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136B1 -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136B1
KR102641136B1 KR1020220016611A KR20220016611A KR102641136B1 KR 102641136 B1 KR102641136 B1 KR 102641136B1 KR 1020220016611 A KR1020220016611 A KR 1020220016611A KR 20220016611 A KR20220016611 A KR 20220016611A KR 102641136 B1 KR102641136 B1 KR 102641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etection
detection module
detection unit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6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20681A (en
Inventor
이승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파워
이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파워, 이승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파워
Priority to KR102022001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136B1/en
Publication of KR2023012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06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1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03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nt heat transfer of samples, e.g. emittance 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01J5/0018Flames, plasma or wel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CO or CO2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09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io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분전반, 수배전반, 인버터, 모터 제어반, 태양광 접속반 및 ESS에 구성된 전기설비; 상기 전기설비에 설치되어 전압 및 전류를 검출을 통해 역률을 조정하는 역률 조정부와, 전면에 렌즈가 부착되어 화재시 발생하는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과 함께 연기를 검출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전달받아 전기사고 위험지수를 산출하고 기준 임계치와 비교하여 전기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본체부; 상기 감지부는 전방에 렌즈를 부착되어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및 가스를 감지하는 제1 감지모듈과, 상기 제1 감지모듈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 감지모듈의 감지결과를 전달받아 2차적으로 전기 사고를 판단하기 위해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적외선 열감지를 위한 적외선 열감지부를 구비한 제2 감지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감지모듈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제1, 제2 감지모듈을 선택적으로 좌우 및 상하로 회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온도 센싱 값과 임계 값을 비교하여 전기화재 발생 온도지수를 산출하여 상기 전기화재 발생 온도지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기설비 내부의 열기를 배출하는 열기 배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a smart hot air discharge system, and includes electrical equipment comprised of a distribution panel, a distribution board, an inverter, a motor control panel, a solar power connection panel, and an ESS; A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install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to adjust the power factor by detecting voltage and current, a detection unit with a lens attached to the front to detect smoke along with infrared, ultraviolet, and visible rays generated in a fire, and A main body unit that receives the detected information, calculates an electrical accident risk index, and compares it with a standard threshol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lectrical accident; The detection unit consists of a first detection module with a lens attached to the front to detect infrared, ultraviolet, visible light and gas, and a second detection module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to receiv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A second detec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to determine an electrical accident and an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infrared heat,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modules is configure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modules. It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selectively rotates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nd calculates an electrical fire occurrence temperature index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modules with a threshold value, and calculates the electrical fire occurrence temperature index according to the electrical fire occurrence temperature index.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hot air discharge unit that is selectively driven to discharge hot air inside the electrical equipment.

Description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device}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ot exhaust system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압 및 전류의 검출을 통해 역률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력품질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분전반, 수배전반, 인버터, 모터 제어반, 태양광 접속반, ESS의 전기설비 접속부 및 전기설비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감지영역을 확대하여 전기적 사고를 검출함과 함께 내부의 열기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a smart hot air discharge system. In particular, it improves power quality by enabling power factor control through detection of voltage and current, as well as distribution boards, distribution boards, inverters, motor control panels, solar power connection panels, By expanding the detection area of ultraviolet rays, visible rays, and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ESS's electrical equipment connections and electrical equipment, it detects electrical accidents and improves power quality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to quickly discharge internal heat. It's about.

일반적으로 배전반(또는 수배전반), 변압 설비, 송전 설비,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등의 전력 설비 및 산업 설비는 온도 환경이 매우 중요하다.In general, the temperature environment is very important in power facilities and 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switchboards (or switchboards), transformer facilities, transmission facilities, motor control panels, and distribution boards.

상기 배전반에는 과전류 및 이상 전류로부터 부하 장치 및 회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대부분 고압 차단기 및 저압 차단기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차단기들은 상호 접속 및 분리를 위하여 부스바(Bus-Bar)와 부스클립(Bus clip)을 사용하여 전기적 접속을 하고 있으며 전원 용량을 고려하여 도전용 금속 소재인 부스바가 적용되고 있다.Most high-voltage breakers and low-voltage breakers are installed in the switchboard to protect load devices and circuits from overcurrent and abnormal current. These breake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using bus-bars and bus clips for mutual connection and separation, and bus-bars, which are conductive metal materials, ar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power capacity.

한편, 고전압 및 고용량의 부스바와 부스클립은 통전이 될 때 주울(Joule) 열에 의해 발열 현상이 발생하며, 접속 및 분리의 반복에 의한 헐거워짐으로써 접속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Meanwhile, high-voltage and high-capacity busbars and bus clips generate heat due to Joule heat when energized, and connection resistance may increase as they become loose due to repeated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일반적으로 전력기기 끝 단의 수많은 단상(비선형) 부하에서 발생하는 영상 고조파 전류에 의해 중성선 전류의 상승, 중성선 온도의 상승, 접지 전압의 상승으로 인해 전력기기(예를 들면, 변압기)의 발열 및 손실이 발생함으로써 전력손실, 열화, 화재의 위험성이 있었다.In general, heat generation and loss in power equipment (e.g., transformers) are caused by an increase in neutral current, an increase in neutral temperature, and an increase in ground voltage due to zero harmonic currents generated from numerous single-phase (nonlinear) loads at the end of power equipment. As this occurred, there was a risk of power loss, deterioration, and fire.

또한, 전력기기 접속 표면의 이물, 산화, 부식 등의 이상 발생에 따라 접속 저항의 변화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과도한 발열로 인한 전력 기기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때로는 화재 등으로 연결되어 큰 재산적 피해가 초래되기도 한다.In addition, changes in connection resistance occur due to abnormalities such as foreign matter, oxidation, and corrosion on the connection surface of the power device, which may result in damage to the power device due to excessive heat generation. Sometimes it can lead to fire, etc., resulting in significant property damage.

그리고 그에 따른 조치로써 전력 차단을 하면, 전력을 공급받는 가동 시설의 중단에 의한 큰 경제적 손실이 초래되며 불안전한 전력 공급이 결국은 안전사고를 야기할 수도 있다.And if power is cut off as a corresponding measure, large economic losses will occur due to the interruption of operating facilities receiving power, and unstable power supply may ultimately cause safety accidents.

이와 같이, 종래의 배전반은 작은 문제점 하나에 의해 후속되는 손실이나 결과가 매우 크고 과도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배전반을 감시하고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그 발생을 예방 할 필요가 있다.In this way, in conventional switchboards, the subsequent losses or consequences due to a single small problem are very large and excessive, so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switchboard in real time and prevent problems before they occur.

또한, 수배전반이나 모터 제어반 또는 복수의 부하에 대한 역률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의 역률 제어는 각종 부하(예; 변압기, 모터, 가전제품, 조명제품 등)에 대하여 각각 별도의 역률 제어를 수행하고 있으며, 각 부하 마다 역률을 제어함에 따라 많은 수의 콘덴서를 이용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factor control of a switchgear, a motor control panel, or a device that performs power factor control for multiple loads performs separate power factor control for each load (e.g., transformers, motors, home appliances, lighting products, etc.). A large number of condensers are used to control the power factor for each load.

여기서, 역률이란 피상전력에 대한 유효전력의 비율을 말한다. 즉, 전체 입력되는 전력 중에 실제로 일을 하는 전력의 비이다. 이러한 역률은 전력 제어나 소비 전력 낭비를 방지하는 기술을 요하는 곳에서 주요한 제어 인자로 활용된다.Here, power factor refers to the ratio of active power to apparent power. In other words, it is the ratio of the power that actually does work out of the total input power. This power factor is used as a key control factor in places that require power control or technology to prevent power consumption waste.

따라서 역률 제어는 목표로 하는 역률만큼 부하의 역률을 높이는 것으로, 전력 설비에서 주로 이용되는 역률 제어 방법은 피상전력을 낮추어 역률을 높인다. 피상전력은 무효전력과 관계가 있으며, 무효전력이 클수록 피상전력이 높아지고 무효전력이 작을수록 피상전력이 낮아진다. 그러므로 무효전력을 낮게 하여 피상전력을 낮추는 것으로 역률을 보상하고 있다.Therefore, power factor control increases the power factor of the load by the target power factor, and the power factor control method mainly used in power facilities increases the power factor by lowering the apparent power. Apparent power is related to reactive power. The larger the reactive power, the higher the apparent power, and the smaller the reactive power, the lower the apparent power. Therefore, the power factor is compensated by lowering the reactive power and lowering the apparent power.

이런 이유로 종래의 수배전반은 많은 콘덴서를 이용함에 따라 설치 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고, 각각의 부하마다 별도로 역률 제어를 해야 함에 따라 별도의 역률 제어기를 설치해야 하고 부하마다 설치해서 부품의 수가 증가하고 역률 제어를 위한 설계가 복잡한 문제가 있었다.For this reason, the conventional switchgear has the problem of high installation costs due to the use of many condensers, and as power factor control must be performed separately for each load, a separate power factor controller must be installed, and by installing it for each load, the number of parts increases and power factor control is required. There were complex design problems for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압 및 전류의 검출을 통해 역률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력품질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분전반, 수배전반, 인버터, 모터 제어반, 태양광 접속반, ESS의 전기설비 접속부 및 전기설비에서 방출되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감지영역을 확대하여 전기적 사고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mproves power quality by enabling power factor control through detection of voltage and current, and also improves power quality in distribution boards, switchboards, inverters, motor control panels, solar power connection panels, and ESS. The purpose is to improve power quality and provide a smart heat exhaust system that can detect electrical accidents by expanding the detection area of ultraviolet rays, visible light, and infrared rays emitted from electrical equipment connections and electrical equipment.

