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975B1 -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975B1
KR102637975B1 KR1020230088815A KR20230088815A KR102637975B1 KR 102637975 B1 KR102637975 B1 KR 102637975B1 KR 1020230088815 A KR1020230088815 A KR 1020230088815A KR 20230088815 A KR20230088815 A KR 20230088815A KR 102637975 B1 KR102637975 B1 KR 102637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lip
mask
roll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8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담
Original Assignee
김제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제담 filed Critical 김제담
Priority to KR1020230088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35Feeding or advanc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2Handling garment parts or blanks, e.g. feeding, piling, separating or reversing
    • A41H43/025Folding, unfolding or turning over
    • A41H43/0257Fold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41H43/04Joining garment parts or blanks by gluing or welding ; Glu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화를 하더라도 마스크가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 논슬립부가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덴탈마스크를 빠른 속도로 대량생산 할 수 있는,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Mask manufacturing device for dental mask with non-slip part}
본 발명은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화를 하더라도 마스크가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 논슬립부가 구비되어 있는 덴탈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외부의 찬 공기를 차단하고 병균, 먼지 등의 흡입 및 비산(飛散)을 막기 위하여 코와 입을 가리는 것으로, 직물지 등을 이용해 제작하는 방한용 마스크부터 각종 필터를 결합시켜 미세분진까지 차단할 수 있는 산업용 및 방진마스크까지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용도에 따라 판매되고 있다. 사스(SARS), 메르스(MERS)에 이어 코로나 바이러스(Corona Virus)의 확산으로 인하여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전세계적 유행 상태인 팬데믹(Pandemic)을 선포하기에 이르면서, 비록 지금은 팬데믹이 해제되었지만, 마스크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음은 물론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면서 외출시 마스크가 필수품이 되었다.
그런데 직사각형 형태의 마스크 본체에 2단 내지 4단의 주름부를 형성하여 만들어진 덴탈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가장 많이 경험하는 문제는, 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화를 하다보면 마스크가 흘러내려 콧등을 벗어나서 코를 가리지 못하게 되므로 대화를 하면서 손으로 마스크 본체의 윗부분을 잡고 끌어올려서 마스크가 코를 가리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고, 이때 손으로 마스크 본체를 잡고 올리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손에 묻어서 감염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1418787호 "착용이 용이하고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마스크", 특허등록 제1651728호 "조임수단이 부여되는 마스크" 등이 출현했으나, 이들은 마스크 착용끈이 머리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일회용으로 착용하는 마스크에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발명자)은 특허등록 제2273386호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특허등록 제2292047호 "흘러내림과 누설방지 기능을 갖고 체온 감응 표시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를 개발하여 상기와 같은 덴탈마스크가 갖고 있는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덴탈마스크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한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를 개발했어도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서 양산하여 제품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화를 하더라도 마스크가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 논슬립부가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덴탈마스크를 제조함은 물론 빠른 속도로 대량생산 할 수 있는,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는, 본체원단과 논슬립부원단으로 사용될 롤 형상으로 권취된 부직포와 필터 각각을 일정 속도로 공급해 주고, 공급되는 각 원단의 텐션을 조절해 주는 텐션조절유닛과, 텐션이 조절된 원단을 자동으로 정렬하여 전방으로 공급하는 원단정렬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된 원단공급부; 상기 원단정렬유닛을 통과한 논슬립부원단을 융착하여 논슬립부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공급하는 논슬립부성형부; 상기 원단정렬유닛을 통과한 본체원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2 내지 4줄의 주름부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공급하는 주름형성부; 상기 주름형성부를 거쳐서 이송되어 오는 마스크 본체로 사용될 본체원단과, 논슬립부성형부를 거쳐서 이송되어 오는 논슬립부로 사용될 논슬립부원단을 합체하고 초음파 융착하여, 마스크 본체와 논슬립부를 융착하여 마스크 형상을 성형한 다음 일정 길이로 커팅하여 전방으로 공급하는 초음파성형 및 커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텐션조절유닛에는 공급되는 원단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논슬립부성형부는, 원단정렬유닛으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논슬립부원단이 