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474B1 - Behavior enrichment food container imitating wild bird or small animal’s foraging activities - Google Patents

Behavior enrichment food container imitating wild bird or small animal’s foraging activiti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474B1
KR102637474B1 KR1020230131441A KR20230131441A KR102637474B1 KR 102637474 B1 KR102637474 B1 KR 102637474B1 KR 1020230131441 A KR1020230131441 A KR 1020230131441A KR 20230131441 A KR20230131441 A KR 20230131441A KR 102637474 B1 KR102637474 B1 KR 102637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ance
case
temporary
animal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1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은종요
임성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생태경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생태경영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생태경영연구원
Priority to KR1020230131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4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4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4Feed troughs; Feed thr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이 원래 살던 자연환경을 최대한 유사하게 모방하여 행동풍부화를 제공하는 모이통과 관련되며 실시예로, 동물의 먹이를 담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것으로, 동물에 의해 파손 가능하며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된 입구 부위를 가리는 임시가림부재를 고정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야생조류 또는 소동물 먹이 활동을 모방한 행동풍부화 모이통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er that provides behavioral enrichment by imitating the natural environment in which animals originally live as closely as possible. As an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to contain animal food, and a feeder installed in the housing, which is used by animals. We present a behavior enrichment feeder that mimics the feeding activity of wild birds or small animals, which is breakable and includes an attachment part that secures a temporary screening member that covers the entrance area connected to the interior space.

Description

야생조류 또는 소동물 먹이 활동을 모방한 행동풍부화 모이통{Behavior enrichment food container imitating wild bird or small animal’s foraging activities}Behavior enrichment food container imitating wild bird or small animal’s foraging activities}

본 발명은 동물이 원래 살던 자연환경을 최대한 유사하게 모방하여 행동풍부화를 제공하는 모이통과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er that provides behavioral enrichment by imitating the natural environment in which animals originally live as closely as possible.

대개의 야생 조류 및 소동물들은 실제 야생에서 하루 중 잠자는 시간을 제외하고 남은 시간을 먹이 탐색과 그것을 섭취하는 과정을 통해 소비하는 데에 소비한다. Most wild birds and small animals spend the rest of their day in the wild, excluding sleeping time, searching for food and consuming it.

반면 사육되는 동물들은 협소하고 단순하게 구성된 사육 공간 안에서 상대적으로 풍족하게 제공되는 먹이를 제공받음으로써, 야생의 경우와 달리 먹이 탐색을 통한 섭취 과정이 거의 생략된다. On the other hand, farmed animals are provided with relatively abundant food in a narrow and simple breeding space, so unlike in the wild,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food and consuming it is almost omitted.

이렇게 먹이에 대한 탐색과 섭취를 위한 노력이 결여된 사육환경은 야생에서 하루 중 대부분을 먹이 탐색과 섭취를 위한 노력에 시간을 보내는 것에 특화되어 진화해온 야생 동물들에게 심대한 지루함과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된다. 이로써 정형행동, 식욕저하, 우울이나 강박, 비만 등 장기적으로 동물에게 행동학 및 수의학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A breeding environment that lacks effort to search for and consume food causes severe boredom and stress in wild animals that have evolved to specialize in spending most of their day in the wild searching for and consuming food. . This has long-term negative behavioral and veterinary effects on animals, including stereotypic behavior, decreased appetite, depression, obsession, and obesity.

비교적 최근에 들어서 개와 고양이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노즈워크가 방송 등으로 소개되며 널리 알려지기 시작되고, 또 행동풍부화를 고려한 먹이퍼즐 등의 관련 상품이 소비가 서서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Relatively recently, various nose works for dogs and cats have been introduced through broadcasts and have become widely known, and the consumption of related products such as food puzzles that take behavior enrichment into account is gradually increasing.

그러나 또 다른 애완동물로 길러지는 앵무새 등의 야생조류나 다람쥐와 같은 소동물은 그러한 수단을 찾기 어렵다. 나아가 야생조류나 소동물에서는 수의학적으로 질병 발생의 증후를 확인하고 조치하는 것이 어려우며, 사육환경의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예방수의학적 접근의 가치를 고려할 때에 먹이활동을 통한 먹이활동을 통한 행동풍부화에 대한 소요가 더 필요하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means for wild birds such as parrots or small animals such as squirrels that are kept as pets.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nd take action veterinarily for signs of disease in wild birds or small animals, and considering the value of a preventive veterinary approach through reducing stress in the breeding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enrich behavior through feeding activities. More needs are need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3-0062729호 (2023.05.09)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23-0062729 (2023.05.09)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6768호 (2023.04.17)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96768 (2023.04.17)

본 발명은 수목을 본거지로 적응한 야생조류 또는 소동물들이 수피를 벗겨내 나무속에 숨은 먹이 곤충을 찾거나, 딱딱한 과피나 종피를 벗겨 핵과 등을 섭취하는 습성을 고려하여, 이를 모방한 모이통을 제시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takes into account the habit of wild birds or small animals adapted to trees as a home base to peel off the bark to find food insects hidden in the trees, or to peel off the hard pericarp or seed coat to consume stone fruit, etc., and proposes a feeder that imitates this. I want to do it.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Other detailed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is technical field through the detailed contents described below.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동물의 먹이를 담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것으로, 동물에 의해 파손 가능하며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된 입구 부위를 가리는 임시가림부재를 고정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야생조류 또는 소동물 먹이 활동을 모방한 행동풍부화 모이통을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s an embodiment,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containing animal food, and a temporary shielding member installed in the housing, which can be damaged by animals and covers the entrance area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We present a behavior enrichment feeder that imitates the feeding activity of wild birds or small animals, including an attachment for fixing the.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개방된 출입구를 구비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출입구에 대응하여 상기 입구를 형성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출입구와, 상기 출입구와 대향하는 면을 제외한 제1 케이스의 둘레를 덮어 가리는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Here, the housing includes an internal space, a first case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and having an open entrance, and a second case that is separ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and forms the entrance in response to the entrance. Cases may be included. Furthermore, the second case may be configured to cover and cover the perimeter of the first case except for the entrance and the surface facing the entrance.

또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출입구 주변에 함몰된 끼움홈부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입구 주변부가 상기 끼움홈부를 덮어 가림으로써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끼움홈들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ounting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recessed fitting groove around the entrance and a fitting groove facing each other, which is formed by covering the fitting groove with the entrance periphery of the second case.

한편 상기 제2 케이스는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포켓형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포켓홈에 상부로부터 하강하여 상기 제2 케이스와 결합되며, 조립된 상기 제1,2 케이스의 상단부는 평탄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case has a pocket-shaped groove open toward the top, the first case descends from the top into the pocket groove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case, and the upper ends of the assembled first and second cases are flat. It can be formed of cotton.

