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957B1 - Retaining block wall using str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Retaining block wall using str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957B1
KR102640957B1 KR1020220067328A KR20220067328A KR102640957B1 KR 102640957 B1 KR102640957 B1 KR 102640957B1 KR 1020220067328 A KR1020220067328 A KR 1020220067328A KR 20220067328 A KR20220067328 A KR 20220067328A KR 102640957 B1 KR102640957 B1 KR 102640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reinforced soil
block
gap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7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67475A (en
Inventor
공학봉
강용희
최병관
유미
Original Assignee
공학봉
강용희
미광산업개발(주)
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학봉, 강용희, 미광산업개발(주), 유미 filed Critical 공학봉
Priority to KR1020220067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957B1/en
Publication of KR2023016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4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9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토 배면 다짐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스트립을 이용한 보강토 블럭의 체결이 유지되기 위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면부에 형성된 다짐토사를 지지하도록 보강토 블럭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으로서, 보강토 블럭(100)과, 상기 보강토 블럭(100)에서 굽혀진 부분이 체결되는 스트립(200)과, 상기 스트립(200)의 타측의 굽혀진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토 블럭(100)은, 전방부(110)와, 상기 전방부(110)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부(110)는 전면부(111)와, 상기 전면부(111)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부(112)와, 상기 전면부(111)의 후방에서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후면부(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부(120)는 상기 연결부(112)에 연결되는 후방 본체부(121)와, 상기 후방 본체부(121)의 상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전방 돌출부(122)와, 상기 전방 돌출부(122)의 하부에서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후방 오목부(123)로 이루어지며,상기 스트립(200)은 굽혀진 상태로 상기 후방 오목부(123)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echnical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for maintaining the fastening of reinforced soil blocks using strips even when compacting the back of the reinforced soil.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ormed by stacking reinforced soil blocks to support compacted soil formed on a slope, wherein a reinforced soil block (100) and a bent portion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are It consists of a strip 200 to be fastened and a fixing member 300 for fixing the bent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trip 200, and the reinforced earth block 100 includes a front portion 110 and the front portion. It consists of a rear portion 120 formed at the rear of 110, wherein the front portion 110 includes a front portion 111 and a connection portion 11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111. and a rear portion 113 formed in a planar shape at the rear of the front portion 111, wherein the rear portion 120 includes a rear body portion 12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12, and the rear body. It consists of a front protrusion 122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portion 121, and a rear concave part 123 formed to be concave toward the rear from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rotrusion 122, and the strip (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n a bent state.

Description

스트립을 결합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RETAINING BLOCK WALL USING STR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ombining strip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RETAINING BLOCK WALL USING STR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스트립을 보강토 블럭에 결합하여 형성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ormed by combining strips with reinforced soil blocks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은 제방, 산비탈 등에서 흙의 흘러내림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성토흙 사이에 금속 혹은 토목 섬유 보강재를 설치하여 성토체의 안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수직 벽체를 형성한 구조물을 말한다. In general,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s intended to prevent soil from flowing down and collapsing from embankments, mountain slopes, etc., and refers to a structure that forms a vertical wall by installing metal or geosynthetic reinforcement between fill soil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fill body.

이와 같은 보강토 옹벽은 자체 중량과 강성에 의해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인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유리한 면이 많은데, 특히 소형 벽면재와 보강재의 사이의 연결, 그리고 보강재와 뒷채움흙 사이의 마찰에 의해 토압 등 외력에 저항하므로 상대적으로 유연한 구조를 구성하게 되고, 따라서 기초지반에 발생하는 부등침하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Such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has many advantages over a concrete retaining wall, which is a structure that resists earth pressure due to its own weight and rigidity. In particular, it can resist external forces such as earth pressure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small wall material and the reinforcement, and the friction between the reinforcement and the backfill soil. It forms a relatively flexible structure and therefore has excellent durability against differential settlement that occurs in the foundation ground.

이와 같은 보강토 옹벽은 전면에 설치되는 블럭벽체와 그 후면의 뒷채움흙과 뒷채훔흙 사이에 부설되는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보강재가 외력이나 토압에 저항하는 힘을 증가시키게 된다. Such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s composed of a block wall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inforcing material laid between the backfill soil and backfill soil at the rear, and the reinforcing material increases the power to resist external force or earth pressure.

그리고, 보강재의 한 종류로 그물형태로 된 지오그리드(Geogrid)가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보강토 옹벽의 블럭상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면서 뒷채움흙에 지그재그상으로 설치되는 띠형 보강재(stip)가 사용되고 있다.Additionally, one type of reinforcing material is geogrid in the form of a net, and recently, strip-shaped reinforcing materials (stip) that are installed in a zigzag pattern on the backfill soil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s formed on the block top surface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re being used. .

