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650B1 - 차량용 궤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궤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650B1
KR102644650B1 KR1020190144774A KR20190144774A KR102644650B1 KR 102644650 B1 KR102644650 B1 KR 102644650B1 KR 1020190144774 A KR1020190144774 A KR 1020190144774A KR 20190144774 A KR20190144774 A KR 20190144774A KR 102644650 B1 KR102644650 B1 KR 102644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vehicle
pin
orbit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945A (ko
Inventor
박창일
박지수
이상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4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6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5Connections between track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4Militar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스프라켓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복수개의 궤도부, 및 상기 궤도부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궤도부들 각각이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궤도본체, 상기 궤도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궤도핀, 및 상기 궤도본체와 상기 궤도핀 사이에 배치되는 부싱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궤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궤도장치{Track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농업용 차량, 군용 차량 등과 같은 차량이 주행하는데 이용되는 차량용 궤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궤도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스프라켓(Sprocket)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차량을 주행시키는 것으로, 캐터필러(Caterpillar)라고도 한다.
이러한 차량용 궤도장치는 농업용 차량, 군용 차량 등과 같이 다양한 차량에 설치된다. 농업용 차량으로는 트랙터(Tractor), 콤바인(Combine) 등이 있고, 군용 차량으로는 장갑차, 탱크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00)는 복수개의 궤도본체(110), 복수개의 연결부(120), 복수개의 궤도핀(130), 및 복수개의 부싱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궤도본체(110)들은 폐쇄된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된다. 상기 궤도본체(110)들이 이루는 폐쇄된 고리 형태의 내측에는, 스프라켓(150)이 배치된다.
상기 연결부(120)들은 상기 궤도본체(110)들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120)들이 상기 궤도본체(110)들을 연결함에 따라, 상기 궤도본체(110)들은 폐쇄된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궤도핀(130)들은 상기 연결부(120)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연결부(120)들이 상기 궤도핀(130)들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궤도본체(110)들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140)들은 상기 궤도본체(110)와 상기 궤도핀(130) 사이에 배치된 것이다. 상기 부싱부재(140)들은 상기 궤도본체(110)와 상기 궤도핀(130) 사이를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엔진이 발생시킨 구동에 의해 상기 스프라켓(150)이 회전하면, 상기 궤도본체(110)들은 폐쇄된 고리 형태를 따라 순환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00)는 상기 부싱부재(140)에 높은 응력이 가해지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00)는 상기 부싱부재(140)가 손상 내지 파손되어 상기 부싱부재(140)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상기 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부싱부재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의 주기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차량에 대한 가동률을 증대시켜 줄 수 있는 차량용 궤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스프라켓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복수개의 궤도부; 및 상기 궤도부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궤도부들 각각은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궤도본체, 상기 궤도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궤도핀, 및 상기 궤도본체와 상기 궤도핀 사이에 배치되는 부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는 상기 궤도본체와 상기 궤도핀이 서로 결합되기 전인 결합 전 상태에서, 상기 궤도핀에 접촉된 접촉면;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기준면; 상기 기준면의 일측에 연결된 제1연결면; 및 상기 기준면의 타측에 연결된 제2연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면과 상기 제1연결면 사이의 제1끼인각은 상기 기준면과 상기 제2연결면 사이의 제2끼인각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싱부재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부싱부재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의 주기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차량의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싱부재와 궤도본체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차량주행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에 있어서 궤도부와 연결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결합 전 상태에서, 궤도핀과 복수개의 부싱부재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결합 전 상태의 복수개의 부싱부재와 궤도핀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결합 전 상태에서, 부싱부재와 궤도핀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결합 