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240B1 -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240B1
KR102632240B1 KR1020220000710A KR20220000710A KR102632240B1 KR 102632240 B1 KR102632240 B1 KR 102632240B1 KR 1020220000710 A KR1020220000710 A KR 1020220000710A KR 20220000710 A KR20220000710 A KR 20220000710A KR 102632240 B1 KR102632240 B1 KR 102632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oral
lower housing
care device
electric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5390A (ko
Inventor
김규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진정밀
Priority to KR1020220000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240B1/ko
Publication of KR2023010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76Sterilising operating fluids or fluid supply elements such as supply lines,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C1/0084Supply units, e.g. reservoi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2Brush body details, e.g. the shape thereof or connection to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with multiple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Abstract

구강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구강 관리 장치는, 세척수 노즐과 칫솔 헤드를 갖는 전동 칫솔과, 구강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 노즐을 통해 분사하도록 상기 구강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전동 칫솔과 상기 펌프 사이에서 상기 구강 세척수의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급수 호스와, 상기 펌프 및 상기 급수 호스를 수용하기 위한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동 칫솔에 갈아끼우기 위한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를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구강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안치되는 세척수 탱크와,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를 자외선 살균하기 위해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는, 전동 칫솔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 및 유지하고 첫동 칫솔의 세척수 노즐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의 위생적 관리를 가능케한다.

Description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A MOUTH CARE APPARATUS INCLUDING ELECTRIC TOOTHBRUSH WITH MOUTHWASH FUNCTION}
본 발명은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기본적인 전동 칫솔 기능에 더하여 전동 칫솔의 칫솔 헤드에 위치한 노즐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치주 포킷의 세척이나 구강 내부 세척을 위한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복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 건강한 치아는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신체 부위로서, 건강한 치아의 유지를 위해 규칙적인 양치 및 치아 관리가 필수적이다. 효율적인 양치를 위해 칫솔의 형태나 종류도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규칙적인 칫솔질에서 더 나아가, 구강 세척기(일명 워터피크(water pick)를 이용하여 치주 포킷의 세척이나 교정장치, 고정한 보철물 등, 칫솔로는 세척이 잘 되지 않는 부분을 세척하기도 한다.
구강 세척기로서의 기능과 칫솔 기능을 겸하는 형태의 칫솔 또는 전동 칫솔도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오고 있으며, 그 예들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8963(2012년 02월 22일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9-0039767(1999년 11월 15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06821(2021년 01월 19일 등록) 등에 개시되어 있다.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06821은 전동 칫솔 기능과 워트 피크(워터 플로서) 기능을 겸하는 전동 칫솔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문헌들에서는, 구강 세척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 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부분(즉, 물탱크), 전동 칫솔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한 구성, 그리고 칫솔 헤드의 관리 및 유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구강 관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58963(2012년 02월 22일 등록)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9-0039767(1999년 11월 15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06821(2021년 01월 19일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강 세척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 및 유지하고 전동 칫솔의 세척수 노즐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구강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는, 노즐과 칫솔 헤드를 갖는 전동 칫솔과, 구강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 노즐을 통해 분사하도록 상기 구강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전동 칫솔과 상기 펌프 사이에서 상기 구강 세척수의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급수 호스와, 상기 펌프 및 상기 급수 호스를 수용하기 위한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동 칫솔에 갈아끼우기 위한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를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구강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안치되는 세척수 탱크와,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를 자외선 살균하기 위해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펌프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하부 하우징과 상기 급수 호스를 수용하기 위한 제2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부 하우징과 상기 제2 하부 하우징은 서로 독립적인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세척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구강 세척수의 분사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하부 하우징의 전방에 형성된 세척수 세기 조절 다이얼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전면을 커버하기 위한 상부 하우징 도어와, 상기 상부 하우징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도어 개폐 센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제2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동 칫솔을 상부에 수직으로 유지한 채 거치하기 위한 전동 칫솔 거치부 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동 칫솔은,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칫솔 모와 복수 개의 세척수 노즐을 갖는 칫솔 헤드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편심회전함으로써 상기 칫솔 헤드의 음파 진동을 유발하기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급수 호스로부터 제공되는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 노즐을 통해 유출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내부를 관통하여 연통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구강 세척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 및 유지하고 전동 칫솔의 세척수 노즐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시스템은,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의 위생적 관리를 가능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동 칫솔 부분만을 별도로 분리하여 휴대할 수 있음으로써, 필요시 칫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의 외관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세척수 탱크(120)를 분리해 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하부 하우징(111)의 내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전동 칫솔 거치부(17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펌프(140)와 급수 호스(150) 간의 연결 관계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전동 칫솔(130)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전동 칫솔(130)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의 외관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세척수 탱크(120)를 분리해 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하부 하우징(111)의 내부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펌프(140)와 급수 호스(150) 간의 연결 관계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전동 칫솔(130)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는, 크게, 본체(110), 세척수 탱크(120) 및 전동 칫솔(130)을 포함한다. 본체(110)는, 펌프(140), 급수 호스(150), 하부 하우징(111), 상부 하우징(113), 자외선 살균 램프(1135) 및 하부 커버(112)를 포함한다.
