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159B1 - 알킬화에서 역 산 및 탄화수소 캐스케이딩 - Google Patents

알킬화에서 역 산 및 탄화수소 캐스케이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159B1
KR102629159B1 KR1020207034196A KR20207034196A KR102629159B1 KR 102629159 B1 KR102629159 B1 KR 102629159B1 KR 1020207034196 A KR1020207034196 A KR 1020207034196A KR 20207034196 A KR20207034196 A KR 20207034196A KR 102629159 B1 KR102629159 B1 KR 102629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ation
zone
isoparaffins
olefin
alkylation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7036A (ko
Inventor
잔 리우
피터 로에조스
재클린 메디나
로메인 르모인
Original Assignee
루머스 테크놀로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머스 테크놀로지 엘엘씨 filed Critical 루머스 테크놀로지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13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1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9/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with other chemicals
    • C10G29/20Organic compounds not containing metal atoms
    • C10G29/205Organic compounds not containing metal atoms by reaction with hydrocarbons added to the hydrocarbon oi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 C07C2/54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smaller number of carbon atoms by addition of unsaturated hydrocarbons to saturated hydrocarbons or to hydrocarbons contain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with no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
    • C07C2/56Addition to acyclic hydrocarbons
    • C07C2/58Catalytic processes
    • C07C2/62Catalytic processes with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0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19/0013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0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19/002Avoiding undesirable reactions or side-effects, e.g. avoiding explosions, or improving the yield by suppressing side-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53Details of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1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of the pulsat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30Loose or shaped packing elements, e.g. Raschig rings or Berl saddles, for pouring into the apparatus for mass or heat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B01J27/02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7/00Purification; Separation; Use of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5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plac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02Chemical plants
    • B01J2219/00027Process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02Chemical plants
    • B01J2219/00042Features relating to reactants and process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64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controlling the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245Avoiding undesirable reactions or side-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277Apparatus
    • B01J2219/00279Features relating to reactor vessels
    • B01J2219/00306Reactor vessels in a multiple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277Apparatus
    • B01J2219/00452Means for the recovery of reactants o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718Type of compounds synthesised
    • B01J2219/0072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C07C2527/02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C07C2527/03Acids of sulfur other than sulfhydric acid or sulfuric acid, e.g. halosulfon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27/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r compounds of halogens, sulfur, selenium, tellurium, phosphorus or nitrogen; Catalysts comprising carbon compounds
    • C07C2527/02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C07C2527/053Sulfates or other compounds comprising the anion (SnO3n+1)2-
    • C07C2527/054Sulfuric acid or other acids with the formula H2Sn03n+1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81Alk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88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88Olefins
    • C10G2300/1092C2-C4 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40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deviating from typical ways of processing
    • C10G2300/4081Recycling asp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400/00Products obtained by processes covered by groups C10G9/00 - C10G69/14
    • C10G2400/02Gasol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역 방향으로 흐르는 산 및 탄화수소를 포함한 캐스케이드 반응기 계획. 본원에서 올레핀의 알킬화를 위한 시스템 및 공정은 제1 올레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및 제2 올레핀을 제2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소파라핀은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이소파라핀 및 제1 올레핀은 제1 알킬화 구역에서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하여 폐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탄화수소 상 및 제2 올레핀은 제2 알킬화 구역에서 황산 공급과 접촉하여, 또한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탄화수소 상은 분리되어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이 회수될 수 있다.

Description

알킬화에서 역 산 및 탄화수소 캐스케이딩
본 발명은 황산의 존재 하에 이소파라핀을 사용한 올레핀의 알킬화를 위한 시스템 및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이소파라핀-올레핀 알킬화 공정은 고옥탄가를 가지는 고도로 분지된 탄화수소의 제조에 대한 핵심 경로이다. 알킬화는 예컨대, 출발 물질보다 높은 옥탄가의 파라핀을 생성하고 가솔린 범위에서 끓는 강산의 존재 하에 파라핀, 보통 이소파라핀과 올레핀의 반응이다. 석유 정제에서, 알킬화 반응은 일반적으로 C3 내지 C5 올레핀의 이소부탄 및/또는 이소펜탄과의 반응이다. 정제 알킬화에서, 보통 플루오르화수소산 또는 황산 촉매가 사용된다. 전형적인 공정에서, 반응은 탄화수소 반응물이 연속 산 상에 분산되는 반응기에서 수행된다.
알킬화 공정 중에, 물, 산 가용성 오일(ASO) 및 올레핀 반응으로부터의 기타 화학적 중간체가 산을 희석시킨다. 그러므로, 원하는 산 농도를 유지하고 물, ASO 및 산 가용성 중간체를 퍼지하기 위하여 연속 산 흐름이 필요하다. 산 소비(acid consumption)를 저하시키고 산-취급 및 폐산 재생과 관련된 작동 비용을 줄이기 위한 강력한 필요성이 있다.
또한 알킬화 공정 중에, 알킬 설페이트가 형성된다. 만약 설페이트가 제거되지 않으면, 그것은 하류 장비에서 부식 및 파울링을 유발할 것이고, 또한 알킬레이트 생성물 중에 높은 황의 원인이 될 것이다.
