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380B1 -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 Google Patents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380B1
KR102637380B1 KR1020230101819A KR20230101819A KR102637380B1 KR 102637380 B1 KR102637380 B1 KR 102637380B1 KR 1020230101819 A KR1020230101819 A KR 1020230101819A KR 20230101819 A KR20230101819 A KR 20230101819A KR 102637380 B1 KR102637380 B1 KR 102637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guide unit
base plate
gri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8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황
이강준
정춘용
Original Assignee
이기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황 filed Critical 이기황
Priority to KR1020240016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2525A/en
Priority to KR1020240016051A priority patent/KR202400225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3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4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with means for guiding the binding material around the articles prior to severing from supply
    • B65B13/06Stationary duct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로서,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스트랩이 인입되는 인입용 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소정 간격을 두고 면 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포장대상물을 배치시키고,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스트랩으로 상기 포장대상물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provide an automated strap packag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base plate that has a plate shape and is formed with at least one retracting groove into which a strap is inserted; a second base plate disposed to face the first base plate in a plan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nd a second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wherein the first base plate, the second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nd the The packaging object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and the strap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the second base plate, and It relates to an automated strap packa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aging object is wrapped around the strap by sequentially passing it through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Description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automated strap packaging device.

일반적으로 운송 대상이 되는 물품들은 운송 과정에서의 파손, 충격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포장되어 운송된다. 의류, 천 등의 물품을 각 낱개별로 포장하여 운반할 시 과도한 운반 비용 및 인력이 소요될 수 밖에 없으므로, 각 물품들을 하나의 원단(예를 들어, PP 원단)으로 감싸고, 포장의 내구성, 안정성 등을 도모하기 위해서 원단으로 감싸진 포장대상물을 압축한 후 포장용 철사 등으로 포장대상물을 감음으로써 포장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In general, goods to be transported are packaged and transported to prevent damage or impact during the transportation process. When packaging and transporting items such as clothing and cloth individually, excessive transport costs and manpower are inevitably required, so each item is wrapped in a single fabric (for example, PP fabric) to ensure the durability and stability of the packaging.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packaging work is completed by compressing the packaging object wrapped in fabric and then wrapping the packaging object with packaging wire, etc.

기존의 포장방식에 의하면, 포장대상물을 원단으로 감싸서 압축을 진행하고, 이후에 포장용 철사를 1줄씩 수동으로 포장대상물을 감싸야 하므로, 작업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과도한 인건비 및 재료비(예를 들어, 철선 재료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xisting packaging method, the packaging object is wrapped with fabric and compressed, and then packaging wire must be manually wrapped one row at a time, so the work process takes a lot of time and causes excessive labor and material costs (e.g. ,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iron wire material costs).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5717호는, 박스를 포장하기 위한 밴드를 정방향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당겨 텐션을 가하는 유닛으로서, 고정 피딩롤러와 가압 피딩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피딩롤러와 상기 가압 피딩롤러 사이로 상기 밴드를 공급하는 피딩 롤러부; 고정 텐션롤러와 가압 텐션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텐션롤러와 상기 가압 텐션롤러 사이의 상기 밴드를 잡아당기는 텐션 롤러부; 일단이 상기 고정 피딩롤러에 연결되어 정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딩 구동모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딩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 피딩롤러를 움직여서 피딩을 제어하는 피딩 링크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 텐션롤러를 움직여서 텐션을 제어하는 텐션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 구동모터는, 타단이 상기 고정 텐션롤러에 연결되어 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밴딩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In this regar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15717 is a unit that supplies tension to a band for packaging a box by supplying it in the forward direction or pulling it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includes a fixed feeding roller and a pressure feeding roller, and the fixed feeding roller and a feeding roller unit that supplies the band between the pressure feeding rollers; A tension roller unit including a fixed tension roller and a pressure tension roller and pulling the band between the fixed tension roller and the pressure tension roller; a feeding drive motor,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xed feeding rolle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in the forward direction; a feeding link unit that controls feeding by moving the pressure feeding roller using at least one feeding link; and a tension link unit that controls tension by moving the pressing tension roller using at least one tension link,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feeding drive motor is connected to the fixed tension rolle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in the reverse direction. A feeding and tension unit for a box packaging band and a band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disclos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571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15717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원단으로 감싸진 포장대상물품을 압축시키고 복수의 스트랩을 동시에 밴딩시켜 포장대상물품을 직교 방향으로 감싸도록 함으로써 포장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trap packaging that can shorten packaging work time and reduce labor costs by compressing an article wrapped in a single fabric and banding a plurality of straps simultaneously to wrap the article in an orthogonal direc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utomated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용공간에 포장대상물을 배치시키고,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스트랩을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포장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 the packaging object in the receiving space, and attach the strap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to the first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the second base plate, and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that can quickly perform packaging work and ensure work safety by sequentially passing the strap through the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트랩 센싱부가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하는 스트랩의 길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후 스트랩의 텐션 조절, 스트랩 절단 및 압착이 수행됨으로써 스트랩 피딩 속력에 유연하게 대처 가능하고 스트랩의 텐션 및 총 포장 작업 시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lexibly cope with the strap feeding speed by measuring the length of the strap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in real time by the strap sensing unit and then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strap and cutting and compressing the strap.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that can easily adjust the tension of the strap and the total packaging operation ti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포장대상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간격이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1 상부가이드 유닛 및 제2 상부가이드 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승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포장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포장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포장대상물의 압축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so that the gap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forming the packaging object receiving space can be easily adjusted, and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the second upper guide unit are moved up and down.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that is configured to be easily raised and lowered in each direction, so that packaging work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ckaging object, and at the same time,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packaging object can be easily adjusted.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The technical challenges to be achieved in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matter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not mentioned may be conside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You can.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로서,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스트랩이 인입되는 인입용 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소정 간격을 두고 면 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포장대상물을 배치시키고,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스트랩으로 상기 포장대상물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includes: a first base plate having a plate shape and having at least one retracting groove into which a strap is inserted; a second base plate disposed to face the first base plate in a plan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nd a second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wherein the first base plate, the second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nd the The packaging object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and the strap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the second base plate, and The packaging object may be wrapped around the strap by sequentially passing it through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인입용 홈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하방으로 유도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에 의해 하방으로 유도된 상기 스트랩을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하부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1 하부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first base plat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tracting groove, rotates by a drive motor, and is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retrac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downward. Roller; a first lower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first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guided downward by the guide roller toward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nd a first upper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toward the first lower guide unit.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하부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하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상부가이드 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second base plate includes a second lower guide unit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upward. ; and a second upper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lower guide unit toward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과 상기 제1 하부가이드 유닛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절단시킴과 동시에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진행하는 상기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상호 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압착절단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first base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the first lower guide unit, and cuts the strap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and simultaneously cuts the strap that is retrac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A compression cutting unit configured to mutually compress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strap that enters through the groove and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strap that passes downward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과 상기 압착절단 유닛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압착절단 유닛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수직가이드 유닛 이 더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first base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and is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to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A vertical guide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압착절단 유닛은, 이중의 상기 스트랩을 진동하며 일측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진동으로 가압되는 상기 스트랩을 타측에서 면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압착지지부; 및 상기 압착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이중의 상기 스트랩 중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includes a compression unit configured to vibrate the dual straps and press them from one side; a compression support portio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pression portion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surface of the strap pressed by vibration from the other side; And it may include a cutting par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part and configured to cut the strap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among the straps.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압착절단 유닛은, 상기 절단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스트랩 인입플레이트; 상기 제1 스트랩 인입플레이트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이중의 상기 스트랩 중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에 대한 제1 인입로를 형성시키는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의 외면을 소정 간격을 두고 커버함으로써 이중의 상기 스트랩 중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 및 상기 수직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에 대한 제2 인입로를 형성시키는 스트랩 인입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includes: a first strap inlet plate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cutting unit; a second strap inlet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trap inlet plate to form a first inlet path for the strap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groove among the straps; and a strap inlet fastening part that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trap inlet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second inlet path for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the vertical guide unit among the straps. It may include more.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장착되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압착절단 유닛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압착절단 유닛은, 상기 스트랩에 대한 절단 및 압착이 완료된 후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일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트랩 인입체결부의 제2 인입로에 인입된 상태의 상기 스트랩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first base pl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ving plate configured to move the pressing and cutting unit in one direction by being mounted on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base plate and moving in one direction.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cutting and pressing of the strap is completed, the moving plate moves to one side to expose the strap inserted into the second inlet path of the strap inlet fastening unit to the outside. It may be.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로서,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스트랩이 인입되는 인입용 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소정 간격을 두고 면 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포장대상물을 배치시키고,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스트랩으로 상기 포장대상물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인입용 홈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하방으로 유도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에 의해 하방으로 유도된 상기 스트랩을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하부가이드 유닛;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1 하부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1 승강용 피스톤; 및 상기 제1 승강용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승강용 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하부가이드 유닛;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하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상부가이드 유닛; 상기 제2 상부가이드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2 승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승강용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승강용 실린더가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includes: a first base plate that has a plate shape and is formed with at least one retracting groove into which a strap is inserted; a second base plate disposed to face the first base plate in a plan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nd a second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wherein the first base plate, the second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nd the The packaging object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and the strap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the second base plate,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aging object is wound around the strap by sequentially passing it through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and the first base plat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traction groove and rotates by a drive motor to insert the strap. a guide roller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introduced through the groove downward; a first lower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first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guided downward by the guide roller toward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 first upper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toward the first lower guide unit; a first lifting piston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a first elevating cylinder configured to elevate and lower the first elevating piston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wherein the first lattice-type guide unit is disposed on the second base plate below the second base plate. a second lower guide unit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upward; a second upper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lower guide unit toward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a second lifting piston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upper guide unit; And a second lifting cylinder configured to lift and lower the second lifting piston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may be provided.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로서,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스트랩이 인입되는 인입용 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소정 간격을 두고 면 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포장대상물을 배치시키고,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스트랩으로 상기 포장대상물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인입용 홈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하방으로 유도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에 의해 하방으로 유도된 상기 스트랩을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하부가이드 유닛;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1 하부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하는 상기 스트랩의 길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랩 센싱부; 및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하는 상기 스트랩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용 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하부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하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상부가이드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스트랩 센싱부는,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하는 상기 스트랩의 길이가 미리 입력된 길이 값에 도달하면 상기 고정용 스토퍼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고정용 스토퍼가 상기 스트랩 센싱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스트랩을 고정시키면 역회전하며 상기 스트랩을 역방향으로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includes: a first base plate that has a plate shape and is formed with at least one retracting groove into which a strap is inserted; a second base plate disposed to face the first base plate in a plan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nd a second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wherein the first base plate, the second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nd the The packaging object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and the strap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the second base plate,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packaging object is wound around the strap by sequentially passing it through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and the first base plat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traction groove and rotates by a drive motor to insert the strap. a guide roller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introduced through the groove downward; a first lower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first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guided downward by the guide roller toward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 first upper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toward the first lower guide unit; a strap sensing unit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configured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strap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a fixing stopper configured to secure the strap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wherein the second base plate is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second base plate and includes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 second lower guide unit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upward; and a second upper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lower guide unit toward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wherein the strap sensing unit includes, When the length of the strap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reaches a pre-entered length value, a signal to operate the fixing stopper is transmitted, and the guide roller is configured to cause the fixing stopper to move the strap.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and the strap is fix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it rotates in reverse and the strap is wound in the reverse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원단으로 감싸진 포장대상물품을 압축시키고 복수의 스트랩을 동시에 밴딩시켜 포장대상물품을 직교 방향으로 감싸도록 함으로써 포장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ckaging work time is shortened by compressing an article wrapped in a single fabric and banding a plurality of straps simultaneously to wrap the article in an orthogonal direction. Labor costs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에 의하면, 수용공간에 포장대상물을 배치시키고,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스트랩을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포장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aging object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the strap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nd the second base.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plate and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packaging work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work safety can be ensur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에 의하면, 스트랩 센싱부가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하는 스트랩의 길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후 스트랩의 텐션 조절, 스트랩 절단 및 압착이 수행됨으로써 스트랩 피딩 속력에 유연하게 대처 가능하고 스트랩의 텐션 및 총 포장 작업 시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sensing unit measures the length of the strap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in real time, then adjusts the tension of the strap, cuts the strap, and compresses the strap. It can flexibly respond to feeding speed and easily adjust strap tension and total packaging work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에 의하면, 포장대상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간격이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1 상부가이드 유닛 및 제2 상부가이드 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승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포장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포장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포장대상물의 압축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forming the packaging object receiving space is configured to be easily adjustable, and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since the second upper guide unit is configured to easily lift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packaging work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ckaging object and at the same time,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packaging object can be easily adjusted.

