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206B1 - Cargo fixe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trains - Google Patents

Cargo fixe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trai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206B1
KR102629206B1 KR1020210150880A KR20210150880A KR102629206B1 KR 102629206 B1 KR102629206 B1 KR 102629206B1 KR 1020210150880 A KR1020210150880 A KR 1020210150880A KR 20210150880 A KR20210150880 A KR 20210150880A KR 102629206 B1 KR102629206 B1 KR 102629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unit
sensing
sens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0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63094A (en
Inventor
한성호
김영훈
이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20063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30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2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61D3/182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heavy vehicles, e.g. public work vehicles, trucks, 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61D3/187Details, e.g. bridges for floor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5/00Means or devices for securing or supporting the cargo, including protection against s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Abstract

본 발명의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철도 차량의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철도 차량의 출발 시점부터 직선 주행시에 나타나는 상기 화물의 물적 변화 요소를 센싱하여 상기 화물에 작용하는 외력을 검출하는 제1 센싱부; 상기 철도 차량의 곡선 주행시 또는 교행시 발생하는 물적 변화 요소를 센싱하여 상기 화물에 작용하는 외력을 검출하는 제2 센싱부; 상기 화물을 현황 상태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제1 센싱부, 상기 제2 센싱부 및 상기 촬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에서 검출된 센싱값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화물의 현황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센싱부, 상기 제2 센싱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of one or more railroad vehicles for transporting cargo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external forces acting on the cargo by sensing physical change elements of the cargo that appear when driving in a straight line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railroad car. a first sensing unit; a second sensing unit that detects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argo by sensing physical change factors that occur when the railway vehicle travels on a curve or crosses the road; a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camera to photograph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go;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first sensing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photographing unit;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sensing values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and the current status of cargo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sensing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Figure R1020210150880
Figure R1020210150880

Description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CARGO FIXE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TRAINS}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CARGO FIXE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TRAINS}

본 발명은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최근 들어 물류 처리에 대한 수요 증가와 저탄소 정책에 따라 항공기, 트럭 외에 화물의 운송 수단으로서 철도 차량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철도 물류 수송 경쟁력 향상 및 철도의 고속화에 따라 화물 열차에 대해서도 고속화 및 안전 수송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화물 열차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고속 환경에서 안전하게 이동하는 화물 열차 내에서 수송 화물(카고 트럭 등)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Recently, in response to increasing demand for logistics processing and low-carbon policies, research is underway on ways to use rail vehicles as a means of transporting cargo in addition to aircraft and trucks. In particular, as the competitiveness of railway logistics transport improves and the speed of railways increases, the demand for high-speed and safe transport for freight trains is also increasing. Due to the need for such freight trains, maintaining the fixed state of transported cargo (cargo trucks, etc.) within freight trains moving safely in a high-speed environment has emerged as a very important issue.

따라서, 화물 열차 주행 중 화물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전체적인 화물의 고정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Accordingly, methods and devices for maintaining the fixed state of cargo while a freight train is running are being developed, and research is underway to develop a system to check the overall fixed state of cargo.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화물의 고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on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that can check the fixation status of the cargo.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철도 차량의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철도 차량의 출발 시점부터 직선 주행시에 나타나는 상기 화물의 물적 변화 요소를 센싱하여 상기 화물에 작용하는 외력을 검출하는 제1 센싱부; 상기 철도 차량의 곡선 주행시 또는 교행시 발생하는 물적 변화 요소를 센싱하여 상기 화물에 작용하는 외력을 검출하는 제2 센싱부; 상기 화물을 현황 상태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제1 센싱부, 상기 제2 센싱부 및 상기 촬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에서 검출된 센싱값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화물의 현황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센싱부, 상기 제2 센싱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of one or more railroad vehicles for transporting cargo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enses physical change elements of the cargo that appear when driving in a straight line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railroad car and acts on the cargo. a first sensing unit that detects an external force; a second sensing unit that detects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argo by sensing physical change factors that occur when the railway vehicle travels on a curve or crosses the road; a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camera to photograph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go;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first sensing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photographing unit;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sensing values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and the current status of cargo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sensing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구체적으로, 복수의 결박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화물의 전방 및 후방이 상기 철도 차량에 연결 고정되고, 상기 철도 차량에 연결 고정된 복수의 고정 쐐기를 통하여 상기 화물의 전방 및 후방이 고정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ront and rear of the cargo may be connected and fixed to the railroad car through a plurality of binding wires,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cargo may be fixed through a plurality of fixing wedge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railroad car.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센싱부는 기준 위치와 상기 화물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거리 센서; 상기 결박 와이어에 인가되는 장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장력 센서; 상기 화물의 배치 방향에 관한 방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화물용 지자기 센서; 상기 화물의 변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화물용 변위 센서; 및 상기 철도 차량의 변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화차 변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sensing unit includes a distance sensor that detects the distance between a reference position and the cargo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 tension sensor that detects tension applied to the binding wir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 geomagnetic sensor for cargo that detects the orientation of the cargo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 displacement sensor for cargo that detects displacement of the cargo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nd it may include a freight car displacement sensor that detects the displacement of the railway vehicl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화물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장력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결박 와이어의 장력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화물용 지자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화물의 배치 방향과 상기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의 차이가 발생하거나, 상기 화물용 변위 센서에서 감지한 화물의 변위와 상기 화차 변위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철도 차량의 변위를 비교하여 상기 화물의 변위량과 상기 철도 차량의 변위량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위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Specifically, if the position of the cargo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or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the tension of the binding wire detected by the tension sensor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or the position of the cargo detected by the cargo geomagnetic sensor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When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argo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ailroad car, the displacement of the cargo detected by the cargo displacement sensor is compared with the displacement of the railroad car detected by the freight car displacement sensor, and the displacement of the cargo is If the difference in displacement of the railway vehicle is outside a preset normal range,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 danger signal on the display unit.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센싱부는 곡선 주행 또는 교행 시에, 상기 철도 차량의 정면 및 측면에서 발생한 풍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풍압 센서; 상기 화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진동 센서; 상기 화물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원심력 측정 센서; 상기 철도 차량의 곡선 주행 또는 교행 시의 횡풍에 의해 상기 화물의 3축 변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3축 변위 센서; 및 중력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중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second sensing unit includes a wind pressure sensor that detects wind pressure generated from the front and sides of the railway vehicle when driving on a curve or crossing a intersec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 vibration sensor that detects vibration occurring in the cargo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 centrifugal force measurement sensor that detects centrifugal force generated from the cargo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 3-axis displacement sensor that detects 3-axis displacement of the cargo due to cross wind when the railway vehicle travels on a curve or crosses the roa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nd it may include a gravity sensor that detects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구체적으로, 상기 풍압 센서에서 감지한 풍압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진동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화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원심력 측정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화물의 원심력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축 변위 센서에서 감지한 3축 변위와 상기 중력 센서에서 감지한 중력 방향에 의해 상기 화물의 기울어짐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위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wind pressure detected by the wind pressure sensor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the vibration of the cargo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or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or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cargo detected by the centrifugal force measurement sensor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If it is out of a preset normal range, or if the tilt of the cargo is out of a preset normal range due to the 3-axis displacement detected by the axis displacement sensor and the direction of gravity detected by the gravity sensor,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It can signal danger.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는 적외선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amera may be implemented as an infrared camera.

