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472B1 - 체온 알람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체온 알람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472B1
KR102644472B1 KR1020160038037A KR20160038037A KR102644472B1 KR 102644472 B1 KR102644472 B1 KR 102644472B1 KR 1020160038037 A KR1020160038037 A KR 1020160038037A KR 20160038037 A KR20160038037 A KR 20160038037A KR 102644472 B1 KR102644472 B1 KR 102644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temperature
subject
information
reference value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844A (ko
Inventor
이성훈
김홍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03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47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11Combination with medical sensor, e.g. for measuring heart rate,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온 알람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방법은, 체온에 대한 제1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경고 알람 신호 출력이 종료된 이후,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초과한 경우 경고 알람 신호를 재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체온 알람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larm of Body Temperature}
본 발명은 체온 알람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인의 이상 체온에 대한 경고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체온 장치에 의해 대상자 즉,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신체 일부분의 체온을 사용자가 직접 측정하는 것과 같은 전통적인 방식은 물론, 최근에 와서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이 발달함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해 측정한 체온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 등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사용자가 직접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을 수시로 측정해야 하는 경우에는 심야 시간에 수면을 취하지 못하고, 체온 측정 행위를 계속해서 반복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를 이용하여 체온을 측정하는 경우에도, 모바일 디바이스 등을 통해 사용자가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 정보가 누적될 수는 있지만, 체온 상승에 따른 경고가 적절한 시점에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체온의 추이에 대한 직관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개특허 제10-2010-013107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체온 변화에 따른 적절한 시점에 경고를 하고, 또한 체온 변화에 대한 직관적 정보를 제공하는 체온 알람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체온 알람 장치는, 체온에 대한 제1 기준값이 설정된 설정부와;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 알람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알람 출력부는 경고 알람 신호 출력이 종료된 이후,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초과한 경우 경고 알람 신호를 재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방법은, 체온에 대한 제1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경고 알람 신호 출력이 종료된 이후,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초과한 경우 경고 알람 신호를 재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자(아이)의 체온이 위험한 범위까지 올라간 경우 보호자(부모)는 그 사실을 즉시 알 수 있고, 특히 위험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경고 알람 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중복 알람으로 인해 사용자 불편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범위로 떨어진 경우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알람이 리셋되어 추후 위험 범위로 체온이 상승하는 경우 다시 경고 알람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영역에 X축을 시간, Y축을 체온으로 하는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하되, 그래프 상의 대상자의 체온 정보와 대응되는 시간 정보를 기 설정된 체온 범위에 따라 색상을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보호자가 대상자의 체온 추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알람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체온 알람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체온 알람 장치의 기능 수행 과정에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알람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에서 체온 측정 장치(200)는 대상자 즉,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신체의 일부분에 장착하여 체온을 측정하여 측정된 체온 정보를 통신 수단을 이용해 외부로 전송 가능하고, 신체의 일부분에 장착이 용이한 웨어러블 형태의 체온계일 수 있다.
체온 알람 장치(100)는 체온 측정 장치(200)로부터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 정보를 다양한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으로, 유무선 통신을 모두 이용 가능하지만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체온 알람 장치(100)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앱(App)이 설치된 스마트폰일 수 있는데, 이러한 체온 알람 장치(100)의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온 알람 장치(100)는 설정부(110), 판단부(120), 경고 알람 출력부(130), 통신부(140), 디스플레이부(150), 표시 제어부(160)와, 입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70)는 사용자가 특정 명령을 내리거나 또는 특정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 조작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버튼이 구비된 키패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입력부(170)의 구성 또는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온 측정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특히, 체온 측정 장치(200)로부터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40)가 체온 측정 장치(200)와 통신하는 방식에는 무선 통신은 물론이고 유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체온 측정 장치(200)와 통신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체온 알람 장치(1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각종 정보들이 표시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력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정부(110)에는 체온에 대한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정되어 있는데, 이러한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체온 알람 장치(100)의 출시시점에 또는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앱(App) 내에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또는 사용자의 입력부(170) 조작에 따른 선택 또는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부(110)가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을 설정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기준값은 제1 기준값보다 더 큰 값이라고 가정한다.
판단부(120)는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140)를 통해 체온 측정 장치(200)로부터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포함하는 체온 감지 신호가 수신될 수 있는데, 판단부(120)는 그 수신되는 체온 감지 신호에 포함된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체온 알람 장치(100)에 체온 측정을 위한 센서(미 도시함)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판단부(120)는 그 체온 측정을 위한 센서에 의한 감지 신호를 기초로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할 수도 있다.