실시예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examples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derived and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It can be.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세부적인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세부적인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세부적인 구성들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스토퍼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절단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플레이트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부가이드 유닛 및 제2 상부가이드 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에 의한 포장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에 의해 포장대상물에 스트랩 포장 작업이 수행된 포장대상물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에 의한 작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as part of the detailed descriptio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provide various embodiments and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describe technical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ed strap pack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detailed configurations provided in the first ba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to explain detailed configurations provided in the second bas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detailed configurations provided in the first base plate shown in FIG. 2.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fixing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sid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mpression cut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operational diagram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mov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operational example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the second upper guid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ackaging method using an automated strap pack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chematic operational example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ckaging object on which a strap packaging operation has been performed on the packaging object by an automated strap pack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The following embodiments combine elements and features of the embodiments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considered optional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Additionally, various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some components and/or features. The order of operations described in various embodiments may change. Some features or features of one embodiment may be included in other embodiments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features or features of other embodiments.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procedures or step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various embodiments are not described, and procedures or steps that can be understood at the level of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re not described. did.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comprise or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do.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refers to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t can be implemented as: Additionally, the terms “a or an,” “one,” “the,” and similar related terms are used herein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the claims below). Unless otherwise indicated or clearly contradicted by context, it may be used in both singular and plural terms.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intended to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various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specific terms used in various embodiments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embodiments, and the use of such specific terms may be changed to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various embodiment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구비되는 세부적인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구비되는 세부적인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구비되는 세부적인 구성들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스토퍼(155)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절단 유닛(16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플레이트(17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 및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에 의한 포장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작동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에 의해 포장대상물(2)에 스트랩 포장 작업이 수행된 포장대상물(2)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에 의한 작동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utomated strap packag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to explain detailed configurations provided in the first base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to explain detailed configurations provided in the second base plat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detailed configurations provided in the first base plate 100 shown in FIG. 2. Figure 5 is a schematic operational diagram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fixing stopper 15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side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moving plate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operational example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ackaging method using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chematic operational example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30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packaging object 2 on which a strap packag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packaging object 2 by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스트랩(1)이 인입되는 인입용 홈(110)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면 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 사이 영역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및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 사이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se plate 100 that has a plate shape and is formed with at least one retracting groove 110 into which the strap 1 is inserted; A second base plate 200 disposed facing the base plate 100 in the plan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first grid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It may include a shaped guide unit 300 and a second grid-shaped guide unit 40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참고로,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에 의해 포장대상물(2)을 감게 되는 스트랩(1)은, PP(polypropylene) 재질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는, PP 재질 또는 PET 재질의 스트랩뿐만 아니라 이외의 다양한 재질의 스트랩도 포장대상물(2)에 감겨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reference, the strap 1 around the packaging object 2 by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may be made of PP (polypropylene) material or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material.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wrap not only PP or PET straps but also straps of various other materials around the packaging object 2.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일부 영역이 베이스 플레이트 승강 유닛(500)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승강 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first base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quare plate shap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is connected to the base plate lifting unit 500. It can be configured to go up and down. That is,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ase plate lifting unit 500 configured to raise and lower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can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승강 유닛(50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또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승강프레임(520) 및 승강프레임(5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지면의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승강가이드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가이드부(510)는, 승강프레임(520)을 따라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승강프레임(520)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각각의 승강프레임(520)과 각각 연결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도 함께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The base plate lifting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ing frame 520 and a lifting frame configured to be connected at least in part to the first base plate 100 or the second base plate 200. It may include a lifting guide part 510 that is fastened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520 and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That is, the lifting guide unit 5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mov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long the lifting frame 520, and as the lifting frame 52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each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ifting frame 520 may als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입용 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인입용 홈(110)은, 포장대상물(2)을 감기 위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내측으로 피딩되는 스트랩(1)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인입용 홈(110)의 개수만큼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내측으로 피딩되는 스트랩(1)의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t least one retracting groove 110 may be formed in the first base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retracting grooves 110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traps 1 fed inside the first base plate 100 to wind the packaging object 2. That is, the number of straps 1 fed into the first base plate 100 can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retracting grooves 110 formed in the first base plate 100 .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및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포장대상물(2)을 배치시키고, 인입용 홈(110)을 통해 인입되는 스트랩(1)을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 및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에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스트랩(1)으로 포장대상물(2)을 감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se plate 100, a second base plate 200, a first grid-type guide unit 300, and a first base plate 100. 2 The packaging object 2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grid-type guide unit 400, and the strap 1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first grid. The packaging object 2 can be wrapped around the strap 1 by sequentially passing it through the guide unit 300, the second base plate 200, and the second grid guide unit 400.

