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665B1 - System for supporting reader's book reading - Google Patents

System for supporting reader's book rea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665B1
KR102637665B1 KR1020200187653A KR20200187653A KR102637665B1 KR 102637665 B1 KR102637665 B1 KR 102637665B1 KR 1020200187653 A KR1020200187653 A KR 1020200187653A KR 20200187653 A KR20200187653 A KR 20200187653A KR 102637665 B1 KR102637665 B1 KR 102637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reading
book
user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6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95785A (en
Inventor
김형주
Original Assignee
김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주 filed Critical 김형주
Priority to KR1020200187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665B1/en
Publication of KR20220095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7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6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도서 완독 지원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의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완독 지원을 위해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하되,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정보에 따른 목차 구성과 총 페이지수 및 각 목차 항목의 페이지수를 고려하여 목차 항목 단위로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하는 독서 목표량 결정부, 일차별 결정된 하나 이상의 목차 항목으로 이루어진 독서 목표량으로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독서 계획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독서 계획표 생성부, 및 독서 계획표 상의 목차 항목별 독서 완료 사실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일차별 독서 목표량 달성 여부를 관리하는 완독 관리부를 포함한다.A book completion support system is launched. This system determines the daily reading target to support the user's complete reading of the target book, but configures the table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the target book registered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the total number of pages, and the number of pages of each table of contents item. A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daily reading target in units of table of contents items, a reading plan creation unit that generates a reading plan for books to be read using the reading target amount consisting of one or more table of contents items determined on a daily basis and provides it to the user, and It includes a completed reading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input from the user about the completion of reading for each item in the table of contents in the reading plan and manages whether the daily reading goal has been achieved.

Description

도서 완독 지원 시스템{System for supporting reader's book reading}System for supporting reader's book reading}

본 발명은 사용자의 도서 완독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echnology for supporting users' complete reading of books.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64408호에는 온라인 도서목록을 이용한 개인 독서이력관리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각 기관이나 업체에서 전문 사서가 작성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도서목록을 이용하여 개인의 독서이력 정보를 등록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개인이 자신의 독서이력을 등록할 때 다수의 도서목록 정보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덜어준 뿐 아니라 독서이력 정보의 정확성을 보장한다.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1264408 discloses a personal reading history management system using an online book list. This system allows each organization or company to register an individual's reading history information using a book list prepared by a professional librarian and provided online. When an individual registers his or her reading history, multiple book list information is provided. It not only reliev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enter it manually, but also ensures the accuracy of reading history information.

한편, 독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으며, 코로나로 인한 비대면 시대에 자기계발 등의 방법으로 독서는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하지만 사람들은 다양한 이유로 독서를 시작하더라도 한 권의 책을 미처 마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완독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 없이 독서를 행하기 때문이다.Meanwhile, the importance of reading cannot be overemphasized, and in the non-face-to-face era caused by the coronavirus, reading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a method of self-development. However, for various reasons, people often cannot finish a book even if they start reading. This is because reading is done without a specific plan for completing the reading.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264408호 (2013년 6월 20일 공고)Domestic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64408 (announced on June 20, 2013)

본 발명은 종이책이나 전자책 등 도서 형태와 무관하게 범용으로 사용자의 도서 완독을 돕기 위한 방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eneral-purpose method to help users complete reading of books, regardless of the type of book, such as a paper book or an e-book.

일 양상에 따른 도서 완독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의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완독 지원을 위해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하되,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정보에 따른 목차 구성과 총 페이지수 및 각 목차 항목의 페이지수를 고려하여 목차 항목 단위로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하는 독서 목표량 결정부, 일차별 결정된 하나 이상의 목차 항목으로 이루어진 독서 목표량으로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독서 계획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독서 계획표 생성부, 및 독서 계획표 상의 목차 항목별 독서 완료 사실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일차별 독서 목표량 달성 여부를 관리하는 완독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ook completion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daily pattern determines the daily reading target to support the user's complete reading of the books being read, and configures the table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the books being read registered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as well as the total number of pages and each A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daily reading target for each table of contents item considering the number of pages of the table of contents items, and a reading plan for the books to be read based on the reading target amount consisting of one or more table of contents items determined on a daily basis and provides it to the user. It may include a reading plan creation unit and a complete reading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input from the user of the completion of reading for each table of contents item in the reading plan and manages whether or not the daily reading target amount has been achieved.