기존의 스트립을 이용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 블럭은 띠형 보강재가 블럭 상부홈에 원형형태로 직접 결합되며 이런 형태는 선형이 급한 곡선을 이루어 옹벽이 심한 곡면을 형성해야 하거나 침하가 일부 발생하는 경우, 띠형 보강재와 블럭이 닿는 곳에서 띠형 보강재가 탈락되거나 꺾이는 형태를 이룰 수 있고, 특히 띠형 보강재와 닿는 블럭 부분이 각진 형태를 이루는 경우, 띠형 보강재에 응력이 집중되어 부분적인 손상이나 파단의 염려가 커질 수 있다. In the existing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block using strips,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directly attached to the upper groove of the block in a circular shape. In this form, the linear curve is steep and when the retaining wall must form a severely curved surface or some settlement occurs,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used.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may be dislodged or bent at the point where it touches the block. In particular, if the part of the block in contact with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s angled, stress may be concentrated on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increasing the risk of partial damage or fracture. .

이런 연결부에서의 손상이나 파단은 전면블럭의 균열 및 과도한 수평변위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보강토 블럭의 구조물 붕괴의 원인이 될 수 있다. Damage or fracture at these connections can cause problems such as cracks and excessiv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front block, and can cause the collapse of the reinforced earth block structure.

기존의 연결방식은 띠형 보강재에 부분적인 손상의 원인이 되며, 이로 인해 블럭과 띠형보강재 간의 일체화가 저해되어 전면블럭의 균열 및 돌출이 야기된다.The existing connection method causes partial damage to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which impairs the integration between the block and the strip-shaped reinforcement, causing cracks and protrusions of the front block.

또한, 블럭과 토체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여 나온 스트립을 사면부에서 고정을 하게 되는데 고정의 느슨해지거나 10톤 로라 다짐시 스트립의 수직형으로 보강토 배면 다짐시 스트립의 한일자로 유동이 발생되어 구조적인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trip created by connecting the block and the soil in a zigzag manner is fixed at the slope. If the fixation becomes loose or the back of the reinforced soil is compa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trip when compacted by a 10-ton roller, flow occurs along one side of the strip, which reduces structural stability. A problem arises.

따라서, 보다 안정한 블럭식 보강토옹벽의 시공을 위해서는 새로운 형태의 연결방식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construct more stable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a new type of connection method is required.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2264250호(등록일. 2021년 06월 14일)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64250 (registration date: June 14, 2021)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배면에서 다짐토사의 다짐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스트립을 이용한 보강토 블럭의 체결이 유지되기 위한 블럭식 보강토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technical t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a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to maintain the fastening of reinforced soil blocks using strips even when compaction work is performed on the back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면부에 형성된 다짐토사를 지지하도록 보강토 블럭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으로서, 보강토 블럭(100)과, 상기 보강토 블럭(100)에 굽혀진 부분이 체결되는 스트립(200)과, 상기 스트립(200)의 타측의 굽혀진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토 블럭(100)은, 전방부(110)와, 상기 전방부(110)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부(110)는 전면부(111)와, 상기 전면부(111)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부(112)와, 상기 전면부(111)의 후방에서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후면부(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부(120)는 상기 연결부(112)에 연결되는 후방 본체부(121)와, 상기 후방 본체부(121)의 상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전방 돌출부(122)와, 상기 전방 돌출부(122)의 하부에서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후방 오목부(1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립(200)은 굽혀진 상태로 상기 후방 오목부(123)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ormed by stacking reinforced soil blocks to support compacted soil formed on a slope, comprising a reinforced soil block (100) and a bent portion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It consists of a strip 200 to be fastened and a fixing member 300 for fixing the bent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trip 200, and the reinforced earth block 100 includes a front portion 110 and the front portion. It consists of a rear portion 120 formed at the rear of 110, wherein the front portion 110 includes a front portion 111 and a connection portion 11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111. and a rear portion 113 formed in a planar shape at the rear of the front portion 111, wherein the rear portion 120 includes a rear body portion 12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12, and the rear body. It consists of a front protrusion 122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portion 121, and a rear concave part 123 formed concavely toward the rear from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rotrusion 122, and the strip (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n a bent state.

