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150B1 -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s - Google Patents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150B1
KR102639150B1 KR1020230067400A KR20230067400A KR102639150B1 KR 102639150 B1 KR102639150 B1 KR 102639150B1 KR 1020230067400 A KR1020230067400 A KR 1020230067400A KR 20230067400 A KR20230067400 A KR 20230067400A KR 102639150 B1 KR102639150 B1 KR 102639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information
infrastructure
risk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74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봉기
김혜진
김종호
김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케이
Priority to KR1020230067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1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15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H2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 G01N33/0063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using a threshold to release an alarm or displa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 유출 사고 발생 시,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 불꽃 발생,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용해 수소 유출 사고가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으로 판단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어, 수소를 취급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 유출 사고 발생 시, 수소 가스의 유출 강도, 유출된 수소 가스의 확산 범위, 유출된 수소 가스로 인한 화재나 폭발 사고의 신속한 탐지가 가능한 효과와 수소 가스의 유출로 인한 화재, 폭발 사고 시, 사고 상황에 맞는 사고 대처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 수소 가스의 유출로 인한 다양한 형태의 화재, 폭발 사고별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정보 수집부(100), 플랫폼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hydrogen concentration, flame generation,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when a hydrogen leak accident occurs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and uses the measured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risk situ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hydrogen leak accident occurr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risk situation and generate 3D monitoring information in real time on the risk situ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is judged to be at risk. In the event of a hydrogen leak accident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that handles hydrogen, the intensity of the leak of hydrogen gas and the amount of leaked hydrogen can be determined.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rapid detection of fires or explosions caused by the diffusion range of gas and leaked hydrogen gas, and in the event of a fire or explosion caused by a leak of hydrogen gas, it is possible to suggest accident response methods appropriate for the accident situation. This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quickly responding to various types of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leaks,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nd a platform server 200.

Description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s}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s}

본 발명은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 유출 사고 발생 시,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 불꽃 발생,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용해 수소 유출 사고가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으로 판단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수소 유출 사고가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수소 기반 시설별로 수소 가스의 유출로 인한 화재, 폭발 사고에 대응하도록 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Specifically, when a hydrogen leak accident occurs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the hydrogen concentration, flame generation,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are measured and measured in real time.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we determine whether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hydrogen leak occurred is at risk, and 3D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risk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judged to be at risk is generated in real time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hydrogen leak occurred. This is a technology for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monitors the situation in real time and responds to fires and explosions caused by leaks of hydrogen gas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최근 과학 기술의 발달로 많은 산업 분야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특히, 대규모 구조물과 시설물이 시공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many industrial fields have been developed, and in particular, large-scale structures and facilities are being constructed.

큰 규모의 구조물과 시설물이 시공되면 안전사고의 위험도 증가하게 되고, 일단 안전사고가 발생하면 대량의 인명, 재산상의 피해가 발생하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When large-scale structures and facilities are constructe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increases, and once a safety accident occurs, a large amount of damage to life and property occurs, so it is important to prevent safety accidents from occurring.

특히,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산업 현장에 설치된 시설물들의 구조적 결함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어, 산업 현장에 설치된 시설물들의 구조적 안전성 평가를 통해 산업 현장에 설치된 시설물들이 구조적으로 이상이 없는지를 검사할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structural defects in facilities installed at industrial sites are considered to be the main cause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at industrial sites. Therefore, structural safety evaluation of facilities installed at industrial sites is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facilities installed at industrial sites are structurally intact. Needs to be.

한편, 석탄,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지구 온난화가 나날이 심각해지고 있어, 최근에는 화석연료 대신 친환경 연료인 수소를 사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Meanwhile, a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global warming caused by the use of fossil fuels such as coal and oil are becoming more serious day by day, there has recently been a movement to use hydrogen, an eco-friendly fuel, instead of fossil fuels.

즉, 수소를 산업용 기초 원료, 화력 발전소의 혼합 연료, 자동차, 선박, 철도 분야 등에 이용하고자 하는 움직임과 함께,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화석 경제에서 자연계에 무수히 많이 존재하는 수소를 기반으로 하는 수소 경제로의 전환 움직임이 일고 있다.In other words, along with the movement to use hydrogen as a basic industrial raw material, mixed fuel for thermal power plants, automobiles, ships, and railways, there is a shift from a fossil economy based on fossil fuels to a hydrogen economy based on hydrogen that exists in countless quantities in the natural world. There is a movement to switch to .

이러한 추세에 따라, 수소를 각종 산업에 이용하도록 전국 각지에 공장, 발전소, 저장 시설과 같은 수소 기반 시설들이 설치 및 운영되고 있으나, 수소의 무색, 무취 특성으로 유출된 수소를 신속히 파악하기 곤란하고, 유출된 수소는 풍향 및 풍속에 따라 주변으로 불규칙하게 확산하는 특징으로 유출된 수소의 확산 범위를 신속히 파악하기 곤란하며, 수소의 가연성 특징으로 화재나 폭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According to this trend,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ies such as factories, power plants, and storage facilities are being installed and operated across the country to use hydrogen in various industries. However, due to the colorless and odorless characteristics of hydrogen, it is difficult to quickly identify leaked hydrogen. Leaked hydrogen spreads irregularly to the surroundings depending on wind direction and speed, making it difficult to quickly determine the extent of spread of leaked hydrogen, and there is a risk that it may lead to a fire or explosion due to the flammability of hydrogen.

따라서 수소를 취급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 유출 사고 발생 시, 수소 가스의 유출 강도, 유출된 수소 가스의 확산 범위, 유출된 수소 가스로 인한 화재나 폭발 사고의 신속한 탐지와 사고 상황에 맞는 사고 대처 방법을 제시하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Therefore, when a hydrogen leak accident occurs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handles hydrogen, the intensity of the leaked hydrogen gas, the spread range of the leaked hydrogen gas, rapid detection of fire or explosion caused by the leaked hydrogen gas, and accident response methods appropriate to the accident situation.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that presents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요성과 문제점 해결을 위한 것으로,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 유출 사고 발생 시,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 불꽃 발생,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용해 수소 유출 사고가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으로 판단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수소 유출 사고가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수소 기반 시설별로 수소 가스의 유출로 인한 화재, 폭발 사고에 대응하도록 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conventional needs and problems described above. When a hydrogen leak accident occurs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the hydrogen concentration, flame generation,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are measured in real time, and the measured information is provided. It determines whether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hydrogen leak occurred is at risk, and generates 3D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risk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judged to be at risk in real time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hydrogen leak occurred. We would like to propose a technology for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monitors in real time and responds to fires and explosions caused by leaks of hydrogen gas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The following are related prior arts.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6820호 환경 재난, 재해 조기감지를 위한 대기질 예측 및 관리 시스템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66820 Air quality predic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early detection of environmental disasters and disasters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92926호 유해화학물질 누출 감지 및 대응 시스템 및 방법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92926 Hazardous chemical leak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and method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00744호 IoT 기반 무선 수소화재 및 일반화재 겸용 불꽃 감지시스템3.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300744 IoT-based wireless hydrogen fire and general fire flame detection system

본 발명은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 유출 사고 발생 시,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 불꽃 발생,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용해 수소 유출 사고가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으로 판단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hydrogen concentration, flame generation,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when a hydrogen leak accident occurs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and uses the measured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risk situ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hydrogen leak accident occurred. The purpose 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hazardous situation exists and generate real-time 3D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hazardous situation of hydrogen infra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수소 가스의 유출로 인한 화재, 폭발 사고 시, 사고 상황에 맞는 사고 대처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ident response method suitable for the accident situation in case of a fire or explosion caused by a leak of hydrogen ga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 불꽃 발생,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플랫폼 서버(200)로 제공하도록, 수소 기반 시설마다 설치되는 정보 수집부(100)와;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installed in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to collect information on hydrogen concentration, spark generation,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provide it to the platform server 200;

수소 기반 시설마다 설치되는 정보 수집부(100)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수소 기반 시설들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는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원격지에 설치되는 플랫폼 서버(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installed in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to generate and display 3D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hazardous situ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latform server 200 installed in a remote location.

본 발명은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 유출 사고 발생 시,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 불꽃 발생,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용해 수소 유출 사고가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으로 판단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어, 수소를 취급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 유출 사고 발생 시, 수소 가스의 유출 강도, 유출된 수소 가스의 확산 범위, 유출된 수소 가스로 인한 화재나 폭발 사고의 신속한 탐지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hydrogen concentration, flame generation,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when a hydrogen leak accident occurs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and uses the measured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risk situ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hydrogen leak accident occurr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risk situation and generate 3D monitoring information in real time on the risk situ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is judged to be at risk. In the event of a hydrogen leak accident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that handles hydrogen, the intensity of the leak of hydrogen gas and the amount of leaked hydrogen can be determined. It provides the effect of enabling rapid detection of fire or 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the diffusion range of gas and leaked hydrogen gas.

