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074B1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ult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ul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074B1
KR102639074B1 KR1020160158152A KR20160158152A KR102639074B1 KR 102639074 B1 KR102639074 B1 KR 102639074B1 KR 1020160158152 A KR1020160158152 A KR 1020160158152A KR 20160158152 A KR20160158152 A KR 20160158152A KR 102639074 B1 KR102639074 B1 KR 102639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relay contact
switch
welding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1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59040A (en
Inventor
김종주
이철훈
김인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074B1/en
Publication of KR20180059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0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074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7/00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relay and designed to obtain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or to provide energising current
    • H01H47/002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H01H47/004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using plural redundant serial connected relay operated contacts in controlled circuit
    • H01H47/005Safety control circuits therefor, e.g. chain of relays mutually monitoring each o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스위치 및 코일을 포함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신호 인가 상태와 상기 릴레이의 출력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릴레이의 코일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onnected to an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ling power supply to a load includes a switch and a coil. and a first controlle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relay contact is welded based on the relay and the signal application state of the relay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relay, and when welding of the relay contact is detected, the first controller A signal can be applied to the coil of the relay.

Description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ult}{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ult}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릴레이 접점 융착 방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차량 릴에이 접점의 용착 현상 및 통전 불량 문제를 감지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 릴레이 접점 공장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revention of relay contact melting in vehicl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relay contact factory prevention method and device that can detect and solve problems of welding phenomenon and poor current conduction of vehicle relay contact points.

오늘날 고유가와 이산화탄소 규제 등으로 인해 기존의 내연기관 자동차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전기모터를 구동시켜 주행하는 순수 전기자동차나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구동원으로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자동차 제조사에 따라 이미 상용화되어 출시되고 있거나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Today, due to high oil prices and carbon dioxide regulations,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vehicles that can replace exis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is actively underway. Recently, pure electric vehicles that run by driving an electric motor or use a combin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n electric motor as a driving source are in progress. Depending on the automobile manufacturer, hybrid cars have already been commercialized or are about to be commercialized.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구동원이 되는 전기모터(Traction Motor)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주 동력원으로 고전압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더불어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장치, 전기모터(이하, '구동모터'라 칭함)를 구동시키기 위한 인버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Electric vehicles and hybrid vehicles are equipped with a high-voltage battery as the main power source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motor (traction motor), which is the driving source, and in addition, a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the battery and an electric mo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ive motor'). ) is equipped with an inverter to drive it.

상기 인버터는 모터 제어기(Motor Control Unit, MCU)의 제어신호에 따라 고전압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변환시켜 구동모터를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배터리의 상태를 감시하는 배터리 제어기(Battery Management System, BMS)가 탑재되는데, 이 배터리 제어기는 배터리의 온도, 전압, 충/방전 전류, 배터리 SOC(State Of Charge) 등에 관한 배터리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되는 배터리 상태 정보를 차량 제어에 이용될 수 있도록 차량 내 타 제어기에 제공한다. 특히, 배터리 제어기는 배터리 상태를 확인하여 배터리 상태가 일정한 수준 이상을 유지하도록 관리하며, 배터리 내구성 저하에 따른 수명 단축을 방지하는 한편, 총합제어를 수행하는 차량 제어기에 배터리 SOC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배터리 상태를 고려한 차량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The inverter converts the power supplied from the high-voltage battery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a motor control unit (MCU) to drive the driving motor. In addition,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is installed to monitor the status of the battery. This battery controller collects battery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battery's temperature, voltage, charge/discharge current, and battery SOC (State of Charge). , the collected battery status information is provided to other controllers in the vehicle so that it can be used for vehicle control. In particular, the battery controller checks the battery status and manages the battery status to maintain a certain level or higher, prevents shortening of lifespan due to deterioration of battery durability, and informs the vehicle controller that performs total control of battery SOC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battery status. Ensure that vehicle driving takes into account.

하이브리드 차량은 궁극적으로 연비 성능을 높여 고효율의 차량을 구현하고, 배기 성능을 개선하여 친환경 차량을 구현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차량이다.Hybrid vehicles ultimately have the main purpose of realizing a highly efficient vehicle by increasing fuel efficiency and creating an eco-friendly vehicle by improving exhaust performance.

하이브리드 차량의 동력전달은 엔진, 모터, 자동변속기가 일축상에 직결되어 있고, 상기 엔진 및 모터 간에는 클러치가 배열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동작을 위한 구성으로서 하이브리드 배터리(즉, 고전압 배터리)가 인버터를 통해 상기 모터와 충방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이브리드 차량에는 고전압배터리가 사용되는데, 이 하이브리드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 보통 부하에 직렬로 연결되며 대전류를 끊고 연결하는 릴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Power transmission in a hybrid vehicle may be achieved by having an engine, a motor, and an automatic transmission directly connected on one axis, and a clutch is arranged between the engine and the motor. And, as a configuration for these operations, a hybrid battery (i.e., high-voltag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motor through an inverter to enable charging and discharging. In this way, a high-voltage battery is used in a hybrid vehicle, and to protect this hybrid battery, a relay that is usually connected in series to the load and disconnects and connects a large current can be used.

