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838B1 -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5838B1 KR102635838B1 KR1020210064534A KR20210064534A KR102635838B1 KR 102635838 B1 KR102635838 B1 KR 102635838B1 KR 1020210064534 A KR1020210064534 A KR 1020210064534A KR 20210064534 A KR20210064534 A KR 20210064534A KR 102635838 B1 KR102635838 B1 KR 1026358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ource
- cloud infrastructure
- infrastructure service
- control
- cre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08 change reques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38—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the execution order of a plurality of tasks, e.g. taking priority or time dependency constraints into consider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the loa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7—Logical partitioning of resources; Management or configuration of virtualized resour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62—Creating, deleting, cloning virtual machine instan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7—Distribution of virtual machine instances; Migration and load bala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 정보를 고려하여 자원간 의존 관계를 설정하고, 공통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자원 제어 요청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제어를 요청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는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를 고려하여 생성된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자원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다른 클라우드 인프라를 단일 방식으로 연동 및 제어할 수 있고, 인프라를 구성하는 자원 간의 의존 관계와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자원들의 라이프 사이클을 제어하여 효율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 서비스는 컴퓨팅 자원(가상머신, 컨테이너,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IT자원)의 서비스로서, 사용자가 클라우드 사업자가 제공하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나 자체 구축한 프라이빗 클라우드 서비스의 IT자원으로 이루어진 컴퓨팅 인프라를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멀티 클라우드 기술은 다양한 지역의, 다수의 퍼블릭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연계하여 유연하게 활용함으로써 단일 클라우드의 지역적 한계성을 탈피하여 최적의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특정 클라우드의 장애로 인한 서비스 중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기술이다.
또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기술은 일반적으로 프라이빗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와 퍼블릭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의 결합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기술이다.
하지만, 종래의 멀티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사용 환경이나 하이브리드 인프라 서비스 사용 환경은, 서로 다른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나 프라이빗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가 제공하는 이종의 클라우드 인프라 API 및 제어 방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필요한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을 구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미 구축된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에 신규 클라우드 인프라를 추가하는 경우, 신규 클라우드 인프라 API와 제어 방법까지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 구축 과정이 복잡하고, 통합 운영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더불어, 멀티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환경이나 하이브리드 인프라 서비스 사용 환경은, 가상 환경에서 필요에 따라 클라우드 별 인프라 환경을 생성하여 사용하고, 유휴 자원이 발생하면 다시 삭제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필요한 만큼만의 인프라를 활용하기 위해, 로드밸런싱 기능과 오토 스케일링 기능 등을 기반으로 워크로드 상태와 인프라의 운영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자원을 생성하고 삭제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가상 머신(Virtual Machine)과 같은 클라우드 자원을 생성하는 경우, API를 통해 하위의 서로 다른 종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동시에 자원 생성을 요청하고, 이러한 요청에 따라 동시에 여러 자원을 생성하기 위해 많은 컴퓨팅 로드가 소요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어떤 자원은 API가 호출되어 생성 프로세스가 시작되었으나, 생성에 필요한 하위 자원이 아직 생성되지 않아서 계속 보류(pending) 상태에 있으면서 하위 자원이 생성되었는지 계속 체크하고 있다가, 하위 자원 생성이 완료된 후에야 실제 생성 과정이 진행되는 등의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미 생성된 자원을 삭제할 때에도 자원의 의존 관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삭제되어야 하는데, 어떤 경우에는 자원간 의존 관계를 따르지 않고 자원이 삭제됨으로써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클라우드 사업자 별 또는 서비스 제공 플랫폼 별로 자원 생성, 조회, 변경, 삭제 등의 자원 라이프 사이클 제어 메커니즘이나 자원간 의존 관계에 차이가 있지만, 종래의 멀티 클라우드 인프라 제어 플랫폼이나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 제어 플랫폼은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클라우드 인프라의 자원 라이프 사이클 제어를 요청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클라우드 인프라를 공통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단일 방식으로 연동 및 제어하여 각 클라우드의 인프라 서비스를 조합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인프라의 자원들을 생성, 조회, 변경 및 삭제하는 경우에 자원 간의 의존 관계와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에 따른 자원의 라이프 사이클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자원 제어 과정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원 제어 과정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별로 최적의 자원 제어 모델을 구축하고, 자원 제어 모델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그리고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지역 별로 차이가 있는 자원간 의존 관계와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제어 API를 실행함으로써 자원의 생성, 조회, 변경, 삭제의 최적 순서를 수립하고, 최적 순서에 따른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자원 제어를 위한 최적의 모델을 수립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 정보를 고려하여 자원간 의존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공통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자원 제어 요청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는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를 고려하여 생성된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자원을 제어한다.
