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804B1 - 다중 대역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대역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804B1
KR102642804B1 KR1020217027607A KR20217027607A KR102642804B1 KR 102642804 B1 KR102642804 B1 KR 102642804B1 KR 1020217027607 A KR1020217027607 A KR 1020217027607A KR 20217027607 A KR20217027607 A KR 20217027607A KR 102642804 B1 KR102642804 B1 KR 102642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request
association
frame
b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8932A (ko
Inventor
잉 왕
윈보 리
마오 양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1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8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9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or pre-shared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다중 대역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제1 기기가 제2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제1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둘 이상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한다.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둘 이상의 대역에서 상기 제2 기기를 인증하거나, 상기 제2 기기와 연관되거나, 상기 제2 기기와 재연관된다. 본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은 다중 대역 기기의 인증 및 연관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대역 통신 방법 및 장치
본 출원은 "MULTI-BAND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다중 대역 통신 방법 및 장치)"라는 명칭으로, 2019년 2월 3일에 중국 국가 지식재산권국에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제201910109016.9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중 대역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기술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은 현재 주류를 이루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표준 중 하나이며, 지난 10년간 상업용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되어왔다. IEEE 802.11 표준의 다양한 버전은 2.4GHz 대역, 5GHz 대역, 60GHz 대역 및 6GHz 대역에 대한 전송 프로토콜을 다루고 있다.
또한, 다양한 대역에 대한 전송 프로토콜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예를 들어 802.11n 표준을 지원하고 2.4GHz 대역 및 5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이중 대역 기기, 802.11n 표준 또는 802.11ax 표준을 지원하고 2.4GHz 대역 및 5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삼중 대역 기기, 및 802.11ad 표준을 지원하고 2.4GHz 대역, 5GHz 대역 및 60GHz 대역에 동작하는 삼중 대역 기기와 같은, 다중 대역 기기의 수량과 종류는 그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다중 대역 기기의 종류와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중 대역 기기의 인증 및 연관 효율(association efficiency)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가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출원은 다중 대역 기기의 인증 및 연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중 대역 통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제1 기기가 제2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제1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둘 이상의 대역에서 인증(authentication), 연관(association) 또는 재연관(reassociation)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한다.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둘 이상의 대역에서 상기 제2 기기를 인증하거나, 상기 제2 기기와 연관되거나, 상기 제2 기기와 재연관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제1 프레임은 둘 이상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하고, 제1 기기는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하나의 정보 교환을 통해 둘 이상의 대역에서 제2 기기를 인증하거나, 제2 기기와 연관되거나, 제2 기기와 재연관될 수 있으므로, 다중 대역 기기의 인증 및 연관 지연(latency)을 줄일 수 있어, 다중 대역 기기의 인증 및 연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요청 정보는 둘 이상의 요청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요청 비트는 상기 둘 이상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하며, 각각의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둘 이상의 요청 비트는 둘 이상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하고, 대응하는 대역에서의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의 수행은 각각의 대역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를 사용하여 더 유연하게 요청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은 둘 이상의 제1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요소는 하나의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각각의 제1 요소가 대응하는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하므로, 제1 기기는 각각의 대역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를 개별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요소는 다중 대역 요소 또는 이웃 보고 요소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요소가 다중 대역 요소인 경우, 상기 요청 비트는, 상기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제어 필드의 예비 비트, 상기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연결 능력 필드의 예비 비트, 또는 다중 대역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다중 대역 요소 내의 정보는 대응하는 대역에 관한 정보이고,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의 다중 대역 요소 내에 위치하므로, 제1 기기는 대응하는 대역의 다중 대역 요소에서 정보를 획득하면서 요청 비트를 획득할 수 있어, 시스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요소가 이웃 보고 요소인 경우, 상기 요청 비트는, 상기 이웃 보고 요소 내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정보 필드의 예비 비트, 상기 이웃 보고 요소 내의 선택적 서브요소 필드, 또는 상기 이웃 보고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이웃 보고 요소의 정보는 대응하는 대역에 관한 정보이고,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의 이웃 보고 요소에 위치하므로, 제1 기기는 대응하는 대역의 이웃 보고 요소에서 정보를 획득하면서 요청 비트를 획득할 수 있어, 시스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기기가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기기에 전송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를 인증하였다는 응답,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와 연관되었다는 응답,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와 재연관되었다는 응답을 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 정보를 실어 전달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제2 기기의 인증, 제2 기기와의 연관, 또는 제2 기기와의 재연관을 완료한 후, 제1 기기는 응답 정보를 제2 기기에 전송하여,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이 완료되었음을 제2 기기에 통지하므로, 시스템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제1 기기가 제2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제3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3 프레임은 둘 이상의 이웃 보고 요소를 실어 전달하고, 각각의 이웃 보고 요소는 하나의 대역에 대응하고, 상기 이웃 보고 요소는 대응하는 대역의 쌍별 암호 모음 목록(pairwise cipher suite list)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3 프레임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대역에서 상기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handshake)를 수행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이웃 보고 요소가 이미 다중 대역 요소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1 기기는 둘 이상의 이웃 보고 요소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므로, 다중 대역 요소와 이웃 보고 요소 사이의 중복 정보(redundant information)를 줄일 수 있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쌍별 암호 모음은 쌍별 암호 모음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쌍별 암호 모음을 쌍별 암호 모음 카운트(pairwise cipher suite cou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둘 이상의 대역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추가로 실어 전달한다. 상기 제1 기기는 상기 요청 정보 및 둘 이상의 쌍별 암호 모음에 기초하여 상기 둘 이상의 대역에서 상기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요청 정보는 둘 이상의 요청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요청 비트는 상기 둘 이상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하며, 각각의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각각의 이웃 보고 요소는 상기 대응하는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요청 비트는, 상기 이웃 보고 요소 내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정보 필드의 예비 비트, 상기 이웃 보고 요소 내의 선택적 서브요소 필드, 또는 상기 이웃 보고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기기가 지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둘 이상의 대역에서 상기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제2 기기가 제1 프레임을 생성하며, 상기 제1 프레임은 둘 이상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한다.