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909B1 - 이동형 에어컨 - Google Patents

이동형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909B1
KR102629909B1 KR1020220082901A KR20220082901A KR102629909B1 KR 102629909 B1 KR102629909 B1 KR 102629909B1 KR 1020220082901 A KR1020220082901 A KR 1020220082901A KR 20220082901 A KR20220082901 A KR 20220082901A KR 102629909 B1 KR102629909 B1 KR 102629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main body
refrigerant
condensate water
refrigeran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06169A (ko
Inventor
박광렬
정복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8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909B1/ko
Publication of KR2024000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2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condensate, e.g. for enhan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6/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 F25B6/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condenser circuit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1/28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the element being built-up from finned s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2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by using coatings, e.g. vitreous or enamel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ometry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축기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어 고온의 작업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전력소모가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응축수를 집수하는 물탱크의 교체회수 또한 현저히 줄어들 수 있어 관리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아울러, 응축수에 포함된 먼저, 모래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동형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셔와; 상기 컴프레셔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액체화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받은 액체상태인 냉매를 증발시켜 기체상태인 냉매를 상기 컴프레셔로 공급하는 증발기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가 수용되고, 수용된 응축수가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물탱크로 공급되는 응축수 수용부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컴프레셔와 상기 응축기 사이의 냉매라인 중 일부 냉매라인 부위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며,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가 열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형 에어컨{portab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응축기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어 고온의 작업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전력소모가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응축수를 집수하는 물탱크의 교체회수 또한 현저히 줄어들 수 있어 관리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아울러, 응축수에 포함된 먼저, 모래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동형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 및 계절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냉동기의 안정성과 고품질의 온도 콘트롤 기술의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어 냉동기산업이 더욱더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는 시점이다.
이동식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구분되어진 에어컨을 일체화하여 이동이 쉽고 국부적인 냉방 효과를 이루고자 고안된 에어컨으로서, 최근에는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원활히 집수할 수 있는 응축수 비산을 방지하는 이동식 에어컨디셔너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41282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41282호 등으로 제안된 이동식 에어컨의 경우, 식품공장 등의 고온의 작업환경에서는 응축기의 효율이 저하되어 이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력소모가 크고, 나아가,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부재의 교체횟수가 많아 관리성 및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4128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응축기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어 고온의 작업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전력소모가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응축수를 집수하는 물탱크의 교체회수 또한 현저히 줄어들 수 있어 관리성 및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아울러, 응축수에 포함된 먼저, 모래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동형 에어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셔와; 상기 컴프레셔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액체화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받은 액체상태인 냉매를 증발시켜 기체상태인 냉매를 상기 컴프레셔로 공급하는 증발기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가 수용되고, 수용된 응축수가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물탱크로 공급되는 응축수 수용부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컴프레셔와 상기 응축기 사이의 냉매라인 중 일부 냉매라인 부위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며,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가 열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의 외주면에 부식방지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주면 일측 및 내주면 타측을 따라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되는 일측 냉매라인 및 타측냉매라인과; 상기 일측냉매라인 및 상기 타측냉매라인과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냉매라인의 하부와 상기 타측냉매라인의 하부 사이에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주면 하측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되는 하측냉매라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나선형 냉매라인과; 상기 나선형 냉매라인과 연통되도록 상기 나선형 냉매라인의 일측과 타측에서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주면 일측 및 내주면 타측을 따라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되는 일측냉매라인 및 타측냉매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의 외주면에 복수의 방열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외부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물탱크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에 서랍식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 유입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의 하부에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의 하부방향으로 응축수 배출관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 각각 응축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고정턱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안착고정되는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 및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내부 바닥면에 침전되며, 내부 바닥면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외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로 오버플로우되는 이물질 제거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 유입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의 하부에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의 하부방향으로 응축수 배출관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상부에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부가 개방되는 이물질 제거함과; 상기 이물질 제거함의 하측 내부 중간부에 수직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이물질 제거함의 내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 및 하부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삽입구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구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응축수 안내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함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상기 이물질 제거함의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 및 상기 응축수 안내관과 인접한 상기 이물질 제거함의 내부 바닥면에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며, 상기 이물질 제거함의 내부 바닥면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외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안내관의 내부로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컴프레셔로부터 응축기로 냉매를 안내하는 냉매라인 중 일부 냉매라인 부위가 수용 및 증발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의 냉매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와 1차적으로 열교환되어 냉각됨에 따라 응축기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어 식품공장 등의 고온의 작업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전력소모가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응축수를 집수하는 물탱크의 교체회수 또한 현저히 줄어들 수 있어 관리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으며, 아울러, 이물질 제거부를 통해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응축수에 포함된 먼지, 모래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형 에어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컴프레셔, 응축기 및 증발기를 연결하는 냉매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일예의 이물질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일예의 이물질 제거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다른예의 이물질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다른예의 이물질 제거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9는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예의 일부 냉매라인 부위의 외주면에 방열핀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른예의 일부 냉매라인 부위의 외주면에 방열핀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배출라인 및 개폐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형 에어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이동형 에어컨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컴프레셔, 응축기(120), 증발기(130), 이동바퀴(13), 물탱크(40), 응축수 수용부(20) 및 이물질 제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컴프레셔(110), 상기 응축기(120) 및 상기 증발기(130)가 구비된다.
