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199B1 - Flame transport log - Google Patents

Flame transport lo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199B1
KR102634199B1 KR1020230031941A KR20230031941A KR102634199B1 KR 102634199 B1 KR102634199 B1 KR 102634199B1 KR 1020230031941 A KR1020230031941 A KR 1020230031941A KR 20230031941 A KR20230031941 A KR 20230031941A KR 102634199 B1 KR102634199 B1 KR 102634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ignition
hole
guide pipe
woode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9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항진
Original Assignee
이항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항진 filed Critical 이항진
Priority to KR102023003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1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1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2Wood or forestry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5Lo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꽃 이송 통나무에 대한 것으로서, 점화에 의해 착화되며 불꽃을 이루는 연료탄이 안착되는 착화부가 외부 일측을 향하여 개구된 나무 본체; 및 상기 나무 본체 내부에서 하향의 기울기를 가지는 복수의 유도관이 지그재그로 교차 배치되면서 서로 연통되며, 최상부 유도관의 일단이 상기 착화부와 연결되고 최하부 유도관의 타단이 상기 나무 본체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착화부와 나무 본체의 타측을 연결시키며, 관통된 상기 유도관을 통해 상기 연료탄의 불꽃 일부를 상기 나무 본체 외부로 안내하는 불꽃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호 인접하는 유도관들은 교차 부위가 연통되면서 교차된 하부측 유도관의 일단과 상부측 유도관의 타단이 각각 상기 나무 본체의 외둘레면에서 상호 이격 형성된 제 1관통구 및 제 2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측에 위치하는 제 1관통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하부측에 위치하는 제 2관통구를 통해 공기의 유입 및 이물질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 transfer log, which includes a wooden body with an ignition portion that is ignited by ignition and on which a fuel coal forming a flame is seated, and which is opened toward one side of the outside; And inside the tree body, a plurality of guide pipes having a downward slope are arranged crosswise in a zigzag mann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e end of the uppermost guide pipe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most guide pipe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ee body. and a flame inducing part that connects the ignition part to the other side of the wooden body and guides a portion of the flame of the fuel coal to the outside of the wooden body through the penetrating inducing tube, wherein the adjacent inducing tubes communicate at intersections. One end of the lower guide pipe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side guide pipe, which are intersected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oden body,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located on the upper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ir flows in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air flows in and foreign substances ar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located at the bottom.

Description

불꽃 이송 통나무{FLAME TRANSPORT LOG}FLAME TRANSPORT LOG{FLAME TRANSPORT LOG}

본 발명은 통나무에서 착화되며 발생하는 불꽃 중 일부를 통나무 본체 내부를 통해 착화지점에서 하향을 유도하는 불꽃 이송 통나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 transfer log that guides some of the flame generated when ignited from the log downward from the ignition point through the inside of the log body.

일반적으로, 장작, 숯, 연탄, 석탄, 코크스 등의 연료탄은 액체, 기체연료보다 발화점이 높아 쉽게 착화되지 않지만 착화된 이후에는 장시간 동안 연소되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캠핑, 온실, 비닐하우스, 농장 등에서 연료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fuel coal such as firewood, charcoal, briquettes, coal, and coke has a higher ignition point than liquid or gaseous fuel and does not ignite easily. However, after ignition, it burns for a long time and is inexpensive, so it is used in camping, greenhouses, greenhouses, farms, etc. It is widely used as fuel.

이러한 연료탄은 통나무에 안착시켜 착화시킬 수 있으며 통나무 상부 면에 올려놓고 연료탄을 향하여 연료탄의 연소되도록 통나무에 형성된 연소구멍을 통해 통나무 외부의 공기를 제공하여 지속적으로 연료탄이 발화되도록 하여 조명등 또는 무드등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연료 조리를 위해서도 사용되어질 수 있다.These fuel charcoal can be ignited by seating on a log. I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g and directed toward the log so that the fuel charcoal burns. By providing air outside the log through the combustion hole formed in the log, the fuel charcoal is continuously ignited and used as a lighting or mood light. It can be used and can also be used for cooking fuel.

한편, 이러한 연료탄에는 고체연료, 유체연료 등이 있으며, 고체연료(solid fuel; 固體燃料)는 액체·기체 등의 유체연료(流體燃料)에 대응하는 말이다. 액체·기체 연료는 일부가 발화점 이상이 되어 불이 붙으면 갑자기 번져 다량의 발열을 수반하고, 항상 발화점 이상으로 유지되므로 계속 타나 고체연료는 일부가 발화점 이상이 되어 타기 시작하더라도 타는 속도가 느려 열의 발생이 적고, 냉각되어 온도가 빨리 떨어져 타다 말고 꺼져버리는 문제가 있었다.Meanwhile, such fuel coal includes solid fuel and fluid fuel, and solid fuel (solid fuel) corresponds to fluid fuel (liquid fuel) such as liquid and gas. When a part of liquid or gaseous fuel rises above the ignition point and catches fire, it spreads suddenly and generates a large amount of heat. Since it is always maintained above the ignition point, it continues to burn, but solid fuel burns slowly even if a part of it rises above the ignition point and begins to burn, so heat is not generated.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temperature dropping quickly as it cooled down, causing it to burn out before going out.

