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903B1 -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 - Google Patents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903B1
KR102629903B1 KR1020190170221A KR20190170221A KR102629903B1 KR 102629903 B1 KR102629903 B1 KR 102629903B1 KR 1020190170221 A KR1020190170221 A KR 1020190170221A KR 20190170221 A KR20190170221 A KR 20190170221A KR 102629903 B1 KR102629903 B1 KR 10262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etylglucosamine
injection
filler composition
skin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8334A (ko
Inventor
박종순
서효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원
Priority to KR1020190170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9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61F2210/0019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operated at only one temperature whilst inside or touching the human body, e.g. constrained in a non-operative shape during surgery, another temperature only occurring before the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6Materials with shape-memory or superelastic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45∼55℃에서는 점도가 낮은 상태로 유동성이 높으나, 체내 온도에서는 굳어지는 등 온도에 따라 상변화되고, 이에 따라 인체 내 주입 시 피부 침투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꺼진 피부를 지탱해주는 필러의 특성상 높은 점도로 인하여 피부에 주입 시 통증과 피부 침투율이 낮은 단점을 보완하여 온도에 따른 상변화를 통해 주입 시와 주입 후에 점도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저농도의 히알루론산 수용액과 혼합할 경우, 열에 대한 안정성, 수용액상의 안정성이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 {Filler composition for injection containing N-acetylglucosamine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주입용 필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온도에 따라 상변화되어 인체 내 주입 시 피부 침투효과가 우수하고, 히알루론산과 혼합 시 열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주입용 필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필러란 피부에 주사되는 부드러운 티슈 충전제로서 얼굴 주름을 메워 피부가 매끄럽게 보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필러는 대부분 신체에 흡수되기 때문에 일시적인데, 어떤 사람들은 주름 완화 효과를 얻기 위해 두 번 이상의 주사가 필요하는 등 사람에 따라 필러의 주사 횟수에는 차이가 있다. 효과는 보통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름 개선 효과는 피부 건강, 시술자의 기술 및 사용된 필러의 종류에 따라 정도 및 지속시간이 다르다.
미국에서 필러는 미국식약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 의해 의료 기기로 승인되어 있고, 주사는 건강관리 제공자가(health care provider, 일반적으로 의사를 의미하며 각 분야에 따라 비의사가 포함될 수도 있음) 처방하고 수행한다. 필러는 음경을 포함하여 안전하지 않은 신체 부위에 대해서는 승인되지 않았다. 반면, 유럽과 영국에서 필러는 처방전이 아닌 의료 기기로서 각 의료 기관에서 승인된 사람(비의사)이 주사할 수 있다. 유럽과 영국에서는 CE 마크(생산 표준을 규제)가 필요하지만 의학적 효능을 입증 할 필요는 없다.
결과적으로 영국 / 유럽 시장에는 140개가 넘는 주사용 필러가 있지만, 미국에서 사용하도록 승인된 필러는 6개에 불과하다.
필러는 주로 의료용으로 이용되는데, 피부 밑의 공간을 채우는 역할을 한다. 특히,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에 의해 발생되는 지질영양이상증(lipodystrophy)으로 인해 2차적인 지방손실이 발생했을 시 일시적인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안정성 측면에서는 완전하게 입증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필러는 설탕 분자로 만들거나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으로 이루어져 왔다. 콜라겐은 돼지, 소 등에서 나올 수 있거나 실험실에서 합성될 수 있다. 2012년 "Artiste Assisted Injection System"이 피부에 필러의 주입을 돕기 위해 미국 시장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을 뒷받침하는 한 연구에 따르면, 필러의 주입장치는 의사가 입술과 주름을 채우는데 사용하는 필러의 주입 유량을 제어하여 환자의 불편함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고 결론을 지었다.
