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127B1 - A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that can be moved horizontally - Google Patents

A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that can be moved horizontal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127B1
KR102632127B1 KR1020220068154A KR20220068154A KR102632127B1 KR 102632127 B1 KR102632127 B1 KR 102632127B1 KR 1020220068154 A KR1020220068154 A KR 1020220068154A KR 20220068154 A KR20220068154 A KR 20220068154A KR 102632127 B1 KR102632127 B1 KR 102632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bracket
arrangement space
bracke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1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67915A (en
Inventor
고재호
Original Assignee
(주)동양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석재 filed Critical (주)동양석재
Priority to KR1020220068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127B1/en
Publication of KR20230167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9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1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8Mounting of hot plate on work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01Tops
    • A47B2200/0009Plate and dish warming plates embedded in tabl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상판 - 제1 방향으로 관통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구비함. - 에 설치되는 전기레인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브라켓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배치 공간과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배치 공간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 방향과 상기 내측 방향의 반대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브라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Top plate - has an opening that penetr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forms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pace on the inside. - A bracket assembly connected to the top plate to support an electric range installed in the bracket assembly,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top plate and the inner side is disposed to overlap the placement space in the first direction and is directed toward the placement space. It may include a bracket portion having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in an out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inward direction.

Description

수평 이동 가능한 전기레인지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 {A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THAT CAN BE MOVED HORIZONTALLY}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 horizontally movable electric range {A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THAT CAN BE MOVED HORIZONTALLY}

본 발명은 수평 이동 가능한 전기레인지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ly movable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전기레인지는 전기로 열을 발생시키는 조리 기구로 기본적으로 전기를 사용하며, 발열체에 따라 핫플레이트, 인덕션, 하이라이트 등으로 구분된다.An electric range is a cooking appliance that generates heat using electricity. It basically uses electricity, and is classified into hot plate, induction, highlight, etc. depending on the heating element.

전기레인지는 가스 배관에 종속될 수밖에 없는 가스레인지에 비해 콘센트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설치가 가능하고 디자인이 깔끔하며 확장성과 편의성에서 우월하여, 전 세계적으로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다. Compared to gas ranges, which are inevitably dependent on gas pipes, electric ranges can be installed anywhere with an outlet, have a neat design, and are superior in expandability and convenience, so their market share is increasing worldwide.

또한, 전기레인지는 온도 유지의 간편함, 열이 밖으로 방출되지 않는 장점과 더불어, 화상 사고의 위험 또한 낮다.In addition, electric rang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maintain temperature and not emitting heat, and also have a low risk of burn injuries.

그러나 전기레인지 상판 세라믹 내열유리가 파손될 경우 수리비가 비싸다는 단점이 존재한다.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repair costs are high if the ceramic heat-resistant glass on the top of the electric range is damaged.

상기 전기레인지의 상판은 유리와 같은 세라믹 재료 중 하나이다. Fine Ceramics라고 불리는 세라믹 신소재는 열적, 전기적, 광학적, 기계적, 화학적 등 특성이 다양하고 광범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The top plate of the electric range is made of a ceramic material such as glass. New ceramic materials called Fine Ceramics have diverse and wide range of thermal, electrical, optical,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are used in a variety of fields.

상기 전기레인지 상판에 쓰이는 재료 중 가장 대표적인 LAS계 다결정직 세라믹은, 열적 특성에 초점을 맞춰 열을 가했을 때 특정 반응을 하고, 열을 가했을 때 열팽창이 일어남과 동시에 팽창이 일어난 만큼 줄어드는 부분도 생겨 팽창이 상쇄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LAS-based polycrystalline ceramic,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material used in the electric range top plate, focuses on thermal characteristics and reacts specifically when heat is applied, and when heat is applied, thermal expansion occurs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part that shrinks as expansion occurs, causing expansion. It has this offsetting principle.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세라믹 유리는, 국내에서 생산되지 않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Ceramic glass with these characteristics is not produced domestically and is entirely dependent on imports.

현재 전기레인지 설치에 있어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빌트인 방식은, 상판의 상단 둘레에 전기레인지의 둘레를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전기레인지가 상판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여, 상판 상단의 파손 및 전기레인지의 파손을 야기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built-in method for installing electric ranges is to seat the perimeter of the electric range around the top of the top. The electric range is located higher than the top of the top, preventing damage to the top of the top and damaging the electric range. There was a problem causing it.

또한, 전기레인지의 크기가 제조업체별로 상이하여, 배치 공간에 위치하더라도 전기레인지 둘레가 설치된 브라켓에 안정적으로 안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레인지가 배치 공간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브라켓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electric range varie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so even if it is located in the placement space,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circumference of the electric range cannot be stably seated on the installed bracket. Therefore, we would like to provide a bracket assembly that allows the electric range to be stably seated in the placement spac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판 개구부 소정의 배치 공간에 위치한 전기레인지가 설치된 브라켓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하는 수평 이동 가능한 전기레인지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seeks to provide a horizontally movable electric range support bracket assembly that allows the electric range to be stably seated on a bracket on which an electric range locat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pace of the upper plate opening is installed.

또한, 지지부를 수평, 수직 및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 시켜 배치 공간에서 전기레인지의 크기에 맞춰 전기레인지를 지지하는 브라켓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racket assembly that supports an electric rang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electric range in the placement space by moving the support part in horizontal, vertical, and diagonal directions.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s that this embodiment aims to achieve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는, 상판 - 제1 방향으로 관통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구비함. - 에 설치되는 전기레인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브라켓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배치 공간과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배치 공간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 방향과 상기 내측 방향의 반대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브라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A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late - an opening that penetrates in a first direction and forms an arrangement space, which is a predetermined space, on the inside. - A bracket assembly connected to the top plate to support an electric range installed in the bracket assembly,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is connected to the top plate and the inner side is disposed to overlap the placement space in the first direction and is directed toward the placement space. It may include a bracket portion having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in an out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inward direction.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치 공간상에 위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in body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and positioned in the arrangement space.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상단보다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배치 공간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ort part may be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arrangement space in the first direction than at an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본체부의 상면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hole may b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에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연결되는 주요본체부 및 상기 주요본체부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본체부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내측에 상기 배치 방향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por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an extension body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extension body portion is A predetermined space open in the arrangement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inside to allow the support part to be inserted.