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프레임을 제1 기기에 전송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제2 기기는 제1 프레임을 제1 기기에 전송하며, 제1 프레임은 둘 이상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하므로, 제1 기기는 한 번의 정보 교환을 통해 둘 이상의 대역에서 제2 기기를 인증하거나, 제2 기기와 연관되거나, 제2 기기와 재연관될 수 있고, 다중 대역 기기의 인증 및 연관 지연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다중 대역 기기의 인증 및 연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요청 정보는 둘 이상의 요청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요청 비트는 상기 둘 이상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하며, 각각의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둘 이상의 요청 비트는 둘 이상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하고, 대응하는 대역에서의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의 수행은 각각의 대역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를 사용하여 더 유연하게 요청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은 둘 이상의 제1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요소는 하나의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각각의 제1 요소가 대응하는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하므로, 제1 기기는 각각의 대역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를 개별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요소는 다중 대역 요소 또는 이웃 보고 요소이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요소가 다중 대역 요소인 경우, 상기 요청 비트는, 상기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제어 필드의 예비 비트, 상기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연결 능력 필드의 예비 비트, 또는 다중 대역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다중 대역 요소 내의 정보는 대응하는 대역에 관한 정보이고,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의 다중 대역 요소 내에 위치하므로, 제1 기기는 대응하는 대역의 다중 대역 요소에서 정보를 획득하면서 요청 비트를 획득할 수 있어, 시스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요소가 이웃 보고 요소인 경우, 상기 요청 비트는, 상기 이웃 보고 요소 내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정보 필드의 예비 비트, 상기 이웃 보고 요소 내의 선택적 서브요소 필드, 또는 상기 이웃 보고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이웃 보고 요소의 정보는 대응하는 대역에 관한 정보이고,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의 이웃 보고 요소에 위치하므로, 제1 기기는 대응하는 대역의 이웃 보고 요소에서 정보를 획득하면서 요청 비트를 획득할 수 있어, 시스템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1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제2 프레임을 수신하며,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를 인증하였다는 응답,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와 연관되었다는 응답, 또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제2 기기와 재연관되었다는 응답을 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 정보를 실어 전달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제2 기기의 인증, 제2 기기와의 연관 또는 제2 기기와의 재연관을 완료한 후, 제1 기기는 응답 정보를 제2 기기에 전송하여,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이 완료되었음을 제2 기기에 통지하므로, 시스템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하는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제2 기기가 제3 프레임을 생성하며, 상기 제3 프레임은 둘 이상의 이웃 보고 요소를 실어 전달하고, 각각의 이웃 보고 요소는 하나의 대역에 대응하고, 상기 이웃 보고 요소는 대응하는 대역의 쌍별 암호 모음 목록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기기가 상기 제3 프레임을 제1 기기에 전송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이웃 보고 요소가 이미 다중 대역 요소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제2 기기가 제1 프레임을 제1 기기에 전송하므로, 제1 기기는 둘 이상의 이웃 보고 요소에 기초하여 둘 이상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다중 대역 요소와 이웃 보고 요소 사이의 중복 정보를 줄일 수 있어, 네트워크 자원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쌍별 암호 모음은 쌍별 암호 모음 목록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쌍별 암호 모음을 쌍별 암호 모음 카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3 프레임은 상기 둘 이상의 대역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추가로 실어 전달한다.
일부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요청 정보는 둘 이상의 요청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요청 비트는 상기 둘 이상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하며, 각각의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각각의 이웃 보고 요소는 상기 대응하는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요소가 이웃 보고 요소인 경우, 상기 요청 비트는, 상기 이웃 보고 요소 내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정보 필드의 예비 비트, 상기 이웃 보고 요소 내의 선택적 서브요소 필드, 또는 상기 이웃 보고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기기가 지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지시 정보는 상기 제1 기기가 상기 둘 이상의 대역에서 상기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다중 대역 통신 장치가 제공되고,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을 포함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다중 대역 통신 장치가 제공되고,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을 포함한다.
제7 측면에 따르면, 다중 대역 통신 장치가 제공되고,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을 포함한다.
제8 측면에 따르면, 다중 대역 통신 장치가 제공되고,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닛을 포함한다.
제9 측면에 따르면, 다중 대역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여, 제1 측면 또는 제1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있고, 하나 이상의 메모리가 있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상기 메모리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메모리,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는 동일한 칩에 집적되거나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의 유형과,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를 배치하는 방식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제10 측면에 따르면, 다중 대역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여, 제2 측면 또는 제2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있고, 하나 이상의 메모리가 있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상기 메모리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메모리,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는 동일한 칩에 집적되거나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의 유형과,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를 배치하는 방식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제11 측면에 따르면, 다중 대역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여, 제3 측면 또는 제3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있고, 하나 이상의 메모리가 있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상기 메모리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메모리,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는 동일한 칩에 집적되거나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의 유형과,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를 배치하는 방식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제12 측면에 따르면, 다중 대역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송수신기 및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여, 제4 측면 또는 제4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장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있고, 하나 이상의 메모리가 있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상기 메모리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메모리,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는 동일한 칩에 집적되거나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의 유형과,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를 배치하는 방식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제13 측면에 따르면, 다중 대역 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시스템은 제5 측면 또는 제5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장치 및 제7 측면 또는 제7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거나;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시스템은 제6 측면 또는 제6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장치 및 제8 측면 또는 제8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거나;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시스템은 제9 측면 또는 제9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장치 및 제11 측면 또는 제11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포함하거나;
상기 다중 대역 통신 시스템은 제10 측면 또는 제10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장치 및 제12 측면 또는 제12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장치를 포함한다.
제14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전술한 측면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5 측면에 따르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술한 측면의 방법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제16 측면에 따르면,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칩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출력 인터페이스 및 상기 프로세서는 내부 연결 경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여, 전술한 측면 또는 전술한 측면의 가능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칩 시스템은 상기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있고, 하나 이상의 메모리가 있다.
