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482B1 -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 Google Patents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482B1
KR102630482B1 KR1020210059903A KR20210059903A KR102630482B1 KR 102630482 B1 KR102630482 B1 KR 102630482B1 KR 1020210059903 A KR1020210059903 A KR 1020210059903A KR 20210059903 A KR20210059903 A KR 20210059903A KR 102630482 B1 KR102630482 B1 KR 102630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holder
holder member
members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9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52685A (en
Inventor
윤여관
Original Assignee
코리아알프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알프스(주) filed Critical 코리아알프스(주)
Priority to KR1020210059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482B1/en
Publication of KR20220152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26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4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lamping member acted on by screw or nu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부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접속 홀더; 상기 접속 홀더의 내부에 구비되는 접속 클립; 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홀더는 상기 접속 클립이 구비되도록 서로 착탈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홀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클립은 한쌍을 이루는 접속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홀더 부재의 안쪽에는 상기 접속 클립의 접속 부재가 개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이 복수로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body; One or more connection holders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body; a connection clip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holder; The connection holder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 members that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clip is provided, and the connection clip includes a pair of connection members, and the connection clip is located inside the holder member.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may be provided in which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for individually storing connection members are formed.

Description

전기 접속 커넥터{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본 발명은 보호 기능 및 착탈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용량 증설을 할 수 있는 전기 접속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that has a protective function,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d can easily expand capacity.

일반적으로, 전동기 제어반(MCC : Motor Control Center)(또는 배전반)은 산업현장이나 공장 등에 설치되어서 발전소나 변전소에서 보내진 전력을 수용가에게 수,배전시 전기 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차단기나 보호 계전기 등과 같은 기기를 부착,지지하는 구조물과, 기기를 접속 및 연결시키는 도체물로 이루어져 있다.Generally, a motor control center (MCC) (or switchboard) is installed at industrial sites or factories and is used to monitor, control, and protect the electric system when receiving and distributing power sent from a power plant or substation to consumers. It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attaches and supports devices such as circuit breakers and protection relays, and conductors that connect and connect the devices.

이러한 제어반은 각종 기기와 전기 회로 및 전력 케이블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고압 전기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함체 구조로 제작된다.This control panel protects various devices, electric circuits, and power cables, provides convenience in use, and is manufactured with an enclosure structure to safely protect users from high-voltage electricity.

여기서, 제어반은, 함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되면서 전기 접속 및 해제가 가능한 수납 유니트가 갖추어지고, 이러한 수납 유니트는 제어반의 높이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control panel is equipped with a storage unit tha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while sliding inside the enclosure, and a plurality of such storage units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control panel.

또한, 상기 수납 유니트에는 차단기 등과 같은 부품과,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서 각 전기 장치로 보내도록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전기 접속 커넥터는 외부로부터 부스바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서 전기 공급을 받아 각종 부품에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is equipped with components such as circuit breakers and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s that receive external power and send it to each electrical device. Thes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bar from the outside to receive electricity and connect various components. You can have it delivered to .

따라서, 전기 접속 커넥터의 전기적 접속 상태가 흔들림없이 양호한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maintains good contact without shak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적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보호하는 기능 및 각 부품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용량 증설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전기 접속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that has a protection function to ensure electrical stability, allows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of each part, and can easily expand capacity.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부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접속 홀더; 상기 접속 홀더의 내부에 구비되는 접속 클립; 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홀더는 상기 접속 클립이 구비되도록 서로 착탈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홀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클립은 한쌍을 이루는 접속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홀더 부재의 안쪽에는 상기 접속 클립의 접속 부재가 개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이 복수로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The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or body; One or more connection holders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body; a connection clip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holder; The connection holder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 members that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clip is provided, and the connection clip includes a pair of connection members, and the connection clip is located inside the holder member.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may be provided in which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for individually storing connection members are 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기적 공급을 위해 부스바와 접속되는 접속 클립을 최대한 감싸는 구조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고, 접속 클립을 감싸는 접속 홀더를 복수의 홀더 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분해 조립 및 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connection clip connected to the busbar for electrical supply as much as possible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connection holder surrounding the connection clip is detachably combined with a plurality of holder members to ensure disassembly and assembly and electrical stability. It can be improved.

홀더 부재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 홀더 부재와 제2 홀더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접속 클립은 한쌍을 이루면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접속 부재와, 접속 부재의 일단부 사이에 끼워져서 접속되는 접속 도체를 포함하며, 제1 홀더 부재와 제2 홀더 부재의 안쪽에는 복수의 접속 부재가 개별적으로 수납되는 수납홈이 복수로 형성되고, 수납홈간에는 격벽이 마련되어서 수납되는 접속 부재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발생되지 않도록 격리되게 할 수 있어 접촉에 따른 전기적 맥동 현상이나 전기적 저항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The holder member may include a first holder member and a second holder member that are detachably provided from each other, and the connection clip is connected by being inserted between a connection member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hile forming a pair, and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It includes a connecting conductor, and a plurality of storage grooves in which the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are individually stored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 members, and a partition is provided between the storage grooves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stored connection members. It can be isolated so that it does not occu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electrical pulsation or electrical resistance heat due to contact.

또한, 홀더 부재안에 삽입되는 접속 클립의 접속 부재는 접점부만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홀더 부재에 의해 덮혀지므로,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원하지 않는 전기적 접촉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connection clip inserted into the holder member exposes only the contact portion, and all remaining parts are covered by the holder member, so contact with the outside can be blocked, thereby preventing unwanted electrical contact. Therefore, electrical stability can be improved.

제1 홀더 부재와 제2 홀더 부재는 서로 길이를 달리하여 제1 홀더 부재에 비해 제2 홀더 부재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공간부를 확보하고, 제1 홀더 부재의 일측면에는 너트가 헛돌지 않게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접속 클립의 접속 도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서 볼트를 관통 삽입하고 전선을 볼트에 끼운후 너트와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The first holder member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have different lengths, so that the length of the second holder member is shorter than that of the first holder member to secure a space, and the nut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rst holder member to prevent it from spinning loosely. An insertion groove is formed, and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on conductor of the connection clip, so that the bolt can be inserted through and the wire inserted into the bolt and then easily combined with the nut.