전동 칫솔(130)은, 세척수 노즐(137)과 칫솔 헤드(133)(도 7 참조)를 포함한다. 전동 칫솔(130)에 관하여는 이후 도 7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펌프(140)는 구강 세척수를 세척수 노즐(137)을 통해 분사하도록 구강 세척수를 펌핑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급수 호스(150)는 전동 칫솔(130)과 펌프(140) 사이에서 구강 세척수의 공급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급수 호스(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칫솔(13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나선형으로 말려서 하부 하우징(111)의 내부에 유지된다.
하부 하우징(111)은 펌프(140)와 급수 호스(15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상부 하우징(113)은 하부 하우징(1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전동 칫솔(130)에 갈아끼워지기 위한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1136)를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
세척수 탱크(120)는 구강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111)의 상부에 착탈식으로 안치된다. 즉, 세척수 탱크(120)는 하부 하우징(111)의 상부에 장착 또는 탈착되고, 하부 하우징(111)의 상부에 장착된 채로 펌프(140)가 구동되는 경우 펌프(140) 측으로 세척수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자외선 살균 램프(1135)는 상부 하우징(113)의 내부에 위치하여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1136)에 대하여 자외선 살균하기 위해 자외선을 방사한다.
하부 커버(112)는 하부 하우징(111)의 하부에서 하부 하우징(111)을 커버하여 하부 하우징(111)의 저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한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131은 상부 하우징(113)의 내부 공간이고, 참조부호 1133은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1136)를 거치 수용하기 위한 칫솔 헤드 거치부이고, 참조부호 1132는 상부 하우징 도어이고, 참조부호 1134는 상부 하우징 도어의 손잡이이다. 도 2에서 참조부호 1116은 세척수 탱크(120)의 세척수 유출구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 1에서 상부 하우징 도어(1132)는 상부 하우징(113)의 전면(front face)을 커버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부 하우징(113) 공간 또는 상부 하우징 도어(1132)의 동작과 연계하여, 상부 하우징 도어(1132)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마그네틱 부재(미도시)를 구비하고, 상부 하우징 도어(1132)가 폐쇄 상태임을 마그네틱 부재가 센싱한 경우 자외선 살균 램프(1135)를 소정 시간(예컨대 약 10분) 동안 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타이머(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상부 하우징(113) 공간 또는 상부 하우징 도어(1132)의 동작과 연계하여, 상부 하우징 도어(1132)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도어 개폐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 도어(1132)를 개방하게 되면 도어 개폐 센서는 개방되었음을 센싱하여 자외선 살균 램프(1135)가 오프되도록 하여 인체에 조사되지 않도록 하고,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 도어(1132)를 폐쇄하게 되면 도어 개폐 센서는 이를 센싱하여 자외선 살균 램프(1135)가 온되도록 하여 자외선을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1136)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111)은 제1 하부 하우징(1111)과 제2 하부 하우징(1112)을 포함하며, 제1 하부 하우징(1111)과 제2 하부 하우징(1112)은 서로 독립적인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하부 하우징(1111)은 펌프(14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고, 제2 하부 하우징(1112)은 급수 호스(15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다. 이렇게 분리된 공간을 둠으로써, 사용자가 전동 칫솔(130)을 사용한 후 급수 호스(150)를 돌돌 말아서 정위치 시키고자 할 때, 펌프(140)가 위치한 부분으로 들어가서 꼬이게 되거나 급수 호스(150)와 펌프(140) 간의 연결 부위가 헐거워져서 누수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 참조부호 141은 세척수 탱크(120)로부터 구강 세척수가 하부 하우징(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하부 하우징 내부 유입구이고, 참조부호 142는 펌프 유입구이고, 참조부호 143은 펌프 유출구이다. 