이상의 설명에서는 부하가 비교적 높은 전류가 통전되는 고전압 배터리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비교적 소전류가 통전되는 부하 및 시동성 부하를 제어하기 위해 릴레이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소전류가 통전되는 부하로는 와이퍼, LED 램프 등이 포함되고, 시동성 부하로는 퓨얼펌프, 스타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where the load is a high-voltage battery carrying a relatively high current is given as an example, but a relay may be used to control a load carrying a relatively small current and a start-up load. For example, loads carrying small currents may include wipers, LED lamps, etc., and starting loads may include fuel pumps, starters, etc.

이러한 릴레이는 사용 중 접점부가 서로 융착되면 회로에 고전압이 흐를 수 있다.When these relays are in use, high voltage may flow in the circuit if the contact parts fuse together.

특히, 종래에는 패키지 문제로 인해, PCB(Printed Circuit Board) 릴레이 사용 비율이 늘어나는 추세이나, PCB 릴레이 불량 시 정션 블록(Junction Block)이나 ICU(Immobilizer Control Unit)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in the past, due to package problems, the percentage of PCB (Printed Circuit Board) relays used was increasing,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entire junction block or ICU (Immobilizer Control Unit) had to be replaced when the PCB relay was defective.

따라서, 릴레이 접점의 융착 감지 시 이를 해결하고, 산화 피막에 의한 통전 불량 현상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method and device to solve the problem when detecting fusion of relay contacts and to effectively solve the current conduction failure phenomenon caused by the oxide film.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서의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in a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릴레이 접점의 용착 상태가 감지되면, 릴레이 접점이 냉각되기 이전에 릴레이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릴레이 접점에서의 용착 현상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method and device that can eliminate the welding phenomenon at the relay contact by controlling the relay switch before the relay contact is cooled when the welding state of the relay contact is detected. .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릴레이 접점의 통전 불량이 감지되면, 구비된 과전류 통전 회로를 이용하여 통전 불량인 릴레이 스위치에 과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통전 불량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method and device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poor current conduction by applying overcurrent to the relay switch with poor current conduction using a provided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when poor conduction of the relay contact is detected. is to provid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in a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스위치 및 코일을 포함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신호 인가 상태와 상기 릴레이의 출력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릴레이의 코일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onnected to an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ling power supply to a l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y including a switch and a coil, a signal application state of the relay, and an output voltage of the relay. and a first controlle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relay contact is welded based on the welding of the relay contact, and when welding of the relay contact is detected, the first controller may apply a signal to the coil of the relay.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스위치 및 코일을 포함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신호 인가 상태와 상기 릴레이의 출력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스위치 접점에서의 통전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제어기와 상기 부하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제어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과한 대전류를 흡수하는 과전류 통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접점에서의 통전 불량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릴레이의 스위치에 상기 대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onnected to an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ling power supply to a load includes a relay including a switch and a coil, the signal application state of the relay,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relay. It includes a first controller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conduction is defective at the switch contact based on the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which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load and absorbs a large current passing through the switch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controller; , when an energization failure at the switch contact point is detected, the first controller may control the large current to flow to the switch of the relay.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에서의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은 릴레이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릴레이의 신호 인가 상태와 상기 릴레이 출력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이 감지되면, 상기 릴레이의 코일에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in a device connected to an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ling power supply to a lo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a relay output voltage, the signal application state of the relay, and the I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relay contact is welded based on the relay output voltage, and applying a signal to the coil of the relay when welding of the relay contact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또한, 상기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은 상기 릴레이의 신호 인가 상태와 상기 릴레이 출력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릴레이의 스위치 접점의 통전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치 접점에서의 통전 불량이 감지된 경우, 구비된 과전류 통전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의 스위치에 대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the switch contact of the relay has a poor conduction based on the signal application state of the relay and the relay output voltage, and when the poor conduction of the switch contact of the relay is detec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ntrolling a large current to flow to the switch of the relay using an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상기한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ny one of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methods described above is recorded.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The above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mbodiments reflecting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can be derived and understood based on.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method an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in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릴레이 접점의 용착 상태가 감지되면, 릴레이 접점이 냉각되기 이전에 릴레이 스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릴레이 접점에서의 용착 현상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method and device that can eliminate the welding phenomenon at the relay contact by controlling the relay switch before the relay contact is cooled when the welding state of the relay contact is detected.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릴레이 접점의 통전 불량이 감지되면, 구비된 과전류 통전 회로를 이용하여 통전 불량인 릴레이 스위치에 과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통전 불량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한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contact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poor current conduction by applying overcurrent to the relay switch with poor current conduction using an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provided when the poor conduction of the relay contact is detected. There is an advantage in providing a failure prevention method and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릴레이 접점의 고장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경고나 고장 코드를 발생 및 기록함으로써, 고장 원인 추적이 용이한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method and device that facilitates tracking the cause of the failure by generating and recording a warning or failure code when the failure problem of the relay contact is not resolved.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릴레이 접점 불량에 따른 부품 및 제어기의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replacement costs for parts and controllers due to defective existing relay contacts.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 및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장점 및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advantages and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bove will becom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It will be understandable.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에서의 릴레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The drawings attached below are inten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a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specific drawings, and the features disclosed in each drawing may be combined to form a new embodiment.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lay structure in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in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devices and various methods to whic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independent hardware, a program module in which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ar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ne or more pieces of hardware.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that make up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torage media for computer programs may include magnetic recording media, optical recording media, etc.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as us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us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통합 제어 장치에 장착된 릴레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relay mounted on an integrated control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의 통합 제어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제1 릴레이(110) 내지 제2 릴레이(120)) 및 해당 릴레이를 통해 흐르는 대전류를 제어하는 제1 제어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The conventional integrated control device 110 includes at least one relay (first relay 110 to second relay 120) and a first controller 130 that controls a lar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relay.

