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456B1 - Ignition plug fixing device of direct fire roaster - Google Patents

Ignition plug fixing device of direct fire roa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456B1
KR102636456B1 KR1020220122485A KR20220122485A KR102636456B1 KR 102636456 B1 KR102636456 B1 KR 102636456B1 KR 1020220122485 A KR1020220122485 A KR 1020220122485A KR 20220122485 A KR20220122485 A KR 20220122485A KR 102636456 B1 KR102636456 B1 KR 102636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k plug
fixture
insulating part
burner nozzl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동의
Original Assignee
(주)신용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용산업 filed Critical (주)신용산업
Priority to KR1020220122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4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4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8Structurally associated with fluid-fuel bur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65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for tor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24C3/103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of electric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ark Plu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화 구이기의 점화 플러그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부재에 점화 플러그를 끼움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나사 체결없이 버너 노즐부의 선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고, 이에 따라 버너 노즐구의 선단측으로의 결합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나사 체결 작업으로 인한 손상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spark plug fixing device for a direct fire grill. This invention is configured to fit the fixing member to the tip of the burner nozzle without screwing it in the state where the spark plug is fitted to the fixing member. Accordingly, the coupling operation to the tip of the burner nozzle port can be easily performed. Of course, this is to improve problems such as damage caused by screw fastening work.

Description

직화 구이기의 점화 플러그 고정장치{Ignition plug fixing device of direct fire roaster}Ignition plug fixing device of direct fire roaster}

본 발명은 직화 구이기에 적용되는 점화 플러그를 간편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점화 플러그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rk plug fixing device that can easily and stably fix a spark plug applied to a direct fire grill.

일반적으로, 음식물 조리시 화기에서 방사되는 직화열이 직접 음식물을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직화 방식, 그리고 화기에서 방사되는 직화열이 구이판 및 용기 등을 가열하여 전도열로 음식을 조리하는 전도 방식이 있다.In general, there is a direct fire method in which the direct heat radiated from the fire directly heats the food when cooking food, and the conduction method in which the direct heat radiated from the fire heats the baking plate and container to cook the food with conduction heat. .

상기 전도 방식은 구이판을 이용하여 전도열로 고기를 굽게 되면, 구이판에 맞닿은 고기의 표면은 익으면서 반대편으로 수분이 증발하게 되어 고기가 질겨지고, 고기 특유의 풍미가 사라지게 된다.In the conduction method, when meat is grilled with conductive heat using a baking plate, the surface of the meat in contact with the baking plate cooks and moisture evaporates to the other side, making the meat tough and losing its unique flavor.

반면, 상기 직화 방식으로 고기를 굽게 되면 고기의 겉과 속을 동시에 익혀 고기의 겉은 바삭하고 고기 내부는 부드럽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직화 방식에 이용되는 구이기는 등록특허공보 제10-2010874호에 공지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meat is grilled using the direct fire method,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meat are cooked at the same time, making the outside of the meat crispy and the inside of the meat soft. The grill used in this direct fire method is known in Patent Registration No. 10-2010874. there is.

즉, 선등록특허는 관체를 이루는 버너 노즐구의 선단에 점화 플러그를 고정하면서, 상기 점화 플러그의 점화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불꽃을 이용하여 음식물 중 하나인 고기를 굽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re-registered patent involves fixing a spark plug to the tip of the burner nozzle port forming the pipe body, and using the flame generated by the ignition operation of the spark plug to grill meat, which is one of the foods.

그러나, 상기의 선등록특허에서 버너 노즐구의 선단에 점화 플러그를 고정시 그 고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fixing of the spark plug to the tip of the burner nozzle port in the above-mentioned previously registered patent is complicated.

