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786B1 - Low Power designed Oral Observation System - Google Patents

Low Power designed Oral Observ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786B1
KR102630786B1 KR1020220083331A KR20220083331A KR102630786B1 KR 102630786 B1 KR102630786 B1 KR 102630786B1 KR 1020220083331 A KR1020220083331 A KR 1020220083331A KR 20220083331 A KR20220083331 A KR 20220083331A KR 102630786 B1 KR102630786 B1 KR 102630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observation system
detected
image
fluoresc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3669A (en
Inventor
윤홍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Priority to KR1020220083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786B1/en
Publication of KR20220103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6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786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for fluorescence ima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25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power management
    • A61B1/00036Means for power saving, e.g. sleeping m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4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with illumination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1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by measuring fluorescence e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Endoscop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 소모량을 줄인 구강 관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구강 내부로부터 형광을 감지함으로써 미생물의 활성화 여부를 관찰하는 구강 관찰 시스템에 있어서 형광이 감지될 때에만, 다시 말해 미생물의 활성도가 감지될 경우에만 시스템으로 하여금 관찰정보를 기록하거나 디스플레이 하도록 함으로써 형광 미감지 시간 동안에는 전력 소모가 최소화 되도록 한 구강 관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observation system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Specifically, in an oral observation system that observes whether or not microorganisms are activated by detecting fluorescence from inside the patient's mouth, only when fluorescence is detected, that is, the activity of microorganisms is detected. It relates to an oral observation system that minimizes power consumption during the time when fluorescence is not detected by allowing the system to record or display observation information only when fluorescence is detected.

Description

저전력 구강 관찰 시스템{Low Power designed Oral Observation System}Low Power Designed Oral Observation System}

본 발명은 전력 소모량을 줄인 구강 관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구강 내부로부터 형광을 감지함으로써 미생물의 활성화 여부를 관찰하는 구강 관찰 시스템에 있어서 형광이 감지될 때에만, 다시 말해 미생물의 활성도가 감지될 경우에만 시스템으로 하여금 관찰정보를 기록하거나 디스플레이 하도록 함으로써 형광 미감지 시간 동안에는 전력 소모가 최소화 되도록 한 구강 관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al observation system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Specifically, in an oral observation system that observes whether or not microorganisms are activated by detecting fluorescence from inside the patient's mouth, only when fluorescence is detected, that is, the activity of microorganisms is detected. It relates to an oral observation system that minimizes power consumption during the time when fluorescence is not detected by allowing the system to record or display observation information only when fluorescence is detected.

치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환자 또는 일반 사용자들의 구강 내부를 들여다 보고 치아 및 구강 전반에 대한 이상 여부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적지 않은 사업자들이 보다 편의성을 높인 구강용 관찰 장치들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비용과 인력을 투입하고 있다. Along with the social atmosphere of increasing interest in dental health, interest in devices that can look inside the mouth of patients or general users and check for abnormalities in the teeth and oral cavity through the display is also increasing, and many business operators are seeking to improve their health. A lot of money and manpower are being invested to develop oral observation devices with increased convenience.

한편, 종래는 물론 현재까지도 구강용 관찰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는데 이 장치들의 대부분은 작동 원리가 카메라와 같은 촬상수단으로 구강 내부를 반드시 촬영하여야만 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전력의 소모량이 많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휴대가 가능한 장치들이 다수 상품화 되고 있는데, 촬영 기반의 장치들은 사용시간이 길지 못하여 충전을 자주 해 주어야 하거나, 또는 그 밖에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데까지 걸리는 처리 시간이 다소간 늘어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Meanwhile, in the past and even to this day, various devices for oral observation are sold as commercial products. The operating principle of most of these devices is based on the need to photograph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using an imaging means such as a camera, so they are basically energy-efficient. It has the problem of high consumption. In particular, many portable devices have been commercialized recently, but photography-based devices do not last long and require frequent charging, or the processing time required to display them to the user on the display increases somewhat. There is a problem.

또 다른 한편, 종래의 장치들에서는 단순히 환자 또는 사용자의 구강 내부를 촬영하여 보여주는 것까지만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눈으로만 확인할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으며, 정확히 구강 내 어느 위치에 이상이 있는지, 미생물 활성도가 높은지를 전산적으로 기록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어 왔다.On the other hand, since conventional devices are only capable of taking pictures of the inside of a patient's or user's mouth and showing them,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y can only be confirmed visually, and it is necessary to know exactly where the abnormality is in the mouth and the level of microbial activity. There has also been a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computerically record the heigh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with an eye on this problem, and not only can solve the technical problems discussed above, but also provide additional technical elements that cannot be easily inv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has been don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2713호(2014.02.0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12713 (2014.02.03.)

본 발명은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한 구강 관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al observation system with minimal power consumption.

특히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 내 대상물, 예를 들어 치아 또는 치은 표면 등에 미생물 활성도에 따라 발생되는 형광이 감지될 때에만 구강 관찰 시스템으로 하여금 관찰정보를 생성하게 하고, 형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최소한의 전력만으로 구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ral observation system to generate observation information only when fluorescence generated according to microbial activity is detected on objects in the patient's oral cavity, such as teeth or gingival surfaces, and when fluorescence is not detected, at least The purpose is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by enabling operation with only power.

또한 본 발명은 구강 관찰 시스템 내에 자세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시킴으로써, 특히 사용자가 핸들링 할 수 있는 장치가 어떤 역학적 움직임을 보였는지는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한 자세 정보를 기초로 환자의 구강 내 어느 위치에서 형광이 감지되었는지에 대한 관찰정보를 매핑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yro sensor capable of measuring posture information in the oral observation system, specifically measuring the mechanical movement of the device that the user can handle, and measuring the patient's posture based on the measured posture information. Another purpose is to map observation information about where fluorescence was detected in the oral cavity and provide it to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구강 관찰 시스템은 대상물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대상물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 중 특정 대역만 통과시키는 광필터; 상기 광필터를 통과한 반사광을 감지하는 광센서; 및 상기 광센서에 의해 반사광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관찰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ow-power oral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that irradiates light toward an object; An optical filter that passes only a specific band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object; An optical sensor that detects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filter; and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observation information only when reflected light is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또한 상기 저전력 구강 관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찰정보는, 상기 반사광이 감지된 시점들과 대응되는 관찰점들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low-power oral observation system, the observation information may be a set of observation points corresponding to the viewpoints at which the reflected light is detected.

