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929B1 - 의류기기용 모터 - Google Patents

의류기기용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929B1
KR102641929B1 KR1020220027456A KR20220027456A KR102641929B1 KR 102641929 B1 KR102641929 B1 KR 102641929B1 KR 1020220027456 A KR1020220027456 A KR 1020220027456A KR 20220027456 A KR20220027456 A KR 20220027456A KR 102641929 B1 KR102641929 B1 KR 102641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motor
blade
coil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0373A (ko
Inventor
김선호
김경환
오승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929B1/ko
Priority to EP23152637.7A priority patent/EP4239862A1/en
Priority to CN202310079767.7A priority patent/CN116707222A/zh
Priority to US18/103,817 priority patent/US20230283129A1/en
Publication of KR20230130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0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86Outer r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3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with channels or ducts for flow of cooling medi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7Sta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86Outer rotors
    • H02K1/2787Out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89Out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86Outer rotors
    • H02K1/2787Out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89Out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91Surface mounted magnets; Inse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 H02K1/30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rotating magnetic parts on to, or to, the rotor structures using intermediate parts, e.g. spi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14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within the arma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1/00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 H02K21/1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 H02K21/22Synchronous mo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Synchronous generators having permanent magnets with stationary armatures and rotating magnets with magnets rotating around the armatures, e.g. flywheel magneto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73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 H02K5/1735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e.g. ball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only one end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03Machines characterised by aspects of the air-gap between rotor and st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기기용 모터에 관한 것으로, 스테이터, 및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회전하는 로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로터를 포함하고, 로터 프레임은 코일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원형의 베이스프레임, 마그넷을 고정하는 연장프레임,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구, 및 베이스프레임에서 설정높이 돌출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블레이드는 코일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터 프레임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코일의 와인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모터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기기용 모터{MOTOR FOR LAUNDRY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기기용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의 와인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코일과의 구조적인 간섭이 없도록 흡기구 및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기기용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기재된 것일 뿐이고, 기술되는 내용이 당연하게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의류기기는 의류, 구체적으로는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세탁 후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등의 의류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세탁기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수조, 수조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조, 회전조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펄세이터(pulsator), 및 회전조와 펄세이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등을 포함한다.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부로 투입되면, 회전조의 내부에 보관된 세탁물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펄세이터 및 회전조의 회전에 의해 세탁수와 교반된다. 그 결과 세탁물의 오염물질은 제거된다.
세탁기의 모터는 펄세이터와 축 연결되며, 펄세이터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펄세이터를 회전시킨다. 또한, 세탁기의 모터는 클러치 동작에 의해 회전조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며 회전조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세탁기는 펄세이터의 회전 동작과, 회전조의 회전 동작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세탁 모드 및 탈수 모드의 동작을 구현해낼 수 있다.
그리고 세탁기 등의 의류기기에는 외전형 모터(Outer Rotor Type Motor)가 사용될 수 있다.
외전형 모터는 아우터 로터(Outer Rotor)를 갖는 모터를 말한다. 다시 말해, 외전형 모터는 로터가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회전하는 타입의 모터로서, 로터의 관성이 크게 이루어져 정속 회전에 유리하고, 고속 운전에도 적합한 장점이 있다.
또한, 외전형 모터는 로터의 마그넷을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큰 토크의 발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세탁기를 구동하는 축, 즉 세탁 축은 로터에 연결되며, 세탁 축은 로터의 회전력을 직접 전달 받아 회전한다.
최근에는 가전제품의 대용량화 추세에 따라 세탁기 등과 같은 의류기기에 사용되는 모터의 고효율화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모터에 구성되는 로터 프레임은 모터 자체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더하여 모터의 발열을 냉각시켜 방열하는 기능, 즉 방열 기능을 가져야 한다.
모터의 방열 기능 확보를 위하여, 코일의 하부와 마주하는 로터 프레임에 흡기구 및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블레이드의 형성 시 코일의 부피 확보를 위해 코일 와인딩 공간이 추가적으로 더 요구된다. 이 때문에 모터의 사이즈, 예를 들어 모터의 높이 사이즈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모터의 방열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블레이드의 돌출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모터의 높이 제약으로 인해 블레이드의 높이를 만족할 수준으로 증가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만일, 로터 프레임의 하부 내측에서 코일의 하부를 향해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블레이드를 삭제할 경우, 코일의 부피를 필요한 수준으로 확보할 수 있다. 다만, 블레이드의 삭제 시 흡기구로 유입된 기류의 회전이 유도되지 않아 모터의 방열특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5253호(이하, 선행문헌 1)에는 모터 및 그 모터가 설치된 세탁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모터는 로터 컵(즉, 프레임)의 하측면에 쿨링 홀이 형성되고, 하부 블레이드가 백워드 타입으로 형성되어 로터 컵(즉, 프레임)의 중심에서 반경 외측방향으로 냉기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로터 컵(즉, 프레임)의 측면에 벤트가 형성되어, 쿨링 홀과 벤트를 통해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스테이터의 하부 측 방열성능이 향상되는 방열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모터는 프레임(즉, 로터 컵) 중 코일의 하부와 대면하는 부위에 다수의 블레이드가 위치한다. 이에 따라, 모터의 성능 향상을 위해 필요한 코일의 부피를 확보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코일 와인딩 공간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모터의 전체적인 높이가 증가하게 되며, 이는 모터의 컴팩트 고효율화를 만족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모터의 방열구조에 적용된 블레이드 구조물은 백워드 타입 구조로서, 프레임의 내측으로 백워드 타입으로 블레이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금형이 복잡해지며 제작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백워드 타입 블레이드 구조물은 일정한 면적의 프레임에 적용할 수 있는 개수의 증가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모터의 치가 많을 경우 코일이 여러 군데에 감길 수 있는데, 이 경우 코일 간의 냉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1에 개시된 모터의 방열 구조는 냉각을 위한 공기의 흐름을 코일 쪽으로 유도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미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하나의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1275호(이하, 선행문헌 2)에는 드럼 세탁기용 모터의 로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2에 개시된 모터의 로터 구조는 로터의 저면부에 방사상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장공에는 블레이드가 구비된다.
그런데 선행문헌 2의 로터의 경우, 블레이드가 코일의 하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블레이드의 높이로 인해 코일의 부피 확보를 위하여 코일의 와인딩 공간이 더 확보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모터의 전체적인 높이가 증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모터 사이즈의 컴팩트 고효율화를 만족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2의 로터는 코일의 와인딩 공간 확보로 인하여 블레이드의 높이에 제약이 있으므로, 모터의 방열 성능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하나의 선행문헌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9525호(이하, 선행문헌 3)에는 세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3에 개시된 로터는 다수의 방열공과 다수의 방열공으로 공기를 안내하는 블레이드가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선행문헌 3의 로터의 경우 방열공과 블레이드가 로터의 베이스부(즉, 프레임 하부)에 형성되는데, 코일의 와인딩 공간에 마주하여 위치한다.
이 때문에, 블레이드의 높이에 제약이 따르며, 만일 블레이드를 필요한 높이로 돌출시킬 경우 코일의 와인딩 공간 확보에 필요한 만큼 모터의 높이를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3에 개시된 로터의 경우, 블레이드의 회전 시 흡기된 공기의 흐름을 코일 쪽으로 유도하는 구조가 아니므로, 코일의 냉각을 통해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미흡한 단점이 있다.
