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654B1 -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654B1
KR102636654B1 KR1020210130282A KR20210130282A KR102636654B1 KR 102636654 B1 KR102636654 B1 KR 102636654B1 KR 1020210130282 A KR1020210130282 A KR 1020210130282A KR 20210130282 A KR20210130282 A KR 20210130282A KR 102636654 B1 KR102636654 B1 KR 102636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aerosol
processo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2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7287A (en
Inventor
이원경
이창훈
조병성
홍희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10130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654B1/en
Publication of KR20230047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72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6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4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extraction; Tobacco extracts
    • A24B15/241Extraction of specific substances
    • A24B15/243Nicotin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8Fluid transfer means, e.g. pumps
    • A24F40/485Valves;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04W40/06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avail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배터리,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 및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가 저장되는 저장조, 제1 재료를 미세 입자화하여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를 생성하기 위한 홀을 포함하고,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제2 재료를 가열하여 에어로졸 생성하는 구조체 및 외부의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 생성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 또는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 및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를 포함하는 기류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s a battery, a reservoir in which a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and a second material contain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re stored, and a hole for generating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by converting the first material into fine particles; ,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a structure for generating aerosol by heating the second material and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fine particles or aerosol containing generated nicotine are released in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t may include an airflow passage including an outlet discharged to and a connecting passag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apparatus}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실시예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모드와 무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erosol generating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erosol generating devices that can operate in leaded and smokeless modes.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방법을 대체하기 위한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거나, 액체 상태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증기를 생성한 후 생성한 증기를 고체 상태의 향 매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향미를 갖는 에어로졸을 공급하는 등의 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ecently, the demand for technology to replace the method of supplying aerosol by burning a typical cigarette is increasing. For example, an aerosol can be produced from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a liquid state or a solid state, or an aerosol with a flavor can be supplied by generating vapor from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a liquid state and then passing the generated vapor through a solid-state scent medium. Research on methods such as these is in progress.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양 또는 무화량이 많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부드러운 흡연감 및 시각적인 만족감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생성되는 에어로졸의 양 또는 무화량이 적은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환경의 제약 없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If the amount of aerosol or atomization generat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large, a smooth smoking sensation and visual satisfaction may be provided to the us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aerosol or atomization generat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small,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out environmental restrictions.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양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흡연감 또는 흡연 편의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흡연 환경에 따라 에어로졸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Since the feeling of smoking or the convenience of smoking felt by the user may vary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research on aerosol generating devices that can adjust the amount of aerosol according to the smoking environment has recently been gradually increasing.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흡연 환경(예: 흡연 위치)에 따라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증기를 생성하는 무연 모드 또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증기를 생성하는 유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eek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can operate in a smokeless mode that generates a visually invisible vapor or a flexible mode that generates a visually visible vapor depending on the user's smoking environment (e.g., smoking location). do.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It could be.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배터리,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 및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가 저장되는 저장조, 제1 재료를 미세 입자화하여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를 생성하기 위한 홀을 포함하고,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제2 재료를 가열하여 에어로졸 생성하는 구조체 및 외부의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 생성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 또는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 및 유입구와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를 포함하는 기류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attery, a storage tank in which a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and a second material contain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are stored, and a battery for generating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by converting the first material into fine particles. A structure that heats the second material to generate an aerosol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and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generated fine particles or aerosol containing nicotine are It may include an airflow passage including an outle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 connecting passag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흡연 환경에 따라 시각적으로 보이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유연 모드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무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Aerosol generating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operate in a flexible mode that generates visually visible vapor and a smokeless mode that generates visually invisible vapor depending on the smoking environment.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의 흡연 위치와 관계 없이 흡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dditionally,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may enable smoking regardless of the user's smoking location.

실시예들에 의한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저장조, 구조체 및 기류 통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는 제1 흡연 모드로 동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는 제2 흡연 모드로 동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torage tank, structure, and airflow passag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ure 1.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A is a diagram show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operating in a first smoking mode.
Figure 5b is a diagram show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operating in a second smoking mode.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7.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9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is disclosure,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본 개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본 개시에서 사용 된 바와 같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와 같은 표현이 배열된 구성요소들 앞에 있을 때, 배열된 각각의 구성이 아닌 전체 구성 요소들을 수식한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라는 표현은 a, b, c, 또는 a와 b, a와 c, b와 c, 또는 a와 b와 c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A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when an expression such as “at least any one” precedes arranged elements, it modifies all of the arranged elements rather than each arranged element. For example, 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a, b, and c”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a, b, c, or a and b, a and c, b and c, or a and b and c. do.

본 개시에서 '에어로졸(aerosol)'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aerosol' may refer to a gas in which vaporized particles generated from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are mixed with air.

또한, 본 개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의 입을 통해 사용자의 폐로 직접적으로 흡입 가능한 증기 또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present disclosur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refer to a device that generates vapor or aerosol that can be directly inhaled into the user's lungs through the user's mouth.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m.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pres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t may be implemented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 때, 도 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종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At this time, Figure 1 is a cross-sectional view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하우징(110), 저장조(120), 구조체(200) 및 기류 통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추가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110, a reservoir 120, a structure 200, and an airflow passage 300. The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at least one component may be added or at least one component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하우징(11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포함하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The housing 110 includes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can be placed, and can form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일 예시에서,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하우징(110)의 형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에서, 하우징(110)은 다각형 기둥(예: 사각 기둥) 형상일 수도 있다.In one example, the housing 110 may have an overall cylindrical shape, but the shape of the housing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another example, the housing 110 may be shaped like a polygonal pillar (eg, a square pilla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일 영역으로부터 돌출되는 마우스피스 부분(110m)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피스 부분(110m)에 구부를 접촉하고, 마우스피스 부분(110m)을 관통하는 기류 통로(300)의 배출구(302)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흡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include a mouthpiece portion 110m protruding from one area of the housing 110. The user may contact the mouthpiece portion 110m with his or her mouth and inhale the vapor discharged from the outlet 302 of the airflow passage 300 penetrating the mouthpiece portion 110m.

일 예시에서, 마우스피스 부분(110m)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일 영역으로부터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예: 도 1의 z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마우스피스 부분(110m)의 형상이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에서, 마우스피스 부분(110m)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one example, the mouthpiece portion 110m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one area of the housing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10 (e.g., the z direction in FIG. 1) as shown in FIG. 1. , the shape of the mouthpiece portion 110m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another example, the mouthpiece portion 110m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at least in some areas.

저장조(12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저장조(120)에는 시각적으로 다른 증기들을 생성하기 위한 증기 생성 재료가 저장될 수 있다. 증기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액체 상(phase)의 재료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시에서, 증기를 생성하기 위한 재료는 기체 상태이거나, 겔(gel) 상태일 수도 있다.The storage tank 120 may be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10, and steam generating materials for generating visually different vapors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The vapor generating material may be, for example, a liquid phase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nother example, the material for generating vapor may be in a gaseous state or in a gel st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기 생성 재료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 및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 증기 생성 재료의 총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가열에 의해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재료로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apor generating material may include a first material comprising nicotine and a second material comprising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Nicotine may be naturally occurring nicotine or synthetic nicotine and may have a concentration of any suitable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vapor generating material.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is a material that generates an aerosol by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cludes, for example, glycerin,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and oleyl alcohol. It may include at least o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구조체(200)는 저장조(120)에 저장된 증기 생성 재료 중 일부만 통과할 수 있는 미세 크기의 복수의 홀(200h)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미세 크기의 복수의 홀'은 마이크로미터(μm) 단위의 직경을 갖는 홀을 의미할 수 있으나, 복수의 홀(200h)의 형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tructure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icro-sized holes 200h through which only a portion of the vapor 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can pass. In the present disclosure, 'a plurality of fine-sized holes' may refer to holes having a diameter in micrometers (μm), but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holes 200h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체(200)는 저장조(120)와 기류 통로(3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복수의 홀(200h)은 구조체(200)의 저장조(120)를 향하는 제1 영역과 기류 통로(300)를 향하는 제2 영역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저장조(120)와 기류 통로(300)를 연결 또는 유체 연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ructure 200 may be located between the storage tank 120 and the airflow passage 300, and the plurality of holes 200h are in the first area facing the storage tank 120 of the structure 200. It is formed to penetrate the second area facing the airflow passage 300 to connect or fluidly connect the storage tank 120 and the airflow passage 300.

