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540B1 -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540B1
KR102629540B1 KR1020210159198A KR20210159198A KR102629540B1 KR 102629540 B1 KR102629540 B1 KR 102629540B1 KR 1020210159198 A KR1020210159198 A KR 1020210159198A KR 20210159198 A KR20210159198 A KR 20210159198A KR 102629540 B1 KR102629540 B1 KR 102629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tate
location
network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2693A (ko
Inventor
김상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1015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5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2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5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을 습득한 사람이 해당 단말의 전원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 시 정상적으로 모든 측위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단말의 정확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POSITIONING ACCURACY AFTER RESTARTING TERMINAL POWER}
본 발명은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로서 위치 측위 기술은 아래 3가지가 방식이 대표적이며, 이를 분실 단말의 위치를 찾는데 사용한다.
1) 인공위성의 신호를 이용하는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측위
2) 와이파이 액세스포인트(WIFI AP)를 이용하는 와이파이 측위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ervice) 측위
3) 이동통신망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는 셀(Cell) 측위
상기 방식들의 위치 정확도는 일반적으로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NSS)이 가장 우수하고 그 다음으로 와이파이 측위 시스템(WPS), 셀(Cell) 측위 순이다.
또한, 분실 단말의 위치 측위를 위해 네트워크 측에서 위치를 요청하는 방식은 아래와 같다.
1) 네트워크에서 단문메시지(SMS)를 단말로 송출하여 위치 측위를 시작하는 방식
2) 3GPP 규격에 따라 네트워트 자원(제어평면)에서 측위를 요청하는 방식
위의 모든 기술들은 분실 단말의 상태 및 환경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도 1은 단말 등록과 단말 위치 확인 요청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단말 분실 직후 일반 측위 동작은 다음과 같다. 분실 단말 접수 시스템에서 단말 접수가 되면 장비 인식 등록기(EIR, Equipment Identity Register)로 단말 등록을 한 후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 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으로 단말 위치 조회 요청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서 위치 서비스 센터(GMLC, Global Mobile Location Center)와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 Short Message Service Center)로 단말기 측위 요청을 할 수 있다. 위치 서비스 센터(GMLC)로의 단말기 측위 요청은 네트워크(Network) 기반 측위 요청(E-CID, OTDOA)이고,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로의 단말기 측위 요청은 SMS 기반 측위 요청(SUPL / GPSnWPS)이다. 이 후 이동성 관리장치(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기지국에 의해 ④, ⑤ 순서로 단말 측위가 정상적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단말 전원 재기동 시 문제 측위 동작을 살펴보면, 단말 전원 재기동에 따라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요청에 따라 기지국에서 이동성 관리장치(MME)로 단말의 네트워크(Network) 연결 요청을 하고(ⓐ) 이동성 관리장치(MME)에서 장비 인식 등록기(EIR)로 단말 정보 조회 요청을 하여 블랙리스트(Blacklist) 등록 여부 확인을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블랙리스팅(Blacklisting) 된 단말은 망에 연결이 되지 않고 분리된 사용자(Detached User)로 처리될 수 있다. 이후 측위 요청은 ④번 과정에서 단말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되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즉, 특정 단말을 분실 단말로 등록하게 되면 해당 단말은 장비 인식 등록기(EIR)에 블랙리스트(Blacklist)로 등록된다. 해당 단말의 전원을 껐다가 켜게 되면 단말이 이동통신망에 연결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장비 인식 등록기(EIR)를 통해 단말의 유효성을 검사하게 되고, 블랙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 단말은 유효성 검사에서 실패하여 정상적으로 망에 연결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되면, 네트워크의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서 시작되는 모든 측위 요청은 단말까지 닿지 않게 된다. 다만, 단말이 연결을 요청한 기지국 정보는 알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사용(Cell 측위)해 위치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이는 정확도가 낮아 Km 수준으로 위치 오차가 크게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 및/또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 시 단말의 위치를 더 정확히 찾을 수 있도록 한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의 일측면에 따르면,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서 분실 단말 접수 시스템으로부터 단말 위치 조회 요청에 따라 측위 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장비 인식 등록기(EIR)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요청하는 단계;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서 프로비저닝 서버(PVS)로 단말 측위 관련 트래픽을 허용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홈 가입자 서버(HSS)에서 상기 프로비저닝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정책 및 과금 제어(PCC) 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이 요청되면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허가하고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으로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에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에 대한 측위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는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블랙리스팅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고 위치 측위가 가능한 세미 블랙리스팅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은 단말의 측위 서비스가 불필요한 경우 단말의 제2 상태 설정 및 측위 관련 트래픽만 허용한 설정 해제를 요청하여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에서 분실 단말 접수 시스템으로부터 단말 위치 조회 요청에 따라 측위 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장비 