본원의 구현예는 황산의 존재 하에 이소파라핀을 사용한 올레핀의 알킬화를 위한 시스템 및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구현예는 올레핀이 별도의 반응기에서 처리되고, 이때 역방향으로 반응기 사이에서 산 및 탄화수소 캐스케이딩이 일어나는 알킬화 공정 계획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구현예는 산 소비를 저하시키고, 알킬레이트 옥탄을 증가시키며, 유틸리티 요구조건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생성되는 알킬레이트 생성물 중의 황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측면으로,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는 C3 내지 C5 탄화수소로부터 알킬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에 관한 것이다. 올레핀의 알킬화 공정은 제1 올레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제2 올레핀을 제2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2 올레핀은 제1 올레핀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것인 단계;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이소파라핀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소파라핀 및 제1 올레핀은 제1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하여 폐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탄화수소 상 및 제2 올레핀은 제2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황산 공급과 접촉하여 알킬레이트 및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로, 제2 탄화수소 상은 분리되어 이소파라핀 부분과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이 회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보다 크다. 다른 구현예에서, 제1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의 적어도 1.5배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1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의 적어도 1.75배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제1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의 적어도 2배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알킬화 구역에서의 알킬화 조건은 제2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 미만인 제1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를 포함한다. 제1 올레핀은 C3 및/또는 C4 및/또는 C5 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올레핀은 C3 및/또는 C4 및/또는 C5 올레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의 공정은 제2 알킬화 구역에 이소파라핀을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본원의 공정은 제1 알킬화 구역에 직접 산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는 C3 내지 C5 탄화수소로부터 알킬레이트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올레핀의 알킬화 공정은 C5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C4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2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및 C3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3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소파라핀은 제1 알킬화 반응기에 제공될 수 있다. 이소파라핀 및 C5 올레핀은 제1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제2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하여 폐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탄화수소 상 및 C4 올레핀은 제2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제1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하여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2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탄화수소 상 및 C3 올레핀은 제3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새로운 황산 공급과 접촉하여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3 탄화수소 상, 및 제2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1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탄화수소 상은 분리되어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이 회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보다 클 수 있고,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3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보다 클 수 있다(IR1:OR1 > IR2:0R2 > IR3:0R3). 다른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알킬화 구역에서의 알킬화 조건은 제2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 미만인 제1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를 포함하고, 제2 및 제3 알킬화 구역에서의 알킬화 조건은 제3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 미만인 제2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를 포함한다(TR1 > TR2 > TR3).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의 공정은 제2 알킬화 구역 및/또는 제3 알킬화 구역에 이소파라핀을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본원의 공정은 제1 알킬화 구역 및/또는 제2 알킬화 구역에 산을 직접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공정은 제3 알킬화 구역에 대한 총 산 공급을 위한 산 강도(acid strength) 미만으로 제1 알킬화 구역에 대한 총 산 공급에 대한 산 강도를 유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 측면으로,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는 C3 내지 C5 탄화수소로부터 알킬레이트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이다. 올레핀의 알킬화 공정은 C5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C4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2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C3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3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및 이소파라핀을 제1 알킬화 반응기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소파라핀 및 C5 올레핀은 제1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제1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하여 제2 부분 사용 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탄화수소 상 및 C4 올레핀은 제2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제2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하여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사용된 황산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탄화수소 상 및 C3 올레핀은 제3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새로운 황산 공급과 접촉하여,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3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1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탄화수소 상은 분리되어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이 회수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는 C3 내지 C5 탄화수소로부터 알킬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올레핀의 알킬화를 위한 시스템은 제1 올레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기 위한 제1 흐름 라인; 제2 올레핀을 제2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기 위한 제2 흐름 라인, 여기서 제2 올레핀은 제1 올레핀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것인 제2 흐름 라인; 및 이소파라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기 위한 제3 흐름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알킬화 구역은 폐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소파라핀 및 제1 올레핀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2 알킬화 구역은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기 위하여 알킬화 조건 하에서 제1 탄화수소 상 및 제2 올레핀을 새로운 황산 공급과 접촉시키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추가로, 본원의 시스템은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을 회수하기 위하여 제2 탄화수소 상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는 C3 내지 C5 탄화수소로부터 알킬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올레핀의 알킬화를 위한 시스템은 폐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소파라핀 공급 및 C5 올레핀-함유 공급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제2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1 알킬화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2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탄화수소 상 및 C4 올레핀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제1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2 알킬화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시스템은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3 탄화수소 상, 및 제2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1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 탄화수소 상 및 C3 올레핀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새로운 황산 공급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3 알킬화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분리기가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을 회수하기 위하여 제3 탄화수소 상을 분리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으로,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는 C3 내지 C5 탄화수소로부터 알킬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올레핀의 알킬화를 위한 시스템은 C5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라인; C4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2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라인; 및 C3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3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추가로 제2 부분 사용 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소파라핀 및 C5 올레핀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제1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1 알킬화 구역;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사용된 황산 공급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탄화수소 상 및 C4 올레핀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제2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2 알킬화 구역;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3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1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 탄화수소 상 및 C3 올레핀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새로운 황산 공급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3 알킬화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시스템은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을 회수하기 위하여 제3 탄화수소 상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 및 장점은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르는 알킬화 시스템의 단순화된 공정 흐름도이다.
도 2는 본원의 구현예에 따르는 알킬화 시스템의 단순화된 공정 흐름도이다.
도 3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르는 알킬화 시스템의 단순화된 공정 흐름도이다.
도 4는 본원의 구현예로 유용한 알킬화 반응 구역의 단순화된 공정 흐름도이다.
본원의 구현예는 역방향으로 흐르는 산과 탄화수소를 포함한 캐스케이드 반응기 계획에 관한 것이다. 탄화수소와 산의 역 캐스케이딩에 의해, 제안된 반응기 게획은 산 소비를 저하시킬 수 있고, 알킬레이트 중의 황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알킬레이트 옥탄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산 소비"는 바람직하지 못한 부반응에 의해 형성된 산 가용성 오일에 의한 산 촉매의 희석과 관련된다. 추가적으로, 황산 촉매를 사용할 때 안정적인 중간체, 예컨대 설페이트 에스테르의 형성도 또한 촉매를 희석시켜서 분명한 산 소비 증가를 유발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산 강도"는 산 촉매의 농도를 나타내며, 황산의 경우 표준화된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한 적정에 의해 측정되는 바 중량 퍼센트 H2SO4로 표시된다.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에서 사용된 알킬화 공급원료는 다양한 올레핀 및 파라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킬화 공급원료는 n-알칸 및 이소-알칸, 및 C2-C5 올레핀을 포함한, C1-C5 파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올레핀은 n-올레핀(직쇄 올레핀), 이소-올레핀(분지형 올레핀), 및 이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파라핀은 프로판, C4 알칸(n-부탄 및 이소부탄), C5 알칸(n-펜탄, 네오펜탄, 및 이소펜탄), 및 이것들의 혼합물을 ㅍ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고순도 이소파라핀, 예컨대 이소부탄 및/또는 이소펜탄이 파라핀 공급으로서 사용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알킬화 공급원료는 C3-C5 경질 분해 나프타(LCN) 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별도로 C3, C4 및 C5 올레핀 공급원료를 이용하는 이소파라핀 알킬화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예에서, 파라핀은 C4 알칸(n-부탄 및 이소부탄), C5 알칸(n-펜탄, 네오펜탄, 및 이소펜탄), 및 이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C4 올레핀(예컨대 1-부텐, 2-부텐, 이소부틸렌,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C5 올레핀(예컨대 1-펜텐, 2- 펜텐, 이소펜텐, 및 이것들의 혼합물), 및 이것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렌 공급원료는, 일부 구현예에서, 프로필렌과 프로판의 혼합물, 예컨대 프로판 중에 50 중량%를 초과하는 프로필렌을 함유한 프로필렌 스트림, 또는 C3와 C4의 혼합물, 예컨대 올레핀 기준으로 40 중량%를 초과하는 프로필렌을 함유한 프로필렌 스트림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부틸렌-함유 공급원료는 50 중량%를 초과하는 부틸렌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펜텐-함유 공급원료는 50 중량%를 초과하는 펜텐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비하는 산 강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더 낮은 산 강도가 산의 희석 범위를 연장시켜서, 고농도에서 ASO의 퍼지가 허용될 것이기 때문에, 산 소비를 감소시킬 것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더 낮은 산 강도에서, ASO 형성은 증가하여 이런 이익이 상쇄되거나 또는 심지어 이익을 반전시켜서, 더 높은 산 소비로 이어진다. 낮은 폐산 강도의 이익을 완전히 이용하기 위하여, 중간 산 단계를 부가하는 것(산 캐스케이딩)이 산 소비에 대한 저강도 단계의 영향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 캐스케이딩은 산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낮은 산 강도 반응기에서, 수소화물 전달률은 더 느리다. 그 결과로서, 산 상에서 중간체의 농도가 증가할 수 있고, 반응 선택성은 더 낮아져서, 알킬레이트 중의 황의 고농도 및 감소된 알킬레이트 옥탄이 유발된다. 해결책으로서, 낮은 산 강도 반응기는 낮은 산 강도에 의해 유발된 역효과를 보상하기 위하여 더 높은 I/O 또는 더 낮은 온도를 가져야 한다. 역방향으로 탄화수소를 캐스케이딩하는 것은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알킬화 공정은 이소파라핀, 예컨대 이소부탄 또는 이소펜탄 및 C3-C5 모노올레핀을 알킬화 반응기에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알킬화 반응은 일부 구현예에서 80 퍼센트를 초과하는, 다른 구현예에서 88 퍼센트를 초과하는, 또 다른 구현예에서 96 퍼센트를 초과하는 황산으로 촉매될 수 있다. 알킬화 공정은 이소파라핀을 올레핀과 둘 이상의 반응기에서 황산 촉매의 존재 하에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런 후 반응 생성물은 분리되어 탄화수소-풍부 상 및 산-풍부 상이 회수된다. 탄화수소-풍부 상은 미반응 이소파라핀과 알킬레이트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는 탄화수소 유출물을 생성하기 위하여, 다른 하류 작업 중에서도, 탄화수소 상으로부터 설페이트 에스테르를 제거하기 위해 추가로 처리될 수 있다. 회수된 알킬화 생성물은 그런 후 다른 마감 공정 중에서, 가솔린 범위의 구성요소 및 더 무거운 알킬레이트 생성물로 분리될 수 있다.
