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642B1 - Apparatus for forming cement by using shells and plastic waste and cement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orming cement by using shells and plastic waste and cement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642B1
KR102636642B1 KR1020210104327A KR20210104327A KR102636642B1 KR 102636642 B1 KR102636642 B1 KR 102636642B1 KR 1020210104327 A KR1020210104327 A KR 1020210104327A KR 20210104327 A KR20210104327 A KR 20210104327A KR 102636642 B1 KR102636642 B1 KR 102636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ized bed
raw material
bubble
gas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43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23076A (en
Inventor
경국현
Original Assignee
경국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국현 filed Critical 경국현
Priority to KR102021010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642B1/en
Publication of KR20230023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30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6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04B7/44Burning; Melting
    • C04B7/4407Treatment or selection of the fuel therefor, e.g. use of hazardous waste as secondary fuel ; Use of particular energy sources, e.g. waste hot gases from other processes
    • C04B7/4446Treatment or selection of the fuel therefor, e.g. use of hazardous waste as secondary fuel ; Use of particular energy sources, e.g. waste hot gases from other processes the fuel being treated in a separate gasifying or decomposing chamber, e.g.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24Cements from oil shales, residues or waste other than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04B7/44Burning; Melting
    • C04B7/4407Treatment or selection of the fuel therefor, e.g. use of hazardous waste as secondary fuel ; Use of particular energy sources, e.g. waste hot gases from other processes
    • C04B7/4415Waste hot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7/00Hydraulic cements
    • C04B7/36Manufacture of hydraulic cements in general
    • C04B7/43Heat treatment, e.g. precalcining, burning, melting; Cooling
    • C04B7/44Burning; Melting
    • C04B7/4407Treatment or selection of the fuel therefor, e.g. use of hazardous waste as secondary fuel ; Use of particular energy sources, e.g. waste hot gases from other processes
    • C04B7/4423Waste or refuse used as fue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485Entrained flow gasifiers
    • C10J3/487Swirling or cyclonic gasif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46Gasification of granular or pulverulent flues in suspension
    • C10J3/48Apparatus; Plants
    • C10J3/50Fuel charging devices
    • C10J3/503Fuel charging devices for gasifiers with stationary fluidised b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3/00Produc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rom solid carbonaceous fuels
    • C10J3/72Other features
    • C10J3/82Gas withdrawal means
    • C10J3/84Gas withdrawal means with means for removing dust or tar from the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KPURIFYING OR MODIFYING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0Purifying combustible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 C10K1/02Dust removal
    • C10K1/026Dust removal by centrifug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200/00Details of gasification apparatus
    • C10J2200/15Details of feeding means
    • C10J2200/158Screw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200/00Details of gasification apparatus
    • C10J2200/36Moving parts inside the gasification react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13Carbonaceous raw material
    • C10J2300/0946Waste, e.g. MSW, tires, glass, tar sand, peat, paper, lignite, oil shal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09Details of the feed, e.g. feeding of spent catalyst, inert gas or halogens
    • C10J2300/0953Gasifying agents
    • C10J2300/0973Water
    • C10J2300/0976Water as stea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JPRODUCTION OF PRODUCER GAS, WATER-GAS, SYNTHESIS GAS FROM SOLID CARBONACEOUS MATERIAL, OR MIXTURES CONTAINING THESE GASES; CARBURETTING AIR OR OTHER GASES
    • C10J2300/00Details of gasification processes
    • C10J2300/16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 C10J2300/1603Integration of gasification processes with another plant or parts within the plant with gas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And Processes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원료가 저장되는 원료 탱크; 원료투입부를 통해 상기 원료 탱크로부터 원료를 공급받고, 하부에서 스팀이 유입되어 내부에서 유동매체가 유동됨으로써 기포유동층이 형성되며, 상기 원료가 가스화되어 내부에서 생성가스가 만들어지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부터 상기 유동매체와 상기 생성가스에 포함된 차르(char)를 이송받고, 추가로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차르(char)를 연소시킴으로써 유동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유동매체를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 이송하는 고속유동층 연소로;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와 연통되고,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에서 배출되는 생성가스 중 미세입자를 분리하여 미세입자는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 다시 유입시키고, 나머지를 배출시키는 생성가스 사이클론; 상기 고속유동층 연소로의 상부와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의 상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매체를 배기가스와 분리시킨 후, 배기가스는 배출하고 유동매체를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와 원료투입부로 분리 공급하는 배기가스 사이클론; 및 상기 생성가스와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패각을 가열함으로써 시멘트를 생성하는 패각 처리부;를 포함하는,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시멘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멘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material tank in which waste plastic raw materials are stored; A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in which raw materials are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tank through the raw material input unit, steam flows in from the bottom and the fluidized medium flows inside, thereby forming a bubble fluidized layer, and the raw materials are gasified to produce produced gas inside; Char contained in the fluidized medium and the produced gas is transferred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ir is additionally supplied, the fluidized medium is heated by burning the char, and the heated fluidized medium is heated. A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transferr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 produced gas cyclone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separates fine particles from the produced gas discharged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re-introduces the fine particles in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discharges the remainder; It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and the upper part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after separating the fluidized medium from the exhaust gas,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and the fluidized medium is separately suppli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the raw material input section. gas cyclone; and a shell processing unit that generates cement by heating the shell using the generated gas and exhaust gas. It relates to a cement manufacturing device using shells and waste plastic and a cement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Description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시멘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시멘트 생산 방법{Apparatus for forming cement by using shells and plastic waste and cement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Cement manufacturing device using shells and waste plastic and c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aratus for forming cement by using shells and plastic waste and cement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시멘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시멘트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각을 열처리하여 시멘트를 제조하는 시멘트 제조 장치의 열원으로 폐플라스틱을 열처리하여 발생되는 가스를 사용하는 시멘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시멘트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ment production device using shells and waste plastics and a c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ment production device that heat-treats shells to produce cement, and the gas generated by heat-treating waste plastics is used as a heat source. It relates to a cement manufacturing device used and a c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산업화 이후 전 세계적으로 생활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폐기물을 소각하거나 매립하는 방식으로 처리하였으나, 소각시 발생하는 유해 성분에 의한 대기 오염이 심각하고, 매립을 통한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매립지 부족으로 인해 폐기물을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As the quality of life improves worldwide after industrialization,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is increasing. Previously, these wastes were disposed of by incineration or landfill, but air pollution due to harmful components generated during incineration is serious,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through landfilling is increasing, and recently, due to a shortage of landfills, wastes can be considered as eco-friend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chnology to process it in an efficient and safe way.

패각은 전복류, 조개류, 굴류, 산호류, 홍합류, 고둥류 등 민물과 해양에 존재하는 각류의 껍데기를 호칭하는 것으로, 주 성분은 탄산칼슘(CaCO3)이다. 이러한 패각은 현행 제도와 비용상의 문제로 인하여 현재는 사업장 쓰레기로 분류되어 폐기처리되고 있으며, 특히 굴 패각의 경우에는 연간 약 18만톤이 발생하고 있어 이를 자원화하기 위한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Shell refers to the shells of freshwater and marine species such as abalone, clams, oysters, corals, mussels, and whelks. The main ingredient is calcium carbonate (CaCO 3 ). Due to the current system and cost issues, these shells are currently classified as industrial waste and disposed of.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yster shells, about 180,000 tons are generated annually, and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utilize them as resources.

예를 들어, 굴 패각을 분쇄하여 비료나 사료,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렇게 재활용되는 굴 패각의 양은 극미량으로, 패각이 유발하는 환경문제나 재활용 현실을 고려해볼 때, 해양 수산 폐기물인 패각의 현실적이고 새로운 처리 방안 및 재활용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For example, oyster shells are crushed and used as raw materials for fertilizers, feed, and cosmetics, but the amount of oyster shells recycled in this way is extremely small.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shells and the reality of recycling, the shells, which are marine and fishery waste, are used as raw materials for fertilizers, feed, and cosmetics. Research is required to develop realistic new treatment methods and use it as a recycled resource.

한편, 플라스틱은 가볍고 단단하며,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기 용이하므로 오늘날 다양한 산업군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그러나,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량이 늘어남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의 발생량은 해마다 급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에서만 1,000만 톤 이상이 발생하고 있어, 플라스틱 폐기물의 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Meanwhile, plastic is light, hard, and easy to manufacture into various shapes, so it is a material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es today. However, as the use of plastic products increases, the amount of plastic waste generated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Recently, more than 10 million tons are generated in Korea alone, and research on methods of processing plastic waste is being conducted from various angles.

플라스틱 폐기물은 매립이나 소각, 재활용 등의 방법을 통해 처리될 수 있는데, 플라스틱 폐기물을 소각처리하는 경우에는 소각에 의해 발생된 열에너지를 재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인체 및 환경에 치명적인 유독 가스를 배출하고, 비경제적인 문제가 있다.Plastic waste can be disposed of through methods such as landfill, incineration, and recycling. Incineration of plastic waste has the advantage of recycling the heat energy generated by incineration, but it emits toxic gases that are fatal to the human body and the environment. And there is a non-economic problem.

등록특허 제10-1993734호(2019.06.21 등록)Registered Patent No. 10-1993734 (registered on June 21, 2019)

본 발명에서는 폐플라스틱을 열처리하여 발생되는 가스를 열원으로 이용하여 패각을 열처리함으로써 시멘트를 제조하는 시멘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시멘트 생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cement manufacturing device that produces cement by heat treating shells using gas generated by heat treating waste plastic as a heat source and a c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시멘트 제조 장치는, 폐플라스틱 원료가 저장되는 원료 탱크; 원료투입부를 통해 상기 원료 탱크로부터 원료를 공급받고, 하부에서 스팀이 유입되어 내부에서 유동매체가 유동됨으로써 기포유동층이 형성되며, 상기 원료가 가스화되어 내부에서 생성가스가 만들어지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부터 상기 유동매체와 상기 생성가스에 포함된 차르(char)를 이송받고, 추가로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차르(char)를 연소시킴으로써 유동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유동매체를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 이송하는 고속유동층 연소로;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와 연통되고,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에서 배출되는 생성가스 중 미세입자를 분리하여 미세입자는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 다시 유입시키고, 나머지를 배출시키는 생성가스 사이클론; 상기 고속유동층 연소로의 상부와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의 상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매체를 배기가스와 분리시킨 후, 배기가스는 배출하고 유동매체를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와 원료투입부로 분리 공급하는 배기가스 사이클론; 및 상기 생성가스와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패각을 가열함으로써 시멘트를 생성하는 패각 처리부;를 포함한다.A cement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shells and waste pla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includes a raw material tank in which waste plastic raw materials are stored; A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in which raw materials are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tank through the raw material input unit, steam flows in from the bottom and the fluidized medium flows inside, thereby forming a bubble fluidized layer, and the raw materials are gasified to produce produced gas inside; Char contained in the fluidized medium and the produced gas is transferred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ir is additionally supplied, the fluidized medium is heated by burning the char, and the heated fluidized medium is heated. A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transferr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 produced gas cyclone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separates fine particles from the produced gas discharged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re-introduces the fine particles in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discharges the remainder; It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and the upper part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after separating the fluidized medium from the exhaust gas,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and the fluidized medium is separately suppli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the raw material input section. gas cyclone; and a shell processing unit that generates cement by heating the shell using the generated gas and exhaust gas.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의 내부에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 중심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중심로드; 및 상기 중심로드를 따라 생성가스 및 스팀을 선회류로 이동시키는 나선형 날개;가 설치될 수 있다.Inside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 center rod positioned vertically along the center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a spiral wing that moves the generated gas and steam in a swirling flow along the central rod.