또한, 상기 연장본체부는 상기 배치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향하는 제3 방향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xtended body part may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at is open in a third direction facing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연장본체부에 삽입된 상기 지지부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연장본체부에 연결되는 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절부가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unit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er connected to the extension body to enable positional movement of the support inserted into the extension body, and the support unit moves the adjuster relative to the main body, It can be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절부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조절부가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may be moved in the third direction based on the main body when the adjusting portion is moved in the third direction, and the adjusting portion may be moved in a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In this case, it may be moved in the fourth direction based on the main body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레인지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에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연결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지지부 및 제1 지지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치 공간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cket part includes a main body part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a first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and mov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and a second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top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located in the arrangement space.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배치 공간과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support part may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support par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as to overlap the arrangement space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지지돌출부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support part may form a predetermined space opened upward inside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so that the second support part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제1 지지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조절부가 이동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가 고정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part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ing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in order to move the first support part, and the first support part may be horizontal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when the adjusting part is in a moving position. It may be capable of moving in any direction, and when the adjusting unit is in a fixed position,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restricted based on the main body.

또한,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제2 지지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지지부에 연결되는 체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unit so as to be movable in position to move the second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fastening part in the first direction. It may be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based on the main body, and when the fastening part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it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based on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조절부가 연결되는 장홀의 관통홀 및 상기 체결부가 연결되는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절부가 연결되는 관통홀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art may form a through hole of the long hole to which the adjusting part is connected and a through hole to which the fastening part is connected, and the main body part may form a through hole to which the adjusting part is connected.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이동 가능한 전기레인지 지지용 브라켓은 상판 소정의 배치 공간에 전기레인지를 위치하게 할 수 있다.The horizontally movable electric range support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osition the electric range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pace on the top plate.

또한, 지지부를 통해 상판의 배치 공간에 설치되는 전기레인지의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nd position of the electric range installed in the placement space of the top plate can be adjusted through the support part.

또한, 상기 상판 하면에 연결되는 본체부 상면에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접착물질 사용시 상기 홀에 접착물질을 채워 연결 함으로써 접착력을 높일 수 있으며, 접착물질이 상기 브라켓 조립체 밖으로 누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 hol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when using an adhesive material, the adhesive strength can be increased by filling the hole with the adhesive material and connecting, and the adhesive material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of the bracket assembly. .

다만,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is specifica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 및 상판 설치 사시도
도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 및 상판 설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의 단면도
도 8은 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 및 상판 설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assembly and top plate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one bracket portion provided by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bracket portion provided in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of a bracket portion and a top plate provided with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one bracket portion provided in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one bracket portion provided with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bracket portion provided in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of a bracket portion and a top plate provided with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beam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or delete other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or create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is invention. Other embodiments that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an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sai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 및 상판 설치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assembly and top plate install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상판(600) - 제1 방향(S100)으로 관통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배치 공간(V600)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구비함. - 에 설치되는 전기레인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브라켓 조립체(C10)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는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본체부(100) 및 상기 제1 방향(S100)으로 상기 배치 공간(V600)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는 지지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upper plate 600 - has an opening that penetrates in the first direction (S100) and forms an arrangement space (V600), which is a predetermined space on the inside. - In the bracket assembly (C10) connected to the top plate to support an electric range installed in, the bracket assembly (C1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100) connected to the top plate and in the first direction (S100). It may include a support part 200 that can be arranged to overlap the placement space V600.

또한,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는 상기 배치 공간(V600)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 방향과 상기 내측 방향의 반대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는 지지부(200)를 구비하는 브라켓부(1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assembly C10 includes a support portion 200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movable in an inward direction toward the arrangement space V600 and an out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inward direction. It may include a bracket portion (10).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상판의 하면(62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본체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배치 공간(V600)상에 위치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620 of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part 20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and positioned on the placement space V600. .

또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상판의 상단(610)보다 낮게 제1 방향(S100)으로 상기 배치 공간(V60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ort part 200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rrangement space V600 in the first direction S100, lower than the top 610 of the upper plate.

상기 내측 방향은 제3 방향(S300) 및 상판과 수평하게 상기 배치 공간(V600)을 향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inner direction may include a third direction (S300) and a direction toward the arrangement space (V600) parallel to the upper plate.

또한, 상기 외측 방향은 제4 방향(S400) 및 상판과 수평하게 상기 배치 공간(V600)의 반대로 향하는 방향을 포함하는 방향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outward direction may include a fourth direction S400 and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rrangement space V600 parallel to the upper plate.

상기 상판(600)은 대리석 재질일 수 있다.The top plate 600 may be made of marble.

또한, 상기 상판의 두께(630)는 12T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ckness 630 of the upper plate may be 12T.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상판의 재질 및 두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upper plat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는 상기 상판 하면(620)에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racket assembly (C1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620).

일례로,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는 상기 상판 하면(620)에 접착물질을 이용해 연결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acket assembly (C10)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620) using an adhesive material.

일례로, 상기 접착물질은 석재 전용 접착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dhesive material may be a stone-specific adhesive.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접착물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the adhesive material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at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배치 공간(V600)에 위치할 수 있고 전기레인지가 안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ort portion 200 may be located in the arrangement space V600 and an electric range may be mounted thereon.

또한, 상기 브라켓부(10)는 상기 본체부(100) 및 지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racket portion 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main body portion 100 and the support portion 200.

일례로, 상기 브라켓부(10)의 지지부(200)는 상기 배치 공간(V600) 방향으로 9mm너비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portion 200 of the bracket portion 1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width of 9 mm in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V600.

