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364B1 -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synthesizing digital map by constructing object unit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 Google Patents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synthesizing digital map by constructing object unit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364B1
KR102630364B1 KR1020230109818A KR20230109818A KR102630364B1 KR 102630364 B1 KR102630364 B1 KR 102630364B1 KR 1020230109818 A KR1020230109818 A KR 1020230109818A KR 20230109818 A KR20230109818 A KR 20230109818A KR 102630364 B1 KR102630364 B1 KR 10263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map
support
image
ufid
vide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9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정
박만대
한기현
Original Assignee
현공간정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공간정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공간정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3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3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8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forward-back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가능한 차량에 설치된 지상카메라 또는 라이다장비가 수집한 지상정보 데이터와 항공기의 촬영 장비로부터 수집한 영상데이터를 영상데이터 이미지로 편집하며,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서로 조합해서 하나의 통합된 영상데이터 이미지로 서로 편집하고, 통합된 영상데이터 이미지에 포함되는 객체이미지별로 GNSS 좌표와 객체 명칭을 수집데이터로 링크해서 영상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수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신축 또는 폐기 대상이 되는 객체이미지를 삭제 또는 삽입하고 이에 대응하는 UFID의 링크를 해제 또는 추가해서 갱신 대상 객체만을 선택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edit ground information data collected by ground cameras or LiDAR equipment installed on a movable vehicle and video data collected from aircraft photography equipment into video data images, Multiple video data images taken at different locations are combined and edited into one integrated video data image, and the GNSS coordinates and object names for each object image included in the integrated video data image are linked to the collected data to create the video.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ata collection device that generates data, setting a reference point that can selectively modify only the object to be updated by deleting or inserting an object image to be newly built or discarded and releasing or adding a link to the corresponding UFID This is about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synthesize digital maps using an entity-unit construction method.

Description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SYNTHESIZING DIGITAL MAP BY CONSTRUCTING OBJECT UNIT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synthesize digital maps by building individual units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s.

본 발명은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synthesizing a digital map by building a unit of objects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s.

일반적으로 수치지도는 표현하고자 하는 지리적, 지형적인 내용을 수치로 나타내는 지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심을 수치로 나타내는 해도(海圖), 지형의 기복상태를 나타내는 지형계측도(地形計測圖) 등이 있다. 즉, 수치지도는 특정지점에 대한 지리적/지형적인 특징을 수치정보로 표현하면서 도화된 이미지에 적용한 것이다.In general, a digital map refers to a map that expresses the geographical and topographic content to be expressed in numbers, such as a chart showing the water depth in numbers, a topographic map showing the relief of the terrain, etc. there is. In other words, a digital map expresses the geographical/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point as numerical information and applies it to a drawn image.

수치지도의 구축 과정은 다음과 같이 여러 과정을 거쳐서 완성되게 된다. 먼저, 종이지도가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을 거쳐 수치지도의 형태가 된 후, 각종 입력 오차를 수정하기 위한 절차를 거친다. The process of building a numerical map is completed through several processes as follows. First, the paper map becomes a digital map through digitizing or scanning, and then goes through procedures to correct various input errors.

이어서 좌표 변환을 통해 사용자의 목적에 맞도록 실제 좌표계로 변환을 거친 후, 공간 객체 간의 상호 위치성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위상 구조를 정립하게 된다. 이후 위상 구조의 정립을 거친 수치지도에 각각의 도형자료와 관련된 속성자료를 입력시키게 된다.Subsequently, through coordinate transformation, it is converted into an actual coordinate system to suit the user's purpose, and then a topological structure is established to determine the mutual loc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spatial objects. Afterwards, attribute data related to each geometrical data are entered into the numerical map whose topological structure has been established.

이때, 상술한 속성자료는 다양한 식별자 정보들이 포함되며, 일 예로써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도의 지형지물에 대한 식별자로는 지형지물 전자식별자(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지형물에 부여되는 위치정보, 관리기관, 타 속성정보 등을 나타내는 단일 식별자로 지형지물에 유일하게 부여되는 식별자를 말하며, 기관코드, 도엽번호, 지형지물 식별코드, 일련번호 필드 등으로 구성되어 지형지물의 관리, 검색 및 활용을 위해 다른 지리정보와의 연계 또는 지형지물 간의 상호참조를 위한 식별자로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attribute data includes various identifier information, and as an example, a feature electronic identifier (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a feature in a digital map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which is used for a feature. It is a single identifier that represents the assigned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gency, other attribute information, etc. and is uniquely assigned to a geographical feature. It is composed of an organization code, map number, geographical feature identification code, and serial number field, and is used to manage the geographical feature, It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linking with other geographic information or cross-referencing between geographical features for search and utilization.

이렇게 제작된 수치지도는 종이지도에 비해 빠르고 정확한 지도검색을 가능하게 하고, 정보관리와 활용성 면에서 뛰어나 각종 계획수립과 의사결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gital maps produced in this way enable faster and more accurate map searches than paper maps, and are superior in terms of information management and usability, allowing them to more effectively support various planning and decision-making.

UFID란, 유일하다는 뜻의 유니크(Unique)와, 객체라는 의미의 피쳐(Feature), 그리고 아이덴티피어(identifier)가 합쳐진 이름으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 및 활용하기 위해 인공적 객체에 부여하는 공간정보의 유일 식별자라는 뜻이다.UFID is a name that combines unique, meaning unique, feature, meaning object, and identifier. It is spatial information given to artificial objects to efficiently manage and utilize spatial information. It means that it is a unique identifier.

종래 인공구조물 등과 같은 지상 객체에 대한 구분은 새움터, 새주소, 통계공간정보 수치지도 등 서로 다른 시스템들의 각기 다른 고유 인식번호(ID)를 사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각각의 시스템 간 정보 공유가 어렵고, 이로 인해 동일 객체에 대한 관리가 중복되거나 서로 틀린 지역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결국 상기 객체 관련 데이터를 하나로 취합하는게 거의 불가능했다.Conventionally, the classification of ground objects such as artificial structures uses different unique identification numbers (IDs) from different systems such as Saeumteo, New Address, and statistical spatial information digital maps. This made it difficult to share information between each system, and as a result, management of the same object was overlapping or different areas were occurring. In the end, it was almost impossible to compile the above object-related data into one.

국토해양부가 각각의 통계공간정보, 새주소, 수치지도통합, 건물통합 시스템 데이터를 모아 분석한 결과, 지도 축소 비율 등에 따라 정보의 매칭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시 조사에서 각각 시스템 데이터 간 정보 매칭율은 평균 80%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그 같은 공간을 표시했음에도 20% 이상은 서로 다르게 표현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같은 정보를 각각의 개별 시스템으로 구축ㆍ관리하다 보니 중복투자가 되는 측면도 있었다.As a result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collecting and analyzing each statistical spatial information, new address, digital map integration, and building integration system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ormation matching rate decreas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map reduction ratio. In the survey at the time, the information matching rate between each system data was only about 80% on average. This means that even though the same space is displayed, more than 20% of it is expressed differently. In addition, since the same information was built and managed in each individual system, there was an aspect of duplication of investment.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지상 객체를 UFID 방식으로 일괄 관리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To solve this problem, a technology to collectively manage ground objects using UFID was proposed.