본 발명은 도서의 목차 구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완독을 위한 독서 계획표를 서비스하고 완독을 그에 따라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의 도서 완독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the user's complete reading of a book more effectively by providing a reading plan for the user's complete reading in consideration of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book and managing the complete reading accordingly.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완독 지원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독서 계획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완독 지원 방법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supporting complete reading of a 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example reading schedule.
Figures 3 to 5 are flowcharts of a method for supporting complete reading of a 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additional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se embodiment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it.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완독 지원 시스템 블록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서 완독 지원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고,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서 완독 지원 시스템은 독서 관리 서버(300)만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서 완독 지원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독서 지원 앱(200)과 독서 관리 서버(300)를 모두 포함한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supporting complete reading of a 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Prior to explanation, the book completion support system may include all or only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In one embodiment, the book completion support system refers only to the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In another embodiment, the book completion support system includes both a reading support app 200 and a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100.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통신 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 등일 수도 있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에는 사용자에게 도서 완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인터넷에서 웹 상의 정보를 볼 수 있게 해주는 응용 프로그램인 브라우저 및/또는 도서 완독 지원 서비스용 애플리케이션(이하, 줄여서 ‘독서 지원 앱’이라 한다)(200)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독서 지원 앱(200)은 독서 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도서 완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독서 지원 앱(200)은 독서 관리 서버(300)와의 연동 없이 자체적으로 사용자에게 도서 완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The user terminal 100 is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that is directly used by the user, and may be a desktop computer or laptop, or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The user terminal 100 is equipped with a browser, which is an application that allows users to view information on the web on the Internet in order to provide a book completion support service to the user, and/or an application for the book completion support ser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ading support app' for short). )(200) can be installed and run. In one embodiment, the reading support app 200 provides a book completion support service to the user in conjunction with the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In another embodiment, the reading support app 200 is an application that independently provides a book completion support service to the user without linking with the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독서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들에게 도서 완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서버용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서버 시스템이다. 독서 관리 서버(300)는 웹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윈도우 계열 운영체제나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거나 이에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체제 하에서 운영될 수 있다. 이 같은 독서 관리 서버(300)는 브라우저로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로 웹이나 웹앱을 통해 도서 완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실행되는 독서 지원 앱(200)과 연동하여 도서 완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is a server system that includes one or more server computing devices to provide a book completion support service to users. The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eb server, web application server, database server, etc., and may be configured with various operating systems including or not including Windows-based operating systems, MacOS, Java, UNIX, or Linux. It can run under an operating system. This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can provide a book completion support service through the web or web app to the user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browser, and is linked to the reading support app 200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100. Therefore, we can provide a support service for completing book reading.

독서 관리 서버(300)는 도서 완독 지원부(400)를 포함한다. 도서 완독 지원부(40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 가능한 기능적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사용자의 도서 완독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서 완독 지원부(400)는 독서 목표량 결정부(410)와 독서 계획표 생성부(420)와 완독 관리부(430)를 포함하며, 도서 목차 등록부(440)와 커뮤니티 서비스부(450) 및 부가 정보 제공부(460)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독서 목표량 결정부(410)는 사용자가 읽고자 선택한 도서인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해 소정의 독서 기간 동안 사용자가 완독할 수 있도록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독서 기간은 자동으로 정해질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정해질 수도 있다.The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book completion support unit 400. The book completion support unit 400 is a functional component that can be implemented in software and is executed by one or more processors to support the user's complete reading of the book. As shown in Figure 1, the book completion support unit 400 includes a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unit 410, a reading plan creation unit 420, and a completion management unit 430, as well as a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440 and a community service unit. At least some of the 450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46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unit 410 may determine a daily reading target amount so that the user can complete the reading target book, which is the book selected by the user, during a predetermined reading period. Here, the reading period may be determined automatically or may be determined by the user.

일 양상에 따른 독서 목표량 결정부(410)는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정보에 따른 목차 구성과 총 페이지수 및 각 목차 항목의 페이지수를 고려하여 목차 항목 단위로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독서 관리 서버(300)에는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가 포함될 수 있다.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는 도서별 목차 정보가 매핑 등록되어 있는데, 목차 정보에는 목차 구성과 총 페이지수 및 각 목차 항목의 페이지수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같은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가 마련될 경우, 독서 목표량 결정부(410)는 독서 대상 도서에 해당되는 목차 정보를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서 검색한 후에 그 검색된 목차 정보에 따른 목차 구성과 총 페이지수 및 각 목차 항목의 페이지수를 고려하여 목차 항목 단위로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한다.The daily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unit 410 determines the daily reading target amount in units of table of contents items by considering the table of contents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the book to be read, the total number of pages, and the number of pages of each table of contents item. To this end, the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may include a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for each book is mapped and registered.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able of contents structure, the total number of pages, and the number of pages of each table of contents item. When such a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is prepared, the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unit 410 searches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book to be read from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then configures the table of contents according to the searched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and creates a total Considering the number of pages and the number of pages of each table of contents item, determine the daily reading target for each table of contents item.