이 때, 자원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자원 제어 요청이 자원 생성 요청일 경우, 상기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게 생성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자원 생성에 필요한 자원 별 명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상기 자원 별 명세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자원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자원 제어 요청이 자원 생성 요청일 경우,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생성을 요청하고, 자원 생성 진행 상태를 고려하여 다음 자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최적 자원 제어 순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로 파악된 자원 별 제어 API를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에 상응하는 순서로 배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자원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자원 별 제어 부하정보,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 및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를 기반으로 자원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자원 제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라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지역별로 차이가 발생하므로, 자원 제어 모델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혹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지역(Region이나 Zone)별로 세분화되어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자원 제어 모델은 상기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혹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지역별 자원 생성, 자원 변경 및 자원 삭제의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학습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 및 상기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에 상응하게 상기 자원 별 제어 API를 실행하여 상기 자원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템플릿은 상기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는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생성 지역, 자원 목록, 자원 이름, 사양 및 생성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명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자원간 의존 관계는 자원간 생성 순서, 자원간 변경 순서 및 자원간 삭제 순서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최적 자원 제어 순서는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에 따른 상기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은 자원 별 생성 소요시간, 자원 별 변경 소요시간 및 자원 별 삭제 소요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는,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 정보를 고려하여 자원간 의존 관계를 설정하고, 공통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자원 제어 요청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제어를 요청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는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를 고려하여 생성된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자원을 제어한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자원 제어 요청이 자원 생성 요청일 경우, 상기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게 생성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자원 생성에 필요한 자원 별 명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상기 자원 별 명세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자원 제어 요청이 자원 생성 요청일 경우,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생성을 요청하고, 자원 생성 진행 상태를 고려하여 다음 자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최적 자원 제어 순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로 파악된 자원 별 제어 API를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에 상응하는 순서로 배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자원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자원 별 제어 부하정보,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 및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를 기반으로 자원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자원 제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동일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라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지역별로 차이가 발생하므로, 자원 제어 모델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혹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지역(Region이나 Zone)별로 세분화되어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자원 제어 모델은 상기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혹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지역별 자원 생성, 자원 변경 및 자원 삭제의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학습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는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 및 상기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에 상응하게 상기 자원 별 제어 API를 실행하여 상기 자원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템플릿은 상기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는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생성 지역, 자원 목록, 자원 이름, 사양 및 생성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명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자원간 의존 관계는 자원간 생성 순서, 자원간 변경 순서 및 자원간 삭제 순서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최적 자원 제어 순서는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에 따른 상기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은 자원 별 생성 소요시간, 자원 별 변경 소요시간 및 자원 별 삭제 소요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클라우드 인프라를 공통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단일 방식으로 연동 및 제어하여 각 클라우드의 인프라 서비스를 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인프라의 자원들을 생성, 조회, 변경 및 삭제하는 경우에 자원 간의 의존 관계에 따른 자원의 라이프 사이클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자원 제어 과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원 제어 과정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별로 최적의 자원 제어 모델을 구축하고, 자원 제어 모델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그리고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지역 별로 차이가 있는 자원간 의존 관계와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제어 API를 실행함으로써 자원의 생성, 조회, 변경, 삭제의 최적 순서를 수립하고, 최적 순서에 따른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자원 제어를 위한 최적의 모델을 수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클라우드 연결 드라이버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및 자원 정보 별 의존성(dependency)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자원 생성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클라우드 연결 드라이버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및 자원 정보 별 의존성(dependency)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자원 생성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최근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가 요구되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의 서비스들이 유연하고 탄력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활용하는 추세에 있으나, 단일 클라우드의 기능 제약 및 자원한계 문제로 이러한 대규모 인프라 서비스들의 구축 및 탄력적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일 방식 공통 API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기능 및 API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및 자원들을 제어 및 관리할 수 있고, 클라우드 인프라의 자원 별로 생성, 조회, 변경 및 삭제 등의 제어 시 자원간 의존 관계를 참고하여 효율적인 제어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 정보를 고려하여 자원간 의존 관계를 설정한다(S110).
