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652B1 -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 - Google Patents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652B1
KR102635652B1 KR1020230075214A KR20230075214A KR102635652B1 KR 102635652 B1 KR102635652 B1 KR 102635652B1 KR 1020230075214 A KR1020230075214 A KR 1020230075214A KR 20230075214 A KR20230075214 A KR 20230075214A KR 102635652 B1 KR102635652 B1 KR 102635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book
base plate
stand
fixing means
current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원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지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지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지오시스템
Priority to KR102023007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023/049Desk stand for laptop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판의 전,후방 그리고 양 측단으로 가변 가능한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가로폭, 세로폭, 두께가 상이한 사이즈로 구성되는 모든 종류의 터치북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받쳐 거치할 수 있는 터치북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터치북 받침대(100)는, 터치북(10)을 안착시킬 수 있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승하강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터치북(10)의 후단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후면고정수단(12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양 측면에 구비되며, 터치북(10)의 좌우 폭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터치북(10)의 측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양측면지지수단(13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승하강 높낮이 조절, 좌우 폭조절, 전후 폭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터치북(10)의 전면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전면고정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Touchbook pedestal for surveying current status and underground facilities}
본 발명은 터치북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용도로 사용이 이루어지는 터치북의 안정적인 받침을 위해 베이스판의 전,후방 그리고 양 측단으로 가변 가능한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가로폭, 세로폭, 두께가 상이한 사이즈로 구성되는 모든 종류의 터치북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받쳐 거치할 수 있는 터치북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정보 통신의 발달로 인해 휴대성을 높이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로는 노트북,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네비게이션 등이 있다.
또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일명 아이패드, 갤럭시 탭 등으로 제품화되어 판매되는 태블릿 피씨(Tablet PC)가 개발되어 그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 중에서 노트북이나 태블릿 피씨 등의 비교적 부피가 큰 전자기기는 키보드를 치면서 문서 작업을 하거나 영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등의 동영상 감상 또는 게임 등을 하기 위해서 테이블이나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게 테이블, 책상 등에 비스듬한 상태로 세워 놓고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다양한 거치장치들이 최근에 많이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6534호(20111031 등록)인 '노트북 거치대'를 살펴보면, 노트북을 거치하는 거치부재와 거치부재에 인접 배치된 베이스 봉과 베이스 봉에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직접 또는 간접 결합된 좌우 회전부재 및 일측은 상기 좌우 회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거치부재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틸팅되지 않을 정도의 마찰력을 가하도록 밀착 고정되어서, 거치부재를 상하로 틸팅시키면서 자동적으로 고정시키는 틸팅모듈의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대개 특정 전자기기에만 사용될 수 있게 제작되므로 전자기기마다 구비해야 하는 부담이 있고, 대부분의 거치장치들이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따른 어려움과 제작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토목공사 현장이나 맨홀 등 지하시설물 측량 작업시 터치북을 활용하게 되는데, 이때 주변 시설물이나 구조물 위에 터치북을 올려놓고 작업함으로 인해 사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6534호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베이스판의 전,후방 그리고 양 측단으로 가변 가능한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가로폭, 세로폭, 두께가 상이한 사이즈로 구성되는 모든 종류의 터치북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받쳐 거치할 수 있는 터치북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북 받침대는, 터치북을 안착시킬 수 있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승하강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터치북의 후단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후면고정수단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 측면에 구비되며, 터치북의 좌우 폭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터치북의 측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양측면지지수단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승하강 높낮이 조절, 좌우 폭조절, 전후 폭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터치북의 전면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전면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북 받침대는 산업현장에서 다양한 현황 및 지하 시설물 측량의 용도로 사용이 이루어지는 터치북을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서 후방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후면고수단과 전방으로 높낮이 조절 및 좌우조절, 전후조절이 가능한 전면고정수단이 구비되어 두께가 상이한 모든 터치북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효과 및 좌우로 터치북의 폭에 따라 위치조절하여 터치북의 측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모든 종류의 터치북에 호환가능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북 받침대의 전체적인 외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북 받침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북 받침대 평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북 받침대 측면 구조도.
