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706B1 - A vehicle horn - Google Patents

A vehicle ho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706B1
KR102633706B1 KR1020220072226A KR20220072226A KR102633706B1 KR 102633706 B1 KR102633706 B1 KR 102633706B1 KR 1020220072226 A KR1020220072226 A KR 1020220072226A KR 20220072226 A KR20220072226 A KR 20220072226A KR 102633706 B1 KR102633706 B1 KR 102633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diaphragm body
extension
round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2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71724A (en
Inventor
윤태원
한수현
강성천
Original Assignee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706B1/en
Publication of KR20230171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17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70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 G10K9/22Mountings; Cas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차량용 경음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경음기는 포밍경의 구조를 변경하여 비틀림으로 인한 진동 발생이 개선되고,, 품질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A car horn is introduced. In the vehicle h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bration generation due to torsion is improved and quality is stabilized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forming mirror.

Description

차량용 경음기{A vehicle horn}A vehicle horn}

본 발명은 경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경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n, and more specifically to a horn for a vehicle.

일반적으로 경음기는 챠량 운행 중이나 주차된 상태에서 타 차량이나 보행자 등에게 주의를 주고자 경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장치로, 그 사용 목적에 따라 경적용 경음기(horn)와 부저용 경음기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horn is an alarm device that generates a sound to warn other vehicles or pedestrians while the vehicle is in operation or park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it is used as a horn and a buzzer.

상기 차량에는 위급상황 시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적용 경음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경음기와는 별개로 주차 중 강제로 문열림 발생시 경보음을 울려주는 도난경보용 경음기가 구비된다.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 horn for sounding a warning sound in case of an emergency, and, separately from the horn, is equipped with a theft alarm horn for sounding an alarm when the door is forcibly opened while parking.

상기 경음기는 각각의 목적에 따라 여러 개의 부저음 발생용 부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부저는 차량의 문이 닫히고 열리거나, 스마트키를 가지고 있는 운전자가 하차하여 차량에서 멀어질 때 부저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horn is equipped with a number of buzzers for generating buzzer sounds according to each purpose, and the buzzer can generate a buzzer sound when the vehicle door is closed and opened, or when the driver with the smart key gets off and moves away from the vehicle. .

차량용 경음기는 엔진 룸 내부에 장착되어 주행 중에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경보음(경적)을 발생시켜 주위를 환기시킴으로써 보행자와의 접촉사고 등 돌발적인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The vehicle horn is installed inside the engine room and generates an alarm sound (horn) by the driver's operation while driving to ventilate the surrounding area, thereby preventing unexpected accidents such as contact with pedestrians.

이와 같이 사용되는 종래의 경음기는 구성 부품 중 다이아 프램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conventional horn used in this way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regarding the diaphragm among its component parts.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다이아 프램(10)은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외측을 기준으로 A구간에서 직선 형태로 연장되다가 포밍부(12)에 해당되는 B구간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후에 중앙에 개구된 홀을 향해 수평하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된다.Referring to the attached Figure 1, the conventional diaphragm 10 extends in a straight line in section A based on the radial outer side,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and then bends upward in section B corresponding to the forming portion 12. It is then constructed in a form that extends horizontally toward the hole opened in the center.

또한 A구간과 B구간은 수평 방향에서 연장된 길이에 따른 비율이 6.5:3.5의 비율이 유지된다. 상기 다이아 프램(10)은 경적이 운전자에 의해 작동될 경우 상하 방향을 향해 진동이 반복적으로 발생되고, 이로 인한 떨림이 뒤틀림으로 변경되어 모멘트가 커지는 현상이 유발되었다.In addition, the ratio of section A and section B according to the length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maintained at a ratio of 6.5:3.5. The diaphragm 10 repeatedly vibrat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when the horn is activated by the driver, and the resulting vibration changes into distortion, causing an increase in moment.

특히 상기 A구간과 연결된 포밍부(12)가 직선으로 절곡되어 있고, A구간과 B구간의 연장 길이에 따른 비율이 전술한 바와 같아 뒤틀림(틸팅) 모멘트 값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다이아 프램(10)이 제작될 때 치수 상포에 따른 성능 산포가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In particular, the forming part 12 connected to section A is bent in a straight line, and the ratio of the extension lengths of section A and section B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so the twisting (tilting) moment value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diaphragm 10 was manufactured, a problem was caused in which the performance distribution depending on the size distribution was greatly increased.

