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602B1 -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Amomi Fructus Rotundus Extract - Google Patents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Amomi Fructus Rotundus Extra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602B1
KR102633602B1 KR1020210160256A KR20210160256A KR102633602B1 KR 102633602 B1 KR102633602 B1 KR 102633602B1 KR 1020210160256 A KR1020210160256 A KR 1020210160256A KR 20210160256 A KR20210160256 A KR 20210160256A KR 102633602 B1 KR102633602 B1 KR 102633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extract
microbial flora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2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48705A (en
Inventor
김태종
신지수
Original Assignee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20148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87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602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두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에 유익한 미생물의 생장을 촉진하고 피부에 유해한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that can improve skin microbial flora containing Baekdu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Baekdu extract, can exhibit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kin microbial flora by promo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beneficial to the skin and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harmful to the skin. Accordingly,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Description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Amomi Fructus Rotundus Extract}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Amomi Fructus Rotundus Extract}

본 발명은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유익균의 생장은 촉진하면서 피부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that can improve the skin microbial flora by promoting the growth of beneficial skin bacteria and suppressing the growth of harmful skin bacteria by containing a Baekdu extract.

피부는 인체를 보호하는 선천성 면역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외피 체계의 조직으로, 외부에 존재하여 끊임없이 병원성 미생물과 미세먼지와 같은 해로운 물질에 노출된다. 건강한 피부도 병원성이 강한 미생물에 노출되면 감염증상이 일어나며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피부의 공생 미생물의 도움이 필요하다. The skin is a tissue of the integumentary system that plays a central role in innate immunity that protects the human body. It exists on the outside and is constantly exposed to harmful substances such as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fine dust. Even healthy skin develops infection symptoms when exposed to highly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the help of symbiotic microorganisms on the skin is needed to suppress this.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 균총인 스킨 마이크로바이옴(skin microbiome)에는 피부에 유익한 균과 유해한 균이 공생한다. 예를 들어, 피부에 존재하는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는 피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 중 하나로,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는 부위에 비정상적으로 많이 분포하거나 화농성 피부 염증을 일으키는 유해균이다. 따라서,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하여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와 같은 유해균에 대해 항균 효과 및 생육 억제 효과를 갖는 물질이 연구되었다. In the skin microbiome, the microbial flora that exists on the skin, beneficial and harmful bacteria coexist. For example, Staphylococcus aureus ( Staphylococcus aureus ) present on the skin is one of the causative bacteria that causes skin diseases, and is a harmful bacteria that is abnormally distributed in areas with atopic dermatitis or causes purulent skin inflammation. .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or treat skin diseases, substances with antibacterial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n harmful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have been studied.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13769호에서는 절임식품에서 유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가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및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에 대해 항균 및 생육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다. For exampl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313769 states that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derived from pickled foods can exert antibacterial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Propionibacterium acnes. It is listed.

그런데, 이와 같이 살아있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경우 유통 및 보관 시 안정성이 높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피부에서는 유해균과 유익균이 균형있는 미생물 균총을 형성할 때 유익한 효과가 나타나나, 상기 기술은 피부 유해균에 대한 영향만을 기재하고 있을 뿐 피부 유익균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술적 방안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However, when using live microorganisms in this wa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stability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is not high. In addition, beneficial effects appear when a balanced microbial flora of harmful and beneficial bacteria is formed on the skin, but the above technology only describes the effect on skin harmful bacteria and does not consider technical measures to promote beneficial skin bacteria.

한편,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는 피부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상재균 중 하나로, 문헌 [Baviera et al.,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4, 436921]에 따르면 피부 미생물 균총의 유익균으로서 병원균에 대한 항균 펩타이드를 생성하고, 피부 장벽 기능을 유지하며, 면역 반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Meanwhile, Staphylococcus epidermidis is one of the most abundant bacteria present on the skin, an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Baviera et al.,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 2014, 436921], it is a beneficial bacteria in the skin microflora and has an anti-pathogenic effect on pathogens. It has been reported to produce antibacterial peptides, maintain skin barrier function, and influence immune responses.

이와 같이 피부에 유익한 공생균은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비하거나, 피부를 약산성으로 만들어 다른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고,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자극하여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대응력을 증강시키며 피부에 선점하여 병원성 미생물의 피부 접촉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피부에 유익한 공생균의 도움을 받아야 하고, 균총 내 미생물 간의 균형이 깨지면 피부 질환이 발병하게 된다.In this way, symbiotic bacteria that are beneficial to the skin secrete substances that inhibi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make the skin slightly acidic and inhibit the growth of other microorganisms, and stimulate the body's immune system to strengthen the response to pathogenic microorganisms and protect the skin. Preemptively reduce skin contact with pathogenic microorganisms.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healthy skin, you must receive help from symbiotic bacteria that are beneficial to the skin, and when the balance between microorganisms in the flora is broken, skin diseases develop.