나아가 상기 임시가림부재는 나란히 놓이는 복수의 나뭇가지, 갈대 줄기, 나무껍질, 나무판재, 다수의 겹으로 압축된 마른 잎들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혼합한 군에서 선택된 하나가 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of a plurality of tree branches placed side by side, reed stems, tree bark, wooden boards, dry leaves compressed into multiple layers, or a mixture of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한편 상기 임시가림부재는 섬유가 상하 방향에 따라 놓이며, 가로 방향으로 복수가 나란히 배치되는 나뭇가지 또는 갈대 줄기가 될 수 있다.Meanwhile,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may be a tree branch or reed stem in which fibers are 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fiber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다른 실시예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입구를 중심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개구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임시가림부재는 상기 입구보다 길게 구비되어, 상기 개구홀을 차례로 통과하며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임시가림부재를 임시 고정시키거나 상기 개구홀로 공급하는 피더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ounting part is formed with opening holes facing each other with the inlet at the center, and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is provided longer than the inlet, so that it can be coupled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opening hole. Furthermore, it may include a feeder that temporarily fixes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or supplies it to the opening hole.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하우징은 외주면에 상기 입구가 구비된 원통형상이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임시가림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장착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입구를 막는 상기 임시가림부재가 이동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housing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inlet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mounting part is rotatably moun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and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Therefore, the temporary blocking member blocking the entrance may move as the mounting part rotat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야생의 먹이 탐색 활동을 재현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여 행동풍부화에 따른 사육 동물의 정서적 안정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식물 줄기를 파내는 등의 먹이 탐색 활동을 유도함으로써 활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육하는 동물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ditions for reproducing wild food search activities, thereby bringing about emotional stability in captive animals due to behavioral enrichment. Additionally, activity can be increased by inducing food search activities such as digging up plant stems. This can improve the welfare of farmed animals.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apparent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e technical field through the specific details described below or during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도시된 실시예를 횡방향과 종방향에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종방향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횡방향에 따른 단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eed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in isola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in use.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e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in isola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4 along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e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7.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eed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9 in isola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9;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9.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야생조류 또는 소동물 먹이 활동을 모방한 행동풍부화 모이통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도면들과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가급적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structur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behavior enrichment feeder that mimics the feeding activities of wild birds or small anim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owever, drawing numbers fo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shall be used uniformly as much as possible.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기술적 의미가 동일성 범위에 있는 구성요소를 편의상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어떠한 하나의 구성은 임의적으로 '제1구성' 또는 '제2구성'으로 명명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conveniently distinguish components whose technical meanings are within the same range. That is, any one configuration may be arbitrarily named 'first configuration' or 'second configuration'.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attached drawings show appli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hrough the attached drawings. If, from the perspective of an expert in this technical field, it can be interpreted that part or all of the drawings are not in the shape, form, or order necessarily required for the practice of the invention, this does not limit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과 관련된다. 1 to 3 relate to a feed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100)은 동물의 먹이(T)를 담는 내부공간(p)을 구비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부가 설치되거나 하우징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임시가림부재(A)를 고정하는 장착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임시가림부재는 도시한 실시예에서 나란히 배치된 긴 나뭇가지들이다.The feeder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 having an internal space (p) containing animal food (T), and is temporarily covered by being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housing (10) or forming a part of the housing. It includes a mounting portion 20 for fixing the member A. Here, 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s are long tree branche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하우징(10)의 전면에는 내부공간(p)과 연결된 입구(121)가 형성된다. 입구(121)의 크기는 동물이 내부공간(p)에 놓인 먹이(T)에 접근 가능할 수 있는 크기 이상으로 형성된다. An inlet 121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p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housing 10. The size of the entrance 121 is larger than that allowing the animal to access the food T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p.

임시가림부재(A)는 먹이를 탐색하는 과정 중에 동물에 의해 부서져 제거되는 것으로, 입구(121)를 임시로 가리는 데에 사용된다. 임시가림부재(A)를 입구(121) 전방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하우징에 구비된 장착부(20)가 사용된다. The temporary covering member (A) is broken and removed by the animal during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food, and is used to temporarily cover the entrance (121). In order to fix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in front of the entrance 121, a mounting portion 20 provided in the housing is used.

제1 실시예에서 장착부(20)는 전방을 향하여 개방된 입구(121)의 상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끼움홈(21)이다. 임시가림부재(A)의 상부와 하부가 각기 끼움홈(21)에 들어감으로써, 동물이 이를 뜯어내기 전까지는 입구(121)를 덮고 있게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mounting portion 20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let 121 that opens toward the front, and has fitting grooves 21 facing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temporary covering member (A) enter each fitting groove (21), thereby covering the entrance (121) until the animal tears it off.

도 2에는 제1 실시예의 주요 구성요소들이 분리되어 나타나 있다.In Figure 2, the main components of the first embodiment are shown separately.

하우징(10)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를 포함한다. 제1 케이스(11)는 내부공간(p)을 구비하는 상자 형태로, 전방으로 개방된 출입구(111)를 제외하고 나머지 면은 막혀있다. The housing 10 includes a first case 11 and a second case 12 that are separ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first case 11 has a box shape with an internal space p, and the remaining surfaces are closed except for the entrance 111 that is open to the front.

내부공간(p)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출입구 내측에 단턱(112)을 형성하는 끼움홈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단턱(112)은 출입구(111)로부터 내부공간의 안쪽으로 함몰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그 깊이는 임시가림부재의 두께에 해당한다.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ternal space (p), fitting grooves 113 are formed to form a step 112 inside the entrance. Here, the step 112 is formed at a position depressed inward from the entrance 111 to the inside of the internal space, and its depth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한편 내부공간(p)의 가운데에는 내부공간(p)을 상하로 분할하는 구획벽(114)이 구비된다. 구획벽(114)에 의해 나뉜 상하의 공간에는 종류가 서로 다른 먹이를 넣어둘 수 있다. Meanwhile, a partition wall 114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internal space (p)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p)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Different types of food can be placed in the upper and lower spaces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114.

구획벽은 둘 이상이 설치될 수 있고, 각기 나뉜 공간에 서로 다른 종류의 먹이를 넣어 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 습식 먹이나 건식 먹이 또는 생물 먹이와 같이 함께 혼합하여 두기 어려운 먹이들을 동시에 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Two or more partition walls can be installed, and different types of food can be provided to the animals in each divided space. Foods that are difficult to mix together, such as wet food, dry food, or biological food, can be provided to the animals at the same time.

제2 케이스(12)는 제1 케이스(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출입구(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입구(121)를 형성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2 케이스(12)는 제1 케이스(11)를 빈틈없이 수용하는 상자형의 대략 육면체이다. The second case 1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11, and an opening forming the entrance 12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111.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econd case 12 is box-shaped and substantially hexahedral and accommodates the first case 11 tightly.

도 3을 참고하면, 제2 케이스(12)의 전방에 형성된 입구(121)의 상하 폭의 길이는, 제1 케이스의 출입구의 상하 폭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제1,2 케이스(11,12)가 조립될 때에, 입구(121)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제1 케이스(11)의 상하에 형성된 끼움홈부(113)의 전방을 가림으로써, 하우징(10)의 상하에 서로 마주보는 끼움홈들(21)이 형성된다. 상하의 끼움홈들(21)로 구성된 장착부(20)에 임시가림부재(A)의 상,하부가 구속됨으로써, 임시가림부재(A)가 하우징에 장착된다.Referring to FIG. 3, the vertical length of the entrance 121 formed in front of the second case 12 is shorter than the vertical width of the entrance 121 of the first case. When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re assemble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let 121 cover the front of the fitting groove 113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first case 11, thereby forming the housing 10. Fitting grooves 21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are restrained in the mounting portion 20 composed of upper and lower fitting grooves 21, so that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is mounted on the housing.