뒤틀리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해 주는 뒤틀림방지롤러; 상기 뒤틀림방지롤러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논슬립부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단(一側端) 부분이 접히도록 단면(斷面)이 '⊂' 형상으로 형성된 폴딩부; 상기 폴딩부를 거치면서 접혀진 부분을 융착해 주는 논슬립부융착롤러; 상기 논슬립부융착롤러를 거치면서 논슬립부 형상이 성형된 논슬립부원단을 누르고 잡아당기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회전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논슬립부융착롤러는, 논슬립부원단의 일측단이 접혀진 부분을 따라 일직선으로 초음파 융착하도록 형성된 융착돌기; 상기 융착돌기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롤러의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도트(dot) 형상으로 형성되어, 융착돌기에서 융착된 논슬립부원단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논슬립부원단에 도트 형상으로 초음파 융착하도록 형성된 도트융착돌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주름형성부는, 원단정렬유닛으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본체원단이 뒤틀리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본체공급부; 상기 본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본체원단을 장력을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본체공급롤러; 상기 본체공급롤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논슬립부성형부를 거쳐서 오는 논슬립부원단을 본체원단과 같은 방향으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논슬립부공급롤러; 상기 본체공급롤러를 거쳐서 오는 본체원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2 내지 4줄의 주름부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공급하는 주름형성플레이트; 상기 주름형성플레이트를 거치면서 주름부가 형성된 본체원단을 눌러주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누름이송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초음파성형 및 커팅부는, 주름형성부와 논슬립부성형부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본체원단과 논슬립부원단이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합체하여 눌러주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합체원단누름플레이트; 상기 합체원단누름플레이트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본체원단과 논슬립부원단을 초음파 융착으로 합체하여 마스크 형태를 성형하는 합체융착롤러; 상기 합체융착롤러에서 마스크 형태가 성형된 합체된 원단을 누르고 잡아당기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누름회전롤러; 상기 누름회전롤러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합체된 원단에 성형된 마스크 형태를 커팅해 주는 커팅롤러; 상기 커팅롤러에서 커팅된 마스크 형태를 눌러주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이송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커팅롤러에는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커터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장치는 직사각형 형상인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를 제조하는 장치로, 마스크 본체와 논슬립부가 하나의 장치에서 동시에 각각 형성되어 합체된 후 융착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마스크 착용시 논슬립부가 콧등에 걸쳐져서 마스크를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를 빠른 속도로 대량생산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장치로 제조된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는 착용했을 때 논슬립부가 콧등에 밀착되면서 걸리도록 착용되므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말을 하거나 하품을 하더라도 마스크가 콧등을 벗어나지 않게 되어 흘러내리지 않고 정상적인 착용상태를 유지해 주게 된다. 또 논슬립부가 콧등과 콧등 주위의 굴곡부위에 밀착되어 틈새를 막아주게 되므로 틈새를 통한 바이러스의 침투를 차단해 줄 뿐만 아니라 마스크를 착용하고 말을 하거나 숨쉬면서 내뿜는 날숨에 의해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해 주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장치의 실물 사진이다.
도 2는 논슬립부성형부 부분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a와 3b는 주름형성부 부분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a와 4b는 초음파성형 및 커팅부 부분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a와 5b는 본 발명의 마스크 제조장치로 제조한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전면과 후면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장치의 기술적 특징은, 하나의 제조장치에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는 부분과 논슬립부를 형성하는 부분이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어 각각 형성된 마스크 본체와 논슬립부가 합체된 후 융착되면서 마스크가 완성되도록 구현함으로써,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를 마스크 본체만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덴탈마스크를 생산하는 속도와 거의 같은 속도로 대량생산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로 제조된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는,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에 2단 내지 4단으로 주름부가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마스크 본체의 후면에는 논슬립부가 마스크 본체와 상부 및 양 측부가 융착되어 있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며, 마스크 착용시에는 개방된 하부를 벌려서 논슬립부가 착용자의 콧등에 얹혀지도록 착용되어, 마스크가 콧등을 벗어나지 않게 되므로 마스크를 착용하고 대화를 하더라도 마스크가 흘러내리지 않고 정상적인 착용상태를 유지해 주게 되며, 노즈와이어(nose wire, 코편)는 매립되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도 5a, 5b 참조).