또한, 선행문헌 3은 방열공이 로터 베이스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에 따라 로터의 강성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아우터로터를 갖는 외전형 모터에서, 로터 프레임의 하부에 흡기구와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모터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코일의 와인딩 공간을 확보하여 코일 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적 개선이 요청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525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127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952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아우터로터를 갖는 외전형 모터에서, 코일의 와인딩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로터 프레임의 하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블레이드를 형성하여, 코일의 부피 증가를 통해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모터의 방열 성능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기기용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우터로터를 갖는 외전형 모터에서, 로터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블레이드가 흡기구의 일측에 편향되게 정렬되어 블레이드의 회전 시 생성된 와류에 의해 흡기된 공기가 코일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는 의류기기용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우터로터를 갖는 외전형 모터에서, 블레이드의 상단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블레이드의 회전 시 공기의 유동을 코일 쪽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의류기기용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우터로터를 갖는 외전형 모터에서, 흡기구 중 로터 프레임의 중심에 근접한 홀의 일단부보다 코일에 근접한 홀의 타단부의 폭을 증가시켜 흡기량을 증가시키고, 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의류기기용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아우터로터를 갖는 외전형 모터에서, 코일의 와인딩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로터 프레임의 하부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블레이드를 형성하는 의류기기용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의 부피 증가를 통해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로터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블레이드가 흡기구의 일측에 편향되게 정렬되어 블레이드의 회전 시 생성된 와류에 의해 흡기된 공기가 코일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는 의류기기용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의 냉각이 쉬워져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블레이드의 상단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블레이드의 회전 시 공기의 유동을 코일 쪽으로 가이드 할 수 있는 의류기기용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의 냉각이 쉬워져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흡기구 중 코일에 근접한 홀의 일단부보다 코일에 근접한 홀의 타단부의 폭을 증가시켜 공기의 흡기량을 증가시키고, 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킨 의류기기용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의 방열 성능은 향상시키면서 로터 프레임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를 포함한다.
스테이터는 환형의 코어와, 코어에 와인딩되는 코일을 포함한다.
로터는 스테이터의 외부에 공극을 두고 배치되는 마그넷과, 마그넷을 고정하며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회전하는 로터 프레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로터 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 연장프레임, 흡기구, 및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은 코일과 간격을 두고 대면 배치되는 원형의 프레임을 말한다.
연장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의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원형 관 형상의 프레임을 말한다. 연장프레임의 내주 면에는 복수의 마그넷이 고정된다. 복수의 마그넷은 연장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둘러 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흡기구는 베이스프레임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모터 외부의 공기를 모터 내부로 흡기할 수 있다.
블레이드는 흡기구에 근접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을 말한다. 블레이드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설정높이 돌출되도록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교차하는 방향으로 세워지게 설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로터 프레임이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회전하는 로터, 즉 아우터로터를 갖는 외전형 모터의 경우, 베이스프레임에서 블레이드가 위로 돌출되는 블레이드의 돌출 높이만큼 코일의 와인딩 공간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의 와인딩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즉 베이스프레임 중에서 코일과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블레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의 와인딩 공간, 즉 모터 내부에서 코일이 감겨지는 높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코일의 부피 증가를 통해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블레이드의 높이를 충분히 증가시켜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의 높이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코일의 부피를 증가시면서 블레이드의 높이를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다.
흡기구는,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또한,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복수의 홀은,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홀은,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로터 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비드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비드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비드는 로터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하는 요철 형상의 구조를 말한다. 로터 프레임, 더 구체적으로는 로터 프레임을 구성하는 원형의 베이스프레임은 고속 회전에 의해 원심력으로 인한 뒤틀림 또는 타원형상으로 찌그러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복수의 비드는 이러한 구조적인 변형을 방지하도록 베이스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한다.
복수의 비드는 베이스프레임의 두께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는데,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비드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코일이 와인딩 되는 공간, 즉 코일과 대면 배치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드의 돌출 높이만큼 코일의 와인딩 공간이 감소하여 코일의 부피가 줄어드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모터 내부에서 코일이 감겨지는 높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코일의 부피 증가를 통해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복수의 비드는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비드는,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은,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홀 각각은, 복수의 비드 각각의 양측에 소정 거리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로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비드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복수의 비드의 일단부는 흡기구보다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에 더 근접하도록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비드의 타단부는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보다 짧게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에서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흡기구는,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은,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는, 복수의 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결되며, 설정높이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의 길이는 복수의 홀 각각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흡기구는,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는, 상기 복수의 홀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으로 편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의 편향 위치는 로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 프레임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블레이드는 홀의 길이방향 양측 중 좌측으로 편향하여 정렬될 수 있다. 반대로, 로터 프레임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블레이드는 홀의 길이방향 양측 중 우측으로 편향하여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가 흡기구, 더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홀 각각에 대해 일 방향으로 편향하여 배치될 경우 홀을 통해 모터 내부로 흡기된 공기가 블레이드에 의해 흩트려지게 되어 와류가 생성됨으로써 홀에서 코일 쪽으로 흡기된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어 모터의 냉각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흡기구는,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는,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에 근접한 블레이드의 일단부 높이보다 상기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에 근접한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 높이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레이드의 돌출 높이가 코일에 근접할수록 크게 증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의 내부로 흡기된 공기가 블레이드를 따라 코일 쪽으로 유동될 수 있어 코일 또는 코어의 냉각이 쉬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로터 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비드를 더 포함한다. 이때, 블레이드의 일단부 높이는 복수의 비드 각각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블레이드의 타단부 높이는 상기 복수의 비드 각각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의 타단부 높이는 복수의 비드 각각의 높이보다 큰 높이로 경사지게 위로 돌출됨으로써 흡기된 공기의 유동 방향이 코일 쪽으로 보다 쉽게 가이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블레이드의 상단에는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은, 블레이드의 일단부에서 블레이드의 타단부로 갈수록 블레이드의 높이가 경사지게 증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은, 복수의 홀을 통과하여 흡기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코일 쪽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흡기구는,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은,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홀 각각은,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에 근접한 홀의 일단부보다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에 근접한 홀의 타단부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홀 각각은, 홀의 일단부에서 홀의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는, 흡기구에 포함되는 복수의 홀 각각의 형상이 홀의 일단부에서 홀의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채꼴 형상을 가짐에 따라, 공기의 흡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홀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홀의 일단부 및 타단부 폭이 동일한 직사각형 홀에 비해 베이스프레임의 강도 및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흡기구는,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은,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홀 각각은, 베이스프레임에서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홀은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홀은 베이스프레임의 반경에 대응하여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까지 연장하여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긴 길이의 홀이 형성될 경우, 홀을 통해 모터 내부로 흡기된 공기가 베이스프레임의 바닥 면을 타고 원주 바깥 방향으로 흐르는 현상이 나타나며, 코일을 향하는 공기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홀 각각은, 베이스프레임에서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도록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보다 짧으며 블레이드의 길이에 대응하여 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코일의 냉각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는, 스테이터, 로터, 및 구동 축을 포함한다.
스테이터는 환형의 코어와, 코어에 와인딩되는 코일을 포함한다. 로터는 스테이터의 외부에 공극을 두고 배치되는 마그넷과, 마그넷을 고정하며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회전하는 로터 프레임을 포함한다. 구동 축은 로터 프레임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로터 프레임은 축 연결부, 베이스프레임, 연장프레임, 흡기구, 및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축 연결부는 구동 축을 연결한다.
베이스프레임은 코일과 간격을 두고 대면 배치되며, 축 연결부가 중심에 위치하는 원형의 프레임일 수 있다.
연장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의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며 내주 면에 마그넷을 고정하는 원형 관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흡기구는 베이스프레임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모터 외부의 공기를 모터 내부로 흡기할 수 있다.
