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829B1 - Height adjustable belt in seat system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able belt in sea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829B1
KR102636829B1 KR1020220010632A KR20220010632A KR102636829B1 KR 102636829 B1 KR102636829 B1 KR 102636829B1 KR 1020220010632 A KR1020220010632 A KR 1020220010632A KR 20220010632 A KR20220010632 A KR 20220010632A KR 102636829 B1 KR102636829 B1 KR 102636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lt
lock plate
seat belt
position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6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14461A (en
Inventor
신봉균
조상철
권윤회
신청근
배상화
임민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스
Priority to KR1020220010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829B1/en
Publication of KR2023011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44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8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2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 B60R22/203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being movably mounted on the sl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60R22/024Adaptations for use by small passengers, e.g.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안전벨트 관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탑승한 사용자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안전벨트를 탑승한 사용자의 신체에 맞춰 안전벨트 설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을 이루게 하기 위한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차량시트용 안전벨트(13)가 벨트인출포인트 및 안전벨트클립(12) 사이에 설치되어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안전벨트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차량시트 상부에 고정되는 판상체인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 상기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에 결합되어 안전벨트가 지나는 벨트인출부(22); 상기 벨트인출부(22)와 결합되어 벨트인출부(22)와 함께 차량시트에 대해서 상하로 이동하는 위치락플레이트(26); 및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의 상부면에 접하면서 위치락플레이트(26)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되어 위치락플레이트(26)의 요동을 방지하는 락플레이트레일(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related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related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seat belt installation height can be easily adjusted to suit the body of the user riding the seat belt for safe driving of the vehicle while ensuring safety. It is about a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to achieve th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in which the seat belt 13 for a vehicle seat is installed between the belt withdrawal point and the seat belt clip 12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belt, and has a plate shap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seat. Chain device base plate (21); A belt draw-out portion (22) coupled to the device base plate (21) through which a seat belt passes; A position lock plate (26) coupled to the belt draw-out portion (22) and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seat together with the belt draw-out portion (22); And a lock plate trail (25) tha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is coupled to a protrusion formed on the position lock plate (26) to prevent the position lock plate (26) from shaking.

Description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HEIGHT ADJUSTABLE BELT IN SEAT SYSTEM}Seat belt height adjuster {HEIGHT ADJUSTABLE BELT IN SEAT SYSTEM}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안전벨트 관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탑승한 사용자의 안전한 운행을 위한 안전벨트를 탑승한 사용자의 신체에 맞춰 안전벨트 설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을 이루게 하기 위한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related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belt-related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More specifically, the seat belt installation height can be easily adjusted to suit the body of the user riding the seat belt for safe driving of the vehicle while ensuring safety. It is about a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to achieve this.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탑승자가 앉는 의자인 차량시트가 있고, 이러한 차량시트에 대해서 탑승자가 사고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전벨트가 구비되어 있다.Generally, automobiles have a vehicle seat, which is a chair on which the occupants sit, and these vehicle seats are equipped with seat belts to prevent the occupants from falling off in the event of an accident.

대체로 안전벨트는 탑승자의 가슴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 질러 지지하게 되며, 이로써 탑승자 상체가 차량시트의 등받이에 밀착되게 하는 것이다.In general, the seat belt supports the occupant's chest diagonally across, thereby keeping the occupant's upper body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rest of the vehicle seat.

이러한 안전벨트는 대체로 성인을 기준으로 하여 설치되는 것인바, 상체 신장이 다른 경우에는 안전벨트 설치 높이가 다소 차이가 있어야 할 것이다.These seat belts are generally installed based on adults, so if the upper body height is different, the seat belt installation height will have to be slightly different.

즉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에는 안전벨트가 어린이의 목을 지나기 때문에 자칫 사고가 발생되면 어린이 탑승자의 목을 조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a child is riding, the seat belt passes over the child's neck, so if an accident occurs, the child's neck may be tightened.

이 때문에 어린이가 탑승한 경우에는 가슴을 지지하는 벨트는 뒤로 돌리고 아랫배를 지지하는 벨트만 채용하여 사용하곤 하며, 이럴 경우 안전에 심각한 우려가 있는 것이다.For this reason, when children are riding, the belt that supports the chest is turned backwards and only the belt that supports the lower abdomen is used. In this case, there are serious safety concerns.

또한 키가 작은 여성의 경우에도 목 근처로 안전벨트가 지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안전상에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는 것이다.Also, in the case of short women, the seat belt passes near the neck, which can cause safety problems as well.

이에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장치가 제공되기는 하지만 대부분 높이 조절이 어렵게 되어 사용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는 것으로, 조작이 손쉽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의 제공이 필요한 것이다.Accordingly, although device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seat belts are provided, most of them have the disadvantage of being difficult to adjust the height and thus difficult to us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seat belts that is easy to operate and can be used safely.

