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025B1 - Floor structur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Floor structur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025B1
KR102643025B1 KR1020220071570A KR20220071570A KR102643025B1 KR 102643025 B1 KR102643025 B1 KR 102643025B1 KR 1020220071570 A KR1020220071570 A KR 1020220071570A KR 20220071570 A KR20220071570 A KR 20220071570A KR 102643025 B1 KR102643025 B1 KR 102643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tile
sealing member
assembl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5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71523A (en
Inventor
박해주
전효경
여성구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1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025B1/en
Publication of KR2023017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5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0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60R13/083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for fire walls or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1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made of a plurality of visi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93Connection or positioning of adjac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바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시공 및 디자인할 수 있는 차량용 바닥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바닥구조물은 차체에 설치되는 브라켓 조립체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조립체에 체결되고 차량의 바닥을 이루는 타일 조립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차체에 설치된 브라켓 조립체에 다양한 형태의 타일 조립체를 체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 색상 등으로 차량의 실내 바닥을 디자인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loor structure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which allow the interior floor of a vehicle to be constructed and design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The vehicle floor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bracket assemb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nd a plurality of them. It includes a tile assembly that is fastened to the bracket assembly and forms the floor of the vehicle. With this configuration, various types of tile assemblies can be fastened to bracket assemblie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to design the interior floor of the vehicle in the user's desired shape, color, etc., thereby improving aesthetics.

Description

차량용 바닥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FLOOR STRUCTUR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Vehicle floor structure and assembly method {FLOOR STRUCTUR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바닥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실내 바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시공 및 디자인할 수 있는 차량용 바닥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floor structure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vehicle floor structure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that allow the interior floor of a vehicle to be constructed and design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일반적으로, 엔진을 동력을 사용하는 종래의 차량은 구동축, 머플러 등 엔진 구동에 필요한 구조물에 의해 바닥이 울퉁불퉁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차량의 실내 공간 활용에 제약이 따랐다.In general, conventional vehicles that use engine power have an uneven floor due to structures necessary for driving the engine, such as a drive shaft and muffler. Accordingly, there were restrictions on the use of the vehicle's interior space.

최근 들어, 전기 차량이 개발되면서 차량에 동력 전달을 위한 별도의 구동축이 필요없게 되어 차량의 실내 바닥을 평평하게 제작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drive shaft to transmit power to the vehicle, and the interior floor of the vehicle is being made flat.

차량의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됨에 따라 차량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시트를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회전시켜 새로운 시트 배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콘솔도 차량의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형태가 제시되고 있다. As the vehicle's floor becomes flat, the utilization of the vehicle's interior space increases, and new seat arrangements can be formed by rotating the seat while moving it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consoles have been proposed that can be used by moving them forwar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of the vehicle.

차량의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됨에 따라 차량의 바닥에 새로운 구조 또는 새로운 마감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s the floor of the vehicle becomes fl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structure or new finishing material for the floor of the vehic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따라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실내 바닥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시공 및 디자인할 수 있는 차량용 바닥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need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vehicle floor structure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that allow the interior floor of a vehicle to be constructed and design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닥구조물은, 차체에 설치되는 브라켓 조립체; 및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조립체에 체결되고, 차량의 바닥을 이루는 타일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assemb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nd a plurality of tile assemblies provided and fastened to the bracket assembly and forming the floor of the vehicle.

그리고, 상기 브라켓 조립체는, 중심이 함몰되어 중공을 가지는 단위셀이 복수로 형성된 격자 형태의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차체 사이에 배치되고, 소리를 차단하도록 흡음재로 제작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bracket assembly includes a grid-shaped bracket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having a hollow center are recessed; and a base plate dispos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vehicle body and made of a sound-absorbing material to block sound.

여기서, 상기 브라켓부는, 모서리 및 중심에 배치된 단위셀에 형성되고, 상기 차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가 삽입되게 관통 형성된 볼트 관통홀; 상기 단위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타일 조립체의 체결부가 삽입되어 끼움 체결되는 타일 체결홈; 및 상기 볼트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측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bracket portion includes a bolt through hole formed in a unit cell disposed at a corner and the center, through which a bolt protruding outward from the vehicle body is inserted; a tile fastening groov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nit cell and into which the fastening part of the tile assembly is inserted and fastened; and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base plate along the periphery of the bolt through hole.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 몸체; 및 상기 브라켓부의 삽입돌기가 삽입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몸체에 관통 형성된 브라켓 삽입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he base plate includes a base plate body; and a bracket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base plate body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of the bracket portion is inserted.

상기 타일 조립체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타일 몸체; 상기 타일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조립체에 형성된 타일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타일 몸체에 적층되고, 차량의 바닥을 이루는 스킨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ile assembly includes a tile body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 fastening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tile body and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a tile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bracket assembly; and a skin layer laminated on the tile body and forming the bottom of the vehicl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은 하측은 상기 브라켓부의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에 형성된 실링부재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측에 상기 타일 조립체가 안착되어,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타일 조립체 사이를 실링하는 중심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sealing member insertion groove formed between the unit cells of the bracket part, and the tile assembly is se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bracket part and the tile assembly It may include a central sealing member that seals the space between them.

