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927B1 -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927B1
KR102635927B1 KR1020230005119A KR20230005119A KR102635927B1 KR 102635927 B1 KR102635927 B1 KR 102635927B1 KR 1020230005119 A KR1020230005119 A KR 1020230005119A KR 20230005119 A KR20230005119 A KR 20230005119A KR 102635927 B1 KR102635927 B1 KR 10263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s
signal
frequency
receivers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5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레드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레드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레드컴
Priority to KR1020230005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83Transmitters with multiple parallel pa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4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with feedback of measurements to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91Circuits with frequency synthesizers, frequency converters or 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은 복수의 송신기들 및 복수의 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송신기들은 복수의 송신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수신기들은 복수의 송신신호들에 기초하여 전달되는 복수의 수신신호들을 수신하고, 복수의 수신신호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수신기들로 수신되는 수신결과 신호들의 파워에 해당하는 파워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송신기들의 파워 및 송신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고성능의 소우 필터(IF Saw Filter)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시스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MULTI-CHANNEL WIRELESS MICROPHONE SYSTEM}
본 발명은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마이크들을 통해서 전달되는 복수의 수신신호들로부터 원하는 수신신호만을 추출하기 위해서 고성능의 소우 필터(IF Saw Filter)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고성능의 소우필터(IF Saw Filter)는 가격이 매우 비싸 시스템 전체의 가격 경쟁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5331호 (등록일자, 2014.06.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수신기들로 수신되는 수신결과 신호들의 파워에 해당하는 파워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송신기들의 파워 및 송신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고성능의 소우 필터(IF Saw Filter)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시스템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은 복수의 송신기들 및 복수의 수신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송신기들은 복수의 송신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수신기들은 상기 복수의 송신신호들에 기초하여 전달되는 복수의 수신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신호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의 각각은 제1 필터부 및 믹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부는 상기 복수의 수신신호들에 상응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복수의 필터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믹서는 상기 복수의 필터신호들을 상기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믹서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의 각각은 제2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부는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 각각에 포함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샘플링 주파수의 절반에 해당하는 차단주파수를 갖고, 상기 복수의 믹서신호들을 필터링하여 복수의 수신결과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의 각각은 파워부 및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부는 상기 복수의 수신결과 신호들의 파워에 해당하는 파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파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교부 및 신호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는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의 각각에 매칭되는 상기 파워정보에 해당하는 매칭정보 및 상기 파워정보 중 상기 매칭정보를 제외한 비매칭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신호제공부는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제공부는 제1 신호 제공기 및 제2 신호 제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제공기는 상기 매칭정보의 값 보다 큰 상기 비매칭 정보의 값에 갖는 상기 수신기에 해당하는 선택 수신기에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들 중 제1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신호 제공기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수신기로부터 제공되는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들 중 제2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신기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수신기와 매칭되는 상기 송신기의 송신파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제공기는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매칭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송신기에 제공하여 상기 송신기의 송신 주파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제공기는 주파수 결정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결정기는 상기 선택 수신기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선택 수신기들 사이의 주파수 간격 및 상기 선택 수신기들의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비매칭 정보의 값에 따라 상기 송신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결정기는 상기 선택 수신기들 사이의 주파수 간격 및 상기 선택 수신기들 사이의 상기 비매칭 정보의 값의 차이 값의 비율에 따라 상기 송신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수신기들로 수신되는 수신결과 신호들의 파워에 해당하는 파워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송신기들의 파워 및 송신 주파수를 제어함으로써 고성능의 소우 필터(IF Saw Filter)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시스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1 수신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4는 도 2의 제1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의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1 수신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수신기에 포함되는 제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어부에서 사용되는 매칭정보 및 비매칭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제어부에 포함되는 신호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도 8의 제2 신호 제공기에 포함되는 주파수 결정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1 수신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및 4는 도 2의 제1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10)은 복수의 송신기들(100) 및 복수의 수신기들(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송신기들(100)은 복수의 송신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송신기들(100)은 제1 송신기(110), 제2 송신기(120) 및 제3 송신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송신기(110)는 중심주파수가 제1 주파수(F1)인 제1 송신신호(TS1)를 송신할 수 있고, 제2 송신기(120)는 중심주파수가 제2 주파수(F2)인 제2 송신신호(TS2)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송신기(130)는 중심주파수가 제3 주파수(F3)인 제3 송신신호(TS3)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송신기(110) 내지 제3 송신기(130)는 마이크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송신신호(TS1) 내지 제3 송신신호(TS3)는 대역폭이 200KHz가 넘지 않는 신호들일 수 있다.