그러나, 지상 객체의 신축과 폐기로 인한 지형지물의 빈번한 변화에 따라 기존 수치지도를 갱신할 때에는 신축 또는 폐기 대상 객체의 UFID 수정도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되, 이웃하는 다른 객체에 링크된 UFID 관리 프로세스는 유지시켜야 하므로, UFID 보강을 통한 수치지도 갱신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However, when updating the existing digital map due to frequent changes in terrain due to the construction and disposal of ground objects, the UFID of the object subject to new construction or disposal is also performed in real time, but the UFID management process linked to other neighboring objects must be maintained. Therefore, there were difficulties in managing digital map updates through UFID reinforcement.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background technology above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recognition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축 또는 폐기 대상이 되는 객체이미지를 삭제 또는 삽입하고 이에 대응하는 UFID의 링크를 해제 또는 추가해서 갱신 대상 객체만을 선택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sets a reference point that can selectively modify only the object to be updated by deleting or inserting the object image to be newly built or discarded and releasing or adding the link of the corresponding UFI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synthesize digital maps using an entity-based construction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수치지도 내 대상이 되는 영상만을 정확히 수치도화해 갱신처리 할 수 있는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synthesize a digital map through an object-uni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a reference point that can accurately digitalize and update only the target image in the digital map. .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이동 가능한 차량에 설치된 지상카메라 또는 라이다장비가 수집한 지상정보 데이터와 항공기의 촬영 장비로부터 수집한 영상데이터를 영상데이터 이미지로 편집하며,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서로 조합해서 하나의 통합된 영상데이터 이미지로 서로 편집하고, 통합된 영상데이터 이미지에 포함되는 객체이미지별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좌표와 객체 명칭을 수집데이터로 링크해서 영상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수집장치; 데이터수집장치에서 편집해 제작한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바탕으로 수치도화하고 기존 수치지도이미지를 갱신하는 수치지도장치; 수치지도장치의 수치도화를 위한 기준점 정보를 생성하는 기준장치; GNSS좌표별 객체마다 UFID를 생성 및 제거하는 UFID총괄서버; 및 UFID총괄서버에서 생성한 UFID를 검색해서 수치지도이미지 내 해당 객체이미지에 설정하고 관리하는 UFID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to edit ground information data collected by a ground camera or LiDAR equipment installed on a movable vehicle and video data collected from an aircraft's photography equipment into video data images, and Multiple video data images captured at a location are combined and edited into one integrated video data image, and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coordinates and object names are collected for each object image included in the integrated video data image. A data collection device that generates image data by linking to; A digital map device that creates a digital map based on video data images edited and produced by a data collection device and updates existing digital map images; A reference device that generates reference point information for numerical mapping of a digital map device; UFID general server that creates and removes UFID for each object by GNSS coordinates; and a UFID management server that searches for the UFID generated by the UFID general server and sets and manages the corresponding object image in the digital map imag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UFID관리서버는, GNSS좌표별 객체의 UFID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UFID DB; 수치지도장치의 링크모듈로부터 수신한 신생 객체이미지의 GNSS좌표에 해당하는 UFID를 UFID총괄서버에서 검색하여 링크모듈에 전달하며, 삭제 대상 객체이미지의 GNSS좌표에 해당하는 UFID를 링크모듈로부터 수신하는 관리모듈; 및 관리모듈이 수신한 신생 객체이미지의 UFID를 UFID DB에 저장하고, UFID DB에 저장된 삭제 대상 객체이미지의 UFID는 삭제하는 업데이트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synthesizing a digital map by object-uni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FID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UFID DB that stores the UFID of objects for each GNSS coordinate as data; Management of retrieving the UFID corresponding to the GNSS coordinates of the new object image received from the link module of the digital map device from the UFID general server and delivering it to the link module, and receiving the UFID corresponding to the GNSS coordinates of the object image to be deleted from the link module. module; and an update module that stores the UFID of the new object image received by the management module in the UFID DB and deletes the UFID of the object image to be deleted stored in the UFID DB;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데이터수집장치는, 이동 가능한 차량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결합체결부; 결합체결부에 일측부가 마련되는 승강조절부; 결합체결부와 승강조절부의 타측부에 연결되어 기울기와 거리를 조절하는 가동조절부; 및 가동조절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지상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synthesizing a digital map by object-uni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collection device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a movable vehicle; A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 movabl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lifting control unit to control the inclination and distance; and a ground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control unit;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결합부는, 차량에 지지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며 복수의 결합홀이 마련된 결합플랜지;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며 베이스바디와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가동조절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베이스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며 지지볼을 갖는 복수의 볼바디; 복수의 볼바디의 상부에 배치되어 지지볼에 지지되는 복수의 타원바디; 일측부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타원바디에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격자지지대; 및 일측부는 복수의 볼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복수의 타원바디에 결합되어 복수의 타원바디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라인;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synthesizing a digital map by object-uni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base body supported on a vehicle; A coupling flang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base bod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 base plat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body; A guide rail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ball bodie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d having support balls; A plurality of elliptical bodies disposed on top of the plurality of ball bodies and supported by support balls; A plurality of grid supports,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oval body to support the base plate; and a plurality of support lines,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ball bodies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oval bodies to support the plurality of oval bodies.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승강부는, 일측부는 베이스바디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제1승강실린더; 및 일측부는 베이스바디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제2승강실린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실린더와 제2승강실린더는 서로 교차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synthesizing a digital map by object-uni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elevating part is hinged to the base body and the other side is hinged to the base plate to form a base. A first lifting cylinder that elevates the plate; and a second elevating cylinder,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base body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base plate to elevate and lower the base plat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lifting cylinder and the second lifting cylinder are provided to cross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가동조절모듈은, 가이드레일에 이동되게 결합되는 LM가이드; LM가이드의 상부에 마련되는 지지부베이스; 지지부베이스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지지부실린더; 지지부실린더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실린더커넥터; 실린더커넥터에 일측부가 회동되게 결합되는 연결편; 일측부는 지지부베이스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부는 연결편의 타측부에 결합되어 연결편과 같이 회전되는 지지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지상카메라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제1지지대와 이격되도록 지지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지상카메라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synthesizing a digital map by object-uni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control module includes: an LM guide movably coupled to a guide rail; A support bas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M guide; A support cylinder whose one side is coupled to the support base; A cylinder connecto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cylinder; A connecting piece on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ylinder connector; A support plate on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support base and on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iece and rotated like the connecting piece; A first support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to support one side of the ground camera; and a second support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camera. It is desi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지지부베이스에는 수용홈이 마련되고, 지상카메라를 지지하지 않을 시 수용홈에 지지플레이트는 수용되며, 지지플레이트에는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되고, 복수의 결합홈 중 선택된 결합홈에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를 결합시켜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that can synthesize digital maps by object-uni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at the support base, and when the ground camera is not supported, a support plate is placed in the receiving groove. is accommodated, and the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s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can be varied by coupling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to the coupling groov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은 상기 베이스바디에 승강되게 결합되어 베이스바디를 차량으로 가압시키는 가변가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synthesizing a digital map by object-uni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includes a variable pressurizing part that is lifted and lowered and coupled to the base body to pressurize the base body to the vehicle; It is desirable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서 상기 가변부는, 베이스바디의 바디홈에 배치되며 반원 형상을 갖는 가압바디; 일측부는 가압바디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베이스바디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바디; 및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며 연결바디에 마련되어 연결바디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synthesizing a digital map by object-uni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able part includes: a pressure body disposed in the body groove of the base body and having a semicircular shape; A connection body whose one side is provided on the pressurizing body and whose other side is screwed to the base body; and a rotating part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body and provided on the connection body to rotate the connection body. It is desirable to include.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신축 또는 폐기 대상이 되는 객체이미지를 삭제 또는 삽입하고 이에 대응하는 UFID의 링크를 해제 또는 추가해서 갱신 대상 객체만을 선택적으로 수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effect of selectively modifying only the object to be updated by deleting or inserting the object image to be newly built or discarded and releasing or adding the link of the corresponding UFID.

아울러, 본 발명은 수치지도에서 변화가 확인된 해당 파트만을 손쉽게 갱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수치지도에 대한 신속한 갱신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update only those parts in which changes have been confirmed in the digital map, and this has the effect of enabling rapid update processing for the digital map.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처리 대상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기반으로 해서 섹션 단위로 수치도화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정밀 객체 위치 표시를 위한 기준장치의 설치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변화전과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 비교용 거리기준을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변화전과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를 비교해서 갱신 객체을 확인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의 객체에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의 객체를 맞추기 위한 배치위치 조정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수치지도이미지의 개체에 유효범위를 표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객체를 수치지도이미지에서 섹션 단위로 분리해 갱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카메라가 탑재된 데이터수집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체결부 및 승강조절부 등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동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동조절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The attached drawings are intended as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each configuration of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synthesizing a digital map by object-uni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video data image to be processed by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numerical diagram in section units based on video data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reference device for displaying precise object positions in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fer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distance standard for comparing digital map images before and after change.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digital map images before and after change to confirm an updated object.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arrangement position to match the objects of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to the objects of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n effective range on an object of a digital map image.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and updates objects in sections from the digital map image.
Figure 1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data collection device equipped with a ground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upling part and a lifting control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abl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based on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patent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ust appropriately us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defin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처리 대상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기반으로 해서 섹션 단위로 수치도화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each configuration of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synthesizing a digital map using an entity-based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data image to be processed by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umerical diagram in sections based on the image data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은, 이동 가능한 차량(100)에 설치된 지상카메라(200) 또는 라이다장비 등이 수집한 지상정보 데이터와, 항공기의 디지털카메라 등의 촬영장비로부터 수집한 항공사진 등의 영상데이터를, 도 2에서 보인 영상데이터 이미지로 편집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서로 조합해서 하나의 통합된 영상데이터 이미지로 서로 편집하고, 상기 통합된 영상데이터 이미지에 포함되는 객체이미지별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좌표와 객체 명칭을 수집데이터로 링크해서 영상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수집장치(10); 데이터수집장치(10)에서 편집해 제작한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바탕으로 수치도화하고 기존 수치지도이미지를 갱신하는 수치지도장치(20); 수치지도장치(20)의 수치도화를 위한 기준점 정보를 생성하는 기준장치(30); GNSS좌표별 객체마다 UFID를 생성 및 제거하는 UFID총괄서버(40); UFID총괄서버(40)에서 생성한 UFID를 검색해서 수치지도이미지 내 해당 객체이미지(B)에 설정하고 관리하는 UFID관리서버(50);로 구성된다.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of this implementation includes ground information data collected by a ground camera 200 or LiDAR equipment installed on a movable vehicle 100, and aerial photos collected from photography equipment such as a digital camera of an aircraft. Video data is edited into the video data image shown in FIG. 2, and 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video data images taken at different locations are combined and edited into one integrated video data image, and the integrated video A data collection device 10 that generates image data by linking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coordinates and object names for each object image included in the data image to the collected data; A digital map device (20) that creates a digital map based on the video data image edited and produced by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 and updates the existing digital map image; A reference device (30) that generates reference point information for numerical drawing of the numerical map device (20); UFID general server 40 that creates and removes UFID for each object by GNSS coordinates; It consists of a UFID management server (50) that searches for the UFID generated by the UFID general server (40), sets it in the corresponding object image (B) in the digital map image, and manages it.