하부 하우징 내부 유입구(141)와 펌프 유입구(142) 간의 연결 부분은 도면 상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구강 세척수가 누수되지 않고 흐를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펌프 유출구(143)와 급수 호스 유입구(151)도 마찬가지로 누수없이 구강 세척수가 흐를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는, 하부 하우징(111)의 측면, 구체적으로는 제2 하부 하우징(1112)의 측면에 위치하여 전동 칫솔(130)을 상부에 수직으로 유지한 채 거치하도록 하기 위한 전동 칫솔 거치부(170)를 더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80)에 세척수 세기 조절 버튼(D1)이 연결되어 있으며, 세척수 세기 조절 버튼(D1)을 푸쉬하여 펌프(140)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세척수 노즐(137;도 7) 측으로 분사되는 구강 세척수의 세기를 조절하게 된다. 즉, 기판(180)과 세척수 세기 조절 버튼(D1)은 구강 세척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에 관여하는 구성요소들이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80)에는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엘이디를 이용하여 강, 중, 약을 각각 서로 다른 색의 광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세척수 세기 조절 버튼(D1)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다이얼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는, 하부 하우징(111)의 측면, 구체적으로는 제2 하부 하우징(1112)의 측면에 위치하여 전동 칫솔(130)을 상부에 수직으로 유지한 채 거치하도록 하기 위한 전동 칫솔 거치부(170)를 더 포함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전동 칫솔 거치부(170)에 전동 칫솔(130)이 수직으로 유지되어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또한 전동 칫솔(130)의 사용 후 전동 칫솔을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 모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앞서의 실시예서와는 다르게, 도 6에서는 급수 호스(150)의 방향이 도 3 또는 도 4에 비교하여 90도 회전된 방향, 즉 정면으로 향하도록 하여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제2 하부 하우징(1112)이 전방으로 향하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즉,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2 하부 하우징(1112)이 측방향으로 향하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 이에 맞게 급수 호스(150)가 말려서 보관됨).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구강 관리 장치에서 전동 칫솔(130)은, 칫솔 헤드(132, 133), 세척수 노즐(137), 손잡이(131)를 포함한다.
칫솔 헤드(132, 133)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의 칫솔 헤드(132, 133)는 칫솔 헤드의 하부 즉 칫솔 허리 부분(132)과 칫솔 헤드의 상부(133)가 일체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세척수 노즐(137)은 펌프(140)에 의해 펌핑되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출구로서, 칫솔 헤드(133)의 칫솔모(134) 사이에 네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네 개의 세척수 노즐(137)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헤드(133)의 중앙 부분에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배열됨으로써, 구강 세척수가 구강 내부로 골고루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전동 칫솔(130)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전동 칫솔(130)을 정면으로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도 8의 (a) 참조)에서 세로로 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8의 (b) 참조)을 나타내고, 도 9는 전동 칫솔(130)을 우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도 9의 (a) 참조)에서 세로로 B-B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9의 (b) 참조)을 나타내고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편의상 칫솔 모는 생략되었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에서 전동 칫솔(130)은, 크게 손잡이부(131)와 칫솔 헤드(132, 133)와, 모터(138), 배터리(139) 및 내부 유로(18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31)에는 전원/모드조절 버튼(135)이 마련된다. 전동 칫솔(130)의 모드는 참조부호 136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모터(138)의 동작에 따른 진동의 세기에 의존하여, 약, 중, 강 및 마사지 모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 모드들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엘이디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칫솔 헤드(132, 133)는 손잡이부(131)에 결합되며, 복수 개의 칫솔 모(134: 도 7)와 복수 개의 세척수 노즐(137 : 도 7)을 구비한다. 칫솔 헤드(132, 13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터의 동작에 따라서 음파 진동할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로 구성된다.