복수의 수신기들(200)은 복수의 송신신호들에 기초하여 전달되는 복수의 수신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수신기들(200)은 제1 수신기(210), 제2 수신기(220) 및 제3 수신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신기(210)는 제1 송신신호(TS1), 제2 송신신호(TS2) 및 제3 송신신호(TS3)가 혼합된 제1 수신신호(RS1)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수신기(220)는 제1 송신신호(TS1), 제2 송신신호(TS2) 및 제3 송신신호(TS3)가 혼합된 제2 수신신호(RS2)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3 수신기(230)는 제1 송신신호(TS1), 제2 송신신호(TS2) 및 제3 송신신호(TS3)가 혼합된 제3 수신신호(RS3)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신기(210)는 제1 송신기(110)와 매칭되어 제1 수신신호(RS1) 중 제1 송신기(110)로부터 전달되는 제1 송신신호(TS1)만을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수신기일 수 있고, 제2 수신기(220)는 제2 송신기(120)와 매칭되어 제2 수신신호(RS2) 중 제2 송신기(120)로부터 전달되는 제2 송신신호(TS2)만을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제3 수신기(230)는 제3 송신기(130)와 매칭되어 제3 수신신호(RS3) 중 제3 송신기(130)로부터 전달되는 제3 송신신호(TS3)만을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수신기일 수 있다.
복수의 수신기들은 복수의 수신신호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기(210)는 제1 수신신호(RS1)에 포함되는 제1 송신신호(TS1), 제2 송신신호(TS2) 및 제3 송신신호(TS3)의 성분을 비교하여 제1 제어신호(CS1_1) 및 제2 제어신호(CS1_2)를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제어신호들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6 내지 10에서 자세히 설명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송신들의 각각은 동일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수신기들(200)의 각각도 동일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수신기들(200)의 각각은 제1 필터부(211) 및 믹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필터부(211)는 복수의 수신신호들에 상응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복수의 필터신호(FS)들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는 복수의 수신기들(200) 중 하나의 예로 제1 수신기(210)를 기준으로 설명할 수 있고, 제1 수신기(210)를 기준으로 설명되는 내용들은 제1 수신기(210)를 포함하는 복수의 수신기들(20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기(210)로 수신되는 제1 수신신호(RS1)에는 제1 송신신호(TS1), 제2 송신신호(TS2) 및 제3 송신신호(TS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수신기(210)에 포함되는 제1 필터부(211)는 제1 수신신호(RS1)를 필터링하여 제1 필터신호(FS1), 제2 필터신호(FS2) 및 제3 필터신호(FS3)를 포함하는 필터신호(FS)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파수 대역은 국내의 경우, 925MHz ~ 937.5MHz에 포함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믹서(212)는 복수의 필터신호(FS)들을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믹서신호(MS)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기(210)에 포함되는 믹서(212)는 제1 필터신호(FS1), 제2 필터신호(FS2) 및 제3 필터신호(FS3)를 포함하는 필터신호(FS)를 캐리어 주파수를 이용하여 925MHz ~ 937.5MHz보다 낮은 대역인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수신기들(200)의 각각은 제2 필터부(2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필터부(213)는 복수의 수신기들(200) 각각에 포함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샘플링 주파수의 절반(FS/2)에 해당하는 차단주파수를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필터부(213)는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10)에 포함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에서의 미리 정해진 샘플링 주파수로 인한 에일리어싱(alias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주파수를 