이 경우 경음기가 작동될 경우 고전압 끓음 및 음질 저하 문제가 발생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In this case, when the horn is activated, problems such as high voltage boiling and deterioration of sound quality occur, so countermeasures are needed.

대한민국등록특허 제20-0144553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20-0144553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기존의 다이어 프램의 구조적인 형태를 변경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하고 진동에 따른 변위 량이 최소화된 차량용 경음기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vehicle horn with reduced product defect rate and minimized displacement due to vibration by changing the structural form of the existing diaphragm.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는 전제적인 외형을 이루는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를 수직으로 내려다보았을 때 반경 방향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1 연장부(104); 및 상기 제1 연장부(104)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정 중앙에 개구된 개구부(101)를 향해 라운드지며 연장 형성된 라운드 부(106)와, 상기 라운드 부(106)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개구부(101)를 향해 연장된 제2 연장부(108)를 포함하되, 상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를 수직으로 내려다보았을 때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표면 길이 중 상기 제1 연장부(104)의 연장된 전체 길이를 제1 구간(S1)으로 정의하고, 상기 라운드 부(106)와 제2 연장부(108)의 연장된 전체 길이를 제2 구간(S2)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구간(S1)과 상기 제2 구간(S2)은 각각 동일 길이로 연장된다.
상기 라운드 부(106)는 상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상기 라운드 부(106)는 상기 제1 연장부(104) 와 제2 연장부(108)를 서로 간에 연결하며 라운드지며 연장된 전체 연장 구간에서 상기 라운드 부(106)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 중 중앙 위치가 최대 돌출 위치에 해당된다.
상기 라운드 부(106)는 상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표면에서 제2 연장부(108) 보다 길게 연장된다.
A vehicle h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104 extending from the radial outer side toward the inner side when looking vertically at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forming the general outline; and a round portion 106 extending from an extended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04 toward an opening 101 at the center of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108 extending from the extended end toward the opening 101, wherein the surface length of the diaphragm body 102 when viewed vertically from the diaphragm body 102 Among them, the entire extended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104 is defined as a first section (S1), and the entire extended length of the round portion 106 and the second extension 108 is defined as a second section (S2). ), the first section (S1) and the second section (S2) each extend to the same length.
The round portion 106 extends toward the inside of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The round part 106 connects the first extension part 104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08 to each other and is rounded and extends from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ound part 106 in the entire extended section. The central position corresponds to the maximum protrusion position.
The round portion 106 extends longer tha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08 from the surface of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경음기의 포밍경 비율을 최적화 하여 혼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horn performance by optimizing the forming diameter ratio of the horn.

본 실시 예들은 경음기가 작동시 비틀림에 의한 모멘트 값을 감소시켜 혼의 음질을 향상시키고 전입 구간을 증대 시킬 수 있다.These embodiments can improve the sound quality of the horn and increase the input section by reducing the moment value due to twist when the horn is operating.

본 실시 예들은 경음기의 품질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불량률이 감소되어 대량 생산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다.In these embodiments, the quality of the horn i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and the defect rate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stability during mass production.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경음기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 및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종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의 포밍경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실험을 실시한 도면.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an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vehicle hor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hicle hor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vehicle horn and surrounding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2.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n experiment conducted with different forming diameters of the vehicle hor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본 개시물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물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개시물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물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물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these embodiments only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omplete and are within the scope of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disclosure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the disclosure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when it is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or with an intervening other component. Includes all cases. On the other hand, when one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to”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indicates that there is no intervening other component.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disclosure. As used herei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context.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referenc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vehicle ho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는 전제적인 외형을 이루는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를 수직으로 내려다보았을 때 반경 방향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1 연장부(104) 및 상기 제1 연장부(104)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정 중앙에 개구된 개구부(101)를 향해 라운드지며 연장 형성된 라운드 부(106)와, 상기 라운드 부(106)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개구부(101)를 향해 연장된 제2 연장부(10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attached FIGS. 2 to 4, the vehicle hor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has a first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radial outer side toward the inner side when looking vertically at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forming the overall outline. (104) and a round part (106) extending from an extended end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04) towards an opening (101) opened at the very center of the diaphragm body part (102). The extended end of portion 106 includes a second extension portion 108 extending toward the opening 101 .