이에 따라,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유해균을 사멸시키거나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이 아니라, 피부 유해균의 생장을 억제하면서 유익균의 생장을 선별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Accordingly, in order to improve the skin microbial flora, research is needed on substances that can selectively promote the growth of beneficial bacteria while suppressing the growth of harmful skin bacteria, rather than substances that simply kill or inhibit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백두구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에서 유익균 및 유해균의 분포를 개선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In this situation,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overed that the distribution of beneficial and harmful bacteria in the skin microbial flora could be improved by using Baekdu extract,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유익균의 생장은 촉진하면서 피부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that can improve the skin microbial flora by promoting the growth of beneficial skin bacteria while suppressing the growth of harmful skin bacteri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mprising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including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두구(Amomi Fructus Rotund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containing Amomi Fructus Rotund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에서, 상기 백두구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및 압착 추출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으로 백두구를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ekdu extract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Baekdu using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lvent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and compression extrac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백두구 추출물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 용매로 백두구를 추출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ekdu extract contains methanol, ethanol, propanol, 1,3-propanediol, butanol, pentanol, hexanol,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acetone, ethyl acetate, butylacetate, It may be obtained by extracting white bean sprouts with an extraction solvent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diethyl ether, dichloromethane, hexane, and water.

본 발명에서, 상기 백두구 추출물의 농도는 0.01mg/mL 내지 0.1g/mL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ntration of the Baekdu extract may be 0.01 mg/mL to 0.1 g/mL.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유익균의 생장을 촉진하고 피부 유해균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can promote the growth of beneficial skin bacteria and inhibit the growth of harmful skin bacteria.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유익균은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eficial skin bacteria may be Staphylococcus epidermidis .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유해균은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태필로코커스 시뮬란스(Staphylococcus simulans) 및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Staphylococcus warner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harmful bacteria may be one or mor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phylococcus aureus , Staphylococcus simulans , and Staphylococcus warneri . .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including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 또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일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improve atopic skin or acne skin.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comprising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접촉성 피부염 및 지루성 피부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diseas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opic dermatitis, acne, contact dermatitis, and seborrheic dermatitis.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백두구 추출물은 피부에 유익한 미생물의 생장을 촉진하고 피부에 유해한 병원성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미생물의 생장을 선별적으로 조절하는 스킨 프리바이오틱스 활성을 통해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은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Baekdu extrac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beneficial to the skin and inhibits the growth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harmful to the ski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xert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through skin prebiotic activity that selectively regulates the growth of skin microorganisms. Accordingly,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for improving ski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백두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의 생장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백두구 추출물 처리에 의한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의 배가 시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를 혼합 배양한 경우 백두구 추출물에 의한 세포 밀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백두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의 세포 밀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백두구 추출물 처리에 의한 스태필로코커스 시뮬란스 및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의 세포 밀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shows the growth curve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as a result of processing Baekdu ex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change in doubling time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by treatment with Baekdu extrac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the change in cell density due to Baekdu extract when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were mixed cultur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change in cell density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Baekdu extract in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changes in cell density of Staphylococcus simulans and Staphylococcus warneri due to treatment with Baekdu extrac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형태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implementation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general, the nomenclature used herein is well known and commonly used in the art.

본 발명은 백두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containing Baekdu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명세서에서, "미생물 균총(microbiome)"은 인체에 존재하는 세균(박테리아), 곰팡이 및 기타 원핵생물을 모두 포함하는 미생물 군집을 의미하며, "피부 미생물 균총(skin microbiome)"이란 피부에 존재하는 미생물 균총을 의미한다. 피부 미생물 균총은 피부염, 여드름, 화농 등 피부에 유해한 증상을 유발하는 피부 유해균, 및 피부 보습 유지, 활성 산소 제거, 유해균 생장 억제 등과 같이 피부에 이로운 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유익균을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microbiome” refers to a microbial community that includes all bacteria, fungi, and other prokaryotes present in the human body, and “skin microbiome” refers to the microbial community present on the skin. It means microbial flora. The skin microbial flora includes skin harmful bacteria that cause harmful skin symptoms such as dermatitis, acne, and suppuration, and skin beneficial bacteria that have beneficial effects on the skin, such as maintaining skin moisture, removing active oxygen, and inhibiting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본 명세서에서,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이란 인체에 유익한 방향으로 피부 미생물의 균총이 변화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피부에서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하고, 유익균의 생장은 촉진하는 활성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improvement of skin microbial flora”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skin microbial flora changes in a direction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Specifically, it refers to the activity of suppressing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on the skin and promoting the growth of beneficial bacteria. can do.

본 발명에서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백두구(Amomi Fructus Rotundus)는 소화기계 질환에 자주 쓰는 약재로서, 몸 안의 습을 없애고 몸을 따뜻하게 하여 기를 잘 통하게 하고 구토를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백두구의 효능으로는 위액분비를 촉진하고 위장의 운동을 강화하는 효능, 장내 이상발효를 억제하고 가스를 잘 나가게 하여 입맛을 돋우고 소화불량, 식적을 없애는 효능 등이 알려져 있으나, 피부의 미생물 균총, 즉 스킨 마이크로바이옴(skin microbiome)을 개선하는 효능은 알려진 바 없다.Amomi Fructus Rotundus, which is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dicinal herb frequently used for digestive system diseases, and has the effect of removing moisture in the body, warming the body, improving energy circulation, and stopping vomiting. there is. In addition, the efficacy of white bean sprouts is known to promote the secretion of gastric juice, strengthen the movement of the stomach, suppress abnormal fermentation in the intestines, stimulate the appetite by expelling gas, and eliminate indigestion and food loss. However, the microbial flora on the skin That is, the efficacy of improving the skin microbiome is not known.

