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324B1 - Delivery vessel of broth food - Google Patents

Delivery vessel of broth fo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324B1
KR102630324B1 KR1020220137513A KR20220137513A KR102630324B1 KR 102630324 B1 KR102630324 B1 KR 102630324B1 KR 1020220137513 A KR1020220137513 A KR 1020220137513A KR 20220137513 A KR20220137513 A KR 20220137513A KR 102630324 B1 KR102630324 B1 KR 10263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p
container
protrusion
steam outlet
food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7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정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희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7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3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3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n orifice, capillary or labyrinth p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국물이 있는 음식을 포장하여 배달하는 과정에서 국물이 용기 밖으로 누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뜨거운 국물로 인한 부풀음을 방지하고 배달 과정에서 국물이 누출되지 않으며, 포장이 간편하면서 개봉이 편리한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개시한다. 증기배출구를 통해 부풀음을 방지하고 주변부보다 높은 곳에 증기배출구가 형성되어 국물 누출이 최소화되고, 돌출부 옆면에 있는 수직벽에 국물이 충돌하여 국물이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고, 추가적으로 진공성형으로 인해 홀 외주면에 있는 홀 돌출부가 형성되어 국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This is to prevent soup from leaking out of the container during the process of packaging and delivering food with soup. It prevents swelling due to hot soup, prevents soup from leaking during delivery, and is a soup food that is easy to package and easy to open. Initiate delivery container. Swelling is prevented through the steam outlet, and the steam outlet is form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surrounding area to minimize soup leakage. The soup prevents the soup from escaping by colliding with the vertical wall on the side of the protrusion, and additionally, vacuum forming prevents the soup from escaping. Hole protrusions are formed to further minimize soup flowing out.

Description

국물음식 배달 용기 {DELIVERY VESSEL OF BROTH FOOD}Soup food delivery container {DELIVERY VESSEL OF BROTH FOOD}

본 발명은 국물음식 배달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국물이 있는 음식을 포장하여 배달하는 데 효과적인 국물음식 배달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nd to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that is effective in packaging and delivering soup-containing food.

일반적으로 배달 용기에 국물이 있는 음식을 담아 배달을 하게 되면 배달하는 동안 음식이 흔들리고 특히 뜨거운 국물이 담긴 경우 용기가 부풀어올라 배달 용기 뚜껑의 테두리로 국물이 새는 문제가 있었다.In general, when food with soup is placed in a delivery container and delive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ood shakes during delivery, and especially when hot soup is contained, the container swells and the soup leaks through the rim of the delivery container lid.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에 랩 등을 씌워 뚜껑을 덮는 등 이중으로 포장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했고, 뜨거운 국물로 인해 용기 뚜껑이 부풀어 오르지 않도록 추가적으로 뚜껑에 구멍을 뚫는 등 음식점 노동자들의 업무가 늘어나고 있다. To prevent this,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double packaging, such as covering the container with a wrap and a lid, and the work of restaurant workers is increasing, such as drilling additional holes in the container lid to prevent the container lid from swelling due to hot soup. .

또한, 용기에 랩을 씌우게 되면 배달하는 과정에서 랩의 표면에 뜨거운 국물이 흥건하게 묻게 되고, 일반 소비자들이 랩을 뜯을 때 손에 국물이 묻거나 뜨거운 국물로 인해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In addition, if a container is covered with a wrap, hot soup will get wet on the surface of the wrap during the delivery process, and there is a risk that general consumers will get their hands wet with soup or get burned by the hot soup when they open the wrap.

이에, 국물이 있는 음식을 쉽게 포장할 수 있고 배달 과정에서 국물이 누출되지 않아 개봉이 간편하고 국물을 손에 묻히지 않고 배달 음식을 개봉하기 위한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다.Accordingly, we are continuously researching technologies to make it easy to package food with soup, to make it easy to open because the soup does not leak during the delivery process, and to open delivered food without getting the soup on your hands.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공개된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e above background technology are inten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disclosed prior art.

한국 등록특허 제10-0840587호Korean Patent No. 10-0840587

삭제delet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뜨거운 국물로 인한 증기를 배출시키고 포장이 간편하고 배달 과정에서 국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that exhausts steam caused by hot soup, is easy to package, and prevents soup from leaking during the delivery process.

이하, 도면 부호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Hereinafte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국물음식 배달 용기(10)는 용기 뚜껑(100)의 중앙에 주변부(104)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오목부(102)가 형성되고, 오목부(102)에는 바 형상의 볼록한 형태로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12)가 형성되고, 돌출부(112)는 누를 때 찌그러지지 않도록 중앙이 좁아지는 좁은 중앙부(115)를 포함하고, 돌출부(112)에는 증기배출구(114)가 형성되고, 증기배출구(114)는 외주연에서 뚜껑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홀 돌출부(116)를 포함하고, 용기 뚜껑의 주변부(104)에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배달 용기(10)의 적층을 위하여 용기 본체(300)의 바닥면에 돌출부(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한 공간이 형성된 용기 바닥부(302)가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10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102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104 at the center of the container lid 100. In the concave portion 102, a protrusion 112 is formed that protrudes upward in a bar-shaped convex shape, and the protrusion 112 includes a narrow central portion 115 whose center is narrowed so as not to be crushed when pressed, and the protrusion A vapor outlet 114 is formed at (112), and the vapor outlet 114 includes a hole protrusion 116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toward the inside of the lid, and is formed flat on the peripheral portion 104 of the container lid. For stacking of the delivery containers 10, there is a container bottom 302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300 in which a concave spac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12.