블레이드는 흡기구에 근접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을 말한다. 블레이드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설정높이 돌출되도록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교차하는 방향으로 세워지게 설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의 와인딩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즉 베이스프레임 중에서 코일과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블레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 내부에서 코일이 감겨지는 높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코일의 부피 증가를 통해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블레이드의 높이를 충분히 증가시켜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흡기구는,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은,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로터 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비드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비드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비드는,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축 연결부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중앙단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축 연결부는 베이스프레임의 중앙단차부에 구비되는 로터부싱을 더 포함한다. 로터부싱은 수지 재질의 허브와, 허브의 회전 중심에 위치하도록 인서트 사출되는 금속 재질을 갖는 세레이션부싱을 포함한다. 로터부싱은 베이스프레임의 중앙단차부에 복수의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다.
복수의 비드 각각의 일단부는 흡기구보다 축 연결부를 향해 더 근접하도록 중앙단차부의 경사둘레면까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비드 각각의 타단부는 베이스프레임에서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흡기구는,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은,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는, 복수의 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결되며 설정높이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흡기구는,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은,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는, 상기 복수의 홀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되며, 블레이드의 편향 위치는 로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흡기구는,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은,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의 상단에는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면은, 블레이드의 일단부에서 블레이드의 타단부로 갈수록 블레이드의 높이가 경사지게 증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은, 복수의 홀을 통과하여 흡기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코일 쪽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아우터로터를 갖는 외전형 모터에서, 코일의 와인딩 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로터 프레임 하부에 복수의 흡기구, 및 블레이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코일에 가까운 쪽에는 블레이드를 형성하지 않아 블레이드의 높이로 인한 코일의 부피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코일의 부피를 필요한 크기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흡기구 및 블레이드를 이용한 기류의 흐름을 발생시켜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로터의 회전방향을 고려하여 블레이드를 흡기구의 길이방향 일측에 정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의 정렬 구조에 의해 로터 프레임의 회전 시 흡기된 공기가 블레이드에 의해 흩트려지게 되어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된 공기의 흐름이 코일 쪽으로 상승하여 코일을 보다 집중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블레이드의 상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로터 프레임의 회전 시 흡기된 공기가 블레이드의 경사면을 타고 코일을 향해 상승 유동할 수 있다. 블레이드의 상부에 경사면이 없는 경우, 로터 프레임의 회전 시 흡기된 공기는 원심력에 의해 로터 프레임의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유동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와 달리, 블레이드의 상부에 코어를 향할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경우, 로터 프레임의 회전 시 흡기된 공기가 코일을 향해 보다 집중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 또는 코어의 집중 냉각이 가능해져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흡기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홀 각각의 형상을 부채꼴 형상으로 함으로써, 코일에 근접한 위치에서의 흡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흡기구를 구성하는 복수의 홀 각각의 형상을 부채꼴 형상으로 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복수의 흡기구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로터 프레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구동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를 나타낸 반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A-A"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에서 흡기구, 블레이드, 비드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에서 흡기구, 블레이드, 비드가 코일이 와인딩 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A-A"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에서 흡기구, 블레이드, 비드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에서 흡기구, 블레이드, 비드가 코일이 와인딩 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B"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A-A"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에서의 모터 방열 성능 향상 효과를 보여주는 해석결과 이미지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에서의 모터 방열 성능 향상 효과를 보여주는 해석결과 이미지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터 프레임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비교예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코일 와인딩 가능 높이 차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의류기기용 모터가 적용된 의류기기용 구동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가 적용된 의류기기용 구동장치의 전반적인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구동장치의 전반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의류기기용 구동장치(1000)는 의류기기용 모터(100), 축 연결부(190), 클러치(410), 이너축(310), 아우터축(320), 기어(520), 베어링하우징(600), 제1, 2 베어링(610, 620)을 포함한다.
의류기기용 구동장치(1000)는 상기의 구성 이외에도 관용적으로 세탁기 또는 건조기 등에 이용 가능한 다양한 세부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기기용 모터(100)는 스테이터(110)와 로터(120)를 포함한다.
스테이터(110)는 스테이터 코어(111)와 복수의 코일(113)을 포함한다.
로터(120)는 복수의 마그넷(121)과 로터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복수의 마그넷(121)은 스테이터(110)의 외부에 공극(air gap)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로터 프레임(130)은 복수의 마그넷(121)을 고정하며 스테이터(110)의 외부에서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프레임을 말한다.
로터 프레임(130)의 회전 중심에는 구동 축(510)이 연결된다.
이에 더하여, 로터 프레임(130)의 회전 중심에는 구동 축(510)이 체결되기 위한 축 연결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 연결부(190)와 구동 축(510)은 세레이션 방식으로 상호 간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 축(510)의 일단부가 로터 프레임(130)의 중심에 위치한 축 연결부(190)의 세레이션부싱(1912)에 마련된 홀(즉, 세레이션 형상 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구동 축(510)과 로터 프레임(130)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축(510)은 로터 프레임(130)의 회전력을 그대로 전달받아 의류기기에 필요한 토크를 출력해 낼 수 있다.
축 연결부(190)는 로터 프레임(130)을 구성하는 베이스프레임(140)에서 단차진 형상으로 돌출된 중앙단차부(141)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 연결부(190)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앙단차부(141)에 체결나사(192)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로터부싱(191)을 더 포함한다.
로터부싱(191)은 허브(1911)와, 세레이션부싱(1912)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허브(1911)는 수지 재질로 사출 제작될 수 있다.
세레이션부싱(1912)은 허브(1911)의 회전 중심에 위치하도록 허브(191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세레이션부싱(1912)은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을 가지며, 허브(1911)에 인서트 사출되어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세레이션부싱(1912)의 중심에는 세레이션 형상의 홀이 구비되고, 구동 축(510)은 세레이션 형상의 홀에 일부 삽입되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축 연결부(190)의 상부에는 별도의 클러치부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클러치(410)는 클러치부싱과 선택적으로 접속 및 해제되도록 솔레노이드(420)의 동작에 의해 구동 축(510)의 축 길이 방향을 따라 위 아래로 슬라이딩 동작하여 의류기기, 즉 세탁기 등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의류기기용 모터(100)의 회전력은 회전하는 로터 프레임(130)을 거쳐, 구동 축(510)에 전달되고, 이어서 이너축(310) 및/또는 아우터축(320)을 통해 소정의 토크로 출력될 수 있다.
이너축(310)과 아우터축(320)은 구동 축(510)과 동일 중심을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축(310)은 의류기기용 모터(100)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로터(12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축(320)은 로터(12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러치(410)는 솔레노이드(420)의 동작에 의해 아우터축(320)과 로터(120) 간의 연결 및 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너축(310)와 아우터축(320) 사이에는 씰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씰부(330)는 이너축(310)과 아우터축(320) 사이 공간을 씰링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이너축(310)와 아우터축(320) 사이에는 오일리스베어링(3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기어(520)는 썬 기어(521)와 유성 기어(523)를 포함한다.
썬 기어(521)는 구동 축(510)에 연결되어 구동 축(51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유성 기어(523)는 썬 기어(521)의 외측을 둘러 감싸 배치되는데, 복수 개의 유성 기어(523)가 구비될 수 있다. 유성 기어(523)는 썬 기어(521)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썬 기어(521)에 맞물려 설정된 기어 비로 회전할 수 있다.
베어링하우징(600)은 의류기기, 즉 세탁기의 터브(tub)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하지 않으며 터브에 고정된다. 베어링하우징(600)은 제1 베어링(610)과 제2 베어링(620)에 의해 상단 및 하단이 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의류기기용 모터]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를 나타낸 반단면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에 구성되는 로터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의류기기용 모터(100)는 스테이터(110)와 로터(120)를 포함한다.
