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755B1 -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755B1
KR102642755B1 KR1020220015328A KR20220015328A KR102642755B1 KR 102642755 B1 KR102642755 B1 KR 102642755B1 KR 1020220015328 A KR1020220015328 A KR 1020220015328A KR 20220015328 A KR20220015328 A KR 20220015328A KR 102642755 B1 KR102642755 B1 KR 102642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ft
unit
scanning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5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9330A (ko
Inventor
박현종
Original Assignee
박현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종 filed Critical 박현종
Priority to KR1020220015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755B1/ko
Publication of KR2023011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9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06T2207/10008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from scanner, fax or cop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변지역, 유적지, 랜드마크 등의 지형지물 전반에 대하여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술을 활용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 및 축적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NFT로 발행하여 지형지물의 스캐닝 데이터에 대한 고유성을 확보하고 해당 데이터를 각종 온라인 환경에 활용 가능하게 지원하는데 있다.
일례로, 지형지물에 대한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하여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3차원 스캐닝 장치부; 상기 3차원 스캐닝 장치부의 3차원 데이터에 대한 생성 과정 및 생성 완료 시 얻은 자료를 파일로 생성하는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스캐닝 자료 파일에 대한 NFT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와 함께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을 온라인 상에 배포하는 스캐닝 자료 온라인 배포부를 포함하는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3DIMENSION SCAN DATA OF GEOGRAPHIC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드론과 같은 이동 로봇 분야에서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SLAM은 로봇이 미지의 환경을 돌아다니면서 로봇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만으로 외부의 도움 없이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면서 미지 환경에 대한 지도를 작성하는 기술로서 자율 주행을 위한 핵심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종래의 SLAM은 여러 개의 물리적인 랜드마크를 기준으로 이동 로봇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이러한 랜드마크의 식별을 위해서는 라이다(LiDAR), 카메라, 초음파 센서 등과 같은 센서가 필요하다.
스마트폰이나 차량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측위를 위해 상용화되거나 연구되고 있는 지도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반의 지도와 무선측위용 지도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지도는 사람이 그 측위 서비스가 제공될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지형 정보나 신호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으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지도 작성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GPS는 인공위성으로부터 송출되는 전파가 도달할 수 없는 실내 공간에서는 측위가 불가능하며, 고층빌딩에 의한 전파 차단, 반사 등으로 인해 도심에서 측위 정확도가 심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NFT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Non-Fungible Token)'이라는 뜻으로, 희소성을 갖는 디지털 자산을 대표하는 토큰을 말한다. 이러한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지만, 기존의 가상자산과 달리 디지털 자산에 별도의 고유한 인식 값을 부여하고 있어 상호교환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7827호(공개일자: 2018년08월02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변지역, 유적지, 랜드마크 등의 지형지물 전반에 대하여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술을 활용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 및 축적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NFT로 발행하여 지형지물의 스캐닝 데이터에 대한 고유성을 확보하고 해당 데이터를 각종 온라인 환경에 활용 가능하게 지원할 수 있는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은, 지형지물에 대한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하여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3차원 스캐닝 장치부; 상기 3차원 스캐닝 장치부의 3차원 데이터에 대한 생성 과정 및 생성 완료 시 얻은 자료를 파일로 생성하는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스캐닝 자료 파일에 대한 NFT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와 함께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을 온라인 상에 배포하는 스캐닝 자료 온라인 배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3차원 스캐닝 장치부는, 360도 LiDAR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지형지물에 대한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하여 LiDAR 데이터를 생성하고,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LiDAR 센서에 대한 IMU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IMU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LiDAR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의 