즉, 포장대상물(2)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및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에 의해 커버 또는 밀폐될 수 있고,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이동으로 인해 폭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승강으로 인해 높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That is, the receiving space in which the packaging object 2 is accommodated is comprised of the first base plate 100, the second base plate 200, the first grid-shaped guide unit 300, and the second grid-shaped guide unit 400. It can be covered or sealed by, the width and length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and the height and length can be adjusted by lifting the second base plate 200. It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인입용 홈(110)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며 인입용 홈(110)을 통해 인입되는 스트랩(1)을 하방으로 유도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120),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가이드 롤러(120)에 의해 하방으로 유도된 스트랩(1)을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 및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을 통과한 스트랩(1)을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ase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tracting groove 110, rotates by a drive motor (not shown), and is inser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110. A guide roller 120 configured to guide (1) downward,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guides the strap 1 downward by the guide roller 120 to a first grid-shaped The strap 1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ower guide unit 140 and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is configured to guide the guide unit 300 toward the guide unit 300,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400. 1 A first upper guide unit 150 configured to guide the lower guide unit 140 may be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12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면에서 인입용 홈(110)의 하측에 구비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가이드 롤러(120)의 상측에 배치되어 스트랩(1)이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인입가이드 플레이트(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인입가이드 플레이트(130)는 하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이드 롤러(120)와 인입가이드 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는 스트랩(1)이 하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추가로, 가이드 롤러(120)는 포장대상물(2)에 감고자 하는 스트랩(1)의 개수에 대응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12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장형의 회전축부재(1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구동모터는 회전축부재(121)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회전축부재(121)를 회전시킬 수 있고, 회전축부재(121)가 회전 시 회전축부재(121)에 체결된 복수의 가이드 롤러(120)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guide roller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tracting groove 110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is configured to rotate by driving a drive motor. You can.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4 and 12, the first base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roller 120 and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into which the strap 1 is inserted. An entry guide plate 13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lead-in guide plate 130 may be curved downward, and thus the strap 1 entering the space between the guide roller 120 and the lead-in guide plate 130 may be guided downward. Additionally, the guide rollers 12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traps 1 to be wound around the packaging object 2. Accordingly, the first base plate 100 may have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20. A long rotating shaft member 121 that penetrates and fastens through the guide roller 12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drive motor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member 121 and can rotate the rotating shaft member 121, and when the rotating shaft member 121 rotates, a plurality of guide rollers 120 fastened to the rotating shaft member 121 are integrated. It can rot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가이드 롤러(120)에 의해 하방으로 유도된 스트랩(1)을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을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은, 소정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압착절단 유닛(160)의 하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의 제1 격자형 홈(310)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 도 6 및 도 12를 참고하면, 인입용 홈(110)을 통해 인입된 스트랩(1)은 가이드 롤러(120)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수직가이드 유닛(180)의 후측을 따라 진행하며 압착절단 유닛(160)의 제1 인입로(1651)를 통과하고,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의 일단으로 안내되어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의 곡형의 가이드면을 따라 진행하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의 제1 격자형 홈(310)에 진입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base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ap 1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guided downward by the guide roller 120 is attached to the first base plate 100. A first lower guide unit 140 configured to guide toward the grid-type guide unit 30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first lower guide unit 140 may be formed to b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and cutting unit 160 of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a first grid-type guide unit. It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grid-shaped groove 310 of (300). Accordingly, referring to FIGS. 2, 6, and 12, the strap 1 inser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110 moves along the rear side of the vertical guide unit 180 according to the forward rotation of the guide roller 120. It proceeds through the first inlet passage 1651 of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is guided to one end of the first lower guide unit 140, and proceeds along the curved guide surface of the first lower guide unit 140. It may enter the first grid-shaped groove 310 of the first grid-shaped guide unit 3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은,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과 상하 대칭되는 방향으로 굴곡지며 소정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이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의 제2 격자형 홈(410)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수직가이드 유닛(180)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의 제2 격자형 홈(410)을 통과한 스트랩(1)은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의 일단으로 안내되어 가이드 롤러(12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의 곡형의 가이드면을 따라 진행하며 수직가이드 유닛(180)의 가이드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ent in a direction that is vertically symmetrical to the first lower guide unit 140 and may be formed to be curv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one end may be shaped like a second grid. It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grid groove 410 of the guide unit 40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vertical guide unit 180. Accordingly, referring to FIGS. 2 and 12, the strap 1 passing through the second grid groove 410 of the second grid guide unit 400 is guided to one end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The guide roller 12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o proceed along the curved guide surface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enter the guide surface of the vertical guide unit 18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에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을 통과한 스트랩(1)을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하부가이드 유닛(210)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 하부가이드 유닛(210)을 통과한 스트랩(1)을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econd base plat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1, which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base plate 200 and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300, is moved upward. 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lower guide unit 21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and guides the strap 1 passing through the second lower guide unit 210 to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 A second upper guide unit 220 configured to guide toward the 400) may be further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부가이드 유닛(210)은, 소정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이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의 제1 격자형 홈(310)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의 제1 격자형 홈(310)을 통과한 스트랩(1)은 제2 하부가이드 유닛(210)의 일단으로 안내되어 가이드 롤러(12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제2 하부가이드 유닛(210)의 곡형의 가이드면을 따라 진행하며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의 하단으로 진입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econd lower guide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b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one end of the first lattice-shaped groove of the first lattice-shaped guide unit 300 ( 31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Accordingly, referring to FIGS. 3 and 12, the strap 1 passing through the first grid groove 310 of the first grid guide unit 300 is guided to one end of the second lower guide unit 210. The guide roller 12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o proceed along the curved guide surface of the second lower guide unit 210 and enter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은, 제2 하부가이드 유닛(210)과 상하 대칭되는 방향으로 굴곡지며 소정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이 제2 하부가이드 유닛(210)의 상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의 제2 격자형 홈(4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제2 하부 가이드 유닛의 곡형의 가이드면을 따라 진행하며 제2 하부 가이드 유닛의 상단으로 진행한 스트랩(1)은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의 일단으로 안내되어 가이드 롤러(12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의 곡형의 가이드면을 따라 진행하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의 제2 격자형 홈(410)으로 진입할 수 있다.Likewise,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ent in a direction that is vertically symmetrical to the second lower guide unit 210 and may be formed to be curv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one end may be formed to be curv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It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guide unit 21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grid-shaped groove 410 of the second grid-shaped guide unit 400. Accordingly, referring to FIGS. 3 and 12, the strap 1 that progresses along the curved guide surface of the second lower guide unit and to the top of the second lower guide unit is of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It is guided to one end and proceeds along the curved guide surface of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guide roller 120 and into the second grid-shaped groove 410 of the second grid-shaped guide unit 400. You can en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과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 사이에 구비되고, 인입용 홈(110)을 통해 인입되는 스트랩(1)을 절단시킴과 동시에 인입용 홈(110)을 통해 인입되는 스트랩(1)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진행하는 스트랩(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상호 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압착절단 유닛(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the first base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ap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the first lower guide unit 140 and is inser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110.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strap 1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110 while cutting (1) and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strap 1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proceeds downward. A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configured to compress each other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과 압착절단 유닛(160) 사이에 구비되고,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을 통과한 스트랩(1)을 압착절단 유닛(160)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수직가이드 유닛(180)이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ase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 vertical guide unit 180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1 to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may be further provided.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가이드 유닛(180)은, 선형의 가이드면이 구비되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써, 일단이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과 연결되고, 타단이 압착절단 유닛(160) 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 제2 하부가이드 유닛(210),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 및 수직가이드 유닛(180)은, 스트랩(1)이 인입되어 안내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및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 측 방향으로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vertical guide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ㄷ' shaped frame provided with a linear guide surface,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For reference, the first lower guide unit 140, the second lower guide unit 210,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the vertical guide unit 180 are strap (1). ) may have a 'ㄷ'-shaped cross section with one side open so that it can be inserted and guided, and includes a first base plate 100, a second base plate 200, a first grid-type guide unit 300, and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가이드 유닛(180)은, 개방구가 형성되지 않는 반대측 일면이 가이드 롤러(120) 및 인입가이드 플레이트(13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또한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롤러(120)와 인입가이드 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으로 인입되는 스트랩(1)은 인입가이드 플레이트(130)의 일면과 접촉하여 소정 각도로 하방으로 유도된 후 수직가이드 유닛(180)의 일면에 접촉하며 지면에 대한 수직선상을 따라 하방으로 유도될 수 있다. 즉, 인입용 홈(110)으로 인입 또는 피딩되는 스트랩(1)은 가이드 롤러(120)가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 롤러(120)와 인입가이드 플레이트(130) 사이의 공간을 지나고, 가이드 롤러(120)와 수직가이드 유닛(180) 사이의 공간을 지나며 압착절단 유닛(160)의 제1 인입로(1651)로 진입할 수 있다.The vertical guide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on which no opening is formed,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uide roller 120 and the lead-in guide plate 130 and the first base plate 100. It can be arranged to be parallel to one side of . Accordingly, the strap 1 entering the space between the guide roller 120 and the inlet guide plate 130 is guid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inlet guide plate 130, and then the vertical guide unit 180 ) and can be guided downward along a vertical line to the ground. In other words, the strap 1 that is drawn or fed into the drawing groove 110 passes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guide roller 120 and the drawing guide plate 130 as the guide roller 120 rotates, and the guide roller 120 It is possible to enter the first inlet path 1651 of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while pass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vertical guide unit 180.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절단 유닛(160)은, 이중의 스트랩(1)을 진동하며 일측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압착부(161), 압착부(161)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진동으로 가압되는 스트랩(1)을 타측에서 면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압착지지부(162) 및 압착부(161)의 상측에 배치되고, 이중의 스트랩(1) 중 인입용 홈(110)을 통해 인입되는 스트랩(1)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절단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6,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pression unit 161 configured to vibrate and press the double strap 1 from one side, and a compression unit 161. )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pression support portion 162 and the compression portion 161, which ar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re configured to support the surface of the strap 1 pressed by vibration from the other side, and are used for insertion among the double straps 1. It may include a cutting portion 163 configured to cut the strap 1 introduced through the groove 110.