후 상태에서, 부싱부재와 궤도핀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결합 후 상태에서, 부싱부재에 가해지는 응력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결합 후 상태에서, 궤도본체 사이에 결합력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농업용 차량, 군용 차량 등과 같은 다양한 차량에 설치되어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주행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트랙터, 콤바인 등과 같은 농업용 차량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장갑차, 탱크 등과 같은 군용 차량, 건설용 차량, 토목용 차량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스프라켓 (Sprocket)(10, 도 2에 도시됨)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차량에 설치된 스프라켓(10)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복수개의 궤도부(2), 및 상기 궤도부(2)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3)를 포함한다. 상기 궤도부(2)들 각각은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궤도본체(21), 상기 궤도본체(21)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3)에 연결되는 궤도핀(22), 및 상기 궤도본체(21)와 상기 궤도핀(22) 사이에 배치되는 부싱부재(23)를 포함한다.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궤도본체(21)와 상기 궤도핀(22)이 서로 결합되기 전인 결합 전 상태(SC)에서 상기 궤도핀(22)에 접촉된 접촉면(231), 상기 접촉면(23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기준면(232), 상기 기준면(232)의 일측에 연결된 제1연결면(233), 및 상기 기준면(232)의 타측에 연결된 제2연결면(23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기준면(232)과 상기 제1연결면(233) 사이의 제1끼인각(θ1)이 상기 기준면(232)과 상기 제2연결면(234) 사이의 제2끼인각(θ2)보다 더 크게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부싱부재(23)에 가해지는 응력(Stress)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응력 감소의 효과는 상기 부싱부재(23)에 대한 3차원 응력 해석(Three-dimensional Stress Analysis)을 통한 실험결과로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재(23)에 가해지는 응력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9의 우측에 도시된 제1바(Bar)(200)를 참고하면, 상기 부싱부재(23)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는 색깔로 구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23)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는 상기 제1바(200)의 상측으로 갈수록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볼 때, 상기 부싱부재(23)의 제1영역(1A)에서 대략 0.2MPa의 응력감소(23.6Mpa -> 23.4MPa)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1A)은 상기 궤도핀(22)에 접촉하는 상기 부싱부재(23)의 일 영역일 수 있다. 3차원 응력 해석을 통한 실험결과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볼 때 상기 부싱부재(23)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부싱부재(23)에 대한 손상 내지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부싱부재(23)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의 주기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상기 차량의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부싱부재(23)와 상기 궤도본체(21) 사이의 결합력(Contact Press)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력 증대의 효과는 3차원 결합력 해석(Three-dimensional Contact Press Analysis)을 통한 실험결과로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재(23)와 상기 궤도본체(21) 사이의 결합력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0의 우측에 도시된 제2바(300)를 참고하면, 상기 결합력의 크기는 색깔로 구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결합력의 크기는 상기 제2바(300)의 상측으로 갈수록 높은 것을 의미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볼 때, 상기 부싱부재(23)의 제2영역(1B)에서 대략 1.7Mpa정도의 결합력 증대(24Mpa -> 25.7MPa)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1B)은 상기 궤도본체(21)에 접하는 상기 부싱부재(23)의 일 영역일 수 있다. 3차원 결합력 해석을 통한 실험결과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종래 기술과 대비하여 볼 때, 상기 부싱부재(23)와 상기 궤도본체(21)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차량의 주행중에 상기 부싱부재(23)가 상기 궤도본체(21)로부터 박리(剝離)될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차량의 주행에 대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부싱부재(23)에 가해지는 응력 및 상기 부싱부재(23)와 상기 궤도본체(21) 사이의 결합력은, 3가지 변수(Variable)에 의존될 수 있다. 상기 3가지 변수는, 상기 결합 전 상태(SC)에서 부싱부재(23)의 두께에 대한 결합 후 상태(CC, 도 8에 도시됨)에서 부싱부재(23)의 두께의 비율, 상기 결합 전 상태(SC)에서 상기 부싱부재(23)의 폭, 및 상기 결합 후 상태(CC)에서 부싱부재(23)의 체적이다. 3차원 응력 해석과 3차원 결합력 해석에 관한 실험은 상기 3가지 변수가 기설정된 허용값 이하로 제한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응력감소의 효과와 결합력 증대의 효과는 상기 3가지 변수에 대한 기설정된 허용값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궤도부(2)들, 및 상기 연결부(3)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궤도부(2)들은 상기 스프라켓(10)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킨다. 상기 스프라켓(10)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엔진(Engine)(미도시)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다. 