또한, 본 발명은 수소 가스의 유출로 인한 화재, 폭발 사고 시, 사고 상황에 맞는 사고 대처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 수소 가스의 유출로 인한 다양한 형태의 화재, 폭발 사고별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ccident response method suitable for the accident situation in the event of a fire or explosion caused by a leak of hydrogen gas, providing the effect of quickly responding to various types of fire or 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a leak of hydrogen gas.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위험 상황 정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 예시도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ample of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of dangerous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ample of risk situation 3D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인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이하 본 발명)은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 유출 사고 발생 시,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 불꽃 발생,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용해 수소 유출 사고가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으로 판단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어, 수소를 취급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 유출 사고 발생 시, 수소 가스의 유출 강도, 유출된 수소 가스의 확산 범위, 유출된 수소 가스로 인한 화재나 폭발 사고의 신속한 탐지가 가능한 효과와 수소 가스의 유출로 인한 화재, 폭발 사고 시, 사고 상황에 맞는 사고 대처 방법을 제시할 수 있어, 수소 가스의 유출로 인한 다양한 형태의 화재, 폭발 사고별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수집부(100), 플랫폼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or's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hydrogen concentration, flame generation,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when a hydrogen leak accident occurs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and measures the measured information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where a hydrogen leak incident occurred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generate 3D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hazardous situ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judged to be a hazardous situation in real time, thereby preventing hydrogen leakage from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that handles hydrogen. In the event of an accident, the intensity of hydrogen gas leakage, the spread range of leaked hydrogen g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quickly detect a fire or explosion caused by leaked hydrogen gas, and the effect of the accident situation in the event of a fire or explosion caused by a leak of hydrogen gas. It is an invention that can provide an appropriate accident response method, providing the effect of quickly responding to various types of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caused by the leakage of hydrogen gas. As shown in FIG. 1,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atform server 20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Specifically, the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 불꽃 발생,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플랫폼 서버(200)로 제공하도록, 수소 기반 시설마다 설치되는 정보 수집부(100)와;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installed in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to collect information on hydrogen concentration, spark generation,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provide it to the platform server 200;

수소 기반 시설마다 설치되는 정보 수집부(100)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수소 기반 시설들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는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원격지에 설치되는 플랫폼 서버(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installed in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to generate and display 3D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hazardous situ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latform server 200 installed in a remote location.

상기 정보 수집부(100)는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 불꽃 발생,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플랫폼 서버(200)로 제공하도록, 수소 기반 시설마다 설치되는 구성이다.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is a component installed in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to collect hydrogen concentration, flame generation,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platform server 2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소 기반 시설은 수소 가스를 이용해 발전하는 발전 시설, 수소 가스를 저장하는 저장 시설, 수소 가스를 이용해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 시설, 수소 가스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시설 등과 같이, 전국 각지에 다양한 형태의 수소 기반 시설들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As shown in Figure 1, hydrogen infrastructure includes power generation facilities that generate power using hydrogen gas, storage facilities that store hydrogen gas, production facilities that produce products using hydrogen gas, and charging facilities that can charge hydrogen gas. Likewise, various types of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ies are installed and operated throughout the country.

이때, 수소는 무색, 무취 특성으로 유출된 수소를 신속히 파악하기 곤란하고, 유출된 수소는 풍향 및 풍속에 따라 주변으로 불규칙하게 확산하는 특징으로 유출된 수소의 확산 범위를 신속히 파악하기 곤란하며, 수소의 가연성 특징으로 유출된 수소에 의해 화재나 폭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At this time, it is difficult to quickly identify the leaked hydrogen because it is colorless and odorless, and the leaked hydrogen diffuses irregularly to the surroundings depending on the wind direction and speed, making it difficult to quickly determine the scope of diffusion of the leaked hydrogen. Due to its flammable nature, there is a risk that leaked hydrogen may lead to a fire or explosion.

따라서 수소를 취급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가 어떠한 강도로 유출되고 있는지, 유출된 수소가 어떠한 형태로 확산하고 있는지, 유출된 수소로 인해 어떠한 사고가 발생했는지를 신속히 파악해야, 큰 사고로 이어지기 전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되며, 이를 위해, 수소 기반 시설마다 설치된 정보 수집부(100)를 통해, 수소 유출 사고 발생 시,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 불꽃 발생,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플랫폼 서버(200)로 제공한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quickly determine to what extent hydrogen is leaking from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handles hydrogen, how the leaked hydrogen is spreading, and what kind of accidents have occurred due to the leaked hydrogen before it leads to a major accident. It is possible to respond quickly. To this end, through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installed at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in the event of a hydrogen leak, information on hydrogen concentration, flame generation,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s collected in real time to form a platform. Provided by server 200.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 수집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Specificall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s shown in FIG. 2,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수소 농도 정보와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실시간 제공하는 제1 감지 모듈(110)과,A first detection module 110 that measures the hydrogen concentration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provides the measured hydro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to the platform server 200;

수소 기반 시설 주변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불꽃 감지 정보와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실시간 제공하는 제2 감지 모듈(120)과,A second detection module 120 that detects flames occurring around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provides flame detec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to the platform server 200 when a flame is detected;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풍향 및 풍속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풍향 및 풍속 정보와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실시간 제공하는 제3 감지 모듈(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third detection module 130 that measures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provides the measured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to the platform server 200. do.

상기 제1 감지 모듈(110)은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수소 농도 정보와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실시간 제공하는 구성이다.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measures the hydrogen concentration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provides the measured hydro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to the platform server 200 in real time.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가 유출되는 경우, 단순 누출로 끝날 수도 있지만, 단순 누출이 아닌 심각한 유출 사고인 경우,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는 점차 증가하게 되고, 유출된 수소 농도에 따라 이어지는 화재나 폭발 사고의 규모가 달라진다.If hydrogen leaks from a hydrogen infrastructure, it may end up as a simple leak, but if it is a serious leak rather than a simple leak, the hydrogen concentration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ill gradually increase, and depending on the leaked hydrogen concentration, a subsequent fire or explosion will occur. The scale of the accident varies.

따라서, 원격지의 플랫폼 서버(200)가 수소 유출 사고가 발생한 해당 수소 기반 시설에서 유출되고 있는 수소의 유출 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1 감지 모듈(110)은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수소 농도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실시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so that the remote platform server 200 can determine the intensity of hydrogen leaking from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hydrogen leak incident occurred, the first detection module 110 measures the hydrogen concentration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Measure and provide the measured hydro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to the platform server 200 in real time.

또한, 플랫폼 서버(200)로 측정된 수소 농도 정보 제공 시,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도 함께 제공하는데, 이는, 원격지의 플랫폼 서버(200)가 전국 각지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 및 운영되고 있는 다수의 수소 기반 시설 중, 어느 수소 기반 시설에서 제공된 수소 농도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when providing hydro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latform server 2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hydrogen infrastructure is also provided, which means that the remote platform server 200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various forms throughout the country. This is to be able to determine which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ies provides the hydrogen concentration.

상기 제2 감지 모듈(120)은 수소 기반 시설 주변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불꽃 감지 정보와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실시간 제공하는 구성이다.The second detection module 120 detects flames occurring around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when a flame is detected, provides flame detec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to the platform server 200 in real time. .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가 유출되는 경우, 단순 누출로 끝날 수도 있지만, 단순 누출이 아닌 심각한 유출 사고인 경우,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는 점차 증가하게 되고, 화재나 폭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특히, 화재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 수소 기반 시설 주변에서 불꽃이 발생하게 된다.If hydrogen leaks from a hydrogen infrastructure, it may end up as a simple leak, but if it is a serious leak rather than a simple leak, the hydrogen concentration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ill gradually increase and may lead to a fire or explosion, especially , leading to a fire incident, sparks will occur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따라서, 원격지의 플랫폼 서버(200)가 수소 유출 사고가 발생한 해당 수소 기반 시설에서 유출된 수소로 인해 화재 사고가 발생했는지 폭발 사고가 발생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제2 감지 모듈(120)은 수소 기반 시설 주변에서 발생한 불꽃을 감지하는 경우, 불꽃 감지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실시간 제공한다.Therefore, so that the remote platform server 200 can determine whether a fire accident or an explosion accident occurred due to hydrogen leaked from the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where the hydrogen leak occurred, the second detection module 120 is hydrogen-based. When a flame occurring around the facility is detected, flame detection information is provided in real time to the platform server 200.

또한, 플랫폼 서버(200)로 불꽃 감지 정보 제공 시,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도 함께 제공하는데, 이는, 원격지의 플랫폼 서버(200)가 전국 각지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 및 운영되고 있는 다수의 수소 기반 시설 중, 어느 수소 기반 시설에서 제공된 불꽃 감지 정보 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when flame detec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latform server 2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hydrogen infrastructure is also provided, which means that the remote platform server 200 is installed and operated in various forms throughout the country. The purpose is to identify which of the facilities, the flame detection information provided, is from a hydrogen-based facility.

상기 제3 감지 모듈(130)은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풍향 및 풍속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풍향 및 풍속 정보와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실시간 제공하는 구성이다.The third detection module 130 measures the wind direction and speed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provides the measured wind direction and speed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to the platform server 200 in real time.

수소 기반 시설에서 유출된 수소는 풍향 및 풍속에 따라 주변으로 불규칙하게 확산하는 특징을 갖고, 풍향 및 풍속에 따라 유출된 수소의 확산 범위가 다르고, 사고 대처 방법도 달라지게 된다.Hydrogen leaked from hydrogen infrastructure has the characteristic of spreading irregularly to the surrounding area depending on the wind direction and speed. The diffusion range of the leaked hydrogen varies depending on the wind direction and speed, and the method of responding to accidents also varies.

따라서 원격지의 플랫폼 서버(200)가 유출된 수소의 확산 범위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제3 감지 모듈(130)은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풍향 및 풍속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풍향 및 풍속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실시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so that the remote platform server 200 can quickly determine the extent of diffusion of leaked hydrogen, the third detection module 130 measures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provides the measured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It is provided in real time through the platform server 200.

또한, 플랫폼 서버(200)로 측정된 풍향 및 풍속 정보 제공 시,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도 함께 제공하는데, 이는, 원격지의 플랫폼 서버(200)가 전국 각지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 및 운영되고 있는 다수의 수소 기반 시설 중, 어느 수소 기반 시설에서 제공된 풍향 및 풍속 정보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when providing wind direction and speed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latform server 2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hydrogen infrastructure is also provided, which means that many remote platform servers 200 are installed and operated in various forms throughout the country. The purpose is to identify which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ies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상기 플랫폼 서버(200)는 수소 기반 시설마다 설치되는 정보 수집부(100)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수소 기반 시설들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는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원격지에 설치되는 구성이다.The platform server 200 use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installed in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to determine whether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provides 3D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hazardous situ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is judged to be in a dangerous situation. It is a configuration that is installed remotely to generate and display in real time.