본 발명은 백두구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피부 유해균 생장은 억제하는 동시에 유익균 생장을 촉진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mproving the skin microbial flora by suppressing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on the skin and promoting the growth of beneficial bacteria at the same time by using Baekdu extract.

본 발명에서, 백두구 추출물은 백두구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생약재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건조물의 분쇄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조추출물(crude extract) 및 용매 분획물(solvent fraction)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aekdu extract refers to a substance obtained by extracting components of Baekdu. The “extract” refers to the extract itself and the extract, such as the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treatment of herbal medicine, the diluted or concentrated liquid of the extract, the crude or purified product of the extract, the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the pulverized product of the dried product, or a mixture thereof. It is meant to include extracts of all formulations that can be formed using , and is interpreted to include crude extract and solvent fra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서, 백두구 추출물은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두구에 추출 용매를 첨가하여 교반한 후 여과함으로써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ekdu extract can be obtained using a solvent extraction method. Specifically, the extract can be prepared by adding an extraction solvent to Baekdu Gu, stirring, and then filtering.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피부의 유해균 및 유익균에 대한 선별적 생장 조절 측면에서,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raction solvent is methanol, ethanol, propanol, 1,3-propanediol, butanol, pentanol, hexanol,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acetone, ethyl acetate, butylacetate,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loroform, diethyl ether, dichloromethane, hexane, and water. Among these, in terms of selective growth control of harmful and beneficial bacteria on the skin, it may be preferable to include methanol or ethanol.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서, 건조상의 백두구 1g당 1 내지 100mL, 바람직하게 5 내지 50mL의 추출 용매를 첨가하고 교반함으로써 백두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 때, 추출 온도는 실온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일 수 있고, 추출 시간은 30분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시간일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ekdu extract can be obtained by adding 1 to 100 mL, preferably 5 to 50 mL, of extraction solvent per gram of dried Baekdu, and stirring. At this time, the extraction temperature may be room temperature to 100°C, preferably 40 to 60°C, and the extraction time may be 30 minutes to 10 hours, preferably 1 to 5 hours.

또는, 추출 방법으로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초임계 추출은 이산화탄소와 같은 초임계 유체(supercritical fluid)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유기용매를 보조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출 방법으로 원료에 압력을 가하여 추출하는 압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supercritical extraction may be used as an extraction method. Supercritical extraction can be performed using a supercritical fluid such as carbon dioxide, and an organic solven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solvent.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compression method of extracting the raw material by applying pressure as an extraction method.

본 발명에서, 추출 공정을 통해 추출액을 얻은 다음, 여과하는 단계, 분리하는 단계, 농축하는 단계 및 건조하는 단계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각 단계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는 추출액을 필터에 통과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분리는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농축은 감압 증류를 통해 수행될 수 있고, 건조는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추가로, 건조상의 추출물은 분쇄하는 단계를 거쳐 분말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등 적절한 용매로 재용매화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obtaining the extract through an extraction process, one or more steps of filtering, separating, concentrating, and drying may be further performed. At this time, each step can be performed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filtration may be performed by passing the extract through a filter, separation may be performed by chromatographic methods, concentra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reduced pressure distillation, and drying may be performed using freeze-drying or spray drying. It can be. Additionally, the dried extract can be prepared into powder form through a grinding step and, if necessary, resolvated with an appropriate solvent such as dimethyl sulfoxide (DMSO).

본 발명에 따르면, 백두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피부 유해균의 생장을 억제하거나 피부 유익균의 생장을 촉진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할 수 있다. 이 때,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라는 표현은 백두구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이 백두구 추출물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경우, 백두구 추출물은 0.01mg/mL 내지 0.1g/mL, 바람직하게 0.05mg/mL 내지 0.01g/mL, 더 바람직하게 0.1 내지 1mg/m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kin microbial flora can be improved by suppressing the growth of harmful skin bacteria or promoting the growth of skin beneficial bacteria by using a composition containing the Baekdu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t this time, the expression “including as an active ingredient” means containing a sufficient amount to achieve the efficacy or activity of the Baekdu extract. For example, when the composition includes a Chrysanthemum extract and a solvent, the Chrysanthemum extract is present at a concentration of 0.01 mg/mL to 0.1 g/mL, preferably 0.05 mg/mL to 0.01 g/mL, more preferably 0.1 to 1 mg/mL. can be included.

본 발명의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은 유해균의 생장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동시에 유익균의 생장은 활성화시킴으로써, 유익균과 유해균의 구별 없이 모든 미생물을 제거하는 기존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생물의 분류학상 같은 속에 속하는 균주임에도 불구하고 종에 따라 선택적으로 생장을 촉진 또는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장점이 있다.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s of existing technologies that remove all microorganisms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beneficial and harmful bacteria by selectively inhibiting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and activating the growth of beneficial bacteria at the same time. In particular, it has a special advantage in that it can selectively promote or inhibit growth depending on the species, even though it is a strain that belongs to the same genus taxonomically.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백두구 추출물은 피부 유해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태필로코커스 시뮬란스(Staphylococcus simulans) 및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Staphylococcus warneri)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피부 유익균인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ekdu extrac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the skin microbial flor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simulans , and Staphylococcus warneri, which are harmful bacteria to the skin. warneri ) and can promote the growth of Staphylococcus epidermidis , a beneficial skin bacteria.

