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063B1 - Meta verse platform system based on web - Google Patents

Meta verse platform system based on web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063B1
KR102636063B1 KR1020230178855A KR20230178855A KR102636063B1 KR 102636063 B1 KR102636063 B1 KR 102636063B1 KR 1020230178855 A KR1020230178855 A KR 1020230178855A KR 20230178855 A KR20230178855 A KR 20230178855A KR 102636063 B1 KR102636063 B1 KR 102636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verse
space
virtual space
virtual
off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8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머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머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머스테크
Priority to KR102023017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0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06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444Spatial browsing, e.g. 2D maps, 3D or virtual sp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50Lighting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입력 받아 메타버스의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는, 웹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을 개시한다.Disclosed is a web-based Metaverse platform system that includes a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offline space information and creates and provides a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Description

웹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META VERSE PLATFORM SYSTEM BASED ON WEB}Web-based metaverse platform system {META VERSE PLATFORM SYSTEM BASED ON WEB}

본 발명은 웹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b-based metaverse platform system.

메타버스(metaverse)는 가상, 초월 등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 세계와 같은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3차원의 가상 세계를 가리키는 말이다. Metaverse is a compound word of 'meta', meaning virtual, transcendent, etc., and 'universe', meaning universe. It is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wher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activities similar to the real world take place. It refers to the world.

메타 버스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개념이며, 아바타를 활용해 게임이나 가상 현실(VR) 뿐만 아니라, 실제 현실과 같은 사회적, 문화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온라인 공간이다. Metaverse is a concept that is one step more evolved than Virtual Reality (VR), and is an online space where avatars can be used to engage in not only games and virtual reality (VR), but also social and cultural activities similar to those in real life.

이러한 메타버스는 최근에 초고속, 초연결, 초저지연의 5G 상용화와,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 등으로 인해 더욱 확산되고 있다. 대부분의 메타버스는 가상 현실(VR) 공간을 이용하여 연속성(seamlessness), 실제감(presence),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 상호 작용(concurrence), 경제 흐름(economic flow) 등의 특징을 갖는다. This metaverse has recently become more widespread due to the commercialization of 5G with high speed, ultra-connectivity, and ultra-low latency, and the COVID-19 pandemic. Most metaverses use virtual reality (VR) space and have characteristics such as seamlessness, presence, interoperability, interaction, and economic flow.

이러한 개념들은 예전부터 있었지만, 실제로 실현이 가능한 기술들이 결합되면서 더욱 주목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예컨대, 가상 현실, 증강 현실, 혼합 현실 등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하고,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비 대면 활동이 증가하면서 더욱 메타버스가 주목을 받고 있다.Although these concepts have existed for a long time, they began to receive more attention as technologies that could actually be implemented were combined. Recently, as technologies that can implement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for example, have developed, and non-face-to-face activities have increas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metaverse has been receiving more attention.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가상 공간에서의 공공기관 또는 기업의 홍보, 전시, 교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을 개시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eb-based metaverse platform system that provides services such as public relations, exhibitions, and education for public institutions or companies in virtual spa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공공기관의 웹페이지를 가상 공간으로 대체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CMS 기능을 제공하는 웹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을 개시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eb-based metaverse platform system that provides CMS functions that enable management of public institutions' web pages by replacing them with virtual spaces.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가상 공간에서의 제품 홍보 및 구매를 가능하게 하는 웹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을 개시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eb-based metaverse platform system that enables product promotion and purchase in virtual spa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가상 공간에서의 업무 관리, 제품 홍보, 구매, 전시, 작품 관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즈니스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을 개시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eb-based metaverse platform system that provides at least one business management service among business management, product promotion, purchase, exhibition, and work management in virtual spac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3D 공간과 웹 페이지 간의 차원을 넘어선 호환성을 제공하는 웹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을 개시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web-based metaverse platform system that provides cross-dimensional compatibility between 3D space and web page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입력 받아 메타버스의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한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offline space information and creates and provides a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한편,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메타버스 공간을 구현할 참가사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참가사 관리부; 상기 참가사로부터 오프라인 공간에 관한 구조, 면적, 높이 및 층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2D 이미지 형식으로 입력 받고, 상기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3D 형식으로 변환하며, 상기 오프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오프라인 공간과 동일한 상기 메타버스의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메타버스의 가상 공간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할 가상 제품을 생성하며, 상기 메타버스 가상 공간에서 이동 가능한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가상 공간 생성부; 및 상기 메타버스 가상 공간에서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인터랙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미리 지정된 웹 페이지를 팝업창으로 출력하는 웹 페이지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server includes a participating company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participating companies that will implement the metaverse space; Offline spa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structure, area, height, and number of floors related to offline space is input from the participating company in a 2D image format, the offline space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3D format, and the offline space information is based on the offline information. A virtual space creation unit that creates a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that is the same as an offline space, creates a virtual product to be plac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and creates a virtual object that can be moved in the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and a web page linking unit that creates an interaction icon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and, when the interaction icon is selected, outputs a pre-designated web page in a pop-up window.

