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842B1 -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842B1
KR102635842B1 KR1020220039144A KR20220039144A KR102635842B1 KR 102635842 B1 KR102635842 B1 KR 102635842B1 KR 1020220039144 A KR1020220039144 A KR 1020220039144A KR 20220039144 A KR20220039144 A KR 20220039144A KR 102635842 B1 KR102635842 B1 KR 10263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metric information
personal health
user
health
me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0242A (ko
Inventor
도은한
백광흠
김준성
박정용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아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아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아아이티
Priority to KR102022003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842B1/ko
Publication of KR2023014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0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rd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개인 건강 기기, 상기 개인 건강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통합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건강 관련 정보 또는 복약 스케쥴을 상기 개인 건강 기기로 제공하는 건강관리 게이트웨이, 및 상기 건강관리 게이트 웨이를 통해 사용자의 통합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통합된 생체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하는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시스템{Personal health management system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본 발명은 개인 건강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운용성, 네트워크 안정성 및 보안성이 보장될 수 있는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헬스케어 기기의 측정정보 등을 서비스 플랫폼 등에 전달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는 범용 모바일폰 등을 활용하거나, 일부 전용 게이트웨어가 출시되어 있으나 이를 활용하기에 다소 한계가 있다.
특히, IoT(Internet of Things) 기기 및 시스템에 대한 보안 위협은 기존의 보안위협과 달리, 차량, 홈·가전, 헬스케어 등 기기의 본래의 기능에 대해 기기나 시스템의 오작동이나 불법조작이 발생하게 되면, 이용자의 신체나, 생명, 재산 등에까지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
하지만, 현재 IoT 기기들을 제조/출시하는 기업들은 아직 보안과 관련된 이슈를 고려하지 않고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사용자들도 IoT 기기의 보안 문제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쓰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개인용 헬스케어를 위한 상호운용성, 보안성, 안정성 등을 만족하는 게이트웨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28519 (2018.12.12. 공고)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6664 (2018.01.19. 공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운용성, 네트워크 안정성 및 보안성이 보장될 수 있는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개인 건강 기기;
상기 개인 건강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통합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건강 관련 정보 또는 복약 스케쥴을 상기 개인 건강 기기로 제공하는 건강관리 게이트웨이; 및
상기 건강관리 게이트 웨이를 통해 사용자의 통합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통합된 생체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하는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인 건강 기기는 심혈관 질병의 척도로 사용되는 적어도 두가지 이상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기, 및 상기 건강관리 게이트웨이에 의해 복약 스케줄이 관리되는 복약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강관리 게이트웨이는 상기 개인 건강 기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HL7 FHIR 프레임 워크에 기반하여 개인건강기록으로 통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안정성, 보안성 및 상호운용성을 보장하면서 가정용 개인 건강기기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생체정보 또는 측정정보를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로 전송하고,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로부터 개인 맞춤형 다양한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 건강 기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강관리 게이트웨이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게이트웨이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에 따른 복약기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에 따른 복약기를 통한 선택약의 선택적 복약 상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 건강 기기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강관리 게이트웨이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게이트웨이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에 따른 복약기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에 따른 복약기를 통한 선택약의 선택적 복약 상태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으며,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개인 건강 기기(100), 상기 개인 건강 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건강 관련 정보 또는 복약 스케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 및 상기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사용자의 통합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통합된 생체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하는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크게 개인 건강 기기(100),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 및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건강 기기(100)와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 간에는 개인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이 형성될 수 있다. 