특히 본 실시 예는 경음기의 포밍경에 해당되는 길이가 기존과 상이하게 연장되어 있어 뒤틀림으로 인한 모멘트가 감소되고, 진동 밸런스를 최적화 할 수 있으며 경음기의 음질 및 작동 전압 구간을 증대 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orming diameter of the horn is extended differently from the existing one, so the moment due to twisting is reduced, the vibration balance can be optimized, and the sound quality and operating voltage range of the horn can be increased.

본 실시 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100)는 전술한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와, 경적스위치(110)와, 코일(120)과, 접속부(130)와, 배터리(140)와, 부저 스위치(150) 및 신호발생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vehicle horn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the above-described diaphragm body portion 102, the horn switch 110, the coil 120, the connection portion 130, the battery 140, and the buzzer switch ( 150) and a signal generator 160.

상기 경음기(100)의 코일(120)은 철심(122)에 권취되어 있으며, 코일(120)의 일측은 접속부(130)와 연결되고, 타측은 접지(GND)와 연결될 수 있다.The coil 120 of the horn 100 is wound around an iron core 122, and one side of the coil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130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ground (GND).

상기 접속부(130)는 스탠드(132) 및 스프링(134)을 접속시킬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134)은 코일(120)과 연결될 수 있고, 스탠드(132)는 경적스위치(110)와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130 can connect the stand 132 and the spring 134. Here, the spring 134 may be connected to the coil 120, and the stand 132 may be connected to the horn switch 110.

경적스위치(110)는 전원부(170)와 연결될 수 있고, 운전자에 의해 온 오프 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운전 중에 경적음을 발생시키기 위해 경적스위치(110)를 누르는 경우 경적스위치(110)는 온(ON)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경적스위치(110)는 상시 오프(OFF)된 상태일 수 있다.The horn switch 110 can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70 and can be turned on and off by the driver. That is, when the driver presses the horn switch 110 to generate a horn sound while driving, the horn switch 110 may be turned on. According to this, the horn switch 110 may always be in an OFF state.

경적스위치(110)가 온(ON)이 되는 경우, 스탠드(132)에는 전원부(170)의 전원으로 인한 전류가 인가된다. 스탠드(132)에 인가된 전류는 접속부(130)를 통해 스프링(134)에도 인가되며, 스프링(134)에 인가된 전류는 스프링(134)과 연결된 코일(120)에도 인가된다. 코일(120)에 인가된 전류로 인해 코일(120)이 감겨있는 철심(122)에는 자력이 발생하게 되고, 철심(122)에 발생한 자력으로 인해 아마추어(180)가 철심(122) 측으로 당겨지게 된다.When the horn switch 110 is turned on, current due to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170 is applied to the stand 132. The current applied to the stand 132 is also applied to the spring 134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30, and the current applied to the spring 134 is also applied to the coil 120 connected to the spring 134. Due to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20,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iron core 122 around which the coil 120 is wound, and the armature 180 is pulled toward the iron core 122 due to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iron core 122. .

이때, 아마추어(180)가 철심(122) 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134)을 밀게 되고, 이에 스프링(134)은 접속부(130)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즉, 스프링(134)과 접속부(130)는 더 이상 접촉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스프링(134)에는 전원부(170)의 전원에 의한 전류가 더 이상 인가되지 않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rmature 180 moves toward the iron core 122 and pushes the spring 134, causing the spring 134 to separate from the connection portion 130. That is, the spring 134 and the connecting portion 130 are no longer in contact, and as a result, current from the power source of the power supply unit 170 may no longer be applied to the spring 134.

스프링(134)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코일(120)에도 더 이상 전류가 인가되지 않게 되며, 철심(122)은 자력을 상실하게 된다. 철심(122)이 자력을 상실하게 되면서 아마추어(180)는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원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에 진동이 발생하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진동으로 인해 경적음이 출력될 수 있다.As current is not applied to the spring 134, current is no longer applied to the coil 120, and the iron core 122 loses its magnetic force. As the iron core 122 loses its magnetic force, the armature 18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diaphragm body 102. During this process, vibration occurs in the diaphragm body 102, and a horn sound may be output due to the vibration of the diaphragm body 102.