예를 들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클라우드 연동 드라이버(260-1~260-3)를 개발하고,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간 의존 관계 관리자를 통해 해당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별로 의존 관계를 설정해둘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연결 관리자는 인증을 통해 도 2에 도시된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250)와의 연결을 생성함으로써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250)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의 클라우드 API를 사용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클라우드 공통 연결 관리자가 도 4에 도시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클라우드 연결 관리자를 기반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연결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공통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자원 제어 요청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제어를 요청한다(S120).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는 자원간 의존 관계를 고려하여 생성된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최적 자원 제어 순서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로 파악된 자원 제어 API를 자원간 의존 관계에 상응하는 순서에 상응하게 배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자원간 의존 관계는 자원간 생성 순서, 자원간 변경 순서 및 자원간 삭제 순서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자원간 의존 관계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의 플랫폼 별로 상이한 자원 생성 과정, 자원 변경 과정 및 자원 삭제 과정에 따라 다소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자원간 의존 관계를 통해 자원들을 순차적으로 통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인프라 서비스(IaaS)로서 가상머신(VM)과 컨테이너(container) 등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컨테이너(container)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상머신 상의 컨테이너(container)로 한정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자원간 의존 관계의 일 예는 좌측에서부터 자원과 자원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우측의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인 가상 가상 머신(VM)과 컨테이너(container) 인스턴스를 제공하는 순서에 상응할 수 있다.
만약, 가상 머신(VM)과 컨테이너(container) 인스턴스 서비스 사용 중에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자원간 의존 관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서비스 중인 가상 머신(VM)과 컨테이너(container) 인스턴스 서비스를 종료하고 삭제하는 경우에는 도 5의 우측에서부터 좌측으로의 자원간 의존 관계에 따라 자원과 자원 정보들이 삭제될 수 있다.
이 때, 도 5를 기준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들과 해당 자원 정보들에 대한 생성 순서의 한 예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에게 인프라 서비스로서 가상 머신(VM) 상의 컨테이너(container) 인스턴스를 구동하여 제공하는 목적으로, 특정 private IP 대역을 가지는 vNIC을 이용하여 subnet을 생성하고, 특정 private IP를 할당하여 vNIC 정보, subnet 정보, protocol 정보, Security rule 등으로 이루어진 Network Security Group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정보와 함께 vNIC과 Network Security Group간의 연계 정보를 바탕으로, VPC(Virtual Private Cloud) 혹은 vNet(Virtual Network)(AWS의 경우 VPC라고 부르고, MS Azure의 경우 vNet이라고 부름.)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VPC(혹은 vNet)은 vCPU, vMemory, Storage Volume, OS image, Private/Public key들의 조합으로 VM 인스턴스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VM 인스턴스 상에서 container 인스턴스가 생성될 수 있고, 사용자가 요청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자원 제어 요청이 자원 생성 요청일 경우,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게 생성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자원 생성에 필요한 자원 별 명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제어 요청은 자원 생성 요청, 자원 변경 요청, 자원 조회 요청 및 자원 삭제 요청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 때, 템플릿은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는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생성 지역, 자원 목록, 자원 이름, 사양 및 생성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명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공통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명세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시스템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250)는 멀티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활용 서비스(210)로부터 클라우드를 대상으로 하는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이나 컨테이너 등의 클라우드 자원 생성을 요청 받았을 경우, 요청된 서비스를 위해 세부 생성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생성 지역, 자원 목록, 자원 이름, 사양 및 생성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원 별 명세정보를 포함하는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클라우드 인프라 통합 서비스 제공기(230)와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250),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클라우드 연동 드라이버(260-1~260-3)가 조합되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250)는 요청 자원 템플릿 생성 관리자, 템플릿 분석 및 생성 대상 자원 분류 관리자, 자원 생성 상태 및 자원 라이프 사이클 관리자, 자원 ID 관리자, 생성 자원 정보/ID 저장소 및 클라우드 드라이버 공통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요청 자원 템플릿 생성 관리자는 도 2에 도시된 클라우드 인프라 통합 서비스 제공기(230)로부터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대상으로 자원 생성을 요청 받았을 경우에 인프라 서비스 제공을 위해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생성 지역, 자원 목록, 자원 이름, 사양 및 생성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원 별 명세 정보를 포함하는 템플릿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템플릿 분석 및 생성 대상 자원 분류 관리자는 생성된 템플릿을 분석하여 생성이 필요한 세부 자원 별로 분류된 명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원 생성 상태 및 자원 라이프 사이클 관리자는 요청된 자원의 생성을 위해 클라우드 드라이버 공통 인터페이스의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 공통 제어 관리자를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로 자원 생성을 요청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자원 생성 단계의 상태(status)를 확인하여 자원 생성 진행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생성 자원 정보/ID 관리자는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을 통해 생성된 자원 별로 ID를 발급하고, 향후 생성된 자원에 대하여 조회, 변경 및 삭제 등의 처리를 수행할 때 해당 ID를 참고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드라이버 공통 인터페이스 내의 자원 라이프사이클 공통 제어 관리자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의 자원에 대한 생성, 변경, 삭제 등의 라이프 사이클 공통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이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자원 라이프사이클 제어 관리자를 통해 해당 인프라 서비스의 자원 별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할 수 있다.