본 발명의 블럭식 보강토 옹벽에서, 상기 연결부(112)는 삽입된 상기 스트립(2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방 돌출부(122)의 전면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후면부(113)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직선부(122a)와 상기 직선부(122a)의 양측에 형성되는 곡선부(122b)로 형성되고, 상기 직선부(122a)는 상기 후면부(113)로부터 제1간극(d1)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간극(d1)의 크기는 상기 스트립(200)의 단면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112 is formed to have an upper surface so that the inserted strip 200 can be supported, and the front of the front protrusion 122 is the rear portion ( It is formed of a straight part 122a formed parallel to 113 and a curved part 122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aight part 122a, and the straight part 122a is separated from the rear part 113 by a first gap ( d1), and the size of the first gap d1 is slightly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strip 200.

본 발명의 블럭식 보강토 옹벽에서, 상기 후방 오목부(123)의 전면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후면부(113)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직선부(123a)와 상기 직선부(123a)의 양측에 형성되는 곡선부(123b)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 오목부(123)의 직선부(123a)는 상기 후면부(113)로부터 제2간극(d2)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간극(d2)의 크기는 상기 제1간극(d1)의 크기보다 후방으로 더 깊게 형성되며, 상기 스트립(200)은 상기 후방 오목부(123)에 굽혀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of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aight portion 123a and the straight portion 123a formed parallel to the rear portion 113 when viewed in plan. It is formed as a curved portion 123b, and the straight portion 123a of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portion 113 to have a second gap d2, and the second gap d2 The size of is formed deeper toward the rear than the size of the first gap d1, and the strip 200 is installed in a bent state in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본 발명의 블럭식 보강토 옹벽에서, 상기 고정부재(300)는, ∩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310)와, 상기 고정부(310)의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는 갈퀴부(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갈퀴부(320)는 바닥을 향하는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립(200)의 타측의 굽혀진 부분이 상기 고정부(3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mber 300 includes a fixing part 310 formed in a ∩ shape, and a plurality of rake parts 32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310. ), and the rake part 3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rowhead pointing toward the floor, and the bent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strip 200 is fixed to the fixing part 310.

본 발명의 블럭식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스트립(200)의 일측의 굽혀진 부분을 보강토 블럭(100)의 상부에 배치시킨 다음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켜 보강토 블럭(100)의 제1간극(d1)으로 삽입하여 보강토 블럭(100)의 제2간극(d2)에서 연결부(112)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스트립(200)을 삽입하는 단계(s100); 상기 단계(s100)에서 삽입된 스트립(200)을 후방으로 잡아 당겨 스트립(200)이 보강토 블럭(100)의 제2간극(d2)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후방 오목부(123)와 접촉하도록 스트립(200)을 후방으로 당기는 단계(s200); 및 상기 단계(s200)에서 스트립(200)을 후방으로 당긴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트립(200)의 타측의 굽혀진 부분을 고정부재(300)의 고정부(310)의 일단에 걸고 고정부재(30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다짐토사에 갈퀴부(320)가 삽입고정되게 함으로써 스트립(200)을 고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t portion of one side of the strip 20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and then mov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o form the first section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Inserting the strip 200 into the gap d1 so that it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112 in the second gap d2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s100); The strip 200 inserted in the step (s100) is pulled rearward so that the strip 200 moves rearward in the second gap d2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and contacts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200) pulling backward (s200); And in the step (s200), while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strip 200 is pulled backward, the bent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trip 200 is hung on one end of the fixing part 310 of the fixing member 300 and the fixing member 300 is hel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tep (s300) of fixing the strip 200 by pressing downward so that the rake part 320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compacted soil.

본 발명에서는 스트립(200)이 전방 돌출부(122)의 후면부(113)와의 제1간극(d1)의 크기보다 더 큰 제2간극(d2)의 크기만큼 후방으로 더 깊게 이동된 상태에서 후방 오목부(123)에 감겨지고 후방에서 고정부재(300)에 의해 당겨진 상태로 고정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p 200 is moved deeper to the rear by the size of the second gap d2 which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gap d1 between the rear part 113 of the front protrusion 122 and the rear concave portion. It is wound around (123) and fixed in a pulled state by the fixing member 300 from the rear.

따라서, 다짐 토사의 다짐작용을 위해 10톤 로라 등으로 다짐 토사에 충격을 가하는 경우 발생하는 스트립(200)의 전후방 방향으로의 변위는 거의 제2간극(d2)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ompacted soil with a 10-ton roller or the like for compaction of the compacted soil, the displacement of the strip 2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occurs almost inside the second gap d2.