또한, 아마추어(180)가 원위치로 이동될 경우 아마추어(180)가 밀고 있던 스프링(134)을 더 이상 밀지 않게 됨에 따라 스프링(134)은 다시 접속부(130)와 접촉하게 된다.Additionally, when the armature 180 is mov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spring 134 that the armature 180 was pushing is no longer pushed, so the spring 13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30 again.

또한, 운전자가 경적스위치(110)를 더 이상 누르지 않게 되면, 경적스위치(110)는 오프(OFF)가 되고, 접속부(130), 스탠드(132), 스프링(134) 및 코일(120)에는 전류가 더 이상 인가되지 않으면서 경적은 울리지 않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river no longer presses the horn switch 110, the horn switch 110 is turned OFF, and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130, stand 132, spring 134, and coil 120. The horn will not sound as it is no longer authorized.

이와 같이 작동되는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는 라운드 부(106)가 형성되어 있어 도면 기준 상하 방향에서 반복적으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뒤틀림으로 인한 진동 발생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른 변위량이 증가되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The diaphragm body part 102 operated in this way has a round part 106, so that even when vibration occurs repeatedly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drawing, the occurrence of vibration due to distortion is reduced and the resulting amount of displacement is increased. It can be minimized.

상기 라운드 부(106)는 제1 연장부(104) 와 제2 연장부(108)를 서로 간에 연결하고 있어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라운드 진 자체 형상을 통해 진동 감소를 유도 할 수 있다.The round part 106 connects the first extension part 104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08 to each other, so even when vibration occurs, vibration can be reduced through the round shape itself.

또한 본 실시 예는 상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를 수직으로 내려다보았을 때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표면 길이 중 상기 제1 연장부(104)의 연장된 전체 길이를 제1 구간(S1)으로 정의하고, 상기 라운드 부(106)와 제2 연장부(108)의 연장된 전체 길이를 제2 구간(S2)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구간(S1)과 상기 제2 구간(S2)은 각각 동일 길이로 연장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looking down at the diaphragm body 102 vertically, the entire extended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104 among the surface lengths of the diaphragm body 102 is divided into the first section S1. , and when the entire extended length of the round part 106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08 is defined as the second section S2, the first section S1 and the second section S2 are Each extends to the same length.

상기 제1,2 구간(S1, S2)이 동일 길이로 연장될 경우 고전압에서 노이즈 발생이 감소되고, 음질이 향상되며, 가진에 따른 뒤틀림 모멘트 값을 감소시켜 변위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S1, S2) are extended to the same length, noise generation at high voltage is reduced, sound quality is improved, and the amount of displacement can be minimized by reducing the twisting moment value due to excitation.

이를 입증하기 위해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에 대한 가진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기준은 외경은 동일하게 유지하고 포밍경만 서로 다르게 유지하되, 제2 모델이 본 발명에 의한 구성에 해당된다. 참고로 제1 모델은 외경이 67mm이고, 포밍경이 28mm이며, 제2 모델은 외경이 67mm이고 포밍경이 34mm로 구성된다.To prove this, an excit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The experimental standard is to keep the outer diameter the same and only the forming diameter to be different, but the second model corresponds to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the first model has an outer diameter of 67mm and a forming diameter of 28mm, and the second model has an outer diameter of 67mm and a forming diameter of 34mm.

가진 조건은 가진 1의 경우 고전압 기준으로 강제 진동을 가한 후에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에서의 변위 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가진 2는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에 자유진동을 가한 후에 최대 변위 량을 측정하였다.As for the excitation condition, in case of excitation 1, the amount of displacement in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was measured after applying forced vibration based on high voltage. And excitation 2 measured the maximum amount of displacement after applying free vibration to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상기 제1 모델의 경우 가진 1에서 변위량이 1.02mm로 측정되었고, 가진 2의 경우 0.77mm로 측정되었다. 상기 가진 1은 기존의 다이아 프램 바디부에 비해 30% 정도 변위량이 감소됨으로써 불필요한 떨림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first model, the displacement in excitation 1 was measured as 1.02 mm, and in the case of excitation 2, it was measured as 0.77 mm.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excitation 1 is reduced by about 30% compared to the existing diaphragm body part,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vibration.