제1 실시예에서 제1,2 케이스(11,12)의 조립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2 케이스(12)는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포켓홈(122)을 구비하며, 이 포켓홈(122)에 제1 케이스(11)가 상부로부터 하강하면서 결합되는 구조이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re assembl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pecifically, the second case 12 has a pocket groove 122 open toward the top, and the first case 11 is coupled to the pocket groove 122 while descending from the top.

제1 케이스의 외벽과 제1 케이스의 내벽이 서로 면으로 접촉하면서 슬라이딩 결합된다. 또한 내부공간에 담긴 먹이 그리고 제1 케이스의 전방에 안치된 임시가림부재의 무게 및 제1 케이스 자체의 무게가 함께 더해져, 제1 케이스(11)가 쉽게 위로 들리지 않게 된다. 이로써 별도의 잠금 수단 없이도 동물에 의해 쉽게 제1,2 케이스가 분리되지 않게 한다. The outer wall of the first case and the inner wall of the first case are slidingly coupled while making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food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the weight of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placed in front of the first case, and the weight of the first case itself are added together, making it difficult for the first case 11 to be lifted upward. This prevents the first and second cases from being easily separated by animals without a separate locking means.

나아가 제1,2 케이스(11,12)가 조립되어 완성된 하우징(10)의 상면부 즉, 제1,2 케이스(11,12)의 상단면은 동물이 발로 쥐거나 부리로 잡을만한 돌출물 따위가 없는 평탄한 면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영리하면서 발과 부리를 잘 사용하는 앵무새가 제1,2 케이스(11,12)를 임의로 분리하지 못하게 된다. Furthermore,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completed by assembling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has no protrusions that an animal can grasp with its feet or beak. It is formed as a flat surface without ridges. This prevents the parrot, which is smart and uses its feet and beak well, from arbitrarily separating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12).

반면에 사용자는 제2 케이스(12)의 바닥면에 형성해 둔 관통홀(123)을 통해 손가락 등으로 제1 케이스(11)를 밀어 올림으로써, 제1,2 케이스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irst and second cases by pushing the first case 11 up with a finger or the like through the through hole 123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case 12.

한편 제2 케이스(12)의 배면에는 걸림부(13)가 구비되고, 이 걸림부(13)가 사육용 케이지(200)의 벽면에 설치되는 거치부(30)에 결합되어, 모이통(100)이 케이지(20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Meanwhile, a locking portion 13 is provided on the back of the second case 12, and this locking portion 13 is coupled to the mounting portion 30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breeding cage 200, thereby forming the feeder 100. I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is cage (200).

걸림부(13)는 격자형 브래킷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거치부(30)는 브래킷이 끼워지는 장착홈(30a)을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일정한 두께를 가진 판재(31)와 스페이서(32)를 겹쳐 상하로 뚫린 장착홈을 형성하고, 이들 판재들과 스페이서들을 관통한 후 케이지의 그물망 밖으로 연장되는 볼트(b)에 결합되는 와셔(w)와 나비너트(n)가 제시되어 있다.The locking portion 13 may be provided as a grid-type bracket, and the mounting portion 30 has a mounting groove 30a into which the bracket is insert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 plate 31 and a spacer 32 having a certain thickness are overlapped to form a mounting groove open in the top and bottom, and after penetrating these plates and spacers, they are coupled to a bolt (b) extending outside the mesh of the cage. The washer (w) and wing nut (n) are shown.

둘 이상의 걸림부(13)와 거치부(30)를 사용하여, 모이통(100)을 케이지(200) 벽면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By using two or more hanging parts 13 and mounting parts 30, the feeder 100 can be more firmly mounted on the wall of the cage 200.

이러한 걸림부와 거치부의 구성은, 모이통을 그물로 짜진 벽면에 고정하는, 공지된 다양한 구조 중 하나로 대체될 수 있다.This configuration of the hanging portion and the holding portion can be replaced with one of various known structures for fixing the feeder to a netted wall surface.

제1,2 케이스는 투명 아크릴과 같이 투명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내부공간에 담긴 먹이를 동물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모이통 안에 먹이가 있음을 동물에게 쉽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먹이를 얼만큼 사라졌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ases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transparent acrylic. Animals can visually check the food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making it easier for animals to recognize that there is food in the feeder. Additionally, users can visually check how much food has disappeared.

하우징의 입구를 임시로 막는 임시가림부재는 동물 종류, 생활습성, 성장단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 that temporarily blocks the entrance to the hous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animal, living habits, growth stage, etc.

예를 들어 임시가림부재는 나란히 놓이거나 얽히게 배치된 나뭇가지들, 갈대 줄기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나무껍질이나 나무판재, 다수의 겹으로 압축된 마른 잎들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혼합한 군에서 선택된 하나가 될 수 있다. 이들 모두는 먹이를 찾는 과정 중에 동물에 의해 훼손되며 입구를 개방되게 하는 것으로, 자연에서 동물이 접할 수 있는 목섬유(woody fiber)를 가지는 것들이다. For example, temporary screening members can be made of tree branches arranged side by side or intertwined, reed stems, one or more tree bark or planks, dry leaves compressed in multiple layers, or a mixture of at least two of these. You can become the chosen one. All of these are damaged by animals during the process of finding food, leaving the entrance open, and have woody fibers that animals can encounter in nature.

구체적으로 나뭇가지는 앵무새와 같은 야생조류나 다람쥐 등의 소동물이 살던 환경에서 쉽게 발견되는 나무 품종으로 준비될 수 있다. 특히 모이통에 담길 열매이나 씨앗을 제공하는 나무의 나뭇가지 또는 먹이로 제공되는 벌레가 주로 서식하는 나무의 나뭇가지를 선택함으로써, 먹이와 임시가림부재(장애물)의 매칭 관계를 더욱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Specifically, tree branches can be prepared from tree species that are easily found in environments where wild birds such as parrots or small animals such as squirrels live. In particular, by selecting branches of trees that provide fruits or seeds to be placed in the feeder, or branches of trees that mainly inhabit the insects that are provided as food, the matching relationship between food and temporary blocking members (obstacles) can be implemented more realistically.

야생조류나 소동물이 각기 선호하는 과실이나 종자가 있고, 이를 획득하기 위해 주변 탐색 등의 노력을 기울이는 점을 고려할 때, 동물들의 유전자에 각인된 행동학적 프로세스를 높은 수준으로 구현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더불어 야생으로 돌려보내는 과정에서 진행되는 이른바 rehabitation training(재야생화 훈련)을 진행할 때, 실제 야생에서 맞딱드릴 자연물을 최대한 모방하고 그 수피와 해당 수피를 탐색/제거하여 얻을 수 있는 먹이를 연결시켜 야생에서의 생존성을 제고한다는 측면에서도 상당한 의의를 지닌다.Considering that wild birds and small animals each prefer fruits and seeds, and make efforts to obtain them by searching the surrounding area, this method is effective in implementing the behavioral processes imprinted in the animals' genes at a high level. In addition, when conducting so-called rehabitation training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 wild, we imitate as much as possible the natural objects encountered in the wild and connect the bark with food that can be obtained by searching for/removing the bark in the wild. It also has significant significance in terms of improving the survivability of .