또한, 본 발명은 열기 배출부를 통해 내부의 열기를 보다 신속하여 배출함으로써 수배전반이나 분전반의 열화를 미연에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수명을 연장함과 더불어 전력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eterioration of the switchboard or distribution board by discharging internal heat more quickly through the hot air discharge unit, thereby extending the overall lifespan and improving power quality and smart hot air discharge. There is another purpose in providing the syste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은 분전반, 수배전반, 인버터, 모터 제어반, 태양광 접속반 및 ESS에 구성된 전기설비; 상기 전기설비에 설치되어 전압 및 전류를 검출을 통해 역률을 조정하는 역률 조정부와, 전면에 렌즈가 부착되어 화재시 발생하는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과 함께 연기를 검출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전달받아 전기사고 위험지수를 산출하고 기준 임계치와 비교하여 전기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본체부; 상기 감지부는 전방에 렌즈를 부착되어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및 가스를 감지하는 제1 감지모듈과, 상기 제1 감지모듈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 감지모듈의 감지결과를 전달받아 2차적으로 전기 사고를 판단하기 위해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적외선 열감지를 위한 적외선 열감지부를 구비한 제2 감지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감지모듈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제1, 제2 감지모듈을 선택적으로 좌우 및 상하로 회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온도 센싱 값과 임계 값을 비교하여 전기화재 발생 온도지수를 산출하여 상기 전기화재 발생 온도지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기설비 내부의 열기를 배출하는 열기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감지모듈의 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파라미터를 분석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주제어부가 분석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분석 결과를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lectrical equipment consisting of a distribution panel, a distribution panel, an inverter, a motor control panel, a solar power connection panel, and an ESS; A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install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to adjust the power factor by detecting voltage and current, a detection unit with a lens attached to the front to detect smoke along with infrared, ultraviolet, and visible rays generated in a fire, and A main body unit that receives the detected information, calculates an electrical accident risk index, and compares it with a standard threshol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lectrical accident; The detection unit consists of a first detection module with a lens attached to the front to detect infrared, ultraviolet, visible light and gas, and a second detection module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to receiv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A second detec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to determine an electrical accident and an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infrared heat,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modules is configure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modules. It includes a driving unit that selectively rotates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nd calculates an electrical fire occurrence temperature index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modules with a threshold value, and calculates the electrical fire occurrence temperature index according to the electrical fire occurrence temperature index. It is provided with a hot air discharge unit that is selectively driven to discharge heat inside the electrical equipment, and the main body unit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that receives detection results from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modules and analyzes parameters, and a result analyzed by the main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ain control unit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분전반, 수배전반, 모터 제어반, 인버터, 태양광 접속반, ESS에 전기설비 접속부 및 전기설비 등에서 화재시 발생하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을 감시하기 위해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감시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First, the surveillance range can be expanded by using a lens to monitor ultraviolet rays, visible rays, and infrared rays generated in the event of a fire in distribution boards, switchboards, motor control panels, inverters, solar power connection panels, ESS, and electrical equipment connections. .

둘째, 감지모듈의 각도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시 발생하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감시 범위를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센서의 수를 줄일 수 있다.Second, the angle of the detection module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onitoring range of ultraviolet rays, visible rays, and infrared rays generated during a fire can be expanded,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sensors.

셋째, 화염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감지부, 가스 감지부, 역률 조정부를 전방에 구성하고 적외선 열감지부를 후방에 회전 가능한 회전형 감지모듈로 구성함으로써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부가 기준값 이상의 값을 감지한 경우 적외선 열감지부가 회전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재확인하여 화재발생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Third,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infrared,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to detect a flame, a gas detection unit, and a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are configured in the front, and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is configured as a rotatable detection module in the rear, so that at least one detection unit If a value exceeding the standard value is detected,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rotates to recheck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llowing the user to accurately determine the occurrence of a fire.

넷째, 감지모듈이 동작하지 않을 때 회전하여 적외선 열감지부가 덮개에 의해 보호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적외선 열감지부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accumulating in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by rotating the detection module when it is not operating so that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is protected by a cover.

다섯째, 일측이 내측에 위치하고, 타측이 외측에 위치하게 설치되어 내측의 상황을 감시하면서 위험상황 발생시 외측에서 관리자가 쉽게 위험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Fifth, since one side is located on the inside and the other side is installed on the outside, the manager can easily recognize the dangerous situation from the outside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while monitoring the inside situation.

여섯째, 전압 및 전류를 통해 각 부하에 대하여 역률 제어를 가능하도록 역률 조정부를 구성함으로써 전력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Sixth, power quality can be improved by configuring a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to enable power factor control for each load through voltage and current.

일곱째, 전기화재 발생 온도지수를 FULL 대역으로 산출하고 전기화재 발생 온도 지수가 판별 기준에 상관없이 상승 곡선을 유지할 경우 경보를 발생하여 관리자에게 전기 화재 위험을 알려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 옵션 셋팅을 통해 자체 판단하여 차단기를 OFF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하여 화재로부터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Seventh, the temperature index for electrical fire occurrence is calculated in the FULL band, and if the temperature index for electrical fire occurrence maintains an upward curve regardless of the discrimination criteria, an alarm can be generated to inform the administrator of the risk of electrical fire, and through administrator option settings. You can prevent the risk of fire by performing controls such as turning off the circuit breaker at your own discretion.

여덟째, 열기 배출부를 통해 내부의 열기를 보다 신속하여 배출함으로써 수배전반이나 분전반의 열화를 미연에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수명을 연장함과 더불어 전력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Eighth, by discharging the internal heat more quickly through the hot air discharge part, deterioration of the switchboard or distribution board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reby extending the overall lifespan and improving power qua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의 적외선 열감지부가 흡착 방지 덮개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의 레이저 조사부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의 제1 감지모듈이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의 제1 감지모듈이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이 전기설비에 설치된 상태 단면도
도 8a 내지 8c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의 제1 감지모듈의 회전과 화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사고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0은 도 9의 전기사고 검출방법에서 EFRI를 기준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의 순서도
도 11은 도 2의 열기 배출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와류팬의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도 13은 도 2의 열기 배출부에 대한 동작 설명을 나타낸 순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of Figure 1 in more detail.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at the infrared heat detection part of 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tected by an anti-absorption cover.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aser irradiation unit of 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of 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of 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electrical equipment.
8A to 8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rotation and angle of view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of 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mproving power quality and detecting electrical accidents using a smart heat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flowchart of steps for comparing EFRI with a reference threshold in the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method of Figure 9
Figure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hot air discharge part of Figure 2
Figure 12 is a front view, side view, and rear view of the vortex fan shown in Figure 11.
Figure 13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description of the hot air discharge unit of Figure 2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ttached drawings. Additio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r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never possible.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use the concept of terminology appropriately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clearly.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alternatives may be used to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variations may exis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내부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ot air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ot air exhaust system of Figure 1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의한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률조정 및 전기사고 감지부(100)와 본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factor adjust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unit 100 and a main body unit 200.

여기서, 상기 역률조정 및 전기사고 감지부(100)는 제1 감지모듈(110), 제1 감지모듈 구동부(120), 제2 감지모듈(130), 제2 감지모듈 구동부(140), 및 신호 증폭부(150)를 포함한다.Here, the power factor adjust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unit 100 includes a first detection module 110, a first detection module driver 120, a second detection module 130, a second detection module driver 140, and a signal. Includes an amplifier 150.

상기 제1 감지모듈(110)은 원통형 기둥 형상으로 전방에 형성되는 적외선 감지부(111), 자외선 감지부(112), 가시광선 감지부(113), 가스 감지부(114) 및 역률 조정부(115)를 포함한다.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has an infrared detection unit 111, an ultraviolet detection unit 112, a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3, a gas detection unit 114, and a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115 formed at the front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pillar. ) includes.

일반적으로 빛은 직진, 분산, 굴절, 산란, 합성, 간섭, 회절 그리고 편광 등의 고유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물질 속 빛의 속도는 매질의 파장에 따라 다르며, 굴절률 또한 파장에 따란 변한다. 매질의 고유 스펙트럼 선이나 띠에서 멀어진 영역에서는 정성분산 되지만, 고유 스펙트럼 부근에서는 변칙 분산이 일어난다. In general, light has unique properties such as propagation, dispersion, refraction, scattering, synthesis, interference, diffraction, and polarization. And the speed of light in a material varie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of the medium, and the refractive index also changes depending on the wavelength. Qualitative dispersion occurs in areas that are far from the intrinsic spectrum line or band of the medium, but anomalous dispersion occurs near the intrinsic spectrum.

이러한 빛의 파장대역은 감마선, 엑스레이선, 자외선, 적외선, 가시광선 등으로 구성된다. 기계적으로 발생되는 아크 플래시는 빛과 동일한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파장대역역시 빛과 동일하게 구성된다.This wavelength range of light consists of gamma rays, X-ray rays, ultraviolet rays, infrared rays, and visible rays. Mechanically generated arc flash is composed of the same components as light, and its wavelength band is also composed of the same as light.

따라서, 정확한 아크 플래시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파장대역을 검출하여야 한다. 빛은 직진과 분산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렌즈를 사용한다.Therefore, in order to accurately detect arc flash, various wavelength bands must be detected. Light has the properties of traveling straight and dispersing, and to utilize this effectively, a lens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적외선 감지부(111)는 분전반, 수배전반, 인버터, 모터 제어반, 태양광 접속반 및 ESS 등에 해당하는 전기설비 내부에서 발화된 화염의 4.3~4.4㎛에 해당하는 적외선 파장에 대한 감도를 측정하고, 바람직하게는 4.3㎛파장대의 화염을 감지한다.The infrared detection unit 111 measures sensitivity to the infrared wavelength corresponding to 4.3-4.4㎛ of the flame ignited inside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distribution board, switchboard, inverter, motor control panel, solar power connection panel, and ESS, Preferably, flames in the 4.3㎛ wavelength range are detected.

상기 적외선 감지부(111)는 탄화수소로부터 생겨난 화염으로부터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데,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의 적외선 흡수 파장대는 4.0~4.8㎛ NBF(Narrow Band Filter) 필터(filter chip)로 이루어져 적외선을 감지한다. The infrared detection unit 111 generates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from a flame generated from hydrocarbons, and the infrared absorption wavelength range of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is made up of a 4.0-4.8㎛ NBF (Narrow Band Filter) filter chip to detect infrared rays.

한편, 연소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가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파장은 대략 4.3um의 적외선 영역에서 공명방사가 존재한다.Meanwhile, the wavelength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combustion exists in the infrared region of approximately 4.3um.

이는 물체의 연소열에 의해 열을 받을 이산화탄소 특유의 분광 특성인데, 상기 적외선 흡수파장대는 4.0㎛~4.8㎛이다.This is a spectral characteristic unique to carbon dioxide that is heated by the combustion heat of an object, and the infrared absorption wavelength range is 4.0㎛~4.8㎛.

상기 적외선 감지부(111)는 상기 공명방사를 검출하기 위하여 4.3~4.4㎛의 적외선 대역 통과 필터(infrared band pass filter)가 사용된다.The infrared detection unit 111 uses an infrared band pass filter of 4.3 to 4.4 μm to detect the resonance radiation.