즉, 선등록특허는 고정브라켓의 일단에 형성되는 원형링 형상의 고정구를 버너 노즐구의 선단측 노즐바디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타단은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노즐바디에 고정해야 하고, 다음으로 상기 고정브라켓에 점화 플러그를 관통시키면서 끼움 고정시킨 다음,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점화 플러그를 커버 하우징으로 커버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커버 하우징과 상기 고정브라켓을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하면서, 상기 나사가 상기 노즐바디의 양측부에 접촉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버너 노즐구의 선단측인 노즐바디로의 결합 작업이 복잡하게 이루어지는 한편, 나사의 체결 작업으로 인해 노즐 바디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 pre-registered patent requires that the circular ring-shaped fixture formed at one end of the fixing bracket be inserted into the nozzle body at the front end of the burner nozzle mouth, 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bracket must be fixed to the nozzle body using a screw, and then After inserting and fixing the spark plug through the fixing bracket, covering the fixing bracket and the spark plug with a cover housing, and finally fastening the cover housing and the fixing bracket using a screw, the screw By contacting both sides of the nozzle body, the joining operation to the nozzle body, which is the front end of the burner nozzle mouth,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ozzle body is damaged due to the screw fastening operation.

등록특허공보 제10-2010874호(공고일 2019.08.14.)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0874 (announcement date 2019.08.1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정부재에 점화 플러그를 끼움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나사 체결없이 버너 노즐부의 선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버너 노즐구의 선단측으로의 결합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나사 체결 작업으로 인한 손상 등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직화 구이기의 점화 플러그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gure the fixing member to be fitted to the tip of the burner nozzle portion without screwing, while the spark plug is fitted to the fixing member, thereby simplifying the joining operation to the tip of the burner nozzle por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park plug fixing device for a direct fire grill that not only allows this to be achieved, but also improves problems such as damage caused by screw fastening work.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인 직화 구이기의 점화 플러그 고정장치는, 구이기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버너 노즐구의 선단에 고압이 인가되는 전극을 가지는 점화 플러그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버너 노즐구의 선단측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 1 고정구와, 상기 전극을 가지는 상기 점화 플러그의 선단측이 관통되도록 하면서 상기 점화 플러그의 일단이 안착 고정되는 제 1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 1 고정판; 및, 상기 제 1 고정판과 마주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타단에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버너 노즐구의 선단측 타단에 끼움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 2 고정구와, 상기 점화 플러그의 상기 전극이 관통되도록 하면서 상기 점화 플러그의 타단이 안착 고정되는 제 2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 2 고정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판에는 상기 제 2 고정구를 통과한 상기 전극과 스파크 발생을 위한 간격을 유지하는 접지편이 연장 형성되는 것이다.The spark plug fixing device for a direct fire grill, which is a means of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a spark plug having an electrode to which high pressure is applied to the tip of a burner nozzle port extending from the grill body, and includes: a support plate; A ring-shaped first fixture is bent at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and fit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burner nozzle port, and one end of the spark plug is seated and fixed while allowing the front end of the spark plug having the electrode to penetrate. a first fixing plate on which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And, a ring-shaped second fixture bent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to face the first fixture plate and fit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front end of the burner nozzle port, and allowing the electrode of the spark plug to penetrate the spark plug. a second fixing plate formed with a second through hole on which the other end is seated and fixed; It includes, and a ground piece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econd fixing plate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electrod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fixture and the spark generation.

또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점화 플러그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 1 고정구와 상기 제 2 고정구에 안착시, 상기 점화 플러그의 유동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점화 플러그에 접촉되어 걸림되는 탄성편이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n elastic piece is formed on the support plate to contact and engage the spark plug to prevent the spark plug from moving wh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park plug are seated on the first fixture and the second fixture, respectively. .

또한, 상기 점화 플러그의 일단에는 각형의 제 1 절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점화 플러그의 타단에는 각형의 제 2 절연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 2 절연부에는 원통형의 제 3 절연부가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 1 절연부와 상기 제 2 절연부 사이에는 원통형의 제 4 절연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제 1 관통구는 상기 제 1 절연부가 끼움되어 안착되는 각형의 홀 구조물이고, 상기 제 2 관통구는 상기 제 3 절연부가 끼움되어 안착되는 원형의 홀 구조물로서 양측으로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상기 전극이 통과되는 폭을 가지는 연장홀이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 prismatic first insulating par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park plug, a prismatic second insulating par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park plug, and a cylindrical third insulating part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econd insulating part, A cylindrical fourth insulating par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part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wherein the first through hole is a rectangular hole structure into which the first insulating part is inserted and seated,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the third through hole. It is a circular hole structure into which an insulating part is inserted and seated, and on both sides are formed extension holes having a width through which the electrod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passes.