또한 임시가림부재는 나무젓가락 등 공산품으로 대체될 수 있다.Additionally, temporary screening members can be replaced with industrial products such as wooden chopsticks.

나뭇가지들은 비교적 곧게 뻗은 것을 선택하고, 이들을 나란히 배치할 수 있다. 나뭇가지들의 틈새를 통해 먹이의 냄새나 소리가 노출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일정 규격으로 재단된 나뭇가지들을 겹쳐지게 설치하여, 입구 확보를 위해 동물에게 상당한 노력을 요구할 수도 있다.You can choose branches that are relatively straight and arrange them side by side. The smell or sound of food can be exposed through gaps in tree branches. Alternatively, branches cut to a certain standard may be installed overlapping, requiring the animal to make considerable effort to secure the entrance.

한편 갈대 줄기는 굵기가 비슷한 사이즈로 구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고, 나뭇가지에 비하여 쉽게 파손되는 약한 재질이며, 잘 마른 갈대 줄기는 파손 시에 경쾌한 소리가 동반되는 특징이 있다. 이로써 작은 개체 용도로 사용하기 적합하며, 부서지는 질감이나 발생하는 소리로부터 동물의 스트레스를 발산시키기에도 적합한 장점이 있다. 또 통상적으로 고른 두께이면서 매우 길게도 얻을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제3 실시예에 임시가림부재로 적합하다. Meanwhile, reed stem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obtain in similar sizes and are a weaker material that breaks easily compared to tree branches, and well-dried reed stems have the characteristic of making a cheerful sound when broken. This makes it suitable for use on small object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suitable for dissipating animal stress from breaking textures or sounds. In addition, since it can generally be obtained at a uniform thickness and very long, it is suitable as a temporary covering member in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later.

나무껍질은 자연에서 채집되는 것을 장착부의 사이즈에 맞춰 가공하여 사용하거나, 부서지 껍질 조각들을 적당히 접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나무껍질은 동물에게 실제 나무를 접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특히 모이통 안에 든 벌레의 소리와 함께 사용되어, 동물에게 자연환경에서의 먹이 활동 환경에 가까운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Tree bark can be collected from nature and processed to fit the size of the mounting part, or broken bark pieces glued together appropriately can be used. Tree bark can give animals the feeling of being in contact with a real tree. In particular, when used with the sound of insects in a feeder, it can provide animals with a realistic feeling close to the feeding environment in a natural environment.

대부분의 사육상태에서 제공되는 동물성 먹이는 죽은 것을 냉동 또는 건조된 상태로 제공되어 야생에서의 실제 먹이 획득 및 포식 환경과 상이하며, 설사 살아 있는 먹이라 하더라도 단순히 먹이통 속에 쌓여 있는 먹이동물을 부리나 발 등으로 손쉽게 집는 단순한 먹이 활동이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할 때, 사육상태의 동물에게 더 박진감과 긴장감 넘치는 야생에서의 사냥과 먹이 찾기 과정에서의 전율을 비슷한 수준으로 느끼게 해주는 측면이 있다. 이와같이 먹이를 찾고 그 먹이를 얻기 위해 임시가림부재를 부수는 과정 및 그 과정에서의 사육 동물에 전달되는 다양한 감각은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제공하여 사육상태에 수반되는 부자연스러움과 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다.Most animal feed provided in captivity is dead, frozen or drie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food acquisition and predation environment in the wild. Even if it is live food, simply pick up the animals piled up in the feeder with your beak or foot. Considering that it is a simple activity of picking up food easily, there is an aspect that allows animals in captivity to feel a similar level of thrill as hunting and finding food in the wild, which is more exciting and tense. In this way, the process of finding food and breaking temporary covering materials to obtain that food, and the various sensations conveyed to the reared animals in the process, can provide a kind of catharsis and reduce the unnaturalness and stress caused by the rearing condition. .

이러한 나무껍질을 대체하여 파손 가능할 정도로 얇게 가공한 나무판재나 다수의 겹으로 압축되어 충분한 두께를 확보한 마른 잎들을 임시가림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나무판재나 마른 잎들은 겹치는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동물의 파워에 맞는 두께로 입구를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place of such tree bark, wood boards that have been processed to be thin enough to break or dried leaves that have been compressed into multiple layers to ensure sufficient thickness can be used as temporary covering members. Wooden boards and dry leav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lock the entrance with a thickness that matches the animal's power by varying the degree of overlap.

나아가 나뭇가지, 갈대 줄기, 나무껍질, 나무판재, 다수의 겹으로 압축된 마른 잎들은 둘 이상을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Furthermore, twigs, reed stems, tree bark, wooden boards, and dried leaves compressed into multiple layers can be used by mixing two or more together.

예를 들어, 입구의 절반은 나뭇가지로 가리고, 나머지는 나무판재나 다수로 겹친 마른 잎들로 가릴 수 있다. 또는 입구에 나무판재를 설치하고, 그 위에 나무껍질을 덮어 2중으로 입구를 막을 수 있다. 또 나뭇가지와 갈대 줄기를 입구 주변에 얽기설기로 설치하여, 그 사이를 통해 내부공간이 훤히 보이지만 나뭇가지나 갈대 줄기가 머리나 발에 걸리적거리는 상태가 되도록 임시가림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half of the entrance can be covered with tree branches, and the rest can be covered with wooden boards or multiple layers of dry leaves. Alternatively, you can install a wooden board at the entrance and cover it with bark to double block the entrance. You can also install temporary screening members by intertwining tree branches and reed stems around the entrance so that the interior space is clearly visible through them, but tree branches or reed stems do not get in the way of your head or feet.

이 외에도 임시가림부재는 입구를 임시로 가리고 있다가 동물의 먹이 활동 중에 동물에 의해 파손되어 제거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물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temporary screening members can be various components that temporarily cover the entrance and can be damaged and removed by animals during their feeding activities.

제1 실시예에서 입구를 막고 있는 임시가림부재(A)는 수직 방향에 따라 나란하게 세워진 나뭇가지들로, 앵무새가 부리로 나뭇가지를 잡아 뜯으면 나뭇가지의 길이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목섬유가 찢어지게 된다. 이는 나무줄기를 물고 뜯어낼 때 목섬유가 찢어지는 방향과 유사한 것으로, 앵무새에게 실제 나무를 뜯는 느낌을 주게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 (A) blocking the entrance is made of tree branches lined up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a parrot tears a tree branch with its beak, the wood fibers are torn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the length of the tree branch. You lose. This is simi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od fibers are torn when biting and tearing off a tree trunk, giving the parrot the feeling of tearing off an actual tree.

조류를 비롯한 대부분의 소동물의 부리, 발, 이빨, 발톱 및 이와 관련된 근골격들은 모두 사냥 및 먹이 취득 과정의 움직임을 높은 효율로 수행하기 위해 진화해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자연에서 먹이를 찾는데 수반되는 다양한 활동을 실제 먹이활동 과정에서 만날 수 있는 자연물을 이용하여 그대로 재현하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육동물은 현장감있는 먹이활동을 통해 높은 성취감을 고양하는 것은 물론 자연스런 야생에서의 해당 종에 특화된 먹이활동을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재야생화 프로그램에 참여중인 동물들의 야생활착 성공률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beaks, feet, teeth, claws, and related musculoskeletons of most small animals, including birds, have all evolved to perform movements during hunting and food acquisition with high efficiency.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reproducing the various activities involved in finding food in nature using natural objects that can be encountered during actual feeding activities. Through this, farmed animals can not only promote a high sense of achievement through realistic feeding activities, but also perform feeding activities similar to those specialized for the species in the natural wild. In particular, i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success rate of animals participating in rewilding programs.