독서 계획표 생성부(420)는 사용자의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독서 계획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 독서 목표량 결정부(410)에 의해 결정된 일차별 하나 이상의 목차 항목으로 이루어진 독서 목표량을 반영하여 독서 계획표를 생성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차는 대항목(장)과 중항목(절) 및 소항목(관) 등과 같이 복수의 항목으로 분류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하기 위한 목차 항목 단위는 소항목 단위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독서 기간이 10일로 정해질 경우와 7일로 정해질 경우의 일차별 목차 항목 단위를 기준으로 독서 목표량이 계획되어 있으며, 소항목 단위별로 페이지번호도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독서 기간은 사용자에 의하거나 자동으로 미리 정해질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지지 않고 독서 목표량 결정부(410)의 일차별 독서 목표량 결정에 따라 가변될 수도 있다.The reading plan creation unit 420 generates a reading plan for the user's reading target books and provides the reading plan to the user. The reading plan is created by reflecting the reading target amount consisting of one or more table of contents items per day determined by the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unit 410. creates .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ure 2. As shown in Figure 2, the table of contents may be classified into multiple items such as major items (chapters), medium items (sections), and small items (sections), and the table of contents item unit for determining the daily reading target amount. may be a small item unit. In Figure 2, the reading target amount is planned based on the daily table of contents item unit when the reading period is set at 10 days and when the reading period is set at 7 days, and page numbers can also be provided for each sub-item unit. Additionally, the reading period may be predetermined by the user or automatically, or may not be predetermined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daily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unit 410.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독서 목표량 결정부(410)는 소항목 단위로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할시에 대항목과 중항목 및 소항목으로 분류되는 목차 구성을 고려하여 소항목 단위로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소항목 단위로만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할 경우에 도 2의 예에서 2장 2절 13관과 14관이 일일 목표량으로 결정된다면, 목차 분류 구성을 고려하여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할 경우에 2장 2절 13관과 14관 및 15관이 일일 목표량으로 결정되어 2장을 모두 끝마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단지 목차 구성만이 아니라 총 페이지수 및 각 목차 항목의 페이지수가 함께 고려되므로, 일차별 독서 목표량 결정 결과는 고려되는 변수들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지만 목차 구성을 고려하여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독서 계획표가 만들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determining the daily reading target amount in units of sub-items, the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unit 410 determines the daily reading target amount in sub-item units by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the table of contents classified into major items, medium items, and sub-items. . For example, when determining the daily reading target only in sub-item units, in the example of Figure 2, Chapter 2, Section 2, Sections 13 and 14 are determined as the daily target amount, when determining the daily reading target considering the classification structure of the table of contents. Chapter 2, Section 2, Sections 13, 14, and 15 are determined as the daily target amount, allowing you to complete all of Chapter 2. At this time, since not only the composition of the table of contents but also the total number of pages and the number of pages of each table of contents item are considered, the result of determining the daily reading target amount can, of course, vary depending on the variables considered. However, by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the table of contents and determining the daily reading target, a more appropriate reading schedule can be created.

추가로, 목차 정보에는 본문 페이지 라인 수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독서 목표량 결정부(410)는 목차 구성과 총 페이지수 및 각 목차 항목의 페이지수 외에 본문 페이지 라인 수도 함께 고려하여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문 페이지 라인 수가 고려될 시에는 독서 기간이 먼저 정해지지 않고 일차별 독서 목표량 결정에 따라 자동으로 정해질 수 있다. 또한, 독서 목표량 결정부(410)는 목차 정보 외에 사용자의 과거 독서 패턴도 고려하여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할 수 있다. 과거 독서 패턴에는 사용자의 평균 일일 독서량, 주중 주요 독서 기간, 월중 주요 독서 기간, 주요 독서 시간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같이 과거 독서 패턴을 추가로 고려하여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하게 되면 사용자에게 맞춤형 독서 계획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dditionally,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the number of main body page lines, and in this case, the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unit 410 considers the number of main body page lines in addition to the table of contents composition, the total number of pages, and the number of pages of each table of contents item to determine the daily reading target amount. can be decided. And when the number of body page line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reading period can be determined automatically based on the daily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rather than being determined first. Additionally, the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unit 410 may determine the daily reading target amount by considering the user's past reading patterns in addition to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Historical reading patterns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average daily reading amount, main reading period during the week, main reading period during the month, and main reading time. If the daily reading target is determined by additionally considering past reading patterns, a customized reading pla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완독 관리부(430)는 독서 계획표 상의 목차 항목별 독서 완료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일차별 독서 목표량 달성 여부를 관리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독서 계획표에는 사용자로 하여금 직접 목차 항목별로 독서 진행 상황을 입력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서 계획표에는 목차 항목별로 독서중이나 독서 완료 여부 등을 체크할 수 있게 하는 체크란이 마련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목차 항목별 독서 현황을 체크 입력토록 할 수 있다. 이에 완독 관리부(430)는 목차 항목별 그리고 일차별 사용자의 독서 목표량 달성 여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완독 관리부(430)는 사용자의 일단위 독서 목표량 달성율 현황 정보를 그래프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mplete reading management unit 430 receives input from the user as to whether reading has been completed for each item in the table of contents in the reading plan and manages whether the daily reading target amount has been achieved. 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reading plan may include a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directly input and manage the reading progress for each table of contents item. For example, the reading plan includes check boxes that allow users to check whether they are reading or have completed reading for each table of contents item, allowing the user to check and input the reading status for each table of contents item. Accordingly, the completed reading management unit 430 can manage whether the user's reading target amount is achieved for each item in the table of contents and for each day. In addition, the complete reading management unit 430 may graph information on the user's daily reading goal achievement rate status and provide the information to the user.

