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506B1 -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506B1
KR102643506B1 KR1020220174110A KR20220174110A KR102643506B1 KR 102643506 B1 KR102643506 B1 KR 102643506B1 KR 1020220174110 A KR1020220174110 A KR 1020220174110A KR 20220174110 A KR20220174110 A KR 20220174110A KR 102643506 B1 KR102643506 B1 KR 102643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sting
noise
vibration
data
vibration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섭
Original Assignee
이원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섭 filed Critical 이원섭
Priority to KR102022017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3/00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 F42D3/04Particular applications of blasting techniques for rock bl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5/00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DBLASTING
    • F42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in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은, 발파 현장의 영향권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계측기로부터 발파 시공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과 관련한 발파환경 계측자료를 수신하고, 수신한 계측자료를 분석해 분석 결과로서 발파 시공의 관계자가 계측기마다 실제 발파시의 발파환경계측과 실제 발파 이외의 일반환경계측을 구분하여 보도록 상기 계측자료의 로우 데이터를 이용해 각 계측기를 기준으로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로 각각 생성하는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 및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로부터 (기)생성한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을 수신하여 관계자에게 제공하며,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상에 계측기 정보와 계측 일시 정보를 더 표시하는 관계자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Blast Noise Vibration Management}
본 발명은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발파 관계자가 발파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의 발파환경공해 기준치 준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발파 관계자의 스마트폰 등 단말장치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파환경계측 자료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반을 파쇄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는 예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약류에 의한 발파공법이 있다. 그러나 화약류에 의한 발파를 실시하는 경우 지반의 진동, 암석편의 비산, 폭음의 전파 등으로 인해 여러 환경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발파소음진동허용기준(건설교통부, 2002)에 따르면 낮은 진동으로도 사람의 인체나 소, 돼지, 노루 등의 가축 등은 심각한 피해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있다. 환경부의 진동규제 기준치는 V=009cm/sec(70dB)로서 도심지에서 수행하는 발파 작업의 경우, 이를 도저히 만족할 수 없기 때문에 발파 작업으로 인한 민원 및 소송이 끊임없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발파 진동의 측정을 수행하여 건설공사에 따른 굴착 작업 등의 발파에 의해 작업장 주변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반 및 구조물의 진동을 파악하고 발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영향을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대두되었고, 이를 충족하기 위해 발파진동의 측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발파진동의 측정장치에 의해 획득된 발파 진동 측정 데이터는 적정 장약량 즉 폭발물에 화약을 넣는 양의 산출이나 최적 발파 패턴의 계산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장대 터널 시공 시, 발파 진동이 콘크리트 라이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타설 지점까지의 안전거리를 산출하는 등 폭넓은 활용 방안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발파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기록이나 저장되는 정보가 거의 없고 발파 현장에서도 발파에 필요한 장약량 산정이나 발파에 의한 소음 진동 등 발파에 의한 주변 영향 평가가 지금까지도 경험식에 의존한 간단한 계산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발파 진동 소음 관리는 관리자가 측정된 데이터 값을 확인하고, 시공자가 측정된 데이터 값에 따라 조치를 취하는 방식으로 시간이 지체될 뿐만 아니라 정보 공개도 제한되어 있어 발파 작업시의 현장 조치의 불편과 민원을 야기하고 있으므로, 발파 작업시 작업자의 신속한 대처와 관리·설계자의 지속적이며 즉각적인 설계변경(예: 공법패턴변경)을 실시하고 안전하고 효율적인 설계·시공을 위하여 비대면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2304호(2012.07.2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5939호(2018.07.05)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53338호(2022.11.1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3472호(2013.07.3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07964호(2018.10.0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49145호(2021.04.30)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령 발파 관계자가 발파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의 발파환경공해 기준치 준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발파 관계자의 스마트폰 등 단말장치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파환경계측 자료를 확인하고 발파진동, 소음과 