구체적으로, 상기 플랫폼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Specifically, the platform server 200, as shown in FIG. 2,

수소 기반 시설마다 설치된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을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모니터링부(230)로 제공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210)와;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installed in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identify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generate risk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n real time to create a monitoring unit (230) ) and a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provided by ;

수소 기반 시설별 종류/규모/구성 설비 정보, 수소 기반 시설별 3D 설계도면 정보, 위험 상황별 3D 수치해석 모델 정보,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별 수소 누출 사고 발생 통계 정보, 인프라 위험 등급 지표 정보, 상황 위험 등급 지표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220)와;Type/scale/configuration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3D design drawing information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3D numerical analysis model information for each risk situ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hydrogen leakage accidents for each facility configuration of hydrogen infrastructure, infrastructure risk grade indicator information, situational risk an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in which grade indicator information is stored;

위험 상황 판단부(210)가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 상황 정보와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모니터링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D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risk situ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risk situation occurred using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risk situation occurred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onitoring unit 230 that generates and displays in real time.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210)는 수소 기반 시설마다 설치된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을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모니터링부(23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상기 위험 상황 정보는 수소 누출 강도 정보와 사고 유형 정보와 인프라 위험 등급 정보와 풍향 및 풍속 정보와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uses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installed at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to identify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risk situation has occurred, and provides risk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risk situation has occurred. is generated in real time and provided to the monitoring unit 230.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includes hydrogen leak intensity information, accident type information, infrastructure risk level information, wind direction and speed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hydrogen infrastructure.

구체적으로,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210)는, Specificall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인 정보를 제공하는 수소 기반 시설을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수소 누출 강도를, Small, Medium, Large 중, 어느 하나로 실시간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수소 누출 강도 정보와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수소 누출 강도 판단 모듈(211)과,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information with a hydrogen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first standard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s identified. A hydrogen leak intensity determination module (211) that determines the leak intensity in real time as one of Small, Medium, and Large, and provides hydrogen leak intensity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hazardous situation occurs to the monitoring unit 230 in real time. )class,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인 정보를 제공하는 수소 기반 시설을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사고 유형을, 누출, 화재, 폭발 중, 어느 하나로 실시간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사고 유형 정보와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 유형 판단 모듈(212)과,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information with a hydrogen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first standard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in which a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an accident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in which a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is identified. A risk type determination module 212 that determines the type of leak, fire, or explosion in real time and provides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to the monitoring unit 230 in real time;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인 정보를 제공하는 수소 기반 시설을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 위험 등급을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 위험 등급 정보와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도 분석 모듈(213)과,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information with a hydrogen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first standard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the infrastructure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s identified. A risk analysis module 213 that determines the risk level and provides infrastructure risk level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risk situations occur to the monitoring unit 230 in real time;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인 정보를 제공하는 수소 기반 시설을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풍향 및 풍속 정보와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풍향/풍속 분석 모듈(2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information with a hydrogen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first standard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the wind direc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s identified. And a wind direction/wind speed analysis module 214 that provides wind speed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unit 230 in real time.

상기 수소 누출 강도 판단 모듈(211)은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을 파악한다.The hydrogen leak intensity determination module 211 uses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to identify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예를 들어,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1 수소 기반 시설이 제공하는 수소 농도 정보에 의한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이면, #1 수소 기반 시설을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고, #2 수소 기반 시설이 제공하는 수소 농도 정보에 의한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미만이면, #2 수소 기반 시설은 위험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는 것이다.For example,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based on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1 hydrogen infrastruct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standard value, the #1 hydrogen infrastructur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It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2 hydrogen infrastructure is less than the first standard, the #2 hydrogen infrastructure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no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또한, 수소 누출 강도 판단 모듈(211)은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수소 누출 강도를 Small, Medium, Large 중, 어느 하나로 실시간 파악하는데,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 가스의 유출이 발생한 경우, 단순 누출로 끝날 수도 있지만, 대부분 화재 사고 또는 폭발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수소 기반 시설에서 유출된 수소 가스의 누출 강도에 따라 사고 양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수소 누출 강도가 심할수록 폭발 가능성이 높아지고, 화재 사고보다 폭발 사고가 인명이나 시설물 피해 규모가 크다. 따라서 수소 가스의 누출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e hydrogen leak intensity determination module 211 determines in real time the hydrogen leak intensity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hazardous situation occurs as one of Small, Medium, and Large. When a hydrogen gas leak occurs i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a simple leak occurs. It may end in , but most often it leads to a fire or explosion. Accident patterns may vary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leak of hydrogen gas leaked from hydrogen infrastructure. Generally, the more severe the hydrogen leak,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explosion, and the scale of damage to people or facilities is greater in explosion accidents than in fire ac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extent of hydrogen gas leakage.

이를 위해, 상기 수소 누출 강도 판단 모듈(211)은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이고 제2 기준치 미만이면 수소 누출 강도를 Small로 파악하고, 수소 농도가 제2 기준치 이상이고 제3 기준치 미만이면 수소 누출 강도를 Medium으로 파악하고, 수소 농도가 제3 기준치 이상이면 수소 누출 강도를 Large로 파악한다.For this purpose, the hydrogen leak intensity determination module 211 determines the hydrogen leak intensity as Small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the first standard value and less than the second standard value, and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is greater than the second standard value and less than the third standard value, the hydrogen leak intensity is determined to be small. The intensity is identified as Medium, and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is above the third standard, the hydrogen leak intensity is identified as Large.

수소 누출 강도가 파악되면, 수소 누출 강도 판단 모듈(211)은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수소 누출 강도 정보와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예들 들어, (수소 누출 강도 : Large, 수소 기반 시설 : #1) 등의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다.When the hydrogen leak intensity is determined, the hydrogen leak intensity determination module 211 provides the monitoring unit 230 with hydrogen leak intensity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in real time.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hydrogen leak intensity: Large, hydrogen infrastructure: #1) is provided to the monitoring unit 230 in real time.

상기 사고 유형 판단 모듈(212)은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을 파악한다.The accident type determination module 212 uses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to identify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예를 들어,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1 수소 기반 시설이 제공하는 수소 농도 정보에 의한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이면, #1 수소 기반 시설을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고, #2 수소 기반 시설이 제공하는 수소 농도 정보에 의한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미만이면, #2 수소 기반 시설은 위험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는 것이다.For example,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based on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1 hydrogen infrastruct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standard value, the #1 hydrogen infrastructur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It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2 hydrogen infrastructure is less than the first standard, the #2 hydrogen infrastructure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no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또한, 사고 유형 판단 모듈(212)은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사고 유형을 누출, 화재, 폭발 가능 중, 어느 하나로 실시간 파악하는데,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 가스의 유출이 발생한 경우, 단순 누출로 끝날 수도 있지만, 대부분 화재 사고 또는 폭발 사고로 이어지게 되며, 화재 사고보다 폭발 사고가 인명이나 시설물 피해 규모가 크다. 따라서 수소 가스 유출로 인한 수소 기반 시설의 현재 상황을 누출, 화재, 폭발 가능 중, 어느 하나로 실시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e accident type determination module 212 determines in real time the accident type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occurred as one of possible leaks, fire, or explosion. If a leak of hydrogen gas occurs i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t is a simple leak. It may end, but most of the time, it leads to a fire or explosion, and explosion accidents cause greater damage to people or facilities than fire ac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hydrogen infrastructure due to hydrogen gas leak in real time, either as a possible leak, fire, or explosion.

이를 위해, 사고 유형 판단 모듈(212)은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를 초과하면 즉시, 사고 유형을 누출로 파악하고, 사고 유형을 누출로 파악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정보 수집부(100)가 불꽃 감지 정보를 제공하면 위험 유형을 화재로 다시 파악하고, 사고 유형을 누출로 파악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 해도 정보 수집부(100)가 불꽃 감지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위험 유형을 폭발 가능으로 다시 파악한다.To this end, the accident type determination module 212 immediately determines the accident type as a leak when the hydrogen concentration exceeds the first standard value, and with the accident type identified as a leak,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detects the flame within a certain time. If detec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he risk type is re-identified as fire, and while the accident type is determined to be leakage, if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does not provide flame detection information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the risk type is re-identified as possible explosion. do.

일반적으로, 수소 기반 시설에서 수소 가스 유출이 발생하면, 초기에는 일정 수소 누출 강도(Small, Medium, Large 중, 어느 하나)로 수소 가스가 누출되고 있는 누출 상황이 전개되다가, 누출된 가스에 불이 붙는 화재 사고나 누출된 가스가 폭발하는 폭발 사고로 이어진다.Generally, when a hydrogen gas leak occurs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a leak situation initially develops in which hydrogen gas is leaking at a certain hydrogen leak intensity (either small, medium, or large), and then the leaked gas catches fire. This can lead to a fire accident or an explosion caused by leaked gas.

따라서 사고 유형 판단 모듈(212)은 수소 가스 유출로 위험 상황이 발생한 초기(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를 막 초과하는 시점)에는 즉시 사고 유형을 누출로 파악하고, 사고 유형을 누출로 파악한 상태(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정보 수집부(100)가 불꽃 감지 정보를 제공하면 사고 유형을 화재로 다시 파악한다.Therefore, the accident type determination module 212 immediately identifies the accident type as a leak at the beginning when a hazardous situation occurs due to a hydrogen gas leak (at the point when the hydrogen concentration just exceeds the first standard value), and determines the accident type as a leak (hydrogen gas leak). In a state in which the concentration exceeds the first standard value), if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provides flame detection information within a certain time, the accident type is re-identified as fire.

수소 가스가 누출되고 있는 누출 상황이 전개되다가, 일정 시간 이내에 누출된 가스에 불이 붙는 화재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화재가 발생하면 주변에 화염으로 인한 불꽃이 존재하며, 정보 수집부(100)는 화염으로 인한 불꽃이 감지되면 불꽃 감지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제공하게 되는데, 사고 유형 판단 모듈(212)은 정보 수집부(100)가 불꽃 감지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사고 유형을 화재로 파악하는 것이다.As a leak situation in which hydrogen gas is leaking develops, a fire accident may occur in which the leaked gas catches fire within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a fire occurs, flames from the flame exist in the surrounding area, and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When a flame caused by a flame is detected, flame detec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platform server 200. When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provides flame detection information, the accident type determination module 212 determines the accident type as fire. It is done.