참고로, 압착부(161)에 의해 가압되어 상호 압착되는 이중의 스트랩(1)은, 인입용 홈(110)을 통해 인입되어 수직가이드 유닛(180)의 개방되지 않은 일면(즉, 후면)을 따라 하방으로 안내되어 제1 인입로(1651)를 통과한 직후의 스트랩(1)과, 제1 인입로(1651)를 통과하고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제2 하부가이드 유닛(210),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 및 수직가이드 유닛(180)의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수용되는 가이드면을 따라 진행하며 제2 인입로(1661)를 통과한 직후의 스트랩(1)이 이중으로 겹치면서 구성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double straps 1, which are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161 and pressed against each other, are inser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110 to cover one non-open side (i.e., the rear) of the vertical guide unit 180. The strap 1 immediately after being guided downward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inlet path 1651, the first lower guide unit 140 and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300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inlet path 1651. ), the 'ㄷ' shape of the second lower guide unit 210,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400,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the vertical guide unit 180. The strap 1 may be configured to double overlap immediately after passing the second inlet passage 1661 while proceeding along the guide surface accommodat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hap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절단 유닛(160)은, 절단부(163)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4), 제1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4)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이중의 스트랩 중 인입용 홈(110)을 통해 인입되는 스트랩(1)에 대한 제1 인입로(1651)를 형성시키는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5) 및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5)의 외면을 소정 간격을 두고 커버함으로써 이중의 스트랩(1) 중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 및 수직가이드 유닛(180)을 통과한 스트랩(1)에 대한 제2 인입로(1661)를 형성시키는 스트랩 인입체결부(1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trap inlet plate 164 and the first strap inlet plate 164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tting portion 163. The second strap inlet plate 165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trap inlet plate 165, thereby forming a first inlet path 1651 for the strap 1 that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groove 110 among the double straps. Strap inlet that forms a second inlet passage 1661 for the strap 1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the vertical guide unit 180 among the double straps 1 by covering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art 166.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절단 유닛(160)은, 압착부(161) 및 절단부(163)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부(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67)의, 일면 즉, 전면(참고로, 도 6에서 우측면)의 상측 영역에 제1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4) 및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5)가 구비되고, 일면의 하측 영역에 압착지지부(162)가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portion 167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compression portion 161 and the cutting portion 163. A first strap inlet plate 164 and a second strap inlet plate 165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portion 167, that is, in the upper area of the front (for reference, the right side in FIG. 6), and in the lower area of one side. Pressing supports 162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부(161)는 일면이 울퉁불퉁한 면으로 형성되는 가압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별도의 전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하우징부(167)의 내부에서 스트랩(1)이 구비되는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에 압착부(161)의 가압면과 압착지지부(162) 사이에 구비되는 이중의 스트랩(1)은 압착부(161)의 진동으로 인해 상호 마찰되면서 소정 온도의 열이 발생하며 상호 열압착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16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pressing surface with one surface formed as a bumpy surface, and a strap ( 1) It may be configured to vibrate in the direction provided. At this time, the double straps 1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161 and the pressing support part 162 rub against each other due to the vibration of the pressing part 161, generating heat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re thermally compressed with each other. You can.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지지부(162)는, 압착부(161)의 가압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플레이트으로서, 이중의 스트랩(1)을 사이에 둔 상태에서 압착부(161)의 가압면과 간접적으로 접촉하며, 압착부(161)의 진동에 의한 물리적 힘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이중의 스트랩(1)에 대한 열압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 the compression support portion 16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ressing surface of the compression portion 161, with a double strap 1 in between. It indirectly contacts the pressing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161, and can buffer the physical force caused by the vibration of the pressing part 161 and make it easier to heat-compress the double strap 1.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163)는, 압착부(161)의 상측에 배치되어 스트랩(1)이 구비되는 방향 즉, 전측 방향(참고로, 도 6에서 우측 방향)으로 진동하며 돌출됨으로써 제1 인입로(1651)를 통과한 스트랩(1)을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절단부(163)는 압착부(161)와 함께 전후 방향으로 별도의 전동장치의 작동에 따라 진동하여 제1 인입로(1651)를 통과한 단일의 스트랩(1)을 절단시키므로, 압착부(161)는 진동 시에 절단부(163)보다 소정 길이만큼 보다 전측 방향(참고로, 도 6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ut portion 16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pression portion 161 and protrudes while vibrat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ap 1 is provided, that is, the front direction (for reference, the right direction in FIG. 6). As a result, it can be configured to cut the strap 1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inlet passage 1651. The cutting unit 163 vibrat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pressing unit 16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separate electric device to cut the single strap 1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inlet passage 1651, so the pressing unit 161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 a forward direction (for reference, to the right in FIG. 6 ) by a predetermined length relative to the cut portion 163 during vibration.

또한, 압착절단 유닛(160)은, 절단부(163)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절단차단부(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단차단부(168)는, 소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서 제1 인입로(1651)를 통과한 스트랩(1)과 제2 인입로(1661)를 통과한 스트랩(1) 사이를 분획하고, 절단부(163)가 제2 인입로(1661)를 통과한 스트랩(1)을 절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절단차단부(168)는,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5)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제1 인입로(1651)를 통과한 스트랩(1)과 제2 인입로(1661)를 통과한 스트랩(1) 사이를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압착부(161)의 진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5)의 하측에서 압착부(161)의 상단 이전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 cutting portion 168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cutting portion 163. The cutting block 168 is a plate with a predetermined area and divides the space between the strap 1 that passed through the first inlet path 1651 and the strap 1 that passed through the second inlet path 1661, and the cut portion ( 163) can be prevented from cutting the strap 1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inlet path 1661. More specifically, the cutting and blocking portion 168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trap inlet plate 165 to separate the strap 1 that passed through the first inlet path 1651 and the second inlet path 1661. It can separate the straps 1 that have passed, and can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trap inlet plate 165 to before the top of the compression portion 16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vibration of the compression portion 161.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4)는, 압착절단 유닛(160)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고, 절단부(163)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5)와 함께 제1 인입로(1651)를 형성시킬 수 있다. 제1 인입로(1651)는, 소정 간격을 두고 면 대향하며 배치되는 제1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4)와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5) 사이의 영역으로서 인입용 홈(110)과 수직가이드 유닛(180)의 폐쇄된 후면을 따라 유도되는 스트랩(1)이 인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The first strap inlet plate 16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upper area of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utting part 163 together with the second strap inlet plate 165. The first inlet path 1651 can be formed. The first inlet path 1651 is an area between the first strap inlet plate 164 and the second strap inlet plate 165, which are arranged with surfaces facing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es an inlet groove 110 and a vertical guide unit ( It may be a space into which the strap 1 guided along the closed rear of 180) is inser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5)는, 소정 간격을 두고 제1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4)와 면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4)와 함께 제1 인입로(1651)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5)는, 일면이 제1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4)와 면 대향으로 마주보고, 타면이 스트랩 인입체결부(166)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strap inlet plate 16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rranged to face the first strap inlet plate 164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y be positioned together with the first strap inlet plate 164. 1 An inlet path (1651) can be formed. Additionally, the second strap inlet plate 165 may be arranged so that one side faces the first strap inlet plate 164 and the other side faces the strap inlet fastening portion 166.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인입체결부(166)는,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5)의 외면(참고로, 도 6에서 우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과 소정 간격을 두고 면 대향하며 배치됨으로써,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제2 하부가이드 유닛(210),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 및 수직가이드 유닛(180)의 가이드면을 통과하며 포장대상물(2)을 한 바퀴 감은 스트랩(1)이 인입되는 제2 인입로(1661)를 형성시킬 수 있다. 제2 인입로(1661)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165)와 스트랩 인입체결부(166) 사이의 영역으로서,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 수직가이드 유닛(180) 등의 가이드면을 따라 포장대상물(2)을 한바퀴 감은 스트랩(1)이 인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스트랩 인입체결부(166)는, 수직가이드 유닛(180)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수직가이드 유닛(180)의 'ㄷ'자 형상의 단면에 의해 수용되는 가이드면과 제2 인입로(1661)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가이드 유닛(180)의 가이드면을 따라 진행되는 스트랩(1)이 제2 인입로(1661)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strap inlet fastening portion 16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for reference, the right side in FIG. 6) of the second strap inlet plate 165. By being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irst lower guide unit 140,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300, the second lower guide unit 210,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and the second grid A second inlet path (1661) through which the strap (1) wrapped around the packaging object (2) once passes through the guide surfaces of the guide unit (400),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the vertical guide unit (180). ) can be formed. The second inlet path 1661 is an area between the second strap inlet plate 165 and the strap inlet fastening part 166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ncludes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the vertical guide unit 180. ) It may be a space where the strap (1) wrapped around the packaging object (2) once along the guide surface is inserted. In addition, the strap inlet fastening portion 166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guide unit 180, so that the guide surface and the second inlet passage 1661 are accommodated by the 'ㄷ' shaped cross section of the vertical guide unit 180. ) can be configured to interconnect. Accordingly, the strap 1 running along the guide surface of the vertical guide unit 180 can easily enter the second inlet path 1661.

정리하면, 압착절단 유닛(160)은, 인입용 홈(110)을 따라 진입한 스트랩(1)과 포장대상물(2)을 한바퀴 감은 상태의 스트랩(1)이 겹쳐진 이중의 스트랩(1)에 대해서 압착부(161)와 압착지지부(162) 사이에 형성되는 압착영역(169)에서 열압착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이중의 스트랩(1) 중 제1 인입로(1651)를 진입한 스트랩(1)에 대해서만 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대상물(2)에 대해 스트랩(1)이 한바퀴 감겨질 수 있고, 이후에 포장대상물(2)을 변경하여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를 통해 인입용 홈(110)으로 인입되는 스트랩(1)으로 새로이 포장을 진행할 수 있다.In summary,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is a double strap (1) in which the strap (1) entered along the retracting groove (110) and the strap (1) in the state of wrapping the packaging object (2) once are overlapping. Thermal compression is performed in the compression area 169 formed between the compression portion 161 and the compression support portion 162, and at the same time, the strap 1 enters the first inlet passage 1651 among the dual straps 1. Cutting can only be performed on . Accordingly, the strap (1) can be wrapped once around the packaging object (2), and then the packaging object (2) is changed and the strap is introduced into the retracting groove (110) through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New packaging can be done with (1).