도서 목차 등록부(440)는 사용자의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목차 정보가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 미등록되어 있을 경우에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정보를 획득하여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 신규 등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서 목차 등록부(440)는 웹 상에서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목차 정보를 수집하여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 등록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서 목차 등록부(440)는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목차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아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 등록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도서 목차 등록부(440)는 사용자로부터 목차 정보를 획득하여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 등록한다.If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for the book to be read by the user is not registered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the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440 obtains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the book to be read and newly registers it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In one embodiment, the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440 collects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about books to be read on the web and registers them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In another embodiment, the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440 receives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about the book to be read directly from the administrator and registers it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In another embodiment, the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440 obtains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registers it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사용자로부터 목차 정보를 획득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목차 정보를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을 경우, 도서 목차 등록부(44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독서 지원 앱(200)으로 목차 이미지의 업로드를 요청한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 또는 별도의 카메라로 도서의 목차 페이지를 모두 촬영하며, 사용자 단말(100) 또는 독서 지원 앱(200)은 촬영을 통해 얻어진 목차 페이지 이미지를 모두 독서 관리 서버(300)로 업로드한다. 이에 독서 관리 서버(300)의 도서 목차 등록부(440)는 업로드된 목차 페이지 이미지에 대해 광학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등의 기술을 이용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목차 항목들과 총 페이지수 및 각 목차 항목의 페이지수를 파악하며, 파악된 결과를 가지고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정보를 생성하여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 등록한다. 그리고 도서 목차 등록부(440)는 목차 정보 등록을 완료하는대로 업로드된 목차 페이지 이미지를 완전 파기 처리한다.An embodiment of obtaining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from a user will be described. If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for the book to be read is not registered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the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440 requests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reading support app 200 to upload the table of contents image. Accordingly, the user photographs all of the table of contents pages of the book with the camera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100 or a separate camera, and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reading support app 200 manages all of the table of contents page images obtained through the shooting for reading management. Upload to server 300. Accordingly, the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440 of the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analyzes the uploaded table of contents page images using technology such as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to determine the table of contents items, the total number of pages, and each The number of pages of the table of contents items is determined, and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for the book to be read is created using the identified results and registered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In addition, the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440 completely destroys the uploaded table of contents page image as soon as registration of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is completed.

추가로, 목차 정보에는 본문 페이지 라인 수도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임의의 본문 한 페이지를 촬영하여 독서 관리 서버(300)로 업로드시킬 수 있으며, 도서 목차 등록부(440)는 본문 페이지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본문 페이지 라인 수를 파악하여 목차 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본문 페이지 이미지에 대해서도 사용 즉시 완전 파기 처리한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직접 본문 페이지 라인 수를 세어 그 라인 수 정보를 입력 제공할 수 있다. 즉, 도서 목차 등록부(440)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독서 지원 앱(200)으로 본문 페이지 라인 수 정보를 요청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가 본문 페이지 라인 수 정보를 입력하여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Additionally,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may also include the number of body page lines. To this end, the user can take a picture of one page of the text and upload it to the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and the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440 determines the number of text page lines through analysis of the text page image and provides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Can be included. In addition, body page images are completely destroyed immediately after use. As another example, the user can directly count the number of lines in the body page and input and provide line number information. That is, the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440 request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lines in the main text page from the user terminal 100 or the reading support app 200, and the user can provide the information by inputting the number of lines in the main text page accordingly.