클라우드 드라이버 공통 인터페이스 내의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 공통 제어 관리자는 자원 제어 상태 및 자원 라이프 사이클 관리자로부터 요청 받은 자원 제어를 위해 자원 제어를 진행하는 공통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 제어 관리자를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자원 제어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공통 인터페이스는 클라우드 드라이버 공통 인터페이스에 상응하는 것으로,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과 연동해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인터페이스는 단일 방식 공통 API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기능 및 API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및 자원들을 제어할 수 있고, 클라우드 드라이버 공통 인터페이스 규격에 상응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250)는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클라우드 연동 드라이버(260-1~260-3)들과 연동되어 서로 다른 클라우드 사업자의 인프라 서비스들을 연동할 수 있다. 이 때, 공통 인터페이스 기반의 공통 API 제공을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클라우드 연동 드라이버(260-1~260-3)들을 단일 방식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클라우드 드라이버 공통 인터페이스 내의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 공통 제어 관리자는 도 4에 도시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 제어 관리자를 통해 자원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도 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계학습을 통해 수립된 자원 제어 모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자원 제어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자원간 의존 관계를 고려하여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 제어 관리자는 자원 제어 최적 모델 관리자를 통해 자원 제어 모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자원 제어 모델이 존재하지 않으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의존 관계 관리자를 통해 자원간 의존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후,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제어 API 목록 관리자를 통해 클라우드별로 차이가 있는 자원 별 제어 API를 파악하고, 자원간 의존 관계에 따른 순서에 따라 최적 자원 제어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 제어 관리자로부터 자원 제어 API 호출이 발생하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의존 관계 관리자를 통해 자원간 의존 관계를 확인한 후,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제어 API 목록 관리자를 통해 자원 별 제어 API를 파악하고, 자원간 의존 관계 순서에 따라 자원 제어 최적 모델 관리자가 최적 자원 제어 순서로 자원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자원 제어 최적 모델 관리자를 통해 자원 제어 모델의 존재가 확인되면, 자원 제어 모델을 참고하여 자원 제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 때, 최적 자원 제어 순서는 자원간 의존 관계에 따른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 때,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은 자원 별 생성 소요시간, 자원 별 변경 소요시간 및 자원 별 삭제 소요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별 생성 소요시간은 자원 별 그리고 자원 사양 별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및 서비스 지역 마다 자원 별, 자원 사양 별 생성에 소요되는 평균 시간을 측정하고, 자원 생성 시 자원간 의존 관계에 따라 어떤 자원들은 동시에 생성하고, 어떤 자원들은 특정 자원이 생성된 뒤에 생성되도록 순서를 설정하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자원 조회, 자원 변경 및 자원 삭제에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최적 자원 제어 순서를 설정함으로써 자원의 조회, 변경이나 삭제 시에도 자원간 의존 관계에 따라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시간 및 관리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 때, 자원 제어 요청이 자원 생성 요청일 경우,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생성을 요청하고, 자원 생성 진행 상태를 고려하여 다음 자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른 단계별로 자원 별 API를 실행하여 자원을 생성하되, 생성 과정에서 자원 생성 진행 상태(status)를 체크할 수 있다. 이 때, 자원 생성 진행 상태를 계속 체크하여 자원 별로 자원 생성 진행 상태 값을 계속 반환해줄 수 있다. 또한, 자원 생성을 위한 어느 하나의 단계라도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원 생성에 대한 전체 진행 상태로서의 Pending 값을 반환하면서 계속 대기하다가, 자원 생성을 위한 모든 단계가 종료되면 생성된 자원의 명세 정보를 반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상응하게 상기 자원 제어 API를 실행하여 자원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250)는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 API Server(240)가 제공하는 API를 활용하여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클라우드 인프라 통합 서비스 제공기(230)는 멀티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활용 서비스(210)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퍼블릭 클라우드 사업자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250)는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 API SERVER(240)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클라우드 인프라 통합 서비스 제공기(230)의 AP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멀티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활용 서비스(210)에서는 클라우드 인프라 통합 서비스 제공기 API SERVER(220)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활용하여 이종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서비스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자원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자원 별 제어 부하정보,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 및 최적 자원 제어 순서를 기반으로 자원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자원 제어 모델을 생성한다.
