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782B1 -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782B1
KR102629782B1 KR1020210128851A KR20210128851A KR102629782B1 KR 102629782 B1 KR102629782 B1 KR 102629782B1 KR 1020210128851 A KR1020210128851 A KR 1020210128851A KR 20210128851 A KR20210128851 A KR 20210128851A KR 102629782 B1 KR102629782 B1 KR 102629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afety management
management system
re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8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5951A (ko
Inventor
김민식
한태민
이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28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782B1/ko
Publication of KR20230045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5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16Real-time traff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34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ensuring sequence integrity, e.g. using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5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for service slots or service ord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장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송되도록 처리하되 특히, 긴급 메시지를 일반 메시지 대비 더 빠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처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은,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으로서, (a) 메시지 버퍼링 크기에 대한 제1 기준 및 메시지 대기 시간에 대한 제2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 (b)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메시지로 처리하여 버퍼링하기 위한 단계; (c) 버퍼링된 메시지의 크기가 상기 제1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제1 판단하거나, 버퍼링된 메시지의 대기 시간이 상기 제2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제2 판단하되, 상기 제1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2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및 제2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서 버퍼링된 메시지내에 긴급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 (d) 상기 제1 및 제2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서 버퍼링된 메시지내에 긴급 메시지가 포함된 경우,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제1 기준 및 상기 제2 기준을 각각 하향 변경하여 설정하기 위한 단계; 및 (e) 상기 제1 판단 시 만족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판단 시 만족할 경우 해당 버퍼링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Real-time mess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ty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메시지 처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 현장내 위험 지역에 대한 작업자 진입 등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관리자에게 알람(메시지) 등을 통해 전파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 관리 시스템은 작업자가 착용한 개인 보호장비의 착용 여부 탐지나 작업자 주변 상황을 측정하여 전송하는 기기(예: IoT 센서, 관리 서버, 관리자 단말 등)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에 존재하는 위험요인들에 대해 모니터링 및 작업현황 등을 모니터링하고 이상이 발생할 경우 경보방송 등을 통해 알리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나타낸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 관리 시스템은 DB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태가 변할 경우 알람을 발생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발생한 위험(긴급)상황이 실시간으로 신속히 관리자에게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현장으로부터 수신한 위험(긴급)상황 관련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달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08368호(2020.04.29.)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에 따라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현장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송되도록 처리하되 특히, 긴급 메시지를 일반 메시지 대비 더 빠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처리하기 위한,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은,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으로서, (a) 버퍼링된 메시지 크기에 대한 제1 기준 및 메시지 대기 시간에 대한 제2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 (b)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메시지로 처리하여 버퍼링하기 위한 단계; (c) 버퍼링된 메시지의 크기가 상기 제1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제1 판단하거나, 버퍼링된 메시지의 대기 시간이 상기 제2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제2 판단하되, 상기 제1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2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서 버퍼링된 메시지내에 긴급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 (d) 상기 제2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서 버퍼링된 메시지내에 긴급 메시지가 포함된 경우,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제1 기준 또는 상기 제2 기준을 각각 하향 변경하여 설정하기 위한 단계; 및 (e) 상기 제1 판단 시 만족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판단 시 만족할 경우 해당 버퍼링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압축하여) 전송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작업 현장으로부터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에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메시지로 처리하여 버퍼링할 수 있고, 상기 단계 (e)는 해당 버퍼링된 메시지를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안전관리 관제/모니터링 단말(즉, 관리자 단말)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로서, 버퍼링된 메시지 크기에 대한 제1 기준 및 메시지 대기 시간에 대한 제2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메시지로 처리하여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부; 버퍼링된 메시지의 크기가 상기 제1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제1 판단하거나, 버퍼링된 메시지의 대기 시간이 상기 제2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제2 판단하되, 상기 제1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2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서 버퍼링된 메시지내에 긴급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판단부; 상기 제2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서 버퍼링된 메시지내에 긴급 메시지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설정부에서 