사용자의 퍼프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기류 통로(300)에서는 압력 강하(pressure drop)가 발생할 수 있으며, 기류 통로(300)에서 발생된 압력 강하에 의해 저장조(120)에 저장된 증기 생성 재료의 일부는 복수의 홀(200h)을 통과하며 기류 통로(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증기 생성 재료의 일부가 기류 통로(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원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When a user's puff motion occurs, a pressure drop may occur in the airflow passage 300, and a portion of the vapor 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may be caused by the pressure drop generated in the airflow passage 300. It can move in a direction toward the airflow passage 300 whil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200h. At this time,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principle by which a part of the steam generating material moves in the direction toward the airflow passage 300 will be described lat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조(120)에 저장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는 사용자의 퍼프 동작 발생 시, 복수의 홀(200h)을 통과하며 기류 통로(3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술한 제1 재료는 복수의 홀(200h)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미세 입자화(또는 '마이크로드롭(micro-drop)')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가 생성될 수 있다.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는 기류 통로(300)를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퍼프 동작을 통해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를 흡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may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00h and mov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airflow passage 300 when the user's puff action occurs, as described above. A first material may be converted into fine particles (or 'micro-drop') whil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200h, and as a result,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may be generated.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long the airflow passage 300, and the user may inhale the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through a puff motion.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체(200)는 배터리(41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열을 발생하여 저장조(120)에 저장된 증기 생성 재료의 일부를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체(200)는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저장조(120)에 저장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를 가열하여 제1 재료의 점도를 낮추거나, 저장조(1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410, the structure 200 may generate heat to heat a portion of the vapor 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For example, when power is supplied, the structure 200 heats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to lower the viscosity of the first material, or heats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The aerosol may be generated by heating the second material comprising the aerosol.

즉, 구조체(200)는 사용자의 퍼프 동작 발생하는 경우에는 저장조(120)에 저장된 제1 재료를 미세 입자화하여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를 생성하고, 배터리(41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저장조(120)에 저장된 제2 재료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s puff action occurs, the structure 200 generates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by converting the first material stored in the reservoir 120 into fine particles, and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410. It may serve to generate an aerosol by heating the second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상술한 구조체(200)를 통해 사용자의 흡연 환경에 따라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만 제공하거나,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와 에어로졸을 함께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provide only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or both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and aerosol depending on the user's smoking environment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200. , a detailed explana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기류 통로(300)는 유입구(301), 배출구(302) 및 연결 통로(303)를 포함하며, 외부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증기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 또는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The airflow passage 300 includes an inlet 301, an outlet 302, and a connection passage 303, and air introduc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from the outside and/or the in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t can provide a movement path or flow path through which the vapor generated can mo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구(301)는 하우징(110)의 일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유입구(30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또는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let 301 may be disposed in an area of the housing 110, and external air may flow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r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inlet 301. You can.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구(302)는 마우스피스 부분(110m)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출구(302)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 및/또는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마우스피스 부분(110m)에 구부를 접촉하고, 배출구(30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 및/또는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outlet 302 may be disposed in the mouthpiece portion 110m, and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rough the outlet 302 and/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Fine particles and/or aerosol containing nicotine generated insid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t this time, the user may contact the mouthpiece portion 110m with the mouth and inhale air,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and/or aerosol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302.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통로(303)는 유입구(301)와 배출구(302)를 연결 또는 유체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301)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연결 통로(303)를 따라 이동하며 배출구(30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nection passage 303 may connect or fluidly connect the inlet 301 and the outlet 302. Accordingly,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rough the inlet 301 may move along the connection passage 303 and toward the outlet 302.

또한, 연결 통로(303)는 구조체(200)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구조체(200)에 의해 미세 입자화된 니코틴 또는 구조체(20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복수의 홀(200h)을 통해 연결 통로(303)로 유입된 후, 연결 통로(303)를 따라 배출구(302)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ssage 303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structure 200, and the nicotine finely divided by the structure 200 or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structure 20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00h. After flowing into the connection passage 303, it may move along the connection passage 303 toward the outlet 302.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통로(30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 영역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통로(303)는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연결 통로(303)의 형상이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 통로(303)는 적어도 일 영역이 굴곡된(curved)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passage 303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t least one area is bent as shown in FIG. 1 . For example, the connecting passage 303 may be formed in a “┘” shape, but the shape of the connecting passage 303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nection passage 303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at least in one area.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배터리(410), 프로세서(42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410, a processor 420, and a user interface 430.

배터리(4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배터리(410)는 구조체(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조체(2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구조체(200)는 배터리(41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통해 저장조(1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배터리(410)는 프로세서(4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프로세서(42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배터리(410)는 상술한 구성 요소 외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다른 구성 요소(예: 센서,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The battery 410 may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 one example, the battery 4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ructure 200 to supply power to the structure 200, and the structure 200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throug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410. An aerosol can be generated by heating a second material comprising an aerosol-generating substance. In another example, the battery 4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420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420. In another example, the battery 4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components (e.g., sensors, antenna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to supply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프로세서(4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과 전기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작동적으로 연결된다(operatively connected)'는 표현은 구성 요소들이 무선 통신으로 신호를 주고 받거나, 전기적 신호, 광학적 신호 및/또는 자기 신호 등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표현은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The processor 420 may be electrically or operation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expression 'operatively connected' may mean a state in which components are connected so that they can exchange signals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or exchange electrical signals, optical signals, and/or magnetic signals. And the expression may be used with the same meaning below.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흡연 모드에 따라 배터리(410)에서 구조체(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흡연 모드는 시각적으로 보이는(visible)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제1 흡연 모드 및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invisible)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가 배출되는 제2 흡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20 may control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410 to the structure 200 according to the smoking mode. At this time, the smoking mode may include a first smoking mode in which visually visible aerosol is discharged and a second smoking mode in which fine particles containing visually invisible nicotine are discharged.

본 개시에서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다'는 표현은 육안으로 배출 여부가 확인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해당 표현은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expression 'visually invisible' may mean a state in which discharge cannot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and the expression may be used with the same meaning hereinafter.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420)는 제1 흡연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터리(410)를 통해 구조체(200)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지정된 전력'은 구조체(200)의 온도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는 온도에 도달할 수 있는 전력 값을 의미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processor 420 may supply designated power to the structure 200 through the battery 410 so that a visually visible aerosol can be emit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 the first smoking mode. In the present disclosure, 'designated power' may mean a power value that allows the temperature of the structure 200 to reach a temperature that can heat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구조체(200)는 배터리(41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발열하여 저장조(1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제1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420)는 제2 흡연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조체(20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410, the structure 200 can generate heat to heat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and as a result, an aerosol can be generated from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That is, in the first smoking mode, as aerosol is generated, the user can inhale the visually visible aerosol discharg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420 may stop supplying power to the structure 200 so that visually invisible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can be emit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 the second smoking mode. .