스테이터(110)는 스테이터 코어(111)와 복수의 코일(113)을 포함한다.
스테이터 코어(이하, 코어)(111)는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축(510)(도 1 참조)을 중심으로 이를 둘러 감싸는 환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코어(111)는 로터(120)의 내측에 위치한다.
코일(113)은 코어(111)에 와인딩 되어 장착되는데, 환형의 코어(113)에는 복수의 코일(113)이 소정 간격을 두고 원주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코일(113)이 와인딩 되는 부피에 따라 모터의 출력 또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113)의 와인딩 공간을 충분히 확보되는 것이 좋다.
로터(120)는 복수의 마그넷(121)과 로터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복수의 마그넷(121)은 코일(113)의 외측에 원형 배치되는데, 각각의 마그넷(121)은 스테이터(110)와 일정한 공극(air gap)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로터 프레임(130)은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내측 둘레 면을 따라 복수의 마그넷(121)이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로터 프레임(130)은 복수의 코일(113)과 복수의 마그넷(121) 간의 자기력에 의해 스테이터(110)의 외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마그넷(121)은 로터 프레임(130)의 내주 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장착되어 고정된다.
복수의 마그넷(121)과 스테이터(110)의 코일(113)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해 로터 프레임(130)은 회전한다. 이에 따라, 구동 축(510)(도 1 참조)은 로터 프레임(130)의 중심에 위치하는 축 연결부(190)(도 1 참조)에 체결되어, 로터 프레임(1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로터 프레임(130)은 베이스프레임(140), 연장프레임(180)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40)은 코일(113)과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면 배치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프레임을 말한다.
연장프레임(180)은 베이스프레임(140)의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원형 관 형상의 프레임을 말한다.
연장프레임(180)의 내주 면에는 복수의 마그넷(121)이 원주방향으로 둘러 배치될 수 있다.
로터 프레임(130)은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프레임(140)과 원형 관 형상의 연장프레임(1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베이스프레임(140)의 면적과 연장프레임(180)의 높이에 대응하는 원통형의 내부 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원통형 내부 공간에 코어(111)와 복수의 코일(113)을 포함하는 스테이터(110)가 내장될 수 있다.
축 연결부(190)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에 위치하며, 구동 축(510)과 세레이션 체결되는 부위이다.
예를 들어, 축 연결부(190)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 부위에서 단차진 형상으로 돌출된 중앙단차부(141)에 위치할 수 있다.
축 연결부(190)는 로터부싱(191)을 포함한다. 로터부싱(191)은 복수의 체결나사(192)를 이용하여 중앙단차부(141)에 결합되는 부재이다.
예를 들어, 로터부싱(191)은 허브(1911)와, 세레이션부싱(1912)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1911)는 수지 재질로 사출되는 부위로서, 로터부싱(191)의 전반적인 몸체를 이룬다. 세레이션부싱(1912)은 허브와 달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허브(1911)의 회전 중심에 위치하며 구동 축(510)(도 1 참조)과 세레이션 결합되는 부위이다.
세레이션부싱(1912)은 허브(1911)와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레이션부싱(1912)은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수지 재질의 허브(1911)가 사출될 때 허브(1911)에 인서트 사출되어 허브(1911)와 일체형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세레이션부싱(1912)의 중심에는 세레이션 형상의 홀이 구비될 수 있다.
구동 축(510)(도 1 참조)은 세레이션부싱(1912)의 홀에 일부 삽입되어 세레이션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축(510)(도 1 참조)과 로터 프레임(130) 사이의 회전력 전달이 가능해지며, 충분한 토크를 출력해 낼 수 있다.
또한, 로터 프레임(130)은 흡기구(150)와 블레이드(160)를 포함한다.
흡기구(150)는 베이스프레임(140)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흡기구(150)는 복수의 홀(1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 외부의 공기를 복수의 홀(151)을 통과시켜 모터 내부로 흡기시킨다. 흡기된 공기는 모터의 코일(또는 코어)를 냉각시켜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킨다.
블레이드(160)는 흡기구(150)에 근접 배치되는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블레이드(160)는 흡기구(150)에 근접한 위치에서 로터 프레임(130)과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물로서, 로터 프레임(1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블레이드(160)의 회전 시 흡기구(150)를 통해 흡기된 공기는 블레이드(160)에 의해 강제로 회전 유동하게 되며, 흡기구(150)만이 구비된 경우보다 모터의 방열 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160)는 흡기구(150)에 근접한 위치에서 베이스프레임(140)에 일체로 고정되는데,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설정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블레이드(160)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일면으로부터 베이스프레임(14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로터 프레임(130)은 복수의 비드(145)를 더 포함한다.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비드(145)는 회전 구동하는 베이스프레임(130)의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물을 말한다.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30)의 면상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만일 베이스프레임(130)이 고속 회전하는 경우, 원심력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뒤틀리는 현상 또는 타원형상으로 찌그러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30)의 회전 구동에 따른 구조적인 변형을 방지하도록 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해준다.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중앙단차부(141)의 경사둘레면(1411)까지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보강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100)는 로터가 스테이터의 외측에서 회전하는 외전형 모터에서, 로터 프레임(130)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흡기구(150) 및 블레이드(160)를 이용하여 방열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의 "B"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의 "A-A"영역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에서 흡기구, 블레이드, 비드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에서 흡기구, 블레이드, 비드가 코일이 와인딩 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130)은, 복수의 마그넷(121)(도 2 참조)을 고정하며 스테이터(110) (도 2 참조)의 외부에서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프레임을 말한다.
로터 프레임(130)은 베이스프레임(140), 연장프레임(180)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40)은 코일(113)(도 2 참조)과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대면 배치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프레임이다.
연장프레임(180)은 베이스프레임(140)의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원형 관 형상의 프레임이다. 연장프레임(180)의 내주 면에는 복수의 마그넷(121)(도 2 참조)이 고정될 수 있다.
로터 프레임(130)은 베이스프레임(140)과 연장프레임(180)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40)의 면적과 연장프레임(180)의 높이에 대응하는 원통의 내부 공간을 가진다.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 부위에는 소정 높이를 갖도록 단차진 형상으로 돌출된 중앙단차부(141)가 형성되고, 중앙단차부(141)의 외곽에는 경사진 경사둘레면(1411)이 형성된다.
중앙단차부(141)의 중심에는 구동 축(510)이 세레이션 방식으로 체결되는 축 연결부(190)가 체결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로터 프레임(130)은 흡기구(150), 블레이드(160) 및 비드(145)를 더 포함한다.
흡기구(150)는 베이스프레임(140)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인 예로서, 흡기구(15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홀(151)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151)은 베이스프레임(140)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복수의 홀(151)을 통해 모터 외부의 공기는 모터 내부로 유입, 즉 모터 내부로 흡기될 수 있다. 복수의 홀(151)을 통과하여 흡기된 공기는 모터의 내부에서 코일(또는 코어)를 냉각시키며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킨다.
복수의 홀(151)은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140)의 내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홀(151)은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데, 소정 길이를 가지며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선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4 참조).