또한, 사고 유형 판단 모듈(212)은 사고 유형을 누출로 파악한 상태(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 해도 정보 수집부(100)가 불꽃 감지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사고 유형을 폭발 가능으로 다시 파악한다.In addition, the accident type determination module 212 determines the accident type as a leak (a state in which the hydrogen concentration exceeds the first standard value) and, if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does not provide flame detection information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accident type is re-identified as possible explosion.

수소 가스가 누출되고 있는 누출 상황이 전개되다가, 어떤 원인에 의해 누출된 가스가 폭발하는 폭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사고 유형을 누출로 파악한 상태(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 해도 정보 수집부(100)가 불꽃 감지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누출된 수소 가스로 인해 대형 폭발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As a leak situation in which hydrogen gas is leaking develops, an explosion accident may occur in which the leaked gas explodes due to some cause. When the type of accident is determined to be a leak (the hydrogen concentration exceeds the first standard value), If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does not provide flame detection information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 is a very high possibility that a large-scale explosion may occur due to leaked hydrogen gas.

따라서 사고 유형을 누출로 파악한 상태(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 해도 정보 수집부(100)가 불꽃 감지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누출된 수소 가스로 인해 대형 폭발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상황으로 파악해, 사고 유형 판단 모듈(212)은 사고 유형을 누출로 파악한 상태(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 해도 정보 수집부(100)가 불꽃 감지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사고 유형을 폭발 가능으로 다시 파악한다.Therefore, in a state where the accident type is identified as a leak (the hydrogen concentration exceeds the first standard value), if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does not provide flame detection information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 large explosion may occur due to the leaked hydrogen gas. It is identified as a situation that is very likely to lead to a leak, and the accident type determination module 212 determines the accident type as a leak (the hydrogen concentration exceeds the first standard value), and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If no flame detec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he accident type is re-identified as a possible explosion.

사고 유형이 파악되면, 사고 유형 판단 모듈(212)은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사고 유형 정보와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예들 들어, (사고 유형 : 화재, 수소 기반 시설 : #2) 등의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다.Once the accident type is identified, the accident type determination module 212 provides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occurred to the monitoring unit 230 in real time.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accident type: fire, hydrogen infrastructure: #2) is provided to the monitoring unit 230 in real time.

상기 위험도 분석 모듈(213)은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을 파악한다.The risk analysis module 213 uses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to identify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risky situation occurs.

예를 들어,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1 수소 기반 시설이 제공하는 수소 농도 정보에 의한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이면, #1 수소 기반 시설을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고, #2 수소 기반 시설이 제공하는 수소 농도 정보에 의한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미만이면, #2 수소 기반 시설은 위험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는 것이다.For example,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based on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1 hydrogen infrastruct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standard value, the #1 hydrogen infrastructur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It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2 hydrogen infrastructure is less than the first standard, the #2 hydrogen infrastructure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no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또한, 위험도 분석 모듈(213)은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 위험 등급을 파악하는데, 수소 기반 시설별 인프라 구성 설비(예: Compressors, Joints, Cylinders, Hoses, Pipes, Valves, Rupture Disks, Filters, Flanges 등)가 각기 다르고, 인프라 구성 설비가 많을수록 수소 가스 유출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인프라 구성 설비가 각기 다른 수소 기반 시설들의 인프라 위험 등급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the risk analysis module 213 identifies the infrastructure risk level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hazardous situation occurs, and the infrastructure components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e.g. Compressors, Joints, Cylinders, Hoses, Pipes, Valves, Rupture Disks, Filters, Flanges, etc.) are different, and the more infrastructure facilities there are,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hydrogen gas leak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nfrastructure risk level of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ies with different infrastructure components.

이를 위해, 위험도 분석 모듈(213)은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 정보를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구성 설비 정보와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별 수소 누출 사고 발생 통계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들의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합을 산출하고, 산출된 예상 빈도 합을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인프라 위험 등급 지표 정보에 대입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 위험 등급을 파악한다.To this end, the risk analysis module 213 extracts the component equipment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hazardous situation has been identifi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nd extracts the extracted component facility information a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Us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hydrogen leak accidents for each facility's configuration equipment, the sum of the expected frequencies of hydrogen leak accidents of the components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in which a hazardous situation occurred is calculated, and the calculated sum of the expected frequencies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By substituting the risk grade indicator information, the infrastructure risk grade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hazardous situation occurs is identified.

구체적으로, 위험도 분석 모듈(213)은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 정보를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하게 되는데, 정보 저장부(220)에는 수소 기반 시설별 구성 설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risk analysis module 213 extracts information on the components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hazardous situation has been identifi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contains information on the components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It is saved.

예를 들어,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 수소 기반 시설이 #1 수소 기반 시설인 경우, 정보 저장부(220)에서 #1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 정보(인프라 구성 설비 정보로, 예를 들면, Compressors, Joints, Cylinders, Hoses, Pipes, Valves, Rupture Disks, Filters, Flanges 등)를 추출한다.For example, i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it is determined that a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is the #1 hydrogen infrastructur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stores the #1 hydrogen infrastructure configuration equipment information (infrastructure configuration equipment information, for example, Compressors, Joints, Cylinders, Hoses, Pipes, Valves, Rupture Disks, Filters, Flanges, etc.) are extracted.

한편, 정보 저장부(220)에는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설비별 1년에 발생하는 수소 누출 사고의 발생 횟수에 대한 통계 정보인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별 수소 누출 사고 발생 통계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Meanwhil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stores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 per year for each facility constituting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frastructure, which is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hydrogen leak accidents for each facility constituting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frastructure. It is done.

도 3의 A를 예를 들면,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구성 설비인 통상의 Compressor에서 1년에 발생하는 수소 누출 사고의 발생 횟수는 1.36,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구성 설비인 통상의 Compressors에서 1년에 발생하는 수소 누출 사고의 발생 횟수는 1.36,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구성 설비인 Joint에서 발생하는 수소 누출 사고의 발생 횟수는 2.11,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구성 설비인 통상의 Cylinder에서 1년에 발생하는 수소 누출 사고의 발생 횟수는 2.32,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구성 설비인 통상의 Hose에서 1년에 발생하는 수소 누출 사고의 발생 횟수는 1.51등의 정보가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별 수소 누출 사고 발생 통계 정보로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있다.For example, in Figure 3A,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s in a typical compressor, which is a component of the infrastructure of hydrogen infrastructure, is 1.36, and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s per year is 1.36.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 per year in compressors is 1.36, and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 in joint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infrastructure of hydrogen infrastructure, is 2.11.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 per year from a typical cylinder, which is a facility, is 2.32, and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 a year from a typical hose, which is a component facility that makes up the infrastructure of a hydrogen infrastructure, is 1.51. Th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s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hydrogen leak accidents for each component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상기 위험도 분석 모듈(213)은 추출한 구성 설비 정보와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별 수소 누출 사고 발생 통계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들의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합을 산출한다.The risk analysis module 213 uses the extracted component facility information and the hydrogen leak accident occurrence statistics for each component facility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to identify hydrogen leak accidents in the components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where a hazardous situation occurred. Calculate the sum of expected frequencies of occurrence.

예를 들어,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된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 #1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가 Compressor, Joint, Cylinder, Hoses, Pipe, Valve, Rupture Disk, Filter, Flange인 경우, 추출한 구성 설비인 Compressor, Joint, Cylinder, Hose, Pipe, Valve, Rupture Disk, Filter, Flange와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별 수소 누출 사고 발생 통계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들의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합을 산출한다.For example, if the components of the #1 hydrogen infrastructure identified as having a hazardous situation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re Compressor, Joint, Cylinder, Hoses, Pipe, Valve, Rupture Disk, Filter, and Flange, By using the extracted component equipment, Compressor, Joint, Cylinder, Hose, Pipe, Valve, Rupture Disk, Filter, Flange, and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hydrogen leakage accidents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dangerous situations can be identified. Calculate the sum of the expected frequencies of hydrogen leakage accidents in the components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occurred.

도 3의 A를 예를 들면 빈도 합은 21.55가 된다. (1.36(Compressor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 2.11(Joint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2.32(Cylinder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 1.51(Hose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 3.18(Pipe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 1.56(Valve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 4.23(Rupture Disk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 1.04(Filter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 4.24(Flange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Taking A in Figure 3 as an example, the sum of frequencies is 21.55. (1.36 (Expected frequency of Compressor hydrogen leak accidents) + 2.11 (Expected frequency of Joint hydrogen leak accidents) + 2.32 (Expected frequency of Cylinder hydrogen leak accidents) + 1.51 (Expected frequency of Hose hydrogen leak accidents) + 3.18 (Pipe hydrogen leak) Expected frequency of accidents) + 1.56 (Expected frequency of valve hydrogen leak accidents) + 4.23 (Expected frequency of rupture disk hydrogen leak accidents) + 1.04 (Expected frequency of filter hydrogen leak accidents) + 4.24 (Expected frequency of flange hydrogen leak accidents)

상기 예는 구성 설비들이 1개씩인 경우이고, 동일 구성 설비가 여러 개인 경우, 그만큼 빈도 합은 증가한다.The above example is a case where there is one component facility, and if there are multiple components of the same component, the sum of frequencies increases accordingly.

한편, 정보 저장부(220)에는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들의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합과 위험 등급이 매칭된 정보인 인프라 위험 등급 지표 정보(도 3의 B 참조)가 저장되어 있다.Meanwhile,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stores infrastructure risk level indicator information (see B in FIG. 3), which is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risk level with the sum of the expected frequencies of hydrogen leakage incidents of facilities forming hydrogen infrastructure.