또한, 하측이 상기 브라켓부와 이웃하는 브라켓부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상측에 상기 타일 조립체가 안착되어, 상기 브라켓부와 브라켓부 사이 및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타일 조립체 사이를 실링하는 사이드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side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neighboring bracket portion, and the tile assembly is seated on the upper side, and a side seal seals betwee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bracket portion and the tile assembly. Absence; may also be includ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은, 브라켓부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에 차체에 구비된 볼트가 삽입되게 브라켓 조립체를 배치하는 브라켓 배치단계; 상기 브라켓부의 상측에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실링부재 설치단계;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브라켓 조립체를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 체결단계; 및 상기 브라켓부에 형성된 타일 체결홈에 타일 조립체를 설치하는 타일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arrangement step of arranging a bracket assembly so that bolts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are inserted into bolt through holes formed in the bracket portion; A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sealing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part; A bracket fastening step of fastening nuts to the bolts to secure the bracket assembly to the vehicle body; and a til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tile assembly into the tile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bracket portion.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은, 브라켓부에 형성된 복수의 단위셀 중 일부의 단위셀에만 형성된 볼트 관통홀에 차체에 구비된 볼트가 삽입되게 브라켓 조립체를 배치하는 브라켓 배치단계; 상기 브라켓부의 상측에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실링부재 설치단계; 상기 볼트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단위셀의 타일 체결홈에 타일 조립체를 설치하는 제1 타일 설치단계;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브라켓 조립체를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 체결단계; 및 상기 볼트 관통홀이 형성된 단위셀의 타일 체결홈에 타일 조립체를 설치하는 제2 타일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lternatively, in the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assembly is arranged so that bolts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are inserted into bolt through-holes formed only in some of the unit cells among the plurality of unit cells formed in the bracket portion. Bracket placement step; A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sealing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part; A first til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tile assembly in a tile fastening groove of a unit cell in which the bolt through hole is not formed; A bracket fastening step of fastening nuts to the bolts to secure the bracket assembly to the vehicle body; and a second til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the tile assembly in the tile fastening groove of the unit cell where the bolt through hole is formed.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 설치단계는, 브라켓부의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에 형성된 실링부재 삽입홈에 중심 실링부재를 삽입하는 중심 실링부재 설치단계; 및 브라켓부와 브라켓부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사이드 실링부재를 삽입하는 사이드 실링부재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includes a central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of inserting the central sealing member into the sealing member insertion groove formed between the unit cells of the bracket portion and the unit cells; and a side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of inserting the side sealing member into the groove form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 및 그 조립방법에 따르면, 차체에 설치된 브라켓 조립체에 다양한 형태의 타일 조립체를 체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 색상 등으로 차량의 실내 바닥을 디자인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floor structure and its assembl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tile assemblies are fastened to the bracket assemb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to design the interior floor of the vehicle in the shape and color desired by the user, thereby improving aesthetics. can be obtained.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 조립체에 흡음재를 구비하여 차체에서 차량의 실내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고 단열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ound absorbing material in the bracket assembly, it is possible to block noise transmitted from the car body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nd improve insulation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브라켓 조립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공기층에 의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layer can be formed in the bracket assembly to improve insulation performance by the air lay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이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에서 브라켓 조립체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에서 타일 조립체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A-A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에서 브라켓 조립체가 차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에서 타일 조립체가 브라켓 조립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에서 타일 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floor structure is installed on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racket assembly extracted from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ile assembly extracted from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rea AA of Figure 2 cut;
Figure 7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bracket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in the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tile assembly is installed on the bracket assembly in the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ile assemblies in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ar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work.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이 차체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상기 차량용 바닥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상기 차량용 바닥구조물에서 브라켓 조립체 및 타일 조립체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A-A 영역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이 차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상기 타일 조립체의 다양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vehicle body, and FIGS. 2 and 3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separat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vehicle floor structure, and FIG. Figures 4 and 5 are schematic drawings showing the bracket assembly and tile assembly extracted from the vehicle floor structure, and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ction A-A of Figure 2. In addition, FIGS. 7 and 8 are diagrams sequenti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vehicle floor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schematically show various embodiments of the tile assembly. This is a drawing shown.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100)은 차체(10)에 설치되는 브라켓 조립체(200)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조립체(200)에 체결되고 차량의 바닥을 이루는 타일 조립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S. 1 to 10, the vehicle floor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bracket assembly 200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0 and a plurality of brackets and is fastened to the bracket assembly 200. It includes a tile assembly 300 that forms the floor of the vehicle.

최근 들어 전기 자동차가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차량의 실내 디자인이 바뀌고 있다. 특히, 차량의 바닥을 평평하게 제작하는 것이 추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차체(10)에 복수의 상기 브라켓 조립체(200)를 1차적으로 설치하고, 상기 브라켓 조립체(200)에 복수의 상기 타일 조립체(300)를 설치하여 차량의 바닥을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일 조립체(300)를 다양한 색상 및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바닥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어 차량 실내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Recently, as electric vehicles continue to develop, the interior design of vehicles is changing. In particular, there is a trend to make the floor of vehicles flat.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bracket assemblies 200 are primari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10, and the plurality of tile assemblies 300 are installed on the bracket assemblies 200 to flatten the floor of the vehicle. can be formed. At this time, by manufacturing the tile assembly 300 to have various colors and shapes, the floor design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vehicle interior.