또한, 용기 뚜껑(100)의 오목부(102)에는 돌출부(112)의 양옆으로 이격되어 2개의 국물 유입구(106a, 106b)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wo broth inlets 106a and 106b may be additionally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102 of the container lid 100,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112.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제조된 국물음식 배달 용기(10)는 용기 뚜껑(200)의 중앙에 주변부(204)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부(202)가 형성되고, 볼록부(202)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중앙 오목부(214)가 형성되고, 중앙 오목부(214)에는 증기배출구(216)가 형성되고, 증기배출구(216a, 216b)는 외주연에서 뚜껑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홀 돌출부(218)를 포함하고, 용기 뚜껑(200)의 주변부(204)는 평평하게 형성되고, 배달 용기(10)의 적층을 위하여 용기 본체(300)의 바닥면에 볼록부(20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한 공간이 형성된 용기 바닥부(302)가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10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vex portion 202 protruding upwar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204 at the center of the container lid 200. A central concave part 214 protruding downward is formed in the convex part 202, a steam outlet 216 is formed in the central concave part 214, and the steam outlets 216a and 216b are formed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lid. It includes a hole protrusion 218 protruding in the inner direction, and the peripheral portion 204 of the container lid 200 is formed flat and is convex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300 for stacking the delivery container 10. There is a container bottom portion 302 in which a concave spac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202.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뚜껑(100)에 증기배출구(114)를 형성하여 용기 뚜껑이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por outlet 114 is formed in the container lid 100 to prevent the container lid from swelling.

증기배출구(114)는 바 형상의 돌출부(112)의 가급적 높은 곳에 형성되어 있어 국물이 흘러나오기 어렵다.The steam outlet 114 is formed as high as possible on the bar-shaped protrusion 112, making it difficult for soup to flow out.

또한, 바 형상의 돌출부(112) 중앙에는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좁은 중앙부(115)가 형성되어 있어 누를 때 찌그러지지 않는다.In addition, a narrow central portion 115 whose width is narrowed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r-shaped protrusion 112, so that it is not distorted when pressed.

돌출부(112) 옆면에는 수직벽(113)이 형성되어 있어 국물이 흔들리는 과정에서 위로 튀어 오를 때 국물이 수직벽(113)에 충돌하여 다시 용기 안으로 들어가 증기배출구(114)를 통해 국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 vertical wall 11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rotrusion 112, so that when the soup bounces upward during the shaking process, the soup collides with the vertical wall 113 and goes back into the container, preventing the soup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steam outlet 114. It can be minimized.

홀 돌출부(116)는 배달하는 과정에서 배달 용기가 흔들려 국물이 튀어 오를 때 국물이 충돌하는 부분이다. 그러면 국물의 표면장력 등의 요인으로 국물이 증기 배출구(114)를 통해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홀 돌출부(116)에 맺히거나 낙하한다. 이를 통해 국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The hole protrusion 116 is a part where the soup collides when the delivery container is shaken and the soup bounces during the delivery process. Then, due to factors such as the surface tension of the soup, the soup cannot go out through the steam outlet 114 and forms or falls on the hole protrusion 116. Through this, you can further minimize the soup flowing out.

또한, 배달용기 본체(300)에는 바 형상의 돌출부(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용기 바닥부(302)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delivery container body 300 has a container bottom 302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ar-shaped protrusion 112.

용기 바닥부(302)는 적층 시 돌출부(112)가 용기 바닥부(302)의 오목한 공간에 딱 맞아 들어가기 때문에 배달 과정에서 흔들릴 때 용기가 같이 흔들리거나 회전하지 못하고 안정적으로 배달이 가능하다.When the container bottom 302 is stacked, the protrusion 112 fits perfectly into the concave space of the container bottom 302, so that the container does not shake or rotate when shaken during the delivery process, and stable delivery is 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타원형 모양으로 형성된 볼록부(202)에 2개의 반구모양의 오목한 공간(212)이 형성되고, 반구모양의 공간에 증기 배출구(216)가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hemispherical concave spaces 212 are formed in the convex portion 202 formed in an oval shape, and a steam outlet 216 is formed in the hemispherical space.

그렇기 때문에 뜨거운 국물로 인해 용기 뚜껑(200)이 부풀어오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용기 뚜껑의 주변부(204)보다 높은 위치에 반구모양의 오목한 공간(212)이 형성되어 있어 국물 누출을 어렵게 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iner lid 200 from swelling due to hot soup, and the hemispherical concave space 212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peripheral portion 204 of the container lid, making it difficult for soup to leak.

또한 두개의 반구모양의 오목한 공간(212)이 서로 연결(213)되어 있어 제1 증기배출구(216a)에서 흘러나온 국물이 제2 증기배출구(216b)로 들어가 국물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wo hemispherical concave spaces 2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213), the soup flowing out of the first steam outlet (216a) flows into the second steam outlet (216b), thereby minimizing soup leakage.

