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1024B1 - 탄성줄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탄성줄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1024B1
KR102641024B1 KR1020230040576A KR20230040576A KR102641024B1 KR 102641024 B1 KR102641024 B1 KR 102641024B1 KR 1020230040576 A KR1020230040576 A KR 1020230040576A KR 20230040576 A KR20230040576 A KR 20230040576A KR 102641024 B1 KR102641024 B1 KR 102641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fence
exercise device
rop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스티컴퍼니 (SSTC Co., Ltd.)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스티컴퍼니 (SSTC Co., Ltd.)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스티컴퍼니 (SSTC Co., Ltd.)
Priority to KR1020230040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1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1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1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72Limiting the applied force, torque, movement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탄성줄 운동기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탄성줄 운동기구는 펜스 프레임; 벨트를 통해 신체에 착용한 후 당기면서 근력 운동을 수행하는 탄성줄(elasticity rope)을 구비하되 상기 탄성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게 지지하는 기구 어셈블리; 및 상기 기구 어셈블리를 상기 펜스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성줄 운동기구{Fitness Equipment using elasticity rop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탄성줄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구를 이루는 구성들을 분해 조립할 수 있어서 보관, 운반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탄성줄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운동기구(Fitness Equipment)는 일반인이 생활 건강을 위해, 혹은 운동선수가 해당 종목의 수행을 위한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한다.
운동기구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그중에 탄성줄 운동기구라는 기구가 있다. 이는 탄성줄(elasticity rope)의 탄력을 이용한 것이다. 즉 탄성줄의 단부에 벨트를 연결한 후, 벨트를 허리에 차고 걷거나 뛰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신체 근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끔 한다. 특히, 이러한 운동기구는 속도와 파워(power)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만, 현존하는 탄성줄 운동기구는 기구를 이루는 대다수 구성이 서로 고정된 구조여서 일반인은 분해할 수 없다. 때문에, 이러한 운동기구는 보관 또는 운반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사용상의 편의성도 떨어질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를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탄성줄 운동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1602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기구를 이루는 구성들을 분해 조립할 수 있어서 보관, 운반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탄성줄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펜스 프레임; 벨트를 통해 신체에 착용한 후 당기면서 근력 운동을 수행하는 탄성줄(elasticity rope)을 구비하되 상기 탄성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게 지지하는 기구 어셈블리; 및 상기 기구 어셈블리를 상기 펜스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줄 운동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기구 어셈블리는, 상기 착탈 결합부를 통해 상기 펜스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플레이트 바디; 및 상기 탄성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도르래를 각각 지지하되 상기 플레이트 바디 상에 한 쌍으로 배치되며, 서로 간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이동식 도르래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도르래 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유닛 케이싱; 상기 유닛 케이싱 내에 마련되며, 병렬식 다열 구조를 이루는 상기 도르래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르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도르래 회전 샤프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탄성줄을 당길 때는 상기 탄성줄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탄성줄을 당겼던 힘을 제거할 때는 상기 탄성줄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스토퍼는, 상기 탄성줄에 걸리는 치형부가 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 바디; 상기 스토퍼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 바디의 회전축심을 이루는 바디 회전축부; 및 상기 바디 회전축부에 마련되며, 상기 탄성줄을 당겼던 힘을 제거할 때 상기 스토퍼 바디의 치형부가 상기 탄성줄에 걸리게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바디에는 복수 개의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장공에는 상기 이동식 도르래 유닛을 상기 장공의 궤적 상에서 상기 플레이트 바디에 체결하는 착탈식 체결부재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펜스 프레임은, 지면에 배치되되 내부가 빈 루프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부;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전면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상부 영역에서 상기 기구 어셈블리가 결합하는 전면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펜스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후단부에 마련되되 웨이트(weight)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웨이트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부에는 펜스망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줄의 단부 영역에는 상기 펜스망의 선택 위치에 걸리는 한편, 상기 탄성줄의 단부가 상기 벨트와 연결되게 하는 탄성줄 가이드 뭉치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줄 가이드 뭉치는, 집게식으로 동작하되 상기 펜스망의 선택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집게형 후크; 및 상기 집게형 후크와 연결되며, 상기 도르래 측의 탄성줄을 상기 벨트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구를 이루는 구성들을 분해 조립할 수 있어서 보관, 운반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줄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탄성줄 운동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펜스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4는 기구 어셈블리의 확대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다.