본원의 구현예는 유리하게, 다른 잠재적 장점 중에서, 특히 프로필렌이 알킬화되는 경우에, 생성물 품질을 개선하고 유용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소파라핀 흐름 및 산 흐름을 역방향으로 캐스케이딩한다. 예로서 2-반응기 시스템을 택하면, 올레핀(C3 및/또는 C4 및/또는 C5 올레핀)이 2개의 알킬화 반응기에 병렬로 공급될 수 있다. 새로운 산은 제2 반응기로 주입될 수 있고, 그런 후 제2 반응기로부터의 산은 제1 반응기에 캐스케이딩될 수 있다. 새로운 산의 부분은 필요에 따라 제1 반응기에 첨가될 수 있다. 탄화수소의 경우, 하류 분리기, 예컨대 알킬레이트를 미반응 이소파라핀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이소부탄 제거기(DIB), 및 대부분의 또는 모든 냉장 재순환으로부터의 이소부탄이 제1 반응기에 주입되고, 그런 후 제1 반응기로부터의 미반응 이소부텐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은 제2 반응기로 캐스케이딩된다.
탄화수소 흐름 및 산 흐름을 2 반응기 시스템에 역 캐스케이딩함으로써, 여러 이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 산 캐스케이딩은 제1 반응기에서 매우 낮은 폐산 강도를 허용할 수 있는 한편, 중간 산 단계(제2 반응기)는 제2 반응기에서의 ASO 형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낮은 산 강도 단계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병렬로 산을 공급하는 것과 비교하면, 산 캐스케이딩은 산 소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둘째, 탄화수소 흐름이 제1 반응기로부터 제2 반응기로 흐르기 때문에, 제1 반응기는 더 높은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I/O) 비율을 가진다. 제1, 자동 냉장 알킬화 반응기에서, 더 높은 I/O는 더 낮은 작동 온도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더 낮은 온도와 함께 더 높은 I/O는 제1 반응기에서의 반응 선택성을 개선시킬 것이고, 그것은 개선된 옥탄, 및 중간체 및 ASO의 더 적은 형성으로 이어진다. 셋째, 제2 반응기는 더 낮은 산 강도 제1 반응기에서 형성된 과도한 설페이트를 제거하기 위한 산 세척 유착기(coalescer)로서 작용할 것이다. 넷째, 이소파라핀을 병렬로 공급하는 것과 비교하여, 이소파라핀을 직렬로 캐스케이딩하는 것은 제2 반응기와 비교하여 제1 반응기에서 I/O 비율을 두 배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제2 반응기가 더 높은 산 강도에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높은 온도가 제2 반응기에서 사용될 수 있어서, 관련된 공급 압축기에서의 유틸리티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체적으로, 더 적은 산 소비를 이루기 위하여, 역 탄화수소/산 캐스케이딩은 생성물 분리기(오버헤드 이소파라핀 재순환) 및 공급 압축기와 관련된 유틸리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역 캐스케이딩은 또한 3개 이상의 반응기를 포함한 분리된 올레핀 공급 및 반응기 시스템에 유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3-풍부 올레핀(>70% 프로필렌)은 반응기 #3에 주입될 수 있고, C4-풍부 및/또는 C5-풍부 올레핀은 반응기 #1 및/또는 #2에 주입될 수 있다. 산 흐름의 경우, 새로운 산이 반응기 #3(프로필렌 알킬화)에 주입된 후, 부분 사용 산이 반응기 #2 및/또는 #1에 직렬로 캐스케이딩될 수 있다. 이소파라핀, 예컨대 이소부탄은 공급 유형, 공급량, 및 온도에 대한 공급의 민감성, I/O 비율, 및 산 강도에 따라 먼저 반응기 #1 또는 반응기 #2에 주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대용량의 이소파라핀이 I/O 비율 및 온도에 가장 민감한 올레핀 유형과 함께 반응기에 주입되어야 한다.
산 캐스케이딩의 결과로서, 반응기 #3은 최고 산 강도 및 최저 I/O를 가질 수 있다. 이것은 프로필렌-풍부 올레핀을 가공하기 위한 바람직한 작동 조건인 자동-냉장을 위한 최고 온도를 가진 반응기 #3으로 해석된다. 더불어, 반응기 #1 및 #2와 비교하여 반응기 #3에서의 더 높은 산 강도로 인해, 반응기 #1 및 #2에서 형성된 모든 알킬레이트 생성물은, 생성물 분리 및 회수에 돌입하기 전에 더 높은 강도의 산에 의해 반응기 #3에서 산 세척될 수 있다. 일련의 마지막 반응기에서의 이런 더 높은 산 강도는 반응기 #1 및 반응기 #2에서 더 낮은 산 강도에서 형성된 설페이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구현예에 따르는 알킬화 시스템의 단순화된 공정도가 예시된다. 알킬화 시스템은 제1 알킬화 반응 구역(10), 제2 알킬화 반응 구역(20), 및 하나 이상의 분리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기로의 공급은 이소파라핀 공급(102), 하나 이상의 올레핀 공급(104), 및 새로운 산 공급(106)을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산(106)은 처음에 말단 반응기, 제2 알킬화 구역(20)에 공급되어, 알킬화 구역(10)으로부터 회수된 올레핀(104b) 및 탄화수소 유출물(108)과 접촉하여 이소파라핀 및 올레핀을 알킬레이트 생성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 결과의 반응 유출물은 그런 후 분리되어 제2 탄화수소 유출물(110) 및 부분 사용 산 부분(112)이 회수될 수 있다.
