각유의 토출압을 온도구배(T1)에 따라 높이거나 낮춘다. 즉, 토출압은 온도구배(T1)의 가우스피크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점으로 하여 중점에 최근접한 중간높이의 제1 주입구(41)에서 가장 강하고, 상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약해지게 조정하여 도 13에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내부의 온도구배(T2)가 x축 즉, 케이스(11) 중심축과 나란하게 수렴하는 직선 형태가 되도록 보정하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케이스(11) 내부 온도의 높이에 따른 편차를 최소화시키게 된다.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temperat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height inside the case 11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manifold 15 shown in FIG. 9 increases the diameter of the first inlet 41 of the vertical main maintenance pipe 41 from the middle height to the top and bottom. By making it gradually smaller,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cooling oil discharged from the first inlet 41 is increased or lower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gradient T1. That is, the discharge pressure is strongest at the mid-height first injection port 41 closest to the midpoint, focusing on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Gaussian peak of the temperature gradient T1, and is adjusted to gradually weaken as it goes toward the top and bottom, as shown in Figure 13 ( As shown in B), the temperature gradient T2 inside the case 11 is corrected to form a straight line converging parallel to the x-axis, that is, the central axis of the case 11. This ultimately minimizes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inside the case 11 depending on the height.

또한, 도 10에 도시된 흡입매니폴드(15)의 경우에는 냉각유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유동 경로를 가진다. 다만, 각각의 가로주유지관(45)에 관통된 제1 주입구(41)의 개수가 가로주유지관(45)가 배치되는 층에 따라 달라지므로 즉, 중간높이에 배치된 가로주유지관(45)에서 상하단으로 갈수록 제1 주입구(41)의 개수가 점차 적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중간높이에 위치한 가로주유지관(45)에서 가장 많은 양의 냉각유가 주입되고, 상하단으로 갈수록 가로주유지관(45)에서 주입되는 냉각유의 양은 점차 줄어든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the intake manifold 15 shown in FIG. 10, the cooling oil has the same flow path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However, since the number of first injection holes 41 penetrating each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varies depending on the floor on which the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is placed, that is, in the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arranged at the middle height, Since the number of first injection ports 41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top and bottom, the largest amount of cooling oil is injected from the horizontal maintenance pipe 45 located at the mid-height, and the amount of cooling oil is injected from the horizontal maintenance pipe 45 toward the top and bottom. The amount of cooling oil gradually decreases.

따라서, 도 9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가로주유지관(45)에서 주입되는 냉각유의 토출압은 온도구배(T1)의 가우스피크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점으로 하여 중점에 최근접한 중간높이의 가로주유지관(45)에서 가장 강하고, 상하단으로 갈수록 점차 약해지며, 결과적으로 도 13에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내부의 온도구배(T2)가 x축 즉, 케이스(11) 중심축과 나란하게 수렴하는 직선 형태가 되도록 보정하게 된다.Therefor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9,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cooling oil injected from the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is centered on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Gaussian peak of the temperature gradient T1, and the mid-height horizontal main closest to the midpoint is the central point. It is strongest at the branch pipe 45, and gradually becomes weaker toward the top and bottom, and as a result, as shown in (B) in FIG. 13, the temperature gradient T2 inside the case 11 is along the x-axis, that is, at the center of the case 11. It is corrected to form a straight line that converges parallel to the axis.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급유원에서 급유구(31)를 통해 케이스(11) 외부에 부착된 각각의 흡입매니폴드(15)로 투입된 냉각유는 주입구(33)에서 토출되어 유입구(25)를 통해 케이스(11) 내부로 주입되어 케이스(11) 내부를 냉각시킨다.Meanwhile,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11 and 12 are similar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5 and 6, respectively, with each intake manifold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 through the oiling port 31 from the oiling source. The cooling oil introduced into 15) is discharged from the injection port 33 and is injected into the case 11 through the inlet 25 to cool the inside of the case 11.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specific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these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탈철기 2 : 기부
3 : 코어부 4 : 코일부
5 : 필터부 11 : 케이스
13 : 코일 15 : 흡입매니폴드
21 : 공동 23 : 측벽
25 : 유입구 27 : 유출구
28 : 배출매니폴드 29 : 받침대
30 : 저항돌기 31 : 급유구
33 : 주입구 35 : 세로주유지관
37 : 가로급유지관 45 : 가로주유지관
47 : 세로급유지관
1: Iron remover 2: Donation
3: core part 4: coil part
5: filter unit 11: case
13: coil 15: intake manifold
21: cavity 23: side wall
25: inlet 27: outlet
28: discharge manifold 29: stand
30: resistance protrusion 31: oiling hole
33: Inlet 35: Vertical oil maintenance pipe
37: Horizontal oil maintenance pipe 45: Horizontal oil maintenance pipe
47: Vertical oil supply pipe

Claims (16)

지지 틀체를 이루는 기부(2);
상기 기부(2) 상에 원료를 공급 및 회수하도록 관로의 형태로 배치된 코어부(3);