개인 건강 기기(100)와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간 유선 연결은 보통 USB나 FireWire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개인 건강 기기(100)와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간 무선 연결은 IrDA나 Bluetooth, UWB, ZigBee 등의 무선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와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300) 간에는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이 형성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유무선 혼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와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300) 간에는 특정 의료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표준 방식에 따른 프레임 워크에 기반하여 정보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의료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표준 방식의 예로는 이기종 의료정보 시스템간 정보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의료정보의 전자적 교환에 대한 표준인 HL7(Health Level 7) 표준을 들 수 있다. 한편, 프레임 워크의 예로는 FHIR(Fast Healthcare Interoperability Resources)을 들 수 있다. FHIR은 기존의 V2 메시지, V3 RIM(Reference Information Model), CDA(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의료정보 시스템간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HL7에서 개발한 의료정보화 영역의 차세대 프레임 워크이다. FHIR은 헬스케어의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라 불릴만큼 쉽고 빠른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기관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커뮤니케이션, EHR(Electronic Health Record) 기반 데이터 공유, 서버 커뮤니케이션과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 건강 기기(100)는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건강 기기(100)는 단일 질병의 척도에 대응하는 복수의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복수의 측정기기(110,120,130,140,1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혈관 관련 질병의 척도에 대응하는 생체정보로서 혈압, 심전도, 혈당, 산소포화도, 및 체성분 중 적어도 두가지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개인 건강 기기(100)는 각 질병의 척도에 대응되는 생체정보를 측정하는 복수의 측정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측정기기는 하나의 전용 기기로 구현되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탑재되거나, 웨어러블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개인 건강 기기(100)는 복약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약기(160)는 IoT 기반에 기초하여 음성으로 복약 알람이 가능하고, 스마트폰 앱을 통해 복약 현황을 관리할 수 있는 캘린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는 개인 건강 기기(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개인 중심으로 통합할 수 있다.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정보를 국제표준인 HL7 FHIR를 통하여 개인건강기록(PHR: Personal Health Record)으로 통합하여 상호운용성이 보장되도록 한다. 또한,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는 네트워크 장비의 불필요한 서비스를 통제하고, 보안 펌웨어를 적용하여 네트워크 안정성과 보안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는 수신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통합된 개인건강정보를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300)로 제공하고,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맞춤형 건강 관련 정보 또는 복약 스케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300)는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각 사용자 개인의 라이프로그와 다양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개인별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 건강 기기(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혈압계(110), 심전도계(120), 혈당계(130), 산소포화도계(140), 및 체성분 분석기(150) 등과 같은 측정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측정기기는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형태나 웨어러블 기기 형태의 공지된 범용 혹은 개인용 측정기기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개인 건강 기기(100)는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에 의해 복약 스케줄이 관리되는 복약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약기(160)는 날짜별로 약을 보관할 수 있는 복수의 보관함을 포함하는 캘린더 형태로서, 각 날짜에 아침, 점심, 저녁 세분하여 약을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의 복약 알림기능을 통해 복약 날짜에 복약기(16)의 해당 보관함이 표시되고, 복약기(160)의 각 보관함의 개폐여부 또는 무게 등으로부터 보관된 약에 대한 복약 여부가 체크되고, 체크결과가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복약기(16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의사나 약사가 상시 복약을 요하는 상시약들을 저장하는 상시약을 저장하는 상시약 보관함(161)들과, 환자의 생체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약하는 선택약 보관함(162)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복약기(160)에는 선택약 보관함(162)에 보관되는 선택약 복약범위를 설정하는 선택약 복약 범위 설정부(163)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선택약 보관함(162)은 잠금유닛이 마련되어, 혈당계나 혈압계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실시간 생체정보가 입력된 선택약 복약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선택약 보관함(162)은 잠금유닛에 의해 잠금된 상태를 유지하여서, 환자가 임의로 선택약 보관함(162)에 보관된 선택약을 임의 복약하는 현상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약 복약범위는 의사나 약사가 상기 선택약을 처방할 때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선택약 복약범위의 입력의 오류가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선택약 복약범위는 처방전이나 약봉지에 바코드나 QR코드 형태로 환자에게 제공되어, 상기 복약기(160)에 마련된 스캐너(164)를 통해 바코드나 QR코드 형태로 제공된 선택약 복약범위를 스캐닝하여서 복약기(160)의 선택약 복약범위 설정부(163)에 선택약 범약범위를 입력 오류없이 자동 입력하도록 한다.
상기 선택약 보관함(162)에 저장되는 선택약으로는, 상기 혈당계(130)를 통해 측정되는 혈당값에 의해 복약여부가 결정되는 혈당약이나, 혈압계(110)를 통해 측정되는 혈압값에 의해 복약이 결정되는 혈압약 등이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약 스케쥴 관리부(260)를 통해 제공되는 복약 스케쥴을 통해 각 보관함(161, 162)에 보관된 상시약과 선택약들을 복용함에 있어, 혈당계나 혈압계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혈당값이나 혈압값이 선택약 복약범위 내에 형성되면, 환자는 복약스케쥴 관리부(260)를 통해 제공되는 복약스케쥴에 따라 상시약 보관함(261)에 보관된 상시약과, 선택약 보관함(262)에 보관된 선택약을 함께 복용하게 된다.
