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580B1 -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 Google Patents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580B1
KR102634580B1 KR1020210186868A KR20210186868A KR102634580B1 KR 102634580 B1 KR102634580 B1 KR 102634580B1 KR 1020210186868 A KR1020210186868 A KR 1020210186868A KR 20210186868 A KR20210186868 A KR 20210186868A KR 102634580 B1 KR102634580 B1 KR 102634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ve power
power compensation
compensation amount
reactor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6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7400A (ko
Inventor
김상덕
박소진
신현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86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580B1/ko
Publication of KR20230097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8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 H02J3/1821Arrangements for adjusting, eliminating or compensating reactive power in networks using shunt compens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20Simulating, e g planning, reliability check, modelling or computer assisted design [C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22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s [FACTS] or power factor or reactive power compensating or correcting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와, 무효 전력 보상량 간의 상관 관계가 학습된 학습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팩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와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 모델에 기반하여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을 예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APPARATUS FOR ESTIMATING COMPENSATION AMOUNT OF REACTIVE POW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효 전력 보상 장치의 무효 전력 보상량을 예측할 수 있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효 전력 보상 장치는 전력 계통의 전압 보상과 안정도 향상을 위해 전력 계통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정지형 무효 전력 보상기(SVC: Static Var Compensator) 및 정지형 동기 보상기(STATCOM: 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무효 전력 보상 장치는 변전소 근무자가 현재의 모선 전압과 기준 모선 전압을 비교하여 무효 전력 보상 장치를 구성하는 분로 리액터를 투입 또는 개방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방식의 경우 보상해야할 무효 전력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무효 전력 보상량에 있어서 근무자별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무효 전력량을 과도하게 보상하거나 또는 과소하게 보상하는 휴먼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18748호(2021.02.16.)의 '무효전력 보상 장치의 운영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효 전력 보상 장치를 통해 보상해야할 무효 전력 보상량을 예측할 수 있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와, 무효 전력 보상량 간의 상관 관계가 학습된 학습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팩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을 예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작동 방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와, 무효 전력 보상량 간의 상관 관계가 학습된 학습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된 팩터에 대한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효 전력 보상 장치를 통해 보상해야할 무효 전력 보상량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리액터의 제어 순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순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리액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는 메모리(100), 사용자 인터페이스(200) 및 프로세서(3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00)에는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와, 무효 전력 보상량 간의 상관 관계가 학습된 학습 모델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는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적 및 환경적 요인을 의미할 수 있고, 무효 전력 보상량은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의해 보상되고 있는 무효 전력의 수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전소의 유효 전력, 변전소의 무효 전력, 변전소의 모선 전압, 변전소의 기준 모선 전압(목표 모선 전압), 전국의 부하량, 기온, 강수량, 풍속, 요일, 시간(시간대) 및 공휴일 여부 등이 무효 전력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모델은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대한 정보와, 무효 전력 보상 장치의 운영 정보에 기반하여 팩터와 무효 전력 보상량 간의 상관 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여기서,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대한 정보는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적 및 환경적 요인이 기록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변전소의 유효 전력, 변전소의 무효 전력, 변전소의 모선 전압, 변전소의 기준 모선 전압, 전국의 부하량, 기온, 강수량, 풍속, 요일, 시간(시간대) 및 공휴일 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무효 전력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대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무효 전력 보상 장치의 운영 정보는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의한 무효 전력 보상량이 기록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학습 모델은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으로 하고, 무효 전력 보상 장치의 운영 정보를 출력으로 하는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을 통해 팩터와 무효 전력 보상량 간의 상관 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학습 모델은 Random Forest, Gradient Boosting, XGboosting, LightGBM, Stacking Regressor 또는 DNN 등의 기계학습 기법을 통해 팩터와 무효 전력 보상량 간의 상관 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지된 