특히, 판단부(120)는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을 초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체온 측정 장치(200)에 체온 감지 주기 감축과 체온 감지 신호의 전송 주기 감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대상자의 체온이 비정상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체온 측정을 보다 상세하게 즉, 짧은 시간 간격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판단부(1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대상자 선택 메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하고 그 판단된 체온을 해당 대상자 정보와 매칭시켜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여 누적 관리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경고 알람 출력부(130)는 판단부(120)에서 판단된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경고 알람 신호의 출력은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방식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0)에 경고 메시지의 출력을 통해, 스피커를 통한 경고 사운드의 출력을 통해, 또는 진동 모터에 의한 진동 출력을 통해 경고 알람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경고 알람 신호의 출력은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이후 자동으로 종료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종료될 수도 있다.
특히, 경고 알람 출력부(130)는 경고 알람 신호 출력이 종료된 이후,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을 초과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다가,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초과한 경우에 경고 알람 신호를 재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을 초과하여 경고 알람 신호가 출력된 이후 사용자가 경고 알람 신호의 출력을 종료시킨 경우, 그 이후 체온 측정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판단부(120)에서 판단한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라도 경고 알람 출력부(130)는 더 이상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것이다. 이는 이미 사용자가 대상자의 체온 이상을 감지하고 있기 때문에 중복 알람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후 체온 측정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기초로 판단부(120)에서 판단한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고 알람 출력부(130)는 경고 알람 신호를 재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 범위로 돌아갔다가 다시 상승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는 경고 알람 출력부(130)가 대상자의 체온이 비정상 범위에 있다가 정상 범위로 돌아가는 경우 일종의 리셋 처리를 자동으로 수행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알람 출력을 재설정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라도 일단 경고 알람 신호의 출력이 종료된 경우에는 추가적인 경고 알람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데, 이 경우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 범위로 떨어진 경우 사용자는 경고 알람 신호의 출력을 재설정해야만 추후 대상자의 체온이 비정상 범위로 올라간 경우 정상적으로 경고 알람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 범위로 떨어질 때마다 경고 알람을 수동으로 재설정해야 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라 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경고 알람 출력부(130)의 기능에 의해 이러한 사용자의 번거로운 작업은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부(110)에 제1 기준값뿐만 아니라 제2 기준값이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경고 알람 출력부(130)는 경고 알람 신호 출력이 종료된 이후,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 사이의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에서는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있다가, 대상자의 체온이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고 알람 신호를 재출력할 수 있다.
즉,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을 초과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경우 중복된 경고 알람 신호의 출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하더라도, 대상자의 체온이 기 설정된 제2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위험 상태라 할 수 있으므로 경고 알람 출력부(130)는 경고 알람 신호를 재출력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고 알람 출력부(130)는 다른 구성요소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도 백그라운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60)에 의해 소정의 화면이 표시되다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화면 표시가 종료된 경우(즉,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수행 등을 위해)라도, 경고 알람 출력부(130)의 기능은 백그라운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앱(App)의 화면 표시를 종료한 후에라도 대상자의 체온이 높을 때 경고 알람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다만, 경고 알람 출력부(130)의 기능은 체온 측정 장치(20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체온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상자에 부착된 체온 측정 장치(200)의 전원을 종료시킨 경우, 체온 알람 장치(100)는 더 이상 체온 측정 장치(200)로부터 체온 감지 신호가 수신하지 않음을 이유로 경고 알람 출력부(130)의 기능을 종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특정 앱 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스마트폰에 설치된 경우,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체온 측정 장치(200) 전원을 끄기만 하면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종료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다른 예로써, 경고 알람 출력부(130)의 기능은 체온 측정 장치(200)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경우에도 종료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체온 측정 장치(200)로부터 종료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체온 측정 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연결이 종료된 경우 경고 알람 출력부(130)의 기능이 종료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표시 제어부(160)는 체온 측정 장치(200)로부터 반복적,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0)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예로써, 표시 제어부(160)는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X축을 시간, Y축을 체온으로 하는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 그래프 상의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기 설정된 체온 범위에 따라 색상을 구분하여 표시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체온 범위는 앞서 설명한 제1 기준값 및 제2 기준값에 기초한 범위일 수도 있고,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별도의 범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의 체온이 정상 범위에 속하는 경우, 조금 위험한 범위에 속하는 경우, 아주 위험한 범위에 속하는 경우를 각각 별도의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대상자의 체온 정보의 색상만으로도 대상자 체온의 위험성 여부와 위험성 정도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즉, 체온 알람 장치(100)가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50)의 크기는 개인용 컴퓨터 등과 비교할 때 상당히 작을 수밖에 없는데, 이때 사용자가 대상자 체온 정보를 그래프 상에서 선을 그어가며 식별하는 것은 상당히 불편한 것이고, 따라서 체온 정보를 기 설정된 체온 범위에 따라 색상을 다르게 표시하게 되면 이러한 불편은 해소되게 된다.