도 6은 탄성 스토퍼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2의 조립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이동식 도르래 유닛의 위치를 가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서 기구 어셈블리의 위치를 가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줄 운동기구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성줄 운동기구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탄성줄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 도 2는 탄성줄 운동기구의 분해도, 도 3은 펜스 프레임의 평면도, 도 4는 기구 어셈블리의 확대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탄성 스토퍼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 도 7은 도 2의 조립도, 도 8은 도 7에서 이동식 도르래 유닛의 위치를 가변한 도면, 도 9는 도 7에서 기구 어셈블리의 위치를 가변한 도면, 도 10은 도 7의 배면도, 도 11은 도 8의 배면도, 도 12는 도 7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줄 운동기구(100)는 기구를 이루는 구성들을 분해 조립할 수 있어서 보관, 운반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탄성줄 운동기구(100)는 기구 어셈블리(120)의 탄성줄 가이드 뭉치(180)에 마련되는 집게형 후크(181)를 펜스망(113)에 고정한 후, 탄성줄(130, elasticity rope)의 단부에 벨트(190)를 연결한 다음, 벨트(190)를 허리에 차고 걷거나 뛰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도 1 참조) 신체 근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끔 한다. 특히, 이러한 운동기구는 속도와 파워(power)를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줄 운동기구(100)는 펜스 프레임(110), 탄성줄(130)을 구비하는 기구 어셈블리(120) 및 착탈 결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펜스 프레임(110)은 기구 어셈블리(120)가 결합하는 구조물이다. 일정한 무게와 강한 강성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펜스 프레임(110)은 고강성 금속 프레임의 용접으로 제작될 수 있다. 펜스 프레임(110)은 베이스 프레임부(111)와 전면 프레임부(112)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부(111)는 펜스 프레임(110)의 밑면을 이룬다. 지면에 배치되는 부분이 베이스 프레임부(111)이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프레임부(111)는 내부가 빈 루프 형상으로 제작된다. 막힌 구조로 베이스 프레임부(111)를 제작할 수도 있지만, 내부가 빈 루프 형상으로 베이스 프레임부(111)를 제작하면 재료비 절감 효과를 끌어낼 수 있다.
다만, 내부가 빈 루프 형상으로 베이스 프레임부(111)를 제작할 경우, 펜스 프레임(110)에 기구 어셈블리(120)를 조립한 후, 도 1처럼 실제로 탄성줄(130)을 당기면서 운동할 때, 펜스 프레임(110)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웨이트(115, weight)가 사용된다.
웨이트(115)의 사용을 위해 베이스 프레임부(111)의 후단부에는 웨이트 지지대(114)가 마련된다. 웨이트 지지대(114)는 베이스 프레임부(111)의 후단부에 형성된 봉 형태의 구조물이며, 웨이트(115)를 원하는 개수만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탄성줄 운동기구(100)가 헬스장에 설치되는 경우라면, 헬스장 내에 벤치프레스 원판이 많이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벤치프레스 원판을 웨이트 지지대(114)에 끼워 웨이트(115)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면 프레임부(112)는 베이스 프레임부(111)의 전면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부분이다.