상기 자외선 감지부(112)는 200~400㎚의 코로나방전 범위 중, 매우 짧은 파장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기존의 다른 파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잡음이 적은 380~390㎚ 파장대역을 검출한다.The ultraviolet detection unit 112 is concentrated in a very short wavelength band among the corona discharge range of 200 to 400 nm, and detects the 380 to 390 nm wavelength band, which has relatively less noise compared to other existing wavelengths.

상기 가시광선 감지부(113)는 400㎚~780㎚의 가시광선 파장에 대한 감도를 검출하며, 더욱 정확히는 430㎚~470㎚, 530㎚~570㎚, 또는 630㎚~670㎚ 1곳~3곳에 피크(peak)를 검출하여 가시광선을 측정한다.The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3 detects sensitivity to visible light wavelengths of 400 nm to 780 nm, more precisely, 430 nm to 470 nm, 530 nm to 570 nm, or 630 nm to 670 nm in one to three locations. Measure visible light by detecting the peak.

상기 가스 감지부(114)는 고체의 표면과 기체와의 반응을 이용한 세라믹반도체 가스센서에 해당되며, 고체 표면의 동작온도에 따른 흡착반응에 의해 CO를 감지한다.The gas detection unit 114 corresponds to a ceramic semiconductor gas sensor that uses the reaction between the surface of a solid and gas, and detects CO through an adsorption react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solid surface.

상기 역률 조정부(115)는 분전반, 수배전반, 인버터, 모터 제어반, 태양광 접속반 및 ESS 등에 해당하는 전기설비에 대한 전압과 전류를 통해 역률을 조정한다.The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115 adjusts the power factor through the voltage and current of electrical equipment corresponding to a distribution panel, switchboard, inverter, motor control panel, solar power connection panel, and ESS.

이때 상기 역률 조정부(115)는 부하측의 전압 및 전류를 검출함에 따라 최적의 무효전력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무효전력에 대한 콘덴서의 용량을 학습하도록 하며, 상기 학습된 콘덴서의 용량에 근거하여 무효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역률을 자동으로 보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115 calculates the optimal reactive power by detecting the voltage and current on the load side, learns the capacity of the condenser for the calculated reactive power, and learns the capacity of the condenser for the calculated reactive power. By controlling the power, the power factor can be automatically compensated.

한편, 상기 역률 조정부(115)는 전압 및 전류뿐만 아니라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함께 검출하여 설정 값 이상인 경우 콘덴서의 용량에 따라 역률 제어신를 출력한다.Meanwhile, the power factor adjusting unit 115 detects not only voltage and current, but also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and outputs a power factor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condenser when it is greater than a set value.

또한, 상기 역률 조정부(115)는 복수의 부하에 대하여 역률 제어가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부하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역률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역률 제어는 대상 부하에 대하여 얼마만큼의 역률을 높일 것인지를 판단하여 역률 제어를 실시 즉, 역률 조정량이 얼마인지를 파악하여 역률을 제어한다.Additionally, the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115 can perform power factor control for at least one load that requires power factor control for a plurality of loads. Meanwhile, the power factor control determines how much to increase the power factor for the target load and performs power factor control. That is, the power factor is controlled by determining how much the power factor adjustment amount is.

따라서 상기 역률 조정부(115)는 복수의 부하 중 대상 부하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대상 부하가 있으면 각 대상 부하에 대한 역률 조정량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refore, the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115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target load among the plurality of loads, and if there is a target load, it performs a function of determining the power factor adjustment amount for each target load.

한편, 상기 역률 조정부(115)는 각 부하에 대한 역률 제어가 가능한 최소 개수의 역률 조정 소자(예를 들면, 콘덴서 또는 리액터)를 이용한다. 이때 복수의 역률 조정 소자는 동일한 용량(즉, 역률 보상량이 동일)이거나, 서로 다른 용량일 수 있으며, 동일한 용량과 서로 다른 용량이 혼재되어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115 uses the minimum number of power factor adjustment elements (for example, condensers or reactors) capable of controlling the power factor for each loa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power factor adjustment elements may have the same capacity (i.e., the power factor compensation amount is the same), may have different capacities, or may be composed of a mixture of the same capacity and different capacity.

이러한 환경에서 상기 역률 조정부(115)는 하나의 대상 부하에 복수의 역률조정소자 중 역률 조정량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역률조정소자를 투입(연결)시켜 역률 조절을 실시한다. 다만 대상 부하가 2개인 경우에 2번째 대상부하는 첫 번째 대상 부하에 투입된 역률조정소자를 제외한 나머지 역률조정소자 중에서 역률 조정량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역률조정소자를 투입(연결)시켜 역률 조절을 한다. 물론 대상 부하가 3개 이상이면 세 번째 및 네 번째는 역률 조절시에 이전 번째 대상 부하에 투입된 역률조정소자를 제외한 나머지 역률조정소자를 이용한다.In this environment, the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115 performs power factor adjustment by inputting (connecting) at least one power factor adjustment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power factor adjustment amount among a plurality of power factor adjustment elements to one target load. However, when there are two target loads, the second target load performs power factor adjustment by inputting (connecting) at least one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ower factor adjustment amount among the remaining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s excluding the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inputted to the first target load. do. Of course, if there are three or more target loads, the third and fourth load factors are used when adjusting the power factor, excluding the power factor adjustment device input to the previous target load.

이러한 이유로 상기 역률 조정부(115)는 대상 부하가 발견되면 어떠한 대상 부하에 어떠한 역률조정소자를 투입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콘덴서를 해당 부하에 투입시키는 선택적 제어를 수행한다. 여기서 선택적 제어는 하나의 역률조정소자를 어떠한 부하에 연결(투입)시키는지를 결정하는 제어 동작이다.For this reason, when the target load is found, the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115 determines which power factor adjustment element to be input to which target load and performs selective control to input the condenser according to the judgment result to the corresponding load. Here, selective control is a control operation that determines which load one power factor adjustment element is connected to (applied to).

한편, 대상 부하가 복수개인 경우에 역률 조정부(115)는 랜덤(random)하게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역률 제어를 하거나,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역률 제어를 한다. 물론 우선 순위가 높을수록 역률 제어 순서가 빠르다.Meanwhile, when there are multiple target loads, the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115 randomly determines the priority and performs power factor control, or performs power factor control according to the set priority. Of course, the higher the priority, the faster the power factor control sequence.

상기 제1 감지모듈 구동부(120)는 제1 시작점 검출부(121) 및 제1 스테퍼 모터(122)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감지모듈(110)이 좌우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detection module driving unit 120 includes a first starting point detection unit 121 and a first stepper motor 122, allowing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to rotate left and right.

상기 제1 시작점 검출부(121)는 상기 제1 스테퍼 모터(122)가 단순하게 시작점을 산출하기 어려워 원형자석을 회전체에 삽입하여, 해당 원형자석을 인지할 수 있는 자화 센서를 시작점에 배치하여 정확한 시작점을 검출할 수 있도록하여, 해당 제1 스테퍼 모터(122)가 회전 후에도 시작점으로 상기 제1 감지모듈 구동부(120)를 회전시켜 원위치 시킬 수 있도록 한다. Since it is difficult for the first stepper motor 122 to simply calculate the starting point, the first starting point detection unit 121 inserts a circular magnet into a rotating body and places a magnetization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circular magnet at the starting point to provide accurate By detecting the starting point, the first detection module driver 120 can be rotated to the starting point even after the first stepper motor 122 rotate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상기 제1 스테퍼 모터(122)는 상기 제1 감지모듈(110)과 연결되어, 해당 제1 감지모듈(110)을 좌우회전시킴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착 방지 덮개(133)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후방의 제2 감지모듈(130)을 전방으로 배치한다.The first stepper motor 122 is connected to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and rotates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left and right to attach to the anti-adsorption cover 133, as shown in FIG. 3. The rear second detection module 130, which is protected, is placed forward.

이때, 전방에 위치하여 빛의 종류 및 세기를 측정하는 상기 적외선 감지부(111), 자외선 감지부(112), 및 가시광선 감지부(113)는 상기 흡착 방지 덮개(133) 후방으로 위치하여 암실에서 교정 또는 고장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고,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 사실을 전달하여 경보부(208)나 표시부(209)를 통해 작업자나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infrared detection unit 111, ultraviolet detection unit 112, and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3, which are located in the front and measure the type and intensity of light, are located behind the anti-absorption cover 133 to create a dark room. Correction or failure determination can be made, and if a failure occurs, the fact of the failure is transmitted so that the worker or manager can check it through the alarm unit 208 or the display unit 209.

한편, 상기 제2 감지모듈(130)은 상기 제1 감지모듈(110)과 일체로 해당 제1 감지모듈(110) 후방에 형성된다.Meanwhile,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and behind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특히, 상기 제2 감지모듈(130)은 제2 비접촉식 온도센서(131)와 적외선 열감지부(132)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includes a second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31 and an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상기 제2 비접촉식 온도센서(131)는 온도상승과 함께 저항값이 감소되는 성질, 부저항 온도계수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부온도계수(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로 온도변화를 검출한다.The second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31 detects temperature changes using a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NTC), which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negative resistance temperature coefficient and a property in which the resistance value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rises.

한편, 상기 부온도계수의 외부는 엑폭시로 절연처리되어 정전기 방전(ESD: Electro Static Discharge)에 의한 부품 소손을 방지한다.Meanwhile, the outside of the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is insulated with epoxy to prevent component damage due to electrostatic discharge (ESD).

즉, 상기 제2 비접촉식 온도센서(131)는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전기저항이 급속히 떨어지는 성질을 이용해 온도변화를 측정하는 부온도계수 방식을 적용하여 주변 온도를 감지한다.That is, the second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31 detects the surrounding temperature by applying a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method to measure temperature change by using the property that electrical resistance drops rapidly when the voltage rises above a certain level.

이때, 상기 제2 비접촉식 온도센서(131)에서 측정한 온도 값은 상기 흡착 방지 덮개(133)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상기 적외선 열감지부(132)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 값과 비교되어, 해당 적외선 열감지부(132)의 고장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 값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31 is compared with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protected by the adsorption prevention cover 133, It is desirable tha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failure of (132).