등록특허번호 제10-1851902호(2018년 04월 25일 공고)Registered Patent No. 10-1851902 (announced on April 25, 2018)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133480호(1999년 01월 15일 공고)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33480 (announced on January 15, 1999) 공개특허번호 제10-1999-0043730호(1999년 06월 15일 공개)Publication Patent No. 10-1999-0043730 (published on June 15, 1999)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전벨트가 설치되는 안전벨트 인출포인트의 인출부에 대하여 단순한 조작만으로도 안전벨트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make it convenient to use by allowing the height of the seat belt to be easily adjusted with a simple operation of the pull-out portion of the seat belt pull-out point where the seat belt is install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밀어 스프링의 수축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면서, 알맞은 높이로 된 경우 단순히 밀던 힘을 제거하기만 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한번 맞춘 높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더 이상 높이 조절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belt by pushing it and contracting the spring, while maintaining the fixed position with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by simply removing the pushing force when the seat belt is at the appropriate height. Therefore, you can maintain the height you set once and do not need to adjust the height anymor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이 조절 방향으로 다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된 높이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충돌사고가 발생될 경우, 돌기들의 결합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안전벨트의 높이 변화가 발생되지 않아 안전한 안전벨트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sin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height adjustment direction, the adjusted height is maintained as is, and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combined state of the protrusions is maintained, so the height of the seat belt is changed. This means that a safe seat belt installation can be maintained because there is no occurrence of .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벨트 높이 조절시 롤러 및 롤러 이동을 가이드하기 때문에 안전벨트 높이 조절시 이동하는 방향이 뒤틀리지 않아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uide the roller and its movement when adjusting the seat belt height, so that the moving direction is not distorted when adjusting the seat belt height, making operation eas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시트용 안전벨트(13)가 벨트인출포인트 및 안전벨트클립(12) 사이에 설치되어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안전벨트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차량시트 상부에 고정되는 판상체인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 상기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에 결합되어 안전벨트가 지나는 벨트인출부(22); 상기 벨트인출부(22)와 결합되어 벨트인출부(22)와 함께 차량시트에 대해서 상하로 이동하는 위치락플레이트(26); 및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의 상부면에 접하면서 위치락플레이트(26)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되어 위치락플레이트(26)의 요동을 방지하는 락플레이트레일(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in which the seat belt 13 for a vehicle seat is installed between the belt withdrawal point and the seat belt clip 12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belt, Device base plate (21), a plate-shaped chain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seat; A belt draw-out portion (22) coupled to the device base plate (21) through which a seat belt passes; A position lock plate (26) coupled to the belt draw-out portion (22) and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seat together with the belt draw-out portion (22); And a lock plate trail (25) tha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is coupled with a protrusion formed on the position lock plate (26) to prevent the position lock plate (26) from shaking. A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는, 차량시트(10)에 접촉되는 평면인 베이스체결판(211); 및 상기 베이스체결판(211)의 종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롤러(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돌출라인(2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base plate 21 includes a flat base fastening plate 211 in contact with the vehicle seat 10; and a roller guide protruding line 212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slide roller 30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astening plate 21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 및 락플레이트레일(25)의 상부를 감싸면서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에 고정되는 장치하우징(24)을 포함하며, 상기 장치하우징(24)의 중앙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긴 통공인 하우징장공(241)을 통하여 벨트인출부(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device housing 24 that surrounds the upper part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the lock plate trail 25 and is fixed to the device base plate 21, and the device housing ( A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is provided, wherein the belt draw-out portion 22 is position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housing long hole 241, which is a long vertical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at belt 2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하우징(24)의 상부면을 커버하고 전방으로 벨트인출부(22)가 위치되는 장치슬라이드커버(23)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슬라이드커버(23)는 벨트인출부(22)가 종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긴 통공을 형성하는 커버인출체결장공(23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device slide cover 23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housing 24 and has a belt draw-out portion 22 positioned in the front, and the device slide cover 23 A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a cover draw-out fastening hole 231 is formed which forms a long through hole so that the belt draw-out portion 22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하우징(24)은, 상기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 상면에 접하여 결합되는 하우징체결플랫폼(242); 및 상기 하우징체결플랫폼(232)에서 전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면으로써, 내부면에 락플레이트레일(25)이 체결되는 하우징락레일체결측벽(2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housing 24 includes a housing fastening platform 242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base plate 21; And a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comprising a housing lock rail fastening side wall 243, which is a side wall extending in the omni direction from the housing fastening platform 232, to which the lock plate rail 25 is fastened. provid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락플레이트레일(25)은, 상기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에 고정된 하우징으로써 장치하우징(24) 내측벽면에 고정되는 측벽면인 락레일고정측면(251); 상기 락레일고정측면(251)에서 상부 내향으로 연장되고 종방향으로 긴 길이를 형성하는 판체 형상인 락돌기상레일(252); 및 상기 락돌기상레일(252)의 아래 면에서 아래 방향인 위치락플레이트(26)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돌기로써 위치락플레이트(26)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나열된 돌기인 레일락돌기(253)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는, 상기 락플레이트레일(25)과 대면하는 평면인 플레이트평면(261); 상기 플레이트평면(26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락플레이트레일(25)에 형성된 레일락돌기(253)와 대응되어 정렬된 다수 개의 돌기인 락상향돌기(262); 및 상기 플레이트평면(261)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어 벨트인출부(22)가 결합되는 벨트인출체결공(2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ck plate rail 25 is a housing fixed to the device base plate 21 and has a rock rail fixing side 251, which is a side wall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device housing 24. ; A rock protrusion-shaped rail 252 extending inward from the rock rail fixing side 251 and having a plate shape forming a long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rail