홀 돌출부(218)는 배달하는 과정에서 배달 용기가 흔들려 국물이 튀어 오를 때 국물이 홀 돌출부(218)에 충돌한다. 그러면 국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국물이 증기 배출구(216)를 통해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홀 돌출부(218)에 맺혀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국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The soup collides with the hole protrusion 218 when the delivery container is shaken during delivery and the soup bounces. Then,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broth, the broth cannot escape through the steam outlet 216 and remains on the hole protrusion 218. Through this, you can further minimize the soup flowing ou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용기 뚜껑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용기 뚜껑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 - A'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 - B'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추가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E - E'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국물음식 배달 용기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용기 뚜껑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용기 뚜껑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0의 C - C'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0의 D - D'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국물음식 배달 용기의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lid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lid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 - A' of Figure 3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 B' of Figure 3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additional example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 - E' of Figure 6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lid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lid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 - C' of Figure 10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 - D' of Figure 10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The example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xamples may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t is not limited.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more faithful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may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도면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 상대적인 두께, 길이나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enable understanding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drawings.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relative thickness, length, or relative siz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의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는 용기 뚜껑(100)과 용기 본체(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lid 100 and a container body 300.

용기 본체(300)는 상부가 개방되었으며 그 내부에는 국물 음식을 수용할 수 있고, 용기 뚜껑(100)은 용기 본체(30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container body 300 has an open top and can accommodate soup food therein, and the container lid 100 is formed to cover the open top of the container body 300.

하지만, 배달 용기를 완전히 밀폐시키게 되면 용기 뚜껑(100)이 부풀어 올라 용기 본체(300)와 용기 뚜껑(100) 사이에 틈이 생길 수 있다. 이로 인해 배달 과정에서 흔들릴 때 그 틈으로 국물이 누출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delivery container is completely sealed, the container lid 100 may swell and a gap may form between the container body 300 and the container lid 100. Because of this, soup may leak through the gap when it is shaken during the delivery process.

때문에 종래에는 추가적으로 랩을 씌우거나 구멍을 뚫어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지만, 그 과정이 번거롭고 국물이 구멍으로 누출되기 쉬워 바람직한 해결책이 되지 못했다.Therefore, in the past, attempts were made to solve this problem by applying additional wrap or drilling holes, but the process was cumbersome and it was easy for soup to leak through the holes, so it was not a desirable solution.

이에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용기 뚜껑(100)에 증기배출구(106)를 형성하는 등, 국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여러가지 특징들을 아래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will describe in detail below various features to prevent soup from leaking, such as forming a steam outlet 106 in the container lid 100.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용기 뚜껑의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lid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용기 뚜껑(100)은 중앙에 주변부(104)보다 하방으로 완만하게 돌출된 타원형 모양의 오목부(102)가 형성된다. 오목부(102)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12)가 형성되고, 돌출부(112)에는 증기배출구(114)가 형성된다. 주변부(104)는 평평하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2, the container lid 100 has an oval-shaped concave portion 102 formed in the center that protrudes gently downwar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104. A protrusion 112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102, and a steam outlet 114 is formed in the protrusion 112. The peripheral portion 104 is formed flat.

오목부(102)는 용기 뚜껑(100)의 중앙에 형성되며, 주변부(104)보다 하방으로 완만하게 돌출된다.The concave portion 10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lid 100 and gently protrudes downwar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104.

오목부(102)가 형성된 이유는 돌출부(112) 옆면의 후술할 수직벽(113)의 높이를 최대한 높여서 국물이 튀어 오를 때 국물이 수직벽과 충돌하여 국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concave portion 102 is formed is to maximize the height of the vertical wall 1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n the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112, to minimize the risk of the soup colliding with the vertical wall and flowing out when the soup bounces.

타원형 모양의 오목부(102)에는 바 형상의 돌출부(112)가 형성된다.A bar-shaped protrusion 112 is formed in the oval-shaped concave portion 102.

바 형상은 예를 들어 장축 방향으로 길이가 길고 상면이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r shape may be long in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have a rectangular upper surface.

돌출부(112)의 길이가 짧은 단축 방향으로는 수직으로 돌출되어 수직벽(113)을 형성하고, 돌출부(112)의 길이가 긴 장축 방향으로는 완만하게 돌출된다.The protrusion 112 protrudes vertically in the direction of the short minor axis to form the vertical wall 113, and protrudes gently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protrusion 112.

수직벽(113)에서 수직의 의미는 정확히 90도의 직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과 그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vertical wall 113, the meaning of vertical does not exactly mean a right angle of 90 degrees, but may include more and less than that.

돌출부(112)는 증기배출구(114)를 주변부(104)보다 높은 곳에 위치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112)는 후술할 수직벽(113)을 형성하여 국물의 누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 형성된다.The protrusion 112 is formed to position the steam outlet 114 higher than the peripheral portion 104. In addition, the protrusion 112 is formed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leakage of broth by forming a vertical wall 1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2개의 증기배출구(114a, 114b)는 돌출부(112)의 최정상부 또는 최정상부에 근접하여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주변부(104)는 평평하게 형성된다.The two steam outlets 114a and 114b are formed at or close to the top of the protrusion 112 and spaced apart at a certain distance. Additionally, the peripheral portion 104 is formed to be flat.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용기 뚜껑의 평면도이다.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lid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돌출부(112) 중앙에는 누를 때 찌그러지지 않도록 중앙이 좁아지는 좁은 중앙부(115)가 형성된다. 포장을 하는 과정에서 증기를 빼려고 의도적으로 돌출부(112)를 누르거나 배달 과정에서 실수로 돌출부(112)를 누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용기의 적층 시 돌출부(112)가 용기 바닥부(302)와 겹쳐지면서 찌그러질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112)가 눌려지게 된다면 제대로 된 기능을 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돌출부 중앙을 좁게 하여 누르는 압력에 대비하였다.Referring to FIG. 3, a narrow central portion 11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112 so as not to be crushed when pressed.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protrusion 112 is intentionally pressed to release steam during the packaging process or the protrusion 112 is accidentally pressed during the delivery process. Additionally, when containers are stacked, the protrusion 112 may overlap with the container bottom 302 and become distorted. In this case, if the protrusion 112 is pressed, it may not function properly, so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was made narrow to prepare for the pressing pressure.