상기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즉 황색포도상구균은 그람 양성(gram-positive)의 혐기성 세균으로 사람이나 가축의 피부, 비강 표면에 존재하며, 피부의 화농, 중이염, 방광염 등 화농성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아토피 환자의 80~90%는 피부에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가 매우 높은 비율로 분포하며,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생장 제어가 피부과 질환, 예를 들어 아토피성 피부염과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Tomczak et al., Advances in Dermatology and Allergology 4, August 2019, 485-491 참조). 또한, 상기 스태필로코커스 시뮬란스(Staphylococcus simulans)는 병원성을 가진 그람 양성균으로, 피부의 세균집락화를 초래하고, 피부 및 연조직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Shields et al., JAAD Case Rep. 2, 2016, 428-429 참조),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Staphylococcus warneri)는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게서 감염을 유발하는 병원균으로 알려져 있다. Staphylococcus aureus, that is, Staphylococcus aureus , is a gram-positive anaerobic bacterium that exists on the skin and nasal surfaces of humans and livestock, and causes purulent diseases such as skin suppuration, otitis media, and cystitis. It is known as the causative bacteria. In addition, 80-90% of atopic patients have a very high propor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on their skin, and it has been reported that Staphylococcus aureus growth control is related to dermatological diseases, such as atopic dermatitis. (See Tomczak et al., Advances in Dermatology and Allergology 4, August 2019, 485-491). In addition, Staphylococcus simulans is a pathogenic Gram-positive bacterium and is known to cause bacterial colonization of the skin and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Shields et al., JAAD Case Rep. 2, 2016 , 428-429), Staphylococcus warneri is known to be a pathogen that causes infection in patients with weakened immunity.

한편,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즉 표피포도상구균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상재균으로서, 항염증 작용을 가지며,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와 같은 피부 유해균의 과다 증식을 억제하여 미생물 균총을 정상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Kim et al.,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46, 1, 2020, 23-29 참조), 피부 pH의 정상화, 외부 유해 인자에 대한 피부 장벽 등 피부 개선에 관여하는 유익균이다(Prescott et al., World Allergy Organization Journal, 2017, 10:29 참조).Meanwhile, Staphylococcus epidermidis, or Staphylococcus epidermidis , is a common bacteria that is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has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nhibits the overgrowth of harmful skin bacteria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thereby preventing microorganisms. It can play a role in normalizing the flora (see Kim et al.,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46, 1, 2020, 23-29) and improve skin, such as normalizing skin pH and skin barrier against external harmful factors. It is a beneficial bacteria involved in (see Prescott et al., World Allergy Organization Journal , 2017, 10:29).

이와 같이, 백두구 추출물은 상기 피부 유해균의 생장을 억제하고 피부 유익균의 생장을 촉진하여 피부 미생물 균총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pH 조절, 장벽 강화 등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여드름, 아토피, 기타 염증성 피부를 개선하거나, 이와 같은 피부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In this way, the Baekdu extract show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kin microbial flora by suppressing the growth of the skin harmful bacteria and promoting the growth of the skin beneficial bacteria. Accordingly,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skin-improving effects, such as adjusting skin pH and strengthening the barrier, improving acne, atopic dermatitis, and other inflammatory skin, or preventing or treating such skin diseases.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은 천연물 유래 식용 식물을 이용함으로써 부작용의 우려가 없어 인체에 대한 안정성을 나타내며, 종래의 치료제인 항생제나 스테로이드제와 달리 내성 및 부작용의 우려가 낮고, 안전성이 보장된 천연 식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자외선 치료나 표백제 목욕 요법의 낮은 안전성 및 부작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safety to the human body as there is no concern about side effects by using edible plan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and unlike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such as antibiotics or steroids, there is low concern about resistance and side effects, and it is safe. By using this guaranteed natural edible plant extract, the problems of low safety and side effects of ultraviolet light treatment or bleach bath therapy can be solved.