인식 등록기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은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단말의 전원 오프로 인한 측위 불가 결과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이 요청되면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허가하고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으로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단계에서,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이 요청되면 유효성 검사에서 단말을 정상 단말로 처리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허가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이 요청되면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허가하고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으로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정책 및 과금 제어 룰이 적용되어 측위 기능만 사용 가능한 상태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시스템의 일측면에 따르면, 분실 단말 접수 시스템으로부터 단말 위치 조회 요청에 따라 측위 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장비 인식 등록기(EIR)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요청하고 프로비저닝 서버(PVS)로 단말 측위 관련 트래픽을 허용하도록 요청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 상기 프로비저닝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정책 및 과금 제어(PCC) 룰을 생성하는 홈 가입자 서버(HSS); 및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이 요청되면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허가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으로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장비 인식 등록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에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에 대한 측위를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는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블랙리스팅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고 위치 측위가 가능한 세미 블랙리스팅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은 단말의 측위 서비스가 불필요한 경우 단말의 제2 상태 설정 및 측위 관련 트래픽만 허용한 설정 해제를 요청하여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은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분실 단말의 전원 오프로 인한 측위 불가 결과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는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이 요청되면 유효성 검사에서 단말을 정상 단말로 처리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허가할 수 있다.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허가 시 단말은 상기 정책 및 과금 제어 룰이 적용되어 측위 기능만 사용 가능한 상태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을 습득한 사람이 해당 단말의 전원을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 시 정상적으로 모든 측위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단말의 정확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단말 등록과 단말 위치 확인 요청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을 위한 시스템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을 위한 시스템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기술은 단말을 분실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의 전원 오프(Off) 시 분실 단말 접수 시스템(20)에서 단말 접수가 되면 장비 인식 등록기(EIR)(30)로 단말 등록을 한 후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40)으로 단말 위치 조회 요청을 할 수 있다.
이어서,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40)에서 위치 서비스 센터(GMLC) (50)와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60)로 단말기 측위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서비스 센터(GMLC)(50)로의 단말기 측위 요청은 네트워크(Network) 기반 측위 요청(E-CID, OTDOA)일 수 있으며,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60)로의 단말기 측위 요청은 SMS 기반 측위 요청(SUPL / GPSnWPS)일 수 있다.
이어서, 단말(1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이므로 측위가 되지 않아 단말(10)의 전원 오프로 인한 측위 불가 결과 코드가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어서,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40)에서 장비 인식 등록기(EIR)(30)로 단말(10)의 상태를 블랙리스팅(blacklisting) 상태에서 세미 블랙리스팅(Semi-blacklisting) 상태로의 전환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의 위치 조회 요청을 하였을 때 단말이 꺼져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40)은 장비 인식 등록기(EIR)(30)에 단말(10)의 상태를 세미 블랙리스팅(Semi-Blacklisting) 상태로 변경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블랙리스팅 상태는 단말(10)의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상태이고, 세미 블랙리스팅 상태는 단말(10)의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고 위치 측위가 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이어서, 홈 가입자 서버(HSS)(80)에서 프로비저닝 서버(PVS, Provisioning Server)(70)의 요청에 따라 단말(10)에 대해 측위 관련 기능만 허용하는 정책 및 과금 제어(PCC, Policy and Charging Control) 룰(Rule)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40)은 프로비저닝 서버(PVS)(70)에 단말(10)에 대해 측위 관련 트래픽(Traffic)만 허용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 요청을 통해 홈 가입자 서버(HSS)(80)에서는 정책 및 과금 제어(PCC) 룰(Rule)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단말(10)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 시 해당 기지국(90)은 단말(10)로부터의 네트워크(Network) 연결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장비 인식 등록기(EIR)(30)는 단말(10)의 상태를 블랙리스팅 상태에서 세미 블랙리스팅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단말(10)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기지국(90)으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이 요청되면 단말(10)의 네트워크 연결을 허가하고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40)으로 단말(10)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연결 시 단말(10)은 정책 및 과금 룰 설정장치(PCRF,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100)에서 가져오는 정책 및 과금 제어(PCC) 룰에 의하여 측위만 허용되는 상태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단말(10)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되어 네트워크에 연결 요청을 하면 단말 유효성 검사에서 장비 인식 등록기(EIR)(30)는 해당 단말을 정상 단말로 처리하고 이를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40)으로 알려줄 수 있다. 