구체적인 구현 프로세스에서, 상기 메모리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메모리, 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와 상기 프로세서는 동일한 칩에 집적되거나 개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의 유형과,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프로세서를 배치하는 방식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방법에서, 제1 프레임은 둘 이상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하고, 제1 기기는 요청 정보에 기초한 한 번의 정보 교환을 통해 둘 이상의 대역에서 제2 기기를 인증하거나, 제2 기기와 연관되거나, 제2 기기와 재연관될 수 있으므로, 다중 대역 기기의 인증 및 연관 지연을 줄일 수 있어, 다중 대역 기기의 인증 및 연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식적인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 및 도 3b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요소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요소의 다른 개략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중 대역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른 다중 대역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른 다중 대역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른 다중 대역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른 다중 대역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설명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방안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른 시스템, 예를 들어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이중화(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분할 이중화(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마이크로파 액세스를 위한 세계적인 상호 운용성(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5세대(5th generation, 5G) 시스템 또는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에 추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및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WLAN 시스템만이 아래의 예로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에 적용될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는 현재 WLAN에서 사용되는 전기전자기술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시리즈 프로토콜 중의 임의의 프로토콜에 적용될 수 있다. WLAN은 하나 이상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서비스 세트에서의 네트워크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스테이션(station, STA)을 포함한다. 원(original) BSS에 기초하여, IEEE 802.11ad에 개인 기본 서비스 세트(Personal Basic Service Set, PBSS)와 개인 기본 서비스 세트 제어 포인트(PBSS control point, PCP)가 도입되었다. 각각의 개인 기본 서비스 세트는 하나의 AP/PCP 및 AP/PCP와 연관된 복수의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스테이션과 통신하는 기기는 AP 또는 PCP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AP와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만을 예로 사용하여 설명한다. PCP와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 동작은 AP와 스테이션 사이의 통신 동작과 유사하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 및/또는 제2 기기 각각은 WLAN에서의 STA일 수 있다. STA는 또한 시스템, 사용자 유닛, 액세스 단말기, 이동국, 모바일 콘솔(mobile console), 원격국, 원격 단말기, 이동 기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무선 통신 기기,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로도 지칭될 수 있다. STA은 무선 통신 칩, 무선 센서 또는 무선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TA은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전화,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태블릿 컴퓨터,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셋톱 박스,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 텔레비전,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지능형 웨어러블 기기,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차량 탑재형 통신 기기, 또는 Wi-Fi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컴퓨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STA은 802.11ax, 802.11ac, 802.11ad, 802.11ay, 802.11n, 802.11g, 802.11b, 802.11a와 같은 복수의 WLAN 표준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 및/또는 제2 기기 각각은 대안적으로 WLAN에서의 AP일 수 있다. AP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액세스 단말기와 통신하고, 액세스 단말기의 데이터를 네트워크 측에 송신하거나, 네트워크 측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액세스 단말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P는 또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 핫스팟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AP는 모바일 사용자가 유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하는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으며, 주로 가정, 건물 내부, 캠퍼스 내부에 배치되며, 일반적인 커버리지 반경은 수십 미터에서 수백 미터이다. 물론, AP는 대안적으로 옥외에 배치될 수 있다. AP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브리지에 상당한다. AP의 주요 기능은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들을 함께 연결한 다음, 무선 네트워크를 이더넷에 연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AP는 무선 충실도(Wireless Fidelity, Wi-Fi) 칩을 탑재한 단말 기기 또는 네트워크 기기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AP는 802.11ax 표준을 지원하는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AP는 802.11ax, 802.11ac, 802.11ad, 802.11ay, 802.11n, 802.11g, 802.11b, 802.11a와 같은 복수의 WLAN 표준을 지원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1 기기 또는 제2 기기는 하드웨어 계층, 하드웨어 계층 위에서 실행되는 운영 체제 계층, 및 운영 체제 계층 위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한다. 하드웨어 계층은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메모리 관리 유닛(memory management unit, MMU) 및 메모리(주 메모리라고도 함)와 같은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운영 체제는 프로세스(process)를 이용하여 서비스 처리를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운영 체제, 예를 들어 Linux 운영 체제, Unix 운영 체제, Android 운영 체제, iOS 운영 체제 또는 Windows 운영 체제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브라우저, 주소록, 워드 프로세싱 소프트웨어 및 인스턴트 통신 소프트웨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실행 본체(execution body)의 구체적인 구조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의 코드를 기록하는 프로그램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실행될 수 있는 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방법은 AP 또는 STA, 또는 AP 또는 STA에서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능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측면 또는 특징은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 장치 또는 제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제품(product)"이라는 용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구성요소, 캐리어(carrier) 또는 매체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로는 자기 저장 구성요소(예: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 디스크(예: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 CD),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스마트 카드 및 플래시 메모리 구성요소(예: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지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카드, 스틱 또는 키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기기 및/또는 기타 기계로 판독 가능한 매체를 지시할 수 있다. "기계로 판독 가능한 매체"라는 용어는 무선 채널, 및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포함 및/또는 실어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타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시나리오의 시스템은 WLAN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의 WLAN 시스템은 복수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하는 WLAN 시나리오일 수 있다. WLAN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AP와 하나 이상의 ST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2개의 AP(AP 1 및 AP 2)와 4개의 STA(STA 1, STA 2, STA 3, 및 STA 4)가 예로 사용된다. AP간, AP와 STA 간, STA 간 무선 통신은 다양한 표준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통신은 직접 통신일 수 있거나 간접 통신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STA 3이 AP 1의 기본 서비스 세트에 속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AP 1은 먼저 AP 2로 정보를 전송하고, AP 2는 STA 3으로 정보를 전송하여 간접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유사하게, STA 1과 STA 4도 AP 1 또는 AP 2를 통해 간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세부 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위에 언급한 기본 서비스 세트는 802.11 근거리 통신망의 기본 구성 부분이다. 하나의 BSS는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와 여러 스테이션(station, STA)을 포함한다. 모든 STA은 BSS에서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지만, BSS 외부의 STA과 통신할 때는 BSS에서 AP를 사용해야 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중 대역 통신 방법(200)의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에서의 제1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에서의 AP 또는 STA에 대응하고, 제2 기기 또한 도 1에 도시된 AP 또는 STA에 대응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S210: 제1 기기는 제2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제1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제1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한다.