상기 패각 처리부는, 패각을 예열하는 패각 예열부(510); 상기 패각 예열부(510)에서 공급된 패각을 가열하여 부분적으로 하소하는 예비 분해로(520); 상기 예비 분해로(520)에서 공급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시멘트를 제조하는 메인 분해로(530); 및 상기 메인 분해로(530)에서 공급된 시멘트를 냉각하는 냉각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ell processing unit includes a shell preheating unit 510 that preheats the shell; A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for heating and partially calcining the shell supplied from the shell preheating unit 510; a main cracking furnace (530) for producing cement by heating the mixture supplied from the preliminary cracking furnace (520); and a cooling unit 540 that cools the cement supplied from the main decomposition furnace 530.

상기 예비 분해로(520)의 열원으로 상기 배기가스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분해로(530)의 열원으로 상기 생성가스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생성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exhaust gas cyclone may be used as a heat source for the preliminary cracking furnace 520, and produced gas discharged from the produced gas cyclone may be used as a heat source for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상기 원료투입부는, 원료탱크로부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투입관; 상기 원료투입관 내부에서 회전하며 원료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원료투입관 내부에서 발생되는 염소 화합물 포함하는 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w material input unit includes a raw material input pipe through which raw materials are introduced from the raw material tank in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 transfer screw that rotates inside the raw material input pipe and transfers the raw material; and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gas containing chlorine compounds generated inside the raw material input pipe.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시멘트 제조 방법을 들 수 있으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 및 고속유동층 연소로를 포함하는 이중 유동층 반응기로 폐플라스틱 원료를 공급하여 연소시킴으로써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에서 생성가스를 생성하고, 고속유동층 연소로에서 배기가스를 생성하는 폐플라스틱 연소 단계; 및 원료인 패각을 가열하는 예열 단계, 예비 분해 단계 및 메인 분해 단계와, 냉각된 피가열물을 냉각하는 냉각 단계를 통해 시멘트를 제조하는 시멘트 제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ment manufacturing method using shells and waste plastics, where waste plastic raw materials are supplied and burned in a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including a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a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A waste plastic combustion step of generating product gas and generating exhaust gas in a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and a cement production step of manufacturing cement through a preheating step of heating the shell, which is a raw material, a preliminary decomposition step, and a main decomposition step, and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cooled object to be heated.

또한, 상기 예비 분해 단계의 열원으로 배기가스가 사용되고, 메인 분해 단계의 열원으로 생성가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xhaust gas is used as a heat source in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step and produced gas is used as a heat source in the main decomposition step.

상기 폐플라스틱 연소 단계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 폐플라스틱 원료, 스팀 및 가열된 유동매체를 공급하여 폐플라스틱 원료를 분해하는 단계; 고속유동층 연소로로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에서 배출되는 유동매체와 폐플라스틱 원료가 분해되어 생성된 차르(char)를 공급하고 연소시켜 유동매체를 재가열하는 단계; 생성가스 사이클론을 통해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에서 생성된 생성가스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여과하여 기체성분을 배출시키는 단계; 및 배기가스 사이클론을 통해 고속유동층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성분을 분리하여, 유동매체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 이송시키고, 나머지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waste plastic combustion step includes supplying waste plastic raw materials, steam, and heated fluid medium to a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to decompose the waste plastic raw materials; Reheating the fluidized medium by supplying and burning the fluidized medium discharged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char generated by decomposition of waste plastic raw materials to a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Filtering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product gas generated in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through a product gas cyclone and discharging the gaseous components; and separating the components discharged from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through an exhaust gas cyclone, transferring the fluidized medium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exhaust gas.

상기 시멘트 제조 단계는, 상하로 배치된 복수개의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패각 예열부에 원료인 패각을 공급하고 예열하는 단계; 예비 분해로로 예열된 패각과 배기가스를 공급하여 예열된 패각을 1차 가열하는 단계; 메인 분해로로 1차 가열된 패각과 생성가스를 공급하고, 생성가스를 연소하여 1차 가열된 패각을 2차 가열하여 시멘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멘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ement manufacturing step includes supplying and preheating shell, which is a raw material, to a shell prehea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yclones arranged up and down; Supplying preheated shells and exhaust gas to a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to first heat the preheated shells; Supplying primary heated shells and produced gas to the main decomposition furnace, burning the produced gas, and secondary heating the primarily heated shells to produce cement; and cooling the cement.

본 발명의 시멘트 제조 장치는 패각으로부터 시멘트를 제조하고, 열원으로 폐플라스틱을 가스화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사용하므로, 폐기물로 분류되는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어 폐기물 처리에 발생하는 비용을 절감하고,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The cement manufact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s cement from shells and uses ga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gasifying waste plastics as a heat source, so that shells and waste plastics, which are classified as waste, can be recycled, thereby reducing the costs incurred in waste disposal. Save money and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또한, 패각을 열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열원으로 폐플라스틱을 가스화하여 재활용하여 발생되는 가스를 사용하므로 천연가스나 석유, 석탄과 같은 일반적인 연료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gas generated by gasifying and recycling waste plastic is used as a heat source for heat treating shells, the cost of using general fuels such as natural gas, oil, and coal can be reduced.

뿐만 아니라, PVC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을 가스화할 때 발생하는 HCl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며, 폐플라스틱 원료의 상(phase)에 관계 없이 폐플라스틱 원료를 반응기로 보다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HCl generated when gasifying waste plastics containing PVC can be effectively reduced, and waste plastic raw materials can be more effectively supplied to the reactor regardless of the phase of the waste plastic raw materi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시멘트 제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나선형 날개를 구성하는 단위날개의 단면 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나선형 날개를 구성하는 단위날개의 단면이 유사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의 나선형 날개를 구성하는 단위날개의 단면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기포유동층 가스화로 내부에서의 유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의 나선형 날개를 구성하는 단위날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유동층 반응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유동층 반응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나선형 날개가 다공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다공판 구멍의 형상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cement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shells and waste pla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of a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unit wing constituting the spiral wing according to Figure 4.
FIG. 6 is a view viewed from direction a of FIG. 4.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cross section of the unit blade constituting the spiral blade of FIG. 4 has a pseudo-trapezoidal shape.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a unit wing constituting the spiral wing of FIG. 4.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fluid flow inside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of Figure 4.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unit blade constituting the spiral blade of FIG. 4.
Figure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schematically shows the shape of the hole in the perforated plate when the spiral blad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erforated plat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둔다.Before explaining in detail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elow,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Please note tha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concept.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rawings. These examples are merely presented as examples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specified order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That is,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opposite ord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의 여러 가지 변형된 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Below, we will look at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below,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cont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시멘트 제조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시멘트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ment production device using shells and waste plastics and a c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시멘트 제조 장치(이하, '시멘트 제조 장치'라 함)에 관한 것이다.Figure 1 relates to a cement manufactur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ement manufacturing device') using shells and waste plas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제조 장치는 패각을 원료로 공급받아, 이를 열처리하여 시멘트를 제조하는 패각 처리부(500)와 패각 처리부(500)에 열을 공급하는 이중 유동층 반응기를 포함한다. 상기 패각 처리부(500)의 원료는 패각이고, 이중 유동층 반응기의 원료는 폐플라스틱이다.The cement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ell processing unit 500 that receives shells as a raw material and heat-treats them to produce cement, and a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that supplies heat to the shell processing unit 500. The raw material of the shell processing unit 500 is shell, and the raw material of the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is waste plastic.

먼저, 상기 이중 유동층 반응기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 고속유동층 연소로(200) 및 원료탱크(300)를 포함하여, 원료탱크(300)에서 원료가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이송되면,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에서 원료가 열분해되어 생성가스(10)가 생성되고,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부터 유동매체와 생성가스(10)에 포함된 차르(char)를 공급받아 차르를 연소시킴으로써 유동매체를 가열한 뒤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다시 이송시켜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에 열을 전달한다.First, the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includes a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and a raw material tank 300, and raw materials are transferred from the raw material tank 300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When this happens, the raw material is thermally decomposed in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to generate product gas 10, and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produces the fluidized medium and the product gas 10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Char is supplied and the fluidized medium is heated by burning the char, and then transferred back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to transfer heat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상기 원료탱크(300)는 원료인 PVC를 포함하는 폐플라스틱이 저장되는 유닛으로, 원료탱크(300)에 저장된 원료는 원료투입부(160)를 통해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공급될 수 있다.The raw material tank 300 is a unit in which waste plastic containing PVC, a raw material, is stored. The raw materials stored in the raw material tank 300 can be suppli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through the raw material input unit 160. .

상기 원료투입부(160)는 원료탱크(300)로부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원료가 투입되는 원료투입관(161), 상기 원료투입관(161) 내부에서 회전하며 원료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162) 및 상기 원료투입관(161) 내부에서 발생되는 HCl과 같은 염소 화합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관(163)을 포함한다. The raw material input unit 160 is a raw material input pipe 161 through which raw materials are introduced from the raw material tank 300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a transfer screw that rotates inside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and transfers the raw materials. (162) and a discharge pipe (163) for discharging chlorine compounds such as HCl generated inside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는 원료탱크(300)에서 원료를 공급받아 열분해시킴으로써 생성가스(10)를 생성하는 유닛으로, 여기에서 H2, CO, CH4와 같은 유용한 물질뿐만 아니라 타르(tar) 및 차르(char)가 함께 생성된다. 여기서 생성된 타르(tar)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 내부에서 열분해를 통해 제거되며, 차르(char)는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로 이송되어 유동매체를 가열하기 위한 연소 연료로 사용된다.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is a unit that generates product gas 10 by receiving raw materials from the raw material tank 300 and thermally decomposing them, wherein not only useful substances such as H 2 , CO, and CH 4 but also tar (tar) ) and char are created together. The tar generated here is removed through thermal decomposition inside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the char is transferred to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and used as combustion fuel for heating the fluidized medium.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에서 배출되는 생성가스(10)에는 H2, CO, CH4 같은 유용 가스 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타르(tar) 및 유동매체 분쇄입자와 같은 미세입자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 미세입자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와 연통되어 있는 생성가스 사이클론(140)을 통해 분리되어 다시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유입되며, 미세입자가 제거된 나머지 생성가스(10)는 패각 처리부(500)의 메인 분해로(530)로 공급될 수 있다.The produced gas 10 discharged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not only contains useful gas components such as H 2 , CO, and CH 4 , but also contains fine particles such as tar and fluidized medium pulverized particles. These fine particles are separated through the produced gas cyclone 140 in communication with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flow back in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the remaining produced gas 10 with the fine particles removed Can be supplied to the main decomposition furnace 530 of the shell processing unit 500.