돌출부(112)는 만약 돌출부(112)의 상면이 원형으로 돌출되어 있다면 돌출부 중앙의 폭이 넓기 때문에 돌출부를 누를 때 그 압력을 견디지 못한다. 따라서 돌출부(112)는 그 상면이 원형으로 돌출되는 것 보다는 일 방향으로 길이가 긴 바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12 protrudes in a circular shape, the protrusion 112 cannot withstand the pressure when the protrusion is pressed because the width of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is wid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12 protrudes in the shape of a long bar in one direction rather than protruding in a circular shape.

증기배출구(114)는 돌출부 상면의 가급적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증기배출구(114)는 두개의 증기배출구(114a, 114b)로 형성되며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2개의 증기배출구(114a, 114b)는 돌출부(112)의 가급적 높은 위치에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The steam outlet 114 is formed at a position as high as possib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The steam outlet 114 is formed of two steam outlets 114a and 114b, and the number is not limited to this. Additionally, two steam outlets 114a and 114b are formed at a position as high as possible on the protrusion 112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일례로 증기배출구(114a, 114b)의 직경은 3mm로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steam outlets 114a and 114b may be 3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2개의 증기배출구(114a, 114b)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누르는 압력에 대비해 형성한 좁은 중앙부(115)가 그 기능을 온전히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좁은 중앙부(115)의 폭이 좁아지기 직전에 증기배출구(114a, 114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team outlets 114a and 114b is too close, the narrow central portion 115 formed in response to the pressing pressure may not fully perform its func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form the steam outlets 114a and 114b just before the narrow central portion 115 narrows.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A - A'단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 - A' of Figure 3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증기배출구(114a, 114b)는 홀의 외주연에서 뚜껑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홀 돌출부(11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vapor outlets 114a and 114b include hole protrusions 116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e toward the inside of the lid.

홀 돌출부(116)는 배달하는 과정에서 배달 용기가 흔들려 국물이 튀어 오를 때 국물이 홀 돌출부(116)에 충돌한다. 그러면 국물의 표면장력 등의 요인으로 국물이 증기 배출구(114)를 통해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홀 돌출부(116)에 맺히거나 낙하하게 된다. 이를 통해 국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The soup collides with the hole protrusion 116 when the delivery container is shaken during delivery and the soup bounces. Then, due to factors such as the surface tension of the soup, the soup cannot go out through the steam outlet 114 and forms or falls on the hole protrusion 116. Through this, you can further minimize the soup flowing out.

따라서 이러한 홀 돌출부(116)를 형성하기 위하여 진공성형을 통해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제작한다. 또한, 증기배출구(114)는 주변부(104)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어 국물의 누출을 막아준다.Therefore, in order to form these hole protrusions 116,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is manufactured through vacuum forming. In addition, the steam outlet 114 is formed higher than the peripheral portion 104 to prevent leakage of soup.

돌출부(112)의 옆면에는 수직벽(113)이 형성되어 있다. 수직벽은 배달시 국물이 흔들리는 과정에서 위로 튀어 오를 때 국물이 수직벽(113)에 충돌하여 다시 용기 안으로 들어간다. 이를 통해 증기배출구(114)로 국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A vertical wall 113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protrusion 112. When the vertical wall bounces upward while the soup is shaking during delivery, the soup collides with the vertical wall 113 and goes back into the container. Through this, the flow of soup through the steam outlet 114 can be minimized.

또한 수직벽(113)은 그 사이의 간격이 좁아 배달 과정에서 튀어 오르는 국물이 증기 배출구(114)에 이르지 않고 수직벽(113)과 충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돌출부(112)의 상면이 원형으로 돌출되어 있다면, 돌출부(112) 중앙의 수직벽(113)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돌출부(112)의 상면은 원형 보다는 일 방향으로 길이가 긴 바 형상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gap between the vertical walls 113 is narrow, it is preferable that the soup that bounces during the delivery process collides with the vertical wall 113 rather than reaching the steam outlet 114. I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12 protrudes in a circular shape, the gap between the vertical walls 113 at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112 widens. Therefore,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12 is preferably shaped like a bar with a long length in one direction rather than circular.

또한 오목부(102)의 형상은 돌출부(112)의 일 방향으로 긴 바 형상을 포함하기 위하여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102 is preferably oval in order to include a long bar shape in one direction of the protrusion 112.

또한 수직벽(113)에서 수직의 의미는 정확히 90도의 직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과 그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vertical wall 113, the meaning of vertical does not mean exactly a right angle of 90 degrees, but may include more and less than that.