lock protrusion 253, which i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ock protrusion upper rail 252 in the downward direction towards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which are protrusions arran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lock plate 26 moves. It includes, the position lock plate 26, a plate plane 261, which is a plane facing the lock plate rail 25; Rock upward projections 262 are a plurality of projections that protrude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plate plane 261 and are aligned to correspond to the rail rock projections 253 formed on the rock plate rail 25; and a belt pull-out fastening hole 263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plane 261 to which the belt pull-out portion 22 is coupl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를 락플레이트레일(25) 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리턴스프링(27); 및 상기 리턴스프링(27) 중앙에 위치되어 가이드하는 스프링가이드(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turn spring (27) for pressing the position lock plate (26) in the direction of the lock plate rail (25); and a spring guide (28)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turn spring (27) to guide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가이드(28)의 아래 부분이 위치되어 스프링가이드(28)가 관통하는 스프링가이드체결공(292)이 형성된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 및 상기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의 측벽인 롤러체결측벽(293)에 결합되어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인 슬라이드롤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ring support slide (29)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spring guide (28) and has a spring guide fastening hole (292) through which the spring guide (28) passes. and a slide roller 30, which is a roller coupled to the roller fastening side wall 293, which is a side wall of the spring support slide 29, and mov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base plate 21. provid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는,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긴 길이를 이루는 몸체인 전후진장편플레이트(291)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28)에 가이드되는 리턴스프링(27)이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와 위치락플레이트(26)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ring support slide 29 includes a forward and backward long plate 291, which is a body forming a long leng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lock plate 26 moves, and the spring guide A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is provided, wherein a return spring (27) guided by (28) is located between the spring support slide (29) and the position lock plate (26).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안전벨트가 설치되는 안전벨트 인출포인트의 인출부에 대하여 단순한 조작만으로도 안전벨트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making it 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height of the seat belt can be easily adjusted with a simple operation of the pull-out portion of the seat belt pull-out point where the seat belt is install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에는 밀어 스프링의 수축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하면서, 알맞은 높이로 된 경우 단순히 밀던 힘을 제거하기만 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한번 맞춘 높이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더 이상 높이 조절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belt,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by contracting the spring by pushing it, and when the height is reached, the fixed position is maintain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by simply removing the pushing force. Therefore, you can maintain the height you set once and do not need to adjust the height anymor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높이 조절 방향으로 다수 개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된 높이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충돌사고가 발생될 경우, 돌기들의 결합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안전벨트의 높이 변화가 발생되지 않아 안전한 안전벨트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sinc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height adjustment direction, the adjusted height is maintained as is, and when a collision accident occurs, the combined state of the protrusions is maintained, so the height of the seat belt is changed. This means that a safe seat belt installation can be maintained because there is no occurrence of .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시 롤러 및 롤러 이동을 가이드하기 때문에 안전벨트 높이 조절시 이동하는 방향이 뒤틀리지 않아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not distorted when adjusting the seat belt height because it guides the roller and its movement when adjusting the seat belt height, making operation easy.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차량시트에 견고하게 하우징이 체결되면서, 단단한 구조의 하우징에 돌기레일이 고정되어 있어서 견고한 구조와 단순한 구조를 이루어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Furthermore,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housing is firmly fastened to the vehicle seat, and the protruding rail is fixed to the rigid housing, thereby improving safety by creating a sturdy and simpl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에 대한 전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에 대한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중에서 위치락플레이트 및 스프링 등의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에서 장치베이스플레이트 및 락플레이트레일이 설치된 상태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에서 위치락플레이트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에서 스프링 부재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에서 위치락플레이트와 락플레이트레일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에서 종단면도로, 슬라이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에서 횡단면도로, 스프링 및 롤러 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가 설치된 차량시트에 대한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from all directions of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xploded state.
Figure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components such as the position lock plate and spring are separated.
Figure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the device base plate and rock plate rail installed in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of the position lock plate in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llustration of spring members in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lock plate and the lock play trail are combined in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the slide operation.
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ross-sectional view, spring, roller, etc. in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vehicle seat equipped with a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즉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2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 등에서와 같이, 차량시트용 안전벨트(13)가 벨트인출포인트 및 안전벨트클립(12) 사이에 설치되어 안전벨트(13)의 높이를 조절하는 안전벨트높이조절장치(20)에 관한 것이다. 즉 도 10 등에서와 같이 차량시트(10)에 설치된 안전벨트(13)의 우측 상단 부분에서 인출되는 안전벨트 상단 인출포인트 높이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at is, in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attached Figures 1 to 10, the seat belt 13 for a vehicle seat is installed between the belt withdrawal point and the seat belt clip 12 to secure the seat belt. It relates to a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20) that adjusts the height of (13). That is, as shown in FIG. 10, etc., it relates to a seat belt upper draw-out point height adjustment device that is pulled out from the upper right portion of the seat belt 13 installed on the vehicle seat 10.