생성가스 사이클론(140)에서 배출되는 생성가스(10)는 유동매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수소가 40~70 vol% 정도 함유되어 있어서 수소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유동매체로는 올리바인이나 산화칼슘(CaO)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produced gas 10 discharged from the produced gas cyclone 140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fluid medium. It contains approximately 40 to 70 vol% hydrogen and can be used as a hydrogen raw material. The fluid medium is olivine. or calcium oxide (CaO) may be used.

상기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부터 유동매체와 차르(char)를 공급받아 차르를 연소시킴으로써 유동매체를 가열하는 유닛이다. 고속유동층 연소로(200)에서 가열된 유동매체와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 배기가스(20)는 배기가스 사이클론(210)을 통해 분리된다.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is a unit that receives the fluidizing medium and char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and heats the fluidizing medium by burning the char. The fluidized medium heated in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and the exhaust gas 20 generated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are separated through the exhaust gas cyclone 210.

고속유동층 연소로(200)에서 가열된 유동매체는 배기가스 사이클론(210)을 통해 분리되고, 배기가스 사이클론(210)에서 분리된 유동매체는 배기가스 사이클론 연결관(220)을 통해 배출된다.The fluidized medium heated in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is separated through the exhaust gas cyclone 210, and the fluidized medium separated from the exhaust gas cyclone 210 is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gas cyclone connection pipe 220.

상기 배기가스 사이클론 연결관(220)은 제1 유동매체 공급관(230) 및 제2 유동매체 공급관(240)에 연결된다.The exhaust gas cyclone connection pipe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fluid medium supply pipe 230 and the second fluid medium supply pipe 240.

상기 배기가스 사이클론 연결관(220)에는 밸브(2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221)에 의해 제1 유동매체 공급관(230) 및 제2 유동매체 공급관(240)으로 분리 공급되는 가열 유동매체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The exhaust gas cyclone connector 220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221, and the heated flow is separately supplied to the first fluid medium supply pipe 230 and the second fluid medium supply pipe 240 by the valve 221. The amount of medium can be adjusted.

상기 제1 유동매체 공급관(230)은 가열된 유동매체를 다시 기포 유동층 가스화로(10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며, 이와 같이 기포 유동층 가스화로(100)로 공급된 유동매체는 기포 유동층 가스화로(100)의 열원으로 기능할 수 있다.The first fluidized medium supply pipe 230 is provided to supply the heated fluidized medium back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the fluidized medium suppli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is ( 100) can function as a heat source.

상기 제2 유동매체 공급관(240)은 원료투입관(161)과 연결되어, 가열된 유동매체를 원료투입관(161)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렇게 원료투입관(161)으로 공급된 가열된 유동매체는, 원료탱크(300)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가열하고, 가열되어 액상화된 원료와 혼합되어 슬러지와 유사한 혼합물이 형성되므로, 원료의 이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The second fluid medium supply pipe 240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and can supply heated fluid medium to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The heated fluid medium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heats the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tank 300 and is mixed with the heated and liquefied raw material to form a sludge-like mixture, thereby facilitating the transfer of the raw material. You can do it.

구체적으로, 상기 원료투입부(160)의 전단은 원료탱크(300)와 연결되어 있고, 후단은 약 450℃ 이상의 온도로 유지되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와 연결되어 있어, 원료탱크(300)를 통해 공급된 PVC를 포함하는 고상의 폐플라스틱 원료는 원료투입부(160)의 전단에서는 고체 형태를 유지하다가 원료투입부(160)의 후단에서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영향으로 인해 액상화되므로 이송 스크류(162)를 통한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곤란한 문제가 발생한다. Specifically, the front end of the raw material input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raw material tank 300, and the rear end is connect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about 450 ° C. or higher, so that the raw material tank 300 The solid waste plastic raw material containing PVC supplied through maintains a solid form at the front end of the raw material input unit 160, but becomes liquefied at the rear end of the raw material input unit 160 due to the influence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Supply through the transfer screw 162 is not smooth or difficult.

뿐만 아니라 이때 HCl과 같은 염소 화합물이 발생되어 장치 내 부품의 부식을 초래하거나 작업장의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In addition, chlorine compounds such as HCl are generated at this time, which can cause corrosion of parts within the device or cause safety issues in the workplace.

이에, 본 발명에서는 고속유동층 연소로(200)에서 가열된 유동매체의 일부를 원료투입관(161)으로 공급하여, 고상의 폐플라스틱 원료를 유동매체와 혼합하여 액상화시키고, 유동매체와 원료를 함께 이송시킴으로써, 유동매체가 액상화된 원료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액상화된 원료의 이송 불량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fluidized medium heated in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is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the solid waste plastic raw material is mixed with the fluidized medium to liquefy, and the fluidized medium and the raw material are mixed together. By transferring, the fluid medium performs a carrier function of moving the liquefied raw material,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poor transport of the liquefied raw material.

이때, 유동매체는 원료탱크(300)로부터 공급되는 원료 부피 유량의 약 5~10배의 범위로 공급될 수 있다. 유동매체의 부피 유량이 원료 부피 유량의 5배 미만인 경우에는 액상화된 원료가 원활하게 이송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10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원료투입부(160)의 온도가 불필요하게 증가되는 동시에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열원으로 재공급되는 유동매체의 함량이 과도하게 적어져 유동매체를 통한 열공급 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원료투입관(161)으로 가열된 유동매체를 상술한 부피비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luid medium may be supplied in a range of about 5 to 10 times the volumetric flow rate of the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tank 300. If the volumetric flow rate of the fluid medium is less than 5 times the volumetric flow rate of the raw material, there is a problem in which the liquefied raw material is not transported smoothly, and if it exceeds 10 times, the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input section 160 is unnecessarily increased and bubbles are formed. Since the content of the fluidized medium resupplied as the heat source of th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is excessively reduced, the efficiency of heat supply through the fluidized medium is significantly reduced, so the heated fluidic medium is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at the above-mentioned volume ratio. It is desirable.

또한, 이와 같이 고속유동층 연소로(200)에서 가열된 유동매체의 일부를 원료투입관(161)으로 공급함으로써 원료투입관(161)의 온도가 전단에서 후단까지 약 300℃ 이상으로 유지되므로, 여기서 원료가 액상화되며 HCl과 같은 기체상의 염소 화합물이 발생된다. 여기서 발생된 염소 화합물은 배출관(163)을 통해 배출되므로, 염소 화합물에 의한 반응기의 부식 문제, 작업장 안전성 저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supplying a part of the fluid medium heated in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to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the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is maintained at about 300 ° C. or higher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The raw material is liquefied and gaseous chlorine compounds such as HCl are generated. Since the chlorine compounds generated here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63, corrosion problems in the reactor caused by chlorine compounds and reduced workplace safety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원료투입부(160)를 통해 공급된 원료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순차적인 장치로 이루어지는 가스화 시스템에 의하여 가스화된다.In this way, the raw materials supplied through the raw material input unit 160 are gasified by a gasification system consisting of a series of sequential devices including a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a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는 원료를 열분해, 가스화하는 부분으로서,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 하부에는 산화제인 스팀(30)이 분사됨으로써 기포유동층(120)이 형성되며, 원료가 열분해 및 가스화되어 생성가스(10)로 변하게 된다.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is a part that pyrolyzes and gasifies raw materials. Steam 30, an oxidizing agent, is injec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to form a bubble fluidized bed 120, and the raw materials are pyrolyzed and gasified. It changes into produced gas (10).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 내부 중 기포유동층(120)의 위쪽에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중심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길게 중심로드(130)가 고정 설치되고 중심로드(130)의 둘레에는 스크류 날개 형태의 나선형 날개(110)가 결합되어,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 내부에서 유체가 선회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side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 center rod (13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ubble fluidized bed (120) along the center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screw is installed around the center rod (130). It is preferable that the wing-shaped spiral blades 110 are combined so that the fluid moves in a swirling flow inside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선형 날개(110)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다공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나선형 날개(110)에 형성된 구멍의 하부로 유동매체가 낙하하고, 나선형 날개(110)를 따라 선회류로 상승하는 스팀 및 생성가스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매체와 스팀 및 생성가스의 접촉 효율이 극대화되므로, 타르의 리포밍 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t this time, preferably, the spiral wing 11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perforated plate with a plurality of holes. In this case, the fluid medium falls to the bottom of the hole formed in the spiral blade 110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steam and generated gas rising in a swirling flow along the spiral blade 110. Therefore, the contact efficiency between the fluid medium and the steam and generated gas is maximized, so the reforming efficiency of tar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와 같이 나선형 날개(110)가 다공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구멍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과 같은 도형 또는 문자, 문양, 패턴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구멍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도 13 참조).In this way, when the spiral wing 1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erforated plate, the shape of the hole may have a shape such as a circle, oval, or polygon, or a letter, pattern, or pattern, and the shape of the hole is not limited to this. No (see Figure 13).

이러한 구멍의 최대 직경 혹은 최대 변의 길이는 5~20mm일 수 있다.The maximum diameter or maximum side length of these holes may be 5 to 20 mm.

일 측면에서 관찰했을 때 상기 나선형 날개(110)는 2~6줄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줄 수가 한 줄 이하인 경우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원료 및 유동매체와 같은 반응물과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가스의 접촉 빈도 및 반응 효율이 적어져 생성가스(10)의 생성 효율 및 타르의 제거 효율이 저하되고, 6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각 줄 사이의 공간이 좁아져 나선형 날개(110)를 따라 선회하며 상승하는 가스의 압력 손실이 상승하므로, 가스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observed from one side, the spiral wings 110 may be formed to have 2 to 6 rows, and when the number of rows is less than one row, reactants such as raw materials and fluid media move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move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frequency of contact and reaction efficiency of the gas decreases, which reduces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produced gas 10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tar. If it exceeds 6 rows, the space between each row becomes narrow, so that the As the pressure loss of gas rising while rotating increases, problems with the smooth flow of gas may occur.

한편,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하부로부터 차르(char) 및 유동매체가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로 이송된다. 고속유동층 연소로(200) 하부로부터 차르를 연소시키기 위하여 공기가 유입되며,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는 속도가 아주 빠른 고속유동층(fast bed)으로 운전된다.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로 이송된 유동매체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하부에서 450~780℃였던 것이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를 거치면서 920~950℃로승온되어 고온의 열원으로서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재투입된다.Meanwhile, char and fluidized medium are transferr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to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Air flows in from the bottom of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to burn char, and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is operated with a very high speed fluidized bed (fast bed). The fluidized medium transferred to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was at 450 to 780°C at the bottom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but is heated to 920 to 950°C as it passes through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and acts as a high-temperature heat source. It is reintroduced in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이때, 필요에 따라 고속유동층 연소로(200)에 외부 연료가 추가로 더 공급될 수 있으며, 외부 연료로 생성가스 사이클론(140)을 통해 배출되는 생성가스(10)가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dditional external fuel may be supplied to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as needed, and the produced gas 10 discharged through the produced gas cyclone 140 may be used as the external fuel.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를 지난 가스는 고속유동층 연소로(200) 상부에 연결된 배기가스 사이클론(210)에 의해 유동매체 및 재가 분리되며, 연소 과정에 의해 생성된 배기가스(20)는 배기가스 사이클론(210)을 통해 배출된다.Th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is separated from the fluidized medium and the ash by the exhaust gas cyclone 210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and the exhaust gas 20 generated by the combustion process is the exhaust gas.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cyclone (210).