모터(138)는 손잡이부(131)의 바디(13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사용자에 의해 전원/모드 조절 버튼(135)이 눌려지는 경우, 이에 의존하여 편심회전하게 된다. 모터(138)의 상단에 위치한 편심부(138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 헤드의 하부(132)의 내부(구체적으로는, 제1 브러쉬내캡(1323a)의 내부임)에 위치하여 모터(138)의 동작에 의해 편심지게 회전함으로써, 칫솔 헤드(132, 133)의 음파 진동을 유발하게 된다. 모터(138)의 동작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음파 진동의 유발을 유도할 수 있도록 모터(138)의 하부, 즉 모터(138)와 배터리 케이스(1390) 사이에 스프링부재(192)가 마련된다.
배터리(139)는 모터(138) 측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손잡이부(131)의 내부, 즉 손잡이부(131)의 바디(1311)의 내부이면서 모터(138)의 하부에 위치한다. 배터리(139)는 배터리 케이스(1390) 내에 위치하며, 배터리 케이스 상측부(1391)에 모터(138)의 일단과 스프링부재(192)가 위치하며, 스프링부재(192)는 배터리 케이스 상단부(1392)에 고정된다. 스프링부재(192)의 상부이면서 모터(138)의 하부(즉, 스프링 부재(192)와 모터(138)의 사이)에는 제4 패킹이 마련된다.
내부 유로(180)는, 급수 호스(150; 도 4)로부터 제공되는 세척수를 세척수 노즐(137)을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해, 손잡이부(131)의 내부, 즉 손잡이부(131)의 바디(1311)의 내부에서 상하로 칫솔 헤드(132, 133)를 관통하여 연통된다. 즉, 내부 유로(180)는 도면 상에서는 각각 참조부호 1322 및 1321로 표시된, 제2 노즐 연결부(1322) 및 제1 노즐 연결부(1321)로 연결되어 세척수 노즐(137)까지 연통되어 있다.
차례대로 내부 유로(180), 제2 노즐 연결부(1322), 제1 노즐 연결부(1321) 및 세척수 노즐(137)을 거쳐 세척수가 유출되는 구조이므로, 손잡이의 바디(1311) 내부에 위치한 모터(138), 배터리(139) 및 인쇄회로기판(1312) 등의 구성요소들 측으로 누수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칫솔 헤드(132, 133)는 교체가능하므로, 잦은 교체시 손잡이부(131)와 칫솔 헤드의 하부(132)와의 연결 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도 9의 (b)를 참조하여 이를 위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살펴보면, 칫솔 헤드(132, 133)를 손잡이부(131)의 상부에 결합하게 되는 경우 일부가 칫솔 헤드의 하부(13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 브러쉬내캡(1323a)과 제2 브러쉬내캡(1323b)이 구비된다. 제1 브러쉬내캡(1323a)에는 앞서 설명된 편심부(1381)가 위치하게 된다. 제2 브러쉬내캡(1323b)은 칫솔 헤드(132, 133)를 손잡이부(131)의 상부에 결합하게 되는 경우 일부가 칫솔 헤드의 하부(132)의 내부이면서 제1 브러쉬내캡(1323a)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제2 브러쉬내캡(1323b)의 상단과 칫솔 헤드의 하부(132)의 내면 사이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칫솔 오링(1323c)이 마련된다. 손잡이부(131)와 칫솔 헤드(132, 133)의 외측 결합 부분, 즉 제1 브러쉬내캡(1323a) 및 제2 브러쉬내캡(1323b)의 바깥 부분에는 둘 간의 결합을 위한 칫솔 슬리브(1324a) 및 칫솔 슬리브(1324a)의 외부에 링 형상으로 결합되는 칫솔 데코(1324b)가 더 구비된다. 제2 브러쉬내캡(1323b)이 외곽에는 제1 패킹(1323d)가 위치하여, 제1 브러쉬내 캡(1323a) 및 제2 브러쉬내캡(1323b)을 고정시켜 이들 구조물들의 이탈을 방지한다. 참조부호 1323g는 모터(138)이 상부와 제1 브러쉬내캡(1323a) 사이에 위치하여 모터(138)의 상부 구조물들(예컨대, 편심부(1381))를 제1 브러쉬내캡(1323a)에 정위치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제3 패킹(1323g)이다. 참조부호 1323e는 제2 패킹으로서, 제2 패킹(1323e)은 제3 패킹(1323g)과 제1 브러쉬내캡(1323a) 사이에 위치하여, 제1 브러쉬내캡(1323a)의 하부의 유동을 제한하여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참조부호 1323f는 칫솔 어댑터 오링으로서, 이는 제2 브러쉬내캡(1323b)의 하부의 유동을 제한하여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참조부호 1311a는 바디의 상부로서, 제1 패킹(1323d)의 외부를 커버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참조부호 1319a는 칫솔 호스 커버이고, 참조부호 1319b는 칫솔 호스 니플 오링이고, 참조부호 1319c는 칫솔 호스 니플이며, 참조부호 1319d는 엘보이고, 참조부호 1319e는 바닥 고정부이고, 참조부호 1319f는 보빈 캡 오링이고, 참조부호 1319g는 바닥부이다. 