도 3은 컴프레셔, 응축기 및 증발기를 연결하는 냉매라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컴프레셔(110)는 냉매를 압축하게 된다.
상기 응축기(120)는 상기 컴프레셔(11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컴프레셔(110)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액체화한다.
상기 증발기(130)는 상기 응축기(1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기(120)로부터 공급받은 액체상태인 냉매를 증발시켜 기체상태인 냉매를 상기 컴프레셔(110)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컴프레셔(110), 상기 응축기(120) 및 상기 증발기(13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냉매라인(1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외기를 흡기하게 되는 팬모터 등 다양한 종류의 축류팬(15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컴프레셔(110), 응축기(120), 상기 증발기(130) 및 팬모터(150)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의 일측 상부에는 냉기를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관상의 토출관(14)이 상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하부 각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본체(10)의 원활한 운반을 위한 캐스터 등 다양한 종류의 이동바퀴(13)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30)는 일예로, 상기 본체(10)의 전측 내부 중간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증발기(130)의 하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기 증발기(130)의 하부 후측방향의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130)에서 발생된 저온의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 유입레일(10a)이 상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10a)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10a)은 상기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입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10a)의 전측 하부에는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10a)과 연통되는 응축수 배출관(100a)이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10a)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10a)의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100a)을 통해 상기 응축수 배출관(100a)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상부에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10a) 및 상기 응축수 배출관(100a)이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하부 일측 내부에 상기 응축수 수용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는 상기 컴프레셔(110)로부터 상기 응축기(120)로 냉매를 안내하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냉매라인(11) 중 일부 냉매라인(100)부위, 일예로, 상기 컴프레셔(110)와 상기 응축기(120) 사이의 냉매라인(100) 중간부위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를 경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100a)의 하부방향으로 배출되는 응축수(3)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100) 부위를 통과하는 고온의 냉매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점차 일정높이로 수용되는 저온의 응축수(3)와 1차적으로 열교환되어 냉각 된 후 상기 응축기(120)를 통해 2차적으로 열교환되어 냉각되며, 이로 인해, 상기 응축기(120)의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식품공장 등의 고온의 작업환경에서도 저온의 냉기를 높은 효율로 토출할 수 있을 정도로 사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력소모가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에 의해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100) 부위에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냉매라인(11) 전체 외주면 또는 적어도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된 일부 냉매라인(100) 부위의 외주면에 부식방지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부식방지코팅층은 그래핀옥사이드가 분산된 수지 코팅층 또는 천연고무코팅층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100) 부위는 일예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냉매라인(111), 타측냉매라인(112) 및 하측냉매라인(113)으로 구성되어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냉매라인(111)은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주면 일측을 따라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상부 내측에서 하부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냉매라인(112)은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주면 타측을 따라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상부 내측에서 하부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냉매라인(113)은 상기 일측냉매라인(111)과 연통 및 상기 타측냉매라인(112)과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냉매라인(111)의 하부와 상기 타측냉매라인(112)의 하부 사이에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주면 하측을 따라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부 냉매라인(100)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의 체류시간을 늘려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3)와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부 냉매라인(100)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의 1차적 열교환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부 냉매라인(100) 부위는 다른예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나선형 냉매라인(114), 상기 일측냉매라인(111) 및 상기 타측냉매라인(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선형 냉매라인(114)은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냉매라인(111)은 상기 나선형 냉매라인(114)과 연통되도록 상기 나선형 냉매라인(114)의 일측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냉매라인(112)은 상기 나선형 냉매라인(114)과 연통되도록 상기 나선형 냉매라인(114)의 