상기 스프라켓(10)이 회전하면, 상기 궤도부(2)들은 상기 스프라켓(10)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에 의해 순환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상기 스프라켓(10)은 상기 궤도부(2)들을 가압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궤도부(2)들을 주행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은 상기 차량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전진방향(FD 화살표 방향, 도 2에 도시됨), 및 상기 차량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후진방향(BD 화살표 방향, 도 2에 도시됨) 각각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은 상기 순환경로와 평행한 축 방향일 수도 있다. 상기 궤도부(2)들 각각은 상기 차량이 주행하는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3개의 궤도부(2)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1개 내지 2개의 궤도부(2), 또는 4개 이상의 궤도부(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궤도부(2)들 각각은 서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하나의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궤도부(2)들을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서, 제조비용 절감을 통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궤도부(2)들은 상기 연결부(3)들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궤도부(2)들은 상기 연결부(3)들에 의해 연결됨으로서, 도 2에 도시됨 바와 같이 폐쇄된 고리 형태의 궤도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연결부(3)들은 상기 궤도핀(2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궤도부(2)들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스프라켓(10)이 회전하면, 상기 궤도부(2)들은 상기 연결부(3)들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서 상기 스프라켓(10)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에 의해 함께 순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궤도부(2)들 각각에는 4개의 연결부(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는 상기 궤도부(2)들 각각의 양쪽에 2개씩 배치될 수 있다.
도 3,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궤도부(2)들 각각은 궤도본체(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궤도본체(21)는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것이다. 상기 궤도본체(21)는 상기 스프라켓(10)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에 의해 순환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킬 수 있다. 상기 궤도본체(21)는 상기 궤도부(2)들의 뼈대(Body)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궤도본체(21)는 상기 궤도부(2)들 각각의 본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궤도본체(21)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장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궤도부(2)들의 뼈대를 이룰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궤도본체(21)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궤도본체(21)는 궤도면(2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궤도면(211)은 상기 부싱부재(23)에 접촉되는 상기 궤도본체(21)의 내면(內面)일 수 있다. 상기 궤도면(211)은 폭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은 상기 주행방향(X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축 방향이면서, 상기 차량을 향하는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차량의 외측을 향하는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각각에 대해 평행한 축 방향일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궤도본체(21)에는 가이드부재(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0)는 상기 궤도부(2)들이 상기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하도록 상기 궤도부(2)들을 가이드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재(20)는 상기 차량의 휠(미도시)에 형성된 가이드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궤도부(2)들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궤도부(2)들이 이루는 폐쇄된 고리 형태의 궤도는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휠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0)는 상기 궤도부(2)들이 이루는 폐쇄된 고리 형태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0)는 상기 궤도본체(2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10를 참고하면, 상기 궤도부(2)들 각각은 궤도핀(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궤도핀(22)은 상기 궤도본체(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궤도핀(22)은 상기 연결부(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궤도핀(22)이 상기 연결부(3)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궤도부(2)들은 폐쇄된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궤도핀(22)에는 2개의 연결부(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궤도핀(22)은 상기 궤도부(2)의 일측과 상기 궤도부(2)의 타측을 관통하도록 상기 궤도본체(2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궤도부(2)의 일측과 상기 궤도부(2)의 타측은,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상기 궤도부(2)의 일면(一面)과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을 향하는 상기 궤도부(2)의 타면(他面)에 각각 해당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궤도본체(21)에는 2개의 궤도핀(22)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궤도본체(21)와 상기 궤도핀(22)이 서로 결합되기 전인 결합 전 상태(SC, 도 7에 