자세(pose)를 정렬하여 3차원 단위 데이터를 생성하는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Building) 수행부; 및 상기 3차원 단위 데이터가 서로 다른 시간에 얻어진 결과물인 경우, 상기 3차원 단위 데이터 간에 적어도 넷 이상의 상호 대응 지점이 설정되면, 설정된 상호 대응 지점들을 매핑한 후 상기 3차원 단위 데이터를 결합하여 하나의 3차원 데이터로 생성하는 3차원 데이터 결합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는, 상기 3차원 스캐닝 장치부의 스캐닝 과정을 완료한 3차원 데이터를 포함한 캐드 파일을 생성하는 캐드 파일 생성부; 상기 3차원 스캐닝 장치부의 스캐닝 과정을 녹화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동영상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캐드 파일 내에서 스캐닝 된 객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캡쳐한 2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 파일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형지물은 유적지, 관광지 및 랜드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닝 자료 온라인 배포부는, 상기 지형지물의 방문 예약 시 방문 예약자 관리 서버로부터 방문자의 성명 및 연락처를 획득하는 방문자 정보 획득부; 및 상기 방문자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방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에 대하여 다수의 NFT를 발행하는 NFT 발행부; 및 상기 NFT 발행부를 통해 발행된 NFT를 해당 방문자에게 제공하는 NFT 무료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에 대한 다수의 NFT를 발행하고,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이 포함된 NFT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는, NFT에 고유 키 값,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 개수,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순번 및 스캐닝 자료 파일 별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NFT 메타정보를 생성하는 NFT 메타정보 발행부;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을 하나의 패키지 파일로 변환하여 NFT 메인정보를 생성하는 NFT 메인정보 생성부; 상기 NFT 메타정보와 상기 NFT 메인정보를 매칭 및 저장하는 NFT 정보 매칭 저장부; 상기 NFT 정보 매칭 저장부를 통해 생성된 NFT 정보에 대하여 경매 방식 및 고정 시장가 거래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 및 상기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를 통해 NFT 정보를 소유한 NFT 소유자와 제3자 간의 개인 간 거래 방식 및 개인 간 유/무상 양도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적지, 랜드마크 등의 지형지물 전반에 대하여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기술을 활용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생성 및 축적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NFT로 발행하여 지형지물의 스캐닝 데이터에 대한 고유성을 확보하고 해당 데이터를 각종 온라인 환경에 활용 가능하게 지원할 수 있는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LAM 수행부를 통한 LiDAR 데이터와, IMU 데이터를 기반으로 LiDAR 데이터들의 정렬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차원 단위 데이터를 하나의 3차원 데이터로 결합하는 3차원 데이터 결합 생성부의 기능에 대한 실행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데이터 결합 생성부의 기본 기능에 대한 실행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드 파일의 실행 화면을 캡쳐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파일의 실행 화면을 캡쳐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이미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자료 온라인 배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LAM 수행부를 통한 LiDAR 데이터와, IMU 데이터를 기반으로 LiDAR 데이터들의 정렬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차원 단위 데이터를 하나의 3차원 데이터로 결합하는 3차원 데이터 결합 생성부의 기능에 대한 실행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데이터 결합 생성부의 기본 기능에 대한 실행 화면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드 파일의 실행 화면을 캡쳐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파일의 실행 화면을 캡쳐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파일의 이미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이미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캐닝 자료 온라인 배포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1000)은 3차원 스캐닝 장치부(100),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200), 스캐닝 자료 온라인 배포부(300) 및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40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스캐닝 장치부(100)는 지형지물에 대한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하여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지형지물은 유적지, 관광지(동굴, 숲, 공원 등) 및 랜드마크 뿐만 아니라, 특정한 지형, 장소, 선박 등 다양한 대상물이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3차원 스캐닝 장치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Building) 수행부(110) 및 3차원 데이터 결합 생성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LAM 수행부(110)는, 360도 LiDAR 센서를 이용하여 지형지물에 대한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하여 다수의 LiDAR 데이터를 생성하고,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를 이용하여 LiDAR 센서에 대한 IMU 데이터를 생성하고, IMU 데이터를 기반으로 LiDAR 데이터의 자세(pose)를 각각 정렬하여 3차원 단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SLAM은 로봇이 미지의 환경을 돌아다니면서 로봇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만으로 외부의 도움 