이와 같이 수직 방향에 따라 놓인 나뭇가지는 마찬가지로 섬유가 세로 방향으로 놓이게 되는 세운 갈대 줄기로 대체 가능하다.In this way, tree branches lai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replaced with upright reed stems whose fibers are also laid vertically.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내부공간(p)의 중간 높이에 형성된 구획벽(114)의 선단부는 입구에 세워진 임시가림부재(A)의 가운데에 이르게 되다. 입구(121)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두께가 가는 나뭇가지나 얇은 갈대 줄기가 임시가림부재(A)로 사용된 경우에서, 앵무새 등이 임시가림부재(A)를 누르더라도 구획벽(114)이 휘어지려는 임시가림부재(A)를 지지하여 임시가림부재가 쉽게 꺾이지 않게 한다. 이로써 앵무새가 내부공간(p)에 담긴 먹이(T)를 먹으려면, 임시가림부재(A)를 뜯어낼 수밖에 없도록 강제함으로써 실제 자연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먹이 섭취 활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3, the tip of the partition wall 114 formed at the mid-height of the internal space (p) reaches the center of 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 (A) erected at the entrance. In the case where the entrance 121 is formed to be long up and down, and a thin tree branch or thin reed stem is used as a temporary screening member (A), even if a parrot or the like presses 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 (A), the partition wall 114 ) supports 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 (A) that is about to bend so that 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 does not bend easily. As a result, the parrot can be forced to tear off the temporary covering member (A) in order to eat the food (T) contained in the internal space (p), thereby encouraging it to perform food intake activities that take place in an actual natural environment.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과 관련된다. 4 to 6 relate to a fee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100)은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10)과, 내부공간과 이어진 입구에 임시가림부재(A)를 고정할 수 있는 장착부(20)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제2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eed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 mounting part 20 capable of fixing a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to an entrance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conflict with the content described below,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제2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100)의 하우징(10)은 제1 케이스(11)와 제2 케이스(12)를 구비한다. The housing 10 of the feeder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ase 11 and a second case 12.

제1 케이스(11)는 육면체로, 먹이가 담기는 내부공간(p)이 구비되고, 내부공간(p)과 이어진 출입구(111)는 상부를 향하여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case 11 is hexahedral and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p) containing food, and an entrance 111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p) is formed to be open toward the top.

내부공간(p)의 좌우 양단부에는 출입구(111)보다 낮은 높이에 단턱(112)을 형성하는 끼움홈부(11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공간(p)의 가운데에는 내부공간(p)을 분할하는 구획벽(114)이 세워져 있다. 끼움홈부(1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임시가림부재(A)를 고정하는 장착부(20)를 구성하는 것이고, 구획벽(114)은 서로 다른 먹이를 한 번에 제공할 수 있게 하면서 임시가림부재(A)가 눌려 휘지 아니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t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internal space (p), fitting grooves 113 forming a step 112 are form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entrance 111, and in the middle of the internal space (p) are formed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p). A partition wall 114 is erected. The fitting groove portion 113 constitutes a mounting portion 20 that fixes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partition wall 114 allows different foods to be provided at once and serves as a temporary shielding member ( A) plays the role of supporting it so that it does not bend when pressed.

임시가림부재(A)의 양단부는 끼움홈부(113)가 형성하는 양 단턱(112)에 걸쳐지게 놓이게 된다. Both ends of the temporary covering member (A) are placed across both steps 112 formed by the fitting groove 113.

한편 제2 케이스(12)는, 제1 케이스(11)를 덮어씌우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제2 케이스(12)의 상면에는 제1 케이스(11)의 출입구(111)에 대응하여 입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입구(121)의 좌우 폭이 출입구(111)의 좌우폭 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어서, 입구(121)의 양단부 주변이 끼움홈부(113)의 위를 덮어 가리는 형태로 조립된다. 따라서 끼움홈부들(113)에 의한 양 단턱들(112)은, 임시가림부재(A)의 양단을 수용하는 끼움홈들(21)이 된다. Meanwhile, the second case 12 is assembled by covering the first case 11. An entrance 1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ase 12 to correspond to the entrance 111 of the first case 11.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inlet 121 are narrow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ntrance 111, so that the surroundings of both ends of the inlet 121 are assembled to cover the fitting groove 113. Accordingly, both steps 112 formed by the fitting grooves 113 become fitting grooves 21 that accommodate both ends of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이렇게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끼움홈들(21)로 구성된 장착부(20)를 통하여, 임시가림부재(A) 고정됨에 따라, 임시고정부재는 가로 방향으로 면을 형성하게 된다.As the temporary covering member (A) is fixed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20 composed of a pair of fitting grooves 21 facing each other, the temporary fixing member forms a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2 케이스(12)는 제1 케이스(11)를 덮어 씌우는 구조로, 제1 케이스(11)의 출입구(111)가 난 상면부와 이에 대향하는 바닥면을 제외한 제1 케이스(11)의 둘레 면들을 감싸는 형태로 조립된다. 이로서 제1,2 케이스가 서로 견고하게 조립되며, 동물이 모이통을 다루는 과정 중에 제1 케이스의 쉽게 벗겨지지 않게 된다.The second case 12 is a structure that covers the first case 11,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ase 11 excluding the upper surface where the entrance 111 of the first case 11 is and the bottom surface opposing it. It is assembl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faces.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cases are firmly assembled together, and the first case does not easily come off while the animal is handling the feeder.

한편 도 5와 도 6의 (b)를 참고하면, 제1 케이스(11)의 배면측에 걸림부(13)가 구비되고, 제2 케이스(12)의 배면판(124) 하부가 걸림부(13)와 겹쳐진 상태에서, 케이지의 벽면에 설치되는 거치부(30)에 장착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b), a locking portion 13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case 11, and the lower part of the back plate 124 of the second case 12 has a locking portion ( 13), it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30 installed on the wall of the cage.

거치부(30)는, 걸림부(13)의 브래킷과 제2 케이스(12)의 배면판 하부가 겹쳐진 상태로 끼워지는 장착홈(30a)을 구비한다. 결국 거치부(30)의 장착홈(30a)에 제1,2 케이스(11,12)가 함께 끼움 결합되는 구조로, 제1,2 케이스의 조립 구조가 더욱 견고해진다.The mounting portion 3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30a into which the bracket of the locking portion 13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plate of the second case 12 are overlapped. Ultimately, the first and second cases 11 and 12 are fitted together in the mounting groove 30a of the mounting portion 30, making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cases more robust.