이를 위하여, 상기 브라켓 조립체(200)는 중심이 함몰되어 중공을 가지는 단위셀(211)이 복수로 형성된 격자 형태의 브라켓부(210)와, 상기 브라켓부(210)와 상기 차체(10) 사이에 배치되고 소리를 차단하도록 흡음재로 제작된 베이스 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o this end, the bracket assembly 200 includes a bracket portion 210 in the form of a grid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211 having hollow centers are recessed and form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 210 and the vehicle body 10. It may include a base plate 220 that is disposed and made of sound-absorbing material to block sound.

즉, 상기 브라켓부(210)는 단위셀(211)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속하여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브라켓부(210)가 중공을 가지는 복수의 단위셀(211)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셀(211)에는 공기가 채워지므로, 소음 및 열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어 소음 차단 및 단열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bracket portion 2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unit cells 211 continuous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n this way, the bracket portion 210 is formed of a plurality of unit cells 211 having a hollow, and the unit cells 211 are filled with air, so it is possible to block the flow of noise and heat, thereby providing noise blocking and heat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210)는 상기 단위셀(211)이 격벽을 가지면서 서로 구획되게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복수의 단위셀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격벽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에 설치되는 전선들을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서로 연통된 단위셀에 설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bracket portion 210 is formed so that the unit cells 211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with a partition wall, but this is not limited to this,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racket part 210 is attached to the partition wall so that a plurality of unit cell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 through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is case, space utilization can be improved by installing the electric wires installed in the vehicle in unit cells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hrough holes.

상기 브라켓부(210)는 모서리 및 중심에 배치된 단위셀(211)에 형성되고 상기 차체(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11)가 삽입되게 관통 형성된 볼트 관통홀(212)과, 상기 단위셀(211)의 둘레를 따라 모서리에 형성되고 상기 타일 조립체(300)의 체결부(320)가 삽입되어 끼움 체결되는 타일 체결홈(213), 그리고 상기 볼트 관통홀(212)의 둘레를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 측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2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racket portion 210 is formed in the unit cell 211 disposed at the corner and the center, and includes a bolt through hole 212 through which a bolt 11 protruding outward from the vehicle body 10 is inserted, and the unit. A tile fastening groove 213 formed at a corn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ll 211 and into which the fastening part 320 of the tile assembly 300 is inserted and fastened, and a tile fastening groove 213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lt through hole 212. It may include an insertion protrusion 214 protruding toward the base plate 220.

상기 브라켓부(210)는 복수의 단위셀(211) 중에서 모서리 및 중심에 배치된 단위셀에만 볼트 관통홀(212)이 형성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모든 단위셀에 볼트 관통홀이 형성되면 가공 오차에 따라 차체(10)에 구비된 복수의 볼트(11)에 모든 볼트 관통홀이 정확히 삽입되기 어려움이 발생하여 조립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모서리 및 중심에 배치된 단위셀에만 볼트 관통홀(212)을 형성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 상기 브라켓부(210)의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다.The bracket portion 2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bolt through hole 212 is formed only in the unit cells disposed at the corners and the center among the plurality of unit cells 211. This means that if bolt through-holes are formed in all unit cells, it may be difficult to accurately insert all bolt through-holes into the plurality of bolts 11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10 due to processing errors, which may lead to difficulties in assembly. Accordingly, the bolt through hole 212 is formed only in the unit cells disposed at the corners and the center, thereby improving assembly efficiency and securing the fastening force of the bracket portion 210.

물론, 상기 브라켓부(210)에 형성된 단위셀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볼트 관통홀이 형성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단위셀의 개수가 적어지는 경우에는 모든 단위셀에 볼트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단위셀의 개수가 많아지는 경우에는 모서리 및 중심에 배치된 단위셀 이외에 중간 중간에 볼트 관통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Of course, the position where the bolt through hole is formed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unit cells formed in the bracket portion 210. That is, when the number of unit cells is reduced, bolt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all unit cells. Conversely, when the number of unit cells increases, additional bolt through holes may be formed in the middle in addition to the unit cells arranged at the corners and the center.

상기 타일 체결홈(213)은 상기 브라켓부(210)에 상기 타일 조립체(300)를 체결하기 위한 홈이다. 이러한, 상기 타일 체결홈(213)은 상기 단위셀(211)의 둘레를 따라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The tile fastening groove 213 is a groove for fastening the tile assembly 300 to the bracket portion 210. The tile fastening groove 213 may be formed at a corner along the perimeter of the unit cell 211.

이때, 하나의 단위셀에 하나의 타일 조립체를 체결할 수 있다. 물론, 단위셀(211)과 타일 조립체(300)의 형태 및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 하나의 단위셀(211)에 하나의 타일 조립체(300)를 체결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타일 조립체(300)의 형태가 상기 단위셀(211)의 형태와 다르거나 크기가 다른 경우에도 상기 타일 조립체(300)가 조립될 수 있다. At this time, one tile assembly can be fastened to one unit cell. Of course, if the shape and size of the unit cell 211 and the tile assembly 300 are the same, one tile assembly 300 can be fastened to one unit cell 211, but the tile assembly is not limited thereto. The tile assembly 300 can be assembled even when the shape or size of the assembly 30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unit cell 211.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는 베이스 플레이트 몸체(221)와, 상기 브라켓부(210)의 삽입돌기(214)가 삽입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몸체(221)에 관통 형성된 브라켓 삽입홀(2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base plate 220 includes a base plate body 221 and a bracket insertion hole 222 formed through the base plate body 221 so that the insertion protrusion 214 of the bracket portion 210 is inserted. .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몸체(221)는 소리를 차단하도록 흡읍재로 제작된다.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몸체(221)는 차체(1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차체(10)의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차량 외부의 소음이 차량의 실내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The base plate body 221 is made of sound absorbing material to block sound. That is, since the base plate body 221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body 10, it can block external noise transmitted from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1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몸체(221)는 소음뿐만 아니라 열의 전달도 차단할 수 있는 단열재도 함께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실내의 온도를 단열하여 차량 외부의 온도 상관없이 차량 실내의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base plate body 221 may be manufactured including an insulating material that can block not only noise but also heat transf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sulate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and maintain a comfortabl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regardless of the temperature outside the vehicle.

