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583B1 -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583B1
KR102635583B1 KR1020210153927A KR20210153927A KR102635583B1 KR 102635583 B1 KR102635583 B1 KR 102635583B1 KR 1020210153927 A KR1020210153927 A KR 1020210153927A KR 20210153927 A KR20210153927 A KR 20210153927A KR 102635583 B1 KR102635583 B1 KR 102635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image
thermal imaging
unit
execu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156A (ko
Inventor
이유미
정재헌
정병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즈
주식회사 코흐에스엑스스투디오
이유미
(주)유인프라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즈, 주식회사 코흐에스엑스스투디오, 이유미, (주)유인프라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즈
Publication of KR2022006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75Control or determination of height or distance or angle information for sensors or 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6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determination of colour tempera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2005/0077Imaging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촬영 대상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과 열화상 영상을 360도로 촬영하는 리그형 구조의 열화상 촬영부; 상기 열화상 촬영부에서 촬영한 열화상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IOT 클라이언트; 상기 IOT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분석데이터가 저장되는 IOT 서버; 및 상기 열화상 촬영부, 상기 IOT 클라이언트 및 상기 IOT 서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THERMAL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USING THERMO-GRAPHIC IMAGE}
본 발명은 열화상 영상을 이용하여 촬영 대상 영역의 폭염이나 건축물의 열효율을 감지할 수 있는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에 따른 이상기후에 의해 여름에는 폭염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2018년부터는 국가 재난 사항에 폭염이 포함되었다. 이로 인해, 각 지역마다 정량적인 폭염 관측이 매우 중요해졌다.
그런데, 종래의 열화상 카메라는 각 지역마다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폭염을 관측한다. 따라서, 종래의 열화상 카메라는 휴대가 불가능함에 따라, 국지적 관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열화상 카메라는 고가이기 ‹š문에 대량의 장비를 운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그린 뉴딜 국가 10대 과제에서는 건축물의 열효율 증대를 통한 리모델링 사항이 포함되었다. 이로 인해, 건축물의 열효율 관측이 매우 중요해졌다.
그런데, 종래의 열화상 카메라는 건축물의 주변에 일정 화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만 건축물의 열효율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열화상 카메라는 광역적인 관측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06900호(2018.10.04)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화상 촬영부의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광역적인 촬영이 가능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촬영 대상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과 열화상 영상을 360도로 촬영하는 리그형 구조의 열화상 촬영부; 상기 열화상 촬영부에서 촬영한 열화상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IOT 클라이언트; 상기 IOT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분석데이터가 저장되는 IOT 서버; 및 상기 열화상 촬영부, 상기 IOT 클라이언트 및 상기 IOT 서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IOT 서버에 탑재되어, 상기 분석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촬영 대상 영역의 화재 발생시 화재 알람을 표시하는 실행 화면을 갖는 열화상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IOT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열화상 영상에서의 최대 온도값을 상기 실행 화면에 표시하는 현장 온도부; 상기 실행 화면에서 임계 온도를 입력받아 표시하며, 상기 최대 온도값이 상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면 화재 의심 신호를 연속 생성하는 임계 온도 설정부; 상기 실행 화면에서 임계 시간을 입력받아 표시하며, 상기 화재 의심 신호의 연속 생성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화재 확정 신호를 생성하는 임계 시간 설정부; 상기 임계 시간 설정부로부터 상기 화재 확정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실행 화면에 화재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상기 실행 화면에서 알람 해제 온도를 입력받아 표시하며, 상기 최대 온도값이 상기 알람 해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알람부에서 발생된 화재 알람을 해제시키는 알람 해제 온도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제 영상, 상기 열화상 영상 및 상기 실제 영상과 상기 열화상 영상이 오버레비된 오버레이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실행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및 상기 실제 영상, 상기 열화상 영상 및 상기 오버레이 영상 중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할 영상을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복수의 탭을 상기 실행 화면에 표시하며, 선택된 상기 탭에 해당 하는 영상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영상 모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열화상 영상에서 상기 IOT 클라이언트가 분석할 분석 영역을 설정하는 분석 영역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 영역은 상기 열화상 영상에 사각 형태의 영역으로 표시되며, 상기 분석 영역의 크기는 상기 사각 형태의 영역의 각 선의 드래그 앤드 드롭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상 촬영부는,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며, 다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각 면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복수의 상기 카메라를 각각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마운터; 및 상기 카메라의 촬영 각도가 특정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마운터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를 