또한, 상기 제 1 고정구와 상기 제 2 고정구의 내측단에는 각각 상기 버너 노즐구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버너 노즐구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의 분리 이탈을 방지시키는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pressure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ends of the first fixture and the second fixture, respectively, while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rner nozzle port and preventing the first and second fixture plate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rner nozzle por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부재에 점화 플러그를 끼움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나사 체결없이 버너 노즐부의 선단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버너 노즐구의 선단측으로의 결합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나사 체결 작업으로 인한 손상 등의 문제를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it the fixing member to the tip of the burner nozzle portion without screwing it with the spark plug in the fixing member, and through this, the coupling operation to the tip of the burner nozzle port is simple. It can be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problems such as damage caused by screw fastening work.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점화 플러그가 결합되어진 직화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점화 플러그가 결합되어진 직화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점화 플러그와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점화 플러그와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점화플러그가 고정장치의 제 1 고정판을 통과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측면 개략도, (b)는 평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점화플러그가 고정장치의 제 2 고정판을 통과하여 회전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측면 개략도, (b)는 평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점화플러그가 고정장치의 제 2 고정판을 통과하면서 회전된 전극이 접지편과 일정거리 유격된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측면 개략도, (b)는 평면 개략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rect fire grill to which a spark plug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rect fire grill to which a spark plug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of a spark plug and a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ark plug and a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ark plug passes through the first fixing plate of the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side schematic view and (b) is a plan schematic view.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ark plug rotates while passing through a second fixing plate of a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 (a) is a side schematic view and (b) is a plan schematic view.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spark plug passes through the second fixing plate of the fixture and the rotated electrode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round piece. (a) is a side schematic view, and (b) is a plan view. schematic.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are only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the technology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n the embodimen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 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장치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Additionally,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form as necessary. For example, an area shown as a right angle may be rounded or have a shap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schematic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shapes of regions of the devic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ccordingl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signs may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even if they are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the corresponding drawings. Additionally, even if reference signs are not indicated, description may be made with reference to other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점화 플러그가 결합되어진 직화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점화 플러그가 결합되어진 직화 구이기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점화 플러그와 고정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점화 플러그와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rect fire grill to which a spark plug is coupl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rect fire grill to which a spark plug is coupl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of a spark plug and a fixture as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Figure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park plug and a fixtur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화 구이기의 점화 플러그 고정장치는, 구이기 본체(10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버너 노즐구(200)의 선단에 고압이 인가되는 전극(301)을 가지는 점화 플러그(30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지지판(10), 제 1 고정판(20), 제 2 고정판(30)을 포함하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attached FIGS. 1 to 4, the spark plug fixing device for a direct fire gri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de to which high pressure is applied to the tip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extending from the grill main body 100. The spark plug 300 having 301 is fixed and includes a support plate 10, a first fixing plate 20, and a second fixing plate 30.

여기서,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상기 전극(301)은 일부가 노출되면서 전원라인과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일단에는 각형의 제 1 절연부(a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각형의 제 2 절연부(a2)가 형성되면서, 상기 제 2 절연부(a2)에는 원통형의 제 3 절연부(a3)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 1 절연부(a1)와 상기 제 2 절연부(a2) 사이에는 원통형의 제 4 절연부(a4)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electrode 301 of the spark plug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line while a portion is exposed, and this typically has a square first insulating part a1 formed at one end and a square first insulating part a1 at the other end. As the second insulating part (a2) is formed, a cylindrical third insulating part (a3)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econd insulating part (a2), and the first insulating part (a1)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a2) A cylindrical fourth insulating part a4 can be formed between them.