구체적으로, 상기 화물은 카고 트럭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argo may be a cargo truck.

본 발명에 따른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종 상황에서의 화물에 가해지는 외력을 확인함으로써, 철도 차량의 출발 시부터 직선 주행시의 화물 상태를 모니티링 함과 동시에, 곡선 주행 또는 교행 시의 화물 상태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status of the cargo when traveling in a straight line from the start of the railway vehicle by check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cargo in various situations, and at the same time, monitors the cargo status when driving on a curve or crossing the intersection. Status can also be monito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열차의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EA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EA2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철도 차량의 곡선부 주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of a freight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EA1 area shown in FIG. 1.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EA2 area shown in FIG. 1.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urved driving state of a railway vehicle.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shown in FIG. 1.
FIG.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first sensing unit shown in FIG. 5.
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cond sensing unit shown in FIG. 5.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ive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whe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열차의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EA1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EA2 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4는 철도 차량의 곡선부 주행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of a freight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EA1 area shown in Figure 1, and Figure 3 is shown in Figure 1. This is an enlarged view of the EA2 area, and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urved driving state of the railway vehicl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화물(100)을 수송하는 화물 열차는 차량의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차(도시하지 않음)와 화물(100)을 실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0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4, a freight train transporting cargo 100 includes a power car (not shown) that provides power to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freight transport railway vehicle capable of carrying cargo 100 ( 200).

철도 차량(200)의 내부에는 화물(100)의 이송, 화물(100)의 배치 상태 조절, 화물(100)의 고정을 위한 체결 부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The interior of the railway vehicle 200 may be provided with fastening members for transporting the cargo 100, controlling the arrangement of the cargo 100, and fixing the cargo 100.

물류 처리 대상이 되는 화물(100)은 카고 트럭일 수 있다. 한편, 물류 처리 대상이 되는 화물(100)로, 카고 트럭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물류 처리 대상이 되는 화물(100)은 ULD(Unit load device) 형태의 컨테이너에 이송 대상 화물이 적재된 상태이거나, 팔레트 단위로 패키징된 화물일 수 있다. Cargo 100 subject to logistics processing may be a cargo truck. Meanwhile, the cargo 100 subject to logistics processing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argo truck,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cargo 100 subject to logistics processing may be cargo to be transported loaded in a ULD (Unit load device) type container, or cargo packaged in pallet units.

또한, 화물 적재 공간은 화물 처리를 위하여 화물(100)을 임시 보관하는 화물 터미널 또는 레일포트(railport)와 같은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타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화물 적재 공간에 이송된 화물(100)은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으로 전달되어 외부 지역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을 통해 화물 적재 공간에 이송된 화물(100)은 타 교통 수단을 통해 외부 지역으로 이송될 수 있다. 화물 적재 공간에는 이러한 다양한 물류 처리 작업을 위한 중앙 관제 시스템, 물류 처리 장치 등이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argo loading space may refer to a space such as a cargo terminal or railport where cargo 100 is temporarily stored for cargo processing. Cargo 100 transported to the cargo loading space using other transport means may be transferred to a railway vehicle for cargo transport and transported to an external area. In addition, cargo 100 transported to the cargo loading space through a railroad car for cargo transport may be transported to an external area through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A central control system and logistics processing devices for various logistics processing tasks may be placed in the cargo loading space.