기타 진동, 소음(배경소음, 진동, 또는 생활소음, 진동 등)이 구분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은, 발파 현장의 영향권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계측기로부터 발파 시공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과 관련한 발파환경 계측자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계측자료를 분석해 분석 결과로서 상기 발파 시공의 관계자가 계측기마다 실제 발파시의 발파환경계측과 실제 발파 이외의 일반환경계측을 구분하여 보도록 상기 계측자료의 로우(Raw) 데이터를 이용해 각 계측기를 기준으로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로 각각 생성하는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 및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생성한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을 수신하여 상기 관계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상에 계측기 정보와 계측 일시 정보를 더 표시하는 관계자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는, 뇌관폭발 초시를 상기 관계자가 확인하도록 초당 지정 횟수 이상의 프레임(frame)으로 분석하여 상기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를 생성해 상기 관계자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는, 상기 발파 현장에서 수회 내지 수십 차례의 발파가 진행되는 경우 발파 패턴의 조정을 위한 타당성 자료를 생성해 상기 관계자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는, 상기 진동과 소음의 발파환경이 기준치 이상 발생할 경우 화약사용의 안전 확보를 위해 상기 관계자 단말장치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는, 민원이나 소송의 대비를 위해 상기 발파 시공이 있는 시간 이외의 시간에 발생하는 일상의 소음이나 진동을 상기 다수의 계측기를 통해 계측하여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방법은,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가, 발파 현장의 영향권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계측기로부터 발파 시공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과 관련한 발파환경 계측자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계측자료를 분석해 분석 결과로서 상기 발파 시공의 관계자가 계측기마다 실제 발파시의 발파환경계측과 실제 발파 이외의 일반환경계측을 구분하여 보도록 상기 계측자료의 로우(Raw) 데이터를 이용해 각 계측기를 기준으로 하는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로 각각 생성하는 단계, 및 관계자 단말장치가,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생성한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을 수신하여 상기 관계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상에 계측기 정보와 계측 일시 정보를 더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방법은,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가 뇌관폭발 초시를 상기 관계자가 확인하도록 초당 지정 횟수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석하여 상기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를 생성해 상기 관계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방법은,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가 상기 발파 현장에서 수회 내지 수십 차례의 발파가 진행되는 경우 발파 패턴의 조정을 위한 타당성 자료를 생성해 상기 관계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방법은,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가 상기 진동과 소음의 발파환경이 기준치 이상 발생할 경우 화약사용의 안전 확보를 위해 상기 관계자 단말장치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방법은,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가 민원이나 소송의 대비를 위해 상기 발파 시공이 있는 시간 이외의 시간에 발생하는 일상의 소음이나 진동을 상기 다수의 계측기를 통해 계측하여 보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파진행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발파공해, 환경계측치를 투명하게 제공함으로써 발파공해(혹은 발파환경)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발파환경(예: 일반소음, 진동포함)이 일정치 이상 발생할 경우 경고 메시지를 제공하여 화약사용 안전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발파환경과 관련된 소송, 민원에 대비한 정확하고 투명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으로 다수의 계측기 자료를 동시에 확인하여 관리가 가능하고, 또 발파위치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장소(예: 전 세계 모든 곳)의 발파 환경계측치(예: 발파환경계측 포함)를 동시에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회 ~ 수십 차례 발파 진행시 실무자가 실시간으로 발파진동을 확인하고 발파환경기준치에 근접시 즉각적으로 발파패턴을 조정할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발파패턴을 조정함으로써 발파환경계측치를 준수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발파환경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실시간 계측자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 발파 이외의 시간에도 배경소음이나 진동을 24시간 계측 가능하여 일상진동과 소음(예: 배경소음, 배경진동)을 확인 및 보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도 1의 관계자 단말장치에 표시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혹은 실시간 발파환경 계측 관리 시스템)(90)은 공사현장장치(100), 관계자 단말장치(110), 통신망(120) 및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혹은 발파환경 계측 관리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12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공사현장장치(100)와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가 다이렉트(예: P2P 등) 통신을 수행하거나,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공사현장장치(100)는 도 