도시됨)와 상기 궤도본체(21)와 상기 궤도핀(22)이 서로 결합된 후인 결합 후 상태(CC, 도 8에 도시됨) 간에 전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전 상태(SC)에서 상기 궤도핀(22)은 상기 궤도본체(2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후 상태(CC)에서 상기 궤도핀(22)은 상기 궤도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궤도핀(22)은 상기 폭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궤도핀(22)은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궤도본체(21)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궤도핀(22)은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궤도본체(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궤도핀(22)은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연결부(3)에 결합될 수 있는 한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궤도핀(22)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를 참고하면, 상기 궤도부(2)들 각각은 부싱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궤도본체(21)와 상기 궤도핀(2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궤도본체(21)와 상기 궤도핀(2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궤도본체(21)와 상기 궤도핀(2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궤도부(2)들이 순환경로를 따라 순환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동, 흔들림으로부터 상기 궤도본체(21)와 상기 궤도핀(22)을 서로 완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궤도핀(22)에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방식으로 끼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싱부재(23)에는 원통형의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의 직경은 상기 궤도핀(22)의 직경에 비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23)는 전체적으로 원형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23)는 고무(Rubber)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폭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단면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이 다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부싱부재(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폭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단면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이 육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결합 후 상태(CC)에서, 형상이 변하도록 상기 궤도핀(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궤도본체(21)는 상기 결합 후 상태(CC)에서 상기 부싱부재(23)를 상기 궤도핀(22) 쪽으로 가압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결합 후 상태(CC)에서 상기 폭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한 단면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이 타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부싱부재(23)들 간의 이격거리는 감소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결합 전 상태(SC)에서 접촉면(231), 기준면(232), 제1연결면(233), 및 제2연결면(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231)은 상기 궤도핀(22)에 접촉되는 것이다. 상기 접촉면(231)은 상기 궤도핀(22)을 향하는 상기 부싱부재(23)의 일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접촉면(231)은 상기 폭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231)은 상기 궤도면(211)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면(231)은 전체적으로 원형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면(232)은 상기 접촉면(23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기준면(232)은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접촉면(23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해당하면서, 상기 궤도본체(21)의 전체적인 높이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기준면(232)은 상기 궤도본체(21)를 향하는 상기 부싱부재(23)의 타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후 상태(CC)에서, 상기 기준면(232)은 상기 궤도면(21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기준면(232)은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면(232)은 전체적으로 원형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면(232)은 상기 접촉면(231)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231)이 상기 폭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기준면(232)은 상기 폭방향(Y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면(232)은 상기 제1연결면(233)과 상기 제2연결면(234) 사이에서 상기 제1연결면(233)과 상기 제2연결면(234)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기준면(232)의 중간지점(232C)은 상기 결합 전 상태(SC)에서,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접촉면(231)의 중간지점(231C)과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면(232)의 중간지점(232C)은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접촉면(231)의 중간지점(231C)과 중첩되게 배치되지 않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준면(232)의 중간지점(232C)은 상기 기준면(232)의 일측과 타측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동일한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기준면(232)의 일측과 타측 