한편, 상기 가상 공간 생성부는, 참가사로부터 입력 받는 2D 이미지 형식의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구획하여 소정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 물체의 포함 여부 및 각 영역의 조명의 포함 여부를 분석하고,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메타버스 컨셉 실현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메타버스 컨셉 실현 점수가 소정 점수 이하로 산출되는 경우, 참가사로 상기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재 요청할 수 있다.Meanwhile, 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divides offline space information in the form of 2D images input from participating companies into predetermined areas, analyzes whether objects are included in each area and whether lighting is included in each area, and uses Equation 1 below: The metaverse concept realization score is calculated using , and if the metaverse concept realization score is calculated below a predetermined score, the offline space information can be re-requested to the participating company.

[수학식 1][Equation 1]

(수학식 1에서 MO는 메타버스 컨셉 실현 점수, Sn은 구획한 영역의 개수, 는 n번째 영역에 물체가 포함된 경우 1, 물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0, 는 n번째 영역에 조명이 포함된 경우 1, 조명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0, 는 보정 계수를 의미함.)(In Equation 1, M O is the metaverse concept realization score, S n is the number of partitioned areas, is 1 if the nth area contains an object, 0 if it does not contain an object, is 1 if the nth area contains lighting, 0 if it does not contain lighting, means correction coefficient.)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공기관 또는 기업의 홍보, 전시, 교육 등을 가능하게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제공하며, 나아가, 3D 공간과 웹 페이지 간의 차원을 넘어선 호환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차별화된 가업 또는 기관 이미지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metaverse platform is provided that enables public relations, exhibitions, education, etc. of public institutions or companies, and furthermore, it provides compatibility beyond the level between 3D space and web pages to improve user accessibility. It has the beneficial effect of increasing the quality of business and making it possible to build a differentiated image of a family business or institu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서버의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control server shown in FIG. 1.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not limit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 oper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제어 서버(100) 및 이동 단말(2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server 100 and a mobile terminal 200.

제어 서버(100)는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rol server 100 can provide a web-based metavers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웹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서비스는 가상 공간에서의 공공기관 또는 기업의 홍보, 전시, 교육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서비스로, 예를 들면, 공공기관의 웹페이지를 가상 공간으로 대체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CMS 기능을 제공하거나, 가상 공간에서의 제품 홍보 및 구매 기능을 제공하거나, 가상 박물관 공간을 생성하여 전시, 작품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품 홍보 및 전시를 위한 전시장을 가상 공간으로 생성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web-based metaverse platform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rvice that can be customized to manage public relations, exhibitions, education, etc. of public institutions or companies in virtual space. For example, the web page of a public institution can be replaced with a virtual space. It can provide CMS functions that enable management, provide product promotion and purchase functions in a virtual space, or create a virtual museum space to provide functions such as exhibitions and work managem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unction of creating and managing an exhibition hall for product promotion and exhibition as a virtual space will be explained as an example.

제어 서버(100)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자체 서버이거나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00 may be its own server, a cloud server, or a p2p (peer-to-peer) set of distributed nodes for providing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어 서버(100)는 일반적인 컴퓨터가 갖는 연산, 저장, 참조, 입출력, 제어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고,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후술할 인공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00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calculation, storage, reference, input/output, and control functions of a general computer, and may includ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o be described later based on input data.

제어 서버(100)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촬영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제어 서버(1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거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거나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Control server 100 may include a processor and memory. The processor may perform a virtual photography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devices capable of performing this. The processor may execute a program or control the control server 100. Program code executed by the processor may be stored in memory. The memory may store related information for performing 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r a program for implementing a method. The memory may be volatile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제어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에 데이터를 발신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ntrol server 100 may send data to or receive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using a network.

제어 서버(100)는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킬 수 있고, 학습이 완료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거나 실행할 수 있고, 메모리는 학습 완료된 인공 신경망을 저장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을 학습시키는 전자 장치와 이용하는 전자 장치는 동일할 수 있지만 별개일 수도 있다. The control server 100 can trai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or use a trained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processor can train or execut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stored in memory, and the memory can store a trained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electronic device that trains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the electronic device that uses it may be the same, but may also be separate.