샘플링 주파수의 절반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필터부(213)는 복수의 믹서신호(MS)들을 필터링하여 복수의 수신결과 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기(210)에 포함되는 제2 필터부(213)는 믹서신호(MS)를 필터링하여 제1 수신결과 신호(RRS1), 제2 수신결과 신호(RRS2) 및 제3 수신결과 신호(RRS3)를 포함하는 수신결과 신호(RRS)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신결과 신호(RRS1)는 제1 송신기(110)로부터 송신된 제1 송신신호(TS1)에 상응할 수 있고, 제2 수신결과 신호(RRS2)는 제2 송신기(120)로부터 송신된 제2 송신신호(TS2)에 상응할 수 있다. 또한, 제3 수신결과 신호(RRS3)는 제3 송신기(130)로부터 송신된 제3 송신신호(TS3)에 상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10)에서는, 복수의 수신기들(200)로 수신되는 수신결과 신호(RRS)들의 파워에 해당하는 파워정보(PI)에 기초하여 복수의 송신기들(100)의 파워(PC) 및 송신 주파수(TF)를 제어함으로써 고성능의 소우 필터(IF Saw Filter)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시스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제1 수신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1 수신기에 포함되는 제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제어부에서 사용되는 매칭정보 및 비매칭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수신기들(200) 각각은 파워부(213) 및 제어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부(213)는 복수의 수신결과 신호(RRS)들의 파워에 해당하는 파워정보(P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기(210)의 제2 필터부(213)로부터 제공되는 수신결과 신호(RRS)는 제1 수신결과 신호(RRS1), 제2 수신결과 신호(RRS2) 및 제3 수신결과 신호(RRS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수신기(210)에 포함되는 파워부(213)는 제1 수신결과 신호(RRS1)의 파워에 해당하는 제1 파워정보(PI1), 제2 수신결과 신호(RRS2)의 파워에 해당하는 제2 파워정보(PI2) 및 제3 수신결과 신호(RRS3)의 파워에 해당하는 제3 파워정보(PI3)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14)는 파워정보(PI)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214)는 비교부(217) 및 신호제공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217)는 복수의 수신기들(200)의 각각에 매칭되는 파워정보(PI)에 해당하는 매칭정보(MI) 및 파워정보(PI) 중 매칭정보(MI)를 제외한 비매칭 정보(NMI)를 비교하여 비교결과(CR)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기(210)는 제1 송신기(110)와 매칭되어 제1 수신신호(RS1) 중 제1 송신기(110)로부터 전달되는 제1 송신신호(TS1)를 추출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신신호(TS1)에 상응하는 파워정보(PI)는 제1 파워정보(PI1)일 수 있고, 이 경우, 제1 수신기(210)와 매칭되는 파워정보(PI)는 제1 파워정보(PI1)일 수 있고, 제1 수신기(210)를 기준으로 제1 파워정보(PI1)는 매칭정보(MI)일 수 있고, 제2 파워정보(PI2) 및 제3 파워정보(PI3)는 비매칭 정보(NMI)일 수 있다.
비교부(217)는 매칭정보(MI)에 해당하는 제1 파워정보(PI1)와 비매칭 정보(NMI)에 해당하는 제2 파워정보(PI2) 및 제3 파워정보(PI3)를 비교할 수 있다. 이 경우, 매칭정보(MI)에 해당하는 제1 파워정보(PI1)의 값이 비매칭 정보(NMI)에 해당하는 제2 파워정보(PI2)의 값 및 제3 파워정보(PI3)의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수신결과 신호(RRS)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 입력되면 제3 수신결과 신호(RRS3)를 기준으로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가 결정되어 제1 수신기(210)에서 추출하고자 하는 제1 수신결과 신호(RRS1)는 충분하게 다이나믹 레인지를 활용할 수 없을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제어부에 포함되는 신호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 및 10은 도 8의 제2 신호 제공기에 포함되는 주파수 결정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10을 참조하면, 신호제공부(218)는 비교결과(CR)에 따라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제공부(218)는 제1 신호 제공기(610) 및 제2 신호 제공기(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 