타원형 모양의 오목부(102)는 주변부(104)보다 하방으로 완만하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주변부(104)는 평평하게 형성된다.The oval-shaped concave portion 102 protrudes gently downwar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104. Additionally, the peripheral portion 104 is formed to be flat.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3의 B - B'단면도이다.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 - B' of Figure 3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돌출부(112)는 오목부(102) 타원형의 장축 방향으로 완만하게 돌출된다. 또한 2개의 증기배출구(114a, 114b)는 돌출부(112)의 가급적 높은 위치에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5, the protrusion 112 gently protrudes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oval shape of the concave portion 102. Additionally, two steam outlets 114a and 114b are formed at a position as high as possible on the protrusion 112 and are spaced apart by a certain distance.

2개의 증기배출구(114a, 114b)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누르는 압력에 대비해 형성한 좁은 중앙부(115)가 그 기능을 온전히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좁은 중앙부(115)의 폭이 좁아지기 직전에 증기배출구(114a, 114b)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team outlets 114a and 114b is too close, the narrow central portion 115 formed in response to the pressing pressure may not fully perform its func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form the steam outlets 114a and 114b just before the narrow central portion 115 narrows.

증기배출구(114a, 114b)는 홀의 외주연에서 뚜껑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홀 돌출부(116)를 포함한다. 홀 돌출부(116)는 배달하는 과정에서 배달 용기가 흔들려 국물이 튀어 오를 때 국물이 홀 돌출부(116)에 충돌한다. 그러면 국물의 표면장력 등의 요인으로 국물이 증기 배출구(114)를 통해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홀 돌출부(116)에 맺히거나 낙하하게 된다. 이를 통해 국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The vapor outlets 114a and 114b include hole protrusions 116 that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e toward the inside of the lid. The soup collides with the hole protrusion 116 when the delivery container is shaken during delivery and the soup bounces. Then, due to factors such as the surface tension of the soup, the soup cannot go out through the steam outlet 114 and forms or falls on the hole protrusion 116. Through this, you can further minimize the soup flowing out.

따라서 이러한 홀 돌출부(116)를 형성하기 위하여 진공성형을 통해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제작한다.Therefore, in order to form these hole protrusions 116,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is manufactured through vacuum forming.

주변부(104)는 평평하게 형성된다.The peripheral portion 104 is formed flat.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추가 실시예이다.Figure 6 is an additional example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오목부(102)의 길이가 짧은 단축에 돌출부(112) 양옆으로 이격되어 2개의 국물유입구(106a, 106b)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6, two broth inlets (106a, 106b)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short minor axis of the concave portion (102) spaced apart on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portion (112).

오목부(102)에 형성된 국물유입구(106a, 106b)는 돌출부(112)에 형성된 증기배출구(114)에서 국물이 흘러나오는 경우 오목부(102)에 형성된 국물유입구(106)를 통해 국물이 다시 용기로 들어가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102)에 형성된 국물유입구(106a, 106b)는 가급적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p inlets 106a and 106b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102 are such that when the soup flows out of the steam outlet 114 formed in the protrusion 112, the soup is returned to the container through the broth inlet 106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102. It is formed to enter.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broth inlets (106a, 106b)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102) are formed at a position as low as possible.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6의 E - E'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 - E' of Figure 6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돌출부(112)에 형성된 증기배출구(114a, 114b)와 마찬가지로 오목부(102)에 형성된 국물유입구(106a, 106b)는 홀의 외주연에서 뚜껑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홀 돌출부(116)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7, like the steam outlets 114a and 114b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112, the soup inlets 106a and 106b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102 are hole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e toward the inside of the lid). 116).

홀 돌출부(116)는 배달하는 과정에서 배달 용기가 흔들려 국물이 튀어 오를 때 국물이 홀 돌출부(116)에 충돌한다. 그러면 국물의 표면장력 등의 요인으로 국물이 증기 배출구(114)를 통해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홀 돌출부(116)에 맺히거나 낙하하게 된다. 이를 통해 국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The soup collides with the hole protrusion 116 when the delivery container is shaken during delivery and the soup bounces. Then, due to factors such as the surface tension of the soup, the soup cannot go out through the steam outlet 114 and forms or falls on the hole protrusion 116. Through this, you can further minimize the soup flowing out.

따라서 이러한 홀 돌출부(116)를 형성하기 위하여 진공성형을 통해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제작한다.Therefore, in order to form these hole protrusions 116,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is manufactured through vacuum forming.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국물음식 배달 용기의 단면도이다.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한 돌출부(112)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다.Details of the protrusion 112 shown in FIG. 8 are omit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도 8을 참조하면, 국물음식 배달 용기는 용기 뚜껑(100)과 용기 본체(300)로 구성되고, 용기 본체(300)의 바닥면에 용기 바닥부(302)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8,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is composed of a container lid 100 and a container body 300, and a container bottom 302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300.

배달 용기 본체(300)의 바닥면에 용기 뚜껑(100)의 돌출부(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용기 바닥부(302)가 형성된다. 용기 바닥부(302)는 용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오목한 공간으로 형성된다. 국물음식 배달 용기의 적층 시 돌출부(112)가 용기 바닥부(302)의 오목한 공간에 딱 맞아 들어가도록 용기 바닥면의 중앙에 용기 바닥부(302)가 형성된다.A container bottom 302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delivery container body 30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12 of the container lid 100. The container bottom 302 is formed as a concave space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When stacking soup food delivery containers, the container bottom 30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protrusion 112 fits perfectly into the concave space of the container bottom 302.