상기 코어부(3) 둘레에 감겨 전원 인가 시 전자석으로 되는 코일부(4); 및
상기 코어부(3)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적층되되, 전원이 인가된 상기 코일부(4)의 전자기력으로 자화되는 복수의 망체에 의해 상기 코어부(3)로 투입되는 상기 원료 중에 포함된 자성체를 걸러내는 필터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일부(4)는 내부로 새로운 냉각유를 투입하여 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도록, 측벽(23)에 복수로 형성된 유입구(25)를 하나로 모아 급유원에 연결하는 흡입매니폴드(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Base (2) forming the support frame;
A core portion (3) arranged in the form of a pipe to supply and recover raw materials on the base (2);
A coil part (4) that is wound around the core part (3) and becomes an electromagnet when power is applied; and
The magnetic material included in the raw material is stacked at intervals inside the core portion 3 and is introduced into the core portion 3 by a plurality of nets that are magnetiz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coil portion 4 to which power is applied. It includes a filter unit (5) that filters out,
The coil unit 4 has an intake manifold 15 that brings together a plurality of inlets 25 formed on the side wall 23 and connects them to an oil supply source to suppress internal temperature rise by introducing new cooling oil into the inside. An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 cooling intake manifol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4)는,
상기 코어부(3)가 통과하는 공동(21)이 축선을 따라 형성되어 외체를 이루는 케이스(11);
복수개가 상기 케이스(11) 내에 간격을 두고 적층되어, 전원 인가 시 전자석으로 되는 환형의 코일(13); 및
상기 급유원으로부터 냉각유를 공급 받아 상기 케이스(11) 내부로 투입함으로써 상기 코일(13)을 냉각시키기 위해, 복수의 상기 유입구(25)와 상기 급유원을 하나로 연결하도록 상기 케이스(11)에 설치된 상기 흡입매니폴드(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1,
The coil portion 4 is,
A case 11 in which a cavity 21 through which the core portion 3 passes is formed along the axis to form an outer body;
A plurality of ring-shaped coils (13) are stacked at intervals within the case (11) and become electromagnets when power is applied; and
In order to cool the coil 13 by receiving cooling oil from the oil supply source and injecting it into the case 11, a plurality of inlets 25 and the oil supply source are installed in the case 11 to connect them into one. An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n intake manifold for cooling, comprising: the intake manifold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의 유출구(27)와 상기 유입구(25) 사이의 상기 케이스(11) 내주면 상에 돌출되어 상기 케이스(11) 내주면과 상기 코일(13) 외주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흐르는 냉각유에 대해 유동저항을 일으키는 다수의 저항돌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2,
Regarding the cooling oil that protrude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11 between the outlet 27 and the inlet 25 of the case 11 and flow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11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il 13. An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 cooling intake manifol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resistance protrusions (30) that cause flow resistanc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유입구(25)가 측벽(23)의 냉각유 입구측에 복수 개가 가로로 배열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흡입매니폴드(15)는 급유구(31)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25)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23)의 내주면에 세로로 세워져 부착되며, 상기 유입구(25)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케이스(11)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주입구(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2,
The case 11 has a plurality of inlets 25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cooling oil inlet side of the side wall 23,
The suction manifold 15 is vertically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so that the oil supply port 31 abuts each of the corresponding inlets 25, and flows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inlets 25. An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n intake manifold for cooling,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33)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netrated to discharge the cooled oil into the case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유입구(25)가 측벽(23)의 냉각유 입구측에 복수 개가 세로로 배열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흡입매니폴드(15)는 급유구(31)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25)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23)의 내주면에 가로로 누워져 부착되며, 상기 유입구(25)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케이스(11)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주입구(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2,
The case 11 has a plurality of inlets 25 arranged vertically on the cooling oil inlet side of the side wall 23,
The suction manifold 15 is attached horizontally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so that the oil supply port 31 abuts each of the corresponding inlets 25, and flows into the inside through the inlets 25. An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n intake manifold for cooling,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33)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netrated to discharge the introduced cooling oil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유입구(25)가 측벽(23)의 냉각유 입구측에 복수 개가 가로로 배열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흡입매니폴드(15)는,
