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800B1 -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 - Google Patents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800B1
KR102636800B1 KR1020210140833A KR20210140833A KR102636800B1 KR 102636800 B1 KR102636800 B1 KR 102636800B1 KR 1020210140833 A KR1020210140833 A KR 1020210140833A KR 20210140833 A KR20210140833 A KR 20210140833A KR 102636800 B1 KR102636800 B1 KR 102636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bone tissue
reconstruction
frame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0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6964A (ko
Inventor
이종원
문석호
서태석
이경돈
진병주
류연희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4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800B1/ko
Priority to PCT/KR2022/015940 priority patent/WO2023068798A1/ko
Publication of KR20230056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6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8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61F2/30749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2017/56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oduced with shape and dimensions specific for an individual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61F2002/285Fixation appliances for attaching bone substitute support means to underlying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이면서도 조직 재건까지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며, 체외에서 골 내강주사가 가능하여 자가 조직의 재건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효율적인 치료를 도모할 수 있는,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골 조직을 재건할 골(bone)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양단부에서 골 조직을 재건할 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 {HYBRID SCAFFOLD FOR BONE TISSUE REGENERATION HAVING WINDOW CAPABLE OF INTRAOSSEOUS ACCESS}
본 발명은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이면서도 조직 재건까지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며, 체외에서 골 내강주사가 가능하여 자가 조직의 재건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효율적인 치료를 도모할 수 있는,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뼈 이식은 자가 인체 조직에서 일부 뼈를 분리하여 결손부에 이식하거나, 금속성 재료를 이용해 이식하는 방법이 있었다.
기존의 방법들은 외적으로 보여지는 모습이 본래의 형상과 비교하여 많이 상이하다.
자가 뼈를 이용하는 경우 환부와 다른 정상적인 인체 부위에 2차 상처를 내고 뼈를 깎아서 사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금속성 재료는 무게 때문에 많은 양을 사용할 수 없다.
한편, 근래에 들어 골조직 재생용 생체재료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특히 생체재료 관련 연구개발 중 인공지지체(Scaffold)는,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 즉, 체외에서 손상부위와 동일한 세포를 배양한 후 손상 부위에 이식하여 해당 기능을 발휘케 하는 조직재생의 목적을 위한 학문)의 주요한 이슈 중 하나로서, 세포의 증착, 증식 및 분화를 도울 수 있는 생체적합성 소재와 제조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인공지지체는, 이식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체내에서 세포의 번식을 지원하면서 서서히 분해되어 체내에 흡수되어야 하는 요구에 따라 자가생성의 유도시간과 생체 내 거부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고, 체내 생분해활동대사가 활발한 생체고분자, 합성고분자, 생체세라믹 또는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다공성 구조로 제작되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인공지지체의 제작이 가능하여 뼈 결손부를 치료하기 위해 자가 CT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의 뼈 모양과 동일한 형태의 인공지지체를 제작하여 이식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하악골 등의 재건 방법은 단일소재를 사용하는 방법, 종아리뼈 유리 피판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여기서 단일소재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 금속소재, 생분해성소재를 각각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들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첫째, 금속소재만을 이용할 때 접합부의 골 마모, 파손, 골수 부분 부작용과 무거운 이질감 등이 있다.
둘째, 생분해성소재만을 이용할 때 그 특성 상 재골절, 파손 그리고 접합부분이 취약해진다.
구체적으로, 티타늄 재료는 정형외과 및 성형외과 등 다양한 외과 수술 현장에서 뼈 재건과 관련하여 가장 널리 사용하는 재료중 하나이나 티타늄 재료는 수술 후 돌출되어 튀어 나오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는 주변 조직과의 융합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아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주변 뼈나 연조직과의 기계적 강도의 불일치로 인한 이유가 크다.
특히, 하악골의 경우 저작 활동으로 인해 강한 힘이 부가되는 부분으로 티타늄 재료의 사용이 필수적이나, 하악골의 특성상 하악골 재건 후 치조골 재건 및 치과용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티타늄으로만 제작되는 경우 임플란트 식립이 불가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힘을 받는 부위와 자가 골이 재생되어야 하는 부분을 구분하여 두 가지 서로 다른 재료가 하이브리드 되어야 하는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도 1은 골 재건이 필요한 환자의 장골(long bone)의 일례를 도시한 것인데, 장골 결손 환자의 재건에 있어, 단순한 bone graft는 불가능하고, Fibular bone을 사용할 수 밖에 없으며, 결과적으로, 매우 얇은 뼈만 남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형적으로도 얇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Tibia bone은 골이식 공여가 될 수 없으므로, 현재 재건술은 강도는 약하더라도 fibular bone을 적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다음으로, 도 2는 암에 의한 하악골 결손(10) 등으로 인해 골 재건이 필요한 환자의 두개골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미용적 회복 및 기능적 회복을 위한 골 재생이 필요하다.