이에 따라, 저장조(1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되지 않게 되며, 사용자의 퍼프 동작 발생 시, 저장조(120)에 저장된 제1 재료만 복수의 홀(200h)을 통과하며 미세 입자화될 수 있다. 즉, 제2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고,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지만 생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미세 입자를 흡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is not heated, and when the user's puff operation occurs, only the first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00h and can be converted into fine particles. . That is, in the second smoking mode, aerosol is not generated and only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are generated, so the user can inhale visually invisible fine particles emit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사용자 인터페이스(430)는 프로세서(420)와 전기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 입력(user's input)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4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버튼(button)을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4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430 is electrically or operation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420 and can receive user input. 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430 may include a button capable of receiving user input, and the processor 420 may detect the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4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흡연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흡연 모드에 따라 배터리(410)에서 구조체(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20 selects the smoking mo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based on the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430, and generates a structure in the battery 410 according to the selected smoking mode ( 200) can control the power supplied.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흡연 모드를 제1 흡연 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42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입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이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흡연 모드를 제1 흡연 모드에서 제2 흡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 input is input, the processor 420 may select the smoking mo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s the first smoking mode. As another example, when a user input is additionally input while the user input is input, the processor 420 may switch the smoking mo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from the first smoking mode to the second smoking mode.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상술한 프로세서(420)의 동작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이 배출되는 제1 흡연 모드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가 배출되는 제2 흡연 모드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흡연 환경(예: 흡연 장소)에 따라 제1 흡연 모드 또는 제2 흡연 모드를 취사 선택함으로써, 흡연 환경에 구애 받지 않고 흡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외 흡연 시에는 제1 흡연 모드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을 흡입하고, 실내 흡연 시에는 제2 흡연 모드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를 흡입함으로써, 흡연 환경에 구애 받지 않고 흡연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as a first smoking mode in which aerosol that is visually visible to the us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420 described above and a second smoking mode in which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that are visually invisible are discharged. 2 Smoking modes can be provided together. The user can smoke regardless of the smoking environment by selecting the first smoking mode or the second smoking mode depending on the smoking environment (eg, smoking place). For example, the user inhales visually visible aerosol through the first smoking mode when smoking outdoors, and inhales visually invisible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through the second smoking mode when smoking indoors, thereby creating a smoking environment. You can smoke without restrictions.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조체(200)의 형상 및 기능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shape and function of the structure 20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will be examined in detail.

도 2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저장조, 구조체 및 기류 통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조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때, 도 2에서 실선 화살표는 공기의 이동 경로를 나타내고, 일점쇄선 화살표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의 이동 경로를 나타낼 수 있다.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torage tank, structure, and airflow passag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1,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1. At this time, in FIG. 2, the solid arrow may represent the movement path of air, and the dashed-dotted arrow may represent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하우징(110), 저장조(120), 구조체(200) 및 기류 통로(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housing 110, a reservoir 120, a structure 200, and an airflow passage 300.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FIG. 1,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below. Let's do it.

구조체(200)는 기류 통로(300)의 연결 통로(303)의 적어도 일 영역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구조체(200)의 복수의 홀(200h)은 저장조(120)와 연결 통로(303)를 연결 또는 유체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조(120)에 저장된 증기 생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예: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는 복수의 홀(200h)을 통해 저장조(120)에서 연결 통로(303)로 이동할 수 있다.The structure 200 is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area of the connection passage 303 of the airflow passage 300, and the plurality of holes 200h of the structure 200 connect the storage tank 120 and the connection passage 303. Or you can make a fluid connection. Accordingly, at least a portion of the vapor generating material (eg,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may move from the storage tank 120 to the connection passage 303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00h.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류 통로(300)의 연결 통로(303)의 너비는 기류 통로(300)의 유입구(301)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구(301)는 단면이 제1 직경(d1)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 통로(303)는 단면이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d2)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류 통로(300)의 유입구(301)와 인접한 영역은 유입구(301)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단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기류 통로(300)의 형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assage 303 of the airflow passage 300 may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inlet 301 of the airflow passage 300. For example, the inlet 301 may be formed as a circle with a cross-section having a first diameter (d 1 ), and the connecting passage 303 may be formed as a circle with a cross-section having a second diameter (d 2 )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can be formed. The area adjacent to the inlet 301 of the airflow passage 300 may be formed in a shape whos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ecreases as it moves away from the inlet 301, but the shape of the airflow passage 3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연결 통로(303)의 너비가 유입구(301)의 너비보다 좁게 형성됨에 따라, 연결 통로(303)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압력은 벤츄리 효과(venturi effect)에 의해 유입구(301)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될 때의 압력에 비해 낮아질 수 있다. As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assage 303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inlet 301, the pressure of the air moving along the connecting passage 303 is transferr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rough the inlet 301 by the venturi effect. It may be lower than the pressure when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100).

본 개시에서 '벤츄리 효과'는 유체가 상대적으로 직경 또는 너비가 좁은 부분을 지날 때, 유체의 압력이 낮아지는 효과를 의미할 수 있으며, 유입구(30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대적으로 너비가 좁은 연결 통로(303)를 이동함에 따라, 연결 통로(303)를 이동하는 공기의 압력이 유입구(301)에서의 압력에 비해 낮아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Venturi effect' may refer to the effect of lower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when the fluid passes through a part with a relatively narrow diameter or width, and the ai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301 has a relatively narrow width. As the connection passage 303 moves, the pressure of the air moving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303 may become lower than the pressure at the inlet 301.

즉, 사용자의 퍼프 동작 발생 시, 벤츄리 효과에 의해 연결 통로(303)에서 압력 강하(pressure drop)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저장조(120)에 저장된 증기 생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홀(200h)을 통해 연결 통로(303)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s puff action occurs, a pressure drop may occur in the connecting passage 303 due to the venturi effect, and accordingly, at least a portion of the vapor 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is stored in the plurality of holes 200h. ) can mov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connection passage 303.

예를 들어, 사용자의 퍼프 동작 발생 시, 저장조(120)에 저장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는 복수의 홀(200h)을 통해 연결 통로(303)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홀(200h)이 미세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의 홀(200h)을 통과하는 제1 재료는 미세 입자화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가 생성될 수 있다.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는 구조체(200)와 인접한 연결 통로(303)로 유입될 수 있다.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는 유입구(301)를 통해 연결 통로(303)로 유입된 공기와 함께 연결 통로(303)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구(302)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user's puff motion occurs,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stored in the reservoir 120 may move in a direction toward the connection passage 303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00h. As the plurality of holes 200h are formed in a fine size, the first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00h may be converted into fine particles, and as a result,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may be generated.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may flow into the connection passage 303 adjacent to the structure 200.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move along the connection passage 303 wit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passage 303 through the inlet 301 and then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rough the outlet 302. may be discharg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체(200)는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410))로부터 지정된 전력이 공급될 때, 저장조(120)에 저장된 증기 생성 재료의 일부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체(200)는 배터리로부터 지정된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저장조(1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복수의 홀(200h)을 통해 연결 통로(303)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 통로(303)로 유입된 에어로졸은 유입구(301)를 통해 유입된 공기 및/또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와 함께 연결 통로(303)를 따라 이동한 후, 배출구(302)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ructure 200 can generate an aerosol by heating a portion of the vapor 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reservoir 120 when specified power is supplied from a battery (e.g., battery 410 in FIG. 1). there is. For example, the structure 200 may generate an aerosol by heating the second material contain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reservoir 120 as designated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and the generated aerosol may be generated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It may flow into the connection passage 303 through (200h). The aerosol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passage 303 moves along the connection passage 303 together with fine particles containing air and/or nicotine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301, and then passes through the outlet 302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100).

구조체(200)는 증기 생성 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미세 입자화하면서,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에 열을 발생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체(200)는 스테인리스강(SUS: steel use stainless), 세라믹 및 금속 합금(예: 철-크롬-알루미늄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구조체(200)의 재료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Structure 200 may include a material capable of generating heat when power is supplied while at least a portion of the vapor generating material is finely divided. For example, the structur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stainless steel (SUS: steel use stainless), ceramic, and metal alloy (e.g., iron-chromium-aluminum alloy), but the material of the structure 200 is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one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체(200)는 판(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조체(200)가 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구조체(200)와 저장조(120)에 저장된 증기 생성 재료의 접촉 면적이 넓어질 수 있으며, 그 결과 구조체(200)에 의해 생성되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 및/또는 에어로졸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다만, 구조체(200)의 형상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구조체(200)는 다른 형상(예: 원기둥, 다각형 기둥 또는 구)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tructur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s the structure 2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tructure 200 and the vapor 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reservoir 120 can be expanded, and as a result, the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generated by the structure 200 can be expanded. The amount of particles and/or aerosols may increase. However, the shape of the structure 2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tructure 200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shape (eg, a cylinder, a polygonal pillar, or a sphere).