기계학습 기법이 팩터와 무효 전력 보상량 간의 상관 관계를 학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는 후술하는 프로세서(300)에 사용될 데이터를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는 프로세서(300)에 의해 산출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팩터에 대한 정보와 메모리(100)에 저장된 학습 모델에 기반하여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을 예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00)는 예측하고자 하는 시간 및 환경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입력된 시간 및 환경에서 무효 전력 보상 장치가 보상해야할 무효 전력량을 학습 모델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프로세서(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예측하고자 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월, 시간대, 평일 여부, 주말 여부 및 공휴일 여부)와, 예측하고자 하는 환경에 대한 정보(기온, 전국의 부하량, 모선 전압, 기준 모선 전압)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을 예측한 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 장치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무효 전력량을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입력받거나, 또는 무효 전력 보상 장치를 관리하는 서버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예측된 무효 전력 보상량에서 무효 전력 보상 장치가 현재 출력하고 있는 무효 전력량을 감산하여 최종적인 무효 전력 보상량을 계산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각 리액터의 투입 횟수를 입력받고, 입력된 투입 횟수와 무효 전력 보상량에 기반하여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리액터의 투입 순서 또는 개방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을 보상하기 위해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리액터를 투입 또는 개방하여야 하는 경우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리액터 중 어느 리액터를 우선적으로 투입하거나 또는 개방하여야 할지에 대한 우선 순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프로세서(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각 리액터의 투입 횟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리액터의 투입 순서 또는 개방 순서를 설정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1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프로세서(300)가 무효 전력 보상량을 예측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프로세서(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S301).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변전소의 유효 전력, 변전소의 무효 전력, 변전소의 모선 전압, 변전소의 기준 모선 전압, 전국의 부하량, 기온, 강수량, 풍속, 요일, 시간(시간대) 및 공휴일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300)는 입력된 정보와 메모리(100)에 저장된 학습 모델에 기반하여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을 예측할 수 있다(S303). 즉, 프로세서(300)는 팩터에 대한 정보를 학습 모델에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대한 학습 모델의 출력으로 무효 전력 보상량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2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프로세서(300)가 리액터의 투입 순서 또는 개방 순서를 설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프로세서(3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각 리액터의 투입 횟수를 입력받을 수 있다.(S401)
이어서, 프로세서(300)는 입력된 투입 횟수와 앞서 예측된 무효 전력 보상량에 기반하여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리액터의 투입 순서 또는 개방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S403)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3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복수의 제1 고정형 리액터(또는 분로 리액터: Shunt reactor)와, 제1 고정형 리액터보다 용량이 작은 복수의 제2 고정형 리액터와, 가변형 리액터(VSR: Variable Shunt Reactor)를 포함하는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서 리액터의 투입 순서 또는 개방 순서를 결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x)이 양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1)
무효 전력 보상량이 양수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가변형 리액터가 투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3)
가변형 리액터가 투입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이 가변형 리액터의 최소 용량(c1)(단위: MVAR)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5). 도 6은 가변형 리액터에 포함된 탭 절환에 따른 용량 변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가변현 리액터의 탭 중 하나만이 투입되어 있을 때 가변형 리액터의 용량이 가변형 리액터의 최소 용량에 해당할 수 있다.
무효 전력 보상량이 가변형 리액터의 고정 용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가변형 리액터가 다른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507). 즉, 프로세서(300)는 리액터들 간의 투입 순서 결정 시 가변형 리액터가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액터의 투입 순서 결정 시 가변형 리액터를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설정으로써 급준과도전압(VFTO: Very Facst Transient Overvoltage)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에서 가변형 리액터의 고정 용량을 감산한 값을 새로운 무효 전력 보상량으로 설정하고(S509), S503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무효 전력 보상량이 가변형 리액터의 고정 용량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가변형 리액터가 이미 투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이 제1 고정형 리액터(Sh.R1)의 용량(c2)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11)
무효 전력 보상량이 제1 고정형 리액터의 용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제1 고정형 리액터 중 개방되어 있는 제1 고정형 리액터들을 식별하고(S513), 식별된 제1 고정형 리액터들 중 하나가 다른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515). 즉, 프로세서(300)는 제1 고정형 리액터가 제2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프로세서(300)는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고정형 리액터가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액터의 투입 순서 결정 시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고정형 리액터가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설정으로써 급준과도전압(VFTO: Very Facst Transient Overvoltage)을 감소시킬 수 있다.