이 때, 자원 제어 모델은, 동일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자라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지역별로 차이가 발생하므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혹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지역(Region이나 Zone)별로 세분화되어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자원 제어 모델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혹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지역별 자원 생성, 자원 변경 및 자원 삭제의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학습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생성, 자원 변경 및 자원 삭제를 처리하는데 발생한 자원 별 제어 부하정보,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 자원 별 제어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학습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초기에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자원 제어 최적 모델 관리자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간 의존 관계 관리자에 의해 등록된 자원간 의존 관계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제어 API 목록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자원 제어 API만을 적용하여 자원 제어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 처리에 의한 자원 생성, 조회, 변경 및 삭제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면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기계학습 처리부에서는 각각의 자원 제어와 같은 특정 API 호출 별로 최적의 자원 제어 모델을 보완해서 수립해나갈 수 있다. 이 때, API 호출 별 호스트 서버 부하와 세부 자원 제어 API 수행 순서 및 제어 소요시간 등을 고려하여 모델을 수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립된 자원 제어 모델은 자원 제어 최적 모델 관리자에 반영되고, 향후 자원 생성, 조회, 변경, 삭제 등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보완 및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을 통해 서로 다른 클라우드 인프라를 공통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단일 방식으로 연동 및 제어하여 각 클라우드의 인프라 서비스를 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인프라의 자원들을 생성, 조회, 변경 및 삭제하는 경우에 자원 간의 의존 관계에 따른 자원의 라이프 사이클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자원 제어 과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원 제어 과정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별로 최적의 자원 제어 모델을 구축하고, 자원 제어 모델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그리고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지역 별로 차이가 있는 자원간 의존 관계와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제어 API를 실행함으로써 자원의 생성, 조회, 변경, 삭제의 최적 순서를 수립하고, 최적 순서에 따른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자원 제어를 위한 최적의 모델을 수립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자원 생성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중 자원 생성 과정은 먼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자원 생성 요청을 수신하면(S602), 자원 생성 요청을 기반으로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S604).
이 때,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연결 드라이버를 등록하는 과정에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별로 자원간 의존 관계가 설정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템플릿은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는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생성 지역, 자원 목록, 자원 이름, 사양 및 생성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명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후, 템플릿을 분석하여 클라우드 별 그리고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게 필요한 자원 별로 분류하고, 관련 명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606).
이 후, 공통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명세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608).
이 후, 기계학습을 통해 수립된 자원 제어 모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610), 자원 제어 모델이 존재하면, 자원 제어 모델을 참고하여 자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612).
또한, 단계(S610)의 판단결과 자원 제어 모델이 존재하지 않으면, 자원간 의존 관계를 고려하여 최적 자원 생성 순서(최적 자원 제어 순서)를 수립할 수 있다(S616).
이 때, 도 6에서는 자원 생성 과정이므로, 최적 자원 제어 순서를 최적 자원 생성 순서로 기재하였다.
이 후, 최적 자원 생성 순서(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자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618).
이 후, 자원 제어 모델을 기반으로 자원 생성을 실행하면서 자원 별 생성 진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S614).