2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사현장에 설치되어 발파 작업과 관련한 작업계획을 도 1의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로 전송하는 현장 작업자의 단말장치나 현장 관계자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장치 등은 작업자 등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다양한 유형의 단말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공사현장에는 도 1의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전광판 등의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회 ~ 수십 차례 발파 진행시 실무자가 실시간으로 발파진동을 확인하고 발파환경기준치에 근접시 즉각적으로 발파패턴을 조정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정보는 발파 시공중 발파패턴의 타성성 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공사현장장치(100)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발파영향권 내의 보안 물건(예: 구조물, 일반 주택) 등에서 발파 작업시 소음이나 진동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다수의 계측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계측장치는 진동센서, 소음센서, 또 해당 센서들의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여 도 1의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로 전송하는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에지장치로서 동작할 수 있으며, 다수의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1차적으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분석 결과를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로 전송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계측기를 기준으로 하여 다양한 방향에서의 소음이나 진동을 측정하기 위해 X, Y, Z축 방향으로 센서가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X축이나 Y축은 발파 현장의 방향이 될 수 있으며, 북(N)쪽 방향이 될 수 있다. 또는 X, Y, Z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경도 정보와 고도정보가 결합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소음센서는 외부의 소음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인 소음감지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압전형 소음계(Piezoelectric Type), 동전형 소음계(Moving Coil Type), 마이크로폰 등의 소음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진동 센서는 외부의 진동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인 진동감지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압전형(Piezoelectric Type) 진동센서, 동전형(Moving Coil Type) 진동센서, 가속도계 등의 진동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소음 및 진동 측정장치는 외부의 소음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소음센서로부터 소음감지신호를 수신하고, 또 외부의 진동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진동센서로부터 진동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신호의 처리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별도의 처리를 위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도 1의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처리는 수집된 데이터를 합성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으며, 도 1의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지정 데이터 포맷으로 생성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소음 및 진동 측정장치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동작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관계자 단말장치(110)는 발파나 공사 관계자 단말장치를 포함한다. 또는 발파나 공사를 관리 감독하는 관리자의 단말장치가 될 수도 있다. 관계자 단말장치(110)는 데스크탑컴퓨터, 랩탑컴퓨터 등 PC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하며 이를 통해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에 접속하여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관계자 단말장치(110)는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장치, 그리고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반의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에 접속하여 앱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가령, 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발파현장에서의 상황을 관계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푸시알림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만, 웹 서비스의 경우에도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에서 메신저 기반의 채팅 서비스나 SMS 문자 서비스를 통해 발파현장의 상황을 통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관계자 단말장치(110)는 가령 앱을 통해 또는 앱을 실행하여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로부터 관계자나 관리자가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발파시공시 발생하는 발파환경 계측 자료의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해당 발파환경 계측자료는 발파 현장에 있는 소음 및 진동 측정장치 등의 다수의 계측기들로부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가 확보하여 발파 관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발파시공시 데이터의 훼손을 방지하고 로우(Raw) 데이터를 확보 및 보존하고 있으므로 관계자 단말장치(110)의 관계자들은 발파환경과 관련한 소송이나 민원에 대비해 정확하고 투명한 자료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관계자 단말장치(110)는 발파진동과 소음, 그리고 일반진동과 소음을 구분하여 제공하는 XYZ 그래프 즉 X, Y, Z축 방향으로의 