전면 프레임부(112)의 상부 영역에서 기구 어셈블리(120)가 결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면 프레임부(112)의 상단부가 열린 구조를 형성하지만, 전면 프레임부(112)의 상단부는 막힌 구조일 수도 있는데, 이러한 사항 모두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면 프레임부(112)에는 펜스망(113)이 형성된다. 펜스망(113)은 기구 어셈블리(120)의 탄성줄 가이드 뭉치(180)에 마련되는 집게형 후크(181)가 결합하는 장소를 이룬다. 집게형 후크(181)를 펜스망(113)의 특정 위치에 걸어둔 후, 그 지점을 기점으로 해서 탄성줄(130)을 당기면서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의 각 위치별로 근력 운동을 세분화할 수 있다. 예컨대, 벨트(190)를 도 1처럼 허리에 찰 수도 있지만, 벨트(190)의 모양, 사이즈를 변경해서 가슴, 허벅지, 다리 등에 찰 수도 있는데, 이러한 위치 조절로 인해 신체의 각 위치별 근력 운동을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기구 어셈블리(120)는 벨트(190)를 통해 신체에 착용한 후 당기면서 근력 운동을 수행하는 탄성줄(130)을 구비하되 탄성줄(130)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게 지지하는 수단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기구 어셈블리(120)는 종래와 달리 펜스 프레임(110)과 분리형으로 마련된다. 이에, 기구 어셈블리(120)를 보관해두고 있다가 도 7 내지 도 9처럼 펜스 프레임(110)에 연결,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구 어셈블리(120)를 개인용으로 구매해서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헬스장에 비치된 공용 기구 어셈블리(120)에 연결해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구 어셈블리(120)는 플레이트 바디(140)와, 플레이트 바디(140) 상에 한 쌍으로 배치되고 서로 간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이동식 도르래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바디(140) 상에서 이동식 도르래 유닛(150)들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신체 사이즈가 다른 사람이 공용으로 사용하기에 좋고 또한 신체 부위별 근력을 강화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 바디(140)는 착탈 결합부(170)를 통해 펜스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물로서, 이동식 도르래 유닛(150)들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해, 플레이트 바디(140)에는 복수 개의 장공(141)이 형성되고 장공(141)에 착탈식 체결부재(142)가 체결된다.
착탈식 체결부재(142)는 긴 볼트 구조를 이루며, 장공(141)을 통해 플레이트 바디(140)를 통과해서 이동식 도르래 유닛(150)의 유닛 케이싱(152)에 체결된다. 이에, 도 4 및 도 5처럼 플레이트 바디(140) 상에서 이동식 도르래 유닛(150)의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하면, 착탈식 체결부재(142)를 풀고 이동식 도르래 유닛(15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변경한 후, 착탈식 체결부재(142)를 다시 조이면 된다.
이동식 도르래 유닛(150)은 탄성줄(130)이 풀리거나 감길 수 있게 탄성줄(130)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유닛 케이싱(152), 도르래(151), 도르래 회전 샤프트(153) 및 탄성 스토퍼(160)를 포함한다.
유닛 케이싱(152)은 이동식 도르래 유닛(150)의 외관 구조물이다. 도르래(151), 도르래 회전 샤프트(153) 및 탄성 스토퍼(160) 등이 유닛 케이싱(152)에 수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닛 케이싱(152)의 측면은 개방된 구조를 이룬다. 이에 탄성줄(130)이 유닛 케이싱(152) 내외로 배치될 수 있다.
도르래(151)는 탄성줄(130)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게 지지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르래(151)는 복수 개로 마련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도르래(151)들은 병렬식 다열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탄성줄(130)에 강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도르래 회전 샤프트(153)는 유닛 케이싱(152) 내에 마련되며, 병렬식 다열 구조를 이루는 도르래(151)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르래(151)들은 도르래 회전 샤프트(153)에 무동력 자유 회전한다.
탄성 스토퍼(160)는 유닛 케이싱(152) 내에서 도르래 회전 샤프트(153)의 일측에 마련되며, 도 6의 (b)처럼 탄성줄(130)을 당길 때는 탄성줄(130)의 이동을 허용하고, 도 6의 (a)처럼 탄성줄(130)을 당겼던 힘을 제거할 때는 탄성줄(1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 스토퍼(160)는 탄성줄(130)에 걸리는 치형부(162)가 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 바디(161)와, 스토퍼 바디(161)의 일측에 마련되며, 스토퍼 바디(161)의 회전축심을 이루는 바디 회전축부(163)와, 바디 회전축부(163)에 마련되는 탄성부재(164)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64)는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탄성줄(130)을 당겼던 힘을 제거할 때 즉 평상시 도 6의 (a)처럼 스토퍼 바디(161)의 치형부(162)가 탄성줄(130)에 걸리게 탄성바이어스한다.