배기가스(20)의 온도는 920~950℃로, 후술될 배기가스 공급라인(521)을 통해 예비 분해로(520)로 공급되어, 예비 분해로(520)의 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20 is 920 to 950°C, and it is supplied to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through an exhaust gas supply line 52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be used as a heat source for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동시에, 고속유동층 연소로(200)에서 고온으로 변한 유동매체는 배기가스 사이클론(210)을 지나서, 일부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 상부로 이송되어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가스화 반응을 위한 열원으로 사용되며, 나머지 일부는 원료투입관(161)으로 공급되어 원료투입관(161)에서 원료의 이송을 원활하게 하는 캐리어로써 기능한다.At the same time, the fluidized medium that has changed to a high temperature in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passes through the exhaust gas cyclone 210, and a portion is transferr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for the gasification reaction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It is used as a heat source, and the remaining part is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and functions as a carrier to facilitate the transfer of raw materials from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각 처리부(500)는 열원으로 이중 유동층 반응기에서 발생한 가스, 즉, 생성가스(10)와 배기가스(20)를 사용하여 원료인 패각을 열처리함으로써 시멘트를 생성하는 장치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hell processing unit 500 is a device that produces cement by heat treating shell, which is a raw material, using gas generated in a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that is, product gas 10 and exhaust gas 20, as a heat source.

원료로 사용되는 패각은 전복류, 조개류, 굴류, 산호류, 홍합류, 고둥류 등 민물과 해양에 존재하는 각류의 껍데기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굴 패각이 사용될 수 있다.The shells used as raw materials can be shells of abalones, clams, oysters, corals, mussels, and whelks that exist in freshwater and marine life, but oyster shells are preferably used.

상기 패각 처리부(500)는 원료인 패각을 예열하는 패각 예열부(510); 상기 패각 예열부(510)에서 공급된 패각을 1차로 가열하여 부분적으로 하소하는 예비 분해로(520); 예비 분해로(520)에서 공급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시멘트를 제조하는 메인 분해로(530); 및 메인 분해로(530)에서 공급된 시멘트를 냉각하는 냉각부(540)를 포함한다.The shell processing unit 500 includes a shell preheating unit 510 that preheats the shell, which is a raw material; A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that first heats and partially calcifies the shells supplied from the shell preheating unit 510; A main cracking furnace (530) that produces cement by heating the mixture supplied from the preliminary cracking furnace (520); and a cooling unit 540 that cools the cement supplied from the main decomposition furnace 530.

상기 패각 예열부(510)는 상하로 배열된 복수개의 사이클론(511)을 포함하며,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5개의 사이클론(511a, 511b, 511c, 511d, 511e)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The shell preheating unit 510 includes a plurality of cyclones 511 arranged up and down, and is shown in the drawing as including five cyclones 511a, 511b, 511c, 511d, and 511e.

원료인 패각은 최상부에 배치된 사이클론(511a)으로 투입되어, 상부에 배치된 사이클론(511)에서 하부에 배치된 사이클론(511)으로 이동한다. 이때 패각은 세척을 거쳐 이물질이 제거된 후 사이클론(511)으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hell, which is a raw material, is input into the cyclone 511a disposed at the top, and moves from the cyclone 511 disposed at the top to the cyclone 511 disposed at the bottom.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ell is wash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then introduced into the cyclone 511.

각 사이클론(511)의 상부로 투입된 원료는 사이클론(511) 내부에서 회전하며 하단으로 이동하여 다음 사이클론(511)으로 유입되고, 사이클론(511)의 하부에서는 예비 분해로(52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가 각 사이클론(511)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며 하단으로 이동하는 원료와 혼합되어 원료를 예열한다.The raw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each cyclone 511 rotates inside the cyclone 511 and moves to the bottom and flows into the next cyclone 511, and at the lower part of the cyclone 511, the high temperature discharged from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The gas mov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each cyclone 511 and is mixed with the raw material moving to the bottom to preheat the raw material.

이때, 각 사이클론(511) 내부에서 원료는 회전하며 사이클론(511)의 하부 토출라인(513)를 통해 다음 사이클론(511)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각 사이클론(511) 내부에 존재하는 가열된 가스는 사이클론(511)의 상부의 연통구(514)를 통해 다음 사이클론(511)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연통구(514)를 통해 상부에 배치된 사이클론(511)의 원료 일부가 이동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raw material rotates inside each cyclone 511 and moves to the next cyclone 511 through the lower discharge line 513 of the cyclone 511. At the same time, the heated gas present inside each cyclone 511 moves to the next cyclone 511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514 at the top of the cyclone 511, and at this time, the gas disposed at the top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514 Some of the raw materials of the cyclone 511 may move.

또한, 도면에서 가열된 가스가 각 사이클론(511)을 이동하는 연통구(514)는 각 사이클론(511)을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원료가 이동하는 토출라인(513)은 상기 연통구(514)와 연결되도록 도시하였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연통구(514)와 토출라인(513)의 배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토출라인(513)도 연통구(514)와 마찬가지로 각 사이클론(511)을 순차적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drawing, the communication port 514 through which the heated gas moves each cyclone 511 sequentially connects each cyclone 511, and the discharge line 513 through which the raw material moves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ort 514. It is shown to be connected, but this is an example, and the arrangement of the communication port 514 and the discharge line 513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discharge line 513, like the communication port 514, is connected to each cyclone. (511) may be arranged to connect sequentially.

최상부에 배치된 사이클론(511a)에는 원료를 예열하여 온도가 낮아진 가스가 배출되기 위한 배기 수단(512)이 구비될 수 있다.The cyclone 511a disposed at the top may be equipped with an exhaust means 512 for discharging gas whose temperature has been lowered by preheating the raw materials.

상기 예비 분해로(520)는 최하부에 배치된 사이클론(511e)으로부터 공급되는 예열된 원료를 공급받아 1차로 가열하여 부분적으로 하소시킨다. 예비 분해로(520)에서는 패각에 포함되어 있는 탄산칼슘(CaCO3)의 일부가 이산화탄소(CO2)와 산화칼슘(CaO)으로 분해되고, 이산화탄소는 예비 분해로(520)에서 패각 예열부(510)를 통과하여 배출되며, 산화칼슘과 분해되지 않은 탄산칼슘을 포함하는 혼합물은 메인 분해로(530)로 이동한다.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receives preheated raw materials supplied from the cyclone 511e disposed at the lowest part, first heats them, and partially calcifies them. In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part of the calcium carbonate (CaCO 3 ) contained in the shell is decomposed into carbon dioxide (CO 2 ) and calcium oxide (CaO), and the carbon dioxide is decomposed into shell preheating unit 510 in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 and the mixture containing calcium oxide and undecomposed calcium carbonate moves to the main decomposition furnace (530).

이때 예비 분해로(520)로 이중 유동층 반응기의 배기가스 사이클론(210)을 통해 분리 배출되는 배기가스(20)가 공급되는데, 이때 배기가스(20)의 온도는 920~950℃의 범위로, 배기가스(20)에 의해 예비 분해로(520)의 내부가 가열되어, 탄산칼슘을 예열 및 분해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haust gas 20 separat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gas cyclone 210 of the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is supplied to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20 is in the range of 920 to 950 ° C. The interior of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is heated by the gas 20, so that calcium carbonate can be preheated and decomposed.

뿐만 아니라, 배기가스(20)에는 마모된 유동물질, 폐플라스틱 원료에 포함되어 있던 무기물인 Ca, Si, Fe, Mg 등이 포함되어 있어, 시멘트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gas 20 contains inorganic substances such as Ca, Si, Fe, Mg, etc. contained in worn fluids and waste plastic raw materials, and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cement.

상기 메인 분해로(530)는 예비 분해로(520)에서 공급된 탄산칼슘과 산화칼슘이 포함된 혼합물을 가열한다. 이에 따라 탄산칼슘의 대부분 혹은 메인 분해로(530)로 공급된 탄산칼슘이 완전히 하소되어 산화칼슘이 포함된 혼합물, 즉 시멘트를 생성할 수 있다.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heats a mixture containing calcium carbonate and calcium oxide supplied from the preliminary cracking furnace 520. Accordingly, most of the calcium carbonate or the calcium carbonate supplied to the main decomposition furnace 530 is completely calcined to produce a mixture containing calcium oxide, that is, cement.

메인 분해로(530)는 가로로 배치된 원통형 몸체를 가지며, 메인 분해로(530)의 입구가 출구보다 높게 배치되고, 중심축에 대하여 회전하며 메인 분해로(530)의 입구로 공급된 혼합물을 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has a cylindrical body arranged horizontally, the inlet of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is placed higher than the outlet, and the mixture supplied to the inlet of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is rotated about the central axis. Move it toward the exit.

이때, 메인 분해로(530)의 출구쪽에는 메인 분해로(530)로 이중 유동층 반응기의 생성가스 사이클론(140)에서 배출되는 생성가스(10)가 생성가스 공급라인(531)을 통해 공급 및 연소되어, 약 1300~1600℃ 온도 범위를 갖는 고온의 가스를 메인 분해로(530) 내부로 공급한다.At this time, on the outlet side of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the produced gas 10 discharged from the produced gas cyclone 140 of the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is supplied and burned through the produced gas supply line 531. Thus, high-temperature gas having a temperature range of approximately 1300 to 1600° C. is supplied into the main decomposition furnace 530.

메인 분해로(530)의 출구 방향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가스는 메인 분해로(530)의 입구 방향으로 이동하며, 메인 분해로(530) 내부의 혼합물, 특히 탄산칼슘을 하소시킨다. 이때, 고온의 가스로 인해 혼합물의 일부가 용융될 수 있다. 메인 분해로(530)의 입구 방향으로 이동한 고온의 가스는 예비 분해로(520)로 이동하여, 예비 분해로(520) 내부의 기체 성분들과 혼합되어 패각 처리부(500)로 이동하며 원료를 하소하고 예열할 수 있다.The high-temperature gas supplied from the outlet direction of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moves toward the entrance of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and calcifies the mixture inside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especially calcium carbonate. At this time, part of the mixture may melt due to the high temperature gas. The high-temperature gas moving toward the entrance of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moves to the preliminary cracking furnace 520, mixes with the gas components inside the preliminary cracking furnace 520, and moves to the shell processing unit 500 to produce raw materials. It can be calcined and preheated.

한편, 메인 분해로(530)에서 배출된 시멘트는 냉각부(540)를 통해 냉각되어 분말이나 과립 형태의 고체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냉각부(540)에서는 물, 공기 등 다양한 열전달 매체를 이용하여 시멘트를 냉각시킬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냉풍을 이용한 공랭 방식의 냉각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cement discharged from the main decomposition furnace 530 can be cooled through the cooling unit 540 and obtained as a solid in the form of powder or granules. In the cooling unit 540, cement can be cooled using various heat transfer media such as water and air, but preferably an air cooling method using cold wind can be applied.

