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439B1 -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439B1
KR102641439B1 KR1020230170422A KR20230170422A KR102641439B1 KR 102641439 B1 KR102641439 B1 KR 102641439B1 KR 1020230170422 A KR1020230170422 A KR 1020230170422A KR 20230170422 A KR20230170422 A KR 20230170422A KR 102641439 B1 KR102641439 B1 KR 102641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op plate
extension
extension plat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0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대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대
Priority to KR1020230170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4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4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 A47B1/05Extensible tables with supplementary leaves or drop leaves arranged at the periphery the leaves being extensible by drawing-o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10Slide mechanism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중 중첩 구조의 상판 중 어느 하나가 측방으로 슬라이드 운용되면서 공간 확장 내지 축소가 손쉽게 구현됨은 물론 상판의 확장 여부에 따라 캠핑용품이나 각종 조리도구의 거치공간이 노출 및 확보되어 기존 대비 광범위한 형태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판의 슬라이드 구동이 정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는 제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우수한 활용 효율과 함께 상판 간 마찰에 의한 마모가 최소화되어 장수명이 보장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중심부가 길이방향으로 상하 관통되어 캠핑용품 또는 취사도구의 거치 내지 배치가 허용되는 상판(100);과, 상판으로부터 접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메인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입설되게 하는 다리부(200);와, 상판에 중첩 설치되며 측방향 슬라이드 운용에 기인하여 테이블의 연장과 상판 노출에 기여하는 연장판(3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Portable Versatile table}
본 발명은 휴대용 테이블에 관련한 기술사상을 개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중 중첩 구조의 상판 중 어느 하나가 측방으로 슬라이드 운용되면서 공간 확장 내지 축소가 손쉽게 구현됨은 물론 상판의 확장 여부에 따라 캠핑용품이나 각종 조리도구의 거치공간이 노출 및 확보되어 기존 대비 광범위한 형태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판의 슬라이드 구동이 정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는 제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우수한 활용 효율과 함께 상판 간 마찰에 의한 마모가 최소화되어 장수명이 보장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숙식을 해결하는 행위를 캠핑(Camping, 野營)이라 하며, 최근에는 하나의 레저로 즐기는 경우가 많아졌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로 하여금 많은 인파가 모이는걸 자제하게 되면서 소규모로 즐길 수 있는 캠핑족이 서서히 늘어나 현재에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야외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휴대용품들의 관심도가 상당히 늘어나게 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취사도구는 반드시 소지하여야 할 필수품으로 더욱 많은 관심과 이에 따른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취사도구는 성능은 물론, 운반을 위한 부피와 무게의 경량 여부에 따라 그 가격이 천차만별로 구성되어 있고, 최근에는 감성 캠핑으로 디자인까지 고려하여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취사도구 중에서는 휴대용 테이블도 포함되어 있으며, 휴대용 테이블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742168호 "캠핑용 테이블"이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물건이 놓여지는 상판부;와, 상판부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며 길이가 가변되는 다리부; 및 길이가 가변되는 다리부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판부 및 다리부에 구비되는 높이조절부;로 구성된다. 특히, 다리부는 상판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길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기준다리부재;와, 기준다리부재와 함께 상판부를 지지하도록 상판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기준다리부재의 길이가변 높이보다 짧은 길이가변 높이를 가지도록 높이조절부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2개 이상의 미세조절다리부재; 및 높이조절부가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미세조절걸림부;를 더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기술은 테이블의 다리를 조작하여 테이블의 높낮이를 아주 편리하게 조절할 수는 있으나, 테이블에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허용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테이블의 물건 수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테이블이 개발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378387호 "캠핑용 다용도 키친테이블"이 게재되어 있다. 해당 기술은 사각의 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이 중공된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의 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형으로 구성되는 플레이트부; 및 프레임부의 양 측면에 대칭되게 위치하고, 원통의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며 프레임부와 끼움결합되는 다리부;로 구성된다. 특히, 플레이트부와 프레임부는 암수결합 방식에 의해 끼움결합되고 프레임부는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되, 여기에서 서브프레임은 양 측면에 위치하고 내측으로 파진 홈 형상이며 플레이트부의 일 측면이 고정 지지되는 고정홈; 및 고정홈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고 내측으로 파진 홈 형상이며 플레이트부의 일 측면이 고정 지지되는 지지홈으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기술은 캠핑카에 별도로 식탁이나 테이블을 준비하지 않아도 캠핑카 내에서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고, 전후좌우에 대해 원하는 크기로 확장이 가능하여 사용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보관 시 상판과 다리를 분리하여야 하며, 테이블로써의 역할 외 다른 용도로 사용이 불가능한 점 등으로 인한 사용의 편의성과 효율성이 매우 낮았다.