현재 하악골 재건술은 종아리뼈 유리 피판을 이용한 이식술이 이용되고 있으나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하고(경제적 문제 발생), 보행 시 하지 통증이 발생하며(심할 경우 합병증 발생), 인위적인 하악 굴곡 형태 재건의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골 재건에 이용되는 생분해성 소재를 이용한 구조체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생분해성 단일소재(20)는 저작 중 스캐폴드 파손 우려가 있고((약한 강도), 접합부분이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4는 종래의 골 재건에 이용되는 금속소재를 이용한 구조체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금속 단일소재(30)는 접합부의 골 마모가 발생하고, 접합부 골 파손의 우려가 있으며, 무거운 이물감이 발생하고, 골수 부분에 부작용이 나타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골 재건을 위한 인공지지체를 제공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최근 재생을 위한 인공지지체는 생체고분자를 이용하여 제작한 인공지지체를 적용하거나 세라믹 물질(TCP, HA 등)의 분말 타입을 혼합하여 제작한 인공지지체가 연구되고 있고, 세라믹 입자는 뼈 조직 유도를 위한 인공지지체의 기계적 물성을 높이고, 유입된 세포들이 뼈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촉진제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뼈 조직 재생을 위한 고 기능성 인공지지체의 개발은 미흡한 점이 많이 있고, 좀 더 진보적인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033598(2021.03.29.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21-0033598(2021.03.29.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69127(2013.05.29.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67221(2014.03.12.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량이면서도 조직 재건까지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지며, 체외에서 골 내강주사가 가능하여 자가 조직의 재건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효율적인 치료를 도모할 수 있는,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골 조직을 재건할 골(bone)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골 조직을 재건할 골(bone)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양단부에서 골 조직을 재건할 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는, 커버 바디부; 상기 커버 바디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부; 및 상기 커버 바디부를 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피스가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피스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는 생체적합성 금속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바디부는 일측으로 만곡된 판상 스트랩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는, 상기 커버 바디부의 하나 이상의 개소에 형성되는 포어부(pore por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는, 골 조직 재건을 위한 생체적합성 소재로 형성되고, 단부에서 골을 수용하거나 감싸는 관형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수술 시 피부절개 범위를 최소화하고, 정합성 및 결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기존의 인공지지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 및 두께를 감소시켜 경량이며, 조직 재건까지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져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뼈를 감싸는 면적이 증가하고, 뼈의 물성과 유사한 강도를 가져 더욱 효율적인 치료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수술 후 골 유도 촉진제, 세포치료제(ASC, MSC, BM), 항생제, 항암제 등의 골 내강주사(intraosseous access)를 체외에서 실행할 수 있어 수술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환자의 회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골 재건이 필요한 환자의 장골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암에 의한 하악골 결손(10) 등으로 인해 골 재건이 필요한 환자의 두개골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골 재건에 이용되는 생분해성 소재를 이용한 구조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골 재건에 이용되는 금속소재를 이용한 구조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의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를 장골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가 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3D 이미지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의 윈도우를 통해 골 내강 주사하는 실시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의 실시 예들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를 장골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가 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3D 이미지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를 촬영한 사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의 윈도우를 통해 골 내강 주사하는 실시 예시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는,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커버 바디부(110)와 윈도우부(120) 및 고정피스 결합부(130)를 포함하여 조직 재건까지 하중(응력)을 견디는 커버 프레임 부재(100); 및 자가 조직 재건을 유도하는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는, 도 5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골 조직을 재건할 골(bone)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프레임 부재(100); 및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양단부에서 골 조직을 재건할 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100)는 금속 프레임 부재로 형성되어 조직 재건까지 하중(응력)을 견디는 기능을 제공하며, 필요에 따라 추후 제거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100)는 골 조직을 재건할 골의 일측을 커버하는 커버 바디부(110)와, 인공 지지구의 수술 후 체외에서 골 내강 주사를 행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바디부(11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부(window portion)(120), 및 상기 커버 바디부(110)를 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피스가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피스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100)는 경량화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개소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포어부(pore portion)(140), 및 지지력 확보를 위한 돌출부(1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디부(110)는 공지의 생체적합성 금속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바디부(110)는 골 조직을 재건할 골의 형상이나 형태를 고려하여 3D 프린팅 방법 등을 통해 맞춤 제작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커버 바디부(110)는 일단부 또는 양단부의 일면이 골 조직을 재건할 골을 커버하는 측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버 바디부(110)는 소정 두께(바람직하게는, 0.8mm ~ 2mm)와 길이(바람직하게는 55mm)의 판상 스트랩(strap)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으로 만곡된 또는 단면 형상이 일측으로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120)는 골 조직을 재건할 대상 골 및 골 부위를 고려하여 강도가 가장 높고 응력에 적합한 형상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윈도우부(120)는 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을 포함하는 다각형 또는 원형의 구멍으로 형성된다.