도 2 및 도 3은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Figures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are shown with part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omitt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내부에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중심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길게 중심로드(130)가 고정 설치되고, 중심로드(130)의 둘레에는 스크류 날개 형태의 나선형 날개(110)가 결합된다.As previously described, a center rod 130 is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center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a screw blade is provided around the center rod 130. The shaped spiral wings 110 are combined.

상기 나선형 날개(110)에 의해 생성가스(10)와 유동매체의 접촉빈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생성가스(10)에 포함된 타르(tar)와 유동매체 간 접촉 반응이 증가하게 된다. The helical blade 110 can increase the frequency of contact between the produced gas 10 and the flowing medium, and the contact reaction between the tar contained in the produced gas 10 and the flowing medium increases.

상기 나선형 날개(110)에는 다수개의 개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115)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되며, 개구(115)를 통해 연료 및 유동매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나선형 날개(110) 밑으로 떨어지므로, 위로 상승하는 스팀 및 생성가스와의 효율적인 접촉이 쉽게 이루어진다.A plurality of openings 115 may be formed in the spiral wing 110. The openings 115 are formed in plural numbers at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art or all of the fuel and fluid medium falls under the spiral blade 110 through the openings 115, so that the steam and produced gas rising upward Efficient contact is easily achieved.

이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는 연료 및 유동매체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스팀 및 생성가스 사이의 접촉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한쪽 끝단이 나선형 날개(110) 중 개구(115)의 하단과 접하는 부분과 결합하고 나선형 날개(110)의 하향 경사지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뻗은 경사면을 포함하는 안내판(116)이 더 구비되어, 개구(115)를 통해 빠져 내려온 유동매체가 안내판(116)을 타고 경사지게 내려가도록 구성된다. In order to maximize the contact between the fuel and fluid medium mov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the steam and generated gas mov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opening 115 of the spiral blade 110 and A guide plate 116 is further provided that is coupled and includes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exten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ownwardly inclined direction of the spiral blade 110, so that the flow medium escaping through the opening 115 slopes down along the guide plate 116. It is composed of: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유동매체가 지나치게 빨리 개구(115)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는 한편 생성가스 및 스팀이 안내판(116)을 빙 둘러서 올라가게 되므로 그만큼 접촉시간이 길어지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flowing medium is prevented from escaping through the opening 115 too quickly, while the generated gas and steam rise around the guide plate 116, thereby lengthening the contact time.

상기 안내판(116)은 나선형 날개(110) 중 개구(115)의 하단과 접하는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올라가다가 꺾여서 하방으로 내려가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나선형 날개(110)를 타고 내려오는 유동매체가 더 많이 개구(115)를 통해 빠져나와 안내판(116)을 타고 내려가게 하기 위한 것이다.The guide plate 116 is configured to rise upward from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opening 115 among the spiral wings 110 and then bend to go down.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flow medium coming down the spiral wing 110 to become more stable. This is to allow people to exit through the opening 115 and go down the information board 116.

도 4는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is shown with a part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omitt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내부에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의 내부에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중심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길게 중심로드(130)가 고정 설치되고, 중심로드(130)의 둘레에는 스크류 날개 형태의 나선형 날개(110)가 결합된다.As described above, inside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 center rod 130 is fixedly installed vertically along the center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the center rod ( Spiral wings 110 in the form of screw wings are coupled to the circumference of 130).

이때, 상기 스크류 날개 형태의 나선형 날개(110)는 복수개의 단위날개(111)가 중심로드(130)에 방사상으로 결합되되, 서로 이격 형성되고 계단식으로 배치되어, 나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iral blade 110 in the form of a screw blade may be formed in a spiral shape by having a plurality of unit blades 111 radially coupled to the central rod 13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steps.

따라서, 거시적으로는 스크류 형태의 나선형 날개(110)에 의해 유동매체가 나선형 날개(110)를 따라 선회하며 내려오고, 생성가스(10)와 스팀(30)을 포함하는 기체 성분은 나선형 날개(110)를 따라 선회하며 상부로 이동한다. 동시에, 미시적으로는 상기 반응물이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각 단위날개(111) 사이의 빈 공간인 이격 영역으로 떨어지므로 선회하며 상부로 이동하는 상기 기체 성분과 더욱 빈번하게 효과적으로 접촉하여 생성가스(10)의 생성 효율 및 타르의 제거 효율이 현저히 향상된다.Therefore, macroscopically, the flow medium rotates and descends along the spiral blade 110 by the screw-shaped spiral blade 110, and the gas component including the generated gas 10 and steam 30 flows through the spiral blade 110. ) and moves upward. At the same time, microscopically, the reactant falls into the separation area, which is the empty space between each discontinuously disposed unit blade 111, so that it more frequently and effectively contacts the gas component moving upward while circling, producing gas 10. The generation efficiency and tar removal efficiency are significantly improved.

즉, 이러한 나선 형태의 계단식 배치는, 유동매체가 합성가스와 접촉하는 빈도를 증가시켜서, 합성가스에 포함된 타르가 분해 및 리포밍되어 합성가스중 타르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합성가스가 유동매체와 접촉하지 않고 빠져나가는 단회로 현상이 방지되어, 합성가스 중 타르 제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is spiral-shaped stepped arrangement increases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fluid medium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ynthesis gas, and the tar contained in the synthesis gas is decomposed and reformed,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tar concentration in the synthesis gas. The short-circuit phenomenon in which gas escapes without contacting the fluid medium is prevent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ar removal from synthesis gas.

이때, 중심로드(130)의 중심축과 단위날개(111)의 길이방향 축에 의해 형성되는 면과 수직인 상기 단위날개(111)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도 5(a)), 삼각형(도 5(b)), 오각형(도 5(c))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도면에 제시된 형태 외의 다른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cross section of the unit wing 111 perpendicular to the plane formed by the central axis of the central rod 130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unit wing 111 is polygonal, and has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4. It may have a shape such as a trapezoid (FIG. 5(a)), a triangle (FIG. 5(b)), a pentagon (FIG. 5(c)), etc., as shown in FIG. 5. It is also possible to form other polygons.

도 6은 상기 도 4의 a방향에서 관측한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탑뷰(top-view) 도면으로, 나선형 날개(110)의 인접한 두 단위날개(111)는 일부 영역이 겹쳐져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에는 마치 단위날개(111) 사이의 빈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관측되나, 실제로는 단위날개(111)가 불연속적으로 위치하므로 각 단위날개(111) 사이에는 빈 공간인 이격 영역이 존재한다.FIG. 6 is a top-view diagram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observed from the direction a of FIG. 4, in which the two adjacent unit blades 111 of the spiral blade 110 overlap in some areas and are viewed from the top. When viewed, it appears as if there is no empty space between the unit blades 111, but in reality, since the unit blades 111 are positioned discontinuously, a spaced space, which is an empty space, exists between each unit blade 111.

도 7은 단위날개(111)의 단면이 사다리꼴인 일 예에 따른 나선형 날개(110)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7 shows a spiral wing 110 according to an example in which the unit wing 111 has a trapezoidal cross-section.

단위날개(111)의 단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각 단위날개(111) 사이의 빈 공간인 이격 영역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cross section of the unit wings 111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area, which is an empty space between each unit wing 111, is formed in a shape that narr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도 7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이격 영역에서 인접하는 각 단위날개(111a, 111b)의 최상단 사이의 거리(d1)는 최하단 사이의 거리(d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기체 성분이 이격 영역을 통해 상승하는 역류 현상이 방지되므로, d1은 d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FIG. 7, when the distance (d1) between the uppermost ends of each unit wing (111a, 111b) adjacent to the separation area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stance (d2) between the lowermost ends, the gas component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area. Since the reverse flow phenomenon rising through the flow is prevented, it is preferable that d1 is formed larger than d2.

특히, d1은 d2의 2~7배의 값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d1과 d2의 거리 비율이 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격 영역을 통과해서 낙하하는 유동매체의 낙하 지연에 의한 반응 효율 향상 효과가 미미하므로, d1과 d2는 상술한 비율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d1 can be formed to have a value 2 to 7 times that of d2, and if the distance ratio between d1 and d2 is outside this range, the reaction efficiency is improved by delaying the fall of the flowing medium falling through the separation area. Since is insignificant, d1 and d2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the above-mentioned ratio.

또한, 상기 이격 영역으로 낙하하는 유동매체의 직경이 약 04~0.8mm이므로, 유동매체에 의한 파울링(foul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한 두 단위날개(111a, 111b) 사이의 이격 영역의 최소 폭은 5~25mm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diameter of the flowing medium falling into the separation area is about 04 to 0.8 mm, the minimum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between the two adjacent unit blades 111a and 111b is required to prevent fouling by the flowing medium. It is preferably formed in the range of 5 to 25 mm.

특히, 이격 영역의 폭은 각 단위날개(111a, 111b)의 최상단 사이에서 최하단 사이로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격 영역을 통해 낙하하는 유동매체의 유체 흐름이 원활해지고, 기체 성분이 이격 영역을 통해 상승하는 역류 현상 및 이에 따른 파울링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width of the separation area is preferably formed to be taper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each unit blade (111a, 111b). In this case, the fluid flow of the flowing medium falling through the separation area becomes smooth, and the gas component Through this spaced area, rising backflow phenomenon and subsequent foul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도 8은 도 4의 나선형 날개(110)를 구성하는 단위날개(111)의 단면 형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단위날개(111)는 단위날개(111)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소정 각도(θ)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어, 바닥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형태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소정 각도(θ)는 40~80도일 수 있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unit blade 111 constituting the spiral blade 110 of FIG. 4, where the unit blade 11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unit blade 111. (θ) It may be arranged in a rotated state to have an inclined shape with respect to the floor surface, and the predetermined angle (θ) may be 40 to 80 degrees.

단위날개(111)가 이와 같이 배치됨에 따라 단위날개(111)의 최상부에 위치한 일 모서리에서 연장되는 두 면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이에 따라 나선형 날개(110)를 따라 선회하며 내려오는 유동매체가 하향 경사진 두 면을 따라 이동하므로, 상기 반응물이 이격 영역을 통해 지나치게 빨리 떨어지는 것이 방지되어 반응물과 생성가스(10) 및 스팀(30)의 접촉시간이 연장되므로 반응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the unit blades 111 are arranged in this way, the two surfaces extending from one edge located at the top of the unit blades 111 are formed to slope downwar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ccordingly, they rotate and descend along the spiral blades 110. Since the flowing medium moves along the two downwardly sloping sides, the reactants are prevented from falling too quickly through the separation area, thereby extending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reactants and the product gas (10) and steam (30), thereby improving reaction efficiency. You can get the effect.