진동이나 소음을 표현한 그래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물론 해당 그래프는 계측기별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그래프는 관계자들이 뇌관폭발 초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초당 1024회 이상의 프레임을 분석하여(혹은 해당 주파수를 갖도록 분석하여) 생성되는 그래프가 관계자 단말장치(11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관계자 단말장치(110)는 소음, 진동 수준에 따른 경고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으며, 발파 시공 중 발파패턴의 타당성 확인 자료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공사현장장치(100), 관계자 단말장치(11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공사현장장치(100), 관계자 단말장치(110)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발파시공시 발생하는 발파환경 계측 자료를 가령 발파 현장의 영향권에 있는 다수의 계측기들로부터 제공받아 관계자 단말장치(110)를 통해 관계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물론 공사현장에서 발파시공을 담당하는 관리자의 경우에도 얼마든지 관련 자료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의 과정에서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발파시공시 데이터의 훼손을 방지하고 로우(Raw) 데이터 즉 가공되지 않은 원본 데이터를 확보 및 보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파환경과 관련한 소송이나 민원이 있을 때 이에 대비하여 정확하고 투명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발파진동과 소음, 그리고 일반진동과 소음의 구분이 가능하도록 진동 그래프를 생성하여 관계자 단말장치(110)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가령 각 계측기를 기준으로 다양한 방향에서의 소음이나 진동을 확인해 보기 위해서라고 볼 수도 있다. 또한 이의 과정에서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뇌관폭발 초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1초당 가령 1024회 이상의 프레임을 분석하고 가령 초당 1024회에 걸쳐 신호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분석 결과에 따른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소음, 진동 수준에 따라 경고메시지를 관계자 단말장치(110)나 현장의 작업자 단말장치로 발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파환경이 일정치(혹은 기준치) 이상 발생할 경우 경고메시지를 발송함으로써 화약사용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수회 ~ 수십 차례 발파 진행시 실무자가 실시간으로 발파진동을 확인하고 발파환경기준치에 근접시 즉각적으로 발파 패턴을 조정할 수 있도록 공사현장의 감독자 또는 도 1의 관계자 단말장치(110)로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발파패턴을 조정함으로써 발파환경계측치를 준수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령 발파 시공 중 발파패턴의 타당성 확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확인 자료는 사전에 도 1의 DB(130a)에 기저장될 수 있으며, 연속적인 발파가 있을 때 해당 발파와 관련한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작성된 타당성 확인 자료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발파 현장의 영향권에 있는 다수의 계측기를 통합 관리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전국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발파와 관련한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관계자 단말장치(110)에서 하나의 앱을 통해서도 다수의 계측기 자료를 동시에 확인하여 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계측기 1에 대한 XYZ 그래프를 요청할 때 해당 계측기 1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계측기 2에 대한 XYZ 그래프를 관계자 단말장치(110)에서 요청할 때 해당 계측기 2에 대한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발파위치 및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장소(예: 전 세계의 모든 곳)의 발파 환경계측치(예: 발파환경계측 포함)를 동시에 확인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발파 이외의 시간에도 일상의 배경소음, 진동을 24시간 계측하며 이를 통해 일상 진동, 소음(예: 배경소음, 배경 진동)을 확인하도록 보전할 수 있다. 관련 데이터는 도 1의 DB(13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해당 데이터는 발파와 관련한 민원이나 소송에 대비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가 구성되거나,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공사현장장치(100) 및 관계자 단말장치(110)와 각각 통신할 수 있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해상도를 변환하는 등의 스케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가령, 관계자 단말장치(110)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스케일링 동작을 통해 최적의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공사현장장치(100)로부터 가령 작업자 단말장치로부터 발파 공사 작업과 관련한 작업 내용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이의 과정을 통해 발파 시간을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부(310)의 요청에 따라 공사현장장치(100)를 구성하는 전광판 등으로 공사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발파 현장의 영향권에 있는 다수의 계측기들로부터 계측 데이터, 가령 발파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 그리고 발파가 없는 경우에도 일상 소음이나 진동과 관련한 계측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310)에 전달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관계자 단말장치(110)에서 발파와 관련한 데이터를 요청할 때, 대표적으로 각 계측기에서 측정되는 발파환경계측과 일반환경계측을 구분한 XYZ 그래프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관계자 단말장치(110)와 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계측기에서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로 소음, 