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139B1 -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139B1
KR102637139B1 KR1020210185756A KR20210185756A KR102637139B1 KR 102637139 B1 KR102637139 B1 KR 102637139B1 KR 1020210185756 A KR1020210185756 A KR 1020210185756A KR 20210185756 A KR20210185756 A KR 20210185756A KR 102637139 B1 KR102637139 B1 KR 102637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shaft member
fastening
connection portion
memb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500A (ko
Inventor
백우열
오용환
Original Assignee
백우열
오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우열, 오용환 filed Critical 백우열
Priority to KR1020210185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139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 버팀보용 축부재의 연결부의 좌굴에 대한 방지효과를 높이기 위해 축부재 연결부를 중심으로 축부재보다 넓은 길이로 1차로 상기 축부재를 감싸는 제1소켓과, 상기 제1소켓의 중심을 단단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고강도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된 보강관에 고장력볼트의 체결방식으로 체결하여 이중 조임형태로 하여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을 방지하도록 한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는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관으로서 상호 밀착되는 한 쌍의 축부재와; 상기 한 쌍의 축부재를 그 외주면에서 감싸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절취부가 형성된 제1소켓과; 상기 제1소켓의 외주면 가운데에 배치됨과 동시에 강판을 절곡하여 플랜지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제2소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방법은 관경이 동일한 2개의 축부재의 연결부을 축선방향으로 맞대는 단계; 상기 축부재의 연결부의 외면을 절반씩 포위하도록 제1소켓을 둘러 씌우는 단계; 상기 제1소켓의 가운데 외측면에 제2소켓을 씌우는 단계; 상기 제2소켓을 오므려뜨림과 동시에 다수개의 체결공에 체결볼트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Double socket type shaft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for preventing buckling of shaft member connection part}
본 발명은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강관 버팀보 축부재 간의 연결강도를 높여 효과적으로 좌굴을 방지하고, 사용 후 해체도 용이한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려면 해당 지반의 시공경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H빔을 설치하고, 인접한 H빔 사이에 토류판을 설치하면서 일정한 심도마다 띠장을 부착하여 H빔과 토류판을 안정시킨다.
이때, 상기 띠장과 버팀보의 스트러트의 소재는 일반적으로 H빔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러트는 띠장과 버팀보에 비해 짧은 게 일반적이므로 단척 H빔 2개를 연결하는 경우가 매우 드물지만, 특히 버팀보는 길이가 정해진 규격장의 H빔 1개로는 부족한 경우가 흔하다.
이런 경우, 버팀보는 단면이 동일한 규격의 H빔을 필요한 길이가 되도록 연결한다.
연결은 특수 설계한 연결구에 H빔의 연결부을 끼우고 볼트체결하거나, H빔의 양측 플랜지와 웨브의 안팎에 강판을 대고 볼트체결하는 비용접식이다.
등록특허 제10-0733719호와 등록특허 제10-0945049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6727호가 대표적인 데, 문제는 강판과 비체결식으로는 2개의 H빔을 좌굴되지 않도록 연결할 수 없다는 점이다.
또, 지하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띠장과 버팀보의 길이 변경이 불가피한 경우가 흔하며, 앞서 시공한 지하구조물 공사에 투입했다 철거한 띠장과 버팀보를 후시공 지하구조물 구축용 토류판에 재사용할 때 토류판의 설계장 보다 짧으면 덧붙여 길이를 맞추고, 길면 남는 부분을 절단하여 설계장에 맞춰야 한다.
문제는 버팀보의 길이조정이 번거롭고, 별도의 비용도 발생하며, 연결용 강판과 H빔 연결부의 볼트-너트 체결개소가 많아 연결과 해체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733719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6727호 등록특허 제10-094504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강관 버팀보용 축부재의 연결부의 좌굴에 대한 방지효과를 높이기 위해 축부재 연결부를 중심으로 축부재보다 넓은 길이로 1차로 상기 축부재를 감싸는 제1소켓과, 상기 제1소켓의 중심을 단단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고강도의 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된 보강관에 고장력볼트의 체결방식으로 체결하여 이중 조임형태로 하여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을 방지하도록 한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는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관으로서 상호 밀착되는 한 쌍의 축부재와; 상기 한 쌍의 축부재를 그 외주면에서 감싸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절취부가 형성된 제1소켓과; 상기 제1소켓의 외주면 가운데에 배치됨과 동시에 강판을 절곡하여 플랜지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제2소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방법은 관경이 동일한 2개의 축부재의 연결부를 축선방향으로 맞대는 단계; 상기 축부재의 연결부 외면을 절반씩 포위하도록 제1소켓을 둘러 씌우는 단계; 상기 제1소켓의 가운데 외측면에 제2소켓을 씌우는 단계; 상기 제2소켓의 플랜지를 오므려뜨림과 동시에 다수개의 체결공에 체결볼트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관경이 동일한 2개의 축부재를 축선방향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제1소켓과 제2소켓으로 이루어지는 비체결식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는 상하 플랜지와 웨브의 양면에 연결판을 대고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연결하던 H형강제 축부재와는 달리 번거로운 볼트-너트 체결이 생략되므로 신속 간편하게 축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축부재의 좌굴도 효과적으로 방지되며, 연결된 축부재에서 축부재, 제1소켓 및 제2소켓을 단순히 체결볼트로 체결이 단순한 작업으로 사용 후 철거한 축부재를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를 분해 도시한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를 분해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I-I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는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관으로서 상호 밀착되는 한 쌍의 축부재(10)와; 상기 한 쌍의 축부재(10)를 그 외주면에서 감싸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절취부(22)가 형성된 제1소켓(20)과; 상기 제1소켓(20)의 외주면 가운데에 배치됨과 동시에 강판을 절곡하여 플랜지(32)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수개의 체결공(34)이 형성된 제2소켓(30)과; 상기 체결공(34)에 삽입 설치되는 체결볼트(4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는 축부재(10)와 제1소켓(20) 및 제2소켓(3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축부재(10)는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관이다.