보호 케이스의 전면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에는 각각 막음 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마련된 구조로서, 개구부를 통해 전선이 인출되며, 필요에 따라 개구부의 막음 부재를 제거하여 적절한 개수의 개구부를 통해 접속 클립 및 접속 클립과 접속되는 전선을 인출되게 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on the front of the protective case, and each opening is provided with a separable blocking member. Electric wires are drawn out through the openings, and when necessary, the blocking members of the openings are removed and connected through an appropriate number of openings. The clip and the wi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lip can be pulled out.

본 발명은 보호 케이스, 받침 부재, 접속 커버, 접속 홀더 및 접속 클립을 모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분해 조립이 용이하고 수리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필요시 용량 증설시에도 간편하게 접속 클립과 접속 홀더를 교체하여 구비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ase, support member, connection cover, connection holder, and connection clip can all be detachably combined, so disassembly and assembly are easy, repair and maintenance are easy, and when necessary, the connection clip and connection clip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when capacity is expanded. It can be provided by replacing the connection holder.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면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호 케이스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면 전체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호 케이스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접속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접속 홀더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접속 홀더에 전선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접속 홀더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접속 홀더의 분리 사시도로서, 도 10과 다른 측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접속 클립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홀더 부재안에 접속 클립이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으로부터 접속 클립이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홀더 부재의 수납홈안에 접속 클립이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홀더 부재안에 접속 클립이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으로부터 접속 클립이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홀더 부재의 수납홈안에 접속 클립이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를 MCC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의 정면도이다.
Figure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ack-to-back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eparated state.
Figure 4 is an overal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overal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rotectiv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front view showing an electric wire fastened to the connection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different side from Figure 10.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cli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clip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hold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3 with the connection clip inserted.
Figure 15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on clip inserted into the storage groove of the first hold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clip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hold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6 with the connection clip inserted.
Figure 18 is a front view of the connection clip inserted into the storage groove of the second holder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MCC.
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front view of a connection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커넥터 본체(100), 커넥터 본체(100)의 내부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접속 홀더(2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or body 10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one or more connection holders 200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body 100.

접속 홀더(200)의 내부에는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속 클립(300)이 구비될 수 있다. A connection clip 300 for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holder 200.

커넥터 본체(100)는 보호 케이스(110)와 접속 홀더(200)를 수용할 수 있는 접속 커버(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or body 100 may include a protective case 110 and a connection cover 120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onnection holder 200.

접속 홀더(200)는 커넥터 본체(100)의 접속 커버(120)안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00)의 접속 커버(120)안에 접속 홀더(200)를 복수로 마련하는 경우, 예를 들어 4개의 접속 홀더(200)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접속홀더(200)의 색상을 달리하여 마련할 수 있고, 각 색상별로 MCC(또는 배전반, 분전반 등)의 3상 전원인 경우의 R,S,T,N으로 구분하여 식별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ders 200 may be provided at intervals within the connection cover 120 of the connector body 100. When provid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ders 200 in the connection cover 120 of the connector body 100, for example, when providing four connection holders 200, the colors of each connection holder 200 are different. It can be prepared by color, and each color can be identified by R, S, T, N in case of 3-phase power of MCC (or distribution board, distribution board, etc.).

도 6을 참조하면, 보호 케이스(11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개구부(111)가 형성되며, 개구부(111)에는 착탈 가능한 막음 부재(112)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111)중 필요한 개수의 개구부(111)를 개방하기 위해서 개구부(111) 마다 구비된 막음 부재(112)를 제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protective case 110 has a space formed inside, a plurality of openings 111 are formed at intervals on the front, and the openings 111 may be provided with a removable blocking member 112. there is. In order to open the required number of openings 111 among the plurality of openings 111, the blocking member 112 provided at each opening 111 can be removed.

개구부(111)는 접속 홀더(200)안에 삽입된 접속 클립(300)과 연결되는 전선(E)이 인출되게 할 수 있다. The opening 111 allows the wire 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clip 30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der 200 to be pulled out.

보호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차단벽(113)이 착탈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부(111)와 개구부(111) 사이에 차단벽(113)이 마련되어서 서로간의 독립적인 경계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삽입되는 접속 홀더(200)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Inside the protective case 110, a blocking wall 113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at intervals. Since the plurality of openings 111 and the blocking wall 113 are provided between the openings 111 to form independent boundaries between them, interference between the inserted connection holders 200 can be prevented.

차단벽(113)은 보호 케이스(11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착탈 가능한 조립식 구조로 구비할 수 있다. The blocking wall 113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tective case 110,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provided as a detachable prefabricated structure.

보호 케이스(110)의 상면부(110a)는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개폐 가능하게 회전되는 구조로 마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면부(110a)를 별도로 제작하여 보호 케이스(110)의 양쪽의 측면부(110b)의 상부에 힌지 결합 구조로 회전되게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필요시 상면부(110a)를 상부로 들어올려서 개방시킬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portion 110a of the protective case 110 may be formed in an integrally fixed state,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rotates to enable opening and closing. In other words, the upper surface portion 110a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rotated in a hinged structure on the top of the side portions 110b on both sides of the protective case 110. Therefore, when necessary, the upper surface portion 110a can be opened by lifting it upward.

보호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받침 부재(130)가 마련될 수 있다. 보호 케이스(110)는 저면만 개방된 구조일 수 있고, 따라서, 받침 부재(130)는 보호 케이스(110)의 바닥면을 막아줄 수 있으며, 절연재로 이루어져서 누설 전류가 접속 커넥터를 구비한 MCC(Motor Control Center; 전동기 제어반)용 수납 유니트로 흐르지 않게 할 수 있다. 수납 유니트는 전면에 복수의 접속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고, 내부에는 차단기 등 여러가지 전기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A support member 130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protective case 110. The protective case 1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ly the bottom is open, and therefore, the support member 130 can block the bottom of the protective case 110, and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o that leakage current is prevented from flowing through the MCC (MCC) with a connection connector. I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torage unit for the Motor Control Center. The storage un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connectors on the front, and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circuit breakers may be built into the storage unit.