본 발명의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은 추출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스킨 프로바이오틱스(skin probiotics)에 비하여 유통 과정에서 안정성이 높다. 또한, 외부의 미생물을 첨가하는 스킨 프로바이오틱스와 달리 인체에 존재하고 있던 미생물의 생장을 선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개개인의 미생물 균총을 맞춤형으로 개선할 수 있다.Because the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extracts, it has higher stability during distribution compared to skin probiotics that use live microorganisms. In addition, unlike skin probiotics that add external microorganisms, each individual's microbial flora can be customized and improved by selectively controll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existing in the human body.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또한,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aekdu extract.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피부의 미생물 균총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피부 장벽 강화, pH 조절, 보습 등 피부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기능성 화장품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아토피 피부, 여드름 피부 등 문제성 피부의 개선에 이용될 수 있다. Since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microbial flora of the skin by containing Baekdu extract, it can be used as a functional cosmetic to improve skin conditions such as strengthening the skin barrier, adjusting pH, and moisturizing, especially for atopic skin and acne skin. It can be used to improve problematic skin.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용액, 유탁액, 현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렌징, 오일, 분말 또는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can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 commonly prepared in the art, for example, solution, emulsion, suspension, paste, gel, cream, lotion, powder, soap, cleansing , may be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il, powder, or spray.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olution or emulsion, a solvent, solvat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can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For example,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3-butyl 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 glycol, or fatty acid ester of sorbitan can be used.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suspension, the carrier component includes water, a liquid diluent such as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 may be used.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겔, 크림 또는 로션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 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paste, gel, cream or lotion, animal fiber, plant fiber, wax, paraffin, starch, tracant,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etc. may be used.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powder or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can be used as the carrier ingredient,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spray, chlorofluorohydride may be used as a carrier ingredient. May contain propellants such as carbon, propane/butane or dimethyl ether.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오일,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s cleansing, the carrier ingredients include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 taurate, sarcosinate, and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 alkylamidobetaine, fatty alcohol, fatty acid glyceride, fatty acid diethanolamide, vegetable oil, linoline derivative,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 can be used.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은 또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어려움 없이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The cosmetic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other ingredients that can have a synergistic effect on the main effec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main effect aimed at b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ifficulty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of the cosmetic. You can select and mix them.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용도 및 기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저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도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and func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For example,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e lotion, nutritional lotion, massage cream, nutritional cream, moisture cream, hand cream, foundation, essence, nutritional essence. , pack, soap, cleansing fo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body lotion, and body cleanser may have one or more uses and func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백두구 추출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보습제, 용해화제, 비타민, 자외선 흡수제,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 방부제, 살균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not only the Baekdu extract, but also ingredi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moisturizers, solubilizers, vitamins, ultraviolet absorbers, pigments, and fragrances. It may include, and may further include preservatives, disinfectants, etc.

본 발명은 또한,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containing a Baekdu extract.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백두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여, 피부 유해균의 생장을 억제하고 피부 유익균의 생장을 촉진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여드름, 접촉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등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s Baekdu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exert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kin microbial flora by suppressing the growth of harmful skin bacteria and promoting the growth of beneficial skin bacteria. Therefor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skin diseases such as atopic dermatitis, acne, contact dermatitis, and seborrheic dermatitis.

상기 약학 조성물은 백두구 추출물 외에,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n addition to the Baekdu extract,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ppropriat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re those commonly used in preparation, and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starch, gum acacia, calcium phosphate, alginate, gelatin, calcium silicate, microcrystalline cellulose,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polyvinylpyrrolidone, cellulose, water, syrup, methyl cellulose,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화에 관해서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 component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lubricants, wetting agents, sweeteners, flavoring agents, emulsifiers, suspending agents, preservatives, etc. Regarding suitabl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and formulations, they can be preferably formulated according to each ingredient using the method disclosed in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모두 가능하며, 비경구 투여는 경피 투여,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외용제로 이용되어 경피 투여될 수 있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either orally or parenterally, and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s transderm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etc. Preferably,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external agent and administered transdermally.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또는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또는 비등 혼합물 및/또는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Dosage form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for example, tablets, pills, hard and soft capsule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fiers, syrups, granules, etc. These dosage forms contain diluents (e.g. lactose, dextrose, water)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crose, mannitol, sorbitol, cellulose and/or glycine), lubricants (e.g. silica, talc, stearic acid and magnesium or calcium salts thereof and/or polyethylene glycol). Additionally, the tablets may contain binders such as magnesium aluminum silicate, starch paste, gelatin, tragacanth, m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or polyvinylpyrrolidine, and in some cases starch, agar, alginic acid. or disintegrants such as sodium salts thereof or effervescent mixtures and/or absorbents, colorants, flavoring and sweetening agents. The formulation can be prepared by conventional mixing, granulating or coating methods.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제이며, 주사용 제제의 용매로서 물, 링거액, 등장성 생리 식염수 또는 현탁액을 들 수 있다. 상기 주사용 제제의 멸균 고정 오일은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노-, 디-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여 어떠한 무자극성 고정오일도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용 제제는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representative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are injectable formulations, and solvents for the injectable formulation include water, Ringer's solution, isotonic saline solution, or suspension. The sterile fixed oil of the injectable preparation can be used as a solvent or suspending medium, and any non-irritating fixed oil, including mono- and di-glycerides,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Additionally, the injectable preparation may use fatty acids such as oleic acid.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In the present invention,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with a reasonable benefit/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determined by the type, severity, and activity of the patient's disease. , can be determined based on factors including sensitivity to the drug,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excretion rate, duration of treatment, concurrently used drugs,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field of medicine.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ingly or multiple times. Considering all of the above factor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achieve the maximum effect with the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and this can be easily determined by a technician with ordinary knowledge.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kg 당 0.001 내지 500mg,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Specifically, the effective amount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patient's age, gender, and weight, and is generally administered at 0.001 to 500 mg per 1 kg of body weight, preferably 0.01 to 100 mg every day or every other day, or 1 to 1 mg per day. It can be administered in three divided doses. However, since it may increase or decrease depending 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gender, weight, age, etc., the abov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실험방법과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examples below. However, these examples show some experimental methods and configurations to illustrative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제조예 1: 백두구 추출물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Baekdu extract