진동 데이터가 전송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관계자 단말장치(110)로 이의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관계자 단말장치(110)의 앱을 통해 푸시 메시지의 형태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대표적으로 제어부(310)는 공사현장에 설치되는 다수의 계측기로부터 제공되는 또는 공사 관계자가 제공하는 발파환경 계측자료가 수신되면 이를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한 후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에 분석을 요청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310)는 발파환경 계측자료를 도 1의 DB(130a)로 전송하여 원본 데이터도 관리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00)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으며, 또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에서 분석 결과를 제공하면 이를 도 1의 DB(130a)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시킬 수 있다. 분석 데이터의 저장시 원본 데이터와 매칭시켜 저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발파시공시의 발파환경과 관련한 계측자료 즉 계측 데이터 이외에도 다수의 계측기로부터 24시간 측정되는 일상의 소음과 진동에 대하여도 계측 데이터를 확보하여 도 1의 DB(130a)에 저장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310)는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와 연계하여 도 1의 관계자 단말장치(110)로 발파와 관련한 분석 데이터를 서비스 화면의 지정 포맷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음, 진동 데이터를 수집해 분석하여 PPV(peak particle velocity), PVS(peak vector sum), 진동레벨(db(V)), 진동속도, 소음 및 그래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PPV 수치 및 XYZ 그래프 표기는 발파진동과 일반진동의 구분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PPV 수치 및 XYZ 그래프를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상에는 계측 일시 및 계측기 시리얼 넘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는 발파시공시 발파환경과 관련한 데이터를 공사현장의 영향권에 있는 다수의 계측기로부터 제공받아 발파시공시 발생하는 발파환경계측 자료를 도 1의 관계자 단말장치(110)로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계측자료를 가공하여 관계자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중요 계측 데이터를 추출하여 앱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물론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는 발파시공시 확보한 원본 데이터의 경우에는 지정 포맷으로 생성하여 도 1의 DB(130a)에 체계적으로 분류 저장되도록 제어부(31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는 발파진동과 소음, 그리고 일반진동과 소음이 구분 가능하도록 진동 그래프를 생성하여 관계자 단말장치(110)로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래프 생성시 관계자가 뇌관폭발 초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1초당 1024회 이상의 프레임을 분석하여 그래프를 생성해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는 계측자료 즉 데이터를 분석해 소음, 진동 수준에 따라 경고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발파 현장의 작업자 단말장치나 관계자 단말장치(110)로 발송할 수 있다. 나아가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는 발파현장에서 수회에서 수십 회에 걸쳐 연이어 발파가 있는 경우 발파 시공 중 발파패턴의 타당성 확인 자료를 제공해 발파환경 기준치에 맞게 발파패턴을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가령 저장부(330)는 공사현장의 다수의 계측기에서 제공하는 계측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데이터 분석을 위해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 및 저장부(3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 및 저장부(3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3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의 동작 초기에 발파소음진동 관리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딥러닝 모델 같은 경우 램(RAM)이 아닌 GPU 메모리에 올라가 GPU를 이용하여 수행 속도를 가속화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도 4a 내지 도 4f는 도 1의 관계자 단말장치에 표시되는 서비스 화면의 예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a 내지 도 4f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관계자 단말장치(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위하여 전용 앱을 설치할 수 있다. 도 4a는 가령 스마트폰의 바탕화면을 보여주며, 하단 부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파 관련 앱(GET)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앱은 수집된 계측 데이터 푸시 알림을 통해 계측 데이터 개수를 화면상에 더 정확하게는 앱의 아이콘상에 표시해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단계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탕화면은 1단계가 될 수 있다.
도 4b의 화면은 푸쉬알람 클릭시 표시 화면이다. 스마트폰 상단의 알람을 클릭시 표현되는 화면이며, 클릭시 데이터에 직접 접근이 가능(예: 6단계)하다. 화면의 푸시알람을 펼치는 경우 계측기가 설치된 위치별로 데이터가 표시(예: 6단계로 접근)될 수 있다. 해당 현장의 계측된 모든 데이터의 현장명, 계측위치, 계측시간의 확인이 가능하다. 도 4b에서 볼 때, 시간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푸쉬알람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c는 3단계 화면으로 앱(1단계) 클릭시 접근 화면이다. 앱 관리자나 회사 관리자의 화면이 될 수 있다. 회사 관계자가 로그인하여 모든 현장의 계측 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하다. 가령 지오테크원(GTO) 앱을 클릭하면 현장 목록이 제공된다. 물론 로그인을 유지한 상태에서 가능하다. 현장별 발파 관계자는 LIST 메뉴 접근이 불가할 수 있다. 앱 관리자 및 회사 관계자만 접속 가능하며 각 현장 폴더로 이동시 4단계에 진입할 수 있다.