따라서, 테이블의 제반 구조가 극히 단조로워 조작과 사용의 매우 편리하고, 접이 시 부피와 무게가 최소화되어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며, 나아가 테이블의 범위를 자유롭게 확장 내지 축소할 수 있고 다리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환경조건에서도 원활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물건을 수용 내지 적재하는 수단 외에도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 등을 설치 및 거치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의 기술이 시급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42168호 "캠핑용 테이블" 등록특허공보 제10-1378387호 "캠핑용 다용도 키친테이블"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테이블 상판을 연장 내지 축소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다량의 물건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는 휴대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건을 수용 내지 적재하는 것을 넘어서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 등을 거치 내지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단일의 테이블만으로도 용도와 상황에 맞춰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블 다리의 구조 개선을 통해 테이블의 높낮이는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능을 모두 보유하면서도 구조가 극히 단조로워 조작의 편의성이 극대화 유도되고, 뿐만 아니라 부피의 최소화와 무게의 경량화를 통해 운반와 보관이 극히 용이한 휴대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은 중심부가 길이방향으로 상하 관통되어 캠핑용품 또는 취사도구의 거치 내지 배치가 허용되는 상판(100);과, 상판으로부터 접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메인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입설되게 하는 다리부(200);와, 상판에 중첩 설치되며 측방향 슬라이드 운용에 기인하여 테이블의 연장과 상판 노출에 기여하는 연장판(3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100)은 중심부에 설정거리를 두고 좌측과 우측에 각 배치되어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가 거치되고,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판(300)의 끼움을 허용하여 연장부의 슬라이드 운용에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재(110);와, 상판 일측에 횡 배치되어 좌·우측의 레일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1마감부재(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재(110)는 설정 길이의 평면으로 이루어져 연장판(300)의 안착을 허용하는 지지부(111);와, 지지부 일측에 설정 높이로 단턱이 형성되어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의 거치를 허용하는 거치부(112);와, 지지부의 타측에 원형 관체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판의 측부 개입 및 연장판의 슬라이드 운용에 경로를 안내하는 레일부(1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레일부(113)는 지지부(111)로부터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어 연장판(300)의 결합 시 여유공간을 제공하는 연장부(113-1);와, 연장부의 측면에서 원통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삽입되어 연장판의 슬라이드 운용에 경로를 제공하는 삽입부(113-2);와,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반원의 형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해 함몰 형성되어 연장판과 삽입부 사이에 베어링(B)이 삽입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제1베어링홈(113-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B)은 제1베어링홈(113-3)과 대응하는 직경의 환봉 또는 다수의 볼(Ball)인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장판(300)은 설정 넓이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상판(100)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310);와, 받침부의 양측에 각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판의 레일부재(110)에 끼움되어 받침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유도하는 한 쌍의 하우징(320);과, 받침부의 일측면에 횡 배치되어 한 쌍의 하우징을 받침부에 고정되게 하는 제2마감부재(33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다리부(200)는 상판(100)의 레일부재(110) 저면에 하향 설치되는 다수의 브라켓(210);과, 브라켓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 방향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상판을 입설시키거나 상판에 접이되는 입설대(220);와, 상판과 입설대를 사선으로 연결하여 입설대의 회동 반경을 제한하고, 입설된 상태를 임시 고정되게 하는 절첩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설대(220)는 원터치식으로 결합되는 연장다리(221)를 통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320)은 받침부(310)의 측면 가장자리에 중첩 설치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중첩부(321);와, 중첩부로부터 설정 직경의 갈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공간으로 상판(100) 레일부재(110)의 삽입을 허용하는 포위부(3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포위부(322)는 내경을 따라 반원의 형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해 함몰 형성되어 하우징(320)과 레일부재(110) 사이에 베어링(B)이 삽입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제2베어링홈(322-1)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판(100)은 저부에 스토퍼(130)가 횡 방향으로 설치되어 연장판(300)의 슬라이드 운용에 대한 상판과의 중첩 위치 지정 및 슬라이드 조작 시 발생하는 충격 완화에 기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으로부터 연장판이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테이블의 사용 범위가 자유롭게 조절되고, 더불어 연장다리로 하여금 입설대의 길이가 설정 단위로 조절되므로, 다양한 환경요인과 상황으로부터 테이블의 사용 범위와 높이를 제어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장판을 인출할 경우 상판에 마련된 거치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해당 거치부로 하여금 설정의 캠핑용품이나 취사 또는 조리도구 등을 설치, 거치 등이 가능하므로, 테이블이 가진 물건이나 음식물을 올려놓는 등의 기본적인 역할 외에도 다양한 목적과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과 연장판의 결합 부위에 설정 형상의 베어링이 내장 설치되어 슬라이드 움직임이 보다 정밀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부터 조작에 의한 사용감이 적극 향상되고, 상판과 연장판 간 마찰에 의한 마모가 최소화되어 장수명이 보장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테이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테이블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테이블의 상판이 확장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테이블의 저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판과 다리부 조합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일부재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일부재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연장판의 저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하우징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일부재와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테이블의 작동 형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테이블의 기술사상에 관하여 개시된다.