받침 부재(130)는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따라서 선택적으로 구비하거나 또는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130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and therefore may be optionally provided or not provided.

접속 커버(120)는 접속 홀더(200)가 삽입될 수 있는 수납 부재(121)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cover 12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members 121 into which the connection holder 200 can be inserted.

수납 부재(121)는 접속 홀더(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소정의 길이로 복수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연결 프레임(122)에 의해 복수의 수납 부재(121)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storage member 121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connection holder 200 can be inserted, and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paces at predetermined lengths, and the plurality of storage members 121 are provided by the connection frame 122. It can remain connected.

수납 부재(121)의 양측면에는 접속 홀더(200)가 끼워지는 끼움공(121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Fitting holes 121a into which the connection holder 200 is inserted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member 121, respectively.

도 7 및 도 19를 참조하면, 연결 프레임(122)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삽입공(123)이 형성되고, 셔터(400)를 개방할 수 있는 푸시 부재(125)가 결합될 수 있다. 셔터(400)는 MCC의 본체(5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수납 유니트가 MCC의 본체(500) 내부에 삽입되면, 수납 유니트의 전면에 마련된 전기 접속 커넥터가 셔터(400)를 개방하고 통과하여 부스바(B)와 접속될 수 있으며, 부스바(B)와 접속되면 전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19 , an insertion hole 123 is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frame 122, and a push member 125 capable of opening the shutter 400 can be coupled thereto. The shutter 4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500 of the MCC, and when the storage unit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500 of the MCC,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storage unit opens the shutter 400 and passes through. Thus, it can be connected to the busbar (B), and when connected to the busbar (B), electricity can be supplied.

삽입공(123)에 푸시 부재(125)를 결합할때에는 푸시 부재(125)의 두께 방향이 아닌 폭 방향이 수평되게 하여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동일 방향으로 결합되어서 흔들림없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푸시 부재(125)의 사용시에는 삽입공(123)내에서 후퇴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끼워(억지끼움 방식 등)질 수 있다. When coupling the push member 125 to the insertion hole 123, the width direction of the push member 125, not the thickness direction, can be horizontal, and therefore, it can be coupled in the same direction to maintain a coupled state without shaking. You can. Of course, when using the push member 125, it can be inserted (such as an interference fit method) so as to maintain the combined state without retreating within the insertion hole 123.

푸시 부재(125)의 선단부에는 셔터의 개방을 위해 셔터의 일측면을 관통하면서 셔터 프레임에 마련된 이동 부재를 횡방향으로 밀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An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push member 125 to allow the moving member provided on the shutter frame to be pushed laterally while penetrating one side of the shutter to open the shutter.

또한, 연결 프레임(122)의 하부에는 받침 부재(130)가 대면되어 지지되는 지지면(124)이 형성되고, 지지면(124)의 양측에는 결합홈(124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납 부재(121)와 수납 부재(122)의 입구측 사이에는 홈 형태의 끼움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surface 124 on which the support member 130 faces and supports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frame 122, and coupling grooves 124a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surface 124, and a storage member A groove-shaped fitting portion 126 may be formed between 121 and the entrance side of the storage member 122.

받침 부재(130)는 높이차를 두고 절곡되어 형성되는 대면부(131)가 형성될 수 있고, 지지면(124)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홈(124a)에는 받침 부재(130)의 대면부(131)의 양측 끝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다. The supporting member 130 may be formed with a facing portion 131 that is bent at a height difference, and the facing portion 131 of the supporting member 130 may be formed in the engaging grooves 124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surface 124. ) can be removably inserted into both ends.

또한, 끼움부(126)에는 보호 케이스(110)가 결합될 때, 보호 케이스(110)의 차단벽(113)이 끼워져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protective case 110 is coupled to the fitting portion 126, the blocking wall 113 of the protective case 110 may be inserted and detachably coupled thereto.

보호 케이스(110)의 결합시에는 보호 케이스(110)의 저면에 개방된 구조이므로, 연결 프레임(122)의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하면서 차단벽(113)을 끼움부(126)에 끼워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쉽게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protective case 110 is combined, the bottom of the protective case 110 is open, so when the blocking wall 113 is slidably moved by inserting it into the fitting portion 126 while descen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frame 122 to the lower part. Can be easily combined.

도 3을 참조하면, 접속 커버(120)에 삽입되는 접속 홀더(200)는 서로 간에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connection holders 200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over 120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또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접속 홀더(200)는 2개의 부재가 조립되는 홀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홀더 부재는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홀더 부재(210)는 제1 몸체부(211), 제1 몸체부(211)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수납홈(212), 제1 몸체부(211)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체결공(213)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9 to 11 , the connection holder 200 may include a holder member in which two members are assembled. That is, the holder member may include a first holder member 210 and a second holder member 220, and the first holder member 210 may include the first body portion 211 and the first body portion 211. It may include one or more first storage grooves 212 formed on one surface and a fastening hole 213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portion 211.

제1 수납홈(212)에는 삽입되는 접속 클립(300)간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 격벽(212a)이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partition 212a may be formed in the first storage groove 212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inserted connection clips 300.

또한, 제1 몸체부(211)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방열공(214)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one or more first heat dissipation holes 214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211.

제1 몸체부(211)의 일면에는 접속 클립(300)의 도체부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1 걸림돌기(215)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locking protrusion 215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one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211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nductor portion of the connection clip 300 and being caught.

제1 홀더 부재(220)의 체결공(213)은 너트(216)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13a)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astening hole 213 of the first holder member 220 may be formed with an insertion groove 213a into which the nut 216 can be inserted.