없이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면서 미지 환경에 대한 지도를 작성하는 기술로서 자율 주행을 위한 핵심기술로, 본 실시예의 SLAM 수행부(110)는 LiDAR 스캔 장치가 특정한 지형지물의 실내/외를 자율 주행하며 해당 지형지물을 스캔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핸드 스캐너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람이 직접 지형지물의 실내/외를 걸어 다니며 스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SLAM 수행부(110)에 별도의 모니터 또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스캔되는 화면을 직접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LiDAR 센서는, 기존과 달리 선 형태의 레이저를 주사하여 수신하는 방식이 아니라, 360도 회전하면서 주변 물체에 수백 만개의 점으로 플래싱하여 주사하고 수신하는 방식으로 지형지물의 실내/외의 구조나 형태를 더욱 디테일하게 스캔할 수 있다. IMU 센서는, 이동하는 LiDAR 센서의 속도와 방향, 중력, 가속도 등을 측정하고, 측정을 통해 얻은 IMU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SLAM 수행부(110)는, LiDAR 센서를 통해 출력되는 다수의 LiDAR 데이터에 대하여, IMU 센서를 통해 출력되는 IMU 센서를 기반으로 LiDAR 데이터에 포함된 스캔된 객체에 대한 자세(pose)를 정렬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된 3차원 단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데이터 결합 생성부(120)는, 3차원 단위 데이터가 서로 다른 시간에 얻어진 결과물인 경우, 해당 3차원 단위 데이터 간에 적어도 넷 이상의 상호 대응 지점이 설정되면, 설정된 상호 대응 지점들을 매핑한 후 3차원 단위 데이터를 결합하여 하나의 3차원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시간에 얻어진 결과물인 두 개의 3차원 단위 데이터로 결합되어 하나의 데이터로 생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핑할 두 개의 3차원 단위 데이터에 넷 이상의 상호 대응 지점을 설정하면, 설정된 상호 대응 지점들을 매핑 및 정렬하여 하나의 3차원 데이터로 생성한 후 등록(저장)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3차원 데이터(서로 다른 시간에 얻어진 결과물을 하나의 데이터로 결합한 결과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3차원 데이터 결합 생성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캔 결과물들에 대한 로딩 후 비교가 가능하며, 서로 다른 두 스캔 결과물에서의 객체들에 대하여 두 지점 간 거리 측정 또한 가능하다.
상기 SLAM 수행부(110)는 GPS가 필요 없으며 스캐닝 작업 동안 작동을 멈출 필요가 없다. 환경의 지형적 형태는 좋은 결과물을 얻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GPS의 경우 위성 통신을 방해하는 구조물이 없어야만 좋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위성 통신을 방해하는 구조물이 존재하는 경우 좋은 데이터를 얻을 수 없다. 이와 반대로, 본 실시예의 SLAM 수행부(110)는 스캔하고자 하는 장소의 주변에 지형적 구조물이 있어도 좋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3차원 스캐닝 장치부(100)는 기존의 3차원 스캐닝 장비와 비교하여 스캐닝 시간을 비약적으로 단축(기존 3일의 작업 시간을 3시간으로 단축 가능)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스캐닝 지역에 대한 실시간 3차원 작업화가 가능하다.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200)는, 3차원 스캐닝 장치부(100)의 3차원 데이터에 대한 생성 과정 및 생성 완료 시 얻은 자료를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드 파일 생성부(210), 동영상 파일 생성부(220) 및 이미지 파일 생성부(2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드 파일 생성부(210)는, 3차원 스캐닝 장치부(100)의 스캐닝 과정을 완료한 3차원 데이터에 대한 변환 과정을 통해 해당 3차원 데이터가 포함되 캐드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캐드 파일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형지물 객체(선박)에 대한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지형지물에 대한 다양한 구조적 정보를 시각적 그리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동영상 파일 생성부(220)는, 3차원 스캐닝 장치부(100)의 스캐닝 과정을 녹화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2분45초 분량의 3차원 스캐닝 과정을 녹화한 동영상 파일로서 지형지물(선박)의 스캐닝 과정에서 획득된 스캐닝 데이터들이 생성 및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해당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미지 파일 생성부(230)는, 캐드 파일 내에서 스캐닝 된 객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캡쳐한 2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폭포'의 내부에 대한 스캐닝 캡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스캐닝 자료 파일에 대한 활용 측면에서 부연 설명하면, 스캐닝 자료 파일의 생성하기 이전에 스캐닝 작업에 있어 가령, 선박 대상물의 경우 해당 선박의 개조 공사 전과 후로 나누어 두 종류의 스캐닝 자료 파일을 생성할 수 있고, 작업장 대상물의 경우 해당 작업장의 리모델링 전과 후로 나누어 두 종류의 스캐닝 자료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스캐닝 자료 파일을 활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선박의 개조 공사이나 작업장의 리모델링 전후의 내용을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으며, 해당 실질적인 스캐닝 자료 파일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스캐닝 자료 온라인 배포부(300)는,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200)를 통해 생성된 스캐닝 자료 파일에 대한 NFT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와 함께 스캐닝 자료 파일을 온라인 상에서 무료로 배포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캐닝 자료 온라인 배포부(3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자 정보 획득부(310), NFT 발행부(320) 및 NFT 무료 제공부(3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문자 정보 획득부(310)는, 지형지물(유적지, 관광지, 랜드마크 등)의 방문 예약 시 방문 예약자 관리 서버로부터 방문자의 성명 및 연락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해당 지형지물에 방문한 자를 대상으로 후술하는 NFT를 발급하여 무료로 지급하기 위해 해당 방문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성요소에 해당된다.