국물음식 배달 용기의 적층 시 돌출부(112)가 용기 바닥부(302)의 오목한 공간에 딱 맞아 들어가기 때문에 배달 과정에서 흔들릴 때 용기가 같이 흔들리거나 회전하지 못하고 안정적으로 배달이 가능하다.When stacking soup food delivery containers, the protrusion 112 fits perfectly into the concave space of the container bottom 302, so that the container does not shake or rotate when shaken during the delivery process, and stable delivery is possible.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용기 뚜껑의 사시도이다.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lid for explaining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용기 뚜껑(200)은 중앙에 주변부(204)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부(202)가 형성되고, 볼록부(202)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중앙 오목부(214)가 형성된다. 중앙 오목부(214)에는 증기배출구(216)가 형성되고, 주변부(204)는 평평하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9, the container lid 200 is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202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204 in the center, and a central concave portion 214 that protrudes downward is formed in the convex portion 202. do. A steam outlet 216 is formed in the central concave portion 214, and the peripheral portion 204 is formed flat.

타원형 모양의 볼록부(202)는 용기 뚜껑(100)의 중앙에 형성되며, 주변부(104)보다 상방으로 완만하게 도출된다.The oval-shaped convex portion 202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tainer lid 100 and extends gently upwar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104.

타원형 모양의 볼록부(202)에는 장축 방향으로 2개의 반구모양의 오목한 공간(212)이 형성된다. 2개의 반구모양의 오목한 공간(212)은 볼록부(202)의 가급적 높은 위치에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그 공간이 서로 원통형으로 연결(213)되어 있고, 오목한 공간(212)에 증기배출구(216)가 형성된다.Two hemispherical concave spaces 212 are formed in the oval-shaped convex portion 202 in the long axis direction. Two hemispherical concave spaces 212 are formed at a position as high as possible on the convex portion 202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Additionally, the spa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ylindrical shape (213), and a steam outlet (216) is formed in the concave space (212).

증기배출구(216)는 용기 뚜껑의 주변부(204)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국물 누출을 어렵게 하고, 두개의 반구모양의 오목한 공간(212)이 서로 원통형으로 연결(213)되어 있어 제1 증기배출구(216a)에서 흘러나온 국물이 제2 증기배출구(216b)로 들어가 국물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team outlet 216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peripheral part 204 of the container lid, making it difficult to leak the soup, and the two hemispherical concave spaces 212 are cylind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213, forming a first steam outlet. The soup flowing out of (216a) enters the second steam outlet (216b), thereby minimizing soup leakage.

이 경우, 연결부(213)를 통해 국물이 흐를 때 연결부 가운데로 국물이 모여서 흐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기 때문에 연결부(213)는 오목한 원통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when the soup flows through the connection part 213, it is desirable for the soup to collect and flow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part.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portion 213 has a concave cylindrical shape.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용기 뚜껑의 평면도이다.Figure 10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lid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증기배출구(216a, 216b)는 오목한 공간(212a, 212b)의 중앙에 형성된다. 만약 국물이 누출되면 국물이 오목한 공간(212)으로 고인 후 중력으로 인해 증기배출구 안으로 들어간다. 일례로 증기배출구(216a, 216b)의 직경은 3mm로 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10, steam outlets 216a and 216b are formed in the centers of the concave spaces 212a and 212b. If the broth leaks, the broth accumulates in the concave space 212 and then enters the steam outlet due to gravity. For example, the diameter of the steam outlets 216a and 216b may be 3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두개의 반구모양의 오목한 공간(212)이 서로 원통형으로 연결(213)되어 있어 제1 증기배출구(216a)에서 흘러나온 국물이 제2 증기배출구(216b)로 들어가 국물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wo hemispherical concave spaces 2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ylindrical shape (213), so that the soup flowing out of the first steam outlet (216a) can enter the second steam outlet (216b) to minimize soup leakage. there is.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0의 C - C'단면도이다.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 - C' of Figure 10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를 참조하면, 증기배출구(216a,216b)는 홀의 외주연에서 뚜껑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홀 돌출부(218)를 포함한다. 홀 돌출부(218)는 배달하는 과정에서 배달 용기가 흔들려 국물이 튀어 오를 때 국물이 홀 돌출부(218)에 충돌한다. 그러면 국물의 표면장력 등의 요인으로 국물이 증기 배출구(216)를 통해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홀 돌출부(218)에 맺히거나 낙하하게 된다. 이를 통해 국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vapor outlets 216a and 216b include hole protrusions 218 that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e toward the inside of the lid. The soup collides with the hole protrusion 218 when the delivery container is shaken during delivery and the soup bounces. Then, due to factors such as the surface tension of the soup, the soup cannot go out through the steam outlet 216 and forms or falls on the hole protrusion 218. Through this, you can further minimize the soup flowing out.

따라서 이러한 홀 돌출부(218)를 형성하기 위하여 진공성형을 통해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제작한다.Therefore, in order to form these hole protrusions 218,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is manufactured through vacuum forming.