가진 2에서 제1 모델 은 최대 변위량이 925Hz에서 340mm로 측정되었고, 제2 모델은 최대 변위량이 948Hz에서 280mm로 측정되었다. 상기 가진 2는 기존의 다이아 프램 바디부에 비해 21% 정도 변위량이 감소됨으로써 불필요한 떨림이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In excitation 2, the maximum displacement of the first model was measured as 340 mm at 925 Hz, and the maximum displacement of the second model was measured as 280 mm at 948 Hz.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excitation 2 is reduced by about 21% compared to the existing diaphragm body part, thereby reducing unnecessary vibration.

이와 같이 포밍경의 비율에 따라 가진이 발생될 경우 변위량과 최대 변위량이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과 같이 라운드 부(106) 및 S1과 S2과 동일 길이로 연장될 경우 뒤틀림 모멘트를 감소시켜 진동에 따른 변위량이 증가되지 않고 최소화 할 수 있어 음질 향상에 유리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when excitation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forming diameter, the amount of displacement and maximum displacement are improved. In particular, when it is extended to the same length as the round part 106 and S1 and S2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isting moment is reduced. It can be seen that the amount of displacement due to vibration can be minimized without increasing, which is advantageous in improving sound quality.

상기 라운드 부(106)는 상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내측을 향해 연장되며, 도면에 도시된 형태 및 이동 궤적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round part 106 extends toward the inside of the diaphragm body part 102, and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shape and movement trajectory shown in the drawing.

상기 라운드 부(106)는 상기 라운드 부(106)는 상기 제1 연장부(104) 와 제2 연장부(108)를 서로 간에 연결하며 라운드지며 연장된 전체 연장 구간에서 상기 라운드 부(106)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 중 중앙 위치가 최대 돌출 위치(C)에 해당된다. 라운드 부(106)는 곡률이 제1 연장부(104) 의 연장된 단부에서부터 시작하여 중앙 위치에서 최대로 돌출된 후에 상기 제2 연장부(108)로 갈수록 감소되는 궤적이 유지된다.The round part 106 connects the first extension part 104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08 to each other, and the round part 106 is formed in a rounded and extended entire extension section. The central position of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corresponds to the maximum protruding position (C). The round portion 106 maintains a trajectory in which the curvature starts from the extended end of the first extension 104, protrudes to a maximum at the central position, and then decreases toward the second extension 108.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는 가진이 발생되는 방향이 도면 기준 상하 방향에서 발생되므로, 상기 라운드 부(106)의 라운드진 방향이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하측을 향해 라운드지며 연장되는 것이 가진 감소를 위해 유리할 수 있다.Since the direction in which excitation is generated in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based on the drawing, the rounded direction of the round portion 106 is rounded and extend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It can be advantageous for reduction.

상기 라운드 부(106)는 상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표면에서 제2 연장부(108) 보다 길게 연장된다. 이와 같이 라운드 부(106)가 제2 연장부(108) 보다 길게 연장되는 이유는 가진에 따른 진동이 상기 제2 연장부(108)로 전달되어 불필요한 떨림 또는 비틀림 모멘트가 증가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The round portion 106 extends longer tha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08 from the surface of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The reason why the round part 106 extends longer than the second extension part 108 in this way is to reduce unnecessary vibration or an increase in twisting moment due to vibration due to excitation being transmitted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108. .