무엇보다 본 발명은 2중 중첩 구조의 상판 중 어느 하나가 측방으로 슬라이드 운용되면서 공간 확장 내지 축소가 손쉽게 구현됨은 물론 상판의 확장 여부에 따라 캠핑용품이나 각종 조리도구의 거치공간이 노출 및 확보되어 기존 대비 광범위한 형태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판의 슬라이드 구동이 정밀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는 제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우수한 활용 효율과 함께 상판 간 마찰에 의한 마모가 최소화되어 장수명이 보장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되는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테이블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테이블의 상판이 확장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테이블의 저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판과 다리부 조합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일부재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일부재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연장판의 저부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하우징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레일부재와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이 제안하는 테이블의 작동 형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테이블은 중심부가 길이방향으로 상하 관통되어 캠핑용품 또는 취사도구의 거치 내지 배치가 허용되는 상판(100);과, 상판으로부터 접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메인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입설되게 하는 다리부(200);와, 상판에 중첩 설치되며 측방향 슬라이드 운용에 기인하여 테이블의 연장과 상판 노출에 기여하는 연장판(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용 테이블은 사용이 이루어질 장소와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이나 식당과 같이 지정된 장소에서 장기간 사용될 목적이라면 부피와 무게에 상관없이 여유로운 크기로 제공될 것이고, 피크닉이나 캠핑과 같이 운반과 보관 및 설치 등을 고려하여 최소한의 부피와 경량화된 무게로 구성하여 휴대성이 확보된 형태로 제공될 것이다.
상기 상판(100)은 중심부에 설정거리를 두고 좌측과 우측에 각 배치되어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가 거치되고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판(300)의 끼움을 허용하여 연장부의 슬라이드 운용에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재(110);와, 상판 일측에 횡 배치되어 좌·우측의 레일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1마감부재(1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부재(110)는 서로 대칭된 한쌍으로 이루어져 테이블의 좌측 뼈대와 우측 뼈대가 되고, 상기 제1마감부재(120)는 레일부재의 어느 일단에 횡 배치되어 좌 레일부재와 우 레일부재를 서로 연결시킴과 더불어, 레일부재의 상면으로 하여금 연장판(300)의 일부를 지지한다.