또한 이때, 상기 적외선 열감지부(132)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센서 사실을 전달하여 경보부(208)나 표시부(209)를 통해 작업자나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Also, at this time, if a failure occurs in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the fact that the sensor has failed is transmitted so that the worker or manager can check it through the alarm unit 208 or the display unit 209.

상기 적외선 열감지부(132)는 물체에서 방사(복사)하는 적외선의 양을 측정하여 표면의 온도를 측정한다.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measures the surface temperature by measuring the amount of infrared rays emitted (radiated) from the object.

즉, 상기 적외선 열감지부(132)는 물체에서 방출하는 적외선 복사열을 측정하고 측정된 적외선 복사열 값을 기반으로 온도를 계산한다.That is,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measures infrared radiant heat emitted from an object and calculates the temperature based on the measured infrared radiant heat value.

한편, 전기화재 발생시, 동시에 발생하는 매연(연기)에 의해 상기 제1 감지모듈(200)의 전방으로 형성된 적외선 감지부(111), 자외선 감지부(112), 가시광선 감지부(113), 및 가스 감지부(114)의 측정값에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Meanwhile, when an electrical fire occurs, an infrared detection unit 111, an ultraviolet detection unit 112, a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3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200 by the exhaust (smoke) generated simultaneously, and The accuracy of the measured value of the gas detection unit 114 decreases.

이때, 상기 제1 감지모듈(110)의 후방으로 형성된 제2 감지모듈(130)의 제2 비접촉식 온도센서(131)와 적외선 열감지부(132)가 전방으로 위치하여 적외선으로 열을 감지해 높은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화재발생을 확실하게 판단해 준다.At this time, the second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31 and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of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formed behind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are located forward and detect heat with infrared rays to detect high temperature. By detecting, it reliably determines the occurrence of a fire.

상술한 바와 같은 적외선 열감지부(132)는 비접촉식 측정이 가능하고, 표면온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점검하여 열화여부를 진단할 수 있고, 측정대상에 직접 닿지 않고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자체의 파손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as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non-contact measurement, can quickly and accurately check the surface temperature to diagnose deterioration, and can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because measurement is possible without direct contact with the measurement object. In addition, damage to the device itself can be minimized.

특히, 상기 적외선 열감지부(132)는 고온의 측정 대상을 안전하게 측정할 수 있고, 측정 대상을 손상 또는 파손하지 않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고, 공정을 방해하지 않고 측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산업현장의 설비를 중단하지 않고 측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시설 가동 중단으로 인한 불필요한 비용 사용을 막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can safely measure a high temperature measurement object, perform measurement without damaging or destroying the measurement object, and perform measurement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rocess, and can be used at industrial sites. Since measurements can be performed without stopping the equipment, unnecessary costs due to facility downtime can be prevented.

하지만, 상기 적외선 열감지부(132)는 투명 유리 및 아크릴을 투과할 수 없어 정면에 투명 유리 또는 아크릴과 같은 렌즈를 형성할 수 없어, 그만큼 이물질이 침투확률이 높아, 이물질의 침투를 최소화하기 위해 제1 감지모듈(110)의 회전으로 후방에 위치하여 먼지 흡착 방지 덮개(133)에 의해 보호를 받는다.However,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cannot penetrate transparent glass and acrylic, so a lens such as transparent glass or acrylic cannot be formed on the front, so the probability of foreign substances penetrating is high, so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penetration of foreign substances. 1 It is located at the rear due to the rotation of the detection module 110 and is protected by the dust absorption prevention cover 133.

상기 제2 감지모듈 구동부(140)는 제2 시작점 검출부(141)와 제2 스테퍼 모터(142)를 포함하여 상기 제2 감지모듈(130)이 상하로 회동하도록 구동시킨다.The second detection module driving unit 140 includes a second starting point detection unit 141 and a second stepper motor 142 and drives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to rotate up and down.

상기 제2 시작점 검출부(141)는 상기 제2 스테퍼 모터(142)가 단순하게 시작점을 산출하기 어려워 원형자석을 회전체에 삽입하여, 해당 원형자석을 인지할 수 있는 자화 센서를 시작점에 배치하여 정확한 시작점을 검출할 수 있도록하여, 해당 제2 스테퍼 모터(142)가 회전 후에도 시작점으로 상기 제2 감지모듈 구동부(140)를 회전시켜 원위치 시킨다. Since it is difficult for the second stepper motor 142 to simply calculate the starting point, the second starting point detection unit 141 inserts a circular magnet into a rotating body and places a magnetization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circular magnet at the starting point to provide accurate In order to detect the starting point, the second detection module driver 140 is rotated to the starting point even after the second stepper motor 142 rotates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상기 제2 스테퍼 모터(142)는 상기 제2 감지모듈(130)과 연결되어, 해당 제2 감지모듈(130)을 회전시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stepper motor 142 is connected to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and rotates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to move it up and down.

상기 신호 증폭부(150)는 증폭회로가 탑재되어, 상기 제1 감지모듈(110)의 센서들이 감지한 신호를 수신하여 필요한 경우 상기 본체부(200)의 주제어부(201)에서 분석이 용이하도록 증폭시켜 줌으로써, 이상발진 및 외부 주파수로 유도되는 리플없는 이상적인 값을 생성 검출능력을 향상시킨다.The signal amplifier 150 is equipped with an amplifier circuit to receive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s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so that it can be easily analyzed by the main control unit 201 of the main body 200 when necessary. By amplifying, the detection ability is improved by generating an ideal value without abnormal oscillations or ripples induced by external frequencies.

상기 역률보상 및 전기사고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최종적으로 전기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본체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제어부(201), 표시등(202), 에어로졸 구동부(203), 제1 접촉식 온도센서(204), 통신부(205), 감전전압 검출부(206), 비상전원부(207), 경보부(208), 표시부(209), 제1 비접촉식 온도센서(210), 조작부(211), 프로그램 라이팅단자(212), 및 레이저 조사부(213), 열기 배출부(214), 제2 접촉식 온도센서(215)를 포함하여, 전기 화재발생 위험지수(EFRI:Electric Fire Risk Index)를 산출하여 기준 임계치와의 크기 비교를 통해 상기 제1 감지모듈(110)과 제2 감지모듈(130)을 제어하여 온도값에 따라 상이한 기준 임계치로 화재발생을 판단한 후, 메시지, 음성, 불빛으로 내부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The main body unit 200, which receives the signal detected by the power factor correction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unit 100 and ultimately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n electric fire,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201 and an indicator light 202, as shown in FIG. 2. , aerosol driving unit 203, first contact temperature sensor 204, communication unit 205, electric shock voltage detection unit 206, emergency power unit 207, alarm unit 208, display unit 209, first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210), a control unit 211, a program writing terminal 212, a laser irradiation unit 213, a hot air discharge unit 214, and a second contact temperature sensor 215, including an electrical fire risk index (EFRI). :Electric Fire Risk Index) is calculated and the size is compared with the standard threshold to control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to determine the occurrence of a fire with different reference threshold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value, You can check the internal situation through messages, voices, and lights.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제1 감지모듈(110)의 센서들이 감지한 신호가 아날로그인 정보들에 대해 분석을 통해 디지털 신호로 정보화하고, 즉 디지털로 신호처리 한다.The main control unit 201 analyzes the analog signals detected by the sensors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and converts them into digital signals, that is, digital signal processing.

상기 표시등(202)은 상기 제1 감지모듈(110)의 감지부들이 감지한 값을 상기 주제어부(201)가 수신하여 분석한 결과 터무니없는 값인 경우 고장 또는 점검으로 판단하면, 이를 색상, 또는 깜빡거림 패턴으로 점검 요청을 표시하여 작업자나 관리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indicator light 202 receives and analyzes the valu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s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and if the main control unit 201 determines that the value is an absurd value, a malfunction or inspection, it displays a color, or Inspection requests are displayed in a blinking pattern so that workers or managers can check them from outside.

상기 에어로졸 구동부(203)는 전기화재 판단시 DC 12V 100mA 출력하는 출력부 또는 AUX의 접점부로 사용될 수 있다.The aerosol driving unit 203 can be used as an output unit that outputs DC 12V 100mA when determining an electric fire or as an AUX contact unit.

상기 제1 접촉식 온도센서(204)는 전기설비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스바 온도를 접촉식으로 측정하여, 임계치 이상의 온도가 측정된 경우 해당 부스바의 열화를 상기 경보부(208)나 표시부(209)를 통해 조기에 알림을 발생시켜 열화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contact temperature sensor 204 measures the temperature of one or more busbars in the electrical equipment by contact, and when a temperature exceeding a threshold is measured, the alarm unit 208 or the display unit 209 indicates deterioration of the corresponding busbar. ) to prevent deterioration by generating early notification.

예를 들어, 부스바 접속부 온도 50℃, 온도상승한도 25℃, 주위온도 40℃ 일 때, 최대 허용 온도 = 온도상승 한도(25℃) + 주위온도(40℃) = 25 + 40 = 65℃이다.For example, when the busbar connection temperature is 50℃, temperature rise limit is 25℃, and ambient temperature is 40℃, the maximum allowable temperature = temperature rise limit (25℃) + ambient temperature (40℃) = 25 + 40 = 65℃. .

상기 제1 접촉식 온도센서(204)는 (부스바 온도-주위온도) Υ 계수(1.1~1.25) < 온도상승 한도(25℃)를 통해 내부온도 적합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계산식을 통해 12.5℃ < 25℃이므로 내부온도가 적합한 것으로 판단한다. The first contact temperature sensor 204 determines whether the internal temperature is suitable through the (busbar temperature-ambient temperature) Υ coefficient (1.1 to 1.25) < temperature rise limit (25°C), and determines whether the internal temperature is 12.5°C through the above calculation formula. Since it is <25℃, the internal temperature is judged to be suitable.

즉, 상기 제1 접촉식 온도센서(204)는 온도를 비교하고 (부스닥트 온도-주위온도) X 계수(1.1 ~1.25) < 온도상승 한도(25도) 계산식을 통해 이상온도 기준 65도 보다 5도 낮게 관리 하여 부스닥트 의 열화 위험을 조기에 검출 한다.That is, the first contact temperature sensor 204 compares the temperature (bus duct temperature - ambient temperature) and calculates 5 degrees higher than the ideal temperature standard of 65 degrees through the calculation formula By keeping the temperature low, the risk of bus duct deterioration is detected early.