적어도 두 개의 대역은 복수의 대역 중 적어도 두 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대역은 2.4GHz, 5GHz, 60GHz 및 6GHz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적어도 두 개의 대역은 두 개 이상의 동일한 대역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대역은 두 개 이상의 2.4GHz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적어도 두 개의 대역은 5GHz 두 개 이상, 60GHz 두 개 이상 또는 6GHz 두 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적어도 두 개의 대역은 다른 대역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프레임은 인증 프레임(authentication frame), 연관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 또는 재연관 요청 프레임(reassociation request fram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이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경우, 제1 프레임은 인증 프레임일 수 있다. 제1 프레임이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경우, 제1 프레임은 연관 요청 프레임일 수 있다. 제1 프레임이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경우, 제1 프레임은 재연관 요청 프레임일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2 기기는 요청 정보를 사용하여, 제1 기기에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동시에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동시에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는 것은 제2 기기가 요청 정보를 사용하여, 제1 기기에 제1 프레임을 수신한 후에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즉, 적어도 두 대역에서의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이 요청 정보에 기초한 한 번의 교환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제2 기기는 제1 프레임을 제1 기기에 전송하며, 여기서 제1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제1 기기는 제1 프레임을 수신한 후, 요청 정보의 요청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을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의 인증이 구현될 수 있다. 요청 정보를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프로세스는 이와 유사하다. 세부사항은 여기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요청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요청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두 개의 요청 비트는 적어도 두 개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할 수 있으며, 각각의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에서 인증, 연결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대역은 2.4GHz, 5GHz 및 60GHz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 정보는 3개의 요청 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3개의 요청 비트는 2.4GHz, 5GHz, 60GHz와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3개의 요청 비트 중 하나는 2.4GHz에 대응할 수 있으며, 2.4GHz에서 인증, 연결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3개의 요청 비트 중 다른 하나는 5GHz에 대응할 수 있으며, 5GHz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3개의 요청 비트 중 또 다른 하나는 60GHz에 대응할 수 있으며, 60GHz에서 인증, 연결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요청 비트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 비트는 2.4GHz에 대응할 수 있고, 요청 비트는 1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 비트가 1이면, 요청 비트는 2.4GHz에서 인증, 연결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요청 비트가 0이면, 요청 비트는 2.4GHz에서 인증, 연결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요청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대역의 일부만을 요청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대역은 2.4GHz, 5GHz 및 60GHz를 포함할 수 있고, 요청 정보는 2.4GHz 및 5GHz에서만 인증, 연결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 경우, 2.4GHz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 및 5GHz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는 1일 수 있고, 60GHz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는 0일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1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제1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제1 요소는 하나의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대역은 2.4GHz, 5GHz, 및 60GHz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프레임은 3개의 제1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의 제1 요소는 2.4GHz에 대응하고 2.4GHz에 대한 요청 비트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다른 제1 요소는 5GHz에 대응하고 5GHz에 대한 요청 비트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고, 또 다른 제1 요소는 60GHz에 대응하고 60GHz에 대한 요청 비트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2.4GHz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 및 5GHz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는 1일 수 있으며, 2.4GHz 및 5GHz에서 인증, 연결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60GHz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는 0일 수 있으며, 60GHz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는 60GHz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이 경우, 60GHz에 대응하는 제1 요소에 실려 전달되는 정보는 60GHz에서 제2 기기의 송신 능력을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1 요소는 다중 대역 요소(multi-band element)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소가 다중 대역 요소인 경우, 요청 비트는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제어 필드(multi-band control field)의 예비 비트에 위치할 수 있거나, 요청 비트는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연결 능력 필드(multi-band connection capability 필드)에 위치할 수 있거나, 요청 비트는 다중 대역 요소 내의 예비 비트 또는 새로 추가된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1 요소는 이웃 보고 요소(neighbor report element)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요소가 이웃 보고 요소인 경우, 요청 비트는 이웃 보고 요소 내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정보 필드(BSSID Information field)의 예약 비트에 위치하거나, 요청 비트는 이웃 보고 요소 내의 선택적 서브요소 필드(optional subelement field)에 위치할 수 있거나, 요청 비트는 이웃 보고 요소 내의 새로 추가된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S220: 제1 기기는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를 인증하거나, 제2 기기와 연관되거나, 제2 기기와 재연관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제1 프레임을 수신한 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동시에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기기는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한 번의 교환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1 기기는 요청 정보에서 요청된 적어도 두 개의 대역 중 하나 이상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 정보는 2.4GHz, 5GHz 및 60GHz에서 인증, 연결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기기는 제1 프레임을 수신한 후, 2.4GHz에서의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 수행 요청을 거절하고, 5GHz 및 60GHz에서의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 수행 요청만을 수락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5GHz 및 60GHz에서 인증, 연결 또는 재연관을 수행할 수 있고 2.4GHz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220 이후에, 다중 대역 통신 방법(200)은 S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230: 제1 기기는 제2 프레임을 제2 기기로 전송하며, 여기서 제2 프레임은 제1 기기가 제2 기기를 인증했거나, 제1 기기가 제2 기기와 연관되었거나, 제1 기기가 제2 기기와 재연관되었음을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 정보를 실어 전달한다.