화물(100)은 철도 차량(200)에 고정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카고 트럭과 같은 화물(100)은 복수의 결박 와이어(210)와 복수의 고정 쐐기(220)를 통하여 철도 차량(2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결박 와이어(210)는 화물(100)의 전방 및 후방과 철도 차량(200)을 연결하여 화물(100)을 고정할 수 있다. 특히, 화물(100)이 카고 트럭과 같은 차량인 경우, 결박 와이어(210)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샤시 프레임 또는 휠과 철도 차량을 연결할 수 있다. Cargo 100 may be transported while being fixed to the railway vehicle 200. Here, cargo 100, such as a cargo truck, may be fixed to the railroad car 200 through a plurality of binding wires 210 and a plurality of fixing wedges 220. Here, the binding wire 210 can connect the front and rear of the cargo 100 and the railroad car 200 to secure the cargo 100. In particular, when the cargo 100 is a vehicle such as a cargo truck, the binding wire 210 may connect the chassis frame or wheels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and the railroad car.

화물(100)이 카고 트럭과 같은 차량인 경우, 고정 쐐기(220)는 차량의 전방 및 후방의 휠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어 화물(100)을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쐐기(220)는 연결 고리와 같은 체결 부재를 통하여 철도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When the cargo 100 is a vehicle such as a cargo truck, the fixing wedges 220 may be disposed in front and rear of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vehicle to secure the cargo 100. Here, the fixing wedge 220 may be fixed to the railway vehicle throug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connecting ring.

또한, 철도 차량(200)은 곡선부 주행 또는 교행 시에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Additionally, the railway vehicle 200 may be inclin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when driving or crossing a curved area.

한편, 화물 열차의 철도 차량(200)은 운행 중 다양한 요소, 특히 외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철도 차량(200)은 경도 관성력, 횡축 관성력, 수직 관성력, 풍력, 및 마찰력과 같은 동적 요소와 같은 외력에 의해 동작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Meanwhile, the railroad car 200 of a freight train may b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especially external forces, dur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railway vehicle 200 may be affected in its operation by external forces such as longitudinal inertia force, lateral inertia force, vertical inertia force, wind force, and dynamic factors such as friction force.

경도 관성력은 화물 열차가 주행으로서 위치 변화가 발생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도 관성력은 화물 열차의 시동, 가속, 정지 및 충돌시 발생할 수 있다. Longitudinal inertial forces can occur when a change in position occurs as a freight train moves. For example, longitudinal inertial forces can occur when a freight train starts, accelerates, stops, and crashes.

횡축 관성력은 화물 열차의 주행 방향이 변화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횡축 관성력은 화물 열차의 곡선부 주행 및 턴아웃(Turnout)시 발생할 수 있다. Transverse inertia can occur when the direction of travel of a freight train changes. For example, transverse inertial force can occur when a freight train drives on a curve or turns out.

또한, 횡축 관성력은 화물 열차가 레일 교차로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횡축 관성력은 열차가 레일 교차로를 이동하는 경우, 화물 열차의 흔들림, 또는 화물(100)의 횡축 방향 흔들림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Additionally, transverse inertial forces can also occur when a freight train moves through a rail intersection. For example, the lateral inertial force may be generated when a train moves through a rail intersection, by shaking of a freight train, or by shaking of the cargo 100 in the lateral direction.

수직 관성력은 철도 차량(200)의 롤링과 바운싱에서의 교란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 관성력은 철도 차량(200)의 레일 이음부 또는 분기기 통과시 요동과 함께 발생할 수 있다.Vertical inertia force may be generated by disturbances in the rolling and bouncing of the railway vehicle 200. For example, vertical inertial forces may occur with fluctuations when the railroad car 200 passes through a rail joint or turnout.

풍력은 화물 열차의 주행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풍력은 철도 차량(200)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철도 차량(200)을 밀어내는 반작용일 수 있다. Wind power can be generated when freight trains are running. For example, wind power may be a reaction force that pushes the railroad car 200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railroad car 200.