제공기(610)는 매칭정보(MI)의 값 보다 큰 비매칭 정보(NMI)의 값에 갖는 수신기에 해당하는 선택 수신기에 복수의 제어신호들 중 제1 제어신호(CS1_1)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기(210)를 기준으로 매칭정보(MI)의 값 보다 큰 비매칭 정보(NMI)의 값에 갖는 수신기에 해당하는 선택 수신기는 제2 수신기(220) 및 제3 수신기(230)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신호 제공기(610)는 제1 제어신호(CS1_1)를 제2 수신기(220) 또는 제3 수신기(23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신호(CS1_1)는 제2 수신기(220) 또는 제3 수신기(230)에 상응하는 송신기의 파워를 감소시킬 수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선택 수신기는 제1 제어신호(CS1_1)에 기초하여 선택 수신기와 매칭되는 송신기의 송신파워(PC)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수신기에 해당하는 제2 수신기(220) 또는 제3 수신기(230)는 제1 제어신호(CS1_1)에 따라 신호대 잡음비 및 제2 송신기(120) 또는 제3 송신기(130)의 파워를 고려하여 제2 송신기(120) 또는 제3 송신기(130)의 파워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 신호 제공기(620)는 제1 제어신호(CS1_1)에 응답하여 선택 수신기로부터 제공되는 응답신호(RES)에 따라 복수의 제어신호들 중 제2 제어신호(CS1_2)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신호 제공기(620)는 제2 제어신호(CS1_2)를 매칭정보(MI)에 상응하는 송신기에 제공하여 송신기의 송신 주파수(TF)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기(210)를 기준으로 선택 수신기에 해당하는 제2 수신기(220)로부터 제2 송신기(120)의 파워를 감소시킬 수 없다는 응답신호(RES)를 제1 수신기(210)가 수신하는 경우, 제1 수신기(210)는 매칭정보(MI)에 해당하는 제1 파워정보(PI1)에 상응하는 제1 송신기(110)로 제2 제어신호(CS1_2)를 제공하여 제1 송신기(110)의 송신 주파수(TF)를 다른 주파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신호 제공기(620)는 주파수 결정기(6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결정기(621)는 선택 수신기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선택 수신기들의 각각에 상응하는 비매칭 정보(NMI)의 값 및 비매칭 정보(NMI)에 상응하는 주파수에 따라 송신 주파수(TF)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결정기(621)는 비매칭 정보(NMI)의 차이 값 및 비매칭 정보(NMI)에 상응하는 주파수의 차이 값의 비율에 따라 송신 주파수(TF)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수신기(210)를 기준으로 선택 수신기들은 제2 수신기(220), 제3 수신기(230) 및 제4 수신기일 수 있다. 이 경우, 비매칭 정보(NMI)는 제2 파워정보(PI2), 제3 파워정보(PI3) 및 제4 파워정보일 수 있고, 제2 파워정보(PI2)에 상응하는 주파수는 제2_1 주파수일 수 있고, 제3 파워정보(PI3)에 상응하는 주파수는 제3_1 주파수일 수 있다. 또한, 제4 파워정보에 상응하는 주파수는 제4_1 주파수일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축을 기준으로 인접한 수신결과 신호(RRS)는 제2 수신결과 신호(RRS2)와 제3 수신결과 신호(RRS3) 또는 제3 수신결과 신호(RRS3)와 제4 수신결과 신호(RRS4)일 수 있다.
제2 수신결과 신호(RRS2)에 대한 파워정보(PI)는 제2 파워정보(PI2)이고, 제3 수신결과 신호(RRS3)에 대한 파워정보는 제3 파워정보(PI3)이고, 제4 수신결과 신호에 대한 파워정보(PI)는 제4 파워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파워정보(PI2) 및 제3 파워정보(PI3)의 차이 값은 제3 파워정보(PI3) 및 제4 파워정보(PI)의 차이값과 동일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수신결과 신호(RRS2) 및 제3 수신결과 신호(RRS3) 사이의 주파수 차이는 제1 주파수 간격일 수 있고, 제3 수신결과 신호(RRS3) 및 제4 수신결과 신호(RRS4) 사이의 주파수 차이는 제2 주파수 간격일 수 있다. 제2 주파수 간격은 제1 주파수 간격보다 클 수 있고, 이 경우, 주파수 결정기(621)는 제1 송신기(110)의 주파수를 제3_1 주파수 및 제4_1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를 송신 주파수(TF)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10)에서는, 복수의 수신기들(200)로 수신되는 수신결과 신호(RRS)들의 파워에 해당하는 파워정보(PI)에 기초하여 복수의 송신기들(100)의 파워 및 송신 주파수(TF)를 제어함으로써 고성능의 소우 필터(IF Saw Filter)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시스템 성능을 높일 수 있다.