선택적으로, 제2 프레임은 인증 프레임((authentication frame), 연관 응답 프레임(association response frame), 또는 재연관 응답 프레임(reassociation response fram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기가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을 수행하는 경우, 제2 프레임은 인증 프레임일 수 있다. 제1 기기가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연관을 수행하는 경우, 제2 프레임은 연관 응답 프레임일 수 있다. 제1 기기가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재연관을 수행하는 경우, 제2 프레임은 재연관 응답 프레임일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요청 정보에서 요청된 적어도 두 개의 대역 중 하나 이상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는 것을 거절하는 경우, 제1 기기는 하나 이상의 대역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를 0(영)으로 설정하고, 요청 비트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을 제2 기기에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대안으로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이 수행되는 대역에 대응하는 요청 비트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제2 기기가 제2 프레임을 수신한 후, 제2 기기는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기가 제2 기기에 의해 요청된 적어도 두 개의 대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였음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하고, 제1 기기는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한 번의 정보 교환을 통해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를 인증하거나, 제2 기기와 연관되거나, 제2 기기와 재연관될 수 있으므로, 다중 대역 기기의 인증 및 연관 지연을 줄일 수 있어, 다중 대역 기기의 인증 및 연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중 대역 통신 방법(500)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에서의 제1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에서의 AP 또는 STA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기기도 또한 도 1에 도시된 AP 또는 STA에 대응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S510: 제1 기기는 제2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제3 프레임을 수신하며, 여기서 제3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이웃 보고 요소를 전달하고, 각각의 이웃 보고 요소는 하나의 대역에 대응하며, 이웃 보고 요소는 대응하는 대역의 쌍별 암호 모음 목록을 포함한다.
쌍별 암호 모음(pairwise cipher suite)은 쌍별 암호 모음 목록(pairwise cipher suite list)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별 암호 모음은 쌍별 암호 모음 카운트(pairwise cipher suite cou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동시에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추가로 실어 전달할 수 있다.
동시에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는 것은, 제2 기기가 요청 정보를 사용하여, 제1 기기가 제3 프레임을 수신한 후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즉, 요청 정보에 기초한 하나의 핸드셰이크를 통해 적어도 두 대역에서의 핸드셰이크가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요청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요청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두 개의 요청 비트는 적어도 두 개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하고, 각각의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대역은 2.4GHz, 5GHz 및 60GHz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요청 정보는 3개의 요청 비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3개의 요청 비트는 2.4GHz, 5GHz, 60GHz와 일대일 대응될 수 있다. 3개의 요청 비트 중 하나는 2.4GHz에 대응할 수 있으며, 2.4GHz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3개의 요청 비트 중 다른 하나는 5GHz에 대응할 수 있으며, 5GHz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3개의 요청 비트 중 또 다른 하나는 60GHz에 대응할 수 있으며, 60GHz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각각의 이웃 보고 요소는 대응하는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대역은 2.4GHz, 5GHz, 및 60GHz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프레임은 3개의 이웃 보고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의 이웃 보고 요소는 2.4GHz에 대응할 수 있고 2.4GHz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다른 이웃 보고 요소는 5GHz에 대응할 수 있고 5GHz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또 다른 이웃 보고 요소는 60GHz에 대응할 수 있으며 60GHz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 비트는 이웃 보고 요소 내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정보 필드의 예비 비트에 위치할 수 있거나, 요청 비트는 이웃 보고 요소의 선택적 서브요소 필드에 위치할 수 있거나, 이웃 보고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에 위치할 수 있다.
S520: 제1 기기는 제3 프레임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다음을 더 포함한다: 제1 기기는 지시 정보를 획득하며, 여기서 지시 정보는 제1 기기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제1 기기는 S510 이전에 지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시 정보는 1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시 정보가 1이면, 지시 정보는 제1 기기가 동시에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기기는 하나의 핸드셰이크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지시 정보가 0(영)이면, 지시 정보는 제1 기기가 동시에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수 없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기기는 하나의 핸드셰이크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하나의 대역에서만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지시 정보는 공동 다중 대역 로버스트 보안 네트워크 연관 서브필드(joint multi-band robust security network association subfield)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비콘 프레임(beacon frame),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 및/또는 정보 응답 프레임(information response frame)에 실려 전달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3 프레임이 적어도 두 개의 대역 및 적어도 두 개의 이웃 보고 요소에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하는 경우, 제1 기기는 요청 정보 및 적어도 두 개의 쌍별 암호 모음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서 언급된 핸드셰이크 프로시저는 도 6에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중 대역 통신 방법(600)의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방법에서의 제1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에서의 AP 또는 STA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기기도 또한 도 1에 도시된 AP 또는 STA에 대응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6의 핸드셰이크 프로시저는 로버스트 보안 네트워크 연관(robust security network association, RSNA) 프레임워크에서의 4 방향 핸드셰이크(4-way handshake) 프로시저일 수 있음을 이해햐 한다. 또한, 핸드셰이크 프로시저는 대안으로 다른 프레임워크에서의 핸드셰이크 프로시저 또는 다른 프로시저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S610: 제1 기기는 키 메시지 1(key message 1)을 제2 기기에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키 메시지 1을 수신한 후, 제2 기기는 키 메시지 1에 기초하여 쌍별 임시 키(pairwise transient key, PTK)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610 이전에, 제1 기기와 제2 기기는 각각 쌍별 마스터 키(pairwise master key, PMK)를 획득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2 기기는 키 메시지 1 및 PMK에 기초하여 PTK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610 이전에, 제2 기기는 지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지시 정보는 제1 기기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는 공동 다중 대역 RSNA 서브필드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지시 정보가 제1 기기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수 있음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제2 기기는 키 메시지 1 및 PMK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 대응하는 PTK를 획득할 수 있다.
S620: 제1 기기는 제2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키 메시지 2(key message 2)를 수신한다.