또한, 상기 제1소켓(20)은 축부재(10)를 감싸는 형태로서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관을 그 길이방향으로 절취하여 절취부(22)가 형성된 관이다.
여기서, 상기 제1소켓(20)은 강관의 가운데를 길이방향으로 잘라서 절취부(22)를 형성한 C형의 강관을 이용할 수도 있고, 강판을 말아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현장 여건에 맞춰서 시공할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그리고, 상기 제2소켓(30)은 상기 제1소켓(20)의 외주면 가운데에 배치됨과 동시에 강판을 절곡하여 플랜지(32)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수개의 체결공(34)이 형성된 것이다.
즉, 강판을 일정한 직경을 감아서 원형의 강관을 형성하되, 그 원형의 강관을 상호 체결할 수 있도록 그 일정부분이 돌출되도록 플랜지(32)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32)에 체결공(34)을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제2소켓(30)의 체결공(34)에서 연결부위에는 체결볼트(40) 중 장볼트(42)를 설치하고, 상기 장볼트(42)의 좌우측 체결공(34)에는 일반적인 단볼트(44)를 이용하여 체결토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소켓(30)은 그 설치위치에 따라 여러 개를 설치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방법은 관경이 동일한 2개의 축부재(10)의 연결부을 축선방향으로 맞대는 단계; 상기 축부재(10)의 연결부의 외면을 절반씩 포위하도록 제1소켓(20)을 둘러 씌우는 단계; 상기 제1소켓(20)의 가운데 외측면에 제2소켓(30)을 씌우는 단계; 상기 제2소켓(30)의 플랜지(32)를 오므려뜨림과 동시에 다수개의 체결공(34)에 체결볼트(40)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체결공(34) 중 가운데 체결공(34)에는 체결볼트(40) 중에서 장볼트(42)를 삽입하고, 상기 장볼트(42)의 좌우측 체결공(34)에는 단볼트(44)를 삽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방법은 관경이 동일한 2개의 축부재(10)의 연결부을 축선방향으로 맞대고, 상기 축부재(10)의 연결부의 외면을 절반씩 포위하도록 제1소켓(20)을 둘러 씌운 후, 상기 제1소켓(20)의 가운데 외측면에 제2소켓(30)을 씌운 후, 상기 제2소켓(30)의 플랜지(32)를 오므려뜨림과 동시에 가운데 체결공(34)에 체결볼트(40) 중 장볼트(42)를 삽입하고, 상기 장볼트(42)의 좌우측 체결공(34)에 체결볼트(40)의 단볼트(44)를 체결하여 축부재(10)를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나 있고, 그들 특허청구범위의 의미중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10: 축부재 20: 제1소켓
22: 절취부 30: 제2소켓
32: 플랜지 34: 체결공
40: 체결볼트 42: 장볼트
44: 단볼트
A: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Claims (2)

  1.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관으로서 상호 밀착되는 한 쌍의 축부재(10)와;
    상기 한 쌍의 축부재(10)를 그 외주면에서 감싸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절취부(22)가 형성된 제1소켓(20)과;
    상기 제1소켓(20)의 외주면 가운데에 배치됨과 동시에 강판을 절곡하여 플랜지(32)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수개의 체결공(34)이 형성된 제2소켓(30)과;
    상기 체결공(34)에 삽입 설치되는 체결볼트(40)로 구성되고,
    상기 축부재(10)는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소켓(20)은 축부재(10)를 감싸는 형태로서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관을 그 길이방향으로 절취하여 절취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소켓(30)은 강판을 일정한 직경으로 감아서 원형의 강관을 형성하되, 그 원형의 강관을 상호 체결하도록 그 일정부분이 돌출되도록 플랜지(32)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32)에 체결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2소켓(30)의 체결공(34)에서 연결부위에는 체결볼트(40) 중 장볼트(42)를 설치하고, 상기 장볼트(42)의 좌우측 체결공(34)에는 단볼트(44)를 이용하여 체결하며,
    상기 제2소켓(30)은 여러 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2.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관으로서 상호 밀착되는 한 쌍의 축부재(10)와;
    상기 한 쌍의 축부재(10)를 그 외주면에서 감싸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절취부(22)가 형성된 제1소켓(20)과;
    상기 제1소켓(20)의 외주면 가운데에 배치됨과 동시에 강판을 절곡하여 플랜지(32)가 형성됨과 동시에 다수개의 체결공(34)이 형성된 제2소켓(30)과;
    상기 체결공(34)에 삽입 설치되는 체결볼트(40)로 구성되고,
    상기 축부재(10)는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소켓(20)은 축부재(10)를 감싸는 형태로서 일정한 직경 및 길이를 갖는 강관을 그 길이방향으로 절취하여 절취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제2소켓(30)은 강판을 일정한 직경으로 감아서 원형의 강관을 형성하되, 그 원형의 강관을 상호 체결하도록 그 일정부분이 돌출되도록 플랜지(32)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32)에 체결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2소켓(30)의 체결공(34)에서 연결부위에는 체결볼트(40) 중 장볼트(42)를 설치하고, 상기 장볼트(42)의 좌우측 체결공(34)에는 단볼트(44)를 이용하여 체결하며,