또한,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는 상기 상판 하면 둘레(621)에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racket assembly (C10) may be located around the lower surface (621) of the upper plate.

일례로, 브라켓 조립체(C10)는 ABS(내충격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acket assembly C10 may be made of ABS (impact-resistant plastic) material.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브라켓 조립체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the material of the bracket assembly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s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는 브라켓부(10)들의 연결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racket assembly (C10) may be composed of connecting bracket parts (10).

또한,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는 상기 배치 공간(V600)으로 향하는 일 브라켓부(10)의 측면 일부와 마주보는 타 브라켓부(10)의 측면 일부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racket assembly C10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one bracket portion 10 toward the arrangement space V600 and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other bracket portion 10 facing the arrangement space V600.

일례로,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는 상기 연결을 분리하여 일 브라켓부(10)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acket assembly (C10) may be composed of one bracket portion (10) by separating the connection.

또한, 상기 브라켓부(10)는 상기 상판 하단 둘레(621)에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racket portion 10 may be located around the bottom 621 of the upper plate.

일례로,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 또는 상기 브라켓부(10)는 상기 상판 하단 둘레(621)에 일자"ㅡ"형태로 연결하여 상기 전기레인지를 지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acket assembly (C10) or the bracket portion (1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eriphery of the top plate (621) in a straight “-” shape to support the electric range.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의 연결 구성 및 분리된 일 브라켓부(10)와 상기 상판과의 연결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of the bracket assembly C10 and the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separated bracket portion 10 and the upper plate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배치 공간(V600) 방향으로 9mm너비, 상기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42mm너비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ort portion 2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width of 9 mm in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V600 and a width of 42 m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is direction.

또한, 상기 지지부(200)는 전기레인지가 상기 상판의 상단(610)보다 높게 위치하지 않기 위해 상기 상판의 상단(610)보다 제1 방향(S100)으로 상기 배치 공간(V600)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200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arrangement space V600 in the first direction S100 rather than the top 610 of the top plate so that the electric range is not located higher than the top 610 of the top plate. there is.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지지부의 위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or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브라켓부(10)의 본체부(1100) 상면은 함입되어 홀(640)을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0 of the bracket 10 may be recessed to form a hole 640.

일례로, 상기 홀(640)은 접착물질 사용시 접찹물질이 밖으로 누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le 640 may be formed to prevent the adhesive material from leaking out when the adhesive material is used.

또한, 상기 홀(640)은 접착물질이 삽입되어 상기 상판 하면(620)에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le 64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620 by inserting an adhesive material.

일례로, 상기 홀(640)에 삽입 된 접착물질은 상기 상판 하면(620)과 닿는 면적을 넓혀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dhesive material inserted into the hole 640 can increase the adhesive force by increas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620.

상기 본체부(100)의 상면은 홀이 아닌 함입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rather than holes.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홀(640)의 형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ape of the hole 640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s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 및 상판 설치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bracket portion provided in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acket portion provided in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bracket portion provided in the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acket portion and a top plate installed in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부(11)는 상기 상판의 하면(620)에 연결되는 주요본체부(1100) 및 상기 주요본체부(1100)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본체부(1110)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연장본체부(1110)는 상기 지지부(1200)가 삽입되도록, 내측에 상기 배치 공간(V600)방향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V1110)을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bracket portion 11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100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620 of the upper plate and an extended body portion exte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100. It may be provided with (1110), and the extension body part (1110) may form a predetermined space (V1110) open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V600) on the inside so that the support part (1200)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연장본체부(1110)는 제3 방향(S300)으로 향하게 주요본체부(1100)에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extended body portion 111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1100 in the third direction (S300).

일례로, 상기 제3 방향(S300)은 상기 배치 공간(V600) 및 제2 방향(S200)으로 향하는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direction S300 may be directed toward the arrangement space V600 and the second direction S200.

또한, 상기 연장본체부(1110)는 상기 지지부(1200)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연장본체부(1110)에 연결되는 조절부(700)를 더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ded body portion 1110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ing portion 700 connected to the extended body portion 1110 to enable positional movement of the support portion 1200.

일례로,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조절부(700)가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위치 이동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unit 1200 may be configured to move in position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ustment unit 700 moves.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는 상기 배치 공간(V600)으로 향하는 일 브라켓부(11)의 측면부 일부와 마주보는 타 브라켓부(11)의 측면부 일부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bracket assembly (C10)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one bracket portion (11) facing the arrangement space (V600) with a portion of the side portion of the other bracket portion (11) facing the other bracket portion (11).

일례로,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는 상기 연결을 분리하여 일 브라켓부(11)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acket assembly (C10) may be configured as one bracket portion (11) by separating the connection.

상기 상판(600)은 대리석 재질일 수 있다.The top plate 600 may be made of marble.

또한, 상기 상판의 두께(630)는 12T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ckness 630 of the upper plate may be 12T.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상판의 재질 두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material thickness of the upper plat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브라켓부(11)의 주요본체부(1100) 상면은 상기 상판 하면(62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배치 공간(V600)에 위치하는 상기 브라켓의 지지부(1200) 상면은 전기레인지 둘레(I100) 하단을 안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100 of the bracket part 11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6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200 of the bracket located in the arrangement space V600 is around the electric range ( I100) The bottom can be seated.

일례로, 상기 전기레인지 둘레(I100)의 두께는 4mm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perimeter (I100) of the electric range may be 4 mm.

일례로,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배치 공간(V600) 방향으로 9mm너비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part 12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width of 9 mm in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V600.

또한, 상기 주요본체부(1100) 상면은 상기 상판 하면(620)에 접착물질을 이용해 연결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10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620 using an adhesive material.

일례로, 상기 접착물질은 석재 전용 접착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dhesive material may be a stone-specific adhesive.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접착물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the adhesive material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at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주요본체부(1100) 상면은 상기 본체부 상면이 함입되어 홀(640)을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1100 may be recessed to form a hole 640.