한편, 도 9는 단위날개(111)가 유사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경우에, 유동매체와 생성가스(10), 스팀(30) 등을 포함하는 기체 성분의 유체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Meanwhile, 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fluid flow of gas components including the fluidizing medium, product gas 10, steam 30, etc., when the unit blade 111 has a pseudo-trapezoidal cross-section. .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유동매체는 각 단위날개(111) 사이의 이격 영역에 체류하며 상부 영역에서 기체 성분과 접촉하여 반응하고, 일부 반응물은 이격 영역을 통과하여 낙하하며 기체 성분과 접촉하여 반응한다. 이와 같이 유동매체와 기체 성분의 접촉 빈도가 현저히 증가함에 따라 생성가스(10) 생성 효율 및 타르(tar) 제거 효율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some of the fluid medium stays in the separation area between each unit blade 111 and reacts by contacting the gas component in the upper area, and some reactants pass through the separation area and fall, contacting the gas component. react. In this way, as the frequency of contact between the fluid medium and the gas component significantly increases, the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generated gas 10 and the efficiency of tar removal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도 10은 본 발명의 나선형 날개(110)를 구성하는 단위날개(11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단위날개(111)에는 단위날개(111)의 하부 모서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서 하향 경사지는 연장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unit blade 111 constituting the spiral blade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blade 111 has at least one lower edge of the unit blade 111. A downwardly sloping extension 113 may be formed.

이와 같이 연장부(113)가 형성되는 경우, 연장부(113)를 따라 유동매체가 이동하므로, 표면장력에 의해 반응물이 이격 영역의 하부로 떨어지지 못하여 이격 영역이 폐쇄되는 파울링 현상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동매체의 낙하 시간을 지연시켜 유동매체와 스팀(30) 및 생성가스(10)의 접촉 시간을 늘림으로써 반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extension part 113 is formed in this way, the fluid medium moves along the extension part 113, so the fouling phenomenon in which the reactant cannot fall to the bottom of the separation area due to surface tension and the separation area is closed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reac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delaying the falling time of the fluid medium and increasing the contact time between the fluid medium and the steam 30 and the generated gas 10.

일 예로, 상기 연장부(113)는 각 단위날개(111)에 모두 설치될 수 있고, 혹은 일부 단위날개(111)에만 설치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단위날개(111)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연장부(113)는 규칙적인 패턴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불규칙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유동매체를 하부로 낙하시키면서 이격 영역을 폐쇄하지 않는 형태라면 그 형태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xtension portion 113 may be installed in all of the unit wings 111, or may be installed in only some of the unit wings 111, or may be installed in plural units in one unit wing 111. .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portion 113 is installed to have a regular pattern, but it can also be installed irregularly, and its shape or nu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does not close the spaced area while allowing the flowing medium to fall downward. It can be.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유동층 반응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유동층 반응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중 유동층 반응기의 원료투입부(160)의 원료투입관(161)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원료투입관(161)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관(164)을 포함한다. 즉, 원료투입관(161)과 외부관(164)은, 외부관(164)의 내부에 원료투입관(161)이 배치되는 이중관 형태를 갖는다.The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spaced apart from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of the raw material input section 160 of the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Includes pipe 164. That is,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and the external pipe 164 have a double pipe shape in which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is disposed inside the external pipe 164.

이때, 상기 원료투입관(161)의 외주연과 외부관(164)의 내주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에는 열전달매체(50)가 흐르며 원료투입관(161)을 추가적으로 가열시킨다. 따라서, 원료투입관(161)을 따라 공급되는 원료의 액상화 및 염소 화합물 생성을 가속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욱 효율적으로 염소 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 transfer medium 50 flows in the space S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external pipe 164, thereby additionally heating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Therefore, liquefaction of the raw material supplied along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and generation of chlorine compounds can be accelerated, and thus chlorine compounds can be removed more efficiently.

상기 열전달매체(50)는 공간(S)과 열교환기(400)를 순환 이동하며, 열교환기(400)를 통해 가열된 열전달매체(50)는 공간(S)으로 유입되어 원료투입관(161)을 가열시키고 상대적으로 저온인 상태로 공간(S)에서 배출되어 다시 열교환기(400)로 공급된다.The heat transfer medium 50 circulates through the space S and the heat exchanger 400, and the heat transfer medium 50 heat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400 flows into the space S and enters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is heated and discharged from the space S in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state and supplied back to the heat exchanger 400.

상기 열전달매체(50)는 물 또는 열전달유일 수 있으며, 열전달유로는 미네랄오일, 글리콜 수용액, 파라핀, 디아릴알칸, 폴리페닐 유도체, 아릴에테르, 디메틸실록산 폴리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heat transfer medium 50 may be water or heat transfer oil, and the heat transfer oil may be mineral oil, glycol aqueous solution, paraffin, diarylalkane, polyphenyl derivative, aryl ether, dimethylsiloxane polymer,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상기 열교환기(400)에서 열전달매체(50)를 가열시키기 위한 열원으로 바람직하게는 배기가스 사이클론(210)을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2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배기가스(20) 전량이 열교환기(400)로 투입되는 경우, 열교환기(40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20)는 그대로 예비 분해로(520)로 투입되거나, 백필터(410)를 거쳐 먼지나 유해가스 등이 제거된 후 예비 분해로(520)로 투입될 수 있다.Exhaust gas 20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gas cyclone 210 may be preferably used as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heat transfer medium 50 in the heat exchanger 400. At this time, when the entire amount of exhaust gas 20 is input into the heat exchanger 400, the exhaust gas 20 discharged from the heat exchanger 400 is directly input into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or is filtered through the bag filter 410. After dust or harmful gases are removed, it can be put into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또는, 배기가스 사이클론(210)을 통해 배출된 배기가스(20)의 일부는 바로 예비 분해로(520)로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가 열교환기(400)로 투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열교환기(400)로 투입된 배기가스(20)는 예비 분해로(520)로 직접 혹은 백필터(410)를 거친 뒤 공급될 수 있다.Alternatively, a part of the exhaust gas 20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gas cyclone 210 may be directly supplied to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and the remaining part may be input into the heat exchanger 400. In this case, the heat exchanger 400 The exhaust gas 20 introduced into 400 may be supplied directly to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or after passing through the bag filter 410.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유동층 반응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와 고속유동층 연소로(200)가 서로 떨어져 있도록 구성된 것이나, 도 12에 나타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가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2 is a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도 12에 제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유동층 반응기의 경우에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 내부에 설치된 나선형 날개(110)의 중심로드(130) 내부의 공간에 고속유동층 연소로(200)가 위치하며, 고온의 고속유동층 연소로(200) 벽면을 통해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열이 전달됨으로써 열전달을 최대화하고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가스화 장치의 운전비를 절감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2, a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is installed in the space inside the center rod (130) of the spiral blade (110) installed inside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 is located, and heat is transferr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through the wall of the high-temperatur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thereby maximizing heat transfer and minimizing heat loss, thereby reducing operating costs of the gasifier.

도 12에 제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이중 유동층 반응기의 원료투입부(160)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원료투입관(161)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원료투입관(161)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관(16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원료투입관(161)과 외부관(164) 사이의 공간(S)에는 열전달매체(50)가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aw material input portion 160 of the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2 is spaced apart from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urrounds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It may include an external pipe 164 formed to allow the heat transfer medium 50 to flow in the space S between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and the external pipe 164.

상기 열전달매체(50)는 열교환기(400)를 거쳐 다시 가열된 후 공간(S)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이때 열교환기(400)에서 열전달매체(50)를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 외부 열원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속유동층 연소로(200)에서 배출된 배기가스(20)가 사용될 수 있다.The heat transfer medium 50 may be heated again through the heat exchanger 400 and then supplied to the space S. At this time, an external heat source may be used as a heat source to heat the heat transfer medium 50 in the heat exchanger 400. However, preferably, the exhaust gas 20 discharged from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can be used.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기술적 내용은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pecific technical details related to thi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overlapping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한편, 본 발명은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시멘트 생산 방법(이하, '시멘트 생산 방법'이라 함)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ment production method using shells and waste plastic (hereinafter referred to as 'cement production method').

본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생산 방법은, 앞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멘트 생산 장치를 사용하여 시멘트를 생산하는 방법으로, 폐플라스틱을 가열하여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패각을 하소시킴으로써 시멘트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생산 방법에서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시멘트 생산 장치와 관련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The cement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method of producing cement using the cement production device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Cement is produced by calcining the shell using the heat generated by heating waste plastic. It's about how to produce it. Therefore, in the cement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s related to the cement production apparatu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 생산 방법은,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 및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를 포함하는 이중 유동층 반응기로 폐플라스틱 원료를 공급하여 연소시킴으로써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에서 생성가스(10)를 생성하고, 고속유동층 연소로(200)에서 배기가스(20)를 생성하는 폐플라스틱 연소 단계; 및 원료인 패각을 가열하는 예열 단계, 예비 분해 단계 및 메인 분해 단계와, 냉각된 피가열물을 냉각하는 냉각 단계를 통해 시멘트를 제조하는 시멘트 제조 단계;를 포함한다.The cement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upplies waste plastic raw materials to a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including a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a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and combusts them, thereby producing gas produced in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 waste plastic combustion step of generating (10) and generating exhaust gas (20) in a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and a cement production step of manufacturing cement through a preheating step, a preliminary decomposition step, and a main decomposition step of heating the shell as a raw material, and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cooled object to be heated.

이때, 상기 예비 분해 단계의 열원으로 배기가스(20)가 사용되고, 메인 분해 단계의 열원으로 생성가스(10)가 사용된다.At this time, exhaust gas 20 is used as a heat source in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step, and produced gas 10 is used as a heat source in the main decomposition step.

먼저, 상기 폐플라스틱 연소 단계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폐플라스틱 원료, 스팀 및 가열된 유동매체를 공급하여 폐플라스틱 원료를 분해하는 단계;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로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에서 배출되는 유동매체와 폐플라스틱 원료가 분해되어 생성된 차르(char)를 공급하고 연소시켜 유동매체를 재가열하는 단계; 생성가스 사이클론(140)을 통해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에서 생성된 생성가스(10)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여과하여 기체성분을 배출시키는 단계; 및 배기가스 사이클론(210)을 통해 고속유동층 연소로(200)에서 배출되는 성분을 분리하여, 유동매체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이송시키고, 나머지 배기가스(20)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First, the waste plastic combustion step includes supplying waste plastic raw materials, steam, and heated fluid medium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to decompose the waste plastic raw materials; Reheating the fluidized medium by supplying and burning the fluidized medium discharged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char generated by decomposition of waste plastic raw materials to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Filtering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product gas (10) generated in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through the product gas cyclone (140) and discharging the gaseous components; and separating the components discharged from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through the exhaust gas cyclone 210, transferring the fluidized medium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exhaust gas 20. Includes.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폐플라스틱 원료, 스팀 및 가열된 유동매체를 공급하여 폐플라스틱 원료를 분해하는 단계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공급된 폐플라스틱 원료를 분해하여 생성가스(10)를 생성하는 단계이다.In the step of decomposing the waste plastic raw materials by supplying waste plastic raw materials, steam, and heated fluid medium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the waste plastic raw materials suppli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re decomposed to produce gas ( 10) This is the step to create.