논슬립부의 폭(상하방향의 높이를 말함)은 마스크 본체 폭의 1/3∼1/5 정도가 바람직한데, 논슬립부의 양 측부는 측부 전체를 마스크 본체와 융착할 수도 있고, 측부의 하부 일부는 융착하지 않고 측부의 상부 일부만 융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제조장치는, 본체원단과 논슬립부원단을 일정 장력과 속도로 공급하는 원단공급부(10)와, 원단공급부(10)로부터 공급받은 논슬립부원단으로 논슬립부를 성형하여 공급하는 논슬립부성형부(20)와, 원단공급부(10)로부터 공급받은 본체원단에 주름부를 형성하여 공급하는 주름형성부(30)와, 논슬립부성형부(20)와 주름형성부(30)에서 각각 공급받은 논슬립부원단과 본체원단을 합체하여 마스크 형상을 성형한 다음 일정 길이로 커팅하여 전방으로 공급하는 초음파성형 및 커팅부(40)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마스크 형상으로 커팅된 각 마스크의 양측에 이어밴드(귀끈)를 부착하는 이어밴드(귀끈)부착부는 이미 공지된 부분이므로 본 발명만의 특징적 구성이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미설명부호 50은 노즈와이어공급부인데, 본 발명의 제조장치로 제조된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는 노즈와이어는 매립되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원단공급부(10) 본체원단(11)과 논슬립부원단(12)으로 사용될 롤 형상으로 권취된 부직포와 필터 각각을 일정 속도로 공급해 주고, 공급되는 각 원단의 텐션을 조절해 주는 텐션조절유닛(13)과, 텐션이 조절된 원단을 자동으로 맞추면서 정렬하여 전방으로 공급하는 원단정렬유닛(1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마스크 본체와 논슬립부는, 내측과 외측 양측에 부직포가 배치되고, 양측에 배치된 부직포 사이에 필터(MB필터)가 배치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본체원단(11)과 논슬립부원단(12)은 각각 3개씩의 권취롤에서 공급되게 되고, 본체원단(11)은 상측에 배치하고 논슬립부원단(12)은 하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각 권취롤에는 원단의 끊김을 감지하는 센서가 각각 부착되어 있고, 텐션조절유닛(13)에는 공급되는 원단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는데, 텐션조절유닛(13)은 공급되는 일부 원단이 많이 당겨져서 텐션이 달라지지 않도록 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공급되는 각 원단이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6개의 권취롤에서 원단이 공급되므로 텐션조절유닛(13)에는 6개의 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다.
원단정렬유닛(14)은 텐션조절유닛(13)을 거치면서 텐션이 조절된 원단을 본체원단(11)과 논슬립부원단(12)으로 자동으로 맞추서 정렬하여 전방으로 공급하는데, 상부 3개의 원단은 정렬하여 주름형성부(30)에 설치된 본체공급부(31)로 공급되게 하고, 하부 3개의 원단은 정렬하여 논슬립부성형부(20)에 설치된 뒤틀림방지롤러(21)로 공급되도록 해준다.
논슬립부성형부(20)는 원단정렬유닛(14)을 통과한 논슬립부원단(12)을 융착하여 논슬립부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뒤틀림방지롤러(21)와 폴딩부(22), 논슬립부융착롤러(23) 및 회전롤러(2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도 2 참조).
뒤틀림방지롤러(21)는 원단정렬유닛(14)으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부직포와 필터 원단이 적층되어 배치된 논슬립부원단(12)이 뒤틀리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해 주면서 일정 장력과 속도로 전방으로 공급해 준다.
폴딩부(22)는 단면(斷面)이 '⊂' 형상으로 형성되어, 뒤틀림방지롤러(21)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논슬립부원단(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단(一側端) 부분이 일정 폭만큼 접히도록 유도해 준다.