이로 인해, 로라에 의해 충격으로 스트립(200)에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도 굽혀져서 당겨진 상태의 스트립(200)이 제2간극(d2)보다 더 작은 제1간극(d1)을 통해 이탈되는 작용은 거의 발생할 수 없게 된다.As a result, even when vibration continues to occur in the strip 200 due to impact by the roller, the strip 200 in a bent and pulled state is separated through the first gap d1, which is smaller than the second gap d2. The action becomes almost impossible to occur.

이와 같이, 스트립(200)의 전후방 변위는 제2간극(d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데, 제2간극(d2)의 상부에는 제2간극(d2)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전방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있다.In this way, the front and rear displacement of the strip 200 occurs inside the second gap d2, and a front protrusion 122 is formed at the top of the second gap d2 to protrude forward of the second gap d2. It is done.

이로 인해, 다짐 토사의 다짐작용을 위해 10톤 로라 등으로 다짐 토사에 충격이 가해져 스트립(200)의 상하방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스트립(200)의 상방으로의 변위는 전방 돌출부(122)의 하면에 의해 차단된다.For this reas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ompacted soil with a 10-ton roller or the like for the compaction action of the compacted soil and upward and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strip 200 occurs, the upward displacement of the strip 200 is caused by the front protrusion 122. It is blocked by the bottom.

스트립(200)의 하방으로의 변위는 연결부(112)의 상면에 의해 차단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strip 200 is block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12.

결국, 토사의 다짐을 위한 충격으로 인해 스트립(200)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스트립(200)의 진동변위가 후방 오목부(123)의 내부에서 차단되며 특히 상방변위가 전방 돌출부(122)에 의해 차담됨으로써 스트립(200)에 의한 보강토 블럭(100)의 체결이 신뢰성 높게 유지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Ultimately, even if vibration occurs in the strip 200 due to the impact for soil compaction, the vibration displacement of the strip 200 is blocked inside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and in particular, the upward displacement is blocked by the front protrusion 122. As a result, the fastening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by the strip 200 maintains high reliability.

스트립(200)에 의한 보강토 블럭(100)의 고정작용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보강토 옹벽 전체가 견고하게 지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Since the fixing action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by the strip 200 is sufficiently secured, the entir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has the effect of being firmly supporte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강토 블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강토 블럭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단계(s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단계(s2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단계(s2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단계(s3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inforced soil block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inforced soil block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tep (s100)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step s200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step s200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step (s300)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보강토 블럭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10)으로서, 보강토 블럭(100)과, 상기 보강토 블럭(100)에 체결되는 스트립(200)과, 상기 스트립(2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10) formed by stacking reinforced soil blocks, comprising a reinforced soil block (100), a strip (200) fastened to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and a device for fixing the strip (200). It consists of a fixing member (300).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강토 블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강토 블럭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inforced soil block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inforced soil block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강토 블럭(100)은 전방부(110)와, 상기 전방부(110)와 하부에서 연결되어 형성되는 후방부(120)로 이루어진다.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consists of a front portion 110 and a rear portion 120 formed by connecting the front portion 110 and the lower portion.

전방부(110)는 대략적으로 평판형상을 가지는 전면부(111)와, 상기 전면부(111)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부(112)와, 상기 전면부(111)의 후방에서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후면부(113)로 이루어진다.The front portion 110 includes a front portion 111 having an approximately flat shape, a connection portion 11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bottom of the front portion 111, and a flat surface at the rear of the front portion 111. It consists of a rear portion 113 formed in a shape.

전면부(111)에는 보강토 블럭의 전면의 모양이나 무늬가 표시된다.The front surface 111 displays the shape or pattern of the front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연결부(112)는 삽입된 스트립(2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면이 평면으로 형성된다.The connection portion 112 has a flat upper surface so that the inserted strip 200 can be supported.

후방부(120)는 상기 연결부(112)에 연결되는 후방 본체부(121)와, 상기 후방 본체부(121)의 상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전방 돌출부(122)와, 상기 전방 돌출부(122)의 하부에서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후방 오목부(123)로 이루어진다.The rear portion 120 includes a rear body portion 121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12, a front protrusion 122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rear body portion 121, and the front protrusion ( It consists of a rear concave portion 123 that is concavely formed toward the rear at the lower part of 122).

전방 돌출부(122)의 전면은 평면에서 볼 때 후면부(113)와 평행한 직선부(122a)와 직선부(122a)의 양측에 형성되는 곡선부(122b)로 형성된다.The front of the front protrusion 122 is formed of a straight portion 122a parallel to the rear portion 113 in plan view and a curved portion 122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aight portion 122a.

전방 돌출부(122)의 직선부(122a)는 후면부(113)로부터 제1간극(d1)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straight portion 122a of the front protrusion 122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portion 113 to have a first gap d1.