상기 통신부(205)는 IC2C, RS485, MOD-BUS, Wife, Can, Bluetoots 중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외부 서버, 또는 전기설비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스마트 단말기와 통신하면서, 상기 제1 감지모듈(110) 또는 제2 감지모듈(130)이 감지한 감지정보를 해당 외부서버에 전달하여 상기 전기설비의 내부 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05 is equipped with one or more communication modules among IC2C, RS485, MOD-BUS, Wife, Can, and Bluetooth, and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server or a smart terminal of the manager who manages the electrical equipment, while detecting the first The detec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dule 110 or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is transmitted to the relevant external server so that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electrical equipment can be checked.

상기 감전전압 검출부(206)는 MCCB의 N상과 외함과의 전압을 측정하여 인체 감전전압을 실시간 확인한다.The electric shock voltage detection unit 206 measures the voltage between the N phase of the MCCB and the enclosure to check the electric shock voltage of the human body in real time.

특히, 상기 감전전압 검출부(206)는 10V미만을 정상, 10V이상 20V미만을 주의, 20V이상 30V 미만을 점검, 그리고 30V이상을 긴급으로 검출하여 표시하거나, 상기 통신부(205)를 통해 알릴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lectric shock voltage detection unit 206 detects and displays less than 10V as normal, 10V to less than 20V as caution, 20V to less than 30V as inspection, and 30V or more as emergency, or may notify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05. .

감전에 의한 인체의 반응 및 사망의 한계는 그 속성상 인체실험이 어렵고, 또 어떠한 실험결과가 나와도 그것은 검증이 어렵다는 점과 인간의 다양성, 재해 당시의 상황변수 등의 이유로 획일적으로 정하기는 어렵지만, 인체의 감전 시 그 위험도는 통전전류의 크기, 통전시간, 통전경로, 및 전원의 종류에 의해 거의 결정된다.The limits of the human body's reaction and death due to electric shock are difficult to determine uniformly due to the fact that human experiments are difficult due to their nature, and no matter what experiment results are obtained, they are difficult to verify, human diversity, and situational variables at the time of the disaster. The degree of risk in the event of electric shock is largely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energized current, energized time, energized path, and type of power source.

인체에 대한 감전의 영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전기신호가 신경과 근육을 자극해서 정상적인 기능을 저해하며, 호흡정지 또는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현상이며, 둘째는 전기에너지가 생체조직의 파괴, 손상 등의 구조적 손상을 일으키는 것이다.The effects of electric shock on the human body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wo types. First, the electrical signal stimulates nerves and muscles, impeding normal function and causing respiratory arrest or ventricular fibrillation. Second, the electrical energy is a phenomenon in which biological tissue is damaged. It causes structural damage such as destruction or damage.

상기 비상전원부(207)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로 평상시 충전, 전기화재 발생시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emergency power unit 207 is a lithium polymer battery that is normally charged and can be used by supplying power on its own when the power is cut off in the event of an electric fire.

상기 경보부(208)는 상기 제1 감지모듈(110) 또는 제2 감지모듈(130)에 포함된 감지부들이 감지한 값을 소리로 출력하거나, 위험한 상황인 경우 경고 메시지나 경고음 등을 출력한다.The alarm unit 208 outputs the value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s included in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or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as sound, or outputs a warning message or warning sound in case of a dangerous situation.

상기 표시부(209)는 적외선 감지부(111), 자외선 감지부(112), 가시광선 감지부(113), 가스 감지부(114), 및 적외선 열감지부(132)가 감지한 값을 표시할 수도 있고, 감지한 값에 의해 화재발생 위험이 예상되는 경우 이를 표시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209 may display values detected by the infrared detection unit 111, ultraviolet detection unit 112,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3, gas detection unit 114, and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And, if a risk of fire is expected based on the detected value, this can be displayed.

상기 제1 비접촉식 온도센서(210)는 상기 제2 비접촉식 온도센서(131)와 마찬가지로 온도상승과 함께 저항값이 감소되는 메커니즘에 의해 수배전반과 같은 전기설비의 내부 온도를 검출한다.Like the second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31, the first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210 detect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a switchboard by a mechanism in which resistance value decreases as temperature rises.

상기 조작부(211)는 상기 본체부(200) 표면에 형성되어 업키, 다운키, 메뉴키, 엔터키 등이 구비되어, 상기 제1 감지모듈(110) 또는 제2 감지모듈(130)이 작동하는 것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unit 21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and is provided with an up key, a down key, a menu key, an enter key, etc., to operate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or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can be set by the user.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11)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1 감지모듈(110)의 전방에 형성된, 적외선 감지부(111), 자외선 감지부(112), 가시광선 감지부(113), 및 가스 감지부(114), 또는 상기 제2 감지모듈(130)에 형성된 제2 비접촉식 온도센서(131) 또는 적외선 열감지부(132) 중, 어느 하나의 감지부만을 동작하게 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부를 동작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적외선 감지부(111), 자외선 감지부(112), 가시광선 감지부(113), 및 가스 감지부(114)의 동작에 따라 제2 감지모듈(130)을 동작하게 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211 to detect the infrared detection unit 111, the ultraviolet detection unit 112, the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3, And only one of the gas detection unit 114, the second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31 formed in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or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is operated, or more than one detection unit is operated.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111, ultraviolet detection unit 112,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3, and gas detection unit 114. You can also do it.

상기 프로그램 라이팅단자(212)는 PC, 노트북, 또는 스마트 기기 등이 연결되어 복수 레이다 수광렌즈를 이용한 광센서 및 가스센서가 적용된 전기화재 검출 시스템이 작동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제거하거나, 추가하고, 업데이트 시키기 위한 구성이다.The program writing terminal 212 is connected to a PC, laptop, or smart device to remove, add, or update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an electric fire detection system using an optical sensor and a gas sensor using multiple radar light-receiving lenses. It is configured to do so.

상기 레이저 조사부(2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설비(2)의 외측에 형성되어 전기설비(2)의 내측 상황을 관리자 등에게 용이하게 알리 수 있도록 고휘도의 레이저광을 지면이나 벽면 등에 조사한다.The laser irradiation unit 213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electrical equipment 2, as shown in FIG. 4, and emits high-brightness laser light to the ground or wall, etc. to easily inform the manager of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electrical equipment 2. Investigate.

즉, 상기 레이저 조사부(213)는 위험 발생시 위험표시를 바닥에 선명하게 표시하는데, 즉 적색으로 표시하여 관리자 및 사용자에게 위험을 알려 신속하게 위험에서 탈출 또는 보수를 용이하게 한다.That is, the laser irradiation unit 213 clearly displays a danger mark on the floor when a danger occurs, that is, displays it in red to inform managers and users of the danger and facilitate quick escape from danger or repair.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213)는 강한 레이저로 바닥을 향해 위험 표시를 비출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 장소에 맞게 녹색, 파란색, 적색 중 선택되어 장착될 수도 있고, 녹색, 파란색, 적색이 하나로 통합되어 장착되어 상황에 따라 상이한 불빛의 레이저를 조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ser irradiation unit 213 can illuminate a danger sign toward the floor with a strong laser. For example, it can be mounted in a selection of green, blue, and r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use, or green, blue, and red can be integrated into one. It is equipped with a laser that can emit different lights depending on the situation.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213)는 접근금지, 전기위험, 또는 화재위험 등 다양한 경고표시를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aser irradiation unit 213 can display various warning signs such as no access, electrical hazard, or fire hazard.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부(213)는 연기를 투과할 수 있는 레이저로 비상유도 방향지시를 표시하거나 소화기의 보관위치를 지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ser irradiation unit 213 is a laser capable of penetrating smoke and can display emergency guidance directions or indicate a storage location for a fire extinguisher.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률조정 및 전기사고 감지부(100)가 본체부(200)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ower factor adjust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unit 100 is rotatable in the main body 200, as shown in FIG. 5. has

즉, 상기 제1 감지모듈(110)은 적외선 감지부(111), 자외선 감지부(112), 가시광선 감지부(113), 가스 감지부(114) 및 역률 조정부(115)가 전방으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제2 비접촉식 온도센서(131)와 적외선 열감지부(132)로 구성된 제2 감지모듈(130)이 형성되어 있는데, 평시에는 적외선 감지부(111), 자외선 감지부(112), 가시광선 감지부(113), 및 가스 감지부(114)가 전방에 위치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시에만 회전하여 제2 비접촉식 온도센서(131)와 적외선 열감지부(132)로 구성된 후방의 제2 감지모듈(130)이 전방으로 위치하여 구동된다.That is,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has an infrared detection unit 111, an ultraviolet detection unit 112, a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3, a gas detection unit 114, and a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115 formed at the front. , A second detection module 130 is formed at the rear, consisting of a second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31 and an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In normal times, an infrared detection unit 111, an ultraviolet ray detection unit 112, and a visible light sensor are used. The detection unit 113 and the gas detection unit 114 are located at the front, and as shown in FIG. 6, they rotate only when necessary, and the second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31 and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at the rear are located. 2 The detection module 130 is positioned forward and driven.

즉, 상기 제1 감지모듈(110)은 1차로 전방에 형성된 적외선 감지부(111), 자외선 감지부(112), 가시광선 감지부(113), 및 가스 감지부(114)가 전기설비(2) 내부의 화재발생 위험을 감지하고, 2차로 화재발생 위험을 확인하기 위해 회전하여 후방의 적외선 열감지부(132)가 전방으로 위치한 후, 전기설비(2) 내부의 화재발생 위험을 감지한다.That is,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includes an infrared detection unit 111, an ultraviolet detection unit 112, a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3, and a gas detection unit 114 formed in front of the electrical equipment (2). ) Detects the risk of fire inside, and rotates to secondarily check the risk of fire, so that the rear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is positioned forward, and then detects the risk of fire inside the electrical equipment (2).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용차단기, 분전반, 수배전반, 인버터, 모터 제어반, 태양광접속반, ESS에 전기설비 접속부 및 전기설비 등과 같은 전기설비(2)에 설치된다.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provides electricity to the molded circuit breaker, distribution board, distribution board, inverter, motor control panel, solar power connection panel, and ESS as shown in FIG. It is installed in electrical equipment (2) such as equipment connections and electrical equipment.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1)는 일측이 상기 전기설비(2)의 내측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전기설비(2)의 외측에 형성되게 설치된다.In particular, 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ot air discharge system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so that one side is formed inside the electrical equipment (2)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outside the electrical equipment (2).