부적절하게 피부 내 필러 주입으로 인한 위험으로는 타박상, 발적, 통증 또는 가려움증이 포함됨. 간혹 감염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흉터와 덩어리가 발생하여 수술 교정이 필요할 수 있다. 드물지만, 안과 및 망막 동맥으로의 역행(정상 혈류 방향과 반대)으로 인한 실명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피부 괴사 또한 색전증의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자가 지방을 충전제로 사용한 후 히알루론산을 사용하면 색전증 합병증이 더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물지만 시력 손실이 발생하면 대개 영구적으로 손실이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히알루론산은 사람의 피부, 관절액, 연골, 눈물 등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스스로 무게의 300~1000배에 해당하는 물을 함유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히알루론산은 눈물의 점액층 주성분으로 각막의 수분과 결합하여 보습효과를 나타내며, 점도가 높아 안구 표면을 오랫동안 촉촉하게 유지하고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퇴행성관절염의 경우 관절 내 히알루론산이 감소해서 외부 충격을 흡수하지 못해 관절 손상이 심해지게 되는데 히알루론산은 연골과 관절을 부드럽게 하는 완충작용을 통해 관절의 윤활효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무릎연골주사로 알려진 주사법이 관절에 히알루론산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특히, 히알루론산은 피부장벽의 기능 조절과 보습작용이 있어 상처의 재생을 빠르게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히알루론산은 인간에 있어 필수적인 구성요소로서, 히알루론산을 필러용 조성물에 이용하는 발명이 ‘특허문헌 1’등 여러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생체 내에서 부족하다고 하여 이를 직접주입하더라도 수 시간 또는 수일 내에 생체 내에서 자연분해되므로, 그 효율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9-0059609 A (2019. 05. 3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히알루론산을 직접주입하는 것이 아닌,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유도할 수 있는 필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는 45∼55℃에서는 점도가 낮은 상태로 유동성이 높으나, 체내 온도에서는 굳어지는 등 온도에 따라 상변화되고, 이에 따라 인체 내 주입 시 피부 침투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꺼진 피부를 지탱해주는 필러의 특성상 높은 점도로 인하여 피부에 주입 시 통증과 피부 침투율이 낮은 단점을 보완하여 온도에 따른 상변화를 통해 주입 시와 주입 후에 점도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저농도의 히알루론산 수용액과 혼합할 경우, 열에 대한 안정성, 수용액상의 안정성이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의 전자현미경 사진(500x)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의 전자현미경 사진(1,000x)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의 전자현미경 사진(5,000x)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지,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서는 안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는,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가열 처리한 뒤 냉각시킴으로써 재결정시킨다. 구체적으로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80 내지 120℃의 온도로 가열한 다음, 쿨링챔버(cooling chamber)에 넣어 냉각시킨다. 이에 따라 기존의 판상형 구조였던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상기 과정을 거치면서 침상형의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로 재결정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쿨링챔버에서 인산염 혹은 황산염을 더 부가하여 재결정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로서 활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필요에 따라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와 더불어 가교되지 않은 저농도의 히알루론산을 함께 부가하여 주입용 필러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85℃의 온도로 가열처리한 다음, 0℃의 쿨링챔버에 넣어 재결정시켜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그 결정구조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상의 결정으로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가 재결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정의 크기는 직경 1 내지 10 ㎛이고, 그 길이는 100 내지 300 ㎛로 측정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는 45∼55℃에서는 점도가 낮은 상태로 유동성이 높으나, 체내 온도에서는 굳어지는 등 온도에 따라 상변화되고, 이에 따라 인체 내 주입 시 피부 침투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꺼진 피부를 지탱해주는 필러의 특성상 높은 점도로 인하여 피부에 주입 시 통증과 피부 침투율이 낮은 단점을 보완하여 온도에 따른 상변화를 통해 주입 시와 주입 후에 점도를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저농도의 히알루론산 수용액과 혼합할 경우, 열에 대한 안정성, 수용액상의 안정성이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85℃~12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가열한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재결정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인산염 혹은 황산염이 부가된 쿨링챔버(cooling chamber)에 넣어 냉각시켜서 침상형 재결정된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와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필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주입용 필러 조성물.