제1간극(d1)의 크기는 스트립(200)의 단면이 삽입될 정도로 스트립(200)의 단면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The size of the first gap d1 is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strip 200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strip 200 can be inserted.

후방 오목부(123)의 전면은 평면에서 볼 때 후면부(113)와 평행한 직선부(123a)와 직선부(123a)의 양측에 형성되는 곡선부(123b)로 형성된다.The front of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s formed of a straight portion 123a parallel to the rear portion 113 in plan view and a curved portion 123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aight portion 123a.

후방 오목부(123)의 직선부(123a)는 후면부(113)로부터 제2간극(d2)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straight portion 123a of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portion 113 to have a second gap d2.

제2간극(d2)의 크기는 제1간극(d1)의 크기보다 후방으로 더 깊게 형성됨으로써 후방 오목부(123)의 내부로 삽입된 스트립(200)이 높이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전방 돌출부(122)에 의해 차단되도록 형성된다.The size of the second gap d2 is formed deeper backward than the size of the first gap d1, so that even if the strip 200 inserted into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s displaced in the height direction, the front protrusion ( It is formed to be blocked by 122).

한편, 후방 오목부(123)는 스트립(20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큰 크기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Meanwhile,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s formed to have a height equal to or slightly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strip 200.

스트립(200)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으로서 금속 등의 소재로 형성되며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strip 200 is a generally known configuration and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metal and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and length.

스트립(200)은 양 단부가 연결되는 폐쇄루프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trip 200 is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with both ends connected.

고정부재(300)는 ∩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310)와, 상기 고정부(310)의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는 갈퀴부(320)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member 300 includes a fixing part 310 formed in a ∩ shape, and a plurality of rake parts 320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갈퀴부(320)는 바닥을 향하는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300)가 하방으로 체결된 후에는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다.The rake portion 3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rowhead pointing toward the floor so that the fixing member 300 does not deviate upward after being fastened downward.

다음으로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we will explain how to construct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단계(s1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tep (s100)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보강토 블럭(100)에 스트립(200)을 삽입하는 단계(s100)를 수행한다.First, a step (s100) of inserting the strip 200 into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is performed.

단계(s100)에서는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200)의 일측을 보강토 블럭(100)의 상부에 배치시킨다.In step s100, one side of the strip 20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as shown in FIG. 3A.

다음으로, 도 3b 에서와 같이 스트립(200)을 보강토 블럭(100)에서 후면부(113)와 전방 돌출부(122)의 직선부(122a)의 사이에 형성된 제1간극(d1)으로 삽입하여 하부로 이동시킨다.Next, as shown in Figure 3b, the strip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gap d1 formed between the straight part 122a of the rear part 113 and the front protrusion 122 in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and lowered. Move it.

전방 돌출부(122)의 전면은 평면에서 볼 때 직선부(122a)의 양측이 곡선부(122b)로 형성되어 있는 바, 굽혀진 스트립(200)이 삽입되는 경우에도 스트립(200)의 양측이 손상되지 않고 삽입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The front of the front protrusion 122 is formed with curved portions 122b on both sides of the straight portion 122a when viewed in plan, so even when the bent strip 200 is inserted, both sides of the strip 200 are damaged. It has the effect of being inserted without being inserted.

보강토 블럭(100)의 제1간극(d1)에 삽입된 스트립(200)은 연결부(112)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The strip 200 inserted into the first gap d1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12.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단계(s2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단계(s200)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step s200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step s200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스트립(200)을 당기는 단계(s200)를 수행한다.Next, a step (s200) of pulling the strip 200 is performed.

단계(s200)에서는 스트립(200)을 후방으로 잡아 당기면 스트립(200)은 보강토 블럭(100)의 제2간극(d2)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후방 오목부(123)와 접촉하게 된다.In step s200, when the strip 200 is pulled backward, the strip 200 moves backward in the second gap d2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후방 오목부(123)의 전면은 평면에서 볼 때 직선부(123a)의 양측이 곡선부(123b)로 형성되어 있는 바, 굽혀진 스트립(200)이 당겨지는 경우에도 스트립(200)의 양측이 손상되지 않고 삽입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The front of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s formed so that both sides of the straight portion 123a are curved portions 123b when viewed in plan, so that even when the bent strip 200 is pulled, both sides of the strip 200 are It has the effect of being inserted without damage.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방법에서 단계(s3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step (s300)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마지막으로 스트립(200)을 고정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Finally, a step (s300) of fixing the strip 200 is performed.