여기서 수치지도장치(20)는 데이터수집장치(10)에서 영상데이터 이미지로 통합 편집해 생성한 영상데이터 및 수치지도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DB(21)와, 상기 영상데이터에 기록된 객체이미지(B)별 링크 정보와 기준장치(30)에서 수집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수집데이터를 저장하는 수집데이터DB(21')와, 상기 영상데이터와 수치지도이미지 데이터와 수집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치지도이미지를 제작해서 이미지DB(21)에 저장하는 수치처리모듈(22)과, UFID관리서버(50)에 해당 객체의 GNSS좌표를 발신해서 수신한 UFID를 상기 객체의 신생 객체이미지에 링크하고 삭제 대상 객체이미지에 링크된 UFID는 해제하면서 상기 삭제 대상 객체이미지의 GNSS좌표를 UFID관리서버(50)에 발신하는 링크모듈(27)과, 이미지DB(21)에서 검색한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 데이터와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해서 객체이미지(B)의 배치위치와 형태 등을 분석하고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와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의 차이를 확인하는 분석모듈(23)과, 분석모듈(23)에서 확인한 상기 차이에 따라 갱신 대상 객체이미지(B)를 확인하는 갱신대상 분류모듈(24)과, 갱신 대상 객체(B)에 대한 수치지도이미지를 수정 편집하는 수치지도 편집모듈(25)과, 편집이 완료된 섹션 단위를 기존 수치지도이미지의 해당 섹션 단위에 삽입해 갱신하는 갱신모듈(26)을 포함한다.Here, the digital map device 20 includes an image DB 21 that stores video data and digital map image data created by integrating and editing video data into images in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 and an object image recorded in the video data ( B) a collection data DB 21' that stores collected data including link information an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reference device 30, and a digital map image based on the image data, digital map image data, and collected data. A numerical processing module 22 creates and stores the object in the image DB 21, and sends the GNSS coordinates of the object to the UFID management server 50, links the received UFID to the new object image of the object, and deletes the object to be deleted. A link module 27 that releases the UFID linked to the image and transmits the GNSS coordinates of the object image to be deleted to the UFID management server 50, and digital map image data before change and after change retrieved from the image DB 21. In the analysis module 23, which checks the digital map image data, analyzes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shape of the object image (B), and check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and after the change, and the analysis module 23. An update target classification module 24 for checking the update target object image (B) according to the confirmed difference, a digital map editing module 25 for modifying and editing the digital map image for the update target object (B), and an editing It includes an update module 26 that updates the completed section unit by inserting it into the corresponding section unit of the existing digital map image.

또한 UFID관리서버(50)는 GNSS좌표별 객체의 UFID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UFID DB(51)와, 수치지도장치(20)의 링크모듈(27)로부터 수신한 신생 객체이미지의 GNSS좌표에 해당하는 UFID를 UFID총괄서버(40)에서 검색하여 링크모듈(27)에 전달하며 삭제 대상 객체이미지의 GNSS좌표에 해당하는 UFID를 링크모듈(27)로부터 수신하는 관리모듈(52)과, 관리모듈(52)이 수신한 신생 객체이미지의 UFID를 UFID DB(51)에 저장하고 UFID DB(51)에 저장된 삭제 대상 객체이미지의 UFID는 삭제하는 업데이트모듈(53)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UFID management server 50 has a UFID DB 51 that stores the UFID of objects for each GNSS coordinate as data, and a GNSS coordinate corresponding to the GNSS coordinates of the new object image received from the link module 27 of the digital map device 20. A management module 52 that retrieves the UFID from the UFID general server 40, transmits it to the link module 27, and receives the UFID corresponding to the GNSS coordinates of the object image to be deleted from the link module 27; ) stores the UFID of the new object image received in the UFID DB 51 and includes an update module 53 that deletes the UFID of the object image to be deleted stored in the UFID DB 51.

전술한 본 실시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구성된 장치 및 모듈별 기능과 동작 플로우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unctions and operation flow of each device and module configured i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of this implement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STEP 1) 항공사진 및 수집데이터 수집STEP 1) Collection of aerial photos and data

데이터수집장치(10)는 차량(100)과 항공기에서 각각 수집한 영상데이터와 지상정보 데이터를 수신해서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기초로 한 하나의 통합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완성한다. 상기 영상데이터 이미지는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서로 조합해 완성하되 GNSS위치와 객체이미지(B)에 대한 위치와 배율 등의 정보를 맞춰 조합하며, 조합 과정에서 영상데이터 이미지 간의 경계 구간은 색상과 이미지 등의 편집을 통해 일체로 된 자연스러운 외관을 갖게 한다.The data collection device 10 receives video data and ground information data collected from the vehicle 100 and the aircraft respectively and completes one integrated video data image based on the video data images. The video data image is completed by combining multiple video data images taken at different locations with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and magnification of the GNSS location and object image (B), and during the combination process, the information between the video data images is combined. The border section is given an integrated, natural appearance through editing of colors and images.

계속해서 데이터수집장치(10)는 영상데이터 이미지 편집 과정에서 객체이미지(B)별로 GNSS좌표와 객체 명칭 등의 수집데이터를 링크한다. 이렇게 링크되는 정보는 수집데이터로서 수치지도장치(20)의 수집데이터DB(21')에 저장해 관리된다.Subsequently,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 links collected data such as GNSS coordinates and object names for each object image (B) during the video data image editing process. The information linked in this way is stored and managed as collected data in the collected data DB 21' of the numerical guidance device 20.

데이터수집장치(10)가 수행하는 영상데이터 이미지의 통합 편집과 기본적인 수집데이터의 객체이미지(B)별 링크 작업은 이미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영상데이터 이미지의 편집기술과 수집데이터 링크기술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 설명은 여기선 생략한다.Since the integrated editing of video data images performed by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 and the link work for each object image (B) of the basic collected data are already known and common technologies, information on editing technology for video data images and linking technology for collected data is already known. Detailed technical descriptions are omitted her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의 정밀 객체 위치 표시를 위한 기준장치의 설치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reference device for displaying precise object positions in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fere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도 4와 도 5에서 보인 기준장치(20, 20', 20")는 기준점이 되는 특정 GNSS좌표 지상에 3개 이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점은 도 3에서 보인 섹션 단위별 수치지도이미지의 기준점(x, x', x")이고, 본 실시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처리하는 수치지도이미지는 기준점(x, x', x")을 기초로 섹션 단위로 분리되며, 상기 섹션 단위는 일정한 사이즈의 격자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GNSS좌표의 간격과 섹션는 단위별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수치지도이미지는 본 실시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에 의해서 섹션 단위로 분리하여 관리될 수 있다. Meanwhile, three or more reference devices (20, 20', 20") shown in Figures 4 and 5 are installed on the ground at specific GNSS coordinates that serve as reference points. Here, the reference points are the digital map images for each section shown in Figure 3. The digital map image processed by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of this implementation is divided into sections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x, x', x"), and the section unit is a constant It forms a grid of sizes. Therefore, the intervals and sections of GNSS coordinates can be maintained at constant intervals for each unit. Ultimately, the digital map image can be managed by separating it into sections by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of this implementation.

참고로, 본 실시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관리하는 수치지도이미지는 전술한 바와 같은 섹션 단위로 관리되고, 따라서 도 3의 (a)도면에서와 같이, 하나의 객체이미지(B-5) 관리는 다수의 섹션가 집합해 이루는 객체 집합체(101)로 관리된다. 이때, 객체 집합체(101)는 해당 수치지도이미지에 고유의 배치위치정보를 포함하며, 따라서 수치지도 편집모듈(25)은 상기 배치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치지도이미지의 지정 구간(D1)에 삽입하거나 삭제한다. For reference, the digital map image managed by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of this implementation is managed in section units as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as shown in Figure 3 (a), one object image (B-5) is managed. It is managed as an object assembly 101 made up of a number of sections. At this time, the object assembly 101 includes placement location information unique to the corresponding digital map image, and therefore the digital map editing module 25 inserts it into the designated section D1 of the digital map image based on the placement location information. Or delete it.

이외에도 본 실시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은 도 3의 (b)도면에서와 같이, 객체이미지(B)와 함께 하는 유효범위이미지(201)를 설정하고, 유효범위이미지(201) 관리는 다수의 섹션가 집합해 이루는 유효범위 집합체(301)로 관리된다. 이때, 유효범위 집합체(301)는 해당 수치지도이미지에 배치위치정보를 포함하며, 따라서 수치지도 편집모듈(25)은 상기 배치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치지도이미지의 지정 구간(D2)에 해당하는 집합체를 합성하거나 삭제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of this implementation sets the effective range image 201 together with the object image (B), as shown in Figure 3 (b), and the management of the effective range image 201 involves a collection of multiple sections. The solution is managed as an effective range aggregate 301. At this time, the effective range assembly 301 includes placement location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digital map image, and therefore, the digital map editing module 25 selects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section (D2) of the digital map image based on the placement location information. Compose or delete aggregates.

참고로, 유효범위이미지(201)는 실제 지상 위치에 객체이 설치될 때 함께 설치되고 철거시 함께 철거되는 바닥구조물에 해당한다. 따라서 객체이 실제 지상 위치에 설치됐다고 함은 유효범위 또한 설치된 것이므로, 실제 지상 위치에 객체이 설치되면 이에 해당하는 객체이미지(B)와 함께 유효범위이미지(201)를 생성해서 수치지도이미지에 포함시킨다.For reference, the effective range image 201 corresponds to a floor structure that is installed together when an object is installed at the actual ground location and is removed together when demolished. Therefore, when an object is installed at an actual ground location, the effective range is also installed. Therefore, when an object is installed at an actual ground location, an effective range image (201) is created along with the corresponding object image (B) and included in the digital map image.

도 3에서 보인 객체 집합체(101)와 유효범위 집합체(301)의 합성 방법은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method of combining the object set 101 and the effective range set 301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기준장치(20, 20', 20")는 갱신 대상 수치지도이미지의 기준점에 해당하는 실제 지상 위치에 입설되며, 일정 범위 이내에 위치한 객체과 기준장치(20, 20', 20")를 인식해서 해당 거리를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한 거리에서 객체과의 거리는 수치지도이미지에 'y1 내지 y6'으로 저장 및 표시되고, 다른 기준장치(20, 20', 20")와의 거리는 수치지도이미지에 'M1 내지 M3'로 저장 및 표시된다.The reference device (20, 20', 20") is installed at the actual ground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point of the digital map image to be updated, and recognizes objects located within a certain range and the reference device (20, 20', 20")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distance. Measure. From the distance measured in this way, the distance to the object is stored and displayed as 'y1 to y6' in the digital map image, and the distance to other reference devices (20, 20', 20") is stored and displayed as 'M1 to M3' in the digital map image. do.