상기 레일부재(110)는 설정 길이의 평면으로 이루어져 연장판(300)의 안착을 허용하는 지지부(111);와, 지지부 일측에 설정 높이로 단턱이 형성되어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의 거치를 허용하는 거치부(112);와, 지지부의 타측에 원형 관체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판의 측부 개입 및 연장판의 슬라이드 운용에 경로를 안내하는 레일부(11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11)는 상면(111-1);과, 상면의 일측에서 직각으로 하향 연장되는 좌측면(111-2);과, 좌측면에서 다시 직각으로 수평 연장되어 상면과 설정 이격된 위치에 중첩 배치되는 저면(111-3);과, 저면의 일측에서 직각으로 상향 연장되어 상면의 일측과 연결되는 우측면(111-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지지부(111)는 연장판(300)이 상면에 적층되도록 설정 면적의 공간을 제공하고, 이렇게 제공된 공간으로 연장판을 수용 및 연장판이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연장판(300)에 적재 내지 수용된 물건으로 인해 가중되는 하중을 연장판과 함께 버티는데 기여하기도 한다. 따라서, 지지부(111)는 상면(111-1)과 저면(111-3) 사이의 빈 공간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면과 저면을 이음하는 설정 두께의 보강살(111-5);이 다수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111)는 상면(111-1) 중 우측면(111-4)과 인접한 위치에서 반원의 완만한 곡면으로 함몰된 소통부(11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통부(111-6)는 연장판(300)이 상판(100)의 상면에 밀착 설치되며, 이렇게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판과 연장판의 접촉면에는 공기의 순환이 방해되어 간혹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진공 상태가 형성되면 상판(100)과 연장판(300) 사이에 흡착력이 발생하게 되고, 흡착력이 발생하게 되면 연장판의 슬라이드 이동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진공 상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판과 연장판 사이에 공기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소통부(111-6)는 상판(100)과 연장판(300)의 접촉면에 소정의 여유 공간을 형성되게 함으로써 해당 공간을 통해 공기의 소통이 이루어져 진공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방지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00)은 중심부에 설정거리를 두고 배치되므로, 중심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빈 공간은 상부와 지면이 서로 소통된 형태로써, 지면에 설치된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들이 해당 빈 공간을 통해 테이블의 상부로 노출되어 취사 준비의 편의를 도모하거나, 또는 서로 이격된 상판 상에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들을 거치 및 설치 가능하게 제공하여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가 테이블의 상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를 상판(100)에 거치되게 하는 것은 거치부(11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치부(112)는 지지부(111)의 좌측면(111-2)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것으로, 저면(111-3)의 연장이라고 보는게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좌 레일부재의 거치부와 우 레일부재의 거치부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가 되고, 이렇게 배치된 거치부(112)는 상판(100)의 빈 공간 상에서 하나의 틀을 완성하게 되며, 해당 틀의 상면으로 캠핑용품과 취사도구의 테두리가 안착되어 거치 또는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더불어, 상기 거치부(112)는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12-1)가 더 돌출 형성되어 캠핌용품이나 취사도구의 걸림을 유도함으로써 거치 및 설치를 더욱 견고하게 하여 안정성 확보에 기여한다. 또한, 상기 돌기(112-1)는 표면에 실리콘으로 코팅하여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와의 마찰을 유도함에 따라 미끄러짐을 적극 방지하여 더욱 안정적인 거치와 설치가 발휘될 수도 있다.
상기 레일부(113)는 지지부(111)로부터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어 연장판(300)의 결합 시 여유공간을 제공하는 연장부(113-1);와, 연장부의 측면에서 원통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삽입되어 연장판의 슬라이드 운용에 경로를 제공하는 삽입부(113-2);와,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반원의 형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해 함몰 형성되어 연장판과 삽입부 사이에 베어링(B)이 삽입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제1베어링홈(113-3);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113-1)는 우측면(111-4)의 상측에서 외측으로 수평 연장된 부위로, 다시 말해 상면(111-1)의 외측으로 더 연장된 형태이다. 상기 연장부(113-1)는 아래 후술할 삽입부(113-2)를 지지부(111)로부터 설정거리 이격시킴으로써 연장판(300) 일부가 지지부와 삽입부의 사이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삽입부(113-2)는 연장부(113-1)의 측부에서 원형 관체의 형태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아래 후술할 연장판(300)의 하우징(320)이 해당 삽입부(113-2)에 끼움 및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판(300)은 상판(100)의 상단에 중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삽입부(113-2)는 상판과 연장판을 서로 결합시킴과 더불어, 슬라이드 운용 시 연장판의 정확한 수평 경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연장판(300)은 설정 넓이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상판(100)의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310);와, 받침부의 양측에 각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판의 레일부재(110)에 끼움되어 받침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유도하는 한 쌍의 하우징(320);과, 받침부의 일측면에 횡 배치되어 한 쌍의 하우징을 받침부에 고정되게 하는 제2마감부재(33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310)는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진 평판으로써, 넓이는 상판의 전체 면적과 대응하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310)는 평소 상판(100)의 상면에 중첩되어 상판이 제공하는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의 거치공간을 차폐하고, 연장판(300)의 슬라이드 이동 시 상판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어 거치공간을 외부로 노출시키는데 기여한다.