증기배출구(216)는 주변부(204)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어 국물의 누출을 막아준다. 또한, 볼록부(202)는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돌출되어 있고, 주변부(204)는 평평하게 형성된다.The steam outlet 216 is formed higher than the peripheral portion 204 to prevent soup from leaking. Additionally, the convex portion 202 protrudes gently as a whole, and the peripheral portion 204 is formed to be flat.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10의 D - D'단면도이다.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 - D' of Figure 10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2개의 반구모양의 오목한 공간(212)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그 공간이 서로 원통형으로 연결(213)되어 있고, 오목한 공간(212)에 증기배출구(216)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2, two hemispherical concave spaces 212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rtain distance. Additionally, the spa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cylindrical shape (213), and a steam outlet (216) is formed in the concave space (212).

증기배출구(216)는 용기 뚜껑의 주변부(204)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국물 누출을 어렵게 하고, 두개의 반구모양의 오목한 공간(212)이 서로 원통형으로 연결(213)되어 있어 제1 증기배출구(216a)에서 흘러나온 국물이 제2 증기배출구(216b)로 들어가 국물의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steam outlet 216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peripheral part 204 of the container lid, making it difficult to leak the soup, and the two hemispherical concave spaces 212 are cylind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213, forming a first steam outlet. The soup flowing out of (216a) enters the second steam outlet (216b), thereby minimizing soup leakage.

또한 연결부(213)는 증기배출구(216)보다 높은 곳에 형성된다. 따라서 누출된 국물이 오목한 공간(212)으로 고여 증기배출구(216)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nection portion 213 is formed higher than the steam outlet 216. Therefore, the leaked broth may accumulate in the concave space 212 and enter the steam outlet 216.

증기배출구(216a, 216b)는 홀의 외주연에서 뚜껑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홀 돌출부(218)를 포함한다. 홀 돌출부(218)는 배달하는 과정에서 배달 용기가 흔들려 국물이 튀어 오를 때 국물이 홀 돌출부(218)에 충돌한다. 그러면 국물의 표면장력 등의 요인으로 국물이 증기 배출구(216)를 통해 밖으로 나가지 못하고 홀 돌출부(218)에 맺히거나 낙하하게 된다. 이를 통해 국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The vapor outlets 216a and 216b include hole protrusions 218 that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e toward the inside of the lid. The soup collides with the hole protrusion 218 when the delivery container is shaken during delivery and the soup bounces. Then, due to factors such as the surface tension of the soup, the soup cannot go out through the steam outlet 216 and forms or falls on the hole protrusion 218. Through this, you can further minimize the soup flowing out.

따라서 이러한 홀 돌출부(218)를 형성하기 위하여 진공성형을 통해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제작한다.Therefore, in order to form these hole protrusions 218,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is manufactured through vacuum forming.

또한 볼록부(202)는 주변부(204)보다 상방으로 완만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주변부(204)는 평평하게 형성된다.Additionally, the convex portion 202 protrudes gently upwar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204, and the peripheral portion 204 is formed to be flat.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국물음식 배달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국물음식 배달 용기의 단면도이다.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for explaining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한 볼록부(202)는 명확한 설명을 위해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다.Details of the convex portion 202 shown in FIG. 13 are omit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도 13을 참조하면, 국물음식 배달 용기는 용기 뚜껑(200)과 용기 본체(300)로 구성되고, 용기 본체(300)의 바닥면에 용기 바닥부(302)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ure 13, the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consists of a container lid 200 and a container body 300, and a container bottom 302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300.

배달 용기 본체(300)이 바닥면에 용기 뚜껑(100)의 볼록부(20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용기 바닥부(302)가 형성된다. 용기 바닥부(302)는 용기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오목한 공간으로 형성된다. 국물음식 배달 용기의 적층 시 볼록부(202)가 용기 바닥부(302)의 오목한 공간에 딱 맞아 들어가도록 용기 바닥면의 중앙에 용기 바닥부(302)가 형성된다.A container bottom 302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delivery container body 30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202 of the container lid 100. The container bottom 302 is formed as a concave space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When stacking soup food delivery containers, the container bottom 30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convex portion 202 fits perfectly into the concave space of the container bottom 302.

국물음식 배달 용기의 적층 시 볼록부(202)가 용기 바닥부(302)의 오목한 공간에 딱 맞아 들어가기 때문에 배달 과정에서 흔들릴 때 용기가 같이 흔들리거나 회전하지 못하고 안정적으로 배달이 가능하다.When stacking soup food delivery containers, the convex part 202 fits perfectly into the concave space of the bottom part 302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container does not shake or rotate when shaken during the delivery process, and stable delivery is possibl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여러 실시예들을 설명했으나,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의 특징이 다른 모양이나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멍의 개수나 치수 등은 예시로 작성한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다른 구현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lthough several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For example,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the features of the techniques described are shaped or formed in different ways. Additionally, the number and dimensions of holes are provided as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other implementation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10: 국물음식 배달 용기 100: 용기 뚜껑
102: 오목부 104: 주변부
106: 국물유입구 106a: 제1 국물유입구
106b: 제2 국물유입구 112: 돌출부
113: 수직벽 114: 증기배출구
114a: 제1 증기배출구 114b: 제2 증기배출구
115: 좁은 중앙부 116: 홀 돌출부
200: 용기 뚜껑 202: 볼록부
204: 주변부 212: 오목한 공간
212a, 212b: 오목한 공간 213: 연결부
214: 중앙 오목부 216: 증기배출구
216a: 제1 증기배출구 216b: 제2 증기배출구
218: 홀 돌출부 300: 용기 본체
302: 용기 바닥부
10: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100: Container lid
102: concave portion 104: peripheral portion
106: soup inlet 106a: first soup inlet
106b: second broth inlet 112: protrusion
113: vertical wall 114: steam outlet
114a: first steam outlet 114b: second steam outlet
115: narrow central portion 116: hole protrusion
200: container lid 202: convex portion
204: Periphery 212: Concave space
212a, 212b: concave space 213: connection portion
214: central concave portion 216: steam outlet
216a: first steam outlet 216b: second steam outlet
218: Hole protrusion 300: Container body
302: container bottom