도 6의 S620에서의 키 메시지 2는 도 5의 S510에서의 제3 프레임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키 메시지 2는 적어도 두 개의 이웃 보고 요소를 실어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키 메시지 2는 동시에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추가로 실어 전달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이웃 보고 요소는 적어도 두 개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할 수 있고, 각각의 이웃 보고 요소는 대응하는 대역의 쌍별 암호 모음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요청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설명에 대해서는 도 4의 방법을 참조하기 바란다.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1 기기는 키 메시지 2 및 PMK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 대응하는 PTK를 획득할 수 있다. S620에서 획득한 PTK는 S610에서 획득한 PTK와 동일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S620 이후에, 다중 대역 통신 방법(600)은 S630 및 S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630: 제1 기기는 키 메시지 3(key message 3)을 제2 기기에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제1 기기는 PTK를 사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 대응하는 그룹 임시 키(group temporal key, GTK)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키 메시지 3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 대응하는 GTK를 실어 전달할 수 있다.
S640: 제1 기기는 제2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키 메시지 4(key message 4)를 수신한다.
가능한 구현예에서, 제1 기기는 키 메시지 4에 기초하여, 제2 기기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 대응하는 GTK를 수신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상세한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현재 기술을 참조하기 바란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는 세부사항을 설명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다중 대역 통신 방법(700)의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방법에서의 제1 기기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100)에서의 AP 또는 STA에 대응할 수 있고, 제2 기기도 또한 도 1에 도시된 AP 또는 STA에 대응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7의 다중 대역 통신 방법(700)은 RSNA 프레임워크에서의 인증 연관 프로시저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인증 연관 프로시저는 다른 프레임워크에서의 인증 연관 프로시저 또는 다른 프레임워크에서의 다른 프로시저일 수 있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다중 대역 통신 방법(700)의 S701 및 S702에 대해서는, 도 2의 다중 대역 통신 방법(200)을 참조하기 바란다. 선택적으로, 다중 대역 통신 방법(700)의 S703 및 S704에 대해서는 여전히 도 2의 다중 대역 통신 방법(200)을 참조하기 바란다. 선택적으로, 다중 대역 통신 방법(700)은 S705 및 S7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S705 및 S706에 대해서는, 여전히 도 2의 다중 대역 통신 방법(200)을 참조하기 바란다. 다중 대역 통신 방법(700)의 S701, S702, S703, S704, S705, 및/또는 S706은 또한 현재 기술의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다중 대역 통신 방법(700)은 S70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S707에서, 제1 기기와 제2 기기는 확장 가능한 인증 프로토콜(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EAP)에 따라 802.1X 프레임워크에서 인증을 수행하여, PMK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인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현재 기술을 참조하기 바란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다중 대역 통신 방법(700)의 S708, S709, S710 및/또는 S711에 대해서는 도 6의 다중 대역 통신 방법(600)을 참조하기 바란다. 세부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다중 대역 통신 방법(700)의 S708, S709, S710, 및/또는 S711은 또한 현재 기술의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것은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8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장치(800)는 단지 예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장치는 다른 모듈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도 8의 모듈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거나, 도 8의 모든 모듈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아닐 수 있다.
수신 유닛(180)은 제2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제1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한다.
처리 유닛(820)은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를 인증하거나, 제2 기기와 연관되거나, 제2 기기와 재연관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요청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요청 비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요청 비트는 적어도 두 개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하며, 각각의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제1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요소는 하나의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한다.
선택적으로, 제1 요소는 다중 대역 요소 또는 이웃 보고 요소이다.
선택적으로, 제1 요소가 다중 대역 요소인 경우, 요청 비트는,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제어 필드의 예비 비트,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연결 능력 필드의 예비 비트, 또는 다중 대역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제1 요소가 이웃 보고 요소인 경우, 요청 비트는, 이웃 보고 요소 내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정보 필드의 예비 비트, 이웃 보고 요소 내의 선택적 서브요소 필드, 또는 이웃 보고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장치(800)는, 제2 프레임을 제2 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830)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2 프레임은 장치가 제2 기기를 인증하였다는 응답, 장치가 제2 기기와 연관되었다는 응답, 또는 장치가 제2 기기와 재연관되었다는 응답을 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 정보를 실어 전달한다.
도 9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9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장치(900)는 단지 예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장치는 다른 모듈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도 9의 모듈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거나, 도 9의 모든 모듈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아닐 수 있다.
수신 유닛(910)은 제2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제3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3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이웃 보고 요소를 실어 전달하고, 각각의 이웃 보고 요소는 하나의 대역에 대응하고, 이웃 보고 요소는 대응하는 대역의 쌍별 암호 모음 목록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920)은 제3 프레임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쌍별 암호 모음은 쌍별 암호 모음 목록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3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추가로 실어 전달한다.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요청 정보 및 적어도 두 개의 쌍별 암호 모음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요청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요청 비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요청 비트는 적어도 두 개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하며, 각각의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이웃 보고 요소는 대응하는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한다.
선택적으로, 요청 비트는, 이웃 보고 요소 내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정보 필드의 예비 비트, 이웃 보고 요소 내의 선택적 서브요소 필드, 또는 이웃 보고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수신 유닛(910)은 추가로, 지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지시 정보는 장치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제2 기기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도 10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장치(1000)는 단지 예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장치는 다른 모듈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도 10의 모듈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거나, 도 10의 모든 모듈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아닐 수 있다.
처리 유닛(1010)은 제1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한다.
전송 유닛(1020)은 제1 프레임을 제1 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요청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요청 비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요청 비트는 적어도 두 개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하며, 각각의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제1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요소는 하나의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한다.
선택적으로, 제1 요소는 다중 대역 요소 또는 이웃 보고 요소이다.
선택적으로, 제1 요소가 다중 대역 요소인 경우, 요청 비트는,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제어 필드의 예비 비트,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연결 능력 필드의 예비 비트, 또는 다중 대역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제1 요소가 이웃 보고 요소인 경우, 요청 비트는, 이웃 보고 요소 내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정보 필드의 예비 비트, 이웃 보고 요소 내의 선택적 서브요소 필드, 또는 이웃 보고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장치(1000)는, 제1 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제2 프레임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1030)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제2 프레임은 제1 기기가 장치를 인증하였다는 응답, 제1 기기가 장치와 연관되었다는 응답, 또는 제1 기기가 장치와 재연관되었다는 응답을 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 정보를 실어 전달한다.