블레이드(160)는 로터 프레임(130)과 함께 회전하며, 복수의 홀(151)을 통해 흡기된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이에 따라, 코어(또는 코일)의 냉각이 잘 이루어지며, 모터의 방열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블레이드(160)는 흡기구(150)에 근접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블레이드(160)가 흡기구(150), 즉 복수의 홀(151)을 통해 흡기된 공기를 강제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블레이드(160)는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60)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일면으로부터 설정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160)의 돌출 높이는 블레이드(160)의 회전 작용에 의해 흡기된 공기를 유동시켜주는데 중요하므로, 블레이드(160)의 높이는 가능한 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모터의 방열에 유리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블레이드(160)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세워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160)는 베이스프레임(140) 중에서 코일(113)(도 2 참조)이 마주하여 배치되는 코일 배치 영역(142)를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도 6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100)의 경우, 로터 프레임(130)이 스테이터(110)의 외부에서 회전하는 외전형 모터로서 블레이드(160)의 돌출 높이만큼 코일(113)의 와인딩 공간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의류기기용 모터(100)에서는 코일(113)의 와인딩 공간을 축소시키지 않도록, 베이스프레임(140) 중 코일(113)과 상하로 대면 배치되는 코일 배치 영역(142)을 벗어난 위치에 블레이드(160)를 배치한다(도 6 참조).
이에 따라, 의류기기용 모터(100)에서 코일(113)이 와인딩 되는 높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코일(113)의 부피를 충분히 증가시켜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블레이드(160) 역시 코일(113)이 와인딩 되는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블레이드(160)의 높이를 필요한 수준으로 충분히 키울 수 있어 흡기된 공기의 강제 유동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그 결과,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100)의 경우, 코일(113)이 와인딩 되는 공간과 블레이드(160)가 돌출되는 공간을 서로 분리시킴으로써 모터의 전체 사이즈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코일(113)의 부피 및 블레이드(160)의 높이를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다.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30)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3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100)의 경우, 로터 프레임(130)이 스테이터(110)의 외부에서 고속 회전하는 외전형 모터이다.
만일, 로터 프레임(130)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 시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인해 로터 프레임(130)은 뒤틀림 또는 타원형상으로 찌그러지는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비드(145)는 고속 회전으로 인한 베이스프레임(130)의 구조적인 변형을 방지하도록 베이스프레임(130)의 구조적인 강도를 향상시켜 보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30)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30)의 내측에서 위 또는 아래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또한,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40)에서 코일 배치 영역(142)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비드(145)가 베이스프레임(14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위로 볼록하게 돌출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40) 중 코일 배치 영역(142)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즉, 베이스프레임(140) 내에서 복수의 비드(145)가 돌출되는 영역과 코일이 대면하여 배치되는 영역을 분리시킴으로써, 비드(145)의 돌출 높이로 인해 코일(113)이 와인딩 되는 공간의 높이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100)는 복수의 비드(145)를 구비하여 베이스프레임(130)의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코일의 와인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140)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40)의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는 직선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홀(151)은 복수의 비드(145) 각각의 양측에 소정 거리를 두고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프레임(140)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홀(151)의 길이는 복수의 비드(145)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2개의 비드(145) 사이에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2개의 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비드(145) 및 복수의 홀(151)은 코일 배치 영역(142)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비드(145)는 코일 배치 영역(142)을 벗어난 위치에서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홀(151)은 베이스프레임(140)의 반경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코일 배치 영역(142)을 벗어나 위치까지만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이에 따라, 비드(145)에 의한 베이스프레임(14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홀(151)을 통해 흡기된 공기가 블레이드(160)에 의해 강제로 유동하여 코일 배치 영역(142)에 위치하는 코일을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비드(145)는 흡기구(150)를 구성하는 복수의 홀(151) 각각의 길이보다 베이스프레임(140)의 반경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비드(145)의 일단부(1451)는 흡기구(150)의 홀(151)보다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에 더 근접하도록 베이스프레임(140)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비드(145)의 타단부(1452)는 흡기구(150)의 홀(151)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비드(145)의 타단부(1452)는 홀(151)과 유사하게 베이스프레임(140)의 반경보다 짧게 형성되며 코일 배치 영역(142)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40)의 고속 회전 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기구(150)를 통해 흡기되는 공기의 흡기량은 증가될 수 있어,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100)에서, 블레이드(160)는 복수의 홀(151)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결될 수 있다(도 5 참조).
구체적으로는 블레이드(160)는 레디얼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블레이드(160)는 베이스프레임(140)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이때 블레이드(160)를 베이스프레임(140)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시켜 제작하게 되면,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제품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블레이드(160)는 베이스프레임(140)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정된 높이(H)를 갖도록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이다.
또한, 블레이드(160)의 높이(H)는 복수의 비드(145)의 높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블레이드(160)의 높이(H)를 충분히 증가시켜 블레이드(160)의 회전에 의해 흡기된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켜 코일(또는 코어)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160)의 길이(L2)는 복수의 홀(151) 각각의 길이(L1)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 이에 따라, 복수의 홀(151)을 통과하여 흡기되는 공기의 흡기량이 증가되며, 흡기된 공기는 블레이드(160)의 회전에 의해 강제 유동하여 코일(또는 코일)을 냉각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비드(145)의 양측으로 흡기구(150)를 구성하는 복수의 홀(151)이 반경방향으로 L1 길이로 배치될 수 있다. 블레이드(160)는 각각의 홀(151)에 인접한 위치에서 베이스프레임(140)으로부터 설정높이로 돌출되는데, 블레이드(160)는 홀(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L2 길이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비드(145)와 홀(151)을 포함하는 흡기구(150)와 블레이드(160)는 모두 코일(113)(도 9 참조)이 배치되는 코일 배치 영역(142)에서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도 9 참조).
이에 따라, 베이스프레임(140) 내에서 코일이 와인딩 되는 높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코일의 부피 증가를 통해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함께, 블레이드(160)가 코일(113)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벗어나 위치함에 따라, 코일의 부피에 따른 제약 없이 블레이드(160)의 높이를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어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볼록하게 돌출된 비드(145)의 형상에 의해 코일(113)이 와인딩 되는 높이 공간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인 강성을 높이며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B"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A-A"영역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에서 흡기구, 블레이드, 비드의 위치 관계를 보여주는 부분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에서 흡기구, 블레이드, 비드가 코일이 와인딩 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130)은, 복수의 마그넷(121)(도 2 참조)을 고정하며 스테이터(110)(도 2 참조)의 외부에서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프레임을 말한다.
로터 프레임(130)은 베이스프레임(140), 연장프레임(180)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40)은 코일(113)(도 2 참조)과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대면 배치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프레임이다.
연장프레임(180)은 베이스프레임(140)의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원형 관 형상의 프레임이다. 연장프레임(180)의 내주 면에는 복수의 마그넷(121)(도 2 참조)이 고정될 수 있다.
로터 프레임(130)은 베이스프레임(140)과 연장프레임(180)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40)의 면적과 연장프레임(180)의 높이에 대응하는 원통의 내부 공간을 가진다.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 부위에는 소정 높이를 갖도록 단차진 형상으로 돌출된 중앙단차부(141)가 형성되고, 중앙단차부(141)의 외곽에는 경사진 경사둘레면(1411)이 형성된다. 중앙단차부(141)의 중심에는 구동 축(510)이 세레이션 방식으로 체결되는 축 연결부(190)가 체결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로터 프레임(130)은 흡기구(150), 블레이드(160) 및 비드(145)를 더 포함한다.
흡기구(150)는 베이스프레임(140)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흡기구(15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홀(151)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151)은 베이스프레임(140)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복수의 홀(151)을 통해 모터 외부의 공기는 모터 내부로 유입, 즉 모터 내부로 흡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홀(151)을 통과하여 흡기된 공기는 모터의 내부에서 코일(또는 코어)를 냉각시키며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킨다.
복수의 홀(151)은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140)의 내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각각의 홀(151)은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는데, 소정 길이를 가지며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선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11 참조).