타측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냉매라인(112)은 상기 나선형 냉매라인(114)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나선형 냉매라인(114)의 타측방향에 수직배치되거나 상기 나선형 냉매라인(114)의 중심부상에 형성되는 관통구(114a)내에 편심상태로 수직배치된 상태로 상기 나선형 냉매라인(114)의 중심부상에 형성되는 관통구(114a)를 수직관통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예의 이물질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일예의 이물질 제거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응축수에 포함된 먼지, 모래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는 일예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10a)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의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10)을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고정턱(101)이 각각 좌우대칭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101)의 단면형상이 일예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턱(101)의 하부는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10a)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형성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를 이룰 수 있는 이물질 제거함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를 이룰 수 있는 이물질 제거함의 원활한 교체 및 청소를 위해,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를 이룰 수 있는 이물질 제거함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본체(1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일측 내부에 일정높이로 서랍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를 이룰 수 있는 이물질 제거함의 상부 내측에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10a)과 상기 응축수 배출관(100a)이 배치되도록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를 이룰 수 있는 이물질 제거함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는 상기 고정턱(101)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로 안착고정되는 안착턱(500)이 상기 고정턱(101)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를 이룰 수 있는 이물질 제거함의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 응축수 배출구(5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배출구(501)를 통해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를 이룰 수 있는 이물질 제거함의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를 이룰 수 있는 이물질 제거함의 안착턱(500)을 상기 고정턱(101)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를 이룰 수 있는 이물질 제거함을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과정 중에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10a)이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를 이룰 수 있는 이물질 제거함의 전측 상부 및 후측 상부와 접하는 방해요소로 작용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상기 응축수 배출관(100a)을 통해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를 이룰 수 있는 이물질 제거함의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에 포함된 먼지, 모래 등의 이물질은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를 이룰 수 있는 이물질 제거함의 내부 바닥면에 침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를 이룰 수 있는 이물질 제거함의 내부 바닥면에 침전될 수 있는 먼지, 모래 등의 이물질을 제외한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배출구(501)를 통해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로 오버플로우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예의 이물질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다른예의 이물질 제거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다른예로, 상기 이물질 제거부(50)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이물질 제거함(502)과 응축수 안내관(50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응축수 배출관(100a)의 하부방향의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상부에 삽입구(2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함(502)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안내관(503)는 상기 이물질 제거함(502)과 연통되도록 상기 이물질 제거함(502)의 하측 내부 중간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안내관(503)의 상부는 상기 이물질 제거함(502)의 내부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안내관(503)의 하부는 상기 응측수 수용부(20)의 삽입구(200)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구(200)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10a) 및 상기 응축수 배출관(100a)이 상기 이물질 제거함(502)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100a)을 통해 상기 이물질 제거함(502)의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유입관(503)과 인접한 상기 이물질 제거함(502)의 내부 일측 바닥면, 내부 타측 바닥면, 내부 전측 바닥면 및 내부 후측 바닥면에 응축수에 포함된 먼지, 모래 등의 이물질이 침전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함(502)의 내부 바닥면에 침전된 먼지, 모래 등의 이물질을 제외한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유입관(503)의 내부로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9는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예의 일부 냉매라인 부위의 외주면에 방열핀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다른예의 일부 냉매라인 부위의 외주면에 방열핀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부 냉매라인(100)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의 1차적 열교환효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냉매라인(11) 전체 또는, 적어도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부 냉매라인(100) 