그런 후 부분 사용 산 부분(112)은 제1 반응 구역(10)에 공급되고, 그곳에서 올레핀(104a) 및 이소파라핀 공급(102)과 접촉하여 이소파라핀 및 올레핀을 알킬레이트 생성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 결과의 반응 유출물은 그런 후 분리되어 탄화수소 유출물(108) 및 폐산 부분(114)이 회수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은 산 흐름(제2 반응기가 먼저, 그런 후 제1 반응기로 폐산이 흐름)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탄화수소(이소파라핀) 흐름과 관련하여 상기 설명을 재진술하면, 시스템은 제1 올레핀(104(a))을 제1 알킬화 구역(10)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스트림(flow stream) 및 제2 올레핀(104(b))을 제2 알킬화 구역(20)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제2 올레핀(104(b))은 제1 올레핀(104(a))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이소파라핀을 제1 알킬화 구역(10)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스트림(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알킬화 구역(10)에서, 이소파라핀(102) 및 제1 올레핀(104(a))은 알킬화 조건 하에서 부분 사용 황산(112)과 접촉하여 올레핀 및 이소파라핀을 알킬레이트로 전환시킬 수 있고 폐산 상(114)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108)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알킬화 구역(20)에서, 제1 탄화수소 상(108) 및 제2 올레핀은 알킬화 조건 하에서 새로운 황산 공급(106)과 접촉하여,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110), 및 제1 알킬화 구역(10)에 공급될 수 있는 부분 사용 황산(112)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의 탄화수소(110)는 그런 후 더 무거운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116) 및, 반응기(10, 20) 중 하나 또는 둘 다로 재순환될 수 있는 더 가벼운 이소파라핀 부분(118)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예컨대 증류 칼럼에 공급될 수 있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구현예에 따르는 알킬화 시스템의 단순화된 공정도가 예시되며, 여기서 같은 숫자는 같은 부품을 나타낸다. 알킬화 시스템은 제1 알킬화 반응 구역(10), 하나 이상의 중간 알킬화 반응 구역(40), 말단 알킬화 반응 구역(20), 및 하나 이상의 분리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기로의 공급은 이소파라핀 공급(102), 하나 이상의 올레핀 공급(104a, 104b, 104c), 및 새로운 산 공급(1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올레핀 공급(104a)은 펜텐-풍부 부분이고, 올레핀 공급(104b)은 부텐-풍부 부분이며, 올레핀(104c)은 프로필렌 부분이다.
새로운 산(106)은 처음에 말단 반응기, 알킬화 구역(20)에 공급되어, 중간 알킬화 구역(40)으로부터 회수된 올레핀(104c) 및 탄화수소 유출물(108b)과 접촉하여 이소파라핀 및 올레핀을 알킬레이트 생성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 결과의 반응 유출물은 그런 후 분리되어 제2 탄화수소 유출물(110) 및 부분 사용 산 부분(112a)이 회수될 수 있다.
부분 사용 산 부분(112a)은 그런 후 중간 반응 구역(40)에 공급되고, 그곳에서 그것은 올레핀(104b) 및 이소파라핀 공급(102)과 접촉하여 이소파라핀 및 올레핀을 알킬레이트 생성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 결과의 반응 유출물은 그런 후 분리되어 탄화수소 유출물(108) 및 부분 사용 산 부분(112b)이 회수될 수 있다.
부분 사용 산 부분(112b)은 그런 후 제1 반응 구역(10)에 공급되고, 그곳에서 그것은 올레핀(104a) 및 이소파라핀 공급(102)과 접촉하여 이소파라핀 및 올레핀을 알킬레이트 생성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 결과의 반응 유출물은 그런 후 분리되어 탄화수소 유출물(108a) 및 폐산 부분(114)이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산 흐름(먼저 제3 반응기, 그런 후 제2 반응기로 폐산이 흐르고, 추가로 제1 반응기로 폐산이 흐름)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탄화수소(이소파라핀) 흐름과 관련하여 상기 설명을 재진술하면, 시스템은 제1 올레핀(104(a)), 예컨대 펜텐을 제1 알킬화 구역(10)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스트림, 제2 올레핀(104(b)), 예컨대 부텐을 중간 또는 제2 알킬화 구역(40)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스트림, 및 제3 올레핀, 예컨대 프로필렌을 말단 또는 제3 반응 구역(20)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올레핀(104(a)), 제2 올레핀(104(b)), 및/또는 제3 올레핀(104(c))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이소파라핀을 제1 알킬화 구역(10)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스트림(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알킬화 구역(10)에서, 이소파라핀(102) 및 제1 올레핀(104(a))은 알킬화 조건 하에서 제2 부분 사용 황산(112b)과 접촉하여 올레핀 및 이소파라핀을 알킬레이트로 전환시키고 폐산 상(114)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108a)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알킬화 구역(40)에서, 제1 탄화수소 상(108a) 및 제2 올레핀은 알킬화 조건 하에서 부분 사용 황산 공급(112a)과 접촉하여,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108b), 및 제1 알킬화 구역(10)에 공급될 수 있는 부분 사용 황산(112b)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알킬화 구역(20)에서, 제2 탄화수소 상(108b) 및 제3 올레핀은 알킬화 조건 하에서 새로운 황산 공급(106)과 접촉하여,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3 탄화수소 상(110), 및 제2 알킬화 구역(40)에 공급될 수 있는 부분 사용 황산(112)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의 탄화수소(110)는 그런 후 더 무거운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116)을, 반응기(10, 20, 40) 중 하나로 또는 각각으로 재순환될 수 있는 더 가벼운 이소파라핀 부분(118)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30), 예컨대 증류 칼럼에 공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더 높은 말단 반응기 온도의 장점은 산 흐름이, 바로 상류 반응기가 아니더라도, 상류 반응기(탄화수소 흐름에 대해)에 대해 캐스케이딩되는 경우에 실현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본원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는 알킬화 시스템의 단순화된 공정도가 예시되며, 여기서 같은 숫자는 같은 부품을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알킬화 시스템은 제1 알킬화 반응 구역(10), 하나 이상의 중간 알킬화 반응 구역(40), 말단 알킬화 반응 구역(20), 및 하나 이상의 분리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기에 대한 공급은 이소파라핀 공급(102, 하나 이상의 올레핀 공급(104a, 104b, 104c), 및 새로운 산 공급(1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올레핀 공급(104a)은 펜텐-풍부 부분이고, 올레핀 공급(104b)은 부텐-풍부 부분이며, 올레핀(104c)은 프로필렌 부분이다.
새로운 산(106)은 초기에 말단 반응기, 알킬화 구역(20)에 공급되고, 중간 알킬화 구역(40)으로부터 회수된 올레핀(104c) 및 탄화수소 유출물(108b)과 접촉하여, 이소파라핀 및 올레핀을 알킬레이트 생성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 결과의 반응 유출물은 그런 후 분리되어 탄화수소 유출물(110) 및 부분 사용 산 부분(112a)이 회수될 수 있다.
부분 사용 산 부분(112a)은 그런 후 제1 반응 구역(10)에 공급될 수 있고, 그곳에서 올레핀(104a) 및 이소파라핀 공급(102)과 접촉하여 이소파라핀 및 올레핀을 알킬레이트 생성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 결과의 반응 유출물은 그런 후 분리되어 탄화수소 유출물(108a) 및 부분 사용 산 부분(112b)이 회수될 수 있다.