상기 브라켓 삽입홀(222)은 상기 브라켓부(210)에 형성된 상기 삽입돌기(214)가 삽입되게 상기 삽입돌기(214)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삽입돌기(214)와 동일한 수로 형성된다. The bracket insertion holes 222 are formed in the same number as the insertion protrusions 214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where the insertion protrusions 214 formed in the bracket portion 210 are inserted. .

즉,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몸체(221)는 상기 브라켓부(210)보다 상대적으로 강성이 낮은 소재로 제작되므로, 상기 브라켓부(210)를 상기 차체(10)에 직접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브라켓 삽입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base plate body 221 is made of a material with relatively lower rigidity than the bracket portion 210, the bracket insertion hole 222 is used to directly fasten the bracket portion 210 to the vehicle body 10. ) can be formed.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몸체(221)에는 상기 브라켓부(210)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를 부착하기 위한 위치를 나타내는 융착포인트(223)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e plate body 221 may be provided with a fusion point 223 indicating a position for attaching the base plate 220 to the bracket portion 210.

상기 융착포인트(2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몸체(2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라켓부(210)에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를 부착하기 위한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fusion point 223 protrudes outward from the base plate body 221 so that the position for attaching the base plate 220 to the bracket portion 210 can be easily identified. It can be formed so that

물론, 상기 융착포인트(223)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홈 형태로 형성되거나, 마커펜(marker pen)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20)에 표시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융착포인트(223)는 융착 지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usion point 223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such as being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or marked on the base plate 220 with a marker pen. That is, the fusion point 223 can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fusion point can be easily identified.

상기 타일 조립체(300)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타일 몸체(310)와, 상기 타일 몸체(310)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조립체(200)에 형성된 타일 체결홈(213)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320), 그리고 상기 타일 몸체(310)에 적층되고 차량의 바닥을 이루는 스킨층(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ile assembly 300 includes a tile body 310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nd a fastening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tile body 310 and is inserted into the tile fastening groove 213 formed in the bracket assembly 200 ( 320), and a skin layer 330 that is laminated on the tile body 310 and forms the bottom of the vehicle.

여기서, 상기 타일 몸체(310)와 상기 체결부(320)는 사출 성형을 통하여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일 몸체(310)는 상기 단위셀(211)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단위셀(211)에 대응되는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Here, the tile body 310 and the fastening part 320 may be manufactured as one piece through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the tile body 310 may be manufactured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unit cell 211 so as to cover the unit cell 211.

물론, 상기 타일 몸체(31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단위셀을 한번에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타일 조립체(301)로 제작될 수 있고,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개의 단위셀을 한번에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타일 조립체(302)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타일 몸체(310)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Of course, the tile body 310 can be manufactured as a tile assembly 301 of a size that can cover two unit cells at once, as shown in (a) of FIG. 9, and as shown in (b) of FIG. 9. As shown, the tile assembly 302 may be manufactured in a size that can cover 20 unit cells at once. That is, the tile body 31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또는, 상기 타일 몸체(31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 형태의 타일 조립체(303)로 제작되거나,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의 타일 조립체(304)로 제작되거나,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태의 타일 조립체(305)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타일 몸체(31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tile body 310 is made of a hexagonal tile assembly 303 as shown in (a) of FIG. 10, or a triangular tile assembly (303) as shown in (b) of FIG. 10. 304), or may be manufactured as a diamond-shaped tile assembly 305 as shown in (c) of FIG. 10. That is, the tile body 31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타일 몸체(310)는 도 9와 같은 서로 다른 크기 및 도 10과 같은 서로 다른 형태로 제작된 타일 조립체를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차량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tile body 310 can form the floor of a vehicle with various designs by combining tile assemblies of different sizes as shown in FIG. 9 and in different shapes as shown in FIG. 10.

그리고, 상기 스킨층(330)은 상기 타일 몸체(310)에 적층되어 차량의 바닥을 이루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스킨층(330)은 나무(wood), 금속, 강화 수지필름, 탄소섬유 등 다양한 소재 및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킨층(33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소재, 다양한 색상 및 특정 문양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kin layer 330 is laminated on the tile body 310 to form the floor of the vehicle. The skin layer 330 can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and colors, such as wood, metal, reinforced resin film, and carbon fiber. That is, the skin layer 3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various materials, various colors, and specific patterns,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100)은 상기 타일 조립체(300)와 상기 브라켓부(210) 사이를 실링하도록 중심 실링부재(410)와 사이드 실링부재(4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중심 실링부재(410)와 상기 사이드 실링부재(420)는 실링을 위하여 고무 등과 탄성재질로 제작된다.In addition, the vehicle floor structur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enter sealing member 410 and a side sealing member 420 to seal between the tile assembly 300 and the bracket portion 210. It can be done. That is, the center sealing member 410 and the side sealing member 420 are made of elastic materials such as rubber for sealing.