록킹 또는 록킹 해제하는 록킹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은 열화상 촬영부의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광역적인 촬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촬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촬영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촬영부의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다수의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촬영부의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스티칭된 이미지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화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열화상 영상 알람 설정 화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감시 영역의 열화상 + 실영상 모드 화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감시 영역의 열화상 모드 화면이다.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감시 영역의 열화상 모드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감시 영역의 색조 변조 모드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로그 보기 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온도 차트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로그 기록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사진 로그 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 관리 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SMS 수신자 설정 화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SMS 수신항목 설정 화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스냅샷 주소 설정 화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정보 초기화 화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영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촬영부의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다수의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촬영부의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스티칭된 이미지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은 케이스(10), 열화상 촬영부(20), IOT 클라이언트(30), IOT 서버(40) 및 전원 공급부(50)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본 발명의 기본 몸체로서, 케이스(10)의 일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다. 케이스(10)의 외면에는 열화상 촬영부(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IOT 클라이언트(30), IOT 서버(40) 및 전원 공급부(50)이 수납될 수 있다.
열화상 촬영부(20)는 케이스(1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촬영 대상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과 열화상 영상을 360도로 촬영하여 폭염을 관측하거나, 건축물에 대한 열화상 영상을 촬영하여 건축물의 열효율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촬영부(20)는 촬영 대상 영역에 대한 열화상 영상을 촬영하여 대상 영역의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화상 촬영부(20)는 리그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열화상 촬영부(20)가 리그형 구조를 갖는 것은 리그(23)에 복수의 카메라(22)를 360도 방위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리그(23)에 4개의 카메라(22)를 각각 전방, 후방, 좌방 및 우방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22)는 360도 전 방향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화상 촬영부(20)는 복수의 카메라(22)가 촬영한 360도 전 방향의 열화상 영상을 마치 하나의 카메라(22)로 촬영한 것처럼 스티칭한 단일 열화상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열화상 촬영부(20)가 촬영 대상 영역에 대한 열화상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열화상 촬영부(20)는 드론(미도시)에 탑재되어 비행하는 상태로 열화상 영상을 광역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열화상 촬영부(20)는 하우징(21), 복수의 카메라(22), 복수의 마운터(23) 및 복수의 록킹 유닛(2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은 다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의 하부에는 케이스(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21a)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22)는 하우징(21)의 각 면마다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카메라(22)를 각각 회전시켜서, 복수의 카메라(22)의 촬영 각도를 각각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카메라(22)의 촬영 대상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카메라(22)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복수의 마운터(23)는 복수의 카메라(22)를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록킹 유닛(24)은 카메라(22)가 특정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카메라(22)를 마운터(23)에 록킹 또는 록킹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운터(23)는 마운터 본체(23a), 복수의 돌출부(23b) 및 복수의 장착홈(23c)을 포함할 수 있고, 카메라(22)는 카메라 본체(22a) 및 복수의 장착돌기(22b)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운터 본체(23a)는 마운터(23)의 기본 몸체로서, 하우징(21)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23b)는 마운터 본체(23a)에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3b)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장착홈(23c)은 인접하는 한 쌍의 돌출부(23b) 사이에 형성된다.
카메라 본체(22a)는 카메라(22)의 기본 몸체이다.
장착돌기(22b)는 카메라 본체(22a)에 복수의 장착홈(23c)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며, 복수의 장착홈(23c)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운터(23)는 복수의 관통공(23d)을 포함하고, 카메라(22)는 복수의 연통공(22c)을 포함하며, 록킹 유닛(24)은 마운터(23)와 카메라(22)의 결합 부위를 압박하여 록킹하거나, 마운터(23)와 카메라(22)의 결합 부위를 압박 해제하여 록킹 해제할 수 있으며, 록킹 볼트(24a), 록킹 노브(24b) 및 록킹 너트(24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통공(23d)은 복수의 돌출부(23b)에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관통공(23d)은 동축 상에 형성된다.