특히, 표시 제어부(160)는 그래프의 X축에 표시된 시간 정보를 대응되는 그래프 상의 대상자의 체온 정보의 색상과 일치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의 체온이 새벽 2시에서 4시 사이에 위험한 범위에 속하게 된 경우, 사용자는 그래프 상에서 표시된 시간 정보 중 2시, 3시, 4시의 색상만으로도 대상자의 체온이 해당 시간대에 위험한 상태에 있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대상자의 체온 정보와 함께 근처 병원 검색 버튼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의 해당 근처 병원 검색 버튼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면 기 저장된 병원 정보로부터 병원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그 추출한 각 병원 위치 정보를 기초로 근거리 순으로 병원 정보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저장된 병원 정보는 미리 또는 실시간으로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 정보일 수 있다.
근거리 순으로의 정렬을 위해 표시 제어부(160)는 기준 위치를 이용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계정 관리에서 설정한 지역 정보가 기준 위치가 될 수 있다.
또는 체온 알람 장치(100)가 현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기준 위치를 정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체온 알람 장치(100)에는 위치 판단을 위한 별도의 모듈이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체온 알람 장치(100)에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구비된 경우 표시 제어부(160)는 그 GPS 모듈에 의해 획득한 체온 알람 장치(100)의 위치 좌표와 각 병원들의 위치 좌표를 비교함으로써, 현 위치로부터 근거리 순으로 병원 정보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상자의 체온이 위험 범위에 있을 때 근처에 있는 병원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표시 제어부(160)는 복수 개의 대상자 항목을 포함하는 대상자 선택 메뉴가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가 체온을 측정하고 모니터링할 대상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체온 측정 모니터링 대상자는 여러 명이 될 수도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판단부(120)에 의해 판단된 각 대상자들의 체온 측정 값 등은 외부의 관리 서버(300)에 누적 관리되는데, 표시 제어부(160)는 관리 서버(300)에 새로 접속시 관리 서버(300)에서 누적 관리되는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관리 서버(300)에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등록된 대상자 정보와 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공유 대상자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데, 표시 제어부(160)는 관리 서버(300)에 접속하는 경우 등록된 대상자 정보와 공유 대상자 정보를 모두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 선택 메뉴의 대상자 항목을 구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타 사용자는 공유 대상자 정보의 공유 시간을 정하여 관리 서버(300)에 등록할 수 있는데, 표시 제어부(160)는 대상자 선택 메뉴에서 공유 대상자 정보에 대응되는 대상자 항목을 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공유 시간동안에만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60)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공유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고 있다고 해당 공유 시간 정보에 대응되는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광유 대상자 정보의 표시 및 관리를 중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타 사용자는 자신이 등록한 공유 대상자 정보가 특정 시간동안에만 다른 사용자에게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체온 알람 장치(100)가 지속적으로 관리 서버(300)와 연결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관리 서버(300)의 제어에 따라 공유 대상자의 체온 알람 장치(100)에서의 표시가 중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타 사용자는 공유 대상자 정보의 공유 허용 사용자를 지정하여 관리 서버(300)에 등록할 수 있는데, 표시 제어부(160)가 관리 서버(300)에 계정 기반으로 접속하는 경우, 그 관리 서버(300)에 접속한 계정이 공유 허용 사용자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유 대상자 정보가 기 등록된 대상자 정보와 함께 수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체온 알람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정보들 중 적어도 일부는 소정의 외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고, 또한 체온 알람 장치(100)가 체온 측정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대상자의 실시간 체온 정보는 외부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온 알람 장치(100)는 과거의 체온 이력에 대한 정보를 외부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체온 측정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대상자의 실시간 체온은 표시는 물론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관리 서버(300)를 이용하는 경우 관리 서버(300)는 각 사용자를 계정 기반으로 분류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체온 알람 장치(100)가 스마트폰이고 상술한 체온 알람 장치의 각 기능이 특정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경우,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면 로그인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로그인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응되는 체온 측정 대상 및 체온 측정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 스마트폰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알람 장치(100)의 제어 흐름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체온 알람 장치(100)는 체온 측정 장치(200)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체온을 확인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우선, 체온 알람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을 설정한다(단계 S1).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보다 크지 않다면(단계 S3) 체온 알람 장치(100)는 반복적으로 대상자의 체온과 제1 기준값과의 비교를 수행하고,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보다 크다면(단계 S3) 체온 알람 장치(100)는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 및 종료한다(단계 S5).