기준장치(20, 20', 20")의 구성 및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the reference devices (20, 20', 2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실시의 기준장치(20; 도 5 참조)는 구동모터(31)와, 구동모터(31)에 수직으로 입설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홀라인(32a)을 형성한 관 형상의 가이드프레임(32)과, 가이드프레임(32)에 삽입되며 구동모터(31)의 동력을 받아 롤링하는 스크류(33)와, 홀라인(32a)을 관통하게 인출되는 거치대(34a)를 갖추고 스크류(33)의 나선피치와 맞물려서 스크류(33)의 회전방향을 따라 승,하강하는 이동자(34)와, 가이드프레임(32)이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거치대(34a)에 안착되어서 이동자(34)의 이동을 따라 이동하며 일정 범위 이내의 객체과 다른 기준장치(20', 20"의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35)와, 가이드프레임(32)에 삽입된 스크류(33)를 롤링 가능하게 지지하며 가이드프레임(32)의 상단을 마감하는 마개(36)와, 현재 GNSS위치를 감지하며 기준장치(20)의 최상단인 마개(36) 상에 설치되는 GNSS계측기(37)와, 구동모터(31)의 구동을 제어하고 GNSS계측기(37)가 감지한 GNSS위치를 출력하며 라이다(35)가 측정한 객체과의 거리와 다른 기준장치와의 거리에 대한 거리정보로 저장하는 제어기(38)를 포함한다.The reference device 20 (see FIG. 5)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drive motor 31 and a tubular guide frame 32 that is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drive motor 31 and forms a hole line 32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crew 33 that is inserted into the guide frame 32 and rolls under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31, and a holder 34a that is drawn out through the hole line 32a, and the spiral pitch of the screw 33 is provided. The mover 34, which engages with and moves up and down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crew 33, and the guide frame 32 are installed to be movable through and are seated on the holder 34a and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er 34. The lidar (35)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objects within a certain range and other reference devices (20', 20"), and the screw (33) inserted into the guide frame (32) is rolled and supported, and the guide frame (32) 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36) that closes the top of the GNSS device, the GNSS measuring device (37) installed on the stopper (36), which detects the current GNSS position and is the top of the reference device (20), and the drive motor (31). It includes a controller 38 that outputs the GNSS position detected by the GNSS measuring device 37 and stores it as distance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to the object measured by the LIDAR 35 and the distance to other reference devices.

여기서 라이다(35)는 360도 둘레에 위치한 주변 사물인 객체 또는 다른 기준장치(20, 20', 20")들을 인식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방되고, 이를 위해서 가이드프레임(32)은 라이다(35)를 관통하게 설치된다.Here, the LIDAR 35 is opened to measure the distance by recognizing objects or other reference devices (20, 20', 20"), which are surrounding objects located around 360 degrees, and for this purpose, the guide frame 32 is It is installed to penetrate (35).

한편, 제어기(38)가 수집한 거리정보는 수집데이터로서 수집데이터DB(21')에 저장된다.Meanwhile, the distanc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ontroller 38 is stored in the collection data DB 21' as collection data.

참고로, 작업자는 2차원 격자 형태의 섹션를 수치지도이미지에 적용하기 위해서 섹션 형성의 기준점을 이루도록, 3개 이상의 기준장치(20, 20', 20")를 수치지도이미지별로 지정된 기준점(x, x', x")의 해당 위치에 정확히 배치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관리하는 수치지도이미지는 앞서 설명한 기준점(x, x', x")이 설정된다. 이때, 기준점(x, x', x")에는 GNSS좌표가 링크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GNSS좌표를 확인해서 해당하는 실제 지상 위치에 기준장치(20, 20', 20")를 입설한다. 작업자는 GNSS계측기(37)의 계측 결과를 제어기(38)를 통해 확인하면서 기준장치(20, 20', 20")의 위치를 확인해 조정하고, 기준점(x, x', x")에 해당하는 실제 지상 위치에 이르면 라이다(35)를 구동시켜서 객체과 다른 기준장치(20, 20', 20")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For reference, in order to apply a two-dimensional grid-shaped section to a digital map image, the operator sets three or more reference devices (20, 20', 20") to the reference points (x, x) designated for each digital map image to form reference points for section formation. ', x") is placed exactly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reference points (x, x', x") described above are set for the digital map image managed by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of this implementation. In this case, the reference points (x, x', x") Since GNSS coordinates are linked, the operator checks the GNSS coordinates and establishes the reference devices (20, 20', 20") at the corresponding actual ground location. The operator report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GNSS instrument 37 to the controller 38. ), check and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device (20, 20', 20"), and when it reaches the actual grou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point (x,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different reference devices (20, 20', 20").

이렇게 수집한 수집데이터인 거리정보로부터는 객체과 기준장치(20, 20', 20") 간의 거리는 물론 객체의 외관형상 또한 개략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이를 토대로 객체의 위치라고 할 수 있는 중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점을 기초로 도 3의 (a)도면에서 보인 수치지도이미지 내 객체이미지(B-2)의 중점(c2)을 파악하고, 이 중점(c2)의 GNSS좌표 또한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렇게 확인한 객체이미지(B-2)의 중점(c2)과 기준점(x, x', x") 등을 기초로 수치지도이미지에 도화된 객체이미지(B)들의 배치 위치를 섹션 단위로 정확히 조정해서 정밀도 높은 수치도화를 완성할 수 있다.From the distance information, which is the collection data collect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oughly check th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and the reference device (20, 20', 20") as well as the external shape of the object, and based on this, the midpoint, which can be called the location of the object, can be confirmed. Therefore, based on the midpoint, the midpoint (c2) of the object image (B-2) in the digital map image shown in (a) of Figure 3 can be identified, and the GNSS coordinates of this midpoint (c2) can also be confirmed. Furthermore, based on the midpoint (c2) and reference point (x, By accurately adjusting, you can complete high-precision numerical drawings.

참고로, 본 실시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은 3게 이상의 기준장치(20, 20', 20")를 기초로 한 기준점(x, x', x")을 토대로 수치지도이미지를 섹션 단위로 분리할 수 있고, 객체이미지(B) 또한 정확히 배치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of this implementation separates the digital map image into sections based on reference points (x, x', x") based on three or more reference devices (20, 20', 20"). and the object image (B) can also be placed accurately.

본 실시의 기준장치(20, 20', 20")를 활용한 기준점 정보는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를 작성할 때 활용되며,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를 작성할 때에는 별도로 활용하지 않는다. 이는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는 수치처리모듈(22)이 객체에 변화가 발생한 신규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바탕으로 객체이미지만을 도화한 이미지이기 때문이며, 이렇게 제작된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는 객체이미지 등에 대한 기타 수집정보는 링크되지 않는다.The reference point information using the reference device (20, 20', 20") in this implementation is used when creating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and is not used separately when creating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This is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This is because the numerical processing module 22 is an image that draws only an object image based on a new video data image in which a change has occurred in the object, and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produced in this way is not linked to other collected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image, etc.

STEP 2)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 제작STEP 2) Production of digital map image after change

본 실시의 수치처리모듈(22)은 이미지DB(21)에서 신규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검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객체이미지와 유효범위를 도화하여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로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한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는 이미지DB(21)에 저장한다.The numerical processing module 22 of this embodiment searches for new video data images in the image DB 21, draws object images and effective ranges based on them, and creates a digital map image after change.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produced in this way is stored in the image DB (21).

이때, 상기 신규 영상데이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기존 영상데이터 이미지가 이미지DB(21)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기존 영상데이터 이미지에 대응하는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수치처리모듈(22) 새로 제작한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를 신규 영상데이터 이미지와 기존 영상데이터 이미지와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 등에 짝을 맞춰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since the existing video data image corresponding to the new video data image is stored in the image DB 21 and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change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video data image is stored, the numerical processing module 22 is newly It is desirable to store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in pairs with the new video data image, the existing video data image, and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변화전과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 비교용 거리기준을 표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변화전과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를 비교해서 갱신 객체을 확인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how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distance standards for comparing digital map images before and after change, and Figure 7 is a digital m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diagram shows how the production system compares digital map images before and after change to confirm updated objects.

STEP 3) 수치지도이미지 분석STEP 3) Digital map image analysis

도 6과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분석모듈(23)은 이미지DB(21)에 저장된 변화전,후의 항공사진 및 수치지도이미지를 검색해서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와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를 서로 비교한다. 여기서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는 도 6의 (a)도면이고,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는 도 6의 (b)도면이다. 또한 수치지도이미지는 항공사진을 기반으로 수치도화를 진행해 작성한 이미지이며, 일반적으로 2차원으로 표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3차원으로도 표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ures 6 and 7, the analysis module 23 searches the aerial photos and digital map images before and after the change stored in the image DB 21 and compares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with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do. Here,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is shown in Figure 6 (a), and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is shown in Figure 6 (b). In addition, a digital map image is an image created by digital drawing based on aerial photography, and can generally be expressed in two dimensions, but can also be expressed in three dimensions if necessary.

전술한 바와 같이,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는 객체이미지는 물론 GNSS좌표와 객체 명칭과 같은 수집데이터 등을 모두 링크하고 있는데 반해,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는 이미지DB(21)의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바탕으로 객체이미지와 유효범위이미지만을 도화하고, 필요한 경우에 해당 객체의 GNSS좌표 등의 수집데이터를 링크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의 (b)도면에서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 내 'B-1'' 객체이미지는 도 6의 (a)도면에서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 내 'B-1' 객체이미지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므로, 각 객체이미지의 중점인 'c1'과 'c1''의 위치는 변화전,후에 상관없이 객체이미지(B-1, B-1') 범위 내에서는 동일한 위치에 존재한다. 이와 동일하게 'B-2' 객체이미지와 'B-2'' 객체이미지 각각의 해당 중점(c2, c2') 위치도 해당 객체이미지(B-2, B-2')에서는 동일하다. As mentioned above,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links not only the object image but also collected data such as GNSS coordinates and object names, whereas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is based on the video data image of the image DB 21. Only the object image and effective range image can be drawn, and if necessary, collected data such as the object's GNSS coordinates can be linked. To be more specific, the 'B-1'' object image in the digital map image after change in Figure 6 (b) is the 'B-1' object in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change in Figure 6 (a). Since it has the same shape as the image, the locations of 'c1' and 'c1'', the center of each object image, are at the same location within the range of the object image (B-1, B-1') regardless of before or after the change. do. Likewise, the locations of the midpoints (c2, c2') of the 'B-2' object image and the 'B-2'' object image are also the same in the corresponding object images (B-2, B-2').