마찰력은 철도 차량(200)의 바닥과 열차의 바퀴 표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찰력은 화물 열차의 주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다. Friction forces may occur on the floor of the railway vehicle 200 and on the wheel surfaces of the train. For example, the friction force may occur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freight train.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300)은 철도 차량(200)의 화물(100)의 고정 상태, 외력 상태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물(100)의 기울어짐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300)은 각종 센서와 카메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300 for freight cars can monitor the fixation status of the cargo 100 of the railroad car 200, the state of external force, or the inclination of the cargo 100 as shown in FIG. 4 . The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300 for freight cars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and cameras.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300)은 화물의 체결 상태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화물(100)의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각 화물 이송용 철도 차량(200)의 화물 외력 상태 정보를 저장하고, 화물(1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화물 외력 상태 정보는 각 화물의 식별 정보, 각 화물이 배치된 철도 차량(200)의 식별 정보, 화물(100)의 철도 차량(200) 에서의 체결 위치 및 각 화물의 체결 시점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300 for freight cars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fastening status of the cargo, a memory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monitoring the status of the cargo 100, and a processor executing the computer program. It can be included. In addition, the processor stores the cargo external force status information of each cargo transport railway vehicle 200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computer program, and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status of the cargo 100 through the monitor. there is. Here, the cargo external force status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carg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ailroad car 200 on which each cargo is placed, fastening position of the cargo 100 in the railroad car 200, and information about the fastening time of each cargo. Contains one or more of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FIG. 5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shown in FIG. 1, FIG.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first sensing unit shown in FIG. 5, and FIG. 7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first sensing unit shown in FIG. 5. This is a block diagram to explain the second sensing unit.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300)은 제1 센싱부(310), 제2 센싱부(320), 촬영부(330), 전원부(340), 제어부(350) 및 디스플레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싱부(310), 제2 센싱부(320), 촬영부(330) 및 전원부(340)는 각 철도 차량(200)에 마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5 to 7, the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300 for a freight car includes a first sensing unit 310, a second sensing unit 320, a photographing unit 330, a power unit 340, and a control unit 350. ) and a display unit 360. Here, the first sensing unit 310, the second sensing unit 320, the photographing unit 330, and the power supply unit 340 may be provided in each railway vehicle 200.

제1 센싱부(310)는 철도 차량(200)에 배치된 화물(100)에 작용하는 외력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센싱부(310)는 철도 차량(200)의 출발 시점부터 직선 주행시에 나타나는 각종 물적 변화 요소를 센싱하여, 물적 변화 요소 각각의 변위를 실시간 검출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unit 310 can detect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argo 100 placed on the railroad car 200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first sensing unit 310 can sense various physical change elements that appear when the railway vehicle 200 is traveling in a straight line from the start of the train, and detect the displacement of each physical change element in real time.

제1 센싱부(310)는 철도 차량(200)의 출발 시점부터 발생하는 물적 변화 요소들을 감지하며, 물적 변화 요소들 각각의 변동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싱부(310)는 거리 센서(311), 장력 센서(312), 화물용 지자기 센서(313), 화물용 변위 센서(314) 및 화차 변위 센서(31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ensing unit 310 detects physical change factors that occur from the point of departure of the railway vehicle 200, and can detect the amount of change in each physical change factor in real time. The first sensing unit 310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311, a tension sensor 312, a geomagnetic sensor 313 for cargo, a displacement sensor 314 for cargo, and a displacement sensor 315 for freight cars.

거리 센서(311)는 기준 위치와 화물(1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제어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거리 센서(311)에 의해 감지된 화물(100)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350)는 디스플레이부(360)에 위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The distance sensor 311 may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cargo 100 and transmit the distance to the control unit 350. If the position of the cargo 100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or 311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the control unit 350 may display a danger signal on the display unit 360.

장력 센서(312)는 화물(100)을 철도 차량(200)에 고정하기 하기 위한 결박 와이어(210)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인가되는 장력을 감지하여 제어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결박 와이어(210)에 인가되는 장력은 풍압의 변화 및 급격한 충격 등에 따른 화물의 유동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장력 센서(312)에서 감지된 결박 와이어(210)의 장력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350)는 디스플레이부(360)에 위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The tension sensor 312 may detect the tension applied to a fastening member such as the binding wire 210 for fixing the cargo 100 to the railroad car 20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50. Here, the tension applied to the binding wire 210 may change due to the flow of cargo due to changes in wind pressure or sudden impacts. Accordingly, if the tension of the binding wire 210 detected by the tension sensor 312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the control unit 350 may display a danger signal on the display unit 360.

화물용 지자기 센서(313)는 화물(100)의 배치 방향 등에 관한 방위를 검출하여 제어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화물용 지자기 센서(313)에서 감지된 화물(100)의 배치 방향과 철도 차량(200)의 진행 방향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350)는 디스플레이부(360)에 위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The cargo geomagnetic sensor 313 can detect the orientation of the cargo 100, etc.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50.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placement direction of the cargo 100 detected by the cargo geomagnetic sensor 313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ailroad car 200, the control unit 350 may display a danger signal on the display unit 360. there is.

화물용 변위 센서(314)는 화물(100)의 변위를 감지하여, 제어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화차 변위 센서(315)는 철도 차량(200)의 변위를 감지하여, 제어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displacement sensor 314 for cargo can detect the displacement of the cargo 10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50. In addition, the freight car displacement sensor 315 can detect the displacement of the railroad car 20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50.

제어부(350)는 화물용 변위 센서(314)에서 감지한 화물(100)의 변위와 화차 변위 센서(315)에서 감지한 철도 차량(200)의 변위를 비교하며, 화물(100)의 변위량과 철도 차량(200)의 변위량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350)는 디스플레이부(360)에 위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50 compares the displacement of the cargo 100 detected by the cargo displacement sensor 314 and the displacement of the railroad car 200 detected by the freight car displacement sensor 315, and compares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cargo 100 and the railroad car 200. If the difference in displacement of the vehicle 200 is outside a preset normal range, the control unit 350 may display a danger signal on the display unit 360.