한편, 도서의 목차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경우, 도서 목차 등록부(440)는 해당 도서의 목차 정보를 최초 제공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지급할 수 있다. 그리고 목차가 없는 도서도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도서 목차 등록부(440)는 관리자에게 목차 정보의 생성을 요청하며, 그에 따라 관리자가 해당 도서에 대해 직접 만든 목차 정보를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비록 실제로는 목차가 없는 도서라 할지라도 관리자에 의해 만들어진 목차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독서 계획표를 서비스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Meanwhile, when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a book is obtained from a user, the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440 may pay a certain incentive to the user who first provided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the book. In addition, there may be books without a table of contents. In this case, the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440 requests the administrator to creat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and accordingly,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created by the administrator for the book is stored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You can register. According to this, even if the book does not actually have a table of conten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ading plan service to the user based on the table of contents created by the administrator.

커뮤니티 서비스부(450)는 도서에 대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하여 관리하는데, 도서마다 하나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목차 항목별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도서에 대해 목차에 따라 복수의 온라인 커뮤니티들이 생성된다. 일 예로, 커뮤니티 서비스부(450)는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 목차 정보가 신규 등록될 시에 그 목차 정보에 따라 해당 도서에 대한 복수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한다. 온라인 커뮤니티는 소정의 분류 기준으로 각 목차 항목마다 생성될 수 있는데, 대항목이나 중항목 또는 소항목마다 온라인 커뮤니티가 생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분류 기준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The community service department 450 creates and manages online communities for books. Rather than creating one online community for each book, the community service department 450 creates an online community for each table of contents item. Accordingly, multiple online communities are created for one book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For example, when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is newly registered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the community service unit 450 creates a plurality of online communities for the book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An online community can be created for each table of contents item based on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standard, and an online community can be created for each major item, medium item, or small item. At this tim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may be set as default or may be set by the administrator.

커뮤니티 서비스부(450)는 사용자가 독서중인 목차 항목에 해당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해 사용자에게 이용 권한을 부여(회원 자격 부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뮤니티 서비스부(450)는 독서 계획표에 반영된 사용자의 독서 현황을 통해 사용자가 현재 독서중인 목차 항목을 파악한 다음에 그 파악된 목차 항목에 해당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이용 권한을 사용자에게 부여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커뮤니티 서비스부(450)는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독서가 시작되면 그 도서의 모든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해 사용자에게 이용 권한을 부여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동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해 이용 권한을 가진 타 사용자들과 자유롭게 해당 목차 항목의 내용에 대해 소통할 수 있게 한다.The community service unit 450 grants the user permission to use (grants membership) the online community correspon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item the user is reading.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ty service department 450 determines the table of contents item that the user is currently reading through the user's reading status reflected in the reading plan, and then grants the user permission to use the online community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table of contents item. granted to In another embodiment, the community service unit 450 grants the user access to all online communities for a book to be read when reading begins. This allows users to freely communicate about the contents of the relevant table of contents items with other users who have permission to use the same online community.

일 예로, 소통은 커뮤니티 게시판에서의 게시글과 댓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같은 목차 항목별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사용자들은 궁금했던 내용들에 대해 서로 묻고 답하여 도울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도서의 완독 확률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한 번 부여된 온라인 커뮤니티별 이용 권한은 지속될 수도 있고 기간에 제한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용 권한을 갖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응하는 목차 항목에 대해 독서를 완료한 일자로부터 소정 기간(주 또는 월 등)이 경과하면, 커뮤니티 서비스부(450)는 그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권한을 회수하는 것이다.As an example, communication may take the form of posts and comments on a community bulletin board. Through this online community for each item in the table of contents, users can help each other by asking and answering questions about what they are curious about, which can further increase the probability of completing the book. Additionally, the right to use each online community once granted to a user may last or may be limited in duration. For example, when a predetermined period (such as a week or a month) elapses from the date the user completed reading the table of contents item corresponding to the online community to which the user has permission to use, the community service department 450 The purpose is to retrieve the right to use.

한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뮤니티 서비스부(450)는 출판사나 출판 형태 등이 상이하지만 사실상 동일한 내용으로 이루어진 도서들의 경우에는 각 도서별 및 목차 항목별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도서로 간주하여 목차 항목별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한다. 이때, 커뮤니티 서비스부(450)는 도서 제목, 목차, 저자 정보를 기준으로 동일한 내용으로 이루어진 도서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 같은 방식으로 목차 항목별 온라인 커뮤니티를 서비스하는 경우의 장점에 대해 부연하면, 실제로 많은 단행본, 편집 도서, 고전 등은 동일한 내용이지만 다른 서지정보에 속해 있어 하나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목차 항목별 커뮤니티를 서비스하면, 단행본에서는 목차 그 자체가 각각의 제목 역할을 하게 되고, 다른 출판물에 포함된 동일한 단행물들을 하나로 엮어서 커뮤니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예로써, 이상(저자)의 “날개”를 검색해보면 스무 종류가 넘는 편집본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출판물의 제목 뿐 아니라 목차에 따른 소제목 및 각 소제목의 저자 정보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출판물에 포함된 동일한 글(산문, 소설, 시 등) 기준의 커뮤니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one embodiment, the community service department 450 does not create an online community for each book or table of contents item in the case of books that have different publishers or publishing types but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tent, but rather creates an online community for each book as a single book. Considering this, an online community is created for each item in the table of contents. At this time, the community service department 450 can determine whether the books have the same content based on the book title, table of contents, and author information. To elaborate on the advantages of providing an online community for each table of contents item in this wa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form a community because many books, edited books, classics, etc. actually have the same content but belong to different bibliographic information. . However, if a community is provided for each item in the table of contents, the table of contents itself acts as each title in a book, and a community can be provided by combining identical books included in different publications. For example, if you search for “Wings” by Lee Sang (author), you will see that it is included in over 20 different edition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munity based on the same writing (prose, novel, poetry, etc.) contained in different publications based on not only the title of the publication, but also the subheadings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and the author information of each subheading.