블레이드(160)는 로터 프레임(130)과 함께 회전하며, 복수의 홀(151)을 통해 흡기된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이에 따라, 코어(또는 코일)의 냉각이 잘 이루어지며, 모터의 방열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블레이드(160)는 흡기구(150)에 근접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구(150), 즉 복수의 홀(151)을 통해 흡기된 공기는 블레이드(160)의 회전에 의해 강제로 유동하며 모터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160)는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60)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일면으로부터 설정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160)의 돌출 높이는 블레이드(160)의 회전 작용에 의해 흡기된 공기를 유동시켜주는데 중요하므로, 블레이드(160)의 높이는 가능한 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모터의 방열에 유리하다.
구체적인 예로서 블레이드(160)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세워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레이드(160)는 베이스프레임(140) 중에서 코일(113)(도 2 참조)이 마주하여 배치되는 코일 배치 영역(142)를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도 13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100)의 경우, 로터 프레임(130)이 스테이터(110)의 외부에서 회전하는 외전형 모터로서 블레이드(160)의 돌출 높이만큼 코일(113)의 와인딩 공간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의류기기용 모터(100)에서는 코일(113)의 와인딩 공간을 축소시키지 않도록, 베이스프레임(140) 중 코일(113)과 상하로 대면 배치되는 코일 배치 영역(142)을 벗어난 위치에 블레이드(160)를 배치한다(도 13 참조).
이에 따라, 의류기기용 모터(100)에서 코일(113)이 와인딩 되는 높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코일(113)의 부피를 충분히 증가시켜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블레이드(160) 역시 코일(113)이 와인딩 되는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배치시킴으로써, 블레이드(160)의 높이를 필요한 수준으로 충분히 키울 수 있어 흡기된 공기의 강제 유동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30)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3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100)의 경우, 로터 프레임(130)이 스테이터(110)의 외부에서 고속 회전하는 외전형 모터이다. 만일, 로터 프레임(130)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 시 발생되는 원심력으로 인해 로터 프레임(130)은 뒤틀림 또는 타원형상으로 찌그러지는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비드(145)는 상기와 같은 베이스프레임(130)의 고속 회전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도록 베이스프레임(130)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강시켜준다.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30)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30)의 내측에서 위 또는 아래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한편,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40)에서 코일 배치 영역(142)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비드(145)가 베이스프레임(14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위로 볼록하게 돌출될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40) 중 코일 배치 영역(142)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40) 내에서 복수의 비드(145)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영역과 코일이 대면하여 배치되는 영역을 분리시켜 비드(145)의 돌출 형상으로 인해 코일(113)이 와인딩 되는 공간의 높이가 감소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100)는 복수의 비드(145)를 구비하여 베이스프레임(130)의 변형을 방지하는 동시에, 코일의 와인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140)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40)의 반경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는 직선 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홀(151)은 복수의 비드(145) 각각의 양측에 소정 거리를 두고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프레임(140)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홀(151)의 길이는 복수의 비드(145)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2개의 비드(145) 사이에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2개의 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비드(145) 및 복수의 홀(151)은 코일 배치 영역(142)에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 참조).
한편, 비드(145)는 흡기구(150)를 구성하는 복수의 홀(151) 각각의 길이보다 베이스프레임(140)의 반경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비드(145)의 일단부(1451)는 흡기구(150)의 홀(151)보다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에 더 근접하도록 베이스프레임(140)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비드(145)의 타단부(1452)는 흡기구(150)의 홀(151)과 동일하거나 이와 유사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비드(145)의 타단부(1452)는 홀(151)과 유사하게 베이스프레임(140)의 반경보다 짧게 형성되어 코일 배치 영역(142)을 벗어나 위치할 수 있다(도 12 참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비드(145)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40)의 고속 회전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홀(151)을 필요한 길이만큼만 형성함으로써, 외부 공기를 충분히 흡기시키면서도 베이스 프레임(140)의 구조적인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100)에서, 블레이드(160)는 복수의 홀(151)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결될 수 있다(도 12 참조).
구체적으로는 블레이드(160)는 레디얼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160)는 베이스프레임(140)을 프레스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160)를 베이스프레임(140)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시켜 제작하게 되면,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품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블레이드(160)는 베이스프레임(140)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정된 높이(H)를 갖도록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이다.
또한, 블레이드(160)의 높이(H)는 복수의 비드(145)의 높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도 14 참조). 블레이드(160)의 높이(H)를 충분히 높여주면 블레이드(160)의 회전에 의한 공기의 강제 유동 효과가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코일(또는 코어)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블레이드(160)는 복수의 홀(151)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130)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로터 프레임 구조와 블레이드(160)의 형성 위치 면에서 차별화된 특징을 갖는다.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로터 프레임(130)의 경우 블레이드(160)가 복수의 홀(151)의 길이방향 양측(1513, 1514) 중 일측(1513)에만 배치된다. 즉, 블레이드(160)가 복수의 홀(151) 각각에 대해 일 방향으로만 편향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블레이드(160)의 편향 위치는 로터 프레임(1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 프레임(130)이 시계 방향(R)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블레이드(160)는 복수의 홀(151)의 길이방향 일측(1513)에 배치될 수 있다(도 15 참조). 이에 따르면 홀(151)을 통해 흡기된 공기(Air)의 유동이 도 15의 화살표 방향으로 나타나면서 홀(151)의 일측(1513)에 배치된 블레이드(160)에 의해 흩트려지게 되어 와류가 생성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공기의 유동이 코일 쪽으로 집중될 수 있어 모터의 방열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의 경우로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로터 프레임(1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블레이드(160)는 복수의 홀(151)의 길이방향 타측(1514)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에서, 블레이드(160)는 로터 프레임(1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홀(151)의 길이 방향 일측(1513) 또는 타측(1514)에 한 쪽 방향으로만 정렬될 수 있다.
한편, 도 16를 참조하면, 복수의 비드(145), 복수의 홀(151)을 포함하는 흡기구(150), 및 블레이드(160)는 코일(113)이 배치되는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이 와인딩 되는 높이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코일의 부피 증가를 통해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60)가 코일(113)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벗어나 위치하므로, 블레이드(160)의 높이를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으며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볼록하게 돌출된 비드(145)의 형상에 의해 코일(113)이 와인딩 되는 높이 공간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인 강성을 높이며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도 18의 "B"영역의 확대도이고, 도 20은 도 18의 "A-A"영역의 단면도이며, 도 21은 도 20의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130)은, 복수의 마그넷(121)(도 2 참조)을 고정하며 스테이터(110)(도 2 참조)의 외부에서 회전하는 원통 형상의 프레임을 말한다.
로터 프레임(130)은 베이스프레임(140), 연장프레임(180)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140)은 코일(113)(도 2 참조)과 높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대면 배치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의 프레임이다.
연장프레임(180)은 베이스프레임(140)의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원형 관 형상의 프레임이다. 연장프레임(180)의 내주 면에는 복수의 마그넷(121)(도 2 참조)이 고정될 수 있다.
로터 프레임(130)은 베이스프레임(140)과 연장프레임(180)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베이스프레임(140)의 면적과 연장프레임(180)의 높이에 대응하는 원통의 내부 공간을 가진다.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 부위에는 소정 높이를 갖도록 단차진 형상으로 돌출된 중앙단차부(141)가 형성되고, 중앙단차부(141)의 외곽에는 경사진 경사둘레면(1411)이 형성된다. 중앙단차부(141)의 중심에는 구동 축(510)이 세레이션 방식으로 체결되는 축 연결부(190)가 체결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로터 프레임(130)은 흡기구(150), 블레이드(160) 및 비드(145)를 더 포함한다.