Claims (12)

상부가 개방되고 수용공간을 구비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뚜껑에는 중앙에 주변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이격된 국물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물음식 배달 용기.
A container body with an open top and a receiving space; and
Equipped with a container lid formed to cover the container body,
The container lid has a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periphery,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A steam outlet is formed in the protrusion,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soup inlet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바 형상의 볼록한 형태로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물음식 배달 용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otrusion is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protrudes upward in a bar-shaped convex for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폭이 좁아지는 좁은 중앙부를 포함하는 국물음식 배달 용기.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rotrusion is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including a narrow central portion whose width is narrow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수직벽을 포함하는 국물음식 배달 용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otrusion is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including a vertical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구는 상기 돌출부의 최정상부 또는 최정상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국물음식 배달 용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am outlet is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located at or close to the top of the protrusion.
삭제delete 상부가 개방되고 수용공간을 구비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용기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용기 뚜껑에는 중앙에 주변부보다 하방으로 돌출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증기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증기배출구의 외주연에는 뚜껑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된 홀 돌출부가 형성된 국물음식 배달 용기.
A container body with an open top and a receiving space; and
Equipped with a container lid formed to cover the container body,
The container lid has a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periphery,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is formed in the concave portion,
A steam outlet is formed in the protrusion,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in which a hole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li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eam out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한 공간이 형성된 용기 바닥부를 포함하는 국물음식 배달 용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 soup food delivery container wherein the container body includes a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in which a concave space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37513A 2022-10-24 2022-10-24 Delivery vessel of broth food KR1026303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513A KR102630324B1 (en) 2022-10-24 2022-10-24 Delivery vessel of broth fo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7513A KR102630324B1 (en) 2022-10-24 2022-10-24 Delivery vessel of broth fo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324B1 true KR102630324B1 (en) 2024-01-29

Family

ID=8971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7513A KR102630324B1 (en) 2022-10-24 2022-10-24 Delivery vessel of broth fo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32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757Y1 (en) * 2003-04-12 2003-07-12 이범준 Sack Handles for Bowls
KR100840587B1 (en) 2007-02-05 2008-06-23 주식회사 새샘 Food a vessel cover
KR20170083970A (en) * 2017-01-09 2017-07-19 박준명 Dome type food package with automatic venting function for heating by microwave oven
JP3220615U (en) * 2019-01-10 2019-03-22 ダイシン化工株式会社 Packaging container lid
KR102430435B1 (en) * 2021-09-09 2022-08-05 서태선 Packa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water vap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757Y1 (en) * 2003-04-12 2003-07-12 이범준 Sack Handles for Bowls
KR100840587B1 (en) 2007-02-05 2008-06-23 주식회사 새샘 Food a vessel cover
KR20170083970A (en) * 2017-01-09 2017-07-19 박준명 Dome type food package with automatic venting function for heating by microwave oven
JP3220615U (en) * 2019-01-10 2019-03-22 ダイシン化工株式会社 Packaging container lid
KR102430435B1 (en) * 2021-09-09 2022-08-05 서태선 Packaging container for discharging water vap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7393B2 (en) Capsules, systems for preparing drinkable beverages from such capsules, and how to use such capsules in beverage preparation equipment.
ES2837416T3 (en) Capsule and system with sealing element
US6645537B2 (en) Beverage filter cartridge
US7243813B2 (en) Domed food container
JP2006151517A (en) Transporting and storage container for liquid
KR102630324B1 (en) Delivery vessel of broth food
BR102015006538A2 (en) CAPSULE FOR PREPARING A DRINK
JP2014513012A (en) High temperature beverage container assembly, insert piece and beverage heat treatment method
JP5143150B2 (en) container
KR102394181B1 (en) heat vessel
JP5390470B2 (en) Volatilization container
CN212878912U (en) Cooking utensil and packaging structure thereof
CN207917369U (en) Micro-wave oven seals box with plastic uptake
KR102068261B1 (en) Container structure to maintain constant pressure
KR101468331B1 (en) Liquid container for pouring out liquid by pressure
CN215077653U (en) Electric kettle
CN206108015U (en) Packaging bottle
US20210024282A1 (en) Capsule for preparing infusion beverages and corresponding capsule production method
CN214777795U (en) Disjunctor flip formula degradable self-heating type food package box
CN103462492B (en) A kind of hermetic container containing food and steaming stewpot
KR102374700B1 (en) Bottle Cap Having Straw Hole
CN210823515U (en) Container adopting novel sealing technology
KR102096424B1 (en) A package container with increased sealing
CN214190929U (en) Food packing container
CN211520300U (en) Plastic packaging box capable of preventing stac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