한편, 고체연료를 태우려면 불씨를 많게 하고 공기를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 석탄·코크스 등의 고체연료를 대규모로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송풍기로 공기를 보내거나 강제 통풍을 시켜야 하기 때문에 연료탄의 저면에 송풍기능을 하는 연소구멍이 형성되어 연료탄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연소구멍을 통하여 이동된다.On the other hand, to burn solid fuel, there must be a lot of embers and a sufficient supply of air. In order to completely burn solid fuels such as coal and coke on a large scale, air must be sent through a blower or forced ventilation must be used, so a combustion hole that functions as a blower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uel coal, and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from the fuel coal move through the combustion hole. do.

이에 따라, 종래 발명은 이물질이 연소구멍을 통하여 이동되기 때문에 연소구멍 내부에 이물질이 적층되어 연료탄의 연소를 방해하여 오래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내구성의 문제가 있었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invention had a durability problem in that because foreign substances were moved through the combustion hole, foreign substances were piled up inside the combustion hole, interfering with combustion of the fuel coal, making it unusable for a long time.

또한, 종래 발명은 연소구멍을 통하여 불꽃을 이동시킬 경우 연소구멍을 통하여 이동되는 불꽃이 이물질에 의한 방해와 연소구멍의 단부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불꽃이 소화(消火)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invention, when moving a flame through a combustion hol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flame moving through the combustion hole was obstructed by foreign substances and did not reach the end of the combustion hole and the flame was extinguished.

또한, 종래 발명은 곧게 뻗은 통나무에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의 어려움이 있었고, 휘어진 통나무의 경우에도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하여 통나무의 길이방향으로 직선되게 관통시켜서 사용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nvention had difficulty in installation because it could only be used on straight logs, and even in the case of curved log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had to be used by penetrating straight through the lo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e to technical difficultie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6370호(2019.10.18.)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36370 (2019.10.1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39396호(2021.12.09.)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339396 (2021.12.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물질이 연소구멍을 통하여 이동되기 때문에 연소구멍 내부에 이물질이 적층되어 연료탄의 연소를 방해하여 쉽게 불이 꺼지는 문제를 해소하여 오래 사용할 수 있는 불꽃 이송 통나무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me transfer log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by solving the problem of foreign substances being piled up inside the combustion hole and interfering with combustion of the fuel coal as foreign substances are moved through the combustion hole, causing the fire to easily go out. there is.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소구멍을 통하여 불꽃을 이동시킬 경우 연소구멍을 통하여 이동되는 불꽃이 이물질에 의한 방해를 받지 않고 연소구멍의 단부까지 도달시킬 수 있는 불꽃 이송 통나무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me transfer log that can allow the flame moving through the combustion hole to reach the end of the combustion hole without being disturbed by foreign substances when moving the flame through the combustion hole. there is.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곧게 뻗은 통나무에 사용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휘어진 통나무 등 다양한 형상의 통나무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불꽃 이송 통나무를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ame transfer log that can be used not only for use on straight logs but also on logs of various shapes, such as curved logs.

본 발명은 불꽃 이송 통나무에 관한 것으로서, 점화에 의해 착화되며 불꽃을 이루는 연료탄이 안착되는 착화부가 외부 일측을 향하여 개구된 나무 본체; 및 상기 나무 본체 내부에서 하향의 기울기를 가지는 복수의 유도관이 지그재그로 교차 배치되면서 서로 연통되며, 최상부 유도관의 일단이 상기 착화부와 연결되고 최하부 유도관의 타단이 상기 나무 본체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착화부와 나무 본체의 타측을 연결시키며, 관통된 상기 유도관을 통해 상기 연료탄의 불꽃 일부를 상기 나무 본체 외부로 안내하는 불꽃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호 인접하는 유도관들은 교차 부위가 연통되면서 교차된 하부측 유도관의 일단과 상부측 유도관의 타단이 각각 상기 나무 본체의 외둘레면에서 상호 이격 형성된 제 1관통구 및 제 2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측에 위치하는 제 1관통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하부측에 위치하는 제 2관통구를 통해 공기의 유입 및 이물질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me transport log, which includes a wooden body with an ignition portion that is ignited by ignition and on which a fuel coal forming a flame is seated, and which is opened toward one side to the outside; And inside the tree body, a plurality of guide pipes having a downward slope are arranged crosswise in a zigzag manner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e end of the uppermost guide pipe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most guide pipe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ee body. and a flame inducing part that connects the ignition part to the other side of the wooden body and guides a portion of the flame of the fuel coal to the outside of the wooden body through the penetrating inducing tube, wherein the adjacent inducing tubes communicate at intersections. One end of the lower guide pipe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side guide pipe, which are intersected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oden body, are exposed to the outside and located on the upper sid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ir flows in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air flows in and foreign substances ar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located at the bottom.

또한, 상기 착화부의 내경은 상기 불꽃 유도부의 내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ner diameter of the ignition portion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lame induc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불꽃 유도부는, 상기 불꽃 유도부를 따라 이동하는 불꽃에 의해 상호 불꽃이 전달되도록 내주면에 소정 간격마다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ame guiding part may include protrusions formed to protru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flames are transmitted to each other by a flame moving along the flame guiding part.

또한, 상기 돌기부에 도포되어 이동되는 불꽃에 의해 착화되는 착화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n ignition material that is applied to the protrusion and ignited by a moving flame.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에 대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s for the flame transport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exhibit the following effects.