상기 NFT 발행부(320)는, 방문자 정보 획득부(310)를 통해 획득한 방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스캐닝 자료 파일에 대하여 다수의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상기 NFT 무료 제공부(330)는, NFT 발행부(320)를 통해 발행된 NFT를 해당 방문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문자는 해당 지형지물에 대한 방문 후 해당 지형지물에 대한 3차원 스캔 자료 즉, 캐드 파일,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 등을 받고 NFT를 통해 독자적인 자료로 소장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주 미로 공원'이라는 지형지물에 방문한 방문자를 대상으로 지급된 NFT 이미지이며 해당 NFT 이미지를 해당 방문자의 정보를 기초로 전송하면 해당 NFT와 함께 저장된 스캐닝 자료(캐드 파일, 동영상 파일, 이미지 파일)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400)는, 스캐닝 자료 파일에 대한 다수의 NFT를 발행하고, 스캐닝 자료 파일이 포함된 NFT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4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T 메타정보 발행부(410), NFT 메인정보 생성부(420), NFT 정보 매칭 저장부(430),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440) 및 제2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4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FT 메타정보 발행부(410)는, NFT에 고유 키 값,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 개수,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순번 및 스캐닝 자료 파일 별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NFT 메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제주 미로 공원'에 대한 NFT를 100개 가량을 발행하게 되면, 100개의 NFT에 대하여 각기 다른 고유 키 값이 생성되고, 100개라는 생성 개수에 대한 정보가 생성되고, 고유 키 값 별로 1번부터 100번 내에서 발행 순번을 갖게 되며, 해당 지형지물 즉 '제주 미로 공원'에 대하여 다른 지형지물과 구분되는 식별정보가 생성되어, 이러한 정보들이 NFT 메타정보를 이룰 수 있다.
상기 NFT 메인정보 생성부(420)는, 스캐닝 자료 파일을 하나의 패키지 파일로 변환하여 NFT 메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캐드 파일, 동영상 파일 및 이미지 파일을 압축파일 형태로 하나의 패키지 파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NFT의 메인정보로 설정하여 NFT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NFT 정보 매칭 저장부(430)는, NFT 메타정보와 NFT 메인정보를 매칭 및 저장함으로써 생성 개수만큼의 NFT 정보가 개별 생성 및 저장되며, 해당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거래될 수 있다.