각각은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과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각각을 향하는 상기 기준면(232)의 일 부분일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연결면(233)은 상기 기준면(232)의 일측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1연결면(233)은 상기 접촉면(231)으로부터 이격된 채로, 상기 기준면(2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233)은 상기 기준면(232)에 비해 상기 접촉면(231)에 가깝게 배치된 상기 부싱부재(23)의 면일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233)은 상기 기준면(232), 및 상기 접촉면(231)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233)은 상기 기준면(232)과 상기 접촉면(231) 각각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면(233)은 상기 결합 전 상태(SC)에서, 상기 기준면(232)과 제1끼인각(θ1)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전 상태(SC)에서, 상기 제1연결면(233)과 상기 기준면(232)이 연결된 부분에는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끼인각(θ1)은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연결면(234)은 상기 기준면(232)의 타측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2연결면(234)은 상기 접촉면(231)으로부터 이격된 채로, 상기 기준면(2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234)은 상기 제1연결면(233)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기준면(232)에 비해 상기 접촉면(231)에 가깝게 배치된 상기 부싱부재(23)의 면일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234)은 상기 제1연결면(233), 상기 기준면(232), 및 상기 접촉면(231)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234)은 상기 기준면(232)과 상기 접촉면(231) 각각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234)은 상기 결합 전 상태(SC)에서, 상기 기준면(232)과 제2끼인각(θ2)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 전 상태(SC)에서, 상기 제2연결면(234)과 상기 기준면(232)이 연결된 부분에는 모서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인각(θ2)은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234)과 상기 기준면(232) 사이의 제2끼인각(θ2)은 상기 제1연결면(233)과 상기 기준면(232) 사이의 제1끼인각(θ1)에 비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끼인각(θ1)은 상기 제2끼인각(θ2)에 비해 더 큰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부싱부재(23)에 가해지는 응력의 크기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부싱부재(23)와 상기 궤도본체(21)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면(234)과 상기 기준면(232)이 연결된 부분에는 제1연결지점(CP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지점(CP1)의 위치는 상기 제1끼인각(θ1)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변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연결지점(CP1)이 상기 궤도핀(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쪽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끼인각(θ1)의 크기는 감소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연결지점(CP1)이 상기 궤도핀(22)에 가까운 방향 쪽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끼인각(θ1)의 크기는 증가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결합 전 상태(SC)에서 제3연결면(235), 및 제4연결면(2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면(235)은 상기 접촉면(231)과 상기 제1연결면(233) 각각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3연결면(235)은 상기 접촉면(231)과 상기 제1연결면(233) 사이에서 상기 접촉면(231)과 상기 제1연결면(233)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면(235)은 상기 제1연결면(233)에 비해 상기 접촉면(231) 쪽에 가깝게 배치된 상기 부싱부재(23)의 면일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면(235)은 상기 접촉면(231), 및 상기 제1연결면(233)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면(235)은 상기 접촉면(231)과 상기 제1연결면(233) 각각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면(235)과 상기 접촉면(231) 사이의 제3끼인각(θ3)은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면(235)과 상기 제1연결면(233) 사이의 끼인각은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면(236)은 상기 제1연결면(233), 상기 제2연결면(234), 및 상기 제3연결면(235) 각각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4연결면(236)은 상기 제1연결면(233), 상기 제2연결면(234), 및 상기 제3연결면(235)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면(236)은 상기 제1연결면(233), 상기 제2연결면(234), 및 상기 제3연결면(235) 각각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면(236)과 상기 제1연결면(233) 사이의 제4끼인각(θ4)은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면(236)은 상기 접촉면(231)과 상기 기준면(2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결합 전 상태(SC)에서 제5연결면(2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연결면(237)은 상기 접촉면(231)과 상기 제2연결면(234) 각각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5연결면(237)은 상기 접촉면(231)과 상기 제2연결면(234) 사이에서 상기 접촉면(231)과 상기 제2연결면(234)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연결면(237)은 상기 제2연결면(234)에 비해 상기 접촉면(231) 쪽에 가깝게 배치된 상기 부싱부재(23)의 면일 수 있다. 