인공지능은 인간의 뇌의 기능을 일부 구현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스스로 학습하고 추측하고 판단할 수 있다. 학습을 진행할수록 답을 추출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인공지능은 학습과 그것을 이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인공지능의 학습은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징을 분류와 학습을 하는 알고리즘 기술이고, 요소 기술들은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간의 뇌의 기능을 일부 구현하는 기술일 수 있다.Artificial intelligence is a computer system that implements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human brain and can learn, guess, and make decisions on its own. As learning progresses, the probability of extracting an answer may increase.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composed of learning and elemental technologies using it.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is an algorithmic technology that classifies and learns features based on input data, and elemental technologies may be technologies that implement some of the functions of the human brain using learning algorithms.

인공지능은 확률적으로 여러 답이 나올 수 있는 문제에 접근하기 쉬운 기술로써 어떠한 입력 데이터에 따르는 최적의 주기와 방법, 계획 등을 논리적이고 확률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인공지능의 추론 기술은 입력 데이터를 판단하고 최적화 예측, 지식과 확률 기반 추론, 선호 기반 계획 등을 포함할 수 있다.Artificial intelligence is a technology that makes it easy to approach problems where multiple answers can be given probabilistically, and can logically and probabilistically infer the optimal cycle, method, and plan according to any input data. Artificial intelligence's inference technology can include judging input data, optimization predictions, knowledge and probability-based reasoning, and preference-based planning.

인공신경망은 기계학습 분야의 학습 알고리즘 중 하나로 뇌의 뉴런과 시냅스의 연결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것이다. 인공신경망은 프로그램으로 신경망의 구조를 만든 다음 학습시켜 원하는 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오차가 존재할 수 있지만 거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하여 입력 데이터를 가지고 적절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통계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던 출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인간의 추론과 유사하다는 장점이 있다.Artificial neural network is one of the learning algorithms in the machine learning field and is a program that implements the connection between neurons and synapses in the brain. Artificial neural networks can be created through a program to create a neural network structure and then learn it to have the desired function. Although there may be errors, it is possible to learn based on huge data and output appropriate output data with input data.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btain output data with statistically good results and being similar to human reasoning.

네트워크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The network is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a high-speed backbone network of a large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high-capacity, long-distance voice and data services, and may be a next-generation wired or wireless network to provide the Internet or high-speed multimedia services.

네트워크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그 밖의 5G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If the network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may be a 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r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 example of a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yp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network may include an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Meanwhile, although the WCDMA network was used as an example, it can be a 3G LTE network, a 4G network, other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5G, and other IP-based IP networks.

이동 단말(200)은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태블릿, 스마트폰 등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단말이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ny terminal that can send and receive data through a network, such as a desktop computer, laptop, tablet, or smartphone.

이동 단말(200)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 기능, 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제어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calculation function, storage function, reference function, input/output function, and control function of a computer in order to perform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200)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can access a website or install an application to receive ser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200 can exchange data through a website or applica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공공기관 또는 기업의 홍보, 전시, 교육 등을 가능하게 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제공하며, 나아가, 3D 공간과 웹 페이지 간의 차원을 넘어선 호환성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차별화된 가업 또는 기관 이미지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Th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averse platform that enables public relations, exhibitions, and edu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or companies, and further provides compatibility beyond the level between 3D space and web pages. It has the beneficial effect of increasing user accessibility and making it possible to build a differentiated image of a family business or institu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서버의 개념도이다.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control server shown in FIG.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서버(100)는 참가사 관리부(110), 가상 공간 생성부(120) 및 웹 페이지 연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rol ser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rticipating company management unit 110, a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and a web page linking unit 130.

참가사 관리부(110)는 메타버스 공간을 구현할 참가사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The participating company management unit 110 can receive, store, and manage information on participating companies that will implement the metaverse space.

예를 들면, 참가사는 공공기관, 대기업 등이 해당할 수 있으며, 참가사 정보는 참가사명, 메타버스 컨셉, 제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participating companies may be public institutions, large corporations, etc., and participating company information may include the participating company name, metaverse concept, product, etc.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참가사로부터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입력 받아 메타버스의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can receive offline space information from participating companies and create a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오프라인 공간 정보는 참가사의 업무 공간이나 전시 공간 등의 오프라인 공간에 관한 구조, 면적, 높이, 층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Offline spac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structure, area, height, number of floors, etc. of offline spaces such as the participating company's work space or exhibition space.