즉, 일측이 상기 전기설비(2)의 내측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전기설비(2)의 외측에 형성되게 설치되는 것은, 전기설비(2) 내측의 상황을 감시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외측에 형성되는 고휘도의 상기 레이저 조사부(213)를 통해 지면이나 벽면 등에 표시하여 전기설비(2)의 내측 상황을 관리자 등에게 용이하게 알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That is, the installation so that one side is formed inside the electrical equipment 2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outside the electrical equipment 2 is to monitor the situation inside the electrical equipment 2, referring to FIG. 4. As already mentioned, the purpose is to display the information on the ground or wall through the high-brightness laser irradiation unit 213 formed on the outside to easily inform managers and others of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electrical equipment 2.

한편, 상기 제1 감지모듈(100)의 전방으로 형성되는 적외선 감지부(111), 자외선 감지부(112), 및 가시광선 감지부(113)와 후방으로 형성되는 적외선 열감지부(132)들은 화염 발생시 발생하는 광을 수광하여 그 물리량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광을 수광하기 위해 최전방으로 수광렌즈(10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infrared detection unit 111, ultraviolet detection unit 112, and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3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100 and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formed behind the flame The physical quantity is sensed by receiving the light generated when generat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light receiving lens 101 is formed at the forefront to receive the light.

상술한 바와 같은 수광렌즈(101)가 포함되어 상기 제1 감지모듈(110)의 전방으로 형성되는 적외선 감지부(111), 자외선 감지부(112), 및 가시광선 감지부(113)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렌즈(101) 자체의 화각 120°와 제1 감지모듈(110)의 최대 회전각(8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최대 측정범위 120° 내지 180°만큼의 화각을 갖는다.The infrared detection unit 111, the ultraviolet detection unit 112, and the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3 formed in front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and including the light receiving lens 101 as described above are shown in FIG. As shown in 8a, it has a maximum measurement range of 120° to 18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ue to the angle of view of 120° of the light receiving lens 101 itself and the maximum rotation angle (80°)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

또한, 상기 제1 감지모듈(110)의 후방으로 형성되는 적외선 열감지부(132)는 수광렌즈(101) 자체의 화각 120°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회전각 120°에 수평방향으로 최대 측정범위 최대 측정범위 120° 내지 180°만큼의 화각을 갖는다.In addition,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formed at the rear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has a viewing angle of 120° of the light receiving lens 101 itself and a maximum rotation angle of 120° as shown in FIG. 8B. Measuring range: The maximum measuring range has a viewing angle of 120° to 180°.

추가로, 상기 적외선 열감지부(132)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최대 회전각 113°로 수직방향으로 최대 측정범위 113°내지 172°만큼의 화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preferably has a maximum vertical rotation angle of 113° and a viewing angle of a maximum measurement range of 113° to 172°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8C.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이 적용된 전기화재 검출 방법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electric fire detection method using 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ot air dischar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먼저, 상기 본체부(200)는 역률조정 및 전기사고 감지부(100)의 제1 감지모듈(110)과 제2 감지모듈(130)에 포함된 감지부들이 감지한 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100).First, the main body unit 200 performs a step of receiving value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s included in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of the power factor adjust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unit 100. Do it (S100).

즉,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제1 감지모듈(110)의 적외선 감지부(111), 자외선 감지부(112), 가시광선 감지부(113), 및 가스 감지부(114)가 측정한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및 CO를 수신한다.That is, the main body unit 200 measures the infrared detection unit 111, the ultraviolet detection unit 112, the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3, and the gas detection unit 114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Receives infrared, ultraviolet, visible, and CO.

이후,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S100단계에서 수신한 값을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각 파라미터의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00).Thereafter, the main control unit 201 compares the value received in step S100 with the threshold value of each parameter stored in the database unit (S200).

먼저,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자외선 감지부(112)가 센싱한 자외선과 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10).First, the main control unit 201 performs a step of comparing the ultraviolet rays sensed by the ultraviolet ray detection unit 112 with a threshold value (S210).

또한,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적외선 감지부(111)가 센싱한 적외선 파장을 화염값으로 사용하여 화염값과 임계값을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20).Additionally, the main control unit 201 uses the infrared wavelength sensed by the infrared detection unit 111 as the flame value to compare the flame value and the threshold value (S220).

또한,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가시광선 감지부(113)가 감지한 가시광선값이 임계치보다 큰지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230).Additionally, the main control unit 201 performs a step of comparing whether the visible light value detected by the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3 is greater than a threshold (S230).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S210 내지 S230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측정값이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감지모듈(200)에 포함된 감지부들로부터 감지한 값을 수신하는 상기 S100 단계를 반복수행한다.If the measured value is not greater than the threshold in any one of steps S210 to S230, the main control unit 201 receives the detected value from the detection units included in the first detection module 200. Repeat the steps.

반면,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S210 내지 S230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감지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주제어부(201)는 바로 상기 가스 감지부(114)가 감지한 CO와 임계치를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하다(S300).On the other hand, if the detection valu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in any one of the steps S210 to S230, the main control unit 201 immediately detects the CO detected by the gas detection unit 114 and the threshold value. Perform the step of comparing (S300).

상기 S300단계에서 CO값이 임계값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S100단계를 반복수행하고, CO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주제어부(201)는 전기 화재발생 위험지수(EFRI:Electric Fire Risk Index)를 산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00).If the CO value in step S300 is not greater than the threshold, step S100 is repeated, and if the CO valu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the main control unit 201 determines the Electric Fire Risk Index (EFRI). The step of calculating is performed (S400).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S400단계에서 산출한 전기 화재발생 위험지수(EFRI)를 기준 임계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 상이한 형태로 경고를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00).The main control unit 201 compares the electrical fire risk index (EFRI) calculated in step S400 with a reference threshold and displays a warning in a different form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S500).

즉,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S500단계에서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점검요청 표시등(202), 표시부(209), 또는 경보부(208)를 통해 상이한 형태로 경고메시지, 경고등,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한다. That is, the main control unit 201 outputs a warning message, warning light, and warning sound in different forms through the inspection request indicator light 202, the display unit 209, or the alarm unit 208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in step S500. do.

상기 S500단계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step S5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전기 화재발생 위험지수(EFRI: Electric Fire Risk Index)가 기준 임계값 70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11).The main control unit 201 perform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ic Fire Risk Index (EFRI)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tandard threshold value of 70 (S511).

상기 S511 단계에서 상기 전기 화재발생 위험지수가 기준 임계값 70초과인 경우 상기 주제어부(201)는 제1 감지모듈(110)을 회전시켜 후방의 적외선 열감지부(132)가 전방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감지모듈 구동부(120)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12).In step S511, if the electrical fire risk index exceeds the standard threshold value of 70, the main control unit 201 rotates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so that the rear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can be placed forward. A step of controlling the first detection module driver 120 is performed (S512).

상기 제1 감지모듈(110)이 회전하여 전방으로 배치되는 적외선 열감지부(132)가 온도상승과 함께 저항값이 감소되는 원리로, 적외선 온도값을 측정하면, 상기 주제어부(201)는 적외선 온도값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13).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rotates and the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32 disposed forward has a resistance value that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When the infrared temperature value is measured, the main control unit 201 detects the infrared temperature. The step of receiving the value is performed (S513).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S513단계에서 수신한 적외선 온도값을 온도값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14).The main control unit 201 compares the infrared temperature value received in step S513 with a temperature value threshold (S514).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S514단계에서 적외선 온도값이 온도값 임계치보다 큰 경우 분전반, 수배전반 등과 같은 전기설비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기설비로 연결되는 전력케이블의 전력공급이 트립될 수 있도록 트립신호와 함께 화재발생 메시지와 적색등을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15). If the infrared temperature value is greater than the temperature value threshold in step S514, the main control unit 201 determines that a fire has occurred in electrical equipment such as a distribution board, distribution board, etc., and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equipment may be tripped. Steps are taken to display a fire message and a red light along with a trip signal (S515).

반면,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S514단계에서 적외선 온도값이 온도값 임계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상기 S100단계를 반복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rol unit 201 repeats step S100 if the infrared temperature value is not greater than the temperature value threshold in step S514.

상기 S511 단계에서 상기 전기 화재발생 위험지수가 기준 임계값 70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주제어부(201)는 상기 전기 화재발생 위험지수(EFRI:Electric Fire Risk Index)가 다른 기준 임계값 즉 기준 임계값 35초과이고 70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21).In step S511, if the electrical fire risk index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threshold of 70, the main controller 201 sets the electrical fire risk index (EFRI) to another reference threshold, that is, the reference threshold of 35. A step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greater than 70 or less than 70 (S521).

상기 S521 단계에서 상기 전기 화재발생 위험지수가 기준 임계값 35초과이고 70미만인 경우 화재발생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경고등으로 황색등을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22).In step S521, if the electrical fire risk index exceeds the standard threshold of 35 and is less than 70, a fire warning message is output and a yellow light is displayed as a warning light (S522).

상기 S521 단계에서 상기 전기 화재발생 위험지수가 기준 임계값 35초과이고 70미만인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다른 기준 임계값 즉 기준 임계값 35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31).In step S521, if the electrical fire risk index is greater than 35 and is not included in the range of less than 70, a step i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it is another standard threshold, that is, less than 35 (S531).

상기 S531 단계에서 상기 전기 화재발생 위험지수가 기준 임계값 35미만인 경우 상기 주제어부(201)는 화재발생 안전 메시지 표시부(209)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532).If the electrical fire risk index is less than the standard threshold value of 35 in step S531, the main control unit 201 performs a step of displaying a fire safety message on the display unit 209 (S532).

상기 S531 단계에서 상기 전기 화재발생 위험지수가 기준 임계값 35미만인 경우 상기 S100단계를 반복 수행한다.If the electrical fire occurrence risk index in step S531 is less than the standard threshold value of 35, step S100 is repeated.

상기 열기 배출부(214)는 와류팬으로 구성되어 팬의 회전에 발생한 바람에 의하여 공기보다 무거운 분진, 습기, 일산화탄소, 이산화황, 프롬알데히드,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을 흡입하여 배출한다.The hot air discharge unit 214 is composed of a vortex fan and sucks in and discharges heavier than air dust, moisture, carbon monoxide, sulfur dioxide, formaldehyde, volatile organic compounds, etc. by the wind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fan.