부가 정보 제공부(460)는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항목들 중에서 독자들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하나 이상의 목차 항목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가 정보 제공부(460)는 독서 대상 도서와 관련하여 생성된 복수의 온라인 커뮤니티들의 회원 참여도를 높은 순부터 낮은 순으로 순위화한다. 여기서, 회원 참여도는 게시글 수, 댓글 수, 방문 회원 수, 회원 방문 횟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순위화가 완료되면, 부가 정보 제공부(460)는 최상위 온라인 커뮤니티 또는 상위 그룹에 속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해당하는 목차 항목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정보 제공된 목차 항목에 핵심 내용 등이 담겨 있음을 사전에 인지하여 해당 목차 항목을 읽을 시에 보다 주의 집중하여 읽을 수 있게 된다.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460 identifies one or more table of contents items in which readers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interest among the table of contents items of the book to be read and provide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In one embodiment,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er 460 ranks member participation in a plurality of online communities created in relation to a book to be read from high to low. Here, member participation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number of posts, number of comments, number of visiting members, number of member visits, etc. And when the ranking is completed, the additional information providing unit 460 provides the user with table of contents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highest online community or an online community belonging to a higher group. Accordingly, the user is aware in advance that the provided table of contents item contains key content, etc., and is able to read the relevant table of contents item with more attention.

상술한 도서 완독 지원부(400)에 속하는 구성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는 독서 지원 앱(200)에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독서 지원 앱(200)과 독서 관리 서버(300)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도서 완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독서 지원 앱(200)이 일부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 도서 완독 지원부(400)에 속하는 모든 구성이 독서 지원 앱(200)에 속할 수도 있다. 즉, 독서 지원 앱(200)이 독서 관리 서버(300)와의 연동 없이 자체적으로 사용자에게 도서 완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도 독서 지원 앱(200)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에 구성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belonging to the book completion support unit 400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n the reading support app 200. In other words, when the reading support app 200 and the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are linked to provide a book completion support service to the user, the reading support app 200 may play a part of the role. As another example, all components belonging to the book completion support unit 400 may belong to the reading support app 200. In other words, the reading support app 200 may independently provide a book completion support service to the user without linking with the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In this case,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user terminal 100 by the reading support app 200.

도 3 내지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서 완독 지원 방법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과정은 독서 관리 서버(3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독서 지원 앱(2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독서 지원 앱(200)과 독서 관리 서버(300)이 과정을 분담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작의 주체를 컴퓨팅 디바이스의 프로세서라 한다.Figures 3 to 5 are flowcharts of a method for supporting complete reading of a book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 shown in FIGS. 3 to 5 may be performed by the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or the reading support app 200, and the reading support app 200 and the reading management server 300 It can also be carried out by dividing the proces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ubject of operation is referred to as the processor of the computing device.

먼저, 도 3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입력 키워드로 해당 도서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00). 이에 사용자는 검색 결과로 제공된 도서가 자신이 찾고자 하던 정보와 일치할 경우에 해당 도서를 독서 대상 도서로 선택하며, 이에 프로세서는 검색 도서를 사용자의 독서 대상 도서로 지정한다(S110). 프로세서는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정보에 기반하여 목차 항목 단위로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하며(S120), 그 결정된 독서 목표량이 반영된 독서 계획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130). 이후, 프로세서는 독서 계회표 상의 목차 항목별 독서 완료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일차별 독서 목표량 달성 여부를 관리한다(S140).First, FIG. 3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or searches for the corresponding book using the user's input keyword and provides the search results to the user (S100). Accordingly, if the book provided as a search result matches the information the user was looking for, the user selects the book as the book to be read, and the processor designates the searched book as the book to be read by the user (S110). The processor determines the daily reading target amount for each table of contents item based on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the book to be read (S120), and generates a reading plan reflecting the determined reading target amount and provides it to the user (S130). Afterwards, the processor receives input from the user as to whether reading has been completed for each item in the table of contents on the reading account table and manages whether the daily reading goal has been achieved (S140).