그러나 항공촬영 과정과 항공사진 편집 등의 과정에서 객체이미지들의 위치에 미세한 변화가 있을 수 있고, 이렇게 위치가 변화후 객체이미지(B-1', B-2')을 섹션 단위로 분리하여 정밀하게 작성된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에 그대로 삽입하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에 도시된 객체이미지들을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에 도시된 객체이미지들의 위치와 동일하게 맞춰야 한다.However, during the process of aerial photography and aerial photo editing, there may be slight changes in the positions of object images, and after the position changes, the object images (B-1', B-2') are separated into sections and accurately There are bound to be limitations in inserting the digital map image as it was created before the change. Therefore, the object images shown in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must be aligned to the same positions as the object images shown in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이를 위해 본 실시의 분석모듈(23)은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에서 서로 이웃하는 객체이미지(B-1, B-2)의 각 중점(c1, c2)을 변화전 연결선(T1)으로 서로 연결하고, 이와 동일하게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 내 객체이미지(B-1', B-2', NB-1)의 중점(c1', c2', c3)을 변화후 연결선(T1')으로 서로 연결한다. 이때 연결선(T1, T1')은 일정범위 이내에 이웃하는 모든 객체이미지의 중점을 연결하며, 본 실시에서 연결선(T1, T1')은 객체이미지(B-1, B-2)의 중점(c1, c2)과 객체이미지(B-1', B-2', NB-1)의 중점(c1', c2', c3)을 각각 연결했다.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다른 객체이미지의 중점에도 이와 같이 변화전,후 연결선을 연결한다. 예를 들어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에서 'B-5' 객체이미지와 'B-8' 객체이미지의 각 중점(c5, c8)을 변화전 연결선(T2)으로 연결했고,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에서 'B-5'' 객체이미지와 'B-8'' 객체이미지와 'NB-2' 객체이미지의 각 중점(c5, c8, c2N)을 변화후 연결선(T2')으로 연결했다.For this purpose, the analysis module 23 of this implementation connects the midpoints (c1, c2) of the neighboring object images (B-1, B-2) in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with the connection line before the change (T1), and , in the same way, the midpoints (c1', c2', c3) of the object images (B-1', B-2', NB-1) in the digital map image after chang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connection line (T1') after change. . At this time, the connecting lines (T1, T1') connect the midpoints of all neighboring object images within a certain range, and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lines (T1, T1') connect the midpoints (c1, c2) and the midpoints (c1', c2', c3) of the object images (B-1', B-2', NB-1) were connected respectively. Although not explained, the before and after change connection lines are connected to the center of other object images in the same way. For example, in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each midpoint (c5, c8) of the object image 'B-5' and 'B-8' was connected with a connection line before the change (T2), and in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the ' Each midpoint (c5, c8, c2N) of the B-5'' object image, 'B-8'' object image, and 'NB-2' object image was connected with a connection line (T2') after change.

그런데,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의 경우에는 두 개의 객체이미지(B-1, B-2)의 중점(c1, c2)만이 변화전 연결선(T1)으로 연결되어 있는데 반해,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의 경우에는 3개의 객체이미지(B-1', B-2', NB-1)의 중점(c1, c2, c3)에 연결되었다. 이는 분석모듈(23)이 변화전,후 수치지도이미지를 분석 및 비교하는 과정에서 도 7의 (a)도면과 같이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에 있던 객체이미지(B-3, B-15, B-8)가 소멸되고,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에 있던 객체이미지(NB-1, NB-2)가 생성됐기 때문이다. 즉, 변화전,후 수치지도이미지 내 객체이미지에 차이가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의 변화전,후 연결선(T1, T1', T2, T2')은 직선 및 삼각형과 같은 차이가 발생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only the midpoints (c1, c2) of the two object images (B-1, B-2)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line (T1) before the change, whereas in the case of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is connected to the midpoints (c1, c2, c3) of the three object images (B-1', B-2', NB-1). This means that in the process of the analysis module 23 analyzing and comparing the digital map images before and after the change, the object images (B-3, B-15, B-) in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as shown in (a) of FIG. This is because 8) disappeared, and the object images (NB-1, NB-2) in the digital map image were created after the change. In other word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object image in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and after the change. Therefore, the connection lines (T1, T1', T2, T2') before and after the change in this implementation have differences such as straight lines and triangles.

참고로, 분석모듈(23)은 변화전,후 수치지도이미지 내 객체이미지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은 아니며, 객체이미지들 각각의 중점을 파악해서 상기 중점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선(T1, T1', T2, T2')을 표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For reference, the analysis module 23 does not check the change in the object image in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and after the change, but rather identifies the midpoint of each object image and connects the midpoints with connection lines (T1, T1', T2). , T2') is displayed.

STEP 4) 갱신대상 확인STEP 4) Confirm renewal target

본 실시의 분석모듈(23)이 분석하고 연결선(T1, T1', T2, T2')을 생성하면, 갱신대상 분류모듈(24)은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와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의 객체이미지들의 연결선(T1, T1', T2, T2')을 확인해서 갱신대상이 되는 객체이미지를 확인한다.When the analysis module 23 in this implementation analyzes and creates connection lines (T1, T1', T2, T2'), the update target classification module 24 analyzes the object images of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and after the change. Check the connection lines (T1, T1', T2, T2') to check the object image to be updated.

갱신대상 분류모듈(24)의 확인 결과,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의 삭제 대상 객체이미지는 'B-3'과 'B-15'와 'B-8'이고,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의 신생 객체이미지는 'NB-1'과 'NB-2'이다. 참고로, 갱신대상 수치지도이미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객체이지미의 중점을 연결하는 연결선(T1, T1', T2, T2')의 차이를 확인해서, 특정 지점에서 연결선(T1, T1', T2, T2')의 형태가 동일하지 않으면, 그 이유가 되는 중점의 존재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해당하는 객체이미지의 신생 또는 소멸 등을 파악하여 이루어진다.As a result of checking the update target classification module 24, the object images subject to deletion in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are 'B-3', 'B-15', and 'B-8', and the new object images in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are are 'NB-1' and 'NB-2'. For reference, the digital map image to be updated is checked for differences in the connection lines (T1, T1', T2, T2') connecting the midpoints of the object image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nection lines (T1, T1', T2, If the shape of T2') is not the same, the creation or disappearance of the corresponding object image is identified by checking whether the midpoint exists.

STEP 5) UFID 갱신STEP 5) UFID renewal

링크모듈(27)은 신생 객체이미지와 삭제 대상 객체이미지와, 해당 객체이미지들의 GNSS좌표를 각각 확인한다. 이렇게 확인된 상기 GNSS좌표는 UFID관리서버(50)에 전달되고, UFID관리서버(50)의 관리모듈(52)은 UFID총괄서버(40)를 검색해서 해당 UFID를 확인하며, 확인된 UFID는 링크모듈(27)에 전달되고, 링크모듈(27)은 상기 UFID를 신생 객체이미지에 링크한다.The link module 27 checks the new object image, the object image to be deleted, and the GNSS coordinates of the object images. The GNSS coordinates confirmed in this way are transmitted to the UFID management server 50, and the management module 52 of the UFID management server 50 searches the UFID general server 40 to confirm the corresponding UFID, and the confirmed UFID is linked. It is transmitted to the module 27, and the link module 27 links the UFID to the new object image.

한편, 링크모듈(27)은 삭제 대상 객체이미지의 GNSS좌표에 해당하는 UFID를 해제하고, UFID관리서버(50)의 업데이트모듈(53)은 삭제 대상 객체이미지의 GNSS좌표에 해당하는 UFID를 UFID DB(51)에서 검색하여 이를 삭제한다. 물론, 신생 객체이미지의 UFID는 UFID DB(51)에 새로 입력해 갱신한다.Meanwhile, the link module 27 releases the UFID corresponding to the GNSS coordinates of the object image to be deleted, and the update module 53 of the UFID management server 50 stores the UFID corresponding to the GNSS coordinates of the object image to be deleted in the UFID DB. Search in (51) and delete it. Of course, the UFID of the new object image is updated by newly entering it into the UFID DB 51.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의 객체에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의 객체를 맞추기 위한 배치위치 조정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수치지도이미지의 개체에 유효범위를 표시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이 객체를 수치지도이미지에서 섹션 단위로 분리해 갱신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position adjustment of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tch the objects of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to the objects of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and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how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plays an effective range on an object in a digital map image, and Figure 10 shows how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n object in a digital map image. This is a diagram showing how to separate and update sections.