도 7을 참고하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장착되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압착절단 유닛(160)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 플레이트(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착절단 유닛(160)은, 스트랩(1)에 대한 절단 및 압착이 완료된 후 이동 플레이트(170)가 일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스트랩 인입체결부(166)의 제2 인입로(1661)에 인입된 상태의 스트랩(1)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irst base plate 100 is configured to move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in one direction by being mounted on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moving in one direction. A plate 170 may be further provided. Accordingly,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enters the second inlet path 1661 of the strap inlet fastening portion 166 by moving the moving plate 170 to one side after the cutting and compression of the strap 1 is completed. The strap 1 in its current state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플레이트(170)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일면에 장착되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동 플레이트(170)에는 적어도 하나의 압착절단 유닛(160)이 장착될 수 있다. 이동 플레이트(170)가 이동 시 압착절단 유닛(160)도 함께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양단 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7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트랩 인입체결부(166)가 커버하는 스트랩(1)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동 플레이트(170)의 좌우방향 이동으로 인해 제2 인입로(1661)를 통과하는 스트랩(1)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열압착이 완료된 스트랩(1)이 포장대상물(2)을 한바퀴 감은 이후에 용이하게 포장대상물(2)을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에서 인출시킬 수 있다.That is, the moving plate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in both directions of the first base plate 100, At least on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may be mounted on the moving plate 170. When the moving plate 170 moves,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may also move to both ends of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accordingly, as shown in (b) of FIG. 7, the strap insertion fastening portion ( The strap 1 covered by 166)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the strap 1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let path 1661 is exposed to the outside due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17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fter the strap 1 that has been heat-compressed wraps around the packaging object 2 once. The packaging object (2) can be easily withdrawn from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도 8의 (a) 및 (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에는,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2 승강용 피스톤(230) 및 제2 승강용 피스톤(230)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승강용 실린더(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승강용 피스톤(230)은 제2 승강용 실린더(240)의 작동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승강용 피스톤(230)의 일단은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과 연결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승강용 피스톤(230)의 일단과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 연결부(231)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승강용 실린더(240)를 작동시킴으로써 포장대상물(2)의 높이에 따라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의 설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8 (a) and (b), the second base plat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base plat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A second lifting cylinder 240 configured to lift the lifting piston 230 and the second lifting piston 230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urther provided.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lifting piston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ifting cylinder 240. One end of the second lifting piston 23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and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second lifting piston 230 and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may be connected. A guide connection portion 231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ccordingly, by operating the second lifting cylinder 240,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can be mor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ackaging object 2.

마찬가지로, 도 8의 (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1 승강용 피스톤(190) 및 제1 승강용 피스톤(190)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승강용 실린더(19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승강용 실린더(191)를 작동시킴으로써 포장대상물(2)의 높이에 따라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의 설치 높이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시킬 수 있다.Likewise, referring to (c) of FIG. 8, the first base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ifting devic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 first lifting cylinder 191 configured to lift and lower the piston 190 and the first lifting piston 190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urther provided. Accordingly, by operating the first lifting cylinder 191,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can be more eas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packaging object 2.

한편, 도 4 및 도 5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에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을 통과하는 스트랩(1)의 길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랩 센싱부(153) 및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을 통과하는 스트랩(1)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용 스토퍼(1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first base plat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 strap sensing unit 153 configured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strap 1 passing through and a fixing stopper 155 configured to secure the strap 1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re further provided. It can be provided.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센싱부(153)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을 통과하는 스트랩(1)의 길이가 미리 입력된 길이 값에 도달하면 고정용 스토퍼(155)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스트랩 센싱부(153)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을 통과하는 스트랩(1)이 수직가이드 유닛(180), 압착절단 유닛(160)을 통과하고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의 상단까지 진행될 수 있는 길이만큼의 길이 값이 미리 입력되는 경우, 스트랩(1)이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을 통과하여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의 상단에 도달할 시 고정용 스토퍼(155)에 작동 신호를 송신하여 고정용 스토퍼(155)로 하여금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의 가이드면에 스트랩(1)을 위치고정시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trap sensing unit 15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ixing stopper ( 155)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to operate. As an example, the strap sensing unit 153 is configured so that the strap 1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passes through the vertical guide unit 180 and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guide unit. When a length value equal to the length that can be advanced to the top of 140 is input in advance, when the strap 1 passes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reaches the top of the first lower guide unit 140 By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fixing stopper 155, the strap 1 can be positioned and fixed on the guide surface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일 예시적으로, 스트랩 센싱부(153)에 미리 입력되는 길이 값은,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에서 스트랩(1)에 대한 감지가 개시되는 순간부터 스트랩(1)이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의 상단 또는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의 일부 영역까지 도달하는 시간동안 진행되는 스트랩(1)의 길이 값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포장대상물(2)의 크기, 피딩 또는 인입되는 스트랩(1)의 진행속도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As an example, the length value pre-entered into the strap sensing unit 153 is determined from the moment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starts detecting the strap 1 when the strap 1 is connected to the first lower guide unit. It can be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strap (1) during the time it reaches the top of (140) or a partial area of the first lower guide unit (140), the size of the packaging object (2), and the feeding or incoming strap. It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progress speed of (1), etc.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은, 스트랩 센싱부(153)의 센싱이 이루어지도록 스트랩 센싱부(153)와 접촉하는 일부 영역이 개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strap sensing unit 153 is open so that sensing of the strap sensing unit 153 is performe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스토퍼(155)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스트랩 접촉부(1551), 일단이 상기 스트랩 접촉부(1551)와 연결되는 연결샤프트(1552) 및 상기 연결샤프트(1552)를 연장 또는 단축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토퍼모터(1553)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모터(1553)는 공압식 리니어 모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xing stopper 15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ap contact portion 1551 extending toward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nd a connection shaft 1552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trap contact portion 1551. ) and a stopper motor 1553 configured to extend or shorten the connecting shaft 1552. For reference, the stopper motor 155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neumatic linear motor, etc.

즉, 도 5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샤프트(1552)가 연장되어 스트랩 접촉부(1551)가 스트랩(1)을 가압하지 않는 상태에서 스트랩 센싱부(153)로부터 작동신호를 받으면, 도 5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토퍼모터(1553)는 스트랩 센싱부(153)로부터의 작동 신호에 따라 연결샤프트(1552)를 단축시키고, 스트랩 접촉부(1551)는 연결샤프트(1552)가 단축됨과 동시에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의 가이드면 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의 가이드면에 위치한 스트랩(1)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5, when the connection shaft 1552 is extended and the strap contact portion 1551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strap sensing portion 153 without pressing the strap 1, As shown in (b) of FIG. 5, the stopper motor 1553 shortens the connecting shaft 1552 according to the operation signal from the strap sensing unit 153, and the strap contact portion 155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1552. At the same time as it is shortened and moves toward the guide surface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the strap 1 located on the guide surface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can be pressed and fixed.