부위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구리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예 또는 다른예의 일부 냉매라인(100) 부위의 전체 외주면에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부 냉매라인(100)과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응축수(3)의 접촉면적을 넓혀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부 냉매라인(100)의 내부를 통과하는 냉매와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3)의 1차적 열교환효율이 더더욱 크게 향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방열핀(114)이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예 또는 다른예의 일부 냉매라인(100) 부위가 복수의 상기 방열핀(114)의 중간부를 관통한 상태로 복수의 상기 방열핀(114)은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되는 일예 또는 다른예의 일부 냉매라인(100) 부위의 전체 외주면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물탱크(40) 주변에 상기 응축수 수용부(20)가 배치되도록 상기 물탱크(40)는 일예로, 상기 본체(10)의 하부 타측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배출라인 및 개폐밸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증발기(130)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에 수용된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20)로부터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물탱크(40)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상부 일측의 반대측인 상부 타측에는 응축수(3)를 상기 물탱크(40) 방향으로 토출하기 위한 응축수 토출관(2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토출관(201)과 상기 물탱크(40)의 상부 사이에는 상기 응축수 토출관(201)으로 토출되는 응축수(3)를 상기 물탱크(40)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응축수 안내라인(4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안내라인(410)의 일측은 상기 응축수 토출관(201)에 수밀하게 나사결합, 억지 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고, 상기 물탱크(40)의 상부방향에 상기 응축수 안내라인(410)의 타측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물탱크(40)의 상부에는 상기 응축수 안내라인(410)의 타측이 수밀하게 나사결합, 억지 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분리가능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는 응축수 유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3)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된 일부 냉매라인(100) 부위가 안내하는 냉매와 열교환되면서 점차 증발할 수 있고, 증발하지 못하고 수위가 상승되어 오버플로우되는 응축수(3)가 상기 물탱크(40)로 장시간에 걸쳐 집수될 수 있기 때문에 응축수(3)를 집수하는 물탱크(40)의 교체회수 또한 현저히 줄어들수 있어 관리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물탱크(40)의 원활한 교체 및 청소를 위해 상기 물탱크(40)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10)의 하부 타측 내부에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인입 및 상기 본체(10)의 전측 외부방향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서랍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40)의 원활한 인입출을 위해 상기 물탱크(40)의 전면에 손잡이(4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하부 타측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레일(140)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 및 상기 가이드레일(140) 사이에 상기 물탱크(40)의 하부가 상기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원활한 청소를 위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3)를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21)과; 상기 배출라인(21)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의 하부 일측 또는 하부 타측에 상기 응축수 수용부(20)와 연통되는 상기 배출라인(21)이 수밀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라인(21)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 본체, 110; 컴프레셔,
120; 응축기, 130; 증발기,
13; 이동바퀴, 20; 응축수 수용부,
40; 물탱크, 50; 이물질 제거부.

Claims (9)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셔와;
    상기 컴프레셔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액체화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받은 액체상태인 냉매를 증발시켜 기체상태인 냉매를 상기 컴프레셔로 공급하는 증발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 유입레일과;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의 일측방향과 타측방향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턱과;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의 하부에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의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응축수 배출관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가 수용되고, 수용된 응축수가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물탱크로 공급되는 응축수 수용부와;
    상부가 개방되고, 전측 상부와 후측 상부에 각각 응축수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고정턱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안착고정되는 안착턱이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 및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내부 바닥면에 침전되며, 내부 바닥면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외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배출구를 통해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로 오버플로우되는 이물질 제거함으로 이루어지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컴프레셔와 상기 응축기 사이의 냉매라인 중 일부 냉매라인 부위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며,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가 열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
  2.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컴프레셔와;