첫째로,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에 따르면, 통나무 내부에서 이송되는 이물질들이 이송 통로에 적층(쌓여지는)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 중 착화부로 불꽃이 역류하는 경우가 없어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이동 및 휴대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flame transfer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substances transferred inside the log are prevented from being piled up in the transfer passage, and the flame does not flow back into the ignition unit during use, making it safe to use and durable.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movement and carrying.

둘째로,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에 따르면, 통나무 내부로 이동하는 불꽃의 모양 등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시각화하여 자연 조명등, 무드 등과 같은 효과가 있다. Second, according to the flame transfer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flame moving inside the log can be visualized from the outside, creating effects such as natural lighting and mood.

셋째로,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에 따르면, 통나무를 활용하여 연소(착화)구멍의 위치에 따른 단열 및 고온 연소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서, 나무 자체의 특성에 의한 단열 보온 효과가 있으며, 연소되는 나무의 불꽃을 내부로 통로를 따라 이송되면서 고온 연소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ly, according to the flame transport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monstrate insulation and high temperature combus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mbustion (ignition) hole by using the log, and there is an insulating and warming effec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d itself, and the burning wood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high-temperature combustion by transporting the flame internally along the passage.

넷째로,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에 따르면, 연료탄의 고유한 속성은 외부공기와 노출되어 냉각되며 이에 연소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꽃 이송 통나무는 휘어진 나무도 연속하여 연소 할 수 있게 되도록 지그재그로 가공하여, 나무의 곧고 휨에 영향 받지 않고 연료탄의 가공길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의 향상 및 조명 연출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Fourth, according to the flame transfer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properties of fuel coal can prevent combustion efficiency from lowering due to cooling by exposure to external air, and the flame transfer log can continuously burn even bent wood. By processing it in a zigzag manner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ocessing length of fuel coal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traightness or bending of the wood. It can be used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worker, which has an excellent effect in improving convenience and lighting.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a 및 3b는 도 2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a 및 4b는 도 2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flame transfer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part of Figure 1.
3A and 3B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2.
Figures 4a and 4b are partial enlarged views showing the third embodiment of Figure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urth embodiment of Figure 1.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s of.

도 1은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3a 및 3b는 도 2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4a 및 4b는 도 2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flame transport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 1, and FIGS. 3A and 3B are partial enlarged views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FIG. 2. , FIGS. 4A and 4B are partial enlarged views showing the third embodiment of FIG. 2,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urth embodiment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꽃 이송 통나무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flame transfer lo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flame transport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of Figure 1.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꽃 이송 통나무에 대하여 설명하면, 불꽃 이송 통나무는 점화에 의해 착화되며 불꽃을 이루는 연료탄이 안착되는 착화부(12)가 외부를 향하여 일측에 형성된 나무 본체(10) 및 착화부(12)와 나무 본체(10)의 타측을 연결시키되 지그재그로 서로 교차되게 관통 형성되어, 관통된 내부를 통하여 연료탄의 불꽃의 일부를 나무 본체(10) 외부로 안내하는 불꽃 유도부(20)를 포함한다.When describing the flame transfer lo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flame transfer log is ignited by ignition and the ignition portion 12 on which the fuel charcoal forming the flame is seated is a wooden body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outside. (10) and the ignition part 12 ar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wooden body 10, but are formed to cross each other in a zigzag pattern, and guide a portion of the flame of the fuel coal to the outside of the wooden body 10 through the penetrated interior. Includes an induction portion (20).

여기서, 착화부(12)의 내경(α)은 불꽃 유도부(20)의 내경(β)보다 크게 구비되어, 초기 착화를 쉽게 하고, 불꽃 이동이 가능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착화부(12)는 베르누이 원리(법칙)에 의해 좁은 관은 속도가 증가하는 대신 압력은 낮아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착화부(12)의 공기가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불꽃 유도부(20)로 이동될 수 있다. Here, the inner diameter (α) of the ignition part 12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β) of the flame inducing part 20, so that initial ignition can be easily performed and energy for flame movement can be obtained. In the ignition unit 12, according to Bernoulli's principle (law), the pressure of the narrow pipe decreases instead of increasing the speed, so that the air in the ignition unit 12, which has a relatively high pressure, flows into the flame induction unit 20, which has a relatively low pressure. can be moved to

또한, 착화부(12)에서는 착화시 열이 응축되어져 불꽃을 하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착화 응축 현상이 발생하는 착화 응축 현상에 의해 착화 응축 구간이 발생한다.In addition, in the ignition unit 12, an ignition condensation section occurs due to an ignition condensation phenomenon in which heat is condensed during ignition and the flame can be transported downward.

착화 응축 구간은 열에 의한 응축이 충분히 되지 아니하면, 연속된 연소가 불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에 착화부(12)에서 연속된 연소에 의해 열이 응축시킬 수 있다.Since continuous combustion may become impossible in the ignition condensation section if condensation by heat is not sufficient, heat can be condensed through continuous combustion in the ignition section 12.

착화 응축 현상은 착화부(12)에서 열을 응축시키고, 계속해서 열을 발생시키며 착화로 발생하는 불꽃을 불꽃 유도부(20)로 유도할 수 있는 에너지를 계속해서 생성되어 불꽃 유도부(20)로 공급할 수 있다. The ignition condensation phenomenon condenses heat in the ignition unit 12, continues to generate heat, and continues to generate energy that can guide the flame generated by ignition to the flame induction unit 20 and supply it to the flame induction unit 20. You can.