예를 들면,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참가사로부터 2D 이미지 형식의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2D 이미지 형식의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3D 형식의 오프라인 공간 정보로 변환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변환 생성 시 딥러닝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2D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영역을 예측하여 제시함으로써 3D 형식의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변환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rtual space generator 120 may receive offline space information in a 2D image format from participating companies, and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nd generate offline space information in a 2D image format into offline space information in a 3D format. When generating conversion, it is possible to convert and create offline spatial information in 3D format by predicting and presenting areas not included in the 2D image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s.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공간과 동일한 구조, 형태, 면적, 높이, 층수 등을 갖는 메타버스의 가상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may create a virtual space based on offline space information. The virtual space generator 120 may create a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having the same structure, shape, area, height, number of floors, etc. as the offline space based on offline space informa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라인 매장과 동일한 구조 및 형태 등을 갖는 메타버스 가상 공간이 생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오프라인 공간을 이용할 시의 현장감 및 현실성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 metaverse virtual space with the same structure and form as an offline store is created, allowing users to feel the sense of presence and reality when using the offline space.

한편,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오프라인 공간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가상 공간에 사용자에 의해 설계된 가상 공간을 추가하여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현실 세계에는 존재하지 않고 메타버스의 가상 공간에만 존재하는 가상 공간일 수 있다.Meanwhile, 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create a virtual space designed by the user by adding it to the virtual space created based on offline space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may be a virtual space that does not exist in the real world but only exists in the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참가사로부터 가상 제품 정보를 입력 받아 메타버스 가상 공간 내에 가상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can receive virtual product information from participating companies and create a virtual product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가상 제품 정보는 참가사의 전시 상품, 홍보 제품 등의 형태, 색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타버스 가상 공간 내에서 가상 제품의 배치 공간 정보 또한 포함할 수 있다.Virtual produc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shape and color of the participating company's exhibition products, promotional products, etc., and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on the placement space of the virtual product with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가상 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메타버스 가상 공간 내의 소정 위치에 가상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may create a virtual product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based on virtual product information.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사용자로부터 가상 객체 정보를 수신하고, 가상 객체 정보에 기반하여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may receive virtual object information from the user and create a virtual object based on the virtual object information.

가상 객체는 성별, 외형, 복장, 행동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Virtual objects may include gender, appearance, clothing, behavior patterns, etc.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생성한 가상 객체를 메타버스 가상 공간에 증강현실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200)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 및 제어에 따라 가상 객체의 모션을 제어하여 메타버스 가상 공간을 투어하거나, 메타버스 가상 공간 내의 다른 가상 객체들과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can implement the created virtual object in augmented reality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and controls the motion of the virtual object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and control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0 to control the motion of the virtual object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You can tour or provide communication services with other virtual objects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웹 페이지 연동부(130)는 메타버스 가상 공간에서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인터랙션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 미리 지정된 웹 페이지를 팝업시킬 수 있다.The web page linking unit 130 creates an interaction icon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and when the user clicks the interaction icon, a pre-designated web page can be popped up.

예를 들면, 웹 페이지 연동부(130)는 전시장을 구현한 메타버스 가상 공간에서 전시품에 대한 가상 제품에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하고, 가상 객체가 인터랙션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전시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웹 페이지를 팝업창으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eb page linking unit 130 creates an interaction icon on a virtual product for an exhibition product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implementing an exhibition hall, and when the virtual object touches the interaction icon, it displays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ion product. You can output a web page as a pop-up window.

또는, 웹 페이지 연동부(130)는 공공기관의 업무 청사를 구현한 메타버스 가상 공간에서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하고, 가상 객체가 인터랙션 아이콘을 터치하는 경우, 온라인 업무 처리가 가능한 웹 페이지를 팝업창으로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web page linking unit 130 creates an interaction icon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that implements the business office of a public institution, and when the virtual object touches the interaction icon, it outputs a web page capable of online business processing in a pop-up window. can do.

한편, 참가사 관리부(110)는 인공지능 신경망을 통해 참가사 정보를 분석하여 참가사 별 메타버스 컨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participating company management department 110 can extract metaverse concept information for each participating company by analyzing the participating company information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neural network.

예를 들면, 참가사 관리부(110)는 참가사 정보를 입력 데이터로 생성하고, 입력 데이터에 대하여 메타버스 컨셉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메타버스 컨셉 정보는 이색적, 감각적, 모던, 색상 톤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articipating company management unit 110 may generate participating company information as input data and extract metaverse concept information from the input data. Metaverse concept information may include unique, sensuous, modern, color tones, etc.