특히, 단말(10)이 네트워크에 연결되나 정책 및 과금 룰 설정장치(PCRF, 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100)에서 가져오는 정책 및 과금 제어(PCC) 룰이 적용되어 측위 기능만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40)에서는 다시 측위를 시작하여 단말(10)에 대한 측위가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즉, 위치 서비스 센터(GMLC)(50)와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60) 측위 방식에 따라 단말(10)에 대한 측위가 데이터처리 시스템(SGW/PGW)(110), 이동성 관리장치(MME) (120) 및 기지국(90)을 통해서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40)에서는 단말(10)의 측위 서비스가 불필요한 경우 단말(10)의 세미 블랙리스팅 상태 설정 및 측위 관련 트래픽만 허용한 설정 해제를 요청하여 단말(10)의 상태를 블랙리스팅 상태로 처리할 수 있다. 즉,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40)에서는 추가적인 위치 조회 서비스가 필요 없는 경우 장비 인식 등록기(EIR)(30)로 단말(10)의 세미 블랙리스팅(Semi-blacklisting) 설정 해제를 요청할 수 있고, 프로비저닝 서버(PVS)(70)에 단말(10)에 대해 측위 관련 트래픽(Traffic)만 허용하도록 한 설정 해제를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10)은 설정 해제에 따라 블랙리스팅(Blacklisting) 상태로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말(10)을 등록 후 단말(10)에 대한 위치 조회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장비 인식 등록기(EIR)(30)에서 블랙리스팅(Blacklisting) 단말로 응답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전술한 모든 측위 방법(GNSS, WPS, Cell 측위)을 사용할 수 있고, 높은 정확도를 갖는 위치를 전달해 줄 수 있다. 단, 이러한 경우에는 측위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요청 시, 블랙리스팅(Blacklisting) 된 단말(10)의 정확한 위치를 찾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10)의 전원 꺼짐을 인지하고 장비 인식 등록기(EIR)(30)에서 블랙리스팅(Blacklisting) 된 단말의 상태를 조정하는 인터페이스와 해당 단말에 위치 관련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및 과금 제어(PCC) 룰 설정 관련 인터페이스 및 단말의 전원 켜짐을 인지하고 장비 인식 등록기(EIR)(30)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40)에 측위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의 블랙리스트(Blacklist) 등록을 위해 연결을 재설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및 SMS 기반 인터페이스(SMS based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위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단말 위치 찾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10)의 전원 온(On) 시 해당 위치 문자 알림 서비스와 정책 및 과금 제어(PCC) 룰 조정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단말
20 : 분실 단말 접수 시스템
30 : 장비 인식 등록기(EIR)
40 :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
50 : 위치 서비스 센터(GMLC)
60 : 단문메시지서비스센터(SMSC)
70 : 프로비저닝 서버(PVS)
80 : 홈 가입자 서버(HSS)
90 : 기지국
100 : 정책 및 과금 룰 설정장치(PCRF)
110 : 데이터처리 시스템(SGW/PGW)
120 : 이동성 관리장치(MME)

Claims (12)

  1.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으로서,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서 분실 단말 접수 시스템으로부터 단말 위치 조회 요청에 따라 측위 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장비 인식 등록기(EIR)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요청하는 단계;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에서 프로비저닝 서버(PVS)로 단말 측위 관련 트래픽을 허용하도록 요청하는 단계;
    홈 가입자 서버(HSS)에서 상기 프로비저닝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정책 및 과금 제어(PCC) 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이 요청되면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허가하고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으로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단계; 및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에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에 대한 측위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블랙리스팅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고 위치 측위가 가능한 세미 블랙리스팅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은 단말의 측위 서비스가 불필요한 경우 단말의 제2 상태 설정 및 측위 관련 트래픽만 허용한 설정 해제를 요청하여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로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에서 분실 단말 접수 시스템으로부터 단말 위치 조회 요청에 따라 측위 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장비 인식 등록기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요청하는 단계에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은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단말의 전원 오프로 인한 측위 불가 결과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이 요청되면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허가하고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으로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단계에서,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이 요청되면 유효성 검사에서 단말을 정상 단말로 처리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이 요청되면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허가하고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으로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정책 및 과금 제어 룰이 적용되어 측위 기능만 사용 가능한 상태로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7.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시스템으로서,