일례로, 상기 홀(640)은 접착물질 사용시 접찹물질이 밖으로 누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le 640 may be formed to prevent the adhesive material from leaking out when the adhesive material is used.

또한, 상기 홀(640)은 접착물질이 삽입되어 상기 상판 하면(620)에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le 64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620 by inserting an adhesive material.

일례로, 상기 홀(640)에 삽입 된 접착물질은 상기 상판 하면(620)과 닿는 면적을 넓혀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dhesive material inserted into the hole 640 can increase the adhesive force by increas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620.

또한, 상기 홀(640)은 상기 홀(640)의 구역을 나누는 분리막(641)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le 640 may be formed with a separator 641 that divides the area of the hole 640.

일례로, 상기 분리막(641)은 십자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공간에 접착물질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접착물질의 삽입량은 접착력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parator 641 is formed in a cross shape “+” so that an adhesive material can be inserted into each space, and the amount of the adhesive material inserted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adhesive force.

구체적으로, 상기 홀(640)은 십자형태"+"로 형성된 상기 분리막(641)에 의해 네 개의 구역이 형성될 수 있고, 접착물질은 한 구역 내지 네 구역에 삽입되어 삽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le 640 may be formed into four zones by the separator 641 formed in a cross shape of "+", and the adhesive material may be inserted into one to four zones to adjust the amount of insertion.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분리막(641)의 형태 및 접착물질의 삽입량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ape of the separator 641 and the amount of adhesive material inserted can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브라켓부(11)는 상기 상판 하면 둘레(621)에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racket portion 11 may be located around the lower surface 621 of the upper plate.

일례로, 상기 브라켓부(11)는 ABS(내충격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acket portion 11 may be made of ABS (impact-resistant plastic) material.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브라켓부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material of the bracket part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브라켓부(11)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연결되는 주요본체부(1100) 및 상기 주요본체부의 하면에 연결되는 연장본체부(1110)로 구성될 수 있다.The bracket portion 11 may be composed of a main body portion 1100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an extended body portion 1110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또한, 상기 주요본체부(1100)는 상기 주요본체부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02)를 더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in body 1100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1102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일례로, 상기 돌출부(1102)는 상기 주요본체부(1100)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sion 1102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main body 1100.

또한, 상기 돌출부(1102)는 상기 주요 배치 공간(V600)에 위치하게 돌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trusion 1102 may protrude into the main arrangement space V600.

또한,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1101)은 상기 상판의 하면 둘레(621)와 상기 상판 내측 두께(630)에 접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부(11)가 상기 배치 공간(V60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1101 of the protrus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circumference 621 of the upper plate and the inner thickness 630 of the upper plate, and the bracket portion 11 is orien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V600. It can prevent being pushed around.

일례로, 상기 돌출부(1102)는 상기 배치 공간 방향으로 1mm너비, 상기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42mm너비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sion 1102 may have a width of 1 mm in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and a width of 42 m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일례로, 상기 브라켓부(11)는 상기 배치 공간(V600) 방향으로 40mm너비, 상기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42mm너비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acket portion 1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width of 40 mm in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V600 and a width of 42 m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is direction.

또한, 상기 40mm의 너비는 상기 돌출부(1102)의 상기 1mm너비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idth of 40 mm may include the 1 mm width of the protrusion 1102.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돌출부의 두께 및 너비와 상기 브라켓부의 너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hickness and width of the protrusion and the width of the bracket par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연장본체부(1110)는 상기 주요본체부(1100)의 하부에 연장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xtended body portion 1110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100.

또한, 상기 주요본체부(1100)의 하단 둘레 일부는 상기 연장본체부(1110)의 상단 둘레 일부와 상기 배치 공간(V600)에서 제3 방향(S300)으로 향하게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ortion of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portion 1100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a portion of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extended body portion 1110 toward the third direction (S300) in the arrangement space (V600).

또한, 상기 배치 공간(V600)의 반대 방향을 향하며, 접하지 않는 둘레부는 상기 주요본체부(1100)와 상기 연장본체부(111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800)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ipheral portion that faces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V600 and is not in contact may form a connection portion 800 so that the main body portion 1100 and the extended body portion 1110 can be connected.

일례로, 상기 연결부(800)는 상기 본체부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배치 공간을 꼭지점으로 하는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80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body part, an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isosceles triangle with the arrangement space as the vertex.

일례로, 상기 연결부(800)로 연결되는 상기 주요본체부(1100)와 상기 연장본체부(1110)는 상기 연결부(800)를 양측부로 하는 소정의 공간(V800)이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main body portion 1100 and the extended body portion 1110 connected by the connection portion 800 may have a predetermined space V8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rtion 800 on the inside.

일례로, 상기 연결부(800)는 접착물질을 이용해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portion 800 may be connected using an adhesive material.

또한, 상기 소정의 공간(V800)은 상기 브라켓부(11)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상기 브라켓부(11)를 상기 상판의 하단(620)에 연결했을 시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edetermined space V800 can reduce the weight of the bracket portion 11 and increase adhesive strength when the bracket portion 11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620 of the upper plate.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공간(V800)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redetermined space V800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연장본체부(1110)는 상기 지지부(1200)를 삽입할 수 있게 내측에 상기 제3 방향(S300)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V1110)을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xtended body portion 1110 may form a predetermined space V1110 opened in the third direction S300 on the inside so that the support portion 1200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주요본체부(1100)와 상기 연장본체부(1110)가 이루는 각도(L800)는 상기 지지부(1200)가 형성하는 각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ngle L800 formed by the main body portion 1100 and the extended body portion 1110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angle formed by the support portion 1200.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주요본체부(1100)와 상기 연장본체부(1110)가 이루는 각도 및 상기 지지부(1200)의 각도는 통상의 기술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ngle formed by the main body portion 1100 and the extended body portion 1110 and the angle of the support portion 1200 can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연장본체부(1110)는 조절부(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xtended body portion 1110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ment portion 700.