위험도 분석 모듈(213)은 산출된 예상 빈도 합을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인프라 위험 등급 지표 정보에 대입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 위험 등급을 파악한다.The risk analysis module 213 substitutes the calculated expected frequency sum into the infrastructure risk grade index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to identify the infrastructure risk grade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risky situation occurs.

도 3의 B를 참조하면, 산출된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들의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합이 21.55인 경우, 인프라 위험 등급이 2등급인 것으로 파악한다.Referring to B of FIG. 3, if the calculated sum of the expected frequency of hydrogen leakage incidents of the components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occurred is 21.55, the infrastructure risk level is determined to be level 2.

인프라 위험 등급이 파악되면, 위험도 분석 모듈(213)은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 위험 등급 정보와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예들 들어, (인프라 위험 등급 : 2 등급, 수소 기반 시설 : #2) 등의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다.Once the infrastructure risk level is identified, the risk analysis module 213 provides the infrastructure risk level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risk situation occurs to the monitoring unit 230 in real time.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infrastructure risk level: level 2, hydrogen infrastructure: #2) is provided to the monitoring unit 230 in real time.

상기 풍향/풍속 분석 모듈(214)은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을 파악한다.The wind direction/speed analysis module 214 use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in real time to identify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예를 들어,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1 수소 기반 시설이 제공하는 수소 농도 정보에 의한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이면, #1 수소 기반 시설을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고, #2 수소 기반 시설이 제공하는 수소 농도 정보에 의한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미만이면, #2 수소 기반 시설은 위험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는 것이다.For example,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1 hydrogen infrastructure is greater than the first standard value, the #1 hydrogen infrastructur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2 hydrogen infrastructure is less than the first standard, the #2 hydrogen infrastructure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no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이 파악되면, 풍향/풍속 분석 모듈(214)은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현재 풍향 및 풍속 정보와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When a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is identified, the wind direction/wind speed analysis module 214 provides the monitoring unit 230 with the current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in real time.

예들 들어, (풍향 및 풍속 : 무풍, 수소 기반 시설 : #1), (풍향 및 풍속 : 풍향 1/풍속 2, 수소 기반 시설 : #2) 등의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것이다.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no wind, hydrogen infrastructure: #1),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wind direction 1/wind speed 2, hydrogen infrastructure: #2) is provided in real time to the monitoring unit 230. will be.

상기 정보 저장부(220)는 수소 기반 시설별 종류/규모/구성 설비 정보, 수소 기반 시설별 3D 설계도면 정보, 위험 상황별 3D 수치해석 모델 정보,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별 수소 누출 사고 발생 통계 정보, 인프라 위험 등급 지표 정보, 상황 위험 등급 지표 정보가 저장되는 구성이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includes type/scale/configuration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3D design drawing information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3D numerical analysis model information for each risk situ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hydrogen leakage accidents for each component facility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This is a configuration in which infrastructure risk level indicator information and situational risk level indicator information are stored.

상기 수소 기반 시설별 종류 정보는 수소 기반 시설이 발전 시설, 저장 시설, 생산 시설, 이송 시설 등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수소 기반 시설별 규모 정보는 수소 기반 시설의 발전/저장/생산/이송 용량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The type information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i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s a power generation facility, storage facility, production facility, transfer facility, etc., and the size information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represents information on the power generation/storage/production/transfer capacity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t's information.

상기 수소 기반 시설별 구성 설비 정보는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설비에 대한 정보로, 예를 들면, #1 수소 기반 시설(2개의 Compressors, 7개의 Joints, 2개의 Cylinders, 10개의 Hoses, 15개의 Pipes, 7개의 Valves, 3개의 Rupture Disks, 5개의 Filters, 8개의 Flanges), #2 수소 기반 시설(1개의 Compressors, 5개의 Joints, 1개의 Cylinders, 4개의 Hoses, 5개의 Pipes, 10개의 Valves, 9개의 Filters, 3개의 Flanges) 등의 정보일 수 있다.The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is information about the facilities that constitute the infrastructure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for example, #1 hydrogen infrastructure (2 Compressors, 7 Joints, 2 Cylinders, 10 Hoses, 15 Pipes, 7 Valves, 3 Rupture Disks, 5 Filters, 8 Flanges), #2 Hydrogen Infrastructure (1 Compressors, 5 Joints, 1 Cylinders, 4 Hoses, 5 Pipes, 10 Valves, It may be information such as 9 Filters, 3 Flanges).

수소 기반 시설별 3D 설계도면 정보는 수소 기반 시설들의 설계도면 정보로, 3차원으로 표시된 3D 설계도면 정보이다.3D design drawing information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is design drawing information for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is 3D design drawing information displayed in three dimensions.

상기 위험 상황별 3D 수치해석 모델 정보는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에 따른 누출 수소 농도의 3D 분포 모델 정보,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에 따른 화재 복사열의 3D 분포 모델 정보,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에 따른 폭발 압력의 3D 분포 모델 정보를 포함한다.The 3D numerical analysis model information for each risk situation includes 3D distribution model information of hydrogen leak intensity and leaked hydrogen concentration according to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3D distribution model information of fire radiant heat according to hydrogen leak intensity,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nd hydrogen leak intensity and wind direction. and 3D distribution model information of explosion pressure according to wind speed.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과 사고 유형에 따라 다양한 위험 상황별 3D 수치해석 모델이 존재한다. 위험 상황별 3D 수치해석 모델은 사고 유형에 따라 크게 누출 수소 농도의 3D 분포 모델(사고 유형이 누출인 경우), 화재 복사열의 3D 분포 모델(사고 유형이 화재인 경우), 폭발 압력의 3D 분포 모델(사고 유형이 폭발인 경우)로 구분되고, 누출 수소 농도의 3D 분포 모델은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에 따른 다양한 누출 수소 농도의 3D 분포 모델이 있고, 화재 복사열의 3D 분포 모델은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에 따른 다양한 화재 복사열의 3D 분포 모델이 있고, 폭발 압력의 3D 분포 모델은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에 따른 다양한 폭발 압력의 3D 분포 모델이 있을 수 있으며, There are 3D numerical analysis models for various risk situations depending on the hydrogen leak intensity, wind direction and speed, and accident type. The 3D numerical analysis model for each risk situation is broadly divided into three types depending on the accident type: a 3D distribution model of leaked hydrogen concentration (if the accident type is a leak), a 3D distribution model of fire radiant heat (if the accident type is a fire), and a 3D distribution model of explosion pressure. (If the accident type is an explosion), the 3D distribution model of the leaked hydrogen concentration has a 3D distribution model of various leaked hydrogen concentrations depending on the hydrogen leak intensity and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nd the 3D distribution model of the fire radiant heat has the hydrogen leak intensity. There are 3D distribution models of various fire radiant heat according to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nd the 3D distribution model of explosion pressure may have 3D distribution models of various explosion pressures depending on hydrogen leak intensity and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도 3의 D에는 누출 수소 농도의 3D 분포 모델의 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다양한 형태의 화재 복사열의 3D 분포 모델들과 다양한 형태의 폭발 압력의 3D 분포 모델들이 있다.An example of a 3D distribution model of leaked hydrogen concentration is shown in Figure 3D, and similarly, there are 3D distribution models of various types of fire radiant heat and 3D distribution models of various types of explosion pressure.

상기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별 수소 누출 사고 발생 통계 정보는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설비별 1년에 발생하는 수소 누출 사고의 발생 횟수에 대한 통계 정보로, 도 3의 A를 예를 들면,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구성 설비인 통상의 Compressor에서 1년에 발생하는 수소 누출 사고의 발생 횟수는 1.36,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구성 설비인 통상의 Compressors에서 1년에 발생하는 수소 누출 사고의 발생 횟수는 1.36,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구성 설비인 Joint에서 발생하는 수소 누출 사고의 발생 횟수는 2.11,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구성 설비인 통상의 Cylinder에서 1년에 발생하는 수소 누출 사고의 발생 횟수는 2.32,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구성 설비인 통상의 Hose에서 1년에 발생하는 수소 누출 사고의 발생 횟수는 1.51등의 정보일 수 있다.The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hydrogen leak accidents by facility constituting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s statistical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 per year for each facility constituting the infrastructure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for example, A in FIG. 3. ,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 per year in ordinary compressor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infrastructure of hydrogen infrastructure, is 1.36, and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 per year in ordinary compressors, which are components that constitute the infrastructure of hydrogen infrastructure, is 1.36.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hydrogen leak accidents is 1.36,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occurring in joint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infrastructure of hydrogen infrastructure, is 2.11, and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 in joints, which are components of the infrastructure of hydrogen infrastructure, is 1 year.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 in a year may be 2.32, and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 in a typical hos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infrastructure of a hydrogen infrastructure, may be 1.51.

상기 인프라 위험 등급 지표 정보는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들의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합과 위험 등급이 매칭된 정보로, 도 3의 B를 참조하면, 빈도 합의 일정 범위와 위험 등급(인프라 위험 등급)이 매칭되어 있으며, 인프라 위험 등급은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에 기인한 위험 등급으로,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에 변동이 없으면 변하지 않는 수소 기반 시설별로 정해진 값이다.The infrastructure risk level index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risk level with the expected frequency of hydrogen leakage accidents of the facilities that constitute hydrogen infrastructure. Referring to B in Figure 3, the frequency agreement certain range and risk level (infrastructure risk level) This is matched, and the infrastructure risk level is a risk level due to the constituent equipment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and is a value set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does not change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constituent equipment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예상 빈도 합이 클수록 위험 등급(인프라 위험 등급)이 높아지게 되는데, 예상 빈도 합이 크다는 것은,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 구성 설비들의 종류와 개수가 많거나 누출 빈도가 많은 인프라 구성 설비가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 구성 설비들의 종류와 개수가 많거나 누출 빈도가 많은 인프라 구성 설비가 많게 되면, 그만큼 수소 유출 가능성이 높아 위험 등급(인프라 위험 등급)이 높아진다.The larger the expected frequency sum, the higher the risk level (infrastructure risk level). A large expected frequency sum means that there are many types and numbers of infrastructure components of hydrogen infrastructure or that there are many infrastructure components with frequent leaks. If there are many types and numbers of infrastructure components of hydrogen infrastructure or there are many infrastructure components with frequent leaks, the risk level (infrastructure risk level) increases as the possibility of hydrogen leaks increases.