제1 홀더 부재(210)의 안쪽에는 제2 홀더 부재(22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구조로서, 끼움 돌기(218)와 끼움홈(219)이 형성될 수 있다. A fitting protrusion 218 and a fitting groove 219 may be formed inside the first holder member 210 as a structure for detachably coupling it with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제2 홀더 부재(220)는 제2 몸체부(221), 제2 몸체부(221)의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수납홈(22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몸체부(221)의 일단부에는 접속 클립(300)의 접속 도체(330)에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2 걸림 돌기(223)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may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221 and one or more second storage grooves 222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221,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21 A second locking protrusion 223 tha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onductor 330 of the connection clip 300 and is caught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one end of the.

제2 수납홈(222)에는 삽입되는 접속 클립(300)간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격벽(222a)이 형성될 수 있다. A second partition wall 222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torage groove 222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inserted connection clips 300.

제2 몸체부(221)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제2 방열공(224)이 형성될 수 있다. One or more second heat dissipation holes 224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221.

제2 홀더 부재(220)에는 제1 홀더 부재(210)와 마찬가지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끼움 돌기(226)와 끼움홈(227)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끼움 돌기(226)는 제1 홀더 부재(210)의 끼움홈(219)에 결합되고, 끼움홈(227)에는 제1 홀더 부재(210)의 끼움 돌기(218)가 결합되어서 조립될 수 있다. Like the first holder member 210,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may be formed with a fitting protrusion 226 and a fitting groove 227 for detachably coupling to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Accordingly, the fitting protrusion 226 may be formed in the first holder member 210. It is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219 of the holder member 210, and the fitting protrusion 218 of the first holder member 210 is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227 so that it can be assembled.

제1 홀더 부재(210)의 제1 몸체부(211)와 제2 홀더 부재(220)의 제2 몸체부(221)에는 각각 끼움 돌기(211a)(221a)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 돌기(211a)(221a)는 접속 커버(120)의 수납 부재(121)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공(121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Fitting protrusions 211a and 221a may be formed on the first body 211 of the first holder member 210 and the second body 221 of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respectively. The fitting protrusions 211a and 221a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tting holes 121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member 121 of the connection cover 120.

끼움 돌기(211a)(221a)는 조립된 홀더 부재가 접속 커버(120)의 수납 부재(121)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접속 커버(120)의 수납 부재(121)안에 홀더 부재를 삽입하면, 끼움 돌기(211a)(221a)는 수납 부재(121)의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공(121a)에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tting protrusions 211a and 221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ssembled hold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member 121 of the connection cover 120. When the hold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member 121 of the connection cover 120, the fitting protrusions 211a and 221a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s 121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orage member 121 with a clicking sound and are caught. This can be done.

접속 클립(300)은 한쌍의 서로 마주보는 접속 부재(310)(320)와, 접속 부재(310)(320)의 하부에 접속되게 연결되는 접속 도체(3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clip 300 may include a pair of connecting members 310 and 320 facing each other, and a connecting conductor 33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s 310 and 320.

또한, 한쌍의 접속 부재(310)(320)는 서로 압지되도록 하는 탄성 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air of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340 to press them against each other.

또한, 접속 도체(330)에는 2개의 결합공인 제1 결합공(331)과 제2 결합공(33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공(331)에는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의 걸림 돌기인 제1 걸림 돌기(215)와 제2 걸림 돌기(223)이 끼워져서 걸림되게 하고, 제2 결합공(332)에는 체결 부재로서 볼트(217)를 관통하여 제1 홀더 부재(210)에 마련된 체결 부재인 너트(216)와 체결할 수 있다. Additionally, two coupling holes, a first coupling hole 331 and a second coupling hole 332,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on conductor 330.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15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23, which are the locking protrusions of the first holder member 210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are inserted into the first coupling hole 331 and locked. 2 A bolt 217 as a fastening member may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 332 and be fastened with a nut 216, a fastening member provided on the first holder member 210.

접속 부재(310)(320)는 상기 접속 홀더(200)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접속 부재(310)(320)의 접점부(도 19에서와 같이 부스바(B)와 접촉되는 부분)만 외부에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접속 홀더(200)를 이루는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부재(310)(320)는 부스바(B)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필요한 접점부만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모두 덮혀지므로, 외부와 차단될 수 있고, 전기적 접촉이 발생하지 않아 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When the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ar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nection holder 200, only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usbar B as shown in FIG. 19) is external. and the remaining portion may be surrounded by the first holder member 210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that form the connection holder 200. Accordingly, the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expose only the contact portions necessary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busbar B, and all remaining portions are covered, so they can be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no electrical contact occurs, thereby ensuring electrical stability. This can be improved.

도 9를 참조하면,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는 서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홀더 부재(210)의 길이(d1)는 제2 홀더 부재(220)의 길이(d2)에 비해 더 길게 형성하여 볼트(217)를 체결할 수 있는 공간(S)이 확보되게 할 수 있다. 제1 홀더 부재(210)에는 체결공(213)이 형성되고, 삽입홈(213a)에 너트(216)가 삽입되어서 전선(E)이 연결되기 때문에, 제2 홀더 부재(210) 보다 더 길게 형성함으로써 확보된 공간(S)에서 작업자가 볼트(217)를 접속 클립(300)의 접속 도체(330)에 형성된 제2 결합공(332)을 관통하여 너트(216)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전선(E)은 미리 볼트(217)에 끼운 상태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first holder member 210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lengths, an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d1) of the first holder member 210 )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d2 of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to ensure a space S for fastening the bolt 217. A fastening hole 213 is formed in the first holder member 210, and the nut 216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3a to connect the wire E, so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second holder member 210. In the space S secured by doing so, the worker can secure the bolt 217 by screwing it through the second coupling hole 332 formed in the connection conductor 330 of the connection clip 300 and screwing it to the nut 216. . At this time, the wire E may be previously inserted into the bolt 217.