일례로, 상기 조절부(700)는 상기 지지부(1200)를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djustment unit 700 may enable the support unit 1200 to move in position.

일례로, 상기 연장본체부(1110)에 삽입된 지지부(1200)는 상기 연장본체부(111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part 1200 inserted into the extension body 1110 may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body 1110.

일례로, 상기 배치 공간(V600)으로 향하는 상기 주요본체부(1100) 하단 둘레에 상기 배치 공간(V600)으로 향하는 상기 연장본체부(1110)의 상단 둘레가 제3 방향(S300)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연장본체부(1110)와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extended body part 1110 towards the arrangement space V6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part 1100 towards the arrangement space V600 in the third direction (S300). , the support portion 1200 may be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the extended body portion 1110.

일례로,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주요본체부(1100)를 기준으로 상기 조절부(700)가 상기 제3 방향(S300)으로 이동 시 상기 제3 방향(S300)으로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part 1200 may be moved in the third direction (S300) when the control part 700 moves in the third direction (S30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1100.

또한,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주요본체부를(1100)를 기준으로 상기 조절부(700)가 상기 제3 방향(S300)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S400)으로 이동 시 상기 제4 방향(S400)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1200 moves in the fourth direction (S400), which is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S300), when the control part 700 mov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1100. S400).

또한, 상기 조절부(700)는 상기 제3 방향(S300)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V1110)을 형성하는 상기 연장본체부(1110)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extended body unit 1110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V1110 open in the third direction S300.

또한, 관통홀(500)은 제3 방향(S300)으로 향하는 상기 연장본체부(1110)의 하단에 상기 조절부(700)를 삽입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rough hole 500 may be formed to allow the adjustment part 700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extended body part 1110 facing in the third direction (S300).

또한, 상기 조절부(700)는 몸통(710)과 머리(720)로 구성 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may be composed of a body 710 and a head 720.

일례로, 상기 조절부 몸통(710)은 상기 제3 방향(S300)으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조절부 머리(720)는 상기 연장본체부(1110) 하단부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djuster body 710 may be inserted in the third direction (S300), and the adjuster head 720 may be located outside the lower end of the extended body portion 1110.

일례로, 상기 조절부(700)는 볼트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djusting unit 700 may be a bolt.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연장본체부(1110)에 삽입되어 상기 배치 공간(V600)과 제1 방향(S100)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support part 1200 may be inserted into the extension body part 1110 and connected to the arrangement space V600 to overlap in the first direction S100.

또한, 상기 지지부(1200) 상단은 상기 전기레인지 둘레(I100) 하단과 연결되어 전기레인지를 지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0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range perimeter I100 to support the electric range.

또한,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제2 방향(S200)으로 상기 전기레인지 둘레(I100) 하단을 지지할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ort portion 120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range (I100) in the second direction (S200).

또한,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연장본체(1110)부에 삽입할 수 있게 굴절부(900)에서 상기 제4 방향(S400)으로 굴절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upport part 1200 may be bent in the fourth direction S400 at the bending part 900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extension body 1110.

일례로, 상기 지지부(1200)의 상단은 상기 배치 공간(V600) 방향으로 9mm너비 및 상기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42mm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1200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of 9 mm in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V600 and a width of 42 m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일례로, 상기 지지부(1200)는 상기 굴절부(900)에서 굴절되어 제4 방향(S400)으로 상기 연장본체부(1110)에 삽입되어 마찰력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전기레인지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support part 1200 is bent at the bending part 900 and inserted into the extended body part 1110 in the fourth direction (S400) to increase friction and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supporting the electric range. You can.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의 상단의 너비 및 상기 굴절부의 굴절각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refraction angle of the bending por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조립체가 구비하는 일 브라켓부 및 상판 설치 단면도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bracket portion provided in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portion provided in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acket portion provided in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racket portion and a top plate installed in a bracke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브라켓부(12)는 상기 상판의 하면(620)에 연결되는 본체부(2100), 상기 본체부(2100)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210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지지부(2200) 및 제1 지지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치 공간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2210)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5 to 8, the bracket part 12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2100,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620 of the upper plat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2100 to form the main body part ( 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2200 that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lative to 2100 and a second support part 2210 connected to the top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located in the arrangement space.

또한, 상기 제1 지지부(2200)는 상기 제1 방향(S100)으로 상기 배치 공간(V600)과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2200)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출부(2300)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지지부(2200)는 상기 제2 지지부(2210)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지지돌출부(2300)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V2300)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art 220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2300 that protrudes from the first support part 2200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as to overlap the arrangement space V600 in the first direction S100. This can be done, and the first support part 2200 can form a predetermined space V2300 opened upward inside the support protrusion 2300 of the first support part so that the second support part 2210 can be inserted.

또한, 상기 브라켓부(12)는 상기 제1 지지부(2200)를 이동시키기 위해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조절부(70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1 지지부(2200)는 상기 조절부(700)가 이동 위치(M200)일 경우, 상기 본체부(210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조절부(700)가 고정 위치(M100)일 경우 상기 본체부(210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part 12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ing part 700 connected to the main body so as to move the first support part 2200, and the first support part 2200 When the control unit 700 is in the moving position (M200), it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main body unit 2100, and when the control unit 700 is in the fixed position (M100), the main body part 2100 ),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restricted.

또한, 상기 브라켓부(12)는 상기 제2 지지부(2210)를 이동시키기 위해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지지부(2200)에 연결되는 체결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 지지부(2210)는 상기 체결부(400)가 상기 제1 방향(S100)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본체부(210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S100)으로 이동되고, 상기 체결부(400)가 상기 제2 방향(S200)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본체부(210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S200)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part 12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art 400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art 2200 so as to move the second support part 2210. (2210) indicates that when the fastening part 40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S100), it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S100) based on the main body part 2100, and the fastening part 400 When moving in the second direction (S200), it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S200) based on the main body portion 2100.