참가사 관리부(110)는 기계 학습 알고리즘의 수행을 위하여 미리 학습된 다수의 인공 신경망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계 학습으로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것의 결과를 이용해 스스로 학습할 수도 있고 이로 인해 스스로 데이터 처리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입력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징을 추출하고 규칙성을 추측하여 결과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이 쌓일수록 결과 데이터의 신뢰도가 높아지게 된다.The participating company management unit 110 may include a number of pre-trained artificial neural networks to perform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ith machine learning, you can output output data based on input data and use the results to learn on your own, which can improve your own data processing ability. Artificial neural networks can extract features based on input data, infer regularities, and output result data. As this process accumulates,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 data increases.

본 실시예에서 인공 신경망은 촬영 컨셉 키워드에 대하여 배경 이미지를 추출하는 알고리즘일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빅데이터를 그대로 입력 데이터로 하거나 불필요한 데이터를 정리하는 처리 과정을 거친 후 입력 데이터로 하여 최상의 출력 데이터를 추론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an algorithm that extracts a background image for a shooting concept keyword. Artificial neural networks can infer the best output data using big data as input data or after going through a processing process to organize unnecessary data.

인공지능 기계 학습 모델은 학습 종류에 따라 Super Viser Learning(지도학습), UnSuper Viser Learning(비지도 학습), Semisupervised learning(반지도 학습), Reinforcement Learning(강화 학습) 등이 있다. 그리고 기계 학습 알고리즘으로 Decision Tree(의사 결정 트리), K-Nearest Neightbor, Artificial Neural Network(인공 신경망), Support Vector Machine, Ensemble Learning, Gradient Descent(기울기 하강법), Na

Figure 112023138658404-pat00005
ve Bayes Classifier, Hidden Markov Model, K-Means Clustering 등이 사용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type of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machine learning models include Super Viser Learning, UnSuper Viser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clude Decision Tree, K-Nearest Nearest Bor, Artificial Neural Network, Support Vector Machine, Ensemble Learning, Gradient Descent, Na
Figure 112023138658404-pat00005
ve Bayes Classifier, Hidden Markov Model, K-Means Clustering, etc. can be used.

인공 신경망은 수많은 인공 뉴런들을 몇 개의 층으로 쌓고 연결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입력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는 여러 입력 값들에 대해 미리 학습된 상태일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에 따른 취약 부분을 추론하여 출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Artificial neural networks can stack and connect numerous artificial neurons in several layers.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pre-trained on various input value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input data. Artificial neural networks can infer weak points according to data input by the user and output output data.

인공 신경망은 학습방식 중 하나인 reinforcement learning(강화 학습)에 따라 학습되는 인공 신경망일 수 있다. 강화 학습은 보수와 제한을 설정하여 점차 올바른 결과를 획득할 확률을 올려가는 방식이다.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at is learned according to reinforcement learning, one of the learning methods. Reinforcement learning is a method of gradually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obtaining the correct result by setting rewards and limits.

인공 신경망은 Convelutional Neural Network(CNN, 합성곱 신경망)이나 Recurrent Neural Network(RNN, 순환 신경망)에 기반하여 모델링될 수도 있다.Artificial neural networks can also be modeled based on Convelutional Neural Network (CNN) or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이와 같이 참가사 관리부(110)는 인공지능 신경망을 이용하여 획득하는 메타버스 컨셉 정보를 참가사로 제공하여 참가사가 맞춤형 다양한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articipating company management department 110 provides the metaverse concept information obtained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neural network to the participating companies so that the participating companies can provide various customized satisfaction levels.

한편,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참가사로부터 입력 받는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컨셉 실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can calculate the metaverse concept realization score by analyzing offline space information input from participating companies.

예를 들면,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참가사로부터 입력 받는 2D 이미지 형식의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구획하여 소정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을 분석하여 메타버스 컨셉 실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may segment offline space information in the form of 2D images input from participating companies, divide it into predetermined areas, and analyze each area to calculate a metaverse concept realization score.

[수학식 1][Equation 1]

수학식 1에서 MO는 메타버스 컨셉 실현 점수, Sn은 구획한 영역의 개수, 는 n번째 영역에 물체가 포함된 경우 1, 물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0, 는 n번째 영역에 조명이 포함된 경우 1, 조명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0, 는 보정 계수를 의미한다.In Equation 1, M O is the metaverse concept realization score, S n is the number of partitioned areas, is 1 if the nth area contains an object, 0 if it does not contain an object, is 1 if the nth area contains lighting, 0 if it does not contain lighting, means correction coefficient.