여기서 경고 알람 신호의 종료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경고 알람 벨소리를 울리던 중 사용자의 입력부(170) 조작에 따른 중단 명령이 감지되면 체온 알람 장치(100)는 그 경고 알람 벨소리 출력을 종료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보다 크다면(단계 S7) 체온 알람 장치(100)는 대상자의 체온이 제2 기준값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판단 결과 대상자의 체온이 제2 기준값보다 크지 않다면(단계 S9) 체온 알람 장치(100)는 단계 S7로 가서 대상자의 체온과 제1 기준값과의 비교를 수행하고, 판단 결과 대상자의 체온이 제2 기준값보다 크다면(단계 S9) 체온 알람 장치(100)는 경고 알람 신호를 재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단계 S11).
경고 알람 신호의 재출력이 종료된 이후, 체온 알람 장치(100)는 대상자의 체온과 제2 기준값을 다시 비교하고(단계 S13), 비교 결과 대상자의 체온이 제2 기준값보다 크지 않다면 단계 S7로 가서 대상자의 체온과 제1 기준값을 다시 비교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단계 S7에서의 판단 결과 대상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체온 알람 장치(100)는 단계 S3로 진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온 알람 장치(100)에 체온 알람을 위한 앱(App)이 설치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그 앱에 의한 기능 수행 과정을 화면 구성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하는 각 도면에서는 참조 번호용으로 원형 문자와 원형 숫자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이용하기로 하고, 각 도면에 표기된 참조 번호(원형 문자 또는 원형 숫자)에 대해서는 작은 따옴표('')를 붙여(예, 'A') 기재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는 체온 알람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 시, Home 초기 화면 구성을 나타내는 화면으로, 그래프 상에 표시된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 정보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화면에서 'A' 선택 시 알람 설정, 사용자 및 체온 피측정자 관리 등을 할 수 있는 "메뉴 화면"으로 연결되며, "메뉴 화면"을 이용한 각종 "설정화면"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토록 한다.
'B'는 현재 화면을 표시해 주는 것으로, 현재 화면이 "Home화면"을 나타내고 있음을 표시한다. 'C'는 날짜를 표시해주는 것으로, 오늘 날짜를 기본으로 표시하되, 선택 시 달력 화면을 통해 특정 날짜의 체온 정보와 입력된 기록 내용을 불러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는 체온 피측정자의 사진, 이름, 성별, 나이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데, 로그인 기반으로 운영되는 경우 디폴트로 로그인 아이디의 마지막 연결 아이(예를 들어 넷째 아이)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와서 표시한다. 최초 아이 정보가 없을 경우 'D-1'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E'는 "설정화면"에서 등록한 다른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인의 체온 정보가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E-1'과 같이 아이 리스트가 보이며, 선택할 경우 해당 아이의 정보가 'D'에 표시될 수 있다. 'F'는 체온 측정 장치(200) 연결을 위한 것이고, 연결 시에는 현재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 정보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I'는 디스플레이부(150)의 제 1영역에 표시되는 것으로, 소정의 시간 간격을 갖는 측정 시간 순서에 따라 체온 측정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체온 정보를 표시한 그래프 형태일 수 있다.
'K'는 표시된 화면을 올리기 위한 것으로 선택 시 'L' 영역이 증가하며 표시 영역이 변화한다. 또한, 'M'은 입력된 기록 내용이 표시되는 영역, 'O'는 체온 정보에 관한 기록을 입력받는 영역이고, 여기서 체온 정보에 관한 기록은 증상과 조치 사항에 대한 내용일 수 있다.
'P'는 체온 정보 기록 내용을 날짜별로 보기 위한 것으로, 선택 시 입력된 기록 내용이 날짜별로 표시되는 도 7에서 후술할 "날짜별 기록화면"으로 연결된다.
도 5는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에 따라 체온 정보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일 예에 관한 것이다.