STEP 6) 수치도화 편집STEP 6) Edit numerical diagram

본 실시의 수치지도 편집모듈(25)은 갱신대상 분류모듈(24)이 확인한 갱신대상 객체이미지를 삽입 및 삭제해서 도 7의 (b)도면과 같이 합성한다. 그런데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의 객체이미지와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의 객체이미지는 도 7의 (a)도면과 같이 위치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의 객체이미지를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의 객체이미지에 맞춰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와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 모두에 변화가 없는 객체이미지의 경우에는 옮겨야 할 지점이 있으므로,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의 객체이미지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나, 본 실시와 같이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의 신생 객체이미지(NB-1, NB-2)은 이동시킬 위치가 정확히 지정되어 있지 않다. 물론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에 위치하는 해당 지점이 옳은지 여부도 모호하다.The digital map editing module 25 of this embodiment inserts and deletes the object image to be updated, confirmed by the update object classification module 24, and synthesizes it as shown in (b) of FIG. 7. However, there may be some difference in location between the object image of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change and the object image of the digital map image after change, as shown in (a) of FIG. 7.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move the object image of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to match the object image of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However, in the case of an object image that does not change in both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and after the change, there is a point that needs to be moved, so the object image in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can be easily moved, but as in this implementation, the object image in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can be easily moved. The new object images (NB-1, NB-2) of the digital map image do not have an exact location to move to. Of course, it is also ambiguous whether the point located in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is correct.

그러므로, 도 8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변화후 수치지도이미지에 표시되는 연결선(T')을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에 표시되는 연결선(T)의 배치각도와 길이 등의 비율로 맞춰서 도 8의 (b)도면과 같이 새로운 연결선(T")을 생성하고, 이때 해당 중점(c3)에 대한 신생 객체이미지(NB-1)를 이동시켜서 도 7의 (b)도면과 같이 완성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수치지도 편집모듈은 연결선(T, T') 조정 과정에서 중점만을 이동시킬 뿐이고, 객체이미지는 원형을 그대로 유지한다.Therefore, as shown in Figure 8 (a), the connection line (T') displayed in the digital map image after the change is adjusted to the ratio of the arrangement angle and length of the connection line (T) displayed in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the change. A new connection line (T") is created as shown in (b) of FIG. 8, and at this time, the new object image (NB-1) is moved with respect to the midpoint (c3) to complete as shown in (b) of FIG. 7. For reference, the digital map editing module in this implementation only moves the midpoint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connection lines (T, T'), and the object image maintains its original shape.

STEP 7) 유효범위 확인STEP 7) Check effective rang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치지도이미지는 객체이미지(B)와 함께 하는 유효범위이미지(201)가 각각 설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신생 객체이미지(NB-1', NB-2')의 둘레에는 도 9와 같이, 이미지DB(21)에 저장된 변화전,후 수치지도이미지에 유효범위이미지(202, 206)를 포함하며, 수치지도 편집모듈(25)은 신생 유효범위이미지(202)와 삭제 대상 유효범위이미지(203, 204)를 각각 확인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map image is set to an effective range image 201 together with an object image B. Therefore, as shown in FIG. 9, effective range images 202 and 206 are added to the digital map images before and after the change stored in the image DB 21 around the new object images (NB-1', NB-2') in this embodiment. Included, the digital map editing module 25 checks the new effective range image 202 and the effective range images to be deleted (203 and 204), respectively.

한편, 본 실시는 도 9의 (a)도면과 같이 1차 편집이 완료된 수치지도이미지에서 신생 유효범위이미지(202)와 삭제 대상 유효범위이미지(203, 204)에 갭(gap)이 발생하며, 수치지도 편집모듈(25)은 이렇게 확인된 갭(S1, S2)의 위치와 범위를 정확히 파악한다.Meanwhile, in this implementation, as shown in (a) of FIG. 9, a gap occurs in the new effective range image 202 and the effective range images 203 and 204 to be deleted in the digital map image for which the primary editing has been completed, The digital map editing module 25 accurately determines the location and extent of the identified gaps (S1, S2).

STEP 8) 섹션 단위 구성STEP 8) Section unit composition

본 실시의 수치지도 제작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치지도이미지를 섹션 단위로 관리한다. 따라서 객체이미지(B)는 물론 유효범위이미지 또한 도 10에서 보인 대로 객체 집합체(401)와 유효범위 집합체(601)로 구성해 관리되고, 해당 수치지도이미지의 베이스에도 객체 집합체(401)와 유효범위 집합체(601)가 각각 배치되는 구간(D3, D4)이 설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of this implementation manages digital map images in sections. Therefore, the object image (B) as well as the effective range image are managed by being composed of an object aggregate 401 and an effective range aggregate 601, as shown in Figure 10, and the base of the corresponding digital map image also contains an object aggregate 401 and an effective range. Sections D3 and D4 where the aggregates 601 are respectively placed are set.

따라서 갱신모듈(26)은 신생 객체이미지(NB-1', NB-2')가 위치하는 섹션와 신생 유효범위이미지(202, 206)가 위치하는 섹션를 각각 설정하고, 이렇게 설정된 섹션 집합체인 신생 객체 집합체(401)와 신생 유효범위 집합체(601)를 생성한다.Accordingly, the update module 26 sets the section where the new object images (NB-1', NB-2') are located and the section where the new effective range images (202, 206) are located, respectively, and the new object aggregate, which is a collection of sections set in this way, is (401) and a new effective range aggregate (601) are created.

한편, 수치지도 편집모듈(25)이 확인한 갭(S1, S2)은 변화전,후 수치지도이미지 내 객체 집합체 또는 유효범위 집합체에 변화가 있음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상기 객체 집합체 또는 유효범위 집합체가 삽입되는 수치지도이미지의 베이스 내 구간에도 변화가 있음을 의미한다. Meanwhile, the gaps (S1, S2) confirmed by the digital map editing module 25 mean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object aggregate or effective range aggregate in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and after the change, and accordingly, the object aggregate or effective range aggregate is changed. This means that there is a change in the section within the base of the inserted digital map image.

전술한 이유로, 갱신모듈(26)은 신생 유효범위이미지(202)와 삭제 대상 유효범위이미지(203, 204) 간의 갭(S1, S2)은 물론, 신생 객체이미지와 삭제 대상 객체이미지 간의 갭을 확인하고, 변화전 수치지도이미지의 베이스에서 삭제 대상 유효범위 집합체(303, 315)의 삽입 구간과 삭제 대상 객체 집합체(103, 115)의 삽입 구간을 삭제한다. 대신에 갱신모듈(26)은 신생 객체 집합체(401)와 신생 유효범위 집합체(601)를 삽입하는 구간(D3, D4)을 생성한다.For the above-mentioned reasons, the update module 26 checks the gap (S1, S2) between the new effective range image 202 and the effective range images 203 and 204 to be deleted, as well as the gap between the new object image and the object image to be deleted. And, the insertion section of the effective range set to be deleted (303, 315) and the insertion section of the object set to be deleted (103, 115) are deleted from the base of the digital map image before change. Instead, the update module 26 creates sections D3 and D4 into which the new object set 401 and the new effective range set 601 are inserted.

계속해서, 갱신모듈(26)은 새로 생성한 수치지도이미지의 베이스 내 구간(D3, D4)에 신생 객체 집합체(401)와 신생 유효범위 집합체(601)를 모두 삽입한다.Subsequently, the update module 26 inserts both the new object set 401 and the new effective range set 601 into the sections (D3, D4) within the base of the newly created digital map image.

참고로, 수치지도이미지 내 베이스 구간과 집합체는 수치지도이미지에 삽입되거나 삭제되어야 할 유효범위이미지와 객체이미지 각각의 대상과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기준정보에 불과하므로, 도 10과 같이 임의의 집합체가 다른 집합체의 유효범위이미지 또는 객체이미지과 겹쳐도 다른 집합체의 유효범위이미지 또는 객체이미지가 가려지거나 삭제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집합체 내 유효범위이미지 또는 객체이미지만이 수치지도이미지에 삽입되거나 삭제된다.For reference, the base section and aggregate in the digital map image are only reference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target and location of each effective range image and object image to be inserted or deleted in the digital map image, so an arbitrary aggregate as shown in FIG. 10 Even if the effective range image or object image of another group overlaps, the effective range image or object image of the other group is not obscured or deleted, and only the effective range image or object image within any group is inserted or deleted in the digital map image.

결국, 항공사진을 바탕으로 단순 도화작업을 한 신생 이미지만으로도 새로운 수치지도이미지를 손숩게 완성해서 지도로서 활용할 수 있다.In the end, it is possible to easily complete a new digital map image and use it as a map with just a new image created by simple drawing work based on aerial photography.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카메라가 탑재된 데이터수집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체결부 및 승강조절부 등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동조절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동조절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data collection device equipped with a ground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a coupling fastener and a lifting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abl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movabl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수집장치(10)는, 이동 가능한 차량(1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결합체결부(300), 결합체결부(300)에 일측부가 마련되는 승강조절부(400), 결합체결부(300)와 승강조절부(400)의 타측부에 연결되어 기울기와 거리를 조절하는 가동조절부(500) 및 가동조절부(500)의 일측에 장착되는 지상카메라(20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data collection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portion 300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vehicle 100, and a lift control portion 40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300. ), a movable control unit 500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upling unit 300 and the lift control unit 400 to control the tilt and distance, and a ground camera 200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control unit 500. Includes.

상기 결합체결부(300)는 차량(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차량(100)에 지지되며 저면부에 바디홈이 마련된 베이스바디(310), 베이스바디(31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며 복수의 결합홀(321)이 마련된 결합플랜지(320), 베이스바디(310)의 상부에 배치되며 베이스바디(310)와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330), 베이스플레이트(330)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가동조절부(5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340), 베이스바디(310)의 상면부에 마련되며 지지볼(351)을 갖는 복수의 볼바디(350), 복수의 볼바디(350)의 상부에 배치되어 지지볼(351)에 지지되는 복수의 타원바디(360), 상측부는 베이스플레이트(330)에 결합되고 하측부는 타원바디(360)에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330)를 지지하는 복수의 격자지지대(370), 하측부는 상기 복수의 볼바디(350)에 결합되고 상측부는 복수의 타원바디(360)에 결합되어 복수의 타원바디(36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라인(380)을 포함한다.The coupling portion 300 is coupled to the vehicle 100, and is supported on the vehicle 100 and includes a base body 310 with a body groove on the bottom, provided at the edge of the base body 310, and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 coupling flange 320 provided with (321), a base plate 33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body 310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body 310, and a movable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330 ( A guide rail 340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500), a plurality of ball bodies 35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310 and having support balls 351, and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plurality of ball bodies 350 A plurality of elliptical bodies 360 supported on the support ball 351,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330, and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elliptical body 360, a plurality of grid supports (360) supporting the base plate 330 370),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ball bodies 350, and the upper part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oval bodies 36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lines 380 fo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oval bodies 360.