이 경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에서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라운드 부(106)에 의해 감소될 수 있어 변위 및 변위량에 대한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In this case, even if vibration occurs in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it can be reduced by the round portion 106, thereby reducing the displacement and amount of displacement.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patent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2 : 다이아 프램 바디부
104 : 제1 연장부
105 : 개구부
106 : 라운드 부
S1, S2 : 제1,2 구간
102: Diaphragm body part
104: first extension part
105: opening
106: round part
S1, S2: 1st and 2nd sections

Claims (5)

전제적인 외형을 이루는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를 수직으로 내려다보았을 때 반경 방향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된 제1 연장부(104); 및
상기 제1 연장부(104)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정 중앙에 개구된 개구부(101)를 향해 라운드지며 연장 형성된 라운드 부(106)와, 상기 라운드 부(106)의 연장된 단부에서 상기 개구부(101)를 향해 연장된 제2 연장부(108)를 포함하되,
상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를 수직으로 내려다보았을 때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표면 길이 중 상기 제1 연장부(104)의 연장된 전체 길이를 제1 구간(S1)으로 정의하고, 상기 라운드 부(106)와 제2 연장부(108)의 연장된 전체 길이를 제2 구간(S2)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구간(S1)과 상기 제2 구간(S2)은 각각 동일 길이로 연장된 차량용 경음기.
A first extension portion 104 extending from the radial outer side toward the inner side when looking down at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forming the general outline vertically; and
a round portion 106 extending from an extended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04 toward an opening 101 at the center of the diaphragm body portion 102; and a round portion 106. Includes a second extension portion (108) extending from the extended end toward the opening (101),
When looking down at the diaphragm body 102 vertically, the entire extended length of the first extension 104 among the surface lengths of the diaphragm body 102 is defined as a first section S1, When defining the entire extended length of the round portion 106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08 as the second section S2, the first section S1 and the second section S2 each extend to the same length. A car horn.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부(106)는 상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차량용 경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ound part (106) is a vehicle horn exten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diaphragm body part (10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부(106)는 상기 제1 연장부(104) 와 제2 연장부(108)를 서로 간에 연결하며 라운드지며 연장된 전체 연장 구간에서 상기 라운드 부(106)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 중 중앙 위치가 최대 돌출 위치에 해당되는 차량용 경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ound part 106 connects the first extension part 104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08 to each other and is rounded and extends from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round part 106 in the entire extended section. A car horn whose central position corresponds to the maximum protruding posi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 부(106)는 상기 다이아 프램 바디부(102)의 표면에서 제2 연장부(108) 보다 길게 연장된 차량용 경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round part (106) is a vehicle horn extending longer than the second extension part (108) from the surface of the diaphragm body part (102).
KR1020220072226A 2022-06-14 2022-06-14 A vehicle horn KR1026337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226A KR102633706B1 (en) 2022-06-14 2022-06-14 A vehicle ho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226A KR102633706B1 (en) 2022-06-14 2022-06-14 A vehicle ho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724A KR20230171724A (en) 2023-12-21
KR102633706B1 true KR102633706B1 (en) 2024-02-06

Family

ID=8932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226A KR102633706B1 (en) 2022-06-14 2022-06-14 A vehicle hor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706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874Y1 (en) * 1995-12-20 1998-08-17 정몽원 Klaxon for a car
KR200144553Y1 (en) 1996-11-02 1999-06-15 이무원 Car horn
KR19990032405U (en) * 1997-12-31 1999-07-26 오상수 Body curling structure of car ho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1724A (en)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15669C (en) Pedal module
US20050151365A1 (en) Seat belt apparatus
JP2008051247A (en) Cylinder device
KR102633706B1 (en) A vehicle horn
JPH05288232A (en) Impact absorbing member made of resin
JP393928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tubular member with flange
JPH09226602A (en) Steering wheel
US9762993B2 (en) Horn apparatus
JP2007062540A (en) Vehicular sounding body system
KR101931208B1 (en) Two-way type horn sound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11213228A (en) Alarm sound generating device of electric automobile
JP3154321U (en) Hybrid bell
JP2006062635A (en) Impact absorbing member for automobile
JP5357079B2 (en) Horn unit
JPS6323257Y2 (en)
JP4781212B2 (en) Shock absorber for automobile
KR102240860B1 (en) A horn with buzzer function
JP4678161B2 (en) Van Pasty structure for automobiles
JP5580463B2 (en) Horn unit
KR20150124280A (en) Crashbox for vehicle
JP2017177863A (en) Automobile impact absorbing device
KR100198110B1 (en) Speaker for vehicle having advanced voice of low band
KR100627299B1 (en) Solenoid for sudden acceleration control of vehicles
KR102471391B1 (en) Vehicle horn
JP3203216B2 (en) Vehicle horn stays and vehicle ho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