단계(s200)에서 스트립(200)을 잡아당긴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트립(200)의 타측의 굽혀진 부분을 고정부재(300)의 고정부(310)의 일단에 걸고 고정부재(30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보강토 블럭 옹벽와 사면부 사이의 토사부에 갈퀴부(320)가 삽입고정되게 한다.In step s200, while maintaining the pulled state of the strip 200, the bent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trip 200 is hooked to one end of the fixing part 310 of the fixing member 300 and the fixing member 300 is moved downward. Pressure is applied to insert and fix the rake part 320 in the soil between the reinforced soil block retaining wall and the slope.

1개의 스트립(200)에 대해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고정부재(300)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fasten one strip 200 using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300 as needed.

본 발명에서는 스트립(200)이 전방 돌출부(122)의 후면부(113)와의 제1간극(d1)의 크기보다 더 큰 제2간극(d2)의 크기만큼 후방으로 더 깊게 이동된 상태에서 후방 오목부(123)에 감겨져 굽혀진 상태로 설치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p 200 is moved deeper to the rear by the size of the second gap d2 which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gap d1 between the rear part 113 of the front protrusion 122 and the rear concave portion. It is wound around (123) and installed in a bent state.

또한, 후방 오목부(123)에 감겨진 스트립(200)은 당겨진 상태에서 후방에서 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바 스트립(200)은 당겨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while the strip 200 wound around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s pulled, the bar strip 200 fixed at the rear by the fixing member 300 continues to maintain the pulled state.

따라서, 다짐 토사의 다짐작용을 위해 10톤 로라 등으로 다짐 토사에 충격을 가하는 경우 발생하는 스트립(200)의 전후방 방향으로의 변위는 거의 제2간극(d2)의 내부에서 발생하게 된다.Therefore,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ompacted soil with a 10-ton roller or the like for compaction of the compacted soil, the displacement of the strip 2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occurs almost inside the second gap d2.

이로 인해, 로라에 의해 충격으로 스트립(200)에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도 굽혀져서 당겨진 상태의 스트립(200)이 제2간극(d2)보다 더 작은 제1간극(d1)을 통해 이탈되는 작용은 거의 발생할 수 없게 된다.As a result, even when vibration continues to occur in the strip 200 due to impact by the roller, the strip 200 in a bent and pulled state is separated through the first gap d1, which is smaller than the second gap d2. The action becomes almost impossible to occur.

이와 같이, 스트립(200)의 전후방 변위는 제2간극(d2)의 내부에서 발생하는데, 제2간극(d2)의 상부에는 제2간극(d2)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전방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있다.In this way, the front and rear displacement of the strip 200 occurs inside the second gap d2, and a front protrusion 122 is formed at the top of the second gap d2 to protrude forward of the second gap d2. It is done.

이로 인해, 다짐 토사의 다짐작용을 위해 10톤 로라 등으로 다짐 토사에 충격이 가해져 스트립(200)의 상하방 변위가 발생하는 경우, 스트립(200)의 상방으로의 변위는 전방 돌출부(122)의 하면에 의해 차단된다.For this reason,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ompacted soil with a 10-ton roller or the like for the compaction action of the compacted soil and upward and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strip 200 occurs, the upward displacement of the strip 200 is caused by the front protrusion 122. It is blocked by the bottom.

스트립(200)의 하방으로의 변위는 연결부(112)의 상면에 의해 차단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The downward displacement of the strip 200 is block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12.

결국, 토사의 다짐을 위한 충격으로 인해 스트립(200)에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스트립(200)의 진동변위가 후방 오목부(123)의 내부에서 차단되며 특히 상방변위가 전방 돌출부(122)에 의해 차담됨으로써 스트립(200)에 의한 보강토 블럭(100)의 체결이 신뢰성 높게 유지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Ultimately, even if vibration occurs in the strip 200 due to the impact for soil compaction, the vibration displacement of the strip 200 is blocked inside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and in particular, the upward displacement is blocked by the front protrusion 122. As a result, the fastening of the reinforced earth block 100 by the strip 200 maintains high reliability.

스트립(200)에 의한 보강토 블럭(100)의 고정작용이 충분히 확보되므로 보강토 옹벽 전체도 견고하게 지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Since the fixing action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by the strip 200 is sufficiently secured, the entir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lso has the effect of being firmly supported.