상기 제2 접촉식 온도센서(215)는 전기설비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온도를 측정하여, 임계치 이상의 온도가 측정된 경우 해당 시스템 열화를 상기 경보부(208)나 표시부(209)를 통해 조기에 알림을 발생시켜 열화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contact temperature sensor 215 measures one or more temperatures in the electrical equipment, and when a temperature above a threshold is measured, it notifies the system of deterioration in advance through the alarm unit 208 or the display unit 209. This causes deterioration to be prevented.

즉, 도 11은 도 2의 열기 배출부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와류팬의 정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That is, Figure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hot air discharge unit of Figure 2, and Figure 12 is a front view, side view, and rear view of the vortex fan shown in Figure 11.

상기 열기 배출부(214)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에 사선방향으로 회전날개를 다수개 부착한 구동팬(214a)과, 상기 구동팬(214a)의 중심축에 결합되어 연결되고 환형원판과 상기 환형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다수개의 와류 날개로 구성된 와류팬(214c)과, 상기 구동팬(214a)과 와류팬(214c) 사이의 연결축에 베어링의 수단으로 연결하고 일정 크기의 흡입구를 형성하면서 상기 연결축을 지지해 주며, 배기관(도시되지 않음)의 흡입구 끝단에 부착되는 브라켓(214b)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hot air discharge unit 214 is coupled to a driving fan 214a with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attached diagonally to the central axis and the central axis of the driving fan 214a. A vortex fan (214c) is connected and consists of an annular disk and a plurality of vortex blades arranged and fixed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edge of the annular disk, and on a connecting shaft between the driving fan (214a) and the vortex fan (214c) It is connected by means of a bearing, supports the connecting shaft while forming an intake port of a certain size, and is provided with a bracket 214b attached to the end of the intake port of the exhaust pipe (not shown).

여기서, 상기 브라켓(214b)은 상기 구동팬(214a)과 와류팬(214c) 사이의 연결축에 베어링의 수단으로 연결하여 구동팬(214a)의 회전력에 의하여 와류팬(214c)이 회전되도록 하고 단부에 일정크기의 흡입구를 형성하면서 연결축을 지지 해주며, 끼워 맞춤 또는 볼트 등에 의하여 배기관의 흡입구 끝단에 고정한다.Here, the bracket 214b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between the driving fan 214a and the vortex fan 214c by means of a bearing, so that the vortex fan 214c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fan 214a, and the end It supports the connecting shaft while forming an intake port of a certain size, and is fixed to the end of the intake port of the exhaust pipe by fitting or bolting.

상기 와류팬(214c)은, 모터의 모터축과 결합하는 중심부(A)와, 상기 중심부(A)에 결합되는 회전판(B)과, 상기 회전판(B)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핀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띠부재(C)와, 상기 회전판(B)의 외주면으로부터 원형띠부재(C)의 내주면까지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와류 발생용 연결로드(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vortex fan (214c) is arranged to surround the center (A) coupled to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the rotating plate (B) coupled to the center (A), and the outside of the rotating plate (B) an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circular band member (C) in which a plurality of pins protrude radially outward,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D) for vortex generation that extend radiall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B)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band member (C). ), including.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열기 배출부(214)는 상기 구동팬(214a)의 회전력에 의하여 와류팬(214c)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열기를 포함하여 공기보다 비중이 큰 오염질을 배출한다.The hot air discharge unit 214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rotate the vortex fan 214c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fan 214a, and discharges contaminants with a greater specific gravity than air, including hot air.

상기 열기 배출부(214)는 일반적인 배기팬보다 3~6배의 포집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배전반을 포함한 분전반 등에 설치될 경우에 내부의 오염 물질을 포집하여 보다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배기판과 비교하여 전기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Since the hot air discharge unit 214 has a collection capacity 3 to 6 times that of a general exhaust fan, when installed in a distribution board including a distribution panel, it can not only collect internal pollutants and discharge them more quickly, but also can be used in a general exhaust fan. Compared to , electricity consumption can be reduced.

한편, 상기 열기 배출부(214)는 화재 발생시에 동작하는 경우에 화재가 확대될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이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Meanwhile, the hot air discharge unit 214 needs to be controlled because there is a high risk of the fire expanding when it is operated when a fire occurs.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감지모듈(110)과 제2 감지모듈(130)의 온도 센싱 값을 수신한다(S100).That is, as shown in FIG. 13, temperature sensing values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and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30 are received (S100).

이어서, 상기 수신된 온도 센싱 값과 임계 값을 비교한다(S200).Next, the received temperature sensing value is compared with a threshold value (S200).

이때 상기 온도 센싱 값과 임계 값의 비교는 이상상태 판별시 슬립모드 상태인 S100 단계의 온도 센싱 값을 반복적으로 수신하고 워이크업(wake up)하여 전기화재 발생 온도 지수를 산출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comparison of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and the threshold value is performed by repeatedly receiving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of step S100, which is in sleep mode, and waking up to calculate the temperature index for occurrence of an electrical fire when determining an abnormal state.

즉, 상기 온도 센싱 값이 임계 값보다 높으면 다시 온도 센싱 값을 전달받아 S210, S220, S230의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상기 온도 센싱 값이 임계 값보다 낮은 경우에 S100 단계로 피드백하여 감지된 온도 센싱 값을 전달받아 임계 값과 S210, S220, S230의 단계로 반복적으로 수행한다.That is, if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is high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is received again and steps S210, S220, and S230 are repeatedly performed, and if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is low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is fed back to step S100. It receives the sensing value and performs the threshold value and steps S210, S220, and S230 repeatedly.

이어서, 상기 온도 센싱 값과 임계 값을 비교하여 전기화재 발생 온도지수를 산출한다(S300).Next,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and the threshold value are compared to calculate the temperature index for occurrence of an electrical fire (S300).

이때 상기 전기화재 발생 온도 지수가 안전으로 판단될 경우에만 상기 열기 배출부(214)를 구동하여 강제적으로 내부의 열기를 배출한다.At this time, only when the electric fire occurrence temperature index is judged to be safe, the hot air discharge unit 214 is driven to forcibly discharge the internal heat.

한편, 상기 전기화재 발생 온도 지수의 산출은 지속적으로 진행하며 열기 배출 진행시에도 전기화재 발생 온도 지수를 산출하여 전기화재 발생 온도 지수가 낮아지지 않으면 상기 열기 배출부(214)의 구동을 STOP한다.Meanwhile, the calculation of the electric fire occurrence temperature index continues, and even when hot air discharge is in progress, the electric fire occurrence temperature index is calculated. If the electric fire occurrence temperature index does not decrease, the operation of the hot air discharge unit 214 is stopped.

또한, 상기 전기화재 발생 온도지수를 FULL 대역으로 산출하고 전기화재 발생 온도 지수가 판별 기준에 상관없이 상승 곡선을 유지할 경우 상기 경보부(208)를 통해 조기 경보를 발생하여 관리자에게 전기 화재 위험을 알려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 옵션 셋팅을 통해 자체 판단하여 차단기를 OFF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하여 화재로부터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electrical fire occurrence temperature index is calculated in the FULL band and the electrical fire occurrence temperature index maintains an upward curve regardless of the determination standard, an early warning is generated through the alarm unit 208 to inform the manager of the electrical fire ris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ire hazards by performing controls such as turning off circuit breakers through self-judgment through administrator option settings.

따라서 상기 열기 배출부(214)를 통해 내부의 열기를 보다 신속하여 배출함으로써 수배전반이나 분전반의 열화를 미연에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수명을 연장함과 더불어 전력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discharging the internal heat more quickly through the hot air discharge unit 214, deterioration of the switchboard or distribution board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reby extending the overall lifespan and improving power quality.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Meanwhile, 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an exemplary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clear that anyon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 2 : 전기설비
100 : 전기화재 감지부 110 : 제1 감지모듈
111 : 적외선 감지부 112 : 자외선 감지부
113 : 가시광선 감지부 114 : 가스 감지부
115 : 역률 조정부
120 : 제1 감지모듈 구동부 121 : 제1 시작점 검출부
122 : 제1 스테퍼 모터 130 : 제2 감지모듈
131 : 제2 비접촉식 온도센서 132 : 적외선 열감지부
140 : 제2 감지모듈 구동부 141 : 제2 시작점 검출부
142 : 제2 스테퍼 모터 150 : 신호 증폭부
200 : 본체부 201 : 주제어부
202 : 표시등 203 : 에어로졸 구동부
204 : 제1 접촉식 온도센서 205 : 통신부
206 : 감전전압 검출부 207 : 비상전원부
208 : 경보부 209 : 표시부
210 : 제1 비접촉식 온도센서 211 : 조작부
212 : 프로그램 라이팅단자 213 : 레이저 조사부
214 : 열기 배출부 215 : 제 2 접촉식 온도센서
1: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ot air discharge system 2: Electrical equipment
100: Electrical fire detection unit 110: First detection module
111: infrared detection unit 112: ultraviolet ray detection unit
113: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114: gas detection unit
115: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120: first detection module driving unit 121: first starting point detection unit
122: first stepper motor 130: second detection module
131: Second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132: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140: Second detection module driving unit 141: Second starting point detection unit
142: second stepper motor 150: signal amplifier
200: main body part 201: main fishing part
202: indicator light 203: aerosol driving unit
204: first contact temperature sensor 205: communication unit
206: electric shock voltage detection unit 207: emergency power unit
208: alarm unit 209: display unit
210: First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211: Control panel
212: Program writing terminal 213: Laser irradiation unit
214: hot air outlet 215: second contact temperature sensor

Claims (10)