복수의 연통공(22c)은 복수의 장착돌기(22b)에 각각 관통 형성되며, 복수의 관통공(23d)과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22)의 복수의 장착돌기(22b)가 마운터(23)의 복수의 장착홈(23c)에 장착될 때, 복수의 연통공(22c)은 복수의 관통공(23d)과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록킹 볼트(24a)는 복수의 관통공(23d)과 복수의 연통공(22c)에 삽입될 수 있다.
록킹 노브(24b)는 록킹 볼트(24a)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록킹 너트(24c)는 록킹 볼트(24a)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록킹 노브(24b)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돌출부(23b)와 복수의 장착돌기(22b)를 압박하거나, 록킹 노브(24b)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돌출부(23b)와 복수의 장착돌기(22b)를 압박 해제할 수 있다. 이 때, 록킹 너트(24c)가 록킹 노브(24b)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돌출부(23b)와 복수의 장착돌기(22b)를 압박하면, 마운터(23)와 카메라(22)의 결합 부위가 압박되어 록킹됨에 따라, 카메라(22)가 특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록킹 너트(24c)가 록킹 노브(24b)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돌출부(23b)와 복수의 장착돌기(22b)를 압박 해제하면, 마운터(23)와 카메라(22)의 결합 부위가 압박 해제되어 록킹 해제됨에 따라, 카메라(22)의 회전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돌출부(23b) 중 록킹 너트(24c)에 인접하는 돌출부(23b)에는 록킹 너트(24c)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며 록킹 너트(24c)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23e)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록킹 너트(24c)가 고정홈(23e)에 삽입된 상태로, 록킹 노브(24b)를 정역회전시키면, 록킹 노브(24b)와 록킹 너트(24c) 간에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IOT 클라이언트(30)는 열화상 촬영부(20)에서 촬영한 열화상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분석데이터는 열화상 촬영부(20)가 촬영한 열화상 영상, 열화상 촬영부(20)가 촬영한 실제 영상 및 열화상 영상에서의 최대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서버(40)는 IOT 클라이언트(30)로부터 전송된 분석데이터가 저장된다.
전원 공급부(50)은 열화상 촬영부(20), IOT 클라이언트(30) 및 IOT 서버(4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공급부(50)으로부터 열화상 촬영부(20), IOT 클라이언트(30) 및 IOT 서버(40)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유선 전원 공급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열화상 촬영부(20)의 휴대 및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공급부(50)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팩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원 공급부(50)는 멀티탭(60)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멀티탭(60)은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콘센트(미도시)를 케이스의 내벽 및 외벽을 관통하는 콘센트(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IOT 서버(40)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은 와이파이 라우터를 통해 구축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은 열화상 어플리케이션 및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은 IOT 서버(40)에 탑재되어, IOT 클라이언트(30)로부터 전송된 분석데이터를 판독하여 촬영 대상 영역의 화재 발생시 화재 알람을 표시하는 실행 화면(70)을 갖는다.
단말기(미도시)는 IOT 서버에 접속되어,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이 표시된다. 단말기로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할 경우, 단말기에서 와이파이 검색을 이용하여 SSID를 찾아서 연결 버튼을 터치한 후,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접속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기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화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열화상 영상 알람 설정 화면이고,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감시 영역의 열화상 + 실영상 모드 화면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감시 영역의 열화상 모드 화면이고,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감시 영역의 열화상 모드 화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감시 영역의 색조 변조 모드 화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경우,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로그인 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은 영상 표시부(71), 영상 모드 입력부(72), 현장 온도부(73), 임계 온도 설정부(74), 임계 시간 설정부(75), 알람부(76), 알람 해제 온도 입력부(77) 및 분석 영역 설정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은 케이스에 마련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어부는 IOT 서버(40)에 탑재된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O.S(Operating sysyem)이며, 영상 표시부(71), 영상 모드 입력부(72), 현장 온도부(73), 임계 온도 설정부(74), 임계 시간 설정부(75), 알람부(76), 알람 해제 온도 입력부(77) 및 분석 영역 설정부(78)을 관리 및 제어한다.