한편, 보강토 블럭(100)에서 후방 오목부(123)의 전면 양측은 곡선부(123b)로 형성되므로 다짐충격에 의해 스트립(200)에 빈번한 진동변위가 발생하는 경우에 보강토 블럭(100)에 의해 스트립(200)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강토 옹벽의 견고성을 손상하지 않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both front sides of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n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are formed as curved portions 123b, when frequent vibration displacement occurs in the strip 200 due to compaction impact,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By preventing the surface of the strip 200 from being damaged, it has the effect of not damaging the solidity of th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thereof is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100 : 보강토 블럭 200 : 스트립
300 : 고정부재
100: Reinforced soil block 200: Strip
300: Fixing member

Claims (5)

사면부에 형성된 다짐토사를 지지하도록 보강토 블럭을 적층하여 형성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보강토 블럭(100)과,
상기 보강토 블럭(100)에 굽혀진 부분이 체결되는 스트립(200)과,
상기 스트립(200)의 타측의 굽혀진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토 블럭(100)은,
전방부(110)와, 상기 전방부(110)의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방부(110)는 전면부(111)와, 상기 전면부(111)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부(112)와, 상기 전면부(111)의 후방에서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후면부(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부(120)는 상기 연결부(112)에 연결되는 후방 본체부(121)와, 상기 후방 본체부(121)의 상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전방 돌출부(122)와, 상기 전방 돌출부(122)의 하부에서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후방 오목부(1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트립(200)은 굽혀진 상태로 상기 후방 오목부(123)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112)는 삽입된 상기 스트립(2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면을 구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방 돌출부(122)의 전면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후면부(113)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직선부(122a)와 상기 직선부(122a)의 양측에 형성되는 곡선부(122b)로 형성되고

상기 직선부(122a)는 상기 후면부(113)로부터 제1간극(d1)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간극(d1)의 크기는 상기 스트립(200)이 상부에서 하방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립(200)의 단면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곡선부(122b)는 상기 스트립(200)이 굽혀진 상태로 삽입될 수 있게 하며,

상기 후방 오목부(123)의 전면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후면부(113)와 평행하게 형성되는 직선부(123a)와 상기 직선부(123a)의 양측에 형성되는 곡선부(123b)로 형성되며,
상기 후방 오목부(123)의 직선부(123a)는 상기 후면부(113)로부터 제2간극(d2)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간극(d2)의 크기는 상기 제1간극(d1)의 크기보다 후방으로 더 깊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방 돌출부(122)보다 상기 후방 오목부(123)가 후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 오목부(123)는 상기 스트립(200)이 굽혀진 상태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스트립(200)의 측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스트립(20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조금 더 큰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곡선부(123b)는 상기 스트립(200)이 굽혀진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스트립(200)이 상기 후방 오목부(123)에 굽혀진 상태로 지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300)는,
∩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310)와, 상기 고정부(310)의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되는 갈퀴부(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갈퀴부(320)는 바닥을 향하는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트립(200)의 타측의 굽혀진 부분이 상기 고정부(310)에 고정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스트립(200)의 일측의 굽혀진 부분을 보강토 블럭(100)의 상부에 배치시킨 다음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켜 보강토 블럭(100)의 제1간극(d1)으로 삽입하여 보강토 블럭(100)의 제2간극(d2)에서 연결부(112)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스트립(200)을 삽입하는 단계(s100);
상기 단계(s100)에서 삽입된 스트립(200)을 후방으로 잡아 당겨 스트립(200)이 보강토 블럭(100)의 제2간극(d2)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후방 오목부(123)와 접촉하도록 스트립(200)을 후방으로 당기는 단계(s200); 및
상기 단계(s200)에서 스트립(200)을 후방으로 당긴 상태를 유지하면서 스트립(200)의 타측의 굽혀진 부분을 고정부재(300)의 고정부(310)의 일단에 걸고 고정부재(300)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다짐토사에 갈퀴부(320)가 삽입고정되게 함으로써 스트립(200)을 고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formed by stacking reinforced soil blocks to support compacted soil formed on a slope,
Reinforced soil block (100),
A strip (200) whose bent portion is fastened to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It consists of a fixing member 300 for fixing the bent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trip 200,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is,
It consists of a front part 110 and a rear part 120 formed behind the front part 110,
The front part 110 includes a front part 111, a connection part 112 extending rearward from the bottom of the front part 111, and a rear part formed in a planar shape at the rear of the front part 111. It consists of (113),
The rear portion 120 includes a rear body portion 121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12, a front protrusion 122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body portion 121, and the front protrusion. It consists of a rear concave portion 123 that is concavely formed toward the rear at the lower part of (122),
The strip 200 is inserted and installed inside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n a bent state,

The connecting portion 112 is formed to have an upper surface so that the inserted strip 200 can be supported,

The front of the front protrusion 122 is formed of a straight portion 122a formed parallel to the rear portion 113 when viewed in plan and a curved portion 122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aight portion 122a.