백두구 30g을 계량하여 500mL flask에 담고, 95% 메탄올 또는 에탄올 300mL를 첨가하였다. 50℃ 항온수조에 3시간 방치하면서, 30분마다 1회, 총 5회 교반하였다. 그 다음, 직경 90mm의 정성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1)로 여과하고, 회전농축기로 농축한 후 72시간 동결건조하였다. 건조된 추출물 0.05g을 계량한 후, DMSO 1mL에 녹여 실험에 사용할 샘플을 제조하였다.Weighed 30g of Baekdu Gu and placed it in a 500mL flask, and added 300mL of 95% methanol or ethanol. It was left in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at 50°C for 3 hours and stirred once every 30 minutes, a total of 5 times. Next, it was filtered through qualitative filter paper (Whatman Filter paper No. 1) with a diameter of 90 mm, concentrated using a rotary concentrator, and then freeze-dried for 72 hours. After weighing 0.05 g of the dried extract, it was dissolved in 1 mL of DMSO to prepare a sample to be used in the experiment.

실험 준비: 균주 전배양Experiment preparation: strain pre-culture

피부 유해균으로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 aureus KCTC 3881)를 이용하고, 피부 유익균으로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 epidermidis KCTC 1917)를 이용하였다.Staphylococcus aureus ( S. aureus KCTC 3881) was used as a skin harmful bacteria,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 S. epidermidis KCTC 1917) was used as a skin beneficial bacteria.

각 균을 고체배지(Nutrient agar)에 3단 도말하여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단일 콜로니를 취하여 20mL 액체배지(Nutrient broth)에 넣고 37℃, 250rpm, 18시간 조건으로 배양하여 생장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Each bacteria was plated in three layers on solid medium (Nutrient agar) and cultured at 37°C for 24 hours. Afterwards, a single colony was taken, placed in 20mL Nutrient broth, grown by culturing at 37°C, 250rpm, 18 hours, and used in the experiment.

실험예 1: 추출물 처리에 의한 피부 유익균 및 유해균의 생장 속도 차이 분석Experimental Example 1: Analysis of differences in growth rates of beneficial and harmful skin bacteria by extract treatment

Nutrient broth 20mL에 제조예 1의 메탄올 추출물 샘플을 200μL 처리하고, 전배양한 균을 0.05(Abs600nm)의 농도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대조군(control)으로서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샘플에 동일한 방법으로 균을 접종하였다. 그 후, 6시간 동안 본배양(37℃, 250rpm)하고, 1시간마다 흡광도를 600nm 파장으로 측정하였다. 기록한 흡광도 값으로 시간에 따른 균의 생장 곡선(growth curve)을 log scale로 작성하고, S. aureus (a) 및 S. epidermidis (b)의 생장 곡선을 도 1에 나타내었다.200 μL of the methanol extract sample of Preparation Example 1 was treated with 20 mL of nutrient broth, and the pre-cultured bacteria were inoculated to a concentration of 0.05 (Abs 600 nm ). As a control, samples without extract were inoculated with bacteria in the same manner. Afterwards, main culture was performed (37°C, 250 rpm) for 6 hours, and absorbance was measured every hour at a wavelength of 600 nm. A growth curve of bacteria over time was created on a log scale using the recorded absorbance values, and the growth curves of S. aureus (a) and S. epidermidis (b) are shown in Figure 1.

또한, 이로부터 지수 생장기(exponential phase)의 직선을 결정하여 배가 시간(doubling time)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도 2 및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배가 시간은 미생물이 지수기 생장할 때 그 세포수가 두 배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straight line of the exponential phase was determined from this to calculate the doubling tim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and Table 1 below. Doubling time refers to the time it takes for the number of cells to double when a microorganism grows exponentially.

구분division ControlControl 백두구Baekdu-gu S. aureusS. aureus 33.6733.67 52.6652.66 S. epidermidisS. epidermidis 76.1876.18 54.9554.95

상기 생장 곡선 및 배가 시간 계산 결과에 따르면, 백두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S. aureus의 생장 속도는 느린 반면, S. epidermidis의 생장 속도는 빠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ccording to the growth curve and doubling time calculation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when treated with Baekdu extract, the growth rate of S. aureus was slow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 growth rate of S. epidermidis was fast.

이를 통해, 백두구 추출물이 피부 유해균인 S. aureus의 생장을 억제하고, 피부 유익균인 S. epidermidis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Baekdu extract can inhibit the growth of S. aureus , a skin-harmful bacteria, and promote the growth of S. epidermidis , a skin-beneficial bacteria.

실험예 2: 추출물 처리에 의한 피부 유익균 및 유해균의 세포 밀도 변화 측정Experimental Example 2: Measurement of changes in cell density of beneficial and harmful skin bacteria by extract treatment

Nutrient broth 20mL에 제조예 1의 메탄올 또는 에탄올 추출물 샘플을 200μL 처리하고, 전배양한 S. aureusS. epidermidis를 각각 0.05(Abs600nm)의 농도가 되도록 두 균을 함께 접종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샘플에 동일한 방법으로 균을 접종하였다. 200 μL of the methanol or ethanol extract sample of Preparation Example 1 was treated with 20 mL of nutrient broth, and the two bacteria were inoculated with pre-cultured S. aureus and S. epidermidis at a concentration of 0.05 (Abs 600 nm ), respectively. As a control, samples without extract were inoculated with bacteria in the same manner.