상기 윈도우부(120)는 커버 바디부(1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피스 결합부(130)는 커버 바디부(110)를 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피스가 체결되는 구멍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피스 결합부(130)는 윈도우부(120)를 중심으로 커버 바디부(110)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100)는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100)는 경량화를 위하여 커버 바디부(110)의 복수 개소에 형성되는 포어부(pore portion)(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 바디부(110)의 일측, 예를 들면 포어부(140)의 주변에 형성되어 수술 부위에서 위치결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돌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200)는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단부에서 골 조직을 재건할 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자가 조직 재건을 유도하는 생체적합성 소재로 형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200)는 커버 프레임 부재(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양단부 또는 일단부에서 골 조직을 재건할 골을 수용하거나 감싸는 관형체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200)는 골 조직 재건을 유도하는 생체적합성 소재로 형성되고, 골 조직 재건을 위한 뼈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200)는 내부가 상기 윈도우부(120)를 통해 커버 바디부(110)의 상측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는 열 재건 기간 동안 해당 골 조직 재건 부위에서 충분한 응력을 확보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는 커버 프레임 부재(100)와 이 커버 프레임 부재(100)에 형성되는 윈도우부(120) 및 포어부(140)는 하기와 같은 특정 설계값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진다.
커버 프레임 부재(100) 소재의 허용 피로하중을 Y, 외부에서 가해지는 예상 최대 하중(예, 몸무게 등)을 F, 커버 프레임 부재(100)의 폭을 w, 두께를 t, 윈도우부(120)의 직경을 D라고 정의할 때, 아래의 설계값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진다.
D ≤ w - 3F/(Yt)
여기에서, 커버 프레임 부재(100)의 경량화를 위하여 포어부(140)를 더 포함하는 경우, 포어부(140)의 지름을 d, 포어부(140)의 개수를 n이라고 할 때, 아래의 설계값을 만족하도록 이루어진다.
D + nd ≤ w - 3F/(Yt)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를 촬영한 사진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는,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200)를 통해 골을 연결함과 동시에,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200)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커버 프레임 부재(100)는 양단부에서 골을 안정적으로 커버하며, 인공 지지구의 이식 시 하중(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수술 후,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골 유도 촉진제, 세포치료제(ASC, MSC, BM), 항생제, 항암제 등의 골 내강주사(intraosseous access)를 체외에서 커버 프레임 부재(100)의 윈도우부(120)를 통해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에 의하면, 수술 시 피부절개 범위를 최소화하고, 정합성 및 결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길이 및 두께를 감소시켜 경량이며, 조직 재건까지 충분한 하중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가져 제품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뼈를 감싸는 면적이 증가하고, 뼈의 물성과 유사한 강도를 가져 더욱 효율적인 치료를 도모할 수 있으며, 수술 후 골 유도 촉진제, 세포치료제(ASC, MSC, BM), 항생제, 항암제 등의 골 내강주사(intraosseous access)를 체외에서 실행할 수 있어 수술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환자의 회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커버 프레임 부재
110: 커버 바디부
120: 윈도우부
130: 고정피스 결합부
140: 포어부(pore portion)
150: 돌출부
200: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

Claims (6)

  1. 삭제
  2.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골 조직을 재건할 골(bone)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버 프레임 부재; 및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양단부에서 골 조직을 재건할 골이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는, 커버 바디부와, 상기 커버 바디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부와, 상기 커버 바디부를 골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피스가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피스 결합부, 및 상기 커버 바디부의 하나 이상의 개소에 형성되는 포어부(pore portion)를 포함하며,
    상기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는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의 윈도우부를 통해 상기 커버 바디부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 부재는 생체적합성 금속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 바디부는 일측으로 만곡된 판상 스트랩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직 재생 연결부재는,
    골 조직 재건을 위한 생체적합성 소재로 형성되고, 단부에서 골을 수용하거나 감싸는 관형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