도 1을 참조하면, 통합 제어 장치(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제2 제어기(140)는 통합 제어 장치(100) 내 장착된 제1 릴레이(1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 부하(150)에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econd controller 140 disposed outside the integrated control device 1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110 mounted within the integrated control device 100 to control the first load 150. The power delivered to can be controlled.

반면, 통합 제어 장치(100) 내부에 장착된 제1 제어기(130)는 제2 릴레이(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제1 부하(160)에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ntroller 130 mounted inside the integrated control device 100 can control the power delivered to the first load 16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120.

이를 통해, 통합 제어 장치(100)의 내부 처리 부하가 분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합 제어 장치(100)는 구비된 릴레이 제어를 통한 전력 전달 제어 기능뿐만 아니라 게이트웨이 기능 등도 수행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internal processing load of the integrated control device 100 can be distributed. In general, the integrated control device 100 can perform not only a power transfer control function through provided relay control but also a gateway function.

도면 번호 110을 참조하면, 각각의 릴레이는 스위치와 코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코일에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하여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drawing number 110, each rela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witch and a coil.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witch by controlling the signal applied to the co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전원(21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은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200)를 통해 제1 부하(220)에 제2 부하(230)에 전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210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load 220 and the second load 230 through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200.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제1 릴레이(201) 및 제2 릴레이(202))와 제1 제어기(262) 및 과전류 통전 회로(2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릴레이는 스위치와 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relay (a first relay 201 and a second relay 202), a first controller 262, and an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204. Here, each rela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witch and a coi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200)는 상기 도 2의 통합 제어 장치의 기능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with additional functions of the integrated control device of FIG. 2, bu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is not limited thereto.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200) 내 구비된 일부 릴레이는 장치 외부의 제어기-예를 들면, 제2 제어기(2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Some relays provided in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200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ler external to the device - 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ler 240.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제어기(203)는 제2 릴레이(202)의 코일에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하여 제2 릴레이(202)의 스위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controller 203 may control the switch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202 by controlling a signal applied to the coil of the second relay 202.

반면,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200) 외부에 구비되는 제2 제어기(240)는 제1 릴레이(201)의 코일에 인가되는 신호를 제어하여 제1 릴레이(201)의 스위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controller 240 provided outside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200 can control the switch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201 by controlling the signal applied to the coil of the first relay 201. .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는 CAN 통신 네트워크, 이더넷(Ethernet) 통신 네트워크, Flexlay 통신 네트워크, K-Line 통신 네트워크, LIN 통신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N communication network, an Ethernet communication network, a Flexlay communication network, a K-Lin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LIN communication network.

제1 제어기(203)는 제2 제어기(240)와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250)를 통해 상호 제어 신호 및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제어기간 구축되는 통신 라인은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라인, K-Line, Flexlay 통신 라인, 이더넷(Ethernet) 통신 라인, LIN 통신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203 can exchange control signals and various information with the second controller 240 through the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250. Communication lines established between controllers may include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lines, K-Line, Flexlay communication lines, Ethernet communication lines, LIN communication lines, etc.

일 예로, 제1 제어기(203)는 제2 제어기(240)로부터 제1 릴레이(201) 코일의 신호 인가 상태 정보를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25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1 제어기(203)는 제2 제어기(240)로부터 수신된 제1 릴레이(201) 코일의 신호 인가 상태 정보와 제1 릴레이(201)의 접점과 스위치의 후단 사이에서의 전압(Vm)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제1 릴레이(201) 스위치 접점의 용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first controller 203 may receive signal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coil of the first relay 201 from the second controller 240 through the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250. The first controller 203 receives the signal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of the coil of the first relay 201 received from the second controller 240 and the voltage (Vm) measurement result between the contact point of the first relay 201 and the rear end of the switch. Based on thi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switch contact of the first relay 201 is welded.