또한 상기 저전력 구강 관찰 시스템은 자이로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자이로센서는 사용자의 핸들링에 의해 변하는 상기 광센서의 역학적 운동과 대응되는 파라미터들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power oral observat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gyro sensor, where the gyro senso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parameters corresponding to the dynamic movement of the optical sensor that changes depending on the user's handling.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센서에 의해 반사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자이로센서에 의해 감지된 파라미터들과 상기 관찰정보를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관찰정보를 기 저장된 구강 이미지 상에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기 저장된 구강 이미지는 관찰의 대상이 되고 있는 환자의 구강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reflected light is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the parameters detected by the gyro sensor are mapped to the observation information, and further, the control unit maps the observation information to the pre-stored oral cavity. It may be characterized by overlapping on the image and displaying it to the user through a display means, and in this case, the previously stored oral image may be characterized as an oral image of the patient being observed.

또한 상기 저전력 구강 관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이로센서의 파라미터는, 임의 시점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동기화 조작에 의해 상기 구강 이미지 상의 가상 좌표들에 매핑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ow-power oral observation system, the parameters of the gyro sensor may be mapped to virtual coordinates on the oral image by the user's synchronization operation at an arbitrary point in time.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구강 관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강을 관찰하는 방법은 대상물을 향해 발광부로부터 빛을 조사하는 제1단계; 상기 대상물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의 수광 여부를 감지하는 제2단계; 반사광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관찰정보를 생성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observing the oral cavity using a low-power oral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irradiating light from a light emitting unit toward an object; A second step of detecting whether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object is received; A third step of generating observation information only when reflected light is detected; may include.

또한 상기 구강을 관찰하는 방법은 상기 저전력 구강 관찰 시스템 내 구비된 자이로센서를 환자의 구강 이미지에 동기화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ethod of observing the oral cavity may further include synchronizing the gyro sensor provided in the low-power oral observation system to the patient's oral image.

또한 상기 구강을 관찰하는 방법은 제3단계 이후, 상기 관찰정보를 상기 환자의 구강 이미지 상에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observing the oral cavity may further include, after the third step, overlapping the observation information on an image of the patient's oral cavity and displaying it to the user through a display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관찰 시스템의 전력 소모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에 따라 구강 관찰 시스템의 전부 또는 일부를 휴대형으로 소형화 하기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oral observation system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nd thus, it is advantageous to miniaturize all or part of the oral observation system to be port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형광의 감지 여부에 따라서만 신호의 처리를 수행하게 될 것이므로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터 처리가 매우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강 관찰 시스템의 즉각적인 응답성을 크게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only depending on whether fluorescence is detected, so data processing within the system can be performed very quickly, which h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immediate responsiveness of the oral observation system.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저장되어 있던 환자의 구강 이미지,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3D CT 이미지 상에 상기 관찰정보를 매핑시킴으로써 구강 내 어느 위치에서 형광이 감지되었는지, 즉 구강 내 어느 위치에 문제가 있는지를 사용자게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pping the observation information onto a previously stored oral image of the patient, preferably a 3D CT image of the patien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re the fluorescence was detected in the oral cavity, that is, where the problem is in the oral cavity. It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for users to understan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위 언급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유추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또 다른 기술적 효과가 있음을 이해한다.Meanwhile, it is understood that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that there are other technical effects within the range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an infer.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제1 실시에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관찰정보의 일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을 통해 획득한 관찰정보의 일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제3 실시예의 구강 관찰 시스템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와 기 저장되어 있던 환자의 3차원 CT 이미지를 비교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구강 관찰 시스템을 사용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n oral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observ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oral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ure 3 shows an oral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observ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oral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5 shows an oral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Figure 6 shows a comparison between an image captured by the oral observation system of the third embodiment and a previously stored 3D CT image of a patient.
Figure 7 shows step by step the process of using the low-power oral observ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s regarding the purpose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al effects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should not be construed or us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description, including embodiments, of this specification has various applications. Accordingly, any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to better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elow are only examples of possible implementations. Other functional blocks may be used in other implemen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dditionally, although one or mor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as individual blocks, one or more of the functional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ombination of various hardware and software components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Additionally, the expression including certain components is an “open” expression and simply refers to the presence of the components and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though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do.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을 도시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할 때 구강 관찰 시스템(100)은 크게 발광부(101), 광필터(103), 광센서(105), 및 제어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 shows an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largely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101, an optical filter 103, and an optical sensor. (105), and may include a control unit (107).

발광부(101)는 대상물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상기 발광부(101)는 빛을 발산시켜 대상물에 의해 반사광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는 한 그 구현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백색광 또는 청색광을 발산할 수 있는 것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380nm 내지 420nm의 청색광일 수 있다. 위 파장대역의 청색광은 대상물, 다시 말해 치아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 균열 등을 분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미생물의 대사과정 중에 생기는 물질 상에 조사되었을 때 상기 물질에 흡수된 후 최초 조사광과는 다른 고유한 빛의 광선으로 바뀌어 방사되는데, 예를 들어 치아의 미생물 대사 과정 중 생성되는 포피린이라는 물질에서는 380nm 내지 420nm의 청색광에 반응하여 형광 현상을 일으킨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은 대상물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광, 더 구체적으로는 형광이 감지될 때에만 장치를 활성화 시키고 해당 위치에 대한 관찰정보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고자 하는 것임을 이해한다. 다른 한편, 상기 발광부(101)는 백색광을 발산시키는 광원 주변에 일정 대역의 빛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둠으로써 설계자가 원하는 파장의 빛이 대상물을 향해 조사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부는 대상물을 향해 조사하고자 하는 빛의 파장 특성에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구강 관찰 시스템(100) 내에 두 개의 발광부(101A, 101B)가 구비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unit 101 is a component that irradiates light toward an object. There is no limit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as long as the light emitting unit 101 emits light and allows reflected light to be generated by the object, but is preferably white light. Alternatively, it may be capable of emitting blue light, more preferably blue light of 380 nm to 420 nm. Blue light in the above wavelength range can be used to distinguish objects, that is, microorganisms, cracks, etc. present on the surface of teeth. In particular, when irradiated on a material generated during the metabolic process of a microorganism, it is absorbed by the material and is the first irradiated light. It is converted into a unique ray of light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rays and is emitted. For example, a substance called porphyrin, which is produced during the microbial metabolic process in teeth, reacts to blue light of 380 nm to 420 nm and causes fluorescence. As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by activating the device only when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an object, more specifically fluorescence, is detected and generating observation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tting unit 101 can be implemented so that light of a wavelength desired by the designer is irradiated toward an object by placing a filter that passes only light in a certain band around the light source that emits white light. Additionally,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wavelength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to be irradiated toward the object. In the drawing, it can be seen that two light emitting units (101A, 101B) are provided in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다음으로 광필터(103)는 특정한 파장 대역의 빛을 차단하거나 그 정도를 조절하여 색의 특성이나 콘트라스트(contrast)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이 역시 설계자가 원하는 파장대역의 빛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한 그 구현 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다. 다만, 광필터(103)의 구현예로, 위 광필터(103)는 투명기판(플라스틱, 유리 등을 포함한 코팅 가능한 기판)에 고굴절률 및 저굴절률 물질을 사용하여 PVD(Physical Vapour Deposition) 기법으로 순차적 적층을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PVD는 물질의 고유한 투과, 반사, 흡수 성질을 이용하여 각 물질의 적층(코팅)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분광학적 특성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이 때 코팅물질의 종류에는 다양한 것이 활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굴절 물질로는 TiO2, Ti3O5, Ta2O5가 사용될 수 있고, 저굴절 물질로는 SiO2, ZrO2, Al2O3가 사용될 수 있다. 광필터(103)는 [고굴절/저굴절/고굴절…] 의 순으로 반복적인 증착을 하여 필터를 제작할 수 있으며, 층수는 20층에서 최대 50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optical filter 103 is a component that controls color characteristics or contrast by blocking light in a specific wavelength band or adjusting the degree thereof. This is also provided as long as it can filter light in the wavelength band desired by the designer.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However, as an example of the optical filter 103, the above optical filter 103 uses a high refractive index and low refractive index material on a transparent substrate (a coatable substrate including plastic, glass, etc.) using a 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technique. It can be implemented by sequential stacking. For reference, PVD creates desired spectroscopic characteristics by controlling the lamination (coating) thickness of each material using the material's unique transmission, reflection, and absorption properties. At this time, various types of coating materials can be used. , Preferably, TiO 2 , Ti 3 O 5 , and Ta 2 O 5 may be used as high-refractive materials, and SiO 2 , ZrO 2 , and Al 2 O 3 may be used as low-refractive materials. The optical filter 103 is [high refraction/low refraction/high refraction…] ] The filter can be manufactured by repeated deposition in the following order, and the number of layers can be from 20 to a maximum of 50 layers.