반면, 상기 혈당계(130)나 혈압계(110)를 통해 측정된 혈당값이나 혈압값이 선택약 복약범위를 벗어나면 환자에게 알림하여서, 환자는 상시약 보관함(161)에 보관된 상시약만 복약하고, 선택약 보관함(162)에 보관된 선택약을 일시적으로 복용하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써, 선택약의 오복용에 의해 건강을 해치는 등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소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펌웨어(210), 네트워크 안정성 제어모듈(220), 상호운용성 지원모듈(230), 생체정보 통합모듈(240), 건강관련정보 제공부(250), 복약스케쥴 관리부(260), 및 사용자 건강 모니터링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펌웨어(210)는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를 제어하거나 동작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펌웨어(210)는 네트워크 안정성 제어모듈(220)에 의해 실시간 업데이트가 이루어짐으로써, 네트워크 안정성과 보안성이 보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안정성 제어모듈(220)은 네트워크 장비의 불필요한 서비스를 통제하는 한편, 최신의 보안 펌웨어를 적용하는 등 네트워크 안정성과 보안성이 보장되도록 한다.
상호운용성 지원모듈(230)은 여러 프로토콜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이종 프로토콜 사이의 메시지 변환 및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호운용성 지원모듈(230)은 개인 건강 기기(100) 및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300)와의 데이터 교환 및 통신을 위하여 IEEE 11073 및 HL7 FHIR 프레임워크를 채용함으로써, 상호운용성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상호운용성 지원모듈(230)은 이종 프로토콜간 기기의 상태 요청이 발생했을 때 메시지 변환 및 통신 프로토콜로 인한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 기기의 상태 정보를 유지하는 저장소를 가질 수 있다.
생체정보 통합모듈(240)은 개인 건강 기기(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예를 들면 HL7 FHIR를 통하여 개인건강기록으로 통합하고, 통합된 개인건강기록을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300)로 전송한다.
건강관련정보 제공부(25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신체 정보 및/또는 사용자 건강 모니터링부(27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건강 모니터링 결과에 대응하는 개인 맞춤형 건강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복약스케쥴 관리부(260)는 개인 건강 기기(100)에 포함되어 있는 복약기(160)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복약 스케쥴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건강 모니터링부(270)는 개인 건강 기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사용자 건강 모니터링부(270)는 사용자 건강 모니터링 결과를 건강관련정보 제공부(25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건강 모니터링부(270)는 사용자 건강 모니터링 상태에 따라서 긴급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서, 생체정보 관리부(310), 데이터베이스(320), 서비스 지원 모듈(330), 및 상호운용성 지원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생체정보 관리부(310)는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통합된 생체정보 및 라이프로그를 데이터베이스(320)에 개인별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개인의 진료기록 및/또는 복약정보가 추가적으로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모듈(330)은 심혈관 질병 중심의 개인 건강관리를 위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통합된 생체정보 또는 사용자의 건강 모니터링 결과에 대응하는 건강관련정보를 구성하여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모듈(330)은 사용자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는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제공될 수 있다. 서비스 지원 모듈(330)은 개인 복약 관리 및 기록 등을 제공하기 위한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 복약 관리 서비스는 복약기(160)와 연동될 수 있도록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로 제공될 수 있다.
상호운용성 지원 모듈(340)은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300)와의 데이터 교환 및 통신을 위하여 HL7 FHIR 프레임워크를 채용함으로써, 상호운용성을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몸체부(410), 디스플레이부(42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410)는 편의성과 심미성을 가지고 있어 가정에서 비치하기 용이하도록 구현된다.