제2 센싱부(320)는 철도 차량(200)에 배치된 화물(100)에 작용하는 외력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센싱부(320)는 철도 차량(200)의 곡선 주행 또는 교행시 발생하는 물적 변화 요소를 센싱하여 각각의 변위를 검출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ing unit 320 can detect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argo 100 placed on the railroad car 200 in real time. For example, the second sensing unit 320 may detect each displacement by sensing physical change elements that occur when the railroad car 200 travels on a curve or crosses the road.

제2 센싱부(320)는 풍압 센서(321), 진동 센서(322), 원심력 측정 센서(323), 3축 변위 센서(324) 및 중력 센서(32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sensing unit 320 may include a wind pressure sensor 321, a vibration sensor 322, a centrifugal force measurement sensor 323, a three-axis displacement sensor 324, and a gravity sensor 325.

풍압 센서(321)는 철도 차량(200)의 정면 및 측면에서 발생한 풍압을 감지하여, 제어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풍압 센서(321)에서 감지한 풍압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350)는 디스플레이부(360)에 위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The wind pressure sensor 321 can detect wind pressure generated from the front and sides of the railway vehicle 20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50. If the wind pressure detected by the wind pressure sensor 321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the control unit 350 may display a danger signal on the display unit 360.

진동 센서(322)는 화물(100)의 상하좌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제어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진동 센서(322)에서 감지한 화물(100)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350)는 디스플레이부(360)에 위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The vibration sensor 322 can detect vibration occurring from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rgo 10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50. If the vibration of the cargo 100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or 322 is outside a preset normal range, the control unit 350 may display a danger signal on the display unit 360.

원심력 측정 센서(323)는 화물(100)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을 감지하여, 제어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원심력 측정 센서(323)에서 감지한 화물(100)의 원심력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350)는 디스플레이부(360)에 위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The centrifugal force measurement sensor 323 can detect centrifugal force generated from the cargo 10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50. If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cargo 100 detected by the centrifugal force measurement sensor 323 is outside a preset normal range, the control unit 350 may display a danger signal on the display unit 360.

3축 변위 센서(324)는 철도 차량(200)의 곡선 주행 또는 교행시의 횡풍에 의한 화물(100)의 3축 변위를 감지하여, 제어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력 센서(325)는 중력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three-axis displacement sensor 324 can detect the three-axis displacement of the cargo 100 caused by cross wind when the railroad car 200 travels on a curve or crosses the road,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350. Additionally, the gravity sensor 325 can detect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50.

제어부(350)는 3축 변위 센서(324)에서 감지한 3축 변위와 중력 센서(325)에서 감지한 중력 방향에 의해 화물(100)의 기울어짐을 판단할 수 있다. 화물(100)의 기울어짐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350)는 디스플레이부(360)에 위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50 may determine the tilt of the cargo 100 based on the 3-axis displacement detected by the 3-axis displacement sensor 324 and the direction of gravity detected by the gravity sensor 325. If the inclination of the cargo 100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the control unit 350 may display a danger signal on the display unit 36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센싱부(310)와 제2 센싱부(320)가 분리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센싱부(310) 및 제2 센싱부(320)의 모든 센서들이 하나의 센서부로 통합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first sensing unit 31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320 are separat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ll sensors of the first sensing unit 31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320 may be integrated into one sensor unit.

촬영부(330)는 화물(100)의 현황 상태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350)로 전송할 수 있다. 촬영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영부(330)는 제1 카메라(331) 및 제2 카메라(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331) 및 제2 카메라(335)는 주간 및 야간 모두 영상을 촬영하여 적외선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331) 및 제2 카메라(335) 중 하나는 화물(1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카메라(331) 및 제2 카메라(335) 중 다른 하나는 화물(1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unit 330 can capture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go 100 and transmit the captured image to the control unit 350. The photographing unit 330 may include at least one camera. For example, the photographing unit 330 may include a first camera 331 and a second camera 335. The first camera 331 and the second camera 335 can be implemented as infrared cameras by capturing images both during the day and at night. One of the first camera 331 and the second camera 335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cargo 100, and the other of the first camera 331 and the second camera 335 may be located in the front of the cargo 100. It can be placed at the rear to capture video.

전원부(340)는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300)의 제1 센싱부(310), 제2 센싱부(320) 및 촬영부(3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340 may supply power to the first sensing unit 310, the second sensing unit 320, and the photographing unit 330 of the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300 for a freight car.

전원부(340)는 전원 공급부(341), 제1 전원 변환기(343) 및 제2 전원 변환기(34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340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341, a first power converter 343, and a second power converter 347.

전원 공급부(341)는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300)의 제1 센싱부(310), 제2 센싱부(320) 및 촬영부(3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AC 전원을 제1 센싱부(310), 제2 센싱부(320) 및 촬영부(33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전원 공급부(341)가 AC 전원을 공급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원 공급부(341)는 DC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341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sensing unit 310, the second sensing unit 320, and the photographing unit 330 of the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300 for freight cars, and provides AC power. It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sensing unit 310, the second sensing unit 320, and the photographing unit 330.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power supply unit 341 supplies AC power,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341 may supply DC power.