다른 한편, 본 발명에서의 광필터(103)는 특히 대상물로부터 위 발광부(101)에서 조사된 빛을 흡수한 뒤 다시 재발산 시킨 형광, 또는 반사광 중 미생물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파장대역의 빛만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필터(103)는 510±15nm 대역에서 평균투과율 20±5%, 560±30nm 대역에서 1%이하, 600 ~ 800nm 대역에서 평균투과율 85%이상의 분광 특성을 가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filter 103 in the present invention absorb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101 from the object and then re-emits fluorescence, or light in a wavelength band that can confirm the presence of microorganisms among the reflected light. It can be characterized as passing only. Preferably, the optical filter 103 may hav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an average transmittance of 20 ± 5% in the 510 ± 15 nm band, an average transmittance of 1% or less in the 560 ± 30 nm band, and an average transmittance of 85% or more in the 600 ~ 800 nm band.

상기 광필터(103)가 구비되는 위치는 후술하게 될 광센서(105)와 대상물 사이가 적합하며, 일 예시로 상기 광필터(103)는 광센서(105)의 전면에 접합된 형태의 것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광필터(103)의 구비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반드시 위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osition where the optical filter 103 is provided is suitable between the optical sensor 10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bject. As an example, the optical filter 103 may be bonded to the front of the optical sensor 105. It can be implemented. However, the location of the optical filter 103 may vary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다음으로 광센서(105)는 위 광필터(103)를 통과한 반사광, 더 정확하게는 반사광이 상기 광필터(103)에 의해 필터링 된 형광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형광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검출이 가능한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광센서(105)는 포토 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 cds 등의 소자로 구현될 수 있는데 위 소자들은 빛이 수신되었을 때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구동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전력이 소모되지 않고 있다가 빛이 감지되었을 때에만 전력 소모를 하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저전력의 장치를 구현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 상기 광센서(105)는 반드시 소자로만 구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련의 소자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보드 상에 미량의 전력만으로 활성화 상태에 있을 수 있는 광수신 소자를 둠으로써 하나의 광 감지용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모듈로 하여금 평상시에는 대기모드가 되어 최소한의 전력만으로 구동되고 빛이 감지될 때에만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전력을 소비하여 수신되는 빛의 파장대역, 빛의 세기 등 수신되는 빛에 대한 더 다양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Next, the optical sensor 105 is configured to detect reflected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ptical filter 103, or more precisely, fluorescence in which the reflected light has been filtered by the optical filter 103. It detects this fluorescence and converts it into an electrical signal. It can be implemented as a device capable of conversion detection. The optical sensor 105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with elements such as photo diodes, photo transistors, CDS, etc. These elements are driven by flowing current when light is received, and do not normally consume power. It can be used to implement a low-power devic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nsuming power only when light is detected. In another way, the optical sensor 105 may not necessarily be implemented only as an element, but may be implemented by placing a light receiving element that can be activated with only a small amount of power on a board made up of a series of elements. It can be implemented as a module for light detection, and this module is normally in standby mode and runs with only minimal power, and only consume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power when light is detected, so that the wavelength band of the received light, It is also possible to analyze more diverse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light, such as the intensity of the light.

다음으로 제어부(107)는 앞서 광센서(105)에 의해 반사광 내지 형광이 감지되는 경우 관찰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위 제어부(107)는 반드시 관찰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용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강 관찰 시스템(100)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볼 때 위 제어부(107)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 (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 (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 (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또한 위 제어부(107)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Next, the control unit 107 is configured to generate observation information when reflected light or fluorescence is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105. The above control unit 107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generating observation inform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entir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From a hardware perspective, the control unit 107 may also be called a controller, microcontroller, microprocessor, microcomputer, etc.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107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firm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implemented using hardware,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or a digital signal (DSP) is used. processor), DSPD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 (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etc., and when implemented using firmware or software, it is a module, procedure, or module that performs the above functions or operations. Firmware or softwar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functions, etc.

다른 한편, 도면에는 따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구강 관찰 시스템(100)에는 메모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쉬(flash) 메모리, SRAM(Static RA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in the drawings,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memory. At this time, the memory is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flash memory, SRAM (Static RAM), It can be implemented with HDD (Hard Disk Drive), SSD (Solid State Drive), etc.