흡기구(150)는 베이스프레임(140)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흡기구(150)는 일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홀(151)을 포함한다. 복수의 홀(151)은 베이스프레임(140)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복수의 홀(151)을 통해 모터 외부의 공기는 모터 내부로 유입, 즉 모터 내부로 흡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홀(151)을 통과하여 흡기된 공기는 모터의 내부에서 코일(또는 코어)를 냉각시키며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킨다.
복수의 홀(151)은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베이스프레임(140)의 내부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홀(151)은 일정한 길이로 반경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복수의 홀(151) 각각은 베이스프레임(140)의 중심에 근접한 홀(151)의 일단부(1511)의 폭(W1) 보다 코일 배치 영역(142)에 가까운 홀(151)의 타단부(1512)의 폭(W2)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홀(151)은 일단부(1511)에서 타단부(1512)로 갈수록 폭 사이즈가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151)이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홀(151)을 통해 흡기되는 공기의 흡기량이 증가될 수 있어 모터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홀(151) 중에서 코일과 가까운 타단부(1512)의 폭(W2)이 상대적으로 더 큰 형상을 가짐으로써, 코일 쪽으로 흡기된 공기가 더 많이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또는 코어)의 냉각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홀(151)이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홀(151)과 인접한 홀(151)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베이스프레임(140)의 강도 및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홀(151)이 부채꼴 형상을 가질 경우, 홀(151)의 일단부(1511) 및 타단부(1512)에서 서로 인접한 홀(151) 사이의 거리(S1, S2)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구조적인 강도 및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만일 홀(15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 사이즈를 가질 경우, 서로 인접한 홀(151) 사이의 거리가 달라져 특정 위치에서 홀(15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위가 존재할 수 있게 된다(도 12 참조).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기기용 모터의 로터 프레임(130)의 경우, 홀(151)이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홀(151)의 일단부(1511) 및 타단부(1512) 각각의 위치에서 서로 인접한 홀(151) 사이의 거리(S1, S2)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도 19에서 S1과 S2는 동일하므로, 구조적인 취약 부위를 개선할 수 있다.
블레이드(160)는 로터 프레임(130)과 함께 회전하며, 복수의 홀(151)을 통해 흡기된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이에 따라, 코어(또는 코일)의 냉각이 잘 이루어지며, 모터의 방열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블레이드(160)는 흡기구(150)에 근접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구(150), 즉 복수의 홀(151)을 통해 흡기된 공기는 블레이드(160)의 회전에 의해 강제로 유동하며 모터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블레이드(160)는 두께가 얇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블레이드(160)는 베이스프레임(140)에 근접하는 부분, 즉 블레이드(160)의 일단부(161)의 높이(H1)보다 코일 배치 영역(142)에 근접하는 부분, 즉 블레이드(160)의 타단부(162) 높이(H2)가 증가될 수 있다(도 21 참조).
도 21을 참조하면, 블레이드(160)의 돌출 형상은 일단부(161)의 높이(H1)보다 타단부(162)의 높이(H2)가 더 크게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블레이드(160)의 일단부(161)에서 타단부(162)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홀(151)을 통해 흡기된 공기는 블레이드(160)의 경사진 형상을 따라 코일 쪽으로 유동하게 되며, 코일(또는 코어)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160)의 돌출 형상으로 인해, 블레이드(160)의 상단에는 일단부(161)에서 타단부(162)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60)의 상단에 형성된 경사면은 복수의 홀(151)을 통과하여 흡기된 공기를 코일이 위치한 방향으로 상승시켜 코일(또는 코어)의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30)에 구비되어 베이스프레임(13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30)의 고속 회전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비드(145)는 베이스프레임(130)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베이스프레임(14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160)의 일단부(161)의 높이(H1)는 비드(145)의 높이(H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60)의 타단부(162)의 높이는 비드(145)의 높이(H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도 21 참조).
이에 따라, 블레이드(160)는 충분한 높이로 돌출되어 홀(151)을 통해 흡기된 공기를 회전시켜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흡기된 공기를 코일 쪽으로 보낼 수 있어 코일의 냉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60)에 경사진 형상을 적용할 경우, 로터 프레임(130) 내부에서 기타 인접 배치된 구조물과의 간섭을 줄일 수 있어 홀(151)과 블레이드(160)의 크기를 증가시켜 냉각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의 방열 성능 향상 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에서의 모터 방열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열유동 해석 이미지이다. 도 22에서 "A"는 비드 주변의 열유동 해석 결과이며, "B"는 블레이드 주변의 열유동 해석 결과이며, "C"는 홀 주변의 열유동 해석 결과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블레이드는 공기의 상향 유동을 형성하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공기의 반경방향 유동을 형성한다. 그리고 홀 주변에서는 코일을 향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기기용 모터에서의 모터 방열 성능 향상 효과를 보여주는 해석결과 이미지이다. 도 23에서, "A"는 비드 주변의 열유동 해석 결과이며, "B"는 블레이드 주변의 열유동 해석 결과이며, "C"는 홀 주변의 열유동 해석 결과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로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블레이드를 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편향 배치시킨 구조로서, 블레이드가 한 방향으로만 정렬될 경우 공기를 흡입한 후에 블레이드가 흩트려 와류를 생성하며 냉각 효과가 보다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도 23의 "B"및 "C"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주변과 홀 주변에서 코일을 향하여 공기가 보다 집중적으로 유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일(또는 코어)의 냉각 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모터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로터 프레임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비교예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로터 프레임(230)의 베이스프레임(240)에는 복수의 홀(251)을 포함하는 흡기구(250), 블레이드(260) 및 비드(245)가 구비된다. 그리고 로터 프레임(230)의 중심에는 축 연결부(290)가 구비되며, 축 연결부(291)는 구동 축이 연결되는 로터부싱(291)을 더 포함한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비교예에 따른 로터 프레임(230)의 경우, 흡기구(250), 블레이드(260) 및 비드(245)가 베이스프레임(240)의 반경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데, 코일 배치 영역까지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코일 와인딩 가능 높이 차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르는 로터 프레임(230)의 경우, 베이스프레임(240) 내에서 비드(245) 및 블레이드(260)가 코일 배치 영역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 코어에 와인딩 된 코일(113)의 하단(113a)이 설정높이로 돌출된 비드(245) 및 블레이드(260)와 마주하는 배치 구조를 갖는다. 그 결과, 비드(245) 및 블레이드(260)의 돌출 높이만큼 코일(113)의 와인딩 부피가 감소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전술한 비교예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로터 프레임(130)의 경우, 비드(245) 및 블레이드(260)는 베이스프레임(240) 내에서 코일이 와인딩 되어 배치되는 코일 배치 영역(142)을 벗어나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 때문에, 스테이터 코어에 와인딩 된 코일(113)의 하단(113a)은 비드(245) 및 블레이드(260)와 마주하지 않으며, 비드(245) 및 블레이드(260)의 돌출 높이로 인한 코일(113)의 부피 증가에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코일(113)의 부피를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어 모터의 출력 및 효율을 비교예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동일한 사이즈의 로터 프레임 내에서 비교예에 따른 코일(113)은 CH1의 높이를 가지며, 실시예에 따른 코일(113)은 CH2의 높이를 가진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코일(113)의 높이(CH2)가 비교예에 따른 코일(113)의 높이(CH1)보다 증가될 수 있으며,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 높은 출력 및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 G만큼 코일의 와인딩을 위한 높이 공간이 더 확보되어 모터의 컴팩트 및 고효율화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의류기기용 모터
110: 스테이터
111: 코어
113: 코일
120: 로터
121: 마그넷
130: 로터 프레임
140: 베이스프레임
141: 중앙단차부
1411: 경사둘레면
142: 코일 배치 영역
145: 비드
1451: 비드의 일단부
1452: 비드의 타단부
150: 흡기구
151: 홀
1511: 홀의 일단부
1512: 홀의 타단부
1513: 홀의 길이방향 일측
1514: 홀의 길이방향 타측
160: 블레이드
161: 블레이드의 일단부
162: 블레이드의 타단부
180: 연장프레임
190: 축 연결부
191: 로터부싱
1911: 허브
1912: 세레이션부싱
192: 체결나사
310: 이너축
320: 아우터축
330: 씰부
340: 오일리스베어링
410: 클러치
420: 솔레노이드
510: 구동 축
520: 기어
521: 썬 기어
523: 유성 기어
600: 베어링하우징
610: 제1 베어링
620: 제2 베어링
1000: 의류기기용 구동장치

Claims (23)

  1. 환형의 코어와, 상기 코어에 와인딩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 공극을 두고 배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을 고정하며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회전하는 로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로터;
    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은,
    상기 코일과 간격을 두고 대면 배치되는 원형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내주 면에 상기 마그넷을 고정하는 연장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구; 및