    분실 단말 접수 시스템으로부터 단말 위치 조회 요청에 따라 측위 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장비 인식 등록기(EIR)로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 요청하고 프로비저닝 서버(PVS)로 단말 측위 관련 트래픽을 허용하도록 요청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LBSP);
    상기 프로비저닝 서버의 요청에 따라 정책 및 과금 제어(PCC) 룰을 생성하는 홈 가입자 서버(HSS); 및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되어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이 요청되면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을 허가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으로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되었음을 알리는 장비 인식 등록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에서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말에 대한 측위를 개시하는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는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이 불가능한 블랙리스팅 상태이고, 상기 제2 상태는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고 위치 측위가 가능한 세미 블랙리스팅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은,
    단말의 측위 서비스가 불필요한 경우 단말의 제2 상태 설정 및 측위 관련 트래픽만 허용한 설정 해제를 요청하여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은,
    단말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 단말의 전원 오프로 인한 측위 불가 결과 코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시스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는,
    단말의 상태를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네트워크 연결이 요청되면 유효성 검사에서 단말을 정상 단말로 처리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시스템.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비 인식 등록기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연결 허가 시 단말은 상기 정책 및 과금 제어 룰이 적용되어 측위 기능만 사용 가능한 상태로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시스템.
KR1020210159198A 2021-11-18 2021-11-18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및 시스템 KR102629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198A KR102629540B1 (ko) 2021-11-18 2021-11-18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9198A KR102629540B1 (ko) 2021-11-18 2021-11-18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693A KR20230072693A (ko) 2023-05-25
KR102629540B1 true KR102629540B1 (ko) 2024-01-24

Family

ID=8654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9198A KR102629540B1 (ko) 2021-11-18 2021-11-18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54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6655B2 (en) * 2004-06-18 2008-11-04 Qualcomm Incorporated Tracking lost and stolen mobile devices using location technologies and equipment identifiers
KR20120054258A (ko) * 2010-11-19 2012-05-30 주식회사 케이티 분실 단말 회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6325B1 (ko) * 2011-10-21 201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 독립적으로 구성된 측위 서버를 이용한 이동단말기의 위치결정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2693A (ko) 2023-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9109B1 (ko) 방문된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정보 제공
US9930491B2 (en) Positioning of a wireless device
CN100542112C (zh) 提供位置信息的方法和设备
EP22387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service capability information for user plane location
EP2578031B1 (en) Support of multiple positioning protocols
KR100501122B1 (ko) Dbm 방식 및 tcp/ip 방식 혼용 위치정보 제공 방법
US87747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bile handset position to software applications
RU2517389C2 (ru) Способ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узел управления мобильностью
US8019339B2 (en) Using serving area identification in a mixed access network environment
CN114666740A (zh) 终端设备的位置确定方法和设备
EP2059075A2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 lost and/or stolen phone based on supl network initiated, triggered by reverse-billed SMS
WO2003028390A1 (en) Network and method for monitoring location capabilities of a mobile station
US8929912B1 (en) Address validation for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s
BRPI1010754B1 (pt) método e equipamento para obter serviço de localização, método e equipamento para suportar serviço de localização e memória legível por computador
CN102948172B (zh) 定位协议传达
US100036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ement of location data sources during emergency positioning session
WO2010075707A1 (zh) 连续定位过程中提高定位系统性能的方法及系统
RU2543952C1 (ru) Система измерения поло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обеспеч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положении, устройство администрирования информации о положении и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положения
CN115152284A (zh) 使用用户面位置解决方案来支持控制面定位方法
KR102629540B1 (ko) 단말 전원 재기동 이후의 측위 정확도 개선 방법 및 시스템
JP2007521778A (ja) ロケーションサービスの処理方法
KR10122261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벤더 식별자를 이용한 적응적 위치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23520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원격 무선 헤드 식별자를 이용한 위치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N107147998A (zh) 一种多精度移动定位方法
EP25471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based services using paramete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