도 4d는 4단계 진입 화면으로, 현장 관리자의 로그인 접근 화면을 보여준다. 현장 관계자 로그인시 해당 현장 폴더로 진입이 가능하며, 가령 AnsungGosam은 현장명 표기를 보여준다. 해당 현장에 설치된 각 계측기의 위치별 (폴더) 표기가 화면상에 표시된다. 또한, 폴더의 표기 내용에는 마지막 발파계측된 시간 및 계측 수치를 표현(예: 선택 가능)할 수 있다. 폴더 클릭 후 5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e는 5단계 화면으로, 계측기 위치별 수집된 데이터 파일을 표기한다. 해당 위치의 계측된 파일 표기, 파일에 발파계측 시간 표기, 최신계측 데이터파일순으로 정리되어 보여질 수 있다. 파일 클릭시 6단계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f는 6단계 진입 화면으로 계측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이다. 도 4e의 화면에서 파일 클릭시 계측 데이터를 표시하고, 계측데이터의 중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PPV(peak particle velocity)와 PVS(peak vector sum)의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ppv수치 및 XYZ 그래프가 화면상에 표기되며, 이를 통해 발파진동과 일반진동의 구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계측 일시 및 계측기 시리얼 넘버가 제공되며 이는 신뢰도에 중요하다. 이외에도 진동레벨(db(V))이 표기되며, 소음기준(dB(A))이 표기된다. 도 4f에서 볼 때 XYZ 그래프는 계측기의 위치정보(예: 위경도 정보 등)를 기준으로 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가령 Z축의 경우만 보면 계측되는 계측기의 위치가 고도가 높은 곳과 낮은 곳은 진동이나 소음의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물론 도 1의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관계자 단말장치(110)로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화면의 경우 서비스 설계자나 프로그램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4f에서와 같이 XYZ 그래프를 통해 발파진동과 일반진동의 구분이 가능하게 하며, 이는 계측기별로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발파 현장의 영향권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계측기로부터 발파 시공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과 관련한 발파환경 계측 자료를 수신하고, 수신한 계측자료를 분석해 분석 결과로서 발파 시공의 관계자가 계측기마다 실제 발파시의 발파환경계측과 실제 발파 이외의 일반환경계측을 구분하여 보도록 계측자료의 로우(Raw) 데이터를 이용해 각 계측기를 기준으로 하는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로 각각 생성한다(S500).
또한, 도 1의 관계자 단말장치(110)는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로부터 (기)생성한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을 수신하여 관계자에게 제공하며,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상에 계측기로 계측된 모든 정보(PVS, PPV, dB(A), dB(V), 계측기 시리얼 넘버, 계측일시 등)를 더 표시한다(S510).
상기의 동작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발파 관계자가 실시간으로 앱을 통해 발파환경 계측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1의 관계자 단말장치(110) 및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공사현장장치 110: 관계자 단말장치
120: 통신망 130: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발파소음진동 관리부 330: 저장부

Claims (10)

  1. 발파 현장의 영향권 내에 구비되는 다수의 계측기로부터 발파 시공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과 관련한 발파환경 계측자료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계측자료를 분석해 분석 결과로서 상기 발파 시공의 관계자가 계측기마다 실제 발파시의 발파환경계측과 실제 발파 이외의 일반환경계측을 구분하여 보도록 상기 계측자료의 로우(Raw) 데이터를 이용해 각 계측기를 기준으로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로 각각 생성하는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 및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로부터 상기 생성한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을 수신하여 상기 관계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를 포함하는 서비스 화면상에 계측기 정보와 계측 일시 정보를 더 표시하는 관계자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는, 뇌관폭발 초시를 상기 관계자가 확인하도록 초당 지정 횟수 이상의 프레임(frame)으로 분석하여 상기 X, Y, Z축 방향의 그래프를 생성해 상기 관계자 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는, 상기 발파 현장에서 수회 내지 수십 차례의 발파가 진행되는 경우 발파 패턴의 조정을 위한 타당성 자료를 생성해 상기 관계자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는, 상기 진동과 소음의 발파환경이 기준치 이상 발생할 경우 화약사용의 안전 확보를 위해 상기 관계자 단말장치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는, 민원이나 소송의 대비를 위해 상기 발파 시공이 있는 시간 이외의 시간에 발생하는 일상의 소음이나 진동을 상기 다수의 계측기를 통해 계측하여 보존하고,
    상기 계측기는 진동센서, 소음센서 및 소음 및 진동측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센서는 압전형 진동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센서는 압전형 소음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음 및 진동측정 장치는, 상기 소음센서로부터 소음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소음 및 진동측정 장치는 진동센서로부터 진동감지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소음 및 진동측정 장치는 수신된 소음감지신호 및 진동감지신호를 각각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초당 지정 횟수는 초당 1024회이며,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장치는, 제어부, 저장부,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발파소음진동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계측기로부터 제공되는 발파환경 계측자료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부에 임시 저장한 후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부에 분석을 요청하며,