폐플라스틱 원료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 전단에 구비된 원료투입부(160)를 통해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공급될 수 있으며, 원료투입부(160)의 원료투입관(161)에서 폐플라스틱 원료가 이송스크류(162)를 통해 유동매체와 혼합 및 이송되어, 폐플라스틱 원료가 고상일 때와 액상일 때 모두 원활하게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공급될 수 있다.Waste plastic raw materials can be suppli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through the raw material input unit 160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from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of the raw material input unit 160. The waste plastic raw material is mixed and transferred with the fluidized medium through the transfer screw 162, so that the waste plastic raw material can be smoothly suppli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both in solid phase and in liquid phase.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에서는 원료투입관(161)을 통해 폐플라스틱 원료와 유동매체를 공급받고, 추가로 스팀 및 가열된 유동매체를 공급받아 기포유동층을 형성하며, 폐플라스틱 원료를 가열하여 분해시킨다. 여기서 생성된 생성가스(10)는 상부로 배출되고, 차르와 유동매체의 일부는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로 이동한다.In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waste plastic raw materials and fluid media are supplied through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steam and heated fluid media are additionally supplied to form a bubble fluidized bed, and the waste plastic raw materials are heated to decompose. I order it. The produced gas 10 generated here is discharged to the top, and the char and part of the fluidized medium move to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상기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로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에서 배출되는 유동매체와 폐플라스틱 원료가 분해되어 생성된 차르(char)를 공급하고 연소시켜 유동매체를 재가열하는 단계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의 열원으로 재사용될 수 있도록 유동매체를 재가열하는 단계이다.The step of supplying and burning the fluidized medium discharged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and char generated by decomposition of waste plastic raw materials to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and reheating the fluidized medium is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This is a step of reheating the fluid medium so that it can be reused as a heat source for the furnace 100.

이때,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를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 차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차르는 고속유동층 연소로(200)로 공급된 공기와 반응하여 연소됨으로써 열을 발생시키고, 이는 유동매체를 가열하기위한 열원으로 사용된다.At this time, char can be used as a heat source for heating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and the char reacts with the air supplied to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and combusts to generate heat, which heats the fluid medium. It is used as a heat source for

이렇게 가열된 유동매체와 차르가 연소되어 생성된 생성물은 배기가스 사이클론(210)을 통해 배기가스(20)와 가열된 유동매체로 분리되며, 가열된 유동매체는 다시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공급되어 열원으로써 기능하고, 고온의 배기가스(20)는 외부로 배출되어 후술될 예비 분해로(520)로 공급되어 열을 공급할 수 있다.The product generated by combustion of the heated fluid medium and char is separated into the exhaust gas 20 and the heated fluid medium through the exhaust gas cyclone 210, and the heated fluid medium is return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It is supplied and functions as a heat source, and the high-temperature exhaust gas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supplied to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supply heat.

상기 생성가스 사이클론(140)을 통해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에서 생성된 생성가스(10)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여과하여 기체성분을 배출시키는 단계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에서 폐플라스틱 원료가 분해되어 생성된 성분 중 수소, 일산화탄소, 메탄과 같은 유용한 가스 성분만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단계로, 생성가스 사이클론(140)에서 이러한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The step of filtering the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product gas 10 generated in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through the product gas cyclone 140 and discharging the gas component is a step of discharging the gas component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00. This is a step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only useful gas components such as hydrogen, carbon monoxide, and methane among the components produced by decomposition, and this process can be performed in the produced gas cyclone 140.

이때, 여기서 배출되지 못한 미세 입자는 다시 기포유동층 가스화로(100)로 공급되고, 생성가스(10)는 후술될 메인 분해로(530)로 공급 및 연소되어 열원으로써 기능한다.At this time, the fine particles that were not discharged here are supplied again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100, and the produced gas 10 is supplied and burned to the main decomposition furnace 5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functions as a heat source.

한편, 상기 시멘트 제조 단계는, 상하로 배치된 복수개의 사이클론(511)을 포함하는 패각 예열부에 원료인 패각을 공급하고 예열하는 단계; 예비 분해로(520)로 예열된 패각과 배기가스(20)를 공급하여 예열된 패각을 1차 가열하는 단계; 메인 분해로(530)로 1차 가열된 패각과 생성가스(10)를 공급하고, 생성가스(10)를 연소하여 1차 가열된 패각을 2차 가열하여 시멘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멘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ement manufacturing step includes supplying and preheating shell as a raw material to a shell prehea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yclones 511 arranged vertically; Supplying preheated shells and exhaust gas 20 to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to first heat the preheated shells; Supplying primary heated shells and generated gas 10 to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burning the generated gas 10 to secondary heat the primary heated shells to produce cement; and cooling the cement.

먼저, 시멘트 제조 원료로 사용되는 패각은 상하로 배치된 복수개의 사이클론(511)을 포함하는 패각 예열부(510)로 공급되어 예열된다.First, the shell used as a raw material for cement production is supplied to the shell preheating unit 510 including a plurality of cyclones 511 arranged vertically and preheated.

구체적으로, 제일 최상부에 위치한 사이클론(511a)의 상부에 패각이 공급되면, 사이클론(511)을 통해 회전하며 패각이 하부로 이동하여, 패각 예열부(510)의 최하단에 위치한 사이클론(511e)과 연통된 예비 분해로(520)로 투입된다.Specifically, when the shell is su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cyclone 511a located at the top, the shell rotates through the cyclone 511 and moves downward, communicating with the cyclone 511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hell preheating unit 510. It is put into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동시에, 예비 분해로(52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가 최하단에 위치한 사이클론(511e)에서 최상단에 위치한 사이클론(511a)까지 상부로 이동하며, 하단으로 이동하는 원료와 혼합되어 원료를 예열한다. 이후, 최상단에 위치한 사이클론(511a)의 상부로 가스 성분이 배출될 수 있다.At the same time, the high-temperature gas discharged from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moves upward from the cyclone 511e located at the bottom to the cyclone 511a located at the top, and is mixed with the raw material moving to the bottom to preheat the raw material. Afterwards, the gas component may be discharged to the top of the cyclone 511a located at the top.

다음으로, 예비 분해로(520)로 예열된 패각과 배기가스(20)를 공급하여 예열된 패각을 1차 가열하는 단계는 예비 분해로(520)에서 예열된 패각을 하소하여 일부 탄산칼슘을 산화칼슘으로 제조하는 단계이다.Next, the step of first heating the preheated shell by supplying the preheated shell and exhaust gas 20 to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is to oxidize some of the calcium carbonate by calcining the preheated shell in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This is the stage of manufacturing with calcium.

이때, 하소를 위한 열원으로 앞서 배기가스 사이클론(210)에서 공급된 고온의 배기가스(20)를 사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high temperature exhaust gas 20 previously supplied from the exhaust gas cyclone 210 can be used as a heat source for calcination.

다음으로, 메인 분해로(530)로 1차 가열된 패각과 생성가스(10)를 공급하고, 생성가스(10)를 연소하여 1차 가열된 패각을 2차 가열하여 시멘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예비 분해로(520)에서 하소되지 못하고 남은 탄산칼슘을 마저 하소하여 산화칼슘, 즉 시멘트를 제조하는 단계이다.Next, the step of supplying primary heated shells and produced gas 10 to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burning the produced gas 10, and secondary heating the primarily heated shells to produce cement, This is the step of producing calcium oxide, that is, cement, by calcining the remaining calcium carbonate that was not calcined in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이때 하소를 위한 열원으로 앞서 생성가스 사이클론(140)으로부터 공급되는 생성가스(10)가 사용될 수 있고, 생성가스(10)는 메인 분해로(530)의 후단에서 공급 및 연소되어 열분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duct gas 10 supplied from the product gas cyclone 140 may be used as a heat source for calcination, and the product gas 10 is supplied and burned at the rear of the main decomposition furnace 530 to improve pyrolysis efficiency. You can.

메인 분해로(530)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가스는 내부의 탄산칼슘을 가열하는데 사용되고, 이후 메인 분해로(530)의 전단을 통해 예비 분해로(520)로 공급될 수 있다.The high-temperature gas generated in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is used to heat the calcium carbonate inside, and can then be supplied to the preliminary cracking furnace 520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마지막으로, 메인 분해로(530)에서 생성된 시멘트를 냉각하는 냉각 단계가 수행된다. 이 단계는 수냉식, 공랭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공랭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Finally, a cooling step is performed to cool the cement produced in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This step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water-cooling or air-cooling, but is preferably performed by air-cooling.

한편, 상기 원료투입부(160)의 원료투입관(161)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단계가 추가로 더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원료투입관(161)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외부관(164)에 열교환기(400)를 통해 가열된 열전달매체(50)가 흐르고, 열전달매체(50)를 가열하기 위해 열교환기(400)로 배기가스 사이클론(210)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20)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열교환기(400)에 사용된 배기가스(20)는 예비 분해로(520)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Meanwhile, an additional step may be perform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of the raw material input unit 160 constant. In this case, the heated heat transfer medium 50 flows through the heat exchanger 400 in the outer pipe 164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and a heat exchanger (50) is used to heat the heat transfer medium 50. At least a portion of the exhaust gas 20 discharged from the exhaust gas cyclone 210 may be used as 400). In this way, the exhaust gas 20 used in the heat exchanger 400 can be supplied back to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description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생성가스 20: 배기가스
21: 배기가스라인 30: 스팀
40: 공기 50: 열전달매체
100: 기포유동층 가스화로 110: 나선형 날개
111: 단위날개 113: 연장부
120: 기포 유동층 130: 중심로드
140: 생성가스 사이클론 150: 생성가스 사이클론 연결관
160: 원료투입부 161: 원료투입관
162: 이송스크류 163: 배출관
164: 외부관 170: 가스화로 연결관
200: 고속유동층 연소로 210: 배기가스 사이클론
220: 배기가스 사이클론 연결관 221: 밸브
230: 제1 유동매체 공급관 240: 제2 유동매체 공급관
300: 원료 탱크 400: 열교환기
500: 패각 처리부 510: 패각 예열부
520: 예비 분해로 521: 배기가스 공급라인
530: 메인 분해로 531: 생성가스 공급라인
540: 냉각부
10: Produced gas 20: Exhaust gas
21: exhaust gas line 30: steam
40: air 50: heat transfer medium
100: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110: Spiral blade
111: unit wing 113: extension part
120: bubble fluid bed 130: center rod
140: Produced gas cyclone 150: Produced gas cyclone connector
160: Raw material input unit 161: Raw material input pipe
162: transfer screw 163: discharge pipe
164: External pipe 170: Gasifier connector
200: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10: Exhaust gas cyclone
220: exhaust gas cyclone connector 221: valve
230: first fluid medium supply pipe 240: second fluid medium supply pipe
300: Raw material tank 400: Heat exchanger
500: shell processing unit 510: shell preheating unit
520: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1: exhaust gas supply line
530: Main cracking furnace 531: Produced gas supply line
540: Cooling unit

Claims (8)