상기 하우징(320)은 받침부(310)의 측면 가장자리에 중첩 설치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중첩부(321);와, 중첩부로부터 설정 직경의 갈고리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공간으로 상판(100) 레일부재(110)의 삽입을 허용하는 포위부(322);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포위부(322)는 내경을 따라 반원의 형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해 함몰 형성되어 하우징(320)과 레일부재(110) 사이에 베어링(B)이 삽입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제2베어링홈(322-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베어링홈(322-1)은 포위부(322)의 단면을 기준으로 내경을 따라 12시 방향, 5시 방향, 7시 방향에 각 형성되고, 중첩부(321)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레일부(113)에도 단면을 기준으로 외경을 따라 12시 방향, 5시 방향, 7시 방향에 제1베어링홈(113-3)이 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부(113)과 하우징(320)이 결합되면 제1베어링홈(113-3)과 제2베어링홈(322-1)이 서로 맞닿게 되면서 하나의 원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정에 의해 형성된 원을 베어링홈이라 지칭하며, 상기 베어링홈에 베어링(B)을 삽입함으로써 상판(100)과 연장판(300) 간 안정적인 슬라이드 움직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베어링(B)은 베어링홈과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베어링의 형태는 환봉(Stick)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볼(Ball)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레일부(113)와 포위부(322) 간 발생하는 마찰을 완화시켜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마모 발생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장수명을 보장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200)는 상판(100)에 설치되는 메인다리부(200a);와, 연장판(300)에 설치되는 보조다리부(200b);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메인다리부(200a)는 기본적으로 테이블을 지지하는 기본다리이고, 상기 보조다리부(200b)는 상판(100)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인출된 연장판(300)을 지지하기 위한 보조다리이다.
상기 다리부(200)는 상판(100) 레일부재(110)의 저면과 연장판(300)의 저면에서 하향 연장되는 다수의 브라켓(210);과, 브라켓과 힌지(hinge) 결합방식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된 방향에 따라 지면에 입설되거나 상판 내지 연장판에 접이되는 다수의 입설대(220);와, 상판 상에 설치된 입설대를 상판과 사선으로 연결하여 입설대의 회동 반경을 제한하고, 선택적으로 입설대의 입설된 상태를 임시 고정되게 하는 절첩부(23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다리부(200)는 운반과 보관 시 접이를 통해 상판(100)이나 연장판(300)에 밀착시킴에 따라 부피가 최소화되고, 사용 시 상판과 연장판으로부터 인출한 후 절첩부(230)로 고정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다리부(200)는 하단에 설정 형상의 홈이 다수 형성되며, 해당 홈에 별도로 제공되는 연장다리(221)를 원터치 형태로 결부 및 연결시킴에 따라 테이블의 높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상판(100)의 저부에 스토퍼(130)가 횡 방향으로 설치되어 연장판(300)의 슬라이드 운용에 대한 상판과의 중첩 위치 지정 및 슬라이드 조작 시 발생하는 충격 완화에 기여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휴대용 테이블은 상판으로부터 연장판이 인출되거나 인입되어 테이블의 사용 범위가 자유롭게 조절되고, 더불어 연장다리로 하여금 입설대의 길이가 설정 단위로 조절되므로, 다양한 환경요인과 상황으로부터 테이블의 사용 범위와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장판을 인출할 경우 상판에 마련된 거치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해당 거치부로 하여금 설정의 캠핑용품이나 취사 또는 조리도구 등을 설치, 거치 등이 가능하므로, 테이블이 가진 물건이나 음식물을 올려놓는 등의 기본적인 역할 외에도 다양한 목적과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된다.