예를 들면, Sn=10, =5, 이고, 보정 계수는 10인 경우,

Figure 112023138658404-pat00012
으로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에 따르면, 물체가 적을수록, 조명이 많을수록 메타버스 컨셉 실현 점수가 높게 산출되는데, 조명이 많을수록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반면, 물체가 많은 경우 텍스쳐 표현에 어려움이 있어 원하는 컨셉 실현에 제한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For example, Sn=10, =5, , and the correction coefficient is 10,
Figure 112023138658404-pat00012
It can be calculated as According to Equation 1, the fewer objects and the more lighting, the higher the metaverse concept realization score is calculated. The more lighting, the more diverse productions are possible. However, if there are many objects,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 texture, which may limit the realization of the desired concept. Because you can.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메타버스 컨셉 실현 점수가 소정 점수, 예컨대, 50점 이하로 산출되는 경우,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재 요청할 수 있다.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may re-request offline space information when the metaverse concept realization score is calculated to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score, for example, 50 points.

한편,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메타버스 가상 공간에 제한 영역을 설정하고, 제한 영역 출입 인증이 승인된 가상 객체에 한하여 제한 영역의 접근을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can set a restricted area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and enable access to the restricted area only for virtual objects for which access authentication to the restricted area has been approved.

예를 들면, 전시 공간을 구현한 메타버스 가상 공간에 있어서 전시 관람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제한 영역을 설정하고, 전시 공간을 모두 둘러본 가상 객체에 한하여 제한 영역에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that implements the exhibition space, a restricted area that provides compensation for viewing the exhibition is set and an event is created that allows access to the restricted area only to virtual objects that have visited the entire exhibition space. can do.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아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출입 인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출입 인증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can calculate an access authentication score to determine whether to authenticate access using Equation 2 below.

[수학식 2][Equation 2]

수학식 2에서 Au는 가상 객체 u의 출입 인증 점수, A0는 가상 객체 u의 메타버스 가상 공간 접속 횟수, du는 가상 객체 u의 메타버스 가상 공간에서의 분당 이동 거리 평균, du.s는 가상 객체 u의 메타버스 가상 공간에서의 분당 이동 거리의 분산, tu는 가상 객체 u의 메타버스 가상 공간 이용 시간, t0는 메타버스 가상 공간을 이용하는 전체 가상 객체의 평균 이용 시간을 의미한다.In Equation 2, A u is the access authentication score of virtual object u, A 0 is the number of accesses to the metaverse virtual space of virtual object u, d u is the average moving distance per minute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of virtual object u, and d us is The variance of the distance traveled per minute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of virtual object u, t u is the time used by virtual object u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and t 0 is the average use time of all virtual objects using the metaverse virtual space.

예를 들면, A0=1, du=233.3, du.s=222.22, tu=30, t0=20인 경우, 로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에 따르면 가상 객체의 이동에 따라 이동 거리의 측정값이 변동성을 갖더라도 측정기간 동안의 평균값과 분산을 동시에 반영하기 때문에 이를 포함한 연산이 가능하고, 전체 사용자에 대한 평균값을 함께 반영하여 다른 사용자와의 비교값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f A 0 =1, d u =233.3, d us =222.22, t u =30, t 0 =20, It can be calculated as According to Equation 2, even if the measured value of the moving distance varies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virtual object, calculations including the average value and variance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are simultaneously reflected, and the average value for all users is also reflected to determine other Comparison values with the user can be used.

가상 공간 생성부(120)는 특정 가상 객체의 출입 인증 점수가 실시간으로 산출되는 전체 가상 객체의 출입 인증 점수의 평균 보다 높을 경우, 제한 영역의 접근을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120 may set access to the restricted area to be possible when the access authentication score of a specific virtual object is higher than the average of the access authentication scores of all virtual objects calculated in real time.

한편, 웹 페이지 연동부(130)는 참가사로부터 웹 연동 정보를 수신하고, 웹 연동 정보를 분석하여 인터랙션 아이콘의 형상이나 크기를 다르게 하여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web page linking unit 130 may receive web linking information from participating companies, analyze the web linking information, and create interaction icons with different shapes and sizes.