제1 급유구(39)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25)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23)의 내주면에 세로로 세워져 부착되며, 상기 유입구(25)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케이스(11)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제1 주입구(41)를 구비하는 복수의 세로주유지관(35); 및
복수의 제2 주입구(42)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25)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23)의 외주면에 가로로 부착되며, 제2 급유구(44)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세로주유지관(35)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상기 제2 주입구(42)를 구비하는 가로급유지관(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2,
The case 11 has a plurality of inlets 25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cooling oil inlet side of the side wall 23,
The intake manifold (15),
The first oil supply port 39 is vertically attach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so as to contact the corresponding inlets 25, and cools the coolant flowing into the case through the inlets 25. (11) a plurality of vertical water retention pipes (35) having a plurality of first inlet holes (41)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enetrating the discharge to the inside; and
A plurality of second inlets 42 are horizontal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so as to contact the respective inlets 25, and coolant flowing into the inside through the second oil inlets 44 is supplied. A cooling intake manifold comprising a horizontal oil maintenance pipe (37)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injection ports (42)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discharge into the vertical oil maintenance pipe (35). A steel stripper equipped with a.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유입구(25)가 측벽(23)의 냉각유 입구측에 복수 개가 세로로 배열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흡입매니폴드(15)는,
제1 급유구(49)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25)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23)의 내주면에 가로로 누워져 부착되며, 상기 유입구(25)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케이스(11)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제1 주입구(41)를 구비하는 복수의 가로주유지관(45); 및
복수의 제2 주입구(42)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25)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23)의 외주면에 세로로 부착되며, 제2 급유구(44)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가로주유지관(45)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상기 제2 주입구(42)를 구비하는 세로급유지관(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2,
The case 11 has a plurality of inlets 25 arranged vertically on the cooling oil inlet side of the side wall 23,
The intake manifold (15),
The first oil supply port 49 is attached to lie horizontally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so as to contact the corresponding inlets 25, and cools the coolant flowing into the inside through the inlets 25. A plurality of horizontal oil holding pipes 45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first injection holes 41 penetrated to discharge into the case 11; and
A plurality of second inlets 42 are vertical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so as to contact the respective inlets 25, and coolant flowing into the inside through the second oil inlets 44 is supplied. A cooling intake manifold comprising a vertical oil supply pipe (47)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injection ports (42)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discharge into the horizontal oil storage pipe (45). A steel stripper equipped with a.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주입구(33)는 상기 케이스(11)의 중심축을 x축으로 하는 가우시안커브 형태를 갖는 상기 케이스(11) 내부의 온도구배를 상기 중심축과 나란하게 수렴하는 직선 형태로 보정하도록, 각각의 상기 주입구(33)에서 토출되는 냉각유의 토출압을 조정하기 위해, 가우스피크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점으로 하여 각각의 상기 주입구(33)가 상기 중점에 최근접하는 중간높이에서 가장 큰 직경을 가지게 되며, 상기 중점에서 상하로 멀어질수록 점차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4 or claim 5,
The plurality of injection ports 33 are each configured to correct the temperature gradient inside the case 11, which has a Gaussian curve shap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case 11 as the x-axis, into a straight line converging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In order to adjust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cooling oil discharged from the inlet 33, each inlet 33 has the largest diameter at the mid-height closest to the midpoint, with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Gaussian peak as the midpoint. , an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 cooling intake manifold,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s it moves up and down from the midpoin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유입구(25)와 대향하는 상기 측벽(23)의 출구측에 하나 이상의 유출구(27)가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유출구(27)는 상기 케이스(11)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노즐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8,
The case 11 is formed with one or more outlets 27 penetrating the outlet side of the side wall 23 opposite the inlet 25,
Each outlet (27) is shaped like a nozzle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각각의 유출구(27)를 하나로 연결하도록 상기 측벽(23)에 설치된 배출매니폴드(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9,
The case (11) has a discharge manifold (28) installed on the side wall (23) to connect the respective outlets (27) into one.