상기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440)는, NFT 정보 매칭 저장부(430)를 통해 생성된 NFT 정보에 대하여 경매 방식 및 고정 시장가 거래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지형지물 A의 스캐닝 자료 파일의 NFT를 경매 방식으로 거래하기 위하여 옥션 마켓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페이지를 통해 지형지물 별 경매마감시간, 최고가, 시작 가격, 수익률, NFT 발행 총 수량 등의 정보가 제공되며, 특정 지형지물에 대한 경매 정보를 선택하면 해당 지형지물에 대한 기본정보, 경매종료까지 남은 시간, 입찰 수량, 시작 가격, 입찰 가격, 예상 결과 등 입찰정보와 입찰 주문 절차(최초 매매 시 높은 가격부터 낙찰되는 경매 방식)까지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450)는,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440)를 통해 NFT 정보를 소유한 NFT 소유자와 제3자 간의 개인 간 거래 방식 및 개인 간 유/무상 양도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개인 간 NFT 거래 방식은 자신이 거래하고 있는 NFT 거래소를 통해 NFT 소유자가 자신이 소유한 NFT의 판매 가격을 결정하여 직접 판매할 수 있다. 그리고, NFT 유/무상 양도 방식은 전자 지갑을 소유하고 있는 제3자에게 유상 또는 무상의 조건으로 직접 양도할 수 있다. 이때, NFT를 구매 또는 양도 받은 자는 본 시스템(1000)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자신이 새롭게 보유하게 된 NFT에 대한 정보 및 해당 NFT에 연결된 NFT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400)는, NFT 정보를 유료 방문자에 한해 기념품 형태로 무료 배포하는 스캐닝 자료 온라인 배포부(300)와는 달리, 특정 지형지물의 독자적 자료에 대한 희소 가치 및 소장 가치가 상승했을 때 이에 대한 거래가 가능하도록 중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0: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
100: 3차원 스캐닝 장치부
110: SLAM 수행부
120: 3차원 데이터 결합 생성부
200: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
210: 캐드 파일 생성부
220: 동영상 파일 생성부
230: 이미지 파일 생성부
300: 스캐닝 자료 온라인 배포부
310: 방문자 정보 획득부
320: NFT 발행부
330: NFT 무료 제공부
400: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
410: NFT 메타정보 발행부
420: NFT 메인정보 생성부
430: NFT 정보 매칭 저장부
440: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
450: 제2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

Claims (4)

  1. 지형지물에 대한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하여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는 3차원 스캐닝 장치부;
    상기 3차원 스캐닝 장치부의 3차원 데이터에 대한 생성 과정 및 생성 완료 시 얻은 자료를 파일로 생성하는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스캐닝 자료 파일에 대한 NFT를 발행하고, 발행된 NFT와 함께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을 온라인 상에 배포하는 스캐닝 자료 온라인 배포부; 및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에 대한 다수의 NFT를 발행하고,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이 포함된 NFT에 대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NFT 거래 서비스 제공부는,
    NFT에 고유 키 값,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 개수,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순번 및 스캐닝 자료 파일 별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NFT 메타정보를 생성하는 NFT 메타정보 발행부;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을 하나의 패키지 파일로 변환하여 NFT 메인정보를 생성하는 NFT 메인정보 생성부;
    상기 NFT 메타정보와 상기 NFT 메인정보를 매칭 및 저장하는 NFT 정보 매칭 저장부;
    상기 NFT 정보 매칭 저장부를 통해 생성된 NFT 정보에 대하여 경매 방식 및 고정 시장가 거래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 및
    상기 제1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를 통해 NFT 정보를 소유한 NFT 소유자와 제3자 간의 개인 간 거래 방식 및 개인 간 유/무상 양도 방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2 NFT 거래 서비스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스캐닝 장치부는,
    360도 LiDAR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지형지물에 대한 3차원 스캐닝을 수행하여 LiDAR 데이터를 생성하고,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LiDAR 센서에 대한 IMU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IMU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LiDAR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의 자세(pose)를 정렬하여 3차원 단위 데이터를 생성하는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Building) 수행부; 및
    상기 3차원 단위 데이터가 서로 다른 시간에 얻어진 결과물인 경우, 상기 3차원 단위 데이터 간에 적어도 넷 이상의 상호 대응 지점이 설정되면, 설정된 상호 대응 지점들을 매핑한 후 상기 3차원 단위 데이터를 결합하여 하나의 3차원 데이터로 생성하는 3차원 데이터 결합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 생성부는,
    상기 3차원 스캐닝 장치부의 스캐닝 과정을 완료한 3차원 데이터를 포함한 캐드 파일을 생성하는 캐드 파일 생성부;
    상기 3차원 스캐닝 장치부의 스캐닝 과정을 녹화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는 동영상 파일 생성부; 및
    상기 캐드 파일 내에서 스캐닝 된 객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캡쳐한 2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 파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형지물은 유적지, 관광지 및 랜드마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닝 자료 온라인 배포부는,
    상기 지형지물의 방문 예약 시 방문 예약자 관리 서버로부터 방문자의 성명 및 연락처를 획득하는 방문자 정보 획득부; 및
    상기 방문자 정보 획득부를 통해 획득한 방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캐닝 자료 파일에 대하여 다수의 NFT를 발행하는 NFT 발행부; 및