본 실시 예는 복수의 결합홀(321)을 통해 볼트 등을 차량(100)에 결합시켜 결합체결부(300)를 차량(1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upling portion 300 can be stably fixed to the vehicle 100 by coupling bolts, etc. to the vehicle 100 throug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321.

상기 가이드레일(340)은 베이스플레이트(330)의 길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가동조절부(5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guide rail 340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plate 330 and can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control unit 500.

상기 지지볼(351)은 타원바디(360)에 마련된 홈부(361)에 접촉되어 타원바디(36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홈부(361)는 지지볼(351)에 대응되는 원형 형상으로 마련되어 타원바디(360)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ball 351 may support the elliptical body 360 by contacting the groove 361 provided in the elliptical body 360. In this embodiment, the groove portion 361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ball 351 and can stably support the movement of the elliptical body 360.

복수의 격자지지대(370)는 복수의 막대를 지그재그 형태로 힌지 결합시켜 베이스플레이트(330)를 더 민감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grid supports 370 can support the base plate 330 more sensitively by hingedly combining a plurality of bars in a zigzag shape.

상기 지지라인(380)은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여 타원바디(36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line 380 is provided with a coil spring and can elastically support the elliptical body 360.

상기 승강조절부(400)는 베이스플레이트(330)를 승강시켜 베이스플레이트(3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elevation control unit 400 can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base plate 330 by raising and lowering the base plate 330.

본 실시 예에서 승강조절부(400)는, 하측부는 베이스바디(310)에 힌지 결합되고 상측부는 베이스플레이트(330)에 힌지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330)를 승강시키는 제1승강실린더(410), 하측부는 베이스바디(310)에 힌지 결합되고 상측부는 베이스플레이트(330)에 힌지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330)를 승강시키는 제2승강실린더(42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lifting control unit 400 includes a first lifting cylinder 410, the lower part of which is hinged to the base body 310 and the upper part of which is hinged to the base plate 330 to raise and lower the base plate 330. The lower part is hinged to the base body 310, and the upper part is hinged to the base plate 330 to include a second lifting cylinder 420 that elevates the base plate 330.

본 실시 예에서 제1승강실린더(410)와 제2승강실린더(420)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ifting cylinder 410 and the second lifting cylinder 420 may b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상기 가동조절부(500)는 결합체결부(300) 및 승강조절부(400)에 연결되어 지상카메라(200)를 지지함과 아울러 지상카메라(200)의 거리 및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movable control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unit 300 and the elevation control unit 400 to support the ground camera 200 and to control the distance and tilt of the ground camera 200.

본 실시 예에서 가동조절부(500)는, 가이드레일(340)에 이동되게 결합되는 LM가이드(510), LM가이드(5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지지부베이스(520), 지지부베이스(520)에 하측부가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실린더(530), 지지부실린더(530)의 상측부에 결합되는 실린더커넥터(540), 실린더커넥터(540)에 하측부가 회동되게 결합되는 연결편(550), 일측부는 지지부베이스(520)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부는 연결편(550)의 타측부에 결합되어 연결편(550)과 같이 회전되는 지지플레이트(560), 지지플레이트(560)에 마련되어 지상카메라(200)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570), 제1지지대(570)와 이격되도록 지지플레이트(560)에 마련되어 지상카메라(200)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58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movable control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LM guide 510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340, the support base 52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M guide 510, and the support base 520. A support cylinder 530 whose lower side is hinged, a cylinder connector 54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cylinder 530, a connection piece 550 whose lower side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ylinder connector 540, one side of which is a support base ( A support plate 560 that is hinged to 520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piece 550 and rotates like the connection piece 550, and is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560 to support one side of the ground camera 200. It includes a first support 570 and a second support 580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56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570 and supporting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camera 200.

상기 LM가이드(510)는 가이드레일(34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지지대(570)와 제2지지대(580)에 지지된 지상카메라(20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LM guide 510 can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340. As a result, the ground camera 200 supported on the first support 570 and the second support 580 can b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지지부실린더(530)는 좌측 영역이 지지부베이스(520)에 마련된 수용홈(521)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부실린더(530)는 지지부베이스(520)에 마련된 수용홈(521)에 수용되어 도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560)를 지지부베이스(520)와 평행되게 배치할 수 있다.The left side of the support cylinder 530 may be provided to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521 provided in the support base 520. As a result, the support cylinder 53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521 provided in the support base 520, and the support plate 560 can be arranged parallel to the support base 520 as shown in drawing (b). .

상기 실린더커넥터(540)와 연결편(550)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핀이나 축으로 결합될 수 있고, 회전된 상태는 실린더커넥터(540)와 연결편(550)의 상호 마찰력으로 유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cylinder connector 540 and the connecting piece 55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with a pin or shaft, and the rotated state may be designed to be maintained by mutual friction between the cylinder connector 540 and the connecting piece 550.

상기 지지플레이트(560)의 상면부에는 복수의 결합홈(561)이 이격 마련된다. 본 실시 예는 복수의 결합홈(561) 중 선택된 결합홈(561)에 제1지지대(570)와 제2지지대(580)를 결합시켜 제1지지대(570)와 제2지지대(58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56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560.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s of the first support 570 and the second support 580 are determined by coupling the first support 570 and the second support 580 to the selected coupling groove 561 among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561. can be changed.

본 실시 예에서 제1지지대(570)에는 제1결합돌기(571)가 마련되고 제2지지대(580)에는 제2결합돌기(581)가 마련되어 제1지지대(570)와 제2지지대(580)는 돌기와 홈의 결합에 의해 복수의 결합홈(561)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first coupling protrusion 571 is provided on the first support 570,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581 is provided on the second support 580, so that the first support 570 and the second support 580 Can be detachably fitted and coupled to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561 by combining protrusions and grooves.

상기 베이스바디(310)에는 가변가압부(600)가 승강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가변가압부(600)는 베이스바디(310)를 차량(100)으로 가압시킬 수 있다.A variable pressure unit 600 is coupled to the base body 310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The variable pressurizing unit 600 can pressurize the base body 310 to the vehicle 100.

본 실시 예에서 가변가압부(600)는, 베이스바디(310)의 바디홈에 배치되며 반원 형상을 갖는 가압바디(610), 하측부는 가압바디(610)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베이스바디(310)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바디(620), 베이스바디(3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연결바디(620)에 마련되어 연결바디(62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63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variable pressure unit 600 is a pressure body 610 disposed in the body groove of the base body 310 and has a semicircular shape, the lower part is connected to the pressure body 610,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base body 310. ) is screwed to the connection body 620,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body 310 and includes a rotating part 630 provided on the connection body 620 to rotate the connection body 620.

상기 가압바디(610)의 굴곡진 영역은 차량(100)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가압바디(610)의 굴곡진 영역이 차량(100)에 접촉되어 결합체결부(300)를 더 안정적을 지지할 수 있다.The curved area of the pressing body 610 may be disposed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100. In this embodiment, the curved area of the pressing body 610 is in contact with the vehicle 100,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300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또한 가변가압부(600)가 길이 조절되게 마련되어 차량(100)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ariable pressing part 600 is provided to have an adjustable length, so that the height can be adjusted to suit the vehicle 10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0 : 데이터수집장치 20 : 수치지도장치 30 : 기준장치
40 : UFID총괄서버 50 : UFID관리서버 100 : 차량
200 : 지상카메라 300 : 결합체결부 310 : 베이스바디
320 : 결합플랜지 321 : 결합홀 330 : 베이스플레이트
340 : 가이드레일 350 : 볼바디 351 : 지지볼
360 : 타원바디 361 : 홈부 370 : 격자지지대
380 : 지지라인 400 : 승강조절부 410 : 제1승강실린더
420 : 제2승강실린더 500 : 가동조절부 510 : LM가이드
520 : 지지부베이스 521 : 수용홈 530 : 지지부실린더
540 : 실린더커넥터 550 : 연결편 560 : 지지플레이트
561 : 결합홈 570 : 제1지지대 571 : 제1결합돌기
580 : 제2지지대 581 : 제2결합돌기 600 : 가변가압부
610 : 가압바디 620 : 연결바디 630 : 회전부
10: Data collection device 20: Numerical guidance device 30: Standard device
40: UFID general server 50: UFID management server 100: vehicle
200: Ground camera 300: Coupler 310: Base body
320: Coupling flange 321: Coupling hole 330: Base plate
340: Guide rail 350: Ball body 351: Support ball
360: Oval body 361: Groove 370: Grid support
380: Support line 400: Lifting control unit 410: First lifting cylinder
420: Second lifting cylinder 500: Movable control unit 510: LM guide
520: Support base 521: Receiving groove 530: Support cylinder
540: Cylinder connector 550: Connection piece 560: Support plate
561: Coupling groove 570: First support 571: First coupling protrusion
580: second support 581: second coupling protrusion 600: variable pressure portion
610: Pressurizing body 620: Connecting body 630: Rotating part

Claims (1)