또한, 복수의 홀(200h)은 구조체(200)를 관통하며 지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복수의 홀(200h)의 배치 구조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홀(200h)은 불규칙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holes 200h may pass through the structure 200 and be arranged at designated intervals, bu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holes 200h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lurality of holes 200h may be arranged at irregular intervals.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흡연 모드에 따라 구조체(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4 to 5B, we will look in detail at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o control the power supplied to the structure 200 according to the smoking mode.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a는 제1 흡연 모드로 동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b는 제2 흡연 모드로 동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A is a diagram show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perating in the first smoking mode, and FIG. 5B is a diagram show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perating in the second smoking mode. This is a diagram show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operation.

이하에서 도 4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참고하도록 한다. 이 때,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operating method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4, the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shown in FIGS. 5A and 5B will be referred to.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shown in FIGS. 5A and 5B may be the same or similar to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FIG. 1, and as follows: Redundant explanations should b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프로세서(4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흡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420)는 제1 흡연 모드(또는 '유연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제1 흡연 모드를 제2 흡연 모드(또는 '무연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420)는 제2 흡연 모드인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제2 흡연 모드를 제1 흡연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n step 401, the processor 42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select a smoking mode based on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430. In one example, when a user input i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430 while the processor 420 is in the first smoking mode (or 'soft mode'), the processor 420 changes the first smoking mode to the second smoking mode (or 'non-smoking mode'). mode'). In another example, when a user input i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430 while in the second smoking mode, the processor 420 may change the second smoking mode to the first smoking mode.

402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프로세서(420)는 401 단계에서 선택된 현재 흡연 모드가 제1 흡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402, the processor 42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smoking mode selected in step 401 is the first smoking mode.

402 단계에서 현재 흡연 모드가 제1 흡연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프로세서는 403 단계에서 현재 흡연 모드가 제2 흡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402 단계에서도 현재 흡연 모드가 제1 흡연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고, 403 단계에서도 현재 흡연 모드가 제2 흡연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420)는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402 단계 내지 403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402 that the current smoking mode is not the first smoking mode,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smoking mode is the second smoking mode in step 403. . If it is determined in step 402 that the current smoking mode is not the first smoking mode,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403 that the current smoking mode is not the second smoking mode, the processor 420 determines that an error has occurred, and performs steps 402 to 403. Step 403 can be performed again.

404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프로세서(420)는 402 단계에서 현재 흡연 모드가 제1 흡연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410)를 통해 구조체(200)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In step 404, if the processor 42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rmines that the current smoking mode is the first smoking mode in step 402, the processor 42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smoking mode is the first smoking mode. Power can be supplied.

도 5a를 참조하면, 구조체(200)에 지정된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구조체(200)는 발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구조체(200)와 접촉하는 저장조(120)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가 가열되어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as designated power is supplied to the structure 200, the structure 200 may generate heat, resulting in a second aerosol-generating material contain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the reservoir 120 in contact with the structure 200. The material may be heated to create an aerosol.

사용자의 퍼프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구조체(20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복수의 홀(200h)을 통해 기류 통로(300)로 유입될 수 있다. 기류 통로(300)로 유입된 에어로졸은 저장조(120)의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가 복수의 홀(200h)을 통과하며 생성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에서 기류 통로(300)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된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When a user's puff motion occurs,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structure 200 may flow into the airflow passage 300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00h. The aerosol flowing into the airflow passage 300 is a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in the storage tank 120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200h, an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contains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and/or After being mixed with air introduced into the airflow passage 300 from the outside,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상술한 403 단계를 통해 제1 흡연 모드에서 구조체(200)에 전력을 공급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A)이 배출될 수 있다. That i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generate an aerosol by supplying power to the structure 200 in the first smoking mode through step 403 described above, and as a result, in the first smoking mo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generate an aerosol. A visible aerosol (A) may be emitted.

405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프로세서(420)는 403 단계에서 현재 흡연 모드가 제2 흡연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구조체(20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In step 405, the processor 42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stop supplying power to the structure 2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smoking mode is the second smoking mode in step 403. there is.

도 5b를 참조하면, 구조체(200)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구조체(200)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저장조(120)에 저장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만 복수의 홀(200h)을 통과하며 미세 입자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퍼프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재료가 복수의 홀(200h)을 통과하며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가 생성될 수 있으며,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에서 기류 통로(300)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된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b, when the power supply to the structure 200 is stopped,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s not heated by the structure 200, and only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stored in the reservoir 120 is heat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It can be converted into fine particles by passing through (200h). For example, when the user's puff action occurs, the first material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00h) and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may be generated, and the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are generat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 may be mixed wit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flow passage 300 from the outside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즉,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상술한 405 단계를 통해 제2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을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음에 따라 제2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P)가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not generate an aerosol in the second smoking mode through step 405 described above, and as the aerosol is not generated, it may not be visually visible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n the second smoking mode. Fine particles (P) containing nicotine may be emitted.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상술한 401 단계 내지 405 단계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흡연 모드 또는 제2 흡연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흡연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흡연 환경에 구애 받지 않고 흡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실외 흡연 시에는 제1 흡연 모드를 선택하여 에어로졸을 흡입함으로써, 흡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실내 흡연 시에는 제2 흡연 모드를 선택하여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에서도 니코틴을 흡입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흡연감'은 흡연 과정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의 양이 많아질수록 사용자의 흡연감이 향상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operate in the first smoking mode or the second smoking mode based on the user's input through steps 401 to 405 described above, and the user uses the user interface 430. By changing the smoking mode, you can smoke regardless of the smoking environment. For example, when smoking outdoors, the user can improve the feeling of smoking by selecting the first smoking mode and inhaling aerosol. As another example, when smoking indoors, the user can select the second smoking mode to emit fine particles containing visually invisible nicotine,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inhale nicotine indoors. In the present disclosure, 'smoking sensation' may refer to the satisfaction felt by the user during the smoking process, and as the amount of aerosol increases, the user's smoking sensation may improve.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601 단계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4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3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흡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601 단계는 도 4의 401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6, in step 601, a processor (e.g., processor 420 of FIG. 1)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e.g.,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FIG.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creates a user interface (e.g., A smoking mode can be selected based on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430 of FIG. 1. Step 601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to step 401 of FIG. 4,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below.

602 단계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601 단계에서 선택된 현재 흡연 모드가 제1 흡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step 602,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smoking mode selected in step 601 is the first smoking mode.

602 단계에서 현재 흡연 모드가 제1 흡연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603 단계에서 현재 흡연 모드가 제2 흡연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602 단계에서 현재 흡연 모드가 제1 흡연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고, 603 단계에서도 현재 흡연 모드가 제2 흡연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602 단계 내지 603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602 that the current smoking mode is not the first smoking mode,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smoking mode is the second smoking mode in step 603. If it is determined in step 602 that the current smoking mode is not the first smoking mode, 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603 that the current smoking mode is not the second smoking mode,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an error has occurred and performs steps 602 to 603. You can do it again.