그리하여 이러한 안전벨트(13)의 상단 인출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성인의 경우 높이를 높게 조절하여 이용하게 되고, 키가 작은 여성이나, 특히 어린이의 경우 낮은 높이로 안전벨트 높이를 낮게 조절함으로써, 탑승한 사용자의 신체에 맞춰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refor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upper withdrawal of the seat belt 13, the height can be adjusted to be high for adults, and the seat belt height can be adjusted to a low height for short women and especially children, so that the seat belt can be used at a low height. It is about a device that adjusts to the user's body.

이를 위한 세부 구성으로써, 안전벨트높이조절장치(20)에는, 차량시트 상부에 고정되는 판상체인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첨부된 도 2 내지 도 7 등에서와 같이, 대체로 넓은 면적을 갖는 판체 형상을 이루는 것이다.As a detailed configuration for this,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20 is provided with a device base plate 21, which is a plate-shaped chain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seat. That is, as shown in the attached FIGS. 2 to 7, etc., it generally has a plate shape with a large area.

즉 이러한 상기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는, 차량시트(10)에 접촉되는 평면인 베이스체결판(211)을 구비한다.That is, the device base plate 21 includes a base fastening plate 211 that is a fla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vehicle seat 10.

아울러 후술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상기 베이스체결판(211)의 종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롤러(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돌출라인(212)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도 6 등에서와 같이 안전벨트(13) 높이 조절을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위치락플레이트(26)를 이동시킬 경우, 베이스체결판(211)과 접하여 구르는 슬라이드롤러(30)를 뒤틀리지 않고 종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롤러가이드돌출라인(212)이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it includes a roller guide protruding line 212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slide roller 30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astening plate 211. Therefore, when moving the position lock plate 26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belt 13 as shown in Figure 6, etc., the slide roller 30, which rolls in contact with the base fastening plate 211,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being twisted. The roller guide protruding line 212 can be guided to proceed stably.

다음으로 상기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에 결합되어 안전벨트가 지나는 벨트인출부(22)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벨트인출부(22)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신체에 맞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Next, it is coupled to the device base plate 21 and is provided with a belt draw-out portion 22 through which a seat belt passes.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elt draw-out portion 22, it can be used to suit the user's body.

그리고 상기 벨트인출부(22)와 결합되어 벨트인출부(22)와 함께 차량시트에 대해서 상하로 이동하는 위치락플레이트(26)를 구비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위치락플레이트(26)에 벨트인출부(22)를 결합한 것으로, 결국 위치락플레이트(26)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벨트인출부(22) 및 안전벨트(13)의 상부측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And, it is provided with a position lock plate 26 that is coupled to the belt draw-out portion 22 and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seat together with the belt pull-out portion 22. That is, by combining the position lock plate 26 with the belt drawer 22, the height of the upper part of the belt drawer 22 and the seat belt 13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There is.

아울러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의 상부면에 접하면서 위치락플레이트(26)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되어 위치락플레이트(26)의 요동을 방지하는 락플레이트레일(25)을 구비하는 것이다. 즉 위치락플레이트(26)는 락플레이트레일(25)을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들 위치락플레이트(26) 및 락플레이트레일(25) 등에 접하는 부분에 서로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서로 치형과 같이 결합된 상태를 갖기 때문에 조절된 높이를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ovided with a lock plate trail 25 tha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is coupled to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position lock plate 26 to prevent the position lock plate 26 from shaking. That is, the position lock plate 26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rock plate trail 25, and protrusions and grooves are formed at the parts that contact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the rock plate trail 25, so that they form tooth shapes. Because it has a combined state, the adjusted height can always be maintained stably.

이러한 위치락플레이트(26), 락플레이트레일(25) 등이 내부에 포함되면서 차량시트(10)에 견고하게 결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하우징으로써,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 및 락플레이트레일(25)의 상부를 감싸면서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에 고정되는 장치하우징(24)을 포함하는 것이다.As a housing for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firmly attached to the vehicle seat 10 while including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the lock plate trail 25,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the rock plate trail ( It includes a device housing 24 that surrounds the upper part of the device 25 and is fixed to the device base plate 21.

그리고 이러한 상기 장치하우징(24)의 중앙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긴 통공인 하우징장공(241)을 통하여 벨트인출부(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이다.And the belt draw-out portion 22 is position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housing long hole 241, which is a vertically long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evice housing 24.

대체로 이러한 장치하우징(24)은 금속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화재에 대한 특성, 견고한 재질 등의 안전에 필요한 성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사고가 발생되어도 내부 구성요소인 위치락플레이트(26), 락플레이트레일(25) 등이 안정적으로 결합 구조를 갖도록 하여 안전벨트(13)에 의한 작용효과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In general, this device housing 24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but may also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if necessary. In this case, it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has the performance necessary for safety, such as fire resistance and a sturdy material. Therefore, even if an accident occurs, the internal components such as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the lock plate trail 25 will be able to maintain a stable coupling structure to maintain the effect of the seat belt 13.

이와 같이 마련되는 상기 장치하우징(24)은, 상기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 상면에 접하여 결합되는 하우징체결플랫폼(242)을 구비한 것으로,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 및 차량시트(10)와 하우징체결플랫폼(242)과 서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안전벨트(13)에 의한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The device housing 24 prepared in this way is provided with a housing fastening platform 242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base plate 21, and fastens the housing with the device base plate 21 and the vehicle seat 10. By maintaining a state of being firmly coupled to the platform 242, safety by the seat belt 13 can be maintained.