KR1020190170221A 2019-12-18 2019-12-18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 KR102629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221A KR102629903B1 (ko) 2019-12-18 2019-12-18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221A KR102629903B1 (ko) 2019-12-18 2019-12-18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334A KR20210078334A (ko) 2021-06-28
KR102629903B1 true KR102629903B1 (ko) 2024-02-16

Family

ID=76607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221A KR102629903B1 (ko) 2019-12-18 2019-12-18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9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2763A (ja) 2008-06-04 2009-12-17 Tsujido Chemical Corp 治療剤
KR101631110B1 (ko) 2014-04-01 2016-06-17 (주)프로스테믹스 나노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7957B1 (ko) * 2010-04-02 2018-04-11 리브라겐 N-아세틸글루코사민-6-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화장 및 약학 조성물
KR102139337B1 (ko) 2016-03-17 2020-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세바늘패치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필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318592C (en) * 1988-11-18 1993-06-01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N-acetyl glucosamine as a cytoprotective agent
KR102320153B1 (ko) 2017-11-23 2021-11-02 주식회사 파마리서치 이중 가교를 통한 히알루론산 겔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2763A (ja) 2008-06-04 2009-12-17 Tsujido Chemical Corp 治療剤
KR101847957B1 (ko) * 2010-04-02 2018-04-11 리브라겐 N-아세틸글루코사민-6-포스페이트를 포함하는 화장 및 약학 조성물
KR101631110B1 (ko) 2014-04-01 2016-06-17 (주)프로스테믹스 나노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9337B1 (ko) 2016-03-17 2020-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세바늘패치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필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een-Kuan Chen et al., "N-Acetylglucosamine: Production and Applications.", Mar. Drugs (2010), Vol. 8, pp. 2493-251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334A (ko) 202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73759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intradermal soft tissue augmentation
EP1734894B2 (en) Particles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De Pedroza Fat transplantation to the buttocks and legs for aesthetic enhancement or correction of deformities: long-term results of large volumes of fat transplant
CN113648459A (zh) 包含透明质酸和甲哌卡因的组合物
WO2007025142A3 (en) Gel compositions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n antiseptic and an anesthetic agent for treating surface areas in medical and surgical procedures
JP2018504984A5 (ko)
KR102629903B1 (ko) N-아세틸글루코사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입용 필러 조성물
US20200397944A1 (en) Hyaluronic acid composition for penile injections
RU2268052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и 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суставов (варианты),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и дегенератив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суставов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средства к пораженному участку
US9744110B2 (en) Method of treating conditions of the eyelid
Salahia et al. Hyaluronic acid: a safe, biodegradable and biocompatible product for buttock augmentation and contouring
WO2006007675A1 (en) Cholic acid and/or its derivatives for the reduction of localized fat in the human body
Van Loghem Use of calcium hydroxylapatite for augmentation of the labia majora and mons pubis
WO2018182562A1 (en) Method of treatment of skin conditions of eye lids
EP3215124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lieving pain and inflammation, treatment of erectile dysfunction, and treatment of acne
EP1156830A2 (de) Öl-in-wasser-emulsion zur verwendung als arzneimittel bzw. zur herstellung eines arzneimittels
Vankdoth et al. Prolotherapy—a venturing treatment for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US10028976B2 (en) Injectable formulation of natural polysaccharide and polyol f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Vagefi Minimally invasive approaches to orbital volume augmentation
RU2735816C1 (ru) Способ комплексной коррекции инволюционных изменений лица и шеи
Rosset et al. Hyaluronic acid in calves defects correction
Leonardo Penile augmentation
RU2177303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ортопедических больных периартикулярным введением препарата
US20200016056A1 (en) Method of subcutaneous aqueous citric acid injection non-surgical skin tightening excluding orbit
RU2410055C1 (ru) Способ стимуляции репаративного остеогене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