도 1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장치(1100)는 단지 예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장치는 다른 모듈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도 11의 모듈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거나, 도 11의 모든 모듈을 반드시 포함하지는 아닐 수 있다.
처리 유닛(1110)은 제3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3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이웃 보고 요소를 실어 전달하고, 각각의 이웃 보고 요소는 하나의 대역에 대응하고, 이웃 보고 요소는 대응하는 대역의 쌍별 암호 모음 목록을 포함한다.
전송 유닛(1120)은 제3 프레임을 제1 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쌍별 암호 모음은 쌍별 암호 모음 목록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3 프레임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추가로 실어 전달한다.
선택적으로, 요청 정보는 적어도 두 개의 요청 비트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요청 비트는 적어도 두 개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하며, 각각의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에서 핸드셰이크를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각각의 이웃 보고 요소는 대응하는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한다.
선택적으로, 요청 비트는, 이웃 보고 요소 내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정보 필드의 예비 비트, 이웃 보고 요소 내의 선택적 서브요소 필드, 또는 이웃 보고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장치(1100)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한다. 수신 유닛은 지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지시 정보는 제1 기기가 적어도 두 개의 대역에서장치와 핸드셰이크를 수행할 수 있는지를 지시하는 데 사용된다.
도 1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1200)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장치(1200)는 예시일 뿐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장치(1200)는 다른 모듈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거나, 도 12의 모듈과 유사한 기능을 갖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12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10), 하나 이상의 메모리(1220), 수신기(1230), 및 송신기(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230) 및 송신기(1240)는 함께 통합되어 송수신기를 이룰 수 있다. 메모리(1220)는 프로세서(12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1210)는 메모리(1220)와 통합될 수 있거나, 프로세서(121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1220)에 연결되고, 메모리(1220)에서 명령어를 호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수신기(1230)는 도 8의 수신 유닛(8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동작 또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1210)는 도 8의 처리 유닛(8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동작 또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송신기(1240)는 도 8의 전송 유닛(8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동작 또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수신기(1230)는 도 9의 수신 유닛(9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동작 또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1210)는 도 9의 처리 유닛(9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동작 또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10)는 도 10의 처리 유닛(10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동작 또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송신기(1240)는 도 10의 전송 유닛(10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동작 또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수신기(1230)는 도 10의 수신 유닛(10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동작 또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10)는 도 11의 처리 유닛(11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동작 또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송신기(1240)는 도 11의 전송 유닛(1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동작 또는 단계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12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제1 기기 또는 제2 기기일 수 있거나, 칩 또는 칩 시스템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에 상응하여, 수신기(1230)와 송신기(1240)는 칩의 송수신기 회로일 수 있다. 이것은 여기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장치(1200)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제1 기기 또는 제2 기기에 대응하는 단계 및/또는 프로시저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메모리(1220)는 판독 전용 메모리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에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의 일부는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기기 유형에 관한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0)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10)가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때, 프로세서(1210)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제1 기기 또는 제2 기기에 대응하는 단계 및/또는 프로시저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의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기기, 개별 게이트,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구성요소 등일 수 있음을 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로 사용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다양한 형태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예를 들어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더블 데이터 속도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식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링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 및 직접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RAM, DR RAM)가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가 사용될 때, 전술한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로딩되어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시저 또는 기능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다른 저장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유선(예:, 적외선, 라디오 또는 마이크로파) 방식으로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이거나,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한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장치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등), 광학 매체(예: DVD), 반도체 매체일 수 있다. 반도체 매체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객체 간의 연관 관계만을 설명하고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하고, A와 B가 모두 존재하고, B만 존재하는 세 가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문자 "/"는 일반적으로 관련 객체 간의 "또는" 관계를 나타낸다.
전술한 프로세스의 시퀀스 번호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실행 시퀀스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프로세스의 기능 및 내부 로직을 기반으로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현 프로세스에 대한 힌장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설명된 예와 함께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가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기능이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되는지는 기술적 해결방안의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다르다. 당업자는 각각의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이 이 본 출원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동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하는 프로세서를 참조한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세부 사항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 제공된 여러 실시예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술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의 분할은 단순히 논리적 기능 분할이며 실제 구현 시에는 다른 분할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 또는 구성요소가 다른 시스템에 결합되거나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이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 또는 직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장치 또는 유닛 간의 간접 결합 또는 통신 연결은 전기적 형태, 기계적 형태 또는 기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된 부분은 물리적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고, 한 곳에 있을 수도 있고,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산될 수도 있다. 유닛의 일부 또는 전부는 실시예의 해결방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제 요건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거나, 각각의 유닛은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둘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통합될 수 있다.
기능들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어 독립된 제품으로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경우, 그 기능들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 출원의 기술적 해결방안, 또는 현재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일부 기술적 해결방안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며 컴퓨터 기기(개인용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장치 등이 될 수 있음)에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기술된 방법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여러 명령어를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로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단지 본 출원의 특정 구현예일 뿐이며, 본 출원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악된 변형 또는 대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따라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의 보호 범위에 따른다.

Claims (28)

  1. 다중 대역 통신 방법으로서,
    제1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 상기 제1 프레임은 둘 이상의 대역에서 인증(authentication), 연관(association) 또는 재연관(reassociation)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함 -; 및
    상기 제1 프레임을 제1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정보는 둘 이상의 요청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요청 비트는 상기 둘 이상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하며, 각각의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둘 이상의 제1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요소는 상기 둘 이상의 대역의 각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하며,
    각각의 제1 요소는 다중 대역 요소 또는 이웃 보고 요소인, 다중 대역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제1 요소 중 각각의 제1 요소가 다중 대역 요소인 경우, 상기 각각의 제1 요소에 실려 전달되는 각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는, 상기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제어 필드의 예비 비트, 상기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연결 능력 필드의 예비 비트, 또는 상기 다중 대역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하는, 다중 대역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제1 요소 중 각각의 제1 요소가 이웃 보고 요소인 경우, 상기 각각의 제1 요소에 실려 전달되는 각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는, 상기 이웃 보고 요소 내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정보 필드의 예비 비트, 상기 이웃 보고 요소의 선택적 서브요소 필드, 또는 상기 이웃 보고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하는, 다중 대역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은,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제2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을 수행하는 제2 기기의 인증, 상기 제2 기기와의 연관, 또는 상기 제2 기기와의 재연관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 정보를 실어 전달함 -
    를 더 포함하는 다중 대역 통신 방법.