상기 상황 위험 등급 지표 정보는 수소 누출 강도와 사고 유형과 풍향 및 풍속들의 각 조합 경우들과 위험 등급(상황 위험 등급)이 매칭된 정보로, 상황 위험 등급은 수소 누출 강도와 사고 유형과 풍향 및 풍속들에 기인한 위험 등급으로, 수시로 변하는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들로 상황 위험 등급은 수시로 변동할 수 있다.The situational risk level indicator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 which the risk level (situational risk level) is matched with each combination of hydrogen leak intensity, accident typ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The situational risk level is the hydrogen leakage intensity, accident typ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The situational risk level may change at any time due to the frequently changing hydrogen leak intensity,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도 3의 C를 참조하면, 수소 누출 강도와 사고 유형과 풍향 및 풍속들을 조합하는 경우, 수많은 조합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각 조합 경우들과 위험 등급(상황 위험 등급)이 매칭된 정보가 상황 위험 등급 지표 정보이다.Referring to C of FIG. 3, when combining hydrogen leak intensity, accident typ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numerous combination cases occur, and the information matching each combination case with the risk level (situation risk level) is used to determine the situation risk. This is grade indicator information.

도 3의 C를 예를 들면, 수소 누출 강도가 small이고, 사고 유형이 누출이고, 풍향 및 풍속이 무풍인 조합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조합 경우는 상황 위험 등급 지표 정보에 따르면 위험 등급(상황 위험 등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1등급일 수 있고, 수소 누출 강도가 large이고, 사고 유형이 화재이고, 풍향 및 풍속이 풍향 2/풍속 3인 조합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조합 경우는 상황 위험 등급 지표 정보에 따르면 위험 등급(상황 위험 등급)이 상대적으로 높은 4등급일 수 있다.For example, in Figure 3C, there may be a combination case where the hydrogen leak intensity is small, the accident type is leak, and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e no wind. In this combination case, the risk level (situation) is There may be a combination case where the risk level (risk level) is relatively low level 1, the hydrogen leak intensity is large, the accident type is fire, and th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e wind direction 2/wind speed 3, and in this case, the situation risk level is According to indicator information, the risk level (situational risk level) may be relatively high level 4.

즉, 어떠한 수소 누출 강도와 어떠한 사고 유형과 어떠한 풍향 및 풍속인가에 따라 위험 등급(상황 위험 등급)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risk level (situational risk level) can vary depending on the intensity of the hydrogen leak, the type of accident, and the wind direction and speed.

상기 모니터링부(230)는 위험 상황 판단부(210)가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 상황 정보와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구성으로, 모니터링부(230)가 실시간 생성하여 표시하는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는 위험 상황 3D 모델링 정보와 최종 위험 등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nitoring unit 230 uses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risk situation occurs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to It is a configuration that generates and displays risk situation 3D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facility in real time. The risk situation 3D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above risk situation occurs, which is generated and displayed in real time by the monitoring unit 230, is divided into the risk situation 3D modeling information and the final risk situation 3D monitoring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risk level information.

이하에서는 모니터링부(230)의 위험 상황 3D 모델링 정보 생성에 대해 설명한다.Below, the generation of risk situation 3D modeling information by the monitoring unit 230 will be described.

상기 모니터링부(230)는 위험 상황 판단부(210)가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 상황 정보로부터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수소 누출 강도 정보와 사고 유형 정보와 풍향 및 풍속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한 수소 누출 강도 정보와 사고 유형 정보와 풍향 및 풍속 정보에 대응되는 위험 상황 3D 수치해석 모델을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The monitoring unit 230 determines the hydrogen leak intensity information,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wind direc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hazardous situation occurred from the hazardous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hazardous situation occurred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hazardous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and wind speed information, and extract a hazardous situation 3D numerical analysis model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hydrogen leak intensity information,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상황 판단부(210)가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 상황 정보에는 수소 누출 강도 정보와 위험 유형 정보와 인프라 위험 등급 정보와 풍향 및 풍속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이용해, 수소 누출 강도 정보와 사고 유형 정보와 풍향 및 풍속 정보에 대응되는 위험 상황 3D 수치해석 모델을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As shown in FIG. 4,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includes hydrogen leak intensity information, risk type information, infrastructure risk level information, and wind direction and speed information. Using this, A 3D numerical analysis model of a hazardous situation corresponding to hydrogen leak intensity information,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wind direction and speed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도 4를 예를 들면, 위험 상황 판단부(210)가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 상황 정보가 (수소 누출 강도 : Medium, 위험 유형 정보 : 화재, 인프라 위험 등급 : 2등급, 풍향 및 풍속 : 풍향 1/ 풍속 1)인 경우, (수소 누출 강도 : Medium, 위험 유형 정보 : 화재, 인프라 위험 등급 : 2등급, 풍향 및 풍속 : 풍향 1/ 풍속 1)에 대응되는 위험 상황 3D 수치해석 모델(도 3의 D 참조)을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For example, in Figure 4,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is (hydrogen leak intensity: Medium, risk type information: fire, infrastructure risk grade: 2 levels,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wind direction 1/ In the case of wind speed 1), (Hydrogen leakage intensity: Medium, hazard type information: fire, infrastructure risk grade: grade 2,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wind direction 1/wind speed 1), the corresponding hazardous situation 3D numerical analysis model (D in Figure 3) reference) is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230)는 위험 상황 판단부(210)가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 상황 정보로부터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을 파악하고, 파악한 수소 기반 시설의 3D 설계도면을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한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230 identifies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from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risky situation has occurred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and determines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risky situation has occurred. The 3D design drawing is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상황 판단부(210)가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 상황 정보에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정보 저장부(220)에는 수소 기반 시설별 3D 설계도면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 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3D 설계도면을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risk situation occurred, an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contains 3D information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Design drawing information is stored, and using this, a 3D design drawing of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s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도 4를 예를 들면, 위험 상황 판단부(210)가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 상황 정보를 통해 파악한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이 #1 수소 기반 시설이면, #1 수소 기반 시설의 3D 설계도면을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하는 것이다.For example, in Figure 4, i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the hazardous situation occurred, identified through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is the #1 hydrogen infrastructure, a 3D design drawing of the #1 hydrogen infrastructure is provided. It is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또한, 상기 모니터링부(230)는 추출한 수소 기반 시설의 3D 설계도면에 추출한 위험 상황 3D 수치해석 모델을 매핑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델링 정보를 생성한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230 maps the extracted risk situation 3D numerical analysis model to the extracted 3D design drawing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to generate risk situation 3D modeling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the risk situation occurred.

즉, 생성된 위험 상황 3D 모델링 정보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3D 설계도면에 위험 상황 3D 수치해석 모델을 매핑한 3차원 정보로, 위험 상황이 수소 가스 누출인 경우, 위험 상황 3D 모델링 정보는 누출된 수소 가스가 해당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에 따라 해당 수소 기반 시설에 어떠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도 농도의 3D 분포 모델 정보이고, 위험 상황이 화재 사고인 경우, 위험 상황 3D 모델링 정보는 화재 복사열이 화재가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현재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에 따라 해당 수소 기반 시설에 어떠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화재 복사열의 3D 분포 모델 정보이고, 위험 상황이 폭발 가능 상황인 경우, 위험 상황 3D 모델링 정보는 폭발 사고 가능성이 있는 수소 기반 시설에 폭발 사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는 경우, 폭발 압력이 해당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현재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에 따라 해당 수소 기반 시설에 어떠한 형태로 분포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폭발 압력의 3D 분포 모델 정보이다.In other words, the generated risk situation 3D modeling information is 3D information that maps the risk situation 3D numerical analysis model to the 3D design drawing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risk situation occurred. If the risk situation is a hydrogen gas leak, the risk situation 3D modeling information is 3D distribution model information of water concentration that indicates how the leaked hydrogen gas is distributed i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according to the hydrogen leak intensity,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and when the dangerous situation is a fire accident , The risk situation 3D modeling information is 3D distribution model information of fire radiant heat that indicates how the fire radiant heat is distributed i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according to the current hydrogen leak intensity,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fire occurred, If the hazardous situation is a potentially explosive situation, the hazardous situation 3D modeling information is based on the current hydrogen leak intensity,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assuming that an explosion has occurred in a potentially explosive hydrogen infrastructure. This is 3D distribution model information of explosion pressure that shows how it is distributed in the relevant hydrogen infrastructure.

이하에서는 모니터링부(230)의 최종 위험 등급 정보 생성에 대해 설명한다.Below, the creation of final risk level information by the monitoring unit 230 will be described.

상기 모니터링부(230)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수소 누출 강도 정보와 위험 유형 정보와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상황 위험 등급 지표 정보에 대입해 상황 위험 등급을 파악한다.The monitoring unit 230 determines the situation risk level by substituting the hydrogen leak intensity information, risk type information, and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from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occurred into the situation risk grade indicator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do.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상기 상황 위험 등급 지표 정보는 수소 누출 강도와 사고 유형과 풍향 및 풍속들의 각 조합 경우들과 위험 등급(상황 위험 등급)이 매칭된 정보로, 상황 위험 등급은 수소 누출 강도와 사고 유형과 풍향 및 풍속들에 기인한 위험 등급으로, 수시로 변하는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들로 상황 위험 등급은 수시로 변동할 수 있다.The situational risk level indicator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is information in which the risk level (situational risk level) is matched with each combination of hydrogen leak intensity, accident typ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nd the situational risk level is hydrogen leakage. The risk level is based on the intensity and type of accident and the wind direction and speed. The situational risk level can change from time to time due to the constantly changing hydrogen leak intensity and wind direction and speed.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부(230)는 위험 상황 판단부(210)가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 상황 정보로부터 위험 상황이 발행한 수소 기반 시설의 수소 누출 강도와 사고 유형과 풍향 및 풍속을 파악하고, 파악된 수소 누출 강도와 사고 유형과 풍향 및 풍속에 해당하는 조합을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상황 위험 등급 지표 정보에 대입해, 위험 상황이 발행한 수소 기반 시설의 수소 누출 강도와 사고 유형과 풍향 및 풍속에 해당하는 위험 등급(상황 위험 등급)을 파악한다.Therefore, the monitoring unit 230 determines the intensity of hydrogen leakage, accident typ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from the hydrogen infrastructure caused by the hazardous situation from the hazardous situation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hazardous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and determines the The combination of the leak intensity, accident typ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s substituted into the situation risk rating indicator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nd the hydrogen leak intensity, accident typ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ssued by the hazardous situation are applied. Identify the corresponding risk level (situational risk level).