이상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의 개략적인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았다.We have looked at the schematic configurations of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참고로, 앞서 설명한 구강 관찰 시스템(100)의 각 구성들은 모두 하나의 하우징 내에 구비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핸들링 할 수 있을 정도 또는 휴대할 수 있을 정도의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환자 또는 자신의 구강 내부를 들여다 보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는 제어부(107)에 의해 생성된 관찰정보가 외부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쉬운 예로, 상기 하우징은 사용자가 한 손에 쥐기 쉬운 형태의 원통형 하우징일 수 있으며, 하우징 내부에는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각 구성들이 모두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쉽게 환자 또는 자신의 구강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For reference, each component of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described above is all provided in one housing. For example, it is provided in a housing that can be handled or carried by a user, so that it can be used in the patient's or his or her mouth. It can be used to look inside. In some cases,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observ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07 to the outside. As an easy example, the housing may be a cylindrical housing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hold in one hand, and a battery for power supply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so that the user can easily It can be used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 his or her mouth.

또 다른 한편, 상기 구강 관찰 시스템(100)의 구성들 중 일부는 구분된 별개의 하우징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01), 광필터(103), 및 광센서(105)는 사용자가 핸들링 가능한 하우징 내에 구비된 것이고, 제어부(107)는 상기 하우징과 별개의 단말장치 내에 포함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들링 가능한 하우징과 별개의 단말장치 간에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수단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필요가 있고, 상기 별개의 단말장치에는 관찰정보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참고로, 상기 핸들링 가능한 하우징 내에는 상기 발광부(101), 광필터(103), 광센서(105)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쉬운 예로, 상기 핸들링 가능한 하우징은 사용자가 한 손에 쥐기 쉬운 형태의 원통형 하우징일 수 있으며, 하우징 내에는 배터리 또는 그 외 전력공급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 주변 공간에는 별개의 구분된 단말장치(예. 컴퓨터)가 존재하여 이 단말장치와 관찰정보 생성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may be included in separate housings.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unit 101, the optical filter 103, and the optical sensor 105 may be provided in a housing that can be handled by the user, and the control unit 107 may be included in a terminal device separate from the housing. there i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handleable housing and a separate terminal device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and the separate terminal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bservation information. Also, for referenc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handleabl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control means necessary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light emitting unit 101, the optical filter 103, and the optical sensor 105. As an easy example, the handleable housing may be a cylindrical housing that is easy for a user to hold with one hand, and a battery or other power supply means may be provided within the housing, and a separate terminal device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 around the user ( (e.g. computer) may exist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for generating observation information with this terminal device.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적어도 발광부(101), 광필터(103), 및 광센서(105)를 구비한 하우징을 파지한 채 발광부(101)로 하여금 환자 또는 사용자 자신의 구강 내부를 향하도록 조작할 수 있으며, 치아 또는 치은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형광이 유발(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유발된 형광을 반사광이라 칭하기도 함)되면, 이 형광이 광센서(105)에 의해 감지될 때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부(107)(이 때 제어부(107)는 핸들링이 가능한 하우징 내에 포함되어 구비된 것이거나 또는 핸들링이 가능한 하우징 외 별개의 공간에 구비된 것일 수 있음)가 관찰정보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using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user holds the light emitting unit 101 while holding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the light emitting unit 101, the optical filter 103, and the optical sensor 105. It can be manipulated to point towards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 user's own mouth, and when fluorescence is triggered by microorganisms present on the tooth or gingival surface (in this detailed description, the induced fluorescence is also referred to as reflected light), this fluorescence becomes By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when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105, the control unit 107 (here, the control unit 107 is included in a housing that can be handled or is provided in a separate space other than the housing that can be handled) may be used) can generate observation information.

구체적인 실시형태로, 사용자는 적어도 발광부(101), 광필터(103), 및 광센서(105)를 구비한 하우징을 파지한 채 자신의 구강 내부를 비출 수 있고, 이 때 특별히 반사광 내지 형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광센서(105)에 의해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것이므로 제어부(107)로서는 관찰정보를 생성하지 않을 것이며, 만일 반사광 내지 형광이 감지된 경우라면 광센서(105)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제어부(107)가 관찰정보를 생성하게 될 것이다. In a specific embodiment, the user can illuminate the inside of his or her oral cavity while holding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the light emitting unit 101, the optical filter 103, and the optical sensor 105, and at this time, reflected light or fluorescence is emitted. If it is not detected, the electrical signal will not be generated by the optical sensor 105, so the control unit 107 will not generate observation information, and if reflected light or fluorescence is detected,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optical sensor 105 will not be generated. The control unit 107 will generate observ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제어부(107)에 의해 생성되는 관찰정보의 일 예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An example of observ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07 is shown in FIGS. 2(a) and 2(b).

기본적으로 광센서(105)는 빛의 수신 여부만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발생시키지 않을 것이므로, 제어부(107)는 전기적 신호의 발생 여부에 대한 정보만을 참조할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이 경우 관찰정보는 도 2(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흑백의 패턴, 또는 1/0의 패턴 등 이진법으로 표출이 가능한 것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우징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부의 치아들 및 하부의 치아들을 순서대로 스캐닝 하였다고 가정할 때, 상부 치아들에 대한 관찰정보(P_upper) 및 하부 치아들에 대한 관찰정보(P_lower)는 시간 순서에 따라 도 2(a)에서와 같은 패턴으로 나타날 수 있다. 도면 중 “ON”이라 표시된 구간은 형광이 감지되어 광센서(105)가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킨 구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그 외의 구간들은 형광이 감지되지 않은 구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관찰정보는 대상물 상에 얼마나 많은 미생물이 활성화 상태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구강 관찰 시스템(100)의 설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치과의사는 도 2(a)의 패턴을 참고하여 얼마나 긴 구간에서 검은색 패턴이 나타났는지를 보고 환자의 치아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다. 참고로 도 2(a)에는 관찰정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배경으로 치아 이미지를 삽입하였으나, 실제 관찰정보는 배경의 치아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것으로 생성될 수 있다.Basically, the optical sensor 105 only detects whether or not light is received and generates or does not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accordingly, so the control unit 107 can only refer to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an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and thus this In this case, the observation information may take the form of something that can be expressed in binary form, such as a black and white pattern as shown in FIG. 2(a), or a 1/0 pattern.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user scans the upper and lower teeth in order while holding the housing, observation information for the upper teeth (P_upper) and observation information for the lower teeth (P_lower) may appear in the same pattern as in Figure 2(a) depending on the time sequence. The section marked “ON” in the drawing can be understood as a section in which fluorescence is detected and the optical sensor 105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and the other sections can be understood as sections in which fluorescence is not detected. This observation information can be used as data showing how many microorganisms are in an active state on the object, and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For example, a dentist can refer to the pattern in FIG. 2(a) and infer the patient's dental health by looking at how long the black pattern appears. For reference, in Figure 2(a), a tooth image is inserted in the background to help understand the observation information, but the actual observation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without the background tooth image.