그 후, 3시간 동안 본배양(37℃, 250rpm)하고, Nutrient broth를 이용해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였다. Nutrient agar plate에 희석한 배양액 100μL를 spreading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밀도(colony forming unit/mL, CFU/mL)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a)는 메탄올 추출물 처리 샘플의 결과이며, (b)는 에탄올 추출물 처리 샘플의 결과이다.Afterwards, main culture was performed (37°C, 250rpm) for 3 hours and diluted to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using Nutrient broth. 100 μL of the diluted culture was spread on a nutrient agar plate and cultured at 37°C for 24 hours. Cell density (colony forming unit/mL, CFU/mL)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3. In Figure 3, (a) is the result of the methanol extract treated sample, and (b) is the result of the ethanol extract treated sample.

도 3을 참조하면, 두 균을 함께 배양한 경우 백두구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S. aureus의 세포 밀도가 매우 낮은 한편, S. epidermidis의 세포 밀도는 매우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Referring to Figure 3, when the two bacteria were cultured together,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Baekdu extract showed a very low cell density of S. aureu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le the cell density of S. epidermidis was very high.

이에 따라, 피부 유익균 및 유해균이 공존하는 환경에 백두구 추출물을 처리하는 경우, 유해균의 생장이 억제되는 한편 유익균의 생장은 촉진되어 피부 미생물 균총이 개선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Accordingly, when Baekdu extract was treated in an environment where beneficial and harmful skin bacteria coexist, the growth of harmful bacteria was suppressed while the growth of beneficial bacteria was promoted, resulting in an improvement in the skin microbial flora.

실험예 3: 추출물 농도에 따른 피부 유익균 및 유해균의 세포 밀도 변화 측정Experimental Example 3: Measurement of changes in cell density of beneficial and harmful skin bacteria according to extract concentration

Nutrient broth 20mL에 추출물 샘플을 200μL 처리하고, 전배양한 S. aureusS. epidermidis를 각각 0.05(Abs600nm)의 농도가 되도록 두 균을 함께 접종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샘플에 동일한 방법으로 균을 접종하였다. 200 μL of the extract sample was added to 20 mL of nutrient broth, and the pre-cultured S. aureus and S. epidermidis were inoculated together at a concentration of 0.05 (Abs 600 nm ). As a control, samples without extract were inoculated with bacteria in the same manner.

그 후, 3시간 동안 본배양(37℃, 250rpm)하고, Nutrient broth를 이용해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였다. Nutrient agar plate에 희석한 배양액 100μL를 spreading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밀도(colony forming unit/mL, CFU/mL)를 측정하고 대조군 대비 변화율을 계산하였다.Afterwards, main culture was performed (37°C, 250rpm) for 3 hours and diluted to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using Nutrient broth. 100 μL of the diluted culture was spread on a nutrient agar plate and cultured at 37°C for 24 hours, then the cell density (colony forming unit/mL, CFU/mL) was measured and the rate of chan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as calculated.

상기 방법에 따라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를 0.25, 0.375, 0.5, 0.75 및 1mg/mL로 조절하여 실험을 수행하고, 세포 밀도 변화율 결과 그래프를 도 4에 나타내었다.According to the above metho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the methanol extract to 0.25, 0.375, 0.5, 0.75, and 1 mg/mL, and a graph of the cell density change rate results is shown in Figure 4.

도 4의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백두구의 메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해 S. aureus의 세포 밀도는 현저히 감소하면서 S. epidermidis의 농도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n FIG. 4, it was confirmed that the cell density of S. aureus was significantly reduced while the concentration of S. epidermidis was increased by treatment with the methanol extract of Baekdugu.

실험예 4: 추출물 처리에 의한 기타 피부 유해균의 세포 밀도 변화 측정Experimental Example 4: Measurement of changes in cell density of other skin harmful bacteria by extract treatment

피부 유해균으로서 스태필로코커스 시뮬란스(S. simulans) 및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S. warneri)를 상기 균주 전배양 방법으로 배양하여 준비하였다.As skin harmful bacteria, Staphylococcus simulans ( S. simulans) and Staphylococcus warneri ( S. warneri) were prepared by culturing them using the above strain pre-culture method.

Nutrient broth 20mL에 제조예 1의 메탄올 추출물 샘플을 200μL 처리하고, 전배양한 균을 0.05(Abs600nm)의 농도가 되도록 접종하였다. 대조군(control)으로서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샘플에 동일한 방법으로 균을 접종하였다. 200 μL of the methanol extract sample of Preparation Example 1 was treated with 20 mL of nutrient broth, and the pre-cultured bacteria were inoculated to a concentration of 0.05 (Abs 600 nm ). As a control, samples without extract were inoculated with bacteria in the same manner.

그 후, 3시간 동안 본배양(37℃, 250rpm)하고, Nutrient broth를 이용해 적절한 농도로 희석하였다. Nutrient agar plate에 희석한 배양액 100μL를 spreading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S. simulans (a) 및 S. warneri (b)의 세포 밀도(colony forming unit/mL, CFU/mL)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Afterwards, main culture was performed (37°C, 250rpm) for 3 hours and diluted to an appropriate concentration using Nutrient broth. Spread 100 μL of the diluted culture on a nutrient agar plate, culture for 24 hours at 37°C, and then measure the cell density (colony forming unit/mL, CFU/mL) of S. simulans (a) and S. warneri (b). The measurements were mad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5.