상기 중심 실링부재(410)는 하측은 상기 브라켓부(210)의 단위셀(211)과 단위셀(211) 사이에 형성된 실링부재 삽입홈(215)에 삽입되고, 상측에 상기 타일 조립체(300)가 안착되어, 상기 브라켓부(210)와 상기 타일 조립체(300) 사이를 실링하도록 구성된다. The central sealing member 410 is inserted into the sealing member insertion groove 215 formed between the unit cells 211 of the bracket portion 210 at its lower side, and the tile assembly 300 at its upper side. is seated and configured to seal between the bracket portion 210 and the tile assembly 300.

이러한, 상기 중심 실링부재(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셀(211)과 단위셀(211) 사이에 위치하도록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central sealing member 410 may be formed in a grid shape to be located between the unit cells 211.

상기 사이드 실링부재(420)는 하측이 상기 브라켓부(210)와 이웃하는 브라켓부(210)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상측에 상기 타일 조립체(300)가 안착되어, 상기 브라켓부(210)와 브라켓부(210) 사이 및 상기 브라켓부(210)와 상기 타일 조립체(300) 사이를 실링하도록 구성된다. The lower side of the side sealing member 420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 210 and the neighboring bracket portion 210, and the tile assembly 300 is seated on the upper side, thereby forming the bracket portion 210. It is configured to seal between the bracket part 210 and between the bracket part 210 and the tile assembly 300.

이러한, 상기 중심 실링부재(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부(210)와 브라켓부(2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일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central sealing member 41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to be locat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s 210 and the bracket portion 210.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ure 11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8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은 브라켓부(210)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212)에 차체에 구비된 볼트(11)가 삽입되게 브라켓 조립체(200)를 배치하는 브라켓 배치단계(S110)와, 상기 브라켓부(210)의 상측에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실링부재 설치단계(S120, S130)와, 상기 볼트(11)에 너트(12)를 체결하여 상기 브라켓 조립체(200)를 상기 차체(10)에 고정하는 브라켓 체결단계(S140), 그리고 상기 브라켓부(210)에 형성된 타일 체결홈(213)에 타일 조립체(300)를 설치하는 타일 설치단계(S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3 to 8 and 11, the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inserting a bolt 11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into the bolt through hole 212 formed in the bracket portion 210. A bracket arrangement step (S110) for arranging the bracket assembly 200, a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S120, S130) for installing a sealing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portion 210, and a nut (S110) on the bolt 11. 12), a bracket fastening step (S140) of fastening the bracket assembly 200 to the vehicle body 10, and installing the tile assembly 300 in the tile fastening groove 213 formed in the bracket portion 210. It may be performed including a tile installation step (S150).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 설치단계(S120, S130)는 브라켓부(210)의 단위셀(211)과 단위셀(211) 사이에 형성된 실링부재 삽입홈(215)에 중심 실링부재(410)를 삽입하는 중심 실링부재 설치단계(S120)와, 브라켓부(210)와 브라켓부(210)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사이드 실링부재(420)를 삽입하는 사이드 실링부재 설치단계(S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s (S120, S130) involve inserting the central sealing member 410 into the sealing member insertion groove 215 formed between the unit cell 211 and the unit cell 211 of the bracket portion 210. It may include a center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S120) and a side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S130) of inserting the side sealing member 420 into the groove form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 210 and the bracket portion 210.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은 브라켓부(210)의 볼트 관통홀(212)에 차체(10)에 구비된 볼트(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차체(10)에 브라켓 조립체(200)를 배치(S110)하고, 차체(10)에 브라켓 조립체(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중심 실링부재(410)와 상기 사이드 실링부재(420)를 브라켓부(210)의 사이와 단위셀(211)의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S120, S130)하고, 단위셀(211)로 관통하여 배치된 볼트(11)에 너트(12)를 체결하여 브라켓 조립체(200)를 차체(10)에 고정(S140)한 후에 브라켓부(210)에 타일 조립체(300)를 설치(S150)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바닥구조물(100)을 차체(10)에 조립할 수 있다. That is,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ttach the car body 10 so that the bolt 11 provided in the car body 10 can be inserted into the bolt through hole 212 of the bracket part 210. After placing the bracket assembly 200 (S110) and completing the installation of the bracket assembly 200 on the vehicle body 10, the center sealing member 410 and the side sealing member 420 are connected to the bracket portion 210. It is inserted and installed between the unit cell 211 and the unit cell 211 (S120, S130), and the nut 12 is fastened to the bolt 11 disposed through the unit cell 211 to secure the bracket assembly 200 to the vehicle body ( After fixing the tile assembly 300 to the bracket 210 (S140), the vehicle floor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to the car body 10 by installing the tile assembly 300 on the bracket part 210 (S150).