다른 한편, 제어부(107)에 의해 생성되는 관찰정보는 도 2(a)와 같이 시간 순서에 따라 형광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 패턴형태가 아니라, 구강 내 특정 영역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센서(105)가 감지하였을 때 광센서(105)를 이루고 있는 다수의 광다이오드(이 때 광다이오드는 하나의 화소에 대응될 수 있음) 중 형광을 감지한 광다이오드에 대응되는 부분만을 흑색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b)에는 이러한 원리에 따라 생성된 관찰정보의 일 예시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찰정보에는 형광이 감지된 지점들이 검은 일점들 또는 검은 픽셀들의 집합체(Q)로 표시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b)의 배경에 흐리게 도시되어 있는 치아 도면은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실제 제어부(107)가 광센서(105)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생성하는 관찰정보는 검은 일점들 또는 검은 픽셀들의 집합만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음을 이해한다. 또한, 참고로 일반적으로는 광센서(105)에 의해 감지한 빛의 색깔까지를 식별해 내기 위하여 장치 내에 RGB필터를 더 구비시키고 사후적으로 빛의 색깔을 디스플레이 상에 재현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신호처리를 하는 기술이 존재하나, 본 발명에서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그리고 형광이 감지된 위치점만 알면 되는 것이지 굳이 색깔을 식별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추가적인 RGB필터는 구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찰정보가 사용자에게 표시될 때에는 흑백으로만 표시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bserv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07 is not in the form of a pattern indicating whether fluorescence was detected in chronological order as shown in FIG. 2(a), but reflects light from a specific area in the oral cavity using the optical sensor 105. When detected, only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photodiode that detected fluorescence among the plurality of photodiodes forming the optical sensor 105 (at this time, the photodiode may correspond to one pixel) can be displayed in black. . Figure 2(b) shows an example of observation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is principle. As shown in Figure 2(b), the observation information includes points where fluorescence is detected as black dots or a collection of black pixels ( It can be displayed as Q). For reference, the tooth drawing shown blurred in the background of FIG. 2(b) is to aid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and the actual observ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07 by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optical sensor 105 is a black dot. Understand that it may consist of only a collection of pixels or black pixels. Also, for reference, in general, an RGB filter is provided in the device to identify the color of light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105, and additional signal processing is performed to reproduce the color of light on the display afterward. Although there is a technology that does th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not providing an additional RGB filter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because it only needs to know the location where fluorescence was detected and there is no need to identify the color. Accordingly, when observ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o the user, it may be displayed only in black and white.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의 제어부(107)가 별개의 단말기로 구현된 것이어서 제어부(107)가 더 높은 수준의 데이터 처리를 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상기 제어부(107)는 광센서(105)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들을 수신하고, 이 전기적 신호들을 기초로 관찰정보를 생성하되 기 저장되어 있는 환자(관찰 대상인 환자)의 치아 이미지 상에 상기 전기적 신호에 대응되는 지점들을 표시가 된 상태의 관찰정보까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7)는 환자의 치아 이미지 상에 단순히 검은 일점들 또는 검은 픽셀들의 집합체(Q)들을 중첩시킴으로써 관찰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환자의 치아 이미지와 상기 광센서(105)에 의해 감지된 영역을 매칭시킨 후 실제 형광이 감지된 부분들을 환자의 치아 이미지 상에 매핑시킨 상태의 관찰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환자의 치아 이미지와 상기 광센서(105)에 의해 감지된 영역을 매칭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것들이 존재할 수 있겠으나, 일 예로는 기 저장되어 있던 환자의 치아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복수 개의 추출점들, 그리고 광센서(105)에 의해 감지된 영역으로부터 추출 가능한 윤곽을 매칭시키는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trol unit 107 of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implemented as a separate terminal, and in an environment in which the control unit 107 can perform higher level data processing, the control unit 107 Receives electrical signals from the optical sensor 105, generates observ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se electrical signals, and displays points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signals on the previously stored tooth image of the patient (patient subject to observation). Observ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state can b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user.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07 may generate observation information by simply overlapping black dots or a collection of black pixels (Q) on the patient's tooth image, or by using the patient's tooth image and the optical sensor 105. After matching the detected area, observation information can be generated by mapping the areas where actual fluorescence was detected onto the patient's tooth image. At this time, there may be various methods for matching the patient's tooth image with the area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105, but one example is a plurality of extraction points extracted from a previously stored tooth image of the patient, Additionally, a method of matching a contour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area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105 may be possible.