또한, 상판과 연장판의 결합 부위에 설정 형상의 베어링이 내장 설치되어 슬라이드 움직임이 보다 정밀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부터 조작에 의한 사용감이 적극 향상되고, 상판과 연장판 간 마찰에 의한 마모가 최소화되어 장수명이 보장되는 등 기존과 차별화된 구조로부터 비롯되는 취급과 사용, 유지 및 관리 보수의 용이함 등으로 인해 사용의 편의성 내지 효율성이 극대화 유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상판 110. 레일부재
120. 제1마감부재 130. 스토퍼
200. 다리부 210. 브라켓
220. 입설대 230. 절첩부
300. 연장판 310. 받침부
320. 하우징 330. 제2마감부재

Claims (6)

  1. 중심부가 길이방향으로 상하 관통되어 캠핑용품 또는 취사도구의 거치 내지 배치가 허용되는 상판(100);과, 상판으로부터 접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상판을 지면으로부터 입설되게 하는 다리부(200);와, 상판에 중첩 설치되며 측방향 슬라이드 운용에 기인하여 테이블의 연장과 상판 노출에 기여하는 연장판(300);으로 구성되는 휴대용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은 중심부에 설정거리를 두고 좌측과 우측에 각 배치되어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가 거치되고,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판(300)의 끼움을 허용하여 연장부의 슬라이드 운용에 경로를 제공하는 레일부재(110); 및 상판 일측에 횡 배치되어 좌·우측의 레일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제1마감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재(110)는 설정 길이의 평면으로 이루어져 연장판(300)의 안착을 허용하는 지지부(111);와, 지지부 일측에 설정 높이로 단턱이 형성되어 캠핑용품이나 취사도구의 거치를 허용하는 거치부(112);와, 지지부의 타측에 원형 관체의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장판의 측부 개입 및 연장판의 슬라이드 운용에 경로를 안내하는 레일부(113);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부(113)는 지지부(111)로부터 외측으로 수평 연장되어 연장판(300)의 결합 시 여유공간을 제공하는 연장부(113-1);와, 연장부의 측면에서 원통형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삽입되어 연장판의 슬라이드 운용에 경로를 제공하는 삽입부(113-2);와,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반원의 형상으로 길이 방향에 대해 함몰 형성되어 연장판과 삽입부 사이에 베어링(B)이 삽입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제1베어링홈(113-3);을 포함하는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B)은 제1베어링홈(113-3)과 대응하는 직경의 환봉 또는 다수의 볼(Ball)인 것을 포함하는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판(300)은,
    설정 넓이의 평판으로 이루어져 상판(100) 상단에 안착되는 받침부(310);
    받침부의 양측에 각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상판의 레일부재(110)에 끼움되어 받침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유도하는 한 쌍의 하우징(320);
    받침부의 일측면에 횡 배치되어 한 쌍의 하우징을 받침부에 고정되게 하는 제2마감부재(330);
    를 포함하는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
KR1020230170422A 2023-11-30 2023-11-30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 KR102641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0422A KR102641439B1 (ko) 2023-11-30 2023-11-30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0422A KR102641439B1 (ko) 2023-11-30 2023-11-30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439B1 true KR102641439B1 (ko) 2024-02-27

Family

ID=9005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0422A KR102641439B1 (ko) 2023-11-30 2023-11-30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4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140U (ko) * 1988-09-30 1990-04-03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카메라의 록크장치
KR101360884B1 (ko) * 2013-08-07 2014-02-12 주식회사 효인산업 다기능 테이블
KR101378387B1 (ko) 2013-03-19 2014-03-25 한경태 캠핑용 다용도 키친테이블
KR101742168B1 (ko) 2014-11-28 2017-06-0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캠핑용 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140U (ko) * 1988-09-30 1990-04-03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카메라의 록크장치
KR101378387B1 (ko) 2013-03-19 2014-03-25 한경태 캠핑용 다용도 키친테이블
KR101360884B1 (ko) * 2013-08-07 2014-02-12 주식회사 효인산업 다기능 테이블
KR101742168B1 (ko) 2014-11-28 2017-06-0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캠핑용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3149B2 (en) Portable cooking grill with folding table panels for communal grilling
US20170340100A1 (en) Foldable Banquet Table and Bench Set
US4067606A (en) Trolley table and seat
KR200447410Y1 (ko) 휴대용 조립식 테이블
MX2008013417A (es) Disposicion de mesa y asientos.
KR101347535B1 (ko) 휴대용 화로
US5375514A (en) Adjustable height table support mechanism
KR102641439B1 (ko) 임의 선택에 의해 공간 확장이 구현되는 슬라이드 인출 타입의 다목적 휴대용 테이블
US20080149002A1 (en) Tiltable space saving table
KR101360884B1 (ko) 다기능 테이블
US6772699B1 (en) Folding picnic table
KR101755304B1 (ko) 휴대용 다용도 접이식 거치대
EP0186942A1 (en) Folding seats, benches and tables
US20240138571A1 (en) Folding chair
JP5352351B2 (ja) イス兼用の杖
US20190254417A1 (en) Collapsible Table System
US6955396B2 (en) Self stabilizing and shock absorbing folding picnic table support structure
US10470560B2 (en) Slidable furniture with in-wall mounting system
KR200464280Y1 (ko) 휴대용 테이블
KR200437388Y1 (ko) 접이식 책 받침대
CN209489746U (zh) 一种新型可折叠卷式便携椅
US20180206645A1 (en) Portable hammock style chair
CN214803103U (zh) 一种折叠式桌椅套装
KR20090005670U (ko) 입식 좌식 겸용 테이블
KR200494643Y1 (ko) 휴대가 가능한 가변형 낚시좌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