'A'영역은 측정된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 정보에 따라 색이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기 설정된 체온 범위에 따라 blue, black, red 계열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것은 체온 정보를 그래프 형식을 이용해 표시하는 제 1영역의 'E'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B'영역에서는 체온 피측정자의 현재 체온 정보를 수치로 표시하고, 'C'는 선택 시 "가이드 화면"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가이드 화면"은 연령대별 저열, 미열, 고열 등에 따라 분류된 표와 각 경우에 따른 조치 방법을 표시하는 화면일 수 있다. 'D'는 선택 시 "근처병원 화면"으로 연결하는 것으로, "근처병원 화면"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본으로 가까운 병원들을 검색하여 지도에 표시하거나 리스트로 나열하여 표시하는 것일 수 있고, 이 중 현재 시간 기준으로 진료중인 병원에 대한 정보를 함께 보여주는 화면일 수 있다.
도 6은 체온 피측정자의 실시간 체온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람을 발생시키는 일 실시예에 관한 설명이다.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이 도 10에서 후술할 알람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인 'A' 구간에 도달할 경우, 1분 간 알람이 울리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구간 이탈 후 재진입 시 다시 1분 간 알람이 울릴 수 있다. 만약, 추가로 설정한 온도가 있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알람 방법으로 다시 반복하여 사용자에게 알람을 통해 알릴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을 수시로 측정하지 않아도 사전에 설정한 온도에 도달한 경우, 알람 발생을 통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수시로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을 측정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당연하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도 7(a)와 같이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에 초과하는 경우 경고 알람 신호가 출력되고, 이후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이 도 7(b)와 같이 제1 기준값과 제2 기준값 사이에 머물러 있는 상태에서는 알람 신호가 더 이상 출력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7(c)와 같이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이 제1 기준값 아래로 떨어졌다가 다시 제1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시 알람 신호가 출력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이 제2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시 알람 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도 8은 체온 정보 표시와 입력된 기록 내용 및 아이콘을 표시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B' 선택 시 입력된 기록 내용이 표시된 영역 즉, 제2 영역을 확대하고, 체온 정보를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한 디스플레이부(150)의 제1 영역은 축소된다. 이때 사용자는 'D' 영역에서 아이의 증상과 처치 내용 등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E' 영역에는 입력된 기록 내용과 관련된 아이콘을 증상 및 조치에 따라 구분되어 기록을 입력받은 시간에 따라 소정의 시간 간격을 갖는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부(150)의 제1 영역의 일부에 표시할 수 있고, 여기서 소정의 시간 간격은 예를 들어 5분일 수 있다. 즉, 도 8에서 아이콘이 표시되는 증상 조치 영역의 '1' ~ '12'는 각각의 시간대를 구분한 것일 수 있다.
도 9는 기록된 내용을 날짜별로 나타내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A' 선택 시 'B'의 "날짜별기록 화면"으로 연결된다. 체온 피측정자별 기록 내용을 'C'와 같이 날짜 및 시간에 대해 내림차순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D' 선택 시 해당 날짜의 "Home 화면"으로 연결되어 표시되는데, 특히 도 8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이 확대되고 제1 영역이 축소된 형태의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0은 사용자로부터 체온 정보에 관한 기록을 입력받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체온 정보에 관한 기록을 입력하기 위해 'A' 선택 시, 기록 추가를 위한 'B'의 "기록추가 화면"으로 연결된다. 체온 정보에 관한 기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증상('C')과 조치('H')로 구성되며 증상에 대한 내용은 'F', 조치한 내역은 'K' 및 'L' 영역에 각각 입력한다.
또한, 'E'는 기본으로 현재 시간을 나타내지만 사용자가 수정하여 다른 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 외에 추가로 'G', 'M'을 선택하여 동영상 및 사진을 촬영하여 기록 내용과 함께 저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디스플레이부(150)의 특정 영역 선택 시 선택된 영역과 관련된 시간 및 체온 정보를 특정하여 표시하는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50)는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 정보를 그래프 형식으로 하여 표시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영역과, 입력된 기록 내용이 표시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된다.