입구(121)와 이를 덮는 임시가림부재(A)가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 실시예는, 입구가 정면을 향하는 제1 실시예와 입구 방향을 달리하는 것으로, 먹이를 찾기 위해 동물의 모이통에 대한 접근 방향에 다양성을 부여한다. 즉 제1,2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들을 동시에 함께 설치하거나, 순차적으로 바꿔 줌으로써 동물의 먹이 탐색 과정을 다양화시킬 수 있다. The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entrance 121 and the temporary blocking member A covering it are installed facing upward, has a different entrance direction from the first embodiment where the entrance faces the front, and is a feeder for animals to find food. Provide diversity in the direction of approach. In other words, the food search process of animals can be diversified by installing the feeder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simultaneously or changing them sequentially.

한편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과 관련된다. Meanwhile, Figures 7 and 8 relate to a feed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100)은 내부공간(p)을 구비하는 하우징(10)과, 내부공간와 이어진 입구(121)에 임시가림부재(A)를 고정할 수 있는 장착부(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제3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The feeder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 having an internal space (p), and a mounting part 20 capable of fixing a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to the entrance 121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do.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conflict with the content described below, the third embodiment may includ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s.

제3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전방으로 개방된 입구(121)가 구비된 상자 형상이고, 장착부(20)는 입구(121)를 중심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개구홀들(22)로 형성되어 있다. In the third embodiment, the housing 10 has a box shape with an inlet 121 that opens forward, and the mounting portion 20 is formed with opening holes 22 facing each other with the inlet 121 at the center. there is.

여기서 하우징은 다양한 입체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 장착부(20)를 형성하는 개구홀들(22)은 입구의 상하 각각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입구의 좌우 방향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개구홀은 입구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는데, 다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개구홀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개구홀은 장형의 홀로 형성되거나,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홀이 될 수 있다.Here, the housing can be changed into various three-dimensional shapes. Additionall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opening holes 22 forming the mounting portion 20 are shown as being locat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inlet, but in other embodiments, they may be formed alo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inlet. Furthermore, the opening holes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entrance, but in other embodiments, only one opening hole may be provided. Additionally, the opening hole may be formed as a long hole or may be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side by side.

내부공간(p) 안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획벽(114)이 구비되어 복수의 작은 공간으로 나누게 된다. 각 공간마다 서로 다른 먹이를 놓아두어 서로 다른 종류의 먹이를 동시에 동물에게 제공할 수 있다. At least one partition wall 114 is provided within the internal space (p) to divide it into a plurality of small spaces. By placing different food in each space, you can provide different types of food to animals at the same time.

도 8을 참고하면, 하우징(1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구비된 걸림부(13)와 거치부(30) 또는 이미 공지된 수단을 통해 케이지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housing 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ge through the locking portion 13 and the mounting portion 30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r through known means.

임시가림부재(A)는 곧게 뻗는 직선 형태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속이 빈 긴 갈대 줄기, 봉이나 각형 형태로 가공된 긴 나뭇가지들 또는 길게 가공된 나무판재 등을 임시가림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 (A) is provided in a straight, straight form. For example, long hollow reed stems, long tree branches processed into rods or square shapes, or long processed wooden boards can be used as temporary screening members.

케이지(200) 내부에 설치된 모이통(100)의 개구홀(22) 위치에 맞추어, 사용자는 케이지(200) 밖으로부터 임시가림부재(A)를 밀어 넣을 수 있다. 그물망을 통과하여 케이지 안으로 들어간 임시가림부재(A)는 상하의 개구홀(22)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하우징의 입구(121)를 막는 벽을 형성한다.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pening hole 22 of the feeder 100 installed inside the cage 200, the user can push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in from outside the cage 200.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that passes through the net and enters the cage pass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opening holes (22) in order, forming a wall that blocks the entrance (121) of the housing.

동물이 먹이를 찾는 과정 중에 임시가림부재(A)가 파손되면, 위로부터 임시가림부재(A)를 더 밀어 넣어 입구(121)에 새로운 가림 벽을 형성할 수 있다. If 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 (A) is damaged during the process of the animal searching for food, 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 (A) can be further pushed in from above to form a new screening wall at the entrance 121.

도시한 바와 같이, 임시가림부재(A)가 세워진 상태에서 점차 내려가는 방향으로 장착되는 경우에는 중력에 의해 임시가림부재(A)가 임의로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임시가림부재를 임시로 고정시켜 임의의 낙하를 방지하거나 나아가 임시가림부재를 하우징의 입구로 진입시키는 피더(25)를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when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is installed in a gradually downward direction while standing, there is a risk that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will fall arbitrarily due to gravity. In this case,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can be temporarily fixed to prevent it from falling, or the feeder 25 can be used to allow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to enter the entrance of the housing.

피더(25)는 임시가림부재(A)가 자유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지에 고정되어 있으며 임시가림부재를 잡는 클립이나 클램프가 될 수 있다. The feeder 25 is fixed to the cage to prevent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from freely falling and may be a clip or clamp that holds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또는 피더(25)는 길이 부재로 제공된 임시가림부재를 파지하는 한 쌍의 롤러(251)와, 이 롤러들(251)은 회전시키는 작동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251)의 둘레에는 스펀지와 같이 탄성 부재로 둘러싸여 굵기가 서로 다르면서 나란히 놓인 여러 나뭇가지들나 갈대 줄기들을 온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롤러(251)를 회전시키는 작동부(252)를 통해 사용자는 임시가림부재(A)를 아래로 내리거나 반대로 올릴 수 있다. 작동부(252)와 롤러(251)의 연결은 벨트나 기어 등 공지된 기술이 사용된다.Alternatively, the feeder 25 may include a pair of rollers 251 that hold a temporary blocking member provided as a length member, and an operating unit 252 that rotates the rollers 251. The roller 251 is surrounded by an elastic member, like a sponge, so that it can completely grip several tree branches or reed stems of different thicknesses placed side by side. Through the operating unit 252 that rotates the roller 251, the user can lower or conversely raise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Known technologies such as belts and gears are used to connect the operating unit 252 and the roller 251.

제3 실시예에서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임시가림부재(A)는, 매번 모이통을 케이지에서 꺼내지 않고서도 훼손된 임시가림부재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사육하는 동물의 탈출이 크게 걱정되거나 짝짓기 기간 등 동물이 외부 스트레스에 민감한 시기여서 케이지(200)의 입구를 쉽게 열 수 없는 상황에서 주요하다.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 (A) provided continuously in the third embodimen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management by allowing damaged temporary screening members to be easily replaced without taking the feeder out of the cage each time. In particular, this is important in situations where the entrance to the cage 200 cannot be easily opened because there is great concern about the escape of the captive animal or because the animal is sensitive to external stress, such as during the mating period.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과 관련된다.9 to 12 relate to a feed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100)은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10)과, 내부공간와 이어진 입구에 임시가림부재(A)를 고정할 수 있는 장착부(20)를 구비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저촉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제4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술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eeder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0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a mounting part 20 capable of fixing a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to an entrance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conflict with the content described below, the fourth embodiment may include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제4 실시예에서 내부공간(p)을 구비한 하우징(10)은 대략 원통형이고, 외주면에 내부공간(p)에 접근 가능한 입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하부에 장착된 받침대(s)에 의해 케이지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fourth embodiment, the housing 10 with the internal space p is approximately cylindrical, and an inlet 121 accessible to the internal space p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 housing 10 may be fixed to the bottom of the cage by a pedestal s mounted at the bottom.