제1 전원 변환기(343)는 전원 공급부(341)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1 센싱부(310) 및 제2 센싱부(320)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공급부(341)에서 공급된 AC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거나, 전압을 변환하여 제1 센싱부(310) 및 제2 센싱부(320)로 제1 전원 허브(345)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원 허브(345)는 일종의 스위칭 허브 또는 POE 허브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power converter 343 may convert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41 into power suitable for the first sensing unit 31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320. For example, the A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41 may be converted into direct current, or the voltage may be conver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sensing unit 31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320 through the first power hub 345. You can. Here, the first power hub 345 may be implemented as a type of switching hub or POE hub.

제2 전원 변환기(347)는 전원 공급부(341)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촬영부(330)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 공급부(341)에서 공급된 AC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거나, 전압을 변환하여 촬영부(330)로 제2 전원 허브(349)를 통하여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원 허브(349)는 일종의 스위칭 허브 또는 POE 허브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econd power converter 347 can conver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41 into power suitable for the photographing unit 330. For example, AC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341 can be converted into direct current, or the voltage can be converted and transmitted to the imaging unit 330 through the second power hub 349. Here, the second power hub 349 may be implemented as a type of switching hub or POE hub.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부(340)가 철도 차량(200)에 마련됨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원부(340)는 동력차에 마련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power supply unit 340 is provided in the railroad car 200,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340 may be provided in a power vehicle.

제어부(350)는 제1 센싱부(310), 제2 센싱부(320), 촬영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6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50 can control the first sensing unit 310, the second sensing unit 320, the photographing unit 330, and the display unit 360.

예를 들면, 제어부(350)는 제1 센싱부(310) 및 제2 센싱부(320)의 동작을 제어하며, 제1 센싱부(310) 및 제2 센싱부(320)에서 검출된 센싱 값을 취합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50)는 취합된 센싱 값을 디스플레이부(360)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부(36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50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first sensing unit 31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320, and the sensing values detected by the first sensing unit 31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320 can be collected.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350 may transmit the collected sensing values to the display unit 360 and display them on the display unit 360.

한편, 제어부(350)는 촬영부(330)의 제1 카메라(331) 및 제2 카메라(335)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6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350 may display images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331 and the second camera 335 of the photographing unit 330 on the display unit 360.

디스플레이부(360)는 제1 센싱부(310) 및 제2 센싱부(320)에서 검출된 센싱 값과 촬영부(33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각종 위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60)는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360 can display sensing values detected by the first sensing unit 31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320 and images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330, and can display various danger signals. . The display unit 360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monitor.

한편,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300)은 제1 센싱부(310), 제2 센싱부(320), 촬영부(330), 제어부(350) 및 디스플레이부(360)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부재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구성들의 위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Meanwhile, the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300 for freight cars transmits signals between the first sensing unit 310, the second sensing unit 320, the photographing unit 330, the control unit 350, and the display unit 360.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ember (not shown) for this purpose. The communication member can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locations of components that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예를 들면, 제1 센싱부(310), 제2 센싱부(320) 및 촬영부(330)가 철도 차량에 마련되고, 제어부(350) 및 디스플레이부(360)가 동력차에 마련되는 경우, 제1 센싱부(310), 제2 센싱부(320) 및 촬영부(330)와 제어부(350)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며, 제어부(350) 및 디스플레이부(360)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nsing unit 310, the second sensing unit 320, and the photographing unit 330 are provided in a railroad car, and the control unit 350 and the display unit 360 are provided in a power car, the first The first sensing unit 310, the second sensing unit 320, the photographing unit 330, and the control unit 350 may be connec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control unit 350 and the display unit 360 may be connected through wired communication.

또한, 제1 센싱부(310), 제2 센싱부(320), 촬영부(330) 및 제어부(350)가 철도 차량에 마련되고, 디스플레이부(360)가 동력차에 마련되는 경우, 제1 센싱부(310), 제2 센싱부(320) 및 촬영부(330)와 제어부(350)는 유선 통신으로 연결되며, 제어부(350) 및 디스플레이부(360)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sensing unit 310, the second sensing unit 320, the photographing unit 330, and the control unit 350 are provided in a railway vehicle, and the display unit 360 is provided in a power car, the first sensing unit 360 is provided in a power car. The unit 310, the second sensing unit 320, the photographing unit 330, and the control unit 350 may be connected through wired communication, and the control unit 350 and the display unit 360 may be connected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300)은 제1 센싱부(310)를 통하여 철도 차량(200)의 출발 시점부터 직선 주행시에 나타나는 각종 물적 변화 요소를 센싱하고, 제2 센싱부(320)를 통하여 철도 차량(200)의 곡선 주행 또는 교행시 발생하는 물적 변화 요소를 센싱하여 디스플레이부(360)에 위험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The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300 for freight cars as described above senses various physical change factors that appear when driving in a straight line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railroad car 200 through the first sensing unit 310, and the second sensing unit ( 320), a danger signal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60 by sensing physical change elements that occur when the railway vehicle 200 travels on a curve or crosses the road.