도 5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백두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S. simulans S. warneri의 세포 밀도가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백두구 추출물이 피부 유해균에 속하는 S. simulans S. warneri의 생장 또한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can be seen in Figure 5, when treated with Baekdu extract, the cell density of S. simulans and S. warneri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Baekdu extract was effective in suppressing the growth of S. simulans and S. warneri , which are harmful skin bacteria.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From the above descrip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In this regard,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thereof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백두구(Amomi Fructus Rotund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comprising Amomi Fructus Rotund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두구 추출물이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및 압착 추출법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으로 백두구를 추출하여 얻어진,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wherein the Baekdu extract is obtained by extracting the Baekdu extract using one or more method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lvent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and compression extra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두구 추출물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 용매로 백두구를 추출하여 얻어진,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The Baekdu extract contains methanol, ethanol, propanol, 1,3-propanediol, butanol, pentanol, hexanol, prop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glycerin, aceton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chloroform, diethyl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obtained by extracting white bean sprouts with an extraction solvent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er, dichloromethane, hexane, and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두구 추출물의 농도가 0.01mg/mL 내지 0.1g/mL인,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wherein the concentration of the Baekdu extract is 0.01 mg/mL to 0.1 g/m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피부 유익균의 생장을 촉진하고 피부 유해균의 생장은 억제하는,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wherein the composition promotes the growth of skin beneficial bacteria and inhibits the growth of skin harmful bacteri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유익균이 스태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인,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5,
A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wherein the beneficial skin bacteria are Staphylococcus epidermidis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유해균이 스태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스태필로코커스 시뮬란스(Staphylococcus simulans) 및 스태필로코커스 와르네리(Staphylococcus warneri)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피부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5,
For improving skin microbial flora, wherein the skin harmful bacteria ar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phylococcus aureus , Staphylococcus simulans , and Staphylococcus warneri . Com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mprising the composition of any one of claims 1 to 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아토피 피부 또는 여드름 피부 개선용인, 화장료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8,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topic skin or acne skin.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skin diseases, comprising the composition of any one of claims 1 to 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질환이 아토피 피부염, 여드름, 접촉성 피부염 및 지루성 피부염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약학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10,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rein the skin disease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opic dermatitis, acne, contact dermatitis, and seborrheic dermatitis.
KR1020210160256A 2021-04-29 2021-11-19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Amomi Fructus Rotundus Extract KR10263360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981 2021-04-29
KR20210055981 2021-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705A KR20220148705A (en) 2022-11-07
KR102633602B1 true KR102633602B1 (en) 2024-02-06

Family

ID=8404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256A KR102633602B1 (en) 2021-04-29 2021-11-19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Amomi Fructus Rotundus Extra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602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7396A (en) * 2002-10-28 2004-05-07 동국제향주식회사 Pharmaceutical essential oil composition for prophylaxis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by aroma-therapy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JP6185041B2 (en) * 2015-12-04 2017-08-23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Glycerol production promoter derived from Staphylococcus epidermidis, antibacterial peptide production promoter derived from skin epidermis keratinocytes, and their use as a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prot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8705A (en)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602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Amomi Fructus Rotundus Extract
KR102663083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Rhapontici Radix Extract
KR102633601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Allii Bulbus Extract
KR102633600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Aucklandiae Radix Extract
KR20220148713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Extract of Pimpinella Brachycarpa Leaf
KR101363933B1 (en) Compositions for improving vibrio vulnificus septicemia comprising terminalia chebula extract and sanguisorbae officinalis extract
KR20220148714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Vignae Angularis Semen Extract
KR20220148711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Pteridii Holium Tener Extract
KR20220148704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Santali Albi Lignum Extract
KR20220148712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Extract of Nasturtium Officinale Leaf
KR20220148708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Fritillariae Thunbergii Bulbus Extract
KR20220148707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Angelicae Dahuricae Radix Extract
KR20220148710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Citri Grandis Fructus Extract
KR20220148706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me Comprising Dictamni Radicis Cortex Extract
KR102538022B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Elaeocarpus sylvestris or purified extrac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KR20230169705A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Persister Cell Comprising Extract of Pine Leaves
KR20240020265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Biofilm Formation Comprising Asiasari Radix et Rhizoma Extract
KR20230164995A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Antibiotic Sensibility Comprising Ricinus Semen Extract
KR20240019726A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Antibiotic Sensibility Comprising Linderae Radix Extract
KR20230169703A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Persister Cell Comprising Zanthoxyli Pericarpium Extract
KR20240019708A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Persister Cell Comprising Tribuli Fructus Extract
KR20240019710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Microbiota Comprising 2,4,5-Trimethoxybenzaldehyde or Derivatives Thereof
KR20230089440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logical diseases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ed hydroponic ginseng extract
KR20230108529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Biofilm Formation Comprising Momordica Charantia Extract
KR20230108530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Biofilm Formation Comprising Trigonella Foenum-graecum Extr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