상기 지지판(10)은 판형의 금속재로서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후술하는 제 1 및 제 2 고정구(21, 31)에 안착시,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유동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점화 플러그(300)에 접촉되어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탄성편(11)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support plate 10 is a plate-shaped metal material that prevents the spark plug 300 from moving wh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park plug 300 are seated on the first and second fixtures 21 and 31, respectively,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least one or more elastic pieces 11 may be formed to be caught by contacting the spark plug 300.

즉, 상기 탄성편(11)은 상기 지지판(10)에서 일단이 고정되면서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는 금속재의 판형 스프링 구조물로, 이는 상기 점화 플러그(300)가 통과시에는 제 1 방향(예; 하부방향)으로 유동하지만, 상기 점화 플러그(300)가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21, 31)에 안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예; 상부방향)으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통해 상기 점화 플러그(300)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절연부(a2)와 상기 제 4 절연부(a4)의 사이의 단차진 걸림턱에 접촉되는 걸림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점화 플러그(300)가 상기 제 1 고정판(20)의 방향으로 유동하는 분리 이탈을 방지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elastic piece 11 is a plate-shaped spring structure made of metal that maintains an inclined angle while one end is fixed to the support plate 10, and when the spark plug 300 passes through it, it moves in a first direction (e.g., lower side). direction), but when the spark plug 300 is seated on the first and second fixtures 21 and 31 and remains fixed, it flows in a second direction (e.g. up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epped locking protrusion between the second insulating part (a2) and the fourth insulating part (a4) formed on the spark plug 300 through the elastic force, thereby igniting the spark plug 300. This is to prevent the plug 300 from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late 20.

상기 제 1 고정판(20)은 상기 지지판(10)의 일단에 절곡 형성되는 판형의 금속재로서, 상기 버너 노즐구(200)의 선단측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 1 고정구(21), 그리고 상기 전극(301)을 가지는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선단측이 관통되도록 하면서 상기 점화 플러그(200)의 일단이 안착 고정되는 제 1 관통구(2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first fixing plate 20 is a plate-shaped metal material bent at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10, and includes a ring-shaped first fixture 21 fitted into one end of the front end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and A first through hole 22 in which one end of the spark plug 200 is seated and fixed can be formed while allowing the tip side of the spark plug 300 having the electrode 301 to penetrate.

여기서, 상기 제 1 관통구(22)는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점화 플러그(300)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내지 제 4 절연부(a2, a3, a4)를 통과시키지만 각형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제 1 절연부(a1)가 끼움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각형의 홀 구조물일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first through hole 22 passes through the second to fourth insulating parts a2, a3, and a4 formed in the spark plug 300 as shown in the attached FIG. 5, but has a square structure. It may be a rectangular hole structure that allows the first insulating part a1 to be inserted and seated.

한편, 상기 제 1 고정구(21)의 내측단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돌기(23)는 상기 버너 노즐구(200)의 외주면 일단에 상기 제 1 고정판(20)이 끼움 결합시 상기 버너 노즐구(200)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버너 노즐구(200)로부터 상기 제 1 고정판(20)의 분리 이탈을 방지시키는 것이다.Meanwhile, at least one or more pressing protrusions 23 may be formed on the inner end of the first fixture 21, and the pressing protrusions 23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When the fixing plate 20 is fitted, it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and prevents the first fixing plate 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rner nozzle port 200.

상기 제 2 고정판(30)은 상기 제 1 고정판(20)과 마주하도록 상기 지지판(10)의 타단에 절곡 형성되는 판형의 금속재로서, 상기 버너 노즐구(200)의 선단측 타단에 끼움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 2 고정구(31), 그리고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상기 전극(301)이 관통되도록 하면서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타단이 안착 고정되는 제 2 관통구(3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second fixing plate 30 is a plate-shaped metal material bent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10 to face the first fixing plate 20, and is a ring fitted to the other end of the front end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A second fixture 31 of the shape, and a second through hole 32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spark plug 300 is seated and fixed while allowing the electrode 301 of the spark plug 300 to pass through, may be formed. will be.