604 단계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602 단계에서 현재 흡연 모드가 제1 흡연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예: 도 1의 배터리(410))를 통해 구조체(예: 도 1의 구조체(200))에 제1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1 전력'은 구조체의 온도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할 수 있는 온도까지 도달하기 위한 전력 값을 의미할 수 있다.In step 60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602 that the current smoking mode is the first smoking mode,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generates a structure (e.g., battery 410 of FIG. 1) through a battery (e.g., battery 410 of FIG. 1). First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structure 200 of FIG. 1. In the present disclosure, 'first power' may mean the power value for reaching the temperature of the structure to a temperature capable of heat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구조체에 제1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구조체와 접촉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는 구조체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 동작이 발생되는 경우, 구조체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구조체의 복수의 홀(예: 도 1, 도 3의 복수의 홀(200h))을 통해 기류 통로(예: 도 1의 기류 통로(300))로 유입될 수 있다. 기류 통로로 유입된 에어로졸은 복수의 홀을 통과하며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에서 기류 통로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된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s first power is applied to the structure, a second material comprising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in contact with the structure may be heated by the structure, resulting in the generation of an aerosol. When a user's puff motion occurs,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structure flows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e.g., a plurality of holes 200h in FIGS. 1 and 3) of the structure into an airflow passage (e.g., an airflow passage in FIG. 1). 300)). The aerosol flowing into the airflow passage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and is mixed with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and/or air flowing into the airflow passage from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n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604 단계에서 구조체에 제1 전력을 공급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예: 도 5a의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A))이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generate an aerosol by supplying first power to the structure in step 604, and as a result, in the first smoking mode, an aerosol that is visually visible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e.g., in FIG. 5A) Visible aerosols (A)) may be emitted.

605 단계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603 단계에서 현재 흡연 모드가 제2 흡연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를 통해 구조체에 제1 전력보다 적은 제2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2 전력'은 구조체의 온도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를 가열하지 않으면서,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의 점도를 낮출 수 있는 온도까지 도달하기 위한 전력 값을 의미할 수 있다. In step 605, if it is determined in step 603 that the current smoking mode is the second smoking mode,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supply second power less than the first power to the structure through the battery. In the present disclosure, 'second power' refers to a power value for reaching the temperature of the structure to a temperature capable of lowering the viscosity of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without heating the second material contain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can do.

구조체에 제2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는 구조체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의 점도(viscosity)만 낮아질 수 있다. 제1 재료의 점도가 낮아짐에 따라, 제1 재료의 미세 입자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퍼프 동작 발생 시, 저장조에 저장된 제1 재료가 복수의 홀을 통과하면서 미세 입자화될 수 있으며, 이 때 구조체에 의해 제1 재료의 점도가 낮아지는 경우, 제1 재료로부터 생성되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As the second power is supplied to the structure, the second material includ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may not be heated by the structure, and only the viscosity of the first material including nicotine may be lowered. As the viscosity of the first material decreases, fine particles of the first material can be smoothly achieved. For example, when a user's puff motion occurs, the first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may be converted into fine particles whil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At this time, when the viscosity of the first material is lowered by the structure, the first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first material.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produced may increase.

사용자의 퍼프 동작에 의해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에서 기류 통로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된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By the user's puff action,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may be mixed with air introduced into the airflow passage from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605 단계에서 구조체에 제2 전력을 공급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지 않으면서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의 점도를 낮출 수 있다. 제2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게 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예: 도 5b의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P))가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supply second power to the structure in step 605 to lower the viscosity of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without generating an aerosol. In the second smoking mode, as aerosol is not generated, fine particles containing visually invisible nicotine (e.g., fine particles P containing visually invisible nicotine in FIG. 5B) may be emit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re is.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하우징(110), 저장조(120), 구조체(200), 기류 통로(300), 배터리(410), 프로세서(420) 및 센서(4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센서(440)가 추가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7 상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30))가 포함되지 않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추가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10, a reservoir 120, a structure 200, an airflow passage 300, a battery 410, a processor 420, and a sensor. It may include (440).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which a sensor 440 is add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FIG. 1,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In addition, FIG. 7 only show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without a user interface (e.g., the user interface 430 of FIG. 1), but a user interface may be add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센서(440)는 프로세서(420)와 전기적 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되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센서(440)에서 획득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실외에 위치하는지 또는 실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 sensor 440 is electrically or operation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420 and can obtain data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e processor 420 may determine whethe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located outdoors or indoors based on data obtained from the sensor 440.

센서(440)는 예를 들어, GPS 센서, 가시광 센서 및 광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420)는 센서(440)로부터 획득되는 위치 데이터 및/또는 광량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실외에 위치하는지 또는 실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420)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위치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sensor 440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GPS sensor, a visible light sensor, and a light quantity sensor, and the processor 420 generates an aerosol based on location data and/or light quantity data obtained from the sensor 440.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device 100 is located outdoors or indoors. However,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ocessor 420 will be described later.

프로세서(4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위치에 기초하여 배터리(410)에서 구조체(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420 may control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410 to the structure 200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4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실외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제1 흡연 모드로 동작하여 배터리(410)를 통해 구조체(200)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조체(200)는 배터리(410)로부터 지정된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발열하여 저장조(1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를 가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제1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 생성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예: 도 5a의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A))이 배출될 수 있다.In one example, if the processor 420 determines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located outdoors, the processor 420 may operate in the first smoking mode and supply designated power to the structure 200 through the battery 410. The structure 200 may generate heat as designated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410 to heat the second material contain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and as a result, an aerosol may be generated. That is, in the first smoking mode, as aerosol is generated, a visually visible aerosol (eg, a visually visible aerosol (A) in FIG. 5A) may be discharg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4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실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제2 흡연 모드로 동작하여 구조체(20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조(1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는 가열되지 않게 되며, 사용자의 퍼프 동작 발생 시, 저장조(120)에 저장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만 복수의 홀(200h)을 통과하며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가 생성될 수 있다. 즉, 제2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고,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만 생성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예: 도 5b의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P))가 배출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if the processor 420 determines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located indoors, the processor 420 may operate in the second smoking mode and stop supplying power to the structure 200. Accordingly, the second material contain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is not heated, and when the user's puff action occurs, only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is stored in the plurality of holes (200h). ),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may be generated. That is, in the second smoking mode, aerosol is not generated, but only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are generated, and thus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that are not visually visible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e.g., visually invisible in FIG. 5B) are generated. Fine particles (P) containing undesirable nicotine may be emitted.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센서(440)에서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에 기초하여 흡연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상황에서도 실외에서는 제1 흡연 모드로 동작하여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을 배출하고, 실내에서는 제2 흡연 모드로 동작하여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를 배출할 수 있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based on data acquired from the sensor 440 and automatically change the smoking mode based on the determined location. . For example, even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no user opera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perates in the first smoking mode outdoors to emit visually visible aerosol, and operates in the second smoking mode indoors to emit visually invisible nicotine. It may emit fine particles containing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8, we will look in detail at the operating method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은 도 7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7.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7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7의 프로세서(420))는 센서(예: 도 7의 센서(440))에서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processor (e.g., processor 420 of FIG. 7)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e.g.,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FIG. 7)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use a sensor (e.g., sensor of FIG. 7). The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440)).

일 예시에서,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에 관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GPS 센서로부터 획득된 위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sensor may includ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ensor for obtaining location data regar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location data obtained from the GPS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location is indoors or outdoors.

다른 예시에서, 센서는 약 380 내지 780nm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의 세기 및/또는 양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가시광 센서(visible light sensor)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가시광 센서에서 획득된 가시광의 세기 및/또는 양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가시광의 세기 및/또는 양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실외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가시광의 세기 및/또는 양이 지정된 값 미만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실내로 판단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sensor may include a visible light sensor for acquiring data regarding the intensity and/or amount of visible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about 380 to 780 nm, and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obtain data regarding the intensity and/or amount of visible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about 380 to 780 nm. Based on data regarding intensity and/or amount,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or outdoors. In one exampl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be outdoors when the intensity and/or amount of visible l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value. 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be indoors if the intensity and/or amount of visible light is below a specified value.

또 다른 예시에서, 센서는 광량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광량 센서 (또는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광량 센서로부터 획득된 광량에 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광량이 지정된 값 이상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실외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는 광량이 지정된 값 미만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실내로 판단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sensor may include an illuminance sensor (or 'illuminance sensor') to obtain data on illuminance, and the processor generates an aerosol based on the data on illuminance obtained from the illuminance senso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evice can be detected. In one exampl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be outdoors when the amount of ligh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value. 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be indoors if the amount of light is below a specified value.