나무 본체(10)는 점화에 의해 착화되며 불꽃을 이루는 연료탄이 안착되는 착화부(12)가 외부 일측을 향하여 개구되고, 나무 본체(10)를 고정지지하는 받침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ooden body 10 is ignited by ignition, and the ignition portion 12 on which the fuel charcoal forming the flame is seated is opened toward one side of the outside, and may further include a stand (not shown)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wooden body 10. there is.

여기서 받침대는 나무 본체(10)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무게를 가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나무 본체(10)의 타측이 삽입되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받침대는 나무 본체(10)의 타측이 삽입되는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고, 삽입부와 대향되는 타측면에 움직임을 방지하는 패드가 부착되어질 수 있다.Here, the stand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weight to prevent the wooden body 10 from tilting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ooden body 10 may be inserted and fixedly supported. The stand may have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wooden body 10 is inserted protruding, and a pad to prevent movement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insertion portion.

또한, 나무 본체(10)는 지그재그로 구비된 불꽃 유도부(20)의 각각의 단부와 연결되는 수개의 관통부(14,16)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wooden body 10 may include several penetrating portions 14 and 16 connected to each end of the zigzag flame guiding portion 20.

관통부(14,16)는 불꽃 유도부(20)가 나무 본체(10)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되게 배치되면서 관통 형성되어 불꽃 유도부(20)의 내부와 연통되기 때문에 나무 본체(10)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불꽃 유도부(20) 내부에서 이송되는 불꽃과 이물질이 나무 본체(10) 외부로 일부 배출되며, 관통부(14,16)를 통하여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불꽃을 다음 유도관으로 이송시키고 이물질만 배출시킬 수 있는데 더욱 효과적이다.The penetrating portions 14 and 16 are formed through the flame inducing portion 20 being arranged to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wooden body 10 to the outside and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flame inducing portion 20, thereby allowing the penetration of the wood body 10 from the outside. Flames and foreign substances transported inside the flame inducing part 20 by air are parti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ooden body 10, and air flows i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penetrating parts 14 and 16 to transfer the emitted flames to the next guiding pipe. It is more effective as it can only transport and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이러한 나무 본체(10)는 내부에 지그재그로 관통된 불꽃 유도부(20)가 구비될 수 있다.This wooden body 10 may be provided with a flame inducing portion 20 penetrated in a zigzag pattern therein.

불꽃 유도부(20)는 착화부(12)와 나무 본체(10)의 타측을 연결시키되 지그재그로 관통 형성되어, 관통된 내부를 통하여 연료탄의 불꽃의 일부를 나무 본체(10) 외부로 안내시킬 수 있다.The flame guide portion 20 connects the ignition portion 12 and the other side of the wooden body 10 and is formed through a zigzag pattern, so that a portion of the flame of the fuel charcoal can be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wooden body 10 through the penetrated interior. .

불꽃 유도부(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a 및 도 3b와 같이 제 1유도관(22)과 제 2유도관(24), 제 3유도관(26)이 구비된 것을 예로 설명하며, 유도관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어서 휘어진 통나무에 지그재그 형식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가 가능하다. 이러한 유도관들은 나무 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 끝까지 이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lame guide unit 20 is described as an example provided with a first guide pipe 22, a second guide pipe 24, and a third guide pipe 26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pipes can be of different lengths, so they can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in a zigzag format on a curved log.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se guide pipes to extend from one side of the wooden body 10 to the other end.

제 1유도관(22)은 일측(22a)이 착화부(12)와 연결되고, 타측(22b)이 나무 본체(1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서 나무 본체(10)에 형성된 제 1관통홀(14)에 배치되어 비스듬히 구비될 수 있다.One side (22a) of the first induction pipe (22)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unit (12), and the other side (22b) is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the wooden body (10)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wooden body (10). 14) and may be provided at an angle.

제 2유도관(24)은 일측(24a)이 제 1유도관(22)의 타측(22b)에 불꽃이 유입되게 연결되고, 타측(24b)이 제 1관통홀(14)과 대향되게 나무 본체(10)에 형성된 제 2관통홀(16)에 배치되어 비스듬히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induction pipe 24 is a wooden body with one side (24a) connected to the other side (22b) of the first induction pipe 22 to allow flame to flow in, and the other side (24b) facing the first through hole (14). It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16 formed in (10) and provided at an angle.

또, 제 2유도관(24)은 제 1유도관(22)보다 길게 구비되어 휘어진 나무 본체(10)의 길어진 길이에 배치되어질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휘어진 나무 본체(10)의 특성상 A지점에서 B지점의 길이와 B지점에서 C지점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구비되어 휘어진 통나무에도 유도관을 적절히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guide pipe 24 is provided longer than the first guide pipe 22 and can be placed along the longer length of the curved wooden body 10. That is, as shown in Figure 2, due to the nature of the bent wooden body 10, the length from point A to point B and the length from point B to point C are provided differently, so that the guide pipe can be appropriately placed even in a bent log, so that it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Since it can be used in ,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usability.