여기서, 상기 제 2 관통구(32)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점화 플러그(300)에 형성되는 상기 제 3 절연부(a3)를 안착 고정시키는 원형의 홀 구조물로서 양측으로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상기 전극(301)이 통과되는 폭을 가지는 연장홀(32a)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econd through hole 32 is a circular hole structure for seating and fixing the third insulating part a3 formed on the spark plug 300, as shown in FIGS. 6 and 7, and has holes on both sides. An extension hole 32a may be formed having a width through which the electrode 30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passes.

그리고, 상기 제 2 고정판(30)에는 상기 전극(301)과 스파크 발생을 위한 간격이 유지되는 접지편(33)이 연장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a ground piece 33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econd fixing plate 30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electrode 301 and spark generation.

한편, 상기 제 2 고정구(31)의 내측단에는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가압돌기(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돌기(34)는 상기 버너 노즐구(200)의 외주면 타단에 상기 제 2 고정판(30)이 끼움 결합시 상기 버너 노즐구(200)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버너 노즐구(200)로부터 상기 제 2 고정판(30)의 분리 이탈을 방지시키는 것이다.Meanwhile, at least one or more pressing protrusions 34 may be formed on the inner end of the second fixture 31, and the pressing protrusions 34 may be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When the fixing plate 30 is fitted, it contac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and prevents the second fixing plate 3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rner nozzle port 2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 고정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우선 점화 플러그(300)의 전극(301)을 제 1 고정판(20)에 형성되는 제 1 관통구(22)의 방향으로 진입시켜 통과시킨다.In this way, the spark plug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connects the electrode 301 of the spark plug 300 through the first penetration formed in the first fixing plate 20, as shown in Figures 1 to 7 attached. It enters in the direction of the sphere (22) and passes through it.

여기서, 상기 전극(301)은 ㄱ자형의 구조를 이룬 것으로 통과에 따른 진입방향을 변경하면서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관통구(22)를 통과할 수 있는 것이고, 통과된 이후에는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수평상태(예; 누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원통형 구조를 이루는 제 4 절연부(a4)는 상기 제 1 관통구(22)에 위치함은 물론, 수평상태인 상기 전극(301)은 제 2 고정판(30)에 형성되는 원형의 홀 구조를 이루는 제 2 관통구(32)에 인접하게 되는 것이다.Here, the electrode 301 has an L-shaped structure and can pas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2 as shown in FIG. 5 while changing the entry direction as it passes, 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attached As shown in FIG. 6, it is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e.g., lying down), and at this time, the fourth insulating portion (a4) forming the cylindrical structure of the spark plug 300 is located in the first through hole 22. Of course, the electrode 301 in a horizontal state is adjacent to the second through hole 32 forming a circular hole structure formed in the second fixing plate 30.

다음으로, 첨부된 도 7에서와 같이 수평상태인 상기 전극(301)을 원형의 홀 구조를 이루는 상기 제 2 관통구(32)는 물론 상기 제 2 관통구(32)의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홀(32a)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7, the horizontal electrode 301 is connected to the second through-hole 32 forming a circular hole structure, as well as an extension extending to both sides of the second through-hole 32. It is possible to pass through the hole 32a.

그러면,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제 3 절연부(a3)는 상기 전극(301)과 함께 상기 제 2 관통구(32)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 2 관통구(32)에 안착되지만, 각형 구조를 이루는 제 2 절연부(a2)는 상기 관통구(32)를 통과하지 못하면서 상기 제 2 고정판(30)의 일면에 접촉되어 걸림된다.Then, the third insulating portion a3 of the spark plug 300 passe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2 together with the electrode 301 and is seat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32, but has a square structure. The second insulating portion a2 does 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32 and is caught by contacting on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late 30.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절연부(a1, a3) 사이에 형성되는 원통형 구조의 제 4 절연부(a4)는 상기 제 1 관통구(22)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점화 플러그(300)를 90°로 회전시켜 상기 제 2 관통구(32)와 이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홀(32a)을 통과한 상기 전극(301)을 수직하게 세우도록 한다.At this time, since the fourth insulating part (a4) of the cylindrical structur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sulating parts (a1, a3) is located in the first through hole (22), the spark plug (300) is inserted at 90 It is rotated by degrees so that the electrode 301,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through-hole 32 and the extension hole 32a extending therefrom, is placed vertically.