사용자가 제2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영역과 관련된 시간 및 체온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0)의 제1 영역에 위치한 그래프 상에 특정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된 기록 내용이 표시된 'A'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 즉, 선택한 경우, 기록된 입력된 시간 및 체온 정보가 그래프의 X축에 수직한 막대 바 형식을 이용하여 그래프 상에 특정하여 'A-1'과 'A-2'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A-1'과 'A-2'는 체온별로 설정된 색상별로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 'B-3'과 같이 아이콘의 색상도 함께 변경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체온 정보가 그래프 상의 디스플레이부(150)의 제 1영역에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된 영역의 일부인 'C'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영역과 관련된 시간 및 체온 정보가 그래프 상의 제 1영역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그래프의 X축에 수직한 막대 바 형식을 이용하여 기록이 입력된 시간 및 체온 정보를 그래프 상에 특정하여 'C-1'과 'C-2'와 같이 표시할 수 있고, 'C-1'과 'C-2'는 체온별로 설정된 색상별로 구분하여 표시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2는 "설정화면" 중, 특정 체온 도달 시, 알람 발생을 위한 알람 설정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사용자가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 변화에 따라 알람을 받고 싶은 경우, 'A' 영역에서 'A-1'을 On으로 선택한다. 'B' 영역에서는 알람 방법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소리, 진동, 소리와 진동 동시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C' 영역을 통해서는 해당 체온부터 알람이 발생하는 체온 범위를 선택할 수 있으며, 기본값은 체온 피측정자의 체온 가이드에 따라 셋팅이 되어 있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특정 체온 도달 시 알람의 발생을 원할 경우에는 'C-1'의 터치 즉, 선택을 통해 수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외에 사용자가 알람의 추가를 원할 경우에는 'C-2'의 선택을 통해 추가로 알람이 발생할 체온을 정할 수도 있다.
도 13은 "설정화면" 중,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이용을 위한 계정을 관리하기 위한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사용자가 아직 계정을 생성하지 않은 경우에는 'ㄱ'과 같이 계정을 생성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되고, 계정을 이미 생성한 경우에는 'ㄴ'과 같이 존재하는 계정명을 포함하는 로그인 화면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C'의 확인 버튼을 누르면, 'ㄷ'과 같이 계정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화면으로 이동하는데, 특히 'G'에는 지역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여기서 입력되는 지역 정보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근처 병원"을 찾기 위한 기준 위치 정보가 된다.
도 14는 "설정화면" 중, 아이들(즉, 체온 피측정자에 해당)에 대한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기 위한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즉, 도 14에서 '우리 아이'메뉴에 나타나는 항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등록한 대상자 정보에 해당한다.
우선, 'A' 영역에서 아이의 정보를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는데, 각각의 아이들에 대응되는 원형 선택 버튼이 있고, 사용자가 특정 아이의 원형 선택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 아이의 정보가 'F' 영역에 표시된다. 이후 아이의 이름 'B', 생년월일 'C', 사진 'D'를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아이의 수가 많아 표시 공간이 부족한 경우 'A'는 'A-4'와 같이 표시될 수 있고, 'A-3'을 이용하여 'A-5'와 같은 선택 방식으로 아이의 정보를 대응되는 원형 버튼과 함께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5는 "설정화면" 중, 연결 받은 아이에 대한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기 위한 화면의 일 실시예이다.
예를 들어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에 자녀를 보낸 부모들은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의 교사에 의해 자녀들의 체온이 측정되고 그 측정된 결과를 확인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부모들은 어린이집 또는 유치원 선생님을 지정하여 자신들의 자녀에 대한 체온 측정 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이때 선생님의 체온 알람 애플리케이션의 설정화면 중 '연결 받은 아이' 항목에는 해당 아이의 정보가 도 15와 같은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학부모들의 어린 자녀들은 앞서 설명한 공유 대상자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연결 받은 아이가 있는 경우 'A'에는 해당 아이 이름이 표시되고, 연결 받은 아이가 없는 경우에는 'A-1'과 같은 메시지를 표시한다.
선생님은 'B'를 선택하여 서버(300)와 동기화시킬 수도 있고, 'C'에는 요청한 사람과 요청받은 아이의 구체적 정보가 표시되며, 요청받은 아이가 없는 경우 빈칸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5와 같이 선생님의 스마트폰의 '연결받은 아이' 항목에 자신의 자녀 정보가 나타나도록 하는 과정 즉, 자신의 자녀에 대해 선생님에 의한 체온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은 도 16에 나타나 있다. 도 16을 설명함에 있어서 부모와 선생님은 모두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고, 상술한 체온 알람 장치(100)의 주요 기능은 관리 서버(300)와 연동되는 특정 앱에 의해 구현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A'는 어린이집/유치원 연결 기능 중 친구 리스트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B'에서 '전체 리스트 보기' 또는 '연결된 리스트만 보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E'에는 앱 설치 여부와 연결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E-1'은 상대방 즉, 선생님이 앱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를, 'E-2'는 선생님이 앱은 설치하였으나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E-3'은 선생님과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E-1'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선택 입력)가 이루어진 경우 'E-4'와 같은 메시지가 나타나 사용자 확인을 거쳐 선생님에게 설치 요청 메시지가 발송될 수 있다.