또한, 상기 제1 지지부(2200)는 상기 조절부(700)가 연결되는 장홀의 관통홀(510) 및 상기 체결부(400)가 연결되는 관통홀(530)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2100)는 상기 조절부(700)가 연결되는 관통홀(520)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art 2200 may form a long through hole 510 to which the adjusting part 700 is connected and a through hole 530 to which the fastening part 400 is connected, and the main body part 2100 may form a through hole 520 to which the adjustment unit 700 is connected.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는 상기 배치 공간(V600)으로 향하는 일 브라켓부(12)의 측면부 일부와 마주보는 타 브라켓부(12)의 측면부 일부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bracket assembly (C10)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one bracket portion (12) facing the arrangement space (V600) and a portion of the side portion of the other bracket portion (12) facing the other bracket portion (12).

일례로, 상기 브라켓 조립체(C10)는 상기 연결을 분리하여 일 브라켓부(12)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acket assembly (C10) may be composed of one bracket portion (12) by separating the connection.

상기 상판(600)은 대리석 재질일 수 있다.The top plate 600 may be made of marble.

또한, 상기 상판의 두께(630)는 12T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ckness 630 of the upper plate may be 12T.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상판의 재질 두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material thickness of the upper plate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본체부(2100) 상면은 상기 상판 하면(620)에 연결되어 상기 배치 공간(V600)에 위치하는 상기 제2 지지부(2210)에 전기레인지 둘레(I100) 하단을 안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0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620,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electric range I100 can be seat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2210 located in the arrangement space V600.

일례로, 상기 전기레인지 둘레(I100)의 두께는 4mm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perimeter (I100) of the electric range may be 4 mm.

또한, 상기 본체부(2100) 상면은 상기 상판 하면(620)에 접착물질을 이용해 연결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0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620 using an adhesive material.

일례로, 상기 접착물질은 석재 전용 접착제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dhesive material may be a stone-specific adhesive.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접착물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o this, the adhesive material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at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본체부(2100) 상면은 함입되어 홀(640)을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0 may be recessed to form a hole 640.

일례로, 상기 홀(640)은 접착물질 사용시 접찹물질이 밖으로 누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ole 640 may be formed to prevent the adhesive material from leaking out when the adhesive material is used.

또한, 상기 홀(640)은 접착물질이 삽입되어 상기 상판 하면(620)에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le 64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620 by inserting an adhesive material.

일례로, 상기 홀(640)에 삽입 된 접착물질은 상기 상판 하면(620)과 닿는 면적을 넓혀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dhesive material inserted into the hole 640 can increase the adhesive force by increas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620.

또한, 상기 홀(640)은 상기 홀(640)의 구역을 나누는 분리막(641)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le 640 may be formed with a separator 641 that divides the area of the hole 640.

일례로, 상기 분리막(641)은 십자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의 공간에 접착물질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접착물질의 삽입량은 접착력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parator 641 is formed in a cross shape “+” so that an adhesive material can be inserted into each space, and the amount of the adhesive material inserted can be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adhesive force.

구체적으로, 상기 홀(640)은 십자형태"+"로 형성된 상기 분리막(641)에 의해 네 개의 구역이 형성될 수 있고, 접착물질은 한 구역 내지 네 구역에 삽입되어 삽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ole 640 may be formed into four zones by the separator 641 formed in a cross shape of "+", and the adhesive material may be inserted into one to four zones to adjust the amount of insertion.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분리막(641)의 형태 및 접착물질의 삽입량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hape of the separator 641 and the amount of adhesive material inserted can be variously modified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브라켓부(12)는 상기 상판 하면 둘레(621)에 위치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racket portion 12 may be located around the lower surface 621 of the upper plate.

일례로, 상기 브라켓부(12)는 ABS(내충격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acket portion 12 may be made of ABS (impact-resistant plastic) material.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브라켓부의 재질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material of the bracket part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t a level tha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본체부(2100)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02)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ain body 2100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2102 that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일례로, 상기 돌출부(2102)는 상기 본체부(2100)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sion 2102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main body 2100.

또한, 상기 돌출부(2102)는 상기 배치 공간(V600)에 위치하게 돌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trusion 2102 may protrude into the arrangement space V600.

또한, 상기 돌출부의 일측면(2101)은 상기 상판의 하면 둘레(621)와 상기 상판 내측 두께(630)에 접할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부(12)가 상기 배치 공간(V600) 반대 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2101 of the protrusion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circumference 621 of the upper plate and the inner thickness 630 of the upper plate, and prevents the bracket portion 12 from being push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lacement space V600. It can be prevented.

일례로, 상기 돌출부(2102)는 상기 배치 공간 방향으로 1mm너비, 상기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42mm너비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sion 2102 may have a width of 1 mm in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and a width of 42 m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일례로, 상기 브라켓부(12)는 상기 배치 공간 방향으로 40mm너비, 상기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42mm너비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acket portion 1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width of 40 mm in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and a width of 42 m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또한, 상기 40mm의 너비는 상기 돌출부(2102)의 상기 1mm너비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idth of 40 mm may include the 1 mm width of the protrusion 2102.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브라켓부의 너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However, the width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width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bracket portion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will b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본체부(2100)는 상기 제1 지지부(2200)가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in body portion 21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2200.

일례로, 상기 본체부(2100) 하면은 상기 제1 지지부(2200)가 위치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V2100)을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0 may form a predetermined space V2100 in which the first support 2200 can be located.

일례로, 상기 공간(V2100)은 상기 제1 지지부가(2200)가 상기 본체부(2100)를 기준으로 상기 배치 공간 방향(V600) 및 상기 배치 공간(V600)과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pace V2100 is formed so that the first support part 2200 can move horizontally in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V600 a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arrangement space V60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2100. It can be.