본 발명은 MCC에 수납되는 수납 유니트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로서, 부스바(B)로부터 전기 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접속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provided on the front of a storage unit stored in an MCC, and can be connected to receive electricity supply from the busbar (B).

전기 접속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100)를 구성하는 보호 케이스(110)와 접속 커버(120)를 포함하고, 접속 커버(120)에는 접속 홀더(200)가 복수로 삽입되며, 접속 홀더(200)안에는 접속 클립(300)이 마련된 구조를 이룰 수 있고, 먼저 보호 케이스(110)는 접속 홀더(200)를 통해 삽입된 접속 클립(300)의 일단부가 위치하는 곳으로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커버되어서 외부로부터 차단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보호 케이스(110)는 외부로부터 효과적인 보호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The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includes a protective case 110 and a connection cover 120 that constitute the connector body 10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ders 200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cover 120, and within the connection holder 200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on clip 300 is provided can be formed. First, the protective case 110 is where one end of the connection clip 300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on holder 200 is located, and is covered so that i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It can remain blocked. In other words, the protective case 110 can perform an effective protection function from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보호 케이스(110)의 전면에는 복수의 개구부(111)가 형성된 구조로서, 보호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된 접속 클립(300)의 접속 도체(330)에 접속된 전선(E)이 개구부(111)를 통해 인출되어 외부로 나오게 되는데, 개구부(111)에는 막음 부재(112)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필요한 개수의 개구부(111)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개구부(111)의 막음 부재(112)를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Here, the front of the protective case 1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openings 111 are formed, and an electric wire (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conductor 330 of the connecting clip 300 provided inside the protective case 110 It is drawn out through this opening 111 and comes out to the outside. Since the opening 111 is provided with a blocking member 112, when it is desired to open the required number of openings 111, the corresponding openings 111 are blocked. Member 112 can be easily removed.

또한, 접속 커버(120)에는 복수의 수납 부재(1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개수의 접속 홀더(200)를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다. Additionally, since a plurality of storage members 121 are formed on the connection cover 120, the required number of connection holders 200 can be selectively inserted.

접속 홀더(200)는 삽입된 접속 클립(300)을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고, 2개의 부재인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가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holder 200 can surround and support the inserted connection clip 300, and the two members, the first holder member 210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can be detachably assembled.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홀더 부재(210)를 이루는 제1 몸체부(211)의 안쪽면 즉, 접속 클립(300)이 삽입되는 부분에는 제1 수납홈(212)이 복수로 형성된 구조이므로, 접속 클립(300)의 한쪽 접속 부재(310)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211)의 안쪽면에는 제1 걸림 돌기(21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제1 걸림 돌기(215)는 삽입된 접속 클립(300)의 접속 부재(310)(320) 의 하부 사이에 끼워진 접속 도체(330)의 결합공(331)에 삽입되어 걸림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다. 13 to 15,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211 forming the first holder member 210,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clip 300 is inserted, has a plurality of first storage grooves 212. Because of the formed structure, the connection member 310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clip 300 can be inserted. In addition, a first locking protrusion 215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ortion 211, and this first locking protrusion 21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310 of the inserted connection clip 300 ( It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31 of the connection conductor 330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parts of the 320 to achieve a caught state.

제1 걸림 돌기(215)는 결합공(331)안에 삽입시 결합공(331)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삽입되지 않고 대략 1/2 정도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반대편에 구비되는 제2 홀더 부재(220)의 제2 걸림 돌기(223)가 접속 도체(330)의 결합공(331)에 대략 1/2 정도 삽입되기 때문이다. Whe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215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31, it may not be inserted for the entire length of the coupling hole 331, but may be inserted for approximately 1/2 of the length. This is because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223 of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31 of the connection conductor 330 approximately 1/2 of the way.

또한, 제1 홀더 부재(210)의 하부에는 전선(E)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공(213)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공(213)에는 너트(216)가 삽입되는 삽입홈(213a)이 형성된 구조로서, 너트(216)는 예를 들어 육각 너트인 경우, 삽입홈(213a)은 육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astening hole 213 for connecting the electric wire (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holder member 210, and an insertion groove 213a into which the nut 216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astening hole 213. As a structure, for example, when the nut 216 is a hexagonal nut, the insertion groove 213a may be formed in a hexagonal shape.

따라서, 너트(216)를 삽입홈(213a)에 삽입한 다음, 제1 홀더 부재(210)의 바깥쪽에서 볼트(217)를 체결공(213)을 통해 삽입하여 너트(216)와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때 너트(216)는 육각형 모양의 삽입홈(213a)안에 삽입된 상태로서, 볼트(217)와의 결합시 헛도는 일이 없으므로, 볼트(217)의 체결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볼트(217)의 체결시 전선(E)의 압착 단자(E1)를 볼트(217)에 끼우고 체결할 수 있다. Therefore, the nut 216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3a and then screwed to the nut 216 by inserting the bolt 217 through the fastening hole 213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holder member 210. there is. At this time, the nut 216 is inserted into the hexagon-shaped insertion groove 213a, and does not turn freely when combined with the bolt 217, so the tightening operation of the bolt 217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When fastening the bolt 217, the crimp terminal (E1) of the electric wire (E) can be inserted into the bolt 217 and fastened.

이때, 제1 홀더 부재(210)는 제2 홀더 부재(220)에 비해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 부재(210)는 제2 홀더 부재(220)와 달리 체결공(213)이 형성된 구조이고, 볼트(217)를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S)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2 홀더 부재(220)의 길이를 제1 홀더 부재(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확보된 공간(S)에서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217)를 간편하게 조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holder member 210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Unlike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the first holder member 2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fastening hole 213 is formed,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pace S where the bolt 217 can be rotated. Accordingly, by forming the length of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to be relatively shorter than that of the first holder member 210, the bolt 217 can be easily tightened using a tool in the secured space S.