802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구조체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제어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802,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outdoors 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structure.

803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802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배터리(예: 도 7의 배터리(410))를 통해 구조체(예: 도 7의 구조체(200))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하여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을 배출하는 제1 흡연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In step 803, if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termines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outdoors in step 802,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rough a battery (e.g., the battery 410 in FIG. 7). Designate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structure (e.g., structure 200 in FIG. 7) to operate it in a first smoking mode that emits a visually visible aerosol.

구조체에 지정된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저장조(예: 도 7의 저장조(1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가 구조체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구조체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구조체의 복수의 홀(예: 도 7의 복수의 홀(200h))을 통해 기류 통로(예: 도 7의 기류 통로(300))로 유입될 수 있다. 기류 통로로 유입된 에어로졸은 복수의 홀을 통과하며 생성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에서 기류 통로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된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흡연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예: 도 5a의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A))을 흡입할 수 있다.As the structure is supplied with designated electrical power, a second material comprising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a reservoir (e.g., reservoir 120 of FIG. 7) may be heated by the structure, resulting in the generation of an aerosol. When the user's puff motion occurs,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structure flows through an airflow passage (e.g., the airflow passage 300 in FIG. 7)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in the structure (e.g., the plurality of holes 200h in FIG. 7). may flow into. The aerosol flowing into the airflow passage may pass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and be mixed with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generated and/or the air flowing into the airflow passage from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re is. That is, the user may inhale a visually visible aerosol (eg, a visually visible aerosol (A) in FIG. 5A) emit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the first smoking mode.

804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802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외가 아닌 실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구조체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제2 흡연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In step 804, if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termines in step 802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rather than outdoors, the processor performs a second smoking operation to stop supplying power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the structure. It can be operated in mode.

구조체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단됨에 따라, 저장조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구조체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저장조에 저장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만 복수의 홀을 통과하며 미세 입자화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재료가 복수의 홀을 통과하며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가 생성될 수 있으며, 생성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에서 기류 통로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된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음에 따라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예: 도 5b의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P))가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를 흡입할 수 있다.As the power supply to the structure is stopped,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is not heated by the structure, and only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stored in the storage tank may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and be converted into fine particles. When the user's puff action occurs, the first material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and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may b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flow into the airflow passage from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fter mixing with the air,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other words, in the second smoking mode, as no aerosol is generated, visually invisible nicotine-containing microparticles (e.g., visually invisible nicotine-containing microparticles (P) in Figure 5b) may be generated; , users can inhale micro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that are visually invisible.

도면 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802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외가 아닌 실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1 흡연 모드보다 적은 양의 전력을 구조체에 공급하는 제2 흡연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etermines in step 802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rather than outdoors,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et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a smaller amount than the first smoking mode. It can be operated in a second smoking mode that supplies power to the structure.

제2 흡연 모드에서 구조체에 제1 흡연 모드에 비해 적은 양의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는 구조체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의 점도만 낮아질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실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구조체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력을 공급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지 않으면서 제1 재료의 점도를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는 실내에서도 풍부한 양의 니코틴을 흡입할 수 있다.As a lower amount of power is supplied to the structure in the second smoking mode compared to the first smoking mode, the second material containing the aerosol-generating substance is not heated by the structure, and only the viscosity of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is lowered. You can. That is, when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etermines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the viscosity of the first material can be lowered without generating an aerosol by supplying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power to the structure. . As a result,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supplied to the user increases, allowing the user to inhale abundant amounts of nicotine even indoors.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하우징(110), 저장조(120), 구조체(200), 기류 통로(300), 배터리(410), 프로세서(420) 및 안테나(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 안테나(450)가 추가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 9 상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30))가 포함되지 않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추가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110, a reservoir 120, a structure 200, an airflow passage 300, a battery 410, a processor 420, and It may include an antenna 450.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which an antenna 450 is add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FIG. 1, and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below. In addition, FIG. 9 shows on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that does not include a user interface (eg, the user interface 430 of FIG. 1), but a user interface may be add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안테나(450)는 외부 전자 장치(10, 11)와 무선 신호(또는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420)는 안테나(45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 11)와 데이터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450)는 모바일 전자 장치(10)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11)와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으나, 외부 전자 장치의 종류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ntenna 450 may transmit and/or receive a wireless signal (or 'RF signal (radio frequency signal)') wit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 and 11, and the processor 420 may transmit and/or receive a radio frequency signal (RF signal) with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 and 11.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or receive a wireless signal containing data with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 and 11. For example, the antenna 450 is connected to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10 and/or an access point (AP: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or receive wireless signals with an access point (11), but the typ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예를 들어, 안테나(450)는 약 2.4GHz 또는 약 5 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또는 '와이파이(Wi-Fi) 안테나') 및 약 2.4 GHz 내지 약 2.5 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또는 '블루투스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antenna 450 is an antenna (or 'Wi-Fi antenna') for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a wireless signal in a frequency band of about 2.4 GHz or about 5 GHz and about 2.4 GHz to about 2.5 GHz.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t least one antenna (or 'Bluetooth antenna') for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wireless signals in the frequency ban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10, 11)의 사이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20 determin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based on wireless signals transmitted and/or received between the antenna 450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 and 11. You can.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420)는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10, 11)의 사이에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현재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420)는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10, 11)의 사이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현재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xample, the processor 42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indoors or outdoors based on whether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antenna 450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 and 11. can be judged. In another example, the processor 42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indoors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and/or received between the antenna 450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 and 11. Alternatively,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is outdoors.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안테나(45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10, 11)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 전자 장치(10, 11)로부터 수신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420 receives a wireless signal con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 and 11 through the antenna 450,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received from 11).

예를 들어, 프로세서(420)는 안테나(450)를 통해 모바일 전자 장치(1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무선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현재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420 may receive a wireless sig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from the mobile electronic device 10 through the antenna 45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wireless signal may be Based on this,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indoors or outdoors.

프로세서(4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배터리(410)에서 구조체(2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The processor 420 may control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410 to the structure 200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일 예시에서, 프로세서(4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실외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제1 흡연 모드로 동작하며 배터리(410)를 통해 구조체(200)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조체(200)는 배터리(410)로부터 지정된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발열하여 저장조(1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를 가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제1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예: 도 5a의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A))이 배출될 수 있다.In one example, if the processor 420 determines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located outdoors, the processor 420 may operate in the first smoking mode and supply designated power to the structure 200 through the battery 410. The structure 200 may generate heat as designated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410 to heat the second material containing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and as a result, an aerosol may be generated. That is, in the first smoking mode, as an aerosol is generated, a visually visible aerosol (eg, a visually visible aerosol (A) in FIG. 5A) may be discharg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4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실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제2 흡연 모드로 동작하여 구조체(200)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조(120)에 저장된 제2 재료는 가열되지 않게 되며, 사용자의 퍼프 동작 발생 시, 저장조(120)에 저장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만 복수의 홀(200h)을 통과하며 미세 입자화될 수 있다. 즉, 제2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고,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만 생성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예: 5b의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P))가 배출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if the processor 420 determines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is located indoors, the processor 420 may operate in the second smoking mode and stop supplying power to the structure 200. Accordingly, the second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is not heated, and when the user's puff operation occurs, only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stored in the storage tank 12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200h and fine particles You can get angry. That is, in the second smoking mode, aerosol is not generated, but only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are generated, and thus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that are visually invisible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e.g., visually invisible particles of 5b) are generated. Fine particles (P) containing nicotine may be releas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10, 11)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10, 11)로부터 수신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치에 기초하여 흡연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상황에서도 실외에서는 제1 흡연 모드로 동작하여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을 배출하고, 실내에서는 제2 흡연 모드로 동작하여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를 배출할 수 있다.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antenna 450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 and 11 and/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receiv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 and 11.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100, and the smoking mode may be automatically changed based on the determined location. For example, even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no user operati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perates in the first smoking mode outdoors to emit visually visible aerosol, and operates in the second smoking mode indoors to emit visually invisible nicotine. It may emit fine particles containing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면, 1001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9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9의 프로세서(420))는 안테나(예: 도 9의 안테나(450))와 외부 전자 장치(예: 도 9의 외부 전자 장치(10, 11))의 사이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step 1001, a processor (e.g., processor 420 of FIG. 9)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e.g.,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FIG.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uses an antenna (e.g., FI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and/or received between the antenna 450 of Figure 9)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 and 11 of Figure 9). there is.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 또는 안테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수행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whether a wireless signal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or whether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antenna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실내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안테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수행되고 있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실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는 실내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안테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실외라고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wireless signal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located indoors or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an antenna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As another example, if a wireless signal is not received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located indoors or wireless communication is not performed between the antenna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outdoors.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strength of a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실내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지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외부 전자 장치와 인접한 실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는 실내에 위치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의 세기가 지정된 크기 미만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이격된 실외라고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trength of a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located indoors is greater than a specified level,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adjacent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s another example, if the strength of a wireless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located indoors is less than a specified siz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outdoors and away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개수가 지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실외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는 안테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개수가 지정된 개수 미만인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실내라고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ased on the number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at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ntenna. For example, if the number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at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ntenn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pecified number,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outdoors. As another example, if the number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at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ntenna is less than a specified number,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프로세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동작이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다른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를 판단할 수도 있다.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a different manner.