또한, 상기 본체부(2100)는 상기 조절부(700)가 연결될 수 있게 상기 본체부(2100)하면에 관통홀(520)을 형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in body 2100 may have a through hole 52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0 so that the adjusting part 700 can be connected to it.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돌출부, 상기 브라켓부의 너비, 상기 본체부 하면 공간의 두께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두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rotrusion portion, the width of the bracket portion, the thickness of the lower sp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portion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a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상기 제1 지지부(2200)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출부(2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support part 220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2300 that protrudes upward.

또한, 상기 제1지지부(2200)는 상기 제2 지지부(2210)가 상기 제1 방향(S100)으로 삽입될 수 상기 배치 공간(V600)에 돌출되어 개구되는 소정의 공간(V2300)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part 2200 may form a predetermined space V2300 that protrudes and opens into the arrangement space V600 into which the second support part 2210 can be inserted in the first direction (S100). there is.

일례로, 상기 제2 지지부(2210)는 상단은 상기 전기레인지 둘레(I100) 하단과 연결되어 전기레인지를 지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part 2210 may have an upper end connected to a lower end around the electric range I100 to support the electric range.

또한, 상기 제2 지지부(2210)는 상기 제1 지지부(2200)에서 형성된 지지돌출부(2300)의 내측에 개구된 소정의 공간(V2300)에 삽입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부(2200)의 지지돌출부(2300)의 너비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part 2210 is a support protrusion of the first support part 2200 in order to be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V2300 opened inside the support protrusion 2300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art 2200. It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2300).

또한, 상기 브라켓부(12)는 상기 제1 지지부(2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부(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cket part 12 may further include an adjusting part 700 for moving the first support part 2200.

상기 조절부(700)는 상기 제1 지지부(2200)에 형성되는 장홀의 관통홀(510)과 상기 본체부(2100) 하단에 형성되는 관통홀(520)에 위치할 수 있다.The adjusting part 700 may be located in the long through hole 510 formed in the first support part 2200 and the through hole 520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art 2100.

일례로, 상기 조절부(700)는 상기 제2 방향(S200)으로 상기 제1 지지부(2200)의 장홀의 관통홀(510)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2100) 하단의 관통홀(520)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adjusting part 700 passes through the long through hole 510 of the first support part 2200 in the second direction (S200) and enters the through hole 520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part 2100. can be connected

또한, 상기 조절부(700)는 상기 조절부의 몸통(710)과 상기 조절부의 머리(720)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700 may be composed of a body 710 of the control unit and a head 720 of the control unit.

일례로, 상기 조절부의 몸통(710)은 기 제1 지지부(2200)의 장홀의 관통홀(510)과 상기 본체부(2100) 하면의 관통홀(520)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조절부의 머리(720)는 상기 제1 지지부(2200)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ody 710 of the adjusting unit may be located in the through hole 510 of the long hole of the first support unit 2200 and the through hole 520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0, and the head of the adjusting unit 720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2200.

또한, 상기 제1 지지부(2200)는 상기 조절부(700)가 이동 위치(M200)에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부(2100)를 기준으로 상기 배치 공간(V600) 방향 및 상기 배치 공간(V600)의 반대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조절부(700)가 고정 위치(M100)일 경우, 상기 본체부(2100)를 기준으로 수평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djusting part 700 is located at the moving position M200, the first support part 220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space V600 and the arrangement space V60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2100. It is possible to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and when the adjusting unit 700 is in a fixed position (M100), horizontal movement may be limited based on the main body unit 2100.

일례로, 상기 고정 위치(M100)는 상기 조절부의 머리(710)가 상기 제1 지지부(2200)의 하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지지부(2200)와 상기 본체부(2100)가 체결된 위치이며, 상기 이동 위치(M200)는 상기 조절부 머리(720)가 상기 제1 지지부로(2200)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지지부(2200)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position (M100) is a position where the head 710 of the adjusting par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2200 and the first support part 2200 and the main body part 2100 are fastened, The moving position M20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adjusting unit head 7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unit 2200 so that the first support unit 2200 can move horizontally.

일례로, 상기 조절부(700)는 볼트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djusting unit 700 may be a bolt.

또한, 상기 브라켓부(12)는 상기 제2 지지부(2210)를 이동시키기 위해 체결부(4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racket portion 12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ortion 400 to move the second support portion 2210.

일례로,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제1 지지부(2200)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돌출부(2300)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400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rotrusion 2300 formed upward from the first support part 2200.

일례로,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제2 방향(S200)으로 상기 제1 지지부(2200)의 하단에서 관통홀(530)을 통과하여 상기 제2 지지부(2210)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400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530 at the bottom of the first support part 2200 in the second direction (S200) and be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support part 2210.

일례로, 상기 제2 지지부(2210)는, 상기 체결부(400)가 제1 방향(S400)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본체부(210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S100)으로 이동되고, 상기 체결부(400)가 상기 제2 방향(S200)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본체부(2100)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S200)으로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astening part 40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S400), the second support part 221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S10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part 2100, and When the fastening part 400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S200), it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S200) based on the main body part 2100.