다음으로, 상기 점화 플러그(300)를 조금 더 전진시키면,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각형 구조를 이루는 제 1 절연부(a1)는 각형의 홀 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제 1 고정판(20)에 형성되는 제 1 관통구(22)에 안착되면서 회전이 방지되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20, 30)에는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Next, when the spark plug 300 is advanced a little further, the first insulating portion a1 forming a square structure of the spark plug 300 is formed on the first fixing plate 20 to form a square hole structure. While being seated in the first through hole 22 and prevented from rota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park plug 300 can b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20 and 30,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20, 30)이 절곡 형성되는 지지판(10)에는 탄성편(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탄성편(11)은 상기 점화 플러그(300)가 통과시에는 제 1 방향(예; 하부방향)으로 유동하되,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21, 31)에 안착되어 고정되면 상기 제 1 방향(P1)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예; 상부방향)으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면서, 상기 점화 플러그(300)에 형성되는 각형 구조의 상기 제 2 절연부(a2)와 원통형 구조의 상기 제 4 절연부(a4) 사이의 단차진 걸림턱에 접촉되는 걸림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점화 플러그(300)는 상기 제 1 고정판(20)의 방향으로 유동하는 분리 이탈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an elastic piece 11 is formed on the support plate 10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20 and 30 are bent, the elastic piece 11 moves when the spark plug 300 passes through. It flows in a first direction (e.g., downward direction), but wh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park plug 300 are respectively seated and fixed in the first and second fixtures 21 and 31, it flows in the first direction P1 and 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return in the opposite second direction (e.g., upward direction), the second insulating part a2 of a square structure and the fourth insulating part a2 of a cylindrical structure formed in the spark plug 300 ( a4), the spark plug 300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fixing plate 20.

한편, 상기와 같이 점화 플러그(300)가 안착 고정된 상태에서, 링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 1 고정구(21)를 버너 노즐구(200)의 선단측 외주면으로 끼움 결합시킨 다음, 링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 2 고정구(31)를 상기 버너 노즐구(200)의 선단측 외주면에 끼움 결합시키면, 상기 버너 노즐구(200)의 선단측에 대한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조립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in a state where the spark plug 300 is seated and fix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ixture 21 forming a ring shape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and then the first fixture 21 forming a ring shape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By fitting the second fixture 31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assembly of the spark plug 300 to the distal end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can be completed.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구(21, 31)의 내측단에는 각각 가압돌기(23, 34)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돌기(23, 34)는 상기 버너 노즐구(200)의 외주면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버너 노즐구(200)의 선단측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20, 30)이 유동하여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따라 상기 점화 플러그(300)에서 상기 전극(301)과 상기 제 2 고정판(30)에 형성되는 접지편(33)의 스파크 발생에 따른 불꽃 점화는 오차없이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since pressure protrusions 23 and 34 are formed protruding from the inn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fixtures 21 and 31, respectively, the pressure protrusions 23 and 34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By contact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20 and 30 from flowing and separat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and thus the spark plug ( In 300), spark ignition due to spark generation of the electrode 301 and the ground piece 33 formed on the second fixing plate 30 can be precisely performed without error.

한편,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교체는 물론, 부품 교환을 위해 상기 버너 노즐구(200)로부터 상기 점화 플러그(30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버너 노즐구(200)의 선단측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20, 30)을 약간의 외력을 가하면서 잡아 당기면 그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when it is desired to separate the spark plug 300 from the burner nozzle port 200 in order to replace the spark plug 300 as well as replace part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of the burner nozzle port 200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20 and 30 can be easily separated by pulling them while applying a slight external force.