부분 사용 산 부분(112b)은 그런 후 제2 반응 구역(10)에 공급될 수 있고, 그곳에서 올레핀(104b)과 접촉하여 이소파라핀 및 올레핀을 알킬레이트 생성물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 결과의 반응 유출물은 그런 후 분리되어 탄화수소 유출물(108b) 및 폐산 부분(114)이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산 흐름(먼저 제3 반응기, 그런 후 제1 반응기로 폐산이 흐르고, 추가로 제2 반응기로 폐산이 흐름)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탄화수소(이소파라핀) 흐름과 관련하여 상기 설명을 재진술하면, 시스템은 제1 올레핀(104(a)), 예컨대 펜텐을 제1 알킬화 구역(10)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스트림, 제2 올레핀(104(b)), 예컨대 부텐을 중간 또는 제2 알킬화 구역(40)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스트림, 및 제3 올레핀, 예컨대 프로필렌을 말단 또는 제3 반응 구역(20)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올레핀(104(a)), 제2 올레핀(104(b)), 및/또는 제3 올레핀(104(c))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시스템은 또한 이소파라핀을 제1 알킬화 구역(10)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스트림(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알킬화 구역(10)에서, 이소파라핀(102) 및 제1 올레핀(104(a))은 알킬화 조건 하에서 제1 부분 사용 황산(112a)과 접촉하여 올레핀 및 이소파라핀을 알킬레이트로 전환시키고 제2 부분 사용 산 상(112b)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108a)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알킬화 구역(40)에서, 제1 탄화수소 상(108a) 및 제2 올레핀은 알킬화 조건 하에서 제2 부분 사용 황산 공급(112b)과 접촉하여,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108b), 및 사용된 황산(114)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알킬화 구역(20)에서, 제2 탄화수소 상(108b) 및 제3 올레핀은 알킬화 조건 하에서 새로운 황산 공급(106)과 접촉하여,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3 탄화수소 상(110), 및 제1 알킬화 구역(10)에 공급될 수 있는 제1 부분 사용 황산(112a)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의 탄화수소(110)는 그런 후 더 무거운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116)을, 반응기(10, 20, 40) 중 하나로 또는 각각으로 재순환될 수 있는 더 가벼운 이소파라핀 부분(118)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30), 예컨대 증류 칼럼에 공급될 수 있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본원의 구현예에 따르는 알킬화 구역의 단순화된 공정도가 예시된다. 알킬화 구역은 반응 구역 및 분리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킬화 구역(400)은 상부 반응 섹션(400a) 및 하부 분리 섹션(4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 구조물(402)은 올레핀(404), 이소파라핀(406), 및 황산(408)의 친밀한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부 섹션(400a)에 배치될 수 있다.
알킬화 구역(400)의 조건은, 상기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알킬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올레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이소파라핀과 반응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의 반응 혼합물은 그런 후,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하부 섹션(400b)에 부어 알킬레이트, 미반응 이소파라핀, 및 존재하는 경우 미반응 올레핀을 포함하는 탄화수소 부분(420), 및 사용한 또는 부분 사용 산 부분(422)을 회수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만약 접촉 구조물이 사용된다면, 그것은 황산, 이소파라핀 및 올레핀 공급 스트림과의 접촉을 위해 알킬화 반응기(400)의 상부 섹션(400a)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서 기술된 구현예에서 사용된 접촉 구조물 또는 분산기는 적어도 50 퍼센트의 보이드 공간;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60 퍼센트의 보이드 공간;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70 퍼센트의 보이드 공간;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80 퍼센트의 보이드 공간; 및 또 다른 구현예에서 최대 99 퍼센트의 보이드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접촉 구조물은 다중 필라멘트 구성요소 및 구조적 요소, 예컨대 공동 편직 와이어 메시, 분산기, 또는 기타 적합한 접촉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6,774,275호(본원에 참조로 포함됨)에서 기술된 접촉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알킬화 반응기(400)의 반응 구역을 위해 펄스 흐름 체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펄스는 큰 물질 및 열 전달 속도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증가된 접촉 구조물 습윤 및 병렬 흐름 리불렛 사이의 연속 혼합은 흐름 편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불어, 국소 고온 반점의 형성이 감소될 수 있어서, 본질적으로 더 안정한 공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펄스는 액체의 정체된 성질이 사라지는 지점까지 정체된 액체 지체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정체된 지체가 세류(trickle flow) 작업에서 총 액체 지체의 10 내지 30 퍼센트를 나타내기 때문에, 펄스 흐름 체제의 동적 특성은, 예컨대 개선된 방사상 혼합에 의해 반응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알킬화 구역으로부터 회수된 부분 사용 산 부분(422)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또 다른 알킬화 구역(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산 부분(458)의 일부(424)는 또한, 예컨대 제1 알킬화 반응기(400)에서 원하는 산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알킬화 반응기(400)에 재순환될 수 있다. 나머지 산은 폐산 부분(426)으로서 회수될 수 있고, 이것은 다른 반응기로 전달되거나 폐산 회수를 위해 회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반응 열이 약간의 증기(440)를 생성할 수 있고, 이것은 제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이들 증기는 예컨대 압축기(442)를 사용함으로써 응축되거나 압축될 수 있고, 회수된 액체 탄화수소 부분(420)과 조합되어 탄화수소 부분(444)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회수된 탄화수소 부분(444)은 하류 알킬화 구역 또는 생성물 회수 구역으로 보내지기 위한 제1 부분(450), 및 예컨대 원하는 올레핀 공급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및/또는 온도 제어를 위해 동일한 알킬화 반응기(400)로 재순환될 수 있는 제2 부분(452)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알킬화 구역에 공급된 황산은 새로운 및/또는 재순환된 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알킬화 반응기에 유입되는 황산 상의 농도는 99.8 중량 퍼센트 강도 이하의 황산/물 혼합물 아래로 적정되는 농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황산은 20 내지 96 중량 퍼센트의 황산/물 혼합물로서 적정되는; 다른 구현예에서 25 내지 75 중량 퍼센트의 황산/물 혼합물로서 적정되는; 그리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 30 내지 70 중량 퍼센트의 황산/물 혼합물로서 적정되는 농도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들 경우에 산 상은 황산, 황산 에스테르, ASO(산 가용성 오일) 및 물로 구성되는 것이 주지될 수 있다. 그것은 상당량의 물, 전형적으로 중량 기준으로 0 내지 5%를 함유하지 않으며, 산 함량을 기술할 목적에 대해, 용어 "로서 적정된다" 또는 "로서 적정되는"은 동일한 산성을 가지는 황산/물 혼합물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본원에서 사용되는 산 혼합물은 화학적 구성이 더 복잡한 것으로 이해된다. 산성의 측정은, 예를 들어, METTLER DL-77 또는 METTLER T-90 적정기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새로운 산이 알킬화 구역에 공급된 폐산에 더불어 공급될 수 있다. 새로운 산 스트림의 유량, 알킬화 반응기에 재순환된 회수된 산의 부분, 및 또 다른 알킬화 구역 또는 산 회수에 전달된 폐산의 부분은 각각의 알킬화 반응기에서 원하는 또는 최적의 산 강도를 이루기 위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산 및 재순환된 산의 흐름은 마지막 알킬화 구역에서의 산 강도가 상류 알킬화 구역에서의 산 강도보다 크도록 유지될 수 있다(이소파라핀 공급/탄화수소 흐름과 관련하여).