    상기 제어부는, 발파환경 계측자료를 데이터베이스(DB)로 전송하여 원본 데이터가 관리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부에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면 데이터베이스(DB)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며, 분석 데이터의 저장시 원본 데이터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파소음진동 관리부와 연계하여 상기 관계자 단말장치로 발파와 관련한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분석 데이터는 PPV 수치, XYZ 그래프, 계측 일시 및 계측기 시리얼 넘버가 포함되는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74110A 2022-12-13 2022-12-13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43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110A KR102643506B1 (ko) 2022-12-13 2022-12-13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4110A KR102643506B1 (ko) 2022-12-13 2022-12-13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506B1 true KR102643506B1 (ko) 2024-03-04

Family

ID=9029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4110A KR102643506B1 (ko) 2022-12-13 2022-12-13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5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304A (ko) 2011-01-13 2012-07-23 주식회사 와이액시즈 소음 및 진동 측정 시스템, 이를 위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KR101293472B1 (ko) 2012-07-26 2013-08-07 에스브이 주식회사 소음 진동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80075939A (ko) 2016-12-27 2018-07-05 (주)케이지아이 스마트 발파 시스템
KR101907964B1 (ko) 2017-11-20 2018-10-12 (주)오픈웍스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249145B1 (ko) 2020-11-05 2021-05-06 임대규 스마트 발파관리 플랫폼 및 선 발파 파쇄암에 의한 커튼 효과를 활용한 다열식 노천발파공법
KR20220153338A (ko)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한화 발파에 의한 진동 및 파쇄도 분석을 위한 발파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304A (ko) 2011-01-13 2012-07-23 주식회사 와이액시즈 소음 및 진동 측정 시스템, 이를 위한 소음 및 진동 측정 장치
KR101293472B1 (ko) 2012-07-26 2013-08-07 에스브이 주식회사 소음 진동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180075939A (ko) 2016-12-27 2018-07-05 (주)케이지아이 스마트 발파 시스템
KR101907964B1 (ko) 2017-11-20 2018-10-12 (주)오픈웍스 공사 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249145B1 (ko) 2020-11-05 2021-05-06 임대규 스마트 발파관리 플랫폼 및 선 발파 파쇄암에 의한 커튼 효과를 활용한 다열식 노천발파공법
KR20220153338A (ko)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한화 발파에 의한 진동 및 파쇄도 분석을 위한 발파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HEN-XIONG, Wang, et al. Blasting vibration generated by breaking-blasting large barriers with EBBLB. Shock and Vibration, 2016* *
임정빈 외 2명, 도심지 건설공사장 소음모니터링시스템 구축,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2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012년, 790-791페이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6118A1 (en) Safety management method for well site person,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Schweizer et al. NoiseMap-real-time participatory noise maps
US11221389B2 (en) Statistical analysis of mismatches for spoofing detection
JP6290859B2 (ja) リスク予測および評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53736B1 (ko)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TWI620154B (zh) 使用者裝置、地震警報伺服器及其地震警報方法
CN105975721A (zh) 事故重现碰撞仿真建立方法及基于车辆实时运动状态的事故重现碰撞仿真方法
EP2804142A1 (en) Recording and processing safety relevant observations for facilities
EP3671251A1 (en) Collecting a database of spoofed devices
KR102398413B1 (ko) 건설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heng et al. Audio signal processing for activity recognition of construction heavy equipment
CN105513156A (zh) 一种基于搭载gps和地图信息的智能终端进行巡检工作的方法
CN113792642B (zh) 一种基于智能化技术的河湖生态治理数据处理方法及系统
CN110895741A (zh) 铁路建设项目施工期环水保信息化管理系统
KR102643506B1 (ko) 실시간 발파 소음진동 관리 시스템 및 방법
Biondi et al. Air pollution detection system using edge computing
Lubis Proximity-based COVID-19 contact tracing system devices for locally problems solution
Hong et al. A data-driven method for hazard zone identification in construction sites with wearable sensors
JP6973061B2 (ja) 電波使用状況出力装置、電波使用状況出力方法及び電波使用状況出力プログラム
CN115761650A (zh) 基于bim和物联传感技术的施工安全检测方法及系统
Zha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detection software of a wireless microseismic acquisition station based on the Android platform
Sagl et al. Standardised geo-sensor webs and web-based geo-processing for near real-time situational awareness in emergency management
Teizer et al. Combined ultra-wideband positioning and range imaging sensing for productivity and safety monitoring in building construction
JP2006308430A (ja) 落雷情報提供システム
RU2695499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даленного наблюдения за соблюдением правил техники безопасности сотрудник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