웹 연동 정보는 웹 페이지의 주소, 결제, 정보 제공 등의 웹 페이지의 기능을 나타내는 카테고리, 웹 페이지 연동의 중요도에 대하여 참가자로부터 제공받은 설문값 등을 포함할 수 있다.Web linkage information may include the address of the web page, categories representing web page functions such as payment and information provision, and survey values provided by participant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web page linkage.

웹 페이지 연동부(130)는 웹 연동 정보를 아래 수학식 3에 적용하여 인터랙션 아이콘 식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web page linking unit 130 can calculate the interaction icon identification score by applying the web linking information to Equation 3 below.

[수학식 3][Equation 3]

수학식 3에서 Cw는 인터랙션 아이콘 식별 점수, C0는 인터랙션 아이콘 기준 점수, aw는 웹 페이지 연동의 중요도에 대하여 참가자로부터 제공받은 설문값으로 중요도에 따라 1 내지 5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qw는 카테고리 가중치, pw는 공간 가중치를 의미한다.In Equation 3, C w is the interaction icon identification score, C 0 is the interaction icon standard score, a w is the survey value provided by the participant regarding the importance of web page integration, and is set to one of 1 to 5 depending on the importance, and q w refers to the category weight and p w refers to the spatial weight.

여기에서, 설문값은 중요도가 높을수록 1 내지 5 중 높은 값으로 설정되고, 카테고리 가중치는 웹 페이지의 기능을 반영하여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결제의 기능을 갖는 경우 2, 단순 정보 제공의 기능을 갖는 경우 1로 설정될 수 있고, 공간 가중치는 메타버스 공간의 컨셉을 반영하여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컨대, 전시 공간의 기능을 갖는 경우 1, 회의 공간의 기능을 갖는 경우 2로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survey value is set to a higher value of 1 to 5 as the importance increases, and the category weight reflects the function of the web page, for example, 2 if it has a payment function, and 2 if it has the function of providing simple information. Case can be set to 1, and the space weight reflects the concept of the metaverse space, for example, can be set to 1 if it has the function of an exhibition space, and 2 if it has the function of a conference space.

예를 들면, C0=10, aw=5, qw=2, pw=1인 경우, =250으로 산출될 수 있다.For example, if C 0 =10, a w =5, q w =2, p w =1, It can be calculated as =250.

웹 페이지 연동부(130)는 인터랙션 아이콘 식별 점수의 구간 별로 인터랙션 아이콘의 크기 및 형상을 지정하여 매칭한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인터랙션 아이콘의 식별 점수와 매칭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함으로써 메타버스 공간의 컨셉과 어울리면서도 웹 연동의 필요성에 따라 기능할 수 있도록 한다.The web page linking unit 130 can store a table match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interaction icon for each section of the interaction icon identification score, and generates an interaction icon with a size and shape that matches the identification score of the interaction icon, thereby creating a meta It matches the concept of the bus space while allowing it to function according to the need for web integratio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 웹 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
100: 제어 서버
200: 이동 단말
1: Web-based metaverse platform system
100: control server
200: mobile terminal

Claims (3)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입력 받아 메타버스의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상기 메타버스의 가상 공간에서 미리 지정된 웹 페이지를 팝업창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제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메타버스 가상 공간을 구현할 참가사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 및 관리하는 참가사 관리부;
상기 참가사로부터 오프라인 공간에 관한 구조, 면적, 높이 및 층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2D 이미지 형식으로 입력 받고, 상기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3D 형식으로 변환하며, 상기 오프라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오프라인 공간과 동일한 상기 메타버스의 가상 공간을 생성하고, 상기 메타버스의 가상 공간 내의 소정 위치에 배치할 가상 제품을 생성하며, 상기 메타버스 가상 공간에서 이동 가능한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가상 공간 생성부; 및
상기 메타버스 가상 공간에서 인터랙션 아이콘을 생성하고, 상기 인터랙션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미리 지정된 웹 페이지를 팝업창으로 출력하는 웹 페이지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공간 생성부는,
참가사로부터 입력 받는 2D 이미지 형식의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구획하여 소정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에 물체의 포함 여부 및 각 영역의 조명의 포함 여부를 분석하고, 아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메타버스 컨셉 실현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메타버스 컨셉 실현 점수가 소정 점수 이하로 산출되는 경우, 참가사로 상기 오프라인 공간 정보를 재 요청하는, 웹기반 메타버스 플랫폼 시스템.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 MO는 메타버스 컨셉 실현 점수, Sn은 구획한 영역의 개수, 는 n번째 영역에 물체가 포함된 경우 1, 물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0, 는 n번째 영역에 조명이 포함된 경우 1, 조명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0, 는 보정 계수를 의미함.)
It includes a control server that receives offline space information, creates and provides a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and provides the function of outputting a pre-designated web page in a pop-up window in the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The control server is,
a participating company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stores, and manages information on participating companies that will implement the metaverse virtual space;
Offline spa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structure, area, height, and number of floors related to offline space is input from the participating company in a 2D image format, the offline space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3D format, and the offline space information is based on the offline information. A virtual space creation unit that creates a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that is the same as an offline space, creates a virtual product to be placed at a predetermined location in the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and creates a virtual object that can be moved in the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and
It includes a web page linkage unit that creates an interaction icon in the metaverse virtual space and outputs a pre-designated web page in a pop-up window when the interaction icon is selected,
The virtual space creation unit,
Offline spatial information in the form of 2D images received from participating companies is partitioned and divided into predetermined areas, and the inclusion of objects and lighting in each area is analyzed, and the metaverse concept realization score is calculated using Equation 1 below. A web-based metaverse platform system that calculates and, if the metaverse concept realization score is calculated to be less than a predetermined score, re-requests the offline space information to the participating company.
[Equation 1]