다음으로, 도 4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는 도 3의 과 S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정보가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S200). 확인 결과 미등록되어 있을 경우, 프로세서는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정보를 획득하여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 신규 등록한다(S210)(S220). 목차 정보 획득은 다양한 방식으로 가능한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프로세서는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경우에는 해당 도서의 목차 정보를 최초 제공한 사용자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지급할 수 있다.Next, FIG. 4 will be described. In one embodiment, FIG. 4 may be located between S120 and S120 of FIG. 3 . The processor checks whether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the book to be read is registered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S200). If it is not registere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the processor obtains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the book to be read and newly registers it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S210) (S220).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can be obtained in various ways, as described above. Meanwhile, if the processor obtains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the book to be read from the user, the processor may pay a certain incentive to the user who first provided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the book.

마지막으로, 도 5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세서는 각 도서의 목차 항목별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하여 관리한다(S300).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는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500)에 도서의 목차 정보가 신규 등록될 시에 그 목차 정보에 따라 해당 도서에 대한 복수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한다. 프로세서는 온라인 커뮤니티별로 사용자들에게 각각 이용 권한(회원 자격)을 부여하는데, 사용자마다 독서중인 목차 항목에 해당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해 회원 자격을 부여한다(S310). 또한,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온라인 커뮤니티들의 회원 참여도에 기반하여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항목들 중에서 회원들의 관심도가 높은 높은 항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320).Finally, FIG. 5 will be described. The processor creates and manages an online community for each item in the table of contents of each book (S300). In one embodiment, when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a book is newly registered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500, the processor creates a plurality of online communities for the book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The processor grants usage rights (membership) to each user for each online community, and grants membership to each user for the online community correspon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item being read (S310). In addition, the processor provides information about items with high members' interest among the table of contents items of the book to be read based on member participation in online communities regarding the book to be read by the user (S320).

한편, 상술한 도서 완독 지원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이 같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촬영 가이드 제공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이 같은 기록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일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supporting book completion can be written with a computer program. Codes and/or code segments constituting such a program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In addition, such a program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 method of providing a shooting guide. Such a recording medium may be a magnetic recording medium, an optical recording medium, etc. So fa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amined focusing on its preferred embodiment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not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 사용자 단말 200 : 독서 지원 앱
300 : 독서 관리 서버 400 : 도서 완독 지원부
410 : 독서 목표량 결정부 420 : 독서 계획표 생성부
430 : 완독 관리부 440 : 도서 목차 등록부
450 : 커뮤니티 서비스부 460 : 부가 정보 제공부
500 : 도서 목차 DB
100: User terminal 200: Reading support app
300: Reading management server 400: Book completion support department
410: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unit 420: Reading plan creation unit
430: Completed reading management department 440: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450: Community Service Department 460: Additional Information Provision Department
500: Book table of contents DB

Claims (8)