S515 단계에서, 프로세서(300)는 식별된 제1 고정형 리액터들 중 투입 횟수가 가장 적은 제1 고정형 리액터가 다른 제1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00)는 고정형 리액터들 간의 투입 순서 결정 시 투입 횟수가 가장 적은 고정형 리액터가 다른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액터의 투입 순서 결정 시 투입 횟수가 가장 적은 고정형 리액터가 다른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리액터만이 반복적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리액터의 투입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에서 제1 고정형 리액터의 용량을 감산한 값을 새로운 무효 전력 보상량으로 설정하고(S517), S511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무효 전력 보상량이 제1 고정형 리액터의 용량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이 제2 고정형 리액터(Sh.R2)의 용량(c3)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19)
무효 전력 보상량이 제2 고정형 리액터의 용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제2 고정형 리액터 중 개방되어 있는 제2 고정형 리액터들을 식별하고(S521), 식별된 제2 고정형 리액터들 중 하나가 다른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523)
S523 단계에서, 프로세서(300)는 식별된 제2 고정형 리액터들 중 투입 횟수가 가장 적은 제2 고정형 리액터가 다른 제2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한편 S513 단계에서, 개방되어 있는 제1 고정형 리액터를 식별할 수 없는 경우(즉, 개방되어 있는 제1 고정형 리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S521 단계가 바로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에서 제2 고정형 리액터의 용량을 감산한 값을 새로운 무효 전력 보상량으로 설정하고(S525), S519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무효 전력 보상량이 제2 고정형 리액터의 용량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이 가변형 리액터(VSR)를 통해 가변할 수 있는 단위 용량(c4)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27).
무효 전력 보상량이 가변형 리액터의 단위 용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가변형 리액터에 포함된 탭 중 개방되어 있는 탭들을 식별하고(S529), 식별된 탭들 중 하나가 투입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531) 한편 S521 단계에서, 개방되어 있는 제2 고정형 리액터를 식별할 수 없는 경우(즉, 개방되어 있는 제2 고정형 리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S529 단계가 바로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에서 가변형 리액터의 단위 용량을 감산한 값을 새로운 무효 전력 보상량으로 설정하고(S533), S527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무효 전력 보상량이 가변형 리액터의 단위 용량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투입할 수 있는 탭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S503 내지 S533 단계를 거치면서 설정된 리액터의 투입 순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535)
한편, 무효 전력 보상량이 양수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의 절대값을 새로운 무효 전력 보상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S537)
이어서,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이 제1 고정형 리액터의 용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39)
무효 전력 보상량이 제1 고정형 리액터(Sh.R1)의 용량(c2)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제1 고정형 리액터 중 투입되어 있는 제1 고정형 리액터들을 식별하고(S541), 식별된 제1 고정형 리액터들 중 하나가 다른 리액터에 우선하여 개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543). 즉, 프로세서(300)는 제1 고정형 리액터가 제2 고정형 리액터 및 가변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개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00)는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고정형 리액터가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개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액터의 개방 순서 결정 시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고정형 리액터가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개방되도록 설정으로써 급준과도전압(VFTO: Very Fast Transient Overvoltage)을 감소시킬 수 있다.