제1 제어기(203)는 제1 전압 측정 라인(261) 및 제2 전압 측정 라인(262)를 통해 각각 제1 릴레이(201)와 제2 릴레이(201)의 출력 전압에 대한 세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릴레이 출력 전압은 해당 릴레이 스위치의 접점과 해당 스위치 후단 사이에서 측정된 전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first controller 203 obtains intensity information about the output voltage of the first relay 201 and the second relay 201 through the first voltage measurement line 261 and the second voltage measurement line 262, respectively. You can. As an example, the relay output voltage may be a voltage measured between the contact point of the corresponding relay switch and the rear end of the corresponding switch, but is not limited to this.

릴레이 스위치 접점은 스위치에 흐르는 고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위치 접점에 용착점이 생성될 수 있다. 용융 상태의 용착점이 완전히 냉각되면, 정상적인 스위치 동작이 더 이상 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용착점이 완전히 냉각되기 이전에 용착 현상이 발생된 릴레이의 코일에 신호가 공급되면, 해당 릴레이 스위치에 자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해당 릴레이 스위치의 용착점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해당 릴레이 코일에는 일정 횟수 반복적으로 신호가 공급될 수 있다.Relay switch contacts may generate heat due to high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witch, which may result in welding points being created at the switch contacts. If the molten weld point is completely cooled, normal switch operation may no longer be possible. Therefore, when a signal is supplied to the coil of a relay where a welding phenomenon has occurred before the welding point is completely cooled, magnetic force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relay switch, which may remove the welding point of the corresponding relay switch. At this time, a signal may be repeatedly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relay coil a certain number of times.

물론, 반복적인 신호 공급에도 불구하고, 용착 현상이 제거되지 않는 경우, 제1 제어기(203)는 소정 기록 영역에 해당 고장 코드를 기록한 후 릴레이 용착 현상이 제거되지 않음을 지시하는 소정 경고 알람을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클러스터(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Of course, if the welding phenomenon is not removed despite repeated signal supply, the first controller 203 records the corresponding fault code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and then issues a predetermined warning alarm indicating that the relay welding phenomenon has not been removed.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luster (not shown) via my communications network.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릴레이 코일에 신호가 인가되고 있는 상태-즉, 릴레이 스위치가 닫힌 상태(Relay Switch Closed Status)-를 “릴레이 신호 ON 상태”, 릴레이 코일에 신호가 인가되고 있는 상태-즉, 릴레이 스위치가 열린 상태(Relay Switch Open Status)-를 “릴레이 신호 OFF 상태”라 명하기로 한다.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below, the state in which a signal is being applied to the relay coil - that is, the relay switch closed status - is referred to as the "relay signal ON state" and the state in which the signal is being applied to the relay coil - that is, The relay switch open status is referred to as “relay signal OFF status.”

릴레이 스위치 접점이 의도치 않게 붙는 용착 현상 발생 시 릴레이 코일에 신호를 인가하여 용착된 스위치가 움직였으나 스위치를 통해 부하에 전달되는 전류가 매우 작을 수 있다. 이는, 스위치단에 형성된 산화 피막에 의해 스위치단 저항이 과다하여 발생될 수 있다. 스위치단에 형성된 산화 피막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해당 스위치에 과전류를 흘러야 한다.When a welding phenomenon occurs where relay switch contacts are unintentionally stuck, a signal is applied to the relay coil and the welded switch moves, but the current transmitted to the load through the switch may be very small. This may be caused by excessive switch end resistance due to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switch end. In order to remove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switch end, an overcurrent must be passed to the switc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제어기(203)는 릴레이 신호 ON 상태에서 통전 불량이 감지되면, 해당 릴레이의 스위치에 과전류가 통전되도록 과전류 통전회로(20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릴레이 신호 ON 상태에서 해당 릴레이 스위치 출력 단자의 전압이 소정 고전압 기준치를 초과하면, 제1 제어기(203)는 해당 릴레이 스위치에 통전 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2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rol the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204 so that an overcurrent is passed to the switch of the corresponding relay when an energization failure is detected while the relay signal is in the ON state. Here, when the voltage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relay switch exceeds a predetermined high voltage reference value while the relay signal is in the ON state, the first controller 203 may determine that an energization failure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relay switch.

과전류 통전 회로(204)는 부하(220, 230)와 병렬로 연결되며, 제1 제어기(203)에 의해 과전류 통전 회로(240)의 동작이 활성화되면, 스위치를 통과한 대전류가 모두(또는 대부분) 과전류 통전 라인(271 내지 272)를 통해 과전류 통전 회로(240)로 전달될 수 있다. The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204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loads 220 and 230, 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240 is activated by the first controller 203, all (or most) of the large current passing through the switch is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240 through the overcurrent conduction lines 271 to 272.