또한 상기 하우징체결플랫폼(242)에서 전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면으로써, 내부면에 락플레이트레일(25)이 체결되는 하우징락레일체결측벽(243)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락플레이트레일(25)이 하우징락레일체결측벽(243)과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써, 결국 락플레이트레일(25), 그리고 이러한 락플레이트레일(25)에 의해 지지되는 위치락플레이트(26) 등이 장치하우징(24) 및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 등을 통해 차량시트(10)에 견고하게 지지되는 상태를 갖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a side wall extending in all directions from the housing fastening platform 242 and includes a housing lock rail fastening side wall 243 to which the lock plate rail 25 is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Therefore, the rock play trail (25) is firmly coupled to the housing lock rail fastening side wall (243), which ultimately results in the rock play trail (25) and the position lock plate (26) supported by the rock play trail (25). The back is firmly supported on the vehicle seat 10 through the device housing 24 and the device base plate 21.

다음으로 상기 장치하우징(24)의 상부면을 커버하고 전방으로 벨트인출부(22)가 위치되는 장치슬라이드커버(23)를 포함하는 것이다.Next, it includes a device slide cover 23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housing 24 and positions the belt draw-out portion 22 forward.

즉 이러한 상기 장치슬라이드커버(23)는 벨트인출부(22)가 종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긴 통공을 형성하는 커버인출체결장공(231)을 형성하는 것이다.That is, the device slide cover 23 forms a cover pull-out joint hole 231 that forms a long through hole so that the belt pull-out portion 22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대체로 이러한 장치슬라이드커버(23)는 전체 안전벨트높이조절장치(20)의 전방향 외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전체 안전벨트높이조절장치(20)의 외관이 깔끔하면서 매끄럽게 형성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신체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마련하게 된다.In general, this device slide cover 23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entir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20 in all directions, creating a clean and smooth appearance of the entir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20, thereby preventing injury to the user's body. Arrangements are made to prevent it from being given.

그리고 상기 락플레이트레일(25)에 대한 세부 구성을 살펴보면, 도 4, 도 7 등의 예에서와 같이 상기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에 고정된 하우징으로써 장치하우징(24) 내측벽면에 고정되는 측벽면인 락레일고정측면(251)을 구비한다.And 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ock plate rail 25, as in the examples of FIGS. 4 and 7, the side wall is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device housing 24 as a housing fixed to the device base plate 21. It is provided with an in-lock rail fixing side (251).

그리하여 락레일고정측면(251)이 장치하우징(24)의 하우징락레일체결측벽(243)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로서, 장치하우징(24) 및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를 통하여 차량시트(1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갖는다.Therefore, the lock rail fixing side 251 is firmly coupled to the housing lock rail fastening side wall 243 of the device housing 24, and the vehicle seat 10 is connected through the device housing 24 and the device base plate 21. It is firmly fixed to.

또한 상기 락레일고정측면(251)에서 상부 내향으로 연장되고 종방향으로 긴 길이를 형성하는 판체 형상인 락돌기상레일(252)을 구비한다. 이러한 락돌기상레일(252)은 중앙의 위치락플레이트(26)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며, 위치락플레이트(26)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긴 길이로 레일 형태로 위치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ovided with a rock protrusion-shaped rail 252 that extends inward from the rock rail fixing side 251 and has a plate shape forming a long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se rock protrusion rails 252 are preferably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sition lock plate 26, and are positioned in the form of rails with a long leng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lock plate 26 travels.

아울러 락플레이트레일(25)에는, 상기 락돌기상레일(252)의 아래 면에서 아래 방향인 위치락플레이트(26)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돌기로써 위치락플레이트(26)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나열된 돌기인 레일락돌기(253)를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lock plate rail 25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ock protrusion upper rail 252 in the direction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which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lock plate 26 moves. It includes rail rock protrusions (253).

이러한 레일락돌기(253)는 아래에 접촉되는 위치락플레이트(26)의 락상향돌기(262)와 치형 결합됨으로서 서로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후술되는 리턴스프링(27)의 탄성 지지력으로 락플레이트레일(25)에 대해 위치락플레이트(26)가 밀착되는 힘에 의하여, 레일락돌기(253)와 락상향돌기(262) 등이 서로의 치형이 견고하게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se rail lock protrusions 253 are tooth-coupled with the upward lock protrusions 262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that contact below, so that they can maintain a firm fastening state. Of course, due to the force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lock plate rail 25 due to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return spring 2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rail lock protrusion 253 and the lock upward protrusion 26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teeth remain firmly inserted.

물론 후술되지만 도 8에서와 같이 벨트인출부(22)를 내향으로 밀게 되면, 미는 힘에 의하여 리턴스프링(27)이 압착됨으로써 레일락돌기(253)로부터 락상향돌기(262)가 이격되며, 이로서 락플레이트레일(25)의 종방향을 따라 위치락플레이트(26)가 이동이 가능한 상태를 형성하게 된다.Of cour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belt draw-out portion 22 is pushed inward as shown in FIG. 8, the return spring 27 is compressed by the pushing force, thereby separating the lock upward projection 262 from the rail lock projection 253, and this causes The position lock plate 26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 plate trail 25.

이에 이러한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에 대한 상세한 구성설명을 하면, 상기 락플레이트레일(25)과 대면하는 평면인 플레이트평면(261)을 구비한다. 그리고 도 5, 도 7 등에서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평면(26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락플레이트레일(25)에 형성된 레일락돌기(253)와 대응되어 정렬된 다수 개의 돌기인 락상향돌기(262)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락상향돌기(262)와 레일락돌기(253)가 서로 치형 결합되는 것이다.Accordingly, if we describ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it is provided with a plate plane 261, which is a plane facing the lock plate rail 25. And, as shown in FIGS. 5, 7, etc., the rock upward projections 262 are a plurality of projections that protrude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plate plane 261 and are aligned to correspond to the rail rock projections 253 formed on the rock plate trail 25. ) is formed. Thus, the rock upward projection 262 and the rail rock projection 253 are tooth-coupled with each other.