S543 단계에서, 프로세서(300)는 식별된 제1 고정형 리액터들 중 투입 횟수가 가장 적은 제1 고정형 리액터가 다른 제1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개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300)는 고정형 리액터들 간의 개방 순서 결정 시 투입 횟수가 가장 적은 고정형 리액터가 다른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개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액터의 개방 순서 결정 시 투입 횟수가 가장 적은 고정형 리액터가 다른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개방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리액터만이 반복적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리액터의 투입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에서 제1 고정형 리액터의 용량을 감산한 값을 새로운 무효 전력 보상량으로 설정하고(S545), S539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무효 전력 보상량이 제1 고정형 리액터의 용량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이 제2 고정형 리액터(Sh.R2)의 용량(c3)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47)
무효 전력 보상량이 제2 고정형 리액터의 용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복수의 제2 고정형 리액터 중 투입되어 있는 제2 고정형 리액터들을 식별하고(S549), 식별된 제2 고정형 리액터들 중 하나가 다른 리액터에 우선하여 개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551) 한편 S541 단계에서, 투입되어 있는 제1 고정형 리액터를 식별할 수 없는 경우(즉, 투입되어 있는 제1 고정형 리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S549 단계가 바로 수행될 수 있다.
S551 단계에서, 프로세서(300)는 식별된 제2 고정형 리액터들 중 투입 횟수가 가장 적은 제2 고정형 리액터가 다른 제2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개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에서 제2 고정형 리액터의 용량을 감산한 값을 새로운 무효 전력 보상량으로 설정하고(S553), S547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무효 전력 보상량이 제2 고정형 리액터의 용량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이 가변형 리액터를 통해 가변할 수 있는 단위 용량(c4)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55)
무효 전력 보상량이 가변형 리액터의 단위 용량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가변형 리액터에 포함된 탭 중 투입되어 있는 탭들을 식별하고(S557), 식별된 탭들 중 하나가 개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S559). 한편 S549 단계에서, 투입되어 있는 제2 고정형 리액터를 식별할 수 없는 경우(즉, 투입되어 있는 제2 고정형 리액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S557 단계가 바로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300)는 무효 전력 보상량에서 가변형 리액터의 단위 용량을 감산한 값을 새로운 무효 전력 보상량으로 설정하고(S561), S555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무효 전력 보상량이 가변형 리액터의 단위 용량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또는 개방할 수 있는 탭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300)는 S537 내지 S561 단계를 거치면서 설정된 리액터의 개방 순서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S56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은 무효 전력 보상 장치를 통해 보상해야할 무효 전력 보상량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리액터의 제어 순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순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메모리
200: 사용자 인터페이스
300: 프로세서

Claims (14)

  1. 사용자 인터페이스;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와, 무효 전력 보상량 간의 상관 관계가 학습된 학습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팩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을 예측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각 리액터의 투입 횟수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각 리액터의 투입 횟수와 상기 예측된 무효 전력 보상량에 기반하여 상기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리액터의 투입 순서 또는 개방 순서를 설정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투입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고정형 리액터가 투입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 또는 개방되도록 상기 투입 순서 또는 상기 개방 순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 전력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는, 변전소의 유효 전력, 변전소의 무효 전력, 변전소의 모선 전압, 변전소의 기준 모선 전압, 시간 및 기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델은, 무효 전력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대한 정보와, 무효 전력 보상 장치의 운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관 관계를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변형 리액터가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상기 투입 순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고정형 리액터가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 또는 개방되도록 상기 투입 순서 또는 상기 개방 순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7. 삭제
  8. 사용자 인터페이스,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와, 무효 전력 보상량 간의 상관 관계가 학습된 학습 모델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효 전력 보상량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된 팩터에 대한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학습 모델에 기반하여 상기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을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각 리액터의 투입 횟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된 각 리액터의 투입 횟수와 상기 예측된 무효 전력 보상량에 기반하여 상기 무효 전력 보상 장치에 포함된 리액터의 투입 순서 또는 개방 순서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투입 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고정형 리액터가 투입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 또는 개방되도록 상기 투입 순서 또는 상기 개방 순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작동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 전력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는, 변전소의 유효 전력, 변전소의 무효 전력, 변전소의 모선 전압, 변전소의 기준 모선 전압, 시간 및 기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작동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모델은, 무효 전력에 영향을 미치는 팩터에 대한 정보와, 무효 전력 보상 장치의 운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상관 관계를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작동 방법.