반응기를 포함한 반응 시스템의 경우, 말단, 또는 마지막 반응기(탄화수소 흐름과 관련하여)는 최고 산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반응기 n에서의 산 강도가 반응기 1 내지 n-1에서 사용된 것보다 더 큰 경우에(즉, 산 강도 반응기 n > 산 강도 반응기 1 내지 n-1) 유리한 황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의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제2 알킬화 구역(20)에서의 산 강도는 80-99%의 범위의 농도에서 유지될 수 있고, 제1 알킬화 구역(10)에서의 산 강도는 80-99%의 범위, 그러나 반응기(20)의 산 강도 미만의 농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도 2의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제3 알킬화 구역(20)에서의 산 강도는 80-99%의 범위의 농도에서 유지될 수 있고, 제2 알킬화 구역(40)에서의 산 강도는 80-99%의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제1 알킬화 구역(10)에서의 산 강도는 80-99%의 범위, 그러나 반응기(20)의 산 강도 미만의 농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도 3의 구현예에서, 예를 들어, 알킬화 구역(20)에서의 산 강도는 80-99%의 범위의 농도에서 유지될 수 있고, 알킬화 구역(10)에서의 산 강도는 80-99%의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알킬화 구역(40)에서의 산 강도는 80-99%의 범위, 그러나 반응기(20)의 산 강도 미만의 농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황산 대 프로필렌 알킬화 반응기, 예컨대 알킬화 구역(20)에 공급된 프로필렌 공급원료의 질량비는, 예를 들어, 0.1:1 내지 30:1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황산 대 프로필렌 알킬화 반응기에 공급된 프로필렌 공급원료의 질량비는 0.1:1 내지 20:1의 범위에; 그리고 다른 구현예에서는 1:1 내지 10:1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알킬화 구역에 대한 반응 조건은 상기 주지된 것과 같이, 공급의 유형 및 반응기에서 유지된 산 강도에 좌우될 수 있다. 알킬화 반응기의 조건은 올레핀의 적어도 부분이, 상기에서 언급된 것과 같이, 더 무거운 것의 형성을 최소화하면서 이소파라핀과 반응하여 알킬레이트를 형성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알킬화 반응기의 온도는 -7℃ 내지 38℃(20℉ 내지 100℉)의 범위; 다른 구현예에서 -4℃ 내지 18℃(25℉ 내지 65℉)의 범위; 다른 구현예에서 -1℃ 내지 10℃(30℉ 내지 50℉)의 범위; 그리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 -7℃ 내지 4℃(20℉ 내지 40℉)의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다. 알킬화 반응기 압력은 일부 구현예에서 약 5 내지 약 500 psig; 다른 구현예에서 약 10 내지 약 250 psig; 그리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약 20 내지 약 150 psig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사용된 온도 및 압력의 조합은 액체 상에서 공급 및 생성물을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일부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알킬화 반응기, 예컨대 반응기(20)의 경우, 반응 조건은 0℃ 내지 19℃(32℉ 내지 65℉)의 범위의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조건에서, 프로필렌의 전환이 최대화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프로필렌 알킬화 반응기에 사용된 더 높은 산 강도가 반응기의 온도가 더 높아지도록, 예컨대 약 10℃ 내지 38℃(50℉ 내지 100℉)의 범위에 있도록 할 수 있다.
2 반응기 시스템,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반응기 시스템에 대해,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알킬화 구역의 알킬화 조건은 제2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 미만인 제1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알킬화 구역(10)의 반응 온도는 약 -7℃ 내지 38℃의 범위일 수 있고, 제2 알킬화 구역(20)의 반응 온도는 약 -7℃ 내지 38℃의 범위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3 반응기 시스템의 경우, 말단 반응기(탄화수소 흐름과 관련하여)의 온도가 가장 높을 수 있다. 제1 및 제2 알킬화 구역의 알킬화 조건은 제2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 미만인 제1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및 제3 알킬화 구역의 알킬화 조건은 제3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 미만인 제2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를 포함한다(TR1 > TR2 > TR3). 다른 구현예에서, 제1, 제2, 및 제3 알킬화 구역의 알킬화 조건은 제3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 미만인 제1 또는 제2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공정의 경우, 말단 프로필렌 알킬화 반응기(30)는 약 -7℃ 내지 약 38℃의 범위의 온도에서 작동될 수 있는 반면, 부텐 및/또는 펜텐이 반응하는 제1 및 제2 알킬화 구역(10, 40)은 약 -7℃ 내지 약 38℃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각각의 알킬화 반응 구역에 대해 총 반응기 공급 중의 올레핀 대 이소파라핀 몰비는 약 1:1.5 내지 약 1:30, 예컨대 약 1:5 내지 약 1:15의 범위일 수 있다. 더 낮은 올레핀 대 이소파라핀 비율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반응기 시스템의 경우, 제1 반응 구역(이소파라핀 흐름과 관련하여)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보다 크다. 말단 반응기는 가장 적은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구현예에서, 제1 반응 구역(10)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20)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보다 크다.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반응 구역(10)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20)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의 적어도 1.5배;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1.75배이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2배이다.
마찬가지로, 3 반응기 시스템의 경우, 제1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보다 크고,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3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보다 크다(I RI:OR1 > I R2:0R2 > I R3:0R3). 일부 구현예에서, 제1 반응 구역(10)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40)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의 적어도 1.5배;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1.75배이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2배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반응 구역(40)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3 반응 구역(20)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의 적어도 1.5배;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1.75배이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2배일 수 있다. 유사하게, 도 3에 도시된 구현예의 경우, 제1 또는 제2 반응 구역(10, 40)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3 반응 구역(30)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보다 크다.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형성된 알킬화 생성물은 C7 내지 C10 탄화수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공정 및 시스템의 구현예를 사용하여 형성된 알킬레이트는 가솔린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C7 및 C8 알킬레이트 생성물은 가솔린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구성요소와 혼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된 것과 같이, 본원의 구현예는 탄화수소의 역 캐스케이딩 및 산 흐름을 포함한 알킬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일 반응기 시스템과 관련하여 기술된 한편으로, 흐름은 하나 이상의 반응 구역이, 예를 들어 도 1, 2, 또는 3과 관련하여 기술된 것과 같이, 올레핀, 파라핀, 및 산의 직렬 흐름과 병렬로 작동하는 다중 반응기를 포함하는 경우처럼, 직렬 흐름과 병렬 흐름의 조합일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반응 구역이 반응 구역 내에서의 직렬 및/또는 병렬 흐름을 포함할 수 있지만, 유리하게 본원에 기술된 산의 역 캐스케이딩을 이용하는 다른 구현예가 또한 예상된다. 예를 들어, 반응 구역(10)은 반응기에 공급된 이소파라핀 및/또는 올레핀뿐만 아니라 반응기(20)로부터 수용된 산 흐름과 관련하여 병렬로 작동하는 다중 반응기를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반응 구역(20 및 40)은 산, 이소파라핀, 및 올레핀 공급과 관련하여 병렬로 작동하는 다중 반응기를 가질 수 있다.