이상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 그리고 이를 통해 생성되는 관찰정보의 예시들을 살펴보았다.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we looked at examples of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observa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it.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을 도시한 것이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이로센서(10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핸들링이 가능한 하우징을 파지한 상태에서 구강 내부를 관찰하는 행위를 할 경우, 그 행위에 수반되는 역학적 움직임을 자이로센서(109)로 측정함으로써 현재 사용자가 구강 내 어느 지점을 관찰하고 있는지를 기 저장되어 있든 3차원 구강 이미지와 연계하여 추정하고, 위 3차원 구강 이미지와 광센서(105)에 의해 감지된 영역을 매칭시켜 3차원 구강 이미지 상에 형광이 감지된 지점을 표시한 관찰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ure 3 shows an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gyro sensor 109. Briefly looking at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when a user observes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while holding a housing that can be handled, the mechanical movement accompanying the action is performed. By measuring with the gyro sensor 109, the point in the oral cavity that the user is currently observing is estimated in conjunction with the previously stored 3D oral image, and the area detected by the above 3D oral image and the optical sensor 105 It is characterized by matching to generate observ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point where fluorescence was detected on the 3D oral image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이로센서(109)를 더 포함하는 점에 대해서 언급하였는데, 자이로센서(109)는 스핀축에 직교하는 1개 이상의 축 주위의 관성 공간을 기준으로 각운동을 측정하는 원리에 기초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핸들링에 의해 변하는 상기 하우징의 역학적 운동,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상기 하우징 내 구비되어 있는 광센서(105)의 역학적 운동과 대응되는 파라미터들을 감지 내지 측정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It was mentioned that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gyro sensor 109, and the gyro sensor 109 is an inertial space around one or more axes orthogonal to the spin axis. Based on the principle of measuring angular motion based on It can be understood as a composition that does.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핸들링 가능한 하우징을 파지한 채 환자 또는 자신의 구강 내부를 관찰하는 행위를 할 수 있으며, 관찰 중 광센서(105)가 형광을 감지하는 경우 광센서(105)는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07)로 하여금 관찰정보를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되는 관찰정보의 일 예시로, 상기 관찰정보는 상기 광센서(105)가 형광을 감지한 시점에 획득한 자이로센서(109)의 파라미터들, 그리고 상기 자이로센서(109)의 파라미터들에 매핑되는 3차원 구강 이미지의 위치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실시예에서의 관찰정보는 사용자가 구강 관찰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구강 내부를 관찰하는 중 형광이 감지되면 해당 시점에 구강 내부의 어느 부위를 관찰하고 있었는지를 자이로센서(109)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형광 감지 시점에서의 자이로센서(109) 파라미터들, 그리고 기 저장되어 있던 3차원 구강 이미지의 위치점들을 매핑한 형태의 것일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3차원 구강 이미지는 고유의 좌표계를 가질 수 있으며, 위 좌표계 상에서의 임의의 점은 각각 서로 다른 위치를 가리키는 것으로서 상기 자이로센서(109)의 파라미터들에 의해 정의되는 일점과 상호 매핑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한다.When using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user can observe the inside of the patient's or his own mouth while holding the handleable housing, and the optical sensor 105 fluoresces during observation. When detecting, the optical sensor 105 can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to allow the control unit 107 to generate observation information. As an example of the observation information generated at this time, the observa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parameters of the gyro sensor 109 acquired at the time the optical sensor 105 detects fluorescence, and the parameters of the gyro sensor 109. It may include location points of the mapped 3D oral image. In other words, the observation informa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is a gyro sensor ( It may be in the form of mapping the parameters of the gyro sensor 109 at the time of fluorescence detection and the location points of the previously stored 3D oral image so that they can be confirmed through 109). For reference, the three-dimensional oral image mentioned in this detailed description may have a unique coordinate system, and any point on the above coordinate system points to a different location, and is a point defined by the parameters of the gyro sensor 109. Understand that it can be mapped to each other.

한편, 상기 관찰정보가 사용자에게 표시될 때에는, 3차원 구강 이미지 상에 앞서 형광이 감지된 시점에서의 위치점들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환자 또는 자신의 구강 내부 어느 위치에 미생물이 활성화 상태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을 통해 생성된 관찰정보가 자이로센서(109)의 파라미터들을 매개로 3차원 구강 이미지 상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좌측은 광센서(105)에 의해 치아 표면에서 형광이 감지된 점들을 표시한 것이며, 우측은 3차원 구강 이미지 상에 앞서의 형광이 감지된 점들과 매핑된 위치점들이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Meanwhile, when the observ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o the user, the location points at the time when fluorescence was detected are displayed on the 3D oral image, allowing the user to easily determine where the microorganisms are active in the patient's or his or her mouth. You can make it understandable. Figure 4 shows observation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isplayed on a three-dimensional oral image using the parameters of the gyro sensor 109. The left side of Figure 4 shows the points where fluorescence was detected on the tooth surface by the optical sensor 105, and the right side shows the points where previous fluorescence was detected and the mapped location points on the 3D oral image. It was done.

참고로,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본격적인 구강 관찰 행위를 하기 전 임의 시점에서의 자이로센서(109) 파라미터, 즉 광센서(105)가 어느 자세에 있는지를 정의하고, 이 시점에서의 자이로센서(109) 파라미터가 3차원 구강 이미지의 어느 위치에 대응되는지를 동기화 할 필요가 있다. 동기화를 위해서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동기화 가이드 안내를 함으로써, 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구강 내부의 임의 지점(들)에 광센서(105)를 향하도록 하우징의 자세를 잡도록 하고, 그 상태에 이르렀을 경우 동기화를 위한 명령어 입력을 유도(예: 사용자로 하여금 하우징에 구비된 버튼을 누르게 함)함으로써 특정 자세에서의 자이로센서(109) 파라미터들과 3차원 구강 이미지의 위치를 동기화 할 수 있다. For reference, when attempting to use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user must determine the parameters of the gyro sensor 109 at any point in time before performing a full-scale oral observation, that is, the posture of the optical sensor 105. It is necessary to define whether the gyro sensor 109 parameters at this point correspond to which position of the 3D intraoral image. For synchronization, for example, by providing a synchronization guide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more specifically, by directing the user to position the housing to point the optical sensor 105 at a random point(s) inside the oral cavity through the display unit, , When that state is reached, the location of the 3D oral image is synchronized with the parameters of the gyro sensor 109 in a specific posture by inducing a command input for synchronization (e.g., having the user press a button provided on the housing). can do.

이상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에 대해 살펴보았다.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as examin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bove.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의 구성들을 도시한 것으로, 제2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본 구강 관찰 시스템(100)은 보정부(1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gure 5 shows the configurations of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Compared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further includes a correction unit 111. .

앞선 실시예에서는 구강 관찰 시스템(100) 내에 자이로센서(109)가 구비되고, 자이로센서(109)에 의해 획득된 파라미터들, 즉 하우징 또는 광센서(105)의 자세정보를 참조로 하여 3차원 구강 이미지 내에 어느 위치에서 형광이 감지되었는지를 표시할 수 있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자이로센서(109)는 사용을 거듭할수록 오차가 발생하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종국에는 정확한 관찰정보를 생성하거나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gyro sensor 109 is provided in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nd the three-dimensional oral cavity is measured with reference to the parameters acquired by the gyro sensor 109, that is,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housing or the optical sensor 105. It was explained that it is possible to display where fluorescence was detected within an image. However, in general, as the gyro sensor 109 is used, errors occur and problems arise, and as a result, there is a risk that the gyro sensor 109 will eventually be unable to generate or provide accurate observation information.

제3 실시예에서 더 추가된 구성인 보정부(111)는 바로 이러한 자이로센서(109)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자이로센서(109)가 측정할 수 있는 파라미터들만을 기초로 하여서는 3차원 구강 이미지 내에서 정확한 위치점과 매핑시키는 것이 담보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어부(107)로 하여금 추가적인 정보를 더 참조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매핑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correction unit 111, which is a further added component in the third embodiment, is intend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gyro sensor 109, and is based only on the parameters that the gyro sensor 109 can measure. This can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apping by allowing the control unit 107 to refer to additional information in a state where mapping to an exact location point within the image is not guaranteed.