상기 제1 기준 또는 상기 제2 기준을 각각 하향 변경하여 설정하기 위한 변경부; 및 상기 제1 판단 시 만족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판단 시 만족할 경우 해당 버퍼링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압축하여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부는 작업 현장으로부터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에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메시지로 처리하여 버퍼링하고, 상기 전송부는 버퍼링된 메시지를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안전관리 관제/모니터링 단말(즉, 관리자 단말)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현장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고, 특히 위험(긴급)상황 관련 메시지를 일반 메시지 대비 더 빠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처리함으로써 메시지 전송 효율을 향상하고, 또한 전송 효율을 위해 일정 크기 또는 일정 시간의 메시지를 버퍼링 한 후 압축하여 전송함으로써 추가 전송 효율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의 흐름도,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의 동작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센서(100), 안전관리시스템(200), 및 안전관리관제/모니터링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IoT 센서(100)는 작업 현장에 설치된 각종 IoT(Internet of Things) 센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작업 현장의 위험지역에 설치된 작업자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관리시스템(200)은 작업자 감지 센서(100)로부터 수신된 감지 데이터를 클라우드에서 실시간 처리하여 모니터링하고 알람 발생이 가능한 관제 시스템으로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안전 관련 일반 메시지 또는 긴급 메시지를 외부로 전송할 메시지로 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oT 센서(100)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메시지로 처리하여 안전관리관제/모니터링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안전관리시스템(200)은 도 2와 같은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20)를 구비하여 현장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관리자에게 전송되도록 처리하되 특히, 긴급 메시지를 일반 메시지 대비 더 빠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안전관리관제/모니터링단말(400)은 관리자가 사용하는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의 단말 장치로서, 안전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전송된 안전 관련 일반 메시지 및 긴급 메시지를 수신하여 관리자가 안전 관리를 위한 관제 및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20)의 구성도로서, 도 1의 안전관리스템(2)에 포함되는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20)의 구성도이고,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부(21), 버퍼부(23), 판단부(25), 변경부(27), 및 전송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부(21)는 메시지의 전송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시지 버퍼링 크기(즉, 메시지의 전송 크기)(또는 버퍼링된 메시지 크기라 칭함)에 대한 제1 기준 및 메시지 대기 시간(즉, 메시지의 전송 대기 시간)에 대한 제2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은 네트워크의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값을 포함하는 전송 환경을 고려하여 킬로바이트(KB) 단위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기준은 msec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버퍼부(23)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메시지로 처리하여 버퍼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 현장으로부터 안전관리시스템(200)에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메시지로 처리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부(23)는 작업 현장의 IoT 센서(100)로부터 안전관리시스템(200)으로 수신된 메시지를 기초로 안전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관리자단말(400)로 전송할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모리 버퍼에 저장(버퍼링)할 수 있다.
판단부(25)는 설정부(21)에 설정된 제1 기준 및 제2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버퍼부(23)에 버퍼링된 메시지 데이터가 전송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버퍼부(23)에 버퍼링된 메시지의 크기가 제1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이하, 제1 판단)할 수 있고, 버퍼부(23)에 버퍼링된 메시지의 대기 시간이 제2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이하, 제2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5)는, 일 예로 제1 판단 시 만족하지 않을 경우 제2 판단을 수행할 수 있고, 다른 예로 제2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서 버퍼부(23)에 버퍼링된 메시지내에 긴급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1 판단을 재차 수행할 수 있다.
변경부(27)는 설정부(21)에 설정된 전송 기준을 일정 조건 하에서 변경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제2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서 버퍼부(23)에 버퍼링된 메시지내에 긴급 메시지가 포함된 경우 설정부(21)의 제1 기준 및 제2 기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각각 일정 크기만큼 하향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변경 직전에 제1 기준이 100msec로 설정된 경우 이보다 낮은 60msec, 50msec, 또는 40msec 등으로 하향 변경하여 다시 설정할 수 있고, 제2 기준이 20KB로 설정된 경우 이보다 낮은 15KB, 10KB, 또는 5KB 등으로 하향 변경하여 다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변경 정도(량, 크기)는 특정 조건을 고려하여 동적으로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즉, 변경부(27)는 현재까지 버퍼링된 메시지의 크기와 대기 시간(량), 수신되는 단위 메시지의 크기, 및 수신 간격 등의 특정 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제1 기준 또는 제2 기준에 대한 하향 변경 량(크기)을 동적으로 달리 설정하여 긴급 메시지 수신 시 대기 없이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송부(29)는 판단부(25)의 제1 판단 결과 제1 기준을 만족하거나 또는 판단부(25)의 제2 판단 결과 제2 기준을 만족할 경우 버퍼부(23)의 버퍼링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버퍼부(23)에 버퍼링된 메시지를 안전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안전관리 관제/모니터링 단말(즉, 관리자 단말)(40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부(29)는 일정 시간 또는 일정 크기로 버퍼링된 메시지를 선택에 따라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고, 전송 결과를 확인하여 전송 실패 시 전송 재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의 흐름도로서, 도 1-2의 안전관리시스템(200)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20)에 적용되므로 해당 장치(200,20) 및 관련 장치(100,400)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안전관리시스템(200)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20)의 설정부(21)를 통하여 메시지의 전송 크기에 대한 제1 기준 및 메시지의 전송 대기 시간에 대한 제2 기준이 설정된 상태에서(S301), 버퍼부(23)는 작업 현장의 IoT 센서(100)로부터 안전관리시스템(200)으로 실시간 수신된 메시지(S303)를 기초로 안전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관리자단말(400)로 전송할 메시지를 생성하여 메모리 버퍼에 실시간 저장(버퍼링) 한다(S305).