The straight portion 122a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portion 113 to have a first gap d1,
The size of the first gap d1 is slightly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strip 200 so that the strip 200 can be inser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curved portion 122b allows the strip 200 to be inserted in a bent state,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s formed of a straight portion 123a formed parallel to the rear portion 113 when viewed in plan and a curved portion 123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raight portion 123a,
The straight portion 123a of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portion 113 to have a second gap d2,
The size of the second gap d2 is formed deeper backward than the size of the first gap d1, so that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is formed rearward than the front protrusion 122,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shape of the strip 200 so that the strip 200 can be supported in a bent state, and has a height equal to or slightly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strip 200. It is formed to have,
The curved portion 123b allows the strip 200 to be supported in a bent state,
The strip 200 is formed to be supported in a bent state in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The fixing member 300 is,
It consists of a fixing part 310 formed in the shape of ∩, and a plurality of rake parts 32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310,
The rake portion 32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rowhead pointing toward the floor,
A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in which the bent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trip 200 is fixed to the fixing part 310,

The bent part of one side of the strip 20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then moved from the top to the lower part and inserted into the first gap d1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Inserting the strip 200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12 in the second gap d2 (s100);
The strip 200 inserted in the step (s100) is pulled rearward so that the strip 200 moves rearward in the second gap d2 of the reinforced soil block 100 and contacts the rear concave portion 123. 200) pulling backward (s200); and
In the step (s200), while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strip 200 is pulled backward, the bent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strip 200 is hooked to one end of the fixing part 310 of the fixing member 300 and the fixing member 300 is fix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lock-typ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omprising the step (s300) of fixing the strip 200 by pressing downward and inserting and fixing the rake part 320 into the compacted soi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67328A 2022-06-02 2022-06-02 Retaining block wall using str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26409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328A KR102640957B1 (en) 2022-06-02 2022-06-02 Retaining block wall using str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328A KR102640957B1 (en) 2022-06-02 2022-06-02 Retaining block wall using str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475A KR20230167475A (en) 2023-12-11
KR102640957B1 true KR102640957B1 (en) 2024-02-27

Family

ID=8916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7328A KR102640957B1 (en) 2022-06-02 2022-06-02 Retaining block wall using str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95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47Y1 (en) * 2001-03-29 2001-10-10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Anchor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101238016B1 (en) * 2012-07-03 2013-02-26 주식회사지이티-피씨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g wall block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075B1 (en) * 2001-08-14 2004-09-01 주식회사 그린월 Civil Structural Concrete-Block and A Method of Stabilizing the Slope Surface for using thereof
KR20090012897U (en) * 2008-06-13 2009-12-17 최경동 A Complex type of Retaining wall block
KR102264250B1 (en) 2019-04-29 2021-06-14 주식회사 토브씨앤지 Block style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099041B1 (en) * 2019-07-29 2020-04-08 김형대 Block type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747Y1 (en) * 2001-03-29 2001-10-10 주식회사 피아이에이 Anchor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KR101238016B1 (en) * 2012-07-03 2013-02-26 주식회사지이티-피씨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g wall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475A (en) 202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6445B1 (en) Soil tank type land-side protection wall
KR20090091460A (en) Soil retaining method for two rows pile using earth anchor
KR101103142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506880B1 (en) Shoring apparatus
CN102575447A (en)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KR101136240B1 (en) made of iron soil retaining plate and its support structure for form and retaining-wall vertical reinforcement
KR100938493B1 (en) Strip for fabricated retaining wall
KR102640957B1 (en) Retaining block wall using strip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KR100473375B1 (en) Retaining wall using phc pile
KR102560550B1 (en) Steel Assembly Pile
KR101015610B1 (en) Tunnel having inclined plate
JP3611967B2 (en) Slop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091972B1 (en) H-pile for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earth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200399769Y1 (en) Steel frame revetment using earth anchor
JP5800765B2 (en) Rock fall prevention structure
KR100657656B1 (en) Pile for method of ground improv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69778B1 (en) Composite Wall Using Angled Chan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3470576B2 (en)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and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0519734B1 (en) Strip type Reinforcement Mesh for Construction and Soil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40050137A (en) Panel Assembly A Breast Wall to increase supporting power
JP2007063790A (en) Fill reinforcing structure
KR102587240B1 (en) Steel Assembly Pile
JP2547946B2 (en) Reinforced soil structure
KR102490879B1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H pile
JP2769778B2 (en) Road construction method in mountains and hi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