자이로센서(109)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론에는 다양한 것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굳이 보정부(111)의 구체적인 기능을 특정 방법으로 한정하고자 하지 않음을 이해한다. 다만, 한 가지 바람직한 방법으로, 상기 보정부(111)는 두 개의 이미지를 비교하고, 그 이미지의 유사도를 측정함으로써 자이로센서(109)에 의해 얻어진 파라미터들을 보정할 수 있다. It is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a variety of methodologies for correcting errors generated by the gyro sensor 109, and that this detailed description does not necessarily limit the specific function of the correction unit 111 to a specific method. However, in one preferred method, the correction unit 111 can correct the parameters obtained by the gyro sensor 109 by comparing two images and measuring the similarity of the images.

구체적으로, 보정부(111)는 3차원 구강 이미지의 임의 영역과 상기 광센서(105)에 의해 감지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촬영된 일 영역을 비교해 봄으로써 현재 자이로센서(109)에 의해 획득된 파라미터들, 즉 하우징 또는 광센서(105)의 자세정보가 정확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하우징의 역학적 움직임은 곧 자이로센서(109)에 의해 획득된 파라미터들로 측정될 수 있고, 이 파라미터들은 사전에 매핑되어 있는 3차원 구강 이미지 내 특정 부분과 대응될 것인데, 자이로센서(109)의 오차에 의해 앞서 획득된 파라미터들이 3차원 구강 이미지의 잘못된 부분과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위 보정부(111)가 더 제안된 것이다. 즉, 보정부(111)는 자이로센서(109)가 획득한 파라미터와 매핑되는 3차원 구강 이미지, 그리고 현재 광센서(105)에 의해 감지 내지 촬영된 환자의 실제 구강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게 함으로써 자이로센서(109)가 측정한 파라미터들(자세정보)이 정확한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게 한다. Specifically, the correction unit 111 compares a random area of the three-dimensional oral image with an area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105 or, in some cases, captured by the gyro sensor 109.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arameters, that is, the posture information of the housing or the optical sensor 105, are accurate. The dynamic movement of the housing by the user can soon be measured with parameters acquired by the gyro sensor 109, and these parameters will correspond to specific parts in the three-dimensional oral image that are pre-mapped. The above correction unit 111 was further proposed to prevent previously acquired parameters from being judged to correspond to incorrect parts of the 3D oral image due to an error in ). That is, the correction unit 111 compares the 3D oral image mapped with the parameters acquired by the gyro sensor 109 and the actual oral image of the patient currently detected or photographed by the optical sensor 105, thereb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arameters (posture information) measured by (109) are accurate.

한편, 보정부(111)는 단순히 자이로센서(109)의 오차를 판별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오차를 보정하는 역할까지 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정부(111)는 광센서(105)가 형광을 감지한 시점에 획득한 이미지(구별을 쉽게 하기 위해 제1이미지라 칭함. 이 때의 제1이미지는 광센서(105)에 의해 획득된 것이거나 또는 별도의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것일 수 있음)를 참조하여 3차원 구강 이미지 내에서 상기 제1이미지와 대응되는 이미지(이하 제2이미지라 칭함)를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하여 탐색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탐색된 제2이미지와 매핑되는 자이로센서(109) 파라미터, 즉 자이로센서(109)가 올바르게 측정하였다면 얻었을 자세정보를 제어부(107)에 제공함으로써 제어부(107)로 하여금 자이로센서(109)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게 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rrection unit 111 not only serves to determine the error of the gyro sensor 109, but also may serve to correct the error. As an example, the correction unit 111 uses an image acquired at the time the optical sensor 105 detects fluorescence (referred to as the first image for easy distinction. The first image at this time is obtained by the optical sensor 105.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image) can be searched through image processing within the three-dimensional oral image (which may be acquired or acquired by a separate imaging unit). In this way, the gyro sensor 109 parameters mapped to the searched second image, that is, the posture information that would have been obtained if the gyro sensor 109 had measured correctly, are provided to the control unit 107, allowing the control unit 107 to use the gyro sensor ( 109) errors can be corrected.

도 6은 보정부(111)가, 광센서(105)가 형광을 감지하는 시점에 획득된 제1이미지와 3차원 구강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이미지와 대응되는 이미지(제2이미지)를 비교 탐색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할 때, 보정부(111)는 비교 과정에서 제1이미지로부터 복수 개의 특징점들(F)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들 특징점들과 3차원 구강 이미지 내에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특징점들(F’)을 매칭시켜가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제2이미지를 탐색할 수 있다. 참고로, 이미지 내 특징점은 다양한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점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치아와 치은의 경계선 중 변곡점, 측면의 치아와 접하는 점, 측면의 치아와 이격되기 시작하는 점 등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설정된 조건들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것일 수 있다. Figure 6 shows that the correction unit 111 compares and searches for an image (second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from the first image obtained at the time the optical sensor 105 detects fluorescence and the 3D oral image. It shows the appearance. Referring to FIG. 6, the correction unit 111 may define a plurality of feature points (F) from the first image during the comparison process, and these feature points and feature points (F) showing similar patterns in the three-dimensional oral image. You can search for the second image by repeating the process of matching '). For reference, a feature point in the image may be a point that satisfies any one of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inflection point on the boundary between the tooth and the gingiva, the point in contact with the tooth on the side, the point where the tooth begins to separate from the tooth on the side, etc., as intended by the designer. It may satisfy one of the conditions set according to .

이상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까지 알아 보았다.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we looked into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7은 저전력으로 설계된 구강 관찰 시스템(100)을 사용하여 실제 구강을 관찰하는 방법을 나열한 것이다. 참고로 도 7의 예시적인 방법은 발광부(101), 광필터(103), 광센서(105), 및 제어부(107)가 핸들링 가능한 하우징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07)에 의해 생성된 관찰정보가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별도의 데이터 처리용 단말기(컴퓨터)로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구강 내부 모습을 관찰할 수 있게 한 환경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7 lists a method of observing the actual oral cavity using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designed for low power. For reference, the exemplary method of FIG. 7 includes a light emitting unit 101, an optical filter 103, an optical sensor 105, and a control unit 107 provided in a handleable housing, and the observ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07.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separate data processing terminal (computer) through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and the explanation will be made assuming that the information is provided in an environment that allows the user to observe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through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omputer.