제 1유도관(22)과 제 2유도관(24)은 각각 제 1유도관(22)의 타측(22b)과 제 2유도관(24)의 일측(24a) 단부가 상호 연결되어 제 1관통홀(14)을 통하여 나무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제 2유도관(24)의 일측(24a)으로 공급시킬 수 있다.The first guide pipe (22) and the second guide pipe (24) are formed by connecting the other end (22b) of the first guide pipe (22) and the end of one side (24a) of the second guide pipe (24) to each other to form a first penetration pipe. Air from outside the wooden body 10 can flow in through the hole 14 and be supplied to one side 24a of the second induction pipe 24.

이러한 유도관들은 수개가 지그재그로 서로 교차시키되, 즉, 유도관의 단부가 마주하여 나무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기 때문에 착화부(12)에서의 불꽃을 나무 본체(10) 외부로 안내할 수 있게 되어 이송 중 조명등 또는 무드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조명등 및 무드등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Several of these induction pipes cross each other in a zigzag manner, that is, the ends of the induction pipes face each other and are provided inside the wooden body 10, so that the flame from the ignition unit 12 can be guided to the outside of the wooden body 10. This allows you to expect the effect of lighting or mood lighting during transportation. At this time, the effects of lighting and mood lighting can be further improved by having various shapes.

한편, 유도관들은 서로 교차하는 지점 즉, 서로 다른 유도관들의 단부가 마주하는 지점에서 연료 진행의 전환과 교차한 다른 유도관으로 진행하는 전환 돌파 구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환 돌파 구간에는 연소점이 고온 연소에 취약할 수 있는 구간으로 직선의 연소에서 크게 위치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t the point where the guide pipes intersect each other, that is, at the point where the ends of the different guide pipes face each other, a transition breakthrough section can be achieved where the fuel progress is switched and proceeds to another guided pipe that has crossed. This transition breakthrough section is a section where the combustion point may be vulnerable to high-temperature combustion, and a significant change in position may occur from straight combustion.

도 3a 및 3b는 도 2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3A and 3B are partially enlarged views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of FIG. 2.

도 3a 및 3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에 따른 제 3실시예를 설명하면, 불꽃 유도부(20)는 제 1유도관(22)을 따라 이송되는 불꽃을 제 2유도관(24)으로 안내하도록 제 1유도관(22)의 타측(22b) 및 제 2유도관(24)의 일측(24a)의 일부가 교차 구비될 수 있다. 3A and 3B,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flame transfer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flame guide unit 20 directs the flame transported along the first guide pipe 22 to the second guide pipe 24. A portion of the other side 22b of the first guide pipe 22 and one side 24a of the second guide pipe 24 may be provided to cross each other for guidance.

예컨대, 제 1유도관(22)의 타측(22b) 및 제 2유도관(24)의 일측(24a)의 단부의 일부가 서로 엇갈리게 구비된다.For example, part of the ends of the other side 22b of the first guide pipe 22 and one side 24a of the second guide pipe 24 are provided to be staggered.

이와 같은 제 1관통홀(14)에 의해 제 2유도관(24)으로 나무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제 1유도관(22)을 따라 이송되는 불꽃을 제 2유도관(24)으로 유도할 수 있다.The air outside the wooden body (10) flows into the second induction pipe (24)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14), and the flame transported along the first induction pipe (22)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induction pipe (24). It can be derived by:

마찬가지로, 제 2유도관(24)의 타측(24b)을 통하여 배출되는 불꽃을 제 3유도관(26)의 일측(26a)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제 3유도관(26)의 일측(26a)이 제 2관통홀(16)에 교차 연결되고, 제 2관통홀(16)에 의해 나무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제 3유도관(26)으로 불꽃을 유도할 수 있다.Likewise, one side (26a) of the third guide pipe (26) is provided so that the flame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side (24b) of the second guide pipe (24) can be guided to one side (26a) of the third guide pipe (26). It is cross-connect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16, and the air outside the wooden body 10 can induce a flame into the third induction pipe 26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16.

이에 따라 나무 본체(10) 외부의 공기를 활용하여 불꽃을 다음 유도관들로 유도시켜 나무 본체(10)의 끝까지 불꽃에 의한 착화가 가능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by using the air outside the tree body 10 to guide the flame to the next guide tube, ignition by flame is possible to the end of the tree body 10,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4b는 도 2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4A and 4B are partial enlarged views showing the third embodiment of FIG. 2.

도 4a 및 4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에 따른 제 3실시예를 설명하면, 불꽃 유도부(20)는 상호 겹쳐지도록 엇갈리게 교차될 수 있다. 불꽃 유도부(120)는 제 1유도관(122), 제 2유도관(124), 제 3유도관(126), 제 4유도관(128)이 나무 본체(10) 내부에서 지그재그로 각각 비스듬히 구비되되, 단부가 서로 엇갈리도록 교차 구비된다.When explaining the third embodiment of the flame transport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the flame guide portions 20 may be cross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The flame guide unit 120 includes a first guide pipe 122, a second guide pipe 124, a third guide pipe 126, and a fourth guide pipe 128, each of which is provided at an angle in a zigzag pattern inside the wooden body 10. However, the ends are provided crosswise with each other.

제 1유도관(122) 및 제 2유도관(124)은 제 1유도관(122)의 타측(122b)과 제 2유도관(124)의 일측(124a)이 각각 제 1관통구(14a)와 제 2관통구(14b)로 구비된 제 1관통홀(14)에 각각 교차 연결될 수 있다. In the first guide pipe 122 and the second guide pipe 124, the other side (122b) of the first guide pipe 122 and one side (124a) of the second guide pipe 124 are each connected to a first through hole (14a). and can be cross-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hole 14 provided with the second through-hole 14b, respectively.