또한 위치락플레이트(26)에는 상기 플레이트평면(261)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어 벨트인출부(22)가 결합되는 벨트인출체결공(263)을 포함하는 것이다.Additionally, the position lock plate 26 includes a belt pull-out fastening hole 263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plane 261 to which the belt pull-out portion 22 is coupled.

그리하여 도 1, 도 8, 도 9 등에서와 같이 위치락플레이트(26)에 벨트인출부(22)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갖는 것이다.Therefore, as shown in FIGS. 1, 8, 9, etc., the belt pull-out portion 22 is firmly coupled to the position lock plate 26.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 등에서와 같이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를 락플레이트레일(25) 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리턴스프링(27)이 구비된다.Next, as shown in FIGS. 5 to 7, etc., a return spring 27 is provided that presses the position lock plate 26 in the direction of the lock plate rail 25.

또한 도 2, 도 3 등에서와 같이 이러한 상기 리턴스프링(27) 중앙에 위치되어 가이드하는 스프링가이드(28)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리턴스프링(27)이 안정적인 스프링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Also, as shown in Figures 2, 3, etc., it includes a spring guide 28 that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eturn spring 27 and guides it. Therefore, the return spring 27 has a stable spring action.

다음으로 이러한 상기 스프링가이드(28)의 아래 부분이 위치되어 스프링가이드(28)가 관통하는 스프링가이드체결공(292)이 형성된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를 구비하는 것이다.Next, the lower part of the spring guide 28 is provided with a spring support slide 29 formed with a spring guide fastening hole 292 through which the spring guide 28 passes.

또한 상기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의 측벽인 롤러체결측벽(293)에 결합되어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인 슬라이드롤러(30)를 포함하는 것이다.It also includes a slide roller 30, which is a roller that is coupled to the roller fastening side wall 293, which is a side wall of the spring support slide 29, and mov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base plate 21.

이에 이러한 상기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는,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긴 길이를 이루는 몸체인 전후진장편플레이트(291)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전후진장편플레이트(291)가 위치락플레이트(26)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긴 길이를 형성하기 때문에, 위치락플레이트(26)와 결합된 벨트인출부(22)를 사용자가 상향이나 또는 하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긴 길이의 전후진장편플레이트(291)의 진행방향으로의 긴 길이 형태에 의하여 이동되는 전후진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뒤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spring support slide 29 includes a forward and backward long plate 291, which is a body forming a long leng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lock plate 26 moves. In particular, since the forward and backward long plate 291 forms a long leng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lock plate 26 travels, the user can move the belt draw-out portion 22 coupled with the position lock plate 26 upward or downward. Even if it is moved, it will not be twist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n which it is moved due to the long shape of the long forward and backward long plate 291 in the moving direction.

이처럼 뒤틀리지 않도록 하는 특성은 전후진장편플레이트(291) 아래의 롤러체결측벽(293)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롤러(30)가 전후 방향으로 각각 결합됨으로써 더욱 뒤틀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 characteristic of preventing distortion in this way is that the slide roller 30 coupled to the roller fastening side wall 293 below the forward and backward long plate 291 is coupl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respectively, thereby preventing further distortion.

아울러 상기 스프링가이드(28)에 가이드되는 리턴스프링(27)이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와 위치락플레이트(26)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아래 바닥면인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의 베이체결판(211)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롤러(30)에 의하여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가 지지됨으로써, 리턴스프링(27) 아래를 지지하는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에 의하여 리턴스프링(27)은 더 이상 아래의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 측 방향으로는 진행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the return spring 27 guided by the spring guide 28 is located between the spring support slide 29 and the position lock plate 26. Therefore, the spring support slide 29 is supported by the slide roller 30 mov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bay fastening plate 211 of the device base plate 21, which is the lower floor, so that the spring supporting below the return spring 27 Due to the support slide 29, the return spring 27 no longer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device base plate 21 below.

반면 리턴스프링(27) 상부측은 위치락플레이트(26)의 플레이트평면(261) 아래 면에 지지되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가 벨트인출부(22)를 아래의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 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리턴스프링(27)의 눌림에 의하여, 도 8, 도 9 등에서와 같이 리턴스프링(27) 상부측인 위치락플레이트(26)가 리턴스프링(27) 방향으로 눌리게 된다. 따라서 리턴스프링(27)이 압착됨으로써 위치락플레이트(26)의 락상향돌기(262)와 락플레이트레일(25)의 레일락돌기(253)가 서로 이격된 상태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벨트인출부(22)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위치락플레이트(26)는 장치슬라이드커버(23) 및 장치하우징(24)의 중앙의 장홈을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ide of the return spring (27) is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late plane (261)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belt withdrawal unit 22 in the direction toward the device base plate 21 below, the upper side of the return spring 27 is pushed by the return spring 27, as shown in FIGS. 8 and 9, etc. The position lock plate (26)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return spring (27). Therefore, as the return spring 27 is compressed, the locking upward projection 262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the rail lock projection 253 of the lock plate rail 2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is state, when the user moves the belt drawer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osition lock plate 26 is in a state where the height can be adjusted along the central groove of the device slide cover 23 and the device housing 24. will be.