분전반, 수배전반, 인버터, 모터 제어반, 태양광 접속반 및 ESS에 구성된 전기설비;
상기 전기설비에 설치되어 전압 및 전류를 검출을 통해 역률을 조정하는 역률 조정부와, 전면에 렌즈가 부착되어 화재시 발생하는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과 함께 연기를 검출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전달받아 전기사고 위험지수를 산출하고 기준 임계치와 비교하여 전기사고 여부를 판단하는 본체부;
상기 감지부는 전방에 렌즈를 부착되어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 및 가스를 감지하는 제1 감지모듈과, 상기 제1 감지모듈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제1 감지모듈의 감지결과를 전달받아 2차적으로 전기 사고를 판단하기 위해 내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와 적외선 열감지를 위한 적외선 열감지부를 구비한 제2 감지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감지모듈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제1, 제2 감지모듈을 선택적으로 좌우 및 상하로 회전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감지모듈에서 감지된 온도 센싱 값과 임계 값을 비교하여 전기화재 발생 온도지수를 산출하여 상기 전기화재 발생 온도지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기설비 내부의 열기를 배출하는 열기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및 제2 감지모듈의 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파라미터를 분석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주제어부가 분석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분석 결과를 외부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는 제1 감지모듈 구동부 및 제2 감지모듈 구동부로 분리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 제2 감지모듈 구동부는 각각 상기 제1 감지모듈과 상기 제2 감지모듈을 회전시키는 제1 및 제2 스테퍼 모터; 및,
상기 제1 감지모듈과 상기 제2 감지모듈 각각에 원형자석이 개재되고, 해당 원형자석을 인지할 수 있는 자화 센서가 시작점에 배치되어 시작점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스테퍼 모터가 회전 후 시작점으로 해당 제1 감지모듈과 상기 제2 감지모듈을 회전시켜 원위치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시작점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
Electrical equipment consisting of distribution board, switchboard, inverter, motor control board, solar power connection board and ESS;
A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install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to adjust the power factor by detecting voltage and current, a detection unit with a lens attached to the front to detect smoke along with infrared, ultraviolet, and visible rays generated in a fire, and A main body unit that receives the detected information, calculates an electrical accident risk index, and compares it with a standard threshol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lectrical accident;
The detection unit consists of a first detection module with a lens attached to the front to detect infrared, ultraviolet, visible light and gas, and a second detection module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to receive the detection result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A second detec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to determine an electrical accident and an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infrared heat,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modules is configure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modules. It includes a driving part that selectively rotates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Compares the temperature sensing value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modules with a threshold value to calculate the temperature index for occurrence of an electrical fire, and selectively operate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dex for occurrence of an electrical fire to discharge the heat inside the electrical equipment. It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art,
The main body unit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modules and analyzes parameter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results analyzed by the main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that transmit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main control unit to the outside. It is accomplished,
The driving part is composed of a first sensing module driving part and a second sensing module driving part,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module drivers include first and second stepper motors that rotate the first and second detection modules, respectively; and,
A circular magnet is interposed in each of the first detection module and the second detection module, and a magnetization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the circular magnet is placed at the starting point to detect the starting point. After the first and second stepper motors rotate, A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ot air discharge system comprising a first and second starting point detection unit for rotating the first detection module and the second detection module to their original posi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성되어 상기 주제어부의 전기사고 발생시 외부의 지면이나 벽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해당 전기설비 내부의 상황을 표시하는 레이저 조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The power syste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aser irradiation unit configured in the main body unit to display the situation inside the electrical equipment by irradiating laser light to the ground or wall outside when an electrical accident occurs in the main control unit. Improved quality and smart open exhaust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모듈은
적외선 파장을 센싱하여 상기 전기설비 내부에서 발화된 화염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부;
380~390nm 대역의 자외선 파장을 센싱하는 자외선 감지부;
400nm~780nm의 가시광선 파장 중, 430nm~470nm, 530nm~570nm, 또는 630nm~670nm에 해당되는 1곳 내지 3곳에 피크(peak) 파장대를 센싱하는 가시광선 감지부;
CO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부; 및
전압과 전류를 통해 역률을 조정하는 역률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etection module is
An infrared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flame ignited inside the electrical equipment by sensing infrared wavelengths;
Ultraviolet ray detection unit that senses ultraviolet wavelengths in the 380~390nm band;
A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that senses peak wavelengths at one to three locations corresponding to 430 nm to 470 nm, 530 nm to 570 nm, or 630 nm to 670 nm among the visible light wavelengths of 400 nm to 780 nm;
A gas detection unit that detects CO; and
A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ot air discharge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ower factor adjustment unit that adjusts the power factor through voltage and curr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모듈은
온도상승과 함께 저항값이 감소되는 부저항 온도계수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부온도계수로 온도변화를 검출하는 비접촉식 온도센서; 및
물체에서 방사(복사)하는 적외선의 양을 측정하여 표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외선 열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detection module
A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that detects temperature changes with a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a negative resistance temperature coefficient in which the resistance value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rises; and
A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that measures the amount of infrared rays emitted (radiated) from an object and detects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모듈 구동부는 후방에 위치할 때, 흡착 방지 덮개에 의해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Th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ot air discharge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detection module driving unit is protected by an anti-absorption cover when located at the rea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적외선 감지부, 자외선 감지부, 가시광선 감지부 또는 가스 감지부가 센싱한 어느 하나의 파라미터가 화재발생에 해당되는 값인 경우, 상기 제1 감지모듈을 회전시키고, 후방의 제2 감지모듈을 전방으로 위치시켜 제2 비접촉식 온도센서 또는 적외선 열감지부로 전기설비 내부의 온도 감지를 통해 해당 전기설비의 화재발생을 최종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controller is
If any parameter sensed by the infrared detector, ultraviolet detector, visible light detector, or gas detector is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ire, the first detection module is rotated and the rear second detection module is moved forward. A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eat exhaust system tha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e temperature inside the electrical facility using a second non-contact temperature sensor or an infrared heat detector to determine whether a fire has occurred in the electrical facility.
제 3 항에 있어서, 빛의 파장을 감지하는 상기 적외선 감지부, 자외선 감지부, 가시광선 감지부, 또는 적외선 열감지부의 최선단에는 빛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렌즈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The pow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light receiving lens for receiving light is formed at the leading edg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ultraviolet detection unit, visible light detection unit, or infrared hea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the wavelength of light. Improved quality and smart open discharge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 배출부는 중심축에 사선방향으로 회전날개를 다수개 부착한 구동팬과, 상기 구동팬의 중심축에 결합되어 연결되고 환형원판과 상기 환형원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된 다수개의 와류 날개로 구성된 와류팬과, 상기 구동팬과 와류팬 사이의 연결축에 베어링의 수단으로 연결하고 일정 크기의 흡입구를 형성하면서 상기 연결축을 지지해 주며, 배기관의 흡입구 끝단에 부착되는 브라켓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t air discharge unit includes a driving fan having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attached diagonally to a central axis, coupled to and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driving fan, and comprising an annular disk and a radial direction along an edge of the annular disk. A vortex fa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vortex blades arranged and fixe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between the driving fan and the vortex fan by means of a bearing, forms an inlet of a certain size and supports the connecting shaft, and is connected to the inlet end of the exhaust pipe. A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ot air discharge system characterized by having a bracket attached to th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팬은 모터의 모터축과 결합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에 결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핀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띠부재와, 상기 회전판의 외주면으로부터 원형띠부재의 내주면까지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 개의 와류 발생용 연결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품질 향상 및 스마트 열기 배출 시스템.
The vortex fan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vortex fan has a central portion coupled to the motor shaft of the motor, a rotating plate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and is arranged to surround an outside of the rotating plate, and a plurality of fins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hot air discharge system comprising a circular band member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for vortex generation extending radially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plate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band member.
KR1020220016611A 2022-02-09 2022-02-09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device KR1026411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611A KR102641136B1 (en) 2022-02-09 2022-02-09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6611A KR102641136B1 (en) 2022-02-09 2022-02-09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681A KR20230120681A (en) 2023-08-17
KR102641136B1 true KR102641136B1 (en) 2024-02-28

Family

ID=8780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611A KR102641136B1 (en) 2022-02-09 2022-02-09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13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10995B (en) * 2023-12-04 2024-04-02 河南柏科沃电子科技有限公司 Self-adaptive adjusting type active power fil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645B1 (en) * 2014-11-11 2015-07-06 최지원 Non-motorized swirler local exhaust ventilator using a suction airflow
KR101587530B1 (en) * 2015-06-03 2016-01-21 주식회사 효성전기 Total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a distributing board capable of remote management with multiple safety device and monito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857A (en) * 2016-07-01 2018-01-10 한웅 Switchboard to detect and regulate temperature and voltage
KR102348594B1 (en) * 2019-12-24 2022-01-07 주식회사 엘파워 Switchboard for safety inducement(distribution boards, solar panels, MCC, ESS)
KR20210095472A (en) * 2020-01-23 2021-08-02 (주)에이엔에이치 Temperature and current monitoring method for industrial equipment using non-touch type sens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645B1 (en) * 2014-11-11 2015-07-06 최지원 Non-motorized swirler local exhaust ventilator using a suction airflow
KR101587530B1 (en) * 2015-06-03 2016-01-21 주식회사 효성전기 Total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a distributing board capable of remote management with multiple safety device and monito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0681A (en)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4123C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afety system and dynamic marking activation
US9413155B2 (en) System to protect from unsafe conditions in an electrical power system
KR20180106318A (en) Fire prevention device using multiple sensors
KR102099688B1 (en) Photovoltaic Connection Board Having Fire Prevention and Safety Precaution of Structure
KR102641136B1 (en)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device
CN101256917A (en) Circuit breaker with adjustable arc-flash protection and wireless sensor and method of use
KR101594333B1 (en) Incoming and distribution panel having a alarm apparatus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KR20140101539A (en) A high tension panel, low tension panel, dstribution panel and motor control panel for Fire Sensing Fuction
KR102348594B1 (en) Switchboard for safety inducement(distribution boards, solar panels, MCC, ESS)
KR101264344B1 (en) Digital controlling system for monitoring internal abnormal state of switchgear
KR20110041042A (en) Contactless type safety electroscope
CN211293018U (en) Novel ammeter case is prevented fires device
KR20210042789A (en) The renewable electric system with auto power-off function with fire detection
KR102626789B1 (en)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smart electric fi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2421912B1 (en)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electrical accident detection device
CN112436605A (en)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action platform based on computer science
KR102397478B1 (en) Fi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fast charger with light sensor and gas sensor using multiple radar light-receiving lenses
KR102397479B1 (en) Electric vehicle charger fi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light-receiving lens and detection sensor
CN105162244B (en) A kind of unattended monitoring circuit breaker prevention system
KR102520067B1 (en) Emergency guidance device according to active power quality improvement and electric fire detection
KR102483821B1 (en) Switchgear with Hybrid Monitoring Device Based on Web using Electric Device Deterioration Status Sensing and Electric-accident Prevention Function
KR102365556B1 (en) Electric fire monitoring and blo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silicon lens
JP2001298851A (en) Protecting device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KR102365557B1 (en) Electric fi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applied with optical sensor and gas sensor using multiple radar light-receiving lenses
KR102397477B1 (en) Intelligent electric fir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light-receiving lens and detection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