제 1관통홀(14)은 제 1관통구(14a)와 제 2관통구(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관통구(14a)는 제 1유도관(122)의 타측(122b)과 연결되어 제 1유도관(122)을 따라 이송되는 이물질 또는 불꽃 등의 일부가 배출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hole 14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14a and a second through hole 14b. The first penetration hole 14a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122b of the first guide pipe 122, so that some of the foreign substances or flames transported along the first guide pipe 122 can be discharged.

또, 제 2관통구(14b)는 제 2유도관(124)의 일측(124a)이 교차 연결된 제 1유도관(122)을 따라 이송하는 불꽃을 제 2유도관(124)으로 유도시킬 수 있으며, 나무 본체(10)의 일측과 제 1관통구(14a) 사이에서 제 1관통구(14a)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구비되어, 나무 본체(10)의 외부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hrough-hole (14b) can guide the flame transported along the first guide pipe (122) to which one side (124a) of the second guide pipe (124) is cross-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pipe (124). , It is provided between one side of the wooden body 10 and the first penetration hole 14a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penetration hole 14a, so that external air can be supplied to the wooden body 10.

또, 제 1관통구(14a)와 제 2관통구(14b)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 하여 구비되기 때문에 제 1유도관(122)의 타측(122b)과 제 2유도관(124)의 일측(124a)은 서로 교차되는 부분이 엇갈리게 되어 제 1유도관(122)과 제 2유도관(124) 각각의 양측단 사이로 가까워진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through-hole (14a) and the second through-hole (14b) ar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the other side (122b) of the first guide pipe (122) and one side (124a) of the second guide pipe (124) ) are intersected so that they approach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first guide pipe (122) and the second guide pipe (124).

제 2관통홀(16)은 제 2유도관(124)의 타측(124b)과 연결되어 제 2유도관(124)을 따라 이송되는 불꽃의 일부가 배출되는 제 1관통구(16a)와, 제 2유도관(124)을 따라 이송하는 불꽃을 제 3유도관(126)으로 유도하도록 제 3유도관(126)의 일측(126a)이 연결된다.The second through-hole 16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124b of the second induction pipe 124, and includes a first through-hole 16a through which a part of the flame transported along the second induction pipe 124 is discharged, and a first through-hole 16a. One side (126a) of the third guide pipe (126) is connected to guide the flame transported along the second guide pipe (124) to the third guide pipe (126).

또, 제 3유도관(126)의 타측(126b)은 비스듬히 나무 본체(10)에 배치되어, 제 4유도관(128)의 일측(128a)이 엇갈리게 교차된다. In addition, the other side 126b of the third guide pipe 126 is disposed at an angle on the wooden body 10, so that one side 128a of the fourth guide pipe 128 is crossed.

제 2관통홀(16)은 나무 본체(10)와 제 1관통구(16a) 사이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 구비되어, 나무 본체(10)의 외부 공기가 공급되는 제 2관통구(16b)를 포함하며, 제 1관통홀(14)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내어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econd through-hole (16)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wooden body (10) and the first through-hole (16a) to form a second through-hole (16b) through which the external air of the wooden body (10) is supplied. Since it has the same operation and effect as the first through hole 14,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에 따라 제 1유도관(122)을 따라 이송되는 불꽃을 제 2유도관(124)으로 안내하게 되어 불꽃의 배출 전 유도시킬 수 있다. 또, 잔여물 또는 애쉬(ash)와 같은 이물질들은 무게로 인하여 나무 본체(10) 외부로 배출되어 불꽃 유도부(20) 내부에 이물질이 적층(쌓이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나무 본체(10)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flame transported along the first guide pipe 122 is guided to the second guide pipe 124, so that the flame can be induced before being discharged. In addition,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sidue or ash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ooden body 10 due to their weight,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stacked inside the flame inducing part 20, thereby preventing the wooden body 10 ) has the effect of improving durability.

또한, 불꽃 유도부를 상호 교차 즉, 엇갈리게 배치하여 불꽃을 유도관에서 다른 유도관으로 안내시켜 나무 본체(10) 외부로 불꽃이 노출되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때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다음 유도관으로 불꽃이 안내되어 일정한 불꽃 온도를 유지하면서 불꽃 유도부(20)를 따라 이송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flame guides to cross each other, that is, in a staggered manner, it is possible to guide the flame from one guide pipe to another guide pipe to prevent the flam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ooden body 10 and cooling, an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ame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ooden body 10 and cooled by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The flame is guided to the next guide pipe, which has the effect of being transported along the flame guide part 20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flame temperature.

도 5는 도 1의 제 4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ourth embodiment of Figure 1.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에 따른 제 4실시예를 설명하면, 불꽃 유도부(20)는 내주면에 돌출되고, 불꽃 유도부(20)를 따라 이동하는 불꽃으로부터 착화되는 돌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o describe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flame transport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me guide portion 20 protrude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has a protrusion 30 that is ignited from a flame moving along the flame guide portion 20. It can be included.