더불어,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20, 40)으로부터 상기 점화 플러그(30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지지판(10)에 형성되는 탄성편(11)을 하부방향으로 누르면서 상기 점화 플러그(300)의 제 2 절연부(a2)와 제 4 절연부(a4)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진 걸림턱으로부터 분리시키면, 상기 점화 플러그(300)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20, 30)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관통구(22, 32)로부터 그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it is desired to separate the spark plug 300 from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20 and 40, press the elastic piece 11 formed on the support plate 10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press the spark plug ( When separated from the stepped stopping protrusion formed between the second insulating part a2 and the fourth insulating part a4 of the 300), the spark plug 300 is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lates 20 and 30.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ormed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22 and 32.

이상에서 본 발명 직화 구이기의 점화 플러그 고정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spark plug fixing device of the direct fire gril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is is an exemplary explanation of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anyon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possible an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지지판 11; 탄성편
20; 제 1 고정판 21; 제 1 고정구
22; 제 1 관통구 23, 34; 가압돌기
30; 제 2 고정판 31; 제 2 고정구
32; 제 2 관통구 32a; 연장홀
33; 접지편 100; 구이기 본체
200; 버너 노즐구 300; 점화 플러그
301; 전극
10; support plate 11; elastic piece
20; first fixing plate 21; 1st fixture
22; first through-holes 23, 34; pressure protrusion
30; second fixing plate 31; 2nd fixture
32; second through hole 32a; extension hall
33; ground piece 100; Grilling machine body
200; Burner nozzle mouth 300; spark plug
301; electrode

Claims (4)

구이기 본체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버너 노즐구의 선단에 고압이 인가되는 전극을 가지는 점화 플러그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일단에 절곡 형성되며, 상기 버너 노즐구의 선단측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 1 고정구와, 상기 전극을 가지는 상기 점화 플러그의 선단측이 관통되도록 하면서 상기 점화 플러그의 일단이 안착 고정되는 제 1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 1 고정판; 및, 상기 제 1 고정판과 마주하도록 상기 지지판의 타단에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버너 노즐구의 선단측 타단에 끼움 결합되는 링 형상의 제 2 고정구와, 상기 점화 플러그의 상기 전극이 관통되도록 하면서 상기 점화 플러그의 타단이 안착 고정되는 제 2 관통구가 형성되는 제 2 고정판; 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 2 고정판에는 상기 제 2 고정구를 통과한 상기 전극과 스파크 발생을 위한 간격을 유지하는 접지편이 연장 형성하고,
상기 점화 플러그의 일단에 각형의 제 1 절연부를 형성하며, 상기 점화 플러그의 타단에 각형의 제 2 절연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 2 절연부에는 원통형의 제 3 절연부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제 1 절연부와 상기 제 2 절연부 사이에는 원통형의 제 4 절연부를 형성하되, 상기 제 1 관통구는 상기 제 1 절연부가 끼움되어 안착되는 각형의 홀 구조물이고, 상기 제 2 관통구는 상기 제 3 절연부가 끼움되어 안착되는 원형의 홀 구조물로서 양측으로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상기 전극이 통과되는 폭을 가지는 연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기의 점화 플러그 고정장치.
By fixing a spark plug having an electrode to which high pressure is applied to the tip of the burner nozzle port extending from the grill body,
support plate; A ring-shaped first fixture is bent at one end of the support plate and fit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burner nozzle port, and one end of the spark plug is seated and fixed while allowing the front end of the spark plug having the electrode to penetrate. a first fixing plate on which a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And, a ring-shaped second fixture bent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late to face the first fixture plate and fit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front end of the burner nozzle port, and allowing the electrode of the spark plug to penetrate the spark plug. a second fixing plate in which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on which the other end is seated and fixed; It includes a ground piece extending from the second fixing plate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electrod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fixture and the spark generation,
A prismatic first insulating part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park plug, a prismatic second insulating part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park plug, and a cylindrical third insulating part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econd insulating part, and the first insulating part is formed. A cylindrical fourth insulating part is formed between the part and the second insulating part, wherein the first through hole is a rectangular hole structure into which the first insulating part is inserted and seated,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into which the third insulating part is inserted. A spark plug fixing device for a direct-fired gri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circular hole structure that is seated, and on both sides are formed extension holes having a width through which the electrod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pas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점화 플러그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상기 제 1 고정구와 상기 제 2 고정구에 안착시, 상기 점화 플러그의 유동을 방지시키도록 상기 점화 플러그에 접촉되어 걸림되는 탄성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기의 점화 플러그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upport plate,
Wh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park plug are seated on the first fixture and the second fixture, respectively, an elastic piece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spark plug to prevent the spark plug from moving. Spark plug retain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구와 상기 제 2 고정구의 내측단에는 각각 상기 버너 노즐구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버너 노즐구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고정판의 분리 이탈을 방지시키는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화 구이기의 점화 플러그 고정장치.
According to claim 1,
At the inner ends of the first fixture and the second fixture, pressure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contac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urner nozzle port and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ixture plates from the burner nozzle port. Spark plug retainer for direct fire grills.
KR1020220122485A 2022-09-27 2022-09-27 Ignition plug fixing device of direct fire roaster KR1026364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485A KR102636456B1 (en) 2022-09-27 2022-09-27 Ignition plug fixing device of direct fire roa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485A KR102636456B1 (en) 2022-09-27 2022-09-27 Ignition plug fixing device of direct fire roa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456B1 true KR102636456B1 (en) 2024-02-15