논슬립부융착롤러(23)는 폴딩부(22)를 거치면서 논슬립부원단(12)의 일측단 접혀진 부분을 융착해 주는 구성인데, 논슬립부융착롤러(23)는 롤러의 원주면을 따라 융착돌기(231)와 도트융착돌기(232)가 형성되어 있다. 융착돌기(231)는 논슬립부원단(12)의 일측단이 접혀진 부분을 따라 일직선으로 초음파 융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 도트융착돌기(232)는 융착돌기(231)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롤러의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도트(dot)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융착돌기(231)에 논슬립부원단(12)의 일측단 부분이 융착되기 때문에 융착되지 않은 나머지 논슬립부원단(12) 부분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논슬립부원단(12)의 타측단 부분에 도트 형상으로 초음파 융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논슬립부원단(12)이 양측에 부직포가 배치되고, 부직포 사이에 필터가 배치되어 3겹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논슬립부원단(12)의 일측단 부분만 융착을 해주면 나머지 부분이 들뜨거나 주름이 잡히는 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논슬립부원단(12)의 양측단 부분에서 일측단은 융착돌기(231)에 의해 촘촘하게 융착되고, 타측단 부분은 도트융착돌기(232)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듬성듬성 도트 형상으로 융착되므로 논슬립부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회전롤러(24)는 논슬립부융착롤러(23)를 거치면서 논슬립부 형상이 성형된 논슬립부원단(12)을 누르고 잡아당기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구성이다.
주름형성부(30)는 원단정렬유닛(14)을 통과한 본체원단(11)에 길이방향을 따라 2 내지 4줄의 주름부를 형성해 주면서 전방으로 공급하는 구성인데, 본체공급부(31), 본체공급롤러(32), 논슬립부공급롤러(33), 주름형성플레이트(34), 누름이송롤러(3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체공급부(31)는 원단정렬유닛(14)으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본체원단(11)을 복수의 롤러가 배치된 롤러 사이를 통과시키면서 본체원단(11)이 뒤틀리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구성이며, 본체공급부(31)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본체원단(11)이 본체공급롤러(32)를 통과하면서 원단이 장력을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공급되게 된다.
논슬립부공급롤러(33)는 본체공급롤러(32)의 하부에 설치되어, 논슬립부성형부(20)를 거치면서 논슬립부 형상으로 성형된 논슬립부원단(12)을 본체원단(11)과 같은 방향으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구성으로, 논슬립부 형상으로 성형된 논슬립부원단(12)이 본체원단(11)의 하부에서 본체원단(11)과 같은 방향으로 이송된다.
주름형성플레이트(34)는 본체공급롤러(32)를 거쳐서 오는 본체원단(11)에 길이방향을 따라 2 내지 4줄의 주름부를 형성해 주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구성이다. 누름이송롤러(35)는 주름형성플레이트(34)를 거치면서 주름부가 형성된 본체원단(11)을 눌러주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구성이다(도 3a, 3b 참조).
초음파성형 및 커팅부(40)는 주름형성부(30)를 거쳐서 이송되어 오는 마스크 본체로 사용될 본체원단(11)과, 논슬립성형부(20)를 거쳐서 이송되어 오는 논슬립부로 사용될 논슬립부원단(12)을 합체하고 초음파 융착하여, 마스크 본체와 논슬립부를 융착하여 마스크 형상을 성형한 다음 일정 길이로 커팅된 마스크를 전방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초음파성형 및 커팅부(40)는 합체원단누름플레이트(47), 복수의 누름회전롤러(42, 43, 44), 커팅롤러(45), 이송롤러(4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합체원단누름플레이트(47)는 주름형성부(30)와 논슬립성형부(20)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본체원단(11)과 논슬립부원단(12)이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도록 정렬하고 합체하여 눌러주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구성으로, 마스크 본체와 논슬립부를 융착하여 마스크 형상을 만들기 전에 최종적으로 본체원단(11)과 논슬립부원단(12)을 맞춤 정렬해 주는 구성이다.