이어, 판단부(25)는 단계 S305에서 버퍼부(23)를 통해 버퍼링된 메시지의 크기가 전송 크기 기준 즉, 제1 기준을 충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이하, 제1 판단)하고(S307), 단계 S307의 판단 결과 제1 기준(전송 크기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면 해당 버퍼링된 메시지의 전송 대기 중인 시간이 전송 대기 시간 기준 즉, 제2 기준을 충족하는지의 여부를 판단(이하, 제2 판단)한다(S309).
판단부(25)는 단계 S309의 판단 결과 제2 기준(전송 대기 시간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다면 해당 버퍼링된 메시지내에 긴급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311), 단계 S311의 판단 결과 긴급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단계 S303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하고, 단계 S311의 판단 결과 긴급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다면 변경부(27)를 통해 제1 기준(전송 크기 기준) 및 제2 기준(전송 대기 시간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일정 크기만큼 하향 변경한 후 단계 S303부터 다시 시작하도록 하여 단계 S307 및 S309의 판단 시 변경된 기준이 적용되도록 한다(S313).
마지막으로, 단계 S307의 제1 판단 결과 제1 기준(전송 크기 기준)을 만족하거나 또는 단계 S309의 제2 판단 결과 제2 기준(전송 대기 시간 기준)을 충족할 경우, 전송부(29)는 버퍼부(23)의 버퍼링된 메시지를 안전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안전관리 관제/모니터링 단말(즉, 관리자 단말)(400) 측으로 전송하되, 전송 시 선택에 따라 메시지를 압축하여 전송할 수 있고, 전송 결과를 확인하여 전송 실패 시 전송 재시도를 수행할 수 있다(S315-S319).
단계 S319에서 전송부(29)를 통해 메시지 전송이 완료되면 버퍼부(23)의 해당 메시지를 삭제하여 메모리 버퍼를 비우고 설정부(21)의 제1 기준(전송 크기 기준) 및 제2 기준(전송 대기 시간 기준)을 초기 설정값으로 복귀시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되는 메시지 #1~#n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버퍼링되는 메시지가 일정한 속도로 누적되어 버퍼링된 메시지의 대기 시간이 제2 기준(전송 대기 시간 기준)인 100msec에 도달하기 전의 일정 시간(예: 80msec) 경과 시에 해당 버퍼링된 메시지의 크기가 제1 기준(전송 크기 기준)을 충족하면 해당 메시지를 비록 전송 대기 시간 기준에 도달하기 전이라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준(전송 크기 기준)을 조절하면 메시지를 지연없이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위험(긴급)상황 관련 메시지를 일반 메시지 대비 더 빠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되는 메시지 #1~#n의 크기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버퍼링되는 메시지가 불규칙한 속도로 누적되어 버퍼링된 메시지의 대기 시간이 제2 기준(전송 대기 시간 기준)인 100msec에 도달할 때까지 버퍼링된 메시지의 크기가 제1 기준(전송 크기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제2 기준(전송 대기 시간 기준)을 만족하므로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기준(전송 대기 시간 기준)을 조절하면 메시지를 지연없이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위험(긴급)상황 관련 메시지를 일반 메시지 대비 더 빠르게 전송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구현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전술한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또는 이러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21: 설정부
23: 버퍼부
25: 판단부
27: 변경부
29: 전송부
100: IoT 센서
200: 안전 관리 시스템
400: 안전관리 관제/모니터링 단말, 관리자 단말

Claims (13)

  1.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하는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으로서,
    (a) 버퍼링된 메시지 크기에 대한 제1 기준 및 메시지 대기 시간에 대한 제2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
    (b)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메시지로 처리하여 버퍼링하기 위한 단계;
    (c) 버퍼링된 메시지의 크기가 상기 제1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제1 판단하거나, 버퍼링된 메시지의 대기 시간이 상기 제2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제2 판단하되, 상기 제1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2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서 버퍼링된 메시지내에 긴급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
    (d) 상기 제2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서 버퍼링된 메시지내에 긴급 메시지가 포함된 경우,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제1 기준 또는 상기 제2 기준을 각각 하향 변경하여 설정하기 위한 단계; 및
    (e) 상기 제1 판단 시 만족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판단 시 만족할 경우 해당 버퍼링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는 상기 해당 버퍼링된 메시지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은 네트워크의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값을 기초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은 msec 단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작업 현장으로부터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에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메시지로 처리하여 버퍼링하고, 상기 단계 (e)는 해당 버퍼링된 메시지를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안전관리 관제/모니터링 단말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
  6. 안전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는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로서,