이후, 상기 모니터링부(230)는 파악된 상황 위험 등급에 위험 상황 판단부(210)가 제공하는 위험 상황 정보에 포함된 인프라 위험 등급을 곱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최종 위험 등급 정보를 생성한다.Thereafter, the monitoring unit 230 multiplies the identified situation risk level by the infrastructure risk level included in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to generate final risk level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the risk situation occurs. do.

예를 들어, 파악한 상황 위험 등급이 2등급이고 위험 상황 판단부(210)가 제공하는 위험 상황 정보에 포함된 인프라 위험 등급이 3등급이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최종 위험 등급을 6등급으로 생성한다.For example, if the identified situation risk level is level 2 and the infrastructure risk level included in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is level 3, the final risk level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risk situation occurred is level 6. Created with

위험 상황 3D 모델링 정보와 최종 위험 등급 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모니터링부(230)는 위험 상황 3D 모델링 정보와 최종 위험 등급 정보를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로 화면에, 도 5와 같이, 표시하여, 관리자가 어느 수소 기반 시설에서 어떠한 위험 상황이 발생했는지를 3차원 정보인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통해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risk situation 3D modeling information and the final risk level information are generated, the monitoring unit 230 displays the risk situation 3D modeling information and the final risk level information on the screen as risk situation 3D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risk situation occurred. As shown in Figure 5, it is displayed so that managers can monitor which hazardous situations have occurred in which hydrogen infrastructure through 3D risk situation 3D monitoring information.

모니터링을 통해, 수소 기반 시설에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을 인지한 관리자는 신속히 대응 조치를 해야 하며, 신속한 대응 조치를 위해서는 사전에 대응 조치 매뉴얼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Through monitoring, managers who recognize that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must quickly take countermeasures, and a response manual must be prepared in advance for rapid response.

이를 위해, 상기 정보 저장부(220)는 위험 상황별 수소 기반 시설의 운영 가이드 정보와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별 대응 방안 정보가 저장되고,To this end,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stores response plan information for each risk situation, including operation guide information for hydrogen infrastructure for each risk situation and information on evacuation routes,

상기 모니터링부(230)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발생 위험 상황에 해당하는 대응 방안을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nitoring unit 230 is characterized by extracting and displaying a response plan corresponding to a hazardous situation occurring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위험 상황이 단순 수소 누출이면 해당 수소 기반 시설의 현장에서 작업자가 신속히 누출되는 부분에 대한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지만, 누출된 수소 가스로 인해 수소 기반 시설에 화재 사고가 발생하거나 폭발 가능성이 있으면, 대형 사고로 확대되기 전에 현장의 작업자들을 신속히 대피시켜야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If the dangerous situation is a simple hydrogen leak, workers at the site of the relevant hydrogen infrastructure can quickly take emergency measures to the leak, but if there is a possibility of a fire accident or explosion i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due to leaked hydrogen gas, a large-scale Casualties can be reduced by quickly evacuating workers on site before the accident escalates into an accident.

따라서 수소 기반 시설에서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니터링부(230)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발생 위험 상황에 해당하는 대응 방안 정보(위험 상황별 수소 기반 시설의 운영 가이드 정보와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DB(220)에서 추출해 표시하여, 관리자가 위험 상황별 수소 기반 시설의 운영 가이드 정보와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통해 작업자들을 신속히 안전지대로 대피시키고, 발생 위험 상황에 해당하는 필요한 대응 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that a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i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the monitoring unit 230 provides response pla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azardous situation i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operation guide information and evacu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for each hazardous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route) is extracted and displayed from the DB (220), allowing managers to quickly evacuate workers to a safe zone through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guide for hydrogen infrastructure and evacuation routes for each risk situation, and Allow necessary response measures to be taken.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주 내에서 변형한 것까지 포함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It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is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정보 수집부
200 : 플랫폼 서버
100: Information collection department
200: platform server

Claims (10)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에 있어서,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 불꽃 발생,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플랫폼 서버(200)로 제공하도록, 수소 기반 시설마다 설치되는 정보 수집부(100)와;
수소 기반 시설마다 설치되는 정보 수집부(100)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수소 기반 시설들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하고, 위험 상황으로 판단되는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원격지에 설치되는 플랫폼 서버(200)를 포함하되,

상기 플랫폼 서버(200)는,
수소 기반 시설마다 설치된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을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모니터링부(230)로 제공하는 위험 상황 판단부(210)와;
수소 기반 시설별 종류/규모/구성 설비 정보, 수소 기반 시설별 3D 설계도면 정보, 위험 상황별 3D 수치해석 모델 정보,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별 수소 누출 사고 발생 통계 정보, 인프라 위험 등급 지표 정보, 상황 위험 등급 지표 정보가 저장되는 정보 저장부(220)와;
위험 상황 판단부(210)가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 상황 정보와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모니터링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상황 정보는 수소 누출 강도 정보와 사고 유형 정보와 인프라 위험 등급 정보와 풍향 및 풍속 정보와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210)는,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인 정보를 제공하는 수소 기반 시설을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 위험 등급을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 위험 등급 정보와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도 분석 모듈(213)을 포함하고,

상기 위험도 분석 모듈(213)은,
위험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된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 정보를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구성 설비 정보와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별 수소 누출 사고 발생 통계 정보를 이용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들의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합을 산출하고, 산출된 예상 빈도 합을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인프라 위험 등급 지표 정보에 대입해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 위험 등급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
In the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installed in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to collect information on hydrogen concentration, spark generation,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provide it to the platform server 200;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installed in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to generate and display 3D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hazardous situ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Including a platform server 200 installed remotely,

The platform server 200,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installed in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identify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generate risk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n real time to create a monitoring unit (230) ) and a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provided by ;
Type/scale/configuration facility information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3D design drawing information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3D numerical analysis model information for each risk situation,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hydrogen leakage accidents for each facility configuration of hydrogen infrastructure, infrastructure risk grade indicator information, situational risk an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in which grade index information is stored;
3D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risk situ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risk situation occurred using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o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risk situation occurred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and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It includes a monitoring unit 230 that generates and displays in real time,
The risk situation information includes hydrogen leak intensity information, accident type information, infrastructure risk rating information, wind direction and speed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hydrogen infrastructure,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information with a hydrogen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first standard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the infrastructure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s identified. It includes a risk analysis module 213 that determines the risk level and provides infrastructure risk level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risk situation occurs to the monitoring unit 230 in real time,