도서별 목차 구성과 총 페이지수와 각 목차 항목의 페이지수 및 본문 페이지 라인 수가 포함된 목차 정보가 매핑 등록된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의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목차 정보가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에 미등록되어 있을 경우에 사용자에게 그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페이지 이미지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페이지 이미지를 분석하여 목차 구성과 총 페이지수 및 각 목차 항목의 페이지수를 포함하는 목차 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목차 정보를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에 신규 등록하며, 목차 정보 등록이 완료되면 목차 페이지 이미지를 파기 처리하는 도서 목차 등록부;
사용자의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완독 지원을 위해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하되, 도서 목차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독서 대상 도서의 목차 정보에 따른 목차 구성과 총 페이지수와 각 목차 항목의 페이지수 및 본문 페이지 라인 수를 고려하여 목차 항목 단위로 일차별 독서 목표량을 결정하는 독서 목표량 결정부;
일차별 결정된 하나 이상의 목차 항목으로 이루어진 독서 목표량으로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독서 계획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독서 계획표 생성부;
독서 계획표 상의 목차 항목별 독서 완료 사실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일차별 독서 목표량 달성 여부를 관리하는 완독 관리부;
목차 항목별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하여 관리하며, 사용자가 독서중인 목차 항목에 해당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해 사용자에게 이용 권한을 부여하여 동일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이용 권한을 가진 타 사용자들과 해당 목차 항목의 내용에 대해 소통할 수 있게 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부; 및
사용자의 독서 대상 도서에 대한 온라인 커뮤니티들 중에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하나 이상의 온라인 커뮤니티에 해당하는 목차 항목을 사용자에게 정보 제공하는 부가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되,
도서 목차 등록부는 목차 페이지 이미지 외에 사용자로부터 제공된 독서 대상 도서의 임의의 본문 한 페이지 이미지도 분석하여 본문 페이지 라인 수를 파악하며, 그 파악된 본문 페이지 라인 수를 목차 정보에 포함시키는 도서 완독 지원 시스템.
A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in which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including the table of contents composition for each book, the total number of pages, the number of pages of each table of contents item, and the number of main page lines, is mapped and registered;
If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for the book to be read by the user is not registered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the table of contents page image of the book to be read is requested from the user, and the table of contents page image of the book to be read provided by the user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request. Book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including the composition, total number of pages, and page count of each table of contents item is created, the created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is newly registered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and the table of contents page images are destroyed when registration of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is completed. register;
In order to support the user in completing the reading target book, a daily reading target is determined, and the table of contents is structured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of the reading target book registered in the book table of contents database, the total number of pages, the number of pages of each table of contents item, and the main body page line. A reading target amoun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 daily reading target amount in units of table of contents items, taking the number into account;
a reading plan generator that generates a reading plan for books to be read based on a reading target amount consisting of one or more table of contents items determined on a daily basis and provides the reading plan to the user;
A completed reading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input from the user on completion of reading for each item in the table of contents on the reading plan and manages whether or not the daily reading goal has been achieved;
Online communities are created and managed for each table of contents item, and the user is granted access to the online community correspon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item the user is reading, allowing other users with access to the same online community and the contents of the table of contents item to be shared with the user. Department of Community Services to enable communication about; and
Includes an additional information provision unit that provides information to the user about table of contents items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online communities with relatively high interest among online communities for books that are subject to reading by the user;
The book table of contents register is a book completion support system that analyzes the number of text page lines in the book provided by the user in addition to the table of contents page image, and includes the identified number of text page lines in the table of contents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87653A 2020-12-30 2020-12-30 System for supporting reader's book reading KR1026376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653A KR102637665B1 (en) 2020-12-30 2020-12-30 System for supporting reader's book rea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653A KR102637665B1 (en) 2020-12-30 2020-12-30 System for supporting reader's book rea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785A KR20220095785A (en) 2022-07-07
KR102637665B1 true KR102637665B1 (en) 2024-02-19

Family

ID=82398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653A KR102637665B1 (en) 2020-12-30 2020-12-30 System for supporting reader's book rea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66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824B1 (en) * 2016-06-07 2017-02-21 주식회사 미래엔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ing book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408B1 (en) 2009-03-26 2013-06-20 주식회사 이씨오 Personal Reading History Management System using Online Catalogue
KR20140026795A (en) * 2012-08-23 2014-03-06 장대근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based on book
KR20140146724A (en) * 2013-06-17 2014-12-29 이득희 Internet Community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Goal Accomplish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824B1 (en) * 2016-06-07 2017-02-21 주식회사 미래엔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ed managing boo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785A (en)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u et al. Predicting best answerers for new questions in community question answering
Vardi The magazine archive includes every article published in Communications of the ACM for over the past 50 years.
CN110020091A (en) A kind of medical search engine system based on block chain
Bedingfield et al. Thinking about Romney: Frame building in a battleground state in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Pal et al. Question routing to user communities
James Document databases
KR102637665B1 (en) System for supporting reader's book reading
Barnwell Telling social stories: family history in the library
Azar A model of the academic review process with informed authors
Liu Domestic constraints in crisis bargaining
Flier Publishing Biomedical Research: a rapidly evolving ecosystem
Bocchi et al. EasyTurk: a user-friendly interface for high-quality linguistic annotation with Amazon Mechanical Turk
KR102566184B1 (en) The user interface method of client language management application and the sytem
Peters Personal Digital Archiving in Public Libraries: A Critical Realist Approach
Yamada et al. Academia Letters: Examination of an ‘Experimental’Academia. edu Publishing Model
Wardrip-Fruin Games, hypertext, and meaning
Brandsma et al. Journal Finder, a Second Look: Implications for Serials Access in Today's Library
Sahami Statistical modeling to better understand cs students
Stafford Rejoined and Regenerated: Response to Responses to “Reviews, Reviewers, and Reviewing: The ‘Tragedy of the Commons’ in the Scientific Publication Process”
Gathen et al. Open Access Redefined: Survey Data and Literature Study on the Impact of Sci-Hub in Orthopaedic Research
Hansen et a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university teaching
Mitchell Extracting targeted data from the web
Schmidt The Association for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Conference: a report
Nolan The Story of Yes! When Opportunity Knocks
CN117009654A (en) User portrait construction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