그리고 'E-2'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 'F'와 같이 자신의 자녀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으로 이동한다.
'G'에는 'A'에서 선택한 선생님의 이름, 연락처 등이 표시되고, 'H'에는 '아이 관리'에서 설정한 아이들의 리스트가 나타나는데, 그 중에서 연결할 아이를 선택하고 연결할 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I'영역을 터치할 경우 'I-1'과 같이 날짜 또는 시간 선택이 용이한 돌림판이 표시될 수 있다.
'J'의 연결하기 버튼을 누르면, 선생님과 연결되게 되는데, 연결하기 전에는 'J-1'과 같은 버튼이, 연결한 후에는 'J-2'와 같은 버튼이 활성화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과 연결 해제에 따라 'J-3' 또는 'J-4'와 같은 메시지가 일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선생님과 연결 연결되었다는 것은 자신이 지정한 자녀에 대한 정보를 선생님이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300)로부터 불러올 수 있고, 또한 선생님이 측정하는 아이의 체온 정보가 관리 서버(300)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선생님과 연결된 경우 앞서 도 1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화면이 선생님의 스마트폰에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체온 알람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체온 알람 장치가 별도의 디바이스인 체온 측정 장치와 통신하여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체온 알람 장치에 체온 감지 센서가 직접 구비되어 있는 경우는 그 체온 감지 센서에 의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체온 알람 장치 200 :체온 측정 장치
110 : 설정부 120 : 판단부
130 : 경고 알람 출력부 140 : 통신부
150 : 디스플레이부 160 : 표시 제어부
170 : 입력부

Claims (25)

  1. (a) 체온에 대한 제1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b)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의 경고 알람 신호 출력이 종료된 이후, 지속적으로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하되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경고 알람 신호를 반복 출력하지 않고,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초과한 경우 경고 알람 신호를 재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e) 제2 기준값을 설정하는 단계와;
    (f) 상기 (c) 단계의 경고 알람 신호 출력이 종료된 이후,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2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경고 알람 신호를 재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소정의 체온 측정 장치로부터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포함하는 체온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b2) 상기 체온 감지 신호에 포함된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에서 판단된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상기 체온 측정 장치에 체온 감지 주기 감축과 체온 감지 신호의 전송 주기 감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온 측정 장치로부터 반복적으로 수신되는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영역에 X축을 시간, Y축을 체온으로 하는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하되, 상기 그래프 상의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기 설정된 체온 범위에 따라 색상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의 X축에 표시된 시간 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그래프 상의 대상자의 체온 정보의 색상과 일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체온 정보의 디스플레이부 상에서의 표시가 종료된 이후에도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의 경고 알람 신호 출력 기능은 백그라운드로 유지하고, 상기 체온 측정 장치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체온 감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와 상기 체온 측정 장치와의 통신 연결이 해제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경우에 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의 경고 알람 신호 출력 기능을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g) 디스플레이부 상에 대상자의 체온 정보와 함께 근처 병원 검색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와;
    (h) 사용자의 상기 근처 병원 검색 버튼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면 기 저장된 병원 정보로부터 병원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i) 상기 (h) 단계에서 추출한 각 병원 위치 정보를 기초로 근거리 순으로 상기 병원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대상자 항목을 포함하는 대상자 선택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대상자 선택 메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하고, 판단된 대상자의 체온을 해당 대상자 정보와 매칭시켜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누적 관리되도록 하며,
    상기 관리 서버에 새로 접속시 상기 관리 서버에서 누적 관리되는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에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등록된 대상자 정보와 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공유 대상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등록된 대상자 정보와 공유 대상자 정보를 모두 수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 선택 메뉴의 대상자 항목을 구별하여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 사용자는 공유 대상자 정보의 공유 시간을 정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대상자 선택 메뉴에서 상기 공유 대상자 정보에 대응되는 대상자 항목은 상기 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공유 시간동안에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정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타 사용자는 공유 대상자 정보의 공유 허용 사용자를 지정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관리 서버에는 계정 기반으로 접속하고,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한 계정이 상기 공유 허용 사용자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공유 대상자 정보가 상기 등록된 대상자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4.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15. 체온에 대한 제1 기준값이 설정된 설정부와;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에서 판단된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경고 알람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알람 출력부는 경고 알람 신호 출력이 종료된 이후, 지속적으로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하되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경고 알람 신호를 반복 출력하지 않고,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초과한 경우 경고 알람 신호를 재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부에는 체온에 대한 제2 기준값이 설정되어 있고,