이동 가능한 차량에 설치된 지상카메라 또는 라이다장비가 수집한 지상정보 데이터와 항공기의 촬영 장비로부터 수집한 영상데이터를 영상데이터 이미지로 편집하며, 서로 다른 위치를 촬영한 다수의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서로 조합해서 하나의 통합된 영상데이터 이미지로 서로 편집하고, 통합된 영상데이터 이미지에 포함되는 객체이미지별로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좌표와 객체 명칭을 수집데이터로 링크해서 영상데이터로 생성하는 데이터수집장치; 데이터수집장치에서 편집해 제작한 영상데이터 이미지를 바탕으로 수치도화하고 기존 수치지도이미지를 갱신하는 수치지도장치; 수치지도장치의 수치도화를 위한 기준점 정보를 생성하는 기준장치; GNSS좌표별 객체마다 UFID를 생성 및 제거하는 UFID총괄서버; 및 UFID총괄서버에서 생성한 UFID를 검색해서 수치지도이미지 내 해당 객체이미지에 설정하고 관리하는 UFID관리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UFID관리서버는,
GNSS좌표별 객체의 UFID를 데이터로 저장하는 UFID DB; 수치지도장치의 링크모듈로부터 수신한 신생 객체이미지의 GNSS좌표에 해당하는 UFID를 UFID총괄서버에서 검색하여 링크모듈에 전달하며, 삭제 대상 객체이미지의 GNSS좌표에 해당하는 UFID를 링크모듈로부터 수신하는 관리모듈; 및 관리모듈이 수신한 신생 객체이미지의 UFID를 UFID DB에 저장하고, UFID DB에 저장된 삭제 대상 객체이미지의 UFID는 삭제하는 업데이트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수집장치는,
이동 가능한 차량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결합체결부; 결합체결부에 일측부가 마련되는 승강조절부; 결합체결부와 승강조절부의 타측부에 연결되어 기울기와 거리를 조절하는 가동조절부; 및 가동조절부의 일측에 장착되는 지상카메라;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체결부는,
차량에 지지되는 베이스바디; 베이스바디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며 복수의 결합홀이 마련된 결합플랜지;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며 베이스바디와 이격 배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부에 마련되어 가동조절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베이스바디의 상면부에 마련되며 지지볼을 갖는 복수의 볼바디; 복수의 볼바디의 상부에 배치되어 지지볼에 지지되는 복수의 타원바디; 일측부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타원바디에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복수의 격자지지대; 및 일측부는 복수의 볼바디에 결합되고 타측부는 복수의 타원바디에 결합되어 복수의 타원바디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라인; 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조절부는,
일측부는 베이스바디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제1승강실린더; 및 일측부는 베이스바디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부는 베이스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제2승강실린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실린더와 제2승강실린더는 서로 교차되게 마련되며,
상기 가동조절부는,
가이드레일에 이동되게 결합되는 LM가이드; LM가이드의 상부에 마련되는 지지부베이스; 지지부베이스에 일측부가 결합되는 지지부실린더; 지지부실린더의 타측부에 결합되는 실린더커넥터; 실린더커넥터에 일측부가 회동되게 결합되는 연결편; 일측부는 지지부베이스에 힌지 결합되고 타측부는 연결편의 타측부에 결합되어 연결편과 같이 회전되는 지지플레이트; 지지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지상카메라의 일측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제1지지대와 이격되도록 지지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지상카메라의 타측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베이스에는 수용홈이 마련되고, 지상카메라를 지지하지 않을 시 수용홈에 지지플레이트는 수용되며, 지지플레이트에는 복수의 결합홈이 마련되고, 복수의 결합홈 중 선택된 결합홈에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를 결합시켜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바디에 승강되게 결합되어 베이스바디를 차량으로 가압시키는 가변가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가압부는,
베이스바디의 바디홈에 배치되며 반원 형상을 갖는 가압바디; 일측부는 가압바디에 마련되고 타측부는 베이스바디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바디; 및 베이스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며 연결바디에 마련되어 연결바디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점 설정에 따른 개체단위 구축방식으로 수치지도를 합성할 수 있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Ground information data collected by ground cameras or LiDAR equipment installed on mobile vehicles and video data collected from aircraft photography equipment are edited into video data images, and multiple video data images taken at different locations are combined together. A data collection device that creates video data by editing each other into one integrated video data image and linking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coordinates and object names to the collected data for each object image included in the integrated video data image; A digital map device that creates a digital map based on video data images edited and produced by a data collection device and updates existing digital map images; A reference device that generates reference point information for numerical mapping of a digital map device; UFID general server that creates and removes UFID for each object by GNSS coordinates; and a UFID management server that searches for the UFID generated by the UFID general server and sets and manages the corresponding object image in the digital map image. Including,
The UFID management server is,
UFID DB, which stores the UFID of objects by GNSS coordinates as data; Management of retrieving the UFID corresponding to the GNSS coordinates of the new object image received from the link module of the digital map device from the UFID general server and delivering it to the link module, and receiving the UFID corresponding to the GNSS coordinates of the object image to be deleted from the link module. module; and an update module that stores the UFID of the new object image received by the management module in the UFID DB and deletes the UFID of the object image to be deleted stored in the UFID DB; Includes,
The data collection device i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a movable vehicle; A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 movabl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lifting control unit to control the inclination and distance; and a ground camera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vable control unit; Including,
The coupling part,
A base body supported on the vehicle; A coupling flang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base bod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 base plate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base body; A guide rail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movable control unit; A plurality of ball bodie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and having support balls; A plurality of elliptical bodies disposed on top of the plurality of ball bodies and supported by support balls; A plurality of grid supports,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oval body to support the base plate; and a plurality of support lines,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ball bodies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a plurality of oval bodies to support the plurality of oval bodies. Includes,
The lifting control unit,
A first lifting cylinder,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base body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base plate to elevate and lower the base plate; and a second elevating cylinder,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base body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base plate to elevate and lower the base plate. It includes, wherein the first elevating cylinder and the second elevating cylinder are provided to cross each other,
The movable control unit,
LM guide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rail; A support bas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M guide; A support cylinder whose one side is coupled to the support base; A cylinder connecto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cylinder; A connecting piece on one side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ylinder connector; A support plate on one side of which is hinged to the support base and on the other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piece and rotated like the connecting piece; A first support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to support one side of the ground camera; and a second support provided on the support plat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to support the other side of the ground camera. Including,
The support base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and when the ground camera is not supported, the support plat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The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nd a first support and a first support are installed in a selected coupling groove among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By combining the second support,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s can be changed,
a variable pressurizing part that is coupled to the base body to be lifted and pressed to press the base body to the vehicle; It further includes,
The variable pressure part,
A pressurizing body disposed in the body groove of the base body and having a semicircular shape; A connection body whose one side is provided on the pressurizing body and whose other side is screwed to the base body; and a rotating part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body and provided on the connection body to rotate the connection body. A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capable of synthesizing a digital map using an object-unit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KR1020230109818A 2023-08-22 2023-08-22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synthesizing digital map by constructing object unit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KR1026303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818A KR102630364B1 (en) 2023-08-22 2023-08-22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synthesizing digital map by constructing object unit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818A KR102630364B1 (en) 2023-08-22 2023-08-22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synthesizing digital map by constructing object unit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364B1 true KR102630364B1 (en) 2024-01-29

Family

ID=8971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9818A KR102630364B1 (en) 2023-08-22 2023-08-22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synthesizing digital map by constructing object unit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36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985B1 (en) * 2011-11-18 2012-03-05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Electronics map manufacturing method of underground utilities using image drawing processing of composing system an aerial image and gps
KR101719700B1 (en) * 2016-11-29 2017-03-27 (주)동광지엔티 Updating system for global positioning map by ufid
KR101731103B1 (en) * 2016-11-29 2017-05-1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Mapping system for updiating the image data by editing digital aerial images
KR102401257B1 (en) * 2022-01-04 2022-05-25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system for correcting distortion im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985B1 (en) * 2011-11-18 2012-03-05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Electronics map manufacturing method of underground utilities using image drawing processing of composing system an aerial image and gps
KR101719700B1 (en) * 2016-11-29 2017-03-27 (주)동광지엔티 Updating system for global positioning map by ufid
KR101731103B1 (en) * 2016-11-29 2017-05-12 주식회사 우리강산시스템 Mapping system for updiating the image data by editing digital aerial images
KR102401257B1 (en) * 2022-01-04 2022-05-25 젠스코리아 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system for correcting distortion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401B1 (en) Digital drawing modification system for drawing a partial of updating region
KR102027932B1 (en) Space image drawing system based on high precision aerial image
KR102494274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terrain change information using property of coordinate information
KR101731103B1 (en) Mapping system for updiating the image data by editing digital aerial images
KR101055419B1 (en) Topographic surveying method using terrestrial light detection and ranging
KR101763883B1 (en) Editing apparatus for aerial images displaying picture of segmented region
KR102260071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using 3d location information
CN109961510A (en) A kind of high cutting-slope geology quick logging method based on three-dimensional point cloud reconfiguration technique
KR102527649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map using geo-referenced image and reference point information
CN106780165A (en) A kind of architecture information is gathered and edited and AMS
CN112258624A (en) Three-dimensional live-action fusion modeling method
US98039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idge assembly
KR102630364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synthesizing digital map by constructing object unit according to reference point setting
CN114943890A (en) Transformer substation field flatness identification method adopting unmanned aerial vehicle-mounted laser point cloud
KR102279760B1 (en) Underground facilities detection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based on ground control point through uav photograghy
KR102512694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KR101719700B1 (en) Updating system for global positioning map by ufid
KR102512696B1 (en) Real time update system reflecting the topography change
KR102476569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for automatically checking and updating error point of image
KR102642146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map by section by constructing unit of object by ufid
KR102481914B1 (en) Apparatus for obtaining 3D spatial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cell phone lidar and photos and method for obtaining 3D spatial information of underground facilities using the same
Patikova Digital photogrammetry in the practice of open pit mining
Acharya et al. Digital terrain model: Elevation extraction and accuracy assessment
CN115601517A (en) Rock mass structural plane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210344B1 (en) Method for producing digital topography using 3D precision scanner-based field survey and complementary surv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