또는, 상기 타일 조립체(300)의 체결 순서를 일부 변경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바닥구조물(100)을 차체(10)에 조립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vehicle floor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10 by partially changing the fastening sequence of the tile assembly 300.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ure 1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은 브라켓부에 형성된 복수의 단위셀(211) 중 일부의 단위셀(211)에만 형성된 볼트 관통홀(212)에 차체(10)에 구비된 볼트(11)가 삽입되게 브라켓 조립체(200)를 배치하는 브라켓 배치단계(S210)와, 상기 브라켓부(210)의 상측에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실링부재 설치단계(S220, S230)와, 상기 볼트 관통홀(212)이 형성되지 않은 단위셀(211)의 타일 체결홈(213)에 타일 조립체(300)를 설치하는 제1 타일 설치단계(S240)와, 상기 볼트(11)에 너트(12)를 체결하여 상기 브라켓 조립체(200)를 상기 차체(10)에 고정하는 브라켓 체결단계(S250), 그리고 상기 볼트 관통홀(212)이 형성된 단위셀(211)의 타일 체결홈(213)에 타일 조립체(300)를 설치하는 제2 타일 설치단계(S2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3 to 8 and 12, the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penetrating bolts formed only in some of the unit cells 211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211 formed in the bracket portion. A bracket placement step (S210) of arranging the bracket assembly 200 so that the bolt 11 provided in the car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hole 212, and sealing a sealing member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portion 210. A member installation step (S220, S230) and a first tile installation step (S240) of installing the tile assembly 300 in the tile fastening groove 213 of the unit cell 211 in which the bolt through hole 212 is not formed. and a bracket fastening step (S250) of fastening the nut 12 to the bolt 11 to secure the bracket assembly 200 to the car body 10, and a unit cell in which the bolt through hole 212 is formed ( It may include a second tile installation step (S260) of installing the tile assembly 300 in the tile fastening groove 213 of 211).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 설치단계(S220, S230)는 브라켓부(210)의 단위셀(211)과 단위셀(211) 사이에 형성된 실링부재 삽입홈(215)에 중심 실링부재(410)를 삽입하는 중심 실링부재 설치단계(S220)와, 브라켓부(210)와 브라켓부(210)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사이드 실링부재(420)를 삽입하는 사이드 실링부재 설치단계(S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s (S220, S230) involve inserting the central sealing member 410 into the sealing member insertion groove 215 formed between the unit cell 211 and the unit cell 211 of the bracket portion 210. It may include a center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S220) and a side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S230) of inserting the side sealing member 420 into the groove form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 210 and the bracket portion 210.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은 브라켓부(210)의 볼트 관통홀(212)에 차체(10)에 구비된 볼트(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차체(10)에 브라켓 조립체(200)를 배치(S210)하고, 차체(10)에 브라켓 조립체(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중심 실링부재(410)와 상기 사이드 실링부재(420)를 브라켓부(210)의 사이와 단위셀(211)의 사이에 삽입하여 설치(S220, S230)하고, 볼트 관통홀(212)이 형성되지 않은 단위셀(211)에 타일 조립체(300)를 1차적으로 체결(S240)하고, 단위셀(211)로 관통하여 배치된 볼트(11)에 너트(12)를 체결하여 브라켓 조립체(200)를 차체(10)에 고정(S250)한 후에 볼트 관통홀(212)이 형성된 단위셀(211) 즉 너트(12)가 체결된 단위셀(211)에 타일 조립체(300)를 설치(S260)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바닥구조물(100)을 차체(10)에 조립할 수 있다. That is,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vehicle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car body 10 so that the bolt 11 provided in the car body 10 can be inserted into the bolt through hole 212 of the bracket part 210. When the bracket assembly 200 is placed (S210) and the installation of the bracket assembly 200 on the vehicle body 10 is completed, the center sealing member 410 and the side sealing member 420 are connected to the bracket portion 210. and the unit cell 211 (S220, S230), and the tile assembly 300 is initially fastened to the unit cell 211 in which the bolt through hole 212 is not formed (S240). After fastening the nut 12 to the bolt 11 arranged to penetrate the unit cell 211 and fixing the bracket assembly 200 to the car body 10 (S250), the unit in which the bolt through hole 212 is formed is The vehicle floor structur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to the vehicle body 10 by installing the tile assembly 300 in the cell 211, that is, the unit cell 211 to which the nut 12 is fastened (S260).

상기 브라켓부(210)에는 복수의 단위셀(211)이 형성되고 있고, 복수의 단위셀(211) 중 일부에만 상기 볼트 관통홀(2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트 관통홀(212)에 상기 볼트(11)가 관통 배치되어 있다. A plurality of unit cells 211 are formed in the bracket part 210, and the bolt through hole 212 is formed in only some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211, and the bolt through hole 212 is formed in the bolt through hole 212. Bolts 11 are arranged through.

이 경우에, 상기 볼트 관통홀(212)이 형성되지 않은 즉, 상기 볼트(11)가 관통 배치되어 있지 않아 너트(12)의 체결이 필요 없는 단위셀(211)에 상기 타일 조립체(300)를 1차적으로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볼트(11)에 상기 너트(12)를 체결한 후에 나머지 단위셀(211)에 상기 타일 조립체(300)를 2차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ile assembly 300 is installed in the unit cell 211 in which the bolt through hole 212 is not formed, that is, the bolt 11 is not disposed through the unit cell 211, so fastening of the nut 12 is not required. Assemble first. Then, after fastening the nut 12 to the bolt 11, the tile assembly 300 can be secondarily assembled to the remaining unit cell 211.