영상 표시부(71)는 실제 영상, 열화상 영상 및 실제 영상과 열화상 영상이 오버레비된 오버레이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제 영상은 사람의 시야에 보이는 영상을 의미하며, 열화상 영상은 적외선 에너지(열 에너지)를 실화상으로 변환한 영상을 의미하며, 오버레이 영상은 사람의 시야에 보이는 물체의 외곽선과 적외선 에너지를 실화상으로 변환한 영상을 오버레이한 영상을 의미한다.
영상 모드 입력부(72)는 실제 영상, 열화상 영상 및 오버레이 영상 중 영상 표시부(71)에 표시할 영상을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복수의 탭을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에 표시하며, 선택된 탭에 해당 하는 영상을 영상 표시부(71)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 6b의 영상 모드 입력부(72)의 "열화상+실화상 탭"이 터치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부(71)에는 열화상 촬영부(20)가 촬영한 실제 영상과 열화상 영상을 오버레이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b의 영상 모드 입력부(72)의 "열화상 탭"이 터치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부(71)에는 열화상 촬영부(20)가 촬영한 열화상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b의 영상 모드 입력부(72)의 "실영상 탭"이 터치되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표시부(71)에는 열화상 촬영부(20)가 촬영한 실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b의 영상 모드 입력부(72)의 영상 색조의 북극, 금속, 용암, 무지개, 무지개(높은 대비), 회색조를 각각 터치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영역의 색조가 변조될 수 있다.
현장 온도부(73)는 열화상 영상에서의 최대 온도값을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에 표시할 수 있다.
임계 온도 설정부(74)는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에서 임계 온도를 입력받아 표시하며, 최대 온도값이 임계 온도를 초과하면 화재 의심 신호를 연속 생성할 수 있다.
임계 시간 설정부(75)는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에서 임계 시간을 입력받아 표시하며, 화재 의심 신호의 연속 생성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화재 확정 신호를 생성한다.
알람부(76)는 임계 시간 설정부(75)로부터 화재 확정 신호가 생성되면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에 화재 알람을 발생시킨다.
알람 해제 온도 입력부(77)는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에서 알람 해제 온도를 입력받아 표시하며, 최대 온도값이 알람 해제 온도 미만이면 알람부(76)에서 발생된 화재 알람을 오류로 판단하여, 알람부(76)에서 발생된 화재 알람을 해제시킨다.
일예로, 도 6b의 임계 온도 설정부(74), 임계 시간 설정부(75) 및 알람 해제 온도 입력부(77)를 터치하면, 도 7의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설정 화면에는 임계 온도, 임계값 지속시간 및 알람 해제 온도를 각각 설정할 수 있는 각각의 탭이 표시될 수 있다.
분석 영역 설정부(78)는 열화상 영상에서 IOT 클라이언트가 분석할 분석 영역을 설정한다. 이때, 분석 영역은 열화상 영상에 형태의 영역으로 표시되며, 분석 영역의 크기는 사각 형태의 영역의 각 선의 드래그 앤드 드롭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로그 보기 화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온도 차트 화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로그 기록을 나타낸 화면이고, 도 13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사진 로그 화면이다.
도 6b의 열화상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70)의 상단 메뉴에서 로그 보기 화면이 터치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로그 보기 화면이 표시된다. 이러한 로그 보기 화면을 통해 일별로 화재 및 고온 알람, 재부팅 등의 이벤트 발생시의 로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의 로그 보기 화면의 Chart 버튼이 터치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별로 현장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온도 차트가 나타날 수 있다. 이 ‹š, 온도 차트의 양끝을 드래그하여 온도 차트를 확대시킬 수 있다.