또한, 돌기부(30)는 불꽃 유도부(20)의 내주면 둘레에 소정 간격마다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30)의 소정 간격은 돌기부(30) 상호간 불꽃이 전달되는 소정 간격일 수 있다. 예컨대, 돌기부(30)는 불꽃의 진행방향으로 발생하는 공기압에 의해 착화될 수 있는 거리로 구비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서로 다른 거리로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trusions 30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ou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me inducing portion 20. The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protrusions 30 may be a predetermined interval at which flame is transmitted between the protrusions 30 . For example, the protrusion 30 is provided at a distance that can be ignited by air pressure gener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ame travels, and may be provided at different distances depending on the user's settings.

돌기부(30)에는 착화물질이 도포되어 불꽃의 착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돌기부(30)에 착화물질이 도포됨에 따라 돌기부(30)간 이격되는 간격을 넓혀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착화 확률을 높여 불꽃이 나무 본체(10)의 끝 즉, 불꽃 유도부(20)의 끝까지 도달시킬 수 있다.An ignition material is applied to the protrusions 30 so that ignition of the flame can be utilized more effectively. As an ignition material is applied to the protrusions 30,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sions 30 can be widened to reduce costs, and the probability of ignition can be reduced. By raising it, the flame can reach the end of the wooden body (10), that is, the end of the flame inducing part (20).

돌기부(30)는 나무 본체(10)의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불꽃 유도부(20)를 이송하는 불꽃의 이송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각이 크게 구비될 수 있다. The protrusion 30 may be provided with a large inclination angle so as to guide the flame guide part 20 in the direction of transport of the flame by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of the wooden body 10.

여기에서 사용되어지는 착화물질에는, 금속가루와 화약이 조합된 조성물일 수 있으며, 통상의 불꽃놀이(화약) 중 한번 불을 붙이면 꺼지지 않고 서서히 불꽃을 내면서 타들어가는 일명 '스파클라(Sparkler)'라고 불리는 폭죽의 화약 재료(착화촉매제)가 심지부 또는 연소구멍에 도포될 수 있다.The ignition material used here may be a composition of metal powder and gunpowder, and is called a 'Sparkler', which burns slowly without going out once ignited during normal fireworks (gunpowder). The gunpowder material (ignition catalyst) of the so-called firecracker may be applied to the wick or combustion hole.

이와 같이, 심지부 또는 연소구멍에 착화촉매제가 도포됨으로써 최초 나무 본체(10)에 불을 붙여 착화시킬 때 바람 등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쉽게 착화되어 불이 붙을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ignition catalyst is applied to the core or combustion hole, so that when the tree body 10 is initially ignited, it can be easily ignited and ignited without being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wind.

또한, 천연재료로 대나무와 코코넛을 이용한 팜유(또는 나무에 스며들어 유동하지 않는 연소 가능한 액체 등) 또는 파라핀(또는 양초와 같이 열에 의해 액체화 되는 물질 등) 등을 활용하여 발화시켜 발화성이 좋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natural materials such as palm oil (or a combustible liquid that penetrates into wood and does not flow) or paraffin (or a substance that liquefies by heat, such as a candle) can be used to ignite to improve ignition properties. You ca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에 따르면, 통나무 내부에서 이송되는 이물질들이 이송 통로에 적층(쌓여지는)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 중 착화부로 불꽃이 역류하는 경우가 없어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이동 및 휴대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통나무 내부로 이동하는 불꽃의 모양 등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시각화하여 자연 조명등, 무드 등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flame transfer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foreign substances transferred inside the log are prevented from stacking in the transfer passage, and the flame does not flow back into the ignition part during use, making it safe to use and durable. I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movement and carrying, and the shape of the flame moving inside the log can be visualized from the outside, creating an effect such as natural lighting and mood.

또한,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에 따르면, 통나무를 활용하여 연소(착화)구멍의 위치에 따른 단열 및 고온 연소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서, 나무 자체의 특성에 의한 단열 보온 효과가 있으며, 연소되는 나무의 불꽃을 내부로 통로를 따라 이송되면서 고온 연소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lame transport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monstrate insulation and high-temperature combus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mbustion (ignition) hole by using the log, and there is an insulating and warming effec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od itself, and the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high-temperature combustion by transporting the flame internally along a passage.

또한, 본 발명의 불꽃 이송 통나무에 따르면, 연료탄의 고유한 속성은 외부공기와 노출되어 냉각되며 이에 연소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꽃 이송 통나무는 휘어진 나무도 연속하여 연소 할 수 있게 되도록 지그재그로 가공하여, 나무의 곧고 휨에 영향 받지 않고 연료탄의 가공길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의 향상 및 조명 연출에도 뛰어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lame transfer lo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que properties of fuel coal can prevent combustion efficiency from lowering due to cooling by exposure to external air, and the flame transfer log can continuously burn even bent wood. By processing in a zigzag manner,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rocessing length of fuel coal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traightness or bending of the wood, and can be used selectively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worker, which has excellent effects in improving convenience and lighting.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둘 이상의 실시예를 조합하거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공지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of course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embodiment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embodiment and known techniques as a new embodi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기술적 사상)을 이용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가 가능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며,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use the basic concept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and will be sai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 나무 본체
20: 불꽃 유도부
30: 돌기부
10: wooden body
20: Flame induction unit
30: protrusion

Claims (7)