1002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구조체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제어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1002,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outdoors 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structure.

1003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1002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배터리(예: 도 9의 배터리(410))를 통해 구조체(예: 도 9의 구조체(200))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하여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을 배출하는 제1 흡연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In step 1003, if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termines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outdoors in step 1002,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rough a battery (e.g., the battery 410 in FIG. 9). Designate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structure (e.g., structure 200 in FIG. 9) to operate it in a first smoking mode that emits a visually visible aerosol.

구조체에 지정된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저장조(예: 도 9의 저장조(1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가 구조체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구조체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구조체의 복수의 홀(예: 도 9의 복수의 홀(200h))을 통해 기류 통로(예: 도 7의 기류 통로(300))로 유입될 수 있다. 기류 통로로 유입된 에어로졸은 제1 재료가 복수의 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생성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에서 기류 통로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된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흡연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예: 도 5a의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A))을 흡입할 수 있다.As the structure is supplied with designated electrical power, a second material comprising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a reservoir (e.g., reservoir 120 in Figure 9) may be heated by the structure, resulting in the generation of an aerosol. When a user's puff motion occurs,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structure flows through an airflow passage (e.g., the airflow passage 300 in FIG. 7)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in the structure (e.g., the plurality of holes 200h in FIG. 9). may flow into. The aerosol flowing into the airflow passage is mixed with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he first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and/or the air flowing into the airflow passage from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n mixed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at is, the user may inhale a visually visible aerosol (eg, a visually visible aerosol (A) in FIG. 5A) emit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the first smoking mode.

1004 단계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1002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외가 아닌 실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구조체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제2 흡연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In step 1004, if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termines in step 1002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rather than outdoors, the processor performs a second smoking operation to stop supplying power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the structure. It can be operated in mode.

구조체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단됨에 따라, 저장조에 저장된 제2 재료는 구조체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저장조에 저장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만만 복수의 홀을 통과하며 미세 입자화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재료가 복수의 홀을 통과하며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가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는 기류 통로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된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음에 따라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예: 도 5b의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미세 입자(P))가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를 흡입할 수 있다.As the power supply to the structure is stopped, the second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is not heated by the structure, and only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stored in the storage tank may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and be converted into fine particles. When the user's puff action occurs, the first material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and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may b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are mixed wit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flow passage. ,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other words, in the second smoking mode, as no aerosol is generated, visually invisible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e.g., visually invisible fine particles (P) in FIG. 5B) may be generated, and the user may produce visual You can inhale tiny particles containing invisible nicotine.

도면 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1002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외가 아닌 실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1 흡연 모드보다 적은 양의 전력을 구조체에 공급하는 제2 흡연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f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etermines in step 1002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rather than outdoors,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et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a smaller amount than the first smoking mode. It can be operated in a second smoking mode that supplies power to the structure.

제2 흡연 모드에서 구조체에 제1 흡연 모드에 비해 적은 양의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는 구조체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의 점도만 낮아질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실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구조체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력을 공급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지 않으면서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의 점도를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는 실내에서도 풍부한 양의 니코틴을 흡입할 수 있다.As a lower amount of power is supplied to the structure in the second smoking mode compared to the first smoking mode, the second material containing the aerosol-generating substance is not heated by the structure, and only the viscosity of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is lowered. You can. That is, when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etermines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the processor supplie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power to the structure to increase the viscosity of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without generating an aerosol. can be lowered. As a result,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supplied to the user increases, allowing the user to inhale abundant amounts of nicotine even indoors.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9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1101 단계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예: 도 9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프로세서(예: 도 9의 프로세서(420))는 안테나(예: 도 9의 안테나(450))를 통해 외부 전자 장치(예: 모바일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n step 1101, a processor (e.g., processor 420 of FIG. 9)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e.g., aerosol generating device 100 of FIG. 9)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use an antenna (e.g., FIG. A wireless signal conta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 mobile electronic device or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e antenna 450 of 9.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자 장치는 GPS 센서를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안테나로 송신되는 무선 신호에는 생성된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프로세서는 무선 신호에 포함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may generate location information regard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rough a GPS sensor, and the generated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wireles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o the antenna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t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o this. At this time, the processor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or outdoor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ed in the wireless signal.

1102 단계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구조체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을 제어하기 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step 1102,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outdoors in order to control the amount of power supplied to the structure.

1103 단계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1102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외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배터리(예: 도 9의 배터리(410))를 통해 구조체(예: 도 9의 구조체(200))에 지정된 전력을 공급하여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을 배출하는 제1 흡연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In step 1103, if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etermines in step 1102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outdoors, the processor operate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rough a battery (e.g., the battery 410 in FIG. 9). Designated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structure (e.g., structure 200 in FIG. 9) to operate it in a first smoking mode that emits a visually visible aerosol.

구조체에 지정된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저장조(예: 도 9의 저장조(120))에 저장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가 구조체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구조체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은 구조체의 복수의 홀(예: 도 9의 복수의 홀(200h))을 통해 기류 통로(예: 도 7의 기류 통로(300))로 유입될 수 있다. 기류 통로로 유입된 에어로졸은 복수의 홀을 통과하며 생성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에서 기류 통로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된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흡연 모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예: 도 5a의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A))을 흡입할 수 있다.As the structure is supplied with designated electrical power, a second material comprising an aerosol-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a reservoir (e.g., reservoir 120 in Figure 9) may be heated by the structure, resulting in the generation of an aerosol. When a user's puff motion occurs, the aerosol generated by the structure flows through an airflow passage (e.g., the airflow passage 300 in FIG. 7)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in the structure (e.g., the plurality of holes 200h in FIG. 9). may flow into. The aerosol flowing into the airflow passage may pass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and be mixed with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generated and/or the air flowing into the airflow passage from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re is. That is, the user may inhale a visually visible aerosol (eg, a visually visible aerosol (A) in FIG. 5A) emit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the first smoking mode.

1104 단계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1102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외가 아닌 실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구조체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제2 흡연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In step 1104, if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etermines in step 1102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rather than outdoors, the processor performs a second smoking operation to stop supplying power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the structure. It can be operated in mode.