도 16 내지 도 18은 제2 홀더 부재(220)의 수납홈안에 접속 클립(200)이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접속 클립(200)를 이루고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접속 부재(220)가 수납홈 및 격벽에 의해 격리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16 to 18 are diagrams show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nnection clip 200 into the storage groove of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The connection members 220 form the connection clip 200 and ar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 can be inserted in an isolated state by the storage groove and partition.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에는 각각 제1 수납홈(212)과 제2 수납홈(222)이 복수로 형성된 구조이므로, 용량 증설을 위해 접속 클립(300)을 이루는 접속 부재(310)(320)의 개수를 늘리더라도 수용 가능하고, 더욱이 겹쳐지는 접속 부재(310)(320)는 서로 직접적으로 대면되지 않고 제1 수납홈(212)과 제2 수납홈(222)안에 수납될 수 있도록 제1 수납홈(212)과 제2 수납홈(222)에 각각 제1 격벽(212a)과 제2 격벽(22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격벽(212a)과 제2 격벽(222a)에 의해 접속 부재(310)(320)가 적층시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접촉에 의해 전압 불안정 또는 전기적 맥동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Since the first holder member 210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storage grooves 212 and second storage grooves 222 are formed, respectively, forming the connection clip 300 for capacity expansion. Even if the number of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is increased, it can be accommodated, and moreover, the overlapping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do not directly face each other but are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groove 212 and the second storage groove 222. A first partition wall 212a and a second partition wall 222a may be formed in the first storage groove 212 and the second storage groove 222, respectively, so that the product can be stored therein. Accordingly, since the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do not directly contact each other due to the first partition 212a and the second partition 222a when stacked, voltage instability or electrical pulsation may not occur due to contact.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의 제1 몸체부(211)와 제2 몸체부(221)에는 각각 복수의 방열공인 제1 방열공(214)과 제2 방열공(224)이 형성된 구조이므로, 접속 클립(300)이 부스바(B)와 전기적 접촉에 의해 열이 발생하더라도 외부로 열기를 쉽게 방출시킬 수 있다. The first body portion 211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21 of the first holder member 210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220 have a plurality of first heat radiation holes 214 and second heat radiation holes, respectively ( 224), the connection clip 300 can easily release heat to the outside even if heat is generated due to electrical contact with the busbar (B).

접속 클립(300)은 한쌍의 접속 부재(310)(320)와, 접속 부재(310)(320)의 하부 사이에 끼워지는 접속 도체(330)를 포함할 수 있고, 접속 도체(330)는 2개의 결합공인 제1 결합공(331)과 제2 결합공(332)으로 이루어지며, 제1 결합공(331)은 접속 홀더(200)안에 삽입시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20)의 걸림 돌기인 제1 걸림 돌기(215)와 제2 걸림 돌기(223)가 끼워지므로, 보다 확실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connection clip 300 may include a pair of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and a connection conductor 330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portions of the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and the connection conductor 330 has 2 It consists of a first coupling hole 331 and a second coupling hole 332, and the first coupling hole 331 is connected to the first holder member 210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when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der 200. Since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215 and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223, which are the engaging protrusions of 220, are fitted, a more secure coupling state can be maintained.

접속 도체(330)의 제2 결합공(332)은 볼트(217)를 관통시켜서 제1 홀더 부재(210)의 너트(216)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전선(E)의 연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hole 332 of the connecting conductor 330 passes through the bolt 217 and is screwed to the nut 216 of the first holder member 210, thereby allowing the wire E to be connected.

또한, 접속 도체(330)는 보호 케이스(110)에 의해 덮혀진 상태이므로,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접속 도체(330)의 노출에 따른 예상치 못한 전기적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since the connecting conductor 330 is covered by the protective case 110,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us unexpected electrical contact due to exposure of the connecting conductor 330 can be prevented.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 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의 정면도이다. Figure 20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1 is a front view of a connection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202)의 제1 몸체부(211)와 제2 몸체부(221)에는 각각 제1 결합공(211b)과 제2 결합공(221b)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접속 홀더(200)가 삽입되는 접속 커버(120)의 각각의 수납 부재(121)에는 제1 관통공(121b)와 제2 관통공(121c)가 형성되며, 제1 관통공(121b)와 제2 관통공(121c)에는 결합핀(127)이 결합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20 and 21, the first body portion 211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21 of the connection holder 2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first coupling hole 211b and a second coupling hole, respectively. The coupling hole 221b is formed to penetrate, and each storage member 121 of the connection cover 120 into which the connection holder 200 is inserted has a first through hole 121b and a second through hole 121c. It is formed, and a coupling pin 127 can be coupled and fixed to the first through hole 121b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21c.

제1 결합공(211b)와 제2 결합공(221b)에는 오목한 제1 홈(211c)과 제2 홈(221c)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 concave first groove 211c and a second groove 221c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hole 211b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221b,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202)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 예의 접속 홀더(200)와 다른 부분의 구조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결합공(211b)와 제2 결합공(221b)이 추가로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connection holder 2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same structure of other parts as the connection holder 200 of the previously described embodiment, and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hole 211b and a second coupling hole ( 221b) may be an additionally formed structure.

따라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202)를 구성하는 제1 홀더 부재(210)와 제2 홀더 부재(210)의 제1 몸체부(211)와 제2 몸체부(221)에는 각각 제1 결합공(211b)과 제2 결합공(221b)이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접속 커버(120)의 복수의 수납 부재(121)에 형성된 제1 관통공(121b)과 제2 관통공(121c)을 통해 각각 결합핀(127)을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접속 홀더(202)는 접속 커버(120)에 형성된 복수의 수납 부재(121)의 내부에서 삽입된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body portion 211 and the second body portion 221 of the first holder member 210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210 constituting the connection holder 2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respectively, have a first body portion 211 and a second body portion 221. Since the coupling hole 211b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221b are formed, the first through hole 121b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21c form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members 121 of the connection cover 120 are By inserting and fixing the coupling pins 127 through each connection holder 202, the connection holder 202 can reliably maintain its inserted position within the plurality of storage members 121 formed on the connection cover 12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202) 및 접속 커버(120)의 수납 부재(121)는 1차로 접속 홀더(202)의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 돌기(211a)(221a)에 의해 수납 부재(121)에 걸림되고, 2차로 결합핀(127)에 의해 수납 부재(121)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결합됨으로써, 이중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고, 그에 따라 흔들림없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storage member 121 of the connection holder 202 and the connection cover 1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imarily a storage member (211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holder 202. 121), and is secondarily coupled by penetrat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member 121 to the lower part by the coupling pin 127, thereby forming a double coupled structure, and thus maintaining the coupled state without shaking. there is.