또한,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300)은 촬영부(330)를 통하여 화물(100)의 현황 상태를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60)에 표시함으로써, 화차를 운행하는 운전자가 화물(100)의 현황 상태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rgo fixing status monitoring system 300 for freight cars displays an image captured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go 100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330 on the display unit 360, so that the driver operating the freight car can view the cargo (100). ) You can check whether the current status is abnormal.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조합한 것이나 상기 실시예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을 조합한 것을 새로운 실시예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t least two or more of the above embodiment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above embodiments and known techniques as a new embodiment. Of cours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the purpose of specifically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ould be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clear by the appended claims.

100: 화물 200: 철도 차량
210: 결박 와이어 220: 고정 쐐기
300: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310: 제1 센싱부
311: 거리 센서 312: 장력 센서
313: 화물용 지자기 센서 314: 화물용 변위 센서
315: 화차 변위 센서 320: 제2 센싱부
321: 풍압 센서 322: 진동 센서
323: 원심력 측정 센서 324: 3축 변위 센서
325: 중력 센서 330: 촬영부
331: 제1 카메라 335: 제2 카메라
340: 전원부 341: 전원 공급부
343: 제1 전원 변환기 345: 제1 전원 허브
347: 제2 전원 변환기 349: 제2 전원 허브
350: 제어부 360: 디스플레이부
100: Cargo 200: Railroad vehicle
210: Binding wire 220: Fixing wedge
300: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310: First sensing unit
311: distance sensor 312: tension sensor
313: Geomagnetic sensor for cargo 314: Displacement sensor for cargo
315: freight car displacement sensor 320: second sensing unit
321: wind pressure sensor 322: vibration sensor
323: centrifugal force measurement sensor 324: 3-axis displacement sensor
325: Gravity sensor 330: Photographing unit
331: first camera 335: second camera
340: power unit 341: power supply unit
343: first power converter 345: first power hub
347: second power converter 349: second power hub
350: Control unit 360: Display unit

Claims (8)

삭제delete 삭제delete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철도 차량의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철도 차량의 출발 시점부터 직선 주행시에 나타나는 상기 화물의 물적 변화 요소를 센싱하여 상기 화물에 작용하는 외력을 검출하는 제1 센싱부;
상기 철도 차량의 곡선 주행시 또는 교행시 발생하는 물적 변화 요소를 센싱하여 상기 화물에 작용하는 외력을 검출하는 제2 센싱부;
상기 화물을 현황 상태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제1 센싱부, 상기 제2 센싱부 및 상기 촬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에서 검출된 센싱값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화물의 현황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센싱부, 상기 제2 센싱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결박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화물의 전방 및 후방이 상기 철도 차량에 연결 고정되고,
상기 철도 차량에 연결 고정된 복수의 고정 쐐기를 통하여 상기 화물의 전방 및 후방이 고정되고,
상기 제1 센싱부는
기준 위치와 상기 화물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거리 센서;
상기 결박 와이어에 인가되는 장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장력 센서;
상기 화물의 배치 방향에 관한 방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화물용 지자기 센서;
상기 화물의 변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화물용 변위 센서; 및
상기 철도 차량의 변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화차 변위 센서를 포함하는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In the cargo securing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of one or more railway vehicles for transporting cargo,
A first sensing unit that detects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argo by sensing physical change elements of the cargo that appear when the railway vehicle travels in a straight line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railway vehicle;
a second sensing unit that detects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argo by sensing physical change factors that occur when the railway vehicle travels on a curve or crosses the road;
a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camera to photograph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go;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first sensing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photographing unit;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sensing values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and the current status of cargo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sensing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The front and rear of the cargo are connected and fixed to the railroad car through a plurality of binding wires,
The front and rear of the cargo are fixed through a plurality of fixing wedge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railway vehicle,
The first sensing unit
a distance sensor that detects the distance between a reference position and the cargo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 tension sensor that detects tension applied to the binding wir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 geomagnetic sensor for cargo that detects the orientation of the cargo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 displacement sensor for cargo that detects displacement of the cargo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nd
A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including a freight car displacement sensor that detects displacement of the railway vehicl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화물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장력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결박 와이어의 장력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화물용 지자기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화물의 배치 방향과 상기 철도 차량의 진행 방향의 차이가 발생하거나, 상기 화물용 변위 센서에서 감지한 화물의 변위와 상기 화차 변위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철도 차량의 변위를 비교하여 상기 화물의 변위량과 상기 철도 차량의 변위량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위험 신호를 표시하는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3,
The position of the cargo detected by the distance sensor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the tension of the binding wire detected by the tension sensor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or the cargo detected by the cargo geomagnetic sensor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When a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railroad car, the displacement of the cargo detected by the cargo displacement sensor is compared with the displacement of the railroad car detected by the freight car displacement sensor, and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cargo and the railroad car are compared. If the difference in displacement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A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where the control unit displays a danger signal on the display unit.
화물을 이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철도 차량의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철도 차량의 출발 시점부터 직선 주행시에 나타나는 상기 화물의 물적 변화 요소를 센싱하여 상기 화물에 작용하는 외력을 검출하는 제1 센싱부;
상기 철도 차량의 곡선 주행시 또는 교행시 발생하는 물적 변화 요소를 센싱하여 상기 화물에 작용하는 외력을 검출하는 제2 센싱부;
상기 화물을 현황 상태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촬영부;
상기 제1 센싱부, 상기 제2 센싱부 및 상기 촬영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제1 센싱부 및 상기 제2 센싱부에서 검출된 센싱값과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화물의 현황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센싱부, 상기 제2 센싱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싱부는
곡선 주행 또는 교행 시에, 상기 철도 차량의 정면 및 측면에서 발생한 풍압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풍압 센서;
상기 화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진동 센서;
상기 화물에서 발생하는 원심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원심력 측정 센서;
상기 철도 차량의 곡선 주행 또는 교행 시의 횡풍에 의해 상기 화물의 3축 변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3축 변위 센서; 및
중력 방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중력 센서를 포함하는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In the cargo securing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of one or more railway vehicles for transporting cargo,
A first sensing unit that detects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argo by sensing physical change elements of the cargo that appear when the railway vehicle travels in a straight line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railway vehicle;
a second sensing unit that detects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argo by sensing physical change factors that occur when the railway vehicle travels on a curve or crosses the road;
a photograph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camera to photograph the current status of the cargo;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power to the first sensing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and the photographing unit;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sensing values det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sensing units and the current status of cargo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first sensing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the photographing unit, and the display unit,
The second sensing unit
A wind pressure sensor that detects wind pressure generated from the front and sides of the railway vehicle when driving on a curve or crossing a intersection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 vibration sensor that detects vibration occurring in the cargo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 centrifugal force measurement sensor that detects centrifugal force generated from the cargo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 3-axis displacement sensor that detects 3-axis displacement of the cargo due to cross wind when the railway vehicle travels on a curve or crosses the roa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nd
A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that includes a gravity sensor that detects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 센서에서 감지한 풍압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진동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화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원심력 측정 센서에서 감지한 상기 화물의 원심력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기 3축 변위 센서에서 감지한 3축 변위와 상기 중력 센서에서 감지한 중력 방향에 의해 상기 화물의 기울어짐이 기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위험 신호를 표시하는 화차용 화물 고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The wind pressure detected by the wind pressure sensor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the vibration of the cargo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or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or the centrifugal force of the cargo detected by the centrifugal force measurement sensor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If it is out of range or the tilt of the cargo is outside the preset normal range due to the 3-axis displacement detected by the 3-axis displacement sensor and the gravity direction detected by the gravity sensor,
A cargo fixation status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cars where the control unit displays a danger signal on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150880A 2020-11-09 2021-11-04 Cargo fixe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trains KR10262920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48880 2020-11-09
KR1020200148880 2020-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094A KR20220063094A (en) 2022-05-17
KR102629206B1 true KR102629206B1 (en) 2024-01-29