디스플레이부(420)는 개인 건강 기기(100)에서 측정되어 제공되는 홈케어 기반 사용자의 각종 생체정보와 라이프로그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30)는 파워 버튼, 간편동작 버튼, 긴급호출 버튼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개인 건강 기기(100) 또는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300)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심혈관 질병 중심으로 개시되었으나, 다양한 질병군으로 확장되어, 개인 건강 기기(100), 건강관리 게이트웨이(200) 및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300)의 세부 구성을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서 설명된 시스템, 방법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임의의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들 처리 장치는 운영체제(OS) 및 운영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처리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혹은 생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명령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처리 장치에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임의의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 컴퓨터 저장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내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 등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0 ... 개인 건강 기기 110 ... 혈압계
120 ... 심전도계 130 ... 혈당계
140 ... 산소포화도계 150 ... 체성분 분석기
160 ... 복약기
161 ... 상시약 보관함 162 ... 선택약 보관함
163 ... 선택약 복약범위 설정부 164 ... 스캐너
200 ... 건강관리 게이트웨이 210 ... 펌웨어
220 ... 네트워크 안정성 제어모듈 230 ... 상호운용성 지원모듈
240 ... 생체정보 통합모듈 250 ... 건강관련정보 제공부
260 ... 복약스케쥴 관리부 270 ... 사용자건강 모니터링부
300 ...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 310 ... 생체정보 관리부
320 ... 데이터베이스 330 ... 서비스 지원모듈
340 ... 상호운용성 지원모듈

Claims (3)

  1.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개인 건강 기기;
    상기 개인 건강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통합하고, 수신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모니터링하고, 건강 관련 정보 또는 복약 스케쥴을 상기 개인 건강 기기로 제공하는 건강관리 게이트웨이; 및
    상기 건강관리 게이트 웨이를 통해 사용자의 통합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통합된 생체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하는 개인건강기록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개인 건강 기기는
    심혈관 질병의 척도로 사용되는 적어도 두가지 이상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기; 및
    상기 건강관리 게이트웨이에 의해 복약 스케줄이 관리되는 복약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약기는 의사나 약사가 상시 복약을 요하는 상시약들을 저장하는 상시약을 저장하는 상시약 보관함들과, 환자의 생체 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약하는 선택약 보관함들과, 각 선택약 보관함에 보관되는 선택약 복약범위를 설정하는 선택약 복약 범위 설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선택약 보관함에는 잠금유닛이 마련되어, 혈당계나 혈압계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실시간 생체정보가 입력된 선택약 복약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선택약 보관함은 상기 잠금유닛에 의해 잠금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관리 게이트웨이는 상기 개인 건강 기기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정보를 HL7 FHIR 프레임 워크에 기반하여 개인건강기록으로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 시스템.
KR1020220039144A 2022-03-29 2022-03-29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시스템 KR102635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144A KR102635842B1 (ko) 2022-03-29 2022-03-29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144A KR102635842B1 (ko) 2022-03-29 2022-03-29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242A KR20230140242A (ko) 2023-10-06
KR102635842B1 true KR102635842B1 (ko) 2024-02-13

Family

ID=88296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144A KR102635842B1 (ko) 2022-03-29 2022-03-29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8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10014A1 (en) * 2013-04-12 2014-10-16 Aniruddha Amal BANERJE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 health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792B1 (ko) * 2010-07-14 2012-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약상자 및 약상자를 이용한 복약관리방법
KR101651276B1 (ko) * 2014-11-04 2016-08-25 주식회사 휴로 무선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약보관함
KR102017758B1 (ko) 2016-07-11 2019-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의료 기기, 게이트웨이 기기 및 이를 이용한 프로토콜 보안 방법
KR101928519B1 (ko) 2018-01-29 2018-12-12 수상에스티(주) 보안성이 강화된 레지덴셜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
KR20210135400A (ko) * 2020-05-05 2021-11-15 이동섭 건강 관리 상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10014A1 (en) * 2013-04-12 2014-10-16 Aniruddha Amal BANERJE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 heal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0242A (ko)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6973B2 (en) Health care sanitation monitoring system
US11158421B2 (en) Physiological parameter alarm delay
US11923080B2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US11133105B2 (en) Medical monitoring system
Eggerth et al. Medication management need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based approaches, including telehealth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ney et al. Plug-and-play for medical devices: Experiences from a case study
Safavi et al. Remote surveillance technologies: realizing the aim of right patient, right data, right time
KR102635842B1 (ko) 심혈관 질병 관련 개인 건강 관리시스템
Thavareesan Android Based Patient’s Healthcare Management System
Andreoni Capsules of Health in the 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