10: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 100: 복수의 송신기들
200: 복수의 수신기들

Claims (10)

  1. 복수의 송신신호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송신기들;
    상기 복수의 송신신호들에 기초하여 전달되는 복수의 수신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신호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제공하는 복수의 수신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수신신호들에 상응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복수의 필터신호들을 제공하는 제1 필터부;
    상기 복수의 필터신호들을 상기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믹서신호들을 제공하는 믹서;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 각각에 포함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샘플링 주파수의 절반에 해당하는 차단주파수를 갖고, 상기 복수의 믹서신호들을 필터링하여 복수의 수신결과 신호들을 제공하는 제2 필터부;
    상기 복수의 수신결과 신호들의 파워에 해당하는 파워정보를 제공하는 파워부; 및
    상기 파워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신기들의 각각에 매칭되는 상기 파워정보에 해당하는 매칭정보 및 상기 파워정보 중 상기 매칭정보를 제외한 비매칭 정보를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제공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제공하는 신호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제공부는,
    상기 매칭정보의 값 보다 큰 상기 비매칭 정보의 값에 갖는 상기 수신기에 해당하는 선택 수신기에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들 중 제1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1 신호 제공기; 및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수신기로부터 제공되는 응답신호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들 중 제2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2 신호 제공기를 포함하는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신기는 상기 제1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 수신기와 매칭되는 상기 송신기의 송신파워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제공기는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상기 매칭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송신기에 제공하여 상기 송신기의 송신 주파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 제공기는,
    상기 선택 수신기의 개수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선택 수신기들 사이의 주파수 간격 및 상기 선택 수신기들의 각각에 상응하는 상기 비매칭 정보의 값에 따라 상기 송신 주파수를 결정하는 주파수 결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결정기는 상기 선택 수신기들 사이의 주파수 간격 및 상기 선택 수신기들 사이의 상기 비매칭 정보의 값의 차이 값의 비율에 따라 상기 송신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
KR1020230005119A 2023-01-13 2023-01-13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 KR10263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119A KR102635927B1 (ko) 2023-01-13 2023-01-13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5119A KR102635927B1 (ko) 2023-01-13 2023-01-13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927B1 true KR102635927B1 (ko) 2024-02-14

Family

ID=8989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5119A KR102635927B1 (ko) 2023-01-13 2023-01-13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9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289A (ko) * 2002-09-11 2004-03-18 (주)런컴 채널 혼선에 의한 오동작 방지를 위한 다채널 무선 마이크시스템
WO2012131735A1 (en) * 2011-03-31 2012-10-04 Aeb Industriale S.R.L. Digital microphone radio transmission system
KR101405331B1 (ko) 2013-02-13 2014-06-11 (주)준성테크 무선 마이크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KR102146190B1 (ko) * 2019-04-08 2020-08-20 에이치디에스주식회사 듀얼 밴드 주파수 기반의 음성 데이터 기록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289A (ko) * 2002-09-11 2004-03-18 (주)런컴 채널 혼선에 의한 오동작 방지를 위한 다채널 무선 마이크시스템
WO2012131735A1 (en) * 2011-03-31 2012-10-04 Aeb Industriale S.R.L. Digital microphone radio transmission system
KR101405331B1 (ko) 2013-02-13 2014-06-11 (주)준성테크 무선 마이크 시스템의 송수신 방법
KR102146190B1 (ko) * 2019-04-08 2020-08-20 에이치디에스주식회사 듀얼 밴드 주파수 기반의 음성 데이터 기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5229B2 (en) Software-definable radio transceiver with MEMS filters
EP2464024B1 (en) Wideband multi-channel receiver with fixed-frequency notch filter for interference rejection
US60885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signals having different frequency bandwidths
US6160859A (en) Integrated multi-mode bandpass sigma-delta receiver subsystem with interference mitiga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8593330B2 (en) Multichannel, multimode, multifunction L-band radio transceiver
US4394624A (en) Channelized feed-forward system
US6738604B2 (en) Programmable IF bandwidth using fixed bandwidth filters
KR20000070294A (ko) 통신 시스템용 장치
KR102635927B1 (ko) 다채널 무선마이크 시스템
EP1160992B1 (en) A method for implementing a transceiver and a transceiver
JPS6214535A (ja) 無線送信システム
KR20020022915A (ko) 방송 신호 수신기의 튜닝 시스템 및 방법
CN1694349A (zh) 单一转换调谐器
KR20090025112A (ko) Rf 수신기 및 그 간섭신호 제거방법
AU703191B2 (en) Digital center line filter
CN102215192A (zh) 模数混合信道选择滤波器
US9130653B2 (en) Filter block and a signal transceiver comprising such a filter block
US20050276351A1 (en) Receiving arrangement of a cordless communication system
CN1825916A (zh) 可传送多个频道的数据的无线信号传输装置
US20010046881A1 (en) Radio frequency receiver in a mobile telephone
US7864904B2 (en) Method and dat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digital data of a signal
CN117792411A (zh) 一种用于超高场磁共振成像的多通道发射和接收前端模块
US7199843B2 (en) Spectral translation for VSB compensation
US200300911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and filtering a signal
GB2328814A (en) Variable bandwidth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