청구항 7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로주유지관(45)은 상기 케이스(11)의 중심축을 x축으로 하는 가우시안커브 형태를 갖는 상기 케이스(11) 내부의 온도구배를 상기 중심축과 나란하게 수렴하는 직선 형태로 보정하도록, 각각의 상기 가로주유지관(45)에서 토출되는 냉각유의 양을 조정하기 위해, 가우스피크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점으로 하여 각각의 상기 가로주유지관(45)이 상기 중점에 최근접하는 중간높이에 있을 때 상기 제1 주입구(41)의 개수가 가장 많고, 상기 중점에서 상하로 멀어질수록 상기 제1 주입구(41)의 개수가 점차 적어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7,
The plurality of horizontal maintenance pipes 45 are configured to correct the temperature gradient inside the case 11, which has a Gaussian curve shap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case 11 as the x-axis, into a straight line converging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 In order to adjust the amount of cooling oil discharged from each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each horizontal main maintenance pipe 45 is located at a mid-height closest to the midpoint, with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Gaussian peak as the midpoint. When the number of the first injection ports (41) is the greatest, the number of the first injection ports (41) gradually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midpoint goes up and down. Ironwar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유입구(25)가 측벽(23)의 냉각유 입구측에 복수 개가 가로세로로 배열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흡입매니폴드(15)는 복수의 주입구(33)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25)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23)의 외주면에 세로로 부착되며, 급유구(3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케이스(11)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상기 주입구(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2,
The case 11 has a plurality of inlets 25 arran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the cooling oil inlet side of the side wall 23,
The suction manifold 15 is vertical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so that a plurality of inlet ports 33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f the corresponding inlet ports 25, and flows into the interior through the oil supply port 31. An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n intake manifold for cool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injection ports (33)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discharge the cooled cooling oil into the inside of the case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유입구(25)가 측벽(23)의 냉각유 입구측에 복수 개가 가로세로로 배열되도록 관통되고, 상기 흡입매니폴드(15)는 복수의 주입구(33)가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유입구(25)와 맞닿도록 상기 측벽(23)의 외주면에 가로로 부착되며, 급유구(31)를 통해 내부로 유입된 냉각유를 상기 케이스(11) 내부로 토출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관통된 복수의 상기 주입구(3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2,
The case 11 has a plurality of inlets 25 arran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on the coolant inlet side of the side wall 23, and the suction manifold 15 has a plurality of inlets 33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t is horizontal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wall 23 so as to contact the inlet 25, and is arranged longitudinally to discharge the cooling oil introduced inside through the oil supply hole 31 into the case 11. An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 cooling intake manifol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said injection ports (33) penetrated.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주입구(41)는 상기 케이스(11)의 중심축을 x축으로 하는 가우시안커브 형태를 갖는 상기 케이스(11) 내부의 온도구배를 상기 중심축과 나란하게 수렴하는 직선 형태로 보정하도록, 각각의 상기 제1 주입구(41)에서 토출되는 냉각유의 토출압을 조정하기 위해, 가우스피크에 대응하는 지점을 중점으로 하여 각각의 상기 제1 주입구(41)가 상기 중점에 최근접하는 중간높이에서 가장 큰 직경을 가지게 되며, 상기 중점에서 상하로 멀어질수록 점차 작아지는 직경을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6 or claim 7,
The plurality of first injection holes 41 are configured to correct the temperature gradient inside the case 11, which has a Gaussian curve shape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case 11 as the x-axis, into a straight line converging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 In order to adjust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cooling oil discharged from each of the first injection ports 41, with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Gaussian peak as the midpoint, each of the first injection ports 41 is at an intermediate height closest to the midpoint. An iron stripper equipped with an intake manifold for cooling, which has the largest diameter and gradually becomes smaller as it moves up and down from the midpoint.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유입구(25)와 대향하는 상기 측벽(23)의 출구측에 하나 이상의 유출구(27)가 관통하여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유출구(27)는 상기 케이스(11)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노즐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14,
The case 11 is formed with one or more outlets 27 penetrating the outlet side of the side wall 23 opposite the inlet 25,
Each outlet (27) is shaped like a nozzle so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case (11).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각각의 유출구(27)를 하나로 연결하도록 상기 측벽(23)에 설치된 배출매니폴드(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용 흡입매니폴드를 구비한 탈철기.