통전 불량이 감지된 릴레이 스위치에 과전류가 흐르면, 기 형성된 산화 피막이 제거될 수 있다. 과전류 통전회로(204)의 저항은 매우 낮으므로 릴레이 스위치를 통과한 대전류는 부하에 전달되지 않고, 과전류 통전회로(204)에 전달되어 접지될 수 있다.If an overcurrent flows through a relay switch in which conduction failure is detected, the formed oxide film may be removed. Since the resistance of the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204 is very low, the large current passing through the relay switch is not transmitted to the load, but is transmitted to the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204 and may be grounded.

반면, 과전류 통과에도 불구하고, 통전 불량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 제1 제어기(203)는 소정 기록 영역에 해당 고장 코드를 기록한 후 릴레이 통전 불량이 감지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경고 알람을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클러스터(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energization defect is not resolved despite the passage of the overcurrent, the first controller 203 records the corresponding fault code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and then sends a predetermined warning alarm indicating that the relay energization defect has been detected through the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It can be transmitted to a cluster (not shown).

일 예로, 과전류 통전회로(204)는 과전류용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er)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For example, the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204 may use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for overcurr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릴레이에 연결되는 부하가 가변 부하인 경우, 제1 제어기(203)는 통전 불량이 감지되면, 해당 부하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증가시켜 릴레이 스위치에 형성된 산화 피막을 제거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ad connected to the relay is a variable load, the first controller 203 detects poor conduction, increases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o the load, and removes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relay switch. You may.

상기한 도 2의 실시예에서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200)와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제어기인 제2 제어기(240)가 제1 릴레이(201)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면,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200)가 구비된 모든 릴레이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FIG. 2, the second controller 240, which is an external controller connected to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200 through a communication line, is shown as being a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201. In just one embodiment,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2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all relays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300)는 내부 구비된 모든 릴레이(제1 내지 제2 릴레이(201 및202)가 제1 제어기(20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300 may control all relays (first to second relays 201 and 202) provided therein by the first controller 203.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in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릴레이 접점의 용착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401). Referring to FIG. 4,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an monitor whether the relay contacts are welded (S401).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릴레이 코일의 신호 인가 상태 및 릴레이 접점과 스위치 후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기반하여 릴레이 접점에서의 용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2). 일 예로,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릴레이 코일에 인가되는 신호가 OFF 상태에서 측정된 릴레이 스위치 전압이 소정 고전압 판단 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 릴레이 접점에 용착 현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an determine whether the relay contact is welded based on the signal application state of the relay coil and the strength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lay contact and the rear end of the switch (S402). For example, if the relay switch voltage measured while the signal applied to the relay coil is in the OFF state exceeds a predetermined high voltage judgment standard,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may determine that a welding phenomenon has occurred at the corresponding relay contact point.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릴레이 접점 용착 현상이 감지되면, 일정 시간 동안 릴레이 코일에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S403).When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detects relay contact welding, it can apply a signal to the relay coil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403).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릴레이 접점 용착 현상이 제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S404). 여기서, 릴레이 코일에 신호가 인가되면, 릴레이 스위치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형성된 자기장의 자력에 의해 아직 냉각되지 않은 용착점이 제거될 수 있다.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릴레이 스위치 전압이 정상 상태-즉, 저전압 상태-로 변경된 것이 확인되면, 릴레이 접점 용착 현상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an check whether the relay contact welding phenomenon has been eliminated (S404). Here, when a signal is applied to the relay coil, a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relay switch, and welding points that have not yet cooled can be remov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formed magnetic field. When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onfirms that the relay switch voltage has changed to a normal state (i.e., a low voltage stat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relay contact welding phenomenon has been eliminated.

확인 결과, 릴레이 접점 용착 현상이 제거된 경우,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상기한 401 단계로 회귀하여 릴레이 접점 용착 상태를 계속 모니터링할 수 있다.As a result of confirmation, if the relay contact welding phenomenon is eliminated,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an return to step 401 described above and continue to monitor the relay contact welding state.

상기한 404 단계의 확인 결과, 릴레이 접점 용착 현상이 제거되지 않은 경우,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일정 회수 동안 반복적으로 릴레이 코일 신호를 ON 시킬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in step 404 above, if the relay contact welding phenomenon is not removed,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may repeatedly turn on the relay coil signal for a certain number of times.