도 5는 후면고정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전면고정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 예>
첨부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북 받침대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북 받침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북 받침대에 터치북을 거치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북 받침대의 측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북 받침대(100)는, 터치북(10)을 안착시킬 수 있는 베이스판(11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승하강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터치북(10)의 후단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후면고정수단(12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양 측면에 구비되며, 터치북(10)의 좌우 폭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터치북(10)의 측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양측면지지수단(130)과, 상기 베이스판(110)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승하강 높낮이 조절, 좌우 폭조절, 전후 폭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터치북(10)의 전면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전면고정수단(1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판(110)에는 관절거치대(미도시함)와 연결사용할 수 있는 브라켓(미도시함)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고정수단(120)은, 베이스판(110)의 좌우에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관(122)과, 단면상 "ㄷ"자로 형성되며 양 끝단이 각각의 지지관(122)으로 매립되는 락봉(121)과, 상기 지지관(122)으로 내장되며 상기 락봉(121)이 상승된 후 인장력을 통해 하단으로 밀어주는 스프링(123)으로 구성된다.
이때, 지지관(122)으로 매립되는 락봉(121)의 끝단에는 락봉보다 면적이 넓은 확장편(121a)이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123)은 지지관(122)의 상단부와 확장편(121a) 상이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락봉(121)은 터치북(10)의 후단부를 가압고정하는 것으로, 터치북(10)의 표면에 잔기스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질의 수지(121a)가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봉(121)은 터치북(10)의 두께에 따라 지지관(122)에서 상단으로 인출하여 터치북(10)의 후단부를 가압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측면고정수단(130)은, 베이스판(110)에 등간격으로 타공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공(111)과, 터치북의 좌우 폭에 따라 상기 위치조절공(111)에 끼워 터치북의 측면을 지지하는 양측면 지지부재(131)로 구성된다.
상기 양측면 지지부재(131)는 위치조절공(111)으로 끼워지는 끼움부(131a)와, 상기 끼움부와 연장절곡되어 베이스판(110)의 밀착되어 밀림을 지지하는 밀림방지부(131b)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양측면 지지부재(131)는 터치북(10)의 폭에 따라 위치조절공(111)에 끼워 터치북(10)의 측부를 지지하여 터치북이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전면고정수단(140)은, 베이스판(110)에 고정되는 체결볼트(143)와, 상기 체결볼트(143)로 조립되어 터치북의 전면을 고정하는 락부재(141)와, 상기 락부재(141)를 락해지 조절하는 조절구(14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락부재(141)는, 장공(141a-1)이 타공되며, 상기 장공을 통해 체결볼트(143)에 조립되는 조립편(141a)과, 상기 조립편과 다단지게 절곡 형성되는 락편(141b)이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장공(141a-1)은 락부재의 좌우이동,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평면상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터치북(10)의 후단부가 후면고정수단(120)을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터치북의 전면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따라 조절구(142)를 풀고, 락부재(141)를 좌우 또는 전후 이동시키거나, 상승시켜 터치북(10)의 전면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면고정수단(140)이 위치되는 근접부에는 락부재(141)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턱(144)이 구비된다.
상기 밀림방지턱(144)은 락부재(141)가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첨부 도면 도 5는 후면고정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터치북(10)의 후단부를 후면고정수단(120)을 통해 가압고정하되, 터치북(10)의 두께에 따라 락봉(121)을 상단으로 인출하면, 지지관(122)에 인입된 락봉(121)이 인출됨에 의해 락봉 전체가 상승된다.
이때, 확장편(121a)이 스프링(123)을 압축하면서 상승되며, 상승된 락봉(121)으로 터치북의 후단부를 고정한 후, 락봉(121)을 놓으면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락봉(121)이 하강하면서 락봉의 연질수지(121a)부가 터치북의 후단부를 가압고정하게된다.