일례로, 상기 체결부(400)는 볼트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400 may be a bolt.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it is state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브라켓부: 10 본체부: 100
지지부: 200 돌출부: 300
Bracket part: 10 Main body part: 100
Support: 200 Protrusion: 300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판 - 제1 방향으로 관통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구비함. - 에 설치되는 전기레인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브라켓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면에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배치 공간과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배치 공간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 방향과 상기 내측 방향의 반대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판의 하면에 연결되는 주요본체부 및 상기 주요본체부의 하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요본체부는,
상기 주요본체부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본체부는,
상기 배치 공간 방향과 제2 방향으로 향하는 방향인 제3 방향으로 향하게 상기 주요본체부에 연결되고,
상기 연장본체부는,
상기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내측에 상기 제3 방향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연장본체부에 삽입된 상기 지지부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연장본체부에 연결되는 조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절부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조절부가 상기 제3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주요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4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조절부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
Top plate - has an opening that penetr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forms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pace on the inside. - In the bracket assembly connected to the top plate to support the electric range installed in,
A main body part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disposed to overlap the arrangement space in the first direction, the main body part being movable in an inward direction toward the arrangement space and an out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inner direction. It includes a bracket portion having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A main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an extension body portion extend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main body part,
It has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main body part,
The extended main body,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in a third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toward the arrangement space and the second direction,
The extended main body,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open in the third direction on the inside so that the support part is inserted,
The bracket part,
Further comprising an adjustment part connected to the extension body to enable position movement of the support inserted into the extension body,
The support part,
When the control part is moved in the third direction, it is moved in the third direction based on the main body part,
When the adjusting part is moved in the fourth direction opposite to the third direction, it is moved in the fourth direction based on the main body part,
The control unit,
Characterized by being a bolt,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electric ran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판 - 제1 방향으로 관통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인 배치 공간을 형성하는 개구부를 구비함. - 에 설치되는 전기레인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브라켓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면에 연결되는 본체부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배치 공간과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배치 공간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 방향과 상기 내측 방향의 반대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브라켓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 지지부 및 제1 지지부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치 공간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배치 공간과 중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지지돌출부 내부에 상측으로 개구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제1 지지부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조절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를 위치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1 지지부에 연결되는 체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조절부가 이동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조절부가 고정 위치일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체결부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체결부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레인지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
Top plate - has an opening that penetr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forms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pace on the inside. - In the bracket assembly connected to the top plate to support the electric range installed in,
A main body part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disposed to overlap the arrangement space in the first direction, the main body part being movable in an inward direction toward the arrangement space and an outward direction opposite to the inner direction. It includes a bracket portion having a support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It has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main body,
The support part,
A first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a second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located in the arrangement space,
The first support part,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irst support par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as to overlap the arrangement space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support part,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opened upward inside the support protrusion of the first support so that the second support can be inserted,
The bracket part,
Further comprising an adjusting part connected to the main body to enable positioning of the first support and a fastening part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to enable positioning of the second support,
The first support part,
When the control unit is in a moving position, it can be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main body unit,
When the control unit is in a fixed position, movem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stricted relative to the main body unit,
The second support part,
When the fastening part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it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based on the main body part,
When the fastening part move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t moves in the second direction based on the main body part,
The fastening part,
Characterized by being a bolt,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electric ran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조절부가 연결되는 장홀의 관통홀 및 상기 체결부가 연결되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조절부가 연결되는 관통홀을 형성하는,
전기레인지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
According to clause 8,
The first support part,
Forming a through hole of the long hole to which the adjusting part is connected and a through hole to which the fastening part is connected,
The main body part,
Forming a through hole to which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electric range.
제 4항 및 제 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상판에 연결되는 본체부의 상면에 홀이 형성되는,
전기레인지 지지용 브라켓 조립체.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claims 4 and 8,
The main body part,
A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electric range.
KR1020220068154A 2022-06-03 2022-06-03 A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that can be moved horizontally KR1026321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154A KR102632127B1 (en) 2022-06-03 2022-06-03 A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that can be moved horizontal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154A KR102632127B1 (en) 2022-06-03 2022-06-03 A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that can be moved horizontal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915A KR20230167915A (en) 2023-12-12
KR102632127B1 true KR102632127B1 (en) 2024-02-01

Family

ID=8915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154A KR102632127B1 (en) 2022-06-03 2022-06-03 A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that can be moved horizontal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12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263Y1 (en) * 2003-04-23 2003-07-31 박종현 A wedge for fixing a bowl of a sink
KR200362318Y1 (en) * 2004-06-14 2004-09-16 정인식 A fixing structure for kitchen sink bowl
CN112797448A (en) * 2020-12-31 2021-05-14 广东超人节能厨卫电器有限公司 Kitchen range shell assembly and kitchen ran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263Y1 (en) * 2003-04-23 2003-07-31 박종현 A wedge for fixing a bowl of a sink
KR200362318Y1 (en) * 2004-06-14 2004-09-16 정인식 A fixing structure for kitchen sink bowl
CN112797448A (en) * 2020-12-31 2021-05-14 广东超人节能厨卫电器有限公司 Kitchen range shell assembly and kitchen r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915A (en)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680B1 (en) A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US7472698B1 (en) Energy saving cook-top reflector assembly
KR102632127B1 (en) A bracket assembly for supporting an electric range that can be moved horizontally
US20130319996A1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supports supporting a glass heating element of a warming drawer
PT2112435E (en) Box fixed to the lower part of a cooking hob and containing electric and/or electronic circuits and/or touch sensitive elements and cooperating with sealing strip means of the bottom side ofthe glass-plate of the cooking hob
US10317054B1 (en) Lamp retention and shielding
AU2009258018B2 (en) Grates with heat shield
JP4919271B2 (en) Temperature sensor for cooker
JPS6366883A (en) Electric hot plate
KR100398836B1 (en) Grate and Range by using the same
CN219087340U (en) Shell and electromagnetic heating cooking utensil
US20230010723A1 (en) Cooking plate and a procedure for mounting a cooking plate
CN217329908U (en) Pot support and gas-cooker
CN218565487U (en) Heat insulation type intelligent gas stove
KR19980070169A (en) Attachment Structure of Temperature Sensor
KR100348841B1 (en) cover for range of system kitchen
JP7001266B2 (en) Built-in stove
CN214664640U (en) Cooking utensil with peripheral retainer ring
KR102453255B1 (en) Cook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htod of the same
KR102426314B1 (en) Electric range
KR102187890B1 (en) Cooking apparatus
CN209074139U (en) Cooking utensil and coil panel assembly thereof
KR100751767B1 (en) Structure for mounting a top plate of an electric range
WO2024076232A1 (en) Print bed assembly for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KR0128660Y1 (en) Heat plate for a rice coo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