(In Equation 1, M O is the metaverse concept realization score, S n is the number of partitioned areas, is 1 if the nth area contains an object, 0 if it does not contain an object, is 1 if the nth area contains lighting, 0 if it does not contain lighting, means correction coefficien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30178855A 2023-12-11 2023-12-11 Meta verse platform system based on web KR1026360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8855A KR102636063B1 (en) 2023-12-11 2023-12-11 Meta verse platform system based on web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8855A KR102636063B1 (en) 2023-12-11 2023-12-11 Meta verse platform system based on we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063B1 true KR102636063B1 (en) 2024-02-13

Family

ID=89899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8855A KR102636063B1 (en) 2023-12-11 2023-12-11 Meta verse platform system based on web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063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8643A (en) * 2006-09-27 2008-04-01 정운철 The online e-commerce system in which the goods purchase is possible in 3d space by using avatar
KR20130082623A (en) * 2011-12-12 2013-07-22 (주)컨텐츠삼점영 Custome making system and method throgh cyber simulation
KR20230164421A (en) * 2022-05-25 2023-12-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A method for metaverse clothing integration business based on actual productization of avatar clothing and an apparatus and a system thereof
KR20230164419A (en) * 2022-05-25 2023-12-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A method for metaverse store service that interacts with offline stores in real time and an apparatus and a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8643A (en) * 2006-09-27 2008-04-01 정운철 The online e-commerce system in which the goods purchase is possible in 3d space by using avatar
KR20130082623A (en) * 2011-12-12 2013-07-22 (주)컨텐츠삼점영 Custome making system and method throgh cyber simulation
KR20230164421A (en) * 2022-05-25 2023-12-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A method for metaverse clothing integration business based on actual productization of avatar clothing and an apparatus and a system thereof
KR20230164419A (en) * 2022-05-25 2023-12-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A method for metaverse store service that interacts with offline stores in real time and an apparatus and a system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ng et al. Handbook of Research on AI-Based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in the Era of the Metaverse
US11741668B2 (en) Template based generation of 3D object meshes from 2D images
US20210256403A1 (en) Recommendation method and apparatus
US20190303768A1 (en) Community Question Answering-Based Article Recommendation Method, System, and User Device
US2017004656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identifying a gesture using gesture data compressed by principal joint variable analysis
CN106128196A (en) E-Learning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nd its implementation
CN111260754A (en) Face image edit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Sivasankar Study of blockchain technology, AI and digital networking in metaverse
CN111008336A (en)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11514638B2 (en) 3D asset generation from 2D images
US20230289784A1 (en) Creating and managing artificially intelligent entities represented by non-fungible tokens on a blockchain
US20220237917A1 (en) Video comparis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234018A (en) Multimedia content description generation method, trai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JP71572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fining an emotion recognition machine
US20220207831A1 (en) Simulated control for 3- dimensional human poses in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CN112364236A (en) Target object recommend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d A further analysis of the ethics of representation in virtual reality: Multi-user environments
KR102636063B1 (en) Meta verse platform system based on web
CN111949894A (en) Collaborative filter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multi-space interaction
Soliman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powered Metaverse: analysis, challenges and future perspectives
Cheres et al. The Profile: unleashing your deepfake self
Li et al. Research on interaction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a metaverse environment
Murala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Development of Metaverse
Qu et al. The application of interactive methods under swarm compu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image retrieval and personalized analysis
WO202318910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