    상기 제2소켓(30)은 여러 개가 설치된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관경이 동일한 2개의 축부재(10)의 연결부을 축선방향으로 맞대는 단계;
    상기 축부재(10)의 연결부의 외면을 절반씩 포위하도록 제1소켓(20)을 둘러 씌우는 단계;
    상기 제1소켓(20)의 가운데 외측면에 제2소켓(30)을 씌우는 단계;
    상기 제2소켓(30)의 플랜지(32)를 오므려뜨림과 동시에 다수개의 체결공(34)에 체결볼트(40)를 고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개의 체결공(34) 중 가운데 체결공(34)에는 체결볼트(40) 중에서 장볼트(42)를 삽입하고, 상기 장볼트(42)의 좌우측 체결공(34)에는 단볼트(44)를 삽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방법.
KR1020210185756A 2021-12-23 2021-12-23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102637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756A KR102637139B1 (ko) 2021-12-23 2021-12-23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756A KR102637139B1 (ko) 2021-12-23 2021-12-23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500A KR20230030500A (ko) 2023-03-06
KR102637139B1 true KR102637139B1 (ko) 2024-02-14

Family

ID=8550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756A KR102637139B1 (ko) 2021-12-23 2021-12-23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1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384B1 (ko) * 2020-12-21 2021-07-06 김효정 강관 이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329U (ko) * 1989-06-21 1991-02-12
KR100733719B1 (ko) 2006-02-15 2007-07-04 (주)핸스건설 길이조정형 강관 버팀보
KR100945049B1 (ko) 2009-06-11 2010-03-05 (주)리튼브릿지 강관합성 연결구조
KR20120006727U (ko) 2011-03-22 2012-10-04 만수건설(주) 강관파일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384B1 (ko) * 2020-12-21 2021-07-06 김효정 강관 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500A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440B1 (ko) 연결용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강관버팀보
KR101308575B1 (ko) 띠장-버팀보 일체형 세그먼트
KR100595965B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101357775B1 (ko)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KR20110018581A (ko)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KR20120055236A (ko) 조립식 버팀보 연결 구조체
KR102066926B1 (ko)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KR100698878B1 (ko) 강관 버팀보의 와이형 연결구조
KR20120140318A (ko) 에이치 형강용 가변 스티프너 잭
KR101337001B1 (ko) 강관 버팀보의 이음장치
KR101922534B1 (ko) 흙막이 시공용 각관식 2C(Two-channel) 부재
KR100916546B1 (ko) 지중 가시설 및 이 시공방법
KR100733719B1 (ko) 길이조정형 강관 버팀보
KR101289149B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조 및 강관 버팀보 연결장치
KR101026583B1 (ko) 토류벽체 지지용 띠장재
KR102637139B1 (ko) 축부재 연결부의 좌굴방지용 이중 소켓형 축부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200399887Y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KR102178849B1 (ko) 입체형 아치구조를 활용한 버팀 보강 시스템
KR102000675B1 (ko)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KR101730006B1 (ko) 스틸튜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버팀보
US7887247B2 (en) Underground earth retention strut construction method using horizontal frame structure
KR101958768B1 (ko) 보강봉을 가지는 버팀보를 이용한 토류판 시공 구조물
KR20140014473A (ko) 가축변형 허용 조인트 구조를 갖는 터널 강지보
KR102039928B1 (ko) 내하력과 강성이 향상된 아치형 띠장 구조체
KR102171986B1 (ko) 좌굴과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버팀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