    버퍼링된 메시지 크기에 대한 제1 기준 및 메시지 대기 시간에 대한 제2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부;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메시지로 처리하여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부;
    버퍼링된 메시지의 크기가 상기 제1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제1 판단하거나, 버퍼링된 메시지의 대기 시간이 상기 제2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제2 판단하되, 상기 제1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제2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제2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서 버퍼링된 메시지내에 긴급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판단을 수행하기 위한 판단부;
    상기 제2 판단 시 만족하지 않으면서 버퍼링된 메시지내에 긴급 메시지가 포함된 경우, 상기 설정부에서 상기 제1 기준 또는 상기 제2 기준을 각각 하향 변경하여 설정하기 위한 변경부; 및
    상기 제1 판단 시 만족하거나 또는 상기 제2 판단 시 만족할 경우 해당 버퍼링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해당 버퍼링된 메시지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은 네트워크의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값을 기초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준은 msec 단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작업 현장으로부터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에 수신된 메시지를 전송할 메시지로 처리하여 버퍼링하고, 상기 전송부는 버퍼링된 메시지를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안전관리 관제/모니터링 단말 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메시지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128851A 2021-09-29 2021-09-29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629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851A KR102629782B1 (ko) 2021-09-29 2021-09-29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851A KR102629782B1 (ko) 2021-09-29 2021-09-29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951A KR20230045951A (ko) 2023-04-05
KR102629782B1 true KR102629782B1 (ko) 2024-01-29

Family

ID=8588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8851A KR102629782B1 (ko) 2021-09-29 2021-09-29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7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559A1 (ko) * 2015-04-03 2016-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cptt에서 단말이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7085378A (ja) * 2015-10-28 2017-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108368B1 (ko) * 2019-12-18 2020-05-12 (주)백산에스엔케이 작업장 환경 및 근로자 안전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514B1 (ko) * 1997-12-24 2000-03-15 이계철 비동기전달모드 스위치에서 셀지연 우선순위 큐잉 대역폭 동적할당 방법
EP3761614A1 (en) * 2016-04-01 2021-0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559A1 (ko) * 2015-04-03 2016-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Mcptt에서 단말이 우선 순위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7085378A (ja) * 2015-10-28 2017-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108368B1 (ko) * 2019-12-18 2020-05-12 (주)백산에스엔케이 작업장 환경 및 근로자 안전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5951A (ko) 202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413B1 (ko)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170006095A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42687A (ko)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0887A (ko) 기존 소방감지기를 활용한 IoT 스마트 화재감지 안내시스템
CN113783845B (zh) 确定云服务器上实例风险等级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127804B (zh) 一种消防火灾分级推送的方法及其系统
WO2021068489A1 (zh) 路由路径智能选择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5812405A (zh) 一种处理消息的方法、装置及系统
KR102629782B1 (ko) 안전 관리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862118B1 (ko) 유해 url 분류 시스템을 통한 안전한 메시지 전송 방법
US9954759B2 (en) Detecting proxy-based communications
JP2018142169A (ja) 作業者状態把握装置、作業者状態把握システム及び作業者状態把握方法
CN104348711B (zh) 消息接收装置及方法
CN115314322A (zh) 基于流量的漏洞检测确认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JP690907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401664A (zh) 恶意网络cc攻击防范的方法及装置
CN114844772A (zh) 一种基于Zabbix监控平台的管理方法及系统
US10379974B2 (en)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CN112333045A (zh) 智能流量基线学习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959099B1 (ko) 빌딩 자동 제어 시스템에서 알람 전송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2498488B1 (ko) 작업장 내 안전사고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25317B1 (ko) 웹 메일 보안 장치 및 방법
KR20160098908A (ko) 경보 발령 방법 및 경보 발령 시스템
KR101475907B1 (ko) 서버에 입력되는 명령어 감시 시스템
CN109743178B (zh) 一种防止区块链的块链被劫持的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