상기 제5연결면(237)은 상기 접촉면(231), 및 상기 제2연결면(234)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5연결면(237)은 상기 접촉면(231), 및 상기 제2연결면(234)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연결면(237)과 상기 접촉면(231) 사이의 끼인각은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연결면(237)과 상기 제2연결면(234) 사이의 끼인각은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연결면(237)과 상기 제2연결면(234)이 연결된 부분에는 제2연결지점(CP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지점(CP2)의 위치는 상기 제4끼인각(θ4)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변수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연결지점(CP2)이 상기 궤도핀(2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쪽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4끼인각(θ4)의 크기는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지점(CP2)이 상기 궤도핀(22)에 가까운 방향 쪽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4끼인각(θ4)의 크기는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지점(CP)에는 상기 제5연결면(237), 상기 제4연결면(236), 및 상기 제2연결면(23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연결면(237)과 상기 접촉면(231)이 연결된 부분에는 제3연결지점(CP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지점(CP3)의 위치는 상기 제3끼인각(θ3)의 크기에 영향을 주는 변수일 수 있다. 상기 제3연결지점(CP3)은 상기 제2연결지점(CP2)과 상기 제1연결지점(CP1) 각각에 대해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하나의 부싱부재(23)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궤도부(2)들 각각은 복수의 부싱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싱부재(23)들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 전 상태(SC)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부싱부재(23)들은 상기 궤도본체(21)와 상기 궤도핀(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싱부재(23)들은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12개의 부싱부재(23)들이 상기 궤도핀(22)에 결합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궤도핀(22)에는 1개 이상 11개 이하의 부싱부재(23), 또는 13개 이상의 부싱부재(2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23)들이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부싱부재(23)들 사이에는 수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은 상기 부싱부재(23)의 형상이 변하는 경우, 상기 부싱부재(23)의 형상을 수용하는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부싱부재(23)들 각각은 상기 기준면(232)의 중간지점(232C)이 상기 접촉면(231)의 중간지점(231C)으로부터 상기 궤도핀(22)의 중간부분(22C)쪽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싱부재(23)들 각각이 갖는 기준면(232)의 중간지점(231C)들은, 상기 접촉면(231)의 중간지점(231C)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궤도핀(22)의 중간부분(22C) 쪽으로 치우져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궤도핀(22)의 중간부분(22C)은 상기 궤도핀(22)의 일측과 타측 각각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동일한 지점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궤도핀(22)의 중간부분(22C)에는 상기 결합 후 상태(CC)에서, 상기 궤도본체(21)의 중간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궤도본체(21)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23)들 각각은 상기 기준면(232)과 상기 제1연결면(233)이 연결된 제4연결지점(미도시)이 상기 제1연결지점(CP1)에 비해 상기 궤도핀(22)의 중간부분(22C)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도록 상기 궤도핀(2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부싱부재(23)들 각각은 상기 제1끼인각(θ1)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제2끼인각(θ2)이 형성된 부분에 비해 상기 궤도핀(22)의 중간부분(22C)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도록 상기 궤도핀(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의 각도가 상기 부싱부재(23)의 외측부분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부싱부재(23)의 변형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상기 부싱부재(23)의 외측부분에 더 확보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궤도장치(1)는 상기 결합 후 상태(CC)에서 상기 제1끼인각(θ1)이 형성된 상기 부싱부재(23)의 외측부분이 상기 제2끼인각(θ2)이 형성된 상기 부싱부재(23)의 내측부분에 비해 더 적게 돌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23)의 내측부분은 상기 궤도핀(22)의 중간부분(22C)을 향하는 상기 부싱부재(23)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23)의 외측부분은 상기 궤도핀(22)의 중간부분(22C)으로부터 상기 부싱부재(23)의 내측부분에 비해 더 멀리 배치된 상기 부싱부재(23)의 타 부분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부싱부재(23)들은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따라 그룹별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재(23)들이 이루는 그룹들 중에서 제1그룹(23G)에 속하는 부싱부재(23) 및 상기 부싱부재(23)들이 이루는 그룹들 중에서 제2그룹(23G')에 속하는 부싱부재(23')는 상기 궤도핀(22)의 중간부분(22C)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그룹(23G)은 상기 부싱부재(23)들이 이루는 그룹들 중에서 상기 궤도핀(22)의 중간부분(22C)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된 그룹일 수 있다. 상기 제2그룹(23G')은 상기 부싱부재(23)들이 이루는 그룹들 중에서 상기 궤도핀(22)의 중간부분(22C)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된 그룹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상기 부싱부재(23)들이 2개의 그룹(23G, 23G')을 이루는 것을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부싱부재(23)들은 3개 이상의 그룹을 이룰 수도 있다. 하나의 그룹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싱부재(2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그룹(23G)에 속하는 상기 부싱부재(23)들 각각은, 상기 제4연결지점이 상기 제1연결지점(CP1)에 대해 상기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궤도핀(2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그룹(23G')에 속하는 상기 부싱부재(23')들 각각은, 상기 제4연결지점이 상기 제1연결지점(CP1)에 대해 상기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쪽에 배치되도록 상기 궤도핀(2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차량용 궤도장치 2 : 궤도부