다만, 공압식 리니어 모터로 구현되는 스토퍼모터(1553)를 통해 고정용 스토퍼(155)가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에 위치하는 스트랩(1)을 위치 고정시키는 구성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스트랩 접촉부(1551)를 회전시켜서 스트랩(1)을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에 위치 고정시키는 구성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xing stopper 155 fixes the strap 1 located on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through the stopper motor 1553 implemented as a pneumatic linear motor makes it easier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only an example, and of course,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fixing the strap 1 to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by rotating the strap contact portion 1551.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은, 스트랩 접촉부(1551)가 진입 가능하도록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은, 고정용 스토퍼(155)가 위치하는 측의 측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에 스트랩 고정용 측면 개방구(15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용 스토퍼(155)의 스트랩 접촉부(1551)가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의 가이드면을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area open so that the strap contact portion 1551 can enter. That is,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ide opening 151 for strap fixation form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of the side where the fixation stopper 155 is located. there is. Accordingly, the strap contact portion 1551 of the fixing stopper 155 can easily press the guide surface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센싱부(153)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을 통과하는 상기 스트랩(1)의 길이가 미리 입력된 길이 값에 도달하면 가이드 롤러(1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에 작동 중지 신호를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트랩 센싱부(153)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을 통과하는 스트랩(1)의 길이가 미리 입력된 길이 값에 도달하면 먼저 가이드 롤러(1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에 작동 중지 신호를 송신하고, 이어서 고정용 스토퍼(155)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랩(1)이 포장대상물(2)을 한바퀴 감고 일시적으로 스트랩(1)의 피딩이 중지된 이후에 스트랩(1)이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The strap sensing unit 15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guide roller 120 when the length of the strap 1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reaches a pre-entered length value. The device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transmit a stop signal to the drive motor. That is, the strap sensing unit 153 first stops operating the drive motor that rotates the guide roller 120 when the length of the strap 1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reaches the pre-entered length value.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and then transmit a signal to operate the fixing stopper 155. Accordingly, the strap 1 can be stably fixed in position after the strap 1 wraps around the packaging object 2 and the feeding of the strap 1 is temporarily stopped.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센싱부(153)는, 고정용 스토퍼(155)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송신한 후 가이드 롤러(1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에 역회전 작동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롤러(120)는, 고정용 스토퍼(155)가 스트랩 센싱부(153)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스트랩(1)을 고정시키면 역회전하며 스트랩(1)을 역방향으로 감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롤러(120)는, 스트랩(1)이 고정용 스토퍼(155)에 의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역회전하면서 스트랩(1)을 인입 방향(또는, 피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감음으로써 포장대상물(2)을 감은 스트랩(1)에 적정 텐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가이드 롤러(120)의 역회전에 의해 스트랩(1)에 가해지는 텐션의 정도는 포장대상물(2)의 크기, 재질, 스트랩(1)의 재질 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Next, the strap sensing unit 15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signal to operate the fixing stopper 155 and then transmits a reverse rotation operation signal to the drive motor that rotates the guide roller 120. It can be configured. Accordingly, the guide roller 120 reverses when the fixing stopper 155 receives a signal from the strap sensing unit 153 and fixes the strap 1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150. I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nd wind the strap (1) in the reverse direction. That is, the guide roller 120 rotates in reverse while the strap 1 is fixed in position by the fixing stopper 155 and winds the strap 1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rawing direction (or feeding direction), thereby packaging. It may be configured to apply appropriate tension to the strap (1) wrapped around the object (2). For reference, the degree of tension applied to the strap 1 by reverse rotation of the guide roller 120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and material of the packaging object 2, the material of the strap 1,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용 스토퍼(155)는, 가이드 롤러(120)가 역회전하며 스트랩(1)에 적정 텐션을 가하고 난 후 스토퍼모터(1553)의 작동을 통해 연결샤프트(1552)를 연장시킴으로써 스트랩 접촉부(1551)에 의한 스트랩(1) 위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착절단 유닛(160)은, 가이드 롤러(120)가 역회전하며 스트랩(1)에 적정 텐션을 가하고 난 후 압착 및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fixing stopper 15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roller 120 rotates in reverse and applies appropriate tension to the strap 1, and then connects the connection shaft 1552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motor 1553. By extending, the fixation of the position of the strap 1 by the strap contact portion 1551 can be released. In addition, the pressing and cutting unit 1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pressing and cutting operations after the guide roller 120 rotates in reverse and applies appropriate tension to the strap 1.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는,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및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의 좌우 양측에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구비됨과 동시에 전후 양측에도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se plate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300 and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400. In addition to th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승강 유닛(50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사이의 간격,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승강 유닛(500)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구비되는 측의 승강프레임(5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구비되는 측의 승강프레임(5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plate lifting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ap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300, a gap between the second base plate 200 and the first 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pacing between the grid-type guide units 300. As an example, the base plate lifting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ap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lifting frame 520 on the side where the first base plate 100 is provided. By adjusting and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second base plate 200 and the lifting frame 520 on the side where the second base plate 200 is provided,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 300) and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second base plate 200 and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300.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는,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과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 사이에 배치되는 포장대상물(2)에 대해 포장대상물(2)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접근시켜 좌우 방향 스트랩 포장 작업을 수행하고, 이후 포장대상물(2)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다시 이동시켜 포장대상물(2)에서 다시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게 한 뒤에 포장대상물(2)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상측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으며, 포장대상물(2)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가 상승됨과 동시에 포장대상물(2)의 전후 양측에 추가로 구비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포장대상물(2) 측으로 접근시켜 전후 방향 스트랩 포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는, 포장대상물(2)에 상하좌우 측면을 감싸는 복수의 스트랩 포장과 상하전후 측면을 감싸는 복수의 스트랩 포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9,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ckaging object disposed between the first grid-shaped guide unit 300 and the second grid-shaped guide unit 400. For (2), strap packaging work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performed by approaching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ckaging object 2, and then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re moved again to be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packaging object 2, and then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ckaging object 2 are moved again. 1 The base plat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can be raised upward, and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ckaging object 2 are At the same time as it is raised,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which are additionally provid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ackaging object 2, are approached to the packaging object 2 to perform strap packaging work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1,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traps wrapping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ckaging object 2, and a plurality of straps wrapping the top, bottom, front, and back sides. Strap packaging can be easily performed.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은, 사각 박스 형상을 갖고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격자 유닛(320), 복수의 제1 격자 유닛(3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격자형 홈(310) 및 복수의 제1 격자 유닛(320)을 하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1 격자 지지플레이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grid units 320, which have a square box shape and are sequential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t may include a first grid-shaped groove 310 formed between the first grid units 320 and a first grid support plate 330 configured to support the plurality of first grid units 320 from the lower side. .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은, 사각 박스 형상을 갖고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 격자 유닛(420), 복수의 제2 격자 유닛(42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격자형 홈(410) 및 복수의 제2 격자 유닛(420)을 상측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격자 지지플레이트(430)를 포함할 수 있다. Likewise,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grid units 420, a plurality of second grid units 420 that have a square box shape and are continuous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t may include a second grid support plate 430 configured to support the second grid grooves 410 formed between the grooves 420 and the plurality of second grid units 420 from the upper 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격자 유닛(320) 및 제2 격자 유닛(420)의 개수 및 배치는 포장대상물(2)에 감고자 하는 스트랩(1)의 개수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일 예시적으로,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포장대상물(2)의 상하좌우 측면에 5개의 스트랩(1)을 소정 간격을 두어서 감고, 또한 포장대상물(2)의 상하전후 측면에 3개의 스트랩(1)을 소정 간격을 두어서 감고자 하는 경우, 제1 격자 유닛(320) 및 제2 격자 유닛(420) 각각은, 4x6 배열로 총 24개로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제1 격자 유닛(320) 사이 및 각각의 제2 격자 유닛(420) 사이에 각각 제1 격자형 홈(310) 및 제2 격자형 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은, 별도의 승강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의 상측에 배치되는 포장대상물(2)을 압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10)가 용이하게 포장대상물(2)에 대한 압축을 수행한 후 연속적으로 스트랩 포장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first grid unit 320 and the second grid unit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straps 1 to be wrapped around the packaging object 2. .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11, five straps 1 are wound around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ckaging object 2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ree straps are wound around the top, bottom,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ackaging object 2. When it is desired to wind the strap 1 at predetermined intervals, each of the first grid unit 320 and the second grid unit 420 may be arranged in a total of 24 in a 4x6 arrangement, and each of the first grid units First grid-shaped grooves 310 and second grid-shaped grooves 410 may be formed between 320 and each second grid unit 420, respectively. For reference, the second grid-shaped guide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eparate lifting device (not shown) and moves downward, so that it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grid-shaped guide unit 300. It may be configured to compress the placed packaging object (2). Accordingly,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 can easily compress the packaging object 2 and then continuously perform the strap packaging operation.