이 때, 자원 별 생성 진행 상태를 고려하여 다음 자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 후, 자원 생성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620), 자원 생성이 완료되었으면, 자원 생성에 의해 발생하는 자원 별 부하정보, 자원 별 생성 소요시간 및 최적 자원 생성 순서(최적 자원 제어 순서)를 기반으로 자원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자원 제어 모델을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S622).
즉, 이미 생성된 자원 제어 모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업데이트를 수행하고, 자원 제어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원 제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후, 생성 완료된 자원 목록 및 자원 명세 정보를 사용자에게 반환할 수 있다(S624).
또한, 단계(S620)의 판단결과 자원 생성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지속적으로 자원 별 생성 진행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 자원 생성 순서(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른 단계별로 자원 별 API를 실행하여 자원을 생성하되, 생성 과정에서 자원 생성 진행 상태(status)를 체크할 수 있다. 이 때, 자원 생성 진행 상태를 계속 체크하여 자원 별로 자원 생성 진행 상태 값을 계속 반환해줄 수 있다. 또한, 자원 생성을 위한 어느 하나의 단계라도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원 생성에 대한 전체 진행 상태로서의 Pending 값을 반환하면서 계속 대기하다가, 자원 생성을 위한 모든 단계가 종료되면 생성된 자원의 명세 정보를 반환할 수 있다.
이 때,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의 생성 과정뿐만 아니라, 자원 조회, 자원 변경 및 자원 삭제 과정도 도 6에 도시된 과정과 유사한 과정을 거쳐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능 및 API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및 각각의 자원에 대한 단일 방식 공통 API를 통한 제어 및 관리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클라우드 드라이버 공통 인터페이스 규격을 제공하여, 이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라우드 통합 제어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인프라 환경에서 클라우드 가상 인프라 환경을 필요에 따라 생성, 조회, 변경, 삭제하는 일이 발생하는 경우,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로 그리고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지역 별로 차이가 있는 자원간 의존 관계와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에 따라 자원 생성, 조회, 변경, 삭제의 최적 순서를 수립하여 수행하도록 하여 자원 관리 과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계학습을 통해 점진적으로 자원 제어 모델을 업데이트함으로써 자원 제어 단계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발생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신부(710), 프로세서(720) 및 메모리(730)를 포함한다.
통신부(710)는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망을 통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장치들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존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및 향후 개발 가능한 네트워크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이피망, 아이피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올 아이피(All IP)망 등일 수 있으며, 유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WCDMA를 포함하는 3세대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LTE 망을 포함하는 3.5세대 이동통신망, LTE advanced를 포함하는 4세대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및 와이파이(Wi-Fi)망 중에서 하나 이상을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한정된 지역 내에서 각종 정보장치들의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근거리 통신망, 이동체 상호 간 및 이동체와 이동체 외부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망, 위성을 이용해 지구국과 지구국간 통신을 제공하는 위성통신망이거나 유무선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이거나, 둘 이상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전송 방식 표준은, 기존의 전송 방식 표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개발될 모든 전송 방식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 정보를 고려하여 자원간 의존 관계를 설정한다.
이 때, 자원간 의존 관계는 자원간 생성 순서, 자원간 변경 순서 및 자원간 삭제 순서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20)는 공통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자원 제어 요청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제어를 요청한다.
이 때,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는 자원간 의존 관계를 고려하여 생성된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자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최적 자원 제어 순서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로 파악된 자원 별 제어 API를 자원간 의존 관계에 상응하는 순서로 배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최적 자원 제어 순서는 자원간 의존 관계에 따른 상기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은 자원 별 생성 소요시간, 자원 별 변경 소요시간 및 자원 별 삭제 소요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자원 제어 요청이 자원 생성 요청이 경우,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게 생성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자원 생성에 필요한 자원 별 명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자원 별 명세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자원 제어 요청이 자원 생성 요청일 경우,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생성을 요청하고, 자원 생성 진행 상태를 고려하여 다음 자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템플릿은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는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생성 지역, 자원 목록, 자원 이름, 사양 및 생성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명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20)는 자원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자원 별 제어 부하정보,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 및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를 기반으로 자원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자원 제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자원 제어 모델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혹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지역별로 세분화되어 생성될 수 있다.