칫솔 호스 니플(1319c)에는 급수 호스(150)의 결합을 위한 구성요소이고, 칫솔 호스 커버(1319a)는 칫솔 호스 니플(1319c)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구성요소이고, 칫솔 칫솔 호스 니플 오링(1319b)은 칫솔 호스 니플(1319c)과 칫솔 호스 커버(1319a) 사이에 위치하여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고, 엘보(1319d)는 손잡이부(131)의 하부에 칫솔 호스 니플(1319c)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고, 보빈 캡 오링(1319f)는 바닥부(1319g)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필요시 구강 관리 장치 전체에서 전동 칫솔(130)의 칫솔 호스 니플(1319c) 부분에서 급수 호스로부터 분리하여 전동 칫솔(130)을 휴대용 칫솔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의 (b)에서 참조부호 1312는 인쇄회로기판이고, 참조부호 1313은 디퓨저 블라인더로서, 인새회로기판(1312)에는 전원/모드 조절 버튼(135)에 의해 모터(138)가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배선과 모드 표시를 위한 엘이디 등이 탑재되는 구성요소이고, 디퓨저 블라인더(1313)는 모터(138)의 동작에 따른 진동의 세기에 의존하여, 약, 중, 강 및 마사지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엘이디 램프의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관리 장치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들로 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해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10 : 바디부
111 : 하부 하우징
113 : 상부 하우징
120 : 물탱크
130 : 전동 칫솔
137 : 세척수 노즐
140 : 펌프
150 : 급수 호스

Claims (5)

  1. 구강 관리 장치로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칫솔 헤드 - 상기 칫솔 헤드는, 복수 개의 칫솔 모, 상기 칫솔 모 사이사이에서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배열되도록 복수 개의 세척수 노즐을 가지며, 상기 칫솔 헤드의 몸체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 - , 상기 칫솔 헤드의 내부에 위치한 편심부를 편심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칫솔 헤드의 음파 진동을 유발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위치한 모터, 상기 모터 측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배터리, 상기 편심부의 편심회전시 상하 방향의 음파 진동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모터와 상기 배터리의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부재, 및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 노즐을 통해 유출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의 내부에서 상기 칫솔 헤드의 내부를 관통하는 내부 유로를 포함하는, 전동 칫솔;
    구강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 노즐을 통해 분사하도록 상기 구강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전동 칫솔과 상기 펌프 사이에서 상기 구강 세척수의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급수 호스;
    상기 펌프 및 상기 급수 호스를 수용하기 위한 하부 하우징;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동 칫솔에 갈아끼우기 위한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를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
    상기 구강 세척수를 수용하며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이면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이웃하게 위치하고 착탈식으로 안치되는 세척수 탱크; 및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교체용 예비 칫솔 헤드를 자외선 살균하기 위해 자외선을 방사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펌프를 수용하기 위한 제1 하부 하우징과 상기 급수 호스를 수용하기 위한 제2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부 하우징과 상기 제2 하부 하우징은 서로 독립적인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세척수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구강 세척수의 분사 세기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하부 하우징의 전방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세척수 세기 조절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구강 관리 장치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전면을 커버하기 위한 상부 하우징 도어;
    상기 상부 하우징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도어 개폐 센서; 및
    상기 제2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전동 칫솔을 상부에 수직으로 유지한 채 거치하기 위한 전동 칫솔 거치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리 장치.