도 6은 전면고정수단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조절구(142)를 풀어 락부재(141)를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시켜 터치북의 전면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까지 유동시키고 터치북 전면의 두께 만큼 락부재(141)를 상승시킨 후, 상기 조절구(142)를 체결볼트(143)와 완전히 조여 고정하면된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터치북 받침대는 후방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후면고수단과 전방으로 높낮이 조절 및 좌우조절, 전후조절이 가능한 전면고정수단이 구비되어 두께가 상이한 모든 터치북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고, 좌우로 터치북의 폭에 따라 위치조절하여 터치북의 측면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모든 종류의 터치북에 호환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 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터치북 받침대 110: 베이스판
120: 후면고정수단 121: 락봉
122: 지지관 123: 스프링
130: 양측면지지수단 131: 양측면 지지부재
140: 전면고정수단 141: 락부재
142: 조절구 143: 체결볼트
144: 밀림방지턱

Claims (7)

  1. 터치북(10)을 안착시킬 수 있는 베이스판(110);
    상기 베이스판(110)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승하강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터치북(10)의 후단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후면고정수단(120);
    상기 베이스판(110)의 양 측면에 구비되며, 터치북(10)의 좌우 폭에 따라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터치북(10)의 양측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양측면지지수단(130); 및
    상기 베이스판(110)의 전면부에 구비되며, 승하강 높낮이 조절, 좌우 폭조절, 전후 폭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상기 터치북(10)의 전면부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전면고정수단(140)을 포함하며,
    상기 양측면지지수단(130)은,
    상기 베이스판(110)에 등간격으로 타공되는 다수개의 위치조절공(111)과, 상기 터치북(10)의 좌우 폭에 따라 상기 위치조절공(111)에 끼워 상기 터치북(1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양측면 지지부재(13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고정수단(120)은,
    베이스판(110)의 좌우에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관(122)과, 단면상 "ㄷ"자로 형성되며 양 끝단이 각각의 지지관(122)으로 매립되는 락봉(121)과, 상기 지지관(122)으로 내장되며 상기 락봉(121)이 상승된 후 인장력을 통해 하단으로 밀어주는 스프링(1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고정수단(140)은,
    베이스판(110)에 고정되는 체결볼트(143)와, 상기 체결볼트(143)로 조립되어 터치북의 전면을 고정하는 락부재(141)와, 상기 락부재(141)를 락해지 조절하는 조절구(1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락부재(141)는, 장공(141a-1)이 타공되며, 상기 장공을 통해 체결볼트(143)에 조립되는 조립편(141a)과, 상기 조립편과 다단지게 절곡 형성되는 락편(141b)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면고정수단(140)이 위치되는 근접부에는 락부재(141)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턱(14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장공(141a-1)은 락부재의 좌우이동,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평면상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
KR1020230075214A 2023-06-13 2023-06-13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 KR102635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214A KR102635652B1 (ko) 2023-06-13 2023-06-13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214A KR102635652B1 (ko) 2023-06-13 2023-06-13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652B1 true KR102635652B1 (ko) 2024-02-14

Family

ID=8989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214A KR102635652B1 (ko) 2023-06-13 2023-06-13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6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451A (ko) * 2006-04-10 2007-10-17 권민 독서대 스탠드와 이에 마련되는 독서대
KR200456534Y1 (ko) 2010-01-16 2011-11-04 (주)한국랩 노트북 거치대
KR200475482Y1 (ko) * 2014-07-14 2014-12-08 김현태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451A (ko) * 2006-04-10 2007-10-17 권민 독서대 스탠드와 이에 마련되는 독서대
KR200456534Y1 (ko) 2010-01-16 2011-11-04 (주)한국랩 노트북 거치대
KR200475482Y1 (ko) * 2014-07-14 2014-12-08 김현태 높이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독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0376B2 (en) Supporting bracket
US9374918B2 (en) Stand assembli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WI510883B (zh) 平板型電腦用支持固定具及具備該支持固定具的支持裝置
TWI498866B (zh) Multi-directional support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JPH06310873A (ja) 可動型スタンド装置
US20110050063A1 (en) Adjustable table stand and device using the same
TW201643601A (zh) 擴充座及電子設備
US8256733B2 (en) Support mechanism
KR101906040B1 (ko) 노트북용 접이식 거치대
TWM280520U (en) Retractable orientation adjustment rack for planar display device allowing single-handed adjustment
US20120162955A1 (en) Supporting mechanism for electronic device
KR102635652B1 (ko) 현황 및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터치북 받침대
US20080001044A1 (en) Supporting frame structure
TW201303194A (zh) 支撐架
CN110603505A (zh) 带支架的计算设备
TWI433540B (zh) 螢幕固定機構與顯示裝置
KR200470994Y1 (ko)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CN102401219A (zh) 荧幕固定机构与显示装置
KR1013289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66853A (ko) 휴대기기용 스탠딩장치
KR20180076532A (ko) 좌석 등받이의 손잡이용 스마트폰 거치대
CN215674416U (zh) 一种电子设备支架
CN212909639U (zh) 一种手持式电子装置的支架结构
CN218208901U (zh) 旋钮型升降结构、支架及显示器
CN219692846U (zh) 一种用于放置电子产品的桌用可调节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