이는, 복수의 구성들을 조립함에 따라 가공 오차 등에 따라 조립 시에 일부 변형 및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 조립체(200)를 상기 차체(10)에 체결 고정하면 복수의 브라켓 조립체(200) 간의 유격 없이 체결 고정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타일 조립체(300)의 조립 시에 체결 오차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볼트(11)에 상기 너트(12)를 체결 고정하기 전에 대부분의 타일 조립체(300)를 우선적으로 조립한 후에 상기 볼트(11)에 상기 너트(12)를 체결하여 차체(10)에 브라켓 조립체(200)를 완전히 체결 고정한 후 나머지 타일 조립체(300)를 체결하여 보다 용이하게 조립을 수행할 수 있다. As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assembled, some deformation and errors may occur during assembly due to processing errors. In addition, when the bracket assembly 20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vehicle body 10, the plurality of bracket assemblies 200 are fastened and fixed without any clearance, so fastening errors, etc. may occur when assembling the plurality of tile assemblies 300. there is. Therefore, before fastening and fixing the nut 12 to the bolt 11, most of the tile assembly 300 is first assembled, and then the nut 12 is fastened to the bolt 11 to secure it to the vehicle body 10. Assembly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by completely fastening and fixing the bracket assembly 200 and then fastening the remaining tile assembly 300.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detailed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바닥구조물 200 : 브라켓 조립체
210 : 브라켓부 211 : 단위셀
212 : 볼트 관통홀 213 : 타일 체결홈
214 : 삽입돌기 215 : 실링부재 삽입홈
220 : 베이스 플레이트 221 : 베이스 플레이트 몸체
222 : 브라켓 삽입홀 223 : 융착포인트
300 : 타일 조립체 310 : 타일 몸체
320 : 체결부 330 : 스킨층
410 : 중심 실링부재 420 : 사이드 실링부재
100: Vehicle floor structure 200: Bracket assembly
210: bracket part 211: unit cell
212: Bolt through hole 213: Tile fastening groove
214: insertion protrusion 215: sealing member insertion groove
220: base plate 221: base plate body
222: Bracket insertion hole 223: Fusion point
300: Tile assembly 310: Tile body
320: Fastening part 330: Skin layer
410: Center sealing member 420: Side sealing member

Claims (10)