접속 홀더(202)안에 마련된 접속 클립(300)의 접속 부재(310)(320) 사이로 부스바(B)가 삽입되어 접촉될때, 부스바(B)와의 삽입 동작에 따라 접속 클립(300)은 밀리는 힘을 받게되고, 그에 따라 수납 부재(121)안에서 밀려서 삽입 위치가 이탈될 가능성이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홀더(202)는 양쪽 측면 및 상부에서 하부로 각각 끼움 돌기(211a)(221a) 및 결합핀(127)에 의해 이중으로 잡아주고 있으므로, 부스바(B)와의 삽입력에 의해 접속 홀더(202)가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busbar (B) is inserted and contacted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of the connection clip (300) provided in the connection holder (202), the connection clip (300) is pushed according to the insertion operation with the busbar (B).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be pushed out of the insertion position due to force, and thus be pushed within the storage member 121. However, the connection holder 20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nsertion protrusions 211a on both sides and from the top to the bottom. Since it is double held by (221a) and the coupling pin 127,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nection holder 202 from being pushed by the insertion force with the busbar (B).

100... 커넥터 본체 110... 보호 케이스
110a... 상면부 110b... 측면부
111... 개구부 112... 막음 부재
113... 격벽
120... 접속 커버 121... 수납 부재
121a... 끼움공 121b... 제1 관통공
121c... 제2 관통공
122... 연결 프레임 123... 삽입공
124... 지지면 124a... 결합홈
125... 푸시 부재 126... 끼움부
127... 결합핀
130... 받침 부재 131... 대면부
200,202... 접속 홀더 210...제1 홀더 부재
211... 제1 몸체부 211a... 끼움 돌기
211b... 제1 결합공 211c... 제1 홈
212... 제1 수납홈 212a...제1 격벽
213... 체결공 213a... 삽입홈
214... 제1 방열공 215... 제1 걸림돌기
216... 너트 217...볼트
218... 끼움돌기 219... 끼움홈
220... 제2 홀더 부재 221... 제2 몸체부
221a... 끼움 돌기 221b... 제2 결합공
221c... 제2 홈
222... 제2 수납홈 222a... 제2 격벽
223... 제2 걸림 돌기 224... 제2 방열공
226... 끼움 돌기 227... 끼움홈
300... 접속 클립 310,320... 접속 부재
330... 접속 도체 331... 제1 결합공
332... 제2 결합공 340... 탄성 부재
400... 셔터 500... 본체
B... 부스바 E... 전선
E1... 압착 단자 S... 공간
100... Connector body 110... Protective case
110a... top part 110b... side part
111... opening 112... blocking member
113... Bulkhead
120... Connection cover 121... Storage member
121a... insertion hole 121b... first through hole
121c... 2nd through hole
122... Connection frame 123... Insertion hole
124... support surface 124a... coupling groove
125... push member 126... insertion part
127... coupling pin
130... support member 131... facing portion
200, 202... connection holder 210... first holder member
211... first body portion 211a... fitting projection
211b... first coupling hole 211c... first groove
212... first storage groove 212a... first bulkhead
213... fastening hole 213a... insertion groove
214... first heat radiation hole 215... first blocking protrusion
216...nut 217...bolt
218... Fitting projection 219... Fitting groove
220... second holder member 221... second body portion
221a... fitting protrusion 221b... second coupling hole
221c... 2nd home
222... second storage groove 222a... second bulkhead
223... second locking protrusion 224... second heat radiation hole
226... Fitting projection 227... Fitting groove
300... connection clip 310,320... connection member
330... connection conductor 331... first coupling hole
332... second coupling hole 340... elastic member
400... Shutter 500... Body
B... busbar E... wire
E1... crimp terminal S... space