  5. 삭제
KR1020220000710A 2022-01-04 2022-01-04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 KR102632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710A KR102632240B1 (ko) 2022-01-04 2022-01-04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710A KR102632240B1 (ko) 2022-01-04 2022-01-04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390A KR20230105390A (ko) 2023-07-11
KR102632240B1 true KR102632240B1 (ko) 2024-02-01

Family

ID=8715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710A KR102632240B1 (ko) 2022-01-04 2022-01-04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2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011B1 (ko) * 2009-07-09 2009-12-10 주식회사 신원종합상사 전해수를 사용한 오랄 케어 장치
JP2020203217A (ja) * 2020-10-02 2020-1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口腔洗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9767A (ko) 1997-11-14 1999-06-05 구자홍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사용 언어 자동 설정 방법
KR100524655B1 (ko) * 2003-09-19 2005-10-3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자외선 발생 모듈을 이용한 칫솔 살균 장치 및 방법
KR101255574B1 (ko) * 2011-05-11 2013-04-17 서성덕 무선제어 기능을 갖는 구강 세정기
KR200458963Y1 (ko) 2011-10-17 2012-03-21 김용석 워터 픽 겸용칫솔
WO2014145890A2 (en) 2013-03-15 2014-09-18 Water Pik, Inc. Mechanically driven, sonic toothbrush and water floss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011B1 (ko) * 2009-07-09 2009-12-10 주식회사 신원종합상사 전해수를 사용한 오랄 케어 장치
JP2020203217A (ja) * 2020-10-02 2020-12-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口腔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390A (ko)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2398B2 (ja) 口腔清掃用具
US7080980B2 (en) Dental hygiene device
US10143296B2 (en) Mouthpiece type of electric toothbrush
US20190000601A1 (en) Bristle-Less Teeth Cleaning Device with Automatic Gel Dispensing for Combined Mechanical and Chemical Activation
KR200401027Y1 (ko) 치아 세정 세트
CN108601443A (zh) 电动牙刷
US20040045107A1 (en) Water pressure driven tooth brush (hydratoothbrush) with dental jet
KR101822645B1 (ko) 구강 세정기
RU2413479C2 (ru) Электрическая зубная щетка и заменяемые компоненты
WO1999032011A1 (en) Combination motorized toothbrush and plaque removal device
CN108430262A (zh) 封闭型牙齿清洁器
US20130081217A1 (en) Motorized mouthpiece
CN108135681A (zh) 使用臭氧水的牙齿清洁装置
KR100931011B1 (ko) 전해수를 사용한 오랄 케어 장치
KR102128806B1 (ko) 전동 칫솔
KR102632240B1 (ko)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
KR100865731B1 (ko) 음파진동칫솔
KR20160111706A (ko) 구강 청결 기구
JP2010213831A (ja) 歯ブラシ
KR101583959B1 (ko) 구강 세정 시스템
KR102514360B1 (ko) 구강 세척 기능을 갖는 전동 칫솔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 장치
JP6711106B2 (ja) 歯ブラシ
KR20200101478A (ko) 휴대용 치아 세정 장치
KR102247903B1 (ko) 구강 세정기 겸용 정수기 칫솔
KR102057152B1 (ko) 구강 세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