폐플라스틱 원료가 저장되는 원료 탱크;
원료투입부를 통해 상기 원료 탱크로부터 원료를 공급받고, 하부에서 스팀이 유입되어 내부에서 유동매체가 유동됨으로써 기포유동층이 형성되며, 상기 원료가 가스화되어 내부에서 생성가스가 만들어지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부터 상기 유동매체와 상기 생성가스에 포함된 차르(char)를 이송받고, 추가로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차르(char)를 연소시킴으로써 유동매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유동매체를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 이송하는 고속유동층 연소로;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와 연통되고,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에서 배출되는 생성가스 중 미세입자를 분리하여 미세입자는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 다시 유입시키고, 나머지를 배출시키는 생성가스 사이클론;
상기 고속유동층 연소로의 상부와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의 상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동매체를 배기가스와 분리시킨 후, 배기가스는 배출하고 유동매체를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와 원료투입부로 분리 공급하는 배기가스 사이클론; 및
상기 생성가스와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패각을 가열함으로써 시멘트를 생성하는 패각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가스는 수소를 40~70 vol% 포함하고,
상기 패각 처리부는, 패각을 예열하는 패각 예열부(510); 상기 패각 예열부(510)에서 공급된 패각을 가열하여 부분적으로 하소하는 예비 분해로(520); 상기 예비 분해로(520)에서 공급된 혼합물을 가열하여 시멘트를 제조하는 메인 분해로(530); 및 상기 메인 분해로(530)에서 공급된 시멘트를 냉각하는 냉각부(540);를 포함하되,
상기 예비 분해로(520)의 열원으로 상기 배기가스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사용되고, 상기 메인 분해로(530)의 열원으로 상기 생성가스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생성가스가 사용되며,
상기 고온유동층 연소로(200)에서 가열된 유동매체의 일부가 원료투입관(161)으로 공급되어 원료와 혼합되되, 유동매체와 원료의 부피유량의 비는 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시멘트 제조 장치.
Raw material tank where waste plastic raw materials are stored;
A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in which raw materials are supplied from the raw material tank through the raw material input unit, steam flows in from the bottom and the fluidized medium flows inside, thereby forming a bubble fluidized layer, and the raw materials are gasified to produce produced gas inside;
Char contained in the fluidized medium and the produced gas is transferred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ir is additionally supplied, the fluidized medium is heated by burning the char, and the heated fluidized medium is heated. A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transferr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 produced gas cyclone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separates fine particles from the produced gas discharged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re-introduces the fine particles in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discharges the remainder;
It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and the upper part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after separating the fluidized medium from the exhaust gas,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and the fluidized medium is separately supplied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the raw material input section. gas cyclone; and
It includes a shell processing unit that generates cement by heating the shell using the generated gas and exhaust gas,
The produced gas contains 40 to 70 vol% of hydrogen,
The shell processing unit includes a shell preheating unit 510 that preheats the shell; A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520 for heating and partially calcining the shell supplied from the shell preheating unit 510; a main cracking furnace (530) for producing cement by heating the mixture supplied from the preliminary cracking furnace (520); And a cooling unit 540 that cools the cement supplied from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exhaust gas cyclone is used as a heat source for the preliminary cracking furnace 520, and produced gas discharged from the produced gas cyclone is used as a heat source for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A portion of the fluidized medium heated in the high-temperature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is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and mixed with the raw material, and the ratio of the volumetric flow rate of the fluidized medium and the raw material is 5 to 10. and cement manufacturing equipment using waste plast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의 내부에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 중심부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중심로드; 및 상기 중심로드를 따라 생성가스 및 스팀을 선회류로 이동시키는 나선형 날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시멘트 제조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Inside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 center rod positioned vertically along the center of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a spiral wing that moves the generated gas and steam in a swirling flow along the central rod. A cement manufacturing device using shell and waste plastic,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기포유동층 가스화로 및 고속유동층 연소로를 포함하는 이중 유동층 반응기로 폐플라스틱 원료를 공급하여 연소시킴으로써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에서 생성가스를 생성하고, 고속유동층 연소로에서 배기가스를 생성하는 폐플라스틱 연소 단계; 및
원료인 패각을 가열하는 예열 단계, 예비 분해 단계 및 메인 분해 단계와, 냉각된 피가열물을 냉각하는 냉각 단계를 통해 시멘트를 제조하는 시멘트 제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예비 분해 단계의 열원으로 배기가스가 사용되고, 메인 분해 단계의 열원으로 생성가스가 사용되되, 상기 생성가스는, 수소를 40~70 vol% 포함하고,
상기 시멘트 제조 단계는, 상하로 배치된 복수개의 사이클론을 포함하는 패각 예열부에 원료인 패각을 공급하고 예열하는 단계; 예비 분해로로 예열된 패각과 배기가스를 공급하여 예열된 패각을 1차 가열하는 단계; 메인 분해로로 1차 가열된 패각과 생성가스를 공급하고, 생성가스를 연소하여 1차 가열된 패각을 2차 가열하여 시멘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시멘트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예비 분해로(520)의 열원으로 상기 배기가스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사용되고, 상기 메인 분해로(530)의 열원으로 상기 생성가스 사이클론에서 배출되는 생성가스가 사용되며,
상기 고온유동층 연소로(200)에서 가열된 유동매체의 일부가 원료투입관(161)으로 공급되어 원료와 혼합되되, 유동매체와 원료의 부피유량의 비는 5~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시멘트 제조 방법.
A waste plastic combustion step of supplying waste plastic raw materials to a double fluidized bed reactor including a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a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for combustion to generate product gas in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generating exhaust gas in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and
A cement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cement through a preheating step, a preliminary decomposition step, and a main decomposition step of heating the shell as a raw material, and a cooling step of cooling the cooled object to be heated;
Exhaust gas is used as a heat source in the preliminary decomposition step, and produced gas is used as a heat source in the main decomposition step, and the produced gas contains 40 to 70 vol% of hydrogen,
The cement manufacturing step includes supplying and preheating shell, which is a raw material, to a shell preheat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yclones arranged up and down; Supplying preheated shells and exhaust gas to a preliminary decomposition furnace to first heat the preheated shells; Supplying primary heated shells and produced gas to the main decomposition furnace, burning the produced gas, and secondary heating the primarily heated shells to produce cement; and cooling the cement.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exhaust gas cyclone is used as a heat source for the preliminary cracking furnace 520, and produced gas discharged from the produced gas cyclone is used as a heat source for the main cracking furnace 530,
A portion of the fluidized medium heated in the high-temperature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200 is supplied to the raw material input pipe 161 and mixed with the raw material, and the ratio of the volumetric flow rate of the fluidized medium and the raw material is 5 to 10. and cement manufacturing method using waste plastic.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 연소 단계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 폐플라스틱 원료, 스팀 및 가열된 유동매체를 공급하여 폐플라스틱 원료를 분해하는 단계;
고속유동층 연소로로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에서 배출되는 유동매체와 폐플라스틱 원료가 분해되어 생성된 차르(char)를 공급하고 연소시켜 유동매체를 재가열하는 단계;
생성가스 사이클론을 통해 기포유동층 가스화로에서 생성된 생성가스에 포함된 미세입자를 여과하여 기체성분을 배출시키는 단계; 및
배기가스 사이클론을 통해 고속유동층 연소로에서 배출되는 성분을 분리하여, 유동매체는 기포유동층 가스화로로 이송시키고, 나머지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각과 폐플라스틱을 사용한 시멘트 제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ep of burning waste plastic,
Decomposing waste plastic raw materials by supplying waste plastic raw materials, steam, and heated fluid medium to a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Reheating the fluidized medium by supplying and burning the fluidized medium discharged from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er and char generated by decomposition of waste plastic raw materials to a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Filtering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product gas generated in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through a product gas cyclone and discharging the gaseous components; and
A cement manufacturing method using shells and waste plastics, including the step of separating components discharged from the high-speed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through an exhaust gas cyclone, transferring the fluidized medium to the bubble fluidized bed gasification furnace,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exhaust gas.
삭제delete
KR1020210104327A 2021-08-09 2021-08-09 Apparatus for forming cement by using shells and plastic waste and cement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6366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327A KR102636642B1 (en) 2021-08-09 2021-08-09 Apparatus for forming cement by using shells and plastic waste and cement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4327A KR102636642B1 (en) 2021-08-09 2021-08-09 Apparatus for forming cement by using shells and plastic waste and cement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076A KR20230023076A (en) 2023-02-17
KR102636642B1 true KR102636642B1 (en) 2024-02-16

Family

ID=85327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4327A KR102636642B1 (en) 2021-08-09 2021-08-09 Apparatus for forming cement by using shells and plastic waste and cement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64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9196A (en) * 2014-09-26 2016-05-09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Cement clinker,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solidification material
JP2018127371A (en) * 2017-02-07 2018-08-16 株式会社Ihi Cement-produc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377B1 (en) * 2004-04-13 2006-07-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Dechlorination System by Indirect Heating for Removal of Chlorine From Mixed Polymer Wastes Including PVC
KR101993734B1 (en) 2017-09-26 2019-06-28 경국현 Dual fluidized bed reactor including helical gasfier
KR102323362B1 (en) * 2020-01-28 2021-11-09 경국현 Dual fluidized bed reacting system including terraced helical impell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69196A (en) * 2014-09-26 2016-05-09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Cement clinker,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solidification material
JP2018127371A (en) * 2017-02-07 2018-08-16 株式会社Ihi Cement-produc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3076A (en) 2023-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5631A (en) Catalytic gasification process and system
KR100445363B1 (en) Wast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through vaporization
CN105143413B (en) High-temperature reflux vortex reactor system, method and apparatus
CA3018980C (en) Three-stage energy-integrated product gas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BR0017599B1 (en) process for pyrolysis and gasification of organic substances or mixtures of organic substances.
US9243197B2 (en) Radiant heat flux enhanced organic material gasification system
CN113195685A (en) Process for treating carbonaceous material and apparatus therefor
JP7182542B2 (en) Volume reduction of radioactive waste due to heat
KR102636642B1 (en) Apparatus for forming cement by using shells and plastic waste and cement form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572316B1 (en) Dual fluidized bed reactor including helical gasfier for recycling mixture plastic waste
PL106251B1 (en) THE METHOD OF OBTAINING LIQUID AND GASEOUS FUELS IN AN INTEGRATED, CURRENT COAL HYDROCARBONIZATION AND GASIFYING PROCESS
KR102323362B1 (en) Dual fluidized bed reacting system including terraced helical impeller
EP0735928B1 (en) Contaminant removal
KR102510534B1 (en) Ship for treatment of ocean waste
KR102572307B1 (en) Apparatus for supplying hydrogen for producing iron and eco-friendly iron producing method
EP10214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asification of solid carbonaceous material
JP3986335B2 (en) High quality fuel production apparatus and production method from organic waste
ES2397447A1 (en) Gasification-pyrolysis dual reactor device
CN113234461A (en) Heat carrier type organic solid waste treatment process and system
US4396490A (en) Oil shale retor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304242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as supply
JP2007217696A (en) Material production system and gas-supplying method
EP3050941B1 (en) Process and reactor for gasification or organic solid materials
KR100714455B1 (en) Agitating hydrocyclic thermal decomposition reactor of wasted synthetic resin
JPS6045935B2 (en) Fluidized bed pyrolysis gasification method and device that circulates powder using an inner cylinder with a partition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