  5. 다중 대역 통신 방법으로서,
    제2 기기로부터 제1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프레임은 둘 이상의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요청 정보를 실어 전달함 -; 및
    상기 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둘 이상의 대역에서 상기 제2 기기를 인증하거나, 상기 제2 기기와 연관되거나, 상기 제2 기기와 재연관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요청 정보는 둘 이상의 요청 비트를 포함하고, 상기 둘 이상의 요청 비트는 상기 둘 이상의 대역과 일대일 대응하며, 각각의 요청 비트는 대응하는 대역에서 인증, 연관 또는 재연관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둘 이상의 제1 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요소는 상기 둘 이상의 대역의 각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를 실어 전달하며,
    각각의 제1 요소는 다중 대역 요소 또는 이웃 보고 요소인, 다중 대역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제1 요소 중 각각의 제1 요소가 다중 대역 요소인 경우, 상기 각각의 제1 요소에 실려 전달되는 각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는, 상기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제어 필드의 예비 비트, 상기 다중 대역 요소 내의 다중 대역 연결 능력 필드의 예비 비트, 또는 상기 다중 대역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하는, 다중 대역 통신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제1 요소 중 각각의 제1 요소가 이웃 보고 요소인 경우, 상기 각각의 제1 요소에 실려 전달되는 각 대역에 대한 요청 비트는, 상기 이웃 보고 요소 내의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자 정보 필드의 예비 비트, 상기 이웃 보고 요소의 선택적 서브요소 필드, 또는 상기 이웃 보고 요소에 새로 추가된 필드 중 하나에 위치하는, 다중 대역 통신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대역 통신 방법은,
    제2 프레임을 상기 제2 기기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2 기기의 인증, 상기 제2 기기와의 연관, 또는 상기 제2 기기와의 재연관에 응답하는 데 사용되는 응답 정보를 실어 전달함 -
    를 더 포함하는 다중 대역 통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장치.
  10.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
  11.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실행될 때,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가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217027607A 2019-02-03 2020-01-19 다중 대역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642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109016.9 2019-02-03
CN201910109016.9A CN111526514B (zh) 2019-02-03 2019-02-03 多频段通信的方法和装置
PCT/CN2020/072965 WO2020156275A1 (zh) 2019-02-03 2020-01-19 多频段通信的方法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8932A KR20210118932A (ko) 2021-10-01
KR102642804B1 true KR102642804B1 (ko) 2024-02-29

Family

ID=7184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607A KR102642804B1 (ko) 2019-02-03 2020-01-19 다중 대역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68343A1 (ko)
EP (1) EP3908022B1 (ko)
JP (1) JP7208409B2 (ko)
KR (1) KR102642804B1 (ko)
CN (1) CN111526514B (ko)
WO (1) WO2020156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7033A1 (zh) * 2021-06-25 2022-12-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通信方法和通信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0017A1 (en) 2006-01-09 2007-07-12 Cisco Technology, Inc. Seamless roaming for dual-mode WiMax/WiFi stations
WO2020050773A1 (en) 2018-09-05 2020-03-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band op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07914B (zh) * 2006-12-21 2010-09-22 华为技术有限公司 进行无线资源控制连接的方法、装置及系统
US8503377B2 (en) * 2008-09-25 2013-08-06 Intel Corporation Methods for multi-b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bandwidth management
CN101860963A (zh) * 2009-04-09 2010-10-1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无线资源分配方法及设备
US8812833B2 (en) * 2009-06-24 2014-08-19 Marvell World Trade Ltd. Wireless multiband security
CN102223638B (zh) * 2010-04-19 2016-01-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传输终端支持双频段多载波能力的方法及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0017A1 (en) 2006-01-09 2007-07-12 Cisco Technology, Inc. Seamless roaming for dual-mode WiMax/WiFi stations
WO2020050773A1 (en) 2018-09-05 2020-03-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ulti-band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26514A (zh) 2020-08-11
CN111526514B (zh) 2023-07-18
JP7208409B2 (ja) 2023-01-18
JP2022519110A (ja) 2022-03-18
US20210368343A1 (en) 2021-11-25
WO2020156275A1 (zh) 2020-08-06
EP3908022A4 (en) 2022-02-16
KR20210118932A (ko) 2021-10-01
EP3908022A1 (en) 2021-11-10
EP3908022B1 (en)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89786B2 (en) Target cell access method and device
US10219281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r-equipment (UE) centric access network selection
US10798082B2 (en) Network authentication triggering method and related device
US20240040380A1 (en) Security Context Obtai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ystem
WO2021233340A1 (zh) 网络注册的方法和装置
WO2021180209A1 (zh) 传输寻呼信息的方法和通信装置
KR102642804B1 (ko) 다중 대역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0831247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220264435A1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WO2021254172A1 (zh) 一种通信方法以及相关装置
WO2021169873A1 (zh) 通信方法、通信装置及通信系统
WO2020220862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JP2023500134A (ja) 通信方法、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230354028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key for inter-device communication
US20240171970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secure transmission channel, key determining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3910976A1 (en)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and equipment
EP4044752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
WO2021056142A1 (zh) 无线通信的方法和设备
KR2021012539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비-접속 계층을 이용한 통신 보안 방법 및 장치
WO2023055342A1 (en) Enabling distributed non-access stratum terminations
WO2023113660A1 (en) Methods, network node, user equipment, computer programs and carriers for handling a connection proced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