구조체에 대한 전력 공급이 중단됨에 따라, 저장조에 저장된 제2 재료는 구조체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저장조에 저장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만 복수의 홀을 통과하며 미세 입자화될 수 있다. 사용자의 퍼프 동작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재료가 복수의 홀을 통과하며 생성된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에서 기류 통로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된 후,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흡연 모드에서는 에어로졸이 생성되지 않음에 따라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예: 도 5b의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P))가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를 흡입할 수 있다.As the power supply to the structure is stopped, the second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tank is not heated by the structure, and only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stored in the storage tank may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and be converted into fine particles. When the user's puff action occurs, the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generated as the first material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are mixed wit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flow passage from the outsid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n the first material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can be discharged as In other words, in the second smoking mode, as no aerosol is generated, visually invisible nicotine-containing microparticles (e.g., visually invisible nicotine-containing microparticles (P) in Figure 5b) may be generated; , users can inhale micro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that are visually invisible.

도면 상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1102 단계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현재 위치가 실외가 아닌 실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1 흡연 모드보다 적은 양의 전력을 구조체에 공급하는 제2 흡연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etermines in step 1102 tha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rather than outdoors,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et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a smaller amount than the first smoking mode. It can be operated in a second smoking mode that supplies power to the structure.

제2 흡연 모드에서 구조체에 제1 흡연 모드에 비해 적은 양의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제2 재료는 구조체에 의해 가열되지 않고,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의 점도만 낮아질 수 있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프로세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실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구조체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전력을 공급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지 않으면서 제1 재료의 점도만 낮출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사용자는 실내에서도 풍부한 양의 니코틴을 흡입할 수 있다.As a smaller amount of power is supplied to the structure in the second smoking mode compared to the first smoking mode, the second material is not heated by the structure, and only the viscosity of the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may be lowered. That is, when the processo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determines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indoors, the processor can supply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power to the structure to lower the viscosity of the first material without generating an aerosol. . As a result, the amount of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supplied to the user increases, allowing the user to inhale abundant amounts of nicotine even indoors.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explanatory rather than a restrictive perspe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not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0: 하우징
120: 저장조 200: 구조체
200h: 홀 300: 기류 통로
301: 유입구 302: 배출구
303: 연결 통로 410: 배터리
420: 프로세서 430: 사용자 인터페이스
440: 센서 450: 안테나
100: Aerosol generating device 110: Housing
120: storage tank 200: structure
200h: Hall 300: Airflow passage
301: inlet 302: outlet
303: Connection passage 410: Battery
420: Processor 430: User Interface
440: Sensor 450: Antenna

Claims (15)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터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니코틴을 포함하는 제1 재료 및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재료가 저장되는 저장조;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생성된 미세 입자 또는 에어로졸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연결 통로를 포함하는 기류 통로;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기류 통로와 상기 저장조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재료를 미세 입자화하여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를 생성하기 위한 위한 홀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2 재료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조와 상기 기류 통로는 상기 구조체의 상기 홀을 통해 유체 연결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housing;
a batter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 reservoi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storing a first material containing nicotine and a second material containing an aerosol-generating substance;
An airflow passage including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 outlet through which fine particles or aerosols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connection passag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It is located between the airflow passage and the storage tank inside the housing and includes a hole for fine particles of the first material to generate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and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It includes a structure that generates an aerosol by heating the second material,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reservoir and the airflow passage are fluidly connected through the hole in th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기류 통로의 상기 연결 통로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결 통로의 너비는 상기 유입구의 너비보다 좁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ructur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ing passage of the airflow passage,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assage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inl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료는 사용자의 퍼프 동작 발생 시, 상기 기류 통로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연결 통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기류 통로의 압력 변화에 의해 상기 홀을 통과하며 미세 입자화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material passes through the hole and becomes fine particles due to a change in pressure in the airflow passage that occurs as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airflow passage moves along the connecting passage when the user's puff action occurs.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상기 저장조와 상기 기류 통로의 사이에 위치하고, 판 형상(plate shape)으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ructure is located between the reservoir and the airflow passage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제1항에 있어서,
흡연 모드에 따라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구조체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rocessor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moking mo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흡연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를 통해 상기 구조체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2 흡연 모드에서 상기 구조체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processor,
supplying power to the structure through the battery in a first smoking mo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disables power supply to the structure in a second smoking mo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연 모드에서 시각적으로 보이는 에어로졸을 배출하고,
상기 제2 흡연 모드에서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미세 입자를 배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Exhaling a visually visible aerosol in the first smoking mo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emits fine particles containing nicotine that are visually invisible in the second smoking mo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흡연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를 통해 상기 구조체에 제1 전력을 공급하고,
제2 흡연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를 통해 상기 구조체에 상기 제1 전력보다 낮은 제2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processor,
supplying first power to the structure through the battery in a first smoking mod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upplies a second power lower than the first power to the structure via the battery in a second smoking mo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구조체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It further includes a user interfa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The processor controls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structure based on user input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를 통해 획득된 데이터를 통해 식별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구조체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It further includes a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and acquiring data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process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controls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structur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dentified through data acquired through the sens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통해 상기 구조체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조체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The processor,
Whe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located outdoors, power is supplied to the structure through the battery,
An aerosol-generating device that discontinues the power supply to the structure when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is located indoor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GPS 센서, 가시광 센서 및 광량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use 10,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sensor includes at least one of a GPS sensor, a visible light sensor, and a light quantity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antenna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통해 식별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구조체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process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controls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structur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dentified through a wireless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at least one antenna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에서 상기 구조체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process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controls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structure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0210130282A 2021-09-30 2021-09-30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1026366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282A KR102636654B1 (en) 2021-09-30 2021-09-30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282A KR102636654B1 (en) 2021-09-30 2021-09-30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287A KR20230047287A (en) 2023-04-07
KR102636654B1 true KR102636654B1 (en) 2024-02-16

Family

ID=8597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282A KR102636654B1 (en) 2021-09-30 2021-09-30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65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878B1 (en) 2016-04-13 2019-09-17 엠디앤씨 크리에이티브 메종 에스에이 Electronic cigarette
JP2020500022A (en) 2016-11-17 2020-01-09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atellite navigation for aerosol delivery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2490B2 (en) * 2018-05-16 2021-03-02 Rai Strategic Holdings, Inc. Atomizer and aerosol delivery device
KR102330310B1 (en) * 2019-12-27 2021-11-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that emits visually different vapor depending on mode
KR102478152B1 (en) * 2020-03-02 2022-12-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878B1 (en) 2016-04-13 2019-09-17 엠디앤씨 크리에이티브 메종 에스에이 Electronic cigarette
JP2020500022A (en) 2016-11-17 2020-01-09 アール・エイ・アイ・ストラテジ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atellite navigation for aerosol delivery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7287A (en)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04464B2 (en) Real-time temperature control for aerosol delivery equipment
US9770055B2 (en) Vaporizable material handling for electronic vapor device
US9763478B2 (en) Electronic vapor device in cooperation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RU2710771C2 (en) User interface for aerosol delivery device
KR101689763B1 (en) Mobile fragrance discharge apparatus
JP2021531728A (en) Aerosol generator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erosols through microwaves
US20180289907A1 (en) Mobile inhaler and a container for using therewith
US20190357596A1 (en) Vapor provision system
JP2019530457A (en) Aerosol supply apparatus and method
CN114126429A (en)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JP2022508658A (en) Heating element
TW201609006A (en) Handheld vaporizing device
KR20150058437A (en) Electronic inhalation device
JP7440597B2 (en) Aerosol generation control device, terminal device, management device, power supply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9011623A1 (en) Control of total particulate matter production
KR102636654B1 (en)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KR20220025523A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JP7320630B2 (en) aerosol generator
CN113598425A (en) Seasoning component and electronic atomization device
KR20210150927A (en) Airflow path structur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same
JP719361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20161328A1 (en) Mouthpiece for smoking substitute apparatus
KR10253691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erosol generate apparatus by an external device and aerosol generating system
EP4233599A2 (en) Aerosol provision system and method
WO202019451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