점화에 의해 착화되며 불꽃을 이루는 연료탄이 안착되는 착화부가 외부 일측을 향하여 개구된 나무 본체; 및
상기 나무 본체 내부에서 하향의 기울기를 가지는 복수의 유도관이 지그재그로 교차 배치되면서 서로 연통되며, 최상부 유도관의 일단이 상기 착화부와 연결되고 최하부 유도관의 타단이 상기 나무 본체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착화부와 나무 본체의 타측을 연결시키며, 관통된 상기 유도관을 통해 상기 연료탄의 불꽃 일부를 상기 나무 본체 외부로 안내하는 불꽃 유도부;를 포함하되,
상호 인접하는 유도관들은 교차 부위가 연통되면서 교차된 하부측 유도관의 일단과 상부측 유도관의 타단이 각각 상기 나무 본체의 외둘레면에서 상호 이격 형성된 제 1관통구 및 제 2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고 상부측에 위치하는 제 1관통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하부측에 위치하는 제 2관통구를 통해 공기의 유입 및 이물질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불꽃 이송 통나무.
A wooden body in which the ignition portion, which is ignited by ignition and forms a flame, is seated, is opened toward one side of the outside; and
Inside the tree body, a plurality of induction tubes with a downward slope are interconnected in a zigzag manner, one end of the uppermost induction tube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most induction tube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ee body. It includes a flame inducing part that connects the ignition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wooden body and guides a portion of the flame of the fuel coal to the outside of the wooden body through the penetrating guiding pipe,
The adjacent guide pipes communicate at their intersection points, and one end of the lower side guide pipe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side guide pipe intersect each other through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ooden body. A flame transfer log in which air flows in through the first through-hole exposed to the outside and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rough the second through-hole located on the lower side, the inflow of air and the discharge of foreign substan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화부의 내경은 상기 불꽃 유도부의 내경보다 크게 구비된 불꽃 이송 통나무.
According to paragraph 1,
A flame transfer log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ignition portion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lame induc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꽃 유도부는,
상기 불꽃 유도부를 따라 이동하는 불꽃에 의해 상호 불꽃이 전달되도록 내주면에 소정 간격마다 돌출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하는 불꽃 이송 통나무.
According to clause 1,
The flame inducing part,
A flame transfer log comprising a protrusion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flames are transmitted to each other by a flame moving along the flame guid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 도포되어 이동되는 불꽃에 의해 착화되는 착화물질;을 포함하는 불꽃 이송 통나무.
According to clause 6,
A flame transfer log comprising: an ignition material applied to the protrusion and ignited by a moving flame.
KR1020230031941A 2023-03-10 2023-03-10 Flame transport log KR1026341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941A KR102634199B1 (en) 2023-03-10 2023-03-10 Flame transport lo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941A KR102634199B1 (en) 2023-03-10 2023-03-10 Flame transport lo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199B1 true KR102634199B1 (en) 2024-02-05

Family

ID=8990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941A KR102634199B1 (en) 2023-03-10 2023-03-10 Flame transport lo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19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007A (en) * 2007-04-23 2008-10-28 강성철 Candle with firecracker
KR200473459Y1 (en) * 2013-04-25 2014-07-04 박춘서 Log burner
JP2015209459A (en) * 2014-04-24 2015-11-24 大谷開発株式会社 Liquefaction apparatus and dry distillation type liquefaction incineration system
KR102036370B1 (en) 2018-12-06 2019-10-25 김주회 Solid Fuels
KR102339396B1 (en) 2021-08-13 2021-12-17 권광희 Wide type log burners with air intake contro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5007A (en) * 2007-04-23 2008-10-28 강성철 Candle with firecracker
KR200473459Y1 (en) * 2013-04-25 2014-07-04 박춘서 Log burner
JP2015209459A (en) * 2014-04-24 2015-11-24 大谷開発株式会社 Liquefaction apparatus and dry distillation type liquefaction incineration system
KR102036370B1 (en) 2018-12-06 2019-10-25 김주회 Solid Fuels
KR102339396B1 (en) 2021-08-13 2021-12-17 권광희 Wide type log burners with air intake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1205B1 (en) Device for supply of secondary air, and boiler with the device
ATE210266T1 (en) BOILER EQUIPPED WITH A BURNER
US9709263B2 (en) Fuel burning system and method
KR102634199B1 (en) Flame transport log
US20100242941A1 (en) Grate assembly
KR101319950B1 (en) Heating apparatus
KR102339396B1 (en) Wide type log burners with air intake control
US20140102437A1 (en) Fire grate for enhanced combustion
US4719899A (en) Depot for granular carbonaceous fuel and method employing the same to provide high efficiency fires for charbroiling and the like
US4385623A (en) Flue pipe for fireplace stove
US3247885A (en) Pilot for flare stack
KR101161048B1 (en) Boiler for combustion of firewood
EP2925837B1 (en) Fire lighter
JP6555596B2 (en) Combustion wood, set of combustion wood and ignition material, set of combustion wood and coated metal piece, method for burning combustion wood
KR102227169B1 (en) High calorie heater
KR20140005597U (en) Pellet stove
NO153346B (en) Radiation shield for solid fuel boiler.
RU2797413C1 (en) Ignition device (options)
US1059019A (en) Fire-lighter.
KR20190083712A (en) Combustion apparatus
US6615823B1 (en) Log combustion method and supporting device therefor
EP1230521B1 (en) A boiler with combustion retort
KR790001007B1 (en) A method of accelerating exhause gas for briequette korean-ondol
SU885711A1 (en) Multitorch burner
US1069530A (en) Ligh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