    상기 NFT 발행부를 통해 발행된 NFT를 해당 방문자에게 제공하는 NFT 무료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
KR1020220015328A 2022-02-07 2022-02-07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 KR102642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328A KR102642755B1 (ko) 2022-02-07 2022-02-07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328A KR102642755B1 (ko) 2022-02-07 2022-02-07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330A KR20230119330A (ko) 2023-08-16
KR102642755B1 true KR102642755B1 (ko) 2024-03-04

Family

ID=87848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5328A KR102642755B1 (ko) 2022-02-07 2022-02-07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7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22B1 (ko) * 2007-06-04 2008-08-11 (주)비엔티솔루션 문화재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056136A1 (en) 2014-04-23 2017-03-02 Dentsply Sirona Inc. Method for performing an optical three-dimensional recording
US20190285409A1 (en) 2015-10-06 2019-09-19 Bridger Photonics, Inc. High-sensitivity gas-mapping 3d imager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275682B1 (ko) * 2020-05-08 2021-07-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 실시간 스캔을 위한 이동형 스캔 백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827A (ko) 2017-01-25 2018-08-0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무선 환경 변화에 강인한 slam 방법 및 장치
CA3086553A1 (en) * 2018-01-26 2019-08-01 Align Technology, Inc. Diagnostic intraoral scanning and tracking
EP3689218B1 (en) * 2019-01-30 2023-10-18 DENTSPLY SIRONA Inc. Method and system for guiding an intra-oral scan
KR20200037201A (ko) * 2020-04-02 2020-04-08 구본광 참가자의 활동에 의해 블록체인 화폐가 생성되는 미래예측 플랫폼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20220001396A (ko) * 2020-06-29 2022-01-05 김경식 3D LiDar를 이용한3D SLAM 포인트 클라우드와 데이터와 하이브리드 위치 정보를 결합한 머신 러닝 기반의 실내 지도 자동 생성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422B1 (ko) * 2007-06-04 2008-08-11 (주)비엔티솔루션 문화재 종합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056136A1 (en) 2014-04-23 2017-03-02 Dentsply Sirona Inc. Method for performing an optical three-dimensional recording
US20190285409A1 (en) 2015-10-06 2019-09-19 Bridger Photonics, Inc. High-sensitivity gas-mapping 3d imager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275682B1 (ko) * 2020-05-08 2021-07-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설물 실시간 스캔을 위한 이동형 스캔 백팩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메타히어로, 3D 스캐닝으로 NFT 아바타 만든다, 파이낸셜뉴스 원문, 기사전송 2021-06-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330A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0032B2 (en) Headset apparatus for display of location and direction based content
US10268782B1 (en) System for conducting a service call with orienteering
US8558848B2 (en) Wireless internet-accessible drive-by street view system and method
CN207117844U (zh) 多vr/ar设备协同系统
US9098870B2 (en) Internet-accessible real estate marketing street view system and method
US103542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identification and pricing for waste removal and transport services
US9583074B2 (en) Optimization of label placements in street level images
US10445772B1 (en) Label placement based on objects in photographic images
US10762251B2 (en) System for conducting a service call with orienteering
CN105973236A (zh) 室内定位或导航方法、装置以及地图数据库生成方法
CN103703758A (zh) 移动增强现实系统
US110543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gmented virtual models and orienteering
CN113196331A (zh) 利用卫星影像的应用服务提供装置及方法
US201903473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automated wireless orienteering
US20180075327A1 (en) Automated location based comparative market analysis
Hein et al. An integrated rapid mapping system for disaster management
US202102717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connected infrastructure
KR102642755B1 (ko) 지형지물의 3차원 스캔 자료 제공 시스템
JP2002181536A (ja) 写真測量サービスシステム
Saif et al. A close-range photogrammetric model for tracking and performance-based forecasting earthmoving operations
US20210125147A1 (en) Improved insurance system
JP7414918B1 (ja) 画像収集システム、画像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333445A (ja) グランドトゥルース支援装置およびグランドトゥルース支援プログラム
JP2006344226A (ja) 視野一致型情報呈示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携帯情報端末
Kerns et al. Taking GIS/remote sensing into the f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