Claims (11)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의 내부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접속 홀더;
상기 접속 홀더의 내부에 구비되는 접속 클립; 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홀더는 상기 접속 클립이 구비되도록 서로 착탈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홀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 클립은 한쌍을 이루는 접속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홀더 부재의 안쪽에는 상기 접속 클립의 접속 부재가 개별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이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본체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 부재가 형성되는 접속 커버가 마련되고,
상기 홀더 부재는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 부재는 상기 수납 부재안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홀더 부재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홀더 부재와 제2 홀더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
Connector body;
One or more connection holders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body;
a connection clip provided inside the connection holder; Including,
The connection holder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 members that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clip is provided,
The connection clip is provided with a pair of connection members,
One or more storage grooves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holder member to individually store the connection members of the connection clip,
The connector body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cover on which one or more storage members are formed,
The holder member is formed in plural,
The holder member is removably inserted into the storage member,
The holder member is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including a first holder member and a second holder member that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는,
상기 접속 클립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보호 케이스의 전면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막음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nector body,
A protective case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protect the connection clip from the outside,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in a front surface of the protective case, and a blocking member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opening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는,
상기 접속 클립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접속 클립이 배치되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보호 케이스의 안쪽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차단벽이 일체 또는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nector body,
A protective case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protect the connection clip from the outside,
The protective case has a space formed so that the connection clip is placed,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blocking walls are provided integrally or removably at intervals inside the protective cas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에는,
상기 접속 클립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보호 케이스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보호 케이스의 하부에는 받침 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받침 부재는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전기 접속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onnector body,
A protective case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to protect the connection clip from the outside,
A support member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protective case,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in which the support member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클립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1 홀더 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2 홀더 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 홀더 부재의 단부 일측과 제2 홀더 부재의 단부 사이에는 상기 접속 클립에 마련되는 접속 도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홀더 부재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 결합되는 체결 부재의 체결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first holder memb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ion clip is inserted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holder member,
A connection conductor provided on the connection clip passes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holder member and an end of the second holder member to facilitate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fastening member coupled to connect the electric wire to the first holder member.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in which a space for the connection is form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클립은,
한쌍의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 사이에 끼워져서 접속되는 접속 도체를 포함하고,
한쌍의 상기 접속 부재는 각각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복수의 상기 홀더 부재는 각각 한쌍의 상기 접속 부재를 개별적으로 격리하여 수용하기 위한 격벽이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상기 접속 부재간에는 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서로 접촉되지 않고 구비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clip is,
A connecting conductor is connected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ends of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A plurality of the pair of connecting members are each form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holder members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to individually isolate and accommodate the pair of connection members,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members by the partition without contacting each other to improve electrical stabilit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클립은,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 사이에 끼워져서 접속되는 접속 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도체에는 복수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중 하나는 복수의 상기 홀더 부재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중 다른 하나는 전기적 공급을 위한 전선의 연결시 체결하는 체결 부재가 관통되어 상기 홀더 부재중 하나에 체결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clip is,
It includes a connecting conductor sandwiched and connected between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conductor,
One of the coupling holes is coupled to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plurality of holder members,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that is fastened to one of the holder members through which a fastening member used when connecting a wire for electrical supply passes through the other of the coupling hol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클립은,
상기 접속 부재의 단부 사이에 끼워져서 접속되는 접속 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부재는 제1 홀더 부재와 제2 홀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홀더 부재에는 너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 도체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을 통해 체결 부재를 관통시켜서 상기 너트와 결합시, 상기 너트는 상기 삽입홈내에서 헛돌지 않도록 상기 너트와 삽입홈은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clip is,
It includes a connecting conductor sandwiched and connected between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holder member includes a first holder member and a second holder member,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nut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irst holder member,
A coupling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ng conductor,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in which the nut and the insertion groove are formed in an angled shape so that the nut does not turn loose in the insertion groove when the fasten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 and is coupled to the nut.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부재와 상기 제2 홀더 부재에는 각각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 부재가 삽입되는 상기 수납 부재에는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에는 상기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이 각각 일치되게 배열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제2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결합핀이 구비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upling hole and a second coupling hole are formed in the first holder member and the second holder member, respectively,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are formed in the storage member into which the holder member is inserted,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are arrang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including a coupling pin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and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hole and the second coupling ho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부재와 제2 홀더 부재의 측면에는 각각 끼움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 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끼움 돌기가 삽입되어 걸림이 이루어지게 하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상기 접속 홀더는 부스바와의 접속시 밀리지 않도록 상기 수납 부재내에서 측면 및 수직 방향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Fitt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 members, respectively,
A fitting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torage member through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caught,
The connection holder is a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that maintains a combined state in the side and vertical directions within the storage member so as not to be pushed when connected to the busbar.
KR1020210059903A 2021-05-10 2021-05-10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KR1026304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903A KR102630482B1 (en) 2021-05-10 2021-05-10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903A KR102630482B1 (en) 2021-05-10 2021-05-10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85A KR20220152685A (en) 2022-11-17
KR102630482B1 true KR102630482B1 (en) 2024-01-29

Family

ID=8423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9903A KR102630482B1 (en) 2021-05-10 2021-05-10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48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337B1 (en) * 2011-12-07 2013-03-11 윤여관 Terminal plate connection 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KR101482213B1 (en) * 2014-01-21 2015-01-14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Connector for power distributor
KR101728539B1 (en) * 2015-12-24 2017-04-19 주식회사 경신 Waterproof connector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825B1 (en) * 2019-04-12 2021-04-30 이덕환 Connecting Clip and MCC with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337B1 (en) * 2011-12-07 2013-03-11 윤여관 Terminal plate connection apparatus for power distribution
KR101482213B1 (en) * 2014-01-21 2015-01-14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Connector for power distributor
KR101728539B1 (en) * 2015-12-24 2017-04-19 주식회사 경신 Waterproof connecto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2685A (en)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2538A (en) Portable power distribution cabinet
CA2522177C (en) Housing arrangement with at least two junction boxes
US5408154A (en) Motor connection block, particularly for electric motors
CN106992437B (en) Power distribution cabinet
CN106489224B (en) Horizontal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design
DE102013112110A1 (en) Functional component shell for a component assembly system
US3218519A (en) Protective device panel assembly
CN205544088U (en) Bus -bar system and bus duct and jack box thereof
KR20170033720A (en) Busbar connector having a fork shape and Isolating assembly combined with this connector
US5995362A (en) Support and electrical power supply device for electrical switchgear
HU223704B1 (en) Upgradable functional feeder unit of a low-voltage electrical cubicle
US4199655A (en) Circuit breaker with insulated horizontal bus bars
EP0063970B1 (en) Power bus set for a modular apparatus of an electrical box
KR100776713B1 (en) Motor control center comprising a insulated panel with multi-connector
US4159159A (en) Terminal module with dual binding post terminals
KR102630482B1 (en) 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KR102246825B1 (en) Connecting Clip and MCC with the same
KR200395590Y1 (en) Busbar connecting member for low-voltage distributing board
CZ305497A3 (en) Low-voltage switchboard
US20050136719A1 (en) Device for connection of busbars to equipment of an electrical switchboard
KR102036574B1 (en) Connector for power distributor
PL205243B1 (en) Electric switchgear for electric equipment mounted in parallel rows on distribution board or inside switchbox and distribution board or electric switchbox
JP2000243483A (en) Terminal device and distribution panel
US10297985B2 (en) Modular electrical devic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nd mounting the same
KR101890109B1 (en) Compact control box for distribution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