차체에 설치되는 브라켓 조립체; 및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조립체에 체결되고, 차량의 바닥을 이루는 타일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조립체는,
중심이 함몰되어 중공을 가지는 단위셀이 복수로 형성된 격자 형태의 브라켓부; 및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차체 사이에 배치되고, 소리를 차단하도록 흡음재로 제작된 베이스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닥구조물.
Bracket assembly installed on the vehicle body;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tile assemblies provided and fastened to the bracket assembly and forming the floor of the vehicle,
The bracket assembly is,
A bracket portion in the form of a grid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cells having hollow centers are formed; and
a base plate dispos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vehicle body and made of a sound-absorbing material to block sound;
A vehicle floor structure comprising: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부는,
모서리 및 중심에 배치된 단위셀에 형성되고, 상기 차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가 삽입되게 관통 형성된 볼트 관통홀;
상기 단위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타일 조립체의 체결부가 삽입되어 끼움 체결되는 타일 체결홈; 및
상기 볼트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측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닥구조물.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racket part,
Bolt through holes formed in unit cells disposed at the corners and the center, through which bolts protruding outward from the vehicle body are inserted;
a tile fastening groov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nit cell and into which the fastening part of the tile assembly is inserted and fastened; and
an insertion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base plate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bolt through hole;
A vehicle floor structure compris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베이스 플레이트 몸체; 및
상기 브라켓부의 삽입돌기가 삽입되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몸체에 관통 형성된 브라켓 삽입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닥구조물.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base plate is,
Base plate body; and
a bracket insertion hole formed through the base plate body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of the bracket portion is inserted;
A vehicle floor structur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 조립체는,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타일 몸체;
상기 타일 몸체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조립체에 형성된 타일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타일 몸체에 적층되고, 차량의 바닥을 이루는 스킨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닥구조물.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tile assembly is,
A tile body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 fastening part that protrudes from the tile body and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a tile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bracket assembly; and
a skin layer laminated on the tile body and forming the floor of the vehicle;
A vehicle floor structur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하측은 상기 브라켓부의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에 형성된 실링부재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측에 상기 타일 조립체가 안착되어,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타일 조립체 사이를 실링하는 중심 실링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닥구조물.
According to paragraph 1,
A central sealing member whose lower side is inserted into a sealing member insertion groove formed between the unit cells of the bracket portion and where the tile assembly is seated on the upper side to seal betwee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tile assembly;
A vehicle floor structur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하측이 상기 브라켓부와 이웃하는 브라켓부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고, 상측에 상기 타일 조립체가 안착되어, 상기 브라켓부와 브라켓부 사이 및 상기 브라켓부와 상기 타일 조립체 사이를 실링하는 사이드 실링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닥구조물.
According to paragraph 1,
A side sealing member whose lower side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 and an adjacent bracket portion, and where the tile assembly is seated on the upper side, sealing betwee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bracket portion and the tile assembly;
A vehicle floor structure comprising:
브라켓부에 형성된 볼트 관통홀에 차체에 구비된 볼트가 삽입되게 브라켓 조립체를 배치하는 브라켓 배치단계;
상기 브라켓부의 상측에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실링부재 설치단계;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브라켓 조립체를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 체결단계; 및
상기 브라켓부에 형성된 타일 체결홈에 타일 조립체를 설치하는 타일 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 설치단계는,
브라켓부의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에 형성된 실링부재 삽입홈에 중심 실링부재를 삽입하는 중심 실링부재 설치단계; 및
브라켓부와 브라켓부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사이드 실링부재를 삽입하는 사이드 실링부재 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
A bracket placement step of arranging the bracket assembly so that bolts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are inserted into the bolt through-holes formed in the bracket portion;
A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sealing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part;
A bracket fastening step of fastening nuts to the bolts to secure the bracket assembly to the vehicle body; and
It includes a til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tile assembly in the tile fastening groove formed in the bracket portion,
The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is,
A center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of inserting the center sealing member into the sealing member insertion groove formed between the unit cells of the bracket portion and the unit cells; and
A side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of inserting the side sealing member into a groove form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bracket portion;
A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comprising:
브라켓부에 형성된 복수의 단위셀 중 일부의 단위셀에만 형성된 볼트 관통홀에 차체에 구비된 볼트가 삽입되게 브라켓 조립체를 배치하는 브라켓 배치단계;
상기 브라켓부의 상측에 실링부재를 설치하는 실링부재 설치단계;
상기 볼트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단위셀의 타일 체결홈에 타일 조립체를 설치하는 제1 타일 설치단계;
상기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브라켓 조립체를 상기 차체에 고정하는 브라켓 체결단계; 및
상기 볼트 관통홀이 형성된 단위셀의 타일 체결홈에 타일 조립체를 설치하는 제2 타일 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
A bracket placement step of arranging the bracket assembly so that bolts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are inserted into bolt through-holes formed only in some of the plurality of unit cells formed in the bracket portion;
A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sealing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part;
A first til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tile assembly in a tile fastening groove of a unit cell in which the bolt through hole is not formed;
A bracket fastening step of fastening nuts to the bolts to secure the bracket assembly to the vehicle body; and
A second tile installation step of installing a tile assembly in the tile fastening groove of the unit cell where the bolt through hole is formed;
A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comprising 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설치단계는,
브라켓부의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에 형성된 실링부재 삽입홈에 중심 실링부재를 삽입하는 중심 실링부재 설치단계; 및
브라켓부와 브라켓부 사이에 형성된 홈에 사이드 실링부재를 삽입하는 사이드 실링부재 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바닥구조물의 조립방법.
According to clause 9,
The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is,
A center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of inserting the center sealing member into the sealing member insertion groove formed between the unit cells of the bracket portion and the unit cells; and
A side sealing member installation step of inserting the side sealing member into a groove formed between the bracket portion and the bracket portion;
A method of assembling a vehicle floor structure comprising:
KR1020220071570A 2022-06-13 2022-06-13 Floor structur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KR1026430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570A KR102643025B1 (en) 2022-06-13 2022-06-13 Floor structur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570A KR102643025B1 (en) 2022-06-13 2022-06-13 Floor structur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523A KR20230171523A (en) 2023-12-21
KR102643025B1 true KR102643025B1 (en) 2024-03-06

Family

ID=8932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570A KR102643025B1 (en) 2022-06-13 2022-06-13 Floor structur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02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270A (en) * 2002-03-13 2003-09-25 Hino Motors Ltd Truck deck structure
KR102408429B1 (en) * 2021-06-01 2022-06-14 안기풍 Decorative board for interi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7270A (en) * 2002-03-13 2003-09-25 Hino Motors Ltd Truck deck structure
KR102408429B1 (en) * 2021-06-01 2022-06-14 안기풍 Decorative board for interi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523A (en)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03714A1 (en) Battery pack hous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using plastic composite material
US10160407B2 (en) Noise insulation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KR102643025B1 (en) Floor structure of vehicle and assembly method for the same
KR102452077B1 (en) Hybrid vehicle comprising battery and fuel tank
CN213056674U (en) Vehicle body assembly for improving noise of whole vehicle and vehicle
CN213734568U (en) Upper cover of battery pack and vehicle with same
CN210224226U (en) Vehicle and battery pack thereof
CN215342780U (en) Square cabin type battery pack
CN215266500U (en) Battery package bottom protection plate and vehicle with same
CN211167109U (en) Vehicle front end frame and vehicle
JP4452606B2 (en) Foam filler
CN220430057U (en) Spliced automobile interior trimming panel
CN217435860U (en) Wheel casing assembly and vehicle
JPH07117404A (en) Partition-equipped tire structure
KR20170077487A (en) Soundproof panel for the sound proofing wall of road
CN216994185U (en) Double-buckle cavity noise reduction structure
CN219154223U (en) Front suspension cushion assembly of heavy-duty car engine
KR100267905B1 (en) Structure roof panel of vehicle
CN220430300U (en) Engine cover and automobile
CN211743245U (en) Battery module upper cover
CN220247925U (en) Glove box door, glove box and vehicle
CN218489601U (en) Bottom guard plate of vehicle and vehicle
CN220923987U (en) Auxiliary instrument board sundry box mounting structure and vehicle
KR101506729B1 (en) Soundproof wall frame
CN211350774U (en) Double-layer module support of power battery pack and power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