이 때, 자원 제어 모델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혹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지역별 자원 생성, 자원 변경 및 자원 삭제의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학습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720)는 최적 자원 제어 순서 및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에 상응하게 자원 별 제어 API를 실행하여 자원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7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730)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730)는 별도의 대용량 스토리지로 동작할 수 있고, 동작 수행을 위한 제어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는 메모리가 탑재되어 그 장치 내에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서로 다른 클라우드 인프라를 공통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단일 방식으로 연동 및 제어하여 각 클라우드의 인프라 서비스를 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인프라의 자원을 생성, 조회, 변경 및 삭제하는 경우에 자원 간의 의존 관계에 따른 자원의 라이프 사이클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자원 제어 과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원 제어 과정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클라우드 별로 최적의 자원 제어 모델을 구축하고, 자원 제어 모델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로 그리고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지역 별로 차이가 있는 자원간 의존 관계와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제어 API를 실행함으로써 자원의 생성, 조회, 변경, 삭제의 최적 순서를 수립하고, 최적 순서에 따른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자원 제어를 위한 최적의 모델을 수립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와 같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800)은 버스(820)를 통하여 서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10), 메모리(830), 사용자 입력 장치(840), 사용자 출력 장치(850) 및 스토리지(8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800)은 네트워크(88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중앙 처리 장치 또는 메모리(830)나 스토리지(860)에 저장된 프로세싱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830) 및 스토리지(86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ROM(831)이나 RAM(8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구현된 방법이나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이 기록된 비일시적인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서 수행될 때,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한 가지 측면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210: 멀티 클라우드 및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활용 서비스
220: 클라우드 인프라 통합 서비스 제공기 API SERVER
230: 클라우드 인프라 통합 서비스 제공기
240: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 API SERVER
250: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
260-1~260-3: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클라우드 연동 드라이버
710: 통신부 720, 810: 프로세서
730, 830: 메모리 800: 컴퓨터 시스템
820: 버스 831: 롬
832: 램 840: 사용자 입력 장치
850: 사용자 출력 장치 860: 스토리지
8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880: 네트워크
220: 클라우드 인프라 통합 서비스 제공기 API SERVER
230: 클라우드 인프라 통합 서비스 제공기
240: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 API SERVER
250: 클라우드 인프라 공통 제어 관리기
260-1~260-3: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클라우드 연동 드라이버
710: 통신부 720, 810: 프로세서
730, 830: 메모리 800: 컴퓨터 시스템
820: 버스 831: 롬
832: 램 840: 사용자 입력 장치
850: 사용자 출력 장치 860: 스토리지
8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880: 네트워크
Claims (20)
-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 정보를 고려하여 자원간 의존 관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공통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자원 제어 요청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는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를 고려하여 생성된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자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자원 제어 요청이 자원 생성 요청일 경우, 상기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게 생성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자원 생성에 필요한 자원 별 명세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상기 자원 별 명세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제어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자원 제어 요청이 자원 생성 요청일 경우,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생성을 요청하고, 자원 생성 진행 상태를 고려하여 다음 자원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로 파악된 자원 별 제어 API를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에 상응하는 순서로 배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자원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자원 별 제어 부하정보,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 및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를 기반으로 자원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자원 제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제어 모델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혹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지역별로 세분화되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제어 모델은
상기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혹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지역별 자원 생성, 자원 변경 및 자원 삭제의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학습되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가,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 및 상기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에 상응하게 상기 자원 별 제어 API를 실행하여 상기 자원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은
상기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는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생성 지역, 자원 목록, 자원 이름, 사양 및 생성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명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는