또한, 도 2, 도 3 및 도 12를 참고하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또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구비되는 인입용 홈(110), 가이드 롤러(120), 인입가이드 플레이트(130),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 제2 하부가이드 유닛(210),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 수직가이드 유닛(180), 압착절단 유닛(160), 제1 승강용 피스톤(190), 제1 승강용 실린더(191), 스트랩 센싱부(153) 및 고정용 스토퍼(155)의 개수는, 포장대상물(2)에 감고자 하는 스트랩(1)의 개수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 또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에 구비되는 인입용 홈(110), 가이드 롤러(120), 인입가이드 플레이트(130),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 제2 하부가이드 유닛(210),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 수직가이드 유닛(180), 압착절단 유닛(160), 제1 승강용 피스톤(190), 제1 승강용 실린더(191), 스트랩 센싱부(153) 및 고정용 스토퍼(155)의 개수가 3개인 경우 포장대상물(2)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고 3개의 스트랩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입용 홈(110), 가이드 롤러(120), 인입가이드 플레이트(130), 제1 하부가이드 유닛(140), 제2 하부가이드 유닛(210), 제2 상부가이드 유닛(220), 제1 상부가이드 유닛(150), 수직가이드 유닛(180), 압착절단 유닛(160), 제1 승강용 피스톤(190), 제1 승강용 실린더(191), 스트랩 센싱부(153) 및 고정용 스토퍼(155)는, 단일의 스트랩 포장을 구현하는 하나의 포장 단위체로서, 포장대상물(2)에 감고자 하는 스트랩(1)의 개수에 따라 해당 포장 단위체의 개수가 조절될 수 있고 또한, 포장대상물(2)에 감고자 하는 스트랩(1)의 간격도 해당 포장 단위체 간 간격 조절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3, and 12, the retracting groove 110, guide roller 120, and retracting guide plate 130 provided on the first base plate 100 or the second base plate 200. ), first lower guide unit 140, second lower guide unit 210, second upper guide unit 220, first upper guide unit 150, vertical guide unit 180,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 the number of the first lifting piston 190, the first lifting cylinder 191, the strap sensing unit 153, and the fixing stopper 155 is determined by the strap (1) to be wrapped around the packaging object (2) 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at is,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retracting groove 110, guide roller 120, and retracting guide plate 130 provided on the first base plate 100 or the second base plate 200. , first lower guide unit 140, second lower guide unit 210, second upper guide unit 220, first upper guide unit 150, vertical guide unit 180,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 when the number of the first lifting piston 190, the first lifting cylinder 191, the strap sensing unit 153, and the fixing stopper 155 is 3, 3 are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ackaging object 2. The dog may be strap-packed. In other words, the retraction groove 110, the guide roller 120, the retraction guide plate 130, the first lower guide unit 140, the second lower guide unit 210, the second upper guide unit 220, First upper guide unit 150, vertical guide unit 180, compression cutting unit 160, first elevating piston 190, first elevating cylinder 191, strap sensing unit 153, and fixing The stopper 155 is one packaging unit that implements single strap packaging, and the number of packaging units can be adjust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straps (1) to be wound around the packaging object (2). The spacing of the strap (1) to be wrapped around (2) can also be determined by adjusting the spacing between the relevant packaging units.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은, 복수의 제1 격자 유닛(3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격자 회전 유닛(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격자 회전 유닛(340)은, 복수의 제1 격자 유닛(320)과 제1 격자 지지플레이트(330)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회전함에 따라 상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격자 유닛(3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대상물(2)의 좌우 양측에 제1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제2 베이스 플레이트(200)를 구비하는 것만으로도 포장대상물(2)의 상하좌우 측면에 스트랩 포장 작업을 수행하고, 이어서 격자 회전 유닛(340)을 회전시켜 다시 포장대상물(2)의 상하전후 측면에 스트랩 포장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의 격자 회전 유닛(340)에 대응하여,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의 제2 격자 유닛(420)과 제2 격자 지지플레이트(430) 사이에도 제2 격자 유닛(42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격자 회전 유닛(340)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300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rotate the plurality of first grid units 320. It may further include a grid rotation unit 340. The grid rotation unit 34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id units 320 and the first grid support plate 330, and rotates the plurality of first grid units 3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I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Accordingly, strap packaging work can be performed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ckaging object 2 simply by providing the first base plate 100 and the second base plate 200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ckaging object 2, Then, by rotating the grid rotation unit 340, the strap wrapping operation can be more easily and continuously performed on the top, bottom, front, back, and sides of the packaging object 2.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corresponding to the grid rotation unit 340 of the first grid guide unit 300, the second grid unit 420 and the second grid support plate ( Of course, a grid rotation unit 340 configured to rotate the second grid unit 420 may also be provided between the grid units 430).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300)은, 복수의 제1 격자 유닛(320)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제1 격자 유닛(320) 각각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400)은, 복수의 제2 격자 유닛(420)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제2 격자 유닛(420) 각각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랩(1)의 폭, 포장대상물(2)에 감겨지는 스트랩(1)의 개수 등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30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first grid units 320 is adjustable, and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grid units ( 320) Each can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Likewise,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40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pacing between the plurality of second grid units 420 is adjustable, and may also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grid units ( 420) Each can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strap 1, the number of straps 1 wrapped around the packaging object 2, etc. can be easily adjus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원단으로 감싸진 포장대상물품을 압축시키고 복수의 스트랩을 동시에 밴딩시켜 포장대상물품을 직교 방향으로 감싸도록 함으로써 포장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aging object wrapped in one fabric is compressed and a plurality of straps are simultaneously banded to wrap the packaging object in an orthogonal direction. It can shorten work time and reduce labor cost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에 의하면, 수용공간에 포장대상물을 배치시키고,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스트랩을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포장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작업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aging object is placed in the receiving space, and the strap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nd the second base.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plate and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packaging work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work safety can be ensur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에 의하면, 스트랩 센싱부가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하는 스트랩의 길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후 스트랩의 텐션 조절, 스트랩 절단 및 압착이 수행됨으로써 스트랩 피딩 속력에 유연하게 대처 가능하고 스트랩의 텐션 및 총 포장 작업 시간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ap sensing unit measures the length of the strap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in real time, then adjusts the tension of the strap, cuts the strap, and compresses the strap. It can flexibly respond to feeding speed and easily adjust strap tension and total packaging work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에 의하면, 포장대상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및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간격이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제1 상부가이드 유닛 및 제2 상부가이드 유닛이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승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포장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포장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포장대상물의 압축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p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forming the packaging object receiving space is configured to be easily adjustable, and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since the second upper guide unit is configured to easily lift up and d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packaging work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ackaging object and at the same time, the degree of compression of the packaging object can be easily adjusted.

실시예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examples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derived and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ased o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It can be.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 기술적 아이디어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다양한 실시예들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and essential features.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various embodiments. In addition, claims that do not have an explicit reference relationship in the patent claims can be combined to form an embodiment or included as a new claim through amendment after filing.

1: 스트랩
2: 포장대상물
10: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100: 제1 베이스 플레이트
110: 인입용 홈
120: 가이드 롤러
121: 회전축부재
130: 인입가이드 플레이트
140: 제1 하부가이드 유닛
150: 제1 상부가이드 유닛
151: 스트랩 고정용 측면 개방구
153: 스트랩 센싱부
155: 고정용 스토퍼
1551: 스트랩 접촉부
1552: 연결샤프트
1553: 스토퍼모터
160: 압착절단 유닛
161: 압착부
162: 압착지지부
163: 절단부
164: 제1 스트랩 인입플레이트
165: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
1651: 제1 인입로
166: 스트랩 인입체결부
1661: 제2 인입로
167: 하우징부
168: 절단차단부
169: 압착영역
170: 이동 플레이트
180: 수직가이드 유닛
190: 제1 승강용 피스톤
191: 제1 승강용 실린더
200: 제2 베이스 플레이트
210: 제2 하부가이드 유닛
220: 제2 상부가이드 유닛
230: 제2 승강용 피스톤
231: 가이드 연결부
240: 제2 승강용 실린더
300: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310: 제1 격자형 홈
320: 제1 격자 유닛
330: 제1 격자 지지플레이트
340: 격자 회전 유닛
400: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
410: 제2 격자형 홈
420: 제2 격자 유닛
430: 제2 격자 지지플레이트
500: 베이스 플레이트 승강 유닛
510: 승강가이드부
520: 승강프레임
1: Strap
2: Package object
10: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100: first base plate
110: Insertion groove
120: Guide roller
121: Rotating shaft member
130: Entry guide plate
140: First lower guide unit
150: First upper guide unit
151: Side opening for strap fastening
153: Strap sensing unit
155: Fixing stopper
1551: Strap contact part
1552: Connecting shaft
1553: Stopper motor
160: Press cutting unit
161: Compression part
162: Compression support
163: cutting part
164: First strap inlet plate
165: Second strap inlet plate
1651: 1st entrance road
166: Strap inlet fastener
1661: Second entrance road
167: Housing part
168: Cutting block
169: Compression area
170: moving plate
180: Vertical guide unit
190: First lifting piston
191: First lifting cylinder
200: second base plate
210: Second lower guide unit
220: Second upper guide unit
230: Second elevating piston
231: Guide connection part
240: Second lifting cylinder
300: First grid-type guide unit
310: first grid groove
320: first grid unit
330: First grid support plate
340: grid rotation unit
400: Second grid-type guide unit
410: second grid groove
420: second grid unit
430: Second grid support plate
500: Base plate lifting unit
510: Elevating guide unit
520: Elevating frame