도 10의 로그 보기 화면의 Log 버튼이 터치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일의 화재 및 고온 알람, 재부팅 등의 이벤트 발생시의 로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의 로그 보기 화면의 사진 로고를 터치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 발생 당시의 감시 영역의 화면을 볼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시스템 관리 화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SMS 수신자 설정 화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SMS 수신항목 설정 화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스냅샷 주소 설정 화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정보 초기화 화면이다.
도 6b의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70)의 상단 탭이 터치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관리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도 14의 시스템 관리 화면의 SMS 수신자를 터치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S 수신자 설명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수신자 설명 화면에서는 최대 3개의 사용자 단말기 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화재 및 알람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SMS 메시지로 받을 수 있다.
도 14의 시스템 관리 화면의 SMS 수신항목이 터치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S 수신항목 설정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SMS 수신항목 설정 화면에서는 이벤트 항목의 SMS 수신여부를 설정하고 알람을 받을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4의 시스템 관리 화면의 스냅샷 주소를 터치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샷 주소 설정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스냅샷 주소 설정 화면에서는 화재 및 알람 이벤트시 이미지 기록을 위하여, 열화상 영상의 촬영 이미지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도 14의 시스템 관리 화면의 사용자 정보 초기화를 터치하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초기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 초기화 화면에서는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초기화 할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 변경을 위해서는 해당 기능을 이용하여 먼저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후, 사용자 로그인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은 열화상 촬영부의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고 광역적인 촬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케이스
20: 열화상 촬영부
21: 하우징
21a: 커넥터
22: 카메라
22a: 카메라 본체
22b: 장착돌기
22c: 연통공
23: 마운터
23a: 마운터 본체
23b: 돌출부
23c: 장착홈
23d: 관통공
23e: 고정홈
24: 록킹 유닛
24a: 록킹 볼트
24b: 록킹 노브
24c: 록킹 너트
30: IOT 클라이언트
40: IOT 서버
50: 전원 공급부
60: 멀티탭
70: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71: 영상 표시부
72: 영상 모드 입력부
73: 현장 온도부;
74: 임계 온도 설정부
75: 임계 시간 설정부
76: 알람부
77: 알람 해제 온도 입력부
78: 분석 영역 설정부

Claims (7)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촬영 대상 영역에 대한 실제 영상과 열화상 영상을 360도로 촬영하는 리그형 구조의 열화상 촬영부;
    상기 열화상 촬영부에서 촬영한 열화상 영상을 분석하여 분석데이터를 생성하는 IOT 클라이언트;
    상기 IOT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분석데이터가 저장되는 IOT 서버; 및
    상기 열화상 촬영부, 상기 IOT 클라이언트 및 상기 IOT 서버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화상 촬영부는,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며, 다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각 면마다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
    복수의 상기 카메라를 각각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마운터; 및
    상기 카메라의 촬영 각도가 특정 각도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마운터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를 록킹 또는 록킹 해제하는 록킹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마운터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마운터 본체;
    상기 마운터 본체에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돌출부 사이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홈;
    복수의 상기 돌출부에 나란히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 본체;
    상기 카메라 본체에 복수의 상기 장착홈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장착홈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장착돌기; 및
    복수의 상기 장착돌기에 나란히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연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연통공은 상기 장착돌기가 상기 장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록킹 유닛은,
    복수의 상기 관통공과 복수의 상기 연통공에 삽입되는 록킹 볼트;
    상기 록킹 볼트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록킹 노브; 및