탄성줄(130)의 단부 영역에는 탄성줄 가이드 뭉치(180)가 결합한다. 탄성줄 가이드 뭉치(180)는 탄성줄(130)의 단부 영역에 마련되되 펜스망(113)의 선택 위치에 걸리는 한편, 탄성줄(130)의 단부가 벨트(190)와 연결되게 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탄성줄 가이드 뭉치(180)는 집게식으로 동작하되 펜스망(113)의 선택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집게형 후크(181)와, 집게형 후크(181)와 연결되며, 도르래(151) 측의 탄성줄(130)을 벨트(190)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18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롤러(182) 역시, 무동력 자유 회전롤러일 수 있다.
착탈 결합부(170)는 기구 어셈블리(120)를 펜스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단이다.
본 실시예에서 착탈 결합부(170)는 전면 프레임부(112)의 홀(112a)과 플레이트 바디(140)의 홀(140a)에 끼워지면서 조립 가능한 고리 또는 후크 형태의 링 구조를 이룬다. 이는 착탈 결합부(170)의 가장 간단한 형태일 수 있다. 하지만, 착탈 결합부(170)가 반드시 고리 또는 후크 형태의 링 구조일 필요는 없다.
이하, 탄성줄 운동기구(100)의 사용법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우선, 도 2처럼 펜스 프레임(110)에 대하여 분리된 기구 어셈블리(120)를 착탈 결합부(170)를 이용해서 도 7 내지 도 9처럼 펜스 프레임(110)에 조립한다. 착탈 결합부(170)를 전면 프레임부(112)의 홀(112a)과 플레이트 바디(140)의 홀(140a)에 끼우면서 조립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4 및 도 5처럼 플레이트 바디(140) 상에서 이동식 도르래 유닛(150)의 위치를 변경시킨다. 즉 착탈식 체결부재(142)를 풀고 이동식 도르래 유닛(150)의 위치를 원하는 위치로 변경한 후, 착탈식 체결부재(142)를 다시 조이면 된다. 물론, 이 과정을 먼저 수행한 후, 기구 어셈블리(120)를 펜스 프레임(110)에 조립해도 된다.
준비가 완료되면, 탄성줄 가이드 뭉치(180)에 마련되는 집게형 후크(181)를 펜스망(113)의 일측에 걸어 고정한 후, 탄성줄(130)의 단부에 벨트(190)를 연결한 다음, 벨트(190)를 허리에 찬다. 그리고는 도 1처럼 걷거나 뛰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면 탄성줄(130)의 탄성력에 의해 신체 근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속도와 파워(power)를 높이는 데 이바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구를 이루는 구성들을 분해 조립할 수 있어서 보관, 운반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탄성줄 운동기구의 분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줄 운동기구(200) 역시, 펜스 프레임(210), 탄성줄(130)을 구비하는 기구 어셈블리(220) 및 착탈 결합부(2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착탈 결합부(270)의 작용으로 기구 어셈블리(220)가 펜스 프레임(2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착탈 결합부(27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착탈 결합부(270)는 펜스 프레임(210)에 마련되는 바디 지지대(271)와, 바디 지지대(271)의 일측에 형성되는 장공 형태의 후크 걸림홀(272)과, 후크 걸림홀(272)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공(273)과, 기구 어셈블리(220)의 플레이트 바디(140)에 마련되되 후크 걸림홀(272)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후크(274)와, 후크(274)의 반대편에 배치되되 후크(274)가 후크 걸림홀(272)에 걸렸을 때 장공(273)으로 체결되는 나비볼트(275)를 포함한다.