Claims (10)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로서,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스트랩이 인입되는 인입용 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소정 간격을 두고 면 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포장대상물을 배치시키고,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스트랩으로 상기 포장대상물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인입용 홈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하방으로 유도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에 의해 하방으로 유도된 상기 스트랩을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하부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1 하부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
이 구비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하부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하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상부가이드 유닛
이 구비되는,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As a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a first base plate that has a plate shape and is formed with at least one groove for inserting a strap;
a second base plate disposed to face the first base plate in a plan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nd
A second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Including,
A packaging object is placed in a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first base plate, the second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nd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and the strap is introduc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Wrapping the packaging object with the strap by sequentially passing it through the first base plate, the first grid-shaped guide unit, the second base plate, and the second grid-shaped guide unit,
In the first base plate,
a guide roller disposed adjacent to the retracting groove, rotated by a drive motor,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being retrac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downward;
a first lower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first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guided downward by the guide roller toward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nd
A first upper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toward the first lower guide unit.
This is provided,
In the second base plate,
a second lower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second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upward; and
A second upper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lower guide unit toward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Equipped with this,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이드 롤러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랩이 인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인입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가이드 롤러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장형의 회전축부재
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회전축부재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부재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first base plate,
an entry guide plate disposed above the guide roller to form a space into which the strap is inserted; and
A long rotating shaft member fastened through the guide roller.
is further provided,
The drive motor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member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member.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부가이드 유닛은,
소정 곡률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의 상기 제1 격자형 홈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상부가이드 유닛의 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의 상기 제1 격자형 홈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은 상기 제2 하부가이드 유닛의 일단으로 안내되어 상기 가이드 롤러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하부가이드 유닛의 곡형의 가이드면을 따라 진행하며 상기 제2 상부가이드 유닛의 하단으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econd lower guide unit,
It is formed to b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grid-shaped groove of the first grid-shaped guide unit,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guide unit,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grid-shaped groove of the first grid-shaped guide unit is guided to one end of the second lower guide unit and is guided to the curved guide surface of the second lower guide unit by forward rotation of the guide roller. Characterized in that it proceeds along and enters the bottom of the second upper guide unit,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과 상기 제1 하부가이드 유닛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절단시킴과 동시에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진행하는 상기 스트랩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상호 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압착절단 유닛
이 더 구비되는,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first base plate,
I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the first lower guide unit and cuts the strap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and at the same time,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strap that is retrac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and the first lower guide unit are cut. 1 A compression cutting unit configured to mutually compress at least some areas of the strap that passes through the upper guide unit and progresses downward.
This is further provided,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과 상기 압착절단 유닛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압착절단 유닛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수직가이드 유닛
이 더 구비되는,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In the first base plate,
A vertical guide unit provided between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to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This is further provided,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절단 유닛은,
이중의 상기 스트랩을 진동하며 일측에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압착부;
상기 압착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진동으로 가압되는 상기 스트랩을 타측에서 면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압착지지부; 및
상기 압착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이중의 상기 스트랩 중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절단하도록 구성되는 절단부
를 포함하는 것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a pressing portion configured to vibrate the double strap and pressurize it from one side;
a compression support portion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mpression portion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surface of the strap pressed by vibration from the other side; and
A cutting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essing portion and configured to cut the strap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ng groove among the straps.
which includes,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절단 유닛은,
상기 절단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스트랩 인입플레이트;
상기 제1 스트랩 인입플레이트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이중의 상기 스트랩 중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에 대한 제1 인입로를 형성시키는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스트랩 인입플레이트의 외면을 소정 간격을 두고 커버함으로써 이중의 상기 스트랩 중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 및 상기 수직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에 대한 제2 인입로를 형성시키는 스트랩 인입체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A first strap inlet plate disposed above the cut portion;
a second strap inlet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trap inlet plate to form a first inlet path for the strap to b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groove among the straps; and
A strap inlet fastening unit that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trap inlet pl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second inlet path for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the vertical guide unit among the straps.
which further includes,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장착되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압착절단 유닛을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 플레이트
가 더 구비되고,
상기 압착절단 유닛은,
상기 스트랩에 대한 절단 및 압착이 완료된 후 상기 이동 플레이트가 일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트랩 인입체결부의 제2 인입로에 인입된 상태의 상기 스트랩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In clause 7,
In the first base plate,
A moving plate mount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move the pressing and cutting unit in one direction by moving in one direction.
is further provided,
The compression cutting unit,
After the cutting and pressing of the strap is completed, the moving plate moves to one side, exposing the strap inserted into the second inlet passage of the strap inlet fastening unit to the outside.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로서,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스트랩이 인입되는 인입용 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소정 간격을 두고 면 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포장대상물을 배치시키고,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스트랩으로 상기 포장대상물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인입용 홈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하방으로 유도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에 의해 하방으로 유도된 상기 스트랩을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하부가이드 유닛;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1 하부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1 승강용 피스톤; 및
상기 제1 승강용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승강용 실린더
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하부가이드 유닛;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하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상부가이드 유닛;
상기 제2 상부가이드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제2 승강용 피스톤; 및
상기 제2 승강용 피스톤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승강용 실린더
가 구비되는,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As a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a first base plate that has a plate shape and is formed with at least one groove for inserting a strap;
a second base plate disposed to face the first base plate in a plan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nd
A second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Including,
A packaging object is placed in a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first base plate, the second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nd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and the strap is introduc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Wrapping the packaging object with the strap by sequentially passing it through the first base plate, the first grid-shaped guide unit, the second base plate, and the second grid-shaped guide unit,
In the first base plate,
a guide roller disposed adjacent to the retracting groove, rotated by a drive motor,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being retrac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downward;
a first lower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first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guided downward by the guide roller toward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 first upper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toward the first lower guide unit;
a first lifting piston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A first lifting cylinder configured to lift and lower the first lifting piston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second base plate,
a second lower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second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upward;
a second upper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lower guide unit toward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a second lifting piston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upper guide unit; and
A second lifting cylinder configured to lift and lower the second lifting piston in the vertical direction.
Equipped with,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로서,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스트랩이 인입되는 인입용 홈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소정 간격을 두고 면 방향으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 영역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포장대상물을 배치시키고,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에 순차로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스트랩으로 상기 포장대상물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인입용 홈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인입용 홈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스트랩을 하방으로 유도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롤러;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롤러에 의해 하방으로 유도된 상기 스트랩을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하부가이드 유닛;
상기 제1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1 하부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1 상부가이드 유닛;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하는 상기 스트랩의 길이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랩 센싱부; 및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하는 상기 스트랩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용 스토퍼
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격자형 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하부가이드 유닛; 및
상기 제2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하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한 상기 스트랩을 상기 제2 격자형 가이드 유닛 측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제2 상부가이드 유닛
이 구비되고,
상기 스트랩 센싱부는,
상기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을 통과하는 상기 스트랩의 길이가 미리 입력된 길이 값에 도달하면 상기 고정용 스토퍼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고정용 스토퍼가 상기 스트랩 센싱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상부가이드 유닛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상기 스트랩을 고정시키면 역회전하며 상기 스트랩을 역방향으로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스트랩 포장 자동화 장치.
As a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a first base plate that has a plate shape and is formed with at least one groove for inserting a strap;
a second base plate disposed to face the first base plate in a plane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 first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and
A second grid-type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rea between the first base plate and the second base plate
Including,
A packaging object is placed in a receiving space formed by the first base plate, the second base plate,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nd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and the strap is introduced through the insertion groove. Wrapping the packaging object with the strap by sequentially passing it through the first base plate, the first grid-shaped guide unit, the second base plate, and the second grid-shaped guide unit,
In the first base plate,
a guide roller disposed adjacent to the retracting groove, rotated by a drive motor,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being retracted through the retracting groove downward;
a first lower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first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guided downward by the guide roller toward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a first upper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toward the first lower guide unit;
a strap sensing unit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configured to measure the length of the strap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and
A fixing stopper configured to secure the strap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is provided,
In the second base plate,
a second lower guide unit disposed below the second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grid-type guide unit upward; and
A second upper guide unit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base plat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strap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lower guide unit toward the second grid-type guide unit.
This is provided,
The strap sensing unit,
Characterized in transmitting a signal to operate the fixing stopper when the length of the strap passing through the first upper guide unit reaches a pre-entered length value,
The guide roller is,
When the fixing stopper receives a signal from the strap sensing unit and fixes the strap to at least a partial area of the first upper guide unit, it rotates in reverse and winds the strap in the reverse direction,
Strap packaging automation device.
KR1020230101819A 2023-08-01 2023-08-03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KR1026373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6043A KR20240022525A (en) 2023-08-01 2024-02-01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KR1020240016051A KR20240022526A (en) 2023-08-01 2024-02-01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100544 2023-08-01
KR1020230100544 2023-08-01
KR1020230101062 2023-08-02
KR20230101062 2023-08-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6051A Division KR20240022526A (en) 2023-08-01 2024-02-01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KR1020240016043A Division KR20240022525A (en) 2023-08-01 2024-02-01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380B1 true KR102637380B1 (en) 2024-02-19

Family

ID=9005566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819A KR102637380B1 (en) 2023-08-01 2023-08-03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KR1020240016051A KR20240022526A (en) 2023-08-01 2024-02-01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KR1020240016043A KR20240022525A (en) 2023-08-01 2024-02-01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6051A KR20240022526A (en) 2023-08-01 2024-02-01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KR1020240016043A KR20240022525A (en) 2023-08-01 2024-02-01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63738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116B1 (en) * 2014-09-03 2015-01-22 황양숙 Box banding apparatus
KR101615717B1 (en) 2015-11-25 2016-04-26 대은엠비코(주) feeding and tension unit for band for packing a box and banding appratus having the same
KR20190093001A (en) * 2018-01-31 2019-08-08 염정란 A packing box automatic band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116B1 (en) * 2014-09-03 2015-01-22 황양숙 Box banding apparatus
KR101615717B1 (en) 2015-11-25 2016-04-26 대은엠비코(주) feeding and tension unit for band for packing a box and banding appratus having the same
KR20190093001A (en) * 2018-01-31 2019-08-08 염정란 A packing box automatic ban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2526A (en) 2024-02-20
KR20240022525A (en)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5210A (en) Procedure and device for the wrapping os compressed bales
ES2361652T3 (en) PROCEDURE FOR THE APPLICATION OF FLAT TAPE RIBBONS AROUND PACKING PARTS AS WELL AS FLEJE DEVICES FOR THE PERFORMANCE OF THE PROCEDURE.
KR102637380B1 (en) Strap packaging automation unit
KR101950986B1 (en) Packing apparatus of box multi banding
US2838992A (en) Apparatus for applying metal bands about an article or articles
KR101056262B1 (en) Transparent cover packaging device of open box
CN114162380A (en) Suspension film roll binding device
KR101707006B1 (en) Apparatus For Packing Vegetables Using Packing Member Having Air-Column
CN215884201U (en) Double-station packaging equipment
US85167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strapping one or more packets with a band with label means
CN112722388B (en) Head for strapping machine and strapping machine
CN211076451U (en) Automatic production assembly line for protective frame
RU2405722C2 (en) Banding machine
CN213323876U (en) Packaging system for compressible materials
CN210391645U (en) Automatic two-way strapping line
KR102077504B1 (en) Apparatus for wrapping sandwich
US61384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lacing sheets of plastic from a roll onto the second top tier of a lumber package
CN219215503U (en) Automatic packing device
AU2002326212A1 (en) Method and device for strapping one or more packets with a band with label means
GB2078659A (en) Band straightening device for strapping apparatus
CN216154095U (en) Up-down arrow-penetrating type binding machine
JP3063012B2 (en) Automatic bin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igid objects
CN215884202U (en) Limiting device for medicine bottle outer box bundling machine
CN220391716U (en) Automatic packing line meeting vertical and horizontal packing function
CN219361422U (en) Rotary bundling device for cylindrical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