    상기 경고 알람 출력부는 경고 알람 신호 출력이 종료된 이후,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경고 알람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2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경고 알람 신호를 재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소정의 체온 측정 장치로부터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포함하는 체온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체온 감지 신호에 포함된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대상자의 체온이 상기 제1 기준값을 초과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체온 측정 장치에 체온 감지 주기 감축과 체온 감지 신호의 전송 주기 감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체온 측정 장치로부터 반복적으로 수신되는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영역에 X축을 시간, Y축을 체온으로 하는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하되, 상기 그래프 상의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기 설정된 체온 범위에 따라 색상을 구분하여 표시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그래프의 X축에 표시된 시간 정보를 대응되는 상기 그래프 상의 대상자의 체온 정보의 색상과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대상자의 체온 정보와 함께 근처 병원 검색 버튼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상기 근처 병원 검색 버튼에 대한 선택이 감지되면 기 저장된 병원 정보로부터 병원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각 병원 위치 정보를 기초로 근거리 순으로 상기 병원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
  22. 제15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와;
    복수 개의 대상자 항목을 포함하는 대상자 선택 메뉴를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대상자 선택 메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대상자의 체온을 판단하고, 판단된 대상자의 체온을 해당 대상자 정보와 매칭시켜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누적 관리되도록 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관리 서버에 새로 접속시 상기 관리 서버에서 누적 관리되는 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에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등록된 대상자 정보와 타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공유 대상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등록된 대상자 정보와 공유 대상자 정보를 모두 수신하고,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자 선택 메뉴의 대상자 항목을 구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타 사용자는 공유 대상자 정보의 공유 시간을 정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대상자 선택 메뉴에서 상기 공유 대상자 정보에 대응되는 대상자 항목을 상기 타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공유 시간동안에만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타 사용자는 공유 대상자 정보의 공유 허용 사용자를 지정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관리 서버에 계정 기반으로 접속하고,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한 계정이 상기 공유 허용 사용자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공유 대상자 정보가 상기 등록된 대상자 정보와 함께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온 알람 장치.
KR1020160038037A 2016-03-30 2016-03-30 체온 알람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44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37A KR102644472B1 (ko) 2016-03-30 2016-03-30 체온 알람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37A KR102644472B1 (ko) 2016-03-30 2016-03-30 체온 알람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844A KR20170111844A (ko) 2017-10-12
KR102644472B1 true KR102644472B1 (ko) 2024-03-06

Family

ID=6014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037A KR102644472B1 (ko) 2016-03-30 2016-03-30 체온 알람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4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657B1 (ko) * 2018-01-25 2019-06-1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온열질환에 따른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
KR102387701B1 (ko) * 2019-12-10 2022-04-18 (주)씨어스테크놀로지 적외선 온도 센서를 이용한 체온 측정 패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147B1 (ko) * 2014-07-22 2015-12-09 신광일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결합형 체온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070A (ko) 2009-06-05 2010-12-15 헌 김 일정 간격으로 체온을 자동 측정하여 무선으로 측정값을 보내고 받는 방법과 체온측정장치
KR20140123289A (ko) * 2013-04-12 2014-10-22 주식회사 훈 체온계 및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건강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147B1 (ko) * 2014-07-22 2015-12-09 신광일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결합형 체온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844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9821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presence of an item
US9372922B2 (en) Data consolidation mechanisms for internet of things integration platform
JP6435482B2 (ja) 認知症予見システム、認知症予見プログラム、および認知症予見方法
EP2998822A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a plurality of wearable devices in parallel
CN110287694A (zh) 应用程序管理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20160083760A (ko)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CN103365537A (zh) 用于在便携式终端中配置和呈现急救指南的方法和设备
KR102107337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스마트 학습 관리 시스템
KR102644472B1 (ko) 체온 알람을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275918A5 (ko)
US11315376B2 (en) Continuous authorization monitoring
KR101706474B1 (ko) 스마트폰 이용행태 수집 가공 시스템
US20070222901A1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US104534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uitive and socially aligned access control
KR101266814B1 (ko) 긴급구조 시스템
US20150002290A1 (en) Fir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2390365B1 (ko) 휴대용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2615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1020884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11785186B2 (en) Centralized monitoring of confined spaces
JP7059244B2 (ja) 認証システムおよび警報器
CN113520361A (zh) 一种心率检测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200107163A (ko) 치매 노인을 위한 회상 요법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24041B1 (ko) 스마트기기 과도사용 중재를 위한 절제도움모드 표시 및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100857533B1 (ko) 네트워크 기반의 대화형 전자액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