이에, 펜스 프레임(210)에 기구 어셈블리(220)를 조립하고자 하면, 일단 기구 어셈블리(220)의 후크(274)가 펜스 프레임(210)의 후크 걸림홀(272)에 걸리게 한 다음, 나비볼트(275)를 장공(273)들 중 하나에 고정하면 간단하게 완료된다. 특히, 이러한 작업은 공구가 필요치 않은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기구를 이루는 구성들을 분해 조립할 수 있어서 보관, 운반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탄성줄 운동기구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줄 운동기구(300) 역시, 펜스 프레임(310), 탄성줄(130)을 구비하는 기구 어셈블리(120) 및 착탈 결합부(170,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착탈 결합부(170)의 작용으로 기구 어셈블리(120)가 펜스 프레임(3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펜스 프레임(310)은 베이스 프레임부(311), 전면 프레임부(312) 및 웨이트 지지대(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펜스 프레임(310)의 베이스 프레임부(311) 상에는 레일 프레임(315)이 마련되고, 전면 프레임부(312)의 하단부에는 레일 프레임(315) 상에서 전후진 이동 가능한 레일 블록(316)이 결합한다. 레일 블록(316)에는 레일 블록(316)의 이동을 허용 또는 단속하는 브레이크(317)가 결합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브레이크(317)를 풀고 레일 프레임(315) 상에서 레일 블록(316)을 이동시키면서 전면 프레임부(312)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데, 헬스장 등의 면적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 탄성줄 운동기구(300)를 사용할 때, 요긴하게 작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기구를 이루는 구성들을 분해 조립할 수 있어서 보관, 운반 또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종래보다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탄성줄 운동기구 110 : 펜스 프레임
111 : 베이스 프레임부 112 : 전면 프레임부
113 : 펜스망 114 : 웨이트 지지대
115 : 웨이트 120 : 기구 어셈블리
130 : 탄성줄 140 : 플레이트 바디
141 : 장공 142 : 착탈식 체결부재
150 : 이동식 도르래 유닛 151 : 도르래
152 : 유닛 케이싱 153 : 도르래 회전 샤프트
160 : 탄성 스토퍼 161 : 스토퍼 바디
162 : 치형부 163 : 바디 회전축부
164 : 탄성부재 170 : 착탈 결합부
180 : 탄성줄 가이드 뭉치 181 : 집게형 후크
182 : 가이드 롤러 190 : 벨트

Claims (10)

  1. 지면에 배치되되 내부가 빈 루프 형상의 베이스 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전면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전면 프레임부를 구비하는 펜스 프레임;
    벨트를 통해 신체에 착용한 후 당기면서 근력 운동을 수행하는 탄성줄(elasticity rope)과, 상기 펜스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되 복수 개의 장공이 형성되는 플레이트 바디와, 상기 탄성줄이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도르래를 각각 지지하되 상기 플레이트 바디 상에 한 쌍으로 배치되고 서로 간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이동식 도르래 유닛을 구비하는 기구 어셈블리; 및
    상기 기구 어셈블리를 상기 펜스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도르래 유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유닛 케이싱;
    상기 유닛 케이싱 내에 마련되며, 병렬식 다열 구조를 이루는 상기 도르래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르래 회전 샤프트; 및
    상기 도르래 회전 샤프트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탄성줄을 당길 때는 상기 탄성줄의 이동을 허용하고 상기 탄성줄을 당겼던 힘을 제거할 때는 상기 탄성줄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바디의 장공에는 상기 이동식 도르래 유닛을 상기 장공의 궤적 상에서 상기 플레이트 바디에 체결하는 착탈식 체결부재가 결합하는 탄성줄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토퍼는,
    상기 탄성줄에 걸리는 치형부가 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 바디;
    상기 스토퍼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 바디의 회전축심을 이루는 바디 회전축부; 및
    상기 바디 회전축부에 마련되며, 상기 탄성줄을 당겼던 힘을 제거할 때 상기 스토퍼 바디의 치형부가 상기 탄성줄에 걸리게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탄성줄 운동기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부의 후단부에 마련되되 웨이트(weight)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웨이트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탄성줄 운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부에는 펜스망이 형성되는 탄성줄 운동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줄의 단부 영역에는 상기 펜스망의 선택 위치에 걸리는 한편, 상기 탄성줄의 단부가 상기 벨트와 연결되게 하는 탄성줄 가이드 뭉치가 결합하는 탄성줄 운동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줄 가이드 뭉치는,
    집게식으로 동작하되 상기 펜스망의 선택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집게형 후크; 및
    상기 집게형 후크와 연결되며, 상기 도르래 측의 탄성줄을 상기 벨트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탄성줄 운동기구.