The risk analysis module 213 is,
The information on the components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dentified as having a hazardous situation is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nd the extracted component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components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re statistics on the occurrence of hydrogen leakage accidents by facility. Using the information, calculate the sum of the expected frequency of hydrogen leakage incidents of the facilities that constitute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dangerous situation occurred, and substitute the calculated sum of the expected frequency into the infrastructure risk rating index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to determine whether the dangerous situation is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characterized by identifying the infrastructure risk level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has occur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100)는,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수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수소 농도 정보와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실시간 제공하는 제1 감지 모듈(110)과,
수소 기반 시설 주변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불꽃이 감지되는 경우 불꽃 감지 정보와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실시간 제공하는 제2 감지 모듈(120)과,
수소 기반 시설 주변의 풍향 및 풍속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풍향 및 풍속 정보와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를 플랫폼 서버(200)로 실시간 제공하는 제3 감지 모듈(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
In claim 1,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A first detection module 110 that measures the hydrogen concentration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provides the measured hydrogen concentr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to the platform server 200;
A second detection module 120 that detects flames occurring around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provides flame detec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to the platform server 200 when a flame is detected;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third detection module 130 that measures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arou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and provides the measured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real time to the platform server 200.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험 상황 판단부(210)는,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인 정보를 제공하는 수소 기반 시설을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수소 누출 강도를, Small, Medium, Large 중, 어느 하나로 실시간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수소 누출 강도 정보와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수소 누출 강도 판단 모듈(211)과,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인 정보를 제공하는 수소 기반 시설을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사고 유형을, 누출, 화재, 폭발 중, 어느 하나로 실시간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사고 유형 정보와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위험 유형 판단 모듈(212)과,
정보 수집부(100)들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인 정보를 제공하는 수소 기반 시설을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로 파악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풍향 및 풍속 정보와 식별 정보를 모니터링부(23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풍향/풍속 분석 모듈(2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
In claim 1,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information with a hydrogen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first standard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has occurred is identified. A hydrogen leak intensity determination module (211) that determines the leak intensity in real time as one of Small, Medium, and Large, and provides hydrogen leak intensity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hazardous situation occurs to the monitoring unit 230 in real time. )class,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information with a hydrogen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first standard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in which a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an accident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facility in which a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is identified. A risk type determination module 212 that determines the type of leak, fire, or explosion in real time and provides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to the monitoring unit 230 in real time;
Usi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real time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s 100, hydrogen infrastructure that provides information with a hydrogen concentration higher than the first standard is identified as a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and the wind direc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n which a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is identified. And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wind direction/wind speed analysis module 214 that provides wind speed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unit 230 in real tim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소 누출 강도 판단 모듈(211)은,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 이상이고 제2 기준치 미만이면 수소 누출 강도를 Small로 파악하고, 수소 농도가 제2 기준치 이상이고 제3 기준치 미만이면 수소 누출 강도를 Medium으로 파악하고, 수소 농도가 제3 기준치 이상이면 수소 누출 강도를 Large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
In claim 4,
The hydrogen leak intensity determination module 211,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is above the first standard and less than the second standard, the hydrogen leak intensity is identified as Small.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is above the second standard and less than the third standard, the hydrogen leak intensity is identified as Medium. The hydrogen concentration is determined as Medium.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characterized by identifying the intensity of hydrogen leakage as Large if 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0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험 유형 판단 모듈(212)은,
수소 농도가 제1 기준치를 초과하면 즉시, 사고 유형을 누출로 파악하고, 사고 유형을 누출로 파악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이내에 정보 수집부(100)가 불꽃 감지 정보를 제공하면 위험 유형을 화재로 다시 파악하고, 사고 유형을 누출로 파악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 해도 정보 수집부(100)가 불꽃 감지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위험 유형을 폭발 가능으로 다시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
In claim 4,
The risk type determination module 212 is,
If the hydrogen concentration exceeds the first standard value, the accident type is immediately determined as a leak, and with the accident type identified as a leak, if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provides flame detection information within a certain time, the risk type is changed to fire. If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00 does not provide flame detection information eve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been identified and the accident type is identified as leak, the risk type is re-identified as possible explosion. Evaluation syste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정보 중,
수소 기반 시설별 구성 설비 정보는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설비에 대한 정보이고,
위험 상황별 3D 수치해석 모델 정보는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에 따른 누출 수소 농도의 3D 분포 모델 정보,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에 따른 화재 복사열의 3D 분포 모델 정보, 수소 누출 강도와 풍향 및 풍속에 따른 폭발 압력의 3D 분포 모델 정보를 포함하고,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별 수소 누출 사고 발생 통계 정보는 수소 기반 시설의 인프라를 구성하는 설비별 1년에 발생하는 수소 누출 사고의 발생 횟수에 대한 통계 정보이고,
인프라 위험 등급 지표 정보는 수소 기반 시설의 구성 설비들의 수소 누출 사고 발생 예상 빈도 합과 위험 등급이 매칭된 정보이고,
상황 위험 등급 지표 정보는 수소 누출 강도와 사고 유형과 풍향 및 풍속들의 각 조합 경우들과 위험 등급이 매칭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
In claim 1,
Amo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Equipment information for each hydrogen infrastructure is information about the equipment that constitutes the infrastructure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3D numerical analysis model information for each risk situation includes 3D distribution model information of hydrogen leak intensity and leaked hydrogen concentration according to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3D distribution model information of fire radiant heat according to hydrogen leak intensity,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hydrogen leak intensity and wind direction, and Contains 3D distribution model information of explosion pressure according to wind speed,
The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of hydrogen leak accidents by facility that constitutes the hydrogen infrastructure is statistical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hydrogen leak accidents that occur per year by facility that constitutes the infrastructure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The infrastructure risk level indicator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risk level with the sum of the expected frequencies of hydrogen leakage accidents in the facilities that constitute hydrogen infrastructure,
The situational risk rating indicator information is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risk rating is matched to each combination of hydrogen leak intensity, accident type,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청구항 1에 있어서,
모니터링부(230)가 실시간 생성하여 표시하는 상기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니터링 정보는 위험 상황 3D 모델링 정보와 최종 위험 등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230)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수소 누출 강도 정보와 사고 유형 정보와 풍향 및 풍속 정보에 대응되는 위험 상황 3D 수치해석 모델을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수소 기반 시설의 3D 설계도면을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하고, 추출한 수소 기반 시설의 3D 설계도면에 추출한 위험 상황 3D 수치해석 모델을 매핑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위험 상황 3D 모델링 정보를 생성하고,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수소 누출 강도 정보와 사고 유형 정보와 풍향 및 풍속 정보를 정보 저장부(220)에 저장된 상황 위험 등급 지표 정보에 대입해 상황 위험 등급을 파악하고, 파악된 상황 위험 등급에 위험 상황 판단부(210)가 제공하는 인프라 위험 등급을 곱하여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최종 위험 등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
In claim 1,
The risk situation 3D monitoring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the risk situation occurs, which is generated and displayed in real time by the monitoring unit 230, includes risk situation 3D modeling information and final risk rating information,
The monitoring unit 230,
A 3D numerical analysis model of a hazardous situation corresponding to the hydrogen leak intensity information,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wind direction and speed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hazardous situation occurred is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nd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hazardous situation occurred is identified. The 3D design drawing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nd the extracted risk situation 3D numerical analysis model is mapped to the extracted 3D design drawing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to determine the risk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risk situation occurs. Generate situational 3D modeling information,
The hydrogen leak intensity information, accident type information, and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formation from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hazardous situation occurred are substituted into the situation risk rating index information stor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to determine the situation risk level, and the identified situation risk level is determined.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nal risk rating information of the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risk situation occurs is generated by multiplying the infrastructure risk rating provided by the risk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저장부(220)는,
위험 상황별 수소 기반 시설의 운영 가이드 정보와 대피 경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험 상황별 대응 방안 정보가 추가 저장되고,
상기 모니터링부(230)는,
위험 상황이 발생한 수소 기반 시설의 발생 위험 상황에 해당하는 대응 방안을 정보 저장부(220)에서 추출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기반 시설에 대한 위험성 평가 시스템.
In claim 1,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Response plan information for each risk situation, including operation guide information for hydrogen infrastructure and information on evacuation routes for each risk situation, is additionally stored.
The monitoring unit 230,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a response plan corresponding to a hazardous situation occurring in a hydrogen infrastructure where a hazardous situation has occurred is extracte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220 and displayed.
KR1020230067400A 2023-05-25 2023-05-25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s KR1026391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400A KR102639150B1 (en) 2023-05-25 2023-05-25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7400A KR102639150B1 (en) 2023-05-25 2023-05-25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150B1 true KR102639150B1 (en) 2024-02-21

Family

ID=9005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7400A KR102639150B1 (en) 2023-05-25 2023-05-25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150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820B1 (en) 2015-02-10 2016-10-17 주식회사 주빅스 Air quality predic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environment disaster early detection
KR101692926B1 (en) 2014-12-29 2017-01-04 이투엠쓰리(주) System And Method For Hazardous Chemicals Release Detection And Response
KR20200072775A (en) * 2018-12-13 2020-06-23 유재경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industrial gas supply facility
KR102300744B1 (en) 2021-05-14 2021-09-10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Flame Integrated Detection System
KR20210155217A (en) * 2020-06-15 2021-12-22 한국전력공사 System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disaster for electric power facilitie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116903A (en) * 2021-02-16 2022-08-23 리스크엔지니어링서비스 주식회사 Risk Management Platform Apparatus and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926B1 (en) 2014-12-29 2017-01-04 이투엠쓰리(주) System And Method For Hazardous Chemicals Release Detection And Response
KR101666820B1 (en) 2015-02-10 2016-10-17 주식회사 주빅스 Air quality predic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environment disaster early detection
KR20200072775A (en) * 2018-12-13 2020-06-23 유재경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industrial gas supply facility
KR20210155217A (en) * 2020-06-15 2021-12-22 한국전력공사 System for predicting and preventing disaster for electric power facilitie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116903A (en) * 2021-02-16 2022-08-23 리스크엔지니어링서비스 주식회사 Risk Management Platform Apparatus and System
KR102300744B1 (en) 2021-05-14 2021-09-10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Flame Integrated Detec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72775호 (2020.06.23.)*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55217호 (2021.12.22.)*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16903호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u et al. Analysis and assessment of the Qingdao crude oil vapor explosion accident: Lessons learnt
LaChance et al. Analyses to support development of risk-informed separation distances for hydrogen codes and standards.
Zhiyong et al.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on 2010 Expo hydrogen station
CN106600167B (en) Ocean platform fire risk assessment method considering human errors and tissue defects
CN105825320A (en) Petrochemical enterprise hazard-bearing body vulnerability assessment method
CN113536654B (en) Dynamic predictio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omino accidents in normal pressure storage tank area
Stefana et al. Qualitative risk assessment of a Dual Fuel (LNG-Diesel) system for heavy-duty trucks
Vetter et al. Review of failure trends in the US natural gas pipeline industry: An in-depth analysis of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system incidents
CN112633553A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nd evaluating coupling hidden danger of gas pipeline-hazardous chemical enterprise
Liu et al. Petrochemical plant multi-objective and multi-stage fire emergency management technology system based on the fire risk prediction
CN106055803A (en) Method for optimizing site selection of gas detecting alarm instrument of oil refining device by considering conditional risk value
KR102639150B1 (en) A risk assessment system for hydrogen Infra-structures
CN115019480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ound and gas exposure
KR100524142B1 (en) Method of Safety for Management for Natural Gas Transmission Pipeline
Groth et al. Hydrogen safety, risk, and reliability analysis
CN207113925U (en) A kind of industrial park underground pipe gallery integrated monitor and early warning disposal system
CN106096104A (en) The multifactorial oil refining apparatus gas detecting and alarming instrument addressing method for arranging of a kind of consideration
Council Cryogenics safety manual: a guide to good practice
Wang et al. Explosion of high pressure hydrogen tank in fire: Mechanism, criterion, and consequence assessment
Azari et al. Quantitative risk mapping of urban gas pipeline networks using GIS
Zhang et al. Risk analysis of high pressure gas pipeline leakage based on bow-tie model and IAHP
CN111123812A (en) Safety monitoring system for recovery of associated gas of offshore oil production platform
Adjiski et al. Fire risk assessment and computer simulation of fire scenario in underground mines
Lozano-Toro et al. A quantitative model to assess the human consequences of a natural gas pipeline rupture in urban distribution networks
Chen et al. Research and application of risk assessment and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technology for oil and gas storage and transportation pipe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