본원의 구현예는 유리하게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장점 중에서도, 감소된 에너지 소비; 감소된 산 소비; 알킬레이트 생성물의 증가된 옥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중의 감소된 황 함량.
개시가 제한된 수의 구현예를 포함하는 한편, 본 개시의 장점을 갖는 기술분야의 숙련된 지식을 가진 사람들은 본 개시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다른 구현예가 고안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어야 한다.

Claims (25)

  1. 올레핀의 알킬화 공정으로서,
    제1 올레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제2 올레핀을 제2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2 올레핀은 제1 올레핀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것인 단계;
    이소파라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이소파라핀 및 제1 올레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켜서 폐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하는 단계;
    제1 탄화수소 상 및 제2 올레핀을 제2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황산 공급과 접촉시켜서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는 단계;
    제2 탄화수소 상을 분리하여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을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보다 큰 것인 공정.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의 적어도 1.5배인 것인 공정.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의 적어도 1.75배인 것인 공정.
  5. 제1항에 있어서, 제1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의 적어도 2배인 것인 공정.
  6.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알킬화 구역의 알킬화 조건은 제2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 미만인 제1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를 포함하는 것인 공정.
  7. 제1항에 있어서, 제1 올레핀은 C3 및/또는 C4 및/또는 C5 올레핀을 포함하고 제2 올레핀은 C3 및/또는 C4 및/또는 C5 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인 공정.
  8. 제1항에 있어서, 이소파라핀을 제2 알킬화 구역에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공정.
  9. 제1항에 있어서, 산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직접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공정.
  10. 올레핀의 알킬화 공정으로서,
    C5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C4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2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C3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3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이소파라핀을 제1 알킬화 반응기에 제공하는 단계;
    이소파라핀 및 C5 올레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제2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켜서 폐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하는 단계;
    제1 탄화수소 상 및 C4 올레핀을 제2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제1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켜서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2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는 단계;
    제2 탄화수소 상 및 C3 올레핀을 제3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새로운 황산 공급과 접촉시켜서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3 탄화수소 상, 및 제2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1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는 단계;
    제3 탄화수소 상을 분리하여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을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보다 크고,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3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보다 큰 것인 공정.
  12. 제10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알킬화 구역의 알킬화 조건은 제2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 미만인 제1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를 포함하고, 제2 및 제3 알킬화 구역의 알킬화 조건은 제3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 미만인 제2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를 포함하는(TR1 < TR2 < TR3) 것인 공정.
  13. 제10항에 있어서, 이소파라핀을 제2 알킬화 구역 및 제3 알킬화 구역에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공정.
  14. 제10항에 있어서, 산을 제1 알킬화 구역 및/또는 제2 알킬화 구역에 직접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공정.
  15. 제10항에 있어서, 제1 알킬화 구역에 대한 총 산 공급에 대한 산 강도를 제3 알킬화 구역에 대한 총 산 공급에 대한 산 강도 미만으로 유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공정.
  16. 올레핀의 알킬화 공정으로서,
    C5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C4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2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C3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3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이소파라핀을 제1 알킬화 반응기에 제공하는 단계;
    이소파라핀 및 C5 올레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제1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켜서 제2 부분 사용 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하는 단계;
    제1 탄화수소 상 및 C4 올레핀을 제2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제2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켜서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사용된 황산을 형성하는 단계;
    제2 탄화수소 상 및 C3 올레핀을 제3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새로운 황산 공급과 접촉시켜서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3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1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는 단계;
    제3 탄화수소 상을 분리하여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을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는 제3 반응 구역에 대한 총 공급 중의 이소파라핀 대 올레핀 몰비보다 큰 것인 공정.
  18. 제16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알킬화 구역의 알킬화 조건은 제3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 미만인 제1 또는 제2 알킬화 구역의 반응 온도를 포함하는 것인 공정.
  19. 제16항에 있어서, 이소파라핀을 제2 알킬화 구역 및/또는 제3 알킬화 구역에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공정.
  20. 제16항에 있어서, 산을 제1 알킬화 구역 및/또는 제2 알킬화 구역에 직접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공정.
  21. 올레핀의 알킬화 공정으로서,
    제1 올레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제2 올레핀을 제2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2 올레핀은 제1 올레핀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것인 단계;
    제3 올레핀을 제3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3 올레핀은 제1 및/또는 제2 올레핀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것인 단계;
    이소파라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이소파라핀 및 제1 올레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제2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켜서 폐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하는 단계;
    제1 탄화수소 상 및 제2 올레핀을 제2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제1 부분 사용 황산 공급과 접촉시켜서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2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는 단계;
    제2 탄화수소 상 및 제3 올레핀을 제3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황산 공급과 접촉시켜서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3 탄화수소 상, 및 제2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1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는 단계;
    제3 탄화수소 상을 분리하여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을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
  22. 올레핀의 알킬화 공정으로서,
    제1 올레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제2 올레핀을 제2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2 올레핀은 제1 올레핀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것인 단계;
    제3 올레핀을 제3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로서, 제3 올레핀은 제1 및/또는 제2 올레핀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것인 단계;
    이소파라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는 단계;
    이소파라핀 및 제1 올레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제1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켜서 제2 부분 사용 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하는 단계;
    제1 탄화수소 상 및 제2 올레핀을 제2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제2 부분 사용 황산 공급과 접촉시켜서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사용된 황산 상을 형성하는 단계;
    제2 탄화수소 상 및 제3 올레핀을 제3 알킬화 구역에서 알킬화 조건 하에 황산 공급과 접촉시켜서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3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1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는 단계;
    제3 탄화수소 상을 분리하여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을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정.
  23. 올레핀의 알킬화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 올레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기 위한 제1 흐름 라인;
    제2 올레핀을 제2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기 위한 제2 흐름 라인으로서, 제2 올레핀은 제1 올레핀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것인 제2 흐름 라인;
    이소파라핀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기 위한 제3 흐름 라인;
    폐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소파라핀 및 제1 올레핀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1 알킬화 구역;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탄화수소 상 및 제2 올레핀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새로운 황산 공급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2 알킬화 구역;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을 회수하기 위하여 제2 탄화수소 상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를 포함하는 시스템.
  24. 올레핀의 알킬화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폐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소파라핀 공급 및 C5 올레핀-함유 공급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제2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1 알킬화 구역;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2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탄화수소 상 및 C4 올레핀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새로운 제1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2 알킬화 구역;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3 탄화수소 상, 및 제2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1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 탄화수소 상 및 C3 올레핀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새로운 황산 공급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3 알킬화 구역;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을 회수하기 위하여 제3 탄화수소 상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를 포함하는 시스템.