릴레이 코일 신호 ON 회수가 소정 기준치를 초과하면,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용착점 제거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고장 코드를 소정 기록 영역에 기록하고 소정 경고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클러스터에 전송할 수 있다(S405 내지 S406). 이때, 클러스터에는 릴레이 접점 불량을 지시하는 소정 경고 알람이 출력될 수 있다.If the number of ON times of the relay coil signal exceeds a predetermined standard value,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determines that removal of the weld point has failed, records the corresponding failure code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generates a predetermined warning alarm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cluster (S405 to S406). At this time, a warning alarm indicating a defective relay contact may be output to the cluste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서의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Figure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in a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릴레이 스위치의 통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501). Referring to FIG. 5,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an monitor the energization state of the relay switch (S501).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릴레이 코일의 신호 인가 상태 및 릴레이 접점과 스위치 후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에 기반하여 릴레이 스위치 접점에서의 통전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2). 일 예로,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릴레이 코일에 인가되는 신호가 ON된 상태에서 측정된 릴레이 스위치 전압이 소정 고전압 판단 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 릴레이 스위치 접점에 통전 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릴레이 코일에 인가되는 신호가 ON된 상태에서 릴레이 스위치 후단의 측정 전류의 세기가 소정 통전 불량 판단 기준치를 초과하면, 해당 릴레이 스위치 접점에 통전 불량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an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is poor at the relay switch contact point based on the signal application state of the relay coil and the strength of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lay contact point and the rear end of the switch (S502). For example, if the relay switch voltage measured while the signal applied to the relay coil is turned on exceeds a predetermined high voltage judgment standard,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may determine that an energization failure has occurred at the corresponding relay switch contact point. As another example,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determines that an energization defect has occurred at the corresponding relay switch contact point when the intensity of the measured current at the rear end of the relay switch exceeds a predetermined energization defect judgment standard value while the signal applied to the relay coil is ON. You can also judge.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릴레이 스위치 접점에서의 통전 불량이 감지되면, 구비된 과전류 통전 회로를 이용하여 통전 불량이 감지된 릴레이 스위치에 과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503). 이때, 통전 불량이 감지된 릴레이 스위치에 과전류가 인가되면, 스위치 접점에 생성된 산화 피막이 제거될 수 있다.When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detects an energization defect at a relay switch contact point, it can control the overcurrent to be applied to the relay switch in which the energization defect is detected using a provided overcurrent energization circuit (S503). At this time, if overcurrent is applied to the relay switch in which poor conduction is detected, the oxide film formed on the switch contacts may be removed.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릴레이 스위치 접점에서의 통전 불량 현상이 제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S504).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릴레이 스위치 전압이 고전압 상태에서 정상 상태-즉, 저전압 상태-로 변경된 것이 확인되면, 릴레이 스위치 접점의 통전 불량 현상이 제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an check whether the conduction failure phenomenon at the relay switch contact point has been eliminated (S504). When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onfirms that the relay switch voltage has changed from a high voltage state to a normal state (i.e., a low voltage stat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oor conduction phenomenon of the relay switch contact has been eliminated.

확인 결과, 릴레이 스위치 접점의 통전 불량 현상이 제거된 경우,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상기한 501 단계로 회귀하여 릴레이 스위치 접점의 통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As a result of confirmation, if the phenomenon of poor conduction of the relay switch contact point is eliminated,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may return to step 501 and monitor the current state of the relay switch contact point.

상기한 504 단계의 확인 결과, 릴레이 스위치 접점의 통전 불량 현상이 제거되지 않은 경우,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통전 불량 제거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고장 코드를 소정 기록 영역에 기록하고 소정 경고 알람 신호를 생성하여 클러스터에 전송할 수 있다(S505). 이때, 클러스터에는 릴레이 스위치 접점 통전 불량을 지시하는 소정 경고 알람이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통전 불량 현상이 제거될 때까지 일정 회수 반복하여 과전류 통전 회로를 이용한 과전류 통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만약, 과전류 통전 절차의 일정 회수 반복 수행에도 불구하고 통전 불량 현상이 제거되지 않은 경우,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는 상기한 505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in step 504 above, if the current conduction defect of the relay switch contact point is not eliminated,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determines that the elimination of the current conduction defect has failed, records the corresponding fault code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and issues a predetermined warning alarm signal. It can be created and transmitted to the cluster (S505). At this time, a predetermined warning alarm indicating poor conduction of relay switch contacts may be output to the cluster.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perform an overcurrent energization procedure using an overcurrent energization circuit by repeating a certain number of times until the energization defect phenomenon is eliminated. If the current conduction failure phenomenon is not eliminated despite repeating the overcurrent energization procedure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may perform step 505 described above.