3 : 연결부 21 : 궤도본체
22 : 궤도핀 23 : 부싱부재
231 : 접촉면 232 : 기준면
233 : 제1연결면 234 : 제2연결면
235 : 제3연결면 236 : 제4연결면
237 : 제5연결면

Claims (5)

  1. 차량에 설치된 스프라켓(10)으로부터 전달된 구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복수개의 궤도부(2); 및
    상기 궤도부(2)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부(3)를 포함하고,
    상기 궤도부(2)들 각각은 상기 차량을 주행시키는 궤도본체(21), 상기 궤도본체(21)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3)에 연결되는 궤도핀(22), 및 상기 궤도본체(21)와 상기 궤도핀(22) 사이에 배치되는 부싱부재(23)를 포함하며,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궤도본체(21)와 상기 궤도핀(22)이 서로 결합되기 전인 결합 전 상태(SC)에서,
    상기 궤도핀(22)에 접촉된 접촉면(231);
    상기 접촉면(231)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기준면(232);
    상기 기준면(232)의 일측에 연결된 제1연결면(233); 및
    상기 기준면(232)의 타측에 연결된 제2연결면(234)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면(232)과 상기 제1연결면(233) 사이의 제1끼인각(θ1)은 상기 기준면(232)과 상기 제2연결면(234) 사이의 제2끼인각(θ2)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기준면(232)의 중간지점(232C)은 폭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접촉면(231)의 중간지점(231C)과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폭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궤도본체(21)와 상기 궤도핀(22) 사이에서 복수개 배치되고,
    상기 부싱부재(23)들 각각은 상기 기준면(232)의 중간지점(232C)이 상기 접촉면(231)의 중간지점(231C)으로부터 상기 궤도핀(22)의 중간부분(22C)쪽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궤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232)은 상기 접촉면(231)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궤도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재(23)는 상기 궤도본체(21)와 상기 궤도핀(22) 사이에 복수개 배치되되, 폭방향(Y축 방향)을 따라 그룹별로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부싱부재(23)들이 이루는 그룹들 중에서 제1그룹(23G)에 속하는 부싱부재(23) 및 상기 부싱부재(23)들이 이루는 그룹들 중에서 제2그룹(23G')에 속하는 부싱부재(23')는 상기 궤도핀(22)의 중간부분(22C)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궤도장치.
KR1020190144774A 2019-11-13 2019-11-13 차량용 궤도장치 KR102644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774A KR102644650B1 (ko) 2019-11-13 2019-11-13 차량용 궤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774A KR102644650B1 (ko) 2019-11-13 2019-11-13 차량용 궤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945A KR20210057945A (ko) 2021-05-24
KR102644650B1 true KR102644650B1 (ko) 2024-03-08

Family

ID=7615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774A KR102644650B1 (ko) 2019-11-13 2019-11-13 차량용 궤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6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18899D0 (en) * 1987-08-10 1987-09-16 Avon Rubber Plc Bushing for tracked vehicle
KR20070067494A (ko) * 2005-12-23 2007-06-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무한궤도용 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945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50074B2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KR100727806B1 (ko) 탄성 크롤러
US9470289B2 (en) Vibration isolating device
US9643655B2 (en) Vehicle side portion structure
US10160493B2 (en) Vehicle framework structure
CN105317068B (zh) 工程机械的上部回转体
KR101628479B1 (ko) 프런트 사이드 멤버 후방 구조
KR102644650B1 (ko) 차량용 궤도장치
CN104165182A (zh) 球节和机动车控制杆
KR20140095484A (ko) 크롤러 트랙 또는 크롤러 트랙 세그먼트
US9827851B2 (en) Fuel tank with an internal support structure
KR101381457B1 (ko) 치합 체인식 진퇴 작동 장치
KR102644610B1 (ko) 차량용 궤도장치
EP2529999B1 (en) Rubber crawler having metal core for improvement of wheel separation and durability
CN102556192A (zh) 无铁齿导向块橡胶履带
KR102664095B1 (ko) 변속기 마운트
KR102613948B1 (ko) 사출물 취출 로봇의 메인 프레임 구조체
KR102597578B1 (ko) 차량용 궤도
CN101402378B (zh) 弹性履带
CN101600617A (zh) 弹性体履带现场修理组件
US11415212B2 (en) Hydraulic transmission assembly
KR20180092393A (ko) 차량용 궤도
KR200493947Y1 (ko) 탈부착이 용이한 안전 커버
KR101415464B1 (ko)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KR101463912B1 (ko) 자동차용 범퍼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