장착부(20)는 하우징의 상,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는 상판부(23)와 하판부(24), 그리로 상판부(23)와 하판부(24)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봉(241)을 포함한다. The mounting portion 20 includes an upper plate 23 and a lower plate 24 rotatably conta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ousing,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241 that integrally connect the upper plate 23 and the lower plate 24. Includes.

상판부(23)는 도넛형 또는 원판형상으로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얹히고, 하판부(24)는 링 형상으로 하우징의 하부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접하게 된다.The upper plate portion 23 is rotatably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in a donut-shaped or disk shape, and the lower plate portion 24 is ring-shaped and rotatably contacts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연결봉(241)은 상,하판부(24)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하우징(10) 높이에 대응하는 상하 간격으로 상,하판부(24)를 결속시킨다. 연결봉(241)은 하우징의 외주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단부가 상,하단부를 통과한 후에 너트가 결합된다. The connecting rod 241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portions 24 and binds the upper and lower plate portions 24 at upper and lower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housing 10. The connecting rods 241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and after the ends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nds, the nuts are coupled.

한편 상,하판부(24)에는 서로 마주보는 끼움홈(21)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높이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재단된 임시가림부재(A)의 상,하부는 상,하판부(24)의 끼움홈들에 들어가 하우징(10)의 둘레에 벽면을 형성한다.Meanwhile, fitting grooves 21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late portions 24.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temporary covering member (A) cut to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housing enter the fitting groove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 portions 24 to form a wall around the housing 10.

상판부(23)의 중심에는 상부로 솟은 봉(231)이 결합되고, 봉(231)의 끝단에는 손잡이(232)가 결합되어 있다. 이 손잡이(232)는 케이지의 밖으로 올라온 봉에 결합될 수 있고, 사용자는 케이지 밖에서 장착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다.A bar 231 rising upward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plate 23, and a handle 232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bar 231. This handle 232 can be coupled to a rod raised outside the cage, and the user can rotate the mounting portion 20 outside the cage.

장착부(20)의 둘레를 따라 원통형으로 구비된 임시가림부재들 중 일부가 하우징의 입구(121)를 막고 있게 되고, 동물은 입구(121)를 막고 있는 임시가림부재(A)를 중점으로 해체하게 된다. Some of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ounting portion 20 block the entrance 121 of the housing, and the animal dismantles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blocking the entrance 121. do.

입구(121) 앞의 임시가림부재(A)가 훼손되었다면, 사용자는 아직 훼손되지 않은 임시가림부재가 입구를 막도록 장착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입구 앞의 임시가림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입구의 사이즈가 충분히 작다면, 장착부를 조금씩 여러 번 회전시킴으로써 입구 앞을 임시가림부재로 막을 수 있다.If the temporary blocking member (A) in front of the entrance 121 is damaged, the user can replace the temporary blocking member in front of the entrance by rotating the mounting part so that the temporary blocking member that is not yet damaged blocks the entrance. If the size of the entrance is sufficiently small, the front of the entrance can be blocked with a temporary blocking member by rotating the mounting part little by little several times.

제4 실시예에 따른 모이통(100)은 임시가림부재(A)가 원통 형상은 자연에서 관찰되는 원통형의 굵은 나무줄기를 가장 유사하게 모방하는 것이다.In the feeder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 has a cylindrical shape that most closely imitates a cylindrical thick tree trunk observed in nature.

대부분의 야생조류나 설치류들이 굵은 나무의 밑둥보다는 윗 부분의 나무줄기나 가지를 파해쳐서 먹이를 찾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평면 형태의 임시가림부재 보다 곡면 형태로 제공되는 임시가림부재를 파괴하여 먹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좀 더 자연스런 행동을 보일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언듯 평면으로 보이는 굵은 나무밑둥은 동물로 하여금 먹이를 얻기위해 들이는 노력의 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기에 애초에 먹이활동 자체에 대한 소극적 태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측면에서 원형 방식의 임시가림부재 배치는 행동학적으로 더 큰 효용을 담보하게 된다.Considering that most wild birds and rodents find food by destroying tree trunks or branches at the top of thick trees rather than at the base, it is better to destroy temporary screening members provided in a curved form rather than temporary temporary screening members in a flat form to find food. You can expect to show more natural behavior in the process of acquiring. In particular, thick tree stumps that appear flat at first glance indicate a high level of effort made by animals to obtain food, and thus can lead to a passive attitude toward feeding activities in the first place, so the arrangement of temporary screening members in a circular manner is a behavioral deterrent. Academically, it guarantees greater utility.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이통은 단조로운 사육 상태의 조류 및 소동물의 삶에 야생에서의 먹이 탐색 활동을 그대로 재현하여 동물의 먹이 활동 습성을 충족시킨다. 이로써 사육 상태에서의 스트레스 및 지루함을 해소하고, 동물의 심리와 정서를 안정하는데 기여해 정형행동, 식욕저하, 우울 및 강박, 비만 등을 예방할 수 있다.Feeder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y the feeding habits of animals by replicating the food search activities in the wild in the monotonous lives of birds and small animals in captivity. This relieves stress and boredom in captivity, contributes to stabilizing the animal's psychology and emotions, and prevents stereotypical behavior, decreased appetite, depression and obsession, and obesity.

또한, 먹이를 먹기 전 반드시 식물 줄기를 파내고 갉아 뜯어내는 행동을 할 수 밖에 없도록 유도해 야생 상태에 비해 협소할 수 밖에 없는 사육 공간에서 부족한 활동량을 보충하여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또 먹이 섭취 직전에 활동을 하게 함으로써 풍요속의 빈곤에 빠진 사육상태 동물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encouraging them to dig up and gnaw plant stems before eating, the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ir health by supplementing the amount of activity they lack in the confined space they live in, which is inevitably narrower than in the wild. In addition, by encouraging them to be active right before eating food, the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aptive animals that are in poverty amidst abundance.

100 : 모이통
10 : 하우징
11 : 제1 케이스 p : 내부공간 111 : 출입구
112 : 단턱 113 : 끼움홈부 114 : 구획벽
12 : 제2 케이스 121 : 입구 122 : 포켓홈 123 : 관통홀 124 : 배면판
13 : 걸림부 s : 받침대
20 : 장착부
21 : 끼움홈 22 : 개구홀 23 : 상판부 231 : 봉 232 : 손잡이
24 : 하판부 241 : 연결봉 25 : 피더 251 : 롤러 252 : 작동부
30 : 거치부
30a : 장착홈 31 : 판재 32 : 스페이서 b : 볼트 w : 와셔 n : 나비너트
A : 임시가림부재
200 : 케이지 T : 먹이
100: feeder
10: housing
11: first case p: internal space 111: entrance
112: Step 113: Fitting groove 114: Partition wall
12: Second case 121: Entrance 122: Pocket groove 123: Through hole 124: Back plate
13: Hook s: Stand
20: Mounting part
21: Fitting groove 22: Opening hole 23: Top plate 231: Rod 232: Handle
24: lower plate 241: connecting rod 25: feeder 251: roller 252: operating unit
30: Holder
30a: Mounting groove 31: Plate 32: Spacer b: Bolt w: Washer n: Wing nut
A: Temporary screening member
200: Cage T: Food