이처럼 벨트인출부(22)의 높이 조절을 맞춘 상태에서, 벨트인출부(22)를 가압한 힘을 제거하게 됨으로써, 리턴스프링(27)의 탄성 복원력으로 위치락플레이트(26)가 상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위치락플레이트(26)의 락상향돌기(262)와 락플레이트레일(25)의 레일락돌기(253) 등의 치형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 state where the height of the belt draw-out portion 22 is adjusted in this way, the force pressing the belt draw-out portion 22 is removed, and the position lock plate 26 moves upward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27. , the teeth of the lock upward projection 262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the rail lock projection 253 of the lock plate trail 25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maintaining a stable coupling stat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but since this is an embodiment so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10 : 차량시트 20 : 안전벨트높이조절장치
21 : 장치베이스플레이트 22 : 벨트인출부
23 : 장치슬라이드커버 24 : 장치하우징
25 : 락플레이트레일 26 : 위치락플레이트
27 : 리턴스프링 28 : 스프링가이드
29 : 스프링지지슬라이드 30 : 슬라이드롤러
10: Vehicle seat 20: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21: Device base plate 22: Belt drawer
23: device slide cover 24: device housing
25: Rock play trail 26: Position rock plate
27: return spring 28: spring guide
29: Spring support slide 30: Slide roller

Claims (5)

차량시트용 안전벨트(13)가 벨트인출포인트 및 안전벨트클립(12) 사이에 설치되고,
차량시트 상부에 고정되는 판상체인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
상기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에 결합되어 안전벨트가 지나는 벨트인출부(22);
상기 벨트인출부(22)와 결합되어 벨트인출부(22)와 함께 차량시트에 대해서 상하로 이동하는 위치락플레이트(26); 및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의 상부면에 접하면서 위치락플레이트(26)에 형성된 돌기와 결합되어 위치락플레이트(26)의 요동을 방지하는 락플레이트레일(25)를 포함하여 안전벨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안전벨트높이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 및 락플레이트레일(25)의 상부를 감싸면서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에 고정되는 장치하우징(24)을 포함하며,
상기 락플레이트레일(25)은,
상기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에 고정된 하우징으로써 장치하우징(24) 내측벽면에 고정되는 측벽면인 락레일고정측면(251);
상기 락레일고정측면(251)에서 상부 내향으로 연장되고 종방향으로 긴 길이를 형성하는 판체 형상인 락돌기상레일(252); 및
상기 락돌기상레일(252)의 아래 면에서 아래 방향인 위치락플레이트(26)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 개의 돌기로써 위치락플레이트(26)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나열된 돌기인 레일락돌기(253)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는,
상기 락플레이트레일(25)과 대면하는 평면인 플레이트평면(261);
상기 플레이트평면(261)의 양측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락플레이트레일(25)에 형성된 레일락돌기(253)와 대응되어 정렬된 다수 개의 돌기인 락상향돌기(262); 및
상기 플레이트평면(261)의 중앙 부분에 위치되어 벨트인출부(22)가 결합되는 벨트인출체결공(263)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를 락플레이트레일(25) 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리턴스프링(27);
상기 리턴스프링(27) 중앙에 위치되어 가이드하는 스프링가이드(28);
상기 스프링가이드(28)의 아래 부분이 위치되어 스프링가이드(28)가 관통하는 스프링가이드체결공(292)이 형성된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 및
상기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의 측벽인 롤러체결측벽(293)에 결합되어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인 슬라이드롤러(30)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는, 상기 위치락플레이트(26)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긴 길이를 이루는 몸체인 전후진장편플레이트(291)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가이드(28)에 가이드되는 리턴스프링(27)이 스프링지지슬라이드(29)와 위치락플레이트(26)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락레일고정측면(251)이 장치하우징(24)의 하우징락레일체결측벽(243)에 결합된 상태로서, 장치하우징(24) 및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를 통하여 차량시트(10)에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장치베이스플레이트(21)는, 차량시트(10)에 접촉되는 평면인 베이스체결판(211); 및 상기 베이스체결판(211)의 종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드롤러(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가이드돌출라인(212)을 포함하며,
안전벨트(13) 높이 조절을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위치락플레이트(26)를 이동시킬 경우, 베이스체결판(211)과 접하여 구르는 슬라이드롤러(30)가 롤러가이드돌출라인(212)에 의해 뒤틀리지 않고 종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진행하도록 롤러가이드돌출라인(212)이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A seat belt (13) for a vehicle seat is installed between the belt withdrawal point and the seat belt clip (12),
Device base plate (21), a plate-shaped chain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vehicle seat;
A belt draw-out portion (22) coupled to the device base plate (21) through which a seat belt passes;
A position lock plate (26) coupled to the belt draw-out portion (22) and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vehicle seat together with the belt draw-out portion (22);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seat belt, including a lock plate rail (25) that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is combined with a protrusion formed on the position lock plate (26) to prevent the position lock plate (26) from shaking. In the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It includes a device housing 24 that surrounds the upper part of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the lock plate trail 25 and is fixed to the device base plate 21,
The rock play trail (25) is,
A housing fixed to the device base plate 21 and a lock rail fixing side 251, which is a side wall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device housing 24;
A rock protrusion-shaped rail 252 extending inward from the rock rail fixing side 251 and having a plate shape forming a long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ock protrusion rail 252 in the downward direction towards the position lock plate 26 and include rail rock protrusions 253, which are protrusions arran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lock plate 26 moves. do,
The position lock plate 26 is,
Plate plane 261, which is a plane facing the rock plate trail 25;
Rock upward projections 262 are a plurality of projections that protrude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plate plane 261 and are aligned to correspond to the rail rock projections 253 formed on the rock plate rail 25; and
It i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plate plane 261 and includes a belt pull-out fastening hole 263 to which the belt pull-out portion 22 is coupled,
A return spring (27) that presses the position lock plate (26) in the direction of the lock plate rail (25);
A spring guide (28)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return spring (27) and guiding it;
A spring support slide (29) in which a lower part of the spring guide (28) is located and a spring guide fastening hole (292) through which the spring guide (28) passes is formed; and
It includes a slide roller 30, which is a roller that is coupled to the roller fastening side wall 293, which is a side wall of the spring support slide 29, and mov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base plate 21,
The spring support slide 29 includes a forward and backward long plate 291, which is a body forming a long leng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sition lock plate 26 moves, and a return spring guided by the spring guide 28 ( 27) is located between the spring support slide (29) and the position lock plate (26),
The lock rail fixing side 251 is coupled to the housing lock rail fastening side wall 243 of the device housing 24 and is fixed to the vehicle seat 10 through the device housing 24 and the device base plate 21. create a state of
The device base plate 21 includes a base fastening plate 211 that is a fla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vehicle seat 10; And a roller guide protruding line 212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slide roller 30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astening plate 211,
When moving the position lock plate (26)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belt (13), the slide roller (30) rolling in contact with the base fastening plate (211) is not distorted by the roller guide protruding line (212). A seat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ller guide protruding line (212) guides it to move stab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하우징(24)의 상부면을 커버하고 전방으로 벨트인출부(22)가 위치되는 장치슬라이드커버(23)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슬라이드커버(23)는 벨트인출부(22)가 종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긴 통공을 형성하는 커버인출체결장공(231)을 형성하고,
상기 장치하우징(24)의 중앙에 형성된 상하방향의 긴 통공인 하우징장공(241)을 통하여 벨트인출부(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According to clause 1,
It includes a device slide cover 23 that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device housing 24 and has a belt draw-out portion 22 positioned in the front, and the device slide cover 23 has a belt pull-out portion 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ing a cover withdrawal fastening hole 231 that forms a long through hole to be moved to,
A seat belt height adjustment device, wherein the belt draw-out portion (22) is position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housing long hole (241), which is a vertically long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evice housing (2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10632A 2022-01-25 2022-01-25 Height adjustable belt in seat system KR1026368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632A KR102636829B1 (en) 2022-01-25 2022-01-25 Height adjustable belt in sea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632A KR102636829B1 (en) 2022-01-25 2022-01-25 Height adjustable belt in sea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461A KR20230114461A (en) 2023-08-01
KR102636829B1 true KR102636829B1 (en) 2024-02-15