In claim 15,
The case (11) has a discharge manifold (28) installed on the side wall (23) to connect the respective outlets (27) into one.
KR1020230104229A 2023-08-09 2023-08-09 Magnetic Filter Provided With A Intake Manifold For Cooling KR102644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229A KR102644696B1 (en) 2023-08-09 2023-08-09 Magnetic Filter Provided With A Intake Manifold For Coo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4229A KR102644696B1 (en) 2023-08-09 2023-08-09 Magnetic Filter Provided With A Intake Manifold For Coo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696B1 true KR102644696B1 (en) 2024-03-12

Family

ID=9029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4229A KR102644696B1 (en) 2023-08-09 2023-08-09 Magnetic Filter Provided With A Intake Manifold For Cool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69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02048Y (en) * 2007-01-29 2008-01-09 抚顺隆基磁电设备有限公司 Circulating oil-cooling type electromagnetic rust-cleaning device
KR101367142B1 (en) * 2011-10-12 201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Superconductive electromagnet apparatus
KR102016875B1 (en) 2019-02-11 2019-08-30 백성훈 Automatic deaeration system for raw materials for rechargeable batteries
CN209691506U (en) * 2019-05-10 2019-11-26 佛山市万达业机械股份有限公司 A kind of electromagnetic spool device and magnetic separator
KR102554003B1 (en) * 2023-02-03 2023-07-11 성원마그네틱 주식회사 Metal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Using Magnetic For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02048Y (en) * 2007-01-29 2008-01-09 抚顺隆基磁电设备有限公司 Circulating oil-cooling type electromagnetic rust-cleaning device
KR101367142B1 (en) * 2011-10-12 201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Superconductive electromagnet apparatus
KR102016875B1 (en) 2019-02-11 2019-08-30 백성훈 Automatic deaeration system for raw materials for rechargeable batteries
CN209691506U (en) * 2019-05-10 2019-11-26 佛山市万达业机械股份有限公司 A kind of electromagnetic spool device and magnetic separator
KR102554003B1 (en) * 2023-02-03 2023-07-11 성원마그네틱 주식회사 Metal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Using Magnetic For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69937C (en) BRAENSLEPATRON MED ETT FRAON BRAENSLESTAVARNA AVGRAENSAT VATTENFLOEDE
CN102371088B (en) Strainer filtering apparatus including filtering tube
KR20080007283A (en) Upper and lower end plug of an annular nuclear fuel rod
CN101947397B (en) Containment sump filter of horizontal pressurized water reactor (PWR) nuclear power plant
ITMI20071686A1 (en) NUCLEAR REACTOR COOLED TO WATER IN PRESSURE, PROVIDED WITH COMPACT STEAM GENERATORS
CN109757061A (en) Cooling machine cabinet and cooling system
KR102644696B1 (en) Magnetic Filter Provided With A Intake Manifold For Cooling
KR101707969B1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Using Positive Pressure
JP6105551B2 (en) Recirculation exhaust gas injection device, distribution box and supply module comprising said device
US10005011B2 (en) Velocity reducing pool filter port
JPH0659076A (en) After-power removing apparatus for pressurized water reactor
KR101940356B1 (en) Anti-clogging steam generator tube bundle
KR101826045B1 (en) Bottom nozzle providing with insertable filtering device for nuclear fuel assembly
CN102651243B (en) A kind of bottom nozzle and bottom device
CN204634078U (en) A kind of Novel clamp shell type water cooled coil
KR102113390B1 (en) Heat exchanger for refrigerating machine
US20190252083A1 (en) Cooling water reservoir and passive cooling system comprising same for reactor containment building
US4304667A (en) Filter for purifying a fluid containing ferromagnetic particles
CN111684542B (en) Nuclear reactor flow stabilization assembly
KR102644710B1 (en) Quick-Cooling Type Magnetic Filter
CN111979584A (en) Vertical biphenyl furnace
KR101933397B1 (en) Flow mixing equipment and reactor with the same
EP3055045A2 (en) Filter device having a diverging cleaning duct with internal partitions
US20110287128A1 (en) Injection mold
KR101639605B1 (en) Dye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