도 7을 참조할 때, 관찰 방법은 가장 먼저 발광부(101)를 제어하여 대상물을 향해 빛을 조사하게 하는 단계(S101)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S101 단계는 사용자가 하우징 외측면에 구비된 전원 버튼을 누름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observation method may first begin with a step (S101) of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101 to irradiate light toward an object. Step S101 can be started by the user pressing the power button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S101단계 이후, 광센서(105)는 대상물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 또는 대상물에 의해 발산된 형광의 수광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102)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단계에서의 감지 여부 결과 실제 반사광 또는 형광이 수신된 경우에만 제어부(107)가 관찰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3)로 진행할 수 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여 언급하지만 본 발명은 반사광 또는 형광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S102단계에서 별다른 빛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체 시스템이 대기모드에 있을 수 있다. After step S101, there may be a step (S102) in which the optical sensor 105 detects whether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object or fluorescence emitted by the object is received, and the result of detection in this step is actual reflected light or fluorescence. Only when this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07 can proceed to step S103 of generating observation information. It is emphasized once agai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when reflected light or fluorescence is not detected, and when no light is detected in step S102, the entire system may be in standby mode.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관찰 방법은 상기 구강 관찰 시스템(100) 내에 자이로센서(109)가 구비되어 있음을 전제로, 상기 자이로센서(109)를 관찰 대상이 되는 자(환자)의 구강 이미지에 동기화 시키는 단계(S1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단계는 S101단계보다 더 앞서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동기화 조작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7)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이 있을 때 해당 입력 시점에서의 자이로센서(109) 파라미터들, 그리고 기 저장되어 있는 환자의 구강 이미지 내 좌표를 매칭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제2 실시예에 따른 구강 관찰 시스템(100)에서는 동기화 과정에 대하여 설명을 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ral observ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umes that a gyro sensor 109 is provided in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nd uses the gyro sensor 109 to image the oral cavity of a person (patient) to be observed. A synchronization step (S100) may be further included. For reference, this step is preferably performed before step S101, and can be performed by the user's synchronization input. Specifically, when there is an input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107 matches the parameters of the gyro sensor 109 at the time of the input and the coordinates in the previously stored oral image of the patient. Since the synchronization process was previously described in the oral observ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관찰 방법은 상기 S103단계 이후, 제어부(107)가 생성한 관찰정보를 상기 환자의 구강 이미지 상에 오버랩 시켜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04)On the other hand, the oral observ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fter step S103, overlapping the observ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07 on the patient's oral image and displaying it to the user through a display means. there is. (S104)

이상 저전력 구강 관찰 시스템 및 이를 사용하여 구강을 관찰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We looked at the low-power oral observation system and how to observe the oral cavity using it.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application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it is possible, but these modified implement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separately from the technical idea or outlook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구강 관찰 시스템
101A, 101B 발광부
103 광필터
105 광센서
107 제어부
109 자이로센서
111 보정부
100 Oral Observation System
101A, 101B light emitting unit
103 optical filter
105 optical sensor
107 control unit
109 Gyro sensor
111 Compensation unit

Claims (1)

저전력 구강 관찰 시스템에 있어서,
대상물을 향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대상물에 의해 반사된 반사광 중 특정 대역만 통과시키는 광필터;
상기 광필터를 통과한 반사광을 감지하는 광센서; 및
상기 광센서에 의해 반사광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관찰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물은 특정 환자의 치아들이고,
상기 관찰정보는 상기 특정 환자의 치아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게 하는 흑백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구강 관찰 시스템.
In a low-power oral observation system,
A light emitting unit that irradiates light toward an object;
An optical filter that passes only a specific band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object;
An optical sensor that detects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filter; and
a control unit that generates observation information only when reflected light is detected by the optical sensor;
Including,
The objects are the teeth of a specific pati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observation information is a black and white pattern that allows inferring the dental health status of the specific patient.
Low-power oral observation system.
KR1020220083331A 2020-02-26 2022-07-06 Low Power designed Oral Observation System KR1026307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331A KR102630786B1 (en) 2020-02-26 2022-07-06 Low Power designed Oral Observ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523A KR102419660B1 (en) 2020-02-26 2020-02-26 Low Power designed Oral Observation System
KR1020220083331A KR102630786B1 (en) 2020-02-26 2022-07-06 Low Power designed Oral Observation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523A Division KR102419660B1 (en) 2020-02-26 2020-02-26 Low Power designed Oral Observ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669A KR20220103669A (en) 2022-07-22
KR102630786B1 true KR102630786B1 (en) 2024-01-30

Family

ID=777850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523A KR102419660B1 (en) 2020-02-26 2020-02-26 Low Power designed Oral Observation System
KR1020220083331A KR102630786B1 (en) 2020-02-26 2022-07-06 Low Power designed Oral Observation System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523A KR102419660B1 (en) 2020-02-26 2020-02-26 Low Power designed Oral Observ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19660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165B1 (en) * 2017-11-14 2018-06-27 김희권 Dental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93932A4 (en) 2011-04-08 2014-08-27 Carestream Health Inc Intra oral camera having a liquid lens for image stabilization
KR20170101589A (en) * 2016-02-29 2017-09-06 주식회사 아이오바이오 Fluorescent filter and optical device for dental scanning
JP6938409B2 (en) * 2018-03-16 2021-09-22 株式会社Nttドコモ Intracavitary photo generator and intracavitary photo gener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165B1 (en) * 2017-11-14 2018-06-27 김희권 Dental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668A (en) 2021-09-03
KR102419660B1 (en) 2022-07-12
KR20220103669A (en)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9519B2 (en) Injection device and a supplemental device configured for attachment thereto
JP2019523064A5 (en)
JP6786424B2 (en) 3D scanner
CA2658907C (en) Apparatus for measuring an analyte in an eye fluid
CN105228678B (en) Sensor device with OLED
JP5675783B2 (en) Portable vision test device and its calibration
JP6454489B2 (en) Observation system
EP3274675B1 (en) A dental imaging and illumination device
CN111465345B (en) Skin sensor
US20200038154A1 (en) Combined model scanning and oral cavity scanning apparatus
CN101822526A (en) Mensuration system in determinator and the oral cavity in the oral cavity
CN108463712A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ample osmotic pressure
CN116829057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ultispectral 3D imaging and diagnosis of tissue and methods therefor
US202203546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tooth surfaces
KR101783712B1 (en) Mirror device for skin diagnosis
US11983873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rrel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2D-image to a 3D-representation of at least a part of tooth
WO2017029670A1 (en) Intra-oral mapping of edentulous or partially edentulous mouth cavities
CN106606353B (en) Tooth self-checking system and its self checking method
KR102630786B1 (en) Low Power designed Oral Observation System
KR102573669B1 (en) Method and device for early caries detection
US202303004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measure of photobleaching of a fluorescence target
CN207506655U (en) A kind of device for detecting dental surface state
Hyttinen Oral and dental spectral imaging for computational and optical visualization enhancement
RU2779049C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on of early caries
US2024018542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rrel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2d-image to a 3d-representation of at least a part of too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