KR1020210140833A 2021-10-21 2021-10-21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 KR102636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833A KR102636800B1 (ko) 2021-10-21 2021-10-21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
PCT/KR2022/015940 WO2023068798A1 (ko) 2021-10-21 2022-10-19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0833A KR102636800B1 (ko) 2021-10-21 2021-10-21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6964A KR20230056964A (ko) 2023-04-28
KR102636800B1 true KR102636800B1 (ko) 2024-02-15

Family

ID=86059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0833A KR102636800B1 (ko) 2021-10-21 2021-10-21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6800B1 (ko)
WO (1) WO202306879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68771A1 (en) * 2008-11-24 2010-07-0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o affect anatomical structures
US20150094810A1 (en) * 2006-04-11 2015-04-02 Biomet Manufacturing, Llc Contoured bone plat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51Y2 (ja) * 1989-01-17 1994-02-02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骨接合用プレート
KR101269127B1 (ko) 2011-10-18 2013-05-2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멤브레인형 인공 지지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67221B1 (ko) 2012-06-15 2014-03-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인공 지지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5705B1 (ko) * 2012-08-14 2014-04-15 주식회사 비에스코렘 골 접합용 플레이트 및 이를 구비하는 골 접합용 플레이트 조립체
KR102142778B1 (ko) * 2018-11-28 2020-08-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골 재건용 하이브리드 구조체
KR102350987B1 (ko) 2019-09-18 2022-01-1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인공지지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94810A1 (en) * 2006-04-11 2015-04-02 Biomet Manufacturing, Llc Contoured bone plate
US20100168771A1 (en) * 2008-11-24 2010-07-0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o affect anatomical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8798A1 (ko) 2023-04-27
KR20230056964A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4909B1 (en) Method of restructuring bone
AU718801B2 (en) Resorbable, macro-porous, non-collapsing and flexible membrane barrier for skeletal repair and regeneration
US6391059B1 (en) Membrane with tissue-guiding surface corrugations
US6712851B1 (en) Resorbable, macro-porous non-collapsing and flexible membrane barrier for skeletal repair and regeneration
CN102036612B (zh) 用于整形外科应用的骨锚
US6280473B1 (en) Resorbable, macro-porous, non-collapsing and flexible membrane barrier for skeletal repair and regeneration
Sevin et al. Exposure of high-density porous polyethylene (Medpor®) used for contour restoration and treatment
CA2764495C (en) Tissue integration design for seamless implant fixation
Liu et al. Porous polyethylene implant for cranioplasty and skull base reconstruction
US8728809B2 (en) Use of pressure waves for stimulati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post-implantation viability of stem cells
EP2696810A1 (en) Acetabular roof reinforcement plate
Grecchi et al. Reconstruction of the zygomatic bone with smartbone®: Case report
KR102636800B1 (ko) 골 내강 주사가 가능한 윈도우를 갖춘 골조직 재건용 하이브리드 인공 지지구
CA2318862A1 (en) Process to pretreat copper surfaces
CN211750282U (zh) 高融合度的骨盆假体
Pool Coral chemistry leads to human bone repair
CN216455498U (zh) 一种3d打印固定融合一体化后路颈枕融合假体
CN210019808U (zh) 一种髋关节
Al Muderis Osseointegration for Amputees: Past, Present and Future: Basic Science, Innovations in Surgical Technique, Implant Design and Rehabilitation Strategies
Brav et al. The replacement of shaft defects of long bones by metallic prostheses
AU752357B2 (en) Resorbable, macro-porous, non-collapsing and flexible membrane barrier for skeletal repair and regeneration
EP2967875B1 (en) Devices for elongating bone
Habal et al. Experience in Reconstructive Surgery of Craniomaxillofacial Deformities: With Osteomesh, Eleven Years Exper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