Family

ID=8989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485A KR102636456B1 (en) 2022-09-27 2022-09-27 Ignition plug fixing device of direct fire roa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45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943A (en) * 1994-02-25 1995-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itting device of ignition plug
JPH10238782A (en) * 1997-02-24 1998-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gniter
KR101005763B1 (en) * 2010-08-30 2011-01-06 (주)폴리텍 Socket for connecting pipes
KR102010874B1 (en) 2018-06-18 2019-08-14 (주) 에너텍 Roas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3943A (en) * 1994-02-25 1995-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itting device of ignition plug
JPH10238782A (en) * 1997-02-24 1998-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gniter
KR101005763B1 (en) * 2010-08-30 2011-01-06 (주)폴리텍 Socket for connecting pipes
KR102010874B1 (en) 2018-06-18 2019-08-14 (주) 에너텍 Roas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6456B1 (en) Ignition plug fixing device of direct fire roaster
WO1993006419A1 (en) Burner construction, igniter assembly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210267277A1 (en)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USRE32288E (en) Heat trapping cooking grill
KR20110005717U (en) Prefabricated roaster table for camping
US4861264A (en) Gas collector electrode assembly for gas burners
US2205146A (en) Radio and like socket
KR101632833B1 (en) flame-blocking plate for charcoal fire roast
KR200477525Y1 (en) grill
US6254381B1 (en) Sealed gas burner electrode assembly
KR200428072Y1 (en) Heat interception apparatus of carrying gas burner
CN107504542B (en) Embedded kitchen range and installation method
KR200165798Y1 (en) Meat roasting device
KR20200127852A (en) Rotary Oven Skewer
US6749424B1 (en) Gas burner ignition systems
US20190041063A1 (en) Portable grilling device with interlocking arrangement and related methods
KR200196709Y1 (en) Meat roaster
EP1286118B1 (en) Gas cooker with secure positioning of the burner head
JP5461783B2 (en) Apparatus for fixing a handle to a cooking utensil and having a splash prevention cap
KR200284172Y1 (en) a charcoal fire meat roasted
KR100366441B1 (en) Structure of burner portion for gas range
KR100492314B1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Heater
US2205244A (en) Electrical connection means
CN205790459U (en) A kind of reliable cooking apparatus of electric lead wiring
US20210145012A1 (en) Devices and systems for applying smoke to f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