KR1020230040576A 2023-03-28 2023-03-28 탄성줄 운동기구 KR102641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576A KR102641024B1 (ko) 2023-03-28 2023-03-28 탄성줄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576A KR102641024B1 (ko) 2023-03-28 2023-03-28 탄성줄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1024B1 true KR102641024B1 (ko) 2024-02-27

Family

ID=9005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576A KR102641024B1 (ko) 2023-03-28 2023-03-28 탄성줄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10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6962A (en) * 1995-01-26 1996-12-24 Hallmark; Timothy M. Multiple sport training and exercise apparatus
KR200410091Y1 (ko) * 2005-12-16 2006-03-06 김성무 제어로프을 갖는 현수운동기
KR20100016022A (ko) 2007-03-29 2010-02-12 키폰 에스에이알엘 경피 척추 임플란트 및 방법
US20130157819A1 (en) * 2007-11-07 2013-06-20 Balanced Body, Inc. Exercise apparatus with a pull cord central pulley attached to a carriage and a pulley locking mechanism
US20170173380A1 (en) * 2014-10-31 2017-06-22 James Christopher Bach Exercise device
US20180028855A1 (en) * 2014-01-02 2018-02-01 Michael A. Wehrell Elastic resistant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6962A (en) * 1995-01-26 1996-12-24 Hallmark; Timothy M. Multiple sport training and exercise apparatus
KR200410091Y1 (ko) * 2005-12-16 2006-03-06 김성무 제어로프을 갖는 현수운동기
KR20100016022A (ko) 2007-03-29 2010-02-12 키폰 에스에이알엘 경피 척추 임플란트 및 방법
US20130157819A1 (en) * 2007-11-07 2013-06-20 Balanced Body, Inc. Exercise apparatus with a pull cord central pulley attached to a carriage and a pulley locking mechanism
US20180028855A1 (en) * 2014-01-02 2018-02-01 Michael A. Wehrell Elastic resistant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s
US20170173380A1 (en) * 2014-10-31 2017-06-22 James Christopher Bach Exercis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51874A (en) Push-pull type exercising device
US5468205A (en) Portable door mounted exercise apparatus
US8021286B2 (en) Exercise apparatus with adjustable resistance
US4564193A (en) Exercising device for lifting weights
EP1722868B1 (en)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US4645204A (en) Compact portable exercising apparatus
US8672817B2 (en)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US20110195822A1 (en)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KR100905049B1 (ko) 다용도 운동기구
US6780144B2 (en) Segmented weight and exerciser
US20140031182A1 (en)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US20100048368A1 (en)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US7381168B2 (en)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US20060116252A1 (en) Exercise device including adjustable, inelastic straps
US20130109543A1 (en) Multiple pulley system exercise device
US20090062087A1 (en) Adjustable exercise apparatus
US20100113231A1 (en) Resistance Training Tool
US20140113773A1 (en) Exercise machine
US3510132A (en) Pull type frictional resistant exercising device
US20200054917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with Wearable Anchor Arrangement
CN109289154A (zh) 一种转盘式拉力健身器
CA2471047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n expander type exercise device
KR102641024B1 (ko) 탄성줄 운동기구
CN209422837U (zh) 一种转盘式拉力健身器
US20080234109A1 (en) Cli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