    상기 컴프레셔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컴프레셔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액체화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응축기로부터 공급받은 액체상태인 냉매를 증발시켜 기체상태인 냉매를 상기 컴프레셔로 공급하는 증발기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 유입레일과;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의 하부에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유입레일의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응축수 배출관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바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로부터 발생된 응축수가 수용되고, 수용된 응축수가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물탱크로 공급되며, 상부에 삽입구가 형성되는 응축수 수용부와;
    상부가 개방되는 이물질 제거함과, 상기 이물질 제거함의 하측 내부 중간부에 수직구비되고 상부가 상기 이물질 제거함의 내부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 및 하부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삽입구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삽입구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응축수 안내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함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상기 이물질 제거함의 내부로 응축수가 유입 및 상기 응축수 안내관과 인접한 상기 이물질 제거함의 내부 바닥면에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되며,상기 이물질 제거함의 내부 바닥면에 침전된 이물질을 제외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안내관의 내부로 오버플로우되어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컴프레셔와 상기 응축기 사이의 냉매라인 중 일부 냉매라인 부위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며,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와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가 열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의 외주면에 부식방지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주면 일측 및 내주면 타측을 따라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되는 일측냉매라인 및 타측냉매라인과;
    상기 일측냉매라인 및 상기 타측냉매라인과 연통되도록 상기 일측냉매라인의 하부와 상기 타측냉매라인의 하부 사이에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주면 하측을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되는 하측냉매라인;으로 구성되어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주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나선형 냉매라인과;
    상기 나선형 냉매라인과 연통되도록 상기 나선형 냉매라인의 일측과 타측에서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주면 일측 및 내주면 타측을 따라 일정길이로 상하연장형성되는 일측냉매라인 및 타측냉매라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를 경유하는 일부 냉매라인 부위의 외주면에 복수의 방열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된 응축수를 상기 응축수 수용부의 외부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을 개폐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본체에 서랍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에어컨.
  9. 삭제
KR1020220082901A 2022-07-06 2022-07-06 이동형 에어컨 KR102629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901A KR102629909B1 (ko) 2022-07-06 2022-07-06 이동형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901A KR102629909B1 (ko) 2022-07-06 2022-07-06 이동형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169A KR20240006169A (ko) 2024-01-15
KR102629909B1 true KR102629909B1 (ko) 2024-01-29

Family

ID=8954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901A KR102629909B1 (ko) 2022-07-06 2022-07-06 이동형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909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762A (ko) * 2001-10-12 2003-04-1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에어컨 응축기의 부식방지장치
KR100474049B1 (ko) * 2002-07-16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123307B1 (ko) * 2004-05-11 2012-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441282Y1 (ko) 2007-04-23 2008-08-04 주식회사 웰템 응축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이동식 에어컨디셔너
KR102247995B1 (ko) * 2018-11-27 2021-05-04 주식회사 포시 응축수를 사용하여 효율을 향상시킨 저전력 냉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169A (ko) 202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96396Y (zh) 具有冷凝水利用装置的节能空调
CN202581603U (zh) 接水盘及包括该接水盘的空调室外机
JPWO2017216987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863544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고효율 고성능 제습기
KR102629909B1 (ko) 이동형 에어컨
US2365786A (en) Refrigeration apparatus
KR102617675B1 (ko) 응축기의 효율이 향상된 이동형 에어컨
CN208059153U (zh) 一种空调冷凝水冷量回收装置
CN204026859U (zh) 一种移动空调
CN202133042U (zh) 一种改进室外机换热器的水冷却家用空调
CN208671191U (zh) 一种一体式立式空调机组
CN203615563U (zh) 全新风一体化空调冷凝水潜热回收系统
CN105698359A (zh) 分段式换热器及制冷装置
CN210267814U (zh) 一种翅片式风冷冷凝器
CN205843110U (zh) 一种循环式制冷系统
CN213631668U (zh) 一种密闭式冷却塔水冷设备
CN211233559U (zh) 一种用于冷藏柜冷凝水的收集装置
CN205316646U (zh) 一种空调冷凝水回收利用装置及空调
CN205351543U (zh) 可移动式冷暖空调制水一体机
CN209819959U (zh) 流水制冰系统及制冷设备
KR0136386Y1 (ko) 빙축열 공조기의 열교환장치
CN206338916U (zh) 一种可接冷热源及空调冷凝水的新风换气机
JP2017089984A (ja) 凝縮器の補助冷却装置におけるフィルタ装置
JP2015158347A (ja) 空気調和機
CN112082212A (zh) 圆形空调室外机冷凝水辅助降温装置及消除冷凝水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