  11. 삭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가변형 리액터를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되도록 상기 투입 순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작동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고정형 리액터가 용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고정형 리액터에 우선하여 투입 또는 개방되도록 상기 투입 순서 또는 상기 개방 순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의 작동 방법.
  14. 삭제
KR1020210186868A 2021-12-24 2021-12-24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2634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868A KR102634580B1 (ko) 2021-12-24 2021-12-24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6868A KR102634580B1 (ko) 2021-12-24 2021-12-24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400A KR20230097400A (ko) 2023-07-03
KR102634580B1 true KR102634580B1 (ko) 2024-02-08

Family

ID=87157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6868A KR102634580B1 (ko) 2021-12-24 2021-12-24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5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747B1 (ko) * 2012-08-31 2013-07-23 이종만 로드뱅크 병렬제어시스템의 부하투입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7466A (ja) * 1995-07-20 1997-02-07 Meidensha Corp 無効電力補償装置
KR102053850B1 (ko) * 2017-09-11 2019-12-09 주식회사 이플러스 진상 및 지상 역률개선이 가능한 스마트 자동역률 보상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2262515B1 (ko) * 2019-02-13 2021-06-09 한국전력공사 하이브리드 전력품질 보상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747B1 (ko) * 2012-08-31 2013-07-23 이종만 로드뱅크 병렬제어시스템의 부하투입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400A (ko)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5068B1 (en) Apparatus for decentralized coordinated volt/var control (cvvc)
Li et al. Optimal allocation of multi-type FACTS devices in power systems based on power flow entropy
Farina et al. Model predictive control of voltage profiles in MV networks with distributed generation
Mahmoud et al. Optimal voltage control in distribution systems with intermittent PV using multiobjective Grey-Wolf-Lévy optimizer
Yorino et al. Interaction among multiple controls in tap change under load transformers
Barakat et al. Solving reactive power dispatch problem by using JAYA optimization algorithm
KR102634580B1 (ko) 무효 전력 보상량 예측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CN114142532A (zh) 分布式光伏参与源网荷储协调控制的方法及系统
US11942784B2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ulating coordinated action strategy of SSTS and DVR for voltage sag mitigation
Rezaeian-Marjani et al. Impact of soft open point (SOP) on distribution network predictability
Zhang et al. Voltage control method based on three‐phase four‐wire sensitivity for hybrid AC/DC low‐voltage distribution networks with high‐penetration PVs
Raveendra et al. RFLSA control scheme for power quality disturbances mitigation in DSTATCOM with n-level inverter connected power systems
Abolmasoumi et al. Nonlinear T‐S fuzzy stabilizer design for power systems including random loads and 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
CN110957735A (zh) 一种基于双时间尺度的主动配电网鲁棒无功优化方法
Salah et al. A nonparametric approach trained by metaheuristic algorithm for voltage regulation in the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 equipped by PV farm
Pamshetti et al. Integrated operation of conservation voltage reduction and network reconfiguration in PV-rich distribution network considering soft open point impact
Ranganathan et al. Self‐Adaptive Firefly‐Algorithm‐Based Unified Power Flow Controller Placement with Single Objectives
Min et al. Research on total supply capability of distribution network based on power product service system
Tedesco et al. A distributed command governor approach for voltage regulation in medium voltage power grids with distributed generation
Yang et al. An Improved Nonlinear Droop Control Strategy in DC Microgrids
Khurana et al. Improvement of power flow and voltage stability using UPFC with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Matlab
CN113013884A (zh) 一种用于含高渗透率光伏配电系统的三段式无功电压控制方法
Rao et al. Sensitivity Based Allocation of FACTS Devices in a Transmission System Considering Differential Analysis
Kumar et al. Performance and Comparison of Voltage Compensation Based on Hybrid Metaheuristic Technique Tuned Z-Dynamic Voltage Restorer.
Wu et al. Reactive Power Optimization of Distribution Network on Improved Genetic Algorith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