Family

ID=8179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0880A KR102629206B1 (en) 2020-11-09 2021-11-04 Cargo fixe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trai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20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4173A (en) * 2017-03-16 2020-05-21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obile fulfillment center with intermodal carriers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772A (en) * 1996-10-23 1998-05-12 Masaaki Miura Automobile unloading device for freight car and unloading method
KR101720727B1 (en) * 2015-06-01 2017-04-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ystem for monitoring fastening condition of freight of freight railvehicle and method for monitoring freight rail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4173A (en) * 2017-03-16 2020-05-21 アマゾン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obile fulfillment center with intermodal carriers and unmanned aerial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3094A (en)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5428B2 (en) Integrated systems for passenger bus
US11572084B2 (en) Integrated systems for passenger bus
US20220024603A1 (en) Self-Propelled Airside Dolly, Baggage Handling System, Baggage Handling Facility, and Related Apparatus and Methods
KR101164144B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total train
EP3710305A1 (en) Retention and loading and unloading in high speed transportation systems
CN110091683A (en) Vehicle
US11927958B2 (en) Automatic traveling vehicle and storage facility thereof
JP2008269048A (en) Image recording device for vehicle
KR102629206B1 (en) Cargo fixe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for freight trains
CN111746452B (en) Autonomous vehicle
WO2021133919A1 (en) Vehicle battery assembly systems and methods
US20070051856A1 (en) Rail-guided transport system
KR101353047B1 (en) Vsdt device for vehicle monitoring
CN107323238A (en) A kind of single two-way AGV transport vehicles buffer-type drive mechanism of drive
KR20130141112A (en) Safety driv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JP2020131865A (en) Safety monitoring device and safety monitoring method
KR101720727B1 (en) System for monitoring fastening condition of freight of freight railvehicle and method for monitoring freight railvehicle
CN103832506B (en) A kind of vehicle
JP2003165381A (en) Load displacement detection system for onboard cargo
CN206330648U (en) A kind of contactless tank car infrared thermal imaging liquid level on-line detecting system
CN108284866A (en) Motor-driven shopping cart
KR101140359B1 (en) Trailer Positioning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a container
JP7465663B2 (en) Measurement equipment
JP6964773B2 (en) Train control
CA3132143C (en) Integrated systems for passenger b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