  25. 올레핀의 알킬화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C5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1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라인;
    C4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2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라인;
    C3 올레핀-함유 공급을 제3 알킬화 구역에 제공하기 위한 흐름 라인;
    제2 부분 사용 산 상 및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1 탄화수소 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소파라핀 및 C5 올레핀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제1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1 알킬화 구역;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2 탄화수소 상, 및 사용된 황산 공급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탄화수소 상 및 C4 올레핀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제2 부분 사용 황산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2 알킬화 구역;
    알킬레이트와 미반응 이소파라핀을 포함하는 제3 탄화수소 상, 및 제1 알킬화 구역에 공급되는 제1 부분 사용 황산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 탄화수소 상 및 C3 올레핀을 알킬화 조건 하에서 새로운 황산 공급과 접촉시키기 위한 제3 알킬화 구역;
    이소파라핀 부분 및 알킬레이트 생성물 부분을 회수하기 위하여 제3 탄화수소 상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기
    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207034196A 2018-05-04 2019-04-30 알킬화에서 역 산 및 탄화수소 캐스케이딩 KR102629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67023P 2018-05-04 2018-05-04
US62/667,023 2018-05-04
PCT/US2019/029887 WO2019213063A1 (en) 2018-05-04 2019-04-30 Reverse acid and hydrocarbon cascading in alky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036A KR20200137036A (ko) 2020-12-08
KR102629159B1 true KR102629159B1 (ko) 2024-01-24

Family

ID=6838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196A KR102629159B1 (ko) 2018-05-04 2019-04-30 알킬화에서 역 산 및 탄화수소 캐스케이딩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0858299B2 (ko)
EP (1) EP3788025A4 (ko)
JP (1) JP7317048B2 (ko)
KR (1) KR102629159B1 (ko)
CN (1) CN112074498B (ko)
AU (2) AU2019263053B2 (ko)
CA (1) CA3099105C (ko)
EA (1) EA202092644A1 (ko)
MX (1) MX2020011593A (ko)
SG (1) SG11202010974WA (ko)
WO (1) WO2019213063A1 (ko)
ZA (1) ZA202006932B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23938A (en) * 1939-05-06 1940-12-03 Texas Co Alkylation of hydrocarbons
US2366627A (en) * 1941-02-27 1945-01-02 Texas Co Manufacture of antiknock hydrocarbons
US2374262A (en) * 1942-07-31 1945-04-24 Standard Oil Co Hydrocarbon conversion
US2438852A (en) * 1945-01-23 1948-03-30 Texas Co Multistage alkylation method
US2920124A (en) * 1955-04-14 1960-01-05 Kellogg M W Co Alkylation of hydrocarbons with improved mixing and emulsifying of catalyst and reactants
US3683041A (en) * 1969-12-31 1972-08-08 Texaco Development Corp Alkylation encountering acidity run-aways
BE787104A (fr) * 1971-08-05 1973-02-02 Texaco Development Corp Procede d'alkylation catalytique
US3780131A (en) * 1972-07-07 1973-12-18 Universal Oil Prod Co Isoparaffin alkylation with a lighter olefin and subsequently with a heavier olefin
US4304947A (en) * 1979-04-05 1981-12-08 Phillips Petroleum Company Catalytic alkylation of hydrocarbons
US4260846A (en) * 1979-06-11 1981-04-07 Allied Chemical Corporation Continuous cyclic process for alkylation of hydrocarbons
US6747165B2 (en) 2001-02-15 2004-06-08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branched-alkyl) arylsulfonates and a (branched-alkyl) arylsulfonate composition
WO2002100808A2 (en) * 2001-06-08 2002-12-19 Akzo Nobel N.V. Continuous process for the alkylation of hydrocarbons
US6774275B2 (en) 2001-08-21 2004-08-10 Catalytic Distillation Technologies Pulse flow reaction
JP4503325B2 (ja) * 2004-03-25 2010-07-14 コスモ石油株式会社 硫酸式アルキレーション装置の運転方法
US20070299292A1 (en) * 2006-06-23 2007-12-27 Catalytic Distillation Technologies Paraffin alkylation
US8119084B2 (en) * 2008-05-16 2012-02-21 Exxonmobil Research & Engineering Company Reactor for isoparaffin olefin alkylation
US8034988B2 (en) * 2008-09-19 2011-10-11 Catalytic Distillation Technologies Process for the alkylation of isobutane with dilute propylene
CN106281432B (zh) 2015-05-21 2017-11-17 北京化工大学 一种利用硫酸为催化剂制备烷基化油的系统装置及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99105C (en) 2023-08-29
CN112074498A (zh) 2020-12-11
AU2019263053A1 (en) 2021-01-07
CN112074498B (zh) 2024-02-02
AU2022201725B2 (en) 2023-05-25
CA3099105A1 (en) 2019-11-07
JP7317048B2 (ja) 2023-07-28
BR112020022267A2 (pt) 2021-02-23
US10858299B2 (en) 2020-12-08
AU2022201725A1 (en) 2022-04-07
AU2019263053B2 (en) 2022-06-16
JP2021522304A (ja) 2021-08-30
MX2020011593A (es) 2021-02-09
US20190338201A1 (en) 2019-11-07
WO2019213063A1 (en) 2019-11-07
KR20200137036A (ko) 2020-12-08
EP3788025A1 (en) 2021-03-10
SG11202010974WA (en) 2020-12-30
ZA202006932B (en) 2021-09-29
EA202092644A1 (ru) 2021-02-24
US20210061731A1 (en) 2021-03-04
US11286215B2 (en) 2022-03-29
EP3788025A4 (en) 202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4625B1 (en) Alkylation by controlling olefin ratios
CA1292249C (en) Process containing hf alkylation and selective hydrogenation
US4367356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gasoline from C4 hydrocarbons
US3911043A (en) Plural stages of HF alkylation of isoparaffin with a mono-olefin
US4795728A (en) Motor fuel alkylation process utilizing a surfactant containing catalyst to reduce hydrofluoric acid requirements
KR102629159B1 (ko) 알킬화에서 역 산 및 탄화수소 캐스케이딩
US2256615A (en) Alkylation process
US4579998A (en) HF alkylation with product recycle employing two reactors
US3830865A (en) Alkylation process using hydrogen fluoride catalyst
US8034988B2 (en) Process for the alkylation of isobutane with dilute propylene
US5841014A (en) Alkylation by controlling olefin ratios
US7977525B2 (en) H2SO4 alkylation by conversion of olefin feed to oligomers and sulfate esters
US4225742A (en) Alkylation process
EA042643B1 (ru) Обратное каскадирование кислоты и углеводорода при алкилировании
US2435402A (en) Production of motor fuels
US4520218A (en) Production of dialkylated aromatics
US4835333A (en) Motor fuel alkylation process utilizing a surfactant containing catalyst to reduce hydrofluoric acid requirements
US20200231520A1 (en) Alkylation with olefin mixtures
BR112020022267B1 (pt) Processo e sistema para a alquilação de olefinas
US2348467A (en) Alkylation of hydrocarbons
US7781634B2 (en) Treatment of olefin feed to paraffin alkylation
USRE28724E (en) Isoparaffin alkylation with a lighter olefin and subsequently with a heavier olefin
US5324699A (en) Alkylation catalyst complex
JPS5827249B2 (ja) フツカスイソアルキルカホウ
WO1993010064A1 (en) Cold temperature alkyla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