    상기 록킹 볼트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록킹 노브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상기 돌출부와 복수의 장착돌기를 압박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록킹 노브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복수의 상기 돌출부와 복수의 장착돌기를 압박 고정 해제하는 록킹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너트에 가장 인접하는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록킹 너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 서버에 탑재되어, 상기 분석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촬영 대상 영역의 화재 발생시 화재 알람을 표시하는 실행 화면을 갖는 열화상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IOT 서버에 접속되어, 상기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열화상 영상에서의 최대 온도값을 상기 실행 화면에 표시하는 현장 온도부;
    상기 실행 화면에서 임계 온도를 입력받아 표시하며, 상기 최대 온도값이 상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면 화재 의심 신호를 연속 생성하는 임계 온도 설정부;
    상기 실행 화면에서 임계 시간을 입력받아 표시하며, 상기 화재 의심 신호의 연속 생성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을 초과하면 화재 확정 신호를 생성하는 임계 시간 설정부;
    상기 임계 시간 설정부로부터 상기 화재 확정 신호가 생성되면, 상기 실행 화면에 화재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 및
    상기 실행 화면에서 알람 해제 온도를 입력받아 표시하며, 상기 최대 온도값이 상기 알람 해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알람부에서 발생된 화재 알람을 해제시키는 알람 해제 온도 입력부를 포함하는,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실제 영상, 상기 열화상 영상 및 상기 실제 영상과 상기 열화상 영상이 오버레비된 오버레이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실행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 및
    상기 실제 영상, 상기 열화상 영상 및 상기 오버레이 영상 중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할 영상을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복수의 탭을 상기 실행 화면에 표시하며, 선택된 상기 탭에 해당 하는 영상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영상 모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열화상 영상에서 상기 IOT 클라이언트가 분석할 분석 영역을 설정하는 분석 영역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영역은 상기 열화상 영상에 사각 형태의 영역으로 표시되며,
    상기 분석 영역의 크기는 상기 사각 형태의 영역의 각 선의 드래그 앤드 드롭에 의해 조절되는,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
  7. 삭제
KR1020210153927A 2020-11-16 2021-11-10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 KR102635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52581 2020-11-16
KR1020200152581 2020-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156A KR20220068156A (ko) 2022-05-25
KR102635583B1 true KR102635583B1 (ko) 2024-02-13

Family

ID=81797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927A KR102635583B1 (ko) 2020-11-16 2021-11-10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5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6933B1 (ko) * 2013-12-30 2015-08-25 (주)케이엠에스 화재 감지 장치
KR101906900B1 (ko) 2016-08-22 2018-10-1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
KR102060045B1 (ko) * 2018-04-26 2019-12-30 주식회사 베로센 열분포 측정이 가능한 화재감지장비 및 그 시스템
KR102127014B1 (ko) * 2018-11-30 2020-06-25 (주)아르게스마린 영상 감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156A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8593A1 (en) Automated, remotely-verified alarm system with intrusion and video surveillance and digital video recording
US8750509B2 (en) Wireless surveillance system releasably mountable to track lighting
US7730534B2 (en) Enterprise video intelligence and analytic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6657921A (zh) 一种便携式雷达周界安防系统
CN108399709A (zh) 多功能远程监控报警系统以及监测方法
JP2006245829A (ja) 電気機器制御装置、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電気機器制御方法、電気機器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70199032A1 (en) Wireless surveillance system releasably mountable to track lighting
CN102708661A (zh) 一种远程视频监控报警系统及方法
KR101964268B1 (ko) 네트워크 기반 시설의 보안 및 유지관리 시스템
US10375358B2 (en) Interactive, self-contained, full view surveillance, capture,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2635583B1 (ko)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열환경 감지 시스템
CN110359802A (zh) 模块化数据中心的天窗运行系统
CN106056832A (zh) 基于图像型火灾探测器报警系统
CN206433081U (zh) 一种智能化监控装置
CN207199041U (zh) 一种社区用高效安防监控一体系统
Namdeo et al. Smart Automated Surveillance System using Raspberry Pi
CN111882844A (zh) 壁挂式安全壳体
CN105025274A (zh) 基于4g网络实现智能网络视频监控的系统
KR20230169815A (ko) @(Hidden A)불법촬영카메라 탐지 물리적 망분리 통합배선반 및 고정형 @(Crazy A)불법촬영카메라 탐지 배선반 시스템 및 @(Psycho A)불법촬영카메라 탐지 방법
KR20040054266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을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CN105264483A (zh) 用于管理场所安全的门户网站
CN207883086U (zh) 一种企业智能安全防护监控系统
CN208168619U (zh) 模块化数据中心的天窗运行系统
CN105590392A (zh) 一种智能小区在线安防方法
KR100960915B1 (ko) 조립식 보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