합체융착롤러(41)는 합체원단누름플레이트(47)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본체원단(11)과 논슬립부원단(12)을 초음파 융착으로 합체하여 마스크 형태를 성형하는 구성으로, 합체융착롤러(41)의 원둘레 길이는 마스크의 길이와 같아야 한다.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합체융착롤러(41)에는 마스크 본체와 논슬립부가 융착되는 부분에 롤러의 원주면을 따라 융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마스크에서 양 측면 즉 세로방향으로 융착하기 위해 융착돌기도 형성되어 있다. 논슬립부의 상부가 마스크 본체와 융착되는 부분은 논슬립부성형부(20)에서 논슬립부를 도트융착했던 부분에 융착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름회전롤러(42, 43, 44)는 합체융착롤러(41)에서 마스크 형태가 성형된 합체된 원단을 누르고 잡아당기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구성으로 롤러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커팅롤러(45)는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단을 커팅하기 위한 커터(451)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데(도 4b 참조), 누름회전롤러(42, 43, 44)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합체된 원단을 일정 길이로 커팅하여 성형된 마스크 형태를 낱개의 마스크로 만들어 주게 된다.
이송롤러(46)는 커팅롤러(45)에서 커팅된 마스크 형태를 눌러주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구성으로, 그 다음은 마스크에 이어밴드(귀끈)를 부착시키는 공정이 이어지게 되는데, 이어밴드를 부착하는 공정 및 기계장치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원단공급부 11 : 본체원단
12 : 논슬립부원단 13 : 텐션조절유닛
14 : 원단정렬유닛
20 : 논슬립부성형부 21 : 뒤틀림방지롤러
22 : 폴딩부 23 : 논슬립부융착롤러
231 : 융착돌기 232 : 도트융착돌기
24 : 회전롤러
30 : 주름형성부 31 : 본체공급부
32 : 본체공급롤러 33 : 논슬립부공급롤러
34 : 주름형성플레이트 35 : 누름이송롤러
40 : 초음파성형 및 커팅부 41 : 합체융착롤러
42, 43, 44 : 제1 내지 제3누름회전롤러
45 : 커팅롤러 451 : 커터
46 : 이송롤러 47 : 합체원단누름플레이트
50 : 노즈와이어공급부

Claims (7)

  1. 직사각형 형상의 마스크 본체와 마스크 본체의 후면에 논슬립부가 구비되고, 상부 및 양 측부가 마스크 본체와 융착되어 있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를 제조하는 마스크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제조장치는,
    본체원단과 논슬립부원단으로 사용될 롤 형상으로 권취된 부직포와 필터 각각을 일정 속도로 공급해 주고, 공급되는 각 원단의 텐션을 조절해 주는 텐션조절유닛과, 텐션이 조절된 원단을 자동으로 정렬하여 전방으로 공급하는 원단정렬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된 원단공급부;
    상기 원단정렬유닛을 통과한 논슬립부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단(一側端) 부분을 일정 폭만큼 접어서 접혀진 부분을 융착하여 논슬립부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공급하는 논슬립부성형부;
    상기 원단정렬유닛을 통과한 본체원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2 내지 4줄의 주름부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공급하는 주름형성부;
    상기 주름형성부를 거쳐서 이송되어 오는 마스크 본체로 사용될 본체원단과, 논슬립부성형부를 거쳐서 이송되어 오는 논슬립부로 사용될 논슬립부원단을 합체하고 초음파 융착하여, 마스크 본체와 논슬립부를 융착하여 마스크 형상을 성형한 다음 일정 길이로 커팅하여 전방으로 공급하는 초음파성형 및 커팅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논슬립부는 마스크 착용시 마스크가 콧등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정상적인 착용상태를 유지해 주며, 논슬립부는 상부 및 양 측부가 마스크 본체와 융착되어 있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유닛에는 공급되는 원단의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성형부는,
    상기 원단정렬유닛으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논슬립부원단이 뒤틀리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해 주는 뒤틀림방지롤러;
    상기 뒤틀림방지롤러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논슬립부원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단(一側端) 부분이 접히도록 단면(斷面)이 '⊂' 형상으로 형성된 폴딩부;
    상기 폴딩부를 거치면서 접혀진 부분을 융착해 주는 논슬립부융착롤러;
    상기 논슬립부융착롤러를 거치면서 논슬립부 형상이 성형된 논슬립부원단을 누르고 잡아당기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회전롤러;
    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부융착롤러는,
    논슬립부원단의 일측단이 접혀진 부분을 따라 일직선으로 초음파 융착하도록 형성된 융착돌기;
    상기 융착돌기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롤러의 원주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도트(dot) 형상으로 형성되어, 융착돌기에서 융착된 논슬립부원단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논슬립부원단에 도트 형상으로 초음파 융착하도록 형성된 도트융착돌기;
    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형성부는,