상기한 도 5의 통전 불량 현상을 감지하고 이를 제거하는 절차는 상기한 도 4의 방법을 통해 릴레이 스위치 접점의 용착 현상이 제거된 이후에 해당 스위치를 통해 전류가 정상적으로 흐르지 않는 경우 수행될 수도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도 4 및 도 5의 방법이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The procedure for detecting and eliminating the current conduction failure phenomenon of FIG. 5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when current does not normally flow through the switch after the welding phenomenon of the relay switch contacts is removed through the method of FIG. 4.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is only one embodiment, and the methods of FIGS. 4 and 5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 및 코일을 포함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신호 인가 상태와 상기 릴레이의 출력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이 감지된 경우,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이 냉각되기 전에 상기 릴레이의 코일에 신호를 인가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
In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onnected to the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load,
A relay containing a switch and a coil; and
A first controller that determines whether the relay contact is welded based on the signal application state of the relay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relay,
The first controller,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that applies a signal to the coil of the relay before the welding of the relay contact is cooled when the welding of the relay contact is det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코일에 인가되는 신호가 OFF된 상태이고, 상기 릴레이 접점과 상기 스위치의 후단 사이에서 측정된 전압이 소정 고전압 판단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이 감지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in which welding of the relay contact is detected when the signal applied to the coil of the relay is turned off and the voltage measured between the relay contact point and the rear end of the switch exceeds a predetermined high voltage judgment standard value. .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릴레이가 상기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에 구비되되, 일부 릴레이의 동작이 상기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wherein a plurality of the relays are provided in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and the operation of some relays is controlled by another controller connected to the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다른 제어기로부터 릴레이 신호 인가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릴레이 신호 인가 상태 정보 및 해당 릴레이의 출력 전압에 기반하여 해당 릴레이 접점의 용착 여부를 판단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rst controller receives relay signal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from the other controller through the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lay contact is welded based on the received relay signal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relay. ,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제어기가 해당 릴레이의 용착 현상이 제거될 때까지 해당 코일에 일정 회수 반복적으로 신호를 인가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in which, when welding of the relay contact is detected, the first controller repeatedly applies a signal to the corresponding coil a certain number of times until the welding phenomenon of the relay is remov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회수 반복적으로 신호를 인가한 이후에도 용착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기가 릴레이 용착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고장 코드를 소정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If the welding state is maintained even after repeatedly applying the signal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first controller records a predetermined fault code indicating that a relay welding problem has occurred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회수 반복적으로 신호를 인가한 이후에도 용착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클러스터에 릴레이 용착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경고 알람을 전송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If the welding state is maintained even after repeatedly applying the signal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first controller transmits a predetermined warning alarm indicating that a relay welding problem has occurred in the cluster through the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는 CAN 통신, 이더넷(Ethernet) 통신, Flexlay 통신, K-Line 통신, LIN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t least one of CAN communication, Ethernet communication, Flexlay communication, K-Line communication, and LIN communication.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 및 코일을 포함하는 릴레이;
상기 릴레이의 신호 인가 상태와 상기 릴레이의 출력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스위치에서의 통전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부하와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제어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 그리고 상기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과전류 통전 라인을 통과한 대전류를 흡수하는 과전류 통전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기는, 전압 측정 라인을 통해 상기 릴레이의 출력 전압에 대한 세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전압 측정 라인은, 상기 과전류 통전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
In the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connected to the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ling power supply to the load,
Relays containing switches and coils;
a first controller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failure of electricity in the switch based on the signal application state of the relay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relay; and
An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load and absorbing a large current passing through the switch and an overcurrent conduction lin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controller,
The first controller obtains intensity information about the output voltage of the relay through a voltage measurement line,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wherein the voltage measurement lin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vercurrent conduction lin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코일에 인가되는 신호가 ON된 상태이고, 상기 릴레이 접점과 상기 스위치의 후단 사이에서 측정된 전압이 소정 고전압 판단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스위치의 통전 불량이 감지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that detects poor energization of the switch when the signal applied to the coil of the relay is turned on and the voltage measured between the relay contact point and the rear end of the switch exceeds a predetermined high voltage judgment standard value.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통전 불량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제어기가 해당 릴레이의 통전 불량 현상이 제거될 때까지 해당 스위치에 일정 회수 반복적으로 상기 대전류가 통과되도록 제어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in which, when a poor current in the switch is detected, the first controller controls the large current to pass through the switch repeatedly a certain number of times until the poor current in the relay is elimina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회수 반복적으로 대전류를 통과시킨 이후에도 상기 통전 불량 현상이 제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제어기가 릴레이 스위치 접점의 통전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고장 코드를 소정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If the conduction failure phenomenon is not eliminated even after repeatedly passing a large current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first controller records a predetermined fault code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indicating that an energization problem of the relay switch contact point has occurred.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회수 반복적으로 대전류를 인가한 이후에도 상기 통전 불량 현상이 제거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제어기가 상기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클러스터에 릴레이 스위치 접점의 통전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경고 알람을 전송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장치.
According to clause 11,
If the energization failure phenomenon is not eliminated even after repeatedly applying the large current a certain number of times, the first controller transmits a predetermined warning alarm to the cluster through the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energization problem at the relay switch contact point has occurred. A relay contact failure prevention device.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부하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에서의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에 있어서,
릴레이 출력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릴레이의 신호 인가 상태와 상기 릴레이 출력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이 감지되면,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이 냉각되기 전에 상기 릴레이의 코일에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In a method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in a device connected to an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ntrolling power supply to a load,
measuring the relay output voltage;
determining whether the relay contacts are welded based on the signal application state of the relay and the relay output voltage; 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welding of the relay contact is detected, applying a signal to the coil of the relay before the welding of the relay contact is cooled;
Method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including.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코일에 인가되는 신호가 OFF된 상태이고, 상기 릴레이 접점과 상기 릴레이에 구비된 스위치 후단 사이에서 측정된 전압이 소정 고전압 판단 기준치를 초과하면,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이 감지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According to clause 14,
A relay contact point in which welding of the relay contact point is detected when the signal applied to the coil of the relay is turned off and the voltage measured between the relay contact point and the rear end of the switch provided in the relay exceeds a predetermined high voltage judgment standard value. How to prevent breakdown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접점의 용착이 감지되면 상기 릴레이의 용착 현상이 제거될 때까지 상기 릴레이의 코일에 일정 회수 반복적으로 신호를 인가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According to clause 14,
A method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wherein when welding of the relay contact is detected, a signal is repeatedly applied to the coil of the relay a certain number of times until the welding phenomenon of the relay is remov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회수 반복적으로 신호를 인가한 이후에도 용착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릴레이 용착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고장 코드를 소정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클러스터에 릴레이 용착 문제가 발생되었음을 지시하는 소정 경고 알람을 전송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According to clause 16,
If the welding state is maintained even after repeatedly applying the signal a certain number of times,
recording a predetermined fault code indicating that a relay welding problem has occurred in a predetermined recording area; and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warning alarm indicating that a relay welding problem has occurred in the cluster through the in-vehicle communication network
A method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신호 인가 상태와 상기 릴레이 출력 전압에 기반하여 상기 릴레이의 스위치 접점의 통전 불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치 접점에서의 통전 불량이 감지된 경우, 구비된 과전류 통전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릴레이의 스위치에 대전류가 흐르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접점 고장 방지 방법.
According to clause 14,
Determining whether the switch contact of the relay has a defective current based on the signal application state of the relay and the relay output voltage; and
When a conduction failure at the switch contact is detected, controlling a large current to flow to the switch of the relay using a provided overcurrent conduction circuit.
A method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ilure, further comprising: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8.
KR1020160158152A 2016-11-25 2016-11-25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ult KR1026390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152A KR102639074B1 (en) 2016-11-25 2016-11-25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u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152A KR102639074B1 (en) 2016-11-25 2016-11-25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ul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40A KR20180059040A (en) 2018-06-04
KR102639074B1 true KR102639074B1 (en) 2024-02-22