Claims (8)

동물의 먹이를 담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동물에 의해 파손 가능하며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된 입구 부위를 가리는 임시가림부재를 고정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모이통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과,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있으며 개방된 출입구를 구비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출입구에 대응하여 상기 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출입구 주변에 함몰된 끼움홈부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입구 주변부가 상기 끼움홈부를 덮어 가림으로써 형성되는, 서로 마주보는 끼움홈들이고,
상기 임시가림부재의 양단부가 상기 끼움홈들에 삽입되어 상기 임시가림부재의 이탈이 방지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입구에 대진 상기 임시가림부재가 상기 내부공간 안으로 꺽이는 것을 방지하는 구획벽이 상기 입구를 향하여 세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조류 또는 소동물 먹이 활동을 모방한 행동풍부화 모이통.
In the feeder, which has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containing animal food, and a mounting part for fixing a temporary shielding member that is breakable by animals and covers the entrance area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The housing is
a first case connected to the interior space and having an open entrance;
A second cas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ase and has an entrance formed in response to the entrance,

The mounting part
Fitting groove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by recessed fitting grooves around the entrance and the entrance periphery of the second case covering the fitting grooves,
Both ends of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s to prevent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from leaving,

In the interior space, a partition wall is erected toward the entrance to prevent the temporary shielding member against the entrance from bending into the interior space.
Behavioral enrichment feeders that mimic the feeding behavior of wild birds or small animal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제2 케이스는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포켓형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포켓형 홈에 상부로부터 하강하여 상기 제2 케이스와 결합되며,
조립된 상기 제1,2 케이스의 상단부는 평탄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조류 또는 소동물 먹이 활동을 모방한 행동풍부화 모이통.
In paragraph 1:
The second case has a pocket-shaped groove open toward the top,
The first case descends from the top into the pocket-shaped groove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case,
The upper portions of the assembled first and second cas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formed with a flat surface.
Behavioral enrichment feeders that mimic the feeding behavior of wild birds or small animals.
제1항에서,
상기 임시가림부재는 나뭇가지, 갈대 줄기, 나무껍질, 나무판재, 다수의 겹으로 압축된 마른 잎들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혼합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조류 또는 소동물 먹이 활동을 모방한 행동풍부화 모이통.
In paragraph 1:
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of tree branches, reed stems, tree bark, wooden boards, dry leaves compressed into multiple layers, or a mixture of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Behavioral enrichment feeders that mimic the feeding behavior of wild birds or small animals.
제1항에서,
상기 임시가림부재는 섬유가 상하 방향에 따라 놓이며, 가로 방향으로 복수가 나란히 배치되는 나뭇가지 또는 갈대 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조류 또는 소동물 먹이 활동을 모방한 행동풍부화 모이통.
In paragraph 1:
The temporary screen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tree branch or reed stem in which the fibers are 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em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havioral enrichment feeders that mimic the feeding behavior of wild birds or small animals.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131441A 2023-10-04 2023-10-04 Behavior enrichment food container imitating wild bird or small animal’s foraging activities KR1026374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441A KR102637474B1 (en) 2023-10-04 2023-10-04 Behavior enrichment food container imitating wild bird or small animal’s foraging activ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1441A KR102637474B1 (en) 2023-10-04 2023-10-04 Behavior enrichment food container imitating wild bird or small animal’s foraging activit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474B1 true KR102637474B1 (en) 2024-02-16

Family

ID=9005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441A KR102637474B1 (en) 2023-10-04 2023-10-04 Behavior enrichment food container imitating wild bird or small animal’s foraging activiti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47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84Y1 (en) * 2016-06-17 2017-02-22 왕춘호 Tissue case
KR101844504B1 (en) * 2016-01-22 2018-04-02 권남호 Charnel box
KR20220002274U (en) * 2021-03-16 2022-09-23 권소현 Nose work
KR200496768Y1 (en) 2021-01-14 2023-04-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태경영연구원 Feeder for parrot and cage having it
KR20230062729A (en) 2021-10-30 2023-05-09 임채민 An automatic parrot feeder that's easy to clea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504B1 (en) * 2016-01-22 2018-04-02 권남호 Charnel box
KR200482684Y1 (en) * 2016-06-17 2017-02-22 왕춘호 Tissue case
KR200496768Y1 (en) 2021-01-14 2023-04-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생태경영연구원 Feeder for parrot and cage having it
KR20220002274U (en) * 2021-03-16 2022-09-23 권소현 Nose work
KR20230062729A (en) 2021-10-30 2023-05-09 임채민 An automatic parrot feeder that's easy to clean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유튜브 동영상,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원] 맹수마을 행동풍부화 영상(with 밀웜)’, (URL-https://youtu.be/xKzKUERwt5E?si=c1zTNOLeFnSXzyST, 2022.11.17.)* *
유튜브,'[서울어린이대공원] 알파카 행동풍부화', URL-https://youtu.be/yXNC4-Rvqc0?si=xDLuYaRjVpe3h-Qo, 2023.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vies et al. An introduction to behavioural ecology
Seeley Honeybee ecology: a study of adaptation in social life
Huhta et al. Distribution and reproductive success of the Pied Flycatcher Ficedula hypoleuca in relation to forest patch size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the effect of scale
Mitchell Insect behavior, resource exploitation, and fitness
CA2201208C (en) Foraging unit for avian, mammalian and reptilian species and method of use
Rodriguez-Lopez Environmental enrichment for parrot species: Are we squawking up the wrong tree?
Orinda et al. Cricket Rearing Handbook
US6325022B1 (en) Pet cage scenery and toys formed of molded paper pulp
KR102637474B1 (en) Behavior enrichment food container imitating wild bird or small animal’s foraging activities
WOOSTER Enrichment techniques for small felids at Woodland Park Zoo, Seattle
Field et al. Environmental enrichment for psittacines at Edinburgh Zoo
Birkinshaw Mate choice in Prostephanus truncatus (Horn)(Coleoptera: Bostrichidae): The role of male-produced aggregation pheromone
Bockheim et al. The Sturnidae husbandry manual and resource guide
Jansen The ecology and social behaviour of Chowchillas, Orthonyx spaldingii
Archawaranon Captive Hill Mynah Gracula religiosa breeding success: potential for bird conservation in Thailand?
Beilby The behavioural biology of hornbills, toucans, and kingfishers
Blount et al.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manipulable feeders and olfactory enrichment for Kinkajous
Cheyne Studying social development and cognitive abilities in gibbons (Hylobates spp.): methods and applications
Dybowska et 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enrichment on the behaviour of wild cats kept in captivity.
Hawkins et al. Environmental enrichment for amphibians and reptiles
Gary Honey Bee Hobbyist: The Care and Keeping of Bees
Fancy Innovative behaviours and personality traits in captive kea (Nestor notabilis) as a model for the emergence of kea strike in wild populations: a thesis presented in partial fulfi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Science in Conservation Biology, at Massey University, Manawatu, New Zealand
Stiglitz et al.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Beekeeping: Everything the Budding Beekeeper Needs for a Healthy, Productive Hive
Stone et al. Determinants of reproductive success in force-re-paired cockatiels (Nymphicus hollandicus)
Parker Microlife that rots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