    상기 원단정렬유닛으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본체원단이 뒤틀리거나 꼬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본체공급부;
    상기 본체공급부로부터 공급되어 오는 본체원단을 장력을 유지하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본체공급롤러;
    상기 본체공급롤러의 하부에 설치되어, 논슬립부성형부를 거쳐서 오는 논슬립부원단을 본체원단과 같은 방향으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논슬립부공급롤러;
    상기 본체공급롤러를 거쳐서 오는 본체원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2 내지 4줄의 주름부를 형성하면서 전방으로 공급하는 주름형성플레이트;
    상기 주름형성플레이트를 거치면서 주름부가 형성된 본체원단을 눌러주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누름이송롤러;
    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성형 및 커팅부는,
    상기 주름형성부와 논슬립부성형부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본체원단과 논슬립부원단이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합체하여 눌러주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합체원단누름플레이트;
    상기 합체원단누름플레이트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본체원단과 논슬립부원단을 초음파 융착으로 합체하여 마스크 형태를 성형하는 합체융착롤러;
    상기 합체융착롤러에서 마스크 형태가 성형된 합체된 원단을 누르고 잡아당기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누름회전롤러;
    상기 누름회전롤러를 거쳐서 공급되어 오는 합체된 원단에 성형된 마스크 형태를 커팅해 주는 커팅롤러;
    상기 커팅롤러에서 커팅된 마스크 형태를 눌러주면서 전방으로 공급해 주는 이송롤러;
    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롤러에는 롤러의 길이방향을 따라 커터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KR1020230088815A 2023-07-10 2023-07-10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KR102637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815A KR102637975B1 (ko) 2023-07-10 2023-07-10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8815A KR102637975B1 (ko) 2023-07-10 2023-07-10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975B1 true KR102637975B1 (ko) 2024-02-19

Family

ID=9005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8815A KR102637975B1 (ko) 2023-07-10 2023-07-10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97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386B1 (ko) * 2020-12-08 2021-07-05 김강권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KR20220007224A (ko) * 2020-07-10 2022-01-18 왕 중 김 마스크 본체 제조 장치
KR20220077978A (ko) * 2020-12-02 2022-06-10 송철규 마스크 고속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224A (ko) * 2020-07-10 2022-01-18 왕 중 김 마스크 본체 제조 장치
KR20220077978A (ko) * 2020-12-02 2022-06-10 송철규 마스크 고속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73386B1 (ko) * 2020-12-08 2021-07-05 김강권 흘러내림과 김서림방지 기능을 갖는 덴탈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3712B2 (ja) 何人(なんぴと)にも適合させ得る顔面マスク
JP7341288B2 (ja) 使い捨てマスク
JP7050558B2 (ja) 使い捨てマスク
JP6068135B2 (ja) マスク
US20220104562A1 (en) Flat Folding N95 Masks
US20140097116A1 (en) Respiratory face mask dispensed from a continuous rol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637975B1 (ko) 논슬립부가 구비된 덴탈마스크의 마스크 제조장치
US6403197B1 (en) Filter material
JP2018204169A (ja) 使い捨てマスク
KR20200067779A (ko) 마스크
EP3906795B1 (en) Facial barrier assembly
KR100510163B1 (ko) 상하 융출부를 갖는 일회용 방진마스크
TWI711392B (zh) 口罩機
KR102387116B1 (ko) 와이어리스 보건 의료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9628A (ko) 측면 들뜸 방지용 마스크
JP6345368B1 (ja) 使い捨てマスク
CN211987688U (zh) 一体式头部防护装置
KR102389891B1 (ko) 의료용 또는 보건용 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US11786766B2 (en) Disposable face mask with integrated tie-on face mask straps
CN211861893U (zh) 一种一次性口罩
JP6293340B1 (ja) マスク
KR20230001750U (ko) 취식용 마스크
KR20220163643A (ko) 밀착성과 호흡공간 확보성이 우수한 위생마스크
KR20230049882A (ko) 의료 가운,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TWM627755U (zh) 可強化撐持面的平面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