Family

ID=8756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632A KR102636829B1 (en) 2022-01-25 2022-01-25 Height adjustable belt in sea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829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0532Y1 (en) * 1994-12-28 1996-12-17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Height adjustable loop for a safety belt in a car
KR0133480Y1 (en) 1996-05-17 1999-01-15 양재신 Height adjusting device for a vehicle sea belt
KR19980036391U (en) * 1996-12-14 1998-09-15 박병재 Car seat belt height adjustment structure
KR19990043730A (en) 1997-11-29 1999-06-15 정몽규 Seat belt height adjusting device
KR101851902B1 (en) 2017-08-25 2018-04-25 이승현 Safety belt system for adjusting height and ten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4461A (en)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6852B2 (en) Headrest actuator for juvenile vehicle seat
US6491348B1 (en) Child vehicle seat with child-restraint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KR960012611B1 (en) Tiltable safety seat for infants
US6030047A (en) Child vehicle seat with child-restraint harness adjustment mechanism
US7021710B2 (en) Juvenile vehicle seat with movable headrest
US9089219B2 (en) Footrest for car seat
US20120181829A1 (en) Child Safety Seat
US6045184A (en) Child seat
DE202005021431U1 (en) Baby Seat
EP0155784A2 (en) Vehicle seating equipment for children
JP5508790B2 (en) Safety device for car child seat
KR102636829B1 (en) Height adjustable belt in seat system
KR102349798B1 (en) Vehicle seat with continuously height adjustable child booster device
KR20080103912A (en) Child seat
KR100366594B1 (en) Seat belt for child
CN109984519B (en) Shoulder strap height adjusting mechanism and infant carrier thereof
TWI617466B (en) Inclined adjustable child car seat
CN213056792U (en) Headrest adjustable vehicle-mounted child carrier
KR100231542B1 (en) Height-adjustable seat for infant in the rear seat of an automobile
CN220220496U (en) Child safety seat
KR101878616B1 (en) Neck Support for Car having a Height Adjustable
CN113335158B (en) Vehicle back-row seat structure and vehicle
CN210970757U (en) Children retention device for vehicle
KR200141434Y1 (en) Security seat for infant with length-adjustable protection device
KR0114457Y1 (en) Seat having arm rest combimed there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