    상기 흡기구에 근접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기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서 설정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돌출 높이만큼 상기 코일의 와인딩 공간이 감소되지 않는
    의류기기용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
    을 포함하는 의류기기용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의류기기용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비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기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하는
    의류기기용 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비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의류기기용 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복수의 비드 각각의 양측에 소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의류기기용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비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드는,
    일단부는 상기 흡기구보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에 더 근접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기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하는
    의류기기용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결되며, 설정높이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의류기기용 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의류기기용 모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복수의 홀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으로 편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편향 위치는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해지는
    의류기기용 모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에 근접한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 높이보다 상기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에 근접한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 높이가 크게 형성되는
    의류기기용 모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비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 높이는 상기 복수의 비드 각각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 높이는 상기 복수의 비드 각각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의류기기용 모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에는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을 통과하여 흡기된 공기의 유동을 상기 코일 쪽으로 가이드 하는
    의류기기용 모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에 근접한 상기 홀의 일단부보다 상기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에 근접한 상기 홀의 타단부 폭이 크게 형성되는
    의류기기용 모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홀의 일단부에서 상기 홀의 타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부채꼴 형상을 갖는
    의류기기용 모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기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하는
    의류기기용 모터.
  17. 환형의 코어와, 상기 코어에 와인딩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 공극을 두고 배치되는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을 고정하며 상기 스테이터의 외부에서 회전하는 로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로터; 및
    상기 로터 프레임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 축;
    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 프레임은,
    상기 구동 축을 연결하는 축 연결부;
    상기 코일과 간격을 두고 대면 배치되며, 상기 축 연결부가 중심에 위치하는 원형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테두리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며 내주 면에 상기 마그넷을 고정하는 연장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구; 및
    상기 흡기구에 근접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기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난 위치에서 설정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돌출 높이만큼 상기 코일의 와인딩 공간이 감소되지 않는
    의류기기용 모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의류기기용 모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비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비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기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비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의류기기용 모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축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중앙단차부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비드는,
    일단부는 상기 흡기구보다 상기 축 연결부를 향해 더 근접하도록 상기 중앙단차부의 경사둘레면까지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서 상기 코일이 대면 배치되는 영역을 벗어나 위치하는
    의류기기용 모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복수의 홀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결되며 설정높이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의류기기용 모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복수의 홀의 길이방향 양측 중 일측으로 편향되어 배치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편향 위치는 상기 로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해지는
    의류기기용 모터.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된 복수의 홀;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홀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 내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에는 경사면이 구비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타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홀을 통과하여 흡기된 공기의 유동을 상기 코일 쪽으로 가이드 하는
    의류기기용 모터.
KR1020220027456A 2022-03-03 2022-03-03 의류기기용 모터 KR102641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456A KR102641929B1 (ko) 2022-03-03 2022-03-03 의류기기용 모터
EP23152637.7A EP4239862A1 (en) 2022-03-03 2023-01-20 Motor for laundry apparatus
CN202310079767.7A CN116707222A (zh) 2022-03-03 2023-01-29 衣物设备用马达
US18/103,817 US20230283129A1 (en) 2022-03-03 2023-01-31 Motor for laundr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456A KR102641929B1 (ko) 2022-03-03 2022-03-03 의류기기용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373A KR20230130373A (ko) 2023-09-12
KR102641929B1 true KR102641929B1 (ko) 2024-02-27

Family

ID=8501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7456A KR102641929B1 (ko) 2022-03-03 2022-03-03 의류기기용 모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283129A1 (ko)
EP (1) EP4239862A1 (ko)
KR (1) KR102641929B1 (ko)
CN (1) CN116707222A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355A (ja) * 2001-09-28 2003-04-11 Kusatsu Electric Co Ltd 電動機の冷却構造
KR20040036189A (ko) * 2002-10-23 2004-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구동장치
WO2004069020A2 (en) * 2003-02-06 2004-08-19 Lg Electronics Inc. Waching machine
KR100529888B1 (ko) 2003-02-20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및 그 모터가 설치된 세탁기
KR101054421B1 (ko) * 2004-06-24 2011-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모터
KR100657660B1 (ko) 2004-10-08 2006-12-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용 모터의 로터 구조
KR101141639B1 (ko) * 2004-11-16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결식 세탁기용 모터의 아웃터로터
KR100640804B1 (ko) * 2005-01-19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KR20100009525A (ko) 2009-12-30 2010-01-2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코드 이미지를 통한 문서 서명 처리를 위한 기록매체
US8946954B2 (en) * 2012-04-20 2015-02-03 Nidec Motor Corporation Integrated direct drive motor and control
CN107083644B (zh) * 2017-06-14 2019-10-22 常州新亚电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驱动系统以及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83129A1 (en) 2023-09-07
KR20230130373A (ko) 2023-09-12
EP4239862A1 (en) 2023-09-06
CN116707222A (zh) 202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2278B1 (en) Double rotor type motor
EP1784904B1 (en) Outer rotor of motor for direct drive-type washing machine
EP1759047B1 (en) Motor of washing machine
US9735652B2 (en) Motor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8023453B (zh) 洗衣机的电动机以及具有所述电动机的洗衣机
KR20040075253A (ko) 모터 및 그 모터가 설치된 세탁기
US6006553A (en) Heat dissipating blades for a motor of a washing machine
EP1759046A1 (en) Motor's for washing machine
KR102641929B1 (ko) 의류기기용 모터
KR101345327B1 (ko) 더블 로터 타입 모터
KR100651880B1 (ko) 이중 로터형 모터
KR100640805B1 (ko) 이중 로터형 모터
KR100640804B1 (ko) 모터
KR102139262B1 (ko) 전기기계의 고정자 프레임 및 전기기계
KR102641093B1 (ko) 의류기기용 모터
KR102641937B1 (ko) 의류기기용 모터
KR101054415B1 (ko) 세탁기의 모터
KR102611297B1 (ko) 모터
KR101054416B1 (ko) 세탁기의 모터
KR100304568B1 (ko) 세탁기용비엘디시모터의냉각구조
KR20010097204A (ko) 세탁기용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KR20090038272A (ko) 세탁기의 모터
KR19990014656U (ko) 세탁기용 모터의 방열구조
KR20050122557A (ko) 세탁기의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