Family

ID=6262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152A KR102639074B1 (en) 2016-11-25 2016-11-25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lay Contact Faul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0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45731A (en) * 2023-09-22 2024-01-26 江西驴充充充电技术有限公司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or eliminating fault of charging p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830A (en) * 1998-06-23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tact welding protecting device for heater control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308B1 (en) * 2008-12-04 201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hort Preventing Method For Ralay
KR101470098B1 (en) * 2012-12-18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ault diagnosis system and method for relay of vehicle
KR101631631B1 (en) * 2014-06-16 2016-06-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Method for failure check and recovery of Protective re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1830A (en) * 1998-06-23 2000-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tact welding protecting device for heater control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040A (en)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4574B (en) For the circuit of the voltage stabilization of onboard power system
CN107662499B (en) Pure electric vehicle complete vehicle fault power-off control method and system
CN102511009B (en) Method for diagnosing the operation of a device for cutting off and connecting a battery from/to the onboard power network of a motor vehicle
JP5912162B2 (en) High voltage relay failure diagnosis apparatus and method
CN102381209B (en) Fault managing method for low-voltage storage battery of pure electric automobile
JP5575506B2 (en) 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power supply device
US9594118B2 (en) Method for predicting the usability of a relay or a contactor
CN104769809A (e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system in a vehicle
EP3564688B1 (en) Ground fault detection apparatus
JP5929332B2 (en) Vehicle power supply
KR101394751B1 (en) Method for detecting fuse disconnection of dc-dc converter
KR100829307B1 (en) Fault diagnosis control method for high voltage relay of hybrid electric vehicle
KR101776341B1 (en) Fault diagnosis method for main relay of vehicle
US20150372477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068918A1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s
US92600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actor weld detection
CN103085667A (en) Main relay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green vehicle
CN101318475A (en) Simplified automatic discharge function for vehicles
JP2011166950A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mounting the same
CN103515155A (en) Relay module for vehicle battery system
JP2019521323A (en) 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battery relay failure using parallel circuit for constant power supply
JP2006025501A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KR20200045836A (en) System of determining state of power relay assembly
KR101470227B1 (en) Battery safety device of vehicle and method detecting trouble of the same
JP6001242B2 (en) Fault hand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