자원간 생성 순서, 자원간 변경 순서 및 자원간 삭제 순서를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는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에 따른 상기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은 자원 별 생성 소요시간, 자원 별 변경 소요시간 및 자원 별 삭제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방법. -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 정보를 고려하여 자원간 의존 관계를 설정하고, 공통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자원 제어 요청을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제어를 요청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각각의 자원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는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를 고려하여 생성된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자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원 제어 요청이 자원 생성 요청일 경우, 상기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게 생성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자원 생성에 필요한 자원 별 명세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들 중 상기 자원 별 명세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원 제어 요청이 자원 생성 요청일 경우,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게 자원 생성을 요청하고, 자원 생성 진행 상태를 고려하여 다음 자원 생성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로 파악된 자원 별 제어 API를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에 상응하는 순서로 배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원 제어에 의해 발생하는 자원 별 제어 부하정보,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 및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를 기반으로 자원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자원 제어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자원 제어 모델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혹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지역별로 세분화되어 생성되고, 상기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별 혹은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지역별 자원 생성, 자원 변경 및 자원 삭제의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학습되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 및 상기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에 상응하게 상기 자원 별 제어 API를 실행하여 상기 자원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은
상기 자원 생성 요청에 상응하는 대상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자원 생성 지역, 자원 목록, 자원 이름, 사양 및 생성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명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최적 자원 제어 순서는
상기 자원간 의존 관계에 따른 상기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자원 별 제어 소요시간은 자원 별 생성 소요시간, 자원 별 변경 소요시간 및 자원 별 삭제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4534A KR102635838B1 (ko) | 2021-05-20 | 2021-05-20 |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64534A KR102635838B1 (ko) | 2021-05-20 | 2021-05-20 |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7026A KR20220157026A (ko) | 2022-11-29 |
KR102635838B1 true KR102635838B1 (ko) | 2024-02-14 |
Family
ID=84235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4534A KR102635838B1 (ko) | 2021-05-20 | 2021-05-20 |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583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6839B1 (ko) * | 2023-01-18 | 2024-04-12 | 주식회사 신세계아이앤씨 | 워크플로우 기반의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 통합 신청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7536B1 (ko) | 2018-04-05 | 2019-05-10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클라우드 서비스 추천/결합 장치 및 클라우드 서비스 추천/결합 방법 |
WO2020263374A1 (en) | 2019-06-27 | 2020-12-30 | Intel Corporation | Automated resource management for distributed computing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5357B1 (ko) | 2013-10-29 | 2020-07-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클라우드 서비스 연동 장치 및 방법 |
KR20160083973A (ko) * | 2014-12-31 | 2016-07-1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가상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US10877816B2 (en) * | 2016-04-20 | 2020-12-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Optimal task scheduler |
-
2021
- 2021-05-20 KR KR1020210064534A patent/KR1026358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7536B1 (ko) | 2018-04-05 | 2019-05-10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클라우드 서비스 추천/결합 장치 및 클라우드 서비스 추천/결합 방법 |
WO2020263374A1 (en) | 2019-06-27 | 2020-12-30 | Intel Corporation | Automated resource management for distributed computing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김병섭 외 8명. 멀티 클라우드 기술 개요 및 연구 동향. 2020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57026A (ko) | 2022-1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29408B2 (en) |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resource management | |
US11032214B2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network slice instance | |
CN114946166B (zh) | 在包括云边缘位置的异构计算环境中的动态资源移动的方法和系统 | |
US10700947B2 (en) | Life cycle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service | |
CN107534579B (zh) | 资源管理的系统和方法 | |
US10831574B2 (en) | Remote procedure call method for network device and network device | |
US10616133B2 (en) |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network device thereof | |
US11172358B2 (en) | Blockchain-based front-end orchestrator for user plane network functions of a 5G network | |
US9378042B2 (en) | Virtual machine multicast/broadcast in virtual network | |
EP3839726B1 (en) | Software modification initiation method and apparatus | |
EP3419216A1 (en)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nfv mano policy descriptor | |
WO2017066931A1 (zh) | 网络功能虚拟化架构中证书的管理方法及装置 | |
CN104699522B (zh) | 一种虚拟机动态迁移方法 | |
Hejja et al. | Network slicing with load-balancing for task offloading in vehicular edge computing | |
KR102635838B1 (ko) |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
Doan et al. | Reusing sub-chains of network functions to support mec services | |
US10834018B2 (en) | Distributed computing acceleration platform and distributed computing acceleration platform operation method | |
KR102651239B1 (ko) |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 |
US20230273801A1 (en) | Method for configuring compute mode, apparatus, and computing device | |
US10942761B2 (en) | Migrating a virtual machine in response to identifying an unsupported virtual hardware component | |
US11881996B2 (en) | Input and output for target device communication | |
Doan et al. | APMEC: An automated provisioning framework for multi-access edge computing | |
Torre et al. | Mobile edge cloud | |
US9668082B2 (en) | Virtual machine based on a mobile device | |
CN118474027B (zh) | 通信方法、电子装置、车辆和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